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09789A - 온오프라인 연결 기반 정보 획득 시스템, 이의 동작 방법, 그리고 어플리케이션 - Google Patents

온오프라인 연결 기반 정보 획득 시스템, 이의 동작 방법, 그리고 어플리케이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09789A
KR20170009789A KR1020160090121A KR20160090121A KR20170009789A KR 20170009789 A KR20170009789 A KR 20170009789A KR 1020160090121 A KR1020160090121 A KR 1020160090121A KR 20160090121 A KR20160090121 A KR 20160090121A KR 20170009789 A KR20170009789 A KR 201700097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termi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management server
cont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901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경전
전정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벤플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벤플,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벤플
Publication of KR201700097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978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arketing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정보 획득 시스템으로서, 물리적 공간에 위치하고, 사용자의 동작에 의해 입력되는 개시 요청을 받으면,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개시 신호를 주변으로 발신하는 개시 장치, 그리고 상기 개시 신호를 수신한 단말로부터 상기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접속 신호를 수신하는 관리 서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온오프라인 연결 기반 정보 획득 시스템, 이의 동작 방법, 그리고 어플리케이션{METHOD AND SYSTEM FOR ACQUIRING INFORMATION BASED ON ONLINE TO OFFLINE CONNECTIONS, AND APPLICATION IMPLEMENTING THE SAME METHOD}
본 발명은 온라인과 오프라인 연계 서비스(Online to Offline, O2O)에 관한 것이다.
온라인과 오프라인 연계 서비스(Online to Offline, O2O)는 온라인과 오프라인을 유기적으로 연결하여 고객들에게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O2O 서비스는 온라인으로 고객을 유치하여 오프라인 커머스를 지원하는 것을 의미했으나, 현재는 온라인에서 오프라인으로의 연결 또는 오프라인에서 온라인으로의 연결 모두를 O2O 서비스라고 부른다.
아마존은 사용자가 누를 수 있는 아마존 대쉬 버튼(Amazon Dash Button)과 어플리케이션을 연동하는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사용자가 아마존 대쉬 버튼을 누르면, 아마존 대쉬 버튼과 매핑된 사용자 단말의 아마존 어플리케이션으로 제품 정보 등이 전달된다. 하지만, 이를 위해, 사용자는 아마존 어플리케이션에서 아마존 대쉬 버튼을 선택하고, 아마존 대쉬 버튼과 사용자 단말을 페어링해야 한다. 즉, 아마존 대쉬 버튼과 사용자 단말은 반드시 페어링되어야 신호를 주고받을 수 있으므로, 아마존 대쉬 버튼은 페어링된 하나의 사용자 단말을 위한 개인용으로 한정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개시 장치와 단말이 페어링 설정 없이, 개시 장치의 발신 신호에 의해 개시 장치 주변의 단말이 관리 서버와의 네트워크 연결을 시작하고, 네트워크 연결에 의해 단말 또는 관리 서버가 개시 장치 관련 정보를 획득하는 방법 및 시스템, 그리고 어플리케이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정보 획득 시스템으로서, 사용자의 동작에 의해 입력되는 개시 요청을 받으면,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개시 신호를 주변으로 발신하는 개시 장치, 그리고 상기 개시 신호를 수신한 단말로부터 상기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접속 신호를 수신하는 관리 서버를 포함한다.
상기 관리 서버는 상기 식별 정보에 매핑된 콘텐트 정보를 관리하고, 상기 접속 신호를 전송한 상기 단말로 상기 콘텐트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상기 관리 서버는 상기 접속 신호에 포함된 부가 정보를 상기 식별 정보에 매핑하여 저장하고, 상기 부가 정보는 상기 단말에 관련된 사용자 정보와 상기 개시 장치에 관련된 서비스 입력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사용자 정보와 상기 서비스 입력 정보는 상기 단말에 저장된 정보이거나 상기 단말에서 입력된 정보일 수 있다.
상기 개시 장치는 물리적인 힘에 의해 눌리는 입력을 인식하는 입력 수단, 터치 입력을 인식하는 입력 수단, 그리고 제스쳐 입력을 인식하는 입력 수단 중 적어도 하나의 입력 수단을 통해 입력되는 상기 개시 요청을 받을 수 있다.
상기 개시 장치는 버튼, 그리고 상기 버튼이 눌리면 상기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개시 신호를 주변으로 발신하는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관리 서버는 일정 시간 범위 내에서 복수의 단말 각각으로부터 상기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접속 신호를 수신한 경우, 각 접속 신호를 기초로 상기 복수의 단말을 상기 개시 장치와 가까운 순서대로 나열하고, 나열된 순서를 기초로 상기 식별 정보에 매핑된 콘텐트 정보를 전송할 적어도 하나의 단말을 결정하며, 상기 복수의 단말 각각으로부터 수신한 접속 신호는 상기 개시 장치와의 거리값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관리 서버는 상기 단말로부터 상기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제1 접속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식별 정보에 매핑된 콘텐트 정보를 전송한 이후, 상기 단말로부터 상기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제2 접속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제1 접속 신호와 상기 제2 접속 신호의 수신 간격을 기초로 상기 콘텐트 정보를 재전송할지 판단할 수 있다.
상기 관리 서버는 상기 식별 정보에 대응된 콘텐트 정보와 콘텐트 출력 장치를 관리하고, 상기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접속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콘텐트 출력 장치로 상기 콘텐트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관리 서버의 동작 방법으로서, 개시 장치별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등록 정보를 관리하는 단계, 단말로부터 제1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제1 접속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등록 정보에서 상기 제1 식별 정보에 매핑된 콘텐트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콘텐트 정보를 상기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단말은 제1 개시 장치의 무선 신호 수신 범위 내에 위치하고, 상기 제1 개시 장치는 사용자의 동작에 의해 입력되는 개시 요청을 받으면, 상기 제1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개시 신호를 발신한다.
