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23599B1 - 무선 전력 송신기 및 상기 무선 전력 송신기의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무선 전력 송신기 및 상기 무선 전력 송신기의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23599B1
KR102423599B1 KR1020150134025A KR20150134025A KR102423599B1 KR 102423599 B1 KR102423599 B1 KR 102423599B1 KR 1020150134025 A KR1020150134025 A KR 1020150134025A KR 20150134025 A KR20150134025 A KR 20150134025A KR 102423599 B1 KR102423599 B1 KR 1024235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less power
power transmitter
differential signal
amplitude
transmit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340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35213A (ko
Inventor
변강호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340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23599B1/ko
Priority to US15/138,723 priority patent/US10454309B2/en
Publication of KR201700352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352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235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235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8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involving the exchange of data, concerning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between transmitting devices and receiving devic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1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inductive coupling
    • H02J50/12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inductive coupling of the resonant typ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2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microwaves or radio frequency waves
    • H02J7/025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선 전력 수신기로 무선 전력을 전송하는 무선 전력 송신기의 제어 방법은, 상기 무선 전력 수신기로 전송되는 상기 무선 전력을 위한 제1차동 신호를 생성하는 동작, 상기 무선 전력 송신기의 공진부에 인가되는 상기 제1차동 신호에 대응하는 제2차동 신호를 측정하고, 측정 결과에 따라 상기 제2차동 신호의 진폭과 위상 중 적어도 하나를 감지하는 동작, 및 상기 감지 결과에 따라, 상기 제2차동 신호의 진폭과 위상 중 적어도 하나를 조절하고, 상기 조절된 제2차동 신호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무선 전력 송신기를 제어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무선 전력 송신기 및 상기 무선 전력 송신기의 제어 방법{WIRELESS POWER TRANSMITT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는 차동 신호를 이용하는 무선 전력 송신기 및 무선 전력 송신기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차동 신호의 진폭과 위상차를 제어할 수 있는 무선 전력 송신기 및 무선 전력 송신기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휴대전화 또는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등과 같은 이동 단말기는 그 특성상 재충전이 가능한 배터리로 구동되며, 이러한 배터리를 충전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충전 장치를 이용하여 이동단말기의 배터리에 전기 에너지를 공급한다. 통상적으로 충전장치와 배터리에는 외부에 각각 별도의 접촉 단자가 구성되어 있어서 이를 서로 접촉시킴으로 인하여 충전장치와 배터리를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하지만, 이와 같은 접촉식 충전방식은 접촉 단자가 외부에 돌출되어 있으므로, 이물질에 의한 오염이 쉽고 이러한 이유로 배터리 충전이 올바르게 수행되지 않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또한 접촉 단자가 습기에 노출되는 경우에도 충전이 올바르게 수행되지 않는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근래에는 무선 충전 또는 무접점 충전 기술이 개발되어 최근 많은 전자 기기에 활용되고 있다.
이러한 무선충전 기술은 무선 전력 송수신을 이용한 것으로서, 예를 들어 휴대폰을 별도의 충전 커넥터를 연결하지 않고, 단지 충전 패드에 올려놓기만 하면 자동으로 배터리가 충전이 될 수 있는 시스템이다. 일반적으로 무선 전동 칫솔이나 무선 전기 면도기 등으로 일반인들에게 알려져 있다. 이러한 무선충전 기술은 전자제품을 무선으로 충전함으로써 방수 기능을 높일 수 있고, 유선 충전기가 필요하지 않으므로 전자 기기 휴대성을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다가오는 전기차 시대에도 관련 기술이 크게 발전할 것으로 전망된다.
이러한 무선 충전 기술에는 크게 코일을 이용한 전자기 유도방식과, 공진(Resonance)을 이용하는 공진 방식과, 전기적 에너지를 마이크로파로 변환시켜 전달하는 전파 방사(RF/Micro Wave Radiation) 방식이 있다.
현재까지는 전자기 유도를 이용한 방식이 주류를 이루고 있으나, 최근 국내외에서 마이크로파를 이용하여 수십 미터 거리에서 무선으로 전력을 전송하는 실험에 성공하고 있어, 가까운 미래에는 언제 어디서나 전선 없이 모든 전자제품을 무선으로 충전하는 세상이 열릴 것으로 보인다.
전자기 유도에 의한 전력 전송 방법은 1차 코일과 2차 코일 간의 전력을 전송하는 방식이다. 코일에 자석을 움직이면 유도 전류가 발생하는데, 이를 이용하여 송신단에서 자기장을 발생시키고 수신단에서 자기장의 변화에 따라 전류가 유도되어 에너지를 만들어 낸다. 이러한 현상을 자기 유도 현상이라고 일컬으며 이를 이용한 전력 전송 방법은 에너지 전송 효율이 뛰어나다.
공진 방식은, 2005년 MIT의 Soljacic 교수가 Coupled Mode Theory로 공진 방식 전력 전송 원리를 사용하여 충전장치와 몇 미터(m)나 떨어져 있어도 전기가 무선으로 전달되는 시스템을 발표했다. MIT팀의 무선 충전시스템은 공명(resonance)이란 소리굽쇠를 울리면 옆에 있는 와인잔도 그와 같은 진동수로 울리는 물리학 개념을 이용한 것이다. 연구팀은 소리를 공명시키는 대신, 전기 에너지를 담은 전자기파를 공명시켰다. 공명된 전기 에너지는 공진 주파수를 가진 기기가 존재할 경우에만 직접 전달되고 사용되지 않는 부분은 공기 중으로 퍼지는 대신 전자장으로 재흡수되기 때문에 다른 전자파와는 달리 주변의 기계나 신체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을 것으로 보고 있다.
한편, 무선 충전 방식에 대한 연구는 근자에 들어서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으며, 그 무선 충전 순위, 무선 전력 송/수신기의 검색, 무선 전력 송/수신기 사이의 통신 주파수 선택, 무선 전력 조정, 매칭 회로의 선택, 하나의 충전 싸이클에서의 각각의 무선 전력 수신기에 대한 통신 시간 분배 등에 대한 표준은 제언되고 있지 않다. 특히, 무선 전력 수신기가, 무선 전력을 수신할 무선 전력 송신기를 선택하는 구성 및 절차에 대한 표준의 제언이 요구된다.
무선 전력 송신기 및 무선 전력 수신기 사이는 서로 소정의 방식, 예를 들어 Zig-bee 방식 또는 블루투스 저 에너지 방식에 기초하여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Zig-bee 방식 또는 블루투스 저 에너지 방식과 같은 아웃-밴드(out-band) 방식에 의하여, 통신의 가용 거리가 증가한다. 이에 따라서, 무선 전력 송신기 및 무선 전력 수신기가 비교적 먼 거리에 배치된 경우에도 무선 전력 송신기 및 무선 전력 수신기는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즉, 무선 전력 송신기가 무선 전력을 송신할 수 없는 상대적인 먼 거리에서도, 무선 전력 송신기는 무선 전력 수신기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종래의 차동 신호를 이용하는 무선 전력 송신기에서, 무선 전력 송신기의 공진부와 무선 전력 수신기의 공진부의 위치에 따라, 차동 신호에 포함된 두 개의 신호의 진폭과 위상차가 불일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무선 전력 송신기가 무선 전력 전송 효율을 유지하기 어렵고, 고조파 방사 억제 특성이 열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 또는 다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차동 신호를 이용하는 무선 전력 송신기에서, 공진부에 인가되는 차동 신호를 측정하고, 측정 결과에 기초하여 차동 신호를 제어하는 무선 전력 송신기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선 전력 수신기로 무선 전력을 전송하는 무선 전력 송신기의 제어 방법은, 상기 무선 전력 수신기로 전송되는 상기 무선 전력을 위한 제1차동 신호를 생성하는 동작, 상기 무선 전력 송신기의 공진부에 인가되는 상기 제1차동 신호에 대응하는 제2차동 신호를 측정하고, 측정 결과에 따라 상기 제2차동 신호의 진폭과 위상 중 적어도 하나를 감지하는 동작, 및 상기 감지 결과에 따라, 상기 제2차동 신호의 진폭과 위상 중 적어도 하나를 조절하고, 상기 조절된 제2차동 신호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무선 전력 송신기를 제어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차동 신호의 진폭과 위상 중 적어도 하나를 조절하는 동작은, 상기 제1차동 신호의 진폭과 위상 중 적어도 하나를 조절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절된 제2차동 신호에 대한 상기 정보는, 상기 제2차동 신호에 포함된 두 개의 신호에 대한 전압값, 전류값, 및 상기 두 개의 신호의 위상차 값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차동 신호의 진폭과 위상 중 적어도 하나를 조절하는 동작은, 상기 차동 신호의 진폭과 위상이 기설정된 기준 범위 이내인 경우, 상기 제2차동 신호의 진폭과 위상차를 유지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차동 신호의 진폭과 위상 중 적어도 하나를 조절하는 동작은, 상기 차동 신호의 진폭과 위상이 기설정된 기준 범위가 아닌 경우, 상기 제2차동 신호의 진폭과 위상차를 조절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무선 전력 송신기를 제어하는 동작은, 상기 조절된 제2차동 신호에 대한 상기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무선 전력 수신기에 상응하는 임피던스 변화를 판단하는 동작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무선 전력 송신기를 제어하는 동작은, 상기 조절된 제2차동 신호에 대한 상기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무선 전력 수신기의 임피던스 변화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에 따라, 래치 실패 모드(Latch Fault Mode)로 진입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차동 신호의 진폭과 위상 중 적어도 하나를 조절하는 동작은, 상기 무선 전력 수신기가 수신한 무선 전력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2차동 신호의 진폭과 위상 중 적어도 하나를 조절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차동 신호의 진폭과 위상 중 적어도 하나를 조절하는 동작은, 상기 무선 전력 송신기가 상기 무선 전력을 전송한 때부터 상기 무선 전력 수신기로 상기 무선 전력에 대한 정보를 요청하기 전까지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선 전력 수신기로 무선 전력을 전송하는 무선 전력 송신기는, 상기 무선 전력을 위한 제1차동 신호를 출력하는 신호 분리부, 상기 제1차동 신호에 대응하는 제2차동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무선 전력을 전송하는 공진부, 상기 공진부로 인가되는 상기 제2차동 신호를 측정하는 AC 측정부, 상기 AC 측정부가 측정된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제2차동 신호의 진폭과 위상 중 적어도 하나를 조절하고, 상기 조절된 제2차동 신호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무선 전력 송신기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차동 신호의 진폭과 위상 중 적어도 하나를 조절하기 위해, 상기 제1차동 신호의 진폭과 위상 중 적어도 하나를 조절하도록 상기 신호 분리부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차동 신호의 진폭과 위상 중 적어도 하나를 조절하도록 상기 신호 분리부의 가변 저항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조절된 제2차동 신호에 대한 상기 정보는, 상기 제2차동 신호에 포함된 두 개의 신호에 대한 전압값, 전류값, 및 상기 두 개의 신호의 위상차 값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조절된 제2차동 신호에 대한 상기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무선 전력 수신기에 상응하는 임피던스 변화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조절된 제2차동 신호에 대한 상기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무선 전력 수신기의 임피던스 변화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에 따라 래치 실패 모드로 진입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무선 전력 수신기로부터 수신한 상기 무선 전력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2차동 신호의 진폭과 위상 중 적어도 하나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무선 전력 송신기가 상기 무선 전력을 전송한 때부터 상기 무선 전력 송신기로 무선 전력에 대한 정보를 요청하기 전까지, 상기 제2차동 신호의 진폭과 위상 중 적어도 하나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조절된 제2차동 신호에 대한 상기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무선 전력 수신기의 임피던스 변화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무선 전력 송신기를 초기화할 수 있다.
상기 무선 전력 송신기는 상기 제2차동 신호에 대한 상기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선 전력 송신기는 공진부에 인가되는 차동 신호를 측정하고, 측정 결과에 기초하여 차동 신호에 포함된 두 개의 신호의 진폭과 위상차를 제어하므로써, 효율적으로 무선 전력을 송신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 인용되는 도면을 보다 충분히 이해하기 위하여 각 도면의 상세한 설명이 제공된다.
도 1은 무선 충전 시스템 동작 전반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무선 전력 송신기 및 무선 전력 수신기를 예시한다.
도 3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무선 전력 송신기 및 무선 전력 수신기의 상세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무선 전력 송신기 및 무선 전력 수신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한 무선 전력 송신기 및 무선 전력 수신기의 동작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6은 무선 전력 송신기가 인가하는 전력량의 시간 축에 대한 그래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무선 전력 송신기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8은 도 7의 실시 예에 의한 무선 전력 송신기가 인가하는 전력량의 시간 축에 대한 그래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무선 전력 송신기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0은 도 9의 실시 예에 의한 무선 전력 송신기가 인가하는 전력량의 시간 축에 대한 그래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SA 모드에서의 무선 전력 송신기 및 무선 전력 수신기의 블록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무선 전력 시스템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13은 도 12에 도시된 신호 분리부에 대한 구체적인 회로도이다.
도 14는 도 12에 도시된 AC 측정부에 대한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15는 무선 전력 송신기의 초기화 설정를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 차트이다.
도 16은 신호 분리기의 초기화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 차트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무선 전력 송신기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 차트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무선 전력 시스템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데이터 플로우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무선 전력 송신기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 차트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 요소들은 가능한 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들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하기 설명 및 첨부 도면에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먼저, 도 1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적용될 수 있는 무선 충전 시스템의 개념을 설명하고, 다음으로 도 12 내지 도 19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무선 전력 송신기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무선 충전 시스템 동작 전반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선 충전 시스템은 무선 전력 송신기(100) 및 적어도 하나의 무선 전력 수신기(110-1,110-2,110-n)를 포함한다.
무선 전력 송신기(100)는 적어도 하나의 무선 전력 수신기(110-1,110-2,110-n)에 무선으로 각각 전력(1-1,1-2,1-n)을 송신할 수 있다. 더욱 상세하게는, 무선 전력 송신기(100)는 소정의 인증절차를 수행한 인증된 무선 전력 수신기에 대하여서만 무선으로 전력(1-1,1-2,1-n)을 송신할 수 있다.
