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11033A - Movable tower for pile up soutftting - Google Patents

Movable tower for pile up soutftting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11033A
KR20170011033A KR1020150102913A KR20150102913A KR20170011033A KR 20170011033 A KR20170011033 A KR 20170011033A KR 1020150102913 A KR1020150102913 A KR 1020150102913A KR 20150102913 A KR20150102913 A KR 20150102913A KR 20170011033 A KR20170011033 A KR 201700110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ving
tower
tower structure
elevator
pal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0291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331685B1 (en
Inventor
이현진
박광필
이재범
조유경
조아라
Original Assignee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029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31685B1/en
Publication of KR201700110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1103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316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3168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00Storing articles, individually or in orderly arrangement, in warehouses or magazines
    • B65G1/02Storage devices
    • B65G1/04Storage devices mechanical
    • B65G1/137Storage devices mechanical with arrangements or automatic control means for selecting which articles are to be removed
    • B63B9/00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00Storing articles, individually or in orderly arrangement, in warehouses or magazines
    • B65G1/02Storage devices
    • B65G1/04Storage devices mechanical
    • B65G1/10Storage devices mechanical with relatively movable racks to facilitate insertion or removal of art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arehouses Or Storage Devi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ovable tower to automatically pile up an outfit material, capable of improving the management efficiency of an outfit material and improving the use of a yard space by installing an outfit material pileup tower like a parking tower.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tower structure including a plurality of pileup chambers and a passage; a moving unit warehousing and shipping a pallet, storing the outfit material, into a pileup chamber of each floor; an elevator for the vertical movement of a multistory tower structure; a position sensing unit detecting a position of the pallet moved by the moving unit; and a pileup control device warehousing or shipping the pallet into a targeted pileup chamber by sensing a movement position of the pallet through the position sensing unit, and managing warehousing and shipping information of the outfit material in each of the pileup chambers as well as managing the authentication of a user and the warehousing and shipping information by being connected with a central management system. A plurality of guide supports are install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tower structure and then a modular is inserted to move the tower structure. As such, the present invention is capable of improving productivity by enabling efficient material management and securing a pileup space for the outfit material.

Description

이동형 의장 자재 자동 적치 타워{MOVABLE TOWER FOR PILE UP SOUTFTTING}[0001] MOVABLE TOWER FOR PILE UP SOUTFTTING [0002]

본 발명은 이동형 의장 자재 자동 적치 타워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효율적인 공간 활용을 위해 3차원 공간 개념을 적용하여 야드(YARD)내 중소형 의장 자재를 체계적으로 적치 관리할 수 있는 이동형 의장 자재 자동 적치 타워에 관한 것이다. 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rtable type automatic building tow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portable type automatic building tower capable of systematically managing small and medium sized building materials in a yard by applying a three- It is about the tower.

조선소의 야드에서는 다수의 선박 및 해양 플랜트 건조작업이 동시에 진행되며, 각 선박이나 해양플랜트에는 다양한 의장 자재가 설치되기 때문에 많은 수의 의장 자재들이 야드에 적치된다.In the yards of the shipyard, a large number of vessels and offshore plants are being built simultaneously, and a large number of design materials are placed on the yard because of the various design materials installed on each ship or offshore plant.

그런데, 블록별 필요로 하는 자재가 서로 다르고 입고 및 설치 시점이 각각 다를 뿐 아니라 공정상 일정 문제로 인해 PND(Product Need Date)와 실제 설치 일자 차이가 발생 될 수 있다. 이러한 복잡한 야드 내의 각 공정별 일정 등으로 인하여 현재 조선소의 야드에서 입고된 의장 자재는, 입고시 해당 자재가 설치될 블록 근처에 무분별하게 임의로 적치하고 있는 실정이다.However, since the materials required for each block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the time of goods receipt and installation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and there may be a difference between PND (Product Need Date) and actual installation date due to a schedule problem in the process. Due to the schedule of each process in such a complicated yard, the design materials that are currently loaded on the yard of the shipyard are randomly and randomly placed near the block where the material is to be installed.

기존 PND에 따라 자재가 입고 되었으나 설치 일정 연기로 인해 미 설치 되고 적치되어 있는 자재가 다수 발생하고 있으며, 입고된 자재들 중 중소형 자재의 경우 입고된 후 바로 설치가 진행되지 않을 경우 손 망실이 발생하는 사례가 다수 발생하고, 적치장에 위치한 자재들의 경우 아무나 접근이 가능하며, 전혀 통제가 이루어 지지 않고 있다. 또한, 자재 이동이 빈번하여 입고된 자재에 대해서도 필요 시 다시 찾는 사례 빈번히 발생한다. 무분별하게 적치하고 있기 때문에 입고된 자재에 대해 전혀 관리가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으며, 중소형 의장 자재의 경우 손 망실 자재가 1프로젝트당 약 5,000ea 정도 발생하고 있다. There are many materials that have been installed according to the existing PND but have not yet been installed due to postponement of the installation schedule and many of them have been installed. In case of small and medium-sized materials, There are a number of cases, and materials located at the ranch are accessible to anyone and not controlled at all. In addition, frequent material movements frequently occur for materials that have been re-inserted when necessary. Since the materials are indiscriminately placed, no control has been made on the materials that are in stock, and in the case of small and medium-sized construction materials, about 5,000 ea per one project is generated.

이와 같이 해양플랜트 인도 지연 및 상선 물량 증가에 따른 야드 내 자재 적치 공간 부족현상 발생되며, 반복적인 생산 공정 일정 지연으로 인해 PND와 실제 설치 일자와의 차이 발생으로 미 설치 자재 다수 발생하고, 입고 자재에 대한 체계적이지 못한 관리로 손 망실 자재 다수 발생하며, 중요/대형 의장 자재 설치를 위해 중소형 의장 자재의 이동이 자주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As a result, there is a shortage of space in the yard due to delays in delivery of offshore plants and increase in the volume of merchant ships. Due to the repeated delays in the production process, there is a difference between the PND and the actual installation date, There is a problem that frequent movements of small and medium sized construction materials occur frequently for the installation of important / large size building materials.

