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11741A - 격리도가 개선된 mimo 안테나 및 초크부재 - Google Patents

격리도가 개선된 mimo 안테나 및 초크부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11741A
KR20170011741A KR1020150104915A KR20150104915A KR20170011741A KR 20170011741 A KR20170011741 A KR 20170011741A KR 1020150104915 A KR1020150104915 A KR 1020150104915A KR 20150104915 A KR20150104915 A KR 20150104915A KR 20170011741 A KR20170011741 A KR 201700117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oke
wall
support
choke member
reflection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049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정근
이용희
이주형
배진우
김희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이티앤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이티앤에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이티앤에스
Priority to KR10201501049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11741A/ko
Publication of KR201700117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1174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52Means for reducing coupling between antennas; Means for reducing coupling between an antenna and another structure
    • H01Q1/521Means for reducing coupling between antennas; Means for reducing coupling between an antenna and another structure reducing the coupling between adjacent antenna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36Structural form of radiating elements, e.g. cone, spiral, umbrella; Particular materials used therewith
    • H01Q1/38Structural form of radiating elements, e.g. cone, spiral, umbrella; Particular materials used therewith formed by a conductive layer on an insulating suppor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5/00Devices for reflection, refraction, diffraction or polarisation of waves radiated from an antenna, e.g. quasi-optical devices
    • H01Q15/14Reflecting surfaces; Equivalent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21/00Antenna arrays or systems
    • H01Q21/28Combinations of substantially independent non-interacting antenna units or system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9/00Electrically-short antennas having dimensions not more than twice the operating wavelength and consisting of conductive active radiating elements
    • H01Q9/04Resonant antennas
    • H01Q9/30Resonant antennas with feed to end of elongated active element, e.g. unipole
    • H01Q9/42Resonant antennas with feed to end of elongated active element, e.g. unipole with folded element, the folded parts being spaced apart a small fraction of the operating wavelength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Aerials With Secondary Devices (AREA)

Abstract

격리도가 개선된 MIMO 안테나 및 초크부재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른 MIMO 안테나는 전도성 재질로 제작된 반사판; 반사판의 일면에서 제1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복수의 종벽; 반사판의 일면에서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횡벽; 종벽과 횡벽이 교차하는 위치에서 종벽에 형성된 복사소자; 및 복수의 복사소자 중 인접한 두 개의 복사소자 사이에서 횡벽의 특정 위치에 배치되는 초크부재를 포함하되, 초크부재는 횡벽 위를 지나며 그 일부가 횡벽 양측에 위치하는 지지대와 지지대로부터 연장되며 제2 방향과 교차하는 평면에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날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간단한 구조를 이용하여 복사소자 간의 격리도를 높은 수준으로 유지할 수 있는 MIMO 안테나 및 초크부재가 제공된다.

Description

격리도가 개선된 MIMO 안테나 및 초크부재{MULTIPLE-INPUT MULTIPLE-OUTPUT ANTENNA HAVING IMPROVED ISOLATION AND CHOKE MEMBER USED THEREIN}
본 발명은 안테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다수의 복사소자를 포함하는 다중입출력(MIMO; Multiple-Input Multiple-Output) 안테나에 있어서 복사소자 사이의 격리도가 개선된 MIMO 안테나 및 여기에 적용가능한 초크부재에 관한 것이다.
안테나는 소정의 방사 패턴에 따라 자유공간상으로 전자기파를 송신하거나 자유공간으로부터 도달하는 전자기파를 수신하는 장치이다. 이동통신 시스템의 진화와 함께 두 개 또는 그 이상의 복사소자를 이용하여 전송 속도를 향상시키는 MIMO(다중입출력) 안테나 시스템이 사용되고 있다.
MIMO 안테나 시스템에서는 복수의 복사소자가 각각 독립적으로 운용되기 때문에 두 복사소자 사이의 격리도 특성이 매우 중요한 요소 중 하나이다. 이러한 구조를 가진 배열안테나의 경우 복사소자간의 격리도가 좋지 않으면 오히려 MIMO 안테나 시스템의 효율이 나빠질 가능성이 높다. 따라서, MIMO 안테나 시스템의 효율을 높은 수준으로 유지하기 위해 복사소자의 격리도를 개선한 MIMO 안테나에 대한 요구가 있다.
