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13161A - Optical scann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 Google Patents

Optical scann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13161A
KR20170013161A KR1020160091156A KR20160091156A KR20170013161A KR 20170013161 A KR20170013161 A KR 20170013161A KR 1020160091156 A KR1020160091156 A KR 1020160091156A KR 20160091156 A KR20160091156 A KR 20160091156A KR 20170013161 A KR20170013161 A KR 201700131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incident
optical
optical system
deflecting su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9115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066772B1 (en
Inventor
준 이가라시
Original Assignee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700131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1316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667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6677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6/00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using movable or deformable optical elements
    • G02B26/08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using movable or deformable optical elements for controlling the direction of light
    • G02B26/10Scanning systems
    • G02B26/103Scanning systems having movable or deformable optical fibres, light guides or waveguides as scanning el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6/00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using movable or deformable optical elements
    • G02B26/08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using movable or deformable optical elements for controlling the direction of light
    • G02B26/10Scanning systems
    • G02B26/12Scanning systems using multifaceted mirro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JMEASUREMENT OF INTENSITY, VELOCITY, SPECTRAL CONTENT, POLARISATION, PHASE OR PULSE CHARACTERISTICS OF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COLORIMETRY; RADIATION PYROMETRY
    • G01J1/00Photometry, e.g. photographic exposure meter
    • G01J1/42Photometry, e.g. photographic exposure meter using electric radiation detector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6/00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using movable or deformable optical elements
    • G02B26/08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using movable or deformable optical elements for controlling the direction of light
    • G02B26/10Scanning systems
    • G02B26/101Scanning systems with both horizontal and vertical deflecting means, e.g. raster or XY scanner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4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exposing, i.e. imagewise exposure by optically projecting the original image on a photoconductive recording material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Facsimile Scanning Arrangements (AREA)
  • Mechanical Optical Scanning Systems (AREA)
  • Laser Beam Printer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optical scanning device and an image forming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The optical scann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deflection unit which has a deflection side and deflects a light flux to scan a non-scanning side in a main scanning direction; an incidence optical system disposed for the light flux to obliquely come into the deflection side in a sub scanning section; and a light receiving unit which is disposed to generate a signal by receiving the light flux deflected by the deflection side. The following condition, which is <=, is fulfilled wherein (deg) is an incidence angle of the light flux for the deflection side in the sub scanning section, and (deg) is an angle formed by a light flux came into a deflection side in the main scanning section and a light flux oriented towards the light receiving unit by being deflected by the deflection side.

Description

광 주사 장치 및 그것을 포함하는 화상 형성 장치{OPTICAL SCANN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INCLUDING THE SAME}TECHNICAL FIELD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optical scanning apparatus and an image forming apparatus including the optical scanning apparatus.

본 발명은, 레이저 빔 프린터(LBP), 디지털 복사기, 또는 다기능 프린터(다특징 프린터) 등의 화상 형성 장치; 및 화상 형성 장치에 포함된 광 주사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mage forming apparatus such as a laser beam printer (LBP), a digital copying machine, or a multifunction printer (multifunction printer); And an optical scanning apparatus included in the image forming apparatus.

화상 형성 장치에 포함된 광 주사 장치로서, 광원으로부터의 광속을 편향 유닛에 의해 편향시키고, 피주사면을 주주사 방향으로 광 주사하는 광 주사 장치가 알려져 있다. 이러한 광 주사 장치에서, 피주사면을 고정밀도로 광 주사하기 위해서는, 편향 유닛에 의해 편향된 광속을 검출하고, 피주사면에서의 주주사 방향의 기록-개시 위치(write-start position)를 결정하기 위한 동기 검출 유닛이 필요하게 된다.As an optical scanning apparatus included in an image forming apparatus, an optical scanning apparatus for deflecting a light beam from a light source by a deflection unit and optically scanning the surface to be scanned in the main scanning direction is known. In this optical scanning apparatus, in order to optically scan the surface to be scanned with high precision, a synchronous detection unit for detecting a light beam deflected by the deflecting unit and determining a write-start position in the main scanning direction on the scan surface .

일본 특허 공개 공보 제2009-115943호는, 광원으로부터의 광속을 광속 분리 소자에 의해 분리하고, 광속을 피주사면 및 동기 검출 유닛에 각각 유도하는 구성을 기재하고 있다. 또한, 일본 특허 공개 공보 제2007-298997호는, 결상 렌즈의 단부를 통과한 광속을 미러를 사용하여 반사시키고, 광속을 동기 검출 유닛에 유도하는 구성을 기재하고 있다.Japanese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2009-115943 discloses a configuration in which a light flux from a light source is separated by a beam splitting element, and the light flux is guided to the surface to be scanned and the synchronization detection unit, respectively. Further,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2007-298997 discloses a configuration in which a light flux passing through an end of an imaging lens is reflected by using a mirror, and the light flux is guided to the synchronization detection unit.

그러나, 일본 특허 공개 공보 제2009-115943호 및 일본 특허 공개 공보 제2007-298997호의 구성에서는, 광속 분리 소자 및 미러가 필요해지기 때문에, 장치가 복잡해질 수 있고, 각각의 구성요소의 배치 오차에 의해 고정밀도의 동기 검출이 더 이상 실행되지 못할 수 있다. 또한, 일본 특허 공개 공보 제2009-115943호 및 일본 특허 공개 공보 제2007-298997호의 구성에서는, 주주사 단면 내에서, 피주사면을 향해 지향된 광속이 차단되지 않도록 각 부재가 배치될 필요가 있기 때문에 장치의 크기가 충분히 소형화되지 않는다.However, in the structures of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2009-115943 and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2007-298997, a beam splitter and a mirror are required, so that the apparatus can be complicated, High-precision synchronous detection may no longer be performed. In addition, in the configurations of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2009-115943 and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2007-298997, since each member needs to be disposed so that the light beam directed toward the surface to be scanned is not blocked in the main- Is not sufficiently miniaturized.

본 발명은, 간단한 구성에 의해 고정밀도의 동기 검출 및 크기 축소를 달성할 수 있는 광 주사 장치 및 화상 형성 장치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optical scanning apparatus and an image forming apparatus capable of achieving high-precision synchronous detection and size reduction by a simple configuration.

본 발명은, 편향면을 갖고, 광속을 편향시켜 피주사면을 주주사 방향으로 광 주사하도록 배치되는 편향 유닛; 광속이 부주사 단면 내에서 편향면에 사입사되게 하도록 배치되는 입사 광학계; 및 편향면에 의해 편향되는 광속을 수광하고 신호를 생성하도록 배치되는 수광 유닛을 포함하는 광 주사 장치를 제공한다. 이하의 조건이 충족되며,A deflection unit having a deflecting surface and arranged to optically scan the surface to be scanned in a main scanning direction while deflecting the light beam; An incident optical system arranged such that the light flux enters the deflecting surface in the sub-scan section; And a light receiving unit arranged to receive a light beam deflected by the deflecting surface and generate a signal. The following conditions are satisfied,

|β| ≤ |α|,| β | ? |? |,

여기서, α(deg)는 부주사 단면 내에서의 편향면에 대한 입사 광학계로부터의 광속의 입사 각이고, β(deg)는 주주사 단면 내에서의 편향면에 입사하는 광속과 편향면에 의해 편향되고 수광 유닛을 향해 지향되는 광속에 의해 형성되는 각이다.(Deg) is the angle of incidence of the light beam from the incident optical system on the deflecting surface in the sub-scan section, and? (Deg) is deflected by the light beam incident on the deflecting surface in the main-scan section and the deflecting surface And an angle formed by a light flux directed toward the light receiving unit.

본 발명의 추가적인 특징은 첨부된 도면을 참고한 예시적인 실시형태에 대한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Further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exemplary embodiments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광 주사 장치의 주요부의 개략도를 제공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광 주사 장치의 주주사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입사 광학계 및 수광 유닛의 주요부의 개략도를 제공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광원의 발광 타이밍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광 주사 장치의 주주사 단면도를 제공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광 주사 장치의 부주사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입사 광학계 및 수광 유닛의 주요부의 개략도를 제공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따른 광 주사 장치의 주주사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따른 입사 광학계의 부주사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 3 및 비교예에 따른 광원의 발광 타이밍을 도시하는 도면을 제공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 4에 따른 입사 광학계 및 동기 검출 유닛의 주요부의 개략도를 제공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 5에 따른 광 주사 장치의 주주사 단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 5에 따른 입사 광학계의 부주사 단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의 부주사 단면도이다.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schematic view of a main part of an optical scanning apparatus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main scanning sectional view of the optical scanning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provides a schematic view of essential parts of an incident optical system and a light receiving unit according to Embodiment 1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diagram showing the light emission timing of the light sour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shows a main scanning sectional view of an optical scanning apparatus according to Embodiment 2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sub-scan sectional view of the optical scanning devic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 schematic view of a main portion of an incident optical system and a light receiving unit according to Embodiment 2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8 is a main scanning sectional view of the optical scanning devic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sub-scan sectional view of an incident optical system according to Embodiment 3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0 provides a diagram showing the light emission timings of the light source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and the comparative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1 is a schematic view of essential parts of an incidence optical system and a synchronization detecting unit according to Embodiment 4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main scanning sectional view of an optical scanning apparatus according to Embodiment 5 of the present invention.
13 is a sub-scan sectional view of an incident optical system according to Embodiment 5 of the present invention.
14 is a sub-scan sectional view of the image form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면 각각은 이해의 편의를 위해 실제 축척과 다른 축척으로 도시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번호가 부여되고, 중복하는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주주사 방향은 편향 유닛이 피주사면을 광 주사하는 방향이다. 이 경우, 주주사 방향은 편향 유닛의 회전축(또는 요동 축)과 광축 방향에 수직인 방향에 대응한다. 부주사 방향은 주주사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이다. 이 경우, 부주사 방향은 편향 유닛의 회전축(또는 요동 동작 축)에 평행한 방향에 대응한다. 또한, 주주사 단면은 광축을 포함하고 주주사 방향에 평행한 단면이다. 이 경우, 주주사 단면은 또한 부주사 방향에 수직인 단면이다. 부주사 단면은 광축을 포함하고 부주사 방향에 평행한 단면이다. 이 경우, 부주사 단면은 또한 주주사 방향에 수직인 단면이다.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Each of the drawings may be shown at different scales from the actual scale for ease of understanding. In the drawings,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given to the same members, and redundant explanations are omitted.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the main scanning direction is a direction in which the deflection unit optically scans the surface to be scanned. In this case, the main scanning direction corresponds to the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rotation axis (or swing axis) of the deflection unit and the optical axis direction. The sub-scanning direction is a direction intersecting the main scanning direction. In this case, the sub-scan direction corresponds to a direction parallel to the rotation axis (or swing motion axis) of the deflection unit. The main-scan cross-section includes an optical axis and is parallel to the main-scan direction. In this case, the main-scan section is also perpendicular to the sub-scan direction. The sub-scan section is a section including an optical axis and parallel to the sub-scan direction. In this case, the sub-scan section is also a section perpendicular to the main scan direction.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광 주사 장치(100)의 주요부의 개략도를 제공한다. 도 1의 좌측 도면은 광 주사 장치(100)의 주주사 단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1의 우측 도면은 광 주사 장치(100)에 포함된 입사 광학계(L), 편향 유닛(5) 및 수광 유닛(8)을 포함하는 부분의 부주사 단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1은 마지널 광선을 생략하면서 광속의 주 광선만을 도시한다. 또한, 도 1의 우측 도면에서는, 입사 광학계(L)의 광축 방향이 도 1의 좌측 도면에서의 결상 광학계(6)의 광축 방향(X 방향)에 일치하도록 광로를 전개하고 있다.Fig. 1 provides a schematic view of the main part of the optical scann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 schematically shows a main scanning section of the optical scanning apparatus 100. As shown in FIG. 1 schematically shows a sub-scan section of a portion including an incident optical system L, a deflection unit 5, and a light-receiving unit 8 included in the optical scanning apparatus 100. As shown in Fig. FIG. 1 shows only the principal ray of the light beam, omitting the marine rays. 1, the optical path extends so that the optical axis direction of the incident optical system L coincides with the optical axis direction (X direction) of the imaging optical system 6 in the left drawing of Fig.

본 실시형태에 따른 광 주사 장치(100)는 편향 유닛(5)에 의해 광속을 편향시키고 피주사면(7)을 주주사 방향(B)으로 광 주사한다. 편향 유닛(5)로서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복수의 편향면(반사면)(51)을 갖는 회전 다면경(폴리곤 미러)을 도시하고 있지만, 이것을 대신하여, 요동 동작 축을 중심으로 요동하는 1개 또는 2개의 편향면을 갖는 요동 미러를 사용할 수 있다. 편향 유닛(5)은 모터 등으로 구성되는 구동 유닛(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화살표 A로 나타낸 방향으로 일정 속도(등각 속도)로 회전한다.The optical scann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deflects the light beam by the deflection unit 5 and optically scans the scan surface 7 in the main scanning direction B. [ As the deflection unit 5, there is shown a rotary polygonal mirror (polygon mirror) having a plurality of deflecting surfaces (reflecting surfaces) 51 that rotate around a rotation axis. Instead of this, It is possible to use a swinging mirror having one or two deflecting surfaces. The deflection unit 5 is rotated at a constant speed (constant angular velocity) in the direction indicated by the arrow A by a drive unit (not shown) composed of a motor or the like.

본 실시형태에 따른 입사 광학계(L)는, 도 1의 우측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부주사 단면 내에서 편향 유닛(5)의 편향면(51)의 각각에 광속을 사입사(주주사 단면에 대하여 비스듬히 입사)시키는 사입사계이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입사 광학계(L)는 광원만으로 구성되지만, 필요한 경우, 입사 광학계(L)가 광원으로부터의 광속을 편향면(51)에 유도하는 광학 소자 및 개구 조리개(aperture stop)를 포함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입사 광학계(L)는 광 주사 장치(100)의 외측에 배치된 광원으로부터의 광속을 유도할 수 있다.The incident optical system L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has a configuration in which the light beam is incident on each of the deflecting surfaces 51 of the deflecting unit 5 in the sub-scan section as shown in the right- (I.e., oblique incidence with respect to each other). The incident optical system L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only a light source, but if necessary, the incident optical system L may include an optical element for guiding the light flux from the light source to the deflecting surface 51 and an aperture stop . Alternatively, the incident optical system L may guide the light beam from the light source disposed outside the optical scanning apparatus 100. [

수광 유닛(8)은 편향면(51)에 의해 편향된 광속을 수광하고 신호를 생성한다. 수광 유닛(8)에 의해 생성된 신호에 기초하여, 피주사면(7) 에서의 주주사 방향의 기록-개시 위치를 결정하기 위한 동기 검출, 및 광원의 발광량의 제어를 행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수광 유닛(8)은 광전 변환 소자 같은와 수광 소자만으로 구성되어 있지만, 필요한 경우, 수광 유닛(8)은 편향면(51)으로부터의 광속을 그러한 수광 소자에 유도하는 광학 소자와 개구 조리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광원 및 수광 소자를 동일한 기판 상에 장착함으로써, 부품 개수를 삭감하면서, 이들 부재의 상대 위치 사이의 어긋남을 억제하고 있다.The light receiving unit 8 receives the light beam deflected by the deflecting surface 51 and generates a signal. Synchronous detection for determining the recording-start position in the main scanning direction on the scan surface 7 and control of the amount of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source can be performed based on the signal generated by the light receiving unit 8. [ The light receiving unit 8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constituted by only a photoelectric conversion element and a light receiving element. If necessary, the light receiving unit 8 includes an optical element for guiding the light flux from the deflecting surface 51 to such a light receiving element, May include an aperture. In this embodiment, the light source and the light receiving element are mounted on the same substrate, thereby reducing the number of parts and suppressing the displacement between the relative positions of these members.