상기 동작 방법은 상기 제1 접속 신호에 포함된 부가 정보를 상기 제1 식별 정보에 매핑하여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부가 정보는 상기 단말에 관련된 사용자 정보와 상기 제1 개시 장치에 관련된 서비스 입력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사용자 정보와 상기 서비스 입력 정보는 상기 단말에 저장된 정보이거나 상기 단말에서 입력된 정보일 수 있다.
상기 동작 방법은 상기 단말로부터 상기 제1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제2 접속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1 접속 신호와 상기 제2 접속 신호의 수신 간격을 기초로 상기 콘텐트 정보를 재전송할지 판단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수신 간격이 기준값보다 짧은 경우, 상기 제2 접속 신호를 무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동작 방법은 상기 단말로부터 상기 제1 접속 신호를 수신한 시점 전후의 일정 시간 동안 적어도 하나의 이웃 단말로부터 상기 제1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제3 접속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제1 접속 신호와 상기 제3 접속 신호에 포함된 거리값을 기초로 상기 단말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이웃 단말을 상기 개시 장치와 가까운 순서대로 나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는 나열된 순서를 기초로 상기 단말이 상기 개시 장치와 가장 가까운 경우, 상기 단말로 상기 콘텐트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상기 동작 방법은 상기 단말로부터 상기 제1 접속 신호를 수신한 시점 전후의 일정 시간 동안 적어도 하나의 이웃 단말로부터 상기 제1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제3 접속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단말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이웃 단말 각각으로 확인 요청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단말로부터 상기 확인 요청 신호에 대한 응답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응답 신호를 전송한 상기 단말로 상기 콘텐트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단말에 탑재되고, 상기 단말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명령어들을 포함하는 어플리케이션으로서, 수신된 무선 신호에서 발신 장치의 식별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접속 신호를 지정된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서버로부터 콘텐트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콘텐트 정보를 기초로 획득한 콘텐트를 상기 단말의 적어도 하나의 출력 장치에서 출력하는 단계를 실행하는 명령어들을 포함한다.
상기 콘텐트 정보는 상기 발신 장치의 식별 정보에 매핑되어 상기 서버에 저장될 수 있다.
상기 무선 신호는 근거리 무선 통신 신호일 수 있다.
상기 무선 신호는 상기 발신 장치에서 외부 입력을 받을 때마다 발신되는 신호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정보 획득 시스템으로서, 복수의 개시 장치들, 그리고 상기 복수의 개시 장치들의 등록 정보를 관리하는 관리 서버를 포함하고, 각 개시 장치는 버튼, 그리고 상기 버튼이 눌리면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개시 신호를 주변으로 발신하는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관리 서버는 임의 단말로부터 임의 개시 장치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접속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임의 개시 장치의 등록 정보에 지정된 서비스 정보에 따라 상기 임의 단말에게 해당 서비스 정보를 제공한다.
상기 관리 서버는 상기 임의 단말의 식별 정보를 상기 임의 개시 장치에 매핑하여 저장할 수 있다.
상기 관리 서버는 상기 접속 신호에 포함된 부가 정보를 상기 임의 개시 장치에 매핑하여 저장하고, 상기 부가 정보는 상기 임의 단말에 관련된 사용자 정보와 상기 임의 개시 장치에 관련된 서비스 입력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사용자 정보와 상기 서비스 입력 정보는 상기 임의 단말에 저장된 정보이거나 상기 임의 단말에서 입력된 정보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단말과 개시 장치가 근거리 무선 신호 수신 범위에 위치하면 사전 페어링 설정 없이도, 개시 장치 주변의 단말들은 개시 장치 관련 콘텐트 등의 각종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누군가가 개시 장치를 푸쉬하거나 터치하는 등의 동작을 하면, 개시 장치 주변의 적어도 하나의 단말은 관리 서버로부터 각종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단말과 개시 장치가 근거리 무선 신호 수신 범위에 위치하기만 하면 사전 페어링 설정 없이, 관리 서버가 개시 장치 주변의 단말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물리적인 공간에 설치되는 개시 장치는 다양한 서비스에 적용될 수 있고, 사업자는 개시 장치를 곳곳에 설치하여 개시 장치 주변의 다수의 단말들들에게 콘텐트를 전송하거나 개시 장치 주변의 단말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정보 획득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개시 장치의 모양을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부터 도 5 각각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단말에서의 정보 획득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6과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콘텐트 출력 장치에서의 정보 획득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관리 서버에서의 정보 획득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관리 서버의 동작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하드웨어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기",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서, 단말은 적어도 하나의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을 포함한다. 예를 들면,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은 블루투스(Bluetooth), 와이파이(WiFi), 무선랜(Wireless LAN), RFID,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단말은 3G/LTE(Long Term Evolution) 등의 이동통신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단말의 형태는 휴대폰, 스마트폰, 스마트패드, 노트북 컴퓨터, 내비게이션 장치, 웨어러블 디바이스 등과 같이 다양할 수 있다.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워치형 단말기, 글래스형 단말기, HMD(head mounted display) 등과 같이 다양할 수 있다. 한편, 단말은 특정 위치에 설치되는 고정 형태일 수 있다. 단말은 비디오 출력 장치나 오디오 출력 장치일 수 있다.
