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11071A - 운영 체제 간 디스크 이미지를 공유하는 방법 및 디바이스 - Google Patents

운영 체제 간 디스크 이미지를 공유하는 방법 및 디바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11071A
KR20170011071A KR1020150103014A KR20150103014A KR20170011071A KR 20170011071 A KR20170011071 A KR 20170011071A KR 1020150103014 A KR1020150103014 A KR 1020150103014A KR 20150103014 A KR20150103014 A KR 20150103014A KR 20170011071 A KR20170011071 A KR 201700110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rating system
disk image
electronic device
disk
im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030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22033B1 (ko
Inventor
심효택
이용혁
이성민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030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22033B1/ko
Priority to PCT/KR2016/007953 priority patent/WO2017014578A1/ko
Priority to CN201680042840.1A priority patent/CN107851029B/zh
Priority to US15/744,462 priority patent/US10621017B2/en
Publication of KR201700110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110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220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220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4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programs
    • G06F9/4401Bootstrapping
    • G06F9/4406Loading of operating system
    • G06F9/441Multiboot arrangements, i.e. selecting an operating system to be loade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6Multiprogramming arrangements
    • G06F9/54Interprogram communication
    • G06F9/543User-generated data transfer, e.g. clipboards, dynamic data exchange [DDE], object linking and embedding [OL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22Microcontrol or microprogram arrangements
    • G06F9/24Loading of the microprogram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4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progra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4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programs
    • G06F9/4401Bootstrapping
    • G06F9/4406Loading of operating system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4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programs
    • G06F9/4401Bootstrapping
    • G06F9/4411Configuring for operating with peripheral devices; Loading of device driv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6Multiprogramming arrangements
    • G06F9/54Interprogram communication
    • G06F9/544Buffers; Shared memory; Pip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Stored Programme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제1 운영 체제로부터 제2 운영 체제로 포커스를 전환하는 사용자 입력이 수신됨에 따라, 기설정된 기준에 기초하여 제1 운영 체제에 마운트된 디스크 이미지를 제2 운영 체제로 마운트하는 방법 및 디바이스가 개시된다.

Description

운영 체제 간 디스크 이미지를 공유하는 방법 및 디바이스{METHOD AND DEVICE FOR SHARING A DISK IMAGE BETWEEN OPERATING SYSTEMS}
본 개시는 운영 체제 간 디스크 이미지를 공유하는 방법 및 디바이스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복수의 운영 체제 간에 충돌 없이 디스크 이미지를 공유할 수 있는 방법 및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
범용 CPU (Central Processing Unit) 에 기반한 하드웨어 플랫폼들은 기본적으로 하나의 운영 체제 (operating system) 를 구동할 수 있다. 그러나, 하나의 운영 체제를 구동하는 컴퓨터는 하드웨어의 최대 성능을 전부 사용하지 못하고, 사용자로서 해당 운영 체제에 맞게 제작된 프로그램이나 애플리케이션만을 사용할 수밖에 없다.
따라서, 하드웨어 자원을 복수의 운영 체제들이 공유하여 사용할 수 있는 가상화 기술들이 꾸준히 개발되어 왔다. 가상화란 하나의 물리적 하드웨어에서 복수의 운영체제를 구동하는 기술을 의미다. 복수의 운영 체제 각각은 가상 머신 (Virtual Machine) 이라 불릴 수 있다. 가상화는 각 가상 머신 간 실행 환경의 분리, 하드웨어의 활용률 증가, 편리한 리소스 관리 등의 장점을 갖는다.
하나의 하드웨어 플랫폼에서 복수의 운영 체제가 구동되는 경우, 각 운영 체제 상호 간의 데이터를 공유하기 위해, 웹 서버, FTP 서버 등의 별도의 네트워크 프로그램이나, SMB (Server Message Block) 또는 CIFS (Common Internet File System) 와 같은 공유 프로토콜이 이용될 수 있다.
그러나, 네트워크 프로그램이나 공유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공유하는 방법은 필연적으로 네트워크 오버헤드를 발생시키며, 사용자 입장에서 해당 프로그램이나 프로토콜을 설정하기가 불편한 단점이 있다.
최근 각 운영 체제 상호 간의 데이터를 공유하기 위한 또 다른 방법으로서, 가상 디스크 이미지를 이용하여 각 운영 체제 상호 간에 데이터를 공유하는 방법이 각광받고 있다. 여기서, 디스크 이미지는 각 운영 체제에 마운트 (mount) 되어 하드 디스크로 에뮬레이트 (emulate) 될 수 있으며, 각 운영 체제는 해당 디스크 이미지를 실질적인 하드 디스크로 인식할 수 있다. 각 운영 체제는 마운트된 디스크 이미지에 데이터를 입력하거나, 마운트된 디스크 이미지로부터 데이터를 출력함으로써, 각 운영 체제 상호 간의 데이터가 공유될 수 있다.
그러나, 각 운영 체제는 모두 동일한 하나의 하드웨어 플랫폼을 이용하는 것이므로, 해당 디스크 이미지도 해당 하드웨어 플랫폼에 기반하여 생성된다. 따라서, 복수의 운영 체제에서 해당 디스크 이미지가 동시에 액세스되는 경우, 해당 디스크 이미지에서 사용자가 의도치 않은 데이터 중복 (data duplication) 이나, 데이터 모순 (data inconsistency), 데이터 오염 (data corruption), 데이터 충돌 (data collision) 등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복수의 운영 체제 간에 신속하고 용이하게 데이터를 공유할 수 있는 기술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은, 운영 체제 간 디스크 이미지를 공유하는 방법 및 디바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 개시의 제 1 측면은, 복수의 운영 체제 간 디스크 이미지를 공유하는 전자 디바이스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운영 체제 및 상기 디스크 이미지를 저장하는 저장부, 제1 운영 체제로부터 제2 운영 체제로 포커스를 전환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사용자 입력 수신부 및 상기 사용자 입력이 수신됨에 따라, 기설정된 기준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운영 체제에 마운트된 상기 디스크 이미지를 상기 제2 운영 체제로 마운트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전자 디바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운영 체제에서 상기 디스크 이미지를 액세스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이 수신됨에 따라, 상기 제1 운영 체제에 마운트된 상기 디스크 이미지를 상기 제2 운영 체제로 마운트하는, 전자 디바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운영 체제에서 상기 디스크 이미지에 대한 쓰기 작업을 정지 (pause) 시키고, 상기 제1 운영 체제에 마운트된 상기 디스크 이미지는 상기 제1 운영 체제에서 상기 쓰기 작업이 정지된 후 상기 제2 운영 체제로 마운트되는,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미리 결정된 기준에 기초하여, 상기 제2 운영 체제에 마운트된 상기 디스크 이미지를 상기 제1 운영 체제로 재마운트하고, 상기 제1 운영 체제에서 상기 디스크 이미지에 대한 상기 쓰기 작업을 속개 (resume) 하는, 전자 디바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운영 체제가 상기 디스크 이미지를 이용하는 이용 상태에 기초하여, 상기 디스크 이미지를 상기 제1 운영 체제에 재마운트할 시점을 결정하는, 전자 디바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스크 이미지는 상기 제2 운영 체제에서 사용자의 입력 패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운영 체제로 재마운트되는, 전자 디바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스크 이미지는 상기 제1 운영 체제 및/또는 상기 제2 운영 체제에서 상기 디스크 이미지로의 워크로드 (workload) 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운영 체제로 재마운트되는, 전자 디바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스크 이미지는 상기 제1 운영 체제 및 상기 제2 운영 체제에서 시분할 (time-sharing) 방식으로 마운트되는, 전자 디바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운영 체제가 상기 디스크 이미지를 이용하는 이용 상태에 기초하여, 상기 디스크 이미지를 상기 제2 운영 체제에 마운트할 시점을 결정하는, 전자 디바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스크 이미지의 상기 이용 상태가 쓰기(write) 작업 중인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운영 체제로의 상기 디스크 이미지의 마운트를 대기하는, 전자 디바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용 상태는 상기 제1 운영 체제의 상기 디스크 이미지에 대한 데이터 입출력(I/O) 패턴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전자 디바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데이터 입출력(I/O) 패턴은 상기 제1 운영 체제에서 상기 디스크 이미지의 읽기 스루풋 (read throughput) 과 쓰기 스루풋 (write throughput)에 의해 결정되는, 전자 디바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데이터 입출력(I/O) 패턴은 상기 제1 운영 체제에서 상기 디스크 이미지의 읽기 빈도 (read frequency) 와 쓰기 빈도 (write frequency)에 의해 결정되는, 전자 디바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운영 체제 및 상기 제2 운영 체제에 상기 디스크 이미지를 병렬로 마운트하는, 전자 디바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운영 체제가 상기 디스크 이미지를 이용하는 이용 상태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운영 체제 및 상기 제2 운영 체제 중 적어도 하나의 상기 디스크 이미지에 대한 이용 권한이 결정되는, 전자 디바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스크 이미지의 상기 이용 상태가 읽기(read) 작업 중인 경우, 상기 제2 운영 체제의 상기 디스크 이미지에 대한 이용 권한은 쓰기 (write) 가능 권한으로 결정되는, 전자 디바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스크 이미지의 상기 이용 상태가 쓰기(write) 작업 중인 경우, 상기 제2 운영 체제의 상기 디스크 이미지에 대한 이용 권한은 읽기 전용 (read-only) 권한으로 결정하는, 전자 디바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운영 체제는 각각 상기 디스크 이미지를 마운트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을 포함하고, 상기 저장부는 상기 애플리케이션을 상기 복수의 운영 체제 각각에 대해 저장하는, 전자 디바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제 2 측면은, 복수의 운영 체제 간에 디스크 이미지를 공유하는 방법에 있어서, 제1 운영 체제에 상기 디스크 이미지를 마운트하는 단계, 상기 제1 운영 체제에서 제2 운영 체제로 포커스를 전환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입력이 수신됨에 따라, 기설정된 기준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운영 체제에 마운트된 상기 디스크 이미지를 상기 제2 운영 체제로 마운트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스크 이미지를 마운트하는 단계는 상기 제2 운영 체제에서 상기 디스크 이미지를 액세스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이 수신됨에 따라, 상기 제1 운영 체제에 마운트된 상기 디스크 이미지를 상기 제2 운영 체제로 마운트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운영 체제에서 상기 디스크 이미지에 대한 쓰기 작업을 정지 (pause) 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운영 체제에 마운트된 상기 디스크 이미지는 상기 제1 운영 체제에서 상기 쓰기 작업이 정지된 후 상기 제2 운영 체제로 마운트되는,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미리 결정된 기준에 기초하여, 상기 제2 운영 체제에 마운트된 상기 디스크 이미지를 상기 제1 운영 체제로 재마운트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운영 체제에서 상기 디스크 이미지에 대한 상기 쓰기 작업을 속개 (resume)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운영 체제가 상기 디스크 이미지를 이용하는 이용 상태에 기초하여, 상기 디스크 이미지를 상기 제1 운영 체제에 재마운트할 시점을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스크 이미지는 상기 제2 운영 체제에서 사용자의 입력 패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운영 체제로 재마운트되는,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스크 이미지는 상기 제1 운영 체제 및/또는 상기 제2 운영 체제에서 상기 디스크 이미지로의 워크로드 (workload) 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운영 체제로 재마운트되는,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스크 이미지는 상기 제1 운영 체제 및 상기 제2 운영 체제에서 시분할 (time-sharing) 방식으로 마운트되는,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운영 체제가 상기 디스크 이미지를 이용하는 이용 상태에 기초하여, 상기 디스크 이미지를 상기 제2 운영 체제에 마운트할 시점을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스크 이미지를 마운트하는 단계는 상기 디스크 이미지의 상기 이용 상태가 쓰기(write) 작업 중인 경우, 상기 제2 운영 체제로의 상기 디스크 이미지의 마운트를 대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용 상태는 상기 제1 운영 체제의 상기 디스크 이미지에 대한 데이터 입출력(I/O) 패턴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스크 이미지를 마운트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운영 체제 및 상기 제2 운영 체제에 상기 디스크 이미지를 병렬로 마운트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운영 체제가 상기 디스크 이미지를 이용하는 이용 상태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운영 체제 및 상기 제2 운영 체제의 상기 디스크 이미지에 대한 이용 권한이 결정되는,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제3 측면은 제1 측면의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a 및 도 1b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디바이스에서 복수의 운영 체제 간 디스크 이미지를 공유하는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디바이스의 블록도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운영 체제 간 디스크 이미지를 공유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운영 체제 간 디스크 이미지를 공유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디바이스에서 복수의 운영 체제 간 디스크 이미지를 공유하는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운영 체제 간 디스크 이미지를 공유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8a 및 도 8b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디바이스에서 복수의 운영 체제 간 디스크 이미지를 공유하는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운영 체제 간 디스크 이미지를 공유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10a 및 도 10b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디바이스에서 복수의 운영 체제 간 디스크 이미지를 공유하는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디바이스에서 복수의 운영 체제 간 디스크 이미지를 공유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12는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운영 체제에서 디스크 이미지가 시분할 (time-sharing) 방식으로 마운트되는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a 및 13b는 일 실시예에 따른, 시분할 (time-sharing) 방식으로 마운트되는 디스크 이미지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14a 및 도 14b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디바이스에서 복수의 운영 체제가 구동되는 하이퍼바이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실시예들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실시예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개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특히, 명세서상에 기재된 숫자들은 이해를 돕기 위한 예로서, 본 발명은 명세서상에 기재된 숫자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서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실시예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고, 본 발명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전자 디바이스는 스마트폰, 태블릿, 휴대폰, 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미디어 플레이어, PMP (Portable Multimedia Player), 전자책 단말기,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C (Personal Computer), 노트북 (laptop), 마이크로 서버,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장치, 네비게이션, 키오스크, MP3 플레이어, 스마트 TV, 디지털 카메라 및 기타 모바일, 또는, 비모바일 컴퓨팅 장치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에서 하이퍼바이저 (hypervisor) 는 하나의 하드웨어에서 복수의 운영 체제 (Operating Systems) 를 동시에 구동하기 위한 논리적 플랫폼을 의미한다. 하이퍼바이저는 하나의 하드웨어에서 독립적으로 운영되는 복수의 가상 머신을 생성하고, 하드웨어의 자원을 가상화할 수 있다. 생성된 가상 머신은 각각의 운영 체제에 의해 운영될 수 있으며, VirtIO와 같은 I/O 가상 구현 프레임워크를 이용하여 하이퍼바이저와 통신할 수 있으며, 하이퍼바이저를 통해 하드웨어를 액세스 (access) 할 수 있다.