입사 광학계(L)에서, 반도체 레이저와 같은 광원으로부터 발해진 광속은 회전하는 편향 유닛(5)의 편향면(51)에 입사한다. 어떤 회전각에서는, 편향면(51)에 의해 반사된 광속은 수광 유닛(8)에 입사하고, 광전변환되며, 신호를 생성하게 된다. 편향 유닛(5)이 더 회전함에 따라, 편향면(51)에 의해 반사된 광속은 결상 광학계(6)에 의해 피주사면(7)에 입사한다. 그리고, 편향 유닛(5)의 회전과 함께, 입사 광학계(L)로부터의 광속은 편향면(51)에 의해 편향되고, 피주사면(7)을 주주사 방향(Y 방향)으로 주사하게 된다. 수광 유닛(8)에서 생성된 신호를 이용함으로써, 그 신호에 기초하여, 피주사면(7) 위에서 광 주사를 개시하는 타이밍, 즉 기록-개시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이러한 동기 검출은 피주사면(7)을 1회 주사할 때마다 행하여진다. 또한, 부주사 방향으로 피주사면(7)을 이동시키면서 주주사 방향의 광 주사를 반복하는 경우에는, 동기 검출은 수회 주사할 때마다 행해질 수 있다.In the incident optical system L, a light beam emitted from a light source such as a semiconductor laser is incident on the deflecting surface 51 of the rotating deflecting unit 5. At any rotation angle, the light beam reflected by the deflecting surface 51 enters the light receiving unit 8, is photoelectrically converted, and generates a signal. As the deflection unit 5 further rotates, the light beam reflected by the deflecting surface 51 is incident on the scan surface 7 by the imaging optical system 6. Along with the rotation of the deflecting unit 5, the light flux from the incident optical system L is deflected by the deflecting surface 51 and the scanning surface 7 is scanned in the main scanning direction (Y direction). By using the signal generated in the light receiving unit 8, it is possible to determine the timing of starting the optical scanning on the scan surface 7, that is, the recording-start position, based on the signal. This synchronization detection is performed every time the scanning surface 7 is scanned once. In the case of repeating optical scanning in the main scanning direction while moving the scan surface 7 in the sub scanning direction, synchronization detection can be performed every time a plurality of scanning is performed.

이 경우, α(deg)가 부주사 단면 내에서의 입사 광학계(L)로부터의 광속의 편향면(51)에 대한 입사각이고, β(deg)가 주주사 단면 내에서의 편향면(51)에 입사하는 광속과 편향면(51)에 의해 편향되어 수광 유닛(8)을 향해 지향되는 광속에 의해 형성되는 각인 것으로 한다. 각각의 각은 광속의 주 광선에 관하여 결정된다. 이때, 본 실시형태에 따른 광 주사 장치(100)는 이하의 조건식(1)을 충족한다:In this case,? (Deg) is an incident angle to the deflecting surface 51 of the light flux from the incident optical system L in the sub-scan section, and? (Deg) And the light beam deflected by the deflecting surface 51 and directed toward the light receiving unit 8. [0050] Each angle is determined with respect to the principal ray of the light beam. At this time, the optical scann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satisfies the following condition (1)

|β|≤|α| ... (1)|? |? |? | ... (One)

본 실시형태에 따른 광 주사 장치(100) 에서는, 입사 광학계(L)는 사입사계이기 때문에, 입사 광학계(L)와 수광 유닛(8)은 부주사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건식(1)이 충족되기 때문에, 주주사 단면 내에서, 입사 광학계(L)와 수광 유닛(8)을 근접하여 배치할 수 있다. 따라서, 일본 특허 공개 공보 제2009-115943호 및 일본 특허 공개 공보 제2007-298997호에 기재된, 광속 분리 소자 및 미러와 같은 부재를 각 광로에 배치할 필요가 없다. 즉, 주주사 단면 내에서, 입사 광학계(L)와 편향면 사이의 광로 및 편향면과 수광 유닛(8) 사이의 광로는, 광속의 주 광선이 굴절 또는 반사되지 않는 광로이다. 이러한 간단한 구성에 의해, 고정밀도의 동기 검출 및 전체 장치의 크기 축소를 달성할 수 있다.In the optical scann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since the incident optical system L is a projection system, the incident optical system L and the light receiving unit 8 can be dispos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sub-scanning direction. Further, since the conditional expression (1) is satisfied, the incident optical system L and the light receiving unit 8 can be arranged close to each other in the main scanning section. Therefore, it is not necessary to dispose a member such as a beam splitter and a mirror described in JP-A-2009-115943 and JP-A-2007-298997 in each optical path. That is, in the main-scan section, the optical path between the incident optical system L and the deflecting surface and the optical path between the deflecting surface and the light receiving unit 8 are optical paths in which the principal ray of the light flux is not refracted or reflected. With this simple configuration, it is possible to achieve highly accurate synchronization detection and size reduction of the entire apparatus.

조건식(1)을 충족하지 않는 경우, 주주사 단면 내에서 입사 광학계(L) 및 수광 유닛(8)이 차지하는 공간이 증가하고, 전체 장치의 크기를 축소시키는 것이 곤란해진다. 전체 장치의 크기의 충분한 축소를 달성하기 위해서, 이하의 조건식 (2) 및 (3) 중 적어도 하나가 충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When the condition (1) is not satisfied, the space occupied by the incident optical system L and the light receiving unit 8 increases in the main-scan section, making it difficult to reduce the size of the entire apparatus. In order to achieve sufficient reduction of the size of the entire apparatus, it is preferable that at least one of the following conditional expressions (2) and (3) is satisfied:

1.5≤|α|≤10 ... (2), 및1.5? |? |? 10 (2), and

0≤|β|≤ 5.0 ... (3).0? |? |? 5.0 (3).

또한, 본 실시형태에 따른 광 주사 장치(100)는 이하의 조건식 (4) 및 (5) 중 적어도 하나를 충족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It is more preferable that the optical scann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satisfies at least one of the following conditional expressions (4) and (5).

1.5≤|α|≤ 5.0 ... (4), 및1.5? |? |? 5.0 (4), and

0≤|β|≤ 3.0 ... (5).0? |? |? 3.0 (5).

실시예Example 1 One

이하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광 주사 장치(200)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the optical scanning device 2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광 주사 장치(200)의 주주사 단면도이다. 도 3은, 광 주사 장치(200)에 포함된 입사 광학계(L) 및 수광 유닛(8)의 주요부의 개략도를 제공한다. 도 3의 좌측 도면은 부주사 단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3의 우측 도면은 광원과 광전 변환 소자를 포함하는 모듈의 정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3에서는, 입사 광학계(L)의 광축 방향이 도 2에서의 결상 광학계(6)의 광축 방향(X 방향)에 일치하도록 광로를 전개한다. 도 3은 마지널 광선을 생략하면서 광속의 주 광선만을 나타내고 있다.2 is a main scanning sectional view of the optical scanning device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3 provides a schematic view of the main parts of the light-receiving unit 8 and the incident optical system L included in the optical scanning device 200. As shown in Fig. The left side view of FIG. 3 schematically shows a sub-scan section. 3 schematically shows a front view of a module including a light source and a photoelectric conversion element. 3, the optical path is expanded so that the optical axis direction of the incident optical system L coincides with the optical axis direction (X direction) of the imaging optical system 6 in Fig. FIG. 3 shows only the principal ray of the light beam while omitting the marginal ray.

본 실시예에 따른 입사 광학계(L)는, 광속을 사출하는 광원(1)과, 광원(1) 로부터의 광속을 규제하여 광속을 성형하는 개구 조리개(2)와, 개구 조리개(2)로부터의 광속의 집광 상태(수렴도)를 변환하는 집광 렌즈(집광 광학 소자)(3)를 포함하고 있다. 본 실시예에서, 광원(1)은 반도체 레이저이며, 집광 렌즈(3)는 주주사 단면과 부주사 단면 내에서 다른 굴절력(파워)을 갖는 아나모픽(anamorphic) 렌즈이다. 집광 렌즈(3)는, 광원(1)으로부터 출사되고 개구 조리개(2)을 통과한 발산 광속을, 주주사 단면 내에서는 평행 광속 또는 수렴 광속로 변환하고, 부주사 단면 내에서는 수렴 광속으로 변환한다. 집광 렌즈(3)를 콜리메이터 렌즈 및 실린더 렌즈를 포함하는 2개의 광학 소자로 구성할 수 있고, 이 경우 2개의 광학 소자는 일체화될 수 있다.The incident optical system L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light source 1 for emitting a light flux, an aperture stop 2 for shaping a light flux by regulating the light flux from the light source 1, And a condensing lens (condensing optical element) 3 for converting the condensing state (convergence degree) of the light beam. In this embodiment, the light source 1 is a semiconductor laser, and the condenser lens 3 is an anamorphic lens having a different refractive power (power) in the main-scan section and the sub-scan section. The condenser lens 3 converts the divergent light flux emitted from the light source 1 and passed through the aperture stop 2 into a parallel light flux or a convergent light flux in the main-scan section and a convergent light flux in the sub-scan section. The condenser lens 3 can be composed of two optical elements including a collimator lens and a cylinder lens, in which case the two optical elements can be integrated.

본 실시예에 따른 편향 유닛(5)은, 복수의 편향면(반사면)(51)을 갖는 회전 다면경(폴리곤 미러)이며, 모터 등으로 구성되는 구동 유닛(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화살표 A로 나타낸 방향으로 일정 속도(등각 속도)로 회전된다. 편향 유닛(5)은, 입사 광학계(L)에 의해 유도된 광속을 각 편향면(51)을 사용하여 편향시키고, 피주사면(7)을 주주사 방향(화살표 B로 나타낸 방향)으로 광 주사한다. 편향 유닛(5)으로서는, 회전 다면경을 대신하여, 일정 속도에서 요동하는 요동 미러를 채용할 수 있다.The deflecting unit 5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a rotating polygon mirror (polygon mirror) having a plurality of deflecting surfaces (reflecting surfaces) 51 and is constituted by a driving unit (not shown) (Constant angular velocity) in the direction indicated by the arrow. The deflecting unit 5 deflects the light beam guided by the incidence optical system L using the respective deflecting surfaces 51 and optically scans the scan surface 7 in the main scanning direction (the direction indicated by the arrow B). As the deflection unit 5, a swinging mirror that swings at a constant speed can be employed instead of the rotary polygon mirror.

편향 유닛(5)으로부터 피주사면(7)에 이르는 광로 중에는, 집광 기능 및 fθ 특성을 갖는 결상 렌즈(결상 광학 소자)로 형성되는 결상 광학계(6)가 배치된다. 이 결상 렌즈는, 플라스틱(수지) 재료 등으로 형성되는 아나모픽 렌즈이며, 주주사 단면 내 및 부주사 단면 내에서의 광축 상에서는 정의 파워를 갖고 있다. 결상 광학계(6)는, 편향 유닛(5)에 의해 편향된 광속을 피주사면(7) 위에 유도 및 집광하고, 스폿 상을 형성한다. 스폿 상은, fθ 특성에 의해 피주사면(7) 위를 등속으로 이동한다. 결상 광학계(6)는, 부주사 단면 내에서, 편향면(51)과 피주사면(7)을 공액 관계로 되게 함으로써, 편향면(51)의 광면 얽힘 오차 보상을 행하고 있다.In the optical path from the deflecting unit 5 to the scan surface 7, an imaging optical system 6 formed of an imaging lens (imaging optical element) having a light converging function and f? Characteristic is disposed. This imaging lens is an anamorphic lens formed of a plastic (resin) material or the like and has a positive power on the optical axis in the main scanning section and the sub scanning section. The imaging optical system 6 guides and condenses the light beam deflected by the deflecting unit 5 onto the scan surface 7 to form a spot image. The spot image moves at a constant speed on the scan surface 7 by the f? Characteristic. The imaging optical system 6 compensates the optical surface entanglement error of the deflecting surface 51 by making the deflecting surface 51 and the scan surface 7 conjugate with each other in the sub-scan section.

표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결상 광학계의 광학 배치 등의 각 수치를 나타낸다.Table 1 shows respective numerical values such as the optical arrangement of the imaging optical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Figure pat00001
Figure pat00001

본 실시예에 따른 결상 렌즈의 각 렌즈면(입사면 및 출사면)의 면 정점을 포함하는 주주사 단면 내에서의 형상(모선 형상)은 12차까지의 함수로서 나타낼 수 있는 비구면 표면이다. 구체적으로는, 각 렌즈면과 광축 사이의 교점이 원점이고, 광축 방향의 축이 X축이며, 주주사면 내에서 광축과 직교하는 축이 Y축일 때, 각 렌즈면의 모선 형상은 이하의 식 (6)에 의해 표현된다:The shape (bus shape) in the main-scan section including the surface apexes of the respective lens surfaces (incident surface and exit surface) of the imaging lens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is an aspherical surface that can be represented as a function up to the twelfth order. Concretely, when the intersection point between each lens surface and the optical axis is the origin, the axis in the optical axis direction is the X axis, and the axis perpendicular to the optical axis in the main scanning direction is the Y axis, 6): &lt; RTI ID = 0.0 &gt;

Figure pat00002
... (6)
Figure pat00002
... (6)

이 식에서, R은 광축 상에서의 주주사 단면 내에서의 곡률 반경(모선 곡률 반경)이며, K, B4, B6, B8, B10, 및 B12는 주주사 단면 내에서의 비구면 계수이다. 또한, 주주사 방향의 각각 위치에서의 부주사 단면 내에서의 각 렌즈면의 형상(자선 형상)은 이하의 식 (7) 및 식 (8)에 의해 표현된다:In this equation, R is the radius of curvature (radius of curvature of the curvature of the curvature) in the main-scan section on the optical axis, and K, B4, B6, B8, B10 and B12 are aspheric coefficients in the main- The shape of each lens surface in the sub-scan section at each position in the main-scan direction (char- acteristic shape) is expressed by the following equations (7) and (8)

Figure pat00003
... (7)
Figure pat00003
... (7)

Figure pat00004
... (8)
Figure pat00004
... (8)

식에서, r은 광축 상에서의 부주사 단면 내에서의 곡률 반경(자선 곡률 반경)이고, D2, D4, D6, D8, D10, 및 D12는 자선 변화 계수이고, r'은 상 높이(Y)의 위치에서의 자선 곡률 반경이며, Mj _k는 부주사 단면에서의 비구면 계수이다. 예를 들어, Mj _1은 Z의 제1 항이며, 부주사 단면 내에서의 렌즈면의 기울기(자선 틸트)를 나타낸다. 본 실시예에서는, 0, 2, 4, 6, 8, 및 10차의 계수를 사용하여, 주주사 방향에서 자선 틸트량을 변화시키고 있다.D 2 , D 4 , D 6 , D 8 , D 10 , and D 12 are the char- acteristic change coefficients, and r 'is the radius of curvature in the sub-scan section on the optical axis Is the radius of curvature of curvature at the position of height (Y), and M j - k is the aspherical surface coefficient in the sub-scan section. For example, M j - 1 is the first term of Z and represents the slope of the lens surface in the sub-scan section (sine tilt). In this embodiment, the amounts of tilt in the main scanning direction are changed using the coefficients of 0, 2, 4, 6, 8, and 10th order.