한국공개특허 10-2005-0123645(2007.06.20)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05-0123645 (Jun. 20, 2007)

이에 따라 본 발명에서는 주차 타워와 같은 의장 자재 적치 타워를 설치하여 의장 자재 관리의 효율성을 높이고 야드 공간 활용도를 높일 수 있도록 한 이동형 의장 자재 자동 적치 타워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ovable type building automatic elevating tower capable of enhancing the efficiency of management of design material and enhancing utilization of yard space by installing a building material rack tower such as a parking tower.

본 발명은 의장 자재를 적치할 수 있는 다수의 구획된 적치실 공간이 구비되어 이동수단에 의해 의장자재를 각 적치실 공간에 적치 관리하기 위한 적치 타워를 모듈러(modular)와의 연동하여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 plurality of compartmental dental floss spaces in which a design material can be placed so that a movable tower for moving a design material in a respective dental floss space by moving means can be moved in conjunction with a modular .

또한 본 발명은 적치 타워내 각 적치실의 자재 정보에 대해서 입출고 관리 시스템에 의해 자동으로 입출고 관리를 하고, 자재정보를 작업자가 쉽게 검색 조회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to automatically manage the entry and exit of material information of each floss in a rack-and-pinch tower by an entry and exit management system, and to enable a worker to easily search and view the material information.

본 발명은, 야드 내 중소형 의장 자재를 적치할 수 있는 적치 타워로서, 다수의 적치실을 구비하여 의장 자재를 자동으로 입출고 할 수 있고, 적치 타워를 야드내에서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한 이동형 자동 적치 타워를 제공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ack-mounted tower capable of loading small and medium-sized building materials in a yard, which is capable of automatically loading and unloading design materials with a plurality of flossing chambers, Lt; / RTI >

본 발명에 의한 이동형 의장 자재 자동 적치 타워는, The movable type automatic building tow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의장 자재를 적치할 수 있는 다수의 적치실이 구획된 타워 구조물과;A plurality of dental flossed tower structures capable of bearing design material;

상기 타워 구조물 내에 설치되어 상기 적치실로 의장 자재를 입고 및 출고시키기 위한 이동수단과;A moving means installed in the tower structure for loading and unloading the design material into the stacking chamber;

상기 이동수단을 제어하여 각 적치실에 의장 자재를 적치하거나 적치실에 적치된 의장 자재를 출고시킴과 아울러 의장 자재의 입출고 정보와 입출고 관리정보를 관리하는 적치 제어장치와;Controlling the moving means to deposit the design material in each of the flossing chambers, to release the design material placed in the target dental floss, and to manage the entry and exit information and the entry and exit management information of the design material;

상기 타워 구조물 하부로 적치 타워를 이동시키기 위한 이동장비를 진출입시킬 수 있도록 하부 공간을 확보하면서 상기 타워 구조물의 지상 설치를 지지하는 복수의 가이드 서포트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And a plurality of guide supports for supporting a ground installation of the tower structure while securing a lower space so that mobile equipment for moving the mobile tower for moving the tower can be moved into and out of the tower structure.

상기 타워 구조물은,The tower structure comprises:

복수의 적치실이 일렬로 배열되고, 상기 복수의 적치실 출입구와 연결되는 이동통로가 형성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A plurality of tooth flossing chambers are arranged in a line and a moving passage connected to the plurality of tooth flossing outlets is formed.

상기 타워 구조물은,The tower structure comprises:

상기 이동통로의 양측에 각각 복수의 적치실이 일렬로 배열형성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a plurality of tooth floss chambers are arranged and arranged in a row on both sides of the movement passage.

상기 타워 구조물은,The tower structure comprises:

복수 층으로 형성되고, 상기 이동통로에 엘리베이터 통로가 형성되어 상하 이동용 엘리베이터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And an elevator passageway is formed in the moving passageway, so that an elevator for vertical movement is installed.

적치 타워 이동을 위한 다른 실시예로서,As another embodiment for the bottom tower movement,

상기 적치 타워 구조물은,The stacked tower structure comprises:

적치 타워 구조물의 하면에 설치되어 적치 타워 구조물을 견인 이동시키도록설치되는 복수의 이동바퀴와;A plurality of moving wheels installed on a lower surface of the lower tower structure and installed to traverse the lower tower structure;

승하강 수단이 구비되어 상기 적치 타워 구조물을 지상에 고정 지지하거나, 상기 이동바퀴 사용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복수의 승하강 지지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nd a plurality of elevating and lowering support means provided to elevate and lower the elevating tower structure so as to fix the elevating tower structure on the ground or to use the elevating tower.

본 발명은, 의장 자재를 수납하여 상기 각 적치실로 이동시키기 위한 수단으로, 의장 자재 수납용 팔레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by further comprising a pallet for storing a design material, which is means for accommodating the design material and moving the design material to each of the above mentioned fixture chambers.

상기 이동수단은,Wherein,

상기 이동통로에 복합적으로 설치되어 전후 방향과 좌우 방향 중 어느 한 방향으로 선택되어 팔레트를 이동시키기 위한 이동통로 전후/좌우 이동수단과;A moving path forward / rearward / leftward moving means for selectively moving the pallet in a forward / backward direction or a left / right direction and installed in the traveling path;

각 적치실에 설치되어 상기 이동통로로부터 팔레트를 입고시키거나 이동통로로 출고시키기 위한 적치실 이동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an enemy floss moving means installed in each of the flossing chambers for putting the palette from the moving pathway or discharging the pallet from the moving pathway.

상기 이동수단은,Wherein,

타워 구조물이 다층 구조인 경우,When the tower structure is a multi-layer structure,

각층 이동통로의 어느 한 영역의 상하로 형성되는 엘리베이터 통로에 설치되는 엘리베이터와;An elevator installed in an elevator passage formed above and below an area of each of the bed moving passages;

상기 엘리베이터의 바닥 면에 설치되어 상기 이동통로 전후/좌우 이동수단과 연동되는 엘리베이터 바닥 면 전후/좌우 이동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nd an elevator bottom surface forward / rearward / left / right moving means install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elevator and interlocked with the traveling passage front / rear / left / right moving means.

상기 이동통로 전후/좌우 이동수단과 상기 엘리베이터 바닥 면 전후/좌우 이동수단은, 전후 이동수단과 좌우 이동수단이 각기 그룹으로 상하 승하강시키기 위한 이동수단 승하강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moving passage front / rear moving means and the elevator bottom front / rear moving means include moving means lifting / lowering devices for moving the moving means forward and backward and the moving means moving up and down in groups.