하이퍼바이저로서, KVM (Kernel Virtual Machine), QEMU (Quick EMUlator), Xen, "Citrix사"의 XenServer, "Sun사"의 Logical Domain Hypervisor, "Hitachi사"의 Virtage Hypervisor, "VMware사"의 VMware ESX Server, VMware Server, VMware Workstation, 및 VMware Fusion, "마이크로소프트사"의 Hyper-V, Parallel Server, Virtual PC, 및 Virtual Server, "Oracle & SUN Microsystems사"의 Virtual Box, "SWsoft사"의 Parallels Workstation 및 Parallels Desktop 등과 같은 다양한 소프트웨어들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디스크 이미지 (disk image) 는 하드 디스크 볼륨 (hard disk volume) 의 구조 (structure) 를 가지고 콘텐트를 저장할 수 있는 파일을 의미하며, 하이퍼바이저에 의해 운영 체제에 마운트되면 하드 디스크로 에뮬레이트 (emulate) 될 수 있다. 즉, 운영 체제는 마운트된 디스크 이미지를 플래시 메모리나 하드 디스크와 같은 저장 매체로 인식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포커스는 전자 디바이스에서 활성화된 운영 체제를 가리키는 가상의 인디케이터 (indicator) 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전자 디바이스에서 활성화된 운영 체제가 전자 디바이스의 전체 화면에 디스플레이되는 경우, 전체 화면으로 디스플레이되고 있는 운영 체제에 포커스가 위치한다.
또 다른 예를 들면, 전자 디바이스의 한 화면에서 복수의 운영 체제가 함께 디스플레이되는 경우, 예컨대, 전자 디바이스의 화면이 복수의 영역으로 분할되고, 각 영역에서 각 운영 체제가 디스플레이되거나, 전자 디바이스의 화면에서 각 운영 체제의 적어도 일부가 중첩되어 디스플레이되는 경우, 사용자에 의해 가장 나중에 이용된 운영 체제에 포커스가 위치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커스 운영 체제 (focus Operating System) 는 포커스가 위치하는 운영 체제를 의미하고, 백그라운드 운영 체제 (background Operating System) 는 포커스가 위치하지 않은 운영 체제를 의미한다.
도 1a 및 도 1b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디바이스 (1000) 에서 복수의 운영 체제 간 디스크 이미지 (300) 를 공유하는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a 및 도 1b 에서 전자 디바이스 (1000) 는 태블릿 컴퓨터 (1000) 로 도시되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다. 도 1a 및 도 1b를 참조하면, 전자 디바이스 (1000) 에서 복수의 운영 체제가 구동되어, 각 운영 체제가 실행된 화면 (110, 120, 및 130) 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설명의 편의상, 본 명세서의 기재에서 각 운영 체제의 실행 화면 (110, 120, 및 130) 을 지시하는 경우, 각 운영 체제 (110, 120, 및 130) 그 자체를 지시하는 것과 동일한 것으로 가정한다. 여기서, 복수의 운영 체제 (110, 120, 및 130) 중 제1 운영 체제 (110) 는 안드로이드 (110), 제2 운영 체제 (120) 는 마이크로소프트사의 윈도우 (120), 그리고 제3 운영 체제는 애플사의 iOS (130) 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전자 디바이스 (1000) 에서 다양한 운영 체제가 구동될 수 있다.
도 1a를 참조하면, 복수의 운영 체제 (110, 120, 및 130) 중 제1 운영 체제 (110) 에 디스크 이미지 (300) 가 마운트된다. 제1 운영 체제 (110) 에 디스크 이미지 (300) 가 마운트되면, 제1 운영 체제 (110) 는 디스크 이미지 (300) 를 저장 매체로 인식할 수 있다.
따라서, 해당 디스크 이미지 (300) 가 제1 운영 체제 (110) 에서 자유롭게 액세스됨으로써, 제1 운영 체제 (110) 는 디스크 이미지 (300) 에 저장된 데이터를 읽을 (read) 수 있다. 또한, 제1 운영 체제 (110) 에서 처리되는 데이터가 해당 디스크 이미지 (300) 에 저장될 수 있고, 사용자가 별도의 작업을 통해 해당 디스크 이미지 (300) 에 데이터를 저장할 수도 있다.
전자 디바이스 (1000) 는 제1 운영 체제 (110) 로부터 제2 운영 체제 (120) 로 포커스를 전환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면,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운영 체제 (120) 로 포커스를 전환하고, 기설정된 기준에 기초하여 제1 운영 체제 (110) 에 마운트된 디스크 이미지 (300) 를 제2 운영 체제 (120) 로 마운트한다.
제2 운영 체제 (120) 에 디스크 이미지 (300) 가 마운트되면, 제2 운영 체제 (120) 는 디스크 이미지 (300) 를 저장 매체로 인식할 수 있다. 여기서, 해당 디스크 이미지 (300) 는 제1 운영 체제 (110) 에서 처리된 데이터 및 사용자가 저장한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제2 운영 체제 (120) 에서도 제1 운영 체제 (110) 에서 처리된 데이터 및 사용자가 저장한 데이터가 액세스되어, 제1 운영 체제 (110) 및 제2 운영 체제 (120) 간에 데이터가 공유될 수 있다.
또한, 제2 운영 체제 (120) 에서 로컬 (local) 의 하드 디스크를 이용하는 것과 같은 사용자 경험이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으므로, 종래의 네트워크 기반의 데이터 공유에 비해 데이터 읽기 (read) 및 쓰기 (write) 속도가 비약적으로 향상될 수 있다.
나아가, 사용자가 제2 운영 체제 (120) 에서 디스크 이미지 (300) 를 마운트하기 위한 별도의 작업 없이도, 제2 운영 체제 (120) 로 포커스가 전환됨에 따라 디스크 이미지 (300) 가 제2 운영 체제 (120) 로 마운트될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운영 체제마다 디스크 이미지 (300) 를 마운트하는 불편이 해소될 수 있다.
한편, 제3 운영 체제 (130) 에 디스크 이미지 (300) 가 마운트되어, 제1 운영 체제 (110), 제2 운영 체제 (120), 및 제3 운영 체제 (130) 간에 데이터가 공유될 수도 있다.
도 2 및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디바이스 (1000) 의 블록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디바이스 (1000) 는 저장부 (1700), 사용자 입력 수신부 (1100), 및 제어부 (1300) 를 포함한다. 그러나, 도 2에 도시된 구성 요소 모두가 전자 디바이스 (1000) 의 필수 구성 요소인 것은 아니다. 도 2에 도시된 구성 요소보다 많은 구성 요소에 의해 전자 디바이스 (1000) 가 구현될 수도 있고, 도 2에 도시된 구성 요소보다 적은 구성 요소에 의해 전자 디바이스 (1000) 가 구현될 수도 있다.
저장부 (1700) 는, 제어부 (1300) 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고, 전자 디바이스 (1000) 로 입력되거나 전자 디바이스 (1000) 로부터 출력되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저장부 (1700) 는 복수의 운영 체제 및 디스크 이미지를 저장한다.
운영 체제는 커널, 미들웨어, API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운영 체제는 안드로이드 (Android), iOS, 윈도우 (Windows), 블랙베리 OS (Black berry OS), 리눅스 (Linux), 웹 OS, 미고 (MeeGo), BREW (Binary Runtime Environment for Wireless), 심비안 (Symbian), 타이젠 (Tizen), 및 바다 (Bada) 와 같은 모바일 운영 체제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디스크 이미지는 raw, qcow (QEMU Copy On Write), qcow2 등의 파일 포맷을 가질 수 있으며, 디스크 이미지에 데이터가 저장됨에 따라 해당 디스크 이미지의 파일 사이즈는 증가할 수 있다. 나아가, 각 운영 체제에서 마운트된 디스크 이미지가 액세스될 수 있도록, 디스크 이미지는 복수의 운영 체제에서 모두 호환되는 파일 시스템으로 포맷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 수신부 (1100) 는 사용자가 전자 디바이스 (1000) 를 제어하기 위해 데이터를 입력하는 수단을 의미한다.
구체적으로, 사용자 입력 수신부 (1100) 는 제1 운영 체제 (110) 로부터 제2 운영 체제 (120) 로 포커스를 전환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제어부 (1300) 는 통상적으로 전자 디바이스 (1000) 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함으로써, 전자 디바이스 (1000) 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 (1300) 는, 저장부 (1700) 에 저장된 프로그램들을 실행함으로써, 저장부 (1700) 및 사용자 입력 수신부 (1100) 를 전반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 (1300) 는 사용자 입력 수신부 (1100) 를 통해 제1 운영 체제 (110) 로부터 제2 운영 체제 (120) 로 포커스를 전환하는 사용자 입력이 수신됨에 따라, 기설정된 기준에 기초하여 제1 운영 체제 (110) 에 마운트된 디스크 이미지 (300) 를 제2 운영 체제 (120) 로 마운트한다.
도 1a 및 도 1b를 참조하면, 전자 디바이스 (1000) 에서 활성화된 운영 체제가 전자 디바이스 (1000) 의 전체 화면에 디스플레이되는 경우, 전체 화면으로 디스플레이되고 있는 운영 체제에 포커스가 위치한다. 도 1a에서 포커스는 제1 운영 체제 (110) 에 위치하여 제1 운영 체제 (110) 는 포커스 운영 체제이고, 제2 운영 체제 (120) 및 제3 운영 체제 (130)는 백그라운드 운영 체제이다. 도 1b에서 포커스는 제2 운영 체제 (120) 에 위치하여 제2 운영 체제 (120) 는 포커스 운영 체제이고, 제1 운영 체제 (110) 및 제3 운영 체제 (130) 는 백그라운드 운영 체제이다.
일 실시예에서, 제1 운영 체제 (110) 로부터 제2 운영 체제 (120) 로 포커스를 전환하는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어 제2 운영 체제 (120) 로 포커스가 전환되면, 제1 운영 체제 (110) 가 전체 화면으로 디스플레이되던 전자 디바이스 (1000) 는 제2 운영 체제 (120) 를 전체 화면으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전자 디바이스 (1000) 가 스마트폰이나 태블릿과 같이,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경우, 제1 운영 체제 (110) 로부터 제2 운영 체제 (120) 로 포커스를 전환하는 사용자 입력은 복수의 포인터를 이용한 드래그 또는 스와이프 제스쳐 입력일 수 있다.
예컨대,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운영 체제 (110) 가 전체 화면으로 디스플레이되고 있는 전자 디바이스 (1000) 에서 복수의 포인터가 좌측 방향으로 이동하는 드래그 또는 스와이프 제스쳐가 입력되면, 제1 운영 체제 (110) 의 다음 운영 체제, 즉, 제2 운영 체제 (120) 로 포커스가 전환되어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운영 체제 (120) 가 전자 디바이스 (1000) 에서 전체화면으로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운영 체제 (110) 로부터 제2 운영 체제 (120) 로 포커스를 전환하는 사용자 입력은 제2 운영 체제 (120) 를 실행하는 사용자 입력일 수 있다. 예컨대, 제2 운영 체제 (120) 를 실행하는 사용자 입력은 제2 운영 체제 (120) 를 실행하기 위한 바로가기 아이콘, 물리적 버튼, 가상 버튼, 및/또는 단축키에 대한 입력일 수 있다. 여기서 제2 운영 체제 (120) 를 실행하기 위한 바로가기 아이콘은 다른 운영 체제의 실행 화면, 예컨대, 제1 운영 체제 (110) 및/또는 제3 운영 체제 (130) 의 실행 화면에 배치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전자 디바이스 (1000) 의 한 화면에서 복수의 운영 체제가 함께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예컨대, 전자 디바이스 (1000) 의 화면이 복수의 영역으로 분할되고, 각 영역에서 각 운영 체제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또는, 전자 디바이스 (1000) 의 화면에서 각 운영 체제의 적어도 일부가 중첩되어 디스플레이될 수도 있다.
전자 디바이스 (1000) 의 한 화면에서 복수의 운영 체제가 함께 디스플레이되는 경우, 제1 운영 체제로부터 제2 운영 체제로 포커스를 전환하는 사용자 입력은 제2 운영 체제의 실행 화면을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일 수 있다. 예컨대, 전자 디바이스 (1000) 가 스마트폰이나 태블릿과 같이,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경우, 제2 운영 체제의 실행 화면을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은 제2 운영 체제의 실행 화면에 대한 탭 제스처 입력일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구성 요소 모두가 전자 디바이스 (1000) 의 필수 구성 요소인 것은 아니다. 도 2에 도시된 구성 요소보다 많은 구성 요소에 의해 전자 디바이스 (1000) 가 구현될 수도 있고, 예를 들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디바이스 (1000) 는 전술된 저장부 (1700), 사용자 입력 수신부 (1100), 및 제어부 (1300) 이외에 출력부 (1200), 센싱부 (1400), 통신부 (1500), 및 A/V 입력부 (1600) 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전자 디바이스 (1000) 의 각 구성 요소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사용자 입력 수신부 (1100) 는 사용자가 전자 디바이스 (1000) 를 제어하기 위해 데이터를 입력하는 수단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 입력 수신부 (1100) 에는 키 패드 (key pad), 돔 스위치 (dome switch), 터치 패드 (접촉식 정전 용량 방식, 압력식 저항막 방식, 적외선 감지 방식, 표면 초음파 전도 방식, 적분식 장력 측정 방식, 피에조 효과 방식 등),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이 있을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특히, 터치 패드가 디스플레이부 (1210) 와 레이어 구조를 구성하여, 터치 스크린 또는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로 구성되는 경우, 사용자 입력 수신부 (1100) 는 입력 장치 이외에 출력 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
터치 패드는 직접 터치 (real-touch) 뿐만 아니라 근접 터치 (proximity touch) 도 검출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서 설명의 편의상 직접 터치 (real-touch) 및 근접 터치 (proximity touch) 는 모두 "터치"로 지칭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직접 터치 (real-touch)"는 화면에 포인터 (pointer) 가 물리적으로 터치된 상태에서 발생되는 입력을 의미하고, "근접 터치 (proximity-touch)"는 포인터 (pointer) 가 화면에 물리적으로 터치되지 않더라도, 해당 화면으로부터 소정 거리만큼 접근된 상태에서 발생되는 입력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인터 (pointer)"는 디스플레이된 화면의 특정 부분을 직접 터치하거나 근접 터치하기 위한 도구를 말한다. 그 일례로 스타일러스 펜, 손가락 등이 있다.
