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13142A - 무선 충전 시스템에서의 무선 전력 전송 방법, 무선 전력 송신기, 및 무선 전력 수신기 - Google Patents

무선 충전 시스템에서의 무선 전력 전송 방법, 무선 전력 송신기, 및 무선 전력 수신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13142A
KR20170013142A KR1020150173960A KR20150173960A KR20170013142A KR 20170013142 A KR20170013142 A KR 20170013142A KR 1020150173960 A KR1020150173960 A KR 1020150173960A KR 20150173960 A KR20150173960 A KR 20150173960A KR 20170013142 A KR20170013142 A KR 201700131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less power
power
power receiver
wireless
recei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739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26688B1 (ko
Inventor
이경우
정희원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PCT/KR2016/008205 priority Critical patent/WO2017018800A1/en
Priority to EP19161965.9A priority patent/EP3522331B1/en
Priority to CN201680042522.5A priority patent/CN107852037B/zh
Priority to EP16830833.6A priority patent/EP3329574B1/en
Priority to US15/221,148 priority patent/US10170926B2/en
Priority to JP2018502109A priority patent/JP6869591B2/ja
Priority to ES16830833T priority patent/ES2735409T3/es
Publication of KR201700131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13142A/ko
Priority to US16/204,363 priority patent/US10784708B2/en
Priority to US17/027,079 priority patent/US11552508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266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266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7Regulation of charging or discharging current or voltage
    • H02J7/007188Regulation of charging or discharging current or voltage the charge cycle being controlled or terminated in response to non-electric parameters
    • H02J7/007192Regulation of charging or discharging current or voltage the charge cycle being controlled or terminated in response to non-electric parameters in response to temperature
    • H02J7/025
    • H02J17/00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1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inductive coupling
    • H02J50/12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inductive coupling of the resonant typ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4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two or more transmitting or receiving devic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8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involving the exchange of data, concerning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between transmitting devices and receiving devic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for charging batteries from ac mains by converters
    • H02J7/04Regulation of charging current or voltage
    • H02J7/047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5/0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 H04B5/7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 H04B5/79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for data transfer in combination with power transfe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7Regulation of charging or discharging current or voltage
    • H02J7/00712Regulation of charging or discharging current or voltage the cycle being controlled or terminated in response to electric parameters
    • H02J7/007182Regulation of charging or discharging current or voltage the cycle being controlled or terminated in response to electric parameters in response to battery voltag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5/0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 H04B5/2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technique;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H04B5/24Inductive coup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무선 충전 시스템에서의 무선 전력 전송 방법은, 복수의 무선 전력 수신기들 중 적어도 하나의 무선 전력 수신기로부터 가용 최고 온도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무선 전력 수신기들 각각으로부터 현재 온도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가용 최고 온도에 대한 정보 및 현재 온도에 대한 정보로 각 무선 전력 수신기에 대한 발열 비율을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산출된 발열 비율에 기반하여 도미넌트 무선 전력 수신기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무선 충전 시스템에서의 무선 전력 전송 방법, 무선 전력 송신기, 및 무선 전력 수신기{METHOD FOR TRANSMITTING A WIRELESS POWER IN WIRELESS CHARGE SYSTEM, THE WIRELESS POWER TRANSMITTING UNIT, THE WIRELESS POWER RECEIVING UNIT}
본 발명의 실시 예는 무선 충전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무선 충전 시스템에서의 무선 전력 전송 방법, 무선 전력 송신기, 및 무선 전력 수신기에 관한 것이다.
휴대전화 또는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등과 같은 이동 단말기는 그 특성상 재충전이 가능한 배터리로 구동되며, 이러한 배터리를 충전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충전 장치를 이용하여 이동단말기의 배터리에 전기 에너지를 공급한다. 통상적으로 충전장치와 배터리에는 외부에 각각 별도의 접촉 단자가 구성되어 있어서 이를 서로 접촉시켜 충전장치와 배터리를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하지만, 이와 같은 접촉식 충전방식은 접촉 단자가 외부에 돌출되어 있으므로, 이물질에 의한 오염이 쉽고 이러한 이유로 배터리 충전이 올바르게 수행되지 않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또한 접촉 단자가 습기에 노출되는 경우에도 충전이 올바르게 수행되지 않는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근래에는 무선 충전 또는 무접점 충전 기술이 개발되어 최근 많은 전자 기기에 활용되고 있다.
이러한 무선충전 기술은 무선 전력 송수신을 이용한 것으로서, 예를 들어 휴대폰을 별도의 충전 커넥터를 연결하지 않고, 단지 충전 패드에 올려놓기만 하면 자동으로 배터리가 충전이 될 수 있는 시스템이다. 일반적으로 무선 전동 칫솔이나 무선 전기 면도기 등으로 일반인들에게 알려져 있다. 이러한 무선충전 기술은 전자제품을 무선으로 충전함으로써 방수 기능을 높일 수 있고, 유선 충전기가 필요하지 않으므로 전자 기기 휴대성을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다가오는 전기차 시대에도 관련 기술이 크게 발전할 것으로 전망된다.
이러한 무선 충전 기술에는 크게 코일을 이용한 전자기 유도방식과, 공진(Resonance)을 이용하는 공진 방식과, 전기적 에너지를 마이크로파로 변환시켜 전달하는 전파 방사(RF/Micro Wave Radiation) 방식 등이 있다.
현재까지는 전자기 유도를 이용한 방식이 주류를 이루고 있으나, 최근 국내외에서 마이크로파를 이용하여 수십 미터 거리에서 무선으로 전력을 전송하는 실험에 성공하고 있어, 가까운 미래에는 언제 어디서나 전선 없이 모든 전자제품을 무선으로 충전하는 세상이 열릴 것으로 보인다.
전자기 유도에 의한 전력 전송 방법은 1차 코일과 2차 코일 간의 전력을 전송하는 방식이다. 코일에 자석을 움직이면 유도 전류가 발생하는데, 이를 이용하여 송신단에서 자기장을 발생시키고 수신단에서 자기장의 변화에 따라 전류가 유도되어 에너지를 만들어 낸다. 이러한 현상을 자기 유도 현상이라고 일컬으며 이를 이용한 전력 전송 방법은 에너지 전송 효율이 뛰어나다.
공진 방식은, 2005년 MIT의 Soljacic 교수가 Coupled Mode Theory로 공진 방식 전력 전송 원리를 사용하여 충전장치와 몇 미터(m)나 떨어져 있어도 전기가 무선으로 전달되는 시스템을 발표했다. MIT 연구팀은 소리를 공명시키는 대신, 전기 에너지를 담은 전자기파를 공명시켰다. 공명된 전기 에너지는 공진 주파수를 가진 기기가 존재할 경우에만 직접 전달되고 사용되지 않는 부분은 공기 중으로 퍼지는 대신 전자장으로 재흡수되기 때문에 다른 전자파와는 달리 주변의 기계나 신체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을 것으로 보고 있다.
무선 전력 송신기(Power Transmitting Unit; PTU)에서 무선 전력 수신기(Power Receiving Unit; PRU)가 올려진 것을 감지하는 방법으로서 전력 송신부의임피던스(impedance) 변화를 감지하는 방법이 있다.
무선 전력 송신기(PTU)가 임피던스 변화 감지 등을 통해 무선 전력 수신기의 존재를 감지하면, 무선 전력 송신기는 무선 전력 수신기가 통신할 수 있을 정도의 전력을 공급함으로써 무선 전력 수신기와의 통신을 개시할 수 있다.
한편, 하나의 무선 전력 송신기에서 복수의 무선 전력 수신기들을 충전하는 다중 충전 상황에서, 어느 하나의 무선 전력 수신기에 대한 충전 전압이 과도하게 높아지거나 발열이 발생할 경우 무선 전력 송신기 또는 무선 전력 수신기에 이상이 발생하거나 정상적인 충전이 진행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은 하나의 무선 전력 송신기에서 복수의 무선 전력 수신기들을 충전하는 다중 충전 상황에서, 각 무선 전력 수신기의 발열 비율을 고려하여 도미넌트(dominant) 무선 전력 수신기를 설정함으로써 복수의 무선 전력 수신기에 대한 효율적인 충전 관리가 가능한 무선 충전 시스템에서의 무선 전력 전송 방법, 무선 전력 송신기, 및 무선 전력 수신기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은 하나의 무선 전력 송신기에서 복수의 무선 전력 수신기들을 충전하는 다중 충전 상황에서, 각 무선 전력 수신기의 충전 전압 비율을 고려하여 도미넌트 무선 전력 수신기를 설정함으로써 복수의 무선 전력 수신기에 대한 효율적인 충전 관리가 가능한 무선 충전 시스템에서의 무선 전력 전송 방법, 무선 전력 송신기, 및 무선 전력 수신기를 제공할 수 있다.
상술한 바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무선 충전 시스템에서의 무선 전력 전송 방법은, 복수의 무선 전력 수신기들 중 적어도 하나의 무선 전력 수신기로부터 가용 최고 온도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무선 전력 수신기들 각각으로부터 현재 온도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가용 최고 온도에 대한 정보 및 현재 온도에 대한 정보로 각 무선 전력 수신기에 대한 발열 비율을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산출된 발열 비율에 기반하여 도미넌트 무선 전력 수신기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무선 충전 시스템에서의 무선 전력 전송 방법은, 복수의 무선 전력 수신기들 중 적어도 하나의 무선 전력 수신기로부터 정류부 후단의 최대 전압값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무선 전력 수신기들 각각으로부터 정류부 후단의 현재 전압값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된 최대 전압값 정보 및 현재 전압값 정보에 기반하여 도미넌트 무선 전력 수신기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한, 무선 전력 송신기는, 복수의 무선 전력 수신기들 중 적어도 하나의 무선 전력 수신기로부터 가용 최고 온도에 대한 정보 및 현재 온도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통신부; 상기 수신된 가용 최고 온도에 대한 정보 및 현재 온도에 대한 정보로 각 무선 전력 수신기에 대한 발열 비율을 산출하여 도미넌트 무선 전력 수신기를 판단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복수의 무선 전력 수신기로 전력을 전송하는 전력 송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한, 무선 전력 송신기는, 복수의 무선 전력 수신기들 중 적어도 하나의 무선 전력 수신기로부터 정류부 후단의 최대 전압값 정보 및 정류부 후단의 현재 전압값 정보를 수신하는 통신부; 상기 수신된 최대 전압값 정보 및 현재 전압값 정보에 기반하여 도미넌트 무선 전력 수신기를 판단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복수의 무선 전력 수신기로 전력을 전송하는 전력 송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한, 무선 전력 수신기는, 현재 온도를 센싱하는 온도 센서; 가용 최고 온도가 포함된 신호 및 상기 온도 센서에 의해 센싱된 현재 온도가 포함된 신호를 생성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에 의해 생성된 각 신호를 무선 전력 송신기로 전송하는 통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의하여, 하나의 무선 전력 송신기에서 복수의 무선 전력 수신기들을 충전하는 다중 충전 상황에서, 각 무선 전력 수신기의 발열 비율을 고려하여 도미넌트(dominant) 무선 전력 수신기를 설정함으로써 복수의 무선 전력 수신기에 대한 최적의 충전 상태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의하여, 하나의 무선 전력 송신기에서 복수의 무선 전력 수신기들을 충전하는 다중 충전 상황에서, 각 무선 전력 수신기의 충전 전압 비율을 고려하여 도미넌트 무선 전력 수신기를 설정함으로써 복수의 무선 전력 수신기에 대한 최적의 충전 상태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무선 충전 시스템 동작 전반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무선 전력 송신기 및 무선 전력 수신기를 예시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무선 전력 송신기 및 무선 전력 수신기의 상세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무선 전력 송신기 및 무선 전력 수신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한 무선 전력 송신기 및 무선 전력 수신기의 동작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6은 무선 전력 송신기가 인가하는 전력량의 시간 축에 대한 그래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무선 전력 송신기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8은 도 7의 실시 예에 의한 무선 전력 송신기가 인가하는 전력량의 시간 축에 대한 그래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무선 전력 송신기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0은 도 9의 실시 예에 의한 무선 전력 송신기가 인가하는 전력량의 시간 축에 대한 그래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SA 모드에서의 무선 전력 송신기 및 무선 전력 수신기의 블록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무선 전력 송신기의 처리 절차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무선 전력 수신기의 처리 절차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무선 전력 송신기의 처리 절차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무선 전력 수신기의 처리 절차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 요소들은 가능한 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들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하기 설명 및 첨부 도면에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먼저, 도 1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적용될 수 있는 무선 충전 시스템의 개념을 설명하고, 다음으로 도 12 내지 도 1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무선 충전 시스템에서의 무선 전력 전송 방법, 무선 전력 송신기, 및 무선 전력 수신기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무선 충전 시스템 동작 전반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선 충전 시스템은 무선 전력 송신기(100) 및 적어도 하나의 무선 전력 수신기(110-1,110-2,110-n)를 포함한다.