상기 적치 제어장치는,The above-

메인 관리 시스템과 연동하여 메인 관리시스템으로부터 사용자 인증을 받아 적치 타워의 자재 입출고를 제어함과 아울러 의장 자재의 적치 및 입출고 정보를 관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nd controls the entry and exit of the material in the elevator towers by receiving the user authentication from the main management system in cooperation with the main management system, and also managing the entry and exit information of the design material.

본 발명은, 야드 내에서 중소형 의장 자재에 대해 3차원 공간 개념을 활용하여 체계적으로 적치 관리 및 이동할 수 있는 이동형 적치 타워를 제공함으로써, 의장 자재를 규격화된 팔레트에 실어 엘리베이터와 이송롤러등의 이동수단을 통해 사용자가 지정한 위치에 자동 적치되며, 필요 시 자동 출고도 가능하므로 입고 및 출고를 자동화할 수 있고, 각 적치실의 의장 자재 적치 정보를 자동 관리하므로 효율적인 자재 관리가 가능해진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ortable type elevator tower capable of systematically managing and moving a small sized building material using a three-dimensional space concept in a yard, so that the design material can be mounted on a standardized pallet and transferred to a moving means such as an elevator and a conveying roller It is possible to automate the goods receipt and warehousing, and automatically manage the equipment information of each dental floss, so that efficient material management becomes possible.

또한 적치 타워에 자재를 적치하거나 인수할 때 사용자 인증을 통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저장위치/자재번호/적치자/인수자의 정보가 자동으로 등록되어 관리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material is placed on or taken over from the rack tower, the information of the storage location / the material number / the owner / consignee can be automatically registered and managed by user authentication.

또한 모듈러를 통해 적치 타워의 이동도 가능하여 프로젝트에 따라 야드내에 특정지역으로의 이동도 가능한 효과가 있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move the tower by the moduler, so it is possible to move to a certain area within the yard depending on the project.

이와 같은 적치 타워를 이용하게 되면, 작업현장에 무분별하게 적치되어 적치공간 부족, 자재 관리 소홀 및 잦은 의장 자재 이동 등의 종래 문제점을 해결하여 자재 적치 공간을 확보할 수 있고, 기존 2차원 공간에 적치된 자재를 3차원 공간에 적치가 가능하므로 적치 공간 확보로 인도기간 단축이 가능해지고, 손망실 자재 현재 대비 50% 감소 기대할 수 있으며, 사내 의장 자재 관리 체계 기반 확보 및 자재 관리 전산화로 인한 작업자 편의성 증대되고, 자재 미 준비로 인한 의장 작업 일정 지연 해소 및 생산성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When such a rack tower is used, it is possible to secure the space for the material by solving the conventional problems such as insufficient space for insufficient space, lack of material management and frequent movements of design materials, As the material can be placed in 3-dimensional space, delivery time can be shortened by securing the fixed space, and 50% reduction in the loss of material can be anticipated. Expansion of worker convenience due to establishment of in-house chairman material management system and computerization of material management And it is possible to solve the delay of the design work schedule due to the preparation of the material and to improve the productivity.

도 1의 (가) 및 (나)는 본 발명에 의한 이동형 의장 자재 자동 적치 타워 구성을 보인 정면 및 측면 개념도.
도 2의 (가) 및 (나)는 본 발명에 의한 이동형 의장 자재 자동 적치 타워의 입고층과 적치층 평면 개념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이동형 의장 자재 자동 적치 타워의 제어 블록도.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front view and a side elevation view showing a movable type automatic building tower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a) and 2 (b) are conceptual diagrams of the arrival floor and the floor of the automatic floor-standing floor of the movable type design materi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control block diagram of a movable type chairman automatic rack tow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해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의 (가) 및 (나)는 본 발명에 의한 이동형 의장 자재 자동 적치 타워 구성을 보인 정면 및 측면 개념도이고, 도 2의 (가) 및 (나)는 본 발명에 의한 이동형 의장 자재 자동 적치 타워의 입고층과 적치층 평면 개념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이동형 의장 자재 자동 적치 타워의 제어 블록도이다.1 (a) and 1 (b) are a front view and a side view showing an automatic tower structure of a movable type design equip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S. 2 (a) and 2 FIG. 3 is a control block diagram of a movable type automatic building tow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본 발명에 의한 이동형 의장 자재 자동 적치 타워는, The movable type automatic building tow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의장 자재(30)를 적치할 수 있는 다수의 적치실(11)이 구획된 타워 구조물(10)과;A tower structure (10) partitioned by a plurality of teeth (11) capable of holding a design material (30);

상기 타워 구조물(10) 내에 설치되어 상기 적치실(11)로 의장 자재(30)를 입고 및 출고시키기 위한 이동수단과;Moving means installed in the tower structure (10) for loading and unloading the designing material (30) into the dropping chamber (11);

상기 이동수단을 제어하여 각 적치실(11)에 의장 자재(30)를 적치하거나 적치실(11)에 적치된 의장 자재(30)를 출고시킴과 아울러 의장 자재의 입출고 정보와 입출고 관리정보를 관리하는 적치 제어장치(110)와;The moving means is controlled so that the design material 30 is placed on the respective dental floss 11 or the design material 30 is placed on the dental floss 11 and the entry and exit information and the entry and exit management information of the design material are managed (110);

타워를 이동시키기 위한 이동장비를 상기 타워 구조물(10) 하부로 진출입시킬 수 있도록 하부 공간을 확보하면서 상기 타워 구조물(10)의 지상 설치를 지지하는 복수의 가이드 서포트(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And a plurality of guide supports 50 for supporting a ground installation of the tower structure 10 while ensuring a lower space so that mobile equipment for moving the tower can be introduced into and / or extracted from the lower portion of the tower structure 10.

