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12517A - fume Hood for a laboratory - Google Patents
fume Hood for a laboratory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70012517A KR20170012517A KR1020170009196A KR20170009196A KR20170012517A KR 20170012517 A KR20170012517 A KR 20170012517A KR 1020170009196 A KR1020170009196 A KR 1020170009196A KR 20170009196 A KR20170009196 A KR 20170009196A KR 20170012517 A KR20170012517 A KR 20170012517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door
- fume hood
- exhaust
- air
- stat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9/00—Supporting devices; Holding devices
- B01L9/02—Laboratory benches or tables; Fittings therefor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1/00—Enclosures; Chamb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linical Laboratory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Devices For Use In Laboratory Experiments (AREA)
- Ventilation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흄후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도어 일부 개방 상태에서 와류 형성에 의한 외부 비산 가능성을 제거할 수 있는 흄후드에 관한 것이다.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ume hood, and more particularly, to a fume hood capable of eliminating the possibility of external scattering by vortex formation in a partially opened state of a door.
실험실 흄후드(Fume hood)는 실험실에서 각종 유기용제와 분진류, 산 및 알칼리류, 생물학적 위험물질 등을 취급하는 경우에 발생되는 유해물질을 제어하기 위한 국소배기 수단이다.Laboratory fume hood is a local exhaust system for controlling harmful substances generated when handling various organic solvents, dusts, acids and alkalis, biological hazardous materials in the laboratory.
일반적 실험실 흄후드(1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드 전면에 개폐가 가능한 수직 개방형 도어(11)가 설치되어 있고, 도어(11)를 모두 닫았을 때 보충공기(supplementary air)가 유입될 수 있도록 도어 상부에 바이패스형 그릴(by-pass type grill)(12)이 설치되어 있고, 후드 상부에는 상방형 배기 덕트(13)가 설치되어 있으며, 개구면에서 균일한 배기력을 형성시키기 위해 흄후드 내부에 배플(14)이 설치되어 슬롯형태로 배기시키고 있다. 이어, 상기 흄후드(10)를 통해 흄 등의 유해물질을 흡입한 다음 국소배기 시스템의 배기 덕트(duct)(13), 공기정화장치(air cleaner)(미도시)를 통해 처리하고 있다. 특히, 후드(10)는 실험실에서 발생되는 흄 등의 오염물질, 유해물질 등(이하, 유해물질 등이라 함)이 연구원, 실험실 주변으로 확산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영향권역 내의 유해물질 등을 발생원에서 직접 포집하기 위한 국소배기 시스템의 입구라고 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 1, a general
한편, 실험실 흄후드(10)의 사용시에 연구원은 도어를 일부 개방한 상태에서 팔만 집어넣어 유해물질을 취급하고 있는데, 이는 동일한 풍량에 대해 개구면 유속(제어 유속)을 최대로 유지하기 위함이다. 그러나, 이러한 경우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 뒷편으로 경계층 분리 현상에 의해 와류가 발생되는 구조가 될 수 있다. 이때, 유해물질 발생원이 와류 구간에 위치하거나 작업자가 와류 구간에서 유해물질을 취급할 경우, 유해물질이 와류 구간에 갇히게 되어 원활하게 배기되지 못하고 재순환하게 되고, 와류에 의해 흄후드 내부 농도가 크게 상승하게 된다(도 2a 참조). 이 상태에서 도어를 개방할 경우에는 와류 구간에 갇혀있던 유해물질이 순간적으로 후드 외부로 확산가능하게 될 수 있다(도 2b 참조). 이에 도어를 최대 개방하면 와류가 형성되지 않고 다시 정상적인 배기흐름이 유지되는 형태이어도도 2c 참조), 이전의 와류 구간에 의한 흄의 외부 확산가능의 문제점이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using the
또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 후 작업자가 손을 빼는 과정에서도 작업자의 손과 함께 와류 구간에 갇혀 있던 유해물질이 외부로 확산가능한 문제점이 있다. Also, as shown in FIG. 3, there is a problem that the hazardous substances trapped in the vortex section together with the operator's hand can be diffused to the outside even in the process of removing the operator's hands after the operation.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재순환 배기장치를 통해 기존 흄후드에서 발생하는 와류를 해소하여 외부 확산을 차단할 수 있고, 와류 형성에 의한 외부 비산 가능성이 가장 큰 "도어 일부 개방 상태"에서만 재순환 배기장치가 가동되도록 하여 사용자 편의를 도모할 수 있는 실험실 흄후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conceived in order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recirculating exhaust system that can prevent external diffusion by eliminating vortex generated in an existing fume hood, The present invention aims to provide a laboratory fume hood which can be operated by a user only by allowing a recirculation exhaust device to be operated only in a " partially opened state ".