무선 전력 송신기(100)는 적어도 하나의 무선 전력 수신기(110-1,110-2,110-n)에 무선으로 각각 전력(1-1,1-2,1-n)을 송신할 수 있다. 더욱 상세하게는, 무선 전력 송신기(100)는 소정의 인증절차를 수행한 인증된 무선 전력 수신기에 대하여서만 무선으로 전력(1-1,1-2,1-n)을 송신할 수 있다.
무선 전력 송신기(100)는 무선 전력 수신기(110-1,110-2,110-n)와 전기적 연결을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전력 송신기(100)는 무선 전력 수신기(110-1,110-2,110-n)로 전자기파 형태의 무선 전력을 송신할 수 있다.
한편, 무선 전력 송신기(100)는 무선 전력 수신기(110-1,110-2,110-n)와 양방향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에서 무선 전력 송신기(100) 및 무선 전력 수신기(110-1,110-2,110-n)는 소정의 프레임으로 구성된 패킷(2-1,2-2,2-n)을 처리하거나 송수신할 수 있다. 상술한 프레임에 대하여서는 더욱 상세하게 후술하도록 한다. 무선 전력 수신기는 예컨대, 이동통신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스마트폰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무선 전력 송신기(100)는 복수 개의 무선 전력 수신기(110-1,110-2,110-n)로 무선으로 전력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전력 송신기(100)는 공진 방식을 통하여 복수 개의 무선 전력 수신기(110-1,110-2,110-n)에 전력을 전송할 수 있다. 무선 전력 송신기(100)가 공진 방식을 채택한 경우, 무선 전력 송신기(100)와 복수 개의 무선 전력 수신기(110-1,110-2,1110-n) 사이의 거리는 예컨대 30m 이하일 수 있다. 또한 무선 전력 송신기(100)가 전자기 유도 방식을 채택한 경우, 무선 전력 송신기(100)와 복수 개의 무선 전력 수신기(110-1,110-2,110-n) 사이의 거리는 예컨대 10cm 이하일 수 있다.
무선 전력 수신기(110-1,110-2,110-n)는 무선 전력 송신기(100)로부터 무선 전력을 수신하여 내부에 구비된 배터리의 충전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무선 전력 수신기(110-1,110-2,110-n)는 무선 전력 전송을 요청하는 신호나, 무선 전력 수신에 필요한 정보, 무선 전력 수신기 상태 정보 또는 무선 전력 송신기(100) 제어 정보 등을 무선 전력 송신기(100)에 송신할 수 있다. 상기의 송신 신호의 정보에 관하여서는 더욱 상세하게 후술하도록 한다.
또한 무선 전력 수신기(110-1,110-2,110-n)는 각각의 충전상태를 나타내는 메시지를 무선 전력 송신기(100)로 송신할 수 있다.
무선 전력 송신기(100)는 디스플레이와 같은 표시수단을 포함할 수 있으며, 무선 전력 수신기(110-1,110-2,110-n) 각각으로부터 수신한 메시지에 기초하여 무선 전력 수신기(110-1,110-2,110-n) 각각의 상태를 표시할 수 있다. 아울러, 무선 전력 송신기(100)는 각각의 무선 전력 수신기(110-1,110-2,110-n)가 충전이 완료되기까지 예상되는 시간을 함께 표시할 수도 있다.
무선 전력 송신기(100)는 무선 전력 수신기(110-1,110-2,110-n) 각각에 무선 충전 기능을 디스에이블(disabled)하도록 하는 제어 신호를 송신할 수도 있다. 무선 전력 송신기(100)로부터 무선 충전 기능의 디스에이블 제어 신호를 수신한 무선 전력 수신기는 무선 충전 기능을 디스에이블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무선 전력 송신기 및 무선 전력 수신기를 예시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선 전력 송신기(200)는 전력 송신부(211), 제어부(212), 통신부(213), 표시부(214) 또는 저장부(215)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전력 송신부(211)는 무선 전력 송신기(200)가 요구하는 전력을 제공할 수 있으며, 무선으로 무선 전력 수신기(250)에 전력을 제공할 수 있다. 여기에서, 전력 송신부(211)는 교류 파형의 형태로 전력을 공급할 수 있으며, 직류 파형의 전력을 인버터를 이용하여 교류 파형으로 변환하여 교류 파형의 전력을 공급할 수도 있다. 전력 송신부(211)는 내장된 배터리의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으며, 또는 전력 수신 인터페이스의 형태로 구현되어 외부로부터 전력을 수신하여 다른 구성 요소에 공급하는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전력 송신부(211)는 교류 파형의 전력을 제공할 수 있는 수단이라면 제한이 없다는 것은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할 것이다.
제어부(212)는 무선 전력 송신기(200)의 동작 전반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212)는 저장부(215)로부터 독출한 제어에 요구되는 알고리즘, 프로그램 또는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무선 전력 송신기(200)의 동작 전반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212)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 마이크로프로세서, 미니 컴퓨터와 같은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통신부(213)는 무선 전력 수신기(250)와 소정의 방식으로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통신부(213)는 무선 전력 수신기(250)로부터 전력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에서 전력 정보는 무선 전력 수신기(250)의 용량, 배터리 잔량, 충전 횟수, 사용량, 배터리 용량, 배터리 비율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213)는 무선 전력 수신기(250)의 충전 기능을 제어하는 충전 기능 제어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충전 기능 제어 신호는 특정 무선 전력 수신기(250)의 전력 수신부(251)를 제어하여 충전 기능을 인에이블(enabled) 또는 디스에이블(disabled)하게 하는 제어 신호일 수 있다. 또는 더욱 상세하게 후술할 것으로, 전력 정보는 유선 충전 단자의 인입, SA(stand alone) 모드로부터 NSA(non stand alone) 모드로의 전환, 에러 상황 해제 등의 정보를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충전 기능 제어 신호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이상 상황 발생에 대응하기 위한 전력 조절 또는 전력 제어 명령과 관련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213)는 무선 전력 수신기(250)뿐만 아니라, 다른 무선 전력 송신기(미도시)로부터의 신호를 수신할 수도 있다. 예컨대, 통신부(213)는 무선 전력 수신기(250)의 통신부(253)로부터 전송된 애드버타이즈먼트(advertisement) 신호를 수신함으로써 무선 충전을 위한 등록 절차를 진행할 수도 있다.
제어부(212)는 통신부(213)를 통해 무선 전력 수신기(250)로부터 수신한 메시지에 기초하여 무선 전력 수신기(250)의 상태를 표시부(214)에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12)는 무선 전력 수신기(250)가 충전이 완료되기까지 예상되는 시간을 표시부(214)에 표시할 수도 있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선 전력 수신기(250)는 전력 수신부(251), 제어부(252), 통신부(253), 표시부(258), 또는 저장부(259)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전력 수신부(251)는 무선 전력 송신기(200)로부터 전송된 전력을 무선으로 수신할 수 있다. 여기에서, 전력 수신부(251)는 교류 파형의 형태로 전력을 수신할 수 있다.
제어부(252)는 무선 전력 수신기(250)의 동작 전반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252)는 저장부(259)로부터 독출한 제어에 요구되는 알고리즘, 프로그램 또는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무선 전력 수신기(250)의 동작 전반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252)는 CPU, 마이크로프로세서, 미니 컴퓨터와 같은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통신부(253)는 무선 전력 송신기(200)와 소정의 방식으로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통신부(253)는 무선 전력 송신기(200)로 전력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여기에서 전력 정보는 무선 전력 수신기(250)의 용량, 배터리 잔량, 충전 횟수, 사용량, 배터리 용량, 배터리 비율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253)는 무선 전력 수신기(250)의 충전 기능을 제어하는 충전 기능 제어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충전 기능 제어 신호는 특정 무선 전력 수신기(250)의 전력 수신부(251)를 제어하여 충전 기능을 인에이블(enabled) 또는 디스에이블(disabled)하게 하는 제어 신호일 수 있다. 또는 더욱 상세하게 후술할 것으로, 전력 정보는 유선 충전 단자의 인입, SA(stand alone) 모드로부터 NSA(non stand alone) 모드로의 전환, 에러 상황 해제 등의 정보를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충전 기능 제어 신호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이상 상황 발생에 대응하기 위한 전력 조절 또는 전력 제어 명령과 관련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253)는 무선 전력 송신기(200)의 전력 송신부(211)로부터 전송된 비콘 신호를 전력 수신부(251)를 통해 수신하고, 미리 설정된 시간 이내에 애드버타이즈먼트 신호를 무선 전력 송신기(200)로 전송함으로써 무선 충전을 위한 등록 절차를 진행할 수 있다.
제어부(252)는 무선 전력 수신기(250)의 상태를 표시부(258)에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52)는 무선 전력 수신기(250)가 충전이 완료되기까지 예상되는 시간을 표시부(258)에 표시할 수도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무선 전력 송신기 및 무선 전력 수신기의 상세 블록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선 전력 송신기(200)는 송신측 공진부(Tx resonator)(211a), 제어부(212)(예컨대, MCU), 통신부(213)(예컨대, Out-of-band Signaling unit), 매칭부(Matching Circuit)(216), 구동부(Power Supply)(217), 증폭부(Power Amp)(218), 또는 센서부(sensing unit)(219)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전력 수신기(250)는 수신측 공진부(Rx resonator)(251a), 제어부(252), 제어 회로부(252a), 통신부(253), 정류부(Rectifier)(254), DC/DC 컨버터부(255), 스위치부(Switch)(256) 또는 로드부(Client Device Load)(257)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구동부(217)는 기설정된 전압 값을 가지는 직류 전력을 출력할 수 있다. 구동부(217)에서 출력되는 직류 전력의 전압 값은 제어부(212)에 의하여 제어될 수 있다.
구동부(217)로부터 출력되는 직류 전류는 증폭부(218)로 출력될 수 있다. 증폭부(218)는 기설정된 이득으로 직류 전류를 증폭할 수 있다. 아울러, 제어부(212)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에 기초하여 직류 전력을 교류로 변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증폭부(218)는 교류 전력을 출력할 수 있다.
매칭부(216)는 임피던스 매칭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매칭부(216)로부터 바라본 임피던스를 조정하여, 출력 전력이 고효율 또는 고출력이 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센서부(219)는 Tx 공진부(211a) 또는 증폭부(218)를 통해 무선 전력 수신기(250)에 의한 로드 변화를 센싱할 수 있다. 상기 센서부(219)의 센싱 결과는 제어부(212)로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상기 무선 전력 송신기(200)에서 무선 전력 수신기(250)로 짧은 비콘(short beacon) 신호 또는 긴 비콘(long beacon) 신호를 전송할 때, 무선 전력 수신기(250)에서는 미리 설정된 회로 등에 의해 로드 변화를 발생시킬 수 있다. 상기 무선 전력 송신기(200)의 센서부(219)에서는 상기 무선 전력 수신기(250)의 로드 변화를 감지하고, 로드 변화 감지 결과를 제어부(212)로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제어부(212)에서는 상기 센서부(219)로부터 감지된 로드 변화를 기반으로 무선 전력 수신기(250)의 존재를 감지하거나, 비콘 신호(예컨대, 긴 비콘 신호)의 전송 기간을 연장 또는 조정할 수 있다.
매칭부(216)는 제어부(212)의 제어에 기초하여 임피던스를 조정할 수 있다. 매칭부(216)는 코일 및 커패시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212)는 코일 및 커패시터 중 적어도 하나와의 연결 상태를 제어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임피던스 매칭을 수행할 수 있다.
Tx 공진부(211a)는 입력된 교류 전력을 Rx 공진부(251a)로 송신할 수 있다. Tx 공진부(211a) 및 Rx 공진부(251a)는 동일한 공진 주파수를 가지는 공진 회로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공진 주파수는 6.78MHz로 결정될 수 있다.
한편, 통신부(213)는 무선 전력 수신기(250) 측의 통신부(253)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양방향 2.4GHz 주파수로 통신(WiFi, ZigBee, BT/BLE)을 수행할 수 있다.
Rx 공진부(251a)는 충전을 위한 전력을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Rx 공진부(251a)는 상기 무선 전력 송신기(200)의 Tx 공진부(211a)를 통해 전송된 비콘 신호(예컨대, 짧은 비콘 신호 또는 긴 비콘 신호 등)를 수신할 수 있다.