개시 장치(initiator)는 물리적인 공간에 설치되고, 사용자의 개시 요청을 입력받을 수 있는 입력 수단을 구비한다. 개시 장치는 사용자에 의해 물리적으로 눌리는 입력을 인식하는 스위치 형태의 입력 수단, 사용자에 의해 터치되는 입력을 인식하는 접촉식/비접촉식 터치 센서 형태의 입력 수단, 사용자의 제스쳐 입력(예를 들면, 흔들기 등)을 인식하는 센서 형태의 입력 수단 등 다양한 형태의 입력 수단으로 구현될 수 있다. 스위치 형태의 입력 수단은 푸쉬 스위치라고도 불리는 버튼 형태의 입력 수단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는 설명을 위해 버튼 형태의 입력 수단(푸쉬 버튼)을 예로 들어 설명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개시 장치는 단말과 근거리 무선 통신할 수 있는 통신 모듈을 포함한다. 예를 들면, 개시 장치는 BLE(Bluetooth Low Energy) 기반의 비콘 장치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정보 획득 시스템의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개시 장치의 모양을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의 (a)를 참고하면, 정보 획득 시스템(10)은 적어도 하나의 개시 장치(initiator)(100), 적어도 하나의 단말(200), 그리고 관리 서버(300)를 포함한다. 개시 장치(100)는 복수 개 설치될 수 있다. 정보 획득 시스템(10)은 콘텐트를 출력하는 콘텐트 출력 장치(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콘텐트 출력 장치(400)는 디지털 콘텐트를 출력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나 스피커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콘텐트 출력 장치(400)는 단말(200)에 포함될 수 있으나, 본 발명에서 특정 장소에 고정된 단말을 설명하기 위해 구분해서 사용한다. 단말(200)은 개시 장치(100)로부터 수신한 신호를 감지하고, 관리 서버(300)와 통신하며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는 어플리케이션을 탑재한다.
개시 장치(100)는 정보 획득 절차를 개시하는 장치이다. 개시 장치(100)는 다양한 형태로 제작되고, 개시 요청을 입력받는 방법도 다양하게 설계될 수 있다. 설명을 위해, 개시 장치(100)가 버튼을 포함하고, 버튼 누름을 개시 요청 입력으로 인식하는 것으로 가정한다.
도 2를 참고하면, 개시 장치(100)는 사용자가 누를 수 있는 버튼(110) 그리고 버튼(110)을 포함하는 본체(130)를 포함한다. 개시 장치(100)의 상태 정보를 나타내는 상태 정보 표시부가 본체(130) 표면에 구현될 수 있다.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미도시)은 본체(130) 내부에 구현될 수 있다.
개시 장치(100)의 근거리 무선 신호 수신 범위(예를 들면, 송출 거리/송출 파워)는 조절될 수 있다.
개시 장치(100)는 개시 요청을 입력받으면, 자신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근거리 무선 신호(개시 신호)를 발신한다. 개시 장치(100)는 주변 장치들이 수신할 수 있도록 개시 신호를 브로드캐스팅한다. 개시 신호는 개시 요청을 입력받은 시각 정보 등의 부가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개시 장치(100) 주변에 위치하는 단말(200)이 개시 신호를 수신한다. 단말(200)은 개시 신호에서 개시 장치(100)의 식별 정보를 추출한다. 단말(200)은 개시 장치 정보를 포함하는 접속 신호를 관리 서버(300)로 전송한다. 개시 장치 정보는 개시 장치(100)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고, 개시 신호에 포함된 부가 정보, 개시 장치(100)와 단말(200)의 거리값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개시 장치(100)와 단말(200)의 거리값은 개시 신호 세기를 기초로 기초로 단말(200)에서 계산된다.
접속 신호는 사용자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정보는 단말(200)의 식별 정보, 사용자 이름, 연락처 등의 개인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단말(200)은 저장된 사용자 정보를 전송할 수 있고, 또는 개시 신호를 수신하면 사용자 정보를 사용자로부터 입력받기 위한 인터페이스 화면을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접속 신호는 개시 장치(100)와 관련된 서비스 입력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서비스 입력 정보는 개시 장치(100)의 서비스와 관련된 정보로서, 서비스에 따라 접속 신호에 포함되는 서비스 입력 정보의 종류가 결정될 수 있다. 이 경우, 단말(200)은 저장된 서비스 입력 정보를 전송할 수 있고, 또는 개시 신호를 수신하면 서비스 입력 정보를 사용자로부터 입력받기 위한 인터페이스 화면을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관리 서버(300)는 개시 장치들의 등록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한다. 관리 서버(300)는 단말들로부터 수신한 접속 신호를 기초로 등록 정보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등록 정보는 개시 장치의 식별 정보, 설치 위치 정보, 개시 장치와 관련된 콘텐트 정보를 포함한다. 등록 정보는 개시 장치의 식별 정보를 전송한 단말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콘텐트 정보는 개시 장치의 식별 정보에 매핑된다. 콘텐트 정보는 콘텐트 제공 서버에서의 콘텐트의 위치 정보, 예를 들면, URL 정보일 수 있다. 콘텐트는 오디오 파일, 비디오 파일, 이미지 파일, 텍스트 파일, 소프트웨어(어플리케이션) 파일, 웹페이지/앱페이지와 같이 다양한 디지털 전송 대상을 의미한다. 한편, 관리 서버(300)가 개시 장치와 관련된 콘텐트를 직접 관리하고, 단말(200)로 콘텐트를 전송할 수 있다.
관리 서버(300)는 단말(200)로부터 개시 장치(100)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접속 신호를 수신하면, 개시 장치(100)의 식별 정보에 매핑된 콘텐트 정보를 추출한다. 관리 서버(300)는 단말(200)에게 추출한 콘텐트 정보를 전송한다. 단말(200)의 어플리케이션은 수신한 콘텐트 정보를 기초로 콘텐트 제공 서버에 접속한다.