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실험실 흄후드에 있어서, 전면에 개폐가 가능한 도어와, 상기 도어를 모두 닫았을 때 보충공기가 유입될 수 있게 상기 도어 상부에 형성되는 바이패스형 그릴과, 개구면에서 균일한 배기력을 형성시키기 위해 상기 흄후드 내부에 설치되어 내부 유해물질을 배기시키는 배플과, 상기 배플에서 유도된 유해물질을 외부로 배기시키는 배기 덕트와, 상기 도어의 상부측에 형성되어 상기 도어 뒷편의 내부공기를 도어면을 따라 상기 배기 덕트 쪽으로 'ㄱ' 자 형태의 공기 유동 흐름을 가지게 하는 재순환형 배기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a laboratory fume hood includes a door capable of being opened and closed at the front side, a bypass type grill formed at the upper portion of the door so that supplementary air can be introduced when the door is closed, A baffle installed inside the fume hood to form a uniform exhausting power to exhaust the internal harmful substances; an exhaust duct for exhausting the harmful substances derived from the baffle to the outside; Shaped exhaust air stream to the exhaust duct along the door surface so that the internal air on the rear side has an air flow flow in the direction of the exhaust duct along the door surface.
또한, 상기 배플은 상기 흄후드 내부에 상기 도어의 후면을 따라 상기 배기 덕트 쪽으로 진행할수록 너비가 커지는 역 'ㄱ'자 형태로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the baffle is installed in the fume hood in a reverse shape in which the width of the fume hood increases along the rear surface of the door toward the exhaust duct.
또한, 상기 재순환형 배기장치의 내부에 크로스 플로우 임펠라를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크로스 플로우 임펠라를 통해 상기 도어 뒷편의 형성된 내부공기를 상기 재순환 배기장치로 유도하고, 상기 배기장치의 챔버로 유도된 내부 공기를 수평방향에서 상기 배기 덕트 방향으로 밀어주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Further, a cross flow impeller may be formed inside the recirculation exhaust system. At this time, the internal air formed on the rear side of the door is guided to the recycling exhaust device through the crossflow impeller, and the internal air guided to the chamber of the exhaust device is pushed in the direction of the exhaust duct in the horizontal direction.
또한, 현재 도어 개방 높이를 감지하는 센서와, 상기 센서를 통해 감지된 현재 도어 개방 높이와 설정 도어 개방 높이를 비교하여,"도어 최대 개방상태", "도어 담힘상태", "도어 일부 개방상태" 중의 어느 하나로 판단하여, 상기 "도어 최대 개방상태"와 상기 "도어 담힘상태"로 판단시에는 상기 재순환형 배기장치를 오프시키고, 상기 "도어 일부 개방상태"로 판단시에는 상기 재순환형 배기장치를 가동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a sensor for detecting the current door opening height and a current door opening height sensed by the sensor are compared with a set door opening height to determine whether or not the "door maximum opening state "," door- , The control unit turns off the recirculation exhaust device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door is in the "maximum door open state" and the "door-closed state", and when the "door partial open state" And a control unit for operating the control unit.
또한, 상기 센서는 상기 도어의 이동선의 인접 바닥면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Further, it is preferable that the sensor is formed on an adjacent floor of the door.
또한, 상기 제어부가 상기 "도어 담힘상태"로 판단할 경우에는, 상기 바이패스 그릴를 통해 보충공기를 유입시키도록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when the control unit determines that the door is in the " door-carrying state ", it is preferable to control the supplemental air to flow through the bypass grill.
또한, 상기 제어부는 설정 도어 개방 높이를 최대 도어 개방 높이와 동일하게 설정하여, 최대 도어 개방 높이와 일치하면 상기 "도어 최대 개방상태"로 판단하고, 높이가 측정되지 않으면 상기 "도어 담힘상태"로 판단하고, 그 외는 상기 "도어 일부 개방상태"로 판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controller sets the setting door open height to be equal to the maximum door open height, and determines that the door is in the " door maximum open state " It is preferable to determine that the door is partially open.
