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10886A - 착용형 장치를 이용하는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위치 기반 서비스 시스템 - Google Patents

착용형 장치를 이용하는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위치 기반 서비스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10886A
KR20170010886A KR1020170009949A KR20170009949A KR20170010886A KR 20170010886 A KR20170010886 A KR 20170010886A KR 1020170009949 A KR1020170009949 A KR 1020170009949A KR 20170009949 A KR20170009949 A KR 20170009949A KR 20170010886 A KR20170010886 A KR 201700108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arable device
identification information
location
terminal
based ser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099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문석민
Original Assignee
리니어블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리니어블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리니어블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700108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1088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3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using mutual or relative location information between multiple location based services [LBS] targets or of distance threshol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51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local events, e.g. events related to user activ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26Network addressing or numbering for mobility suppor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미리 설치된 위치 기반 어플리케이션에 따라 작동하는 적어도 하나의 모바일 단말 및 보호자 단말;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모바일 단말 및 상기 보호자 단말과 연결된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서버를 포함하는 위치 기반 서비스 시스템에서, 벤더 식별 정보가 부여된 착용형 장치를 이용하는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방법은 상기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서버에서, 상기 착용형 장치가 제작되는 시점에, 상기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서버에 포함되는 미리 구축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벤더 식별 정보를 상기 착용형 장치에 부여하는 단계; 상기 보호자 단말에서, 상기 착용형 장치를 등록하는 단계; 및 상기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서버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모바일 단말 및 상기 착용형 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보호자 단말로 위치 기반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착용형 장치를 등록하는 단계는 상기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서버에서, 상기 착용형 장치가 상기 보호자 단말에 최초 등록되는 시점에, 상기 미리 구축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고유 식별 정보를 상기 착용형 장치에 할당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착용형 장치를 이용하는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위치 기반 서비스 시스템{LOCATION BASED SERVICE PROVIDING METHOD AND LOCATION BASED SERVICE SYSTEM USING WEARABLE DEVICE}
본 발명은 착용형 장치를 이용하는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위치 기반 서비스 시스템에 관한 기술로서, 보다 구체적으로 벤더 식별 정보가 부여된 착용형 장치를 이용하여 위치 기반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위치 기반 서비스 시스템에 관한 기술이다.
기존의 위치 기반 서비스 시스템은 착용형 장치에 GPS 모듈 및 이동통신 모듈을 탑재함으로써, 착용형 장치의 위치를 지속적으로 추적하여, 착용형 장치가 대응하는 보호자 단말로 착용형 장치의 위치 정보만을 단순히 제공한다.
그러나, 기존의 위치 기반 서비스 시스템은 착용형 장치에 탑재되는 GPS 모듈 및 이동통신 모듈이 고가이기 때문에, 높은 제조 원가로 인하여 대중화가 되기 힘든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명세서에서는 보호자 단말과 구별되는 적어도 하나의 모바일 단말의 블루투스 기능을 이용하여 착용형 장치의 위치 정보를 보호자 단말로 제공하는 위치 기반 서비스 시스템을 제안한다.
특히, 본 명세서에서는 착용형 장치의 제작 효율을 향상시키고, 착용형 장치에 할당되는 고유 식별 정보의 낭비를 방지하며, 착용형 장치에 벤더 식별 정보를 부여함으로써, 벤더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위치 기반 서비스 시스템을 제안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는 착용형 장치가 복수의 동작 모드에 따라 적응적으로 동작함으로써, 착용형 장치의 위치 정보를 제공받는 과정에서, 보호자 단말의 소모 전력을 최소화하며, 안정된 양방향 통신 채널을 이용하도록 하는 기술을 제안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착용형 장치가 제작되는 시점에 벤더 식별 정보를 착용형 장치에 부여함으로써, 벤더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술을 제안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착용형 장치가 보호자 단말에 최초 등록되는 시점에 고유 식별 정보를 착용형 장치에 할당함으로써, 착용형 장치의 제작 효율을 향상시키고, 착용형 장치에 할당되는 고유 식별 정보의 낭비를 방지하는 기술을 제안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착용형 장치가 복수의 동작 모드에 따라 적응적으로 동작함으로써, 착용형 장치의 위치 정보를 제공받는 과정에서, 보호자 단말의 소모 전력을 최소화하며, 안정된 양방향 통신 채널을 이용하도록 하는 기술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미리 설치된 위치 기반 어플리케이션에 따라 작동하는 적어도 하나의 모바일 단말 및 보호자 단말;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모바일 단말 및 상기 보호자 단말과 연결된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서버를 포함하는 위치 기반 서비스 시스템에서, 벤더 식별 정보가 부여된 착용형 장치를 이용하는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방법은 상기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서버에서, 상기 착용형 장치가 제작되는 시점에, 상기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서버에 포함되는 미리 구축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벤더 식별 정보를 상기 착용형 장치에 부여하는 단계; 상기 보호자 단말에서, 상기 착용형 장치를 등록하는 단계; 및 상기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서버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모바일 단말 및 상기 착용형 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보호자 단말로 위치 기반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착용형 장치를 등록하는 단계는 상기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서버에서, 상기 착용형 장치가 상기 보호자 단말에 최초 등록되는 시점에, 상기 미리 구축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고유 식별 정보를 상기 착용형 장치에 할당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고유 식별 정보를 상기 착용형 장치에 할당하는 단계는 상기 착용형 장치의 벤더 식별 정보를 인식하는 단계; 및 상기 미리 구축된 데이터베이스 상에서, 상기 착용형 장치의 벤더 식별 정보를 상기 착용형 장치의 고유 식별 정보에 연관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유 식별 정보를 상기 착용형 장치에 할당하는 단계는 상기 보호자 단말의 고유 식별 정보를 상기 착용형 장치의 고유 식별 정보와 매칭하여 상기 미리 구축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호자 단말로 위치 기반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착용형 장치의 주변에 위치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모바일 단말에서, 상기 착용형 장치가 발생시키는 비콘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적어도 하나의 모바일 단말에서, 상기 비콘 신호에 포함되는 상기 착용형 장치의 고유 식별 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착용형 장치의 고유 식별 정보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모바일 단말의 위치 정보를 상기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서버로 전달하는 단계; 및 상기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서버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모바일 단말의 위치 정보를 상기 보호자 단말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모바일 단말의 위치 정보를 상기 보호자 단말로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착용형 장치의 벤더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서비스를 상기 보호자 단말로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모바일 단말의 위치 정보를 상기 보호자 단말로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미리 구축된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착용형 장치의 고유 식별 정보에 매칭되는 상기 보호자 단말의 고유 식별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착용형 장치의 고유 식별 정보에 매칭되는 상기 보호자 단말의 고유 식별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는 상기 미리 구축된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착용형 장치의 고유 식별 정보에 연관되는 상기 착용형 장치의 벤더 식별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착용형 장치의 고유 식별 정보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모바일 단말의 위치 정보를 상기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서버로 전달하는 단계는 상기 비콘 신호에 더 포함되는 상기 착용형 장치의 벤더 식별 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서버로 전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미리 설치된 위치 기반 어플리케이션에 따라 작동하는 적어도 하나의 모바일 단말 및 보호자 단말;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모바일 단말 및 상기 보호자 단말과 연결된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서버를 포함하는 위치 기반 서비스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착용형 장치의 동작 방법은 상기 착용형 장치가 미리 등록된 상기 보호자 단말이 상기 착용형 장치의 주변에 위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판단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보호자 단말과 페어링된 상태로 동작하는 페어링 모드 또는 비콘 신호를 발생시키는 상태로 동작하는 비콘 모드 중 어느 하나로 동작 모드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보호자 단말이 상기 착용형 장치의 주변에 위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보호자 단말이 상기 착용형 장치의 주변에 위치함에 따라, 상기 착용형 장치가 상기 보호자 단말과 페어링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일 수 있다.