본 발명의 일측면은 간단한 구조를 이용하여 복사소자 간의 격리도를 높은 수준으로 유지할 수 있는 MIMO 안테나 및 초크부재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전도성 재질로 제작된 반사판; 반사판의 일면에서 제1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복수의 종벽; 반사판의 일면에서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횡벽; 종벽과 횡벽이 교차하는 위치에서 종벽에 형성된 복사소자; 및 복수의 복사소자 중 인접한 두 개의 복사소자 사이에서 횡벽의 특정 위치에 배치되는 초크부재를 포함하되, 초크부재는 횡벽 위를 지나며 그 일부가 횡벽 양측에 위치하는 지지대와 지지대로부터 연장되며 제2 방향과 교차하는 평면에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날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MIMO 안테나가 제공된다.
초크부재의 지지대는 횡벽의 상면의 높이 이상의 높이에서 절곡되어 절곡부의 양측이 상기 횡벽 양측에 위치할 수 있다. 초크부재의 지지대는 90도의 각도로 절곡된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절곡된 두 부분이 각각 45도의 각도로 반사판과 만날 수 있다. 초크부재의 날개는 반사판에 대하여 45도의 각도로 지지대로부터 연장될 수 있다.
복사소자는 종벽의 일면에 형성된 제1 방사부 및 종벽의 타면에 형성된 제2 방사부를 포함할 수 있다.
반사판에는 슬릿이 형성될 수 있고, 종벽 및 횡벽 중 적어도 하나는 일부가 슬릿을 통과하여 반사판에 결합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는, 반사판에 형성된 슬릿이 "+"자 형상으로 형성되고, 종벽 및 횡벽은 서로 교차하는 지점에서 일부가 슬릿을 통과하여 반사판에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MIMO 안테나는 복수의 횡벽을 포함하고 복수의 초크부재를 포함할 수도 있는데, 이 경우 복수의 횡벽 중 인접한 두 개의 횡벽 각각에 배치되는 초크부재는 각 초크부재마다 날개가 위치하는 평면이 서로 다르도록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인접한 두 개의 횡벽 각각에 배치되는 초크부재 중 어느 하나의 초크부재의 날개로부터 다른 하나의 초크부재의 날개까지의 제2 방향을 따른 거리가 지지대의 폭보다 작도록 구성될 수 있다.
초크부재는 지지대로부터 반사판에 평행하게 연장되는 플랜지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측면에 따르면, MIMO 안테나에서 복사소자 간의 격리도를 증가시키기 위한 초크부재로서, 90도의 각도로 절곡된 형상을 가진 지지대 및 장착되는 표면에 대하여 45도의 각도로 지지대로부터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날개를 포함하는 초크부재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간단한 구조를 이용하여 복사소자 간의 격리도를 높은 수준으로 유지할 수 있는 MIMO 안테나 및 초크부재가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MIMO 안테나의 복사소자를 개념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MIMO 안테나를 개념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MIMO 안테나를 개념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초크부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초크부재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6,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MIMO 안테나로서, 복수의 초크부재가 배치되는 경우를 개념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자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본 명세서에서는 횡벽(橫壁), 종벽(縱壁) 등의 용어가 또한 사용되지만, 이 역시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되는 것이다. 횡벽 및 종벽이 반드시 직교하도록 배치될 필요는 없으며, 보는 관점에 따라 횡벽과 종벽의 방향이 달라질 수도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MIMO 안테나의 복사소자를 개념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본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들에서는 이해의 편의를 위해 종벽(130) 및 복사소자(300)가 투명하게 표현되었으나 실제 응용에서는 불투명한 재료들이 사용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MIMO 안테나는 기본적으로 반사판(110) 상에 형성된 복사소자(30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반사판(110) 상에 종벽(130)을 세울 수 있고, 종벽(130)에 복사소자(300)를 구현할 수 있다.