본 발명에 따른 실험실 흄후드에서는, 재순환 배기장치를 통해 기존 흄후드에서 발생하는 와류를 해소하여 외부 확산을 차단할 수 있고, 와류 형성에 의한 외부 비산 가능성이 가장 큰 "도어 일부 개방상태"에서만 재순환 배기장치가 가동되도록 하여 사용자 편의를 도모하고 시간적 및 경제적으로 비용 절감의 효과가 있다.In the laboratory fume ho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external diffusion can be blocked by eliminating vortex generated in the existing fume hood through the recirculation exhaust device, and only in the "partial door opening state" where the possibility of external scattering by vortex formation is greatest, It is possible to make the apparatus operate, thereby providing convenience to users and saving time and cost economically.
또한, 기존 실험실에서 도어 일부 개방시 발생하는 유해물질을 제거하여 실험심 작업자의 작업환경을 개선할 수 있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work environment of the experimental worker by removing the harmful substances generated when the door is partially opened in the existing laboratory.
도 1은 일반적인 실험실 흄후드의 구성은 나타낸 도면,
도 2는 도 1의 흄후드에서 유해물질의 순간적인 확산 및 외부 확산 경로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도 1의 흄후드에서 작업자의 손과 함께 유해물질이 외부로 확산되는 경우를 나타낸 도면,
도 4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흄후드를 나타낸 단면도,
도 5a 내지 도 5c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흄후드에서 센서 연동 기능을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흄후드에서 유해물질(흄)의 이동경로를 나타낸 도면,
도 7a 및 도 7b는 각각 종래의 실험실 흄후드와 본 발명의 실험실 흄후드의 도어 일부 개방 조건에서 유해물질의 이동경과를 비교하여 나타낸 도면,
도 8a 및 도 8b는 각각 종래의 실험실 흄후드와 본 발명의 실험실 흄후드의 도어 일부 개방 조건에서 전산유동해석 결과를 비교하여 나타낸 도면,
도 9a 및 도 9b는 각각 종래의 실험실 흄후드와 본 발명의 실험실 흄후드의 유해물질의 확산과 차단을 비교하여 나타낸 도면이다.1 shows a general laboratory fume hood configuration,
FIG. 2 is a view showing an instant diffusion and an external diffusion path of a harmful substance in the fume hood of FIG. 1;
FIG. 3 is a view showing a case where harmful substances are diffused to the outside together with a hand of an operator in the fume hood of FIG. 1;
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fume hood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S. 5A through 5C illustrate a sensor interlocking function in a fume hood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S.
6 is a view showing a movement path of a harmful substance (fume) in a fume hood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S. 7A and 7B are diagrams showing a comparison of movement progress of harmful substances in a conventional laboratory fume hood and a door partial opening condition of the laboratory fume hood of the present invention, respectively;
FIGS. 8A and 8B are graphs showing the results of computational flow analysis of the conventional laboratory fume hood and the laboratory fume hood of the present invention,
FIGS. 9A and 9B are views showing diffusion and blocking of harmful substances in the conventional laboratory fume hood and the laboratory fume hood of the present invention, respectively.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실험실 흄후드의 구성을 설명하며, 각 실시예에 따른 흄후드의 구성에 있어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고 기존 흄후드와의 차이점 위주로 설명하고 동일한 구성요소 및 구성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Hereinafter, the configuration of a laboratory fume hood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configuration of the fume hood according to each embodiment, the same components are designa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nd 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same components and configurations will be omitted.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흄후드(100)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5a 내지 도 5c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흄후드(100)에서 센서 연동 기능을 나타낸 도면이다.FIG. 4 is a sectional view showing a