출력부 (1200) 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또는 진동 신호를 출력할 수 있으며, 출력부 (1200) 는 디스플레이부 (1210), 음향 출력부 (1220), 및 진동 모터 (1230) 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 (1210) 는 전자 디바이스 (1000) 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디스플레이한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 (1210) 는 전자 디바이스 (1000) 에서 구동되는 운영 체제의 실행 화면과 운영 체제에서 구동되는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부 (1210) 와 터치패드가 레이어 구조를 구성하여 터치 스크린으로 구성되는 경우, 디스플레이부 (1210) 는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 (1210) 는 액정 디스플레이 (liquid crystal display),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 (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유기 발광 다이오드 (organic light-emitting diode),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 (3D display), 전기영동 디스플레이 (electrophoretic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전자 디바이스 (1000) 의 구현 형태에 따라 전자 디바이스 (1000) 는 디스플레이부 (1210) 를 2개 이상 포함할 수도 있다. 이때, 2개 이상의 디스플레이부 (1210) 는 힌지 (hinge) 를 이용하여 마주보게 배치될 수 있다.
음향 출력부 (1220) 는 통신부 (1500) 로부터 수신되거나 메모리 (1700) 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한다. 또한, 음향 출력부 (1220) 는 전자 디바이스 (1000) 에서 수행되는 기능과 관련된 음향 신호를 출력한다. 이러한 음향 출력부 (1220) 에는 스피커 (speaker), 버저 (Buzz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진동 모터 (1230) 는 진동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진동 모터 (1230) 는 오디오 데이터 또는 비디오 데이터의 출력에 대응하는 진동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진동 모터 (1230) 는 터치스크린에 터치가 입력되는 경우 진동 신호를 출력할 수도 있다.
제어부 (1300) 는 통상적으로 전자 디바이스 (1000) 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함으로써, 전자 디바이스 (1000) 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 (1300) 는, 저장부 (1700) 에 저장된 프로그램들을 실행함으로써, 사용자 입력 수신부 (1100), 출력부 (1200), 센싱부 (1400), 통신부 (1500), A/V 입력부 (1600) 등을 전반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센싱부 (1400) 는 전자 디바이스 (1000) 의 상태 또는 전자 디바이스 (1000) 주변의 상태를 감지하고, 감지된 정보를 제어부 (1300) 로 전달할 수 있다.
센싱부 (1400) 는 지자기 센서 (Magnetic sensor) (1410), 가속도 센서 (Acceleration sensor) (1420), 온/습도 센서 (1430), 적외선 센서 (1440), 자이로스코프 센서 (1450), 위치 센서 (예컨대, GPS) (1460), 기압 센서 (1470), 근접 센서 (1480), 및 RGB 센서 (illuminance sensor) (1490)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각 센서들의 기능은 그 명칭으로부터 당업자가 직관적으로 추론할 수 있으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통신부 (1500) 는 전자 디바이스 (1000) 와 외부 장치 간의 통신을 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부 (1500) 는, 근거리 통신부 (1510), 이동 통신부 (1520), 방송 수신부 (1530) 를 포함할 수 있다.
근거리 통신부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51) 는 블루투스 통신부, BLE (Bluetooth Low Energy) 통신부, 근거리 무선 통신부 (Near Field Communication unit), WLAN (와이파이) 통신부, 지그비 (Zigbee) 통신부, 적외선 (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통신부, WFD (Wi-Fi Direct) 통신부, UWB (ultra wideband) 통신부, Ant+ 통신부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동 통신부 (1520) 는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여기에서, 무선 신호는, 음성 신호, 화상 통화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방송 수신부 (1530) 는 방송 채널을 통하여 외부로부터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된 정보를 수신한다. 방송 채널은 위성 채널, 지상파 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 구현 예에 따라서 전자 디바이스 (1000) 가 방송 수신부 (1530) 를 포함하지 않을 수도 있다.
A/V (Audio/Video) 입력부 (1600) 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것으로, 이에는 카메라 (1610) 와 마이크로폰 (1620)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카메라 (1610) 은 화상 통화모드 또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를 통해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얻을 수 있다. 이미지 센서를 통해 캡쳐된 이미지는 제어부 (1300) 또는 별도의 이미지 처리부를 통해 처리될 수 있다.
카메라 (1610) 에서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저장부 (1700) 에 저장되거나 통신부 (1500) 를 통하여 외부로 전송될 수 있다. 카메라 (1610) 는 단말기의 구성 태양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도 있다.
마이크로폰 (1620) 은,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 받아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 예를 들어, 마이크로폰 (1620) 은 외부 디바이스 또는 화자로부터 음향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마이크로폰 (1620) 는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 받는 과정에서 발생 되는 잡음 (noise) 를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을 이용할 수 있다. 마이크로폰 (1620) 은 전술된 제어부 (1300) 에 의해 제공된 문제 콘텐트에 대응하는 사용자의 음성 답변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저장부 (1700) 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 (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 (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 (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 (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램 (RAM, Random Access Memory) SRAM (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 (ROM, Read-Only Memory), EEPROM (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저장부는 메모리로 지칭될 수도 있다.
저장부 (1700) 에 저장된 프로그램들은 그 기능에 따라 복수 개의 모듈들로 분류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UI 모듈 (1710), 터치 스크린 모듈 (1720), 알림 모듈 (1730) 등으로 분류될 수 있다.
UI 모듈 (1710) 은, 애플리케이션 별로 전자 디바이스 (1000) 와 연동되는 특화된 UI, GUI 등을 제공할 수 있다. 터치 스크린 모듈 (1720) 은 사용자의 터치 스크린 상의 터치 제스처를 감지하고, 터치 제스처에 관한 정보를 제어부 (1300) 로 전달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 스크린 모듈 (1720) 은 터치 코드를 인식하고 분석할 수 있다. 터치 스크린 모듈 (1720) 은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별도의 하드웨어로 구성될 수도 있다.
터치 패드가 사용자의 터치를 감지하기 위해 터치 패드의 내부 또는 주변에 다양한 센서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다양한 센서의 일례로 촉각 센서가 있다. 촉각 센서는 사람이 느끼는 정도로 또는 그 이상으로 특정 물체의 접촉을 감지하는 센서를 말한다. 촉각 센서는 접촉면의 거칠기, 접촉 물체의 단단함, 접촉 지점의 온도 등의 다양한 정보를 감지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다양한 센서의 일례로 근접 센서가 있다. 근접 센서는 소정의 검출면에 접근하는 물체, 혹은 근방에 존재하는 물체의 유무를 전자계의 힘 또는 적외선을 이용하여 기계적 접촉이 없이 검출하는 센서를 말한다. 근접 센서의 예로는 투과형 광전 센서, 직접 반사형 광전 센서, 미러 반사형 광전 센서, 고주파 발진형 근접 센서, 정전용량형 근접 센서, 자기형 근접 센서, 적외선 근접 센서 등이 있다.
또한, 이러한 다양한 센서의 일례로 압력 감지 (force touch) 센서가 있다. 터치 패드를 터치하는 압력의 크기에 따라, 전자 디바이스 (1000) 에서 서로 다른 기능이 수행될 수 있어, 터치 패드를 통해 인가될 수 있는 제스처 (gesture) 입력이 더욱 다양화될 수 있다.
제스처 입력은 다양한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는데, 그 중 "탭 (tap)"은 터치 패드 상에서 포인터가 한 번 터치된 후 터치 패드로부터 포인터가 떨어지면서 인가되는 입력 방식을 의미하며, "더블 탭 (double tap)"이란 두 번, "멀티플 탭 (multiple tap)"은 세 번 이상의 터치가 소정 시간 내에 인가되는 입력 방식을, "롱 탭 (long tap)"이란 소정 시간 이상 또는 특정 이벤트가 발생할 때까지 터치 상태를 유지하여 인가되는 입력 방식, 즉, 길게 탭 하는 입력 방식을 의미한다. 또한, "드래그 (drag)"는 사용자가 포인터를 이용하여 터치 패드를 터치한 후, 터치 패드와 포인터가 터치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포인터를 터치 패드 상에서 다른 위치로 이동시키는 동작을 의미하며, "스와이프 (swipe)"는 기본적으로 "드래그"와 마찬가지로, 사용자가 포인터를 이용하여 터치 패드를 터치한 후, 터치 패드와 포인터가 터치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포인터를 터치 패드 상에서 다른 위치로 이동시키는 동작을 의미하나, 이동 속도가 비교적 "드래그"보다 빠른 동작을 의미한다.
알림 모듈 (1730) 은 전자 디바이스 (1000) 의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발생할 수 있다. 전자 디바이스 (1000) 에서 발생되는 이벤트의 예로는 신호 수신, 메시지 수신, 키 신호 입력, 일정 알림 등이 있다. 알림 모듈 (1730) 은 디스플레이부 (1210) 를 통해 비디오 신호 형태로 알림 신호를 출력할 수도 있고, 음향 출력부 (1220) 를 통해 오디오 신호 형태로 알림 신호를 출력할 수도 있고, 진동 모터 (1230) 를 통해 진동 신호 형태로 알림 신호를 출력할 수도 있다.
또한,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전자 디바이스 (1000) 의 각 구성들 중 일부 또는 전부는 적어도 하나의 하드웨어 프로세서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디바이스 (1000) 의 메인 프로세서 외의 별도의 프로세서를 통하여, 전자 디바이스 (1000) 의 각 구성들 중 일부 또는 전부가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전자 디바이스 (1000) 의 각 구성들 중 일부는 적어도 하나의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디바이스 (1000) 의 일부 기능은 운영 체제 (Operating System) 프로그램에 의해 구현되고, 일부 기능은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자 디바이스 (1000) 의 기능들은 적어도 하나의 하드웨어 및 적어도 하나의 소프트웨어에 의해 구현될 수 있으며, 소프트웨어에 의해 구현되는 전자 디바이스 (1000) 의 기능들은, 전자 디바이스 (1000) 에 설치된 운영 체제 및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디바이스 (1000) 는 프로세서, 프로그램 데이터를 저장하고 실행하는 메모리, 디스크 드라이브와 같은 영구 저장부 (permanent storage), 외부 장치와 통신하는 통신 포트, 터치 패널, 키 (key), 버튼과 같은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 또는 알고리즘으로 구현되는 방법들은 상기 프로세서상에서 실행 가능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들 또는 프로그램 명령들로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 상에 저장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로 마그네틱 저장 매체 (예컨대, ROM (read-only memory), RAM (random-access memory),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광학적 판독 매체 (예컨대, 시디롬 (CD-ROM), 디브이디 (DVD: Digital Versatile Disc) ) 등이 있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들에 분산되어, 분산 방식으로 컴퓨터가 판독 가능한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판독가능하며, 메모리에 저장되고, 프로세서에서 실행될 수 있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운영 체제 (110, 120, 및 130) 간 디스크 이미지 (300) 를 공유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설명의 편의상, 도 1a 및 도 1b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단계 S100에서 전자 디바이스 (1000) 는 제1 운영 체제 (110) 에 디스크 이미지 (300) 를 마운트한다.
도 1a를 참조하면, 제1 운영 체제 (110) 는 안드로이드 운영 체제 (110) 일 수 있다. 제1 운영 체제 (110) 에 디스크 이미지 (300) 가 마운트되면, 제1 운영 체제 (110) 에서 마운트된 디스크 이미지 (300) 가 액세스될 수 있다.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운영 체제 (110) 에 디스크 이미지 (300) 가 마운트되면, 제1 운영 체제 (110) 는 마운트된 디스크 이미지 (300) 를 플래시 메모리나 하드 디스크와 같은 저장 매체로 인식할 수 있다. 나아가, 해당 디스크 이미지 (300) 에 대해 제1 운영 체제 (110) 는 쓰기 가능 권한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제1 운영 체제 (110) 는 마운트된 디스크 이미지 (300) 에 저장된 데이터를 읽을 (read) 수 있다.
예를 들어, 마운트된 디스크 이미지 (300) 에 MP3 파일과 같은 오디오 파일이 저장되어 있는 경우, 제1 운영 체제 (110) 의 음악 재생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디스크 이미지 (300) 에 저장된 오디오 파일이 재생될 수도 있다. 또한, 마운트된 디스크 이미지 (300) 로부터 제1 운영 체제 (110) 로 데이터가 복사될 수도 있다.
또한, 제1 운영 체제 (110) 에서 처리되는 데이터가 마운트된 디스크 이미지 (300) 에 쓰여질 (written) 수도 있다. 즉, 제1 운영 체제 (110) 에서 처리되는 데이터가 마운트된 디스크 이미지 (300) 에 저장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1 운영 체제 (110) 의 카메라 애플리케이션의 저장 폴더가 디스크 이미지 (300) 또는 디스크 이미지 (300) 내부의 폴더로 지정된 경우, 해당 카메라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촬영된 사진 및 동영상이 마운트된 디스크 이미지 (300) 에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제1 운영 체제 (110) 를 통해 다운로드되는 데이터가 디스크 이미지 (300) 에 저장될 수도 있으며, 제1 운영 체제 (110) 로부터 디스크 이미지 (300) 로 데이터가 복사될 수도 있다.