상기 판단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페어링 모드 또는 상기 비콘 모드 중 어느 하나로 동작 모드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착용형 장치가 상기 페어링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상기 보호자 단말에서, 상기 착용형 장치가 상기 보호자 단말과 페어링되어 상기 보호자 단말의 주변에 위치함을 나타내는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판단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페어링 모드 또는 상기 비콘 모드 중 어느 하나로 동작 모드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착용형 장치가 상기 페어링 모드로 동작하다가 상기 보호자 단말과 페어링이 끊기는 경우, 상기 보호자 단말에서, 상기 착용형 장치가 상기 보호자 단말의 주변으로부터 일정 거리 이상 떨어졌음을 나타내는 알람을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판단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페어링 모드 또는 상기 비콘 모드 중 어느 하나로 동작 모드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착용형 장치가 상기 비콘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상기 착용형 장치의 주변에 위치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모바일 단말에서, 상기 착용형 장치가 발생시키는 비콘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적어도 하나의 모바일 단말에서, 상기 비콘 신호에 포함되는 상기 착용형 장치의 고유 식별 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착용형 장치의 고유 식별 정보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모바일 단말의 위치 정보를 상기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서버로 전달하는 단계; 및 상기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서버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모바일 단말의 위치 정보를 상기 보호자 단말로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착용형 장치가 제작되는 시점에 벤더 식별 정보를 착용형 장치에 부여함으로써, 벤더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술을 제안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착용형 장치가 보호자 단말에 최초 등록되는 시점에 고유 식별 정보를 착용형 장치에 할당함으로써, 착용형 장치의 제작 효율을 향상시키고, 착용형 장치에 할당되는 고유 식별 정보의 낭비를 방지하는 기술을 제안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착용형 장치가 복수의 동작 모드에 따라 적응적으로 동작함으로써, 착용형 장치의 위치 정보를 제공받는 과정에서, 보호자 단말의 소모 전력을 최소화하며, 안정된 양방향 통신 채널을 이용하도록 하는 기술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일실시예에 따른 위치 기반 서비스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일실시예에 따른 위치 기반 서비스 시스템에서, 착용형 장치의 동작 방법을 나타낸 플로우 차트이다.
도 3은 일실시예에 따른 착용형 장치가 페어링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위치 기반 서비스 시스템의 동작 방법을 나타낸 플로우 차트이다.
도 4는 일실시예에 따른 착용형 장치가 비콘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위치 기반 시스템의 동작 방법을 나타낸 플로우 차트이다.
도 5는 일실시예에 따른 위치 기반 서비스 시스템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6은 일실시예에 따른 착용형 장치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7은 일실시예에 따른 착용형 장치에 벤더 식별 정보가 부여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일실시예에 따른 착용형 장치에 고유 식별 정보가 부여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일실시예에 따른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방법을 나타낸 플로우 차트이다.
도 10은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위치 기반 서비스 시스템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terminology)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적절히 표현하기 위해 사용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본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일실시예에 따른 위치 기반 서비스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일실시예에 따른 위치 기반 서비스 시스템은 위치 기반 서비스를 제공하는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서버(110), 위치 기반 어플리케이션이 미리 설치된 보호자 단말(120), 착용형 장치(130) 및 위치 기반 어플리케이션이 미리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모바일 단말(140)을 포함하여, 착용형 장치(130)의 위치 정보를 수집하여, 착용형 장치(130)에 대응하는 보호자 단말(120)로 제공한다. 이하,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방법은 착용형 장치(130)의 동작 모드에 따라, 보호자 단말(120) 또는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서버(110)의 동작에 의해 수행되는 것으로 기재하나, 이에 제한되거나 한정되지 않고, 보호자 단말(120) 및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서버(110)를 포함하는 위치 기반 서비스 시스템의 동작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이 때, 적어도 하나의 모바일 단말(140)은 착용형 장치(130) 주변에 위치하는 임의의 단말로, 위치 기반 어플리케이션이 미리 설치되어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서버(110)와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
여기서, 착용형 장치(130)는 사용자의 신체에 착용되는 밴드 및 블루투스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착용형 장치(130)는 사용자의 손목에 착용되는 팔찌 형태로 제작될 수 있다. 이 때, 착용형 장치(130)에 포함되는 블루투스 모듈은 저전력 블루투스(Bluetooth Low Energy; BLE) 기능-비콘 신호를 발생시키는 비콘 신호 발생기의 기능- 및 보호자 단말(120)과 페어링되는 기능을 지원할 수 있다. 따라서, 착용형 장치(130)는 비콘 신호를 발생시키는 상태로 동작하는 비콘 모드 또는 보호자 단말(120)과 페어링된 상태로 동작하는 페어링 모드 중 어느 하나로 동작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착용형 장치(130)는 미리 등록된 보호자 단말(120)이 착용형 장치(130)의 주변에 위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부 및 판단 결과에 기초하여 보호자 단말(120)과 페어링된 상태로 동작하는 페어링 모드 또는 비콘 신호를 발생시키는 상태로 동작하는 비콘 모드 중 어느 하나로 동작 모드를 결정하는 동작 모드 결정부를 포함함으로써, 결정된 동작 모드에 따라 동작될 수 있다. 이 때, 판단부 및 동작 모드 결정부는 블루투스 모듈에 내장되어 구비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제한되거나 한정되지 않고, 블루투스 모듈과 연결된 독립적인 모듈로 구비될 수도 있다.