본 발명에 따른 흄후드(100)에서, 전면에 개폐가 가능한 도어(11)와, 상기 도어를 모두 닫았을 때 보충공기가 유입될 수 있게 상기 도어 상부에 형성되는 바이패스형 그릴(12)과, 개구면에서 균일한 배기력을 형성시키기 위해 상기 흄후드 내부에 설치되어 내부 유해물질을 배기시키는 배플(14)과, 상기 배플에서 유도된 유해물질을 외부로 배기시키는 배기 덕트(13)를 구비한다. In the
여기서, 도어(11), 바이패스형 그릴(12), 배플(14) 및 배기 덕트(13)의 기능은 기존과 대체로 동일하므로 종래의 실험실 흄후드(10)와의 차이점을 중심으로 도 4 및 도 5a 내지 도 5c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The functions of the
이때, 배플(14)의 형태는 상기 흄후드 내부에 상기 도어의 후면을 따라 상기 배기 덕트 쪽으로 진행할수록 너비가 커지는 역 'ㄱ'자 형태로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는 후술하는 크로스 플로우 임펠라(111)의 'ㄱ'자 형태의 공기 유동 흐름과 상호 보완적으로 기능하게 한다. In this case, the shape of the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흄후드(100)는, 상기 도어의 상부에 형성되고, 배기 덕트(13)와 인접한 흄후드의 일측면이 아니라 도어와 인접한 타측면에 형성되어, 타측면의 내부 영역(이하, 도어 뒷편이라 한다)에 발생하는 와류를 와해시키고 해소하는 역할을 하는 재순환형 배기장치(110)를 구성한다. 상기 재순환형 배기장치(110)는 상기 도어의 상부면에 형성되는 그 단면이 직사각형 배기 챔버로서 그 내부에 크로스 플로우 임펠라(111)가 형성되어 도어 뒷편에 형성된 내부 공기를 도어면을 타고 상승하여 상기 직사각형 배기 챔버로 유도하고, 상기 배기 챔버로 유도된 내부 공기를 수평방향에서 배기 덕트(13) 방향쪽으로 밀어주어, 상기 배기덕트(13)를 통해 손쉽게 외부로 유출되게 한다. 이처럼, 도어 뒷편에 발생하는 와류가 상기 재순환형 배기장치(110)의 크로스 플로우 임펠라(111)를 통해 도어면을 따라 상승하고 이어 배기 덕트(13) 쪽으로 'ㄱ' 자 형태의 공기 유동 흐름을 가지게 되므로, 내부공기에 흄을 포함한 유해물질이 포함되어 와류에 의한 유해물질의 도어 밖 외부로 비산할 수 있는 문제를 원천 차단할 수 있게 한다.A
또한, 와류 형성에 의한 외부 비산 가능성이 가장 큰 "도어 일부 개방상태"에서만 상기 재순환형 배기장치(11)를 가동시키는 제어부(미도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설정된 도어 개방 높이에 따라, 센서(120)가 도어의 개방 높이를 감지하는데, 이에 따라 5a의 "도어 최대 개방상태", 도 5b의 "도어 닫음 상태", 도 5c의 "도어 일부 개방 상태"로 설정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may further include a control unit (not shown) for activating the
도 5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센서(120)는, 도어 이동선의 인접 바닥면에 형성되어 현재의 도어 개방 높이를 제어부로 전송하면, 제어부는 설정된 도어 개방 높이와 현재의 도어 개방 높이를 비교하여, 도어 최대 개방상태로 판단한다. 이때는, 제어부는 와류에 의한 영향이 적으므로 재순환 배기장치(110)를 오프시킨다.5A, when the
도 5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센서(120)가 현재의 도어 개방 높이를 제어부로 전송하면, 제어부는 설정된 도어 개방 높이와 현재의 도어 개방 높이를 비교하여, 도어 담힘 상태로 판단한다. 이때는, 제어부는 와류에 의한 영향이 적으므로 재순환 배기장치(110)를 오프시키고, 바이패스 그릴(12)을 통해 보충공기를 유입시키도록 제어한다.5B, when the
도 5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센서(120)가 현재의 도어 개방 높이를 제어부로 전송하면, 제어부는 설정된 도어 개방 높이와 현재의 도어 개방 높이를 비교하여, 도어 일부개방 상태로 판단한다. 여기서, 도어 일부 개방 상태는 도어 최대 개방 상태, 도어 담힘 상태의 3가지 형태 중의 하나로 간편하게 설정할 수 있다. 가령, 제어부는 설정 도어 개방 높이를 최대 도어 개방 높이와 동일하게 설정하여, 최대 도어 개방 높이와 일치하면 "도어 최대 개방상태"로 판단하고, 높이가 측정되지 않으면 "도어 담힘 상태"로 판단하고, 기타 나머지는 "도어 일부 개방상태"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는 "도어 일부 개방상태"로 판단하면, 와류에 의한 영향이 크므로 와류 해소를 위해 재순환 배기장치(110)를 가동시킨다.5C, when the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흄후드(100)에서 유해물질(흄)의 이동경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7a 및 도 7b는 각각 종래의 실험실 흄후드와 본 발명의 실험실 흄후드의 도어 일부 개방 조건에서 유해물질의 이동경과를 비교하여 나타낸 도면이다.FIG. 6 is a view showing a movement path of a harmful substance (fume) in a
