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09317A - Electronic Proportional Pressure Reducing Valve - Google Patents

Electronic Proportional Pressure Reducing Valv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09317A
KR20170009317A KR1020150101146A KR20150101146A KR20170009317A KR 20170009317 A KR20170009317 A KR 20170009317A KR 1020150101146 A KR1020150101146 A KR 1020150101146A KR 20150101146 A KR20150101146 A KR 20150101146A KR 20170009317 A KR20170009317 A KR 201700093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rt
land
valve
chamber
valve pist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0114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703824B1 (en
Inventor
안경관
딘앙충
이현수
이세영
이소영
박형규
Original Assignee
울산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울산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울산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501011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03824B1/en
Priority to PCT/KR2016/006539 priority patent/WO2017010694A1/en
Publication of KR201700093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931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038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0382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13/00Details of servomotor systems ; Valves for servomotor systems
    • F15B13/02Fluid distribution or supply devices characterised by their adaptation to the control of servomotors
    • F15B13/025Pressure reducing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1/00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 F16K11/02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with all movable sealing faces moving as one unit
    • F16K11/06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with all movable sealing faces moving as one unit comprising only sliding valves, i.e. sliding closure elements
    • F16K11/065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with all movable sealing faces moving as one unit comprising only sliding valves, i.e. sliding closure elements with linearly sliding closure members
    • F16K11/07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with all movable sealing faces moving as one unit comprising only sliding valves, i.e. sliding closure elements with linearly sliding closure members with cylindrical slid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0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 F16K31/06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using a magnet, e.g. diaphragm valves, cutting off by means of a liquid
    • F16K31/0603Multiple-way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2211/00Circuits for servomotor systems
    • F15B2211/50Pressure control
    • F15B2211/505Pressure control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essure control means
    • F15B2211/50554Pressure control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essure control means the pressure control means controlling a pressure downstream of the pressure control means, e.g. pressure reducing valve

Abstract

An electronic proportional pressure reduction valve is disclosed. The electronic proportional pressure reduction valve comprises: a solenoid unit having an armature moved by a magnetic force; and a valve unit coupled to the solenoid unit, having a valve sleeve having a plurality of ports, and having a valve piston disposed inside the valve sleeve to come in contact with the armature to divide an inner space of the valve sleeve into a plurality of chambers. Therefore, a plurality of bores are formed inside the valve piston to enable the chamber to be connected.

Description

전자 비례 감압 밸브{Electronic Proportional Pressure Reducing Valve}Electronic Proportional Pressure Reducing Valve

본 발명은 전자 비례 감압 밸브에 관한 것으로, 특히 유체의 흐름 및 압력을 제어하는 전자 비례 감압 밸브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lectronic proportional pressure reducing valve, and more particularly, to an electronic proportional pressure reducing valve for controlling the flow and pressure of a fluid.

일반적으로 유압 중장비에는 수 많은 유압 제어 밸브가 사용되는데, 유압 제어 밸브는 유압 펌프에서 송출된 유체의 흐름을 제어하여 각각의 작동기에서 원하는 동작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러한 유압 제어 밸브의 제어 방식에는 외부에서 전달되는 파일럿압으로 제어 밸브의 피스톤 조작이 이루어지는 파일럿 방식과, 레버를 손으로 조작하여 레버에 연결된 피스톤을 직접 작동시키는 수동 조작 방식과, 전기적인 신호에 의해 솔레노이드로 피스톤을 조작하는 전자 조작 방식 등이 있다.In general, a large number of hydraulic control valves are used in the hydraulic equipment. The hydraulic control valve controls the flow of the fluid from the hydraulic pump so that the desired operation is achieved in each actuator. The control method of the hydraulic control valve includes a pilot method in which the piston of the control valve is operated with pilot pressure transmitted from the outside, a manual operation mode in which the piston connected to the lever is manually operated by operating the lever manually, And an electronic operation system for operating a piston with a solenoid.

전자 비례 감압 밸브는 전자 조작 방식의 밸브로서, 전자력을 발생시키는 솔레노이드부, 유체의 유로로 이용되는 밸브부로 크게 구성된다.The electronic proportional pressure reducing valve is an electronically operated valve, and is largely composed of a solenoid portion for generating an electromagnetic force and a valve portion used as a fluid passage.

솔레노이드부는 하우징, 자기력을 발생시키는 코일, 코일의 자기력에 따라 움직이는 전기자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solenoid portion includes a housing, a coil for generating magnetic force, and an armature for moving in accordance with the magnetic force of the coil.

밸브부는 전기자의 움직임에 의해 이동하는 피스톤, 각종 포트가 형성된 슬리브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피스톤의 이동을 통해 각종 포트를 선택적으로 개폐하여 유체의 압력 및 흐름을 제어한다.The valve includes a piston moving by the movement of the armature, and a sleeve having various ports. The valve selectively opens and closes various ports through movement of the piston to control the pressure and flow of the fluid.

