KR20170013191A - 위생컵 - Google Patents

위생컵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13191A
KR20170013191A KR1020160128934A KR20160128934A KR20170013191A KR 20170013191 A KR20170013191 A KR 20170013191A KR 1020160128934 A KR1020160128934 A KR 1020160128934A KR 20160128934 A KR20160128934 A KR 20160128934A KR 20170013191 A KR20170013191 A KR 201700131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p
sanitary
cup body
discharge port
inner botto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289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12561B1 (ko
Inventor
이윤서
Original Assignee
이윤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윤서 filed Critical 이윤서
Priority to KR10201601289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12561B1/ko
Publication of KR201700131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131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125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125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38Devices for discharging contents
    • B65D25/40Nozzles or spou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12Cans, casks, barrels, or drums
    • B65D1/20Cans, casks, barrels, or drums characterised by location or arrangement of filling or discharge apert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28Handles
    • B65D25/2835Swingable handles
    • B65D25/2838Swingable handles provided on a local area of the side wall(s)
    • B65D25/2844Vertical, e.g. U-shap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3/00Sealing or packing elements; Sealings formed by liquid or plastics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5/00Accessories for container 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5/16Devices preventing loss of removable closure memb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Table Devices Or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단순한 구조를 가지며 좁은 공간에서도 위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컵을 사용한 후 바로 세워두어도 컵 내부에 남아 있는 액체방울이나 물방울 또는 부유물 등을 신속하게 제거하여 오염이나 세균 번식 등을 방지할 수 있는 위생컵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위생컵은 컵 몸체와, 상기 컵 몸체의 내부에 형성된 내부 바닥면(140)과, 상기 컵 몸체의 후방 하부에 상기 내부 바닥면(140)과 연결되도록 형성된 배출구(110) 및 컵을 바로 세워두었을 때 내부의 잔류 액체가 상기 배출구(110)를 통해 배출될 수 있도록 상기 내부 바닥면(140)에 후방에서 전방으로 형성되어 있는 제1경사부(141)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위생컵{Sanitary Cup}
본 발명은 물과 같은 액체를 담아서 사용할 수 있는 위생컵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한 컵을 바로 세워서 보관하여도 내부에 남아 있는 액체 방울이나 물방울 또는 부유물 등을 신속하게 배출하여 각종 오염이나 세균번식 등을 억제하여 위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위생컵에 관한 발명이다.
컵은 물이나 음료를 마실 때에 사용하고, 욕실이나 세면대 등에서 양치를 할 때에도 사용하며 야외에서 사용하기도 한다. 컵을 사용한 후 보관할 때 내부에 내용물 또는 물기가 일부 남아서, 오염의 원인이 되기도 하고 이로 인한 위생상 문제가 발생하기도 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기술 중의 하나로 공개특허공보 제10-2011-0027273호에 나타난 바와 같이 양치용 컵을 거꾸로 보관하는 기술(이하, ‘종래기술 1’이라 한다.)이 있다. 하지만, 종래기술 1은 컵을 거꾸로 보관하기 위해 벽면에 컵 홀더(20)를 설치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또 다른 기술로, 등록특허공보 제10-1506436호에 나타난 바와 같이 벽면에 컵 홀더를 설치하지 않고 컵을 거꾸로 보관할 수 있는 손잡이겸용받침대(2)가 구비된 위생컵에 관한 기술(이하, ‘종래기술 2’라 한다.)