무선 전력 송신기(100)는 무선 전력 수신기(110-1,110-2,110-n)와 전기적 연결을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전력 송신기(100)는 무선 전력 수신기(110-1,110-2,110-n)로 전자기파 형태의 무선 전력을 송신할 수 있다.
한편, 무선 전력 송신기(100)는 무선 전력 수신기(110-1,110-2,110-n)와 양방향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에서 무선 전력 송신기(100) 및 무선 전력 수신기(110-1,110-2,110-n)는 소정의 프레임으로 구성된 패킷(2-1,2-2,2-n)을 처리하거나 송수신할 수 있다. 상술한 프레임에 대하여서는 더욱 상세하게 후술하도록 한다. 무선 전력 수신기는 특히, 이동통신단말기, PDA, PMP, 스마트폰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무선 전력 송신기(100)는 복수 개의 무선 전력 수신기(110-1,110-2,110-n)로 무선으로 전력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전력 송신기(100)는 공진 방식을 통하여 복수 개의 무선 전력 수신기(110-1,110-2,110-n)에 전력을 전송할 수 있다. 무선 전력 송신기(100)가 공진 방식을 채택한 경우, 무선 전력 송신기(100)와 복수 개의 무선 전력 수신기(110-1,110-2,1110-n) 사이의 거리는 바람직하게는 30m 이하일 수 있다. 또한 무선 전력 송신기(100)가 전자기 유도 방식을 채택한 경우, 무선 전력 송신기(100)와 복수 개의 무선 전력 수신기(110-1,110-2,110-n) 사이의 거리는 바람직하게는 10cm 이하일 수 있다.
무선 전력 수신기(110-1,110-2,110-n)는 무선 전력 송신기(100)로부터 무선 전력을 수신하여 내부에 구비된 배터리의 충전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무선 전력 수신기(110-1,110-2,110-n)는 무선 전력 전송을 요청하는 신호나, 무선 전력 수신에 필요한 정보, 무선 전력 수신기 상태 정보 또는 무선 전력 송신기(100) 제어 정보 등을 무선 전력 송신기(100)에 송신할 수 있다. 상기의 송신 신호의 정보에 관하여서는 더욱 상세하게 후술하도록 한다.
또한 무선 전력 수신기(110-1,110-2,110-n)는 각각의 충전상태를 나타내는 메시지를 무선 전력 송신기(100)로 송신할 수 있다.
무선 전력 송신기(100)는 디스플레이와 같은 표시수단을 포함할 수 있으며, 무선 전력 수신기(110-1,110-2,110-n) 각각으로부터 수신한 메시지에 기초하여 무선 전력 수신기(110-1,110-2,110-n) 각각의 상태를 표시할 수 있다. 아울러, 무선 전력 송신기(100)는 각각의 무선 전력 수신기(110-1,110-2,110-n)가 충전이 완료되기까지 예상되는 시간을 함께 표시할 수도 있다.
무선 전력 송신기(100)는 무선 전력 수신기(110-1,110-2,110-n) 각각에 무선 충전 기능을 디스에이블(disabled)하도록 하는 제어 신호를 송신할 수도 있다. 무선 전력 송신기(100)로부터 무선 충전 기능의 디스에이블 제어 신호를 수신한 무선 전력 수신기는 무선 충전 기능을 디스에이블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무선 전력 송신기 및 무선 전력 수신기를 예시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선 전력 송신기(200)는 전력 송신부(211), 제어부(212), 통신부(213), 표시부(214) 또는 저장부(215)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전력 송신부(211)는 무선 전력 송신기(200)가 요구하는 전력을 제공할 수 있으며, 무선으로 무선 전력 수신기(250)에 전력을 제공할 수 있다. 여기에서, 전력 송신부(211)는 교류 파형의 형태로 전력을 공급할 수 있으며, 직류 파형의 전력을 인버터를 이용하여 교류 파형으로 변환하여 교류 파형의 전력을 공급할 수도 있다. 전력 송신부(211)는 내장된 배터리의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으며, 또는 전력 수신 인터페이스의 형태로 구현되어 외부로부터 전력을 수신하여 다른 구성 요소에 공급하는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전력 송신부(211)는 교류 파형의 전력을 제공할 수 있는 수단이라면 제한이 없다는 것은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할 것이다.
제어부(212)는 무선 전력 송신기(200)의 동작 전반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212)는 저장부(215)로부터 독출한 제어에 요구되는 알고리즘, 프로그램 또는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무선 전력 송신기(200)의 동작 전반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212)는 CPU, 마이크로프로세서, 미니 컴퓨터와 같은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통신부(213)는 무선 전력 수신기(250)와 소정의 방식으로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통신부(213)는 무선 전력 수신기(250)로부터 전력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에서 전력 정보는 무선 전력 수신기(250)의 용량, 배터리 잔량, 충전 횟수, 사용량, 배터리 용량, 배터리 비율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213)는 무선 전력 수신기(250)의 충전 기능을 제어하는 충전 기능 제어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충전 기능 제어 신호는 특정 무선 전력 수신기(250)의 전력 수신부(251)를 제어하여 충전 기능을 인에이블(enabled) 또는 디스에이블(disabled)하게 하는 제어 신호일 수 있다. 또는 더욱 상세하게 후술할 것으로, 전력 정보는 유선 충전 단자의 인입, SA(stand alone) 모드로부터 NSA(non stand alone) 모드로의 전환, 에러 상황 해제 등의 정보를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충전 기능 제어 신호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교차 접속의 판단과 관련된 정보일 수 있다. 예컨대, 교차 접속 판단을 위한 식별 정보, 설정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교차 접속 판단을 위한 무선 전력 수신기(250)의 로드 변화와 관련된 패턴 또는 시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213)는 무선 전력 수신기(250)뿐만 아니라, 다른 무선 전력 송신기(미도시)로부터의 신호를 수신할 수도 있다.
제어부(212)는 통신부(213)를 통해 무선 전력 수신기(250)로부터 수신한 메시지에 기초하여 무선 전력 수신기(250)의 상태를 표시부(214)에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12)는 무선 전력 수신기(250)가 충전이 완료되기까지 예상되는 시간을 표시부(214)에 표시할 수도 있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선 전력 수신기(250)는 전력 수신부(251), 제어부(252), 통신부(253), 표시부(258), 또는 저장부(259)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전력 수신부(251)는 무선 전력 송신기(200)로부터 전송된 전력을 무선으로 수신할 수 있다. 여기에서, 전력 수신부(251)는 교류 파형의 형태로 전력을 수신할 수 있다.
제어부(252)는 무선 전력 수신기(250)의 동작 전반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252)는 저장부(259)로부터 독출한 제어에 요구되는 알고리즘, 프로그램 또는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무선 전력 송신기(250)의 동작 전반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252)는 CPU, 마이크로프로세서, 미니 컴퓨터와 같은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통신부(253)는 무선 전력 송신기(200)와 소정의 방식으로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통신부(253)는 무선 전력 송신기(200)로 전력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여기에서 전력 정보는 무선 전력 수신기(250)의 용량, 배터리 잔량, 충전 횟수, 사용량, 배터리 용량, 배터리 비율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253)는 무선 전력 수신기(250)의 충전 기능을 제어하는 충전 기능 제어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충전 기능 제어 신호는 특정 무선 전력 수신기(250)의 전력 수신부(251)를 제어하여 충전 기능을 인에이블(enabled) 또는 디스에이블(disabled)하게 하는 제어 신호일 수 있다. 또는 더욱 상세하게 후술할 것으로, 전력 정보는 유선 충전 단자의 인입, SA(stand alone) 모드로부터 NSA(non stand alone) 모드로의 전환, 에러 상황 해제 등의 정보를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충전 기능 제어 신호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교차 접속의 판단과 관련된 정보일 수 있다. 예컨대, 교차 접속 판단을 위한 식별 정보, 설정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교차 접속 판단을 위한 무선 전력 수신기(250)의 로드 변화와 관련된 패턴 또는 시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252)는 무선 전력 수신기(250)의 상태를 표시부(258)에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52)는 무선 전력 수신기(250)가 충전이 완료되기까지 예상되는 시간을 표시부(258)에 표시할 수도 있다.
도 3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무선 전력 송신기 및 무선 전력 수신기의 상세 블록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선 전력 송신기(200)는 송신측 공진부(Tx resonator)(211a), 제어부(212)(예컨대, MCU), 통신부(213)(예컨대, Out-of-band Signaling unit), 구동부(Power Supply)(217), 증폭부(Power Amp)(218), 매칭부(Matching Circuit)(216), 또는 센서부(sensing unit)(219)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전력 수신기(250)는 수신측 공진부(Rx resonator)(251a), 제어부(252), 통신부(253), 정류부(Rectifier)(254), DC/DC 컨버터부(255), 스위치부(Switch)(256) 또는 로드부(Client Device Load)(257)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구동부(217)는 기설정된 전압 값을 가지는 직류 전력을 출력할 수 있다. 구동부(217)에서 출력되는 직류 전력의 전압 값은 제어부(212)에 의하여 제어될 수 있다.
구동부(217)로부터 출력되는 직류 전류는 증폭부(218)로 출력될 수 있다. 증폭부(218)는 기설정된 이득으로 직류 전류를 증폭할 수 있다. 아울러, 제어부(212)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에 기초하여 직류 전력을 교류로 변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증폭부(218)는 교류 전력을 출력할 수 있다.
매칭부(216)는 임피던스 매칭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매칭부(216)로부터 바라본 임피던스를 조정하여, 출력 전력이 고효율 또는 고출력이 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센서부(219)는 Tx 공진부(211a) 또는 증폭부(218)를 통해 무선 전력 수신기(250)에 의한 로드 변화를 센싱할 수 있다. 상기 센서부(219)의 센싱 결과는 제어부(212)로 제공될 수 있다.
매칭부(216)는 제어부(212)의 제어에 기초하여 임피던스를 조정할 수 있다. 매칭부(216)는 코일 및 커패시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212)는 코일 및 커패시터 중 적어도 하나와의 연결 상태를 제어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임피던스 매칭을 수행할 수 있다.
Tx 공진부(211a)는 입력된 교류 전력을 Rx 공진부(251a)로 송신할 수 있다. Tx 공진부(211a) 및 Rx 공진부(251a)는 동일한 공진 주파수를 가지는 공진 회로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공진 주파수는 6.78MHz로 결정될 수 있다. 하나의 실시예에서, 인버터부(미도시)는 구동부(217)로부터의 직류 전력을 교류 전력으로 인버팅하여 Tx 공진부(211a)로 출력할 수 있다.
한편, 통신부(213)는 무선 전력 수신기(250) 측의 통신부(253)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양방향 2.4GHz 주파수로 통신(WiFi, ZigBee, BT/BLE)을 수행할 수 있다.
Rx 공진부(251a)는 충전을 위한 전력을 수신할 수 있다.
정류부(254)는 Rx 공진부(251a)에 수신되는 무선 전력을 직류 형태로 정류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브리지 다이오드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DC/DC 컨버터부(255)는 정류된 전력을 기설정된 이득으로 컨버팅할 수 있다. 예를 들어, DC/DC 컨버터부(255)는 출력단의 전압이 5V가 되도록 정류된 전력을 컨버팅할 수 있다. 한편, DC/DC 컨버터부(255)의 전단에는 인가될 수 있는 전압의 최솟값 및 최댓값이 미리 설정될 수 있다.
스위치부(256)는 DC/DC 컨버터부(255) 및 로드부(257)를 연결할 수 있다. 스위치부(256)는 제어부(252)의 제어에 따라 온(on)/오프(off)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러한 스위치부(256)는 생략될 수 있다. 로드부(257)는 스위치부(256)가 온 상태인 경우에 DC/DC 컨버터부(255)로부터 입력되는 컨버팅된 전력을 저장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무선 전력 송신기 및 무선 전력 수신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선 전력 송신기(400)는 전원을 인가할 수 있다(S401). 전원이 인가되면, 무선 전력 송신기(400)는 환경을 설정(configuration)할 수 있다(S402).
무선 전력 송신기(400)는 전력 절약 모드(power save mode)에 진입할 수 있다(S403). 전력 절약 모드에서, 무선 전력 송신기(400)는 이종의 검출용 전력 비콘 각각을 각각의 주기로 인가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하여서는 도 6에서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예를 들어, 도 4에서와 같이 무선 전력 송신기(400)는 검출용 전력 비콘(power beacon)(S404,S405)(예컨대, 짧은 비콘(short beacon) 또는 긴 비콘(long beacon))을 인가할 수 있으며, 검출용 전력 비콘들(S404,S405) 각각의 전력 값의 크기는 상이할 수도 있다. 검출용 전력 비콘들(S404,S405) 중 일부 또는 전부는 무선 전력 수신기(450)의 통신부를 구동할 수 있는 전력량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전력 수신기(450)는 검출용 전력 비콘들(S404,S405) 중 일부 또는 전부에 의하여 통신부를 구동시켜 무선 전력 송신기(400)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상태를 널(Null) 상태(S406)로 명명할 수 있다.
무선 전력 송신기(400)는 무선 전력 수신기(450)의 배치에 의한 로드 변화를 검출할 수 있다. 무선 전력 송신기(400)는 저전력 모드(S408)로 진입할 수 있다. 저전력 모드에 대하여서도 도 6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한편, 무선 전력 수신기(450)는 무선 전력 송신기(400)로부터 수신된 전력에 기초하여 통신부를 구동시킬 수 있다(S409).
무선 전력 수신기(450)는 무선 전력 송신기(400)로 무선 전력 송신기 검색 (PTU searching)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S410). 무선 전력 수신기(450)는 BLE 기반의 애드버타이즈먼트(Advertisement; AD) 신호로서, 무선 전력 송신기 검색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무선 전력 수신기(450)는 무선 전력 송신기 검색 신호를 주기적으로 송신할 수 있으며, 무선 전력 송신기(400)로부터 응답 신호를 수신하거나 또는 기설정된 시간이 도래할 때까지 송신할 수 있다.
무선 전력 수신기(450)로부터 무선 전력 송신기 검색 신호가 수신되면, 무선 전력 송신기(400)는 응답 신호(PRU Respnse)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S411). 여기에서 응답 신호는 무선 전력 송신기(400) 및 무선 전력 수신기(400) 사이의 연결(connection)을 형성(form)할 수 있다.