단계 S110에서 전자 디바이스 (1000) 는 제1 운영 체제 (110) 로부터 제2 운영 체제 (120) 로 포커스를 전환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한다.
도 1a 및 도 1b를 참조하면, 제1 운영 체제 (110) 로부터 제2 운영 체제 (120) 로 포커스를 전환하는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어 제2 운영 체제 (120) 로 포커스가 전환되면, 제1 운영 체제 (110) 가 전체 화면으로 디스플레이되던 전자 디바이스 (1000) 는 제2 운영 체제 (120) 를 전체 화면으로 디스플레이한다. 제2 운영 체제 (120) 는 마이크로소프트사의 윈도우 (120) 일 수 있다.
단계 S120에서 전자 디바이스 (1000) 는, 단계 S110에서 제1 운영 체제 (110) 로부터 제2 운영 체제 (120) 로 포커스를 전환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함에 따라, 기설정된 기준에 기초하여 제1 운영 체제 (110) 에 마운트된 디스크 이미지 (300) 를 제2 운영 체제 (120) 에 마운트한다.
전자 디바이스 (1000) 가 제1 운영 체제 (110) 에 마운트된 디스크 이미지 (300) 를 제2 운영 체제 (120) 에 마운트하는 기설정된 기준은 다양할 수 있다.
예컨대, 전자 디바이스 (1000) 는 포커스를 전환하는 사용자 입력이 수신 완료된 경우, 제1 운영 체제 (110) 에 마운트된 디스크 이미지 (300) 를 제2 운영 체제 (120) 에 마운트할 수 있으며, 제1 운영 체제 (110) 로부터 제2 운영 체제 (120) 로 포커스의 전환이 완료되면, 제1 운영 체제 (110) 에 마운트된 디스크 이미지 (300) 를 제2 운영 체제 (120) 에 마운트할 수도 있다.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운영 체제 (120) 에 디스크 이미지 (300) 가 마운트되면, 제2 운영 체제 (120) 는 마운트된 디스크 이미지 (300) 를 플래시 메모리나 하드 디스크와 같은 저장 매체로 인식할 수 있다. 나아가, 해당 디스크 이미지 (300) 에 대해 제2 운영 체제 (120) 는 쓰기 가능 권한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제2 운영 체제 (120) 는, 제1 운영 체제 (110) 와 마찬가지로 마운트된 디스크 이미지 (300) 에 저장된 데이터를 읽거나, 디스크 이미지 (300) 에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제2 운영 체제 (120) 는 제1 운영 체제 (110) 에서 디스크 이미지 (300) 에 저장된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으므로, 제1 운영 체제 (110) 와 제2 운영 체제 (120) 간의 데이터의 공유가 용이한 효과가 있다.
또한, 제2 운영 체제 (120) 에서도 로컬 (local) 의 하드 디스크를 이용하는 것과 같은 사용자 경험이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으므로, 종래의 네트워크 기반의 데이터 공유에 비해 데이터 읽기 (read) 및 쓰기 (write) 속도가 비약적으로 향상될 수 있다.
나아가, 사용자가 제2 운영 체제 (120) 에서 디스크 이미지 (300) 를 마운트하기 위한 별도의 작업 없이도, 제2 운영 체제 (120) 로 포커스가 전환됨에 따라 디스크 이미지 (300) 가 제2 운영 체제 (120) 로 마운트될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운영 체제마다 디스크 이미지 (300) 를 마운트하는 불편이 해소될 수 있다.
디스크 이미지 (300) 에 대해 제1 운영 체제 (110) 및 제2 운영 체제 (120) 가 모두 쓰기 가능 권한을 갖고, 해당 디스크 이미지 (300) 가 제1 운영 체제 (110) 및 제2 운영 체제 (120) 에 병렬로 마운트될 수도 있다. 이때, 제1 운영 체제 (110) 및 제2 운영 체제 (120) 양쪽에서 해당 디스크 이미지 (300) 에 데이터 쓰기 (write) 가 시도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해당 디스크 이미지 (300) 에서 사용자가 의도치 않은 데이터 중복 (data duplication) 이나, 데이터 모순 (data inconsistency), 데이터 오염 (data corruption), 데이터 충돌 (data collision) 등이 발생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디바이스 (1000) 는 제1 운영 체제 (110) 로부터 디스크 이미지 (300) 를 언마운트 (unmount) 할 수 있다. 제1 운영 체제 (110) 로부터 디스크 이미지 (300) 가 언마운트되는 시점은, 제2 운영 체제 (120) 에 디스크 이미지 (300) 가 마운트되는 시점 이전, 동시, 또는 이후일 수 있다.
제1 운영 체제 (110) 에서 디스크 이미지 (300) 가 언마운트되면, 제1 운영 체제 (110) 에서 디스크 이미지 (300) 는 더 이상 액세스될 수 없다. 즉, 제1 운영 체제 (110) 에서 디스크 이미지 (300) 로부터 데이터를 읽거나, 디스크 이미지 (300) 에 데이터를 저장할 수 없다.
따라서, 제1 운영 체제 (110) 와 제2 운영 체제 (120) 에서 디스크 이미지 (300) 가 동시에 액세스되지 않으므로, 해당 디스크 이미지 (300) 에서 사용자가 의도치 않은 데이터 관련 문제의 발생이 억제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전자 디바이스 (1000) 는 제1 운영 체제 (110) 로부터 디스크 이미지 (300) 가 언마운트되기 전에, 제1 운영 체제 (110) 에서 처리 중인 데이터를 디스크 이미지 (300) 에 자동 저장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따라서, 제2 운영 체제 (120) 는 제1 운영 체제 (110) 에서 작업 중이던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어, 제1 운영 체제 (110) 및 제2 운영 체제 (120) 간의 데이터가 효과적으로 공유될 수 있다.
한편, 전자 디바이스 (1000) 는 제1 운영 체제 (110) 에서 디스크 이미지 (300) 에 대한 작업을 정지 (pause) 시킨 후에 제1 운영 체제 (110) 로부터 디스크 이미지 (300) 를 언마운트하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디스크 이미지 (300) 에 대한 작업을 정지시킨 후에 디스크 이미지 (300) 를 언마운트하는 방법은 도 11에서 후술한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운영 체제 (110, 120, 및 130) 간 디스크 이미지 (300) 를 공유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단계 S200 및 단계 S210은 도 4에서 전술된 단계 S100 및 단계 S110과 동일하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설명의 편의상,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디바이스 (1000) 에서 복수의 운영 체제 (110, 120, 및 130) 간 디스크 이미지 (300) 를 공유하는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단계 S220에서, 전자 디바이스 (1000) 는, 단계 S210에서 제1 운영 체제 (110) 로부터 제2 운영 체제 (120) 로 포커스를 전환하는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면, 제2 운영 체제 (120) 에서 디스크 이미지 (300) 를 액세스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일 실시예에서, 제2 운영 체제 (120) 에서 디스크 이미지 (300) 를 액세스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은 디스크 이미지 (300) 에 저장된 데이터를 읽기 위한 사용자 입력이거나, 디스크 이미지 (300) 에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일 수 있다.
예컨대, 도 6을 참조하면, 제2 운영 체제 (120) 에서 디스크 이미지 (300) 를 액세스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은 제2 운영 체제 (120) 에서 디스크 이미지 (300) 를 오픈 (open) 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일 수 있다. 제2 운영 체제 (120) 에서 디스크 이미지 (300) 가 오픈되면, 디스크 이미지 (300) 에 포함된 파일 및 폴더를 포함하는 창 (121) 이 팝업 (pop-up) 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2 운영 체제 (120) 에서 디스크 이미지 (300) 를 액세스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은 해당 디스크 이미지 (300) 에 저장된 데이터를 읽거나, 해당 디스크 이미지 (300) 에 데이터를 저장하도록 설정된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일 수 있다. 나아가, 제2 운영 체제 (120) 에서 디스크 이미지 (300) 를 액세스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은 해당 애플리케이션의 기능을 실행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일 수도 있다.
예컨대, 제2 운영 체제 (120) 의 카메라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사진 또는 동영상이 촬상되면, 촬상된 사진 또는 동영상은 해당 카메라 애플리케이션에서 설정된 폴더에 저장된다. 만약 해당 카메라 애플리케이션의 저장 폴더가 해당 디스크 이미지 (300) 또는 해당 디스크 이미지 (300) 의 내부 폴더로 지정된 경우, 제2 운영 체제 (120) 에서 해당 카메라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사용자 입력, 및/또는 해당 카메라 애플리케이션에서 사진 또는 동영상의 촬상을 개시하는 사용자 입력은 제2 운영 체제 (120) 에서 디스크 이미지 (300) 를 액세스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일 수 있다.
단계S221에서, 전자 디바이스 (1000) 는, 단계 S220에서 제2 운영 체제 (120) 에서 디스크 이미지 (300) 를 액세스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이 수신됨에 따라, 제1 운영 체제 (110) 에 마운트된 디스크 이미지 (300) 를 제2 운영 체제 (120) 로 마운트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디바이스 (1000) 는 제1 운영 체제 (110) 로부터 디스크 이미지 (300) 를 언마운트 (unmount) 할 수 있다. 전자 디바이스 (1000) 는 제1 운영 체제 (110) 로부터 디스크 이미지 (300) 가 언마운트되기 전에, 제1 운영 체제 (110) 에서 처리 중인 데이터를 디스크 이미지 (300) 에 자동 저장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따라서, 제2 운영 체제 (120) 는 제1 운영 체제 (110) 에서 작업 중이던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어, 제1 운영 체제 (110) 및 제2 운영 체제 (120) 간의 데이터가 효과적으로 공유될 수 있다.
한편, 단계 S220에서 제2 운영 체제 (120) 에서 디스크 이미지 (300) 를 액세스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지 않은 경우, 디스크 이미지 (300) 는 제1 운영 체제 (110) 에 마운트된 상태로 남아있을 수 있다. 따라서, 백그라운드 운영 체제 (110) 인 제1 운영 체제 (110) 에서 디스크 이미지 (300) 에 대한 작업이 중단되지 않으면서, 사용자가 포커스 운영 체제 (120) 인 제2 운영 체제 (120) 를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운영 체제 (110) 에서 디스크 이미지 (300) 에 저장된 음악 파일이 재생되고 있는 경우, 제1 운영 체제 (110) 로부터 제2 운영 체제 (120) 로 포커스가 전환된 이후에도 제1 운영 체제 (110) 로부터 디스크 이미지 (300) 가 언마운트되지 않아 해당 음악 파일은 계속하여 재생될 수 있다.
전술된 바와 같이, 전자 디바이스 (1000) 는 제1 운영 체제 (110) 로부터 제2 운영 체제 (120) 로 포커스가 전환되고, 제2 운영 체제 (120) 에서 디스크 이미지 (300) 를 액세스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이 수신된 경우에, 제1 운영 체제 (110) 에 마운트된 디스크 이미지 (300) 를 제2 운영 체제 (120) 로 마운트하므로, 디스크 이미지 (300) 가 효과적으로 제1 운영 체제 (110) 로부터 언마운트되어 제2 운영 체제 (120) 에 마운트될 수 있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운영 체제 (110, 120, 및 130) 간 디스크 이미지 (300) 를 공유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단계 S300 및 단계 S310은 도 4에서 전술된 단계 S100 및 단계 S110과 동일하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설명의 편의상, 도 8a 및 도 8b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8a 및 도 8b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디바이스 (1000) 에서 복수의 운영 체제 (110, 120, 및 130) 간 디스크 이미지 (300) 를 공유하는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단계 S320에서, 전자 디바이스 (1000) 는, 단계 S310에서 제1 운영 체제 (110) 로부터 제2 운영 체제 (120) 로 포커스를 전환하는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면, 제1 운영 체제 (110) 가 디스크 이미지 (300) 를 이용하는 이용 상태를 판단한다.
일 실시예에서, 제1 운영 체제 (110) 가 디스크 이미지 (300) 를 이용하는 이용 상태는, 제1 운영 체제 (110) 가 디스크 이미지 (300) 에 저장된 데이터를 읽는 읽기 작업 상태, 또는 제1 운영 체제 (110) 가 디스크 이미지 (300) 에 데이터를 저장하는 쓰기 작업 상태로 구분될 수 있다.
예컨대,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운영 체제 (110) 에서 문서 편집 애플리케이션 (111) 이 실행되어, 디스크 이미지 (300) 내에 저장된 문서 파일이 오픈되는 경우, 제1 운영 체제 (110) 가 디스크 이미지 (300) 를 이용하는 이용 상태는 읽기 작업 상태일 수 있다. 또는, 동영상 재생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디스크 이미지 (300) 내에 저장된 동영상 파일이 재생 중인 경우, 제1 운영 체제 (110) 가 디스크 이미지 (300) 를 이용하는 이용 상태는 읽기 작업 상태일 수 있다.
한편, 제1 운영 체제 (110) 에서 문서 편집 애플리케이션 (111) 이 실행되어, 디스크 이미지 (300) 내에 저장된 문서 파일이 오픈 완료되면, 해당 파일은 전자 디바이스 (1000) 의 램에 저장되어 편집될 수 있다.