이 있다. 하지만, 종래기술 2는 컵을 거꾸로 보관하기 위해 바닥에 지지되면서 복잡한 구조를 갖는 손잡이겸용받침대(2)가 형성되어 있어 안전성 및 내구성이 저하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을 뿐 아니라 컵의 내부에 칫솔과 같이 필요한 도구를 보관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02611호에는 양치 컵을 바로 세워서 보관하면서도 위생적으로 보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컵 내부의 하단부가 원형 경사면 구조를 갖도록 하고 경사면의 중심에 배수를 위한 미세 구멍형태의 천공구가 형성된 양치 컵에 관한 기술(이하, 종래기술 3‘이라 한다.)이 나타나 있다. 하지만, 종래기술 3에서는 컵 내부에 물이 담겨 있을 때 물이 새지 않아야 하므로, 천공구는 미세한 구멍 형태로 이루어져 있고, 미세한 천공구는 물을 컵 내부에 남아 있는 물기를 빨리 제거할 수 없을 뿐 아니라, 부유물 등으로 인해 천공구가 막히게 되면 세척하기도 불편하여 더 비위생적으로 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11-0027273호(2011.03.16. 공개) 등록특허공보 제10-1506436호(2015.03.26. 공고)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02611호(2005.12.05. 공고)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단순한 구조를 가지며 좁은 공간에서도 위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컵을 사용한 후 바로 세워두어도 컵 내부에 남아 있는 액체방울이나 물방울 또는 부유물 등을 신속하게 제거하여 오염이나 세균 번식 등을 방지할 수 있는 위생적인 컵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생컵은 컵 몸체와, 상기 컵 몸체의 내부에 형성된 내부 바닥면(140)과, 상기 컵 몸체의 후방 하부에 상기 내부 바닥면(140)과 연결되도록 형성된 배출구(110) 및 컵을 바로 세워두었을 때 내부의 잔류 액체가 상기 배출구(110)를 통해 배출될 수 있도록 상기 내부 바닥면(140)에 후방에서 전방으로 형성된 제1경사부(141)를 포함하는 구성을 갖는다.
또 다른 실시예로, 상기 내부 바닥면(140)에는, 잔류 액체가 모이면서 배출될 수 있도록 컵 몸체의 좌우측면 방향으로 오목한 형상의 제2경사부(142)가 추가로 더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컵 몸체의 전방에는 손가락 걸림부(120)가 추가로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 상기 컵 몸체에는 상기 배출구(110)를 선택적으로 개폐할 수 있도록 회전가능한 손잡이(150)가 추가로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 상기 컵 몸체에는 상기 배출구(110)를 선택적으로 개폐할 수 있는 마개(미도시)가 추가로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 후 바로 세워둔 상태로 컵 내부에 남아 있는 액체를 신속하게 제거할 수 있는 단순한 구조의 위생컵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위생컵은 양치컵 등으로 사용할 경우에 컵 내부에 칫솔 등을 보관할 수 있으므로, 좁은 공간에서 효율적이면서 위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 벽면의 컵 홀더에 거꾸로 보관하는 종래의 양치컵.
도 2. 거꾸로 보관할 수 있는 손잡이겸용받침대가 형성된 종래의 위생컵.
도 3. 내부 바닥면에 미세한 천공구가 형성된 종래의 양치컵.
도 4.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위생컵의 사시도.
도 5.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위생컵의 단면도.
(a) 전·후 방향 단면도 (b) 좌·우 방향 단면도
도 6. 본 발명의 손잡이가 구비된 위생컵의 단면도.
(a) 사용할 때의 단면도 (b) 보관할 때의 단면도
도 7.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위생컵의 사용도.
도 8. 본 발명의 위생컵에 칫솔을 보관하는 예시도.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따라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접속, 접촉, 결합)"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당해 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생컵의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후 방향 단면도 및 좌우 방향 단면도를 도시하였다.
본 발명의 위생컵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컵 몸체, 컵 몸체에 형성된 내부 바닥면(140) 및 배출구(110)를 포함하고 있다. 본 발명에 나타난 위생컵은 경질의 플라스틱이나 도기, 목재 또는 철재 등으로 형성될 수도 있고, 실리콘 등과 같은 유연한 재질로 형성될 수도 있다.
한편, 위에서 ‘전·후 방향’과 ‘좌·우 방향이라고 기재되어 있는데, 컵 몸체에서 배출구(110)가 형성되어 있는 부분이 ‘후방’이고, 컵 몸체에서 배출구(110)가 형성되어 있는 부분과 맞은편이 ‘전방’을 의미하는데, 보다 넓은 의미로는 배출구(110)가 형성되어 있는 부분보다 앞에 있는 부분을 ‘전방’으로 표현할 수도 있다. 도 4에서 A-A 방향이 전·후 방향을 나타내며, 도 4에서 A-A 방향과 수직으로 형성되어 있는 B-B 방향이 좌·우 방향을 나타내는 것이다.