도 1의 (b)를 참고하면, 관리 서버(300)는 다수의 단말들(200a, 200b, 200c)로부터 개시 장치(100)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접속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관리 서버(300)는 다수의 단말들(200a, 200b, 200c) 모두에게 개시 장치(100)의 식별 정보에 매핑된 콘텐트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관리 서버(300)는 접속 신호에 포함된 거리값을 기초로 다수의 단말들(200a, 200b, 200c)을 개시 장치(100)와 가까운 순서대로 나열하고, 개시 장치(100)에 가까운 순서대로 적어도 하나의 단말을 선택할 수 있다. 그리고 관리 서버(300)는 선택된 단말에게만 개시 장치(100)의 식별 정보에 매핑된 콘텐트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관리 서버(300)는 다수의 단말들(200a, 200b, 200c)로 확인 요청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관리 서버(300)는 확인 요청 신호에 대한 응답 신호를 전송한 단말(200)에게 개시 장치(100)의 식별 정보에 매핑된 콘텐트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확인 요청 신호는 어플리케이션의 인터페이스 화면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 콘텐트 수신 여부를 문의하는 정보로서 표시되고, 사용자가 표시 정보를 선택(예를 들면, 터치)하면, 어플리케이션은 응답 신호를 관리 서버(300)로 전송한다.
접속 신호에 사용자 정보나 서비스 입력 정보가 포함된 경우, 관리 서버(300)는 접속 신호에 포함된 정보를 개시 장치의 식별 정보에 매핑하여 저장할 수 있다.
관리 서버(300)는 단말(200)로부터 개시 장치(100)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접속 신호를 수신하면, 개시 장치(100)의 식별 정보에 매핑된 콘텐트 정보를 추출한다. 관리 서버(300)는 단말(200)에게 추출한 콘텐트 정보를 전송한다.
관리 서버(300)는 개시 장치와 콘텐트 출력 장치를 매핑해서 관리할 수 있다. 관리 서버(300)는 단말(200)로부터 개시 장치(100)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접속 신호를 수신하면, 개시 장치(100)의 식별 정보에 매핑된 콘텐트 출력 장치(400)를 추출한다. 관리 서버(300)는 추출한 콘텐트 정보를 콘텐트 출력 장치(400)에게 전송할 수 있다. 콘텐트 출력 장치(400)는 단말(200) 대신 개시 장치(100)에 관련된 콘텐트를 표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동일한 물리적 공간(무선 신호 수신 범위)에 위치한 개시 장치(100)와 단말(200)은 사용자에 의해 개시 장치(100)의 버튼이 눌러지면, 단말(200)이나 콘텐트 출력 장치(400) 중 적어도 하나의 장치로 개시 장치(100)에 관련된 정보가 전송된다. 따라서, 일반적인 비콘 장치는 무선 신호를 항상 발신하기 때문에 사용자가 불필요한 정보를 수신할 수 밖에 없는 문제가 있으나, 본 발명은 사용자가 정보를 획득하고 싶은 시점에 개시 장치(100)의 버튼을 눌러 정보를 요청하면 되므로, 사용자는 원하는 정보만을 수신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단말(200)은 무선 신호에 포함된 개시 장치(100)의 식별 정보를 관리 서버(300)로 전송하여, 자신이 개시 장치(100) 주변에 위치함을 증명할 수 있다. 이를 통해 개시 장치(100)를 관리하는 서비스 사업자는 단말(200)을 타게팅하여 다양한 서비스(예를 들면, 주문 서비스, 결제 서비스, 설정 서비스, 등록 서비스 등)를 제공할 수 있다. 개시 장치(100)를 관리하는 서비스 사업자는 개시 장치(100)가 위치하는 공간에 들어온 복수의 단말을 그룹으로 묶고, 특정 정보(예를 들면, 명함 정보, 설문 정보, 과제 정보, 시험 정보 등)를 그룹 전송할 수 있다.
단말(200)의 어플리케이션은 개시 장치(100)의 무선 신호를 수신하면, 사용자 정보나 서비스 입력 정보를 입력 또는 확인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이를 통해 개시 장치(100)를 관리하는 서비스 사업자는 단말(200)로부터 사용자 정보나 서비스 입력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다음에서, 정보 획득 시스템(10)의 동작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3부터 도 5 각각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단말에서의 정보 획득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3을 참고하면, 개시 장치(100)는 개시 요청(예를 들면, 버튼 푸쉬)을 입력받는다(S110).
개시 장치(100)는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개시 신호를 발신한다(S120). 참고로, 도면에서는 단말(200)이 수신 장치(개시 신호의 목적지)인 것처럼 표현되었으나, 단말(200)은 브로드캐스팅되는 개시 신호를 수신하는 것이다.
개시 신호를 수신한 단말(200)은 개시 신호에서 개시 장치(100)의 식별 정보를 추출한다(S130). 개시 장치(100)의 개시 신호를 수신하더라도, 어플리케이션 설정에 따라 접속 신호 전송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단말(200)은 개시 장치(100)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접속 신호를 관리 서버(300)로 전송한다(S140). 접속 신호는 개시 장치(100)와 단말(200)의 거리값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관리 서버(300)는 접속 신호를 기초로 단말(200)의 식별 정보를 알 수 있다.
관리 서버(300)는 개시 장치(100)의 식별 정보에 매핑된 콘텐트 정보를 추출한다(S150). 관리 서버(300)는 접속 신호에 포함된 정보를 개시 장치(100)의 식별 정보에 대응하여 저장할 수 있다.
관리 서버(300)는 단말(200)로 추출한 콘텐트 정보를 전송한다(S160). 관리 서버(300)는 접속 신호를 발신한 모든 단말로 개시 장치의 식별 정보에 매핑된 콘텐트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이때, 관리 서버(300)는 콘텐트를 직접 전송할 수 있다. 또는 관리 서버(300)는 콘텐트의 위치 정보(URL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단말(200)은 콘텐트의 위치 정보에 해당하는 콘텐트 제공 서버에 접속하여 콘텐트를 수신한다.
한편, 관리 서버(300)는 단말(200)로 추출한 콘텐트 정보를 전송하기 전에, 단말(200)로 확인 요청 신호를 발신할 수 있다. 관리 서버(300)는 단말(200)로부터 확인 요청 신호에 대한 응답 신호를 수신하면, 단말(200)에게 콘텐트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이때, 관리 서버(300)는 단말(200)로부터 확인 요청 신호에 대한 응답 신호를 수신하지 못하면, 개시 장치(100)에 매핑된 콘텐트 출력 장치(400)에게 추출한 콘텐트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도 4를 참고하면, 개시 장치(100)는 개시 요청(예를 들면, 버튼 푸쉬)을 입력받는다(S210).
