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11114A - 식기세척기 - Google Patents

식기세척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11114A
KR20170011114A KR1020150103108A KR20150103108A KR20170011114A KR 20170011114 A KR20170011114 A KR 20170011114A KR 1020150103108 A KR1020150103108 A KR 1020150103108A KR 20150103108 A KR20150103108 A KR 20150103108A KR 20170011114 A KR20170011114 A KR 201700111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mp
hole
ribs
wall portion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031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58753B1 (ko
Inventor
김진홍
최규형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031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58753B1/ko
Priority to AU2016295058A priority patent/AU2016295058B2/en
Priority to EP16827966.9A priority patent/EP3324812B1/en
Priority to US15/741,856 priority patent/US11026556B2/en
Priority to EP20183896.8A priority patent/EP3747335B1/en
Priority to PCT/KR2016/007424 priority patent/WO2017014462A1/en
Publication of KR201700111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11114A/ko
Priority to US17/088,268 priority patent/US11344178B2/en
Priority to AU2021202488A priority patent/AU2021202488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587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587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251Details of the casing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202Water filter means or strain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202Water filter means or strainers
    • A47L15/4208Arrangements to prevent clogging of the filters, e.g. self-cleaning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214Water supply, recirculation or discharge arrangements; Devices therefor

Abstract

본 발명은 식기세척기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 세척공간을 제공하는 터브; 상기 터브 내부로 분사된 세척수를 회수도록 형성된 섬프; 상기 섬프에 저장된 세척수를 상기 터브 내부로 공급하도록 형성된 공급펌프; 및 상기 섬프에 설치되며, 상측 및 하측이 개방되고 측면 둘레를 따라 복수 개의 제1홀이 형성된 제1바디 및 상기 제1바디의 반경방향 내측에 배치되고 측면 둘레를 따라 복수 개의 제2홀이 형성된 제2바디를 구비하는 필터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제2바디는 상기 제2홀이 형성된 외벽부 및 상기 외벽부의 반경방향 내측에서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내벽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식기세척기 {DISHWASHER}
본 발명은 식기세척기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 세척수의 유동을 원활하게 함과 동시에 스틱 형태의 이물질을 여과할 수 있는 필터장치를 구비하는 식기세척기에 관한 것이다.
식기세척기는 세제와 세척수를 이용하여 식기나 조리도구 등(이하, '세척대상물' 이라고도 함)에 뭍은 음식물 찌꺼기와 같은 오물을 세척하는 기기이다.
통상적으로, 식기세척기는 세척공간을 제공하는 터브, 상기 터브 내에 구비되어 세척대상이 수용되는 랙, 상기 랙으로 세척수를 분사하는 분사암, 세척수를 저장하는 섬프, 섬프에 저장된 세척수를 상기 분사암에 공급하는 펌프를 포함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예를 들어, 한국공개특허 제10-2011-0045758호(이하, "종래의 식기세척기"라고도 함)는 식기세척기에 구비되는 필터장치를 개시하고 있다.
이러한 종래의 식기세척기는 특정 크기의 홀들을 둘레에 구비하는 제1필터와 둘레에 메쉬부재가 설치된 제2필터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세척수가 배수되기 위해서는 제1필터 및 제2필터 등을 경유하여야 하며, 상기 제1필터 및 제2필터에 이물질이 쌓이게 되면 필터가 막혀서 세척수의 유동에 방해가 될 수 있다.
최근에는 세척수의 유동을 방해하지 않으면서, 세척수의 배수 시에 세척수에 포함된 오물을 함께 배수할 수 있는 필터장치가 요구되고 있다.
그러나, 스틱형 이물질(예를 들어, 이쑤시게 등)의 경우, 필터장치를 통과하여 배수유로로 유입될 가능성이 높다. 또한, 스틱형 이물질이 필터장치를 통과하면 배수유로를 막아서 세척수의 배수에 방해가 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 문제점을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세척수의 유동을 방해하지 않으면서 다양한 크기의 이물질을 효율적으로 걸러낼 수 있는 필터장치를 구비하는 식기세척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스틱형 이물질을 효율적으로 걸러낼 수 있는 필터장치를 구비하는 식기세척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스틱형 이물질에 의한 배수유로의 막힘을 방지할 수 있는 식기세척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것으로서, 세척공간을 제공하는 터브; 상기 터브 내부로 분사된 세척수를 회수도록 형성된 섬프; 상기 섬프에 저장된 세척수를 상기 터브 내부로 공급하도록 형성된 공급펌프; 및 상기 섬프에 설치되며, 상측 및 하측이 개방되고 측면 둘레를 따라 복수 개의 제1홀이 형성된 제1바디 및 상기 제1바디의 반경방향 내측에 배치되고 측면 둘레를 따라 복수 개의 제2홀이 형성된 제2바디를 구비하는 필터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제2바디는 상기 제2홀이 형성된 외벽부 및 상기 외벽부의 반경방향 내측에서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내벽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를 제공한다.
