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13085A - 전자 접촉기 - Google Patents

전자 접촉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13085A
KR20170013085A KR1020150106048A KR20150106048A KR20170013085A KR 20170013085 A KR20170013085 A KR 20170013085A KR 1020150106048 A KR1020150106048 A KR 1020150106048A KR 20150106048 A KR20150106048 A KR 20150106048A KR 20170013085 A KR20170013085 A KR 201700130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vable
contact
base
spring
upper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060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병훈
Original Assignee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060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13085A/ko
Publication of KR201700130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1308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0/00Details of electromagnetic relays
    • H01H50/54Contact arrangements
    • H01H50/56Contact spring sets
    • H01H50/58Driving arrangements structurally associated therewith; Mounting of driving arrangements on arma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0/00Details of electromagnetic relays
    • H01H50/54Contact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0/00Details of electromagnetic relays
    • H01H50/64Driving arrangements between movable part of magnetic circuit and contact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Switch Cases, Indication, And Lock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자 접촉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상부 프레임과; 상기 상부 프레임에 결합되는 하부 프레임과; 상기 상부 프레임의 내부에 장착되는 고정대와; 상기 상부 프레임의 내부에서 이동하여 상기 고정대에 접촉 또는 분리되는 가동대를 포함하는 전자 접촉기에 있어서, 상기 고정대가 끼워지는 제1 끼움부;상기 고정대가 끼워져 접점형식이 변경되도록 하는 제2 끼움부; 상기 가동대의 상측에 위치하는 제1 스프링; 및 상기 가동대의 하측에 위치하는 제2 스프링;을 포함하는 전자 접촉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전자 접촉기{MGNETIC CONTACTOR}
본 발명은 전자 접촉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하나의 전자 접촉기가 서로 다른 접점형식을 갖으면서도 구조가 간단할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전자 접촉기의 접점형식을 손쉽게 변경시킬 수 있는 전자 접촉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자 접촉기(Magnetic Contactor)는 모터 등의 과부하 보호를 위한 써머 릴레이(Thermal Relay)와 함께 전자 개폐기(Magnetic Switch)를 구성하며, 전기회로의 개폐를 수행한다.
한편, 도 1에는 종래의 전자 접촉기가 도시되어 있고, 도 2에는 종래의 전자 접촉기의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전자 접촉기는 하부 프레임(6) 내부에 전자석의 역할을 하는 고정철판(4)과, 조작코일 회로부(5)가 구비되고, 외부에서 전압의 인가가 정지하게 되면 가동대(9)와 고정대(8)의 접촉상태를 떨어뜨리는 반발 스프링(3)이 조작코일 회로부(5)의 상측에 구비된다.
또한 코일의 자속에 의해 흡인되는 가동철심(2)이 반발 스프링(3)의 상단에 위치하고, 가동철심(2)의 상측으로 상부 프레임(1)이 구비된다.
이때 상부 프레임(1)의 내부에는 가동대(9)와, 가동대(9)를 이동시키는 크로스바(7)와, 가동대(9)가 접촉 또는 분리되는 고정대(8) 및 고정대(8)와 가동대(9)의 접점에 대한 완충 작용과 접점의 통전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접점 스프링(10)이 구비된다.
조작 코일회로부(5)의 바깥쪽 단자에 전압이 인가되면, 코일 주변에 자기장이 형성되고, 이 자기장에 의해 고정철판(4)이 자화됨에 따라 가동철심(2)이 고정철판(4) 쪽으로 움직이게 된다.
이때, 가동철심(2)은 상부 프레임(1) 내부의 가동대(9)와 크로스바(7)를 통해 연결되어 있는데, 가동철심(2)의 이동에 따라서, 크로스바(7)와 연결된 가동대(9)도 이동하게 되면서 고정대(8)와 가동대(9)가 접촉하게 된다
또한 전압의 인가가 정지하게 되면 자기장이 사라지고, 반발 스프링(3)의 반발력에 의해 가동철심(2)이 밀려나면서 접점이 분리되게 된다.
상기와 같이 동작되는 종래의 전자 접촉기는 고정대(8)와 가동대(9)가 분리되어 있는 상태에서 전압이 인가되게 되면, 가동철심(2)에 의해 가동대(9)와 고정대(8)가 접촉하게 되는 접점형식(a 접점형식)과, 고정대(8)와 가동대(9)가 접촉되어 있는 상태에서 전압이 인가되게 되면 접촉되어 있는 고정대(8)와 가동대(9)가 가동철심(2)의 이동에 의해 분리되게 되는 접점형식(b 접점형식)을 갖는다.