본 발명에 의한 이동수단으로는, 의장 자재(30)를 수납하여 상기 각 적치실(11)로 이동시키기 위한 수단으로, 의장 자재 수납용 팔레트(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팔레트(20)는 중소형 의장 자재의 크기를 고려하여 소정 크기(예; 6m(L) X 6m(W) X 1.5m(H))의 바스켓 형태로 구성한다.The moving mean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 pallet 20 for storing a design material as means for storing the design material 30 and moving it to the respective dental floss 11. The pallet 20 is configured in a basket shape of a predetermined size (e.g., 6 m (L) X 6 m (W) X 1.5 m (H)) in consideration of the size of small and medium-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이동형 의장 자재 자동 적치 타워는, 타워 구조물(10)에 다수의 적치실(11)이 구획되고, 각 적치실(11)과 연결되는 이동통로(12)가 형성되며, 이동통로(12) 및 적치실(11)에 이동수단이 설치되고, 적치 제어장치(110)가 이동수단을 제어하여 의장자재(30)를 각 적치실(11)로 이동시켜 적치하고, 각 적치실(11)에 적치된 의장 자재(30)를 출고시킬 수 있다.The movable type automatic building towe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uch that the tower structure 10 is divided into a plurality of enemy dental flosses 11 and a moving passage 12 connected to each dental floss 11 is formed, A moving means is provided in the dental flossing chamber 12 and the dental flossing chamber 11 to move the design material 30 to the respective dental flosses 11 by controlling the moving means, 11 can be delivered to the factory.

또한 본 발명은, 타워 구조물(10)의 하면에 복수의 가이드 서포트(50)가 설치되어 이동장비(예; 모듈러)가 타워 구조물(10)의 하부로 진입하여 타워 구조물(10)을 로딩시켜 이동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다.
In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guide supports 50 are install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tower structure 10 so that a mobile equipment (for example, a modular) enters the lower portion of the tower structure 10 to load the tower structure 10 .

상기 타워 구조물(10)은,The tower structure (10)

복수의 적치실(11)이 일렬로 배열되고, 상기 복수의 적치실(11) 출입구와 연결되는 이동통로(12)가 형성된 단층 또는 다층 구조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a single-layer or multi-layer structure in which a plurality of enemy teeth chambers (11) are arranged in a row and a moving passage (12) is connected to the plurality of enemy tooth chambers (11).

이는 일렬로 배열로 복수의 적치실(11)의 앞에 복도식으로 이동통로(12)가 형성되는 구조로서 단층 또는 다층 구조로 구성할 수 있으며, 이는 길이방향으로 길게 구조물을 구성할 수 있다.This is a structure in which a moving passage 12 is formed in an array in front of a plurality of dropping chambers 11 in an array and can be constituted by a single layer or a multi-layer structure, which can constitute a long structur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또 다른 구조로 상기 타워 구조물(10)은, 상기 이동통로(12)의 양측에 각각 복수의 적치실(11)이 일렬로 배열형성되어 구성된 단층 또는 다층 구조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nother structure, the tower structure 10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stituted by a single layer or a multi-layer structure formed by arranging a plurality of dental flosses 11 on both sides of the moving passage 12 in a row.

이는 이동통로(12)가 중앙 복도식으로 형성된 것으로서 이동통로(12) 좌우에 적치실(11)이 배치되는 구조이다.This is a structure in which the moving passage 12 is formed in a central corridor and the tooth flap 11 is disposed on the right and left sides of the moving passage 12. [

상기 타워 구조물(10)은,The tower structure (10)

다층 구조로 구성되고, 각층의 이동통로(12)중 어느 한 영역에 상하로 엘리베이터 통로가 형성되어 상하 이동용 엘리베이터(120)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an elevator passageway is formed in any one of the moving passages (12) of each layer so that the elevator for vertical movement (120) is installed.

상기 타워 구조물(10)의 일실시 예로는, 도 2의 (가) 및 (나)와 같이 스퀘워(SQUARE) 모양의 3차원 렉(RACK) 타입 구조물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s an example of the tower structure 10, a three-dimensional rack-type structure having a square shape as shown in FIGS. 2 (A) and 2 (B) is preferable.

타워 구조물(10)은, 최저층을 입고층으로 하고, 입고층은, 이동통로(12)에 이동용 컨베이어벨트를 설치하여 엘리베이터(120)까지 팔레트(20)를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고, 입고층의 좌우 측 적치실을 자동 적치에 이용하지 않고, 수동적치 또는 다른 장비 설치 등의 공간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한것을 예시하였다. 물론 입고층의 좌우 측 적치실에도 동일하게 팔레트 적치가 가능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The tower structure 10 has the lowest layer as the receiving layer and the receiving layer allows the moving conveyor belt to be installed in the moving path 12 to move the pallet 20 to the elevator 120, It is shown that the side floss can be used as a passive tooth or a space for other equipment installation, instead of being used for automatic mounting. Of course, the pallet can be equally configured to be placed on the left and right side floss of the wearing layer.

한편 적치층 즉, 적치 구조물(10)의 2층 이상부터는 적치층으로 이용하고, 각 적치층은, 중앙의 이동통로(12(와 좌우의 적치실(11)을 스퀘어 타입으로 배열하고, 정중앙에 엘리베이터 통로(121)를 형성하여 엘리베이터(12)가 승하강이동 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예시한 것이다. On the other hand, the lower layer is used as a lower layer from the two or more layers of the laminated structure 10, and each of the lower layers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middle moving passage 12 (and the left and right floss chambers 11 are arranged in a square type, And the elevator path 121 is formed so that the elevator 12 can move up and down.

따라서 정중앙의 엘리베이터 통로(121)를 통해 엘리베이터(120)에 팔레트(20)가 실려서 승하강되고, 엘리베이터(120)에서 앞뒤의 이동통로(12) 또는 좌우의 적치실(11)로 팔레트(120)를 이동시킬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즉, 엘리베이터(120)는 전후 좌우 방향으로 팔레트 입출입이 가능하도록 구성하는 것이다.
The pallet 120 is moved upward and downward through the elevator passage 121 in the center of the elevator 120 and the pallet 120 is moved upward and downward in the elevator 120 by the front and rear moving passages 12, As shown in FIG. That is, the elevator 120 is configured so that pallets can be loaded and unloaded in the front, back, left, and right directions.

한편, 적치 타워 이동을 위한 다른 실시예로서,On the other hand, as another embodiment for the movable tower movement,

상기 적치 타워 구조물은,The stacked tower structure comprises:

적치 타워 구조물의 하면에 설치되어 적치 타워 구조물을 견인 이동시키도록설치되는 복수의 이동바퀴와;A plurality of moving wheels installed on a lower surface of the lower tower structure and installed to traverse the lower tower structure;

승하강 수단이 구비되어 상기 적치 타워 구조물을 지상에 고정 지지하거나, 상기 이동바퀴 사용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복수의 승하강 지지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a plurality of elevating and lowering support means provided to elevate and lower the elevating tower structure so as to fix the elevating tower structure on the ground or to use the elevating tower.