이때, 상기 내벽부는 상기 외벽부의 하단보다 더 아래쪽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내벽부의 측면둘레에는 상기 내벽부의 반경방향 외측으로 돌출된 복수 개의 리브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 개의 리브는 상기 내벽부의 외측면으로부터 상기 외벽부의 내측면까지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복수 개의 리브 각각은 상기 내벽부와 상기 외벽부 사이에 형성된 공간의 둘레방향 유로를 차단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 개의 리브 각각은 상기 외벽부의 내측면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는 리브 상부 및 상기 리브 상부의 하단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는 리브 하부를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리브 상부의 돌출된 폭에 비해 상기 리브 하부의 돌출된 폭이 더 큰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리브 상부의 길이와 상기 리브 하부의 길이는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바디는 돔(dome) 형태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2바디의 상단에는 편평부가 구비되며, 상기 복수 개의 제2홀은 상기 편평부를 제외한 상기 제2바디의 측면 둘레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 개의 리브는 상기 내벽부의 길이방향 전체에 걸쳐서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 개의 리브는 상기 내벽부의 측면둘레를 따라서 기 설정된 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바디는 상기 제1홀이 형성된 상부바디 및 상기 상부바디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된 하부바디를 구비하며, 상기 하부바디의 측면둘레에는 메쉬부재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바디 하단의 외측 둘레와 상기 제1바디의 내측 둘레 사이에는 상기 제1바디와 상기 제2바디를 연결하기 위한 연결부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는 세척수가 상기 상부바디와 상기 제2바디 사이의 공간으로부터 상기 연결부 하측으로 흐르는 것을 방지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섬프의 상면에는 필터 삽입공이 형성되고, 상기 섬프의 상면에는 상기 필터 삽입공을 향해 경사진 경사부가 구비되며, 상기 필터장치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필터 삽입공으로 삽입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필터 삽입공의 둘레에는 필터 설치 시트가 형성되고, 상기 필터장치가 상기 필터 삽입공에 설치될 때, 상기 필터장치의 상부가 상기 필터 설치 시트 위로 노출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상부바디 및 상기 제2바디가 상기 필터 설치 시트 위로 노출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홀의 형상과 상기 제2홀의 형상은 서로 상이한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상기 제1홀의 면적은 상기 제2홀의 면적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바디와 상기 제2바디는 사출성형을 통해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는 상기 터브 내부에 구비되고, 세척 대상물이 수용되도록 형성된 하나 이상의 랙; 및 상기 공급펌프에 의해 공급되는 세척수를 상기 랙을 향하여 분사하도록 형성된 하나 이상의 분사암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세척수의 유동을 방해하지 않으면서 다양한 크기의 이물질을 효율적으로 걸러낼 수 있는 필터장치를 구비하는 식기세척기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스틱형 이물질을 효율적으로 걸러낼 수 있는 필터장치를 구비하는 식기세척기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스틱형 이물질에 의한 배수유로의 막힘을 방지할 수 있는 식기세척기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식기세척기에 구비되는 필터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필터장치의 내측이 보이도록 일부를 절단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의 필터장치를 아래쪽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2의 필터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2의 필터장치가 섬프에 결합되는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도 2의 필터장치에 의해 스틱형 이물질이 걸러지는 원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수공급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형태를 도시한 것으로, 이는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일 뿐 이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대응되는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며,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시된 각 구성 부재의 크기 및 형상은 과장되거나 축소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를 나타낸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100)는 캐비닛(1), 세척공간을 제공하는 터브(11), 세척 대상물이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하나 이상의 랙(191, 193), 세척수를 분사하는 하나 이상의 분사암(3, 5), 세척수가 저장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섬프(13), 상기 섬프(13)에 저장된 세척수를 상기 분사암(3, 5)으로 공급하는 공급펌프(8), 및 상기 섬프에 설치되는 필터장치(2)를 포함한다.
상기 캐비닛(1)은 식기세척기(100)의 외관을 형성한다. 또한, 상기 캐비닛(1)에는 상기 터브(11)를 개폐하도록 형성된 도어(16)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터브(11)는 상기 캐비닛(1) 내에 제공될 수 있으며, 세척 대상물의 세척을 위한 공간을 제공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터브(11)는 섬프(13)의 상부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하나 이상의 랙(191, 193)은 제1랙(191) 및 상기 제1랙(191)의 하부에 위치하는 제2랙(193)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랙(191) 및 상기 제2랙(193)은 상부랙 및 하부랙으로 나타내는 것도 가능하다.