상기 내부 바닥면(140)은 그 후방이 상기 배출구(110)와 연결되어 컵 내부의 액체나 물기 등을 배출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를 위해 상기 내부 바닥면(140)에는 상기 배출구(110)와 연결된 후방에서 전방으로 높이가 변화하는 제1경사부(141)가 형성되어 있다. 이 때 제1 경사부는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선 형태의 경사부로 형성될 수도 있지만, 배출구(110)와 맞닿는 제1경사부(141)의 가장 낮은 위치에서 그 전방으로 상하 방향 및/또는 좌우 방향으로 곡률을 가지며 높이가 변화하는 곡선 형상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내부 바닥면(140)에는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컵의 좌·우 방향으로 오목한 곡면 형상의 제2경사부(142)이 추가로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컵의 전방에서 후방까지 각 지점의 전부 또는 일부에서 도 5(b)에서와 같이 제2경사부(142)가 형성되어 있을 수 있으며, 제2경사부(142)는 도 5(b)에서와 같이 대칭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을 수도 있고, 비대칭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을 수도 있다. 이 때, 컵의 전방에서 후방까지 각 지점의 전부에서 제2경사부(142)가 형성되어 있다면, 각 위치의 제2경사부에서 가장 높이가 낮은 오목부를 후방에서 전방으로 연결하면 높이가 높아지는 직선 또는 곡선으로 되며, 그 후방은 배출구(110)와 연결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즉, 내부 바닥면(140)의 제1, 2 경사부(141, 142)는 컵 내부에 남아 있는 액체 또는 물기가 내부 바닥면(140)으로 모이면서 배출구(110)를 통해 배출될 수 있도록 경사부가 형성되어 있는 구성이면 충분하다.
다음으로, 컵 몸체의 후방 하부에 형성된 배출구(110)에 대해 자세히 살펴본다.
배출구(110)는 컵 내부에 남아 있는 액체방울이나 물방울 등이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요소이다. 종래기술 3에서 살펴보았듯이 컵의 내부 바닥면에 미세한 구멍으로 형성된 배출구를 형성한 기술이 있었다. 하지만, 미세한 구멍은 컵에 액체가 담겨 있을 때 미세한 구멍을 통해 액체가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할 수는 있으나, 미세한 구멍의 직경은 남아 있는 액체 방울이나 물방울의 직경보다 작으므로, 액체의 표면장력에 의해 미세한 구멍으로 액체 방울이나 물방울이 배출되기 어렵고, 또한 부유물 등이 있는 경우에는 이들이 남아 미세한 구멍을 막을 수도 있어 효과적이지 않았다.
본 발명에서는 종래기술 3에 나타난 바와 같은 미세한 구멍이 아니라, 컵 내부에 남아 있는 액체 방울이나 물방울이 원활하게 배출될 수 있도록 액체 방울이나 물방울의 직경보다 충분히 큰 크기를 가지며 컵 몸체 후방의 하부에 위치하는 배출구(110)를 형성하였다.
이러한 배출구(110)를 통해 컵 내부에 액체 또는 물이 많이 남아 있을 때에는 배출구(110)로 액체 또는 물 등이 줄기를 이루어 배출될 수 있고, 컵 내부에 액체 방울이나 물방울이 남아 있는 경우에는 내부 바닥면(140)의 경사부를 통해 배출구(110)로 배출될 때 배출구(110)의 상, 하단부 사이의 간격이 충분히 커서 액체 방울이나 물방울이 배출구(110)의 상단부와는 접촉하지 않는 부분이 존재하면서 배출될 수도 있다.
상기 배출구(110)는 충분히 큰 크기라고 기재되어 있는데, 보통의 사용자가 손가락으로 충분히 막을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사용자가 컵을 사용하기 위하여 배출구(110)를 막으면 액체나 물은 배출되지 않고 통상적인 컵과 마찬가지로 액체나 물을 담을 수 있는 컵이 되는 것이다.
상기 배출구(110)는 반타원, 반원, 장공 또는 이외의 여러 형태의 구멍으로 형성될 수 있는데, 배출구(110)의 하부면이 상기 제1, 2경사부(142)와 완만하게 연결되어 컵 내부의 액체 또는 물 등이 용이하게 배출되도록 구성되어 있으면 충분하다.