정류부(254)는 Rx 공진부(251a)에서 수신되는 무선 전력을 직류 형태로 정류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브리지 다이오드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DC/DC 컨버터부(255)는 정류된 전력을 기설정된 이득으로 컨버팅할 수 있다. 예를 들어, DC/DC 컨버터부(255)는 출력단의 전압이 5V가 되도록 정류된 전력을 컨버팅할 수 있다. 한편, DC/DC 컨버터부(255)의 전단에는 인가될 수 있는 전압의 최솟값 및 최댓값이 미리 설정될 수 있다.
스위치부(256)는 DC/DC 컨버터부(255) 및 로드부(257)를 연결할 수 있다. 스위치부(256)는 제어부(252)의 제어에 따라 온(on)/오프(off)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러한 스위치부(256)는 생략될 수 있다. 로드부(257)는 스위치부(256)가 온 상태인 경우에 DC/DC 컨버터부(255)로부터 입력되는 컨버팅된 전력을 저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제어 회로부(252a)에서는 무선 전력 수신기(250)의 Rx 공진부(251a)를 통해 수신된 신호에 의해 스위치부(256)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제어 회로부(252a)는 상기 제어부(252)와는 별도로 무선 전력 수신기(250)에서 수신된 신호(예컨대, 짧은 비콘 신호 또는 긴 비콘 신호)에 의해 구동됨으로써 스위치부(256)를 제어하여 로드 변화를 발생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상기와 같이 별도의 제어 회로부(252a)를 구비함으로써 제어부(252)에 전원이 공급되지 않은 상태이거나, 제어부(252)의 동작 없이도 무선 전력 수신기(250)의 로드 변화를 발생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제어 회로부(252a)는 무선 전력 수신기(250)의 Rx 공진부(251a)를 통해 수신된 신호(예컨대, 짧은 비콘 신호 또는 긴 비콘 신호)에 의해 미리 설정된 패턴의 코드 또는 신호를 생성할 수도 있다. 상기 제어 회로부(252a)에서 생성된 코드 또는 신호에 의해 로드 스위치(예컨대, 스위치부(256)를 제어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미리 설정된 코드 또는 신호에 대응하는 로드 변화를 발생시킬 수 있다. 무선 전력 송신기(200)에서는 상기 무선 전력 수신기(250)의 로드 변화를 감지하고, 미리 설정된 코드 또는 신호를 복호화함으로써 미리 설정된 정보(예컨대, 비콘 신호 기간 연장과 관련된 정보 등)를 얻을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무선 전력 송신기 및 무선 전력 수신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선 전력 송신기(400)는 전원을 인가할 수 있다(S401). 전원이 인가되면, 무선 전력 송신기(400)는 환경을 설정(configuration)할 수 있다(S402).
무선 전력 송신기(400)는 전력 절약 모드(power save mode)에 진입할 수 있다(S403). 전력 절약 모드에서, 무선 전력 송신기(400)는 이종의 검출용 전력 비콘 각각을 각각의 주기로 인가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하여서는 도 6에서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예를 들어, 도 4에서와 같이 무선 전력 송신기(400)는 검출용 전력 비콘(power beacon)(예컨대, 짧은 비콘(short beacon) 또는 긴 비콘(long beacon))을 인가(S404, S405)할 수 있으며, 검출용 전력 비콘들 각각의 전력 값의 크기는 상이할 수도 있다. 검출용 전력 비콘들 중 일부 또는 전부는 무선 전력 수신기(450)의 통신부를 구동할 수 있는 전력량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전력 수신기(450)는 검출용 전력 비콘들 중 일부 또는 전부에 의하여 통신부를 구동시켜 무선 전력 송신기(400)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상태를 널(Null) 상태로 명명할 수 있다.
무선 전력 송신기(400)는 무선 전력 수신기(450)의 배치에 의한 로드 변화를 검출할 수 있다. 무선 전력 송신기(400)는 저전력 모드(S408)로 진입할 수 있다. 저전력 모드에 대하여서도 도 6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한편, 무선 전력 수신기(450)는 무선 전력 송신기(400)로부터 수신된 전력에 기초하여 통신부를 구동시킬 수 있다(S409).
무선 전력 수신기(450)는 무선 전력 송신기(400)로 무선 전력 송신기 검색 (PTU searching)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S410). 무선 전력 수신기(450)는 BLE(Bluetooth low energy) 기반의 애드버타이즈먼트(Advertisement; AD) 신호로서, 무선 전력 송신기 검색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무선 전력 수신기(450)는 무선 전력 송신기 검색 신호를 주기적으로 송신할 수 있으며, 무선 전력 송신기(400)로부터 응답 신호를 수신하거나 또는 기설정된 시간이 도래할 때까지 송신할 수 있다.
무선 전력 수신기(450)로부터 무선 전력 송신기 검색 신호가 수신되면, 무선 전력 송신기(400)는 응답 신호(PRU Respnse)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S411). 여기에서 응답 신호는 무선 전력 송신기(400) 및 무선 전력 수신기(400) 사이의 연결(connection)을 형성(form)할 수 있다.
무선 전력 수신기(450)는 PRU static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S412). 여기에서, PRU static 신호는 무선 전력 수신기(450)의 상태를 지시하는 신호일 수 있으며, 무선 전력 송신기(400)가 관제하는 무선 전력 네트워크에 가입을 요청할 수 있다.
무선 전력 송신기(400)는 PTU static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S413). 무선 전력 송신기(400)가 송신하는 PTU static 신호는 무선 전력 송신기(400)의 캐퍼빌리티(capability)를 지시하는 신호일 수 있다.
무선 전력 송신기(400) 및 무선 전력 수신기(450)가 PRU static 신호 및 PTU static 신호를 송수신하면, 무선 전력 수신기(450)는 PRU 다이내믹(Dynamic) 신호를 주기적으로 송신할 수 있다(S414, S415). PRU 다이내믹(Dynamic) 신호는 무선 전력 수신기(450)에서 측정된 적어도 하나의 파라미터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PRU 다이내믹(Dynamic) 신호는 무선 전력 수신기(450)의 정류부 후단의 전압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무선 전력 수신기(450)의 상태를 부트(Boot) 상태(S407)라고 명명할 수 있다.
무선 전력 송신기(400)는 전력 송신 모드로 진입하고(S416), 무선 전력 송신기(400)는 무선 전력 수신기(450)가 충전을 수행하도록 하는 명령 신호인 PRU 제어(PRU control)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S417). 전력 송신 모드에서, 무선 전력 송신기(400)는 충전 전력을 송신할 수 있다.
무선 전력 송신기(400)가 송신하는 PRU 제어(control) 신호는 무선 전력 수신기(450)의 충전을 인에이블/디스에이블하는 정보 및 허여(permission)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PRU 제어 신호는 충전 상태가 변경될 때마다 송신될 수 있다. PRU 제어 신호는 예를 들어 250ms 마다 송신될 수 있거나, 파라미터 변화가 있을 때 송신될 수 있다. PRU 제어 신호는 파라미터가 변경되지 않더라도 기설정된 임계 시간, 예를 들어 1초 이내에는 송신되어야 하도록 설정될 수도 있다.
무선 전력 수신기(400)는 PRU 제어(control) 신호에 따라서 설정을 변경하고, 무선 전력 수신기(450)의 상태를 보고하기 위한 무선 전력 수신기 다이내믹(PRU Dynamic)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S418, S419). 무선 전력 수신기(450)가 송신하는 PRU 다이내믹(PRU Dynamic) 신호는 전압, 전류, 무선 전력 수신기 상태 및 온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무선 전력 수신기(450)의 상태를 On 상태로 명명할 수 있다.
한편, PRU 다이내믹(Dynamic) 신호는 하기 <표 1>과 같은 데이터 구조를 가질 수 있다.
Figure pat00001
상기 <표 1>에서와 같이, PRU 다이내믹(Dynamic) 신호는 적어도 하나의 필드로 구성될 수 있다. 각 필드에는 선택적 필드 정보, 무선 전력 수신기의 정류부의 후단의 전압 정보, 무선 전력 수신기의 정류부의 후단의 전류 정보, 무선 전력 수신기의 DC/DC 컨버터의 후단의 전압 정보, 무선 전력 수신기의 DC/DC 컨버터의 후단의 전류 정보, 온도 정보, 무선 전력 수신기의 정류부의 후단의 최소 전압값 정보(VRECT_MIN_DYN), 무선 전력 수신기의 정류부의 후단의 최적 전압값 정보(VRECT _SET_ DYN), 무선 전력 수신기의 정류부의 후단의 최대 전압값 정보(VRECT _HIGH_ DYN) 및 경고 정보(PRU alert) 등이 설정될 수 있다. PRU 다이내믹(Dynamic) 신호는 상기와 같은 필드들 중 적어도 하나의 필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충전 상황에 따라 결정된 적어도 하나의 전압 설정값들(예컨대, 무선 전력 수신기의 정류부의 후단의 최소 전압값 정보(VRECT _MIN_ DYN), 무선 전력 수신기의 정류부의 후단의 최적 전압값 정보(VRECT _SET_ DYN), 무선 전력 수신기의 정류부의 후단의 최대 전압값 정보(VRECT _HIGH_ DYN) 등)을 상기 PRU 다이내믹 신호의 해당 필드에 포함하여 전송할 수 있다. 이와 같이, PRU 다이내믹 신호를 수신한 무선 전력 송신기는 상기 PRU 다이내믹 신호에 포함된 상기 전압 설정값들을 참조하여 각 무선 전력 수신기로 전송할 무선 충전 전압을 조정할 수 있다.
그 중에서도 경고 정보(PRU Alert)는 하기의 <표 2>와 같은 데이터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Figure pat00002
상기 <표 2>를 참조하면, 상기 경고 정보(PRU Alert)는 재시작 요청(restart request)을 위한 비트와, 전환(transition)을 위한 비트 및 유선 충전 어댑터 인입 감지(TA(Travel Adapter) detect)를 위한 비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TA detect는 무선 전력 수신기가 무선 충전을 제공하는 무선 전력 송신기에서 유선 충전을 위한 단자가 연결되었음을 알리는 비트를 나타낸다. 상기 전환을 위한 비트는 무선 전력 수신기의 통신 IC(Intergrated Circit)가 SA(stand alone) 모드에서 NSA(non stand alone) 모드로 전환하기 전에 무선 전력 수신기가 리셋(reset)됨을 무선 전력 송신기에게 알리는 비트를 나타낸다. 마지막으로, 재시작 요청(restart request)은 과전류나 온도 초과 상태가 발생하여 무선 전력 송신기가 송신 전력을 줄여 충전이 끊어지게 되었다가 정상 상태로 돌아오면, 무선 전력 송신기가 무선 전력 수신기로 충전을 재개할 준비가 되었음을 알리는 비트를 나타낸다.
또한, 경고 정보(PRU Alert)는 하기의 <표 3>과 같은 데이터 구조로도 형성될 수 있다.
Figure pat00003
상기 <표 3>을 참조하면, 경고 정보는, 과전압(over-voltage), 과전류(over-current), 과온도(over-temperature), 무선 전력 수신기 셀프 보호(PRU Self Protection), 충전 완료(charge complete), 유선 충전 감지(Wired Charger Detect), 모드 전환(Mode Transition)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과전압(over voltage) 필드에 ‘1’이 설정되면, 이는 무선 전력 수신기에서의 전압 Vrect이 과전압 한계를 초과했음을 나타낼 수 있다. 이외에 과전류(over current), 과온도(over temperature)는 과전압에서와 같은 방식으로 설정될 수 있다. 또한, 무선 전력 수신기 셀프 보호(PRU Self Protection)는 무선 전력 수신기가 직접 로드에 걸리는 전력을 줄임으로써 보호하는 것을 의미하며, 이러한 경우 무선 전력 송신기는 충전 상태를 변경할 필요가 없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모드 전환(Mode Transition)을 위한 비트(bits)는 모드 전환 절차가 진행되는 기간을 무선 전력 송신기에 통지하기 위한 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이러한 모드 전환 기간을 나타내는 비트는 하기 <표 4>와 같이 나타낼 수 있다.