상부랙(191)과 하부랙(193)은 상기 도어(16)가 터브(11)를 개방한 때 캐비닛(1)에서 인출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터브(11)의 내주면에는 상기 랙(191, 193)들이 상기 도어(16)를 향해 이동하는 것을 안내하는 레일(미도시)이 구비되고, 상기 랙들에는 상기 레일(미도시)에 지지되는 롤러(미도시)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하나 이상의 분사암(3, 5)은 상기 터브(11) 내부에 구비되어 제2랙(193)에 수납된 세척대상을 세척하는 하부암(5), 제1랙(191)에 수납된 세척대상을 세척하는 상부암(3)을 포함할 수 있다.
하부암(5) 및 상부암(3)은 공급펌프(8) 및 공급유로(7)를 통해 세척수를 공급받을 수 있다. 상기 공급유로(7)는 하부암(5)에 연결되는 제1공급유로(71), 상부암(3)에 연결된 제2공급유로(73), 및 각 공급유로(71, 73)를 선택적으로 개방하는 전환밸브(7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부암(5)이 상기 터브(11) 내부에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될 경우, 하부암(5)은 커버(15)에 구비된 홀더(17)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제1공급유로(71)는 상기 홀더(17)에 세척수를 공급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상부암(3)이 상기 터브(11) 내부에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다면, 상기 상부암(3)은 제2공급유로(73)의 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섬프(13)는 상기 터브(11) 내부로 분사된 세척수를 회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섬프(13)는 회수된 세척수를 저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섬프(13)는 세척수가 저장되는 저장부(133), 상기 저장부의 상부에 위치하여 상기 터브(11)와 저장부(133)를 구분하는 커버(15), 상기 저장부(133)를 상기 커버(15)에 연결하는 측면부(131), 및 상기 섬프(13)의 하단부를 구성하는 바닥면(132)을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커버(15)는 섬프(13)의 상면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저장부(133)는 급수원(미도시)에 연결된 급수유로(135)를 통해 세척수를 공급받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섬프(13)는 급수원에 연결된 급수유로(135)를 통해 세척수를 공급받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공급펌프(8)는 상기 섬프(13)에 저장된 세척수를 터브(11) 내로 공급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공급펌프(8)는 상기 섬프(13)에 저장된 세척수를 상기 분사암(3, 5)을 통해 터브(11) 내로 분사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공급펌프(8)는 임펠러(85)가 구비된 하우징(81), 상기 하우징(81) 내부로 세척수가 유입되는 유입구(84), 상기 하우징(181) 내부의 세척수가 배출되는 배출구(82), 상기 하우징(181)의 외부에 구비되어 임펠러(186)를 회전시키는 모터(87)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입구(84)는 유입구 연결관(97)을 통해 저장부(133)에 연결되고, 상기 배출구(82)는 배출구 연결관(99)을 통해 전환밸브(75)에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모터(87)에 전력이 공급되어 임펠러(85)가 회전하면, 섬프(13)에서 하우징(81)으로 유입된 물은 배출구(82)를 통해 전환밸브(75)로 이동하고, 전환밸브(75)에 공급된 물은 전환밸브(75)에 의해 개방되는 공급유로(71, 73)를 따라 상부암(3)이나 하부암(5)에 공급될 수 있다.