하지만 종래의 전자 접촉기의 경우 하나의 전자 접촉기가 서로 다른 접점형식을 갖게 하면 구조가 복잡해질 뿐만 아니라 전자 접촉기에 사용되는 부품의 개수가 많아져 제조비용이 증가하고, 제조시간이 장시간 소요될 뿐만 아니라 불량품이 생산될 위험성이 큰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하나의 전자 접촉기가 하나의 접점형식만을 갖게 되면 다른 접점형식의 전자 접촉기를 필요로 하는 사용자는 별도의 제품을 구매해야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하나의 전자 접촉기가 서로 다른 접점형식을 갖게 하면서도 구조가 간단해지게 할 뿐만 아니라 접점형식을 사용자가 손쉽게 변경할 수 있게 하는 전자 접촉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목적은, 상부 프레임과; 상기 상부 프레임에 결합되는 하부 프레임과; 상기 상부 프레임의 내부에 장착되는 고정대와; 상기 상부 프레임의 내부에서 이동하여 상기 고정대에 접촉 또는 분리되는 가동대를 포함하는 전자 접촉기에 있어서, 상기 고정대가 끼워지는 제1 끼움부; 상기 고정대가 끼워져 접점형식이 변경되도록 하는 제2 끼움부; 상기 가동대의 상측에 위치하는 제1 스프링; 및상기 가동대의 하측에 위치하는 제2 스프링;을 포함하는 전자 접촉기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된다.
또한 상기 가동대의 상면과 하면에는 각각 제1 가동 접촉자와 제2 가동 접촉자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 스프링과 상기 제2 스프링은 서로 다른 탄성력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 스프링의 탄성력은 상기 제2 스프링의 탄성력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고정대의 폭은 상기 제1 끼움부와 상기 제2 끼움부의 폭보다 길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고정대의 일측에는 상기 상부 프레임과의 결합을 위한 결합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고정대에는 고정 접촉자가 구비되어, 상기 고정대가 상기 제1 끼움부에 끼워지면 상기 제2 가동 접촉자와 상기 고정 접촉자가 상호 분리된 상태로 위치하고, 상기 고정대가 상기 제2 끼움부에 끼워져 위치가 변경되면 상기 제1 가동 접촉자와 상기 고정 접촉자는 상호 접촉상태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인 전자 접촉기는 가동대의 상면과 하면에 각각 제1 가동 접촉자와 제2 가동 접촉자를 구비시키고, 가동대의 상측과 하측에 각각 제1 스프링과 제2 스프링을 구비시킴으로써 하나의 전자 접촉기가 다양한 접점형식을 갖게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부 프레임에 제1 끼움부와 제2 끼움부를 형성시켜 고정대의 위치 변경을 통한 접점형식의 변경이 손쉽게 이루어지게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서로 다른 접점형식을 하나의 제품에 구비시킴으로써 사용자가 다른 접점형식을 갖는 제품을 별도로 구매할 필요가 없게 하여 사용자의 제품교체에 따른 비용증가를 크게 절감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서로 다른 접점형식을 하나의 제품에 구비시킴으로써 생산비용을 절감시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전자 접촉기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2는 종래의 전자 접촉기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 접촉기의 상부 프레임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 접촉기에 대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 접촉기에서 통전 경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 접촉기에서 고정대의 위치가 변경된 상태에서의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 접촉기에서 고정대의 위치가 변경된 상태에서의 통전 경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 접촉기의 상부 프레임에 구비된 제2 끼움부를 나타내는 부분 확대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 접촉기에 구비되는 고정대를 나타내는 평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접촉기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 접촉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 접촉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 접촉기에서 통전 경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 접촉기에서 고정대의 위치가 변경된 상태에서의 단면도이다.
또한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 접촉기에서 고정대의 위치가 변경된 상태에서의 통전 경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 접촉기의 상부 프레임에 구비된 제2 끼움부를 나타내는 부분 확대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 접촉기에 구비되는 고정대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3, 도 4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자 접촉기는 상부 프레임(100)의 내부에 고정대(120)와 전압의 인가 여부에 따라 이동하여 상기 고정대(120)에 접촉 또는 분리되는 가동대(110) 등의 각 구성부품이 구비된다.