Figure pat00004
상기 <표 4>를 참조하면, ‘00’은 모드 전환이 없음을 나타내며, ‘01’은 모드 전환을 완료하기 위해 요구되는 시간이 최대 2초라는 것을 나타내며, ‘10’은 모드 전환을 완료하기 위해 요구되는 시간이 최대 3초라는 것을 나타내며, ‘11’은 모드 전환을 완료하기 위해 요구되는 시간이 최대 6초라는 것을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어, 모드 전환을 완료하기 위해 3초 이하의 시간이 소요되는 경우, 모드 전환 비트는 ‘10’으로 설정될 수 있다. 이러한 모드 전환 절차의 시작에 앞서, 무선 전력 수신기는 1.1 W 전력 드로우(draw)를 맞추도록 입력 임피던스 설정을 변경하여 모드 전환 절차 동안에 어떠한 임피던스 변화가 없도록 제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무선 전력 송신기는 이러한 설정에 맞추어 무선 전력 수신기에 대한 전력(ITX_COIL)을 조정하며, 이에 따라 모드 전환 기간 동안에 무선 전력 수신기에 대한 전력(ITX_COIL)을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모드 전환 비트에 의해 모드 전환 기간이 설정되면, 무선 전력 송신기는 그 모드 전환 시간 예컨대, 3초 동안에는 무선 전력 수신기에 대한 전력(ITX_COIL)을 유지할 수 있다. 즉, 3초 동안에 무선 전력 수신기로부터 응답이 수신되지 않더라도 연결을 유지할 수 있다. 하지만 모드 전환 시간이 경과한 이후에는 그 무선 전력 수신기를 이물질(rouge object)이라고 간주하여 전력 전송을 종료할 수 있다.
한편, 무선 전력 수신기(450)는 에러 발생을 감지할 수 있다. 무선 전력 수신기(450)는 경고 신호를 무선 전력 송신기(400)로 송신할 수 있다(S420). 경고 신호는 PRU 다이내믹(PRU Dynamic) 신호로 송신되거나 또는 경고(alert) 신호로 송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전력 수신기(450)는 상기 표 1의 PRU alert 필드에 에러 상황을 반영하여 무선 전력 송신기(400)로 송신할 수 있다. 또는 무선 전력 수신기(450)는 에러 상황을 지시하는 단독 경고 신호를 무선 전력 송신기(400)로 송신할 수도 있다. 무선 전력 송신기(400)는 경고 신호를 수신하면, 랫치 실패(Latch Fault) 모드로 진입할 수 있다(S422). 무선 전력 수신기(450)는 널(Null) 상태로 진입할 수 있다(S423).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한 무선 전력 송신기 및 무선 전력 수신기의 동작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5의 제어 방법은 도 6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6은 도 5의 실시 예에 의한 무선 전력 송신기가 인가하는 전력량의 시간 축에 대한 그래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선 전력 송신기는 구동을 개시할 수 있다(S501). 아울러, 무선 전력 송신기는 초기 설정을 리셋할 수 있다(S503). 무선 전력 송신기는 전력 절약 모드에 진입할 수 있다(S505). 여기에서, 전력 절약 모드는, 무선 전력 송신기가 전력 송신부에 전력량이 상이한 이종의 전력을 인가하는 구간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전력 송신기는 도 6에서의 제 2 검출 전력(601, 602) 및 제 3 검출 전력(611, 612, 613, 614, 615)을 전력 송신부에 인가하는 구간일 수 있다. 여기에서, 무선 전력 송신기는 제 2 검출 전력(601, 602)을 제 2 주기로 주기적으로 인가할 수 있으며, 제 2 검출 전력(601, 602)을 인가하는 경우에는 제 2 기간 동안 인가할 수 있다. 무선 전력 송신기는 제 3 검출 전력(611, 612, 613, 614, 615)을 제 3 주기로 주기적으로 인가할 수 있으며, 제 3 검출 전력(611, 612, 613, 614, 615)을 인가하는 경우에는 제 3 기간 동안 인가할 수 있다. 한편, 제 3 검출 전력(611, 612, 613, 614, 615)의 각각의 전력 값은 상이한 것과 같이 도시되어 있지만, 제 3 검출 전력(611, 612, 613, 614, 615)의 각각의 전력 값은 상이할 수도 있으며 또는 동일할 수도 있다.
무선 전력 송신기는 제 3 검출 전력(611)을 출력한 이후에 동일한 크기의 전력량을 가지는 제 3 검출 전력(612)을 출력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무선 전력 송신기가 동일한 크기의 제 3 검출 전력을 출력하는 경우, 제 3 검출 전력의 전력량은 가장 소형의 무선 전력 수신기, 예를 들어 카테고리 1의 무선 전력 수신기를 검출할 수 있는 전력량을 가질 수 있다.
반면, 무선 전력 송신기는 제 3 검출 전력(611)을 출력한 이후에 상이한 크기의 전력량을 가지는 제 3 검출 전력(612)을 출력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무선 전력 송신기가 상이한 크기의 제 3 검출 전력을 출력하는 경우, 제 3 검출 전력의 전력량 각각은 카테고리 1 내지 5의 무선 전력 수신기를 검출할 수 있는 전력량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3 검출 전력(611)은 카테고리 5의 무선 전력 수신기를 검출할 수 있는 전력량을 가질 수 있으며, 제 3 검출 전력(612)은 카테고리 3의 무선 전력 수신기를 검출할 수 있는 전력량을 가질 수 있으며, 제 3 검출 전력(613)은 카테고리 1의 무선 전력 수신기를 검출할 수 있는 전력량을 가질 수 있다.
한편, 제 2 검출 전력(601, 602)은 무선 전력 수신기를 구동시킬 수 있는 전력일 수 있다. 더욱 상세하게는, 제 2 검출 전력(601, 602)은 무선 전력 수신기의 제어부 및/또는 통신부를 구동시킬 수 있는 전력량을 가질 수 있다.
무선 전력 송신기는 제 2 검출 전력(601, 602) 및 제 3 검출 전력(611, 612, 613, 614, 615)을 전력 수신부로 각각 제 2 주기 및 제 3 주기로 인가할 수 있다. 무선 전력 송신기 상에 무선 전력 수신기가 배치되는 경우, 무선 전력 송신기의 일 지점에서 바라보는 임피던스가 변화될 수 있다. 무선 전력 송신기는 제 2 검출 전력(601, 602) 및 제 3 검출 전력(611, 612, 613, 614, 615)이 인가되는 중 임피던스 변화를 검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전력 송신기는 제 3 검출 전력(615)을 인가하는 중, 임피던스가 변화되는 것을 검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무선 전력 송신기는 물체를 검출할 수 있다(S507). 물체가 검출되지 않는 경우에는(S507-N), 무선 전력 송신기는 이종의 전력을 주기적으로 인가하는 전력 절약 모드를 유지할 수 있다(S505).
한편, 임피던스가 변화되어 물체가 검출되는 경우에는(S507-Y), 무선 전력 송신기는 저전력 모드로 진입할 수 있다. 여기에서, 저전력 모드는 무선 전력 송신기가 무선 전력 수신기의 제어부 및 통신부를 구동시킬 수 있는 전력량을 가진 구동 전력을 인가하는 모드이다. 예를 들어 도 6에서는, 무선 전력 송신기는 구동 전력(620)을 전력 송신부에 인가할 수 있다. 무선 전력 수신기는 구동 전력(620)을 수신하여 제어부 및/또는 통신부를 구동할 수 있다. 무선 전력 수신기는 구동 전력(620)에 기초하여 무선 전력 송신기와 소정의 방식에 기초하여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전력 수신기는 인증에 요구되는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으며, 이에 기초하여 무선 전력 송신기가 관장하는 무선 전력 네트워크에 가입할 수 있다. 다만, 무선 전력 수신기가 아닌 이물질이 배치되는 경우에는, 데이터 송수신이 수행될 수 없다. 이에 따라, 무선 전력 송신기는 배치된 물체가 이물질인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S511). 예를 들어, 무선 전력 송신기는 기설정된 시간 동안 물체로부터 응답을 수신하지 못한 경우, 물체를 이물질로 결정할 수 있다.
이물질로 결정된 경우에는(S511-Y), 무선 전력 송신기는 랫치 실패(latch fault) 모드로 진입할 수 있다(S513). 반면, 이물질이 아닌 것으로 결정된 경우에는(S511-N), 가입 단계를 진행할 수 있다(S519). 예를 들면, 무선 전력 송신기는 도 6에서의 제 1 전력(631 내지 634)을 제 1 주기로 주기적으로 인가할 수 있다. 무선 전력 송신기는 제 1 전력을 인가하는 중에 임피던스 변화를 검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물질이 회수되는 경우에는(S515-Y) 임피던스 변화를 검출할 수 있으며, 무선 전력 송신기는 이물질이 회수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는 이물질이 회수되지 않는 경우에는(S515-N), 무선 전력 송신기는 임피던스 변화를 검출할 수 없으며, 무선 전력 송신기는 이물질이 회수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물질이 회수되지 않는 경우에는, 무선 전력 송신기는 램프 및 경고음 중 적어도 하나를 출력하여 현재의 무선 전력 송신기의 상태가 에러 상태임을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다. 이에 따라, 무선 전력 송신기는 램프 및 경고음 중 적어도 하나를 출력하는 출력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물질이 회수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S515-N), 무선 전력 송신기는 랫치 실패 모드를 유지할 수 있다(S513). 한편, 이물질이 회수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S515-Y), 무선 전력 송신기는 전력 절약 모드로 재진입할 수 있다(S517). 예를 들어, 무선 전력 송신기는 도 6의 제 2 전력(651, 652) 및 제 3 전력(661 내지 665)을 인가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무선 전력 송신기는, 무선 전력 수신기가 아닌 이물질이 배치된 경우에 랫치 실패 모드로 진입할 수 있다. 아울러, 무선 전력 송신기는 랫치 실패 모드에서 인가하는 전력에 기초한 임피던스 변화에 의거하여 이물질의 회수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즉, 도 5 및 6의 실시 예에서의 랫치 실패 모드 진입 조건은 이물질의 배치일 수 있다. 한편, 무선 전력 송신기는 이물질의 배치 이외에도 다양한 랫치 실패 모드 진입 조건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전력 송신기는 배치된 무선 전력 수신기와 교차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의 경우에서도 랫치 실패 모드로 진입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무선 전력 송신기는 교차 연결 발생 시, 초기 상태로의 복귀가 요구되며, 무선 전력 수신기의 회수가 요구된다. 무선 전력 송신기는 다른 무선 전력 송신기상에 배치되는 무선 전력 수신기가 무선 전력 네트워크에 가입되는 교차 연결을 랫치 실패 모드 진입 조건으로 설정할 수 있다. 교차 연결을 포함하는 에러 발생 시의 무선 전력 송신기의 동작을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무선 전력 송신기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7의 제어 방법은 도 8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8은 도 7의 실시 예에 의한 무선 전력 송신기가 인가하는 전력량의 시간 축에 대한 그래프이다.
무선 전력 송신기는 구동을 개시할 수 있다(S701). 아울러, 무선 전력 송신기는 초기 설정을 리셋할 수 있다(S703). 무선 전력 송신기는 전력 절약 모드에 진입할 수 있다(S705). 여기에서, 전력 절약 모드는, 무선 전력 송신기가 전력 송신부에 전력량이 상이한 이종의 전력을 인가하는 구간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전력 송신기는 도 8에서의 제 2 검출 전력(801, 802) 및 제 3 검출 전력(811, 812, 813, 814, 815)을 전력 송신부에 인가하는 구간일 수 있다. 여기에서, 무선 전력 송신기는 제 2 검출 전력(801, 802)을 제 2 주기로 주기적으로 인가할 수 있으며, 제 2 검출 전력(801, 802)을 인가하는 경우에는 제 2 기간 동안 인가할 수 있다. 무선 전력 송신기는 제 3 검출 전력(811, 812, 813, 814, 815)을 제 3 주기로 주기적으로 인가할 수 있으며, 제 3 검출 전력(811, 812, 813, 814, 815)을 인가하는 경우에는 제 3 기간 동안 인가할 수 있다. 한편, 제 3 검출 전력(811, 812, 813, 814, 815)의 각각의 전력 값은 상이한 것과 같이 도시되어 있지만, 제 3 검출 전력(811, 812, 813, 814, 815)의 각각의 전력 값은 상이할 수도 있으며 또는 동일할 수도 있다.
한편, 제 2 검출 전력(801, 802)은 무선 전력 수신기를 구동시킬 수 있는 전력일 수 있다. 더욱 상세하게는, 제 2 검출 전력(801, 802)은 무선 전력 수신기의 제어부 및/또는 통신부를 구동시킬 수 있는 전력량을 가질 수 있다.
