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07899B1 - fume Hood for a laboratory - Google Patents

fume Hood for a laboratory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07899B1
KR102007899B1 KR1020140195917A KR20140195917A KR102007899B1 KR 102007899 B1 KR102007899 B1 KR 102007899B1 KR 1020140195917 A KR1020140195917 A KR 1020140195917A KR 20140195917 A KR20140195917 A KR 20140195917A KR 102007899 B1 KR102007899 B1 KR 1020078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fume hood
opening height
laboratory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9591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60083611A (en
Inventor
정종현
정유진
이상만
Original Assignee
대구한의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구한의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대구한의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401959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07899B1/en
Publication of KR201600836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8361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078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0789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9/00Supporting devices; Holding devices
    • B01L9/02Laboratory benches or tables; Fitting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1/00Enclosures; Cham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15/00Preventing escape of dirt or fumes from the area where they are produced; Collecting or removing dirt or fumes from that area
    • B08B15/02Preventing escape of dirt or fumes from the area where they are produced; Collecting or removing dirt or fumes from that area using chambers or hoods covering the area
    • B08B15/023Fume cabinets or cupboards, e.g. for laboratori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4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 F24F7/06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2300/00Additional constructional details
    • B01L2300/06Auxiliary integrated devices, integrated component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linical Laboratory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entilation (AREA)
  • Devices For Use In Laboratory Experi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실험실 흄후드에 있어서, 전면에 개폐가 가능한 도어와, 상기 도어를 모두 닫았을 때 보충공기가 유입될 수 있게 상기 도어 상부에 형성되는 바이패스형 그릴과, 개구면에서 균일한 배기력을 형성시키기 위해 상기 흄후드 내부에 설치되어 슬롯형태로 내부 유해물질을 배기시키는 배플과, 상기 배플에서 유도된 유해물질을 외부로 배기시키는 배기 덕트와, 상기 도어의 상부측에 형성되어 상기 도어 뒷편의 내부공기를 도어면을 따라 상기 배기 덕트 쪽으로 'ㄱ' 자 형태의 공기 유동 흐름을 가지게 하는 재순환형 배기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in the laboratory fume hood, a door that can be opened and closed on the front, the bypass grill is formed in the upper portion of the door so that the supplementary air flows when all the doors are closed, and uniform ship at the opening surface A baffle installed inside the fume hood to generate energy, an exhaust duct for exhausting internal harmful substances in the form of a slot, an exhaust duct for exhausting harmful substances induced in the baffle to the outside, and formed on an upper side of the door; And a recirculating exhaust device for allowing the internal air of the rear side to have an 'a' shaped air flow flow toward the exhaust duct along the door surface.

Description

실험실 흄후드{fume Hood for a laboratory}Fume hood for a laboratory

본 발명은 흄후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도어 일부 개방 상태에서 와류 형성에 의한 외부 비산 가능성을 제거할 수 있는 흄후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ume hood, and more particularly, to a fume hood that can eliminate the possibility of external scattering by vortex formation in a partially open state of the door.

실험실 흄후드(Fume hood)는 실험실에서 각종 유기용제와 분진류, 산 및 알칼리류, 생물학적 위험물질 등을 취급하는 경우에 발생되는 유해물질을 제어하기 위한 국소배기 수단이다.Laboratory fume hood is a local exhaust for controlling harmful substances generated when handling various organic solvents, dusts, acids and alkalis, and biohazardous substances in the laboratory.

일반적 실험실 흄후드(1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드 전면에 개폐가 가능한 수직 개방형 도어(11)가 설치되어 있고, 도어(11)를 모두 닫았을 때 보충공기(supplementary air)가 유입될 수 있도록 도어 상부에 바이패스형 그릴(by-pass type grill)(12)이 설치되어 있고, 후드 상부에는 상방형 배기 덕트(13)가 설치되어 있으며, 개구면에서 균일한 배기력을 형성시키기 위해 흄후드 내부에 배플(14)이 설치되어 슬롯형태로 배기시키고 있다. 이어, 상기 흄후드(10)를 통해 흄 등의 유해물질을 흡입한 다음 국소배기 시스템의 배기 덕트(duct)(13), 공기정화장치(air cleaner)(미도시)를 통해 처리하고 있다. 특히, 후드(10)는 실험실에서 발생되는 흄 등의 오염물질, 유해물질 등(이하, 유해물질 등이라 함)이 연구원, 실험실 주변으로 확산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영향권역 내의 유해물질 등을 발생원에서 직접 포집하기 위한 국소배기 시스템의 입구라고 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 1, a general laboratory fume hood 10 has a vertically open door 11 that can be opened and closed at the front of a hood, and supplementary air is closed when all the doors 11 are closed. By-pass type grille 12 is installed on the upper part of the door to allow flow, and an upper exhaust duct 13 is provided on the upper part of the hood, and a uniform exhaust force is formed at the opening surface. In order to make the baffle 14 is installed inside the fume hood to vent in the form of a slot. Subsequently, harmful fumes such as fume are sucked through the fume hood 10 and then processed through an exhaust duct 13 and an air cleaner (not shown) of a local exhaust system. In particular, the hood 10 is a source of harmful substances in the affected area to prevent the spread of pollutants, such as fumes, and harmful substances (hereinafter referred to as toxic substances) generated in the laboratory to the researcher and the laboratory. It is the inlet of the local exhaust system for direct capture.