표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결상 렌즈의 각 렌즈면의 형상 데이터를 나타낸다. 표 2에 있어서의 각 계수를 참고하면, 첨자 u는 결상 렌즈의 각 렌즈면 정점(즉, 광축)에 대하여 광원(1)과 동일한 측(상측)을 나타내고, 첨자 l은 결상 렌즈의 각 렌즈면 정점에 대하여 광원(1)과 반대측(하측)을 나타내고 있다. 첨자 u 또는 l가 없는 계수는 상측과 하측에 공통인 계수이다.Table 2 shows shape data of each lens surface of the imaging lens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The suffix u indicates the same side (upper side) as the light source 1 with respect to each lens surface apex (i.e., optical axis) of the image-forming lens, And the light source 1 and the opposite side (lower side) with respect to the vertex. Coefficients without subscript u or l are coefficients common to the top and bottom.

Figure pat00005
Figure pat00005

이어서, 본 실시예에 따른 입사 광학계(L) 및 수광 유닛(8)의 구성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Next, the configurations of the incident optical system L and the light receiving unit 8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수광 유닛(8)은, 편향면(51)에 의해 편향된 광속을 수광하고, 피주사면(7)에서의 주주사 방향의 기록-개시 위치를 결정하기 위한 동기 신호를 생성하는 동기 검출 유닛으로서 기능한다. 수광 유닛(8)은, 편향면(51)에 의해 편향된 동기 검출용의 광속(DL)을 유도 및 집광하는 동기 검출 렌즈(동기 검출 광학 소자)(81)와, 동기 검출 렌즈(81)로부터의 광속을 수광하고 동기 신호를 출력하는 동기 검출 센서(광전 변환 소자)(82)를 포함한다.The light receiving unit 8 functions as a synchronization detecting unit which receives the light beam deflected by the deflecting surface 51 and generates a synchronizing signal for determining the recording-start position in the main scanning direction on the scan surface 7. [ The light receiving unit 8 includes a synchronous detection lens (synchronous detecting optical element) 81 for guiding and condensing the light flux DL for synchronous detection deflected by the deflecting surface 51, And a synchronous detection sensor (photoelectric conversion element) 82 for receiving the light flux and outputting a synchronous signal.

센서(82)로부터 출력된 동기 신호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제어 회로(드라이버)(10)에 입력된다. 제어 회로(10)는 이 동기 신호에 기초하여 피주사면(7)에서의 주주사 방향의 기록-개시 위치를 결정한다. 도 4는, 편향 유닛(5)이 1회전하는 동안의 광원(1)의 발광 타이밍을 나타내는 타이밍 차트이다. LD는 광원의 온/오프 상태를 나타내고, CLK는 클럭 신호를 나타내며, DT는 센서의 출력 신호를 나타낸다.The synchronous signal output from the sensor 82 is input to the control circuit (driver) 10 shown in Figs. 2 and 3. The control circuit 10 determines the recording-start position in the main scanning direction on the scan surface 7 based on this synchronization signal. Fig. 4 is a timing chart showing the emission timing of the light source 1 during one rotation of the deflection unit 5. Fig. LD denotes an ON / OFF state of the light source, CLK denotes a clock signal, and DT denotes an output signal of the sensor.

제어 회로(10)에 의해, 광원(1)은 시각 t1에서 발광을 개시하고 시각 t2에서 발광을 일시적으로 정지한다. 이 기간 동안에, 광원(1) 로부터의 광속이 편향면(51)에 의해 반사되고 센서(82)에 입사하면, 시각 td에 동기 신호가 생성된다. 제어 회로는, 시각 td로부터 클록 펄스(CLK)를 카운트하고, 카운트수가 미리결정된 값에 도달하면 광원(1)을 발광 가능 상태로 한다(시각 t3). 피주사면(7)의 유효 영역의 광 주사에 필요한 시간(시각 t3로부터 시각 t4)은 미리 결정된다. 따라서, 이 기간 동안에는 화상 데이터에 따라서 광원(1)이 점등 또는 소등되고, 피주사면(7)을 1줄분의 화상 데이터에 대응하는 패턴으로 노광하게 된다.The control circuit 10 causes the light source 1 to start emitting light at time t1 and temporarily stops emitting light at time t2. During this period, when the light flux from the light source 1 is reflected by the deflecting surface 51 and enters the sensor 82, a synchronizing signal is generated at time td. The control circuit counts the clock pulse CLK from the time td and makes the light source 1 ready to emit light (time t3) when the count number reaches a predetermined value. The time required for optical scanning of the effective area of the scan surface 7 (time t3 to time t4) is predetermined. Therefore, during this period, the light source 1 is turned on or off according to the image data, and the scan surface 7 is exposed in a pattern corresponding to one line of image data.

이와 같이, 동기 신호에 기초하여 주주사 방향의 기록-개시 타이밍이 결정된다. 따라서, 주사가 반복되더라도, 기록-개시 위치의 재현성이 유지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피주사면(7)을 1회 광 주사할 때마다 동기 검출을 행하고 기록-개시 타이밍을 결정하는 동작을 반복한다.Thus, the recording-start timing in the main scanning direction is determined based on the synchronization signal. Therefore, even if the scanning is repeated, the reproducibility of the recording-start position is maintained. In this embodiment, the synchronization detection is performed every time the scan surface 7 is optically scanned once, and the operation of determining the recording-start timing is repeated.

표 3은 입사 광학계(L)의 광학 배치 등의 각 수치 값을 나타낸다. 표 4는 수광 유닛(8)의 광학 배치 등의 각 수치를 나타낸다.Table 3 shows the numerical values such as the optical arrangement of the incident optical system L and the like. Table 4 shows the respective numerical values such as the optical arrangement of the light receiving unit 8 and the like.

Figure pat00006
Figure pat00006

Figure pat00007
Figure pat00007

표 3에서, "주주사 단면 내 입사각γ"은, 주주사 단면 내에서 입사 광학계(L)로부터 출사되고 편향면(51)에 입사하는 주 광선과 결상 광학계(6)의 광축에 의해 형성되는 각도를 나타낸다. 또한, 표 4에서의 "주주사 단면 내 입사각 γ'" 및 " 부주사 단면 내 입사각 α'"은 주주사 단면 내 및 부주사 단면 내 각각에서의, 편향면(51) 에 의해 편향되고 수광 유닛(8)을 향해 지향되는 주 광선과 결상 광학계(6)의 광축에 의해 형성되는 각을 각각 나타내고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γ=γ'이며, α=-α'이다.In Table 3, "the angle of incidence within the main-scan section" represents an angle formed by the principal ray incident on the deflecting surface 51 and the optical axis of the imaging optical system 6 emitted from the incident optical system L in the main-scan section . The incident angles? '' And? '' In the main scanning section and the sub scanning section in Table 4 are deflected by the deflecting surface 51 in each of the main scanning section and the sub scanning section, And an optical axis of the imaging optical system 6, respectively. In the present embodiment,? =? 'And? = -Α'.

도 3의 좌측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입사 광학계(L)에 의해 편향 유닛(5)의 편향면(51)에 유도된 입사 광속(LL)은, 주주사 단면 내에서 편향면(51)이 특정한 편향 각을 가질 때에, 입사 광학계(L)를 향해서 편향된다. 이 경우, 입사 광학계(L)는, 부주사 단면 내에서 편향면(51)에 대하여 3°의 입사각에서 입사 광속(LL)을 사입사시키고 있기 때문에, 편향면(51)에 입사한 입사 광속(LL)은 입사 광학계(L)에 복귀되지 않고 하향으로 편향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입사 광학계(L) 및 수광 유닛(8)이 주주사 단면 내에서 동일한 입사각을 갖도록 부주사 방향으로 배치되기 때문에, 편향면(51)에 의해 편향된 광속은 동기 검출 광속(DL)으로서 수광 유닛(8)에 입사한다.3, the incident light flux LL led to the deflecting surface 51 of the deflecting unit 5 by the incidence optical system L is incident on the deflecting surface 51 in a main scanning direction Is deflected toward the incident optical system (L) when it has a deflection angle. In this case, since the incident optical system L inclines the incident light flux LL at an incident angle of 3 degrees with respect to the deflecting surface 51 in the sub-scan section, the incident optical flux L incident on the deflecting surface 51 LL are deflected downward without returning to the incident optical system L. [ In this embodiment, since the incident optical system L and the light receiving unit 8 are arranged in the sub-scan direction so as to have the same incident angle in the main-scan section, the light beam deflected by the deflecting surface 51 is detected as the synchronous detection light flux DL And enters the light receiving unit 8.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입사 광학계(L)가 사입사계이기 때문에, 입사 광학계(L)와 수광 유닛(8)을 부주사 방향으로 나란히 배치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α=3°이고 β=0°이기 때문에, 상술한 조건식 (1) 내지 (5)가 충족된다. 이에 의해, 주주사 단면 내에서, 수광 유닛(8)을 배치하기 위한 공간을 축소시킬 수 있고, 결과적으로 편향 유닛(5)의 주사 화각을 확대할 수 있으며, 결상 광학계(6)와 피주사면(7) 사이의 거리를 단축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in the present embodiment, since the incident optical system L is a line-by-line system, the incident optical system L and the light receiving unit 8 can be arranged side by side in the sub-scan direction. In the present embodiment, since? = 3 占 and? = 0 占 the above-described conditional expressions (1) to (5) are satisfied. This makes it possible to reduce the space for disposing the light receiving unit 8 within the main scanning section and consequently to enlarge the scanning angle of view of the deflection unit 5 and to reduce the size of the scanning optical system 6 and the scan surface 7 Can be shortened.

특히, 본 실시예와 같이, 주주사 단면 내에서 입사 광속(LL)이 동기 검출 광속(DL)과 정렬되는 구성에 의해, 전체 장치는 크기가 보다 충분히 축소될 수 있다. "정렬"이란 표현은 주주사 단면 내에서 입사 광속(LL) 및 동기 검출 광속(DL)의 양 주 광선 사이의 엄밀한 정렬뿐만 아니라, 양 광속이 전체 광로에 걸쳐 서로 겹치는 경우와 같은 "실질적인 정렬"도 포함한다. 그러나, 입사 광속(LL) 및 동기 검출 광속(DL)의 양자 모두의 주 광선은 서로 정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Particularly, as in the present embodiment, by arranging the incident light flux LL in the main-scan section to be aligned with the synchronism detecting light flux DL, the entire apparatus can be reduced in size more sufficiently. The expression "Alignment" refers not only to the exact alignment between the incident light flux LL and the positive light fluxes DL of the synchronous detection light flux DL in the main-scan section, but also to "substantial alignment ", such as when both light fluxes overlap each other over the entire light path . However, it is preferable that the principal rays of both the incident light flux LL and the synchronous detection light flux DL are aligned with each other.

또한, 상기 구성을 채용함으로써, 입사 광학계(L) 및 수광 유닛(8)이 결상 광학계(6)에 더 가까운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이에 의해, 피주사면(7)의 유효 영역을 광 주사하는 유효 광속과 동기 검출용의 광속(DL) 사이의 오차를 작게 할 수 있기 때문에, 동기 검출을 보다 고정밀도로 행할 수 있다. 이때, 일본 특허 공개 공보 제2007-298997호에 기재된 구성과 달리, 결상 광학계(6)를 통해 광속(DL)을 검출할 필요는 없기 때문에, 결상 광학계(6)는 크기가 축소될 수 있다.Further, by adopt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the incident optical system L and the light receiving unit 8 can be disposed closer to the imaging optical system 6. This makes it possible to reduce the error between the effective light flux for optically scanning the effective area of the scan surface 7 and the light flux DL for synchronization detection, so that the synchronization detection can be performed with higher accuracy. Unlike the configuration described in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2007-298997, it is not necessary to detect the light flux DL through the imaging optical system 6, so that the size of the imaging optical system 6 can be reduced.

본 실시예에서는, 부품 개수를 감소시키기 위해서 집광 렌즈(3)(제1 광학 소자)와 동기 검출 렌즈(81)(제2 광학 소자)가 일체적으로 성형(일체화)된다. 그러나, 이러한 렌즈는 필요한 경우 서로 분리되어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광원(1)과 센서(82)를 동일 기판 상에 장착함으로써, 부품의 개수를 삭감하면서, 이들 부재의 상대 위치 사이의 어긋남을 억제한다. 이러한 구성을 채용하는 경우, 광원(1)으로부터 편향면(51)까지의 광로 길이는 편향면(51)으로부터 동기 검출 센서(82)까지의 길이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condenser lens 3 (first optical element) and the synchronous detection lens 81 (second optical element) are integrally formed (integrated) to reduce the number of parts. However, these lenses can be arranged separately from each other if necessary.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light source 1 and the sensor 82 are mounted on the same substrate, thereby reducing the number of parts and suppressing the displacement between the relative positions of these members. The optical path length from the light source 1 to the deflecting surface 51 is substantially equal to the length from the deflecting surface 51 to the synchronism detecting sensor 82. [

본 실시예에서, 광원(1)으로부터 편향면(51)까지의 광로 길이는 47mm이기 때문에, 부주사 방향에서의 광원(1)과 동기 검출 센서(82) 사이의 이격 거리는 (47mm×sin(3°))×2=4.9mm이다. 도 3의 우측 도면에서, 광원(1)은 4mm의 직경을 갖는 원 형상을 가지며, 센서(82)는 3mm의 주주사 방향의 길이 및 4mm의 부주사 방향의 길이를 갖는 직사각형 형상을 갖는다. 따라서, 입사 광학계(L) 및 수광 유닛(8)이 주주사 단면 내에서 동일한 입사각을 갖는 경우에도, 광원(1)과 센서(82) 사이의 간섭은 발생하지 않는다.The optical path length from the light source 1 to the deflecting surface 51 is 47 mm so that the distance between the light source 1 and the synchronization detecting sensor 82 in the sub scanning direction is 47 mm x sin 3 °)) x 2 = 4.9 mm. 3, the light source 1 has a circular shape with a diameter of 4 mm, and the sensor 82 has a rectangular shape having a length in the main-scan direction of 3 mm and a length in the sub-scan direction of 4 mm. Interference does not occur between the light source 1 and the sensor 82 even when the incident optical system L and the light receiving unit 8 have the same incident angle in the main scanning section.