이러한 종래의 전자 비례 감압 밸브는 복잡한 형상으로 형성되고, 이에 따라 제조 과정이 복잡하며, 제조 시간 및 비용이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었다.Such a conventional proportional pressure reducing valve is formed in a complicated shape, which complicates the manufacturing process and increases manufacturing time and cost.

대한민국공개특허 제10-2011-0124254호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1-0124254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사정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제조 과정이 간단하고, 제조 시간 및 비용을 줄일 수 있도록 단순한 형상으로 형성되는 전자 비례 감압 밸브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electron proportional pressure reducing valve which is formed in a simple shape in order to simplify the manufacturing process and reduce manufacturing time and cost.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 비례 감압 밸브는 자기력에 의해 움직이는 전기자를 구비하는 솔레노이드부; 및 상기 솔레노이드부와 결합하고, 복수의 포트가 형성되는 밸브 슬리브 및, 상기 전기자에 맞닿도록 상기 밸브 슬리브의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밸브 슬리브의 내부 공간을 복수의 챔버로 구획하는 밸브 피스톤을 구비하는 밸브부;를 포함하며, 상기 밸브 피스톤은 내측에 복수의 보어가 형성되어, 상기 복수의 챔버를 연통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electronic proportional pressure reducing valve comprising: a solenoid unit including an armature moving by a magnetic force; And a valve piston coupled to the solenoid portion and having a plurality of ports formed therein and a valve piston disposed inside the valve sleeve to abut the armature and configured to partition the inner space of the valve sleeve into a plurality of chambers The valve piston has a plurality of bores formed therein to communicate the plurality of chambers.

상기 복수의 포트는, 상기 밸브 슬리브의 외주에 상기 솔레노이드부에 근접하여 형성되는 제1 포트, 상기 밸브 슬리브의 외주에 상기 제1 포트로부터 축 방향으로 소정 거리 이격되어 형성되는 제2 포트 및 상기 밸브 슬리브의 축단부에 형성될 수 있다.Wherein the plurality of ports includes a first port formed 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valve sleeve in proximity to the solenoid portion, a second port formed on an outer periphery of the valve sleeve at a predetermined distance in the axial direction from the first port, And may be formed at the axial end of the sleeve.

상기 밸브 피스톤은 외주에 원주 방향으로 돌출된 형태의 랜드를 복수개 구비하고, 상기 밸브 피스톤의 복수의 랜드는, 상기 솔레노이드부에 인접한 상기 밸브 슬리브의 일측 내주면에 밀접하게 위치하는 제1 랜드, 상기 제1 포트와 대향하게 위치하는 제2 랜드 및, 상기 제2 포트와 대향하게 위치하는 제3 랜드를 포함할 수 있다.The plurality of lands of the valve piston protruding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n the outer circumference, the plurality of lands of the valve piston include a first land closely located on on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valve sleeve adjacent to the solenoid portion, A second land facing the first port, and a third land facing the second port.

상기 제2 랜드의 폭이 상기 제1 포트보다 작을 수 있다.The width of the second land may be smaller than the first port.

상기 제3 랜드의 폭이 상기 제2 포트보다 클 수 있다.The width of the third land may be larger than that of the second port.

상게 제3 랜드의 직경이 상기 제1 랜드 또는 상기 제2 랜드의 직경보다 클 수 있다.The diameter of the third land may be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first land or the second land.

상기 복수의 챔버는, 상기 전기자와 맞닿는 밸브 피스톤의 소정 부분이 위치하게 되는 제1 챔버, 상기 제1 랜드 및 상기 제2 랜드 사이 공간인 제2 챔버, 상기 제2 랜드 및 상기 제3 랜드 사이 공간인 제3 챔버, 상기 제3 랜드에 의해 상기 제3 챔버와 구분되고 상기 제3 포트와 연통하는 제4 챔버를 포함할 수 있다.Wherein the plurality of chambers includes a first chamber in which a predetermined portion of a valve piston abutting the armature is located, a second chamber that is a space between the first land and the second land, a space between the second land and the third land, And a fourth chamber that is separated from the third chamber by the third land and communicates with the third port.

상기 제4 챔버를 형성하는 상기 밸브 슬리브의 내부 직경이 상기 제3 챔버를 형성하는 상기 밸브 슬리브의 내부 직경보다 클 수 있다.The inner diameter of the valve sleeve forming the fourth chamber may be greater than the inner diameter of the valve sleeve forming the third chamber.

상기 복수의 보어는, 상기 밸브 피스톤의 일측으로부터 내측 방향으로 파여져 형성되어, 상기 제1 챔버와 상기 제2 챔버를 연통시키는 제1 보어 및, 상기 밸브 피스톤의 타측으로부터 내측 방향으로 파여져 형성되어, 상기 제3 챔버와 상기 제4 챔버를 연통시키는 제2 보어를 포함할 수 있다.Wherein the plurality of bores include a first bore formed inwardly from one side of the valve piston and communicated with the first chamber and the second chamber, and a second bore formed inwardly from the other side of the valve piston, And a second bore communicating the third chamber and the fourth chamber.