무선 전력 수신기(450)는 PRU static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S412). 여기에서, PRU static 신호는 무선 전력 수신기(450)의 상태를 지시하는 신호일 수 있으며, 무선 전력 송신기(400)가 관제하는 무선 전력 네트워크에 가입을 요청할 수 있다.
무선 전력 송신기(400)는 PTU static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S413). 무선 전력 송신기(400)가 송신하는 PTU static 신호는 무선 전력 송신기(400)의 캐퍼빌리티(capability)를 지시하는 신호일 수 있다.
무선 전력 송신기(400) 및 무선 전력 수신기(450)가 PRU static 신호 및 PTU static 신호를 송수신하면, 무선 전력 수신기(450)는 PRU 다이내믹(Dynamic) 신호를 주기적으로 송신할 수 있다(S414, S415). PRU 다이내믹(Dynamic) 신호는 무선 전력 수신기(450)에서 측정된 적어도 하나의 파라미터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PRU 다이내믹(Dynamic) 신호는 무선 전력 수신기(450)의 정류부 후단의 전압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무선 전력 수신기(450)의 상태를 부트(Boot) 상태(S407)라고 명명할 수 있다.
무선 전력 송신기(400)는 전력 송신 모드로 진입하고(S416), 무선 전력 송신기(400)는 무선 전력 수신기(450)가 충전을 수행하도록 하는 명령 신호인 PRU 제어(PRU control)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S417). 전력 송신 모드에서, 무선 전력 송신기(400)는 충전 전력을 송신할 수 있다.
무선 전력 송신기(400)가 송신하는 PRU 제어(control) 신호는 무선 전력 수신기(450)의 충전을 인에이블/디스에이블하는 정보 및 허여(permission)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PRU 제어 신호는 충전 상태가 변경될 때마다 송신될 수 있다. PRU 제어 신호는 예를 들어 250ms 마다 송신될 수 있거나, 파라미터 변화가 있을 때 송신될 수 있다. PRU 제어 신호는 파라미터가 변경되지 않더라도 기설정된 임계 시간, 예를 들어 1초 이내에는 송신되어야 하도록 설정될 수도 있다.
무선 전력 수신기(400)는 PRU 제어(control) 신호에 따라서 설정을 변경하고, 무선 전력 수신기(450)의 상태를 보고하기 위한 무선 전력 수신기 다이내믹(PRU Dynamic)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S418, S419). 무선 전력 수신기(450)가 송신하는 PRU 다이내믹(PRU Dynamic) 신호는 전압, 전류, 무선 전력 수신기 상태 및 온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무선 전력 수신기(450)의 상태를 On 상태로 명명할 수 있다.
한편, PRU 다이내믹(Dynamic) 신호는 하기 <표 1>과 같은 데이터 구조를 가질 수 있다.
Figure 112015092408643-pat00001
상기 <표 1>에서와 같이, PRU 다이내믹(Dynamic) 신호는 적어도 하나의 필드로 구성될 수 있다. 각 필드에는 선택적 필드 정보, 무선 전력 수신기의 정류부의 후단의 전압 정보, 무선 전력 수신기의 정류부의 후단의 전류 정보, 무선 전력 수신기의 DC/DC 컨버터의 후단의 전압 정보, 무선 전력 수신기의 DC/DC 컨버터의 후단의 전류 정보, 온도 정보, 무선 전력 수신기의 정류부의 후단의 최소 전압값 정보(VRECT_MIN_DYN), 무선 전력 수신기의 정류부의 후단의 최적 전압값 정보(VRECT_SET_DYN), 무선 전력 수신기의 정류부의 후단의 최대 전압값 정보(VRECT_HIGH_DYN) 및 경고 정보(PRU alert) 등이 설정될 수 있다. PRU 다이내믹(Dynamic) 신호는 상기와 같은 필드들 중 적어도 하나의 필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충전 상황에 따라 결정된 적어도 하나의 전압 설정값들(예컨대, 무선 전력 수신기의 정류부의 후단의 최소 전압값 정보(VRECT_MIN_DYN), 무선 전력 수신기의 정류부의 후단의 최적 전압값 정보(VRECT_SET_DYN), 무선 전력 수신기의 정류부의 후단의 최대 전압값 정보(VRECT_HIGH_DYN) 등)을 상기 PRU 다이내믹 신호의 해당 필드에 포함하여 전송할 수 있다. 이와 같이, PRU 다이내믹 신호를 수신한 무선 전력 송신기는 상기 PRU 다이내믹 신호에 포함된 상기 전압 설정값들을 참조하여 각 무선 전력 수신기로 전송할 무선 충전 전압을 조정할 수 있다.
그 중에서도 경고 정보(PRU Alert)는 하기의 <표 2>와 같은 데이터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Figure 112015092408643-pat00002
상기 <표 2>를 참조하면, 상기 경고 정보(PRU Alert)는 재시작 요청(restart request)을 위한 비트와, 전환(transition)을 위한 비트 및 유선 충전 어댑터 인입 감지(TA(Travel Adapter) detect)를 위한 비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TA detect는 무선 전력 수신기가 무선 충전을 제공하는 무선 전력 송신기에서 유선 충전을 위한 단자가 연결되었음을 알리는 비트를 나타낸다. 상기 전환을 위한 비트는 무선 전력 수신기의 통신 IC(Intergrated Circit)가 SA(stand alone) 모드에서 NSA(non stand alone) 모드로 전환하기 전에 무선 전력 수신기가 리셋(reset)됨을 무선 전력 송신기에게 알리는 비트를 나타낸다. 마지막으로, 재시작 요청(restart request)은 과전류나 온도 초과 상태가 발생하여 무선 전력 송신기가 송신 전력을 줄여 충전이 끊어지게 되었다가 정상 상태로 돌아오면, 무선 전력 송신기가 무선 전력 수신기로 충전을 재개할 준비가 되었음을 알리는 비트를 나타낸다.
또한, 경고 정보(PRU Alert)는 하기의 <표 3>과 같은 데이터 구조로도 형성될 수 있다.
Figure 112015092408643-pat00003
상기 표 3을 참조하면, 경고 정보는, 과전압(over voltage), 과전류(over current), 과온도(over temperature), 무선 전력 수신기 셀프 보호(PRU Self Protection), 충전 완료(charge complete), 유선 충전 감지(Wired Charger Detect), 모드 전환(Mode Transition)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과전압(over voltage) 필드에 ‘1’이 설정되면, 이는 무선 전력 수신기에서의 전압 Vrect이 과전압 한계를 초과했음을 나타낼 수 있다. 이외에 과전류(over current), 과온도(over temperature)는 과전압에서와 같은 방식으로 설정될 수 있다. 또한, 무선 전력 수신기 셀프 보호(PRU Self Protection)는 무선 전력 수신기가 직접 로드에 걸리는 전력을 줄임으로써 보호하는 것을 의미하며, 이러한 경우 무선 전력 송신기는 충전 상태를 변경할 필요가 없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모드 전환(Mode Transition)을 위한 비트(bits)는 모드 전환 절차가 진행되는 기간을 무선 전력 송신기에 통지하기 위한 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이러한 모드 전환 기간을 나타내는 비트는 하기 <표 4>와 같이 나타낼 수 있다.
Figure 112015092408643-pat00004
상기 <표 4>를 참조하면, '00'은 모드 전환이 없음을 나타내며, '01'은 모드 전환을 완료하기 위해 요구되는 시간이 최대 2초라는 것을 나타내며, '10'은 모드 전환을 완료하기 위해 요구되는 시간이 최대 3초라는 것을 나타내며, '11'은 모드 전환을 완료하기 위해 요구되는 시간이 최대 6초라는 것을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어, 모드 전환을 완료하기 위해 3초 이하의 시간이 소요되는 경우, 모드 전환 비트는 '10'으로 설정될 수 있다. 이러한 모드 전환 절차의 시작에 앞서, 무선 전력 수신기는 1.1 W 전력 드로우(draw)를 맞추도록 입력 임피던스 설정을 변경하여 모드 전환 절차 동안에 어떠한 임피던스 변화가 없도록 제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무선 전력 송신기는 이러한 설정에 맞추어 무선 전력 수신기에 대한 전력(ITX_COIL)을 조정하며, 이에 따라 모드 전환 기간 동안에 무선 전력 수신기에 대한 전력(ITX_COIL)을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모드 전환 비트에 의해 모드 전환 기간이 설정되면, 무선 전력 송신기는 그 모드 전환 시간 예컨대, 3초 동안에는 무선 전력 수신기에 대한 전력(ITX_COIL)을 유지할 수 있다. 즉, 3초 동안에 무선 전력 수신기로부터 응답이 수신되지 않더라도 연결을 유지할 수 있다. 하지만 모드 전환 시간이 경과한 이후에는 그 무선 전력 수신기를 이물질(rouge object)이라고 간주하여 전력 전송을 종료할 수 있다.
한편, 무선 전력 수신기(450)는 에러 발생을 감지할 수 있다. 무선 전력 수신기(450)는 경고 신호를 무선 전력 송신기(400)로 송신할 수 있다(S420). 경고 신호는 PRU 다이내믹(PRU Dynamic) 신호로 송신되거나 또는 경고(alert) 신호로 송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전력 수신기(450)는 상기 표 1의 PRU alert 필드에 에러 상황을 반영하여 무선 전력 송신기(400)로 송신할 수 있다. 또는 무선 전력 수신기(450)는 에러 상황을 지시하는 단독 경고 신호를 무선 전력 송신기(400)로 송신할 수도 있다. 무선 전력 송신기(400)는 경고 신호를 수신하면, 랫치 실패(Latch Fault) 모드로 진입할 수 있다(S422). 무선 전력 수신기(450)는 널(Null) 상태로 진입할 수 있다(S423).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한 무선 전력 송신기 및 무선 전력 수신기의 동작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5의 제어 방법은 도 6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6은 도 5의 실시 예에 의한 무선 전력 송신기가 인가하는 전력량의 시간 축에 대한 그래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선 전력 송신기는 구동을 개시할 수 있다(S501). 아울러, 무선 전력 송신기는 초기 설정을 리셋할 수 있다(S503). 무선 전력 송신기는 전력 절약 모드에 진입할 수 있다(S505). 여기에서, 전력 절약 모드는, 무선 전력 송신기가 전력 송신부에 전력량이 상이한 이종의 전력을 인가하는 구간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전력 송신기는 도 6에서의 제 2 검출 전력(601, 602) 및 제 3 검출 전력(611, 612, 613, 614, 615)을 전력 송신부에 인가하는 구간일 수 있다. 여기에서, 무선 전력 송신기는 제 2 검출 전력(601, 602)을 제 2 주기로 주기적으로 인가할 수 있으며, 제 2 검출 전력(601, 602)을 인가하는 경우에는 제 2 기간 동안 인가할 수 있다. 무선 전력 송신기는 제 3 검출 전력(611, 612, 613, 614, 615)을 제 3 주기로 주기적으로 인가할 수 있으며, 제 3 검출 전력(611, 612, 613, 614, 615)을 인가하는 경우에는 제 3 기간 동안 인가할 수 있다. 한편, 제 3 검출 전력(611, 612, 613, 614, 615)의 각각의 전력 값은 상이한 것과 같이 도시되어 있지만, 제 3 검출 전력(611, 612, 613, 614, 615)의 각각의 전력 값은 상이할 수도 있으며 또는 동일할 수도 있다.
무선 전력 송신기는 제 3 검출 전력(611)을 출력한 이후에 동일한 크기의 전력량을 가지는 제 3 검출 전력(612)을 출력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무선 전력 송신기가 동일한 크기의 제 3 검출 전력을 출력하는 경우, 제 3 검출 전력의 전력량은 가장 소형의 무선 전력 수신기, 예를 들어 카테고리 1의 무선 전력 수신기를 검출할 수 있는 전력량을 가질 수 있다.
반면, 무선 전력 송신기는 제 3 검출 전력(611)을 출력한 이후에 상이한 크기의 전력량을 가지는 제 3 검출 전력(612)을 출력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무선 전력 송신기가 상이한 크기의 제 3 검출 전력을 출력하는 경우, 제 3 검출 전력의 전력량 각각은 카테고리 1 내지 5의 무선 전력 수신기를 검출할 수 있는 전력량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3 검출 전력(611)은 카테고리 5의 무선 전력 수신기를 검출할 수 있는 전력량을 가질 수 있으며, 제 3 검출 전력(612)은 카테고리 3의 무선 전력 수신기를 검출할 수 있는 전력량을 가질 수 있으며, 제 3 검출 전력(613)은 카테고리 1의 무선 전력 수신기를 검출할 수 있는 전력량을 가질 수 있다.
한편, 제 2 검출 전력(601, 602)은 무선 전력 수신기를 구동시킬 수 있는 전력일 수 있다. 더욱 상세하게는, 제 2 검출 전력(601, 602)은 무선 전력 수신기의 제어부 및/또는 통신부를 구동시킬 수 있는 전력량을 가질 수 있다.
무선 전력 송신기는 제 2 검출 전력(601, 602) 및 제 3 검출 전력(611, 612, 613, 614, 615)을 전력 수신부로 각각 제 2 주기 및 제 3 주기로 인가할 수 있다. 무선 전력 송신기 상에 무선 전력 수신기가 배치되는 경우, 무선 전력 송신기의 일 지점에서 바라보는 임피던스가 변화될 수 있다. 무선 전력 송신기는 제 2 검출 전력(601, 602) 및 제 3 검출 전력(611, 612, 613, 614, 615)이 인가되는 중 임피던스 변화를 검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전력 송신기는 제 3 검출 전력(615)을 인가하는 중, 임피던스가 변화되는 것을 검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무선 전력 송신기는 물체를 검출할 수 있다(S507). 물체가 검출되지 않는 경우에는(S507-N), 무선 전력 송신기는 이종의 전력을 주기적으로 인가하는 전력 절약 모드를 유지할 수 있다(S505).