한편, 실험실 흄후드(10)의 사용시에 연구원은 도어를 일부 개방한 상태에서 팔만 집어넣어 유해물질을 취급하고 있는데, 이는 동일한 풍량에 대해 개구면 유속(제어 유속)을 최대로 유지하기 위함이다. 그러나, 이러한 경우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 뒷편으로 경계층 분리 현상에 의해 와류가 발생되는 구조가 될 수 있다. 이때, 유해물질 발생원이 와류 구간에 위치하거나 작업자가 와류 구간에서 유해물질을 취급할 경우, 유해물질이 와류 구간에 갇히게 되어 원활하게 배기되지 못하고 재순환하게 되고, 와류에 의해 흄후드 내부 농도가 크게 상승하게 된다(도 2a 참조). 이 상태에서 도어를 개방할 경우에는 와류 구간에 갇혀있던 유해물질이 순간적으로 후드 외부로 확산가능하게 될 수 있다(도 2b 참조). 이에 도어를 최대 개방하면 와류가 형성되지 않고 다시 정상적인 배기흐름이 유지되는 형태이어도도 2c 참조), 이전의 와류 구간에 의한 흄의 외부 확산가능의 문제점이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e use of the laboratory fume hood (10), the researcher handles harmful substances by inserting only the arms with the door partially opened, in order to maintain the maximum opening surface flow rate (control flow rate) for the same air flow rate. However, in this case, as shown in FIG. 2, the vortex may be generated by the boundary layer separation phenomenon behind the door. At this time, when the source of harmful substances is located in the vortex section or the worker handles the toxic substances in the vortex section, the hazardous substances are trapped in the vortex section and are not exhausted smoothly and recycled, and the concentration inside the fume hood is greatly increased by the vortex. (See FIG. 2A). When the door is opened in this state, harmful substances trapped in the vortex section may be instantaneously spreadable to the outside of the hood (see FIG. 2B). Therefore, even if the door is opened to the maximum, no vortex is formed and the normal exhaust flow is maintained again, see FIG. 2C), and there is a problem of the possibility of external diffusion of the fume by the previous vortex section.

또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 후 작업자가 손을 빼는 과정에서도 작업자의 손과 함께 와류 구간에 갇혀 있던 유해물질이 외부로 확산가능한 문제점이 있다. In addition, as shown in Figure 3, there is a problem that harmful substances trapped in the vortex section together with the worker's hand can spread to the outside even in the process of removing the hand after the operation.

1. 한국등록실용신안번호 20-0265549호1. Korea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20-0265549 2. 한국등록특허번호 10-0623497호2. Korean Patent No. 10-0623497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재순환 배기장치를 통해 기존 흄후드에서 발생하는 와류를 해소하여 외부 확산을 차단할 수 있고, 와류 형성에 의한 외부 비산 가능성이 가장 큰 "도어 일부 개방 상태"에서만 재순환 배기장치가 가동되도록 하여 사용자 편의를 도모할 수 있는 실험실 흄후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it is possible to block the external diffusion by eliminating the vortices generated in the existing fume hood through the recirculation exhaust device, the outside of the most likely to scatter outside by vortex formation "door It is aimed to provide a laboratory fume hood which can be operated for the convenience of the user by allowing the recirculation exhaust system to operate only in a part of "open state".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실험실 흄후드에 있어서, 전면에 개폐가 가능한 도어와, 상기 도어를 모두 닫았을 때 보충공기가 유입될 수 있게 상기 도어 상부에 형성되는 바이패스형 그릴과, 상기 흄후드 내부에 상기 도어의 후면을 따라 상기 배기 덕트 쪽으로 진행할수록 너비가 커지는 역'ㄱ' 자 형태로 설치되어, 내부 유해물질을 배기시키는 배플과, 상기 배플에서 유도된 내부 유해물질을 외부로 배기시키는 배기 덕트와, 상기 도어의 상부측에 형성되어 상기 도어 뒷편의 내부공기를 도어면을 따라 상기 배기 덕트 쪽으로 'ㄱ' 자 형태의 공기 유동 흐름을 가지게 하는 재순환형 배기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in the laboratory fume hood, a door that can be opened and closed on the front, a bypass grill formed in the upper portion of the door so that supplementary air can be introduced when all the doors are closed, and the fume hood It is installed in an inverted 'A' shape, the width of which increases as it proceeds toward the exhaust duct along the rear side of the door, and exhausts internal harmful substances derived from the baffle to the outside. It may include a duct and a recirculating exhaust device is formed on the upper side of the door to have the air flow in the 'b' shape toward the exhaust duct along the door surface of the inner air behind the door.