상기 복수의 보어를 통해 상기 복수의 챔버가 연통되도록 상기 밸브 피스톤의 외주에 복수의 홀이 형성될 수 있다.A plurality of holes may be formed in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valve piston so that the plurality of chambers communicate with each other through the plurality of bores.

상기 솔레노이드부의 움직임에 의해 이동되는 상기 밸브 피스톤은 복수의 위치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위치는 상기 제1 포트와 상기 제3 포트를 연통시키는 제1 위치, 상기 제1 포트, 상기 제2 포트 및 상기 제3 포트를 단절시키는 제2 위치, 상기 제2 포트와 상기 제3 포트를 연통시키는 제3 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The valve piston being moved by movement of the solenoid portion includes a plurality of positions, wherein the plurality of positions include a first position for communicating the first port and the third port, a first position for communicating the first port, A second position for disconnecting the third port, and a third position for communicating the second port and the third port.

상기 밸브부는, 상기 전기자의 움직임이 없을 시, 상기 밸브 피스톤을 상기 제2 위치 또는 상기 제3 위치에서 상기 제1 위치로 되돌리는 로드 스프링을 더 포함할 수 있다.The valve unit may further include a load spring for returning the valve piston from the second position or the third position to the first position when there is no movement of the armature.

상기 솔레노이드부는, 상기 전기자 주변을 감싸는 자기 코일을 더 포함하고, 상기 자기 코일이 발생하는 자기력에 의해 상기 전기자가 움직일 수 있다.The solenoid unit may further include a magnetic coil surrounding the armature, and the armature may be moved by a magnetic force generated by the magnetic coil.

상기 제3 포트는 출력 포트일 수 있다.And the third port may be an output port.

상기 제2 랜드 및 상기 제3 랜드에 노치가 형성될 수 있다.A notch may be formed in the second land and the third land.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 비례 감압 밸브에 의하면, 단순한 형상의 피스톤을 통해 유체 흐름 및 압력 제어가 가능하다.Therefore, according to the electronic proportional pressure reducing valv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luid flow and pressure control are possible through a simple shape piston.

또한, 피스톤 형상이 단순화되어, 제조 과정이 간단하며, 제조 시간 및 비용을 줄일 수 있다.Further, the shape of the piston is simplified, the manufacturing process is simple, and manufacturing time and cost can be reduced.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 비례 감압 밸브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 비례 감압 밸브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 비례 감압 밸브의 밸브 피스톤에 노치가 형성된 것을 보여주는 밸브 피스톤의 측면도이다.
도 4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 비례 감압 밸브의 동작 과정을 보여주는 동작 설명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n electronic proportional pressure reducing valv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 electronic proportional pressure reducing valv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side view of a valve piston showing a notch formed in a valve piston of an electronic proportional pressure reducing valv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S. 4 to 8 are explanatory views illustrating the operation of the electronic proportional pressure reducing valv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 In order to fully understand the present invention, operational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objects achieved by the practice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ence should be mad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which illustrat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그리고,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되며, 도면의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임을 나타낸다. BEST MODE FOR CARRYING OUT THE INVENTION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and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order to clearly describe the present invention, parts that are not related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and the same reference numerals in the drawings denote the same members.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 including " an element, it does not exclude other elements unless specifically stated to the contrary.

도 1 및 도 2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 비례 감압 밸브는 솔레노이드부(100) 및 밸브부(20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제어 신호에 의해 동작하는 솔레노이드부(100)를 이용하여 밸브부(200)에 형성된 각종 포트의 연통 관계를 변경 가능하고, 이를 통해 이러한 각종 포트에 연결될 수 있는 입력부(예컨대, 펌프), 출력부(예컨대, 액츄에이터) 및 저장부(예컨대, 탱크)에서 입력되거나 출력되어 흐르게 되는 유체의 흐름 및 압력을 제어하는 일종의 솔레노이드 밸브이다.1 and 2, an electron proportional pressure reducing valv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solenoid unit 100 and a valve unit 200, and may include a solenoid unit 100 operated by a control signal (E.g., a pump), an output unit (e.g., an actuator), and a storage unit (e.g., a tank) that can be connected to various ports through the communication port of the various ports formed in the valve unit 200, Which is a kind of solenoid valve that controls the flow and pressure of the fluid that is input or output in the flow path.

솔레노이드부(100)는 전기자(110), 전기자 하우징(120), 자기 코일(130), 바디 커버(140), 조절 스크류(150), 로드 스프링(160) 및 플랜지(170) 등을 포함할 수 있다.The solenoid portion 100 may include an armature 110, an armature housing 120, a magnetic coil 130, a body cover 140, an adjustment screw 150, a rod spring 160, a flange 170, have.