도 6 및 도 7b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흄후드에서 흄을 포함한 오염물질의 흡인 및 포집 과정을 살펴보면, 함진 공기가 재순환 배기장치(110)에 의해 후드 뒷편 상부로 자연스럽게 유도되게 하고, 상승된 함진 공기가 후드 뒷편 상부 근처의 배기덕트를 통해 자연스럽게 배출될 수 있게 한다. 반면에 기존의 흄후드(10)에서는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와류구간을 형성하게 된다.Referring to FIGS. 6 and 7B, in the fume ho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6A and FIG. 7B, the air is sucked and collected by the
또한, 재순환 배기장치(110)는 함진 공기를 배기덕트 근처의 후드 뒷편 상부로 유도하여 배기덕트를 통해 외부 유출을 유도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처럼 함진 공기가 후드 뒷편 상부로 유도되므로, 도 7a의 기존의 실험실 흄후드에서 발생하는 와류구간을 해소시킬 수 있고, 재순환 공기량이 흄후드 배기량 Q의 1/2 수준으로 형성할 수 있다.Also, the
도 8a 및 도 8b는 각각 종래의 실험실 흄후드(10)와 본 발명의 실험실 흄후드(100)의 도어 일부 개방 조건에서 전산유동해석 결과를 비교하여 나타낸 도면이다.FIGS. 8A and 8B are graphs showing the results of computational flow analysis at a door opening partial condition of a conventional
도 8a를 참조하면, 기존 흄후드에서는 도어 뒷편으로 와류가 형성되고, 와류 구간에서의 재순환 흐름 때문에 체류시간이 크게 증가함을 알 수 있다. 반면에, 도 8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흄후드에서는 에어커튼의 급기류에 의해 아류가 후드 뒷편 상부로 이동하고, 에어커튼 급기류에 의해 유해물질의 순간적인 확산 및 폭로가 차단 가능할 것을 예상된다.Referring to FIG. 8A, a vortex is formed in the rear of the door in the existing fume hood, and the residence time is greatly increased due to the recirculation flow in the vortex section. On the other hand, referring to FIG. 8B, in the fume ho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edicted that the sub-air moves to the upper part of the rear part of the hood by the air flow of the air curtain and the instantaneous diffusion and exposure of the harmful substances can be blocked by the air curtain do.
도 9a 및 도 9b는 각각 종래의 실험실 흄후드와 본 발명의 실험실 흄후드의 유해물질의 확산과 차단을 비교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후드에서는 실험실에서 작업 후 작업자가 손을 빼는 과정에서 작업자의 손과 함께 와류 구간에 갇혀 있던 유해물질이 순간적으로 확산되고 외부로 유출가능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반면에,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후드는 유해물질이 순간적으로 확산되더라도 흄후드 내부의 재순환형 배기 장치를 통해 도어 뒷편에 발생하는 와류를 깨뜨려 해소시키므로 외부로 확산되는 것을 차단함을 알 수 있다.FIGS. 9A and 9B are views showing diffusion and blocking of harmful substances in the conventional laboratory fume hood and the laboratory fume hood of the present invention, respectively. As shown in FIG. 9A, in the conventional hood, it is confirmed that the hazardous substances trapped in the vortex section with the operator's hand are instantaneously diffused and outflowed in the process of removing the operator's hands after the work in the laboratory. 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 9B, even if the harmful substances are instantaneously diffused, the hood of the present invention breaks the vortex generated on the rear side of the door through the recirculation exhaust device inside the fume hood, .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실험실 흄후드에서는 재순환 배기장치를 통해 기존 흄후드에서 발생하는 와류를 해소하여 외부 확산을 차단할 수 있고, 와류 형성에 의한 외부 비산 가능성이 가장 큰 "도어 일부 개방상태"에서만 재순환 배기장치가 가동되도록 하여 사용자 편의 및 실험심 작업자의 작업환경을 개선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in the laboratory fume ho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external diffusion can be blocked by eliminating the vortex generated in the existing fume hood through the recirculation exhaust device, and the " Quot; state ", the user convenience and the working environment of the experimental worker can be improved.