본 실시예에서는, 주주사 단면 내에서, 입사 광학계(L)(광원(1))로부터 편향면(51)까지의 광로 또는 편향면(51)으로부터 수광 유닛(8)(센서(82))까지의 광로에는, 광속의 주 광선을 굴절시키는 부재 또는 광속의 주 광선을 반사시키는 부재가 배치되어 있지 않다. 즉, 일본 특허 공개 공보 제2009-115943호 및 일본 특허 공개 공보 제2007-298997호에 기재되어 있는 광속 분리 소자 또는 미러가 배치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예를 들어 이들 부재의 배치 오차의 영향이 더 이상 제공되지 않고, 각 부재를 서로 간섭하지 않도록 배치하기 위한 공간은 더 이상 요구되지 않는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optical path from the incident optical system L (light source 1) to the deflecting surface 51 or the optical path from the deflecting surface 51 to the light receiving unit 8 (sensor 82) The optical path is not provided with a member for refracting the principal ray of the light beam or a member for reflecting the main ray of the light beam. That is, since the beam splitter or mirror disclosed in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2009-115943 and Japanese Patent Application Publication No. 2007-298997 are not disposed, the influence of the placement error of these members is no longer And space for arranging each member so as not to interfere with each other is no longer required.

본 실시예에 따른 광 주사 장치(200)에 의하면, 간단한 구성에 의해 고정밀도의 동기 검출 및 크기의 축소가 제공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optical scanning apparatus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highly accurate synchronization detection and size reduction can be provided by a simple configuration.

실시예Example 2 2

이하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광 주사 장치(300)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광 주사 장치(300)는, 2개의 광원으로부터 출사된 광속이 각각 서로 상이한 2개의 피주사면을 광 주사한다는 점에서 실시예 1에 따른 광 주사 장치(200)와 상이하다.Hereinafter, the optical scanning device 30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The optical scanning apparatus 3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differs from the optical scanning apparatus 2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in that the light flux emitted from the two light sources optically scans two different scan surfaces.

도 5의 좌측 도면은 본 실시예에 따른 광 주사 장치(300)의 주주사 단면을 도시한다. 도 5의 우측 도면은 입사 광학계(L1 및 L2) 및 수광 유닛(8)을 확대 방식으로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또한, 도 6은 광 주사 장치(300)의 부주사 단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5의 좌측 도면에서는, 편향면(51)으로부터 피주사면(71, 72)까지의 각 광로에서의 반사 부재(M1 내지 M3)를 생략하고, 각 광로를 전개한다. 또한, 도 5의 우측 도면에서는, 광원(11)으로부터 출사된 주 광선 이외의 광선 및 부재의 일부를 생략하고 있다.5 shows a main scanning section of the optical scanning device 3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5 schematically shows the incident optical systems L1 and L2 and the light receiving unit 8 in an enlarged manner. 6 schematically shows a sub-scan section of the optical scanning device 300. As shown in Fig. 5, the reflecting members M1 to M3 in the respective optical paths from the deflecting surface 51 to the scan surfaces 71 and 72 are omitted, and each optical path is expanded. 5, light beams other than the principal ray emitted from the light source 11 and a part of the member are omitted.

본 실시예에서, 제1 입사 광학계(L1) 및 제2의 입사 광학계(L2)는, 서로 다른 제1 피주사면(71) 및 제2의 피주사면(72)에 각각 대응하는 광속을 동일한 편향면(51)에 유도하고 있다. 제1 입사 광학계(L1)는, 광원(11), 콜리메이터 렌즈(31), 실린더 렌즈(41) 및 개구 조리개(21)를 포함한다. 제2 입사 광학계(L2)는 광원(12), 콜리메이터 렌즈(32), 실린더 렌즈(42) 및 개구 조리개(22)를 포함하고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실린더 렌즈(41, 42)가 일체화되지만, 필요한 경우 이들은 분리되어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콜리메이터 렌즈(31, 32)는 일체화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first incident optical system L1 and the second incident optical system L2 are arranged so that the light beams respectively corresponding to the first scan surface 71 and the second scan surface 72, which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51). The first incidence optical system L1 includes a light source 11, a collimator lens 31, a cylinder lens 41, and an aperture stop 21. The second incident optical system L2 includes a light source 12, a collimator lens 32, a cylinder lens 42 and an aperture diaphragm 22. In this embodiment, although the cylinder lenses 41 and 42 are integrated, they can be arranged separately if necessary. Further, the collimator lenses 31 and 32 can be integrated.

본 실시예에서, 광원(11, 12)은 반도체 레이저이다. 콜리메이터 렌즈(31, 32) 각각은 주주사 단면과 부주사 단면 내에서 동일한 굴절력을 갖는다. 콜리메이터 렌즈(31 및 32)는 광원(11, 12)으로부터 출사된 발산 광속을 주주사 단면 및 부주사 단면 내에서 평행 광속으로 변환하고 있다. 실린더 렌즈(41, 42)는 콜리메이터 렌즈(31 및 32)로부터 출사된 광속을 부주사 단면 내에서 수렴 광속으로 각각 변환하고 있다. 또한, 개구 조리개(21 및 22)는 실린더 렌즈(41 및 42)로부터 출사된 광속을 각각 규제하고 광속을 성형하고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light sources 11 and 12 are semiconductor lasers. Each of the collimator lenses 31 and 32 has the same refractive power in the main scanning section and the sub scanning section. The collimator lenses 31 and 32 convert the diverging light flux emitted from the light sources 11 and 12 into a parallel light flux in the main scanning section and the sub scanning section. The cylinder lenses 41 and 42 convert the light flux emitted from the collimator lenses 31 and 32 into a convergent light flux in the sub-scan section, respectively. The aperture stops 21 and 22 regulate the light flux emitted from the cylinder lenses 41 and 42, respectively, and form a light flux.

본 실시예에 따른 결상 광학계(6)는, 결상 광학계(6)가 편향면(51)으로부터 피주사면(71, 72)까지의 각 광로에서 제1 결상 렌즈(61) 및 제2의 결상 렌즈(62)를 포함한다는 점에서 실시예 1과 상이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 결상 렌즈(61)는 각 광로에서 일체화(공유)된다. 결상 렌즈(61, 62)는 동일한 플라스틱 재료로 형성된 아나모픽 렌즈이다. 제1 결상 렌즈(61)는, 광축 상에서, 주주사 단면 내에서는 정의 파워를 갖고, 부주사 단면 내에서는 파워를 갖지 않는다. 또한, 제2 결상 렌즈(62)는, 광축 상에서, 주주사 단면 내에서는 부의 파워를 갖고, 부주사 단면 내에서는 정의 파워를 갖는다.The imaging optical system 6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configured so that the imaging optical system 6 is arranged in the optical path from the deflecting surface 51 to the scan surfaces 71 and 72 to the first imaging lens 61 and the second imaging lens 62). In this embodiment, the first imaging lens 61 is integrated (shared) in each optical path. The imaging lenses 61 and 62 are anamorphic lenses formed of the same plastic material. The first imaging lens 61 has a positive power in the main-scan section on the optical axis and no power in the sub-scan section. Further, the second imaging lens 62 has a negative power in the main-scan section on the optical axis and a positive power in the sub-scan section.

제1 결상 렌즈(61)와 피주사면(71, 72) 사이에는, 광속을 굴곡시키고 광속을 대응하는 피주사면에 유도하는 반사 부재(M1 내지 M3)와, 분진이 광 주사 장치(300)에 진입하는 것을 방지하는 분진 방지 유리(91 및 92)가 배치된다. 각 광로에서의 반사 부재의 수 및 배치는 도 6에 도시된 것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대안적으로, 필요한 경우, 제1 결상 렌즈(61)는 2개의 부분으로 분리되어 각 광로에 배치될 수 있고, 제2 결상 렌즈(62)는 각 광로에 일체화될 수 있다.Reflecting members M1 to M3 for bending the light beam and guiding the light beam to the corresponding scan surface are provided between the first imaging lens 61 and the scan surfaces 71 and 72, Dust-preventing glasses 91 and 92 are disposed. The number and arrangement of reflecting members in each optical path are not limited to those shown in Fig. Alternatively, if necessary, the first imaging lens 61 may be separated into two parts and disposed in each optical path, and the second imaging lens 62 may be integrated into each optical path.

본 실시예에 따른 광 주사 장치(300)에서, 제1 입사 광학계(L1) 및 제2 입사 광학계(L2)로부터의 광속은 동일한 편향면(51)에서의 동일 위치에서 반사되어, 주주사 방향에서 피주사면(71, 72)에 서로 대응하는 위치에 동시에 입사된다. 즉, 광원(11) 및 광원(12)으로부터 출사된 광속에 의한 기록-개시 타이밍은 동일하다. 그러나, 필요한 경우, 광속은 편향면(51)에서의 상이한 입사 위치에 입사될 수 있거나, 각 피주사면에서의 기록-개시 타이밍은 상이할 수 있다.The light fluxes from the first incident optical system L1 and the second incident optical system L2 are reflected at the same position on the same deflecting surface 51 in the optical scanning apparatus 3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Are simultaneously incident on the slopes (71, 72)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each other. That is, the recording-start timing by the light flux emitted from the light source 11 and the light source 12 is the same. However, if necessary, the luminous flux may be incident at different incidence positions at the deflecting surface 51, or the write-start timing at each scan surface may be different.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표 5는 본 실시예에 따른 결상 광학계의 광학 배치 등의 각 수치를 나타내고, 표 6은 본 실시예에 따른 결상 렌즈의 렌즈면 형상을 나타낸다. 표 5에 나타낸 각 값은 2개의 광로에 대해 공통이다. 또한, 결상 렌즈(61 및 62)의 각각의 각 렌즈면의 형상은 실시예 1에 나타낸 것과 동일한 정의 식으로 표현된다.Table 5 shows the numerical values such as the optical arrangement of the imaging optical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and Table 6 shows the lens surface shape of the imaging lens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Each value shown in Table 5 is common to two optical paths. The shape of each lens surface of each of the imaging lenses 61 and 62 is expressed by the same definition formula as that of the first embodiment.

Figure pat00008
Figure pat00008

Figure pat00009
Figure pat00009

이어서, 본 실시예에 따른 입사 광학계(L1 및 L2) 및 수광 유닛(8)의 구성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7은, 입사 광학계(L1 및 L2) 및 수광 유닛(8)의 주요부 개략도이다. 도 7의 좌측 도면은 부주사 단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7의 우측 도면은 광원과 광전 변환 소자를 포함하는 모듈의 정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표 7은 입사 광학계(L1 및 L2)의 광학 배치 등의 각 수치를 나타내고, 표 8은 수광 유닛(8)의 광학 배치 등의 각 수치를 나타낸다. 표 7에 나타낸 각 값은 각 단면 내에서의 입사각 이외에 대해서는 입사 광학계(L1 및 L2)에 대해 공통이다.Next, the configurations of the incident optical systems L1 and L2 and the light receiving unit 8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Fig. 7 is a schematic view of essential parts of the incident optical systems L1 and L2 and the light receiving unit 8. Fig. The left side view of Fig. 7 schematically shows a sub-scan section. 7 schematically shows a front view of a module including a light source and a photoelectric conversion element. Table 7 shows the numerical values such as the optical arrangement of the incident optical systems L1 and L2, and Table 8 shows the respective numerical values such as the optical arrangement of the light receiving unit 8, as in the first embodiment. The values shown in Table 7 are common to the incident optical systems L1 and L2 except for the incident angle in each cross section.

Figure pat00010
Figure pat00010

Figure pat00011
Figure pat00011

본 실시예에 따른 입사 광학계(L1 및 L2)는, 부주사 단면 내에서 편향면(51)에 대하여 ±2.2°의 입사각에서 광속을 각각 사입사시키고 있다. 이에 의해, 입사 광학계(L1 및 L2)로부터 출사된 광속은 서로 분리되고, 광속은 서로 다른 피주사면(71, 72)을 각각 광 주사한다. 이때, 본 실시예와 같이, 입사 광학계(L1 및 L2)의 부주사 단면내에서의 입사각의 절대값이 서와 동일한 구성에 의해, 각 광로에서 동일한 광학 부재가 채용될 수 있다. 또한, 입사 광학계(L1 및 L2)는 주주사 단면 내에서는 편향면(51)에 대하여 78° 및 84°에서 광속을 사입사시키고 있다.The incident optical systems L1 and L2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respectively incident on the deflecting surface 51 in the sub-scan section at an incident angle of ± 2.2 degrees. As a result, the light beams emitted from the incident optical systems L1 and L2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and the light beam optically scans the different scan surfaces 71 and 72, respectively. At this time, the same optical member can be employed in each optical path by the same configuration as in this embodiment, in which the absolute values of the incident angles in the sub-scan section of the incident optical systems L1 and L2 are the same. In addition, the incident optical systems L1 and L2 allow the light beam to be incident on the deflecting surface 51 at 78 degrees and 84 degrees in the main-scan section.

이와 같이, 입사 광학계(L1 및 L2)를 주주사 단면 내에서 상이한 입사각을 갖도록 배치함으로써,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광원(11)과 광원(12) 사이의 간섭을 피하면서, 부주사 방향에서의 거리를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이 구성에 의하면, 입사 광학계(L1 및 L2의 부주사 단면 내의 입사각을 최소화할 수 있다. 편향 유닛(5)의 각 편향면의 편심 및 기울어짐에 편차가 발생하는 경우에도, 피주사면 상에서 주사선의 피치 변화가 발생하는 것이 방지될 수 잇다.By arranging the incident optical systems L1 and L2 so as to have different incidence angles in the main scanning direction as described above, interference between the light source 11 and the light source 12 is avoided, Can be reduced. 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it is possible to minimize the angle of incidence in the sub-scan section of the incident optical system L1 and L2. Even if deviation occurs in the eccentricity and inclination of each deflecting surface of the deflecting unit 5, The change in the pitch of the scanning lines can be prevented from occurring.

도 5의 우측 도면 및 도 7의 좌측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입사 광학계(L1)에 의해 편향 유닛(5)의 편향면(51)에 유도된 광속(LL1)은 소정 편향 각에서 광속(DL)으로서 수광 유닛(8)에 입사한다. 이때, 입사 광학계(L1)는 부주사 단면 내에서 사입사계이기 때문에, 입사 광학계(L1)와 수광 유닛(8)은 근접하여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서는, α=2.2° 및 β=1.5°이기 때문에, 상술한 조건식 (1) 내지 (5)를 충족하고 있다. 이에 의해, 주주사 단면 내에서, 수광 유닛(8)을 배치하기 위한 공간이 축소될 수 있다.The light beam LL1 guided to the deflecting surface 51 of the deflection unit 5 by the incident optical system L1 is deflected by the light beam DL at a predetermined deflection angle as shown in the right- To be incident on the light receiving unit 8. At this time, since the incident optical system L1 is a quadrature system in the sub-scan section, the incident optical system L1 and the light receiving unit 8 can be arranged close to each other. Specifically, in the present embodiment, since? = 2.2 占 and? = 1.5 占, the above-described conditional expressions (1) to (5) are satisfied. Thus, the space for disposing the light-receiving unit 8 within the main-scan section can be reduced.