한편, 배출구(110)가 컵 몸체의 후방 하부에 형성되어 있는데, 컵 몸체의 전방에는 도 4와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엄지손가락이 걸릴 수 있도록 손가락 걸림부(120)가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손가락 걸림부(120)는 도 4와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목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을 수 있지만, 손으로 컵을 쥐었을 때 미끄러짐을 방지하며 컵을 편안하게 잡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구성요소이므로, 돌출된 형태로 구성할 수도 있고, 컵을 쥐었을 때 엄지손가락의 각 마디가 닿는 모양처럼 길쭉하며 경사진 형상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고무 또는 실리콘 등과 같은 미끄럼을 방지할 수 있는 요소가 추가로 구비되어 있을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위생컵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컵의 외부 바닥면에 받침부(130)가 추가로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배출구(110)가 컵의 후방 하부에 형성되어 있어, 컵이 지지되어 있는 바닥면과 배출구(110)로부터 배출되는 액체 또는 물이 서로 연결된 상태로 유지될 수도 있는데, 컵의 외부 바닥면에 받침부(130)를 형성하여 컵이 지지되어 있는 바닥면과 배출구(110) 사이의 간격을 넓혀 보다 위생적이면서, 배수가 원활하게 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 손잡이가 구비된 위생컵이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잡이(150)는 컵 몸체에 일단이 결합되어 있고, 타단은 상기 배출구(110)를 완전히 밀폐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때, 상기 손잡이(150)는 컵 몸체와 결합된 일단에는 회전가능하도록 손잡이 회전부(170)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손잡이 회전부(170)는 통상적인 힌지를 이용하여 회전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을 수 있으며, 손잡이 회전부(170)에서의 두께나 폭 등의 변화를 통해 유연한 움직임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을 수도 있으며, 손잡이 회전부(170)의 재질을 유연한 재질로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손잡이(150)는 배출구(110)를 밀폐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 타단에는 효과적인 배출구(110)의 밀폐를 위해서 패킹(160)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패킹(160)은 탄성을 갖는 고무 또는 실리콘 등의 다양한 재질로 형성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 손잡이(150) 대신에 일단이 컵 몸체와 결합된 마개(미도시)가 형성되어 마개(미도시)가 배출구(110)를 선택적으로 밀폐시킬 수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때 컵 몸체와 결합된 일단은 상기 손잡이 회전부(170)와 마찬가지로 회전가능하게 구성되어 마개(미도시)가 선택적으로 배출구(110)를 개폐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고, 마개(미도시)에는 배출구(110)의 원활한 밀폐를 위해 패킹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손잡이(150)나 마개(미도시)가 형성된 위생컵에도 위에 나타난 바와 같은 엄지손가락으로 지지할 수 있는 손가락 걸림부(120)가 추가로 형성되어 있을 수도 있다.
이와 같이 형성된 본 발명의 위생컵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출구(110)를 손가락으로 막은 상태로 컵을 쥐어서 사용을 하고 사용 후에는 컵을 바로 세워 두기만 하면, 액체 방울 또는 물방울이 컵의 내부 바닥면(140)으로 흘러 내리고, 내부 바닥면(140)에 형성된 제1, 2 경사면(141, 142)에 의해 모여서 컵 몸체의 후방 하단에 형성된 배출구(110)로 배출되어 컵 내부에 액체나 물 또는 부유물이 남아있지 않게 되어 위생적으로 컵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위생컵을 양치컵으로 사용할 경우에는 컵을 바로 세운 상태로 보관하므로 칫솔(1)을 보관할 수도 있으며, 칫솔(1)에 물기가 남아 있다고 하더라도 배출구(110)를 통해 물기가 원활하게 배출되므로, 위생적으로 컵을 사용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손잡이(150) 또는 개폐가능한 마개(미도시)가 형성된 위생컵은 사용할 때에는 손잡이(150) 또는 마개(미도시)로 배출구(110)를 밀폐시키고, 사용 후에는 손잡이(150) 또는 마개(미도시)가 배출구(110)를 개방한 상태가 되도록 하여 내부에 남아 있을 수 있는 액체 방울이나 물방울 또는 부유물이 배출구(110)를 통해 배출될 수 있도록 하여 위생적으로 컵을 사용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칫솔 100 : 위생컵
110 : 배출구 120 : 손가락 걸림부
130 : 받침부 140 : 내부 바닥면
141 : 제1경사부 142 : 제2경사부
150 : 손잡이 160 : 패킹
170 : 손잡이 회전부

Claims (5)

  1. 컵 몸체; 상기 컵 몸체의 내부에 형성된 내부 바닥면(140); 상기 컵 몸체의 후방 하부에 상기 내부 바닥면(140)과 연결되도록 형성된 배출구(110); 및 컵을 바로 세워두었을 때 내부의 잔류 액체가 상기 배출구(110)를 통해 배출될 수 있도록 상기 내부 바닥면(140)에 후방에서 전방으로 형성되어 있는 제1경사부(141)를 포함하는 위생컵.