한편, 임피던스가 변화되어 물체가 검출되는 경우에는(S507-Y), 무선 전력 송신기는 저전력 모드로 진입할 수 있다. 여기에서, 저전력 모드는 무선 전력 송신기가 무선 전력 수신기의 제어부 및 통신부를 구동시킬 수 있는 전력량을 가진 구동 전력을 인가하는 모드이다. 예를 들어 도 6에서는, 무선 전력 송신기는 구동 전력(620)을 전력 송신부에 인가할 수 있다. 무선 전력 수신기는 구동 전력(620)을 수신하여 제어부 및/또는 통신부를 구동할 수 있다. 무선 전력 수신기는 구동 전력(620)에 기초하여 무선 전력 송신기와 소정의 방식에 기초하여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전력 수신기는 인증에 요구되는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으며, 이에 기초하여 무선 전력 송신기가 관장하는 무선 전력 네트워크에 가입할 수 있다. 다만, 무선 전력 수신기가 아닌 이물질이 배치되는 경우에는, 데이터 송수신이 수행될 수 없다. 이에 따라, 무선 전력 송신기는 배치된 물체가 이물질인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S511). 예를 들어, 무선 전력 송신기는 기설정된 시간 동안 물체로부터 응답을 수신하지 못한 경우, 물체를 이물질로 결정할 수 있다.
이물질로 결정된 경우에는(S511-Y), 무선 전력 송신기는 랫치 실패(latch fault) 모드로 진입할 수 있다(S513). 반면, 이물질이 아닌 것으로 결정된 경우에는(S511-N), 가입 단계를 진행할 수 있다(S519). 예를 들면, 무선 전력 송신기는 도 6에서의 제 1 전력(631 내지 634)을 제 1 주기로 주기적으로 인가할 수 있다. 무선 전력 송신기는 제 1 전력을 인가하는 중에 임피던스 변화를 검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물질이 회수되는 경우에는(S515-Y) 임피던스 변화를 검출할 수 있으며, 무선 전력 송신기는 이물질이 회수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는 이물질이 회수되지 않는 경우에는(S515-N), 무선 전력 송신기는 임피던스 변화를 검출할 수 없으며, 무선 전력 송신기는 이물질이 회수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물질이 회수되지 않는 경우에는, 무선 전력 송신기는 램프 및 경고음 중 적어도 하나를 출력하여 현재의 무선 전력 송신기의 상태가 에러 상태임을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다. 이에 따라, 무선 전력 송신기는 램프 및 경고음 중 적어도 하나를 출력하는 출력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물질이 회수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S515-N), 무선 전력 송신기는 랫치 실패 모드를 유지할 수 있다(S513). 한편, 이물질이 회수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S515-Y), 무선 전력 송신기는 전력 절약 모드로 재진입할 수 있다(S517). 예를 들어, 무선 전력 송신기는 도 6의 제 2 전력(651, 652) 및 제 3 전력(661 내지 665)을 인가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무선 전력 송신기는, 무선 전력 수신기가 아닌 이물질이 배치된 경우에 랫치 실패 모드로 진입할 수 있다. 아울러, 무선 전력 송신기는 랫치 실패 모드에서 인가하는 전력에 기초한 임피던스 변화에 의거하여 이물질의 회수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즉, 도 5 및 6의 실시 예에서의 랫치 실패 모드 진입 조건은 이물질의 배치일 수 있다. 한편, 무선 전력 송신기는 이물질의 배치 이외에도 다양한 랫치 실패 모드 진입 조건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전력 송신기는 배치된 무선 전력 수신기와 교차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의 경우에서도 랫치 실패 모드로 진입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무선 전력 송신기는 교차 연결 발생 시, 초기 상태로의 복귀가 요구되며, 무선 전력 수신기의 회수가 요구된다. 무선 전력 송신기는 다른 무선 전력 송신기상에 배치되는 무선 전력 수신기가 무선 전력 네트워크에 가입되는 교차 연결을 랫치 실패 모드 진입 조건으로 설정할 수 있다. 교차 연결을 포함하는 에러 발생 시의 무선 전력 송신기의 동작을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무선 전력 송신기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7의 제어 방법은 도 8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8은 도 7의 실시 예에 의한 무선 전력 송신기가 인가하는 전력량의 시간 축에 대한 그래프이다.
무선 전력 송신기는 구동을 개시할 수 있다(S701). 아울러, 무선 전력 송신기는 초기 설정을 리셋할 수 있다(S703). 무선 전력 송신기는 전력 절약 모드에 진입할 수 있다(S705). 여기에서, 전력 절약 모드는, 무선 전력 송신기가 전력 송신부에 전력량이 상이한 이종의 전력을 인가하는 구간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전력 송신기는 도 8에서의 제 2 검출 전력(801, 802) 및 제 3 검출 전력(811, 812, 813, 814, 815)을 전력 송신부에 인가하는 구간일 수 있다. 여기에서, 무선 전력 송신기는 제 2 검출 전력(801, 802)을 제 2 주기로 주기적으로 인가할 수 있으며, 제 2 검출 전력(801, 802)을 인가하는 경우에는 제 2 기간 동안 인가할 수 있다. 무선 전력 송신기는 제 3 검출 전력(811, 812, 813, 814, 815)을 제 3 주기로 주기적으로 인가할 수 있으며, 제 3 검출 전력(811, 812, 813, 814, 815)을 인가하는 경우에는 제 3 기간 동안 인가할 수 있다. 한편, 제 3 검출 전력(811, 812, 813, 814, 815)의 각각의 전력 값은 상이한 것과 같이 도시되어 있지만, 제 3 검출 전력(811, 812, 813, 814, 815)의 각각의 전력 값은 상이할 수도 있으며 또는 동일할 수도 있다.
한편, 제 2 검출 전력(801, 802)은 무선 전력 수신기를 구동시킬 수 있는 전력일 수 있다. 더욱 상세하게는, 제 2 검출 전력(801, 802)은 무선 전력 수신기의 제어부 및/또는 통신부를 구동시킬 수 있는 전력량을 가질 수 있다.
무선 전력 송신기는 제 2 검출 전력(801, 802) 및 제 3 검출 전력(811, 812, 813, 814, 815)을 전력 수신부로 각각 제 2 주기 및 제 3 주기로 인가할 수 있다. 무선 전력 송신기 상에 무선 전력 수신기가 배치되는 경우, 무선 전력 송신기의 일 지점에서 바라보는 임피던스가 변화될 수 있다. 무선 전력 송신기는 제 2 검출 전력(801, 802) 및 제 3 검출 전력(811, 812, 813, 814, 815)이 인가되는 중 임피던스 변화를 검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전력 송신기는 제 3 검출 전력(815)을 인가하는 중, 임피던스가 변화되는 것을 검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무선 전력 송신기는 물체를 검출할 수 있다(S707). 물체가 검출되지 않는 경우에는(S707-N), 무선 전력 송신기는 이종의 전력을 주기적으로 인가하는 전력 절약 모드를 유지할 수 있다(S705).
한편, 임피던스가 변화되어 물체가 검출되는 경우에는(S707-Y), 무선 전력 송신기는 저전력 모드로 진입할 수 있다(S709). 여기에서, 저전력 모드는 무선 전력 송신기가 무선 전력 수신기의 제어부 및/또는 통신부를 구동시킬 수 있는 전력량을 가진 구동 전력을 인가하는 모드이다. 예를 들어 도 8에서는, 무선 전력 송신기는 구동 전력(820)을 전력 송신부에 인가할 수 있다. 무선 전력 수신기는 구동 전력(820)을 수신하여 제어부 및/또는 통신부를 구동할 수 있다. 무선 전력 수신기는 구동 전력(820)에 기초하여 무선 전력 송신기와 소정의 방식에 기초하여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전력 수신기는 인증에 요구되는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으며, 이에 기초하여 무선 전력 송신기가 관장하는 무선 전력 네트워크에 가입할 수 있다.
이후, 무선 전력 송신기는 충전 전력을 송신하는 전력 송신 모드로 진입할 수 있다(S711). 예를 들어, 무선 전력 송신기는 도 8에서와 같이 충전 전력(821)을 인가할 수 있으며, 충전 전력은 무선 전력 수신기로 송신될 수 있다.
무선 전력 송신기는 전력 송신 모드에서, 에러가 발생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여기에서, 에러는 무선 전력 송신기 상에 이물질이 배치되는 것, 교차 연결, 과전압(over voltage), 과전류(over current), 과온도(over temperature) 등일 수 있다. 무선 전력 송신기는 과전압(over voltage), 과전류(over current), 과온도(over temperature) 등을 측정할 수 있는 센싱부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전력 송신기는 기준 지점의 전압 또는 전류를 측정할 수 있으며, 측정된 전압 또는 전류가 임계값을 초과하는 것을 과전압 또는 과전류 조건이 충족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는 무선 전력 송신기는 온도 센싱 수단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온도 센싱 수단은 무선 전력 송신기의 기준 지점의 온도를 측정할 수 있다. 기준 지점의 온도가 임계값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무선 전력 송신기는 과온도 조건이 충족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온도, 전압, 전류 등의 측정값에 따라 과전압, 과전류, 과온도 등의 상태로 판단될 경우, 무선 전력 송신기는 무선 충전 전력을 미리 설정된 값만큼 낮춤으로써 과전압, 과전류, 과온도를 방지한다. 이때, 낮춰진 무선 충전 전력의 전압값이 설정된 최소값(예컨대, 무선 전력 수신기 정류부 후단의 최소 전압값(VRECT_MIN_DYN))보다 낮아지면 무선 충전이 중단되므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전압 설정값을 재조정할 수 있다.
도 8의 실시 예에서는, 무선 전력 송신기 상에 이물질이 추가적으로 배치되는 에러가 도시되었지만, 에러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이물질이 배치되는 것, 교차 연결, 과전압(over voltage), 과전류(over current), 과온도(over temperature)에 대하여서도 무선 전력 송신기가 유사한 과정으로 동작함을 당업자는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에러가 발생하지 않으면(S713-N), 무선 전력 송신기는 전력 송신 모드를 유지할 수 있다(S711). 한편, 에러가 발생하면(S713-Y), 무선 전력 송신기는 랫치 실패 모드로 진입할 수 있다(S715). 예를 들어, 무선 전력 송신기는 도 8과 같이 제 1 전력(831 내지 835)를 인가할 수 있다. 아울러, 무선 전력 송신기는 랫치 실패 모드 동안 램프 및 경고음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 에러 발생 표시를 출력할 수 있다. 이물질 또는 무선 전력 수신기가 회수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S717-N), 무선 전력 송신기는 랫치 실패 모드를 유지할 수 있다(S715). 한편, 이물질 또는 무선 전력 수신기가 회수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S717-Y), 무선 전력 송신기는 전력 절약 모드로 재진입할 수 있다(S719). 예를 들어, 무선 전력 송신기는 도 8의 제 2 전력(851,852) 및 제 3 전력(861 내지 865)을 인가할 수 있다.
이상에서, 무선 전력 송신기가 충전 전력을 송신하는 중 에러가 발생한 경우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이하에서는, 무선 전력 송신기 상에 복수의 무선 전력 수신기가 충전 전력을 수신하는 경우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무선 전력 송신기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9의 제어 방법은 도 10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10은 도 9의 실시 예에 의한 무선 전력 송신기가 인가하는 전력량의 시간 축에 대한 그래프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선 전력 송신기는 제 1 무선 전력 수신기로 충전 전력을 송신할 수 있다(S901). 아울러, 무선 전력 송신기는 추가적으로 제 2 무선 전력 수신기를 무선 전력 네트워크로 가입시킬 수 있다(S903). 또한 무선 전력 송신기는 제 2 무선 전력 수신기에도 충전 전력을 송신할 수 있다(S905). 더욱 상세하게는, 무선 전력 송신기는 제 1 무선 전력 수신기 및 제 2 무선 전력 수신기가 요구하는 충전 전력의 합계를 전력 수신부에 인가할 수 있다.
도 10에서는 상기의 S901 단계 내지 S905 단계에 대한 일 실시 예가 도시된다. 예를 들어, 무선 전력 송신기는 제 2 검출 전력(1001, 1002) 및 제 3 검출 전력(1011 내지 1015)을 인가하는 전력 절약 모드를 유지할 수 있다. 이후, 무선 전력 송신기는 제 1 무선 전력 수신기를 검출하고, 검출 전력(1020)을 유지하는 저전력 모드로 진입할 수 있다. 이후, 무선 전력 송신기는 제 1 충전 전력(1030)을 인가하는 전력 송신 모드로 진입할 수 있다. 무선 전력 송신기는 제 2 무선 전력 수신기를 검출할 수 있으며, 제 2 무선 전력 수신기를 무선 전력 네트워크에 가입시킬 수 있다. 아울러, 무선 전력 송신기는 제 1 무선 전력 수신기 및 제 2 무선 전력 수신기가 요구하는 전력량의 합계의 전력량을 가지는 제 2 충전 전력(1040)을 인가할 수 있다.
다시 도 9를 참조하면, 무선 전력 송신기는 제 1 및 제 2 무선 전력 수신기 양자에 충전 전력을 송신하는 중(S905), 에러 발생을 검출할 수 있다(S907). 여기에서, 에러는 상술한 바와 같이, 이물질 배치, 교차 연결, 과전압(over voltage), 과전류(over current), 과온도(over temperature) 등일 수 있다. 에러가 발생하지 않으면(S907-N), 무선 전력 송신기는 제 2 충전 전력(1040)의 인가를 유지할 수 있다.
한편, 에러가 발생하면(S907-Y), 무선 전력 송신기는 랫치 실패 모드로 진입할 수 있다(S909). 예를 들어, 무선 전력 송신기는 도 10의 제 1 전력(1051 내지 1055)를 제 1 주기로 인가할 수 있다. 무선 전력 송신기는 제 1 무선 전력 수신기 및 제 2 무선 전력 수신기 모두가 회수되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S911). 예를 들어, 무선 전력 송신기는 제 1 전력(1051 내지 1055)의 인가 중 임피던스 변화를 검출할 수 있다. 무선 전력 송신기는 임피던스가 초기 수치로 복귀하는지 여부에 기초하여 제 1 무선 전력 수신기 및 제 2 무선 전력 수신기 모두가 회수되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제 1 무선 전력 수신기 및 제 2 무선 전력 수신기 모두가 회수된 것으로 판단되면(S911-Y), 무선 전력 송신기는 전력 절약 모드로 진입할 수 있다(S913). 예를 들어, 무선 전력 송신기는 도 10과 같이 제 2 검출 전력(1061, 1062) 및 제 3 검출 전력(1071 내지 1075)을 각각 제 2 주기 및 제 3 주기로 인가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무선 전력 송신기는 복수 개의 무선 전력 수신기에 충전 전력을 인가하는 경우에 있어서도, 에러 발생 시 용이하게 무선 전력 수신기 또는 이물질이 회수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SA(stand alone) 모드에서의 무선 전력 송신기 및 무선 전력 수신기의 블록도이다.