또한, 상기 재순환형 배기장치의 내부에 크로스 플로우 임펠라를 형성하고, 상기 크로스 플로우 임펠라를 통해 상기 도어 뒷편의 형성된 내부공기를 상기 재순환 배기장치로 유도하고, 상기 배기장치의 챔버로 유도된 내부 공기를 수평방향에서 상기 배기 덕트 방향으로 밀어주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a cross flow impeller is formed inside the recirculating exhaust device, the internal air formed behind the door is led to the recirculation exhaust device through the cross flow impeller, and internal air guided to the chamber of the exhaust device is introduced. It pushes in the direction of the exhaust duct in the horizontal direction.

또한, 현재 도어 개방 높이를 감지하는 센서와, 상기 센서를 통해 감지된 현재 도어 개방 높이와 설정 도어 개방 높이를 비교하여,"도어 최대 개방상태", "도어 담힘상태", "도어 일부 개방상태" 중의 어느 하나로 판단하여, 상기 "도어 최대 개방상태"와 상기 "도어 담힘상태"로 판단시에는 상기 재순환형 배기장치를 오프시키고, 상기 "도어 일부 개방상태"로 판단시에는 상기 재순환형 배기장치를 가동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sensor for detecting the current door opening height, and comparing the current door opening height and the set door opening height detected by the sensor, "door maximum open state", "door closed state", "door partial opening state" The recirculating exhaust device is turned off when it is determined as one of the "door maximum open state" and the "door containing state", and when it is determined as the "door part open state", the recirculating exhaust device is turned off. And a control unit for operating.

또한, 상기 센서는 상기 도어의 이동선의 인접 바닥면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sensor is preferably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adjacent to the moving line of the door.

또한, 상기 제어부가 상기 "도어 담힘상태"로 판단할 경우에는, 상기 바이패스 그릴를 통해 보충공기를 유입시키도록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when the control unit determines that the "door containing state", it is preferable to control to introduce the supplementary air through the bypass grill.

또한, 상기 제어부는 설정 도어 개방 높이를 최대 도어 개방 높이와 동일하게 설정하여, 최대 도어 개방 높이와 일치하면 상기 "도어 최대 개방상태"로 판단하고, 높이가 측정되지 않으면 상기 "도어 담힘상태"로 판단하고, 그 외는 상기 "도어 일부 개방상태"로 판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control unit sets the set door opening height equal to the maximum door opening height, and if it matches the maximum door opening height is determined as the "door maximum opening state", if the height is not measured to the "door containing state" It is preferable to make a judgment, and to judge the others as the "door partially open state".

본 발명에 따른 실험실 흄후드에서는, 재순환 배기장치를 통해 기존 흄후드에서 발생하는 와류를 해소하여 외부 확산을 차단할 수 있고, 와류 형성에 의한 외부 비산 가능성이 가장 큰 "도어 일부 개방상태"에서만 재순환 배기장치가 가동되도록 하여 사용자 편의를 도모하고 시간적 및 경제적으로 비용 절감의 효과가 있다.In the laboratory fume ho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rough the recirculation exhaust device, it is possible to eliminate the vortices generated in the existing fume hood to block external diffusion, and recycle exhaust only in the "door part open state" which is most likely to be scattered outside by the vortex formation. By operating the device, it is convenient for the user and saves time and money.

또한, 기존 실험실에서 도어 일부 개방시 발생하는 유해물질을 제거하여 실험심 작업자의 작업환경을 개선할 수 있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working environment of the experimental worker by removing the harmful substances generated when the door is partially opened in the existing laboratory.