개시 장치(100)는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개시 신호를 발신한다(S220).
개시 신호를 수신한 단말들(200a, 200b, 200c) 각각은 개시 신호에서 개시 장치(100)의 식별 정보를 추출한다(S230).
단말들(200a, 200b, 200c) 각각은 개시 장치(100)의 식별 정보와 거리값을 포함하는 접속 신호를 관리 서버(300)로 전송한다(S240). 이때, 단말들(200a, 200b, 200c) 각각의 전송 시각 차이는 기준값 이내인 것으로 가정한다.
관리 서버(300)는 일정 시간 범위 내에서 복수의 단말들(200a, 200b, 200c)로부터 동일한 개시 장치(100)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접속 신호를 수신한 경우, 개시 장치(100)와 가까운 순서를 기초로 적어도 하나의 단말(예를 들면, 200a)를 선택한다(S250). 관리 서버(300)는 각 접속 신호에 포함된 거리값을 기초로 개시 장치(100)와 가까운 순서대로 나열하고, 나열한 순서를 기초로 지정된 수의 단말을 선택한다. 예를 들면, 지정된 수가 한 개인 경우, 개시 장치(100)와 가장 가까운 단말(200a)이 선택될 수 있다. 관리 서버(300)는 각 접속 신호에 포함된 정보를 개시 장치(100)의 식별 정보에 대응하여 저장할 수 있다.
관리 서버(300)는 개시 장치(100)의 식별 정보에 매핑된 콘텐트 정보를 추출한다(S260).
관리 서버(300)는 단말(200a)로 추출한 콘텐트 정보를 전송한다(S270). 콘텐트 정보가 콘텐트의 위치 정보(URL 정보)인 경우, 단말(200a)은 콘텐트의 위치 정보에 해당하는 콘텐트 제공 서버에 접속하여 콘텐트를 수신한다. 또는 관리 서버(300)는 콘텐트를 직접 전송할 수 있다.
한편, 관리 서버(300)는 단말(200a)로 추출한 콘텐트 정보를 전송하기 전에, 단말(200a)로 확인 요청 신호를 발신할 수 있다. 관리 서버(300)는 단말(200a)로부터 확인 요청 신호에 대한 응답 신호를 수신하면, 단말(200a)에게 콘텐트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이때, 관리 서버(300)는 단말(200a)로부터 확인 요청 신호에 대한 응답 신호를 수신하지 못하면, 개시 장치(100)에 매핑된 콘텐트 출력 장치(400)에게 추출한 콘텐트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도 5를 참고하면, 개시 장치(100)는 개시 요청(예를 들면, 버튼 푸쉬)을 입력받는다(S310).
개시 장치(100)는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개시 신호를 발신한다(S320).
개시 신호를 수신한 단말들(200a, 200b, 200c) 각각은 개시 신호에서 개시 장치(100)의 식별 정보를 추출한다(S330).
단말들(200a, 200b, 200c) 각각은 개시 장치(100)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접속 신호를 관리 서버(300)로 전송한다(S340). 이때, 단말들(200a, 200b, 200c) 각각의 전송 시각은 거의 유사한 것으로 가정한다.
관리 서버(300)는 일정 시간 범위 내에서 복수의 단말들(200a, 200b, 200c)로부터 동일한 개시 장치(100)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접속 신호를 수신한 경우, 단말들(200a, 200b, 200c) 각각으로 확인 요청 신호를 전송한다(S350).
관리 서버(300)는 단말들(200a, 200b, 200c) 중 적어도 하나의 단말, 예를 들면, 단말(200a)로부터 확인 요청 신호에 대한 응답 신호를 수신한다(S360).
관리 서버(300)는 단말(200a)에게 콘텐트 정보를 전송한다(S370). 단말(200a)의 다음 동작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콘텐트 정보에 따라 다르게 구현될 수 있다.
도 6과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콘텐트 출력 장치에서의 정보 획득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6을 참고하면, 콘텐트 출력 장치(400)가 디폴트로 콘텐트를 출력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개시 장치(100)는 개시 요청(예를 들면, 버튼 푸쉬)을 입력받는다(S410).
개시 장치(100)는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개시 신호를 발신한다(S420).
개시 신호를 수신한 단말(200)은 개시 신호에서 개시 장치(100)의 식별 정보를 추출한다(S430).
단말(200)은 개시 장치(100)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접속 신호를 관리 서버(300)로 전송한다(S440).
관리 서버(300)는 개시 장치(100)의 식별 정보에 매핑된 콘텐트 정보와 콘텐트 출력 장치(400)를 추출한다(S450).
관리 서버(300)는 추출한 콘텐트 정보를 콘텐트 출력 장치(400)로 전송한다(S460). 콘텐트 출력 장치(400)의 다음 동작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콘텐트 정보에 따라 다르게 구현될 수 있다.
도 7을 참고하여, 콘텐트 출력 장치(400)가 개시 장치(100)의 개시 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을 포함하는 경우에 대한 동작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개시 장치(100)는 개시 요청(예를 들면, 버튼 푸쉬)을 입력받는다(S510).
개시 장치(100)는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개시 신호를 발신한다(S520).
개시 신호를 수신한 콘텐트 출력 장치(400)는 개시 신호에서 개시 장치(100)의 식별 정보를 추출한다(S530).
콘텐트 출력 장치(400)는 개시 장치(100)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접속 신호를 관리 서버(300)로 전송한다(S540). 이때, 개시 장치(100) 주변의 복수의 단말들(200a, 200b, 200c)도 개시 장치(100)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접속 신호를 관리 서버(300)로 전송할 수 있다.