  2. 제1항에서 있어서, 상기 내부 바닥면(140)에는, 잔류 액체가 모이면서 배출될 수 있도록 컵 몸체의 좌우측면 방향으로 오목한 형상의 제2경사부(142)가 추가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생컵.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컵 몸체의 전방에는 손가락 걸림부(120)가 추가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생컵.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컵 몸체에는 상기 배출구(110)를 선택적으로 개폐할 수 있는 회전가능한 손잡이(150)가 추가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생컵.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컵 몸체에는 상기 배출구(110)를 선택적으로 개폐할 수 있는 마개(미도시)가 추가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생컵.
KR1020160128934A 2016-10-06 2016-10-06 위생컵 KR1018125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8934A KR101812561B1 (ko) 2016-10-06 2016-10-06 위생컵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8934A KR101812561B1 (ko) 2016-10-06 2016-10-06 위생컵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13191A true KR20170013191A (ko) 2017-02-06
KR101812561B1 KR101812561B1 (ko) 2017-12-27

Family

ID=581089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28934A KR101812561B1 (ko) 2016-10-06 2016-10-06 위생컵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12561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2611Y1 (ko) 2005-09-05 2005-12-05 이남운 위생 양치 컵
KR20110027273A (ko) 2009-09-10 2011-03-16 김용명 양치용 컵
KR101506436B1 (ko) 2014-06-30 2015-03-26 변무현 위생컵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2611Y1 (ko) 2005-09-05 2005-12-05 이남운 위생 양치 컵
KR20110027273A (ko) 2009-09-10 2011-03-16 김용명 양치용 컵
KR101506436B1 (ko) 2014-06-30 2015-03-26 변무현 위생컵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12561B1 (ko) 2017-1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60668B1 (en) Scrub brush
JP5112424B2 (ja) ブラシまたはモップ
TW201601659A (zh) 浴缸用之嬰兒沖洗器
US11877644B2 (en) Brush holding and sterilizing device
US20060207043A1 (en) Tooth brush
KR101326453B1 (ko) 구강 관리기구 홀더를 구비한 치약 용기
KR101812561B1 (ko) 위생컵
US6842935B2 (en) Toilet bowl brush cleaning system
JP5417635B2 (ja) シャンプーボール装置
US20170367458A1 (en) Cleaning and sanitizing system
US6519785B1 (en) Sanitary plunger device
KR200383262Y1 (ko) 양칫물 사용구
US11690441B2 (en) Water squirting brush
US20230200466A1 (en) Finger-mounted, teeth and tongue cleaning device
JP3098499U (ja) 掃除用具
KR200282854Y1 (ko) 휴대용 칫솔
US20160029780A1 (en) Personal hygiene device
JP3215923U (ja) 曲げ筒型スタンド
CN206792010U (zh) 一种自溢型便后洗刷器
JP2023175370A (ja) 蛇口レバーガイド
US20170188685A1 (en) Powder Dispensing Device
KR20200066051A (ko) 올인원컵
JP2009195342A (ja) 簡易洗浄具
EP3229644A1 (en) Nail cleaning and sanitizing system
KR20190008970A (ko) 칫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pub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