상기 필터장치(2)는 상기 섬프(13)에 설치되어 세척수에 포함된 이물질을 걸러내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터브(11) 내로 분사된 세척수가 섬프(13) 내로 회수될 때, 상기 세척수에는 세척 대상물로부터 분리된 이물질이 포함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필터장치(2)는 상기 섬프(13) 내로 회수되는 세척수로부터 이물질을 걸러내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필터장치(2)의 구조는 세척수의 유동 및 배수 효율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필터장치(2)에 대하여 다른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식기세척기에 구비되는 필터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필터장치의 내측이 보이도록 일부를 절단한 사시도이며, 도 4는 도 2의 필터장치를 아래쪽에서 본 사시도이고, 5는 도 2의 필터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2 내지 5를 함께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100)에 구비되는 필터장치(2)는 상측 및 하측이 개방된 제1바디(21) 및 상기 제1바디(21)의 반경방향 내측에 배치되는 제2바디(22)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2바디(22)의 상단은 상기 제1바디(21)의 상단보다 낮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바디(21) 및 상기 제2바디(22)는 사출성형을 통하여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바디(21)에는 측면 둘레를 따라 복수 개의 제1홀(215)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바디(21)는 중공의 원기둥 형태로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제1바디(21)의 측면 둘레를 따라서 복수 개의 제1홀(215)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복수 개의 제1홀(215)은 세로방향 높이보다 가로방향 길이가 더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상기 복수 개의 제1홀(215)은 기 설정된 간격으로 이격되어 상기 제1바디(21)의 측면 둘레를 따라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바디(22)에도 측면 둘레를 따라 복수 개의 제2홀(225)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1바디(21)에 형성된 제1홀(215)과 제2바디(22)에 형성된 제2홀(225)에 의해서, 2단계에 걸쳐서 이물질을 걸러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홀(215)과 상기 제2홀(225)은 반경방향으로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바디(21)에서 상기 제1홀(215)이 형성된 면과 상기 제2바디(22)에서 상기 제2홀(225)이 형성된 면은 반경방향으로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홀(215)의 형상과 상기 제2홀(225)의 형상은 서로 상이할 수 있다. 따라서, 제1바디(21)에 형성된 제1홀(215)과 제2바디(22)에 형성된 제2홀(225)에 의해서, 서로 다른 형태의 이물질들을 걸러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홀(215)은 상기 제2홀(225)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홀(215)의 면적은 상기 제2홀(225)의 면적보다 클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홀(215)에서 상대적으로 큰 이물질이 걸러지고, 상기 제2홀(225)에서 상대적으로 작은 이물질이 걸러질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상기 제1홀(215)은 높이보다 폭(즉, 길이)이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홀(225)은 높이와 폭이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에도, 상기 제1홀(215)의 면적은 상기 제2홀(225)의 면적보다 클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바디(22)는 돔(dome) 형태로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제2바디(22)의 상단에는 편평부(226)가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복수 개의 제2홀(225)은 상기 편평부(226)를 제외한 상기 제2바디(22)의 측면 둘레에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2바디(22) 위쪽에서 상기 제2바디(22)의 상면을 향해(즉, 편평부(226)를 향해 떨어지는 이물질(특히, 스틱 형태의 이물질)이 상기 제2바디(22)의 내측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바디(22)는 외벽부(221) 및 내벽부(222)를 구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2바디(22)는 상기 제2홀(225)이 형성된 외벽부(221) 및 상기 외벽부(221)의 반경방향 내측에서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내벽부(222)를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내벽부(222)의 상단은 상기 외벽부(221)의 상부면에 접하도록, 상기 내벽부(222)가 상하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내벽부(222)의 외측면과 상기 외벽부(221)의 내측면은 기 설정된 간격으로 서로 이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내벽부(222)는 중공의 원기둥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홀(215) 및 상기 제2홀(225)을 통해 유입되는 스틱 형태의 이물질은 상기 내벽부(222)에 의해 걸러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내벽부(222)는 상기 외벽부(221)의 하단보다 더 아래쪽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내벽부(222)의 하단은 상기 외벽부(221)의 하단보다는 아래쪽에 위치되고, 제1바디(21)의 하단보다는 위쪽에 위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홀(215) 및 상기 제2홀(225)을 통해 비스듬히 유입되는 스틱 형태의 이물질도 상기 내벽부(222)에서 걸러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내벽부(222)의 측면 둘레에는 상기 내벽부(222)의 반경방향 외측으로 돌출된 복수 개의 리브(223)가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복수 개의 리브(223)는 상기 내벽부(222)의 측면둘레를 따라서 기 설정된 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복수 개의 리브(223)는 상기 내벽부(222)의 외측면으로부터 상기 외벽부(221)의 내측면까지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홀(215) 및 상기 제2홀(225)을 통해 상기 내벽부(222)의 둘레방향을 따라 유입되는 스틱 형태의 이물질은 상기 복수 개의 리브(223)에 의해 걸러질 수 있다.
나아가, 상기 복수 개의 리브(223) 각각은 상기 내벽부(222)와 상기 외벽부(221) 사이에 형성된 공간(S)의 둘레방향 유로를 차단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내벽부(222)는 상기 외벽부(221)로부터 반경방향 내측으로 이격되어 배치되기 때문에, 상기 내벽부(222)와 상기 외벽부(221) 사이에는 세척수가 유동하는 공간(S)이 형성될 수 있다(도 4 및 5 참조).
이때, 상기 상기 복수 개의 리브(223) 각각은 상기 내벽부(222)와 상기 외벽부(221) 사이의 공간(S)에서 세척수 및 이물질이 외벽부(221)의 외측 둘레방향을 따라 유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상기 복수 개의 리브(223) 모두가 상기 내벽부(222)와 상기 외벽부(221) 사이에 형성된 공간의 둘레방향 유로를 차단하도록 상기 내벽부(222)의 외측면으로부터 상기 외벽부(221)의 내측면까지 연장될 수 있다.