이상에서와 같이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 실시 예가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 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As described above, an optimal embodiment has been disclosed in the drawings and specification. Although specific terms have been employed herein, they are used for purposes of illustration only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in the claims or the claims. Therefore,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appreciate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embodiment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ly, the tru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technical idea of the appended claims.
10, 100: 실험실 흄후드
11: 수직 개방형 도어
12: 바이패스 형 그릴
13: 배기 덕트
14: 배플
110: 재순환형 배기장치
120: 센서부10, 100: laboratory fume hood
11: Vertically open door
12: Bypass grill
13: exhaust duct
14: Baffle
110: Recirculating exhaust device
120:
Claims (5)
전면에 개폐가 가능한 도어와,
상기 도어를 모두 닫았을 때 보충공기가 유입될 수 있게 상기 도어 상부에 형성되는 바이패스형 그릴과,
개구면에서 균일한 배기력을 형성시키기 위해 상기 흄후드 내부에 설치되어 내부 유해물질을 배기시키는 배플과,
상기 배플에서 유도된 유해물질을 외부로 배기시키는 배기 덕트와,
상기 도어의 상부측에 형성되어 상기 도어 뒷편의 내부공기를 도어면을 따라 상기 배기 덕트 쪽으로 'ㄱ' 자 형태의 공기 유동 흐름을 가지게 하는 재순환형 배기장치와,
현재 도어 개방 높이를 감지하는 센서와,
상기 재순환형 배기장치의 내부에 형성된 크로스 플로우 임펠라와,
상기 센서를 통해 감지된 현재 도어 개방 높이와 최대 도어 개방 높이와 비교하여, 상기 최대 도어 개방 높이와 일치하면 상기 "도어 최대 개방 상태"로 판단하고, 상기 현재 도어 개방 높이가 측정되지 않으면 상기 "도어 담힘 상태"로 판단하고, 그 외는 상기 "도어 일부 개방 상태"로 판단하여, 상기 "도어 최대 개방상태"와 상기 "도어 담힘 상태"로 판단시에는 상기 재순환형 배기장치를 오프시키고, 상기 "도어 일부 개방상태"로 판단시에는 상기 재순환형 배기장치를 가동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험실 흄후드.In the laboratory fume hood,
A door which can be opened and closed at the front,
A bypass grill formed on the door so that supplemental air can be introduced when the doors are closed;
A baffle installed inside the fume hood to exhaust an internal harmful substance to form a uniform exhausting force on the opening surface,
An exhaust duct for exhausting the harmful substances derived from the baffle to the outside,
A recirculation type exhaust device formed on an upper side of the door to allow the air inside the rear door to have an air flow shape along the door surface toward the exhaust duct,
A sensor for detecting a current door opening height,
A cross flow impeller formed inside the recirculation exhaust device,
The controller determines that the door is in the maximum door opening state if the current door opening height and the maximum door opening height detected by the sensor match the maximum door opening height detected by the sensor, Door closed state ", and when it is judged that the" door maximum opening state "and the" door-carrying state ", the recirculation exhaust device is turned off, And a control unit for activating the recirculation exhaust system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 partially opened state "is satisfied.
상기 크로스 플로우 임펠라를 통해 상기 도어 뒷편에 형성된 내부공기를 상기 재순환 배기장치로 유도하고, 상기 배기장치의 챔버로 유도된 내부 공기를 수평방향에서 상기 배기 덕트 방향으로 밀어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험실 흄후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internal air introduced into the rear of the door through the crossflow impeller is guided to the recycling exhaust device and the internal air introduced into the chamber of the exhaust device is pushed in the direction of the exhaust duct in the horizontal direction. .
상기 센서는 상기 도어의 이동선의 인접 바닥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험실 흄후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ensor is formed on an adjacent bottom surface of a moving line of the door.
상기 제어부가 상기 "도어 담힘 상태"로 판단할 경우에는, 상기 바이패스 그릴을 통해 보충공기를 유입시키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험실 흄후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supplemental air to flow through the bypass grill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door is in the " door-carrying state ".