전기자(110)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전기자(110)는 일측(도2 기준 좌측)에 내측으로 파여진 가이드 홈(111)이 형성되며, 타측(도2 기준 우측)에 막대 형상의 전기자 로드(113)가 구비될 수 있다. 전기자(110)는 주변 자기력에 의해 어느 한 쪽 방향(도1 기준 우측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다.The armature 110 may be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The armature 110 may have a guide groove 111 formed on one side (left side in FIG. 2) and a rod-shaped armature rod 113 on the other side (right side in FIG. 2). The armature 110 can be moved in either one direction (right direction in FIG. 1) by the peripheral magnetic force.

전기자 하우징(120)은 내부에 전기자(110)를 수용할 수 있다. 전기자 하우징(120)은 내주면이 전기자(110)의 외주면과 밀접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전기자 하우징(120)은 양측에 외기와 연통하도록 하는 구멍이 형성될 수 있다.The armature housing 120 can receive the armature 110 therein. The armature housing 120 may be formed such that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armature 110. The armature housing 120 may have holes formed on both sides thereof to communicate with the outside air.

자기 코일(130)은 전류가 흐를 수 있는 도선으로 이루어지며, 전기자 하우징(120)의 외주를 감싸는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자기 코일(130)은 코일 머리(131)와 코일 몸체(133)로 구분될 수 있고, 코일 머리(131)와 코일 몸체(133) 사이에는 와셔(Washer: Wa)가 구비될 수 있다. 자기 코일(130)에 전류가 흐르게 되면, 자기력이 발생하게 되고 발생된 자기력에 의해 자기 코일(130) 내부에 위치하고 있는 전기자(110)가 상기한 바 있는 한 쪽 방향(도2 기준 우측 방향)으로 움직이게 된다.The magnetic coil 130 is formed of a conductor through which electric current can flow and may be provided to surround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armature housing 120. The magnetic coil 130 may be divided into a coil head 131 and a coil body 133 and a washer Wa may be provided between the coil head 131 and the coil body 133. When a current flows in the magnetic coil 130, a magnetic force is generated, and the armature 110 positioned in the magnetic coil 130 is moved in one direction (reference right direction in FIG. 2) by the generated magnetic force It moves.

바디 커버(140)는 자기 코일(130) 전체를 덮을 수 있도록 원통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바디 커버(140)는 외주 커버(141) 및 단면 커버(143)를 포함할 수 있다. 외주 커버(141)와 단면 커버(143)는 조립이 용이하도록 서로 분리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나,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The body cover 140 may be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so as to cover the entire magnetic coil 130. The body cover 140 may include an outer cover 141 and a one-sided cover 143. The outer cover 141 and the end cover 143 are preferably separable from each other to facilitate assembly, but may be integrally formed.

또한, 단면 커버(143)는 중앙에 구멍이 형성되고, 단면 커버(143)의 내주면은 전기자 하우징(120) 일측에 구비된 베어링(Bearing: Br)과 맞닿을 수 있다. 전기자 하우징(120) 일측에는 베어링(Br)의 고정을 위한 외부 고정링(External Circlip: EC)이 더 구비될 수 있다.The end face of the end face cover 143 may be in contact with a bearing (Br) provided at one side of the armature housing 120. [ An external circlip (EC) for fixing the bearing (Br) may be further provided on one side of the armature housing (120).

조절 스크류(150)는 전기자 하우징(120) 일측에 고정된 너트(Nut)와 결합하고, 소정 부분이 전기자 하우징(120) 내부에 위치할 수 있다. 조절 스크류(150)는 수동 조작에 의해 전기자 하우징(120)의 내부로 더욱 들어가게 되면, 전기자(110)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The adjustment screw 150 may be coupled to a nut secured to one side of the armature housing 120 and a predetermined portion thereof may be located inside the armature housing 120. When the adjusting screw 150 is further inserted into the armature housing 120 by manual operation, the position of the armature 110 can be adjusted.

로드 스프링(160)은 전기자(110)의 가이드 홈(111)에 배치되어, 일측이 조절 스크류(150)에 맞닿고, 타측이 전기자(110)에 맞닿을 수 있다. 로드 스프링(160)은 조절 스크류(150)가 전기자 하우징(120) 내부로 더욱 들어가게 되면 압축되고, 더 이상 압축되지 않는 상태가 되면, 전기자(110)를 한 쪽 방향(도2 기준 우측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The rod spring 160 is disposed in the guide groove 111 of the armature 110 so that one end of the rod spring 160 is in contact with the adjusting screw 150 and the other end thereof is in contact with the armature 110. The rod spring 160 is compressed when the adjusting screw 150 is further inserted into the armature housing 120 and is then compressed in a state in which the armature 110 is no longer compressed Can be moved.