여기서, 착용형 장치(130)는 보호자 단말(120)이 착용형 장치(130)의 주변에 위치함에 따라, 착용형 장치(130)가 보호자 단말(120)과 페어링되는지 여부를 판단함으로써, 보호자 단말(120)이 착용형 장치(130)의 주변에 위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보호자 단말(120)이 착용형 장치(130)의 주변에 위치함에 따라, 착용형 장치(130)에 포함되는 블루투스 모듈이 보호자 단말(120)과 페어링되는 경우, 착용형 장치(130)는 동작 모드를 페어링 모드로 결정함으로써, 페어링 모드에 따라 동작할 수 있다. 반면에, 보호자 단말(120)이 착용형 장치(130)의 주변에 위치하지 않음으로써, 착용형 장치(130)에 포함되는 블루투스 모듈이 보호자 단말(120)과 페어링되지 않는 경우, 착용형 장치(130)는 동작 모드를 비콘 모드로 결정함으로써, 비콘 모드에 따라 동작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결정된 착용형 장치(130)의 동작 모드에 따라, 위치 기반 서비스 시스템은 다음과 같이 동작하여 위치 기반 서비스를 보호자 단말(120)로 제공할 수 있다.
착용형 장치(130)가 페어링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서버(110)는 보호자 단말(120)의 동작만으로 위치 기반 서비스를 보호자 단말(120)로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착용형 장치(130)가 페어링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보호자 단말(120)은 착용형 장치(130)가 보호자 단말(120)과 페어링됨을 인식할 수 있기 때문에, 착용형 장치(130)가 보호자 단말(120)의 주변에 위치함을 나타내는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착용형 장치(130)가 페어링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보호자 단말(120)은 착용형 장치(130)가 현재 본인-보호자 단말(120)-의 주변에 위치함을 나타내는 정보를 디스플레이에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착용형 장치(130)가 페어링 모드로 동작하다가 보호자 단말(120)과 페어링이 끊기는 경우, 보호자 단말(120)은 착용형 장치(130)가 보호자 단말(120)의 주변으로부터 일정 거리 이상 떨어졌음을 나타내는 알람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착용형 장치(130)가 페어링 모드로 동작하다가 보호자 단말(120)과 페어링이 끊기는 경우, 보호자 단말(120)은 착용형 장치(130)가 페어링되는 거리보다 멀리-일정 거리 이상- 떨어졌음을 인지하여, 착용형 장치(130)가 현재 본인-보호자 단말(120)-으로부터 일정 거리 이상 떨어졌음을 나타내는 알람을 디스플레이에 표시하거나, 사운드로 재생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착용형 장치(130)가 페어링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보호자 단말(120)로 위치 기반 서비스가 제공되는 과정은 보호자 단말(120)과 착용형 장치(130)의 사이에서 수행되기 때문에, 보호자 단말(120)이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서버(110)와 연결될 필요가 없으며, 착용형 장치(130)와의 페어링이 유지되는 최소한의 전력만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보호자 단말(120)로 위치 기반 서비스가 제공되는 과정이 보호자 단말(120)과 착용형 장치(130) 사이의 안정된 양방향 통신 채널을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따라서, 착용형 장치(130)가 페어링 모드로 동작함으로써, 위치 기반 서비스가 제공되는 과정에서 보호자 단말(120)의 소모 전력이 최소화될 수 있으며, 안정된 양방향 통신 채널을 이용할 수 있다.
반면에, 착용형 장치(130)가 비콘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보호자 단말(120)로부터 착용형 장치(130)에 대한 위치 정보 요청이 수신되면,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서버(110)는 미리 구축된 데이터베이스 및 연결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모바일 단말(140)을 이용하여 착용형 장치(130)의 위치 정보를 수집하여, 보호자 단말(120)로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비콘 모드로 동작하는 착용형 장치(130)가 적어도 하나의 모바일 단말(140)의 미리 설정된 범위(141) 내에 위치하는 경우, 적어도 하나의 모바일 단말(140)-착용형 장치(130)의 주변에 위치함-은 착용형 장치(130)가 발생시키는 비콘 신호를 수신하여, 수신된 비콘 신호에 포함되는 착용형 장치(130)의 고유 식별 정보를 추출함으로써, 추출된 착용형 장치(130)의 고유 식별 정보 및 적어도 하나의 모바일 단말(140)의 위치 정보를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서버(110)로 전달할 수 있다. 따라서,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서버(110)는 착용형 장치(130)를 탐색한 적어도 하나의 모바일 단말(140)로부터 착용형 장치(130)의 고유 식별 정보 및 착용형 장치(130)를 탐색한 적어도 하나의 모바일 단말(140)의 위치 정보를 수신함으로써, 미리 구축된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착용형 장치(130)의 고유 식별 정보에 매칭되는 보호자 단말(120)의 고유 식별 정보를 추출하고, 추출된 고유 식별 정보를 갖는 보호자 단말(120)에 미리 설치된 위치 기반 어플리케이션의 유저 인터페이스 상에 수신된 적어도 하나의 모바일 단말(140)의 위치 정보를 기초로 도출되는 착용형 장치(130)의 위치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착용형 장치(130)를 탐색한 적어도 하나의 모바일 단말(140)의 위치는 착용형 장치(130)의 위치와 근접하기 때문에, 착용형 장치(130)를 탐색한 적어도 하나의 모바일 단말(140)의 위치 정보는 착용형 장치(130)의 위치 정보를 의미할 수 있음).
또한,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서버(110)는 착용형 장치(130)의 고유 식별 정보를 착용형 장치(130)를 탐색한 적어도 하나의 모바일 단말(140)의 위치 정보와 함께 보호자 단말(120)로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보호자 단말(120)은 착용형 장치(130) 외에 복수의 착용형 장치들을 등록한 경우에도, 보호자 단말(120)의 사용자가 복수의 착용형 장치들 각각의 위치 정보를 구분하여 확인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서버(110)에 포함되는 미리 구축된 데이터베이스에는 착용형 장치(130)의 고유 식별 정보가 보호자 단말(120)의 고유 식별 정보와 매칭되어 미리 저장될 수 있다. 이 때, 착용형 장치(130)의 고유 식별 정보가 보호자 단말(120)의 고유 식별 정보와 매칭되어 미리 저장되는 동작은 착용형 장치(130)가 보호자 단말(120)에 의해 최초 등록되는 과정에서 수행될 수 있다.
도 2는 일실시예에 따른 위치 기반 서비스 시스템에서, 착용형 장치의 동작 방법을 나타낸 플로우 차트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일실시예에 따른 착용형 장치는 착용형 장치가 미리 등록된 보호자 단말이 착용형 장치의 주변에 위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210).