반사판(110)은 전도성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반사판(110)에는 하나 이상의 슬릿(111)이 형성될 수 있으며, 종벽(130) 및 횡벽(140) 중 적어도 하나는 그 일부가 슬릿(111)을 통해 삽입됨으로써 반사판(110)에 결합될 수 있다. 도 1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벽(130)과 횡벽(140)이 교차하는 지점에서 종벽(130)과 횡벽(140) 모두 일부분이 삽입될 수 있도록 슬릿(111)이 "+"자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반사판(110)에는 복수의 종벽(130)이 형성될 수 있다. 종벽(130)은 유전체 재질로 제작될 수 있으며, 반사판(110)에 결합될 수 있다. 종벽(130)을 반사판(110)에 결합하는 데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반사판(110)에 슬릿(111)을 형성하는 것 외에도 다양한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반사판(110)에는 또한 하나 이상의 횡벽(140)이 형성될 수 있다. 종벽(130)이 반사판(110)에서 제1 방향을 따라 연장된다고 할 때, 횡벽(140)은 반사판(110) 상에서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벽(130)과 횡벽(140)이 교차할 수 있도록 종벽(130)과 횡벽(140) 중 하나 이상에는 슬롯(131)이 형성될 수 있다. 종벽(130)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횡벽(140)을 반사판(110)에 결합하는 데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반사판(110)에 슬릿(111)을 형성하는 것 외에도 다양한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복사소자(300)는 종벽(130)과 횡벽(140)이 교차하는 부분에서 종벽(130)에 형성될 수 있다. 복사소자(300)는 예를 들어 제1 방사부(310)와 제2 방사부(320)를 포함하는 다이폴 안테나의 형태로 구성될 수 있는데, 제1 방사부(310)는 종벽(130)의 일면에 형성되고 제2 방사부(320)는 종벽(130)의 타면에 형성되어 제1 방사부(310)와 제2 방사부(320)가 종벽(130)의 서로 반대편에 형성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MIMO 안테나를 개념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MIMO 안테나를 개념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초크부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초크부재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MIMO 안테나는 인접한 두 개의 복사소자(300) 사이에 배치되는 초크부재(400)를 포함할 수 있다. 다수의 복사소자(300)가 이용되는 안테나에서 초크부재(400)는 인접한 복사소자(300) 사이에 배치되어 어느 한 복사소자(300)와 관련된 신호가 인접해 있는 다른 복사소자(300)에 간섭을 일으키는 것을 방지한다. 달리 표현하자면, 초크부재(400)는 인접한 복사소자(300) 간의 격리도를 증가시킨다. 전파를 차단하기 위해 초크부재(400)는 전도성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하나의 횡벽(140)이 세 개 또는 그 이상의 종벽(130)과 교차할 수 있으며, 각 교차 지점 마다 복사소자(300)가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나의 횡벽(140)에 셋 이상의 복사소자(300)가 형성된 경우, 복사소자(300)의 수보다 하나 적은 수의 초크부재(400)가 인접한 복사소자(300)들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제1 방사부(310)와 제2 방사부(320)를 포함하는 복사소자(300)는 반사판(110) 상에 구축된 종벽(130)에 형성될 수 있다. 제1 방사부(310)는 다이폴 (+)극에 해당할 수 있으며 급전라인(530)을 통해 신호를 공급받을 수 있다. 급전라인(530)은 도 3에서와 같이 동축케이블에 연결되는 커넥터(500)의 내심에 연결될 수 있다. 제2 방사부(320)는 다이폴 (-)극에 해당할 수 있으며 커넥터(500)의 외심 또는 반사판(110) 등 접지 전위를 가진 구성요소에 연결될 수 있다. 제2의 반사판(120)이 구비되는 경우 커넥터(500)를 제2의 반사판(120)에 결합하여 고정시킬 수 있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초크부재(400)는 기본적으로 지지대(450), 플랜지(410) 및 날개(430)를 포함할 수 있다.
초크부재(400)의 본체 부분으로 볼 수 있는 지지대(450)는 하나의 횡벽(140) 위를 지나며 일부가 횡벽(140) 양측에 위치하는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초크부재(400)의 지지대(450)가 횡벽(140)의 상면에서 절곡되고 절곡된 부분의 양측이 횡벽(140) 양측에 위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는 초크부재(400)가 횡벽(140)에 의해 지지되고 횡벽(140) 또한 초크부재(400)에 의해 고정되는 구조를 가능하게 한다. 초크부재(400)가 횡벽(140)에 접촉하는 경우 횡벽(140)은 유전체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물론, 지지대(450)의 절곡된 부분이 반드시 횡벽(140)에 접촉해야 하는 것은 아니며, 지지대(450)가 횡벽(140)보다 높은 위치에서 절곡되어 횡벽(140)과 접촉하지 않는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지지대(450)의 양단에는 플랜지(410)가 형성될 수 있다. 플랜지(410)는 반사판(110)에 평행하게 구성되어 반사판(110)에 대한 초크부재(400)의 결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플랜지(410) 및 반사판(110)에 체결홀(114)을 천공하고 볼트 등의 체결수단(405)을 이용하여 초크부재(400)를 반사판(110)에 결합시킬 수 있다. 물론, 별도의 체결수단(405)을 이용하는 방법 외에도 용접 등을 포함한 다양한 방법을 이용하여 초크부재(400)를 결합시킬 수도 있다.