관리 서버(300)는 일정 시간 범위 내에서 복수의 장치들(200a, 200b, 200c, 400)로부터 동일한 개시 장치(100)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접속 신호를 수신한 경우, 서비스 정책을 기초로 콘텐트 정보를 수신할 수신 장치를 결정한다(S550). 서비스 정책은 복수의 장치들 모두를 수신 장치로 결정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서비스 정책은 복수의 장치들 중에서 고정 장치인 콘텐트 출력 장치(400)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 콘텐트 출력 장치(400)를 수신 장치로 우선 결정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또는 서비스 정책은 복수의 장치들 중에서 이동 장치인 단말이 한 대라도 포함되어 있는 경우, 단말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 장치로 우선 결정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관리 서버(300)는 결정한 수신 단말, 예를 들면, 콘텐트 출력 장치(400)로 개시 장치(100)의 식별 정보에 매핑된 콘텐트 정보를 전송한다(S560).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관리 서버에서의 정보 획득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8을 참고하면, 개시 장치(100)는 개시 요청(예를 들면, 버튼 푸쉬)을 입력받는다(S610).
개시 장치(100)는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개시 신호를 발신한다(S620).
개시 신호를 수신한 단말(200)은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하고, 사용자 입력이나 선택을 요구하는 인터페이스 화면을 출력한다(S630). 인터페이스 화면은 개시 장치(100)에 관련된 서비스에 따라 다양하게 제공될 수 있다. 인터페이스 화면은 관리 서버(300)에서 획득하고자 하는 각종 정보를 사용자에게 입력 요청하는 화면이다. 서비스 종류에 따라서는 사용자 입력이나 선택을 요구할 필요 없이, 단말(200)에 저장된 정보를 관리 서버(300)로 전송되도록 프로그램될 수 있다.
단말(200)은 인터페이스 화면에서 입력된 정보를 획득한다(S640).
단말(200)은 인터페이스 화면에서 입력받은 정보와 개시 장치(100)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접속 신호를 관리 서버(300)로 전송한다(S650).
관리 서버(300)는 접속 신호에 포함된 정보를 개시 장치(100)의 식별 정보에 매핑하여 저장한다(S660). 이와 같이, 관리 서버(300)는 개시 요청 시점에 개시 장치 주변에 위치한 단말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관리 서버의 동작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9를 참고하면, 관리 서버(300)는 단말(200)로부터 개시 장치(100)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제1 접속 신호를 수신한다(S710).
관리 서버(300)는 개시 장치(100)의 식별 정보에 매핑된 콘텐트 정보를 단말(200)로 전송한다(S720).
관리 서버(300)는 단말(200)로부터 개시 장치(100)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제2 접속 신호를 수신한다(S730).
관리 서버(300)는 제1 접속 신호와 제2 접속 신호의 수신 간격을 기초로 콘텐트 정보를 단말(200)로 재전송할지 판단한다(S740). 판단 정보는 더 추가되거나 변경될 수 있다. 제1 접속 신호와 제2 접속 신호의 수신 간격이 기준 시간을 넘는 경우, 재전송이 필요하다고 판단할 수 있다. 하지만, 제1 접속 신호와 제2 접속 신호의 수신 간격이 콘텐츠 길이보다 짧은 경우, 콘텐츠 재생 중이라고 판단하여 재전송이 불필요하다고 판단할 수 있다.
재전송하는 경우, 관리 서버(300)는 개시 장치(100)의 식별 정보에 매핑된 콘텐트 정보를 단말(200)로 전송한다(S750).
재전송하지 않는 경우, 관리 서버(300)는 제2 접속 신호를 무시한다(S760). 즉, 관리 서버(300)는 제2 접속 신호를 수신하더라도, 콘텐트 정보를 단말(200)로 재전송하지 않음으로써, 단말(200)의 콘텐트 이용을 방해하지 않는다.
한편, 관리 서버(300)가 제1 접속 신호를 수신한지 얼마 지나지 않아, 단말(200)로부터 다른 개시 장치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제2 접속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이 경우, 관리 서버(300)는 개시 장치(100)의 콘텐트가 재생 중이더라도, 다른 개시 장치의 식별 정보에 매핑된 콘텐트 정보를 단말(200)로 전송한다. 즉, 관리 서버(300)는 사용자가 다른 콘텐트를 요청한 것으로 인식한다.
이와 같이, 개시 장치(100)는 다수의 사용자에 의해 언제라도 눌러질 수 있는 환경에 배치된다. 따라서, 사용자A가 개시 장치(100)를 눌러 단말(200)에서 이미 콘텐트가 재생 중인데, 다른 사용자B가 개시 장치(100)를 누를 수 있다. 이 경우, 단말(200)은 개시 장치(100)의 개시 신호를 수신하게 되고, 정해진 절차에 따라 개시 장치(100)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접속 신호를 관리 서버(300)로 전송하게 된다. 따라서, 관리 서버(300)는 비록 단말(200)이 접속 신호를 전송하더라도, 상황 정보를 기초로 사용자B가 개시 장치(100)를 누르는 행위로부터 단말(200)이 방해받지 않도록 보호해야 한다. 이를 위해, 관리 서버(300)는 동일 단말로부터 동일 개시 장치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접속 신호를 기준 시간보다 짧은 시간 간격으로 수신한 경우, 외부 인터럽트라고 판단할 수 있다. 관리 서버(300)는 콘텐트 길이를 기초로 기준 시간을 가변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A가 필요에 의해 개시 장치(100)를 다시 누를 수 있으므로, 개시 장치(100)의 설치 환경이나 콘텐트 종류에 따라 재전송 판단 기준은 다양하게 설계될 수 있다.