또한, 본 실시예에서, 입사 광학계(L1)의 주주사 단면 내 입사각은 78°이고, 수광 유닛(8)의 주주사 단면 내의 입사각은 76.5°이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센서(82)는 광원(11)에 대해 주사 하류측(편향 유닛(5)의 회전 방향 하류측)에 배치된다. 이에 의해, 센서(82)를 광원(11)의 상류 측에 배치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피주사면 상에서의 주주사 방향에서의 기록-개시 위치에 더 가까운 위치에서 동기 검출이 행해질 수 있기 때문에, 검출 오차를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편향면(51)에 의해 광속(DL)이 차단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incidence angle in the main-scan section of the incidence optical system L1 is 78 占 and the incidence angle in the main-scan section of the light receiving unit 8 is 76.5 占. As shown in Fig. 5, the sensor 82 is disposed on the downstream side of the scanning (the downstream side in the rotating direction of the deflection unit 5) with respect to the light source 11. This makes it possible to perform synchronization detection at a position closer to the recording-start position in the main scanning direction on the surface to be scanned, as compared with the case where the sensor 82 is disposed on the upstream side of the light source 11, Can be reduced. Further,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light beam DL from being blocked by the deflecting surface 51.

본 실시예에서, 광원(11)으로부터 편향면(51)까지의 광로 길이는 166mm이다. 따라서, 광원(11) 및 동기 검출 센서(82)의 중심들 사이의 부주사 방향에서의 이격 거리는 √(((166mm×sin(2.2°))×2)2 + (166mm×sin(1.5°)2))=13.5mm가 된다. 광원(11) 및 센서(82)의 크기는 실시예 1의 것과 동일하기 때문에, 도 7의 우측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광원(12)과 센서(82) 사이의 간섭은 발생하지 않는다.In this embodiment, the optical path length from the light source 11 to the deflecting surface 51 is 166 mm. Therefore, the separation distance in the sub-scan direction between the centers of the light source 11 and the synchronization detecting sensor 82 is? (((166 mm x sin (2.2)) 2) 2 + (166 mm x sin 2 )) = 13.5 mm. Since the sizes of the light source 11 and the sensor 82 are the same as those of the first embodiment, no interference occurs between the light source 12 and the sensor 82, as shown in the right drawing of Fig.

필요한 경우,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입사 광학계(L2) 및 수광 유닛(8)이 주주사 단면 내에서 동일한 입사각을 갖도록, 광원(12) 및 센서(82)을 부주사 방향에서 나란히 배치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부품의 개수를 감소시키기 위해서, 실린더 렌즈(41 및 42) 및 동기 검출 렌즈(81)를 일체적으로 형성하고 있지만, 필요한 경우 이들 부재를 분리하여 배치할 수 있다.The light source 12 and the sensor 82 can be arranged side by side in the sub scanning direction so that the incident optical system L2 and the light receiving unit 8 have the same incident angle in the main scanning section in the same manner as in the first embodiment.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cylinder lenses 41 and 42 and the synchronism detecting lens 81 are integrally formed to reduce the number of parts, but these members can be separately arranged if necessary.

본 실시예에서는, 수광 유닛(8)이 광원(11)으로부터의 광속을 수광할 때에 생성되는 동기 신호에 기초하여 제1 피주사면(71) 및 제2의 피주사면(72)의 각각에서의 기록-개시 타이밍을 결정하지만,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예를 들어, 수광 유닛(8)이 광원(12)으로부터의 광속을 수광할 때 생성되는 동기 신호에 기초하여, 각 피주사면에서의 기록-개시 타이밍을 결정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수광 유닛(8)이 광원(11) 및 광원(12)으로부터의 광속을 수광할 때 생성되는 각각의 동기 신호에 기초하여, 대응하는 피주사면에서의 기록-개시 타이밍을 결정할 수 있다.The recording on each of the first scan surface 71 and the second scan surface 72 is performed on the basis of the synchronization signal generated when the light receiving unit 8 receives the light flux from the light source 11. In this embodiment, - Determines the start timing, but is not limited to this. For example, the recording-start timing at each surface to be scanned can be determined based on the synchronization signal generated when the light-receiving unit 8 receives the light flux from the light source 12. [ Alternatively, the write-start timing at the corresponding scan surface can be determined based on the respective synchronization signals generated when the light-receiving unit 8 receives the light beams from the light source 11 and the light source 12 .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광 주사 장치(300)에서, 도 5의 좌측 도면 및 도 6에 나타낸 편향 유닛(5) 이외의 각 부재의 다른 세트를 편향 유닛(5)에 대하여 반대 측에 배치할 수 있다(대향 배치). 이에 의해, 하나의 편향면(51)이 2개의 피주사면을 광 주사하고 동시에 다른 편향면이 다른 2개의 피주사면을 광 주사하는, 탠덤형 광 주사 장치를 구성할 수 있다. 이때, 수광 유닛(8)이 4개의 광원 중 적어도 1개로부터의 광속을 수광할 때 생성되는 동기 신호에 기초하여, 4개의 피주사면의 기록-개시 타이밍을 결정할 수 있다.In the optical scanning apparatus 3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another set of the members other than the deflection unit 5 shown in the left drawing of Fig. 5 and the deflection unit 5 shown in Fig. 6 is disposed on the side opposite to the deflection unit 5 (Opposing arrangement). Thereby, a tandem-type optical scanning device can be configured in which one deflecting surface 51 optically scans two scanned surfaces and optically scans two scanned surfaces different in different deflecting surfaces. At this time, the recording-start timing of the four scan surfaces can be determined based on the synchronization signal generated when the light-receiving unit 8 receives the light flux from at least one of the four light sources.

이어서,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따른 광 주사 장치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8은, 본 실시형태에 따른 광 주사 장치(700)의 주요부 개략도(주주사 단면도)이다. 또한, 도 9는 광 주사 장치(700)에 포함된 입사 광학계(L)의 주요부의 개략도(부주사 단면도)이다. 도 9에서는, 입사 광학계(L)의 광축 방향이 도 8에서의 결상 광학계(6)의 광축 방향(X 방향)과 정렬되도록 광로를 전개한다. 도 9는 마지널 광선을 생략하면서 광속의 주 광선만을 나타내고 있다.Next, an optical scanning apparatus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8 is a schematic diagram (main scanning sectional view) of an optical scanning apparatus 7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9 is a schematic view (sub-scan sectional view) of the main part of the incidence optical system L included in the optical scanning device 700. As shown in Fig. 9, the optical path is expanded so that the optical axis direction of the incident optical system L is aligned with the optical axis direction (X direction) of the imaging optical system 6 in Fig. 9 shows only the principal ray of the light flux while omitting the marginal ray.

본 실시형태에 따른 광 주사 장치(700)는, 광원(1)과, 광원(1) 로부터 출사되는 광속을 편향시켜서 피주사면(7)을 주주사 방향(화살표 B에 의해 나타낸 방향)에 광 주사하는 편향 유닛(5)과, 광원(1)으로부터의 광속을 편향 유닛(5)의 편향면(51)에 유도하는 입사 광학계(L)를 포함한다. 입사 광학계(L)는, 주주사 단면 내(XY 단면 내)에서는, 광원(1)으로부터의 광속을 피주사 영역(피주사면(7)을 광 주사하는 주사 광속이 통과하는 영역)의 외측으로부터 편향면(51)에 입사시키고 있다.The optical scanning device 7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light source 1 and a light source 1 that deflects the light beam emitted from the light source 1 and optically scans the scan surface 7 in the main scanning direction A deflection unit 5 and an incidence optical system L for guiding the light flux from the light source 1 to the deflecting surface 51 of the deflection unit 5. [ The incident optical system L has a function of moving the light flux from the light source 1 from the outside of the to-be-scanned region (the region through which the scanning light beam optically scanning the scanning surface 7 passes) within the main scanning cross- (Not shown).

또한, 본 실시형태에 따른 입사 광학계(L)는, 부주사 단면 내(ZX 단면 내)에서는, 광원(1)으로부터의 광속을 편향면(51)에 사입사(주주사 단면에 대하여 비스듬히 입사)시키는 사입사계이다. 이에 의해, 편향면(51)에 의해 편향된 광속이 광원(1)에 되돌아 오는 것을 회피할 수 있다.The incident optical system L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allows the light beam from the light source 1 to be incident on the deflecting surface 51 (obliquely incident on the main-scan section) in the sub-scan section It is the input season. Thus, the light beam deflected by the deflecting surface 51 can be prevented from returning to the light source 1.

따라서, 편향면(51)에 의해 편향된 광속이 주주사 단면 내에서 광원(1)에 정면으로 대향하는 타이밍, 즉, 주주사 단면 내에서 입사 광학계(L)로부터의 광속이 편향면(51)에 수직입사(정규입사)하기 전 및 후의 타이밍에도, 광원(1)이 광을 출사할 수 있다. 그 타이밍에 광원(1)으로부터 출사되는 광속을 광 검출 유닛(수광 유닛)(15)이 수광하기 때문에, 광 검출 유닛(15)으로부터 출력된 검출 신호에 기초하여 광량 제어를 행할 수 있다.The light beam deflected by the deflecting surface 51 is directed to the light source 1 in the main scanning direction at the timing when the light beam from the incident optical system L enters the deflecting surface 51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deflecting surface 51, The light source 1 can emit light even at the timing before and after the normal incidence (normal incidence). Since the light detecting unit (light receiving unit) 15 receives the light flux emitted from the light source 1 at that timing, the light amount control can be performed based on the detection signal output from the light detecting unit 15. [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광 주사 장치(700)에 의하면, 관련 기술의 구성에서는 편향면에 의해 반사된 광속이 광원에 되돌아 오는 타이밍에도 광원(1)이 광을 출사하기 때문에, 광량의 검출 및 제어에 요구되는 시간이 충분히 확보될 수 있고, 고정밀도의 광량 제어를 행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optical scanning apparatus 700, since the light source 1 emits light at the timing when the light flux reflected by the deflecting surface returns to the light source in the structure of the related art, The time required for the light amount control can be sufficiently secured, and the light amount control can be performed with high accuracy.

실시예Example 3 3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따른 광 주사 장치(700)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광 주사 장치(700)는 상술한 실시형태에 따른 구성과 동일한 구성을 갖는다.Hereinafter, the optical scanning device 700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The optical scanning device 7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has the same configuration as the configuration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본 실시예에 따른 광원(1)은 단부면 발광형 레이저로서의 반도체 레이저이다. 광원(1)은 편향 유닛(5)을 향해서 프론트 광속을 출사하고 동시에 기판의 이측으로부터 편향 유닛(5)의 반대측을 향해서 리어 광속을 출사하고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프론트 광속을 주사 광속(피주사면(7)을 광 주사하여 상을 형성하기 위한 광속)으로서 사용하고, 리어 광속을 광량 제어를 위한 검출 광속으로서 사용하고 있다.The light source 1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a semiconductor laser as an end surface emission type laser. The light source 1 emits the front luminous flux toward the deflecting unit 5 and simultaneously emits the rear luminous flux from the side of the substrate toward the side opposite to the deflecting unit 5. [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front luminous flux is used as a scanning luminous flux (luminous flux for optically scanning the scan surface 7 to form an image), and the rear luminous flux is used as a detection luminous flux for controlling the amount of light.

본 실시예에 따른 입사 광학계(L)의 광학 배치 등의 각 수치는 실시예 1에 따른 표 3에 나타낸 것과 마찬가지이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결상 광학계(6)의 광학 배치 등의 각 수치, 및 결상 렌즈의 각 렌즈면의 형상 데이터는, 실시예 1에 따른 표 1 및 표 2에 나타낸 것과 마찬가지이다.The numerical values such as the optical arrangement of the incident optical system L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are the same as those shown in Table 3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The numerical values such as the optical arrangement of the imaging optical system 6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and the shape data of each lens surface of the imaging lens are the same as those shown in Tables 1 and 2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본 실시예에 따른 광 주사 장치(700)에서의 광량 제어에 대해서 이하에서 상세하게 설명한다.The light amount control in the optical scanning device 7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elow.

광 주사 장치(700)는, 광원(1)으로부터 출사된 광속을 광 검출 유닛(15)에 의해 검출하고, 얻어진 검출 신호를 광원(1)의 구동 회로에 피드백함으로써, 광원(1)으로부터 출사되는 광속의 강도를 자동 제어하는 방법(자동 파워 제어(automatic power control), APC)을 채용하고 있다. 이에 의해, 광원(1)의 출력(발광량)이 항상 설계값과 동등해지도록 제어될 수 있기 때문에, 온도 변화에 관계없이 화상 형성을 안정적으로 행할 수 있다.The optical scanning device 700 detects the light flux emitted from the light source 1 by detecting the light flux emitted from the light source 1 by the light detection unit 15 and feeding the obtained detection signal to the drive circuit of the light source 1 A method of automatically controlling the intensity of the light beam (automatic power control, APC) is adopted. Thus, the output (amount of light emission) of the light source 1 can be controlled so as to be always equal to the design value, so that image formation can be performed stably regardless of the temperature change.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광원(1)으로서 단부면 발광형 레이저를 사용하고, 단부면 발광형 레이저의 레이저 패키지 내에 배치된 광 검출 유닛(15)으로서의 역할을 하는 포토디텍터(광량 검출 소자)가 레이저 기판의 이측으로부터 출사되는 리어 광속을 검출한다. 그리고, 광 검출 유닛(15)으로부터 출력되는 검출 신호에 기초하여, 광량 제어 유닛(APC 유닛)(13)이 광량 제어를 행하고 있다. 광량 제어 유닛(13)은 CPU 또는 MPU와 같은 프로세서를 채용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end surface emission type laser is used as the light source 1, and a photodetector (serving as the photodetector 15) serving as the photodetection unit 15 disposed in the laser package of the end surface emission type laser Element) detects the rear light flux emitted from this side of the laser substrate. Based on the detection signal output from the photodetection unit 15, the light quantity control unit (APC unit) 13 performs light quantity control. The light quantity control unit 13 may employ a processor such as a CPU or MPU.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광원(1)으로부터 출사되고 편향면(51)에 입사하는 입사 광속(프론트 광속)(LL)은, 주주사 단면 내에서 편향면(51)이 특정한 편향 각에 있을 때에, 입사 광학계(L) 측을 향해서 편향된다. 이 경우, 입사 광학계(L)는, 부주사 단면 내에서 편향면(51)에 대하여 3°의 입사각에서 입사 광속(LL)을 사입사시키고 있기 때문에, 편향면(51)에 의해 편향된 편향 광속(DL)은 입사 광학계(L)에 복귀되지 않고 하향으로 편향되고, 차광부(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차광된다.9, the incident light flux (front light flux) LL emitted from the light source 1 and incident on the deflecting surface 51 is reflected by the deflecting surface 51 in a main scanning direction when the deflecting surface 51 is at a specific deflection angle , And is deflected toward the incidence optical system (L) side. In this case, since the incident optical system L projects the incident light beam LL at an incident angle of 3 degrees with respect to the deflecting surface 51 in the sub-scan section, the incident optical system L deflects the deflected light beam deflected by the deflecting surface 51 DL are deflected downward without returning to the incident optical system L, and are shielded by a shielding portion (not shown).