그러나,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운영 체제 (110) 에서 해당 디스크 이미지 (300) 또는 해당 디스크 이미지 (300) 의 내부 폴더에 데이터가 저장되는 중인 경우, 제1 운영 체제 (110) 가 디스크 이미지 (300) 를 이용하는 이용 상태는 쓰기 작업 상태일 수 있다. 제1 운영 체제 (110) 에서 데이터가 저장되는 중인 경우, 제1 운영 체제 (110) 에서 데이터 저장 진행창 (112) 이 팝업될 수 있다. 데이터 저장 진행창 (112) 에서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진행 상황과 관련된 정보가 표시되며, 데이터 저장 진행창 (112) 은 데이터가 복사되어 저장되는 경우, 또는 데이터가 다운로드되어 저장되는 경우 팝업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데이터 저장 진행창 (112) 에서 저장될 데이터의 크기, 저장이 진행된 데이터의 크기, 데이터가 저장되는 속도, 데이터의 저장이 완료될 때까지 걸리는 시간, 및 데이터의 저장이 완료될 때까지 남은 시간, 저장이 진행된 정도를 나타내는 진행바 (progress bar) 가 표시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운영 체제 (110) 가 디스크 이미지 (300) 를 이용하는 이용 상태는 제1 운영 체제 (110) 의 디스크 이미지 (300) 에 대한 데이터 입출력 (I/O) 패턴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입출력 (I/O) 패턴은 제2 운영 체제 (120) 에서 상기 디스크 이미지 (300) 의 읽기 스루풋 (read throughput) 과 쓰기 스루풋 (write throughput) 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예컨대, 현재 쓰기 스루풋이 기설정된 값 이상인 경우, 이용 상태가 쓰기 작업 중인 것으로 결정되고, 현재 읽기 스루풋이 기설정된 값 이상인 경우, 이용 상태가 읽기 작업 중인 것으로 결정될 수 있다.
또한, 쓰기 스루풋 및 읽기 스루풋을 전자 디바이스의 평균 네트워크 다운로드 속도, 로컬 파일 속도, 파일 재생 속도 등과 비교하여, 제1 운영 체제 (110) 에서 디스크 이미지 (300) 에 대해 수행되는 작업이 구체적으로 어떤 종류의 작업인지 판단될 수 있다.
예컨대, 쓰기 스루풋 및 읽기 스루풋이 전자 디바이스의 평균 네트워크 다운로드 속도, 로컬 파일 속도, 또는 파일 재생 속도의 X% (0<X≤100) 이상인 경우, 전자 디바이스는 제1 운영 체제 (110) 에서 디스크 이미지 (300) 에 대해 수행되는 작업이 디스크 이미지 (300) 에 파일이 다운로드되고 있는지, 디스크 이미지 (300) 에 파일이 복사되고 있는지, 또는 디스크 이미지 (300) 에 저장된 파일이 재생되고 있는지 등을 판단할 수 있다.
입출력 (I/O) 패턴은 상기 제2 운영 체제 (120) 에서 상기 디스크 이미지 (300) 의 읽기 빈도 (read frequency) 와 쓰기 빈도 (write frequency) 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예컨대, 읽기 빈도가 기설정된 빈도 이상인 경우, 이용 상태가 읽기 작업 중인 것으로 결정되고, 쓰기 빈도가 기설정된 빈도 이상인 경우, 이용 상태가 쓰기 작업 중인 것으로 결정될 수 있다.
단계 S321에서, 전자 디바이스 (1000) 는 단계 S320에서 제1 운영 체제 (110) 가 디스크 이미지 (300) 를 이용하는 이용 상태가 읽기 작업 중 것으로 판단된 경우, 제1 운영 체제 (110) 에 마운트된 디스크 이미지 (300) 를 제2 운영 체제 (120) 로 마운트한다.
일 실시예에서,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디바이스 (1000) 는 제1 운영 체제 (110) 로부터 디스크 이미지 (300) 를 언마운트 (unmount) 할 수 있다. 전자 디바이스 (1000) 는 제1 운영 체제 (110) 로부터 디스크 이미지 (300) 가 언마운트되기 전에, 제1 운영 체제 (110) 에서 처리 중인 데이터를 디스크 이미지 (300) 에 자동 저장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8a을 참조하면, 제1 운영 체제 (110) 로부터 디스크 이미지 (300) 가 언마운트되기 전에, 제1 운영 체제 (110) 의 문서 편집 애플리케이션 (111) 에서 편집 중이던 문서는 디스크 이미지 (300) 에 자동 저장될 수 있다. 제1 운영 체제 (110) 에서 편집 중이던 문서가 디스크 이미지 (300) 에 저장된 경우, 제2 운영 체제 (120) 에 디스크 이미지 (300) 가 마운트된 후, 사용자는 제2 운영 체제 (120) 에서도 문서 편집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해당 문서를 편집할 수 있다.
그러나, 제1 운영 체제 (110) 로부터 디스크 이미지 (300) 가 언마운트되기 전에, 제1 운영 체제 (110) 에서 처리 중인 데이터가 디스크 이미지 (300) 에 저장되지 않더라도, 해당 데이터는 전자 디바이스 (1000) 의 램에 남아있을 수 있다. 따라서, 디스크 이미지 (300) 가 제1 운영 체제 (110) 로부터 언마운트되어 제2 운영 체제 (120) 에 마운트된 후, 다시 제1 운영 체제 (110) 에 마운트되면, 사용자는 제1 운영 체제 (110) 의 문서 편집 애플리케이션 (111) 에서 편집하던 상태의 문서를 계속하여 편집할 수 있다. 또한, 램에 남아있는 해당 데이터는 소실되지 않고 디스크 이미지 (300) 에 저장될 수 있다.단계 S322에서, 전자 디바이스 (1000) 는 단계 S320에서 제1 운영 체제 (110) 가 디스크 이미지 (300) 를 이용하는 이용 상태가 쓰기 작업 중 것으로 판단된 경우, 제2 운영 체제 (120) 로의 디스크 이미지 (300) 의 마운트를 대기한다.
일 실시예에서, 전자 디바이스 (1000) 는, 제1 운영 체제 (110) 에서 디스크 이미지 (300) 의 쓰기 작업이 완료되면, 제2 운영 체제 (120) 로 디스크 이미지 (300) 를 마운트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운영 체제 (110) 에서 작업 중이던 데이터를 보존하면서, 해당 데이터가 제2 운영 체제 (120) 에서도 효과적으로 이용될 수 있다.
만약 제1 운영 체제 (110) 에서 디스크 이미지 (300) 의 쓰기 작업이 완료되기 이전에, 제2 운영 체제 (120) 로부터 제1 운영 체제 (110) 로 포커스를 전환하는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면, 전자 디바이스 (1000) 는 제2 운영 체제 (120) 로 디스크 이미지 (300) 를 마운트할 필요 없이, 제1 운영 체제 (110) 에 디스크 이미지 (300) 가 마운트된 상태를 계속 유지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2 운영 체제 (120) 로의 디스크 이미지 (300) 의 마운트를 대기하는 경우, 전자 디바이스 (1000) 는 제2 운영 체제 (120) 에서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에게 디스크 이미지 (300) 의 마운트가 대기 중임을 알리는 알림 (notification, 122) 을 팝업시킬 (pop-upping) 수 있다.
해당 알림 (122) 은 제1 운영 체제 (110) 의 이용 상태와 관련한 내용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도 8b를 참조하면, 알림 (122) 은 "현재 제1 운영 체제 (110) 에서 디스크 이미지 (300) 에 파일 복사 중"과 같은 내용을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알림 (122) 은 제1 운영 체제 (110) 에서 디스크 이미지 (300) 의 쓰기 작업의 진행 상태나, 해당 작업의 완료 예정 시간 등과 같은 내용을 포함할 수도 있다.
나아가, 알림 (122) 은 사용자에게 제1 운영 체제 (110) 에서 디스크 이미지 (300) 를 강제로 언마운트하여 제2 운영 체제 (120) 로 마운트할 것인지 여부를 묻는 선택창을 포함할 수도 있다. 따라서, 사용자의 의사에 따라 제1 운영 체제 (110) 로부터 디스크 이미지 (300) 가 언마운트되어 제2 운영 체제 (120) 로 마운트될 수 있어, 사용자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전자 디바이스 (1000) 는 제1 운영 체제 (110) 로부터 제2 운영 체제 (120) 로 포커스가 전환되고, 제1 운영 체제 (110) 가 디스크 이미지 (300) 를 이용하는 이용 상태에 기초하여, 제1 운영 체제 (110) 에 마운트된 디스크 이미지 (300) 를 제2 운영 체제 (120) 로 마운트하므로, 디스크 이미지 (300) 가 효과적으로 제1 운영 체제 (110) 로부터 언마운트되어 제2 운영 체제 (120) 에 마운트될 수 있다.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운영 체제 (110, 120, 및 130) 간 디스크 이미지 (300) 를 공유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설명의 편의상, 도 10a 및 도 10b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0a 및 도 10b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디바이스 (1000) 에서 복수의 운영 체제 (110, 120, 및 130) 간 디스크 이미지 (300) 를 공유하는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단계 S400에서, 전자 디바이스 (1000) 는 제1 운영 체제 (110) 에 디스크 이미지 (300) 를 마운트한다.
도 10a 및 도 10b를 참조하면, 전자 디바이스 (1000) 는 복수의 운영 체제 (110, 120, 및 130) 에 디스크 이미지 (300) 를 병렬로 마운트할 수 있다.
디스크 이미지 (300) 에 대해 복수의 운영 체제 (110, 120, 및 130) 가 모두 쓰기 가능 권한을 갖고, 해당 디스크 이미지 (300) 가 복수의 운영 체제 (110, 120, 및 130) 에 병렬로 마운트되면, 전술된 바와 같이, 해당 디스크 이미지 (300) 에서 사용자가 의도치 않은 데이터 중복 (data duplication) 이나, 데이터 모순 (data inconsistency), 데이터 오염 (data corruption), 데이터 충돌 (data collision) 등이 발생할 수도 있다.
따라서, 전자 디바이스 (1000) 는 디스크 이미지 (300) 에 대한 쓰기 가능 권한은 하나의 운영 체제만 갖도록 구현될 수 있다. 도 10a 및 도 10b에서 점선으로 도시된 화살표는 해당 디스크 이미지 (300) 에 대한 이용 권한이 읽기 전용 (read-only) 권한임을 의미하며, 실선으로 도시된 화살표는 해당 디스크 이미지 (300) 에 대한 이용 권한이 쓰기 가능 권한임을 의미한다.
도 10a를 참조하면, 디스크 이미지 (300) 에 대해 제1 운영 체제 (110) 는 읽기 전용 (read-only) 권한을 가질 수 있다.
단계 S410에서, 전자 디바이스 (1000) 는 제1 운영 체제 (110 또는 130) 로부터 제2 운영 체제 (120) 로 포커스를 전환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한다.
도 10a 를 참조하면, 제1 운영 체제 (110 또는 130) 로부터 제2 운영 체제 (120) 로 포커스를 전환하는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어 제2 운영 체제 (120) 로 포커스가 전환되면, 제1 운영 체제 (110 또는 130) 가 전체 화면으로 디스플레이되던 전자 디바이스 (1000) 는 제2 운영 체제 (120) 를 전체 화면으로 디스플레이한다.
단계 S420에서, 전자 디바이스 (1000) 는, 단계 S410에서 제1 운영 체제 (110 또는 130) 로부터 제2 운영 체제 (120) 로 포커스를 전환하는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면, 제1 운영 체제 (110 및 130) 가 디스크 이미지 (300) 를 이용하는 이용 상태를 판단한다.
전자 디바이스 (1000) 는 제1 운영 체제 (110 및 130) 가 디스크 이미지 (300) 를 이용하는 이용 상태에 기초하여, 디스크 이미지 (300) 에 대한 제2 운영 체제 (120) 의 이용 권한을 결정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단계 S421에서, 전자 디바이스 (1000) 는 단계 S420에서 제1 운영 체제 (110 및 130) 가 디스크 이미지 (300) 를 이용하는 이용 상태가 읽기 작업 중 것으로 판단된 경우, 제2 운영 체제 (120) 의 디스크 이미지 (300) 에 대한 이용 권한을 쓰기 가능 권한으로 결정한다.
도 10a를 참조하면, 제1 운영 체제 (110) 에서 문서 편집 애플리케이션 (111) 이 실행되어, 디스크 이미지 (300) 내에 저장된 문서 파일이 오픈되어 편집 중인 경우, 제1 운영 체제 (110) 가 디스크 이미지 (300) 를 이용하는 이용 상태는 읽기 작업 상태일 수 있다.
또한, 제1 운영 체제 (130) 에서 동영상 재생 애플리케이션 (131) 이 실행되어, 디스크 이미지 (300) 내에 저장된 동영상 파일이 재생되고 있는 경우, 제1 운영 체제 (130) 가 디스크 이미지 (300) 를 이용하는 이용 상태는 읽기 작업 상태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운영 체제 (110 또는 130) 가 디스크 이미지 (300) 에 대해 쓰기 가능 권한을 갖고, 해당 디스크 이미지 (300) 에 대해 읽기 작업 중인 경우, 전자 디바이스 (1000) 는 해당 디스크 이미지 (300) 에 대한 제1 운영 체제 (110 또는 130) 의 이용 권한을 읽기 전용 권한으로 변경하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디바이스 (1000) 는 디스크 이미지 (300) 에 대한 제1 운영 체제 (110 또는 130) 의 이용 권한이 읽기 전용 권한으로 변경되기 전에, 제1 운영 체제 (110 또는 130) 에서 처리 중인 데이터를 디스크 이미지에 자동 저장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단계 S422에서, 전자 디바이스 (1000) 는, 단계 S420에서 제1 운영 체제 (110 또는 130) 가 디스크 이미지 (300) 를 이용하는 이용 상태가 쓰기 작업 중 것으로 판단된 경우, 제2 운영 체제 (120) 의 디스크 이미지 (300) 에 대한 이용 권한을 읽기 전용 (read-only) 권한으로 결정한다.
도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운영 체제 (110) 에서 디스크 이미지 (300) 로 파일을 복사 중인 경우, 제1 운영 체제 (110) 가 해당 디스크 이미지 (300) 를 이용하는 이용 상태는 쓰기 작업 중이다. 따라서, 전자 디바이스 (1000) 는 제2 운영 체제 (120) 의 디스크 이미지 (300) 이용 권한을 읽기 전용 권한으로 결정할 수 있다. 만약, 제1 운영 체제 (110) 에서 디스크 이미지 (300) 에 대한 쓰기 작업이 완료되면, 전자 디바이스 (1000) 는 디스크 이미지 (300) 에 대한 제1 운영 체제 (110) 의 이용 권한을 읽기 전용 권한으로 변경하고, 제2 운영 체제 (120) 의 이용 권한을 쓰기 가능 권한으로 변경하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단계 S423에서, 전자 디바이스 (1000) 는, 단계 S421 또는 단계 S422에서 제2 운영 체제 (120) 의 디스크 이미지 (300) 에 대한 이용 권한이 결정되면, 디스크 이미지 (300) 를 제2 운영 체제 (120) 로 마운트한다.