무선 전력 송신기는 제 2 검출 전력(801, 802) 및 제 3 검출 전력(811, 812, 813, 814, 815)을 전력 수신부로 각각 제 2 주기 및 제 3 주기로 인가할 수 있다. 무선 전력 송신기 상에 무선 전력 수신기가 배치되는 경우, 무선 전력 송신기의 일 지점에서 바라보는 임피던스가 변화될 수 있다. 무선 전력 송신기는 제 2 검출 전력(801, 802) 및 제 3 검출 전력(811, 812, 813, 814, 815)이 인가되는 중 임피던스 변화를 검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전력 송신기는 제 3 검출 전력(815)을 인가하는 중, 임피던스가 변화되는 것을 검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무선 전력 송신기는 물체를 검출할 수 있다(S707). 물체가 검출되지 않는 경우에는(S707-N), 무선 전력 송신기는 이종의 전력을 주기적으로 인가하는 전력 절약 모드를 유지할 수 있다(S705).
한편, 임피던스가 변화되어 물체가 검출되는 경우에는(S707-Y), 무선 전력 송신기는 저전력 모드로 진입할 수 있다(S709). 여기에서, 저전력 모드는 무선 전력 송신기가 무선 전력 수신기의 제어부 및/또는 통신부를 구동시킬 수 있는 전력량을 가진 구동 전력을 인가하는 모드이다. 예를 들어 도 8에서는, 무선 전력 송신기는 구동 전력(820)을 전력 송신부에 인가할 수 있다. 무선 전력 수신기는 구동 전력(820)을 수신하여 제어부 및/또는 통신부를 구동할 수 있다. 무선 전력 수신기는 구동 전력(820)에 기초하여 무선 전력 송신기와 소정의 방식에 기초하여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전력 수신기는 인증에 요구되는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으며, 이에 기초하여 무선 전력 송신기가 관장하는 무선 전력 네트워크에 가입할 수 있다.
이후, 무선 전력 송신기는 충전 전력을 송신하는 전력 송신 모드로 진입할 수 있다(S711). 예를 들어, 무선 전력 송신기는 도 8에서와 같이 충전 전력(821)을 인가할 수 있으며, 충전 전력은 무선 전력 수신기로 송신될 수 있다.
무선 전력 송신기는 전력 송신 모드에서, 에러가 발생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여기에서, 에러는 무선 전력 송신기 상에 이물질이 배치되는 것, 교차 연결, 과전압(over-voltage), 과전류(over-current), 과온도(over-temperature) 등일 수 있다. 무선 전력 송신기는 과전압(over-voltage), 과전류(over-current), 과온도(over-temperature) 등을 측정할 수 있는 센싱부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전력 송신기는 기준 지점의 전압 또는 전류를 측정할 수 있으며, 측정된 전압 또는 전류가 임계값을 초과하는 것을 과전압 또는 과전류 조건이 충족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는 무선 전력 송신기는 온도 센싱 수단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온도 센싱 수단은 무선 전력 송신기의 기준 지점의 온도를 측정할 수 있다. 기준 지점의 온도가 임계값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무선 전력 송신기는 과온도 조건이 충족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온도, 전압, 전류 등의 측정값에 따라 과전압, 과전류, 과온도 등의 상태로 판단될 경우, 무선 전력 송신기는 무선 충전 전력을 미리 설정된 값만큼 낮춤으로써 과전압, 과전류, 과온도를 방지한다. 이때, 낮춰진 무선 충전 전력의 전압값이 설정된 최솟값(예컨대, 무선 전력 수신기 정류부 후단의 최소 전압값(VRECT_MIN_DYN))보다 낮아지면 무선 충전이 중단되므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전압 설정값을 재조정할 수 있다.
도 8의 실시 예에서는, 무선 전력 송신기 상에 이물질이 추가적으로 배치되는 에러가 도시되었지만, 에러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이물질이 배치되는 것, 교차 연결, 과전압(over-voltage), 과전류(over-current), 과온도(over-temperature)에 대하여서도 무선 전력 송신기가 유사한 과정으로 동작함을 당업자는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에러가 발생하지 않으면(S713-N), 무선 전력 송신기는 전력 송신 모드를 유지할 수 있다(S711). 한편, 에러가 발생하면(S713-Y), 무선 전력 송신기는 랫치 실패 모드로 진입할 수 있다(S715). 예를 들어, 무선 전력 송신기는 도 8과 같이 제 1 전력(831 내지 835)를 인가할 수 있다. 아울러, 무선 전력 송신기는 랫치 실패 모드 동안 램프 및 경고음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 에러 발생 표시를 출력할 수 있다. 이물질 또는 무선 전력 수신기가 회수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S717-N), 무선 전력 송신기는 랫치 실패 모드를 유지할 수 있다(S715). 한편, 이물질 또는 무선 전력 수신기가 회수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S717-Y), 무선 전력 송신기는 전력 절약 모드로 재진입할 수 있다(S719). 예를 들어, 무선 전력 송신기는 도 8의 제 2 전력(851,852) 및 제 3 전력(861 내지 865)을 인가할 수 있다.
이상에서, 무선 전력 송신기가 충전 전력을 송신하는 중 에러가 발생한 경우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이하에서는, 무선 전력 송신기 상에 복수의 무선 전력 수신기가 충전 전력을 수신하는 경우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무선 전력 송신기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9의 제어 방법은 도 10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10은 도 9의 실시 예에 의한 무선 전력 송신기가 인가하는 전력량의 시간 축에 대한 그래프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선 전력 송신기는 제 1 무선 전력 수신기(RX1)로 충전 전력을 송신할 수 있다(S901). 아울러, 무선 전력 송신기는 추가적으로 제 2 무선 전력 수신기(RX2)를 무선 전력 네트워크로 가입시킬 수 있다(S903). 또한, 무선 전력 송신기는 제 2 무선 전력 수신기에도 충전 전력을 송신할 수 있다(S905). 더욱 상세하게는, 무선 전력 송신기는 제 1 무선 전력 수신기 및 제 2 무선 전력 수신기가 요구하는 충전 전력의 합계를 전력 수신부에 인가할 수 있다.
도 10에서는 상기의 S901 단계 내지 S905 단계에 대한 일 실시 예가 도시된다. 예를 들어, 무선 전력 송신기는 제 2 검출 전력(1001, 1002) 및 제 3 검출 전력(1011 내지 1015)을 인가하는 전력 절약 모드를 유지할 수 있다. 이후, 무선 전력 송신기는 제 1 무선 전력 수신기를 검출하고, 검출 전력(1020)을 유지하는 저전력 모드로 진입할 수 있다. 이후, 무선 전력 송신기는 제 1 충전 전력(1030)을 인가하는 전력 송신 모드로 진입할 수 있다. 무선 전력 송신기는 제 2 무선 전력 수신기를 검출할 수 있으며, 제 2 무선 전력 수신기를 무선 전력 네트워크에 가입시킬 수 있다. 아울러, 무선 전력 송신기는 제 1 무선 전력 수신기 및 제 2 무선 전력 수신기가 요구하는 전력량의 합계의 전력량을 가지는 제 2 충전 전력(1040)을 인가할 수 있다.
다시 도 9를 참조하면, 무선 전력 송신기는 제 1 및 제 2 무선 전력 수신기 양자에 충전 전력을 송신하는 중(S905), 에러 발생을 검출할 수 있다(S907). 여기에서, 에러는 상술한 바와 같이, 이물질 배치, 교차 연결, 과전압(over-voltage), 과전류(over-current), 과온도(over-temperature) 등일 수 있다. 에러가 발생하지 않으면(S907-N), 무선 전력 송신기는 제 2 충전 전력(1040)의 인가를 유지할 수 있다.
한편, 에러가 발생하면(S907-Y), 무선 전력 송신기는 랫치 실패 모드로 진입할 수 있다(S909). 예를 들어, 무선 전력 송신기는 도 10의 제 1 전력(1051 내지 1055)을 제 1 주기로 인가할 수 있다. 무선 전력 송신기는 제 1 무선 전력 수신기 및 제 2 무선 전력 수신기 모두가 회수되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S911). 예를 들어, 무선 전력 송신기는 제 1 전력(1051 내지 1055)의 인가 중 임피던스 변화를 검출할 수 있다. 무선 전력 송신기는 임피던스가 초기 수치로 복귀하는지 여부에 기초하여 제 1 무선 전력 수신기 및 제 2 무선 전력 수신기 모두가 회수되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제 1 무선 전력 수신기 및 제 2 무선 전력 수신기 모두가 회수된 것으로 판단되면(S911-Y), 무선 전력 송신기는 전력 절약 모드로 진입할 수 있다(S913). 예를 들어, 무선 전력 송신기는 도 10과 같이 제 2 검출 전력(1061, 1062) 및 제 3 검출 전력(1071 내지 1075)을 각각 제 2 주기 및 제 3 주기로 인가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무선 전력 송신기는 복수 개의 무선 전력 수신기에 충전 전력을 인가하는 경우에 있어서도, 에러 발생 시 용이하게 무선 전력 수신기 또는 이물질이 회수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SA(stand alone) 모드에서의 무선 전력 송신기 및 무선 전력 수신기의 블록도이다.
무선 전력 송신기(1100)는 통신부(1110), 전력 증폭기(power amplifier, PA)(1120) 및 공진기(resonator)(1130)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전력 수신기(1150)는 통신부(WPT Communication IC)(1151),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Application Processor; AP)(1152), 전력 관리 집적회로(Power Management Integrated Circuit; PMIC)(1153), 무선 전력 집적회로(Wireless Power Integrated Circuit; WPIC)(1154), 공진기(resonator)(1155), 인터페이스 전력 관리 집적회로(Interface Power Management IC; IFPM)(1157), 유선 충전 어댑터(Travel Adapter; TA)(1158) 및 배터리(1159)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전력 송신기(1100)의 통신부(1110)는 와이파이(WiFi)/블루투스(BT) 콤보(Combo) IC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무선 전력 수신기(1150)의 통신부(1151)와 소정의 방식, 예를 들어 BLE 방식에 기초하여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전력 수신기(1150)의 통신부(1151)는 전술한 <표 1>의 데이터 구조를 가지는 PRU 다이내믹(PRU Dynamic) 신호를 무선 전력 송신기(1100)의 통신부(1110)로 송신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PRU 다이내믹 신호는 무선 전력 수신기(1150)의 전압 정보, 전류 정보, 온도 정보 및 경고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수신된 PRU 다이내믹 신호에 기초하여, 전력 증폭기(1120)로부터의 출력 전력 값이 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전력 수신기(1150)에 과전압, 과전류, 과온도가 인가되면, 전력 증폭기(1120)로부터 출력되는 전력 값이 감소될 수 있다. 아울러, 무선 전력 수신기(1150)의 전압 또는 전류가 기설정된 값 미만인 경우에는 전력 증폭기(1120)로부터 출력되는 전력 값이 증가될 수 있다.
무선 전력 송신기(1100)의 공진기(1130)로부터의 충전 전력은 무선 전력 수신기(1150)의 공진기(1155)에 무선으로 송신될 수 있다.
무선 전력 집적회로(1154)는 공진기(1155)로부터 수신된 충전 전력을 정류하고, DC/DC 컨버팅할 수 있다. 무선 전력 집적회로(1154)는 컨버팅된 전력으로 통신부(1151)를 구동하거나 또는 배터리(1159)를 충전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유선 충전 어댑터(1158)에는 유선 충전 단자가 인입될 수 있다. 유선 충전 어댑터(1158)는 30핀 커넥터 또는 USB 커넥터 등의 유선 충전 단자가 인입될 수 있으며, 외부 전원으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을 수신하여 배터리(1159)를 충전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 전력 관리 집적회로(1157)는 유선 충전 단자로부터 인가되는 전력을 처리하여 배터리(1159) 및 전력 관리 집적회로(1153)로 출력할 수 있다.
전력 관리 집적회로(1153)는 무선으로 수신된 전력 또는 유선으로 수신된 전력과 무선 전력 수신기(1150)의 구성 요소 각각에 인가되는 전력을 관리할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1152)는 전력 관리 집적회로(1153)로부터 전력 정보를 수신하여, 이를 보고하기 위한 PRU 다이내믹(PRU Dynamic) 신호를 송신하도록 통신부(1151)를 제어할 수 있다.
무선 전력 집적회로(1154)에 연결되는 노드(1156)에는 유선 충전 어댑터(1158)에도 연결될 수 있다. 유선 충전 어댑터(1158)에 유선 충전 커넥터가 인입되는 경우에는, 노드(1156)에 기설정된 전압, 예를 들어 5V가 인가될 수 있다. 무선 전력 집적회로(1154)는 노드(1156)에 인가되는 전압을 모니터링하여 유선 충전 어댑터의 인입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한편,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1152)는 미리 정해진 통신 방식의 스택 예컨대, WiFi/BT/BLE 스택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무선 충전을 위한 통신 시 통신부(1151)는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1152)로부터 이러한 스택을 로드한 후, 그 스택을 기반으로 BT, BLE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무선 전력 송신기(1100)의 통신부(1110)와 통신할 수 있다.