도 1은 일반적인 실험실 흄후드의 구성은 나타낸 도면,
도 2는 도 1의 흄후드에서 유해물질의 순간적인 확산 및 외부 확산 경로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도 1의 흄후드에서 작업자의 손과 함께 유해물질이 외부로 확산되는 경우를 나타낸 도면,
도 4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흄후드를 나타낸 단면도,
도 5a 내지 도 5c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흄후드에서 센서 연동 기능을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흄후드에서 유해물질(흄)의 이동경로를 나타낸 도면,
도 7a 및 도 7b는 각각 종래의 실험실 흄후드와 본 발명의 실험실 흄후드의 도어 일부 개방 조건에서 유해물질의 이동경과를 비교하여 나타낸 도면,
도 8a 및 도 8b는 각각 종래의 실험실 흄후드와 본 발명의 실험실 흄후드의 도어 일부 개방 조건에서 전산유동해석 결과를 비교하여 나타낸 도면,
도 9a 및 도 9b는 각각 종래의 실험실 흄후드와 본 발명의 실험실 흄후드의 유해물질의 확산과 차단을 비교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1 is a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typical laboratory fume hood,
2 is a view showing the instantaneous diffusion and external diffusion path of the harmful substances in the fume hood of FIG.
3 is a view showing a case in which harmful substances are diffused to the outside together with the operator's hand in the fume hood of FIG.
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fume hood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a to 5c is a view showing a sensor interlocking function in the fume ho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view showing the movement path of the harmful substance (fume) in the fume ho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a and 7b is a view showing a comparison of the movement history of harmful substances in the opening part of the door of the laboratory fume hood and the laboratory fume hood of the present invention, respectively,
8a and 8b is a view showing a comparison of the results of the computational flow analysis in the opening part of the door of the laboratory fume hood and the laboratory fume hood of the present invention, respectively,
9A and 9B are diagrams showing the diffusion and blocking of harmful substances in the laboratory fume hood and the laboratory fume hood of the present invention, respectively.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실험실 흄후드의 구성을 설명하며, 각 실시예에 따른 흄후드의 구성에 있어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고 기존 흄후드와의 차이점 위주로 설명하고 동일한 구성요소 및 구성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the configuration of the laboratory fume hood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ame components in the configuration of the fume hood according to each embodiment is give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nd the existing fume hood The differences between the descriptions and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same components and configurations are omitted.

도 4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흄후드(100)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5a 내지 도 5c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흄후드(100)에서 센서 연동 기능을 나타낸 도면이다.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fume hood 100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s 5a to 5c is a view showing a sensor interlocking function in the fume hood 100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른 흄후드(100)에서도, 전면에 개폐가 가능한 도어(11)와, 상기 도어를 모두 닫았을 때 보충공기가 유입될 수 있게 상기 도어 상부에 형성되는 바이패스형 그릴(12)과, 개구면에서 균일한 배기력을 형성시키기 위해 상기 흄후드 내부에 설치되어 슬롯형태로 내부 유해물질을 배기시키는 배플(14)과, 상기 배플에서 유도된 유해물질을 외부로 배기시키는 배기 덕트(13)의 구성을 동일하므로, 종래의 실험실 흄후드(10)와의 차이점을 중심으로 도 4 및 도 5a 내지 도 5c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In the fume hood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door 11 which can be opened and closed on the front surface, and the bypass-type grill 12 which is formed on the upper part of the door so that supplemental air can be introduced when all the doors are closed; A baffle 14 is installed inside the fume hood to form a uniform exhaust force at the opening surface and exhausts the harmful substances in the slot form, and an exhaust duct 13 exhausts the harmful substances induced in the baffle to the outside. Since the configuration of the same), with reference to Figures 4 and 5a to 5c with the focus on the difference from the conventional laboratory fume hood 10 as follows.