상기 배플은 상기 흄후드 내부에 상기 도어의 후면을 따라 상기 배기 덕트 쪽으로 진행할수록 너비가 커지는 역 'ㄱ'자 형태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험실 흄후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baffle is installed in the interior of the fume hood along the rear surface of the door in a " reverse " shape that increases in width toward the exhaust duct.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009196A KR20170012517A (en) | 2017-01-19 | 2017-01-19 | fume Hood for a laboratory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009196A KR20170012517A (en) | 2017-01-19 | 2017-01-19 | fume Hood for a laboratory |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40195917A Division KR102007899B1 (en) | 2014-12-31 | 2014-12-31 | fume Hood for a laboratory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012517A true KR20170012517A (en) | 2017-02-02 |
Family
ID=581540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009196A KR20170012517A (en) | 2017-01-19 | 2017-01-19 | fume Hood for a laboratory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70012517A (en)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7608262A (en) * | 2017-09-05 | 2018-01-19 | 无锡吉兴汽车声学部件科技有限公司 | A kind of laboratory vehicle exhaust concentration intelligence control system |
KR101939625B1 (en) | 2018-05-18 | 2019-01-18 | (주)유나 | A Fume Hood for assembling easily |
KR102001845B1 (en) | 2019-04-08 | 2019-07-19 | 윤영임 | Facial protection and exhaust air pressure increasing device |
KR102658070B1 (en) | 2023-11-17 | 2024-04-17 | 임형보 | Gross hood with face protective opening/closing door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65549Y1 (en) | 2001-11-29 | 2002-02-21 | 포항종합제철 주식회사 | Guided Canopy Hood |
KR100623497B1 (en) | 2005-03-17 | 2006-09-14 |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 Ventilation system with sliding doors and induced air flow |
-
2017
- 2017-01-19 KR KR1020170009196A patent/KR20170012517A/en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65549Y1 (en) | 2001-11-29 | 2002-02-21 | 포항종합제철 주식회사 | Guided Canopy Hood |
KR100623497B1 (en) | 2005-03-17 | 2006-09-14 |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 Ventilation system with sliding doors and induced air flow |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7608262A (en) * | 2017-09-05 | 2018-01-19 | 无锡吉兴汽车声学部件科技有限公司 | A kind of laboratory vehicle exhaust concentration intelligence control system |
CN107608262B (en) * | 2017-09-05 | 2020-10-09 | 无锡吉兴汽车声学部件科技有限公司 | Intelligent control system for concentration of automobile exhaust in laboratory |
KR101939625B1 (en) | 2018-05-18 | 2019-01-18 | (주)유나 | A Fume Hood for assembling easily |
KR102001845B1 (en) | 2019-04-08 | 2019-07-19 | 윤영임 | Facial protection and exhaust air pressure increasing device |
KR102658070B1 (en) | 2023-11-17 | 2024-04-17 | 임형보 | Gross hood with face protective opening/closing door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170012517A (en) | fume Hood for a laboratory | |
US6461233B1 (en) | Low air volume laboratory fume hood | |
US7503842B2 (en) | Air curtain-assisted exhaust method and device thereof | |
WO2014054315A1 (en) | Safety cabinet | |
KR20120031502A (en) | Fume extraction hood | |
US20120322353A1 (en) | Fume hood | |
US6350194B1 (en) | Fume hood with airflow control system | |
KR101347217B1 (en) | Fume hood | |
KR101043781B1 (en) | Experiment table assembly | |
WO2015023114A1 (en) | Automatic door with air curtain | |
CN111482205A (en) | Multifunctional biological safety cabinet | |
KR20120003832U (en) | Apparatus for verticality air curtain | |
US10384243B2 (en) | Air replenishing fume hood | |
KR20180111367A (en) | Push-pull type removing dust apparatus | |
KR100466663B1 (en) | A Slide Type Range Hood | |
KR20160083611A (en) | fume Hood for a laboratory | |
CN107335672A (en) | The laboratory hood with Venturi effect getter device for the control of anti-turbulent air flow | |
JP2012149864A (en) | Contamination blocking air gate | |
KR100947478B1 (en) | Structure for bringing exterior air of fume hood | |
CN104984972A (en) | Fume cupboard for laboratory | |
KR102079202B1 (en) | Air cleaning apparatus | |
JP5063556B2 (en) | Dispensing clean room unit | |
KR20180136046A (en) | One-stop air shower booth using air mat | |
KR20100116263A (en) | Air closed type fume hood system | |
WO2011162450A1 (en) | Refuge stair hall equipped with exhaust duct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107 |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 ||
WITN |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