또한 상기 상부 프레임(100)의 내부에는 상기 고정대(120)가 끼워지도록 제1 끼움부(103)와 제2 끼움부(101)가 구비되어, 상기 고정대(120)가 상기 제1 끼움부(103)와 상기 제2 끼움부(101)에 끼워져 위치가 변경된다.
상기 고정대(120)는 상기 제1 끼움부(103) 또는 상기 제2 끼움부(101)에 끼워져 상기 상부 프레임(100)의 내부에 장착되며 상기 가동대(110)의 이동에 따라 상기 가동대(110)와 접촉 또는 분리된다.
이때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대(120)에는 결합공(123)이 형성되어 체결부재(미도시)가 상기 결합공(123)을 관통한 상태로 상기 상부 프레임(100)에 연결됨으로써 상기 고정대(120)가 상기 상부 프레임(100)의 내부에 장착되게 된다.
상기 가동대(110)의 상면에는 제1 가동 접촉자(111)가 구비되고, 상기 가동대(110)의 하면에는 제2 가동 접촉자(113)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가동대(110)의 상측과 하측에는 각각 상기 가동대(110)와 상기 고정대(120)의 접촉시 압축되어 상기 가동대(110)와 상기 고정대(120)를 통한 통전성을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완충기능을 수행하도록 제1 스프링(130)과 제2 스프링(140)이 구비된다.
상기 제1 가동 접촉자(111)는 상기 고정대(120)가 상기 가동대(110)의 상측에 위치했을 때 상기 가동대(110)의 이동에 따라 상기 고정대(120)에 구비된 고정 접촉자(121)에 접촉 또는 분리된다.
상기 제2 가동 접촉자(113)는 상기 고정대(120)가 상기 가동대(110)의 하측에 위치했을 때 상기 가동대(110)의 이동에 따라 상기 고정대(120)에 구비된 상기 고정 접촉자(121)에 접촉 또는 분리된다.
한편, 상기 상부 프레임(100)에는 제1 끼움부(103)와 제2 끼움부(101)가 형성되는데, 상기 각 끼움부(101, 103)는 상기 고정대(120)가 끼워져 상기 고정대(120)의 위치가 변경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전자 접촉기의 접점형식이 변경되게 한다.
이때 상기 각 끼움부(101, 103)와 상기 고정대(120)는 상기 고정대(120)의 폭이 상기 각 끼움부(101, 103)의 폭보다 길게 형성되도록 하여 (상기 고정대(120)에 (+)공차, 상기 각 끼움부(101, 103)에 (-)공차) 상기 고정대(120)가 상기 각 끼움부(101, 103)의 양단에 밀착된 상태로 견고하게 끼워지게 한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대(120)가 상기 제1 끼움부(103)에 끼워져 상기 상부 프레임(100)에 장착된 상태에서 위치가 변경되기 전에는 상기 가동대(110)의 하측에 위치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전자 접촉기에 전압이 인가되기 전에는 상기 고정대(120)가 상기 가동대(110)와 분리된 상태에 있게 되고, 전압이 인가되면 가동철심(미도시)의 이동에 따라 크로스바(150)가 이동함과 동시에 상기 크로스바(150)에 연결된 상기 가동대(110)가 하측으로 이동하여 상기 고정대(120)에 접촉상태에 있게 되는 접점형식(a 접점형식(NORMAL OPEN))을 갖는다.
또한 도 6,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대(120)가 상기 가동대(110)의 상측에 위치한 상기 제2 끼움부(101)에 끼워져 위치가 변경되게 되면, 상기 전자 접촉기에 전압이 인가되기 전에는 상기 가동대(110)와 상기 고정대(120)가 접촉된 상태에 있게 되고, 전압이 인가되면 상기 가동철심의 이동에 따라 상기 크로스바(150)가 이동하면서 상기 크로스바(150)에 연결된 상기 가동대(110)가 연동하여 하측으로 이동하여 상기 고정대(120)와 분리된 상태로 있게 되는 접접점형식(b 접점형식(NORMAL CLOSE))을 갖는다.
따라서, 고정대(120)의 위치를 제1 및 제2 끼움부(101, 103)를 통해 변경시킴으로써 사용자가 접점형식을 손쉽게 변경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하나의 제품을 통해 서로 다른 접점형태를 사용자가 선택해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제1 스프링(130)은 a 접점형식에서 상기 가동대(110)와 상기 고정대(120)의 접촉시 상기 가동대(110)에 스프링의 탄성력을 제공하여 접점의 통전성을 향상시킨다.