즉,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흄후드(100)는, 상기 도어의 상부에 형성되고, 배기 덕트(13)와 인접한 흄후드의 일측면이 아니라 도어와 인접한 타측면에 형성되어, 타측면의 내부 영역(이하, 도어 뒷편이라 한다)에 발생하는 와류를 와해시키고 해소하는 역할을 하는 재순환형 배기장치(110)를 구성한다. 상기 재순환형 배기장치(110)는 상기 도어의 상부면에 형성되는 그 단면이 직사각형 배기 챔버로서 그 내부에 크로스 플로우 임펠라(111)가 형성되어 도어 뒷편에 형성된 내부 공기를 도어면을 타고 상승하여 상기 직사각형 배기 챔버로 유도하고, 상기 배기 챔버로 유도된 내부 공기를 수평방향에서 배기 덕트(13) 방향쪽으로 밀어주어, 상기 배기덕트(13)를 통해 손쉽게 외부로 유출되게 한다. 이처럼, 도어 뒷편에 발생하는 와류가 상기 재순환형 배기장치(110)의 크로스 플로우 임펠라(111)를 통해 도어면을 따라 상승하고 이어 배기 덕트(13) 쪽으로 'ㄱ' 자 형태의 공기 유동 흐름을 가지게 되므로, 내부공기에 흄을 포함한 유해물질이 포함되어 와류에 의한 유해물질의 도어 밖 외부로 비산할 수 있는 문제를 원천 차단할 수 있게 한다.That is, the fume hood 100 according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on the upper side of the door and is formed on the other side adjacent to the door, not on one side of the fume hood adjacent to the exhaust duct 13, and the other side. And a recirculating exhaust device 110 which serves to break up and eliminate vortices occurring in the inner region (hereinafter referred to as the rear side of the door). The recirculating exhaust device 110 is a rectangular exhaust chamber whose cross section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door, and a cross flow impeller 111 is formed therein, so that the internal air formed at the rear of the door is lifted by the door surface. It guides to the rectangular exhaust chamber and pushes the internal air guided into the exhaust chamber toward the exhaust duct 13 in the horizontal direction so that it can be easily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exhaust duct 13. As such, the vortex generated at the rear of the door rises along the door surface through the cross flow impeller 111 of the recirculating exhaust device 110 and then has an 'a' shaped air flow flow toward the exhaust duct 13. Therefore, it is possible to block the problem that can be scattered to the outside of the door of the harmful substances by the vortex containing the harmful substances including the internal air fume.

또한, 와류 형성에 의한 외부 비산 가능성이 가장 큰 "도어 일부 개방상태"에서만 상기 재순환형 배기장치(11)를 가동시키는 제어부(미도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설정된 도어 개방 높이에 따라, 센서(120)가 도어의 개방 높이를 감지하는데, 이에 따라 5a의 "도어 최대 개방상태", 도 5b의 "도어 닫음 상태", 도 5c의 "도어 일부 개방 상태"로 설정할 수 있다.The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 control unit (not shown) for operating the recirculating exhaust device 11 only in a "door part open state" with the greatest possibility of external scattering due to vortex formation, and the control unit may be configured according to the set door opening height. The sensor 120 senses the opening height of the door, and thus may be set to the "door maximum opening state" of 5a, the "door closing state" of FIG. 5b, and the "door partial opening state" of FIG. 5c.

도 5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센서(120)는, 도어 이동선의 인접 바닥면에 형성되어 현재의 도어 개방 높이를 제어부로 전송하면, 제어부는 설정된 도어 개방 높이와 현재의 도어 개방 높이를 비교하여, 도어 최대 개방상태로 판단한다. 이때는, 제어부는 와류에 의한 영향이 적으므로 재순환 배기장치(110)를 오프시킨다. As shown in FIG. 5A, when the sensor 120 is formed on an adjacent bottom surface of the door moving line and transmits the current door opening height to the controller, the controller compares the set door opening height with the current door opening height, Judging by the maximum open state. At this time, since the control part is less affected by the vortex, the recirculation exhaust device 110 is turned off.

도 5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센서(120)가 현재의 도어 개방 높이를 제어부로 전송하면, 제어부는 설정된 도어 개방 높이와 현재의 도어 개방 높이를 비교하여, 도어 담힘 상태로 판단한다. 이때는, 제어부는 와류에 의한 영향이 적으므로 재순환 배기장치(110)를 오프시키고, 바이패스 그릴(12)을 통해 보충공기를 유입시키도록 제어한다.As shown in FIG. 5B, when the sensor 120 transmits the current door opening height to the controller, the controller compares the set door opening height with the current door opening height and determines that the door is in the closed state. At this time, the control unit is less influenced by the vortex, so the recirculation exhaust device 110 is turned off, and controls to introduce the supplemental air through the bypass grill (12).