이 때, 착용형 장치는 보호자 단말이 착용형 장치의 주변에 위치함에 따라, 착용형 장치가 보호자 단말과 페어링되는지 여부를 판단함으로써, 보호자 단말이 착용형 장치의 주변에 위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그 후, 착용형 장치는 판단 결과에 기초하여 보호자 단말과 페어링된 상태로 동작하는 페어링 모드 또는 비콘 신호를 발생시키는 상태로 동작하는 비콘 모드 중 어느 하나로 동작 모드를 결정한다(220).
따라서, 착용형 장치는 결정된 동작 모드에 따라 동작한다.
예를 들어, 착용형 장치가 페어링 모드로 동작되는 경우, 착용형 장치는 보호자 단말과 페어링되어 보호자 단말로 위치 기반 서비스가 제공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도 3을 참조하여 기재하기로 한다.
다른 예를 들면, 착용형 장치가 비콘 모드로 동작되는 경우, 착용형 장치는 비콘 신호를 발생시켜, 주변에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모바일 단말에서 비콘 신호를 수신한 후, 적어도 하나의 모바일 단말의 위치 정보가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서버로 전달되도록 함으로써, 보호자 단말로 위치 기반 서비스가 제공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도 4를 참조하여 기재하기로 한다.
도 3은 일실시예에 따른 착용형 장치가 페어링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위치 기반 서비스 시스템의 동작 방법을 나타낸 플로우 차트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일실시예에 따른 보호자 단말은 착용형 장치가 페어링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착용형 장치가 보호자 단말과 페어링되어 보호자 단말의 주변에 위치함을 나타내는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310).
예를 들어, 보호자 단말은 착용형 장치가 페어링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착용형 장치가 보호자 단말의 주변에 위치함을 나타내는 정보를 디스플레이에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착용형 장치가 페어링 모드로 동작하다가 보호자 단말과 페어링이 끊기는 경우, 보호자 단말은 착용형 장치가 보호자 단말의 주변으로부터 일정 거리 이상 떨어졌음을 나타내는 알람을 제공할 수 있다(320).
예를 들어, 착용형 장치가 페어링 모드로 동작하다가 보호자 단말과 페어링이 끊기는 경우, 보호자 단말은 착용형 장치가 보호자 단말로부터 일정 거리 이상 떨어졌음을 나타내는 알람을 디스플레이 표시하거나, 사운드로 재생할 수 있다.
도 4는 일실시예에 따른 착용형 장치가 비콘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위치 기반 시스템의 동작 방법을 나타낸 플로우 차트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일실시예에 따른 착용형 장치의 주변에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모바일 단말은 착용형 장치가 비콘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착용형 장치가 발생시키는 비콘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410).
따라서, 적어도 하나의 모바일 단말은 수신된 비콘 신호에 포함되는 착용형 장치의 고유 식별 정보를 추출하여, 추출된 착용형 장치의 고유 식별 정보 및 적어도 하나의 모바일 단말의 위치 정보를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서버로 전달할 수 있다(420).
이에,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서버는 수신된 적어도 하나의 모바일 단말의 위치 정보를 보호자 단말로 제공할 수 있다(430). 구체적으로,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서버는 착용형 장치의 고유 식별 정보가 보호자 단말의 고유 식별 정보와 매칭되어 미리 저장된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수신된 착용형 장치의 고유 식별 정보에 매칭되는 보호자 단말의 고유 식별 정보를 추출한 후, 추출된 고유 식별 정보를 갖는 보호자 단말에 적어도 하나의 모바일 단말의 위치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도 5는 일실시예에 따른 위치 기반 서비스 시스템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일실시예에 따른 위치 기반 서비스 시스템은 착용형 장치(510), 적어도 하나의 모바일 단말(520), 보호자 단말(530) 및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서버(540)를 포함한다.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모바일 단말(520) 및 보호자 단말(530)은 미리 설치된 위치 기반 어플리케이션에 따라 작동하며,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서버(540)와 연결될 수 있다.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착용형 장치(510)는 착용형 장치(510)가 미리 등록된 보호자 단말(530)이 착용형 장치(510)의 주변에 위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부 및 판단 결과에 기초하여 보호자 단말(530)과 페어링된 상태로 동작하는 페어링 모드 또는 비콘 신호를 발생시키는 상태로 동작하는 비콘 모드 중 어느 하나로 동작 모드를 결정하는 동작 모드 결정부를 포함한다.
이 때, 판단부는 보호자 단말(530)이 착용형 장치(510)의 주변에 위치함에 따라, 착용형 장치(510)가 보호자 단말(530)과 페어링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보호자 단말(530)은 착용형 장치(510)가 페어링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착용형 장치(510)가 보호자 단말(530)과 페어링되어 주변에 위치함을 나타내는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보호자 단말(530)은 착용형 장치(510)가 페어링 모드로 동작하다가 보호자 단말(530)과 페어링이 끊기는 경우, 착용형 장치(510)가 보호자 단말(530)의 주변으로부터 일정 거리 이상 떨어졌음을 나타내는 알람을 더 제공할 수 있다.
착용형 장치(510)의 주변에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모바일 단말(520)은 착용형 장치(510)가 비콘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착용형 장치(510)가 발생시키는 비콘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비콘 신호에 포함되는 착용형 장치(510)의 고유 식별 정보를 추출하여 추출된 착용형 장치(510)의 고유 식별 정보 및 적어도 하나의 모바일 단말(520)의 위치 정보를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서버(540)로 전달할 수 있다.
따라서,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서버(540)는 적어도 하나의 모바일 단말(520)의 위치 정보를 보호자 단말(530)로 제공할 수 있다.
도 6은 일실시예에 따른 착용형 장치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일실시예에 따른 미리 설치된 위치 기반 어플리케이션에 따라 작동하는 적어도 하나의 모바일 단말 및 보호자 단말; 및 적어도 하나의 모바일 단말 및 보호자 단말과 연결된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서버를 포함하는 위치 기반 서비스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착용형 장치는 판단부(610) 및 동작 모드 결정부(620)를 포함한다.
판단부(610)는 착용형 장치가 미리 등록된 보호자 단말이 착용형 자치의 주변에 위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이 때, 판단부(610)는 보호자 단말이 착용형 장치의 주변에 위치함에 따라, 착용형 장치가 보호자 단말과 페어링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동작 모드 결정부(620)는 판단 결과에 기초하여 보호자 단말과 페어링된 상태로 동작하는 페어링 모드 또는 비콘 신호를 발생시키는 상태로 동작하는 비콘 모드 중 어느 하나로 동작 모드를 결정한다.