무선 전력 송신기(1100)는 통신부(1110), 전력 증폭기(power amplifier, PA)(1120) 및 공진기(resonator)(1130)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전력 수신기(1150)는 통신부(WPT Communication IC)(1151),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Application Processor; AP)(1152), 전력 관리 집적회로(Power Management Integrated Circuit; PMIC)(1153), 무선 전력 집적회로(Wireless Power Integrated Circuit; WPIC)(1154), 공진기(resonator)(1155), 인터페이스 전력 관리 집적회로(Interface Power Management IC; IFPM)(1157), 유선 충전 어댑터(Travel Adapter; TA)(1158) 및 배터리(1159)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1100)는 와이파이(WiFi)/블루투스(BT) 콤보(Combo) IC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통신부(1151)와 소정의 방식, 예를 들어 BLE 방식에 기초하여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전력 수신기(1150)의 통신부(1151)는 표 1의 데이터 구조를 가지는 PRU 다이내믹(PRU Dynamic) 신호를 무선 전력 송신기(1100)의 통신부(1110)로 송신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PRU 다이내믹 신호는 무선 전력 수신기(1150)의 전압 정보, 전류 정보, 온도 정보 및 경고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수신된 PRU 다이내믹 신호에 기초하여, 전력 증폭기(1120)로부터의 출력 전력 값이 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전력 수신기(1150)에 과전압, 과전류, 과온도가 인가되면, 전력 증폭기(1120)로부터 출력되는 전력 값이 감소될 수 있다. 아울러, 무선 전력 수신기(1150)의 전압 또는 전류가 기설정된 값 미만인 경우에는 전력 증폭기(1120)로부터 출력되는 전력 값이 증가될 수 있다.
공진기(1130)로부터의 충전 전력은 공진기(1155)에 무선으로 송신될 수 있다.
무선 전력 집적회로(1154)는 공진기(1155)로부터 수신된 충전 전력을 정류하고, DC/DC 컨버팅할 수 있다. 무선 전력 집적회로(1154)는 컨버팅된 전력을 통신부(1151)를 구동하거나 또는 배터리(1159)를 충전하도록 한다.
한편, 유선 충전 어댑터(1158)에는 유선 충전 단자가 인입될 수 있다. 유선 충전 어댑터(1158)는 30핀 커넥터 또는 USB 커넥터 등의 유선 충전 단자가 인입될 수 있으며, 외부 전원으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을 수신하여 배터리(1159)를 충전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 전력 관리 집적회로(1157)는 유선 충전 단자로부터 인가되는 전력을 처리하여 배터리(1159) 및 전력 관리 집적회로(1153)로 출력할 수 있다.
전력 관리 집적회로(1153)는 무선으로 수신된 전력 또는 유선으로 수신된 전력과 무선 전력 수신기(1150)의 구성 요소 각각에 인가되는 전력을 관리할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1152)는 전력 관리 집적회로(1153)로부터 전력 정보를 수신하여, 이를 보고하기 위한 PRU 다이내믹(PRU Dynamic) 신호를 송신하도록 통신부(1151)를 제어할 수 있다.
무선 전력 집적회로(1154)에 연결되는 노드(1156)에는 유선 충전 어댑터(1158)에도 연결될 수 있다. 유선 충전 어댑터(1158)에 유선 충전 커넥터가 인입되는 경우에는, 노드(1156)에 기설정된 전압, 예를 들어 5V가 인가될 수 있다. 무선 전력 집적회로(1154)는 노드(1156)에 인가되는 전압을 모니터링하여 유선 충전 어댑터의 인입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한편,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1152)는 미리 정해진 통신 방식의 스택 예컨대, WiFi/BT/BLE 스택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무선 충전을 위한 통신 시 통신부(1151)는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1152)로부터 이러한 스택을 로드한 후, 그 스택을 기반으로 BT, BLE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무선 전력 송신기(1100)의 통신부(1110)와 통신할 수 있다.
하지만,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1152)가 전원 오프된 상태에서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1152)로부터 무선 전력 전송을 수행하기 위한 데이터를 가져올 수 없는 상태 또는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1152) 내의 메모리로부터 그 데이터를 가져와서 사용하는 도중에 그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1152)의 온 상태를 유지할 수 없을 정도로 전력이 소실된 상태가 발생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배터리(1159)의 잔여 용량이 최소 전력 임계값 미만이 되면,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1152)가 꺼지게 되며, 무선 전력 수신기 내부에 배치된 무선 충전을 위한 일부 구성 요소 예컨대, 통신부(1151), 무선 전력 집적 회로(1154), 공진기(115) 등을 이용하여 무선 충전을 할 수 있다. 여기서,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1152)를 켤 수 있는 정도의 전원을 공급할 수 없는 상태를 데드(dead) 배터리 상태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데드 배터리 상태에서는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1152)는 구동되지 않기 때문에 통신부(1151)는 미리 정해진 통신 방식의 스택 예컨대, WiFi/BT/BLE 스택을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1152)로부터 입력받을 수 없다. 이러한 경우를 대비하여 통신부(1151)의 메모리(1162) 내에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1152)로부터 상기 미리 정해진 통신 방식의 스택 중 일부의 스택 예컨대, BLE 스택을 패치(fetch)하여 저장해놓을 수 있다. 이에 따라 통신부(1151)는 메모리(1162)에 저장한 상기 통신 방식의 스택 즉, 무선 충전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무선 충전을 위한 무선 전력 송신기(1100)와의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통신부(1151)는 그 내부의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는데, SA 모드에서 BLE 스택은 롬 형태의 메모리에 저장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통신부(1151)가 메모리(1162)에 저장한 상기 통신 방식의 스택을 이용하여 통신을 수행하는 것을 SA(stand alone) 모드라고 명명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통신부(1151)는 BLE 스택을 기반으로 충전 절차를 관리할 수 있다.
이상으로, 도 1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적용될 수 있는 무선 충전 시스템의 개념을 설명하였다. 이하 도 12 내지 도 1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선 전력 송신기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무선 전력 시스템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무선 전력 시스템(1200)은 무선 전력 송신기(1201)와 무선 전력 수신기(1270)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전력 시스템(1200)은 무선 전력 송신기(1201)로부터 출력된 무선 전력(PW)을 이용하여 무선 전력 수신기(1270)가 무선 충전을 수행할 수 있는 시스템이다.
무선 전력 송신기(1201)는 도 1 내지 도 11에서 설명된 무선 전력 송신기와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유사하게 구현될 수 있다.
무선 전력 송신기(1201)는 차동 신호(Differential signal)를 이용하여 무선 전력(PW)을 무선으로 무선 전력 수신기(127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무선 전력 송신기(1201)는 무선 전력(PW)에 대한 정보를 무선 전력 수신기(1270)로 전송하거나, 무선 전력 수신기(127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무선 전력 송신기(1201)는 제어부(1210), 신호 발생부(1215), 신호 분리부(1220), 증폭부(1225), DC 전원 인가부(1227), 매칭부(1230), 공진부(1335), AC 측정부(1240), DC 측정부(1249), 메모리(1250), 및 통신부(1255)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210)는 무선 전력 송신기(1201)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210)는, 중앙처리장치(central processing unit(CPU)),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application processor(AP)), 또는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communication processor(CP))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210)는, 예를 들면, 무선 전력 송신기(1201)의 적어도 하나의 다른 구성요소들의 제어 및/또는 통신에 관한 연산이나 데이터 처리를 실행할 수 있다.
제어부(1210)는 무선 전력(PW)을 위한 차동 신호(OUT1, OUT2, OUT1', 및/또는 OUT2')를 제어할 수 있다. 즉, 제어부(1210)는 무선 전력(PW)을 위한 차동 신호(OUT1, OUT2, OUT1', 및/또는 OUT2')의 진폭과 위상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제어부(1210)는 신호 분리부(1220)로부터 출력되는 제1차동 신호(OUT1과 OUT2)를 제어하기 위해 제1제어 신호(CS1)를 신호 분리부(122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210)는 DC 전원 인가부(1227)로부터 출력되는 DC 전원을 제어하기 위해, DC 전원 인가부(1227)로 제2제어 신호(CS2)를 전송할 수 있다.
제1제어 신호(CS1)는 신호 분리부(1220)로부터 출력되는 제1차동 신호(OUT1과 OUT2)를 제어하기 위한 신호를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제1제어 신호(CS)는 제1차동 신호(OUT1과 OUT2)를 조절하기 위한 신호를 의미할 수도 있다.
제2제어 신호(CS2)는 DC 전원 인가부(1227)로부터 출력되는 DC 전원을 제어하는 신호를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제2제어 신호(CS2)는 DC 전원 인가부(1227)의 온/오프를 제어하기 위한 신호를 의미할 수도 있다.
제어부(1210)는 제2차동 신호(OUT1'과 OUT2')에 대한 정보를 메모리(1250)에 저장할 수 있다. 이때, 제2차동 신호(OUT1'과 OUT2')에 대한 정보는 제2차동 신호(OUT1'과 OUT2')의 전압값, 전류값, 위상차 값, 진폭, 제1차동 신호(OUT1과 OUT2)를 증폭하기 위한 DC 전압값, 및/또는 DC 전류값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제어부(1210)는 제2차동 신호(OUT1'과 OUT2')에 대한 정보를 신호 분리부(1220)의 초기 기준값으로 설정할 수도 있다.
신호 발생부(1215)는 무선 전력을 위한 신호(IN)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신호 발생부(1215)는 생성된 무선 전력을 위한 신호(IN)를 신호 분리부(122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무선 전력을 위한 신호(IN)는 무선 전력(PW)을 무선 전력 수신기(1270)로 전송하기 위한 신호일 수 있다. 또한, 무선 전력을 위한 신호(IN)는 신호 분리부(1220)가 차동 신호를 출력할 수 있도록 신호 분리부(1220)로 입력되는 신호를 의미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무선 전력을 위한 신호(IN)는 PWM(Pulse With Modulation) 신호로 구현될 수 있다. 이때, 신호 발생부(1215)는 PMW 신호 발생기로 구현될 수 있다.
신호 분리부(1220)는 무선 전력을 위한 신호(IN)를 수신하고, 제1차동 신호(OUT1과 OUT2)를 출력할 수 있다. 제1차동 신호(OUT1과 OUT2)는 신호 분리부(1220)에서 출력되는 차동 신호를 의미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신호 분리부(1220)는 차동 증폭기(Differential OP-AMP)로 구현될 수 있다. 이때, 무선 전력을 위한 신호(IN)는 싱글-엔드(Single-end) 신호로 신호 분리부(1220)에 입력될 수 있다.
신호 분리부(1220)는 제어 초기값 따라, 제1차동 신호(OUT1과 OUT2)를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제어 초기값은, 무선 전력 송신기(1201)의 제조자가 실험적으로 확인한 값으로, 제1차동 신호(OUT1과 OUT2)에 포함된 두 개의 신호가 진폭이 동일하고 위상차가 180도가 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신호 분리부(1220)는 제어부(1210)로부터 수신된 제어 신호(CS1)에 응답하여 제1차동 신호(OUT1과 OUT2)를 출력할 수 있다. 즉, 신호 분리부(1220)는 제어부(1210)의 제어에 따라, 제1차동 신호(OUT1과 OUT2)를 출력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신호 분리부(1220)는 초기 기준값에 따라, 차동 신호(OUT1과 OUT2)를 출력할 수도 있다. 이때, 초기 기준값은, 무선 전력 송신기의 초기화 단계에서, 제어부(1210)의 의해 설정된 값으로, 제1차동 신호(OUT1과 OUT2)(또는 제2차동 신호(OUT1'과 OUT2'))가 진폭이 동일(또는 유사)하고 위상차가 180도인 값(또는 180도에 근접한 값)으로 출력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신호 분리부(1220)는 제어부(1210)의 제어에 따라, 제1차동 신호(OUT1과 OUT2)를 조절하고, 조절된 제1차동 신호(OUT1과 OUT2)를 출력할 수도 있다.
신호 분리부(1220)는 제1차동 신호(OUT1과 OUT2)를 증폭부(1225)로 출력할 수 있다.
증폭부(1225)는 DC 전원 인가부(1227)로부터 수신된 DC 전원에 응답하여, 제1차동 신호(OUT1과 OUT2)를 증폭할 수 있다. 즉, 증폭부(1225)는 DC 전원 인가부(1227)로부터 출력된 DC 전압(또는 DC 전류)을 이용하여, 제1차동 신호(OUT1과 OUT2)를 증폭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증폭부(1225)는 CLASS-D 증폭기 또는 CLASS-E 증폭기로 구현될 수 있다.
증폭부(1225)는 증폭된 차동 신호를 매칭부(1230)로 전송할 수 있다.
DC 전원 인가부(1227)는 신호 분리부(1220)로부터 출력된 제1차동 신호(OUT1과 OUT2)를 증폭하기 위한 DC 전원(또는 DC 전압)을 증폭부(1225)로 출력할 수 있다.
DC 전원 인가부(1227)는 제어부(1210)로부터 출력된 제2제어 신호(CS2)에 응답하여, DC 전원을 출력할 수 있다. 즉, DC 전원 인가부(1227)는 제어부(1210)의 제어에 따라 DC 전원을 출력할 수 있다.
매칭부(1230)는 증폭된 차동 신호의 임피던스 매칭을 수행할 수 있다. 즉, 매칭부(1230)는 매칭부(1230)로부터 바라본 무선 충전 수신기(1270)의 임피던스를 조정하여, 증폭된 차동 신호의 임피던스 매칭을 수행할 수 있다.
공진부(1335)는 매칭부(1230)로부터 출력된 제2차동 신호(OUT1'와 OUT2')에 대응하는 전력을 공진시킬 수 있다. 또한, 공진부(1335)는 매칭부(1230)로부터 출력된 제2차동 신호(OUT1'과 OUT2')에 대응하는 전력을 공진시켜, 제2차동 신호(OUT1'과 OUT2')에 상응하는 무선 전력(PW)을 무선 충전 수신기(1270)로 전송할 수 있다.