하지만,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1152)가 전원 오프된 상태에서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1152)로부터 무선 전력 전송을 수행하기 위한 데이터를 가져올 수 없는 상태 또는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1152) 내의 메모리로부터 그 데이터를 가져와서 사용하는 도중에 그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1152)의 온 상태를 유지할 수 없을 정도로 전력이 소실된 상태가 발생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배터리(1159)의 잔여 용량이 최소 전력 임계값 미만이 되면,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1152)가 꺼지게 되며, 무선 전력 수신기 내부에 배치된 무선 충전을 위한 일부 구성 요소 예컨대, 통신부(1151), 무선 전력 집적 회로(1154), 공진기(1155) 등을 이용하여 무선 충전을 할 수 있다. 여기서,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1152)를 켤 수 있는 정도의 전원을 공급할 수 없는 상태를 데드(dead) 배터리 상태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데드 배터리 상태에서는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1152)는 구동되지 않기 때문에 통신부(1151)는 미리 정해진 통신 방식의 스택 예컨대, WiFi/BT/BLE 스택을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1152)로부터 입력받을 수 없다. 이러한 경우를 대비하여 통신부(1151)의 메모리(1162) 내에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1152)로부터 상기 미리 정해진 통신 방식의 스택 중 일부의 스택 예컨대, BLE 스택을 패치(fetch)하여 저장해놓을 수 있다. 이에 따라 통신부(1151)는 메모리(1162)에 저장한 상기 통신 방식의 스택 즉, 무선 충전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무선 충전을 위한 무선 전력 송신기(1100)와의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통신부(1151)는 그 내부의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는데, SA 모드에서 BLE 스택은 롬 형태의 메모리에 저장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통신부(1151)가 메모리(1162)에 저장한 상기 통신 방식의 스택을 이용하여 통신을 수행하는 것을 SA(stand alone) 모드라고 명명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통신부(1151)는 BLE 스택을 기반으로 충전 절차를 관리할 수 있다.
이상으로 도 1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는 무선 충전 시스템의 개념을 설명하였다. 다음으로 도 12 내지 도 1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무선 충전 시스템에서의 무선 전력 전송 방법, 무선 전력 송신기, 및 무선 전력 수신기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은 하나의 무선 전력 송신기에서 복수의 무선 전력 수신기들로 충전 전력을 전송할 때, 상기 복수의 무선 전력 수신기들 중 기준 무선 전력 수신기(이하, 설명의 편의상 '도미넌트(dominant) 무선 전력 수신기'라 한다.)를 결정하는 다양한 방법들을 개시한다.
예컨대, 하나의 무선 전력 송신기에서 하나의 무선 전력 수신기로 충전 전력을 전송할 때, 해당 무선 전력 수신기에 대해 VRECT _MIN_ERROR 전력 추적(power tracking)에 의해 최적의 충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그러나, 하나의 무선 전력 송신기에서 복수의 무선 전력 수신기를 동시에 충전할 경우, 도미넌트 무선 전력 수신기를 설정함으로써 충전 전력을 효율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상기 도미넌트 무선 전력 수신기를 결정하는 하나의 방법으로서 최고 비율 이용 방법(highest percentage utilization method)이 있다. 상기 방법은 대부분의 경우 효율적인 성능을 제공하고 있으나, 상이한 온도 설정 또는 소실(dissipation)을 갖는 복수의 무선 전력 수신기의 경우에는 효율적으로 동작하지 않을 수도 있다. 예컨대, 상기 방법에 의해 결정된 도미넌트 무선 전력 수신기는 최적의 도미넌트 무선 전력 수신기가 아닐 수도 있으며, 충전 중 다른 무선 전력 수신기의 온도가 지나치게 높아질 수도 있다.
예컨대, 무선 전력 수신기의 온도는 도미넌트 무선 전력 수신기를 결정하는 데에 중요한 요소(factor)가 될 수 있다. 따라서, 후술하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는 상기 무선 전력 수신기의 온도를 고려하여 도미넌트 무선 전력 수신기를 설정할 수 있다.
또한, 공진기의 커플링 효율 차이는 각 PRU에서 VRECT의 차이를 발생시킬 수 있다. 어떤 무선 전력 수신기는 높은 이용 효율을 가질 수 있으나, VRECT가 VRECT _HIGH 아래로 큰 마진(margin)을 가질 수 있으며, 어떤 무선 전력 수신기의 VRECT는 마진을 갖지 않을 수 있다. VRECT는 각 무선 전력 수신기 및 무선 전력 송신기의 조합에서 다양할 수 있기 때문에, VRECT 및 VRECT _HIGH 마진은 도미넌트 무선 전력 수신기를 결정하는 데에 주요한 요소 중 하나가 될 수 있다.
무선 충전 전력 제어의 한 방법으로서 VRECT _MIN_ERROR 방법은 무선 전력 송신기가 무선 전력 수신기로부터 정적 파라미터(Static Parameter)로 전달받은 VRECT_SET_STATIC 값 또는 동적 파라미터(Dynamic Parameter)로 전달받은 VRECT _SET_DYNAMIC에 현재 동적 파라미터로 등록되고 있는 실제 VRECT가 근접하도록 출력 전력을 조절하는 방법이다.
한편, 무선 전력 송신기가 2개 이상의 무선 전력 수신기를 동시에 충전하는 다중 충전의 경우, 복수의 무선 전력 수신기들 중 하나를 도미넌트 무선 전력 수신기로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도미넌트 무선 전력 수신기의 현재의 VRECT가 VRECT _SET 값에 근접하도록 송신 전력 또는 Itx를 조절할 수 있다. 즉 EVRECT = |VRECT - VRECT _SET|가 최소가 되도록 조절할 수 있다.
도미넌트 무선 전력 수신기를 설정하는 방법들 중 가장 사용률이 높은 무선 전력 수신기(예컨대, PRECT / PRECT _MAX 가 최대인 무선 전력 수신기)를 도미넌트 무선 전력 수신기로 결정하는 방법이 있다.
이때, VRECT _SET은 무선 전력 수신기의 동작이나 충전에 가장 적합한 전압으로 설정 될 수 있으며, 도미넌트 무선 전력 수신기로 결정되지 않은 무선 전력 수신기경우 커플링(coupling) 위치나 매칭 상태에 따라 VRECT가 너무 높아지거나 발열이 발생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도미넌트 무선 전력 수신기의 결정 방법들을 설명하기로 한다.
<발열 비율에 기반한 도미넌트 무선 전력 수신기 결정>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무선 전력 송신기로부터 충전 전력을 수신하는 복수의 무선 전력 수신기들 중 발열 비율이 가장 높은 무선 전력 수신기를 도미넌트 무선 전력 수신기로 결정할 수 있다.
예컨대, 무선 전력 수신기에서 전송하는 PRU 정적 신호를 통해 PRU의 가용 최고 온도(TMAX)에 대한 정보를 무선 전력 송신기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무선 전력 수신기에서 전송하는 PRU 동작 신호 현재 무선 전력 수신기의 온도 정보를 무선 전력 송신기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무선 전력 송신기에서는 각 무선 전력 수신기로부터 수신된 가용 최고 온도 정보 및 현재 온도 정보를 이용하여 발열 비율을 산출할 수 있다. 상기 발열 비율 산출 방법은 다양하게 설정할 수 있으며, 예컨대 하기 <수학식 1>과 같이 발열 비율을 산출할 수 있다.
Figure pat00005
예컨대, 현재 무선 충전 수신기의 온도 상태 비율이 제일 작은 무선 충전 수신기가 가장 발열로 인해 OTP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으므로 상기 발열 비율이 가장 작은 무선 전력 수신기를 도미넌트 무선 전력 수신기로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실시 예에 따라 도미넌트 무선 전력 수신기를 결정하는 경우, 발열의 비율이 높은 무선 전력 수신기가 도미넌트 무선 전력 수신기가 되고, 무선 전력 송신기가 상기 도미넌트 무선 전력 수신기의 기준에 따라 송신 전력의 레벨을 맞춰주게 되면, 무선 전력 수신기는 최적의 VRECT에 가까워지게 되어 발열이 줄어들 수 있다. 따라서, 가장 발열 비율이 높은 무선 전력 수신기로 도미넌트 무선 전력 수신기가 결정되므로 보다 더 효율적인 발열 관리가 가능해질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무선 전력 송신기의 처리 절차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무선 전력 송신기(PTU)는 저전력 모드(1201)에서 무선 전력 수신기(PRU)로부터 PRU 정적 신호를 수신(1202)할 수 있다. 상기 PRU 정적 신호에는 하기 <표 5>에서와 같이 해당 무선 전력 수신기의 가용 최고 온도(TMAX)가 포함될 수 있다.
Figure pat00006
상기와 같이 무선 전력 수신기로부터 가용 최고 온도를 수신한 무선 전력 송신기는 각 무선 전력 수신기의 가용 최고 온도를 저장(1203)할 수 있다.
전력 송신 모드(1204)에서 상기 무선 전력 송신기는 충전 중인 복수의 각 무선 전력 수신기로부터 PRU 동적 신호를 수신(1205)할 수 있다. 상기 각 무선 전력 수신기로부터 수신되는 PRU 동적 신호에는 하기 <표 6>에서와 같이 해당 PRU의 현재 온도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Figure pat00007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상기 무선 전력 송신기는 각 무선 전력 수신기에 대해 상기 수신된 가용 최고 온도 및 현재 온도를 기반으로 발열 비율을 산출(1207)할 수 있다. 발열 비율 산출 방법은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으며, 예컨대, 전술한 <수학식 1>과 같이 산출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무선 전력 송신기는 상기 산출된 발열 비율에 기반하여 도미넌트 무선 전력 수신기를 결정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산출된 발열 비율이 가장 높은 무선 전력 수신기를 도미넌트 무선 전력 수신기로 결정(1208)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가장 발열 비율이 높은 무선 전력 수신기로 도미넌트 무선 전력 수신기를 변경함으로써 보다 효율적인 발열 관리가 가능해줄 수 있다. 무선 전력 송신기에서는 상기 결정된 도미넌트 무선 전력 수신기VRECT가 VRECT _SET에 근접하도록 송신 전력 또는 Itx를 조절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무선 전력 수신기의 처리 절차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저전력 모드(1301)에서 무선 전력 수신기의 가용 최고 온도(TMAX)를 PRU 정적 신호에 추가(1302)할 수 있다. 상기 가용 최고 온도가 추가된 PRU 정적 신호는 무선 전력 송신기로 전송(1303)된다.
상기 무선 전력 수신기가 충전되고 있는 전력 송신 모드(1304)에서 상기 무선 전력 수신기는 온도 센서 등에 의해 현재 온도를 센싱(1305)할 수 있다. 상기 센싱된 현재 온도는 PRU 동적 신호에 포함되어 무선 전력 송신기로 전송(1306)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전술한 바와 같이 PRU 온도의 최댓값과 현재 온도를 PRU 동적 신호 또는 PRU 정적 신호에 별도로 추가함으로써 PTU에게 알려주지 않고, PRU가 발열 비율을 산출하여 PTU에게 알려줄 수도 있다. 예컨대, 상기 PRU는 PRU 온도의 최댓값(TMAX) 및 측정된 현재 온도로부터 전술한 <수학식 1>에 의해 발열 비율(Tratio)을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비율을 PTU에게 전송할 수 있다. 상기 발명 비율(Tratio)은 하기 <표 7>과 같이 PRU 동적 신호에 추가여 전송할 수 있다.
Figure pat00008
상기 <표 7>에서 Tratio는 Tcurrent_temp / Totp_threshold의 온도 비율로 정의되며, Tcurrent temp는 현재 측정된 온도를 의미하고, Totp_threshold는 PRU 과온도 보호 임계값(over-temperature protection threshold)를 의미한다.
<충전 전압 비율에 기반한 도미넌트 무선 전력 수신기 결정>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VRECT 비율이 가장 높은 무선 전력 수신기를 도미넌트 무선 전력 수신기로 결정할 수도 있다.
무선 전력 수신기에서 전송하는 PRU 정적 신호에 포함된 해당 무선 전력 수신기의 VRECT _HIGH_STATIC 또는 PRU 동작 신호에 포함된 해당 무선 전력수신기의 VRECT_HIGH_DYN 과 현재 무선 전력 수신기의 VRECT의 비율이 제일 작은 무선 전력 수신기는 가장 발열이 심하거나 VHIGH를 초과할 가능성이 높다. 따라서, 이러한 조건을 만족하는 무선 전력 수신기를 도미넌트 무선 전력 수신기로 설정할 수 있다.