도 7은 일실시예에 따른 착용형 장치에 벤더 식별 정보가 부여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일실시예에 따른 위치 기반 서비스 시스템에 포함되는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서버(710)는 착용형 장치(720)가 제작되는 시점에, 미리 구축된 데이터베이스(730)에 저장된 벤더 식별 정보를 착용형 장치(720)에 부여한다.
예를 들어,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서버(710)에 포함되는 미리 구축된 데이터베이스(730)에 저장된 복수의 벤더 식별 정보들(740) 중 제1 벤더 식별 정보(741)가 착용형 장치(720)에 부여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착용형 장치(720)에 벤더 식별 정보가 할당되는 과정은 착용형 장치(720)가 제작 및 생산되는 과정에서 착용형 장치(720)의 펌웨어 상에서 수행될 수 있다.
여기서, 벤더 식별 정보는 착용형 장치(720)의 판매 및 유통을 담당하는 기업을 나타내는 식별 정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미리 구축된 데이터베이스(730)에는 착용형 장치(720)의 판매 및 유통을 담당하는 A 기업에 대응하는 제1 벤더 식별 정보(741) 및 착용형 장치(720)의 판매 및 유통을 담당하는 B 기업에 대응하는 제2 벤더 식별 정보(742) 등이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서버(710)는 착용형 장치(720)에 부여된 벤더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벤더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서버(710)는 착용형 장치(720)가 등록되는 보호자 단말로 위치 기반 서비스를 제공하는 과정에서, 착용형 장치(720)의 벤더 식별 정보를 인식함으로써, 착용형 장치(720)의 벤더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서비스를 보호자 단말로 제공할 수 있다. 이 때, 벤더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서비스는 벤더 식별 정보가 나타내는 기업과 관련된 광고, 이벤트 또는 알림 등일 수 있다.
다른 예를 들면,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서버(710)는 착용형 장치(720)가 보호자 단말에 최초 등록되는 시점에 착용형 장치(720)의 벤더 식별 정보를 인식함으로써, 보호자 단말로 위치 기반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과 무관하게, 임의로 착용형 장치(720)의 벤더 식별 정보와 관련된 서비스를 보호자 단말로 제공할 수도 있다.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아래에서 기재하기로 한다.
이와 같은 벤더 식별 정보는 착용형 장치(720)로 부여된 후, 착용형 장치(720)가 발생시키는 비콘 신호에 포함될 수도 있다. 그러나 이에 제한되거나 한정되지 않고, 착용형 장치(720)는 벤더 식별 정보를 포함하지 않는 비콘 신호를 발생시킬 수도 있다.
반면에, 후술되겠지만, 착용형 장치(720)를 구분하는 고유 식별 정보는 착용형 장치(720)가 보호자 단말에 최초 등록되는 시점에 할당될 수 있다.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도 8을 참조하여 기재하기로 한다.
도 8은 일실시예에 따른 착용형 장치에 고유 식별 정보가 부여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일실시예에 따른 위치 기반 서비스 시스템에 포함되는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서버(810)는 착용형 장치(820)가 보호자 단말(821)에 최초 등록되는 시점에, 미리 구출된 데이터베이스(830)에 저장된 고유 식별 정보를 착용형 장치(820)로 할당한다.
예를 들어, 착용형 장치(820)가 보호자 단말(821)과 최초로 페어링되는 경우,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서버(810)에 포함되는 미리 구축된 데이터베이스(830)에 저장된 복수의 고유 식별 정보들(840) 중 제1 고유 식별 정보(841)가 보호자 단말(821)에 미리 설치된 위치 기반 어플리케이션을 통하여 착용형 장치(820)에 할당될 수 있다.
이 때,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서버(810)는 착용형 장치(820)를 포함하는 복수의 착용형 장치들이 각각의 보호자 단말에 최초 등록됨을 인지함으로써, 복수의 고유 식별 정보들(840)들 각각을 복수의 착용형 장치들로 순차적으로 할당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착용형 장치(820)로 제1 고유 식별 정보(841)가 할당된 이후, 착용형 장치(820)와 구별되는 다른 착용형 장치가 대응하는 보호자 단말에 최초 등록되는 경우, 다른 착용형 장치에는 제1 고유 식별 정보(841) 다음의 제2 고유 식별 정보(842)가 할당될 수 있다.
여기서, 고유 식별 정보는 착용형 장치(820)를 나타내는 식별 정보로서, 착용형 장치(820)로 할당된 후, 착용형 장치(820)가 발생시키는 비콘 신호(비콘 신호를 구성하는 UUID, 메이저 ID 또는 마이너 ID 중 어느 하나)에 포함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서버(810)는 착용형 장치(820)가 제작되는 시점이 아닌 보호자 단말(821)에 최초 등록되는 시점에 고유 식별 정보를 할당함으로써, 착용형 장치(820)의 제작 공정을 단순화하여 제작 효율을 향상시키고, 착용형 장치(820)에 할당되는 고유 식별 정보의 낭비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착용형 장치(820)로 고유 식별 정보가 할당되는 과정에서,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서버(810)는 보호자 단말(821)의 고유 식별 정보를 추출하여, 착용형 장치(820)의 고유 식별 정보(착용형 장치(820)로 할당된 고유 식별 정보)와 매칭하여 미리 구축된 데이터베이스(830)에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착용형 장치(820)로 제1 고유 식별 정보(841)가 할당되고, 착용형 장치(820)가 최초 등록된 보호자 단말(821)의 고유 식별 정보가 01000000000인 경우,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서버(810)는 보호자 단말(821)의 고유 식별 정보인 01000000000을 제1 고유 식별 정보(841)와 매칭하여 미리 구축된 데이터베이스(830)에 저장할 수 있다. 따라서,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서버(810)는 미리 구축된 데이터베이스(830)를 이용하여, 보호자 단말(821)로 위치 기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착용형 장치(820)로 고유 식별 정보가 할당되는 과정에서,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서버(810)는 착용형 장치(820)의 벤더 식별 정보(도 7을 참조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착용형 장치(820)가 제작되는 시점에 부여된 벤더 식별 정보)를 인식함으로써, 미리 구축된 데이터베이스(830) 상에서 착용형 장치(820)의 고유 식별 정보(착용형 장치(820)로 할당된 고유 식별 정보)에 착용형 장치(820)의 벤더 식별 정보를 연관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인식된 착용형 장치(820)의 벤더 식별 정보가 001이고, 착용형 장치(820)로 제1 고유 식별 정보(841)가 할당된 경우,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서버(810)는 착용형 장치(820)의 벤더 식별 정보인 001을 제1 고유 식별 정보(841)에 연관시켜 미리 구축된 데이터베이스(830)에 저장할 수 있다. 따라서,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서버(810)는 착용형 장치(820)에 대응하는 보호자 단말(821) 및 벤더 식별 정보를 미리 구축된 데이터베이스(830) 상에 저장하여 유지함으로써, 착용형 장치(820)가 등록된 보호자 단말(821)로 위치 기반 서비스 및/또는 착용형 장치(820)의 벤더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 때,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서버(810)는 착용형 장치(820)가 보호자 단말(821)과 페어링됨에 따라, 보호자 단말(821)에 미리 설치된 위치 기반 어플리케이션을 통하여 착용형 장치(820)의 벤더 식별 정보를 인식할 수 있다.