제2차동 신호(OUT1'과 OUT2')는 공진부(1335)에 인가되는 차동 신호를 의미할 수 있다.
무선 전력(PW)은 무선 전력 송신기(1201)의 공진부(1235)로 입력된 제2차동 신호(OUT1'와 OUT2')에 상응하는 교류 전력을 의미할 수 있다.
AC 측정부(1240)는 공진부(1235)로 인가되는 제2차동 신호(OUT1'과 OUT2')를 측정하고, 측정 결과(A1, B1, 및/또는 C1)를 제어부(1210)로 전송할 수 있다.
AC 측정부(1240)는 제2차동 신호(OUT1'과 OUT2')에 포함된 양의 차동 신호(OUT1')의 전압과 전류를 측정하고, 제2차동 신호(OUT1'과 OUT2')에 포함된 음의 차동 신호(OUT2')의 전압과 전류를 측정할 수 있다. 또한, AC 측정부(1240)는 양의 차동 신호(OUT1')와 음의 차동 신호(OUT2')의 위상차를 측정할 수 있다.
이때, 양의 차동 신호(OUT1')와 음의 차동 신호(OUT2')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2차동 신호(OUT1'과 OUT2')에 포함된 두 개의 신호를 구별하기 위한 것이다.
DC 측정부(1249)는 DC 전압 인가부(1227)로부터 출력되는 DC 전원(또는 DC 전압)을 측정할 수 있다. 즉, DC 측정부(1249)는 제1차동 신호(OUT1과 OUT2)를 증폭하는 DC 전원(또는 DC 전압)을 측정할 수 있다.
DC 측정부(1249)는 측정된 DC 전원(D1)을 제어부(121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측정된 DC 전원(D1)은 제1차동 신호(OUT1과 OUT2)를 증폭하는 DC 전원값(또는 DC 전압값)을 의미할 수 있다.
메모리(1250)는 제어부(1210)로부터 전송된 제2차동 신호(OUT1'과 OUT2')에 대한 정보(A1, B1, C1, 및/또는 D1)를 저장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메모리(1250)는 신호 분리기(1220)의 초기 기준값을 저장할 수 있다. 이때, 메모리(1250)는 휘발성 및/또는 비휘발성 메모리로 구현될 수 있다.
통신부(1255)는 무선 전력 수신기(1270)와 무선 전력(PW)에 대한 데이터(또는 정보)를 무선으로 송수신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통신부(1255)는 무선 전력 수신기(1270)로 측정된 수신 전력을 요청(RQ)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1255)는 무선 전력 수신기(1270)로부터 측정된 수신 전력(MP)을 수신할 수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어부(1210)와 AC 측정부(1240)와 DC 측정부(1249)를 구별했으나, AC 측정부(1240)와 DC 측정부(1249)는 제어부(1210)에 포함되어 구현될 수도 있다.
한편, 무선 전력 송신기(1201)는 센서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이때, 센서부(미도시)는 무선 전력 송신기(1201)의 주변 온도를 감지하고, 감지된 온도값을 제어부(121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210)는 감지된 온도값을 신호 분리부(1220)의 초기 기준값으로 설정할 수도 있다.
무선 전력 수신기(1270)는 무선 전력 송신기(1201)로부터 출력된 무선 전력(PW)을 수신하고, 무선 전력(PW)을 이용하여 무선 충전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무선 전력 수신기(1270)는 무선 전력(PW)에 대한 정보를 무선 전력 송신기(1201)로 전송하거나, 무선 전력 송신기(1201)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무선 전력 수신기(1270)는 제어부(1280), 공진부(1282), 무선 전력 집적회로(Wireless Power Integrated Circuit; WPIC)(1284), 배터리부(1286), 및 통신부(1290)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280)는 무선 전력 수신기(127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공진부(1282)는 무선 전력 송신기(1201)의 공진부(1235)로부터 전송된 무선 전력(PW)을 무선으로 수신할 수 있다. 즉, 공진부(1282)는 제2차동 신호(OUT1'과 OUT2')에 상응하는 교류 전력을 무선으로 수신할 수 있다.
무선 전력 집적회로(1284)는 공진부(1282)로부터 수신된 무선 전력(예컨대, 교류 전력)을 DC 전력으로 컨버팅할 수 있다. 무선 전력 집적회로(1284)는 컨버팅된 전력을 통신부(1151)를 구동하거나 배터리부(1286)로 전송할 수 있다.
배터리부(1286)는 컨버팅된 전력을 이용하여, 전력을 충전할 수 있다.
통신부(1290)는 무선 전력 송신기(1201)와 무선 전력에 관련된 데이터를 무선으로 송수신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통신부(1290)는 무선 전력 송신기(1270)의 요청에 응답하여 무선 전력 송신기(1201)로 측정된 수신 전력(MP)을 송신할 수 있다.
도 13은 도 12에 도시된 신호 분리부에 대한 구체적인 회로도이다.
도 12와 도 13을 참조하면, 신호 분리기(1220)는 차동 증폭기(Differentail OP-AMP)로 구현될 수 있다.
신호 분리부(1220)는 신호 발생기(1215)에서 생성된 무선 전력을 위한 신호(IN)를 한쪽 입력으로 인가받을 수 있다. 이때, 신호 분리부(1220)는 무선 전력을 위한 신호(IN)를 싱글 엔드 신호로 인가받을 수 있다. 또한, 신호 분리부(1220)는 다른 한쪽 입력으로 더미 로드(Dummy load, R5와 R6)를 접속시킬 수 있다.
신호 분리부(1220)는 제1차동 신호(OUT1과 OUT2)를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차동 신호에 포함된 두 개의 신호는 진폭이 동일하고, 위상이 180도 차이나는 신호로 구현될 수 있다. 이때, 차동 신호의 진폭과 위상은 출력 공통 모드 전압(Output Common Mode Voltage(OCMV))에 의해 증폭부(1225)로 인가되는 신호(예컨대, DC 저원)의 충격 계수(Duty Rate)를 변화시키면서 제어할 수 있다.
OCMV는 저항 분배 법칙에 의해 결정되는 전압에 종속될 수 있다. 이때, 저항 분배에 이용되는 저항(R1)은 디지털 제어(예컨대, PWM)로 가변되는 가변 저항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더미 로드(R5와 R6)도 디지털 제어로 가변되는 가변 저항으로 구현될 수 있다.
즉, 신호 분리부(1220)는 저항(R1) 및/또는 더미 로드(R5와 R6)를 제어하여, 제1차동 신호(OUT1과 OUT2)를 출력할 수 있다.
도 14는 도 12에 도시된 AC 측정부에 대한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12와 도 14를 참조하면, AC 측정부(1240)는 공진부(1235)에 인가되는 제2차동 신호(OUT1'과 OUT2')를 측정하고, 측정 결과(A1, B1, 및 C1)를 제어부(1210)로 전송할 수 있다.
AC 측정부(1240)는 제1AC 측정부(1242), 제2AC 측정부(1244), 및 제3AC 측정부(1246)을 포함할 수 있다.
제1AC 측정부(1242)는 제2차동 신호(OUT1'과 OUT2')에 포함된 두 개의 신호를 합한 신호를 측정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제1AC 측정부(1242)는 제2차동 신호(OUT1'과 OUT2')의 위상차를 측정할 수 있다. 예컨대, 제2차동 신호(OUT1'과 OUT2')의 두개의 신호가 동일한 진폭과 180도 위상차를 갖는 경우, 제1AC 측정부(1242)는, 오프셋 전압의 두 배의 전압값을 DC 형태로 측정할 수 있다. 또한, 제2차동 신호(OUT1'과 OUT2')의 두개의 신호가 동일한 진폭과 180도 위상차를 갖지 않는 경우, 오프셋 전압의 두 배의 전압과 다른 전압값을 AC 형태로 측정할 수 있다.
제1AC 측정부(1242)는 제2차동 신호(OUT1'과 OUT2')에 포함된 두 개의 신호에 대한 제1측정 결과(A1)를 제어부(1210)로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제1측정 결과(A1)는 상기 두 개의 신호에 대한 위상차 여부를 나타내는 결과를 포함할 수도 있다.
제2AC 측정부(1244)는 제2차동 신호(OUT1'과 OUT2')에 포함된 두 개의 신호 중 양의 차동 신호(OUT1')를 측정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제2AC 측정부(1244)는 양의 차동 신호(OUT1')의 전압과 전류를 측정할 수 있다.
제2AC 측정부(1244)는 양의 차동 신호(OUT1')의 전압값과 전류값을 측정하고, 제2측정 결과(B1)를 제어부(1210)로 전송할 수 있다.
제3AC 측정부(1246)는 제2차동 신호(OUT1'과 OUT2')에 포함된 두 개의 신호 중 음의 차동 신호(OUT2')를 측정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제3AC 측정부(1246)는 음의 차동 신호(OUT2')의 전압과 전류를 측정할 수 있다.
제3AC 측정부(1246)는 음의 차동 신호(OUT2')의 전압값과 전류값을 측정하고, 제3측정 결과(C1)를 제어부(1210)로 전송할 수 있다.
제어부(1210)는 제1측정 결과(A1)에 기초하여, 제2차동 신호(OUT1'과 OUT2')의 위상차 값을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210)는 제2측정 결과(B1)에 기초하여, 양의 차동 신호(OUT1')의 전압값과 전류값을 판단할 수 있고, 제3측정 결과(C1)에 기초하여, 음의 차동 신호(OUT2')의 전압값과 전류값을 판단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210)는 제2측정 결과(B1)와 제3측정 결과(C1)에 기초하여 제2차동 신호(OUT1'과 OUT2')의 진폭차를 판단할 수 있다. 즉, 제어부(1210)는 제2측정 결과(B1)와 제3측정 결과(C1)의 차이에 기초하여, 제2차동 신호(OUT1'과 OUT2')의 진폭차를 판단할 수 있다.
도 15는 무선 전력 송신기의 초기화 설정를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 차트이다.
도 1 내지 도 15를 참조하면, 무선 전력 송신기(1201)는 초기화 설정(Configuration)를 수행할 수 있다.
무선 전력 송신기(1201)에 전원이 인가되면, 무선 전력 송신기(1201)는 초기화 설정을 수행할 수 있다.
무선 전력 송신기(1201)는 먼저 하드웨어 초기화를 수행할 수 있다(S1501). 하드웨어 초기화는 무선 전력 송신기(1201)의 구성들(또는 하드웨어)을 초기화하는 동작이나 과정을 의미할 수 있다.
무선 전력 송신기(1201)는 위상 제어 초기화를 수행할 수 있다(S1503). 위상 제어 초기화는 신호 분리기(1220)에서 발생되는 차동 신호의 위상(또는 진폭)을 초기화하는 동작이나 과정을 의미할 수 있다. 예컨대, 신호 분리기(1220)의 위상 제어에 관한 정보를 제어 초기값 또는 초기 기준값으로 설정할 수 있다.
이때, 무선 전력 송신기(1201)는 신호 분리기(1220)의 초기화를 수행할 수 있다. 즉, 무선 전력 송신기(1201)는 신호 분리기(1220)의 초기 기준값을 설정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무선 전력 송신기(1201)는 제2차동 신호(OUT1'과 OUT2')를 측정하고, 측정 결과(A1, B1, 및 C1)를 신호 분리기(1220)의 초기 기준값으로 설정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무선 전력 송신기(1201)는 제1차동 신호(OUT1과 OUT2)를 증폭하기 위한 DC 전원(예컨대, DC 전압과 DC 전류)을 측정하고, 측정 결과(D1)를 신호 분리기(1220)의 초기 기준값으로 설정할 수 있다.
무선 전력 송신기(1201)는 검출용 전력 비콘(power beacon)(예컨대, 짧은 비콘(short beacon))의 초기화를 수행할 수 있다(S1505). 또한, 무선 전력 송신기(1201)는 검출용 전력 비콘(power beacon)(예컨대, 긴 비콘(long beacon))의 초기화를 수행할 수 있다
무선 전력 송신기(1201)는 양방향 통신(예컨대, BLE(Bluetooth Low Energy))의 초기화를 수행할 수 있다(S1507). 또한, 무선 전력 송신기(1201)는 다른 양방향 통신(예컨대, WiFi, ZigBee, BT)의 초기화를 수행할 수도 있다. 예컨대, 무선 전력 송신기(1201)는 2.4Hz 주파수로 양방향 통신을 초기화할 수 있다.
상기 초기화 방법을 통해, 무선 전력 송신기(1201)는 초기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무선 전력 송신기(1201)의 초기화 동작은, 무선 전력 수신기(1270)가 특정한 위치에 위치한 상태를 가정하여 수행될 수 있다. 또한, 무선 전력 송신기(1201)의 충전 영역에 무선 전력 수신기(1270)가 위치하지 않다는 것을 가정하여 수행될 수 있다.
한편, 무선 전력 송신기(1201)는 초기 기준값의 유효 범위를 설정할 수 있다. 예컨대, 무선 전력 송신기(1201)는 측정 결과(A1, B1, C1, 및/또는 D1)에 기초하여 설정된 초기 기준값이 유효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이상 상태로 판정하고, 측정 결과(A1, B1, C1, 및/또는 D1)를 초기 기준값으로 설정하지 않을 수 있다. 이때, 무선 전력 송신기(1201)는 상기 이상상태를 나타내는 신호를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다.
도 16은 신호 분리기의 초기화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 차트이다.
도 12 내지 도 16을 참조하면, 신호 분리기의 초기화는 무선 전력 송신기(1201)의 초기화 설정(예컨대, 위상 제어 초기화(S1503))에서 수행될 수 있다.
신호 분리부(1220)는 제어 초기값을 적용하고, 상기 제어 초기값에 기초하여 제1차동 신호(OUT1과 OUT2)를 출력할 수 있다(S1601).
DC 전압 인가부(1227)가 제1차동 신호(OUT1과 OUT2)를 증폭하기 위한, DC 전원값을 설정할 수 있다(S1603). 이때, DC 전압 인가부(1227)는 제어부(1210)의 제어에 따라 전원ON 상태가 될 수 있다.
제1차동 신호(OUT1과 OUT2)는 증폭부(1225)에서 DC 전압 인가부(1227)에서 설정된 DC 전원값에 의해 증폭될 수 있다. 또한, 증폭된 차동 신호는 매칭부(1230)에서 임피던스 매칭이 수행되고, 공진부(1235)로 인가될 수 있다.