위에서 기술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입사 광학계(L)가 사입사계이기 때문에, 편향 광속(DL)이 광원(1)에 되돌아 와서 광량 제어의 정밀도가 저하되는 형상을 회피할 수 있다. 따라서, 주주사 단면 내에서 입사 광속(LL)이 편향면(51)에 수직입사하기 전 및 후의 타이밍, 즉, 입사 광속(LL) 및 편향 광속(DL)(입사 광학계(L)의 광축 및 편향면(51)의 면 법선)이 서로 겹치기 전 및 후의 타이밍에도, 광원(1)이 광을 출사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in the present embodiment, since the incident optical system L is a projection system, it is possible to avoid a shape in which the deflected light flux DL returns to the light source 1 and the accuracy of light amount control is lowered. The incident light flux LL and the deflected light flux DL (the optical axis of the incident optical system L and the deflecting surface of the deflecting surface 51) before and after the incident light flux LL enters the deflecting surface 51 in the main- The light source 1 can emit light even at the timing before and after the surface normals of the light source 51 overlap each other.

도 10은, 광원의 발광 타이밍을 나타내는 타이밍 차트이다. 도 10의 상위 도면은 비교예에 따른 타이밍 차트를 나타낸다. 도 10의 하위 도면은 본 실시예에 따른 타이밍 차트를 나타내고 있다. 비교예에서는, 사입사계가 아닌 입사 광학계를 포함하는 종래 기술의 광 주사 장치에서 광량 제어를 행하는 경우를 상정하고 있다.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광량 제어는, 피주사면에서의 피주사 영역(유효 주사 영역)에 광속이 도달하기 전에 행할 필요가 있다. 이는, 광속이 피주사 영역을 통과하고 있는 동안에 광량 제어를 행하면, 광량의 변화에 따라 형성 화상의 농도가 불균일해질 수 있기 때문이다.10 is a timing chart showing light emission timings of the light sources. 10 is a timing chart according to a comparative example. 10 is a timing chart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 the comparative example, it is assumed that the light amount control is performed in the optical scanning device of the prior art including an incidence optical system other than a projection optical system. As shown in Fig. 10, the light amount control needs to be performed before the light beam reaches the scanned area (effective scanning area) on the scan surface. This is because, when the light amount control is performed while the light flux is passing through the scanned area, the density of the formed image may become non-uniform as the light amount changes.

비교예에서는, 도 10의 상위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편향면에 의해 반사된 광속이 광원에 되돌아오는 타이밍(편향면에 광속이 수직입사하기 전 및 후의 타이밍)에서는, 광원의 발광을 정지할 필요가 있다. 광량의 검출 및 제어의 시간을 충분히 확보할 수 없고, 또한, 그 타이밍의 전 및 후에 광량의 검출 및 제어의 시간이 분할되되고 불연속적이 된다. 따라서, 고정밀도의 광량 제어를 행하는 것이 곤란해진다.In the comparative example, as shown in the upper drawing of Fig. 10, at the timing when the light beam reflected by the deflecting surface returns to the light source (before and after the light beam is normally incident on the deflecting surface), the light emission of the light source is stopped There is a need. The time for detection and control of the amount of light can not be sufficiently secured and the time for detection and control of the amount of light before and after the timing is also divided and discontinuous. Therefore, it is difficult to control the light amount with high accuracy.

대조적으로, 도 10의 하위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편향면에 광속이 수직입사하는 타이밍에도 광원이 광을 출사할 수 있다. 따라서, 편향면에 광속이 수직입사하는 타이밍의 전 및 후에 충분한 시간 동안 광량의 검출 및 제어를 연속적으로 행할 수 있다.In contrast, as shown in the lower drawing of Fig. 10, the light source can emit light even at the timing at which the light beam is vertically incident on the deflecting surface. Therefore, detection and control of the amount of light can be continuously performed before and after the timing at which the light beam normally enters the deflecting surface for a sufficient time.

실시예Example 4 4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 4에 따른 광 주사 장치(800)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광 주사 장치(800)는, 광 주사 장치(800)가 동기 검출 유닛(8')을 포함하고 따라서 광량 제어 및 동기 검출을 동시에 행할 수 있다는 점에서, 실시예 3에 따른 광 주사 장치(700)와 상이하다. 도 11은, 광 주사 장치(800)에 포함된 입사 광학계(L) 및 동기 검출 유닛(8')의 주요부를 도시하는 개략도를 제공한다. 도 11의 상위 도면은 부주사 단면도를 나타내고, 도 11의 하위 도면은 정면도를 나타낸다. 광 주사 장치(800)는 동기 검출 유닛(8') 이외에 대해서는 광 주사 장치(700)의 구성과 마찬가지인 구성을 갖는다.Hereinafter, the optical scanning device 800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The optical scanning device 8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different from the optical scanning device 800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in that the optical scanning device 800 includes the synchronization detection unit 8 ' And is different from the scanning device 700. Fig. 11 provide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the main parts of the incidence optical system L and the synchronization detecting unit 8 'included in the optical scanning apparatus 800. Fig. 11 is a sub-scan sectional view, and the sub-drawing of Fig. 11 is a front view. The optical scanning apparatus 800 has a configuration similar to that of the optical scanning apparatus 700 except for the synchronization detecting unit 8 '.

동기 검출 유닛(8')은, 편향면(51)에 의해 편향된 편향 광속(DL)을 유도 및 집광하는 동기 검출 렌즈(동기 검출 광학 소자)(81), 및 동기 검출 렌즈(81)로부터의 광속을 수광하고 동기 신호를 생성하는 동기 검출 센서(동기 검출 수광 소자)(82)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동기 검출 센서(82)로부터 출력된 동기 신호에 기초하여, 동기 제어 유닛(14)이 피주사면(7)에서의 주주사 방향의 기록-개시 위치를 결정한다.The synchronous detection unit 8 'includes a synchronous detection lens (synchronous detection optical element) 81 for guiding and condensing the deflected light beam DL deflected by the deflecting surface 51, (Synchronous detection light receiving element) 82 for receiving a light beam and generating a synchronizing signal.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synchronization control unit 14 determines the recording-start position in the main scan direction on the scan surface 7 based on the synchronization signal output from the synchronization detection sensor 82. [

도 11의 상위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부품 개수를 감소시키기 위해서 집광 렌즈(3)(제1 광학 소자)와 동기 검출 렌즈(81)(제2 광학 소자)를 일체적으로 형성(일체화)한다. 그러나, 필요한 경우 이들 렌즈는 서로 분리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광원(1)과 동기 검출 센서(82)를 동일 기판 상에 장착함으로써, 부품 개수를 삭감하면서 이들 부재의 상대 위치 사이의 어긋남을 억제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동기 검출 유닛(8')의 광학 배치 등의 각 수치는 실시예 1에 따른 표 4에 나타낸 것과 마찬가지이다.11, in the present embodiment, in order to reduce the number of parts, the converging lens 3 (first optical element) and the synchronism detecting lens 81 (second optical element) are integrally (Integrated). However, if necessary, these lenses can be separated from each other. In this embodiment, the light source 1 and the synchronization detecting sensor 82 are mounted on the same substrate, thereby reducing the number of components and suppressing the deviation between the relative positions of these members. The respective numerical values such as the optical arrangement of the synchronization detecting unit 8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are the same as those shown in Table 4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도 11의 상위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원(1)으로부터 출사되고 편향면(51)에 입사하는 입사 광속(LL)은 소정 편향 각도에서 입사 광학계(L)의 하방으로 편향된다. 그리고, 도 11의 하위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입사 광학계(L) 및 동기 검출 유닛(8')이 부주사 단면 내에서 동일한 입사각을 갖도록 부주사 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된다. 따라서, 편향된 광속(DL)이 동기 검출 유닛(8')에 입사한다.The incident light flux LL emitted from the light source 1 and incident on the deflecting surface 51 is deflected downward of the incident optical system L at a predetermined deflection angle as shown in the upper diagram of Fig. 11, the incident optical system L and the synchronization detecting unit 8 'are arranged side by side in the sub-scanning direction so as to have the same incident angle in the sub-scan section, as shown in the sub-drawing of Fig. Therefore, the deflected light flux DL is incident on the synchronous detection unit 8 '.

위에서 기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하면, 광원(1)으로부터 출사된 리어 광속을 사용한 광량 제어와 동시에, 광원(1)으로부터 출사된 프론트 광속을 사용한 동기 검출을 행할 수 있다. 이때, 입사 광학계(L)는 사입사계이기 때문에, 주주사 단면 내에서 입사 광속(LL)이 편향면(51)에 수직입사하기 전 및 후의 타이밍에도, 광량 제어 및 동기 검출을 행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synchronous detection using the front luminous flux emitted from the light source 1 can be performed simultaneously with the light amount control using the rear luminous flux emitted from the light source 1. At this time, since the incident optical system L is a line-by-line system, light amount control and synchronization detection can be performed before and after the incident light beam LL enters the deflecting surface 51 in the main-scan section perpendicularly.

또한, 입사 광학계(L)와 동기 검출 유닛(8')을 부주사 방향으로 나란히 배열하기 때문에, 주주사 단면 내에서 동기 검출 유닛(8')을 배치하기 위한 공간을 감소시킬 수 있다. 결과적으로, 편향 유닛(5)의 주사 화각을 증대할 수 있다. 결상 광학계(6)와 피주사면(7) 사이의 거리를 단축할 수 있고, 전체 장치의 크기를 축소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구성에 의해, 입사 광학계(L) 및 동기 검출 유닛(8')을 보다 결상 광학계(6)에 더 가까운 위치에 배치할 수 있기 때문에, 주사 광속과 편향 광속(DL) 사이의 오차를 감소시킬 수 있고, 동기 검출을 고정밀도로 행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incident optical system L and the synchronization detecting unit 8 'are arranged side by side in the sub-scan direction, the space for disposing the synchronization detecting unit 8' within the main scanning section can be reduced. As a result, the scanning angle of view of the deflection unit 5 can be increased. The distance between the imaging optical system 6 and the scan surface 7 can be shortened and the size of the entire apparatus can be reduced. Further, since the incident optical system L and the synchronous detection unit 8 'can be disposed closer to the imaging optical system 6, the error between the scanning light beam and the deflected light beam DL And synchronization detection can be performed with high accuracy.

전체 장치의 크기를 충분히 축소시키기 위해서, 본 실시예와 같이, 주주사 단면 내에서 광원(1)이 동기 검출 센서(82)와 겹치는 것이 바람직한데, 즉 입사 광속(LL)이 편향 광속(DL)과 겹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정렬"이라는 표현은 주주사 단면 내에서 입사 광속(LL) 및 편향 광속(DL)의 양 주 광선 사이의 엄밀한 정렬뿐만 아니라, 양 광속이 전체 광로에 걸쳐 서로 겹칠 때와 같은 "실질적인 정렬"도 포함한다. 그러나, 구성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필요한 경우 광원(1)과 동기 검출 센서(82)가 주주사 단면 내에서 서로 어긋나서 배치될 수 있다.It is preferable that the light source 1 overlaps with the synchronization detecting sensor 82 within the main scanning section as in the present embodiment in order to sufficiently reduce the size of the entire apparatus. Namely, it is preferable that the incident light flux LL is the deflected light flux DL Overlapping. The expression "alignment" also includes not only a strict alignment between the incident light flux LL and the positive light flux DL in the main-scan section but also a "substantial alignment ", such as when both light fluxes overlap each other over the entire light path, . However, the configuration is not limited to this, and if necessary, the light source 1 and the synchronization detecting sensor 82 may be arranged so as to be offset from each other in the main scanning section.

실시예Example 5 5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 5에 따른 광 주사 장치(900)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광 주사 장치(900)는, 광 주사 장치(900)가 광원(16)으로서 면 발광형 레이저를 채용하고, 광 분리 소자(9)에 의해 분리된 광속을 사용하여 광량 제어를 행하는 점에서, 실시예 3에 따른 광 주사 장치(700)와 상이하다. 도 12는, 본 실시예에 따른 광 주사 장치(900)의 주요부의 개략도(주주사 단면도)이다. 도 13은, 광 주사 장치(900)에 포함된 입사 광학계(L)의 주요부의 개략도(부주사 단면도)이다.Hereinafter, the optical scanning device 900 according to the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The optical scanning apparatus 9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configured such that the optical scanning apparatus 900 employs a surface emitting type laser as the light source 16 and controls the light amount by using the light flux separated by the optical separation element 9 Which is different from the optical scanning device 700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12 is a schematic diagram (main scanning sectional view) of the main part of the optical scanning device 9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13 is a schematic view (sub-scan sectional view) of a main portion of an incident optical system L included in the optical scanning device 900. As shown in Fig.

면 발광형 레이저가 광원(16)으로서 사용되는 경우, 단부면 발광형 레이저와 달리 기판의 이측으로부터 리어 광속이 출사되지 않는다. 광량 제어를 행하기 위해서, 필요한 경우, 면 발광형 레이저로부터 편향면(51)을 향해서 출사된 광속을 분리하여 검출할 필요가 있다. 이로 인해, 본 실시예에서는, 집광 렌즈(3)와 편향면(51) 사이의 광로에 광 분리 소자(9)로서의 역할을 하는 하프 미러를 배치하여, 광원(16)으로부터의 광속을 편향면(51)을 향해 지향되는 광속(투과 광속)과 광 검출 유닛(15)을 향해 지향되는 광속(반사 광속)으로 분리하고 있다. 이에 의해, 광 검출 유닛(15)은 항상 광량을 검출할 수 있기 때문에, 고정밀도의 광량 제어를 행할 수 있다.When the surface emitting type laser is used as the light source 16, unlike the end surface emitting type laser, the rear light beam is not emitted from the side of the substrate. It is necessary to separate and detect the light flux emitted from the surface emitting type laser toward the deflecting surface 51 in order to control the light amount. The half mirror serving as the optical splitter 9 is disposed in the optical path between the condenser lens 3 and the deflecting surface 51 so that the light flux from the light source 16 is directed to the deflecting surface 51 and the light flux (reflected light flux) directed toward the photodetection unit 15. The light flux (transmitted light flux) Thereby, since the light detecting unit 15 can always detect the light amount,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light amount with high accuracy.

본 실시예에서는, 광 분리 소자(9)로부터의 반사 광속을 광 검출 유닛(15)의 수광면에 집광하기 위한 집광 렌즈(3')를 제공하고 있지만, 필요한 경우, 집광 렌즈(3)와 집광 렌즈(3')를 일체적으로 형성할 수 있다. 또한, 광 분리 소자(9)는, 하프 미러에 한하지 않고, 필요한 경우, 예를 들어 투과 광속 및 반사 광속의 상이한 강도에 대응하는 빔 스플리터 또는 입사면과 출사면이 비평행인 쐐기 형상 프리즘(쐐기 프리즘)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실시예 4와 마찬가지로, 광원(1) 및 광 검출 유닛(15)이 장착되어 있는 기판 상에 동기 검출 센서를 제공함으로써, 광량 제어 및 동기 검출을 동시에 행할 수 있다.The condensing lens 3 'for condensing the reflected light flux from the optical splitter 9 on the light receiving surface of the light detecting unit 15 is provided in this embodiment, The lens 3 'can be integrally formed. The optical separation element 9 is not limited to the half mirror but may be a wedge-shaped prism, for example, a beam splitter corresponding to a different intensity of a transmitted light flux and a reflected light flux, or a wedge- Prism) can be used. In this embodiment, similarly to the fourth embodiment, by providing the synchronization detection sensor on the substrate on which the light source 1 and the light detection unit 15 are mounted, the light amount control and the synchronization detection can be performed at the same time.