따라서, 복수 개의 제1홀(215) 및 복수 개의 제2홀(225)을 통해 어떤 방향으로 유입되는 스틱 형태의 이물질도 상기 내벽부(222) 및 상기 복수 개의 리브(223)에 의해 걸러질 수 있다.
물론, 세척수는 상기 제1홀(215), 상기 제2홀(225) 및 상기 공간(S)을 경유하여 필터장치(2)의 하방으로 유동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복수 개의 리브(223) 각각은 상기 외벽부(221)의 내측면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는 리브 상부 및 상기 리브 상부(223-1) 및 상기 리브 상부(223-1)의 하단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는 리브 하부(223-2)를 구비할 수 있다.
물론, 상기 리브 상부(223-1)와 상기 리브 하부(223-2)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리브 상부(223-1)의 돌출된 폭에 비해 상기 리브 하부(223-2)의 돌출된 폭이 더 큰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리브 상부(223-1)의 돌출된 높이에 비해 상기 리브 하부(223-2)의 돌출된 높이가 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다시 말해서, 상기 리브 상부(223-1)의 돌출된 폭은 상기 외벽부(221)의 반경방향 폭에 의해 제한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리브 하부(223-2)는 상기 외벽부(221) 하단보다 아래쪽에 위치되기 때문에, 상기 리브 하부(223-2)의 돌출된 폭은 상기 외벽부(221)의 반경방향 폭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리브 상부(223-1)의 길이(즉, 세로방향 길이)와 상기 리브 하부(223-2)의 길이(즉, 세로방향 길이)는 서로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리브 하부(223-2)는 상기 외벽부(221)의 하단보다 상기 리브 상부(223-1)의 길이만큼 하방으로 더 연장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복수 개의 리브(223)는 상기 내벽부(222)의 길이방향 전체에 걸쳐서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홀(215) 및 상기 제2홀(225)을 통해 상기 내벽부(222)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그리고 아래쪽을 향해 유입되는 스틱 형태의 이물질이 내벽부(222) 및 상기 리브 하부(223-2)에 의해 효과적으로 걸러질 수 있다.
한편,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제1바디(21)는 상부바디(21-1) 및 상기 상부바디(21-1)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된 하부바디(21-2)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상부바디(21-1)에는 전술한 제1홀(215)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부바디(21-2)는 상기 상부바디(21-1)의 하단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상부바디(21-1)와 상기 하부바디(21-2)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부바디(21-2)의 측면둘레에는 메쉬부재(219)가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홀(215) 및 상기 제2홀(225)을 통과한 미세한 이물질은 상기 메쉬부재(219)에 의해 걸러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바디(22) 하단의 외측 둘레와 상기 제1바디(21)의 내측 둘레 사이에는 상기 제1바디(21)와 상기 제2바디(22)를 연결하기 위한 연결부(C)가 마련될 수 있다(도 3 참조).
이때, 상기 연결부(C)는 세척수가 상기 상부바디(21-1)와 상기 제2바디(22) 사이의 공간으로부터 상기 연결부(C)의 하측으로 흐르는 것을 방지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바디(21)에서 상기 연결부(C)에 대응하는 위치에는 상기 제1바디(21)의 반경방향 외측으로 돌출된 설치부(227)가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바디(21)에서 상기 제1홀(215)의 하측에는 상기 제1바디(21)의 둘레방향을 따라서 연장된 상기 설치부(227)가 구비될 수 있다.