플랜지(170)는 일측(도2 기준 좌측)이 전기자 하우징(120) 타측(도2 기준 우측)에 삽입되기 위한 돌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본체 부분이 전기자 하우징(120), 자기 코일(130), 바디 커버(140) 각각의 타측에 접촉될 수 있다. 전기자 하우징(120) 내주 및 전기자 하우징(120)에 삽입된 플랜지(170)의 돌출 부분 외주 사이에는 밀봉을 위한 링(ring1)이 구비될 수 있다. 플랜지(170)는 중앙에 구멍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전기자(110)의 전기자 로드(113)는 플랜지(170) 중앙에 형성된 구멍을 통해 플랜지(170)를 관통하여 위치할 수 있다.The flange 170 can be formed in a protruding shape for one side (left side in FIG. 2) to be inserted into the other side (right side in FIG. 2) of the armature housing 120 and the main body portion can be inserted into the armature housing 120, And the body cover 140, respectively. A ring 1 for sealing may be provided between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 armature housing 120 and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protruding portion of the flange 170 inserted into the armature housing 120. The flange 170 may have a hole formed at its center. Here, the armature rod 113 of the armature 110 can be positioned through the flange 170 through a hole formed in the center of the flange 170.

플랜지(170)는 타측이 밸브부(200)의 일부를 수용 가능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플랜지(170)의 타측은 밸브부(200)의 외주를 꽉 잡은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플랜지(170) 타측의 내주와 밸브부(200)의 외주 사이에는 밀봉을 위한 링(ring2)이 구비될 수 있다.The flange 170 may be formed in such a manner that the other side thereof can receive a part of the valve unit 200. The other side of the flange 170 may be formed to have a tight grip on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valve unit 200. A ring 2 for sealing may be provided between the inner circumference on the other side of the flange 170 and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valve unit 200 .

밸브부(200)는 유로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밸브 슬리브(210), 밸브 피스톤(220) 및 로드 스프링(230) 등을 포함할 수 있다.The valve unit 200 serves as a flow path and may include a valve sleeve 210, a valve piston 220, a rod spring 230, and the like.

밸브 슬리브(210)는 내부가 빈 원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밸브 슬리브(210)는 일측 소정 부분이 플랜지(170)에 삽입 결합될 수 있다. 밸브 슬리브(210)의 외주에는 제1 포트(T), 제2 포트(P) 각각이 복수개 형성되고, 밸브 슬리브(210)의 축단부에는 제3 포트(A)가 형성될 수 있다. 제1 포트(T)는 밸브 슬리브(210)의 외주에 솔레노이드부(100)에 근접하여 형성되고, 제2 포트(P)는 밸브 슬리브(210)의 외주에 제1 포트(T)로부터 축 방향으로 소정 거리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The valve sleeve 210 may have an internal hollow cylindrical shape. The predetermined portion of the valve sleeve 210 may be inserted into the flange 170. A plurality of first ports T and a plurality of second ports P may be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valve sleeve 210 and a third port A may be formed on the axial ends of the valve sleeve 210. The first port T is formed close to the solenoid portion 100 on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valve sleeve 210 and the second port P is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valve sleeve 210 from the first port T in the axial direction As shown in FIG.

여기서, 제1 포트(T)는 유체를 저장하는 저장부(탱크)와 연결될 수 있고, 제2 포트(P)는 유체를 공급하는 입력부(펌프)와 연결될 수 있으며, 제3 포트(A)는 유체를 공급 받아 유체를 통해 동작하는 출력부(액츄에이터)와 연결될 수 있다. 즉, 제1 포트(T)는 탱크 포트로 이용되고, 제2 포트(P)는 입력 포트로 이용되며, 제3 포트(A)는 출력 포트로 이용될 수 있다.Here, the first port T may be connected to a reservoir (tank) for storing the fluid, the second port P may be connected to an input unit (pump) supplying the fluid, and the third port A may be connected to the reservoir And may be connected to an output unit (actuator) that receives the fluid and operates through the fluid. That is, the first port T is used as a tank port, the second port P is used as an input port, and the third port A is used as an output port.

밸브 슬리브(210)의 외주 소정 부분은 저장부, 입력부 등과의 연통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The outer circumferential portion of the valve sleeve 210 may protrude to facilitate communication with the storage portion, the input portion, and the like.

밸브 피스톤(220)은 기둥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밸브 피스톤(220)은 밸브 슬리브(210)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밸브 피스톤(220)은 일측(도1 기준 좌측)이 전기자(110)의 전기자 로드(113)에 맞닿도록 배치될 수 있다. The valve piston 220 may be formed in a columnar shape. The valve piston 220 may be disposed within the valve sleeve 210. The valve piston 220 may be disposed such that one side (left side in FIG. 1) of the valve piston 220 is in contact with the armature rod 113 of the armature 110.

밸브 피스톤(220)은 외주에 원주 방향으로 돌출된 형태의 복수의 랜드를 구비할 수 있으며, 복수의 랜드는 제1 랜드(221), 제2 랜드(222) 및 제3 랜드(22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랜드(221)는 솔레노이드부(210)에 인접한 밸브 슬리브(210)의 일측 내주면에 밀접하게 위치하고, 제3 랜드(223)는 솔레노이드부(210)와 가장 먼 쪽에 위치하고, 제2 랜드(222)는 제1 랜드(221)와 제3 랜드(223)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The valve pistons 220 may include a plurality of lands protruding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nd the plurality of lands include a first land 221, a second land 222, and a third land 223 can do. The first land 221 is located closely to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one side of the valve sleeve 210 adjacent to the solenoid 210. The third land 223 is located farthest from the solenoid 210 and the second land 222 May be positioned between the first land 221 and the third land 223.