지지대(450)의 일측에는 또한 하나 이상의 날개(430)가 형성될 수 있다. 날개(430)는 횡벽(140)이 연장되는 제2 방향과 교차하는 평면 상에 위치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를 포함하여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서는 날개(430)가 위치하는 평면이 제2 방향과 직교하도록 할 수 있다. 날개(430)는 인접한 복사소자(300) 간의 격리도를 증가시키는 역할을 한다.
앞서 설명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와 같이 복사소자(300)가 제1 방사부(310)와 제2 방사부(320)를 포함하는 경우, 초크부재(400)가 도 4 및 도 5에서와 같이 두 개의 날개(431, 432)를 포함하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도 3을 다시 참조하면, 제1 방사부(310)로부터 방사되는 전파는 초크부재(300)의 제1 날개(431)에 의해 반사 및 산란되고, 제2 방사부(320)로부터 방사되는 전파는 초크부재(300)의 제2 날개(432)에 의해 반사 및 산란될 수 있다. 이에 더해, 지지대(450) 역시 인접한 복사소자(300)에서 방사되는 전파를 전체적으로 굴절 및 산란시킬 수 있다.
이러한 일련의 반사, 산란 및 굴절로 인해, 하나의 종벽(130)에 형성된 복사소자(300)로부터 방사되는 전파는 인접한 종벽(130)에 형성된 다른 복사소자(300)에서 수신되지 못하고 공간상으로 방사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인접한 복사소자(300)끼리 전파의 간섭이 배제되므로 두 복사소자(300) 간의 격리도 특성이 향상될 수 있는 것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초크부재(400)에서 지지대(450)는 90도 각도로 절곡되어 반사판(110)에 대하여 45도의 각도를 이룰 수 있다. 각 날개(431, 432)는 지지대(450)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지지대(450)와는 반대 방향으로 반사판(110)에 대하여 45도의 각도를 이룰 수 있다. 이러한 구조는 초크부재(400)를 안정적인 배치로 견고하게 고정시킬 뿐만 아니라 날개(431, 432)가 효과적으로 전파를 차단하는 위치에 놓이게 할 수 있다. 초크부재(400)가 견고하게 고정되면 초크부재(400)에 의해 지지되는 횡벽(140) 및 횡벽(140)과 교차하는 종벽(130)을 포함하여 MIMO 안테나의 다른 구성요소들을 안정적으로 고정시키는 효과에 일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MIMO 안테나는 복수 개의 횡벽(140) 및 복수 개의 초크부재(400)를 포함할 수도 있다. 도 6, 도 7 및 도 8은 복수의 초크부재를 포함하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MIMO 안테나를 개념적으로 나타낸다. 도 6 내지 도 8에는 이해의 편의를 위해 몇몇의 초크부재(400)가 생략되어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MIMO 안테나가 복수 개의 횡벽(140)을 포함하여 두 개 이상의 행(row)에 복사소자(300)를 포함하는 경우, 복수의 횡벽(140) 각각에 하나 이상의 초크부재(400)가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복수의 횡벽(140)이 포함된 경우, 인접한 횡벽(140)에 인접하게 배치된 초크부재(400)들은 도 6에서와 같이 날개(430)가 서로 다른 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도 6에는 두 개의 인접한 횡벽(140a, 140b) 각각에 두 개의 초크부재(400a, 400b)가 배치되어 있다. 여기서, 하나의 초크부재(400a)에서는 날개(430a)가 일측을 향하도록 초크부재(400a)가 배향된 반면, 인접한 다른 하나의 초크부재(400b)에서는 날개(430b)가 타측을 향하도록 초크부재(400b)가 배향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은 인접한 초크부재(400a, 400b)에서 날개(430a, 430b)가 서로 다른 평면 상에 위치하도록 하는 것이다. 초크부재(400a, 400b)의 날개(430a, 430b)는 복사소자(300)의 전파를 반사 및 산란시켜 다른 복사소자(300)에 간섭으로 작용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지만, 모든 인접한 초크부재(400a, 400b)의 날개(430a, 430b)들이 동일한 평면 상에 있으면 전파를 온전히 산란시키기 어려울 수 있다.