이하 다른 도면을 참조하여, 상기 설치부(227)를 통해 상기 필터장치(2)가 섬프(13)에 결합되는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6은 도 2의 필터장치가 섬프에 결합되는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및 6을 함께 참조하면, 섬프(13)의 상면에는 필터 삽입공(155)이 형성될 수 있다. 즉, 섬프(13)의 상면을 형성하는 커버(15)에는 필터 삽입공(155)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섬프(13)의 상면과 상기 커버(15)는 동일한 부분을 나타낼 수 있다. 따라서, 필터장치(2)는 상기 삽입공(155)에 분리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섬프(13)의 상면에는 상기 필터 삽입공(155)을 향해 경사진 경사부(151)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필터장치(2)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필터 삽입공(155)으로 삽입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섬프(13)의 상면으로 떨어진 세척수 및 이물질은 상기 경사부(151)를 따라서 상기 필터장치(2)를 향해 안내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필터 삽입공(155)의 둘레에는 필터 설치 시트(152)가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필터 삽입공(155)을 향하는 상기 경사부(151)의 단부에상기 필터 설치 시트(152)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필터장치(2)가 상기 필터 삽입공(155)에 설치될 때, 상기 필터장치(2)의 상부가 상기 필터 설치 시트(152) 위로 노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필터장치(2)의 상단은 상기 섬프(13)의 상면 위로 노출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바디(21)의 반경방향 외측으로 돌출된 설치부(227)가 상기 필터 설치 시트(152) 상에 안착될 수 있다. 이때, 전술한 상부바디(21-1) 및 제2바디(22)가 상기 필터 설치 시트(152) 위로 노출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섬프(13)의 상면으로 떨어지는 세척수는 상기 상부바디(21-1)에 형성된 제1홀(215) 및 상기 제2바디(22)에 형성된 제2홀(225)을 통해 상기 필터장치(2) 내측으로 유동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섬프(13)의 상면으로 떨어지는 이물질은 상기 상부바디(21-1)에 형성된 제1홀(215)을 통해 1차적으로 걸러지고, 상기 제2바디(22)에 형성된 제2홀(225)을 통해 2차적으로 걸러질 수 있다.
한편, 상기 섬프(13)의 바닥면(132)에는 섬프(13) 내부에 저장된 세척수 및 상기 필터장치(2) 내에 수용된 이물질을 배수하기 위한 배수공(D)이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필터장치(2)의 하단부는 개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필터장치(2)의 하단부는 상기 배수공(D)과 연통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필터장치(2)가 상기 섬프(13)에 설치될 때, 상기 필터장치(2)의 하단부는 상기 섬프(13)의 바닥면(132)에 결합되되, 상기 배수공(D)과 연통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배수공(D)에는 배수라인(137)이 연결되고, 상기 배수라인(137)에는 배수펌프(139)가 구비될 수 있다.
이하, 섬프(13) 내의 세척수가 상기 필터장치(2)를 통과한 후 터브(11) 내측으로 다시 공급되는 구성(즉, 세척수의 순환) 및 섬프(13) 내의 세척수와 상기 필터장치(2) 내의 이물질이 배수되는 구성(즉, 세척수 및 이물질의 배수)에 대하여 설명한다.
우선, 세척수의 순환을 위해서는, 공급펌프(8)가 구동되고 배수펌프(139)의 구동은 정지될 수 있다. 즉, 세척수의 순환을 위해서는, 공급펌프(8)와 배수펌프(139) 중에서 공급펌프(8)만 구동되어야 한다.
상기 공급펌프(8)가 구동되면, 섬프(13)의 상면으로 떨어진 세척수는 상기 필터장치(2)를 통하여 도 6에 도시된 화살표 A 방향을 따라서 유동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세척수에 포함된 미세한 이물질은 상기 필터장치(2)에 구비된 메쉬부재(219)에 의해 걸러질 수 있다.
즉, 도 6에 도시된 화살표 A 방향을 따라서 유동하는 세척수 내에 포함된 미세한 이물질은 하부바디(21-2)의 측면둘레에는 메쉬부재(219)에 의해 걸러질 수 있다.
그리고, 미세한 이물질이 걸러진 세척수는 도 1에 도시된 펌프(8)를 통하여 터브(11) 내로 다시 공급될 수 있다.
한편, 세척수 및 이물질의 배수를 위해서는, 배수펌프(130)가 구동되고 공급펌프(8)의 구동은 정지될 수 있다. 즉, 세척수 및 이물질의 배수를 위해서는, 공급펌프(8)와 배수펌프(139) 중에서 배수펌프(139)만 구동되어야 한다.
상기 배수펌프(139)가 구동되면, 상기 필터장치(2)의 메쉬부재(219)에 의해걸러진 이물질은 상기 섬프(13) 내의 세척수와 함께 배수라인(137)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즉, 상기 필터장치(2)의 메쉬부재(219)에 의해 걸러진 미세한 이물질은 도 6에 도시된 화살표 B 방향을 따라서 세척수와 함께 유동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배수펌프(139)의 구동에 의해 세척수와 미세한 이물질은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이때, 전술한 바와 같이, 가늘고 긴 형태의 스틱형 이물질은 필터장치(2)에서 걸러지기 때문에, 배수라인(137)이 막히거나 및 배수펌프(139)의 입구가 막히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이하, 다른 도면을 참조하여, 상기 필터장치(2)에 의해 스틱형 이물질이 걸러지는 원리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7은 도 2의 필터장치에 의해 스틱형 이물질이 걸러지는 원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가늘고 긴 형상을 구비하는 스틱형 이물질(ST)의 적어도 일부는 필터장치(2)에 형성된 제1홀(215) 및 제2홀(225)을 통해 필터장치(2) 내로 인입될 수 있다.