화상 형성 장치The image forming apparatus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600)의 주요부의 개략도(ZX 단면도)이다. 화상 형성 장치(600)는, 광 주사 장치(500)에 의해 4개의 감광 드럼(감광 부재)의 감광면(피주사면)에 동시에 화상 정보를 기록하는, 탠덤 타입 컬러 화상 형성 장치이다.Fig. 14 is a schematic view (ZX cross-sectional view) of a main part of the image forming apparatus 6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mage forming apparatus 600 is a tandem type color image forming apparatus that simultaneously records image information on the photosensitive surface (scanning surface) of four photosensitive drums (photosensitive members) by the optical scanning apparatus 500. [

화상 형성 장치(600)는, 프린터 제어부(530)와, 광 주사 장치(500)와, 상 담지 부재로서의 역할을 하는 감광 드럼(210, 220, 230, 및 240)과, 현상 유닛(310, 320, 330, 및 340)과, 반송 벨트(510)와, 정착 유닛(540)을 포함한다. 광 주사 장치(500)는, 실시예 1에 따른 4개의 광 주사 장치를 포함할 수 있거나, 실시예 2에 따른 2개의 광 주사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광 주사 장치(500)는, 주주사 방향이 도 14의 Y축 방향과 정렬되고, 부주사 방향이 감광 드럼(210 내지 240)의 회전 방향(원주 방향)과 정렬되도록 배치된다.The image forming apparatus 600 includes a printer control unit 530, an optical scanning apparatus 500, photosensitive drums 210, 220, 230 and 240 serving as image bearing members, developing units 310 and 320 , 330, and 340, a transport belt 510, and a fusing unit 540. The optical scanning apparatus 500 may include four optical scanning apparatuses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r may include two optical scanning apparatuses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At this time, the optical scanning device 500 is arranged so that the main scanning direction is aligned with the Y-axis direction in FIG. 14, and the sub-scanning direction is aligned with the rotational direction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photosensitive drums 210 to 240.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퍼스널 컴퓨터와 같은 외부 기기(520)가 R(레드), G(그린), 및 B(블루)의 각 색 신호를 출력한다. 프린터 제어부(530)는 각 색 신호를 Y(옐로우), M(마젠타), C(시안), 및 K(블랙)의 각 화상 데이터(도트 데이터)로 변환한다. 각각의 변환된 화상 데이터는 광 주사 장치(500)에 입력된다. 프린터 제어부(530)는, 전술한 신호를 변환할 뿐만 아니라, 모터(후술함)와 같은 화상 형성 장치(600)의 각 구성요소의 제어를 행한다.An external device 520 such as a personal computer outputs color signals of R (red), G (green), and B (blue), as shown in Fig. The printer control unit 530 converts each color signal into image data (dot data) of Y (yellow), M (magenta), C (cyan), and K (black). Each of the converted image data is input to the optical scanning apparatus 500. The printer control unit 530 not only converts the above-described signals, but also controls each component of the image forming apparatus 600 such as a motor (described later).

광 주사 장치(500)는, 각 화상 데이터에 따라서 변조된 광속(410, 420, 430, 및 440)에 의해 주주사 방향(Y 방향)으로 감광 드럼(210 내지 240)의 감광면에 광 주사를 제공한다. 감광 드럼(210 내지 240)은 모터(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시계방향으로 회전된다. 이 회전에 의해, 각 감광면이 광속(410 내지 440)에 대하여 부주사 방향(둘레 방향)으로 이동한다. 대전 롤러(도시되지 않음)에 전기적으로 대전된 각 감광면이 광속(410 내지 440)에 각각 노광됨으로써, 정전 잠상이 감광면 상에 각각 형성된다.The optical scanning device 500 provides optical scanning to the photosensitive surface of the photosensitive drums 210 to 240 in the main scanning direction (Y direction) by the light beams 410, 420, 430, and 440 modulated in accordance with the respective image data do. The photosensitive drums 210 to 240 are rotated in a clockwise direction by a motor (not shown). By this rotation, each photosensitive surface moves in the sub-scanning direction (circumferenti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light fluxes 410 to 440. Each photosensitive surface, which is electrically charged to a charging roller (not shown), is exposed to the light fluxes 410 to 440, respectively, whereby an electrostatic latent image is formed on the photosensitive surface.

현상 유닛(310 내지 340)은 감광 드럼(210 내지 240)의 각 감광면 상에 형성된 각 색의 정전 잠상을 토너상으로서 현상한다. 전사 유닛(도시되지 않음)은 중첩 방식으로 반송 벨트(510)에 의해 반송된 피전사재에 각 색의 토너상을 전사한다. 정착 유닛(540)은 중첩 상을 정착시킨다. 전술한 단계에 의해, 1매의 풀-컬러 화상이 형성된다.The developing units 310 to 340 develop the electrostatic latent images of the respective colors formed on the photosensitive surfaces of the photosensitive drums 210 to 240 as toner images. A transfer unit (not shown) transfers the toner images of the respective colors to the transfer material conveyed by the conveyance belt 510 in an overlapping manner. The fixing unit 540 fixes the superposed image. By the above-described steps, one full-color image is formed.

광 주사 장치(500)는, 적어도 각 실시예에 따른 입사 광학계 및 수광 유닛을 포함하면 되고, 하나의 편향 유닛에 의해 4개의 피주사면에 대한 광 주사를 제공하는 탠덤형 광 주사 장치일 수 있다. 또한, CCD센서 또는 CMOS센서 같은 라인 센서를 포함하는 컬러 화상 판독 장치가 외부 기기(520)로서 화상 형성 장치(600)에 접속됨으로써 컬러 디지털 복사기를 구성할 수 있다.The optical scanning apparatus 500 may include at least an incident optical system and a light receiving unit according to each embodiment, and may be a tandem type optical scanning apparatus that provides optical scanning for four scanned surfaces by one deflection unit. In addition, a color image reading apparatus including a line sensor such as a CCD sensor or a CMOS sensor is connected to the image forming apparatus 600 as an external apparatus 520, thereby constituting a color digital copying machine.

변형예Variation example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 및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들 실시형태 및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조합, 변형 및 변경이 이루어질 수 있다.Although the preferred embodiments and example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se embodiments and examples, and various combinations, modifications, and alterations can be made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예를 들어, 상술한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4의 각각에서는, 광원으로서 1개의 발광점만을 갖는 반도체 레이저를 채용하고 있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필요한 경우, 복수의 발광점을 갖는 모놀리식 멀티-빔 레이저가 피주사면에서 고속으로 화상 형성을 행하기 위해 채용될 수 있다. 복수의 발광점을 갖는 레이저는 예를 들어 수직 공동형 면발광 레이저(VCSEL)를 채용할 수 있다. 실시예 5는 VCSEL을 채용할 수 있다. 또한, 결상 광학계를 형성하는 결상 광학 소자의 수, 재료 및 형상은 광 주사 장치의 구성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For example, in each of Embodiments 1 to 4 described above, a semiconductor laser having only one light emitting point is used as the light source,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If necessary, a monolithic multi-beam laser having a plurality of light emitting points can be employed to perform image formation at high speed on the surface to be scanned. For example, a vertical cavity surface emitting laser (VCSEL) may be employed as the laser having a plurality of light emitting points. In the fifth embodiment, a VCSEL may be employed. Further, the number, materials and shape of the imaging optical elements forming the imaging optical system can be changed 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of the optical scanning apparatus.

실시예 2에서는, 하나의 편향면이 2개의 피주사면에 대한 광 주사를 제공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3개 이상의 입사 광학계로부터의 광이 하나의 편향면에 의해 편향되어 3개 이상의 피주사면에 대한 광 주사를 제공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복수의 편향면이 복수의 피주사면에 대한 광 주사를 제공할 수 있다. 복수의 입사 광학계가 제공되는 경우,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각 광로에 배치되는 광학 소자 및 개구 조리개와 같은 부재가 일체화될 수 있다.In Embodiment 2, one deflecting surface provides optical scanning for two scanned surfaces, but is not limited thereto. Light from three or more incident optical systems can be deflected by one deflecting surface to provide optical scanning for three or more scanned surfaces. Alternatively, a plurality of deflecting surfaces may provide optical scanning for a plurality of scan surfaces. When a plurality of incident optical systems are provided, as in the first embodiment, optical elements arranged in each optical path and members such as an aperture stop can be integrated.

또한, 편향면으로부터 복수의 피주사면까지의 각 광로에서, 결상 렌즈를 개별적으로 배치할 수 있거나, 또는 일체화된 결상 렌즈가 광로에 의해 공유될 수 있다. 또한, 실시예 2에서는, 하나의 광원에 대응하는 하나의 수광 유닛만을 제공하고, 그 동기 신호를 사용하여 복수의 광원의 발광 타이밍을 제어한다. 그러나, 복수의 광원에 대응하는 복수의 수광 유닛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발광점을 갖는 광원을 채용하는 경우에는, 하나의 발광점으로부터의 광속만을 검출하여 얻어진 동기 신호에 기초하여, 다른 발광점의 발광 타이밍을 제어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각 발광점으로부터의 광속을 개별적으로 검출하고 제어할 수 있다.Further, in each optical path from the deflecting surface to the plurality of scan surfaces, the imaging lenses can be individually disposed, or the integral imaging lens can be shared by the optical path. In Embodiment 2, only one light receiving unit corresponding to one light source is provided, and the light emission timing of a plurality of light sources is controlled by using the synchronous signal. However, it is possible to provide a plurality of light receiving units corresponding to a plurality of light sources. When a light source having a plurality of light emission points is employed, the light emission timing of the other light emission points can be controlled based on the synchronization signal obtained by detecting only the light flux from one light emission point. Alternatively, the light flux from each light emitting point can be individually detected and controlled.

상술한 실시예 1 및 2 각각에서는, 피주사면에서의 주주사 방향에서의 기록-개시 위치를 결정하는 제어 회로가 광 주사 장치 내에 장착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어 회로는 화상 형성 장치 내에 배치되지만, 제어 회로는 광 주사 장치 외측에 장착될 수 있다. 이 경우, 화상 형성 장치에 포함된 프린터 제어부에 제어 회로를 제공할 수 있다.In each of Embodiments 1 and 2 described above, a control circuit for determining the write-start position in the main scan direction on the scan surface is mounted in the optical scanning device, but is not limited thereto. The control circuit is disposed in the image forming apparatus, but the control circuit can be mounted outside the optical scanning apparatus. In this case, the control circuit can be provided to the printer control unit included in the image forming apparatus.

멀티-빔 레이저를 채용하는 경우, 복수의 발광점 모두에 대해 광량 제어를 동시에 행할 수 없다. 따라서, 복수의 광속을 순차적으로 검출하고 각 발광점의 광량 제어를 행할 필요가 있다. 상술한 비교예에 멀티-빔 레이저를 적용하는 경우, 단일 주사 내에서 광량의 검출 및 제어의 시간을 충분히 확보할 수 없다. 따라서, 모든 발광점의 광량 제어를 종료할 때까지 광 주사를 수 회 행할 필요가 있다. 광량 제어의 총 시간은 길어질 수 있다. 대조적으로, 실시예 3 내지 5 중 임의의 하나에 멀티-빔 레이저를 적용하는 경우, 광량 제어의 시간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 따라서, 광량 제어의 총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When a multi-beam laser is employed, the light amount control can not be performed simultaneously for all of a plurality of light emission point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sequentially detect a plurality of light beams and to control the light amount of each light emission point. In the case of applying the multi-beam laser to the above-described comparative example, it is not possible to sufficiently secure the time for detecting and controlling the amount of light in a single scan.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perform optical scanning several times until the light amount control of all the light emission points is finished. The total time of light amount control can be prolonged. In contrast, when a multi-beam laser is applied to any one of Examples 3 to 5, sufficient time for light amount control can be secured. Therefore, the total time of light amount control can be shortened.

또한, 실시예 3 및 4에서는, 단부면 발광형 레이저로부터 출사되는 리어 광속을 검출함으로써 광량 제어를 행한다. 그러나, 필요한 경우, 프론트 광속을 검출함으로써 광량 제어를 행할 수 있다. 이때, 예를 들어, 실시예 3에서, 실시예 4에 따른 동기 검출 센서의 위치에 광 검출 유닛을 제공할 수 있고, 실시예 4에서, 동기 검출 센서 옆의 위치에, 동기 검출 센서의 기판과 동일한 기판 상에 광 검출 유닛을 제공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실시예 5와 같이, 프론트 광속을 광 분리 소자에 의해 분리하고 검출할 수 있다. 실시예 3 내지 5 각각에서, 광 검출 유닛은 동기 검출 센서로서 사용될 수 있고, 광 검출 유닛으로부터의 신호에 기초하여 동기 검출을 행할 수 있으며, 하나의 광 검출 유닛에 의해 광량 검출 및 동기 검출을 동시에 행할 수 있다.In Examples 3 and 4, the amount of light is controlled by detecting the rear luminous flux emitted from the end surface-emitting type laser. However, if necessary, the amount of light can be controlled by detecting the front luminous flux. At this time, for example, in the third embodiment, the optical detection unit can be provided at the position of the synchronization detection sensor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In the fourth embodiment, at the position next to the synchronization detection sensor, It is possible to provide an optical detection unit on the same substrate. Alternatively, as in the fifth embodiment, the front luminous flux can be separated and detected by the optical isolator. In each of Embodiments 3 to 5, the photodetecting unit can be used as a synchronous detecting sensor, can perform synchronous detection based on a signal from the photodetecting unit, and can perform light quantity detection and synchronous detection simultaneously with one photodetecting unit .

실시예 3 내지 5 각각에서, 광원의 발광 타이밍 제어는 광원에 제공된 제어 유닛에 의해 행할 수 있거나 외부에 제공된 제어 유닛에 의해 행할 수 있다. 또한, 광량 제어 유닛 및 동기 제어 유닛은 광 주사 장치의 내부에 또는 화상 형성 장치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하나의 제어 유닛에 의해 광량 제어, 동기 제어, 및 광원의 발광 타이밍 제어 중 적어도 하나를 행할 수 있다.In each of the third to fifth embodiments, the light emission timing control of the light source can be performed by a control unit provided in the light source or by a control unit provided externally. Further, the light amount control unit and the synchronization control unit may be disposed inside the optical scanning apparatus or inside the image forming apparatus. At this time, at least one of the light amount control, the synchronous control, and the light emission timing control of the light source can be performed by one control unit.