도 9는 일실시예에 따른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방법을 나타낸 플로우 차트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일실시예에 따른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방법은 적어도 하나의 모바일 단말, 보호자 단말 및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서버를 포함하는 위치 기반 서비스 시스템에 의해 수행된다.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서버는 착용형 장치가 제작되는 시점에,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서버에 포함되는 미리 구축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벤더 식별 정보를 착용형 장치에 부여한다(910).
이와 같이 벤더 식별 정보가 부여된 착용형 장치는 판매되어, 보호자 단말의 사용자에 의해 보호자 단말로 등록되는 과정을 거친다. 이에 응답하여, 보호자 단말은 착용형 장치를 등록한다(920).
이 때, 920 단계에서,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서버는 착용형 장치가 보호자 단말에 최초 등록되는 시점에, 미리 구축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고유 식별 정보를 착용형 장치에 할당한다.
또한,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서버는 고유 식별 정보를 착용형 장치에 할당하는 과정에서, 착용형 장치의 벤더 식별 정보를 인식함으로써, 미리 구축된 데이터베이스 상에서, 착용형 장치의 벤더 식별 정보를 착용형 장치의 고유 식별 정보에 연관시킬 수 있다.
또한,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서버는 고유 식별 정보를 착용형 장치에 할당하는 과정에서, 보호자 단말의 고유 식별 정보를 착용형 장치의 고유 식별 정보와 매칭하여 미리 구축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할 수 있다.
그 후,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서버는 적어도 하나의 모바일 단말 및 착용형 장치를 이용하여 보호자 단말로 위치 기반 서비스를 제공한다(930).
보호자 단말로 위치 기반 서비스를 제공하는 930단계는 구체적으로 다음과 같이 수행된다. 우선, 착용형 장치의 주변에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모바일 단말이 착용형 장치가 발생시키는 비콘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이어서, 적어도 하나의 모바일 단말은 비콘 신호에 포함되는 착용형 장치의 고유 식별 정보를 추출하여 착용형 장치의 고유 식별 정보 및 적어도 하나의 모바일 단말의 위치 정보를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서버로 전달할 수 있다.
이에 응답하여,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서버는 적어도 하나의 모바일 단말의 위치 정보를 보호자 단말로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서버는 미리 구축된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착용형 장치의 고유 식별 정보에 매칭되는 보호자 단말의 고유 식별 정보를 추출하고, 추출된 고유 식별 정보를 갖는 보호자 단말에 미리 설치된 위치 기반 어플리케이션의 유저 인터페이스 상에 적어도 하나의 모바일 단말의 위치 정보를 기초로 도출되는 착용형 장치의 위치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이 때,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서버는 적어도 하나의 모바일 단말의 위치 정보를 보호자 단말로 제공하는 과정에서, 착용형 장치의 벤더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서비스를 보호자 단말로 더 제공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서버는 착용형 장치의 고유 식별 정보에 매칭되는 보호자 단말의 고유 식별 정보를 추출하는 과정에서, 미리 구축된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착용형 장치의 고유 식별 정보에 연관되는 착용형 장치의 벤더 식별 정보를 추출함으로써, 착용형 장치의 벤더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서비스를 선택하여 보호자 단말로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면, 적어도 하나의 모바일 단말이 비콘 신호에 포함되는 착용형 장치의 고유 식별 정보를 추출하여 착용형 장치의 고유 식별 정보 및 적어도 하나의 모바일 단말의 위치 정보를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서버로 전달하는 과정에서, 비콘 신호에 더 포함되는 착용형 장치의 벤더 식별 정보를 추출하여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서버로 전달함으로써,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서버는 이에 응답하여, 착용형 장치의 벤더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서비스를 선택하여 보호자 단말로 제공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착용형 장치의 벤더 식별 정보는 착용형 장치가 발생시키는 비콘 신호에 포함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제한되거나 한정되지 않고,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서버는 보호자 단말로 위치 기반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과 무관하게, 임의로 착용형 장치의 벤더 식별 정보와 관련된 서비스를 보호자 단말로 제공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서버는 미리 구축된 데이터베이스 상에 착용형 장치의 벤더 식별 정보와 연결된 보호자 단말의 고유 식별 정보를 추출하여(보호자 단말의 고유 식별 정보는 착용형 장치의 고유 식별 정보와 매칭되어 있고, 착용형 장치의 고유 식별 정보는 착용형 장치의 벤더 식별 정보와 연관되어 있음), 보호자 단말의 고유 식별 정보를 기초로 착용형 장치의 벤더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서비스를 임의로(아무 때나) 제공할 수 있다.
도 10은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위치 기반 서비스 시스템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0울 참조하면,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위치 기반 서비스 시스템은 착용형 장치(1010), 적어도 하나의 모바일 단말(1020), 보호자 단말(1030) 및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서버(1040)를 포함한다.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모바일 단말(1020) 및 보호자 단말(1030)은 미리 설치된 위치 기반 어플리케이션에 따라 작동하며,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서버(1040)와 연결될 수 있다.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서버(1040)는 착용형 장치(1010)가 제작되는 시점에,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서버(1040)에 포함되는 미리 구축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벤더 식별 정보를 착용형 장치(1010)에 부여한다.
이와 같이 벤더 식별 정보가 부여된 착용형 장치(1010)는 판매되어, 보호자 단말(1030)의 사용자에 의해 보호자 단말(1030)로 등록되는 과정을 거친다. 이에 응답하여, 보호자 단말(1030)은 착용형 장치(1010)를 등록한다.
이 때, 보호자 단말(1030)이 착용형 장치(1010)를 등록하는 과정에서,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서버(1040)는 착용형 장치(1010)가 보호자 단말(1030)에 최초 등록되는 시점에, 미리 구축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고유 식별 정보를 착용형 장치(1010)에 할당한다.