그리고, 원통형 내벽부(222) 및 복수 개의 리브(223)가 없다면, 상기 스틱형 이물질(ST)은 상기 제1홀(215) 및 제2홀(225)을 통해 제1바디(21) 내측으로 유입될 수 있다. 즉, 상기 스틱형 이물질(ST)은 상기 제1홀(215) 및 제2홀(225)을 통해 제1바디(21)의 하부바디(21-2) 내로 유입될 수 있다.
상기 하부바디(21-2) 내로 유입된 스틱형 이물질(ST)은 도 1에 도시된 배수라인(137) 또는 및 배수펌프(139)의 입구를 막아서 세척수의 유동 불량 또는 배수불량을 초래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르면, 제2바디(2)에 구비되는 원통형 내벽부(222) 및 상기 내벽부(222)의 둘레방향을 따라 형성된 복수 개의 리브(223)에 의해 상기 스틱형 이물질(ST)이 걸러질 수 있다.
따라서, 스틱형 이물질(ST)로 인한 세척수의 유동불량 및 배수불량은 상기 내벽부(222) 및 상기 내벽부(222)의 둘레방향을 따라 형성된 복수 개의 리브(223)에 의해 방지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르면, 스틱형 이물질(ST)에 의해 도 1에 도시된 배수라인(137) 또는 및 배수펌프(139)의 입구가 막히는 문제가 해결됨에 따라서, 세척수의 배수가 원활하게 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기술되었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 있어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이라면, 첨부된 청구 범위에 정의된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본 발명을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앞으로의 실시예들의 변경은 본 발명의 기술을 벗어날 수 없을 것이다.
1: 캐비닛 2: 필터장치 11: 터브
13: 섬프 21: 제1바디 21-1: 상부바디
21-2: 하부바디 22: 제2바디 15: 커버
137: 배수라인 139: 배수펌프 151: 경사부
152: 필터 설치 시트 155: 설치공 215: 제1홀
219: 메쉬부재 221: 외벽부 222: 내벽부
223: 리브 223-1: 리브 상부 223-2: 리브 하부
225: 제2홀 226: 편평부 227: 설치부
C: 연결부 ST: 스틱형 이물질

Claims (18)

  1. 세척공간을 제공하는 터브;
    상기 터브 내부로 분사된 세척수를 회수도록 형성된 섬프;
    상기 섬프에 저장된 세척수를 상기 터브 내부로 공급하도록 형성된 공급펌프; 및
    상기 섬프에 설치되며, 상측 및 하측이 개방되고 측면 둘레를 따라 복수 개의 제1홀이 형성된 제1바디 및 상기 제1바디의 반경방향 내측에 배치되고 측면 둘레를 따라 복수 개의 제2홀이 형성된 제2바디를 구비하는 필터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제2바디는 상기 제2홀이 형성된 외벽부 및 상기 외벽부의 반경방향 내측에서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내벽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벽부는 상기 외벽부의 하단보다 더 아래쪽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내벽부의 측면둘레에는 상기 내벽부의 반경방향 외측으로 돌출된 복수 개의 리브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리브는 상기 내벽부의 외측면으로부터 상기 외벽부의 내측면까지 연장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리브 각각은 상기 내벽부와 상기 외벽부 사이에 형성된 공간의 둘레방향 유로를 차단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리브 각각은 상기 외벽부의 내측면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는 리브 상부 및 상기 리브 상부의 하단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는 리브 하부를 구비하고,
    상기 리브 상부의 돌출된 폭에 비해 상기 리브 하부의 돌출된 폭이 더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리브 각각은 상기 외벽부의 내측면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는 리브 상부 및 상기 리브 상부의 하단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는 리브 하부를 구비하고,
    상기 리브 상부의 길이와 상기 리브 하부의 길이는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바디는 돔(dome) 형태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2바디의 상단에는 편평부가 구비되며,
    상기 복수 개의 제2홀은 상기 편평부를 제외한 상기 제2바디의 측면 둘레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리브는 상기 내벽부의 길이방향 전체에 걸쳐서 연장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리브는 상기 내벽부의 측면둘레를 따라서 기 설정된 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바디는 상기 제1홀이 형성된 상부바디 및 상기 상부바디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된 하부바디를 구비하며,
    상기 하부바디의 측면둘레에는 메쉬부재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2바디 하단의 외측 둘레와 상기 제1바디의 내측 둘레 사이에는 상기 제1바디와 상기 제2바디를 연결하기 위한 연결부가 마련되고,
    상기 연결부는 세척수가 상기 상부바디와 상기 제2바디 사이의 공간으로부터 상기 연결부 하측으로 흐르는 것을 방지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섬프의 상면에는 필터 삽입공이 형성되고,