한편, 개시 장치(100)는 개시 요청(예를 들면, 버튼 푸쉬)을 입력받으면, 자신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참고 신호를 관리 서버(300)로 직접 전송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관리 서버(300)는 개시 장치(100)로부터 참고 신호를 수신한 이후, 일정 시간이 지나도 단말로부터 접속 신호를 수신하지 못할 수 있다. 이 경우, 관리 서버(300)는 개시 장치(100)에 매핑된 콘텐트 출력 장치(400)로 콘텐트 정보를 전송한다. 즉, 사용자가 단말에서의 콘텐트 재생을 희망하지 않거나, 사용자가 개시 신호를 수신할 수 없는 단말을 소지하거나, 요구되는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하지 않은 단말을 소지할 수 있으므로, 관리 서버(300)는 개시 장치(100) 주변에 설치된 콘텐트 출력 장치(400)로 콘텐트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하드웨어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을 참고하면, 단말(200)은 프로세서(1100), 메모리(1200), 디스플레이(1300) 그리고 적어도 하나의 통신 모듈(1400)을 포함하는 하드웨어로 구성된다. 단말(200)은 오디오 콘텐트 출력을 위한 스피커(1500)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은 본 발명에서 도면을 참고로 설명한 동작을 실행하기 위한 명령어(instructions)를 포함하는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으로서, 단말에 탑재된다. 어플리케이션은 단말의 프로세서(1100), 메모리(1200), 디스플레이(1300) 그리고 통신 모듈(1400) 등의 하드웨어와 결합하여 프로그램된 동작을 실행한다.
메모리(1200)는 본 발명의 어플리케이션을 수행하기 위한 명령어(instructions)를 저장하고 있거나, 저장 장치로부터 명령어를 로드하여 일시 저장한다. 프로세서(1100)는 메모리(1100)에 저장되어 있거나 로드된 명령어를 실행하여 본 발명의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한다. 디스플레이(1300)는 본 발명의 어플리케이션을 표시하고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고, 예를 들면 터치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관리 서버(300)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본 발명에서 도면을 참고로 설명한 동작을 수행한다.
콘텐트 출력 장치(400)는 본 발명에서 도면을 참고로 설명한 동작을 실행할수 있는 하드웨어 및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한다. 콘텐트 출력 장치(400)는 단말(200)과 유사한 하드웨어 및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장치 및 방법을 통해서만 구현이 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현하는 프로그램 또는 그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를 통해 구현될 수도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Claims (20)

  1. 정보 획득 시스템으로서,
    사용자의 동작에 의해 입력되는 개시 요청을 받으면,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개시 신호를 주변으로 발신하는 개시 장치, 그리고
    상기 개시 신호를 수신한 단말로부터 상기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접속 신호를 수신하는 관리 서버
    를 포함하는 정보 획득 시스템.
  2. 제1항에서,
    상기 관리 서버는
    상기 식별 정보에 매핑된 콘텐트 정보를 관리하고, 상기 접속 신호를 전송한 상기 단말로 상기 콘텐트 정보를 전송하는 정보 획득 시스템.
  3. 제1항에서,
    상기 관리 서버는
    상기 접속 신호에 포함된 부가 정보를 상기 식별 정보에 매핑하여 저장하고,
    상기 부가 정보는 상기 단말에 관련된 사용자 정보와 상기 개시 장치에 관련된 서비스 입력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사용자 정보와 상기 서비스 입력 정보는 상기 단말에 저장된 정보이거나 상기 단말에서 입력된 정보인 정보 획득 시스템.
  4. 제1항에서,
    상기 개시 장치는
    물리적인 힘에 의해 눌리는 입력을 인식하는 입력 수단, 터치 입력을 인식하는 입력 수단, 그리고 제스쳐 입력을 인식하는 입력 수단 중 적어도 하나의 입력 수단을 통해 입력되는 상기 개시 요청을 받는 정보 획득 시스템.
  5. 제1항에서,
    상기 개시 장치는
    버튼, 그리고
    상기 버튼이 눌리면 상기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개시 신호를 주변으로 발신하는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
    을 포함하는 정보 획득 시스템.
  6. 제1항에서,
    상기 관리 서버는
    일정 시간 범위 내에서 복수의 단말 각각으로부터 상기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접속 신호를 수신한 경우, 각 접속 신호를 기초로 상기 복수의 단말을 상기 개시 장치와 가까운 순서대로 나열하고, 나열된 순서를 기초로 상기 식별 정보에 매핑된 콘텐트 정보를 전송할 적어도 하나의 단말을 결정하며,
    상기 복수의 단말 각각으로부터 수신한 접속 신호는 상기 개시 장치와의 거리값을 더 포함하는 정보 획득 시스템.
  7. 제1항에서,
    상기 관리 서버는
    상기 단말로부터 상기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제1 접속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식별 정보에 매핑된 콘텐트 정보를 전송한 이후, 상기 단말로부터 상기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제2 접속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제1 접속 신호와 상기 제2 접속 신호의 수신 간격을 기초로 상기 콘텐트 정보를 재전송할지 판단하는 정보 획득 시스템.
  8. 제1항에서,
    상기 관리 서버는
    상기 식별 정보에 대응된 콘텐트 정보와 콘텐트 출력 장치를 관리하고,
    상기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접속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콘텐트 출력 장치로 상기 콘텐트 정보를 전송하는 정보 획득 시스템.
  9. 관리 서버의 동작 방법으로서,
    개시 장치별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등록 정보를 관리하는 단계,
    단말로부터 제1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제1 접속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등록 정보에서 상기 제1 식별 정보에 매핑된 콘텐트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콘텐트 정보를 상기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단말은 제1 개시 장치의 무선 신호 수신 범위 내에 위치하고,
    상기 제1 개시 장치는 사용자의 동작에 의해 입력되는 개시 요청을 받으면, 상기 제1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개시 신호를 발신하는, 동작 방법.
  10. 제9항에서,
    상기 제1 접속 신호에 포함된 부가 정보를 상기 제1 식별 정보에 매핑하여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부가 정보는 상기 단말에 관련된 사용자 정보와 상기 제1 개시 장치에 관련된 서비스 입력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사용자 정보와 상기 서비스 입력 정보는 상기 단말에 저장된 정보이거나 상기 단말에서 입력된 정보인 동작 방법.