도 7 및 도 8에서와 같이, 다수의 횡벽(140) 및 초크부재(400)가 사용되는 경우, 각 초크부재(400)는 향하는 방향이 서로 엇갈리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초크부재(400a, 400c)가 횡벽(140a, 140c) 상에서의 위치가 유사하고 초크부재(400b, 400d)가 횡벽(140b, 140d) 상에서의 위치가 유사하더라도 인접한 횡벽(140) 상의 초크부재(400)는 날개가 동일한 평면 상에 위치하지 않게 된다.
다만, 도 8에서와 같이 인접한 두 개의 횡벽(140) 각각에 배치되는 초크부재(400) 중 어느 하나의 초크부재의 날개로부터 다른 하나의 초크부재의 날개까지의 제2 방향을 따른 거리(d)(예를 들어 횡벽(140)의 방향인 제2 방향으로 초크부재(400a)와 초크부재(400b)의 날개 사이의 거리)는 초크부재(400)의 지지대(450)의 폭(w)보다 작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인접한 초크부재(400)끼리는 날개(430)가 동일한 평면 상에 위치하지 않는 것이 유리할 수 있으나, 상기 제2 방향을 기준으로 볼 때 날개(430) 사이의 거리가 과도하게 큰 것보다는 비교적 가까이 위치하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이는 인접한 초크부재(400)들이 연계하여 전파 차단을 위한 장벽을 만들도록 하기 위함이다.
인접한 초크부재(400)의 날개(430) 사이의 거리(d)가 지지대(450)의 폭(w)보다 작으면 각 날개(430)의 반사 및 산란 작용과 각 지지대(450)의 굴절 및 산란 작용이 연계하여 보다 효과적으로 복사소자(300) 간의 간섭을 방지할 수 있어, 결과적으로 격리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인접한 초크부재(400)들이 향하는 방향이 교호하도록 배치하되 날개(430) 사이의 거리(d)가 지지대(450)의 폭(w)보다 작도록 초크부재(400)들을 배치하기 위해서는, 반사판(110)에 초크부재(400)의 체결을 위한 체결홀(114)들이 제1 방향을 따라 일렬로 배치되는 대신 인접한 횡벽(140)마다 다른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물론, 제조 공정의 편의를 위해 체결홀(114)들이 제1 방향을 따라 일렬로 배치되어 초크부재(400)들이(정확히는 초크부재(400)들의 지지대(450)들이) 일렬로 배치되는 경우도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전술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단순한 구조를 이용하여 복사소자 간의 격리도를 높은 수준으로 유지할 수 있다. 간단한 구조의 초크부재를 복사소자 사이에 배치함으로써 해당 복사소자 사이의 간섭을 방지하므로 MIMO 안테나의 전체적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초크부재들은 용이하게 제조될 수 있으며, 횡벽 상에 지지됨에 따라 장기간 사용되어도 정위치에 정렬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10: 반사판 111: 슬릿
130: 종벽 131: 슬롯
140: 횡벽 300: 복사소자
310: 제1 방사부 320: 제2 방사부
400: 초크부재 410: 플랜지
430: 날개 450: 지지대
500: 커넥터 530: 급전라인

Claims (11)

  1. 전도성 재질로 제작된 반사판;
    상기 반사판의 일면에서 제1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복수의 종벽;
    상기 반사판의 일면에서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횡벽;
    상기 종벽과 상기 횡벽이 교차하는 위치에서 상기 종벽에 형성된 복사소자; 및
    상기 복사소자 중 인접한 두 개의 복사소자 사이에서 상기 횡벽의 특정 위치에 배치되는 초크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초크부재는,
    상기 횡벽 위를 지나며 그 일부가 상기 횡벽 양측에 위치하는 지지대; 및
    상기 지지대로부터 연장되며 상기 제2 방향과 교차하는 평면에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날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MIMO 안테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는 상기 횡벽의 상면의 높이 이상의 높이에서 절곡되어 절곡부의 양측이 상기 횡벽 양측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MIMO 안테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는 90도의 각도로 절곡된 형상을 가져 절곡된 두 부분이 각각 45도의 각도로 상기 반사판과 만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MIMO 안테나.