일 실시예에서, 디스크 이미지 (300) 에 대해 읽기 전용 권한을 갖는 제2 운영 체제 (120) 에서 해당 디스크 이미지 (300) 에 대한 쓰기 작업이 시도되면, 전자 디바이스 (1000) 는 사용자에게 디스크 이미지 (300) 의 이용 권한이 읽기 전용임을 알리는 알림 (notification, 123) 을 팝업시킬 (pop-upping) 수 있다.
해당 알림 (123) 은 제1 운영 체제 (110) 의 이용 상태와 관련한 내용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도 10b를 참조하면, 알림 (123) 은 "현재 제1 운영 체제 (110) 에서 디스크 이미지 (300) 에 파일 복사 중"과 같은 내용을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알림 (123) 은 제1 운영 체제 (110) 에서 디스크 이미지 (300) 의 쓰기 작업의 진행 상태나, 해당 작업의 완료 예정 시간 등과 같은 내용을 포함할 수도 있다.
나아가, 알림 (123) 은 사용자에게 제1 운영 체제 (110) 에서 디스크 이미지 (300) 를 강제로 언마운트하거나, 디스크 이미지 (300) 에 대한 제1 운영 체제 (110) 의 이용 권한을 읽기 전용 권한으로 변경하고, 제2 운영 체제 (120) 의 이용 권한을 쓰기 가능 권한으로 변경할 것인지 여부를 묻는 선택창을 포함할 수도 있다. 따라서, 사용자의 의사에 따라 제1 운영 체제 (110 또는 130) 또는 제2 운영 체제 (120) 에서 디스크 이미지 (300) 에 대해 쓰기 작업이 수행될 수 있어, 사용자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디바이스 (1000) 는 디스크 이미지 (300) 에 대한 각 운영 체제의 이용 권한을 상이하게 결정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예컨대, 복수의 운영 체제 (110, 120, 및 130) 중에서 포커스가 위치한 운영 체제는 해당 디스크 이미지 (300) 에 대해 쓰기 가능 권한을 가지고, 복수의 운영 체제 (110, 120, 및 130) 중에서 포커스가 위치하지 않은 운영 체제는 해당 디스크 이미지 (300) 에 대해 읽기 전용 (read-only) 권한을 가지도록 구현될 수 있다. 즉, 해당 디스크 이미지 (300) 에 대해, 포커스 운영 체제는 쓰기 가능 권한을 가지고, 백그라운드 운영 체제는 읽기 전용 권한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해당 디스크 이미지 (300) 에 대한 각 운영 체제 (110, 120, 및 130) 의 이용 권한은 포커스가 전환됨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도 1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디바이스 (1000) 에서 복수의 운영 체제 (110, 120, 및 130) 간 디스크 이미지 (300) 를 공유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단계 S500 및 단계 S510은 도 4에서 전술된 단계 S100 및 단계 S110과 동일하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제1 운영 체제 (110) 에서 디스크 이미지 (300) 에 대한 쓰기 작업이 수행되고 있는 것으로 가정한다.
단계 S520에서 전자 디바이스 (1000) 는, 단계 S510에서 제1 운영 체제 (110) 로부터 제2 운영 체제 (120) 로 포커스를 전환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함에 따라, 제1 운영 체제 (110) 에서 디스크 이미지 (300) 에 대한 쓰기 작업을 정지한다.
예를 들어, 쓰기 작업은 제1 운영 체제 (110) 에서 해당 디스크 이미지 (300) 또는 해당 디스크 이미지 (300) 의 내부 폴더에 데이터가 저장되는 중인 경우 수행되는, 일련의 작업들 또는 일련의 작업들중 일부일 수 있다.
쓰기 작업은 "쓰기의 요청 (request)", 디스크 이미지 (300) 에서 쓰기 요청된 데이터가 저장될 공간의 "할당 (allocation)", 및 디스크 이미지에 데이터의 "실제로 쓰기 (write)" 작업들로 이루어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운영 체제 (110) 에서 정지되는 쓰기 작업은 "할당" 및 "실제로 쓰기" 작업들일 수 있다. 즉, "쓰기의 요청" 작업은 제1 운영 체제 (110) 에서 실행되고, "할당" 및 "실제로 쓰기" 작업은 연기되어, 제1 운영 체제 (110) 에서 쓰기 작업은 속개 (resume) 되기 전까지 대기 (stand by) 할 수 있다.
제1 운영 체제 (110) 에서 "쓰기의 요청" 작업이 실행된 후, 제1 운영 체제 (110) 로부터 전자 디바이스 (1000) 로의 응답이 연기되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따라서, 제1 운영 체제 (110) 로부터 디스크 이미지 (300) 가 언마운트된 후, 전자 디바이스 (1000) 로 에러 응답 (error response) 이 수신되지 않아, 쓰기 작업이 중단되지 않을 수 있다. 쓰기 작업은 중단되지 않으므로, 제1 운영 체제 (110) 에 디스크 이미지 (300) 가 재마운트되면, 쓰기 작업은 다시 속개될 수 있어, 사용자의 편의를 제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전자 디바이스 (1000) 는 기설정된 기준에 기초하여 제1 운영 체제 (110) 에서 디스크 이미지 (300) 에 대한 쓰기 작업을 정지하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여기서, 기설정된 기준은, 전술된 제1 운영 체제 (110) 에 마운트된 디스크 이미지 (300) 를 제2 운영 체제 (120) 에 마운트하는 기설정된 기준과 동일할 수 있다.
단계 S521에서 전자 디바이스 (1000) 는, 제1 운영 체제 (110) 로부터 디스크 이미지 (300) 를 언마운트한다.
제1 운영 체제 (110) 로부터 디스크 이미지 (300) 가 언마운트되더라도, 제1 운영 체제 (110) 에서 디스크 이미지 (300) 에 대한 쓰기 작업이 정지된 바, 해당 쓰기 작업은 중단되지 않고, 제1 운영 체제 (110) 에 디스크 이미지 (300) 가 재마운트되면, 쓰기 작업은 다시 속개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의 편의가 제고될 수 있다.
단계 S522에서 전자 디바이스 (1000) 는, 제2 운영 체제 (120) 에 디스크 이미지 (300) 를 마운트한다.
제2 운영 체제 (120) 는, 제1 운영 체제 (110) 와 마찬가지로 마운트된 디스크 이미지 (300) 에 저장된 데이터를 읽거나, 디스크 이미지 (300) 에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제2 운영 체제 (120) 는 제1 운영 체제 (110) 에서 디스크 이미지 (300) 에 저장된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으므로, 제1 운영 체제 (110) 와 제2 운영 체제 (120) 간의 데이터의 공유가 용이한 효과가 있다.
단계 S530에서 전자 디바이스 (1000) 는, 미리 결정된 기준의 충족 여부를 결정하여, 미리 결정된 기준이 충족된 경우, 디스크 이미지 (300) 를 제2 운영 체제 (120) 로부터 언마운트하고(S531), 제1 운영 체제 (110) 로 재마운트한다(S532).
미리 결정된 기준은 제2 운영 체제 (120) 가 디스크 이미지 (300) 를 이용하는 이용 상태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운영 체제 (120) 에서 디스크 이미지 (300) 에 대해 읽기 또는 쓰기 작업이 수행되고 있지 않은 경우, 전자 디바이스 (1000) 는 제2 운영 체제 (120) 에 마운트된 디스크 이미지 (300) 를 제1 운영 체제 (110) 로 재마운트할 수 있다.
미리 결정된 기준은 제2 운영 체제 (120) 에서 사용자의 입력 패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운영 체제 (110) 로부터 제2 운영 체제 (120) 로 포커스가 전환된 이후, 사용자가 소정의 시간 이상 전자 디바이스 (1000) 를 조작하지 않는 경우, 사용자가 소정의 시간 이상 디스크 이미지 (300) 에 대한 읽기/쓰기 작업과 무관하게 전자 디바이스 (1000) 를 조작하는 경우, 또는, 유휴 시간 (idle time) 이 소정의 시간 이상인 경우, 전자 디바이스 (1000) 는 제2 운영 체제 (120) 에 마운트된 디스크 이미지 (300) 를 제1 운영 체제 (110) 로 재마운트할 수 있다.
미리 결정된 기준은 제1 운영 체제 (110) 및/또는 제2 운영 체제 (120) 에서 디스크 이미지 (300) 로의 워크로드 (workload) 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운영 체제 (110) 에서 디스크 이미지 (300) 로의 워크로드가, 제2 운영 체제 (120) 에서 디스크 이미지 (300) 로의 워크로드보다 큰 경우, 전자 디바이스 (1000) 는 제2 운영 체제 (120) 에 마운트된 디스크 이미지 (300) 를 제1 운영 체제 (110) 로 재마운트할 수 있다. 따라서, 워크로드가 큰 작업이 우선적으로 완료되어, 전자 디바이스 (1000) 의 리소스가 효율적으로 이용될 수 있다.
단계 S540에서 전자 디바이스 (1000) 는, 제1 운영 체제 (110) 에서 정지되었던 디스크 이미지 (300) 에 대한 쓰기 작업을 속개한다.
따라서, 사용자가 포커스 운영 체제 (120) 인 제2 운영 체제 (120) 를 이용하는 동안에도, 백그라운드 운영 체제인 제1 운영 체제 (110) 에서 디스크 이미지 (300) 에 대한 쓰기 작업이 계속될 수 있다. 사용자에게는 복수의 운영 체제 (110, 120, 및 130) 에서 디스크 이미지 (300) 를 동시에 (simultaneously) 사용하는 듯한 사용자 경험이 제공될 수 있다.
단계 S550에서 전자 디바이스 (1000) 는, 제1 운영 체제 (110) 에서 디스크 이미지 (300) 에 대한 쓰기 작업의 완료 여부를 판단하여, 쓰기 작업이 완료된 경우, 디스크 이미지 (300) 를 제1 운영 체제 (110) 로부터 언마운트하여 (S551), 제2 운영 체제 (120) 에 디스크 이미지 (300) 를 재마운트한다 (S552).
제1 운영 체제 (110) 는 백그라운드 운영 체제 (110) 로서, 사용자가 조작하고 있지 않으므로, 속개된 쓰기 작업이 완료되면, 디스크 이미지 (300) 가 마운트되어 있는 것은 불필요하다. 따라서, 전자 디바이스 (1000) 는 속개된 쓰기 작업이 완료되면, 디스크 이미지 (300) 를 제1 운영 체제 (110) 로부터 언마운트하여, 포커스 운영 체제 (120) 인 제2 운영 체제 (120) 에 마운트함으로써, 사용자가 포커스 운영 체제 (120) 인 제2 운영 체제 (120) 에서 언제든지 디스크 이미지 (300) 를 신속하게 액세스할 수 있다.
도 12는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운영 체제 (110, 120, 및 130) 에서 디스크 이미지 (300) 가 시분할 (time-sharing) 방식으로 마운트되는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설명의 편의상 도 13a 및 도 13b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3a 및 도 13b는 일 실시예에 따른, 시분할 (time-sharing) 방식으로 마운트되는 디스크 이미지 (300) 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13a 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디스크 이미지 (300) 는 두 개의 운영 체제에서 시분할 방식으로 마운트되고, 도 13b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디스크 이미지 (300) 는 세 개의 운영 체제에서 시분할 방식으로 마운트된다.도 12, 도 13a 및 도 13b를 참조하면, 전자 디바이스 (1000) 는, 제1 운영 체제 (110) 로부터 제2 운영 체제 (120) 로 포커스를 전환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함에 따라, 디스크 이미지 (300) 를 제1 운영 체제 (110) 로부터 언마운트하여, 제2 운영 체제 (120) 로 마운트할 수 있다. 포커스가 제2 운영 체제 (120) 에 위치하므로, 제2 운영 체제 (120) 는 포커스 운영 체제 (120) 이고, 제1 운영 체제 (110) 및 제3 운영 체제 (130) 는 백그라운드 운영 체제 (110 및 130) 이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운영 체제 (110) 및 제2 운영 체제 (120) 에서 디스크 이미지 (300) 에 대한 쓰기 작업이 개시된 상태일 수 있다. 다만, 제1 운영 체제 (110) 로부터 제2 운영 체제 (120) 로 포커스가 전환되어 디스크 이미지 (300) 가 제2 운영 체제 (120) 에 마운트됨에 따라, 제1 운영 체제 (110) 에서 디스크 이미지 (300) 에 대한 쓰기 작업은 정지되고, 제2 운영 체제 (120) 에서 디스크 이미지 (300) 에 대한 쓰기 작업은 진행될 수 있다.
제1 운영 체제 (110) 및 제2 운영 체제 (120) 모두에서 디스크 이미지 (300) 에 대한 쓰기 작업이 개시된 상태인 경우, 도 1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크 이미지 (300) 는 제1 운영 체제 (110) 및 제2 운영 체제 (120) 에서 시분할 (time-sharing) 방식으로 마운트될 수 있다.
디스크 이미지가 시분할 (time-sharing) 방식으로 마운트되는 것은, 하나의 동일한 디스크 이미지가 복수의 운영 체제에서 교차적으로 마운트되는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도 13a를 참조하면, 디스크 이미지 (300) 는 제2 운영 체제 (120) 에 시간 (T2) 동안 마운트되었다가, 제1 운영 체제 (110) 로의 포커스 전환이 없더라도, 제1 운영 체제 (110) 로 시간 (T1) 동안 디스크 이미지 (300) 가 재마운트될 수 있다. 디스크 이미지 (300) 는 제1 운영 체제 (110) 로 시간 (T1) 동안 재마운트되었다가, 다시 제2 운영 체제 (120) 로 재마운트될 수 있다. 디스크 이미지 (300) 가 제2 운영 체제 (120) 에 시간 (T2) 동안 마운트되어 있는 동안, 제2 운영 체제 (120) 에서 디스크 이미지 (300) 에 대한 쓰기 작업이 진행되고, 디스크 이미지 (300) 가 제1 운영 체제 (110) 에 시간 (T1) 동안 마운트되어 있는 동안, 제1 운영 체제 (110) 에서 디스크 이미지 (300) 에 대한 쓰기 작업이 진행될 수 있다.