이는 모듈러나 트랜스포터등의 이동장비를 이용하지 않고, 타워 구조물 자체에 이동바퀴를 달고, 승하강 지지수단으로 타워 구조물을 지상에 지지설치하며, 이동시에는 승하강 지지수단을 상승시켜 이동바퀴에 의해 지지되게 하여 견인 이동시킬 수 있다. 모듈러나 트랜스포터등을 이용하기 어려운 의장 자재 적치 타워를 소형 타워 구조물로 구성하는 경우에 적용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대형 의장 자재보다는 다품종 소형 의장 자재를 적치하여 쉽게 견인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경우에 이용할 수 있다.
In this case, a mobile wheel is attached to the tower structure itself without using a mobile equipment such as a modular or a transporter, and the tower structure is supported on the ground by a lifting / lowering support means. So that it can be tractionally moved. It can be applied to a case where a small tower structure is used as a tower material for a building, which is difficult to use a modular or transporter. In such a case, it can be used for a case where a small size building material .

상기 이동수단은,Wherein,

상기 이동통로(12)에 복합적으로 설치되어 전후 방향과 좌우 방향 중 어느 한 방향으로 선택되어 팔레트를 이동시키기 위한 이동통로 전후/좌우 이동수단(150)(160)과;A moving path forward / backward / right / left moving means (150, 160) for selectively moving the pallet in the forward / backward direction or the left / right direction and installed in the moving path (12);

각 적치실(11)에 설치되어 상기 이동통로(12)로부터 팔레트(20)를 입고시키거나 이동통로(12)로 출고시키기 위한 적치실 이동수단(17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an enemy floss moving means 170 installed in each tooth flap 11 for loading or unloading the pallet 20 from the moving path 12 or discharging the pallet 20 to the moving path 12.

또한 상기 이동수단은,Further,

타워 구조물이 다층 구조인 경우,When the tower structure is a multi-layer structure,

각층 이동통로(12)의 어느 한 영역의 상하로 형성되는 엘리베이터 통로(121)에 설치되는 엘리베이터(120)와;An elevator (120) installed in an elevator passage (121) formed at an upper and a lower part of an area of each floor moving passage (12);

상기 엘리베이터(120)의 바닥 면에 설치되어 상기 이동통로 전후/좌우 이동수단(150)(160)과 연동되는 엘리베이터 바닥 면 전후/좌우 이동수단(130)(14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nd an elevator floor surface forward / backward / left / right movement means 130 (140) install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elevator 120 and interlocked with the moving passage front / rear / left / right movement means 150 and 160.

상기 이동통로 전후/좌우 이동수단(150((160)과 상기 엘리베이터 바닥 면 전후/좌우 이동수단(130)(140)은, 전후 이동수단과 좌우 이동수단이 각기 그룹으로 상하 승하강시키기 위한 각 이동수단의 승하강장치(131)(141)(151)(16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moving passage front / rear moving means 150 (160) and the elevator bottom front / rear moving means 130 (140) move the moving path forward / backward / left / right moving means 150 131, 141, 151, and 161 of the means for moving up and down.

상기 전후/좌우 이동수단은, 각각의 동력에 의해 구동되는 구동롤러 및 피동롤러로 이루어지고, 전후 이동수단은 전후 이동수단끼리, 좌우 이동수단은 좌우 이동수단끼리 각각의 프레임에 구분되게 설치되고, 각각 승하강 장치(131 - 161)에 의해 선택적으로 승하강이 제어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Wherein the forward / backward / leftward movement means comprises a driving roller and a driven roller driven by respective motors, wherein the forward / backward movement means are provided between the forward / backward movement means and the left / And can be selectively controlled to be raised and lowered by the ascending / descending devices 131 to 161, respectively.

상기 적치 제어장치(110)는,The deposit control device (110)

메인 관리 시스템과 연동하여 사용자 인증을 받아 인증된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각 적치실(11)의 의장 자재 입출고를 자동 제어함과 아울러 각 적치실의 의장 자재 적치 정보 및 입출고 정보를 관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는 적치 타워 공간 별 자재 정보를 관리하고 사원증 인식을 통한 자재 입출고를 관리하는 시스템으로 중앙 관리 시스템(200)(예; 기존의 자재 관리 시스템)과 연동되도록 구성된다. 타워 구조물(10) 내에 사용자가 입출고 조작을 위한 입출고 관리 패널(111)을 설치한다.And controls the entrance and exit of the designing materials of the target dental floss 11 by the operation of the authenticated user in cooperation with the main management system, and also manages the equipment information and the entrance and exit information of each dental floss do. This is a system for managing material input / output through management of material information for each tower space and recognizing employee ID, and is configured to be linked with the central management system 200 (e.g., existing material management system). In the tower structure 10, a user installs an I / O management panel 111 for I / O operation.

이와 같은 본 발명은,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팔레트(20)에 의장 자재를 수납하여 입고층의 이동통로(12)에 로딩시키고, 사용자가 입출고 관리패널(111)을 조작하여 원하는 적치실로 입고시킬 수 있다. 이때 적치 제어장치(110)는, 사용자 인증을 받아 자동 입출고 제어를 한다. 사용자 인증은, 통상의 로그인 인증이나, 개인 인증수단을 입출고 패널(111)의 인증입력수단(예; 사원증이나 신분증 인식을 위한 NFC모듈 또는 지문입력수단 등등..)에 근접시켜 인증정보를 입력 받고, 입력 받은 인증정보는 중앙 관리시스템(200)으로 전송하여 중앙 관리시스템(200)으로부터 의장 자재 입출고 관리를 허가받은 사용자인지를 판단하여 인증처리한다. 물론 자체 DB에 사용자 인증정보를 미리 저장하여 두고, 입출고 패널(111)을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 인증정보를 입력 받아 자체 인증처리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해당 팔레트에 수납된 의장 자재 정보를 입출력 패널을 통해 입력받아 의장 자재정보를 관리한다. It is possible to store the design material in the pallet 20 and load the pallet 20 in the moving path 12 of the stocker layer so that the user can operate the input / output control panel 111 to put it in a desired stocker room. At this time, the deposit control device 110 performs automatic input / output control based on user authentication. In the user authentication, normal login authentication and personal authentication means are brought close to the authentication input means of the input / output panel 111 (e.g., an NFC module or fingerprint input means for identifying an employee ID or identification card, etc.) , The received authentication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the central management system 200, and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user is allowed to manage the management of the chairman material from the central management system 200, and authentication processing is performed. Of course, the user authentication information may be stored in advance in the own DB, and the user authentication information input through the input / output panel 111 may be input and subjected to authentication processing. Also, the design material information stored in the palette is inputted through the input / output panel and the design material information is managed.