상기 제2 스프링(140)은 b 접점형식에서 상기 가동대(110)와 상기 고정대(120)의 접촉시 상기 가동대(110)에 스프링의 탄성력을 제공하여 접점의 통전성을 향상시킨다.
즉,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a 접점형식과 같이 상기 고정대(120)의 위치가 변경되기 전에는 전압이 인가되지 않으면 상기 가동대(110)는 상기 고정대(120)와 분리된 상태로 있게 되고, 전압이 인가되어 자기력이 발생하면 가동철심의 이동에 따라 크로스바(150)가 이동하면서 상기 크로스바(150)에 연결된 상기 가동대(110)도 연동하여 이동하여 상기 가동대(110)가 상기 고정대(120)에 접촉하게 되는데, 상기 가동대(110)가 상기 고정대(120)에 접촉하게 되더라도 상기 크로스바(150)는 계속 하측으로 이동하게 됨에 따라 상기 제1 스프링(130)이 상기 크로스바(150)가 이동한 만큼 압축되게 된다.
따라서, 압축된 상기 제1 스프링(130)이 상기 가동대(110)와 상기 고정대(120)가 접촉된 상태에서 압축력을 상기 가동대(110)에 제공하여 통전성을 향상시키게 된다.
또한 상기 가동대(110)가 상기 고정대(120)에 접촉할 때 가해지는 충격을 상기 제1 스프링(130)이 압축되면서 흡수하기 때문에 상기 고정대(120)와 상기 가동대(110)가 접촉할 때 완충기능을 수행한다.
한편,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b 접점형식과 같이 상기 고정대(120)가 분리되어 상기 가동대(110)의 상측에 위치한 상기 제2 끼움부(101)에 끼워지게 되면, 상기 가동대(110)는 상기 고정대(120)와 접촉된 상태로 있게 되는데, 이때 상기 제2 스프링(140)은 압축된 상태로 있어 상기 제2 스프링(140)을 통해 상기 가동대(110)가 상기 고정대(120)에 밀착되어 통전성이 향상되게 된다.
또한 전압이 인가되어 자기력이 발생하면 가동철심과 크로스바(150)의 이동에 따라 상기 가동대(110)가 하측으로 이동하여 상기 고정대(120)와 분리되게 되는데, 이때 전압의 인가가 정지되면 자기력이 소실되면서 상기 가동대(110)가 상기 고정대(120)에 접촉하게 되며, 이때 상기 제1 스프링(130)을 통해 상기 가동대(110)가 상기 고정대(120)에 접촉시의 압력이 흡수되어 상기 제1 스프링(130) 이 완충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1 스프링(130)과 상기 제2 스프링(140)의 탄성력은 서로 다르게 형성될 수 있는데, 상기 제1 스프링(130)의 탄성력이 상기 제2 스프링(140)의 탄성력보다 크게 형성되도록 하여 상기 제1 스프링(130)을 통해 a 접점형식에서는 각 접점의 통전성을 향상시키고, b접점형식에서는 각 접점의 분리속도가 향상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어 동작되는 본 발명인 전자 접촉기는 가동대(110)의 상면과 하면에 각각 제1 가동 접촉자(111)와 제2 가동 접촉자(113)를 구비시키고, 가동대(110)의 상측과 하측에 각각 제1 스프링(130)과 제2 스프링(140)을 구비시킴으로써 하나의 전자 접촉기가 다양한 접점형식을 갖게 한다.
또한 상부 프레임(100)에 고정대(120)가 끼워지도록 제1 끼움부(103)와 제2 끼움부(101)를 형성시켜 제1 끼움부(103)와 제2 끼움부(101)를 통해 고정대(120)의 위치가 변경되도록 하여 사용자를 통한 접점형식의 변경이 손쉽게 이루어지게 한다.
또한 서로 다른 접점형식을 하나의 제품에 구비시킴으로써 사용자가 다른 접점형식을 갖는 제품을 별도로 구매할 필요가 없게 하여 사용자의 제품교체에 따른 비용증가를 방지한다.