AC 측정부(1240)가 공진부(1235)로 인가되는 제2차동 신호(OUT1'과 OUT2')를 측정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AC 측정부(1240)는 공진부(1235)로 인가되는 제2차동 신호(OUT1'과 OUT2')의 전압, 전류, 및 위상차를 측정할 수 있다.
AC 측정부(1240)는 측정 결과(A1, B1, 및/또는 C1)를 제어부(1210)로 전송할 수 있다.
제어부(1210)는 측정 결과(A1, B1, 및/또는 C1)에 기초하여, 제2차동 신호(OUT1'과 OUT2')의 진폭과 위상차가 기준 범위 이내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1607).
제어부(1210)는, 제2차동 신호(OUT1'과 OUT2')의 진폭과 위상차가 기준 범위를 벗어난 경우(S1607의 NO), 신호 분리부(1220)로 제1제어 신호(CS1)를 전송할 수 있다(S1609). 이때, 제1제어 신호(CS1)는 신호 분리부(1220)로부터 출력되는 제1차동 신호(OUT1과 OUT2)의 진폭과 위상을 제어(또는 조절)하기 위한 신호를 의미한다.
상기 기준 범위는, 제2차동 신호(OUT1'과 OUT2')에 포함된 두 개의 신호가 동일한 진폭과 180도의 위상차로 인정되는 범위를 의미할 수 있다. 즉, 상기 기분 범위는, 제2차동 신호(OUT1'과 OUT2')에 포함된 두 개의 신호의 진폭차와 위상차가 무선 충전을 수행하기에 충분한 정도인 범위를 의미할 수 있다.
예컨대, 진폭의 기준 범위가 1V인 경우, 가변 저항(R1)을 가변하여 제2차동 신호(OUT1'과 OUT2')에 포함된 두 개의 신호의 진폭차가 1V 이하인 경우, 가변 저항(R1)의 가변을 중단할 수 있다. 이때, 무선 전력 송신기(1201)는 제2차동 신호(OUT1'과 OUT2')를 이용하여 무선 전력 송신을 수행할 수 있다.
신호 분리부(1220)는 제어부(1210)의 제어에 따라, 조절된 차동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AC 측정부(1240)는 조절된 차동 신호에 대응하고, 공진부(1235)로 인가되는 차동 신호를 측정할 수 있다.
제어부(1210)는, 제2차동 신호(OUT1'과 OUT2')의 진폭과 위상차가 기준 범위에 포함되는 경우(S1607의 YES), DC 전원 인가부의 전원을 OFF상태로 변경할 수 있다(S1611).
제어부(1210)는, 신호 분리부(1220)로부터 출력되는 제1차동 신호(OUT1과 OUT2)의 제어값을 저장할 수 있다(S1613). 이때, 제어값은, 신호 분리부(1220)가 제1차동 신호(OUT1과 OUT2)를 출력하는 설정값 또는 조건값을 의미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제어값은, 제1차동 신호(OUT1과 OUT2)의 진폭과 위상에 대한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예컨대, 제어값은, 제1차동 신호(OUT1과 OUT2)의 진폭과 위상에 대응하는 신호 분리부의 가변 저항값을 의미할 수 있다.
제어부(1210)는, AC 측정부(1240)로부터 수신된 측정 결과(A1, B1, 및/또는 C1)를 메모리(1250)에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210)는 DC 측정부(1249)로부터 수신된 DC 전압 측정 결과(D1)를 메모리(1250)에 저장할 수도 있다.
한편, 제어부(1210)는 AC 측정부(1240)로부터 수신된 측정 결과(A1, B1, 및/또는 C1)를 신호 분리부(1220)의 초기 기준값으로 설정할 수 있다(S1615). 추가적으로, 제어부(1210)는 DC 전압 측정 결과(D1)도 측정 결과(A1, B1, 및/또는 C1)와 함께 신호 분리부(1220)의 초기 기준값으로 설정할 수도 있다.
도 17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무선 전력 송신기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 차트이다.
도 1 내지 도 17을 참조하면, 무선 전력 송신기(1201)는 구동을 개시할 수 있다(S1701). 아울러, 무선 전력 송신기(1201)는 초기 설정을 리셋할 수 있다.
무선 전력 송신기(1201)는 신호 분리기의 초기 기준값을 설정할 수 있다(S1703). 상기 초기 기준값을 설정하는 방법은 도 12 내지 도 16에서 설명된 방법으로 구현될 수 있다.
무선 전력 송신기(1201)는 전력 절약 모드에 진입할 수 있다. 여기에서, 전력 절약 모드는, 무선 전력 송신기가 전력 송신부에 전력량이 상이한 이종의 전력을 인가하는 구간일 수 있다. 즉, 전력 절약 모드는, 무선 전력 송신기(1201)가 무선 전력 수신기(1270)를 검출(또는 부하 감지)하는 구간일 수 있다.
무선 전력 송신기(1201) 상에 무선 전력 수신기(1270)가 위치되는 경우, 무선 전력 송신기(1201)의 일 지점에서 바라보는 임피던스가 변화될 수 있다. 즉, 무선 전력 송신기(1201)는 상기 임피던스의 변화에 기초하여, 무선 전력 수신기(1270)를 검출(또는 감지)할 수 있다(S1705).
실시 예에 따라, 무선 전력 송신기(1201)는 초기 기준값에 기초하여 임피던스의 변화를 판단하고, 무선 전력 수신기(1270)를 검출할 수 있다(S1705). 즉, 무선 전력 송신기(1201)는 초기 기준값과 AC 측정부(1240)에 의해 측정된 제2차동 신호(OUT1'과 OUT2')에 대한 측정 결과를 비교하고, 비교 결과에 따라 임피던스 변화를 판단할 수 있다.
이때, 무선 전력 송신기(1201)는 초기 기준값에 포함된 양의 차동 신호의 전류값, 전압값, 음의 차동 신호의 전류값, 전압값, 및 위상차 값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임피던스 변화를 판단할 수 있다.
물체가 검출되지 않는 경우에는(S1705의 NO), 무선 전력 송신기(1201)는 이종의 전력을 주기적으로 인가하는 전력 절약 모드를 유지할 수 있다.
임피던스가 변화되어 물체가 검출되는 경우에는(S1705의 YES), 무선 전력 송신기(1201)는 저전력 모드로 진입할 수 있다(S1707). 여기에서, 저전력 모드는 무선 전력 송신기(1201)가 무선 전력 수신기(1270)의 제어부(1210) 및/또는 통신부(1255)를 구동시킬 수 있는 전력량을 가진 구동 전력을 인가하는 모드이다.
이후, 무선 전력 송신기(1201)는 무선 전력(PW)을 송신하는 전력 송신 모드로 진입할 수 있다.
무선 전력 송신기(1201)는 전력 송신 모드에서, 에러가 발생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1709). 예컨대, 에러는 무선 전력 송신기 상에 이물질이 배치되는 것, 교차 연결, 과전압(over voltage), 과전류(over current), 과온도(over temperature) 등일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무선 전력 송신기(1201)는 초기 기준값과 제2차동 신호(OUT1'과 OUT2')의 전압, 전류, 및/또는 위상차를 측정할 수 있으며, 측정된 전압, 전류, 및/또는 위상차가 임계값을 초과하는 것을 과전압 또는 과전류 조건이 충족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에러가 발생하지 않으면(S1709의 N0), 무선 전력 송신기(1201)는 전력 송신 모드를 유지할 수 있다(S1711).
한편, 에러가 발생하면(S1709의 YES), 무선 전력 송신기(1201)는 랫치 실패 모드(Latch Fault Mode)로 진입할 수 있다(S1713).
무선 전력 송신기(1201)는 이물질 또는 무선 전력 수신기(1270)의 회수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1715).
이물질 또는 무선 전력 수신기(1270)가 회수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S1715의 NO), 무선 전력 송신기(1201)는 랫치 실패 모드를 유지할 수 있다.
한편, 이물질 또는 무선 전력 수신기가 회수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S1715의 YES), 무선 전력 송신기(1201)는 전력 절약 모드로 재진입할 수 있다(S1717).
실시 예에 따라, 무선 전력 송신기(1201)는, 초기 기준값에 기초하여 래치 실패 모드를 해제할 수 있다(S1715). 즉, 무선 전력 송신기(1201)는 초기 기준값에 기초하여 이물질 또는 무선 전력 수신기(1270)의 회수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1715). 즉, 무선 전력 송신기(1201)는 초기 기준값과 AC 측정부(1240)에 의해 측정된 제2차동 신호(OUT1'과 OUT2')에 대한 측정 결과를 비교하고, 비교 결과에 따라 이물질 또는 무선 전력 수신기(1270)의 회수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때, 무선 전력 송신기(1201)는 초기 기준값에 포함된 양의 차동 신호의 전류값, 전압값, 음의 차동 신호의 전류값, 전압값, 및 위상차 값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이물질 또는 무선 전력 수신기(1270)의 회수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한편, 무선 전력 송신기(1201)는 초기 기준값에 기초하여, 임피던스 변화를 판단할 수 있고, 판단 결과에 따라 무선 전력 송신기(1201)를 초기화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무선 전력 송신기(1201)는 임피던스 변화가 감지되고, 무선 충전 수신기(1270)와 통신이 되지 않는 경우, 이상 상태(Local fault)로 판단할 수 있다. 이때, 무선 전력 송신기(1201)는 전력을 일정 시간동안 OFF하고, 초기화를 수행할 수 있다.
도 18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무선 전력 시스템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데이터 플로우이다.
도 12 내지 도 18을 참조하면, 무선 전력 시스템(1200-1)은 도 12에서 설명된 무선 전력 시스템(1200)과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유사하게 구현될 수 있다.
무선 전력 시스템(1200-1)은 전력 추적(Power Tracking)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즉, 무선 전력 시스템(1200-1)에서, 무선 전력 송신기(1201)는 무선 전력을 무선 전력 수신기(1270)로 전송하고, 무선 전력 수신기(1270)는 수신된 무선 전력에 대한 정보를 무선 전력 송신기(1201)로 전송할 수 있다.
무선 전력 송신기(1201)는 무선 전력 수신기(1270)로 전송하는 무선 전력(PW)을 설정할 수 있다. 이때, 무선 전력 송신기(1201)는 주기적으로 무선 전력(PW)을 설정(또는 변경)할 수 있다.
무선 전력 송신기(1201)는 설정된 제1무선 전력(PW)을 무선 충전 수신기(1270)로 전송할 수 있다(S1801).
한편, 무선 전력 송신기(1201)는 제1무선 전력(PW)을 위한 제2차동 신호(OUT1'과 OUT2')를 조절할 수 있다(S1803). 이때, 무선 전력 송신기(1201)는, 제1무선 전력(PW)을 전송한 때부터 무선 충전 수신기(1270)로 측정 전류를 요청하기 전까지(S1801~S1805), 제2차동 신호(OUT1'과 OUT2')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무선 전력 송신기(1201)는, 제1무선 전력(PW)을 전송한 때부터 무선 충전 수신기(1270)로 측정 전류를 요청하기 전까지, 주기적으로 제2차동 신호(OUT1'과 OUT2')를 조절할 수 있다.
한편, 무선 전력 송신기(1201)가 제2차동 신호(OUT1'과 OUT2')를 조절하기 위해, AC 측정부(1240)는 주기적으로 제2차동 신호(OUT1'과 OUT2')를 측정할 수 있다.
무선 전력 송신기(1201)는 무선 전력 수신기(1270)로 전송된 제1무선 전류(PW)에 대한 측정 전력을 요청하는 요청 신호(RQ)를 전송할 수 있다(S1805).
무선 전력 수신기(1270)는 요청 신호(RQ)에 따라, 수신된 제1무선 전력(PW)을 측정할 수 있다(S1807). 이때, 무선 전력 수신기(1270)는 주기적으로 수신된 제1무선 전력(PW)을 측정할 수 있다.
무선 전력 송신기(1201)는 무선 전력 수신기(1270)로부터 측정된 무선 전력(MP)을 수신할 수 있다(S1809).
무선 전력 송신기(1201)는 수신된 무선 전력(MP)에 기초하여 제1무선 전력(PW)을 설정(또는 변경)할 수 있다(S1811).
무선 전력 송신기(1201)는 변경된 제2무선 전력(PW)을 무선 충전 수신기(1270)로 전송할 수 있다(S1813).
이때, 무선 전력 송신기(1201)는, 제2무선 전력(PW)을 전송한 때부터 무선 충전 수신기(1270)로 측정 전류를 요청하기 전까지(S1813~S1817), 제2차동 신호(OUT1'과 OUT2')를 조절할 수 있다(S1815).
예컨대, 무선 전력 송신기(1201)가 무선 전력(PW)을 변경하는 주기가 250ms인 경우, 무선 전력 송신기(1201)는 제1무선 전력을 제2무선 전력으로 변경한 후 50ms 동안 제2차동 신호(OUT1'과 OUT2')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무선 전력 송신기(1201)는, 무선 전력 수신기(1270)로부터 수신된 측정 전력(MP)에 기초하여, 제2차동 신호(OUT1'과 OUT2')를 조절할 수도 있다.
무선 전력 송신기(1201)는 무선 전력 수신기(1270)로 전송된 제2무선 전류(PW)에 대한 측정 전력을 요청하는 요청 신호(RQ)를 전송할 수 있다(S1817).
무선 전력 수신기(1270)는 요청 신호(RQ)에 따라, 수신된 제2무선 전력(PW)을 측정할 수 있다(S1819).
무선 전력 송신기(1201)는 무선 전력 수신기(1270)로부터 측정된 무선 전력(MP)을 수신할 수 있다(S1821).
무선 전력 송신기(1201)는 수신된 무선 전력(MP)에 기초하여 제2무선 전력(PW)을 설정(또는 변경)할 수 있다(S1823).
즉, 제2차동 신호(OUT1'과 OUT2')의 조절은 무선 전력 송신기(1201)가 무전 전력을 전송하거나 무선 전력을 변경한 때부터 무선 전력 송신기(1201)가 무선 전력 수신기(1270)와 통신을 시작하기 전까지 수행될 수 있다.
도 19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무선 전력 송신기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 차트이다.