실시예 3 내지 5의 각각에서는, 하나의 광원으로부터의 광속이 하나의 피주사면에 대한 광 주사를 제공하지만,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복수의 광원으로부터의 광속이 복수의 피주사면에 대한 광 주사를 제공할 수 있다. 이때, 하나의 편향면이 복수의 광속을 동시에 편향시킬 수 있거나, 복수의 편향면이 복수의 광속을 편향시킬 수 있다. 이때, 편향면으로부터 복수의 피주사면까지의 각 광로에서, 결상 렌즈를 개별적으로 배치할 수 있거나, 일체화된 경상 렌즈가 광로에 의해 공유될 수 있다.In each of Examples 3 to 5, the light flux from one light source provides optical scanning for one scan surface, but is not limited thereto. A light flux from a plurality of light sources can provide optical scanning for a plurality of scan surfaces. At this time, one deflecting surface can deflect a plurality of light beams at the same time, or a plurality of deflecting surfaces can deflect a plurality of light beams. At this time, in each optical path from the deflecting surface to the plurality of scan surfaces, the image forming lenses can be individually disposed, or the integrated optical lens can be shared by the optical path.

예시적인 실시형태를 참고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개시된 예시적인 실시형태로 제한되지 않음을 이해해야 한다. 이하의 청구항의 범위는 이러한 모든 변형 및 동등한 구조 및 기능을 포함하는 최광의로 해석되어야 한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The scope of the following claims is to be accorded the broadest interpretation so as to encompass all such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structures and functions.

Claims (20)

광 주사 장치이며,
편향면을 갖고, 광속을 편향시켜서 피주사면을 주주사 방향으로 광 주사하도록 배치되는 편향 유닛;
상기 광속이 부주사 단면 내에서 상기 편향면에 사입사되게 하도록 배치되는 입사 광학계; 및
상기 편향면에 의해 편향된 광속을 수광하여 신호를 생성하도록 배치되는 수광 유닛을 포함하고,
이하의 조건의 충족되고,
|β|≤|α|
여기서, α(deg)는 상기 부주사 단면 내에서의 상기 입사 광학계로부터의 광속의 상기 편향면에 대한 입사각이고, β(deg)는 주주사 단면 내에서의 상기 편향면에 입사하는 광속과 상기 편향면에 의해 편향되어 상기 수광 유닛을 향해 지향되는 광속에 의해 형성되는 각인, 광 주사 장치.
An optical scanning device comprising:
A deflection unit having a deflecting surface and arranged to optically scan the surface to be scanned in a main scanning direction by deflecting the light beam;
An incident optical system disposed such that the light beam is incident on the deflecting surface in a sub-scan section; And
And a light receiving unit arranged to receive a light beam deflected by the deflecting surface to generate a signal,
The following conditions are satisfied,
|? |? |? |
(Deg) is an angle of incidence of the light beam from the incident optical system in the sub-scan section with respect to the deflecting surface, and? (Deg) is a light flux incident on the deflecting surface in the main- And is formed by a light beam deflected by said light source and directed toward said light receiving unit.
제1항에 있어서, 이하의 조건, 즉
1.5≤|α|≤10, 및
0≤|β|≤ 5.0
중 하나 이상이 충족되는, 광 주사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ollowing conditions are satisfied:
1.5? |? |? 10, and
0? |? |? 5.0
Is satisfied. &Lt; / RTI &gt;
제1항에 있어서, 이하의 조건, 즉
1.5≤|α|≤ 5.0, 및
0≤|β|≤ 3.0
중 하나 이상이 충족되는, 광 주사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ollowing conditions are satisfied:
1.5? |? |? 5.0, and
0? |? |? 3.0
Is satisfied. &Lt; / RTI &g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편향면에 입사하는 광속은 상기 주주사 단면 내에서 상기 편향면에 의해 편향되어 상기 수광 유닛을 향해 지향되는 광속과 정렬되는, 광 주사 장치.2. The optical scanning devic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 light beam incident on the deflecting surface is aligned with a light beam deflected by the deflecting surface in the main scanning direction and directed toward the light receiving uni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광 유닛은 상기 편향 유닛의 회전 방향에서 상기 입사 광학계의 하류에 배치되는, 광 주사 장치.The optical scanning devic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light receiving unit is disposed downstream of the incident optical system in the rotating direction of the deflecting uni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주사 단면 내에서, 상기 입사 광학계와 상기 편향면 사이의 광로 및 상기 편향면과 상기 수광 유닛 사이의 광로 각각은, 상기 광속의 주 광선이 굴절 또는 반사되지 않는 광로인, 광 주사 장치.2. The optical pickup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in the main-scan section, an optical path between the incident optical system and the deflecting surface and an optical path between the deflecting surface and the light receiving unit are optical paths in which a principal ray of the light flux is not refracted or reflected, Optical scanning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사 광학계는 광속을 집광하도록 배치되는 제1 광학 소자를 포함하고, 상기 수광 유닛은 광속을 집광하도록 배치되는 제2 광학 소자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및 제2 광학 소자는 일체화되어 있는, 광 주사 장치.The optical system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incident optical system includes a first optical element arranged to condense a light beam, and the light receiving unit includes a second optical element arranged to condense a light beam, Are integrated with each oth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사 광학계는 광속을 사출하도록 배치되는 광원을 포함하고, 상기 수광 유닛은 광속을 수광하도록 배치되는 광전 변환 소자를 포함하며, 상기 광원 및 상기 광전 변환 소자는 동일한 기판 상에 장착되는, 광 주사 장치.2. The photoelectric conversion devic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incident optical system includes a light source arranged to emit a light flux, and the light receiving unit includes a photoelectric conversion element arranged to receive a light flux, The optical scanning device comprising: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사 광학계는 복수의 입사 광학계를 포함하고, 상기 편향 유닛은 상기 복수의 입사 광학계로부터의 광속을 편향시켜 복수의 피주사면을 광 주사하는, 광 주사 장치.The optical scanning devic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incident optical system includes a plurality of incident optical systems, and the deflecting unit optically scans a plurality of scan surfaces by deflecting the light flux from the plurality of incident optical systems.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입사 광학계로부터의 각각의 광속은 상기 주주사 단면 내에서 상기 편향면에 대해 상이한 입사각을 갖는, 광 주사 장치.10. The optical scanning device according to claim 9, wherein each light flux from the plurality of incident optical systems has a different incident angle with respect to the deflecting surface in the main-scan section.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입사 광학계로부터의 각각의 광속은 상기 부주사 단면 내에서 상기 편향면에 대해 동등한 절대값을 갖는 입사각을 갖는, 광 주사 장치.10. The optical scanning device according to claim 9, wherein each light flux from the plurality of incident optical systems has an incident angle having an absolute value equivalent to the deflecting surface in the sub-scan sec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광 유닛은 상기 피주사면에서의 상기 주주사 방향의 기록-개시 위치(write-start position)를 결정하기 위한 신호를 생성하는, 광 주사 장치.The optical scanning devic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light receiving unit generates a signal for determining a write-start position in the main scanning direction on the surface to be scann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피주사면에서의 상기 주주사 방향의 기록-개시 위치를 결정하도록 배치되는 제어 회로를 더 포함하는, 광 주사 장치.The optical scanning device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control circuit arranged to determine a recording-start position in the main scanning direction on the surface to be scanned based on the signal. 제1항에 있어서,
광원을 더 포함하고,
상기 입사 광학계는 상기 주주사 단면 내에서 상기 광원으로부터의 광속이 피주사 영역의 외측으로부터 상기 편향면에 입사되게 하고,
상기 광원은, 상기 주주사 단면 내에서 상기 입사 광학계로부터의 광속이 상기 편향면에 수직 입사하는 타이밍에, 광속을 사출하는, 광 주사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light source,
The incidence optical system causes the light flux from the light source to be incident on the deflecting surface from the outside of the scanned region within the main-scan section,
Wherein the light source emits a light beam at a timing at which the light beam from the incident optical system enters the deflecting surface perpendicularly in the main-scan section.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수광 유닛은 상기 타이밍에 상기 편향면에 의해 반사된 광속을 수광하여 신호를 생성하는, 광 주사 장치.15. The optical scanning device according to claim 14, wherein said light receiving unit receives light flux reflected by said deflecting surface at said timing to generate a signal.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광원의 발광량을 제어하도록 배치되는 광량 제어 유닛을 더 포함하는, 광 주사 장치.16. The optical scanning device according to claim 15, further comprising a light amount control unit arranged to control an amount of light emission of the light source based on the signal.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피주사면에서의 상기 주주사 방향의 기록-개시 위치를 결정하도록 배치되는 동기 제어 유닛을 더 포함하는, 광 주사 장치.16. The optical scanning device according to claim 15, further comprising a synchronization control unit arranged to determine a recording-start position in the main scanning direction on the surface to be scanned based on the signal.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으로부터의 광속을, 상기 편향면을 향해 지향되는 광속과 상기 수광 유닛을 향해 지향되는 광속으로 분리하도록 배치되는 광 분리 소자를 더 포함하는, 광 주사 장치.The optical scanning device according to claim 15, further comprising a light splitting element arranged to separate the light flux from the light source into a light flux directed toward the deflecting surface and a light flux directed toward the light receiving unit. 화상 형성 장치이며,
제1항 내지 제18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광 주사 장치;
상기 광 주사 장치에 의해 상기 피주사면에 형성되는 정전 잠상을 토너상으로서 현상하도록 배치되는 현상 유닛;
현상된 상기 토너상을 피전사재에 전사하도록 배치되는 전사 유닛; 및
전사된 상기 토너상을 상기 피전사재에 정착시키도록 배치되는 정착 유닛을 포함하는, 화상 형성 장치.
An image forming apparatus comprising:
An optical scanning device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18;
A developing unit arranged to develop, as a toner image, an electrostatic latent image formed on the surface to be scanned by the optical scanning device;
A transfer unit arranged to transfer the developed toner image onto a transfer material; And
And a fixing unit arranged to fix the transferred toner image to the transfer material.
광 주사 장치이며,
광원;
편향면을 갖고, 상기 광원으로부터의 광속을 편향시켜 피주사면을 주주사 방향으로 광 주사하도록 배치되는 편향 유닛; 및
상기 광원으로부터의 광속을 상기 편향면에 유도하도록 배치되는 입사 광학계를 포함하고,
상기 편향 유닛은 단일 회전 다면경으로 형성되고,
상기 입사 광학계는, 주주사 단면 내에서는 상기 광속이 피주사 영역의 외측으로부터 상기 편향면에 입사되게 하고, 부주사 단면 내에서는 상기 광속이 상기 편향면에 사입사되게 하고,
상기 광원은, 상기 주주사 단면 내에서 상기 입사 광학계로부터의 광속이 상기 편향면에 수직 입사하는 타이밍에, 광속을 사출하는, 광 주사 장치.
An optical scanning device comprising:
Light source;
A deflection unit having a deflecting surface and arranged to optically scan the surface to be scanned in a main scanning direction by deflecting a light flux from the light source; And
And an incidence optical system arranged to guide the light beam from the light source to the deflecting surface,
Wherein the deflection unit is formed by a single rotation polygonal mirror,
The incidence optical system causes the light beam to be incident on the deflecting surface from the outside of the scanned area in the main-scan section, causing the light beam to be incident on the deflecting surface in the sub-
Wherein the light source emits a light beam at a timing at which the light beam from the incident optical system enters the deflecting surface perpendicularly in the main-scan section.
KR1020160091156A 2015-07-27 2016-07-19 Optical scann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KR102066772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5-148157 2015-07-27
JP2015148157 2015-07-27
JP2016094831A JP6786258B2 (en) 2015-07-27 2016-05-10 Optical scanning device and image forming device equipped with it
JPJP-P-2016-094831 2016-05-1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13161A true KR20170013161A (en) 2017-02-06
KR102066772B1 KR102066772B1 (en) 2020-01-15

Family

ID=579496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91156A KR102066772B1 (en) 2015-07-27 2016-07-19 Optical scann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6786258B2 (en)
KR (1) KR102066772B1 (en)
CN (1) CN106405830B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887823B2 (en) * 2017-02-15 2021-06-16 キヤノン株式会社 Optical scanning device and image forming device
US10185242B2 (en) * 2017-03-13 2019-01-22 Canon Kabushiki Kaisha Optical scann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7123555B2 (en) * 2017-03-13 2022-08-23 キヤノン株式会社 Optical scanning device and image forming device
US10838045B2 (en) * 2018-10-02 2020-11-17 Blackmore Sensors & Analytics, LLC. Method and system for optimizing scanning of coherent lidar
EP3978950A4 (en) * 2019-07-16 2023-07-26 Canon Kabushiki Kaisha Optical device, and vehicle-mounted system and moving device provided with same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5659A (en) * 1995-06-20 1997-01-10 Ricoh Co Ltd Optical scanner
JP2004240275A (en) * 2003-02-07 2004-08-26 Pentax Corp Laser scanning device
JP2007065565A (en) * 2005-09-02 2007-03-15 Canon Inc Scanning optical apparatus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2008170485A (en) * 2007-01-06 2008-07-24 Canon Inc Optical scann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ing the same
JP2013003380A (en) * 2011-06-17 2013-01-07 Canon Inc Light beam emitt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JP2013130623A (en) * 2011-12-20 2013-07-04 Canon Inc Optical scanner and optical scanning method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753594B2 (en) * 1990-03-23 1998-05-20 キヤノン株式会社 Scanning optical device
KR100191892B1 (en) * 1995-11-30 1999-06-15 이형도 Light detecting device
JP5573493B2 (en) * 2010-08-25 2014-08-20 株式会社リコー Optical scann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apparatus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5659A (en) * 1995-06-20 1997-01-10 Ricoh Co Ltd Optical scanner
JP2004240275A (en) * 2003-02-07 2004-08-26 Pentax Corp Laser scanning device
JP2007065565A (en) * 2005-09-02 2007-03-15 Canon Inc Scanning optical apparatus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2008170485A (en) * 2007-01-06 2008-07-24 Canon Inc Optical scann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ing the same
JP2013003380A (en) * 2011-06-17 2013-01-07 Canon Inc Light beam emitt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JP2013130623A (en) * 2011-12-20 2013-07-04 Canon Inc Optical scanner and optical scanning meth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6405830A (en) 2017-02-15
JP6786258B2 (en) 2020-11-18
CN106405830B (en) 2020-05-12
JP2017027018A (en) 2017-02-02
KR102066772B1 (en) 2020-0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45248B2 (en) Optical scann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7667868B2 (en) Optical scann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8917305B2 (en) Light scann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apparatus including light scanning apparatus
US7956884B2 (en) Optical scann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5137428B2 (en) Optical scann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ing the same
KR20170013161A (en) Optical scann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US9817332B2 (en) Optical scann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JP2006337792A (en) Optical scanner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ing the same
US8094179B2 (en) Light source device, optical scann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4642627B2 (en) Scanning optical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ing the same
JP6049502B2 (en) Optical scann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ing the same
JP5882646B2 (en) Optical scann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5962267B2 (en) Optical scann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H1020608A (en) Color image forming device
JP2010281996A (en) Scanning optical apparatus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ing the same
JP5939822B2 (en) Optical scann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2012194333A (en) Optical scanner and image forming device
JP2017026961A (en) Optical scanner and image forming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JP2012194367A (en) Optical scanning device and image forming device
JP2017078800A (en) Optical scanner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ing the same
US6618071B2 (en) Exposure device including pre-deflection optical system
JP2003107379A (en) Multi-beam scanner and image forming device using the same
JP2017191143A (en) Optical scanner and image forming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JP5094170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JP2023125122A (en) Reflector element, light detection device, and optical scann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