제1 운영 체제 (110) 및 제2 운영 체제 (120) 각각에 디스크 이미지 (300) 가 마운트되는 시간 (T1 및 T2) 은 각각 상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디바이스 (1000) 는 제1 운영 체제 (110) 보다 제2 운영 체제 (120) 에서 더 긴 시간 동안 디스크 이미지 (300) 를 마운트하고 있도록 구현될 수 있다. 디스크 이미지 (300) 가 제1 운영 체제 (110) 보다 제2 운영 체제 (120) 에서 더 긴 시간 동안 마운트됨으로써, 포커스를 전환하여 제2 운영 체제 (120) 를 이용하는 사용자의 편의성이 제고될 수 있다.
전자 디바이스 (1000) 는, 제2 운영 체제 (120) 에서 사용자의 입력 패턴에 기초하여, 제2 운영 체제 (120) 및 제1 운영 체제 (110) 에서 디스크 이미지 (300) 가 마운트되는 시간의 비율을 결정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소정의 시간 이상 전자 디바이스 (1000) 를 조작하지 않는 경우, 사용자가 소정의 시간 이상 디스크 이미지 (300) 에 대한 읽기/쓰기 작업과 무관하게 전자 디바이스 (1000) 를 조작하는 경우, 또는, 유휴 시간 (idle time) 이 소정의 시간 이상 지속되는 경우, 전자 디바이스 (1000) 는 제1 운영 체제 (110) 에서 디스크 이미지 (300) 가 마운트되는 시간 (T1) 의 비율을 증가시키고, 제2 운영 체제 (120) 에서 디스크 이미지 (300) 가 마운트되는 시간 (T2) 의 비율을 감소시킬 수 있다.
제1 운영 체제 (110) 및 제2 운영 체제 (120) 에서 디스크 이미지 (300) 가 시분할 (time-sharing) 방식으로 마운트됨으로써, 제1 운영 체제 (110) 및 제2 운영 체제 (120) 에서 디스크 이미지 (300) 가 효율적으로 이용될 수 있다.
제1 운영 체제 (110) ,제2 운영 체제 (120), 및 제3 운영 체제 (130) 모두에서 디스크 이미지 (300) 에 대한 쓰기 작업이 개시된 상태인 경우, 도 1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크 이미지 (300) 는 제1 운영 체제 (110), 제2 운영 체제 (120) 및 제3 운영 체제 (130) 에서 시분할 (time-sharing) 방식으로 마운트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크 이미지 (300) 는 제2 운영 체제 (120) 에 시간 (T2) 동안 마운트되었다가, 제1 운영 체제 (110) 로의 포커스 전환이 없더라도, 제1 운영 체제 (110) 로 시간 (T1) 동안 디스크 이미지 (300) 가 재마운트될 수 있다. 디스크 이미지 (300) 는 제1 운영 체제 (110) 로 시간 (T1) 동안 재마운트되었다가, 제3 운영 체제 (130) 로 시간 (T1') 동안 마운트될 수 있다. 디스크 이미지 (300) 가 마운트되어 있는 운영 체제에서 디스크 이미지 (300) 에 대한 쓰기 작업이 진행된다.
백그라운드 운영 체제 (110, 및 130) 및 포커스 운영 체제 (120) 각각에 디스크 이미지 (300) 가 마운트되는 시간 (T1, T1' 및 T2) 은 각각 상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디바이스 (1000) 는 . 백그라운드 운영 체제 (110, 및 130) 보다 포커스 운영 체제 (120) 에서 더 긴 시간 동안 디스크 이미지 (300) 를 마운트하고 있도록 구현될 수 있다. 디스크 이미지 (300) 가 백그라운드 운영 체제 (110, 및 130) 보다 포커스 운영 체제 (120) 에서 더 긴 시간 동안 마운트됨으로써, 포커스를 전환하여 포커스 운영 체제 (120) 를 이용하는 사용자의 편의성이 제고될 수 있다.
전자 디바이스 (1000) 는, 백그라운드 운영 체제 (110, 및 130) 에서 디스크 이미지 (300) 로의 워크로드 (workload) 에 기초하여, 백그라운드 운영 체제 (110, 및 130) 에서 디스크 이미지 (300) 가 마운트되는 시간의 비율을 결정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운영 체제 (110) 에서 디스크 이미지 (300) 로의 워크로드가, 제3 운영 체제 (120) 에서 디스크 이미지 (300) 로의 워크로드보다 큰 경우, 전자 디바이스 (1000) 는 제1 운영 체제 (110) 에서 디스크 이미지 (300) 가 마운트되는 시간 (T1) 의 비율을 증가시키고, 제3 운영 체제 (130) 에서 디스크 이미지 (300) 가 마운트되는 시간 (T1') 의 비율을 감소시킬 수 있다. 로컬 복사 (local copy) 의 워크로드는 네트워크를 통한 다운로드의 워크로드보다 클 수 있다. 따라서, 백그라운드 운영 체제 (110, 및 130) 에서 워크로드가 큰 작업이 우선적으로 완료되어, 전자 디바이스 (1000) 의 리소스가 효율적으로 이용될 수 있다.
전자 디바이스 (1000) 는, 포커스 운영 체제 (120) 에서 사용자의 입력 패턴에 기초하여, 포커스 운영 체제 (120) 및 백그라운드 운영 체제 (110, 및 130) 에서 디스크 이미지 (300) 가 마운트되는 시간의 비율을 결정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소정의 시간 이상 전자 디바이스 (1000) 를 조작하지 않는 경우, 사용자가 소정의 시간 이상 디스크 이미지 (300) 에 대한 읽기/쓰기 작업과 무관하게 전자 디바이스 (1000) 를 조작하는 경우, 또는, 유휴 시간 (idle time) 이 소정의 시간 이상 지속되는 경우, 전자 디바이스 (1000) 는 백그라운드 운영 체제 (110, 및 130) 에서 디스크 이미지 (300) 가 마운트되는 시간 (T1) 의 비율을 증가시키고, 포커스 운영 체제 (120) 에서 디스크 이미지 (300) 가 마운트되는 시간 (T2) 의 비율을 감소시킬 수 있다.
백그라운드 운영 체제 (110, 및 130) 및 포커스 운영 체제 (120) 에서 디스크 이미지 (300) 가 시분할 (time-sharing) 방식으로 마운트됨으로써, 백그라운드 운영 체제 (110, 및 130) 및 포커스 운영 체제 (120) 에서 디스크 이미지 (300) 가 효율적으로 이용될 수 있다.
한편, 디스크 이미지 (300) 가 백그라운드 운영 체제 (110 또는 130) 로부터 언마운트되어, 포커스 운영 체제 (120) 로 마운트되는 데, 전자 디바이스 (1000) 의 성능 및 운영 체제 (110, 120, 및 130) 의 특성에 따라 시간 (t2) 이 소요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디스크 이미지 (300) 가 백그라운드 운영 체제 (110 또는 130) 로 마운트되는 데 시간 (t1 또는 t1') 이 소요될 수 있다.
도 14a 및 도 14b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디바이스 (1000) 에서 복수의 운영 체제 (OS1, OS2 및 OS3, 또는, OS4, OS5 및 OS6) 가 구동되는 하이퍼바이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4a 및 도 14b를 참조하면, 전자 디바이스 (1000) 는 하나의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하나의 하드웨어는 전자 디바이스 (1000) 에 포함된 구성 요소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하나의 하드웨어에서 복수의 운영 체제 (OS1, OS2 및 OS3, 또는, OS4, OS5 및 OS6) 를 구동하기 위해, 하이퍼바이저 (hypervisor) 가 이용될 수 있다.
전술된 다양한 실시예들은 도 14a 또는 도 14b에 도시된 하이퍼바이저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도 14a를 참조하면, 하이퍼바이저가 하드웨어에서 1번째 수준으로 실행되고, 해당 하이퍼바이저에 대한 게스트 운영 체제 (OS1, OS2, 및 OS3) 는 하드웨어에서 2번째 수준으로 실행될 수 있다. 하이퍼바이저가 하드웨어의 자원을 가상화함으로써, 복수의 운영 체제 (OS1, OS2, 및 OS3) 는 하이퍼바이저를 통해 하드웨어의 자원을 공유할 수 있다. 이때, 복수의 운영 체제 (OS1, OS2, 및 OS3) 는 각각 가상 머신을 운영할 수 있다.
도 14b를 참조하면, 호스트 운영 체제 (OS4) 가 하드웨어에서 1번째 수준으로 실행되고, 하이퍼바이저는 호스트 운영 체제 (OS4) 에 설치되는 일반적인 프로그램과 같이 호스트 운영 체제 (OS4) 에 설치되어 실행된다. 따라서, 해당 하이퍼바이저에 대한 게스트 운영 체제 (OS5 및 OS6) 는 하드웨어에서 3번째 수준으로 실행될 수 있다. 하이퍼바이저는 하드웨어의 자원을 가상화함으로써, 복수의 운영 체제 (OS4, OS5, 및 OS6) 는 하이퍼바이저를 통해 하드웨어의 자원을 공유할 수 있게 한다. 이때, 게스트 운영 체제 (OS5 및 OS6) 는 각각 가상 머신을 운영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인용하는 공개 문헌, 특허 출원, 특허 등을 포함하는 모든 문헌들은 각 인용 문헌이 개별적으로 및 구체적으로 병합하여 나타내는 것 또는 본 발명에서 전체적으로 병합하여 나타낸 것과 동일하게 본 발명에 병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이해를 위하여, 도면에 도시된 바람직한 실시 예들에서 참조 부호를 기재하였으며,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하여 특정 용어들을 사용하였으나, 특정 용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은 당업자에 있어서 통상적으로 생각할 수 있는 모든 구성 요소들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기능적인 블록 구성들 및 다양한 처리 단계들로 나타내어질 수 있다. 이러한 기능 블록들은 특정 기능들을 실행하는 다양한 개수의 하드웨어 또는/및 소프트웨어 구성들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은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프로세서들의 제어 또는 다른 제어 장치들에 의해서 다양한 기능들을 실행할 수 있는, 메모리, 프로세싱, 로직 (logic), 룩업 테이블 (look-up table) 등과 같은 직접 회로 구성들을 채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의 구성 요소들이 소프트웨어 프로그래밍 또는 소프트웨어 요소들로 실행될 수 있는 것과 유사하게, 본 발명은 데이터 구조, 프로세스들, 루틴들 또는 다른 프로그래밍 구성들의 조합으로 구현되는 다양한 알고리즘을 포함하여, C, C++, 자바 (Java), 어셈블러 (assembler) 등과 같은 프로그래밍 또는 스크립팅 언어로 구현될 수 있다. 기능적인 측면들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에서 실행되는 알고리즘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전자적인 환경 설정, 신호 처리, 및/또는 데이터 처리 등을 위하여 종래 기술을 채용할 수 있다. ‘메커니즘’, ‘요소’, ‘수단’, ‘구성’과 같은 용어는 넓게 사용될 수 있으며, 기계적이고 물리적인 구성들로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용어는 프로세서 등과 연계하여 소프트웨어의 일련의 처리들 (routines) 의 의미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설명하는 특정 실행들은 일 실시 예들로서, 어떠한 방법으로도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명세서의 간결함을 위하여, 종래 전자적인 구성들, 제어 시스템들, 소프트웨어, 상기 시스템들의 다른 기능적인 측면들의 기재는 생략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구성 요소들 간의 선들의 연결 또는 연결 부재들은 기능적인 연결 및/또는 물리적 또는 회로적 연결들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으로서, 실제 장치에서는 대체 가능하거나 추가의 다양한 기능적인 연결, 물리적인 연결, 또는 회로 연결들로서 나타내어질 수 있다. 또한, ‘필수적인’, ‘중요하게’ 등과 같이 구체적인 언급이 없다면 본 발명의 적용을 위하여 반드시 필요한 구성 요소가 아닐 수 있다.
본 발명의 명세서 (특히 특허청구범위에서) 에서 ‘상기’의 용어 및 이와 유사한 지시 용어의 사용은 단수 및 복수 모두에 해당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범위 (range) 를 기재한 경우 상기 범위에 속하는 개별적인 값을 적용한 발명을 포함하는 것으로서 (이에 반하는 기재가 없다면),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상기 범위를 구성하는 각 개별적인 값을 기재한 것과 같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구성하는 단계들에 대하여 명백하게 순서를 기재하거나 반하는 기재가 없다면, 상기 단계들은 적당한 순서로 행해질 수 있다. 반드시 상기 단계들의 기재 순서에 따라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 모든 예들 또는 예시적인 용어 (예들 들어, 등등) 의 사용은 단순히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 이상 상기 예들 또는 예시적인 용어로 인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당업자는 다양한 수정, 조합 및 변경이 부가된 특허청구범위 또는 그 균등물의 범주 내에서 설계 조건 및 팩터에 따라 구성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Claims (32)

  1. 복수의 운영 체제 간 디스크 이미지를 공유하는 전자 디바이스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운영 체제 및 상기 디스크 이미지를 저장하는 저장부;
    제1 운영 체제로부터 제2 운영 체제로 포커스를 전환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사용자 입력 수신부; 및
    상기 사용자 입력이 수신됨에 따라, 기설정된 기준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운영 체제에 마운트된 상기 디스크 이미지를 상기 제2 운영 체제로 마운트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전자 디바이스.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운영 체제에서 상기 디스크 이미지를 액세스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이 수신됨에 따라, 상기 제1 운영 체제에 마운트된 상기 디스크 이미지를 상기 제2 운영 체제로 마운트하는, 전자 디바이스.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운영 체제에서 상기 디스크 이미지에 대한 쓰기 작업을 정지 (pause) 시키고,
    상기 제1 운영 체제에 마운트된 상기 디스크 이미지는 상기 제1 운영 체제에서 상기 쓰기 작업이 정지된 후 상기 제2 운영 체제로 마운트되는, 전자 디바이스.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미리 결정된 기준에 기초하여, 상기 제2 운영 체제에 마운트된 상기 디스크 이미지를 상기 제1 운영 체제로 재마운트하고, 상기 제1 운영 체제에서 상기 디스크 이미지에 대한 상기 쓰기 작업을 속개 (resume) 하는, 전자 디바이스.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운영 체제가 상기 디스크 이미지를 이용하는 이용 상태에 기초하여, 상기 디스크 이미지를 상기 제1 운영 체제에 재마운트할 시점을 결정하는, 전자 디바이스.