또한, 제2 랜드(222)는 밸브 슬리브(210)의 제1 포트(T)와 대향하게 위치하고, 제3 랜드(223)는 밸브 슬리브(210)의 제2 포트(P)와 대향하게 위치할 수 있다. 제2 랜드(222)의 폭은 제1 포트(T)보다 작게 형성되고, 제3 랜드(223)의 폭은 제2 포트(P)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더불어, 제3 랜드(223)는 제1 랜드(221) 또는 제2 랜드(222)보다 직경이 큰 것이 바람직하다.The second land 222 is located opposite the first port T of the valve sleeve 210 and the third land 223 is positioned opposite the second port P of the valve sleeve 210 . The width of the second land 222 is formed smaller than the width of the first port T and the width of the third land 223 is formed larger than the width of the second port P. [ In addition, the third land 223 is preferably larger in diameter than the first land 221 or the second land 222.

밸브 피스톤(220)은 내측에 복수의 보어가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보어는 제1 보어(224) 및 제2 보어(225)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보어(224)는 밸브 피스톤(220)의 일측(도1 기준 좌측)으로부터 내측 방향으로 깊게 파여져 형성되고, 제2 보어(225)는 밸브 피스톤(220)의 타측(도1 기준 우측)으로부터 내측 방향으로 깊게 파여져 형성될 수 있다. 제1 보어(224)와 제2 보어(225)의 크기는 적절히 설정될 수 있다. 제1 보어(224) 및 제2 보어(225)는 밸브 피스톤(220)의 중심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1 보어(224)의 크기는 전기자 로드(113)의 직경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The valve piston 220 may have a plurality of bores formed therein. The plurality of bores may include a first bore 224 and a second bore 225. The first bore 224 is formed deeply inwardly from one side (left side in FIG. 1) of the valve piston 220 and the second bore 225 is formed deeply from the other side (right side in FIG. 1) of the valve piston 220 It can be formed by being deeply fasciated in the inner direction. The sizes of the first bore 224 and the second bore 225 can be set appropriately. The first bore 224 and the second bore 225 are preferably formed at the center of the valve piston 220, but are not limited thereto. The size of the first bore 224 is preferably smaller than the diameter of the armature rod 113.

밸브 피스톤(220)이 밸브 슬리브(210) 내부에 배치되면, 밸브 슬리브(210)의 내부 공간이 밸브 피스톤(220)의 복수의 랜드에 의해 제1 챔버(211), 제2 챔버(212), 제3 챔버(213) 및 제4 챔버(214)로 구획될 수 있다.When the valve piston 220 is disposed inside the valve sleeve 210, the inner space of the valve sleeve 210 is separated by the plurality of lands of the valve piston 220 from the first chamber 211, the second chamber 212, The third chamber 213, and the fourth chamber 214. In addition,

제1 챔버(211)는 플랜지(170)의 내부 공간 및 밸브 슬리브(210)의 일측(도1 기준 좌측) 내부 공간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챔버(212) 및 제3 챔버(213)는 밸브 피스톤(220)이 초기 상태인 경우에 서로 연통되어 있으나, 제2 랜드(222)가 밸브 슬리브(210) 내주면에 밀착한 상태인 경우 서로 구분될 수 있다. 제4 챔버(214)는 밸브 슬리브(210)의 타측(도1 기준 우측) 내부 공간이며, 제3 랜드(223)가 위치할 수 있다. 제3 챔버(213)와 제4 챔버(214)의 일부는 제3 랜드(223)가 이동되면, 서로 연통될 수 있다. 또한, 제4 챔버(214)를 형성하는 밸브 슬리브(210)의 내부 직경은 제3 챔버(213)를 형성하는 밸브 슬리브(210)의 내부 직경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더불어, 제1 챔버(211), 제2 챔버(212), 제3 챔버(213) 및 제4 챔버(214)의 크기는 밸브 피스톤의(220)의 움직임에 의해 가변될 수 있다.The first chamber 211 may include an inner space of the flange 170 and an inner space of one side of the valve sleeve 210 (left side in FIG. 1). The second chamber 212 and the third chamber 213 are in communication with each other when the valve piston 220 is in the initial state, but when the second land 222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valve sleeve 210, Can be distinguished. The fourth chamber 214 is an inner space on the other side (reference right side in FIG. 1) of the valve sleeve 210, and the third land 223 can be located. Part of the third chamber 213 and the fourth chamber 214 can communicate with each other when the third land 223 is moved. The inner diameter of the valve sleeve 210 forming the fourth chamber 214 is preferably larger than the inner diameter of the valve sleeve 210 forming the third chamber 213. In addition, the sizes of the first chamber 211, the second chamber 212, the third chamber 213, and the fourth chamber 214 can be varied by the movement of the valve piston 220.