도 5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센서(120)가 현재의 도어 개방 높이를 제어부로 전송하면, 제어부는 설정된 도어 개방 높이와 현재의 도어 개방 높이를 비교하여, 도어 일부개방 상태로 판단한다. 여기서, 도어 일부 개방 상태는 도어 최대 개방 상태, 도어 담힘 상태의 3가지 형태 중의 하나로 간편하게 설정할 수 있다. 가령, 제어부는 설정 도어 개방 높이를 최대 도어 개방 높이와 동일하게 설정하여, 최대 도어 개방 높이와 일치하면 "도어 최대 개방상태"로 판단하고, 높이가 측정되지 않으면 "도어 담힘 상태"로 판단하고, 기타 나머지는 "도어 일부 개방상태"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는 "도어 일부 개방상태"로 판단하면, 와류에 의한 영향이 크므로 와류 해소를 위해 재순환 배기장치(110)를 가동시킨다.As shown in FIG. 5C, when the sensor 120 transmits the current door opening height to the controller, the controller compares the set door opening height with the current door opening height and determines that the door is partially open. Here, the partial opening state of the door can be easily set to one of three types, namely, the maximum opening state of the door and the closed state of the door. For example, the control unit sets the set door opening height equal to the maximum door opening height, and if it matches the maximum door opening height is determined as "door maximum opening state", if the height is not measured, it is determined as "door containing state", The rest can be judged as "door open part". In addition, when the controller determines that the door is partially open, the influence of the vortex is large, and thus, the recirculation exhaust device 110 is operated to solve the vortex.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흄후드(100)에서 유해물질(흄)의 이동경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7a 및 도 7b는 각각 종래의 실험실 흄후드와 본 발명의 실험실 흄후드의 도어 일부 개방 조건에서 유해물질의 이동경과를 비교하여 나타낸 도면이다.6 is a view showing the movement path of the harmful substance (fume) in the fume hood 100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s 7a and 7b is a conventional laboratory fume hood and the laboratory fume hood of the present invention, respectively The drawing shows a comparison of the movement of harmful substances in the partly open condition of the door.

도 6 및 도 7b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흄후드에서 흄을 포함한 오염물질의 흡인 및 포집 과정을 살펴보면, 함진 공기가 재순환 배기장치(110)에 의해 후드 뒷편 상부로 자연스럽게 유도되게 하고, 상승된 함진 공기가 후드 뒷편 상부 근처의 배기덕트를 통해 자연스럽게 배출될 수 있게 한다. 반면에 기존의 흄후드(10)에서는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와류구간을 형성하게 된다.6 and 7B, when looking at the process of suction and collection of contaminants including fume in the fume ho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impregnated air is naturally induced to the upper part of the rear of the hood by the recirculation exhaust device 110 and is raised. This allows the impregnated air to be naturally discharged through the exhaust duct near the top of the rear of the hood. On the other hand, in the conventional fume hood 10, as shown in Figure 7a, it forms a vortex section.

또한, 재순환 배기장치(110)는 함진 공기를 배기덕트 근처의 후드 뒷편 상부로 유도하여 배기덕트를 통해 외부 유출을 유도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처럼 함진 공기가 후드 뒷편 상부로 유도되므로, 도 7a의 기존의 실험실 흄후드에서 발생하는 와류구간을 해소시킬 수 있고, 재순환 공기량이 흄후드 배기량 Q의 1/2 수준으로 형성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recirculation exhaust device 110 guides the impregnated air to the upper portion of the rear of the hood near the exhaust duct to induce an external outflow through the exhaust duct. Since the impregnated air is l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rear of the hood, the vortex section generated in the existing laboratory fume hood of FIG. 7A can be eliminated, and the amount of recycled air can be formed at 1/2 level of the fume hood displacement Q.

도 8a 및 도 8b는 각각 종래의 실험실 흄후드(10)와 본 발명의 실험실 흄후드(100)의 도어 일부 개방 조건에서 전산유동해석 결과를 비교하여 나타낸 도면이다.8A and 8B are diagrams showing the results of the computational fluid analysis in the opening part of the door of the laboratory fume hood 10 and the laboratory fume hood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respectively.

도 8a를 참조하면, 기존 흄후드에서는 도어 뒷편으로 와류가 형성되고, 와류 구간에서의 재순환 흐름 때문에 체류시간이 크게 증가함을 알 수 있다. 반면에, 도 8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흄후드에서는 에어커튼의 급기류에 의해 아류가 후드 뒷편 상부로 이동하고, 에어커튼 급기류에 의해 유해물질의 순간적인 확산 및 폭로가 차단 가능할 것을 예상된다.Referring to FIG. 8A, it can be seen that in the existing fume hood, a vortex is formed behind the door, and the residence time is greatly increased due to the recirculation flow in the vortex section. On the other hand, referring to Figure 8b, in the fume hood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expected that the sub-stream moves to the upper back of the hood by the air curtain air supply, the instantaneous diffusion and exposure of harmful substances by the air curtain air supply can be blocked. do.