예컨대, 하기 <수학식 2>에 따라 무선 전력 수신기의 정류부 단의 전압 비율을 산출할 수 있다.
Figure pat00009
상기 VRECT _HIGH는 정류부 후단에서 측정된 전압값으로서, 최적의 전압 범위(optimum voltage range) 내에서 동작 시 최대 전압 값을 의미하며, 무선 전력 수신기에서 전송하는 PRU 정적 신호에 포함된 VRECT _HIGH_ STATIC 으로 설정될 수도 있으며, 상기 무선 전력 수신기에서 전송하는 PRU 동작 신호에 포함된 VRECT_HIGH_DYN 으로 설정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복수의 무선 전력 수신기들 중 상기 전압 비율이 가장 높은 무선 전력 수신기를 도미넌트 무선 전력 수신기로 결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VRECT의 차이 비율이 높은 무선 전력 수신기를 도미넌트 무선 전력 수신기로 설정하여 무선 전력 송신기의 송신 전력 레벨을 조절하면, 결정된 도미넌트 무선 전력 수신기는 최적의 VRECT에 가까워지게 되어 발열을 줄일 수 있으며, VRECT _HIGH를 초과할 가능성이 낮아지므로, 최적의 범위에서 충전 동작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무선 전력 송신기의 처리 절차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무선 전력 송신기(PTU)는 저전력 모드(1401)에서 무선 전력 수신기(PRU)로부터 PRU 정적 신호를 수신(1402)할 수 있다. 상기 PRU 정적 신호에는 하기 <표 8>에서와 같이 해당 무선 전력 수신기의 정류부 후단의 최대 전압값(VRECT_HIGH_STATIC)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Figure pat00010
상기와 같이 무선 전력 수신기로부터 최대 전압 값 정보를 수신한 무선 전력 송신기는 각 무선 전력 수신기의 최대 전압 값 정보를 저장(1403)할 수 있다.
전력 송신 모드(1404)에서 상기 무선 전력 송신기는 충전 중인 복수의 각 무선 전력 수신기로부터 PRU 동적 신호를 수신(1405)할 수 있다. 상기 각 무선 전력 수신기로부터 수신되는 PRU 동적 신호에는 하기 <표 9>에서와 같이 해당 PRU의 현재 정류부 후단의 전압(VRECT)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Figure pat00011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상기 무선 전력 송신기는 각 무선 전력 수신기에 대해 상기 수신된 최대 전압값 정보 및 현재 전압 정보를 확인(1406)하여 이를 기반으로 전압 비율을 산출(1407)할 수 있다. 상기 전압 비율 산출 방법은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으며, 예컨대, 전술한 <수학식 2>와 같이 산출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무선 전력 송신기는 상기 산출된 전압 비율에 기반하여 도미넌트 무선 전력 수신기를 결정(1408)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산출된 전압 비율이 가장 높은 무선 전력 수신기를 도미넌트 무선 전력 수신기로 결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전압 비율이 가장 높은 무선 전력 수신기로 도미넌트 무선 전력 수신기를 설정하여 무선 전력 송신기의 송신 전력 레벨을 조정하면, 도미넌트 무선 전력 수신기는 최적의 VRECT에 근접하게 되어 발열을 줄일 수 있다. 무선 전력 송신기에서는 상기 결정된 도미넌트 무선 전력 수신기의 VRECT가 VRECT _SET에 근접하도록 송신 전력 또는 Itx를 조절할 수 있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무선 전력 수신기의 처리 절차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5를 참조하면, 저전력 모드(1501)에서 무선 전력 수신기의 정류부 후단의 최대 전압값(VRECT_HIGH_STATIC)정보를 PRU 정적 신호에 추가하여 전송(1502)할 수 있다.
상기 무선 전력 수신기가 충전되고 있는 전력 송신 모드(1503)에서 상기 무선 전력 수신기는 VRECT를 센싱(1504)할 수 있다. 상기 센싱된 VRECT 정보는 PRU 동적 신호에 포함되어 무선 전력 송신기로 전송(1505)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도미넌트 PRU를 결정할 때, PTU 동작의 예측성을 보장하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동적 신호(예컨대, PRU 동적 신호)에 의해 새로운 정보가 PTU로 제공될 때 마다 적용되는 상이한 선택 조건으로 인해 결과 선택 메커니즘이 도미넌트 PRU를 계속하여 변경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예컨대, 최악의 경우 그러한 도미넌트 PRU의 잦은 변경은 매 250ms마다 발생할 수도 있다. 따라서, 그러한, 단점을 해결하기 위해 후술하는 다양한 알고리즘들이 추가로 더 고려될 수 있다.
PTU가 복수의 PRU와 페어링(pairing)될 때, 최적의 폐루프 전력 제어 알고리즘(optimal close loop power control algorithm)을 위해 PTU에 의해 주요 PRU로서 도미넌트 PRU가 선택될 수 있다.
상기 PTU는 전술한 바와 같이 VRECT _MIN_ERROR 알고리즘 또는 ηMAX 알고리즘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PTU는 두 알고리즘들을 스위칭하여 적용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PTU는 어떠한 PRU도 최적의 전압 영역을 벗어나도록 ITX_COIL을 조절해서는 안 된다. 이를 고려하여 도미넌트 PRU의 바람직한 알고리즘을 선택하여야 한다. 예컨대, OVP indication 또는 PRU가 보고하는 VRECT가 VRECT _HIGH보다 크거나 VRECT _MIN보다 작은지 여부를 고려하여 알고리즘을 선택하여야 한다.
예컨대, PTU가 하나의 PRU와 페어링되면, 상기 PTU는 EVRECT = |VRECT - VRECT_SET|가 최소가 되도록 조절할 수 있다. 만약, PTU가 복수의 PRU와 페어링되면, PTU가 도미넌트 PRU에 대한 EVRECT가 최소가 되도록 ITX _COIL을 조절할 수 있다.
이하, PTU가 복수의 PRU와 페어링될 경우, PTU가 도미넌트 PRU를 선택하는 다양한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PTU는 도미넌트 PRU 선택 메커니즘을 변경(스위칭)할 수 있으나, 동시에 복수의 메커니즘들을 사용하지는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단 PTU가 도미넌트 PRU 선택을 위한 메커니즘을 스위칭하면, 후술하는 예외적인 상황을 고려하여 적어도 미리 설정된 시간(예컨대, 5초) 동안 선택된 메커니즘을 지속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만약, PTU가 현재 최대 Tratio 알고리즘과 다른 알고리즘으로 도미넌트 PRU를 선택하고, 새로운 도미넌트 PRU 선택 메커니즘으로의 마지막 스위칭으로부터 미리 설정된 시간(예컨대, 5초) 구간이 경과하기 전에 Tratio > Temp threshold 조건을 만족하는 PRU를 감지하면, 상기 조건을 감지한 후 즉시 도미넌트 PRU 선택을 위해 Tratio 메커니즘으로 스위칭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미넌트 PRU 선택을 위한 다양한 메커니즘들의 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최고 비율 이용 메커니즘(highest percentage utilization mechanism)>
상기 PTU가 도미넌트 PRU 선택으로서 최고 비율 이용 메커니즘을 선택하면, 상기 PTU는 그 대비된 출력(rated output)의 최고 비율 이용을 갖는 도미넌트 PRU를 선택할 수 있다. 상기 대비된 출력의 비율은 하기 <수학식 3>으로 나타낼 수 있다.
Figure pat00012
상기 <수학식 3>에서 PRECT _MAX는 PRU 설계의 최대 출력 전력을 의미한다. 상기 PRECT_MAX는 PRU 정적 신호에 의해 PTU로 전송될 수 있다.
<최대 온도 비율 메커니즘(Maximum Tratio mechanism)>
상기 PTU가 도미넌트 PRU 선택으로서 최대 온도 비율 메커니즘을 선택하면, 상기 PTU는 가장 높은 Tratio를 갖는 PRU를 도미넌트 PRU로 선택할 수 있다. 상기 온도 비율(temperature rate(Tratio))은 PRU 동적 신호로 보고되는 Tcurrent를 PRU 정적 신호로 보고되는 Topt로 나눔으로써 계산될 수 있다. 상기 PTU는 PRU의 Tratio가 미리 설정된 임계값(Tthreshold)를 초과할 때, 도미넌트 PRU를 다른 PRU로 스위칭할 수 있다. 상기 PTU는 0.75 보다 더 큰 임계값을 사용할 수 있다.
<최대 VRECT _HIGH 비율 알고리즘(Maximum VRECT _HIGH ratio algorithm)>
상기 PTU가 도미넌트 PRU 선택으로서 최대 VRECT _HIGH 비율 알고리즘을 선택하면, 상기 PTU는 가장 높은 VRECT _ HIGH 차이 비율(VRECT _HIGH_RATIO)을 갖는 PRU를 도미넌트 PRU로 선택할 수 있다. 상기 VRECT _ HIGH 차이 비율은 PRU 동적 신호로 보고되는 VRECT를 VRECT _HIGH_STATIC 또는 VRECT _HIGH_ DYN 으로 나눔으로써 계산될 수 있다.
VRECT _HIGH_ DYN 이 PTU로 보고되면, 상기 VRECT _HIGH_ DYN 이 VRECT _HIGH_STATIC 대신에 사용될 수 있다. 상기 PTU는 VRECT _HIGH 비율이 VRECT _HIGH 임계값(threshold)을 초과할 때, 도미넌트 PRU를 다른 PRU로 스위칭할 수 있다. 상기 PTU는 0.75 보다 더 큰 임계값을 사용할 수 있다.
<최대 VRECT _MIN 비율 알고리즘(Maximum VRECT _ MIN ratio algorithm)>
상기 PTU가 도미넌트 PRU 선택으로서 최대 VRECT _MIN 비율 알고리즘을 선택하면, 상기 PTU는 가장 높은 VRECT _ MIN 차이 비율(VRECT _ MIN_RATIO)을 갖는 PRU를 도미넌트 PRU로 선택할 수 있다. 상기 VRECT _ MIN 차이 비율은 VRECT _MIN_STATIC 또는 VRECT _MIN_ DYN 을 PRU 동적 신호로 보고되는 VRECT 로 나눔으로써 계산될 수 있다.
VRECT _ MIN_ DYN 이 PTU로 보고되면, 상기 VRECT _ MIN_ DYN 이 VRECT _ MIN_STATIC 대신에 사용될 수 있다. 상기 PTU는 VRECT _ MIN 비율이 VRECT _ MIN 임계값(threshold)을 초과할 때, 도미넌트 PRU를 다른 PRU로 스위칭할 수 있다. 상기 PTU는 0.75 보다 더 큰 임계값을 사용할 수 있다.
전술한 알고리즘들의 구현을 위해 PRU 정적 신호는 하기 <표 10>과 같이 구성될 수 있다.
Figure pat00013
상기 <표 10>에서 Totp는 OTP 임계값 온도로서 하기 <표 11>과 같이 구성될 수 있다.
Figure pat00014
또한, 전술한 알고리즘들의 구현을 위해 PRU 동적 신호는 하기 <표 12>와 같이 구성될 수 있다.
Figure pat00015
상기 <표 12>에서 Tcurrent는 PRU에서 현재 측정된 온도로서 하기 <표 13>과 같이 구성될 수 있다.
Figure pat00016
전술한 알고리즘들 중 적어도 하나의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복수의 PRU에 대한 무선 충전 전력을 효율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예컨대, PRU의 VRECT가 과전압(예컨대, VRECT>VRECT _MAX) 상태가 되는 것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또한, PRU가 VRECT>VRECT _HIGH 상태를 보고한 후 미리 설정된 시간(예컨대, 5초) 이내에 VRECT≤VRECT _HIGH 가 되도록 PRU의 VRECT를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조건들이 만족한다면, 모든 PRU들에 대해 VRECT 전압이 VRECT _MIN보다 크고, VRECT _HIGH보다 작도록 보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건들이 만족한다면, PRU의 VRECT를 최적화하거나 전체 시스템 효율의 최대화시키도록, ITX _COIL을 제어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주 내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다양하게 변경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다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변형 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Claims (23)

  1. 무선 충전 시스템에서의 무선 전력 전송 방법에 있어서,
    복수의 무선 전력 수신기들 중 적어도 하나의 무선 전력 수신기로부터 가용 최고 온도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무선 전력 수신기들 각각으로부터 현재 온도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가용 최고 온도에 대한 정보 및 현재 온도에 대한 정보로 각 무선 전력 수신기에 대한 발열 비율을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산출된 발열 비율에 기반하여 도미넌트 무선 전력 수신기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무선 충전 시스템에서의 무선 전력 전송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된 도미넌트 무선 전력 수신기의 전압 설정값에 따라 송신 전력을 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무선 충전 시스템에서의 무선 전력 전송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용 최고 온도에 대한 정보는 무선 전력 수신기가 저전력 모드에서 전송하는 PRU(Power Receiving Unit) 정적(static) 신호를 통해 전송되는, 무선 충전 시스템에서의 무선 전력 전송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현재 온도에 대한 정보는 무선 전력 수신기가 전력 송신 모드에서 전송하는 PRU(Power Receiving Unit) 동적(static) 신호를 통해 전송되는, 무선 충전 시스템에서의 무선 전력 전송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무선 전력 수신기들 중 상기 산출된 발열 비율이 가장 높은 무선 전력 수신기를 도미넌트 무선 전력 수신기로 판단하는, 무선 충전 시스템에서의 무선 전력 전송 방법.