이러한 밸브 슬리브(210)의 제1 챔버(211), 제2 챔버(212), 제3 챔버(213) 및 제4 챔버(214)의 연통을 위해 밸브 피스톤(220)의 외주 소정 위치에 복수의 홀이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홀은 제1 홀(h1), 제2 홀(h2) 및 제3 홀(h3)을 포함할 수 있다. In order to communicate between the first chamber 211, the second chamber 212, the third chamber 213 and the fourth chamber 214 of the valve sleeve 210, a plurality of Holes may be formed. The plurality of holes may include a first hole h1, a second hole h2, and a third hole h3.

제1 홀(h1), 제2 홀(h2) 및 제3 홀(h3)은 밸브 피스톤(220)의 외주에서 중심 방향으로 파여져 형성되고, 제1 홀(h1)은 제1 보어(224)와 제1 챔버(211)를 연통시킬 수 있고, 제2 홀(h2)은 제1 보어(224)와 제2 챔버(212)를 연통시킬 수 있으며, 제3 홀(h3)은 제2 보어(225)와 제3 챔버(213)를 연통시킬 수 있다.The first hole h1, the second hole h2 and the third hole h3 are formed in the center direction 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valve piston 220. The first hole h1 is formed by the first bore 224, The second hole h2 can communicate the first bore 224 and the second chamber 212 and the third hole h3 can communicate with the second bore 225 And the third chamber 213 can be communicated with each other.

즉, 제1 홀(h1)은 제1 랜드(221)를 기준으로 밸브 피스톤(220)의 좌측(도1 기준) 외주에 형성되고, 제2 홀(h2)은 제1 랜드(221)와 제2 랜드(222) 사이의 밸브 피스톤(220)의 외주에 형성되고, 제3 홀(h3)은 제2 랜드(222)와 제3 랜드(223) 사이의 밸브 피스톤(220)의 외주에 형성될 수 있다.That is, the first hole h1 is formed on the left side (reference in FIG. 1) of the valve piston 220 on the basis of the first land 221, the second hole h2 is formed 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first land 221, And the third hole h3 is formed 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valve piston 220 between the second land 222 and the third land 223 .

이에 따라 제1 챔버(211)와 제2 챔버(212)는 제1 보어(224), 제1 홀(h1) 및 제2 홀(h2)을 통해 서로 연통될 수 있다. 제3 챔버(213)와 제4 챔버(214)는 제2 보어(225) 및 제3 홀(h3)을 통해 서로 연통될 수 있다. 제1 홀(h1), 제2 홀(h2) 및 제3 홀(h3)은 반원 형상 또는 원 형상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Accordingly, the first chamber 211 and the second chamber 212 can communicate with each other through the first bore 224, the first hole h1, and the second hole h2. The third chamber 213 and the fourth chamber 214 may communicate with each other through the second bore 225 and the third hole h3. The first hole h1, the second hole h2, and the third hole h3 may be semicircular or circular, but are not limited thereto.

로드 스프링(230)은 일측이 밸브 피스톤(220)의 제3 랜드(223)에 맞닿으면서, 타측이 밸브 슬리브(210)의 타측(도2 기준 우측) 내부면에 맞닿도록, 밸브 슬리브(210)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로드 스프링(230)은 밸브 피스톤(220)이 전기자(210)에 의해 우측(도2 기준)으로 이동할 경우 압축되고, 전기자(210) 힘이 사라질 경우 복원력을 통해 팽창되어 밸브 피스톤(220)을 전기자(210)에 의해 이동되기 전 위치로 되돌릴 수 있다.The rod spring 230 is fixed to the valve sleeve 210 such that one side of the rod spring 230 abuts on the third land 223 of the valve piston 220 and the other side abuts against the inner surface of the other side ). ≪ / RTI > The rod spring 230 is compressed when the valve piston 220 moves to the right side (reference in FIG. 2) by the armature 210 and is expanded through the restoring force when the armature 210 force disappears, It can be returned to the position before it is moved by the moving mechanism 210.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 비례 감압 밸브는 제어 신호에 의한 전기자(110)의 움직임을 이용하여 밸브 피스톤(220)을 이동시킴으로써, 제1 포트(T)와 제3 포트(A)가 연통된 초기 상태에서 제2 포트(P)와 제3 포트(A)가 연통된 상태로 변경시킬 수 있다. 또한, 전자 비례 감압 밸브는 이러한 각종 포트에 연결될 수 있는 입력부(예컨대, 펌프), 출력부(예컨대, 액츄에이터) 및 저장부(예컨대, 탱크)에서 입력되거나 출력되어 흐르게 되는 유체의 흐름 및 압력을 제어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electromagnetic proportional pressure reducing valv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oves the valve piston 220 by using the movement of the armature 110 by the control signal so that the first port T and the third port A The second port P and the third port A can communicate with each other in the initial state of communication. The electronic proportional pressure reducing valve also controls the flow and pressure of the fluid that is input or output from the input (e.g., pump), output (e.g., actuator) and storage (e.g., tank) can do.