따라서 누가 언제 어떤 의장 자재를 입출고 했는지를 정확한 정보로서 관리할 수 있게 된다. As a result, it is possible to manage as to which information the person has handed in and when the design material is delivered.

적치 제어장치(110)는, 자동 적치 제어를 하기 위하여 이동수단을 제어하는데, 이동수단의 위치는 위치 감지수단(180)을 이용하여 팔레트(20)의 위치를 감지하여 자동제어한다.The position control device 110 controls the moving means to perform the automatic position control. The position of the moving means senses the position of the pallet 20 using the position sensing means 180 and automatically controls the position.

도 2의 (가)와 같이 입고층의 적치실에 적치하지 않는 경우는, 입고층의 이동통로 전후 이동수단(150)으로 컨베이어벨트를 설치하여 팔레트(20)를 엘리베이터(120) 까지 전후 이동시킨다. 적치층에서는 도 2의 (나)와 같이 중앙에 엘리베이터 통로(121)가 형성되고 전후 방향으로 이동통로(12)가 형성되며, 각 좌우 측에 적치실(11)이 설치된다. 엘리베이터(120)의 바닥 면에는 엘리베이터 전후 이동수단(130)과, 엘리베이터 좌우이동수단(140)이 설치되고, 이동통로(12)에도 이동통로 전후 이동수단(150)과 좌우 이동수단(160)이 설치되며, 적치실(11)에는 적치실 이동수단(170)이 설치된다.2 (A), the conveyor belt is provided to the moving path forward / backward moving means 150 of the incoming layer to move the pallet 20 back and forth to the elevator 120 . 2 (b), elevator passages 121 are formed at the center and a moving passage 12 is formed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and the right and left side floss chambers 11 are provided. Elevator moving means 130 and elevator moving means 140 are provid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elevator 120 and the moving path forward and backward moving means 150 and the left and right moving means 160 are also connected to the moving path 12 And the enemy flossing chamber 11 is provided with an enemy floss moving means 170.

그리고, 이동통로 전후/좌우 이동수단(150)(160)과 엘리베이터 전후 좌우 이동수단(130)(140)은, 각각 하나 이상의 구동롤러와 복수의 피동롤러들로 이루어지고, 각각 전후 이동수단 승하강장치(131)(151)와, 좌우 이동수단 승하강장치(141)(161)이 설치된다.The moving passage front / rear moving means 150 and 160 and the elevator moving means 130 and 140 are each composed of at least one driving roller and a plurality of driven rollers, Devices 131 and 151, and left and right moving means elevating and lowering devices 141 and 161 are provided.

적치 제어장치(110)는, 엘리베이터(120)를 제어하여 팔레트(20)를 원하는 층으로 이동시키고, 원하는 적치층에 팔레트(20)가 도착하면, 해당 팔레트(20)를 적치할 적치실(11)로 팔레트를 이동시킨다. 만약, 팔레트(20)를 엘리베이터(120)에 바로 이웃하는 적치실(11)로 적치하는 경우는, 엘리베이터 좌우이동수단(140)을 승하강장치(141)를 제어하여 상승시켜 팔레트(20)를 지지하게 하면서, 엘리베이터 좌우이동수단(140)과 팔레트(20)가 들러갈 해당 적치실(11)의 적치실 이동수단(170)을 연동시켜 구동시킨다. 이에 따라 해당 팔레트(20)를 원하는 적치실(11)에 적치한다.The elevator controller 110 controls the elevator 120 to move the pallet 20 to a desired floor and when the pallet 20 arrives at the desired height layer, the pallet 20 To move the pallet. If the pallet 20 is mounted on the falling flap 11 immediately adjacent to the elevator 120, the elevator left and right moving means 140 is controlled to raise and lower the elevator 141 to move the pallet 20 The elevator left and right moving means 140 and the target tooth movement means 170 of the corresponding dental floss 11 to which the pallet 20 is to be moved are linked and driven. Thus, the pallet 20 is placed on the desired floss 11.

한편, 엘리베이터(120)에 실려온 팔레트(20)를 이동통로(12)를 통해 이동시켜 적치실에 적치시키는 경우는, 엘리베이터 전후 이동수단(130)의 승하강장치(131)와 이동통로 전후 이동수단(150) 승하강장치(151)를 구동시켜 상승시키고, 전후 이동수단을 연동시켜 구동함으로써 원하는 위치로 팔레트(20)를 이동시키고, 적치실 출입구에 도착하면 반대로 전후 이동수단 승하강장치(151)는 하강시키고, 좌우이동수단 승하강장치(161)는 상승시킨 후, 해당 적치실(11)의 이동수단(170)과 이동통로(12)의 좌우이동수단(160)을 구동시켜 원하는 적치실로 해당 팔레트(20)를 적치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pallet 20 loaded on the elevator 120 is moved through the moving path 12 to be placed in the dental floss, the lifting device 131 of the elevator moving means 130 and the moving- Up device 151 to move the pallet 20 to a desired position by driving the back-and-forth moving means 151 in cooperation with the back-and-forth moving means, The left and right moving means raising and lowering device 161 is raised and then the moving means 170 of the corresponding tooth flap 11 and the left and right moving means 160 of the moving path 12 are driven, The pallet 20 is placed.

상기와 같은 과정으로 원하는 위치의 적치실에 팔레트(20)를 이동시켜 적치하거나 출고시킬 의장 자재가 있는 적치실(11)의 팔레트(20)를 입고층의 출입구로 이동시켜 출고할 수 있다. With the above process, the pallet 20 of the red dental floss 11 having the design material to be placed or to be moved can be moved to the entrance of the bed by moving the pallet 20 to the target dental floss at a desired position.