또한,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서버(1040)는 고유 식별 정보를 착용형 장치(1010)에 할당하는 과정에서, 착용형 장치(1010)의 벤더 식별 정보를 인식함으로써, 미리 구축된 데이터베이스 상에서, 착용형 장치(1010)의 벤더 식별 정보를 착용형 장치(1010)의 고유 식별 정보에 연관시킬 수 있다.
또한,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서버(1040)는 고유 식별 정보를 착용형 장치(1010)에 할당하는 과정에서, 보호자 단말(1030)의 고유 식별 정보를 착용형 장치(1010)의 고유 식별 정보와 매칭하여 미리 구축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할 수 있다.
그 후,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서버(1040)는 적어도 하나의 모바일 단말(1020) 및 착용형 장치(1010)를 이용하여 보호자 단말(1030)로 위치 기반 서비스를 제공한다.
보호자 단말(1030)로 위치 기반 서비스를 제공하는 과정은 구체적으로 다음과 같이 수행된다. 우선, 착용형 장치(1010)의 주변에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모바일 단말(1020)이 착용형 장치(1010)가 발생시키는 비콘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이어서, 적어도 하나의 모바일 단말(1020)은 비콘 신호에 포함되는 착용형 장치(1010)의 고유 식별 정보를 추출하여 착용형 장치(1010)의 고유 식별 정보 및 적어도 하나의 모바일 단말(1020)의 위치 정보를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서버(1040)로 전달할 수 있다.
이에 응답하여,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서버(1040)는 적어도 하나의 모바일 단말(1020)의 위치 정보를 보호자 단말(1030)로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서버(1040)는 미리 구축된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착용형 장치(1010)의 고유 식별 정보에 매칭되는 보호자 단말(1030)의 고유 식별 정보를 추출하고, 추출된 고유 식별 정보를 갖는 보호자 단말(1030)에 미리 설치된 위치 기반 어플리케이션의 유저 인터페이스 상에 적어도 하나의 모바일 단말(1020)의 위치 정보를 기초로 도출되는 착용형 장치(1030)의 위치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이 때,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서버(1040)는 적어도 하나의 모바일 단말(1020)의 위치 정보를 보호자 단말(1030)로 제공하는 과정에서, 착용형 장치(1010)의 벤더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서비스를 보호자 단말(1030)로 더 제공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서버(1040)는 착용형 장치(1010)의 고유 식별 정보에 매칭되는 보호자 단말(1030)의 고유 식별 정보를 추출하는 과정에서, 미리 구축된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착용형 장치(1010)의 고유 식별 정보에 연관되는 착용형 장치(1010)의 벤더 식별 정보를 추출함으로써, 착용형 장치(1010)의 벤더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서비스를 선택하여 보호자 단말(1030)로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면, 적어도 하나의 모바일 단말(1020)이 비콘 신호에 포함되는 착용형 장치(1010)의 고유 식별 정보를 추출하여 착용형 장치(1010)의 고유 식별 정보 및 적어도 하나의 모바일 단말(102)의 위치 정보를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서버(1040)로 전달하는 과정에서, 비콘 신호에 더 포함되는 착용형 장치(1010)의 벤더 식별 정보를 추출하여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서버(1040)로 전달함으로써,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서버(1040)는 이에 응답하여, 착용형 장치(1010)의 벤더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서비스를 선택하여 보호자 단말(1030)로 제공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착용형 장치(1010)의 벤더 식별 정보는 착용형 장치(1010)가 발생시키는 비콘 신호에 포함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제한되거나 한정되지 않고,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서버(1040)는 보호자 단말(1030)로 위치 기반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과 무관하게, 임의로 착용형 장치(1010)의 벤더 식별 정보와 관련된 서비스를 보호자 단말(1030)로 제공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서버(1040)는 미리 구축된 데이터베이스 상에 착용형 장치(1010)의 벤더 식별 정보와 연결된 보호자 단말(1030)의 고유 식별 정보를 추출하여, 보호자 단말(1030)의 고유 식별 정보를 기초로 착용형 장치(1010)의 벤더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서비스를 임의로(아무 때나) 제공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장치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소프트웨어 구성요소, 및/또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및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들에서 설명된 장치 및 구성요소는, 예를 들어, 프로세서, 콘트롤러, ALU(arithmetic logic unit),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마이크로컴퓨터, FPA(field programmable array), PLU(programmable logic unit),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명령(instruction)을 실행하고 응답할 수 있는 다른 어떠한 장치와 같이, 하나 이상의 범용 컴퓨터 또는 특수 목적 컴퓨터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처리 장치는 운영 체제(OS) 및 상기 운영 체제 상에서 수행되는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처리 장치는 소프트웨어의 실행에 응답하여, 데이터를 접근, 저장, 조작, 처리 및 생성할 수도 있다.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처리 장치는 하나가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된 경우도 있지만,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처리 장치가 복수 개의 처리 요소(processing element) 및/또는 복수 유형의 처리 요소를 포함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리 장치는 복수 개의 프로세서 또는 하나의 프로세서 및 하나의 콘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병렬 프로세서(parallel processor)와 같은, 다른 처리 구성(processing configuration)도 가능하다.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프로그램(computer program), 코드(code), 명령(instruction),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원하는 대로 동작하도록 처리 장치를 구성하거나 독립적으로 또는 결합적으로(collectively) 처리 장치를 명령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및/또는 데이터는, 처리 장치에 의하여 해석되거나 처리 장치에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어떤 유형의 기계, 구성요소(component), 물리적 장치, 가상 장치(virtual equipment), 컴퓨터 저장 매체 또는 장치, 또는 전송되는 신호 파(signal wave)에 영구적으로, 또는 일시적으로 구체화(embody)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 상에 분산되어서, 분산된 방법으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Claims (13)

  1. 미리 설치된 위치 기반 어플리케이션에 따라 작동하는 적어도 하나의 모바일 단말 및 보호자 단말;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모바일 단말 및 상기 보호자 단말과 연결된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서버를 포함하는 위치 기반 서비스 시스템에서, 벤더 식별 정보가 부여된 착용형 장치를 이용하는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상기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서버에서, 상기 착용형 장치가 제작되는 시점에, 상기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서버에 포함되는 미리 구축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벤더 식별 정보를 상기 착용형 장치에 부여하는 단계;
    상기 보호자 단말에서, 상기 착용형 장치를 등록하는 단계; 및
    상기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서버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모바일 단말 및 상기 착용형 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보호자 단말로 위치 기반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착용형 장치를 등록하는 단계는
    상기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서버에서, 상기 착용형 장치가 상기 보호자 단말에 최초 등록되는 시점에, 상기 미리 구축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고유 식별 정보를 상기 착용형 장치에 할당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유 식별 정보를 상기 착용형 장치에 할당하는 단계는
    상기 착용형 장치의 벤더 식별 정보를 인식하는 단계; 및
    상기 미리 구축된 데이터베이스 상에서, 상기 착용형 장치의 벤더 식별 정보를 상기 착용형 장치의 고유 식별 정보에 연관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유 식별 정보를 상기 착용형 장치에 할당하는 단계는
    상기 보호자 단말의 고유 식별 정보를 상기 착용형 장치의 고유 식별 정보와 매칭하여 상기 미리 구축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자 단말로 위치 기반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착용형 장치의 주변에 위치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모바일 단말에서, 상기 착용형 장치가 발생시키는 비콘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적어도 하나의 모바일 단말에서, 상기 비콘 신호에 포함되는 상기 착용형 장치의 고유 식별 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착용형 장치의 고유 식별 정보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모바일 단말의 위치 정보를 상기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서버로 전달하는 단계; 및
    상기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서버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모바일 단말의 위치 정보를 상기 보호자 단말로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모바일 단말의 위치 정보를 상기 보호자 단말로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착용형 장치의 벤더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서비스를 상기 보호자 단말로 제공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방법.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모바일 단말의 위치 정보를 상기 보호자 단말로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미리 구축된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착용형 장치의 고유 식별 정보에 매칭되는 상기 보호자 단말의 고유 식별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착용형 장치의 고유 식별 정보에 매칭되는 상기 보호자 단말의 고유 식별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는
    상기 미리 구축된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착용형 장치의 고유 식별 정보에 연관되는 상기 착용형 장치의 벤더 식별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방법.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착용형 장치의 고유 식별 정보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모바일 단말의 위치 정보를 상기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서버로 전달하는 단계는
    상기 비콘 신호에 더 포함되는 상기 착용형 장치의 벤더 식별 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서버로 전달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방법.