  6.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크 이미지는 상기 제2 운영 체제에서 사용자의 입력 패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운영 체제로 재마운트되는, 전자 디바이스.
  7.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크 이미지는 상기 제1 운영 체제 및 상기 제2 운영 체제 중 적어도 하나에서 상기 디스크 이미지로의 워크로드(workload)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운영 체제로 재마운트되는, 전자 디바이스.
  8.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크 이미지는 상기 제1 운영 체제 및 상기 제2 운영 체제에서 시분할(time-sharing) 방식으로 마운트되는, 전자 디바이스.
  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운영 체제가 상기 디스크 이미지를 이용하는 이용 상태에 기초하여, 상기 디스크 이미지를 상기 제2 운영 체제에 마운트할 시점을 결정하는, 전자 디바이스.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크 이미지의 상기 이용 상태가 쓰기(write) 작업 중인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운영 체제로의 상기 디스크 이미지의 마운트를 대기하는, 전자 디바이스.
  11.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이용 상태는 상기 제1 운영 체제의 상기 디스크 이미지에 대한 데이터 입출력(I/O) 패턴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전자 디바이스.
  12.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입출력(I/O) 패턴은 상기 제1 운영 체제에서 상기 디스크 이미지의 읽기 스루풋 (read throughput) 과 쓰기 스루풋 (write throughput)에 의해 결정되는, 전자 디바이스.
  13.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입출력(I/O) 패턴은 상기 제1 운영 체제에서 상기 디스크 이미지의 읽기 빈도 (read frequency) 와 쓰기 빈도 (write frequency)에 의해 결정되는, 전자 디바이스.
  1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운영 체제 및 상기 제2 운영 체제에 상기 디스크 이미지를 병렬로 마운트하는, 전자 디바이스.
  15.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운영 체제가 상기 디스크 이미지를 이용하는 이용 상태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운영 체제 및 상기 제2 운영 체제 중 적어도 하나의 상기 디스크 이미지에 대한 이용 권한이 결정되는, 전자 디바이스.
  16. 제15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크 이미지의 상기 이용 상태가 읽기(read) 작업 중인 경우, 상기 제2 운영 체제의 상기 디스크 이미지에 대한 이용 권한은 쓰기 (write) 가능 권한으로 결정되는, 전자 디바이스.
  17. 제15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크 이미지의 상기 이용 상태가 쓰기(write) 작업 중인 경우, 상기 제2 운영 체제의 상기 디스크 이미지에 대한 이용 권한은 읽기 전용 (read-only) 권한으로 결정하는, 전자 디바이스.
  1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운영 체제는 각각 상기 디스크 이미지를 마운트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을 포함하고, 상기 저장부는 상기 애플리케이션을 상기 복수의 운영 체제 각각에 대해 저장하는, 전자 디바이스.
  19. 복수의 운영 체제 간에 디스크 이미지를 공유하는 방법에 있어서,
    제1 운영 체제에 상기 디스크 이미지를 마운트하는 단계;
    상기 제1 운영 체제에서 제2 운영 체제로 포커스를 전환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입력이 수신됨에 따라, 기설정된 기준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운영 체제에 마운트된 상기 디스크 이미지를 상기 제2 운영 체제로 마운트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20. 제19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크 이미지를 마운트하는 단계는 상기 제2 운영 체제에서 상기 디스크 이미지를 액세스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이 수신됨에 따라, 상기 제1 운영 체제에 마운트된 상기 디스크 이미지를 상기 제2 운영 체제로 마운트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21. 제19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운영 체제에서 상기 디스크 이미지에 대한 쓰기 작업을 정지 (pause) 시키는 단계;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운영 체제에 마운트된 상기 디스크 이미지는 상기 제1 운영 체제에서 상기 쓰기 작업이 정지된 후 상기 제2 운영 체제로 마운트되는, 방법.
  22. 제21 항에 있어서,
    미리 결정된 기준에 기초하여, 상기 제2 운영 체제에 마운트된 상기 디스크 이미지를 상기 제1 운영 체제로 재마운트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운영 체제에서 상기 디스크 이미지에 대한 상기 쓰기 작업을 속개 (resume) 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방법.
  23. 제22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운영 체제가 상기 디스크 이미지를 이용하는 이용 상태에 기초하여, 상기 디스크 이미지를 상기 제1 운영 체제에 재마운트할 시점을 결정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방법.
  24. 제22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크 이미지는 상기 제2 운영 체제에서 사용자의 입력 패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운영 체제로 재마운트되는, 방법.
  25. 제22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크 이미지는 상기 제1 운영 체제 및 상기 제2 운영 체제 중 적어도 하나에서 상기 디스크 이미지로의 워크로드 (workload) 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운영 체제로 재마운트되는, 방법.
  26. 제22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크 이미지는 상기 제1 운영 체제 및 상기 제2 운영 체제에서 시분할 (time-sharing) 방식으로 마운트되는, 방법.
  27. 제19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운영 체제가 상기 디스크 이미지를 이용하는 이용 상태에 기초하여, 상기 디스크 이미지를 상기 제2 운영 체제에 마운트할 시점을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28. 제27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크 이미지를 마운트하는 단계는 상기 디스크 이미지의 상기 이용 상태가 쓰기(write) 작업 중인 경우, 상기 제2 운영 체제로의 상기 디스크 이미지의 마운트를 대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29. 제27 항에 있어서,
    상기 이용 상태는 상기 제1 운영 체제의 상기 디스크 이미지에 대한 데이터 입출력(I/O) 패턴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방법.
  30. 제19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크 이미지를 마운트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운영 체제 및 상기 제2 운영 체제에 상기 디스크 이미지를 병렬로 마운트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31. 제30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운영 체제가 상기 디스크 이미지를 이용하는 이용 상태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운영 체제 및 상기 제2 운영 체제의 상기 디스크 이미지에 대한 이용 권한이 결정되는, 방법.
  32. 제19 항 내지 제31 항 중 어느 한 항의 디스크 이미지 마운트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1020150103014A 2015-07-21 2015-07-21 운영 체제 간 디스크 이미지를 공유하는 방법 및 디바이스 KR1023220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3014A KR102322033B1 (ko) 2015-07-21 2015-07-21 운영 체제 간 디스크 이미지를 공유하는 방법 및 디바이스
PCT/KR2016/007953 WO2017014578A1 (ko) 2015-07-21 2016-07-21 운영 체제 간 디스크 이미지를 공유하는 방법 및 디바이스
CN201680042840.1A CN107851029B (zh) 2015-07-21 2016-07-21 用于操作系统之间共享盘映像的方法和设备
US15/744,462 US10621017B2 (en) 2015-07-21 2016-07-21 Method and device for sharing a disk image between operating system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3014A KR102322033B1 (ko) 2015-07-21 2015-07-21 운영 체제 간 디스크 이미지를 공유하는 방법 및 디바이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11071A true KR20170011071A (ko) 2017-02-02
KR102322033B1 KR102322033B1 (ko) 2021-11-04

Family

ID=578341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03014A KR102322033B1 (ko) 2015-07-21 2015-07-21 운영 체제 간 디스크 이미지를 공유하는 방법 및 디바이스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0621017B2 (ko)
KR (1) KR102322033B1 (ko)
CN (1) CN107851029B (ko)
WO (1) WO2017014578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506819A (zh) * 2019-08-26 2021-03-16 成都鼎桥通信技术有限公司 基于双系统的外接设备控制方法、装置、设备和存储介质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75162A (ko) * 2006-01-12 2007-07-18 삼성전자주식회사 운영체제 스위칭 장치 및 방법
JP2008084029A (ja) * 2006-09-27 2008-04-10 Hitachi Software Eng Co Ltd 仮想マシン管理システム
JP2010244358A (ja) * 2009-04-07 2010-10-28 Hitachi Ltd シンクライアントマスタの書換システム、シンクライアントマスタの書換方法、およびシンクライアント
KR20110056843A (ko) * 2009-11-23 2011-05-31 삼성전자주식회사 가상 머신 간 화면 전환 장치 및 방법
KR20170093960A (ko) * 2014-12-12 2017-08-16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운영체제 핫-스위칭 방법 및 장치 및 이동 단말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877628B2 (en) * 2006-06-08 2011-01-25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irroring data between primary and secondary sites
US7984454B2 (en) * 2006-12-19 2011-07-19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igration of single root stateless virtual functions
JP5446860B2 (ja) 2007-03-27 2014-03-19 日本電気株式会社 仮想マシン運用システム、仮想マシン運用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8966474B2 (en) * 2007-04-30 2015-02-24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Managing virtual machines using shared image
CN101697134A (zh) * 2009-10-27 2010-04-21 北京大学 一种支持相似虚拟机快速启动的方法
US8930652B2 (en) 2009-11-11 2015-01-06 Red Hat Israel, Ltd. Method for obtaining a snapshot image of a disk shared by multiple virtual machines
US8312184B2 (en) 2009-11-25 2012-11-13 Canon Denshi Kabushiki Kaisha Peripheral device usable without installing driver in computer beforehand
JP5596376B2 (ja) 2010-03-12 2014-09-24 キヤノン電子株式会社 周辺装置
KR101307342B1 (ko) 2009-12-21 2013-09-1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가상머신 간의 데이터 공유 시스템 및 그 방법
US8499114B1 (en) 2010-09-30 2013-07-30 Amazon Technologies, Inc. Virtual machine memory page sharing system
US8935431B2 (en) 2010-12-17 2015-01-13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Highly scalable and distributed data sharing and storage
JP5684173B2 (ja) 2012-03-05 2015-03-11 株式会社東芝 情報処理装置及びクライアント管理方法
EP2800303B1 (en) * 2012-08-17 2015-11-04 Huawei Technologies Co., Ltd. Switch method, device and system for virtual application dual machine in cloud environment
US20150067283A1 (en) * 2013-08-27 2015-03-05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Image Deduplication of Guest Virtual Machines
US10067777B2 (en) * 2014-09-18 2018-09-04 Intel Corporation Supporting multiple operating system environments in computing device without contents conversion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75162A (ko) * 2006-01-12 2007-07-18 삼성전자주식회사 운영체제 스위칭 장치 및 방법
JP2008084029A (ja) * 2006-09-27 2008-04-10 Hitachi Software Eng Co Ltd 仮想マシン管理システム
JP2010244358A (ja) * 2009-04-07 2010-10-28 Hitachi Ltd シンクライアントマスタの書換システム、シンクライアントマスタの書換方法、およびシンクライアント
KR20110056843A (ko) * 2009-11-23 2011-05-31 삼성전자주식회사 가상 머신 간 화면 전환 장치 및 방법
KR20170093960A (ko) * 2014-12-12 2017-08-16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운영체제 핫-스위칭 방법 및 장치 및 이동 단말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506819A (zh) * 2019-08-26 2021-03-16 成都鼎桥通信技术有限公司 基于双系统的外接设备控制方法、装置、设备和存储介质
CN112506819B (zh) * 2019-08-26 2022-04-15 成都鼎桥通信技术有限公司 基于双系统的外接设备控制方法、装置、设备和存储介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7851029A (zh) 2018-03-27
WO2017014578A1 (ko) 2017-01-26
KR102322033B1 (ko) 2021-11-04
US10621017B2 (en) 2020-04-14
US20180203747A1 (en) 2018-07-19
CN107851029B (zh) 2021-07-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79491B1 (ko) 복수의 운영체제가 설치된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방법 및 디바이스
EP2993566B9 (en) Application interface presentation method and apparatus, and electronic device
US9448694B2 (en)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navigating applications
WO2021244443A1 (zh) 分屏显示方法、电子设备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KR102060155B1 (ko) 양면 디스플레이를 사용하는 전자장치의 멀티태스킹 제어 방법 및 장치
US20120102428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dynamic background user interface(s)
WO2019128923A1 (zh) 一种控制被选中对象在应用界面中显示的方法及终端设备
KR20150007760A (ko) 수신 데이터를 이용하여 어플리케이션을 운영하는 전자 장치
KR102022288B1 (ko) 터치 입력 방법 및 휴대 단말
US10372487B2 (en) Device and method of running multiple operating systems and presenting multiple operation screens
US20140111419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CN105940375B (zh) 针对多操作系统设备的动态再分配
US11243802B2 (en) Device and method of running multiple operating systems and presenting multiple operation screens using locking of host operating system
KR20140125597A (ko) 디지털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KR102390688B1 (ko) 보편적인 인터렉션으로 컨텐츠를 영구 저장부에 캡쳐하는 기법
US20240137438A1 (en) Information display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US20180196584A1 (en) Execution of multiple applications on a device
WO2019015491A1 (zh) 应用程序的分身方法、装置、设备和介质
KR20190032861A (ko) 전자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US20150324209A1 (en) Operating System Switching Method and Dual-Operating System Electronic Device Using the Same
US9361025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display processing method
KR102322033B1 (ko) 운영 체제 간 디스크 이미지를 공유하는 방법 및 디바이스
CN112513803A (zh) 在多个输出屏幕的环境中控制虚拟输入界面的显示的电子设备及其操作方法
US9026691B2 (en) Semi-autonomous touch I/O device controller operation under control of host
US11487559B2 (en) Dynamically switching between pointer mod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