이와 같이 적치 제어장치(110)는, 각 적치실(11)에 적치된 의장 자재의 적치 정보와, 의장 자재 입출고 일시 및 입출고 사용자의 정보를 저장관리할 수 있고, 이러한 의장 자재 적치 정보를 중앙 관리 시스템(200)과 공유함으로써 효율적인 의장 자재 관리가 가능해진다. Thus, the rack-and-socket control device 110 can store and manage the rack-mountable information of the rack-mounted materials placed in the respective flossing chambers 11, information on the time of entering and exiting the equipment, System 200, it becomes possible to manage the design material efficiently.

또한 현장의 상황에 따라 적치 타워를 이동시키고자 하는 경우, 모듈러를 타워 구조물 하부로 투입하여 모듈러를 이용하여 적치 타워를 원하는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으므로, 필요에 따라 의장자재를 필요로 하는 작업장으로 이동시켜 의장자재의 물류 거리를 단축시킴으로써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In addition, if you want to move the tower in accordance with the situation of the site, you can put the modular tower under the tower structure and move the tower to the desired position using the modular. So that the productivity can be improved by shortening the distribution distance of the design material.

10 : 타워 구조물 11 : 적치실
12 : 이동통로 20 : 팔레트
30 : 의장자재 50 : 가이드 서포트
100 : 적치 타워 110 : 적치 제어장치
111 : 입출고 관리패널 120 : 엘리베이터
121 : 엘리베이터 통로
130 : 엘리베이터 바닥 면 전후 이동수단
140 : 엘리베이터 바닥 면 좌우 이동수단
150 : 이동통로 전후 이동수단
160 : 이동통로 좌우 이동수단
131 - 161 : 이동수단 승하강장치
170 : 적치실 이동수단
180 : 위치 감지수단
200 : 중앙 관리 시스템
10: Tower structure 11: enemy floss
12: transfer passage 20: pallet
30: Design material 50: Guide support
100: Tail tower 110: Tail control device
111: I / O management panel 120: Elevator
121: Elevator passage
130: elevator floor front / rear moving means
140: Elevator moving means
150: Moving passage forward / backward moving means
160: Moving passage left / right moving means
131 - 161: Moving means ascending / descending device
170: enemy floss moving means
180: Position sensing means
200: Central Management System

Claims (10)

조선소의 야드에서 의장 자재를 적치 관리하기 위한 적치 타워로서,
의장 자재(30)를 적치할 수 있는 다수의 적치실(11)이 구획된 타워 구조물(10)과;
상기 타워 구조물(10) 내에 설치되어 상기 적치실(11)로 의장 자재(30)를 입고 및 출고시키기 위한 이동수단과;
상기 이동수단을 제어하여 각 적치실(11)에 의장 자재(30)를 적치하거나 적치실(11)에 적치된 의장 자재(30)를 출고시킴과 아울러 의장 자재의 입출고 정보와 입출고 관리정보를 관리하는 적치 제어장치(110)와;
타워를 이동시키기 위한 이동장비를 상기 타워 구조물(10) 하부로 진출입시킬 수 있도록 하부 공간을 확보하면서 상기 타워 구조물(10)의 지상 설치를 지지하는 복수의 가이드 서포트(5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형 의장 자재 자동 적치 타워.
As a rack tower for managing the design materials in the yards of the shipyard,
A tower structure (10) partitioned by a plurality of teeth (11) capable of holding a design material (30);
Moving means installed in the tower structure (10) for loading and unloading the designing material (30) into the dropping chamber (11);
The moving means is controlled so that the design material 30 is placed on the respective dental floss 11 or the design material 30 is placed on the dental floss 11 and the entry and exit information and the entry and exit management information of the design material are managed (110);
And a plurality of guide supports (50) supporting a ground installation of the tower structure (10) while securing a lower space so that a mobile equipment for moving the tower can be introduced into and travel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tower structure (10) Mobile type chair automatic automatic tower.
제 1 항에 있어서,
의장 자재(30)를 수납하여 상기 각 적치실(11)로 이동시키기 위한 의장 자재 수납용 팔레트(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형 의장 자재 자동 적치 타워.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pallet (20) for storing the design material (30) and for moving the design material (30) to the respective floss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타워 구조물(10)은,
복수의 적치실(11)이 일렬로 배열되고, 상기 복수의 적치실(11) 출입구와 연결되는 이동통로(12)가 형성된 단층 또는 다층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형 의장 자재 자동 적치 타워.
The tower structure (10)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tower structure (10)
Wherein a plurality of dropping chambers (11) are arranged in a row and a moving passage (12) connected to the plurality of dropping chambers (11) is formed in a single layer or a multi - layer structure.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타워 구조물(10)은,
이동통로(12)의 양측에 각각 복수의 적치실(11)이 일렬로 배열형성되어 구성된 단층 또는 다층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형 의장 자재 자동 적치 타워.
The tower structure (10) according to claim 3, wherein the tower structure (10)
And a plurality of tooth-dropping chambers (11) are arranged in a row on both sides of the transfer passage (12).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타워 구조물(10)은,
각층별로 복수의 적치실(11)이 이동통로(12)의 좌우에 배열 형성되고,
각층의 이동통로(12) 중 어느 한 영역에 상하로 엘리베이터 통로가 형성되어 상하 이동용 엘리베이터(120)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형 의장 자재 자동 적치 타워.
The tower structure (10) according to claim 3, wherein the tower structure (10)
A plurality of dropping chambers 11 are arranged on the right and left sides of the moving passage 12 for each layer,
Characterized in that an elevator passageway is formed in any one of the moving passages (12) of each floor, and an elevator (120) for vertical movement is provided.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치 타워 구조물은,
적치 타워 구조물의 하면에 설치되어 적치 타워 구조물을 견인 이동시키도록설치되는 복수의 이동바퀴와;
승하강 수단이 구비되어 상기 적치 타워 구조물을 지상에 고정 지지하거나, 상기 이동바퀴 사용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복수의 승하강 지지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형 의장 자재 자동 적치 타워.
2. The tower structure as claimed in claim 1,
A plurality of moving wheels installed on a lower surface of the lower tower structure and installed to traverse the lower tower structure;
Further comprising a plurality of elevating and lowering support means provided with elevating and lowering means for fixing or supporting the above-mentioned elevated tower structure on the ground or for use of said moving wheels.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수단은,
다수의 적치실(11)의 출입구와 연결된 이동통로(12)에 복합적으로 설치되어 전후 방향과 좌우 방향 중 어느 한 방향으로 선택되어 의장 자재를 수납한 팔레트(20)를 이동시키기 위한 이동통로 전후/좌우 이동수단(150)(160)과;
각 적치실(11)에 설치되어 상기 이동통로(12)로부터 팔레트(20)를 입고시키거나 이동통로(12)로 출고시키기 위한 적치실 이동수단(170) 및
각 이동수단에 의해 이동되는 팔레트(20)의 이동 위치를 감지하기 위한 위치감지수단(18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형 의장 자재 자동 적치 타워.
Th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3,
(11), and is arranged in the direction of movement of the movable passage (12) for moving the pallet (20) accommodating the design material in a selected one of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and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Left and right moving means 150 and 160;
A dental floss moving means 170 provided in each dental floss 11 for loading or unloading the pallet 20 from the moving path 12 or discharging the pallet 20 to the moving path 12,
And a position sensing means (180) for sensing a movement position of the pallet (20) moved by each movement means.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수단은,
타워 구조물이 다층 구조인 경우,
각층 이동통로(12)의 어느 한 영역의 상하로 형성되는 엘리베이터 통로(121)에 설치되는 엘리베이터(120)와;
상기 엘리베이터(120)의 바닥 면에 설치되어 상기 이동통로 전후/좌우 이동수단(150)(160)과 연동되는 엘리베이터 바닥 면 전후/좌우 이동수단(130)(14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형 의장 자재 자동 적치 타워.
8. Th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7,
When the tower structure is a multi-layer structure,
An elevator (120) installed in an elevator passage (121) formed at an upper and a lower part of an area of each floor moving passage (12);
And an elevator floor surface forward / backward / left / right movement means (130) (140) install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elevator (120) and interlocked with the traveling passage front / rear / left / right movement means (150, 160) Chair material Automatic tilting tower.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로 전후/좌우 이동수단(150((160)과 상기 엘리베이터 바닥 면 전후/좌우 이동수단(130)(140)은,
전후 이동수단과 좌우 이동수단이 각기 그룹으로 상하 승하강시키기 위한 각 이동수단의 승하강장치(131)(141)(151)(16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형 의장 자재 자동 적치 타워.
The elevator according to claim 8, wherein the moving passage front / rear moving means (150 (160) and the elevator bottom surface front / rear moving means (130)
(151) (141) (151) (161) of the moving means for moving the front and rear moving means and the left and right moving means up and down in groups respectively.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치 제어장치(110)는,
메인 관리 시스템과 연동하여 사용자 인증을 받아 인증된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각 적치실(11)의 의장 자재 입출고를 자동 제어함과 아울러 각 적치실의 의장 자재 적치 정보 및 입출고 정보를 관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형 의장 자재 자동 적치 타워.
Th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rack control device (110)
And controls the entrance and exit of the designing materials of the target dental floss 11 by the operation of the authenticated user in cooperation with the main management system, and also manages the equipment information and the entrance and exit information of each dental floss Mobile type chair automatic automatic tower.
KR1020150102913A 2015-07-21 2015-07-21 Movable tower for pile up soutftting KR10233168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2913A KR102331685B1 (en) 2015-07-21 2015-07-21 Movable tower for pile up soutftting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2913A KR102331685B1 (en) 2015-07-21 2015-07-21 Movable tower for pile up soutftting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11033A true KR20170011033A (en) 2017-02-02
KR102331685B1 KR102331685B1 (en) 2021-11-25