  4. 제 1 항 또는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날개는 상기 반사판에 대하여 45도의 각도로 상기 지지대로부터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MIMO 안테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사소자는 상기 종벽의 일면에 형성된 제1 방사부 및 상기 종벽의 타면에 형성된 제2 방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MIMO 안테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판에는 슬릿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종벽 및 상기 횡벽 중 적어도 하나는 일부가 상기 슬릿을 통과하여 상기 반사판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MIMO 안테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판에는 "+"자 형상의 슬릿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종벽 및 상기 횡벽은 서로 교차하는 지점에서 일부가 상기 슬릿을 통과하여 상기 반사판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MIMO 안테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MIMO 안테나는 상기 횡벽을 복수 개 포함하고, 상기 초크부재를 복수 개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횡벽 중 인접한 두 개의 횡벽 각각에 배치되는 상기 초크부재는 상기 날개가 위치하는 평면이 상이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MIMO 안테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인접한 두 개의 횡벽 각각에 배치되는 초크부재 중 어느 하나의 초크부재의 날개로부터 다른 하나의 초크부재의 날개까지의 제2 방향을 따른 거리는 상기 지지대의 폭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MIMO 안테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초크부재는 상기 지지대로부터 상기 반사판에 평행하게 연장되는 플랜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MIMO 안테나.
  11. MIMO 안테나에서 복사소자 간의 격리도를 증가시키기 위한 초크부재로서,
    90도의 각도로 절곡된 형상을 가진 지지대; 및
    장착되는 표면에 대하여 45도의 각도로 상기 지지대로부터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날개를 포함하는 초크부재.
KR1020150104915A 2015-07-24 2015-07-24 격리도가 개선된 mimo 안테나 및 초크부재 KR2017001174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4915A KR20170011741A (ko) 2015-07-24 2015-07-24 격리도가 개선된 mimo 안테나 및 초크부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4915A KR20170011741A (ko) 2015-07-24 2015-07-24 격리도가 개선된 mimo 안테나 및 초크부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11741A true KR20170011741A (ko) 2017-02-02

Family

ID=581517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04915A KR20170011741A (ko) 2015-07-24 2015-07-24 격리도가 개선된 mimo 안테나 및 초크부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11741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51091A1 (en) * 2018-09-04 2020-03-12 Laird Technologies, Inc. Low profile, low passive intermodulation (pim), wideband, and/or 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 (mimo) antenna systems
CN113097712A (zh) * 2021-04-12 2021-07-09 电子科技大学 一种宽角扫描电偶极子相控阵天线单元及相控阵天线
CN117559135A (zh) * 2024-01-11 2024-02-13 福州福大信捷天线技术有限公司 一种北斗高精度抗干扰阵列天线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51091A1 (en) * 2018-09-04 2020-03-12 Laird Technologies, Inc. Low profile, low passive intermodulation (pim), wideband, and/or 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 (mimo) antenna systems
CN113097712A (zh) * 2021-04-12 2021-07-09 电子科技大学 一种宽角扫描电偶极子相控阵天线单元及相控阵天线
CN117559135A (zh) * 2024-01-11 2024-02-13 福州福大信捷天线技术有限公司 一种北斗高精度抗干扰阵列天线
CN117559135B (zh) * 2024-01-11 2024-04-05 福州福大信捷天线技术有限公司 一种北斗高精度抗干扰阵列天线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067985B1 (en) Antenna radiation element and multiband antenna
CN101548434B (zh) 用于移动通信的双波段双极化基站天线
KR102452639B1 (ko) 안테나 장치
US20130214980A1 (en) Phased array antenna
CN101189757B (zh) 用于提供天线辐射图形控制的系统和方法
EP2346114A2 (en) Dual-frequency / polarization antenna for mobile-communications base station
US9634387B2 (en) Multiple-input multiple-output (MIMO) antenna
CN108155473B (zh) 馈电结构及基站天线
CN110622352B (zh) 阵列天线
CN103219596B (zh) 双极化吸顶天线
CN108370103A (zh) 低耦合2×2 mimo阵列
CN109314313A (zh) 阵列天线装置
KR20170011741A (ko) 격리도가 개선된 mimo 안테나 및 초크부재
JP2014143591A (ja) アレイアンテナ
JP2023507999A (ja) 低リプル放射パターンを有するアンテナ機構
KR20150022067A (ko) 레이더 시스템의 안테나 장치
JP7171760B2 (ja) 二重偏波アンテナ及びアンテナアレイ
TW201543749A (zh) 射頻系統
CN108666742A (zh) 多频天线及通信设备
SE1930410A1 (en) An antenna arrangement with a low-ripple radiation pattern
KR101859762B1 (ko) 이중 편파 다이폴 안테나
CN102099963A (zh) 高增益多极化天线装置
US9397394B2 (en) Antenna arrays with modified Yagi antenna units
KR20150045303A (ko) 혼 배열 안테나
JP2017098835A (ja) アンテナ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