  9. 미리 설치된 위치 기반 어플리케이션에 따라 작동하는 적어도 하나의 모바일 단말 및 보호자 단말;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모바일 단말 및 상기 보호자 단말과 연결된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서버를 포함하는 위치 기반 서비스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착용형 장치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상기 착용형 장치가 미리 등록된 상기 보호자 단말이 상기 착용형 장치의 주변에 위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판단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보호자 단말과 페어링된 상태로 동작하는 페어링 모드 또는 비콘 신호를 발생시키는 상태로 동작하는 비콘 모드 중 어느 하나로 동작 모드를 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착용형 장치의 동작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자 단말이 상기 착용형 장치의 주변에 위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보호자 단말이 상기 착용형 장치의 주변에 위치함에 따라, 상기 착용형 장치가 상기 보호자 단말과 페어링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인 착용형 장치의 동작 방법.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페어링 모드 또는 상기 비콘 모드 중 어느 하나로 동작 모드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착용형 장치가 상기 페어링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상기 보호자 단말에서, 상기 착용형 장치가 상기 보호자 단말과 페어링되어 상기 보호자 단말의 주변에 위치함을 나타내는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착용형 장치의 동작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착용형 장치가 상기 페어링 모드로 동작하다가 상기 보호자 단말과 페어링이 끊기는 경우, 상기 보호자 단말에서, 상기 착용형 장치가 상기 보호자 단말의 주변으로부터 일정 거리 이상 떨어졌음을 나타내는 알람을 제공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착용형 장치의 동작 방법.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페어링 모드 또는 상기 비콘 모드 중 어느 하나로 동작 모드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착용형 장치가 상기 비콘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상기 착용형 장치의 주변에 위치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모바일 단말에서, 상기 착용형 장치가 발생시키는 비콘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적어도 하나의 모바일 단말에서, 상기 비콘 신호에 포함되는 상기 착용형 장치의 고유 식별 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착용형 장치의 고유 식별 정보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모바일 단말의 위치 정보를 상기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서버로 전달하는 단계; 및
    상기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서버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모바일 단말의 위치 정보를 상기 보호자 단말로 제공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착용형 장치의 동작 방법.
KR1020170009949A 2015-07-08 2017-01-20 착용형 장치를 이용하는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위치 기반 서비스 시스템 KR2017001088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50097164 2015-07-08
KR1020150097164 2015-07-08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11059 Division 2015-08-06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10886A true KR20170010886A (ko) 2017-02-01

Family

ID=581094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09949A KR20170010886A (ko) 2015-07-08 2017-01-20 착용형 장치를 이용하는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위치 기반 서비스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10886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41788A (ko) * 2017-10-13 2019-04-23 네이버랩스 주식회사 격자화된 지도를 이용하는 사용자 위치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41788A (ko) * 2017-10-13 2019-04-23 네이버랩스 주식회사 격자화된 지도를 이용하는 사용자 위치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998875B2 (en) Method for managing beacon, terminal device, server and storage medium
KR102374438B1 (ko) 지오펜스 관리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EP3183627B1 (en) Multi-device sensor subsystem joint optimization
KR102161100B1 (ko) 위치 관련 정보 제공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KR101693948B1 (ko) 셀 식별자 정보를 이용하여 이동 단말의 설정을 변경하는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EP2972934B1 (en) Device resource management based on contextual planning
US20160078738A1 (en) A system and method for tracking people
KR101880715B1 (ko) 버스 승객 알림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장치
KR102469570B1 (ko) 전자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KR20150132217A (ko) 보조 데이터 생성을 위한 액세스 포인트 선택
CN108761513B (zh) 定位方法、电子设备和存储介质
KR20170000671A (ko) 사용자 위치 기반의 푸시 메시지 전송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그리고 이를 위한 사용자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JP2021184647A (ja) 位置離脱による通知を提供する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EP3089486B1 (en) Terminal position determination
EP3425935B1 (en) Electronic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identification information
KR20170054876A (ko) 스케줄 정보를 관리하기 위한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KR20170010886A (ko) 착용형 장치를 이용하는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위치 기반 서비스 시스템
US9766080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indoor and outdoor mobile device navigation
KR20160074295A (ko) 비콘 디바이스들을 관리하기 위한 장치
US20170206658A1 (en) Image detection of mapped features and identification of uniquely identifiable objects for position estimation
JP2014171032A (ja) サーバー装置、通信システム、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20170000362A (ko) 단말의 측위를 이용한 고객 안내 방법 및 시스템
KR102064399B1 (ko) 위치에 기반한 다양한 기능 설정을 위한 서비스 제공 방법 및 파일 배포 시스템
KR101536002B1 (ko) 위치 기반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착용형 장치의 위치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KR20160113449A (ko) 보호자 단말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의 유저 인터페이스를 통한 착용형 장치의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