  11. 제9항에서,
    상기 단말로부터 상기 제1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제2 접속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1 접속 신호와 상기 제2 접속 신호의 수신 간격을 기초로 상기 콘텐트 정보를 재전송할지 판단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수신 간격이 기준값보다 짧은 경우, 상기 제2 접속 신호를 무시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동작 방법.
  12. 제9항에서,
    상기 단말로부터 상기 제1 접속 신호를 수신한 시점 전후의 일정 시간 동안 적어도 하나의 이웃 단말로부터 상기 제1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제3 접속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제1 접속 신호와 상기 제3 접속 신호에 포함된 거리값을 기초로 상기 단말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이웃 단말을 상기 개시 장치와 가까운 순서대로 나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는
    나열된 순서를 기초로 상기 단말이 상기 개시 장치와 가장 가까운 경우, 상기 단말로 상기 콘텐트 정보를 전송하는 동작 방법.
  13. 제9항에서,
    상기 단말로부터 상기 제1 접속 신호를 수신한 시점 전후의 일정 시간 동안 적어도 하나의 이웃 단말로부터 상기 제1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제3 접속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단말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이웃 단말 각각으로 확인 요청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단말로부터 상기 확인 요청 신호에 대한 응답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응답 신호를 전송한 상기 단말로 상기 콘텐트 정보를 전송하는 동작 방법.
  14. 단말에 탑재되고, 상기 단말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명령어들을 포함하는 어플리케이션으로서,
    수신된 무선 신호에서 발신 장치의 식별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접속 신호를 지정된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서버로부터 콘텐트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콘텐트 정보를 기초로 획득한 콘텐트를 상기 단말의 적어도 하나의 출력 장치에서 출력하는 단계
    를 실행하는 명령어들을 포함하는 어플리케이션.
  15. 제14항에서,
    상기 콘텐트 정보는 상기 발신 장치의 식별 정보에 매핑되어 상기 서버에 저장되는, 어플리케이션.
  16. 제14항에서,
    상기 무선 신호는 근거리 무선 통신 신호인, 어플리케이션.
  17. 제14항에서,
    상기 무선 신호는 상기 발신 장치에서 외부 입력을 받을 때마다 발신되는 신호인, 어플리케이션.
  18. 정보 획득 시스템으로서,
    복수의 개시 장치들, 그리고
    상기 복수의 개시 장치들의 등록 정보를 관리하는 관리 서버를 포함하고,
    각 개시 장치는
    버튼, 그리고
    상기 버튼이 눌리면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개시 신호를 주변으로 발신하는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관리 서버는
    임의 단말로부터 임의 개시 장치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접속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임의 개시 장치의 등록 정보에 지정된 서비스 정보에 따라 상기 임의 단말에게 해당 서비스 정보를 제공하는 정보 획득 시스템.
  19. 제18항에서,
    상기 관리 서버는
    상기 임의 단말의 식별 정보를 상기 임의 개시 장치에 매핑하여 저장하는 정보 획득 시스템.
  20. 제18항에서,
    상기 관리 서버는
    상기 접속 신호에 포함된 부가 정보를 상기 임의 개시 장치에 매핑하여 저장하고,
    상기 부가 정보는 상기 임의 단말에 관련된 사용자 정보와 상기 임의 개시 장치에 관련된 서비스 입력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사용자 정보와 상기 서비스 입력 정보는 상기 임의 단말에 저장된 정보이거나 상기 임의 단말에서 입력된 정보인, 정보 획득 시스템.
KR1020160090121A 2015-07-17 2016-07-15 온오프라인 연결 기반 정보 획득 시스템, 이의 동작 방법, 그리고 어플리케이션 KR2017000978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1421 2015-07-17
KR20150101421 2015-07-17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9789A true KR20170009789A (ko) 2017-01-25

Family

ID=579915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90121A KR20170009789A (ko) 2015-07-17 2016-07-15 온오프라인 연결 기반 정보 획득 시스템, 이의 동작 방법, 그리고 어플리케이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09789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634881B (zh) 应用场景推荐方法及装置
US9706015B2 (en) Multi-operating system input device
US20190066090A1 (en) Transaction Application Selection Method and Terminal
CN106068525B (zh) 广告信息更新方法和装置
US10762542B2 (en) Item transfer apparatus, system and method
US10712988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controlled device included in network
KR101803305B1 (ko) 애플리케이션 실행을 위한 디스플레이 장치 및 방법
JP2015536121A (ja) ルータアクセス制御方法、ルータアクセス制御装置、及び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
KR20150106233A (ko) 복수의 전자 장치에서 기능을 수행하는 방법 및 전자 장치
US10945197B2 (en) Electronic device for providing AP list and method for operating electronic device
KR20150095124A (ko)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방법
RU2617547C2 (ru) Способ, устройство и оконеч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ередачи данных nfc
KR20150111834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160016397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843660B1 (ko) Hce 모바일 교통 카드 결제 방법
KR101311418B1 (ko) 데이터 서비스의 수신방법
KR20110008581A (ko) 콘텐츠 요청 장치 및 방법과 콘텐츠 전송 장치 및 방법
KR20190067588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150042069A (ko) 무선 태그 기술을 이용한 단말 기능 제어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장치
KR20170009789A (ko) 온오프라인 연결 기반 정보 획득 시스템, 이의 동작 방법, 그리고 어플리케이션
KR20200053752A (ko) 자동 완성 기능 지원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KR20170043175A (ko) 더치페이 기능을 가지는 이동 단말기
KR102659330B1 (ko) 고객 주도의 포인트 사용 모델
KR102281127B1 (ko) 사용자 장치, 그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JP2019061336A (ja) 通信装置及び通信プログラ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