도 18과 도 19를 참조하면, 무선 전력 시스템(1200-1)은 전력 추적(Power Tracking)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무선 전력 송신기(1201)는 무선 전력 수신기(1270)로 송신될 무선 전력(PW)을 설정할 수 있다(S1901). 이때, 무선 전력 송신기(1201)는 주기적으로 무선 전력(PW)을 설정할 수 있다.
무선 전력 송신기(1201)가 무선 전력 송신을 시작한 후, 무선 전력 송신기(1201)는 제2차동 신호(OUT1'과 OUT2')를 제어(또는 변경)할 수 있다. 즉, 무선 전력 송신기(1201)는 효율적이고 적절한 무선 충전을 수행하기 위해, 제2차동 신호(OUT1'과 OUT2')를 제어할 수 있다.
무선 전력 송신기(1201)는 제2차동 신호(OUT1'과 OUT2')를 제어하기 위해, AC 측정부(1240)를 통해 제2차동 신호(OUT1'과 OUT2')의 전압, 전류, 및 위상차를 측정할 수 있다(S1903).
무선 전력 송신기(1201)는 측정 결과에 기초하여, 제2차동 신호(OUT1'과 OUT2')의 진폭과 위상차가 기준 범위 이내인지 판단할 수 있다(S1905).
제2차동 신호(OUT1'과 OUT2')의 진폭과 위상차가 기준 범위를 벗어난 경우(S1905의 NO), 무선 전력 송신기(1201)는 제2차동 신호(OUT1'과 OUT2')를 조절할 수 있다(S1907).
제2차동 신호(OUT1'과 OUT2')의 진폭과 위상차가 기준 범위인 경우(S1905의 YES), 무선 전력 송신기(1201)는 제2차동 신호(OUT1'과 OUT2')에 대응하는 신호 분리기(1220)의 제어값과 AC 측정부(1240)에 의해 측정된 제2차동 신호(OUT1'과 OUT2')의 전압, 전류, 및 위상차를 메모리(1250)에 저장할 수 있다(S1909). 즉, 기준 범위에 포함된 제2차동 신호(OUT1'과 OUT2')를 이용하여, 무선 전력 송신기(1201)는 무선 전력(PW)을 무선 전력 수신기(1270)로 출력할 수 있다.
무선 전력 송신기(1201)는 무선 전력 수신기(1270)와 통신할 수 있고, 전송된 무선 전력(PW)에 대한 측정 전력(또는 측정값)을 요청할 수 있다.
무선 전력 송신기(1201)의 요청에 응답하여, 무선 전력 수신기(1270)는 수신된 무선 전력을 측정할 수 있다(S1911).
무선 전력 송신기(1201)가 무선 전력 수신기(1270)로부터 측정 전력(MP)를 수신할 수 있다(S1913).
무선 전력 송신기(1201)는 수신된 측정 전력(MP)에 기초하여 무선 전력 수신기(1270)로 출력되는 무선 전력을 설정(또는 변경)할 수 있다(S1915). 이때, 무선 전력 송신기(1201)는 제2차동 신호(OUT1'과 OUT2')를 조절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주 내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다양하게 변경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다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변형 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1200: 무선 전력 시스템
1201: 무선 전력 송신기
1210: 제어부
1220: 신호 분리부;
1235: 공진부
1240: AC 측정부
1250: 메모리
1255: 통신부
1270: 무선 전력 수신기

Claims (19)

  1. 무선 전력 수신기로 무선 전력을 전송하는 무선 전력 송신기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무선 전력 수신기로 전송되는 상기 무선 전력을 위한 제1차동 신호를 생성하는 동작;
    상기 무선 전력 송신기의 공진부에 인가되는 상기 제1차동 신호에 대응하는 제2차동 신호를 측정하고, 측정 결과에 따라 상기 제2차동 신호의 진폭과 위상 중 적어도 하나를 감지하는 동작; 및
    상기 감지 결과에 따라, 상기 제2차동 신호의 진폭과 위상 중 적어도 하나를 조절하고, 상기 조절된 제2차동 신호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무선 전력 송신기를 제어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무선 전력 송신기의 제어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차동 신호의 진폭과 위상 중 적어도 하나를 조절하는 동작은,
    상기 제1차동 신호의 진폭과 위상 중 적어도 하나를 조절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무선 전력 송신기의 제어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된 제2차동 신호에 대한 상기 정보는 상기 제2차동 신호에 포함된 두 개의 신호에 대한 전압값, 전류값, 및 상기 두 개의 신호의 위상차 값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무선 전력 송신기의 제어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차동 신호의 진폭과 위상 중 적어도 하나를 조절하는 동작은,
    상기 차동 신호의 진폭과 위상이 기설정된 기준 범위 이내인 경우, 상기 제2차동 신호의 진폭과 위상차를 유지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무선 전력 송신기의 제어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차동 신호의 진폭과 위상 중 적어도 하나를 조절하는 동작은,
    상기 차동 신호의 진폭과 위상이 기설정된 기준 범위가 아닌 경우, 상기 제2차동 신호의 진폭과 위상차를 조절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무선 전력 송신기의 제어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전력 송신기를 제어하는 동작은,
    상기 조절된 제2차동 신호에 대한 상기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무선 전력 수신기에 상응하는 임피던스 변화를 판단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는 무선 전력 송신기의 제어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전력 송신기를 제어하는 동작은,
    상기 조절된 제2차동 신호에 대한 상기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무선 전력 수신기의 임피던스 변화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에 따라, 래치 실패 모드(Latch Fault Mode)로 진입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무선 전력 송신기의 제어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차동 신호의 진폭과 위상 중 적어도 하나를 조절하는 동작은,
    상기 무선 전력 수신기가 수신한 무선 전력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2차동 신호의 진폭과 위상 중 적어도 하나를 조절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무선 전력 송신기의 제어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차동 신호의 진폭과 위상 중 적어도 하나를 조절하는 동작은,
    상기 무선 전력 송신기가 상기 무선 전력을 전송한 때부터 상기 무선 전력 수신기로 상기 무선 전력에 대한 정보를 요청하기 전까지 수행되는 무전 전력 송신기의 제어 방법.
  10. ◈청구항 10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무선 전력 수신기로 무선 전력을 전송하는 무선 전력 송신기에 있어서,
    상기 무선 전력을 위한 제1차동 신호를 출력하는 신호 분리부;
    상기 제1차동 신호에 대응하는 제2차동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무선 전력을 전송하는 공진부;
    상기 공진부로 인가되는 상기 제2차동 신호를 측정하는 AC 측정부;
    상기 AC 측정부가 측정된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제2차동 신호의 진폭과 위상 중 적어도 하나를 조절하고, 상기 조절된 제2차동 신호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무선 전력 송신기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무선 전력 송신기.
  11. ◈청구항 11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차동 신호의 진폭과 위상 중 적어도 하나를 조절하기 위해, 상기 제1차동 신호의 진폭과 위상 중 적어도 하나를 조절하도록 상기 신호 분리부를 제어하는 무선 전력 송신기.
  12. ◈청구항 12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차동 신호의 진폭과 위상 중 적어도 하나를 조절하도록 상기 신호 분리부의 가변 저항을 제어하는 무선 전력 송신기.
  13. ◈청구항 13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된 제2차동 신호에 대한 상기 정보는,
    상기 제2차동 신호에 포함된 두 개의 신호에 대한 전압값, 전류값, 및 상기 두 개의 신호의 위상차 값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무선 전력 송신기.
  14. ◈청구항 14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조절된 제2차동 신호에 대한 상기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무선 전력 수신기에 상응하는 임피던스 변화를 판단하는 무선 전력 송신기.
  15. ◈청구항 15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조절된 제2차동 신호에 대한 상기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무선 전력 수신기의 임피던스 변화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에 따라 래치 실패 모드로 진입 여부를 결정하는 무선 전력 송신기.
  16. ◈청구항 16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무선 전력 수신기로부터 수신한 상기 무선 전력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2차동 신호의 진폭과 위상 중 적어도 하나를 조절하는 무선 전력 송신기.
  17. ◈청구항 17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무선 전력 송신기가 상기 무선 전력을 전송한 때부터 상기 무선 전력 송신기로 무선 전력에 대한 정보를 요청하기 전까지, 상기 제2차동 신호의 진폭과 위상 중 적어도 하나를 조절하는 무선 전력 송신기.
  18. ◈청구항 18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조절된 제2차동 신호에 대한 상기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무선 전력 수신기의 임피던스 변화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무선 전력 송신기를 초기화하는 무선 전력 송신기.
  19. ◈청구항 19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2차동 신호에 대한 상기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를 더 포함하는 무선 전력 송신기.
KR1020150134025A 2015-09-22 2015-09-22 무선 전력 송신기 및 상기 무선 전력 송신기의 제어 방법 KR1024235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4025A KR102423599B1 (ko) 2015-09-22 2015-09-22 무선 전력 송신기 및 상기 무선 전력 송신기의 제어 방법
US15/138,723 US10454309B2 (en) 2015-09-22 2016-04-26 Wireless power transmitter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4025A KR102423599B1 (ko) 2015-09-22 2015-09-22 무선 전력 송신기 및 상기 무선 전력 송신기의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35213A KR20170035213A (ko) 2017-03-30
KR102423599B1 true KR102423599B1 (ko) 2022-07-22

Family

ID=582833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34025A KR102423599B1 (ko) 2015-09-22 2015-09-22 무선 전력 송신기 및 상기 무선 전력 송신기의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10454309B2 (ko)
KR (1) KR10242359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034539B (zh) * 2018-01-12 2021-06-25 泰达电子股份有限公司 故障保护方法及其适用的无线电能传输装置
JP2021125983A (ja) * 2020-02-06 2021-08-30 オムロン株式会社 ワイヤレス給電装置およびワイヤレス給電システム
US20210352997A1 (en) * 2020-05-15 2021-11-18 Spark Connected LLC Dual Function Wireless Power and Thermal Receiver
TWI781532B (zh) * 2021-02-19 2022-10-21 晶豪科技股份有限公司 過充電保護方法以及使用過充電保護方法的電壓轉換器
KR20230050042A (ko) * 2021-10-07 2023-04-14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전력 송신 장치 및 무선 전력 송신 장치에서 무선 전력 수신 장치 감지에 기반한 동작 모드 제어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206232A (ja) 2007-02-16 2008-09-04 Seiko Epson Corp 送電制御装置、受電制御装置、無接点電力伝送システム、送電装置、受電装置および電子機器
US20130082536A1 (en) 2011-03-22 2013-04-04 Access Business Group International Llc System and method for improved control in wireless power supply systems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13259A (ko) * 2000-08-14 2002-02-20 송재인 위상차를 이용한 위상 조정 장치
JP4413236B2 (ja) * 2007-02-16 2010-02-10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受電制御装置、送電制御装置、無接点電力伝送システム、受電装置、送電装置および電子機器
JP4743173B2 (ja) * 2007-06-29 2011-08-10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送電制御装置、送電装置、無接点電力伝送システムおよび電子機器
KR101962651B1 (ko) 2011-05-17 2019-03-28 삼성전자주식회사 비전력 수신 타겟 검출을 위한 전력 송신기 및 그 방법
KR101732193B1 (ko) 2011-10-21 2017-05-04 삼성전자주식회사 충전 전력 제어 방법 및 이를 위한 무선 충전 장치
US9558883B2 (en) 2012-05-02 2017-01-31 Samsung Electronics Co., Ltd Power transmitt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power transmission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206232A (ja) 2007-02-16 2008-09-04 Seiko Epson Corp 送電制御装置、受電制御装置、無接点電力伝送システム、送電装置、受電装置および電子機器
US20130082536A1 (en) 2011-03-22 2013-04-04 Access Business Group International Llc System and method for improved control in wireless power supply system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35213A (ko) 2017-03-30
US20170085133A1 (en) 2017-03-23
US10454309B2 (en) 2019-10-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63633B1 (ko) 무선 전력 송신기 및 무선 전력 송신기의 제어 방법
KR102407895B1 (ko) 무선 충전 시스템에서 무선 전력 송신기의 신호 전송 방법, 무선 전력 송신기, 및 무선 전력 수신기
KR102363631B1 (ko) 무선 충전에서의 이상 상황 방지 방법
KR102142017B1 (ko) 무선 충전에서의 수신기 검출을 위한 로드 변화 발생 방법 및 무선 전력 수신기
KR102391190B1 (ko) 무선 충전 시스템에서 무선 전력 수신기의 로드 생성 방법 및 무선 전력 수신기
KR102039350B1 (ko) 무선 전력 수신기에서 비정상 상태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
KR102371937B1 (ko) 무선 충전에서의 로드 검출 방법
KR102500565B1 (ko) 무선 충전에서의 교차 연결 판단 방법
KR102534961B1 (ko) 무선 전력 송신기 및 무선 전력 수신기와 그 동작 방법
KR102055866B1 (ko) 무선 전력 송신기, 무선 전력 수신기 및 각각의 제어 방법
KR102187962B1 (ko) 무선 충전에서 수신기 검출을 위한 로드 변화 감지 방법 및 무선 전력 송신기
KR101807335B1 (ko) 무선 전력 수신기 및 무선 전력 수신기의 슬립 모드 설정 방법
KR101807899B1 (ko) 무선 전력 송신기, 무선 전력 수신기 및 무선 전력 송신기의 무선 전력 수신기 허가 방법
KR102039376B1 (ko) 무선 충전을 위한 충전 전압 설정 방법
KR102023548B1 (ko) 무선 전력 송신기, 무선 전력 수신기 및 각각의 제어 방법
KR102360016B1 (ko) 무선 전력 송신기 및 무선 전력 수신기의 제어 방법
KR102028455B1 (ko) 무선 전력 송신기, 무선 전력 수신기 및 각각의 제어 방법
KR20150110405A (ko) 무선 충전에서의 교차 연결 방지 방법
CN109699195B (zh) 无线电力发送器、无线电力接收器及其操作方法
KR102423599B1 (ko) 무선 전력 송신기 및 상기 무선 전력 송신기의 제어 방법
EP3446395B1 (en) Wireless power transmitter, wireless power receiver, and control methods thereof
KR102426688B1 (ko) 무선 충전 시스템에서의 무선 전력 전송 방법, 무선 전력 송신기, 및 무선 전력 수신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