Family

ID=581517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02913A KR102331685B1 (en) 2015-07-21 2015-07-21 Movable tower for pile up soutftting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31685B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54705A (en) * 2001-08-07 2003-02-26 Nippon Yusoki Co Ltd Automatic warehouse system
JP2004238088A (en) * 2003-02-03 2004-08-26 Murata Mach Ltd Elevating and lowering platform
KR20110050650A (en) * 2008-09-05 2011-05-16 가부시키가이샤 다이후쿠 Article storage facility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KR101352991B1 (en) * 2009-08-28 2014-01-21 백윤강 Multilayer type container storage and export system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54705A (en) * 2001-08-07 2003-02-26 Nippon Yusoki Co Ltd Automatic warehouse system
JP2004238088A (en) * 2003-02-03 2004-08-26 Murata Mach Ltd Elevating and lowering platform
KR20110050650A (en) * 2008-09-05 2011-05-16 가부시키가이샤 다이후쿠 Article storage facility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KR101352991B1 (en) * 2009-08-28 2014-01-21 백윤강 Multilayer type container storage and export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31685B1 (en) 2021-1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26698B1 (en) Transfer and delivery system and storage and delivery system for warehousing, warehousing, or moving storage items in high-rise multi-dimensional warehouses
ES2579068T3 (en) Shelving storage system and its operating procedure
US9725241B2 (en) Storage and picking system and method for picking with autonomously moving shelf-serving devices
CA2808933C (en) Storage shelf system for storing storage goods
US3866767A (en) Mobile tier picking apparatus for a warehousing system
EP1726539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tocking bulky loads
MX2013000037A (en) System for transporting goods arranged on auxiliary devices.
CN104444007A (en) Goods storing and taking method and device for intensive stereoscopic warehouse
TW200911654A (en) Storage, transporting system and storage set
US3343692A (en) Materials handling installations
KR20170011033A (en) Movable tower for pile up soutftting
JP5206827B2 (en) Mechanical bicycle parking equipment and method
CA2968748C (en) Method for operating a modular shelving racking system, and a corresponding modular shelving racking system
JP2020061150A (en) Multi-level robotics automation
JP5742571B2 (en) Automatic warehouse
JP5982183B2 (en) Three-dimensional parking facilities
CN219990185U (en) Conveying system
EP1390279B1 (en) Method for forming container racks
ES2934720T3 (en) Shelving system comprising movable shelves
KR900006057B1 (en) Parking garage
KR200414248Y1 (en) Parking equipment
JP2001020554A (en) Elevator type parking device and the like
CN1154332A (en) Case picking system
JP5660393B2 (en) Article storage facility and article stacking method in article storage facility
JP2003252402A (en) Storage facilit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