도 9a 및 도 9b는 각각 종래의 실험실 흄후드와 본 발명의 실험실 흄후드의 유해물질의 확산과 차단을 비교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후드에서는 실험실에서 작업 후 작업자가 손을 빼는 과정에서 작업자의 손과 함께 와류 구간에 갇혀 있던 유해물질이 순간적으로 확산되고 외부로 유출가능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반면에,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후드는 유해물질이 순간적으로 확산되더라도 흄후드 내부의 재순환형 배기 장치를 통해 도어 뒷편에 발생하는 와류를 깨뜨려 해소시키므로 외부로 확산되는 것을 차단함을 알 수 있다.
9A and 9B are diagrams showing the diffusion and blocking of harmful substances in the laboratory fume hood and the laboratory fume hood of the present invention, respectively. As shown in Figure 9a, it can be seen that in the conventional hood, the hazardous substances trapped in the vortex section together with the worker's hand can be instantaneously diffused and leaked to the outside in the process of removing the worker's hand after the work in the laboratory. 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ure 9b, the hood of the present invention, even if the harmful substances are instantaneously diffused by breaking the vortex generated at the back of the door through the recirculating exhaust device inside the fume hood to block the spread to the outside It can be seen.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실험실 흄후드에서는 재순환 배기장치를 통해 기존 흄후드에서 발생하는 와류를 해소하여 외부 확산을 차단할 수 있고, 와류 형성에 의한 외부 비산 가능성이 가장 큰 "도어 일부 개방상태"에서만 재순환 배기장치가 가동되도록 하여 사용자 편의 및 실험심 작업자의 작업환경을 개선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in the laboratory fume ho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rough the recirculation exhaust device, vortices generated in the existing fume hood can be eliminated to prevent external diffusion, and the most likely to be outside scattered by vortex formation.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user's convenience and the working environment of the experimenter by operating the recirculation exhaust system only in the "state".

이상에서와 같이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 실시 예가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 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As described above, the optimum embodiment has been disclosed in the drawings and the specification. Although specific terms have been used herein, they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and are not used to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fined in the meaning or claims. Therefore,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understan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other embodiments are possible from this. Therefore, the true technical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fined by the technical spirit of the appended claims.

10, 100: 실험실 흄후드
11: 수직 개방형 도어
12: 바이패스 형 그릴
13: 배기 덕트
14: 배플
110: 재순환형 배기장치
120: 센서부
10, 100: laboratory fume hood
11: vertically open door
12: bypass type grill
13: exhaust duct
14: baffle
110: recirculating exhaust system
120: sensor

Claims (6)

실험실 흄후드에 있어서,
전면에 개폐가 가능한 도어; 현재 도어 개방 높이를 감지하는 센서; 상기 도어를 모두 닫았을 때 보충공기가 유입될 수 있게 상기 도어 상부에 형성되는 바이패스형 그릴; 상기 흄후드 내부에 상기 도어의 후면을 따라 상기 배기 덕트 쪽으로 진행할수록 너비가 커지는 역'ㄱ' 자 형태로 설치되어, 내부 유해물질을 배기시키는 배플; 상기 배플에서 유도된 내부 유해물질을 외부로 배기시키는 배기 덕트; 상기 도어의 상부면에 형성되는 그 단면이 직사각형으로, 그 내부에 크로스 플로우 임펠라를 형성하여, 상기 크로스 플로우 임펠라를 통해 상기 도어 뒷편에 형성된 내부 공기를 도어면을 따라 상승하게 하고 이어서 상승된 내부 공기를 수평방향으로 상기 배기 덕트 쪽으로 밀어주어, 'ㄱ' 자 형태의 공기 유동 흐름을 가지게 하는 재순환형 배기장치; 및
상기 센서를 통해 감지된 현재 도어 개방 높이와 최대 도어 개방 높이와 비교하여, 상기 최대 도어 개방 높이와 일치하면 "도어 최대 개방 상태"로 판단하고, 상기 현재 도어 개방 높이가 측정되지 않으면 "도어 담힘 상태"로 판단하고, 그 외는 "도어 일부 개방 상태"로 판단하여, 상기 "도어 최대 개방상태"와 상기 "도어 담힘 상태"로 판단시에는 상기 재순환형 배기장치를 오프시키고, 상기 "도어 일부 개방상태"로 판단시에는 상기 재순환형 배기장치를 가동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험실 흄후드.
In laboratory fume hoods,
A door that can be opened and closed on the front; A sensor for detecting a current door opening height; A bypass grill formed on the door to allow supplemental air to flow when all the doors are closed; A baffle installed inside the fume hood in an inverted 'A' shape, the width of which is increased toward the exhaust duct along the rear surface of the door to exhaust internal harmful substances; An exhaust duct for exhausting internal harmful substances induced in the baffle to the outside; The cross section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door is rectangular, and cross flow impellers are formed therein, so that the internal air formed at the rear of the door through the cross flow impellers rises along the door surface and then the elevated internal air is raised. A recirculating exhaust device for pushing the gas toward the exhaust duct in a horizontal direction to have an 'a' shaped air flow; And
Compared with the current door opening height and the maximum door opening height detected by the sensor, it is determined as the "door maximum opening state" if it matches the maximum door opening height, and "door containing state" if the current door opening height is not measured. &Quot; otherwise, the door is partially open, " and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 door maximum open state " and the " door loaded state " When determined as "laboratory fume hood,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control unit for operating the recirculating exhaust devic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는 상기 도어의 이동선의 인접 바닥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험실 흄후드.
The method of claim 1,
The sensor fume hood,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on the adjacent bottom surface of the moving line of the doo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가 상기 "도어 담힘 상태"로 판단할 경우에는, 상기 바이패스형 그릴을 통해 보충공기를 유입시키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험실 흄후드.
The method of claim 1,
When the control unit determines that the "door containing state", the laboratory fume hood, characterized in that for controlling to introduce the supplementary air through the bypass-type grill.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140195917A 2014-12-31 2014-12-31 fume Hood for a laboratory KR10200789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95917A KR102007899B1 (en) 2014-12-31 2014-12-31 fume Hood for a laborator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95917A KR102007899B1 (en) 2014-12-31 2014-12-31 fume Hood for a laboratory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09196A Division KR20170012517A (en) 2017-01-19 2017-01-19 fume Hood for a laboratory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83611A KR20160083611A (en) 2016-07-12
KR102007899B1 true KR102007899B1 (en) 2019-08-07