  6. 무선 충전 시스템에서의 무선 전력 전송 방법에 있어서,
    복수의 무선 전력 수신기들 중 적어도 하나의 무선 전력 수신기로부터 정류부 후단의 최대 전압값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무선 전력 수신기들 각각으로부터 정류부 후단의 현재 전압값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된 최대 전압값 정보 및 현재 전압값 정보에 기반하여 도미넌트 무선 전력 수신기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무선 충전 시스템에서의 무선 전력 전송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수신된 최대 전압값 정보 및 현재 전압값 정보로 전압 비율을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산출된 전압 비율에 기반하여 도미넌트 무선 전력 수신기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무선 충전 시스템에서의 무선 전력 전송 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된 도미넌트 무선 전력 수신기의 전압 설정값에 따라 송신 전력을 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무선 충전 시스템에서의 무선 전력 전송 방법.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최대 전압값 정보는 무선 전력 수신기가 저전력 모드에서 전송하는 PRU(Power Receiving Unit) 정적(static) 신호를 통해 전송되는, 무선 충전 시스템에서의 무선 전력 전송 방법.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현재 전압값 정보는 무선 전력 수신기가 전력 송신 모드에서 전송하는 PRU(Power Receiving Unit) 동적(static) 신호를 통해 전송되는, 무선 충전 시스템에서의 무선 전력 전송 방법.
  11.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최대 전압값 정보는 무선 전력 수신기가 전력 송신 모드에서 전송하는 PRU(Power Receiving Unit) 동적(static) 신호를 통해 전송되는, 무선 충전 시스템에서의 무선 전력 전송 방법.
  12. 무선 전력 송신기에 있어서,
    복수의 무선 전력 수신기들 중 적어도 하나의 무선 전력 수신기로부터 가용 최고 온도에 대한 정보 및 현재 온도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통신부;
    상기 수신된 가용 최고 온도에 대한 정보 및 현재 온도에 대한 정보로 각 무선 전력 수신기에 대한 발열 비율을 산출하여 도미넌트 무선 전력 수신기를 판단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복수의 무선 전력 수신기로 전력을 전송하는 전력 송신부;를 포함하는, 무선 전력 송신기.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판단된 도미넌트 무선 전력 수신기의 전압 설정값에 따라 상기 전력 송신부의 송신 전력을 조정하는, 무선 전력 송신기.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가용 최고 온도에 대한 정보는 무선 전력 수신기가 저전력 모드에서 전송하는 PRU(Power Receiving Unit) 정적(static) 신호를 통해 전송되는, 무선 전력 송신기.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현재 온도에 대한 정보는 무선 전력 수신기가 전력 송신 모드에서 전송하는 PRU(Power Receiving Unit) 동적(static) 신호를 통해 전송되는, 무선 전력 송신기.
  16. 무선 전력 송신기에 있어서,
    복수의 무선 전력 수신기들 중 적어도 하나의 무선 전력 수신기로부터 정류부 후단의 최대 전압값 정보 및 정류부 후단의 현재 전압값 정보를 수신하는 통신부;
    상기 수신된 최대 전압값 정보 및 현재 전압값 정보에 기반하여 도미넌트 무선 전력 수신기를 판단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복수의 무선 전력 수신기로 전력을 전송하는 전력 송신부;를 포함하는, 무선 전력 송신기.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판단된 도미넌트 무선 전력 수신기의 전압 설정값에 따라 상기 전력 송신부의 송신 전력을 조정하는, 무선 전력 송신기.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최대 전압값 정보는 무선 전력 수신기가 저전력 모드에서 전송하는 PRU(Power Receiving Unit) 정적(static) 신호를 통해 전송되는, 무선 전력 송신기.
  19.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현재 전압값 정보는 무선 전력 수신기가 전력 송신 모드에서 전송하는 PRU(Power Receiving Unit) 동적(static) 신호를 통해 전송되는, 무선 전력 송신기.
  20.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현재 최대 전압값 정보는 무선 전력 수신기가 전력 송신 모드에서 전송하는 PRU(Power Receiving Unit) 동적(static) 신호를 통해 전송되는, 무선 전력 송신기.
  21. 무선 전력 수신기에 있어서,
    현재 온도를 센싱하는 온도 센서;
    가용 최고 온도가 포함된 신호 및 상기 온도 센서에 의해 센싱된 현재 온도가 포함된 신호를 생성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에 의해 생성된 각 신호를 무선 전력 송신기로 전송하는 통신부;를 포함하는, 무선 전력 수신기.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저전력 모드에서 상기 가용 최고 온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PRU(Power Receiving Unit) 정적(static) 신호를 생성하는, 무선 전력 수신기.
  23.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전력 전송 모드에서 상기 현재 온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PRU(Power Receiving Unit) 동적(static) 신호를 통해 생성하는, 무선 전력 수신기.
KR1020150173960A 2015-07-27 2015-12-08 무선 충전 시스템에서의 무선 전력 전송 방법, 무선 전력 송신기, 및 무선 전력 수신기 KR1024266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9)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9161965.9A EP3522331B1 (en) 2015-07-27 2016-07-27 Method for transmitting wireless power in wireless charging system including a wireless power transmitting unit and wireless power receiving unit
CN201680042522.5A CN107852037B (zh) 2015-07-27 2016-07-27 用于在无线充电系统中的发送无线电力的方法
EP16830833.6A EP3329574B1 (en) 2015-07-27 2016-07-27 Method for transmitting wireless power in wireless charging system including a wireless power transmitting unit and wireless power receiving unit
US15/221,148 US10170926B2 (en) 2015-07-27 2016-07-27 Method for transmitting wireless power in wireless charging system including a wireless power transmitting unit and wireless power receiving unit
PCT/KR2016/008205 WO2017018800A1 (en) 2015-07-27 2016-07-27 Method for transmitting wireless power in wireless charging system including a wireless power transmitting unit and wireless power receiving unit
JP2018502109A JP6869591B2 (ja) 2015-07-27 2016-07-27 無線電力送信器及び無線電力受信器を含む無線充電システムにおける無線電力伝送方法
ES16830833T ES2735409T3 (es) 2015-07-27 2016-07-27 Procedimiento de transmisión de energía inalámbrica en sistema de carga inalámbrica que incluye una unidad de transmisión de energía inalámbrica y una unidad de recepción de energía inalámbrica
US16/204,363 US10784708B2 (en) 2015-07-27 2018-11-29 Method for transmitting wireless power in wireless charging system including a wireless power transmitting unit and wireless power receiving unit
US17/027,079 US11552508B2 (en) 2015-07-27 2020-09-21 Method for transmitting wireless power in wireless charging system including a wireless power transmitting unit and wireless power receiving uni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6039 2015-07-27
KR20150106039 2015-07-2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13142A true KR20170013142A (ko) 2017-02-06
KR102426688B1 KR102426688B1 (ko) 2022-07-29

Family

ID=581090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73960A KR102426688B1 (ko) 2015-07-27 2015-12-08 무선 충전 시스템에서의 무선 전력 전송 방법, 무선 전력 송신기, 및 무선 전력 수신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2) EP3329574B1 (ko)
JP (1) JP6869591B2 (ko)
KR (1) KR102426688B1 (ko)
CN (1) CN107852037B (ko)
ES (1) ES2735409T3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022413A1 (ko) * 2017-07-25 2019-01-31 엘지이노텍(주) 무선 전력 수신기 및 무선 전력 송신기의 과열방지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212581A (ja) * 2011-09-01 2014-11-13 三洋電機株式会社 電池充電器と充電台、及び電池充電器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79459B1 (ko) * 2012-12-03 2019-05-16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 무선 전력 수신 장치 및 무선 전력 수신 방법
EP2782210B1 (en) * 2013-03-21 2018-11-28 Samsung Electronics Co., Ltd. Wireless power transmitting unit, wireless power receiving unit, and control methods thereof
KR102039350B1 (ko) * 2013-05-03 2019-11-27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전력 수신기에서 비정상 상태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
KR102039376B1 (ko) * 2013-07-19 2019-11-04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충전을 위한 충전 전압 설정 방법
KR102122394B1 (ko) * 2013-08-08 2020-06-15 삼성전자주식회사 효율적인 전력 분배를 위한 무선 전력 전송 방법 및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212581A (ja) * 2011-09-01 2014-11-13 三洋電機株式会社 電池充電器と充電台、及び電池充電器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022413A1 (ko) * 2017-07-25 2019-01-31 엘지이노텍(주) 무선 전력 수신기 및 무선 전력 송신기의 과열방지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7852037A (zh) 2018-03-27
CN107852037B (zh) 2021-10-29
EP3522331B1 (en) 2021-09-01
JP6869591B2 (ja) 2021-05-12
EP3329574B1 (en) 2019-05-08
EP3522331A1 (en) 2019-08-07
EP3329574A4 (en) 2018-06-06
JP2018521623A (ja) 2018-08-02
KR102426688B1 (ko) 2022-07-29
EP3329574A1 (en) 2018-06-06
ES2735409T3 (es) 2019-12-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07895B1 (ko) 무선 충전 시스템에서 무선 전력 송신기의 신호 전송 방법, 무선 전력 송신기, 및 무선 전력 수신기
KR102363633B1 (ko) 무선 전력 송신기 및 무선 전력 송신기의 제어 방법
KR102500565B1 (ko) 무선 충전에서의 교차 연결 판단 방법
KR102363631B1 (ko) 무선 충전에서의 이상 상황 방지 방법
KR102142017B1 (ko) 무선 충전에서의 수신기 검출을 위한 로드 변화 발생 방법 및 무선 전력 수신기
KR101807899B1 (ko) 무선 전력 송신기, 무선 전력 수신기 및 무선 전력 송신기의 무선 전력 수신기 허가 방법
KR102039350B1 (ko) 무선 전력 수신기에서 비정상 상태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
KR102371937B1 (ko) 무선 충전에서의 로드 검출 방법
KR101807335B1 (ko) 무선 전력 수신기 및 무선 전력 수신기의 슬립 모드 설정 방법
KR102391190B1 (ko) 무선 충전 시스템에서 무선 전력 수신기의 로드 생성 방법 및 무선 전력 수신기
KR102534961B1 (ko) 무선 전력 송신기 및 무선 전력 수신기와 그 동작 방법
KR102003358B1 (ko) 무선 전력 송신기, 무선 전력 수신기 및 각각의 제어 방법
KR102360016B1 (ko) 무선 전력 송신기 및 무선 전력 수신기의 제어 방법
KR102039376B1 (ko) 무선 충전을 위한 충전 전압 설정 방법
KR102028455B1 (ko) 무선 전력 송신기, 무선 전력 수신기 및 각각의 제어 방법
KR20150110405A (ko) 무선 충전에서의 교차 연결 방지 방법
KR20160051497A (ko) 무선 전력 전송 네트워크의 전력 전송 커버리지 제어 장치 및 방법
KR20140133452A (ko) 무선 충전에서 수신기 검출을 위한 로드 변화 감지 방법 및 무선 전력 송신기
KR20240015704A (ko) 무선 전력 송신기 및 무선 전력 수신기와 그 동작 방법
KR20140110500A (ko) 무선 전력 송신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140007237A (ko) 무선 전력 송신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140007775A (ko) 무선 전력 송신기, 무선 전력 수신기 및 각각의 제어 방법
KR102423599B1 (ko) 무선 전력 송신기 및 상기 무선 전력 송신기의 제어 방법
KR102607032B1 (ko) 무선 전력 송신기, 무선 전력 수신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2426688B1 (ko) 무선 충전 시스템에서의 무선 전력 전송 방법, 무선 전력 송신기, 및 무선 전력 수신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