    상기 섬프의 상면에는 상기 필터 삽입공을 향해 경사진 경사부가 구비되며,
    상기 필터장치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필터 삽입공으로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 삽입공의 둘레에는 필터 설치 시트가 형성되고,
    상기 필터장치가 상기 필터 삽입공에 설치될 때, 상기 필터장치의 상부가 상기 필터 설치 시트 위로 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바디 및 상기 제2바디가 상기 필터 설치 시트 위로 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홀의 형상과 상기 제2홀의 형상은 서로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1홀의 면적은 상기 제2홀의 면적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바디와 상기 제2바디는 사출성형을 통해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
  1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터브 내부에 구비되고, 세척 대상물이 수용되도록 형성된 하나 이상의 랙; 및
    상기 공급펌프에 의해 공급되는 세척수를 상기 랙을 향하여 분사하도록 형성된 하나 이상의 분사암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
KR1020150103108A 2015-07-21 2015-07-21 식기세척기 KR1023587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3108A KR102358753B1 (ko) 2015-07-21 2015-07-21 식기세척기
AU2016295058A AU2016295058B2 (en) 2015-07-21 2016-07-08 Dishwasher
EP16827966.9A EP3324812B1 (en) 2015-07-21 2016-07-08 Dishwasher
US15/741,856 US11026556B2 (en) 2015-07-21 2016-07-08 Dishwasher
EP20183896.8A EP3747335B1 (en) 2015-07-21 2016-07-08 Dishwasher
PCT/KR2016/007424 WO2017014462A1 (en) 2015-07-21 2016-07-08 Dishwasher
US17/088,268 US11344178B2 (en) 2015-07-21 2020-11-03 Dishwasher
AU2021202488A AU2021202488B2 (en) 2015-07-21 2021-04-23 Dishwash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3108A KR102358753B1 (ko) 2015-07-21 2015-07-21 식기세척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11114A true KR20170011114A (ko) 2017-02-02
KR102358753B1 KR102358753B1 (ko) 2022-02-07

Family

ID=581541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03108A KR102358753B1 (ko) 2015-07-21 2015-07-21 식기세척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58753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58050A (ko) * 2009-11-25 2011-06-01 엘지전자 주식회사 식기 세척기
CN202096176U (zh) * 2011-06-04 2012-01-04 美的集团有限公司 一种洗碗机的微过滤系统
CN202446037U (zh) * 2011-12-29 2012-09-26 海尔集团公司 洗碗机过滤系统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58050A (ko) * 2009-11-25 2011-06-01 엘지전자 주식회사 식기 세척기
CN202096176U (zh) * 2011-06-04 2012-01-04 美的集团有限公司 一种洗碗机的微过滤系统
CN202446037U (zh) * 2011-12-29 2012-09-26 海尔集团公司 洗碗机过滤系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58753B1 (ko) 2022-0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33933B1 (ko) 식기 세척기
KR101016311B1 (ko) 식기 세척기
KR101582877B1 (ko) 식기세척기
US20060237050A1 (en) Dishwasher collection chamber filter cleaning system
KR102151662B1 (ko) 식기 세척기
KR102391681B1 (ko) 식기세척기
US8104489B2 (en) Dishwasher
KR20090061479A (ko) 식기세척기
KR20180129287A (ko) 식기 세척기
KR20110058050A (ko) 식기 세척기
KR101782651B1 (ko) 식기 세척기 및 그의 섬프
KR20160100595A (ko) 식기 세척기
KR20170011114A (ko) 식기세척기
KR20110045758A (ko) 식기세척기의 필터장치 및 이를 구비한 식기세척기
KR20180106057A (ko) 식기세척기
KR102412929B1 (ko) 식기세척기
KR101768229B1 (ko) 식기 세척기 및 그의 섬프 청소장치
KR100934695B1 (ko) 식기 세척기용 필터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식기 세척기
KR100267937B1 (ko) 식기세척기
KR100269467B1 (ko) 일체형 펌프를 가진 식기세척기의 필터장치
KR101054436B1 (ko) 식기 세척기
KR101669282B1 (ko) 식기 세척기
KR101356295B1 (ko) 식기 세척기의 섬프
KR101960312B1 (ko) 필터하우징과 이를 포함하는 식기세척기
KR200368995Y1 (ko) 식기 세척기의 집수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