Family

ID=565051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95917A KR102007899B1 (en) 2014-12-31 2014-12-31 fume Hood for a laboratory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07899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014860B (en) * 2018-01-23 2020-04-14 河南应用技术职业学院 Inorganic chemistry experiment operation panel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318509A1 (en) * 2006-12-21 2008-12-25 Thermo Electron Led Gmbh Safety workbench and method for the calibration thereof
KR101347217B1 (en) * 2013-05-21 2014-01-03 (주)유나 Fume hood
KR101356020B1 (en) 2013-05-21 2014-01-28 (주)유나 Fume hood
KR101451382B1 (en) * 2012-08-17 2014-10-21 주식회사 제이오텍 Chamber type working table having smart door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5549Y1 (en) 2001-11-29 2002-02-21 포항종합제철 주식회사 Guided Canopy Hood
KR100623497B1 (en) 2005-03-17 2006-09-14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Ventilation system with sliding doors and induced air flow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318509A1 (en) * 2006-12-21 2008-12-25 Thermo Electron Led Gmbh Safety workbench and method for the calibration thereof
KR101451382B1 (en) * 2012-08-17 2014-10-21 주식회사 제이오텍 Chamber type working table having smart door
KR101347217B1 (en) * 2013-05-21 2014-01-03 (주)유나 Fume hood
KR101356020B1 (en) 2013-05-21 2014-01-28 (주)유나 Fume ho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83611A (en) 2016-07-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03842B2 (en) Air curtain-assisted exhaust method and device thereof
CN107923631B (en) Combined device with cooking area and fume extractor
KR101306756B1 (en) Range hood capable of resisting draft
JP5873413B2 (en) Safety cabinet
CA2757939C (en) Laboratory fume cupboard
KR20170012517A (en) fume Hood for a laboratory
TW201600172A (en) Intelligent air curtain fume hood
US10507500B1 (en) Biosafety cabinet with versatile exhaust system
CN102728592B (en) Exhaust device with deflection plate
KR101347217B1 (en) Fume hood
US20120322353A1 (en) Fume hood
KR101043781B1 (en) Experiment table assembly
KR101574780B1 (en) Ventilation apparatus for road tunnel
US6350194B1 (en) Fume hood with airflow control system
KR102007899B1 (en) fume Hood for a laboratory
US20120276830A1 (en) Exhaust device having deflection plates
KR101889003B1 (en) Control system for face velocity of fume hood
KR100947478B1 (en) Structure for bringing exterior air of fume hood
US20120052783A1 (en) Reduced-emission fume hood
KR100866829B1 (en) An auto filtering device for clean room
US7247087B1 (en) Fume hood with air directing member
CN107335672A (en) The laboratory hood with Venturi effect getter device for the control of anti-turbulent air flow
CA2966270C (en) Fume hood with horizontally moveable panels
CN213348918U (en) Biological safety cabinet with detectable front window airflow device
JP5362783B2 (en) Exhaust device having deflection plat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7101000300;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70119

Effective date: 20190412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