또한 서로 다른 접점형식을 하나의 제품에 구비시킴으로써 생산비용을 절감시킨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화와 변경 및 균등물을 사용할 수 있고, 상기 실시예를 적절히 변형하여 동일하게 응용할 수 있음이 명확하다. 따라서 상기 기재내용은 하기 특허청구범위의 한계에 의해 정해지는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1, 100: 상부 프레임 2: 가동철심
3: 반발 스프링 4: 고정철판
5: 조작코일 회로부 6: 하부 프레임
7: 크로스바 8, 120: 고정대
9, 110: 가동대 10: 접점 스프링
101: 제2 끼움부 103: 제1 끼움부
111: 제1 가동 접촉자 113: 제2 가동 접촉자
121: 고정 접촉자 123: 결합공
130: 제1 스프링 140: 제2 스프링
150: 크로스바

Claims (7)

  1. 상부 프레임과; 상기 상부 프레임에 결합되는 하부 프레임과; 상기 상부 프레임의 내부에 장착되는 고정대와; 상기 상부 프레임의 내부에서 이동하여 상기 고정대에 접촉 또는 분리되는 가동대를 포함하는 전자 접촉기에 있어서,
    상기 고정대가 끼워지는 제1 끼움부;
    상기 고정대가 끼워져 접점형식이 변경되도록 하는 제2 끼움부;
    상기 가동대의 상측에 위치하는 제1 스프링; 및
    상기 가동대의 하측에 위치하는 제2 스프링;
    을 포함하는 전자 접촉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대의 상면과 하면에는 각각 제1 가동 접촉자와 제2 가동 접촉자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접촉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스프링과 상기 제2 스프링은 서로 다른 탄성력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접촉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스프링의 탄성력은 상기 제2 스프링의 탄성력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접촉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대의 폭은 상기 제1 끼움부와 상기 제2 끼움부의 폭보다 길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접촉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대의 일측에는 상기 상부 프레임과의 결합을 위한 결합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접촉기.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대에는 고정 접촉자가 구비되어,
    상기 고정대가 상기 제1 끼움부에 끼워지면 상기 제2 가동 접촉자와 상기 고정 접촉자가 상호 분리된 상태로 위치하고,
    상기 고정대가 상기 제2 끼움부에 끼워져 위치가 변경되면 상기 제1 가동 접촉자와 상기 고정 접촉자는 상호 접촉상태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접촉기.
KR1020150106048A 2015-07-27 2015-07-27 전자 접촉기 KR2017001308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6048A KR20170013085A (ko) 2015-07-27 2015-07-27 전자 접촉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6048A KR20170013085A (ko) 2015-07-27 2015-07-27 전자 접촉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13085A true KR20170013085A (ko) 2017-02-06

Family

ID=581091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06048A KR20170013085A (ko) 2015-07-27 2015-07-27 전자 접촉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13085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98711B1 (ko) * 2020-02-28 2021-01-05 정용호 전자 접촉기 및 전자 접촉기를 이용한 스타-델타 결선 절환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98711B1 (ko) * 2020-02-28 2021-01-05 정용호 전자 접촉기 및 전자 접촉기를 이용한 스타-델타 결선 절환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472539B1 (en) Electromagnetic relay
US9640336B2 (en) Magnetic latching relay having asymmetrical solenoid structure
KR101851839B1 (ko) 이중 브레이크 계전기
KR101943365B1 (ko) 직류 릴레이
JP7124758B2 (ja) リレー
CN111091987A (zh) 一种能够抗短路电流及灭弧的直流继电器
KR20180032963A (ko) 릴레이
WO2016002553A1 (ja) 電磁継電器
JP2014110165A (ja) 接点装置
CN108321036B (zh) 一种能够抵抗雷击电流的电磁继电器
KR20170013085A (ko) 전자 접촉기
EP3016125B1 (en) Crossbar structure of electromagnetic contactor
CN102820173B (zh) 电接触器
JP5523594B2 (ja) 開閉器
JP2011081956A (ja) 電磁継電器
KR101684476B1 (ko) 전자접촉기
WO2020148994A1 (ja) リレー
JP7107169B2 (ja) リレー
JP6207227B2 (ja) 電磁接触器
JP2021044218A (ja) 電磁継電器
KR20140005985U (ko) 전자 접촉기의 b접점 고정구조
KR101717658B1 (ko) 전자접촉기의 보조 접점기구
JP5323244B2 (ja) 接点機構及びこれを使用した電磁接触器
JP7390791B2 (ja) リレー
JP7135876B2 (ja) リレ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