도 3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 비례 감압 밸브의 밸브 피스톤에 노치가 형성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 it can be seen that a notch is formed in the valve piston of the electron proportional pressure reducing valv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밸브 피스톤(220)의 제2 랜드(222) 및 제3 랜드(223)에는 노치(Notch:n)가 형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노치(n)는 제3 챔버(213)를 향하는 방향의 제2 랜드(222)의 외주 소정 부분이 파여져 형성되거나, 제3 챔버(213)를 향하는 방향의 제3 랜드의 외주 소정 부분이 파여져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노치(n)는 제1 포트(T) 및 제2 포트(P)로 유입 또는 배출되는 유체의 압력이 급격하게 변화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형성될 수 있다.A notch n may be formed in the second land 222 and the third land 223 of the valve piston 220 and the notch n may be formed in the second and third lands 213, A predetermined portion on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land 222 may be formed by grinding or a predetermined portion on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third land in the direction toward the third chamber 213 may be formed. The notch n may be formed to prevent the pressure of the fluid flowing into or out of the first port T and the second port P from changing abruptly.

이후, 도 4 내지 도 8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 비례 감압 밸브의 동작 과정을 설명한다.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electronic proportional pressure reducing valv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4 to 8. FIG.

도 4에서 전자 비례 감압 밸브는 제어 신호가 없어 밸브 피스톤(220)이 움직이지 않은 초기 상태이다. 이때 밸브 피스톤(220)의 제2 랜드(222)는 밸브 슬리브(210)의 내주면에 맞닿지 않은 상태이며, 제2 챔버(212)와 제3 챔버(213)는 연통되어있다. 즉, 초기 상태의 전자 비례 감압 밸브는 제1 포트(T)와 제3 포트(A)가 연통되어있고, 제2 포트(P)가 제3 랜드에 의해 막혀있는 상태이다. 이에 따라, 제1 포트(T)에 연결되는 저장부(탱크)와 제3 포트(A)에 연결되는 출력부(액츄에이터)가 연통될 수 있다. 이러한 전자 비례 감압 밸브가 초기 상태일 때, 제1 포트(T)와 제3 포트(A)를 연통시키는 밸브 피스톤의 위치를 제1 위치로 정의한다.In FIG. 4, the electronic proportional pressure reducing valve is in an initial state in which there is no control signal and the valve piston 220 does not move. At this time, the second land 222 of the valve piston 220 is not in contact with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valve sleeve 210, and the second chamber 212 and the third chamber 213 are in communication with each other. That is, the electron proportional pressure reducing valve in the initial state is in a state in which the first port T and the third port A are communicated and the second port P is blocked by the third land. Accordingly, the storage unit (tank) connected to the first port T and the output unit (actuator) connected to the third port A can communicate with each other. The position of the valve piston, which communicates the first port T and the third port A when the solenoid proportional pressure reducing valve is in an initial state, is defined as a first position.

도 5에서 전자 비례 감압 밸브는 제어 신호에 따라 대략 적은 량의 전류(I)가 자기 코일(130)에 흐르게 되면, 전류(I)에 의해 자기 코일(130) 주변에 자기력이 발생하고, 자기력에 의해 전기자(110)가 우측(도5 기준)으로 이동하게 되어, 전기자(110)에 의해 밸브 피스톤(220)이 우측(도5 기준)으로 소정 거리 이동한 상태이다.5, when a substantially small amount of current I flows in the magnetic coil 130 according to a control signal, a magnetic force is generated around the magnetic coil 130 by the current I, The armature 110 is moved to the right (reference in FIG. 5), and the valve piston 220 is moved to the right (reference in FIG. 5) by the armature 110 by a predetermined distance.

이러한 밸브 피스톤(220)의 제2 랜드(222)는 제3 챔버(213)를 형성하는 밸브 슬리브(210)의 내주면에 맞닿기 시작하는 위치로 이동되는 데, 이때 밸브 슬리브(210)의 제2 챔버(212)와 제3 챔버(213)는 밸브 피스톤(220)의 제2 랜드(222)에 의해 단절된다. 또한, 밸브 피스톤(220)의 제3 랜드(223)는 우측(도5 기준)으로 이동되었으나, 여전히 제2 포트(P)를 막고 있는 상태이다. 즉, 도 5의 전자 비례 감압 밸브는 제1 포트(T), 제2 포트(P) 및 제3 포트(A)가 밸브 피스톤(220)에 의해 단절되어있는 상태이다. 이러한 제1 포트(T), 제2 포(P) 및 제3 포트(A)를 단절시키는 밸브 피스톤(220)의 위치를 제2 위치로 정의한다.The second land 222 of the valve piston 220 is moved to a position where it begins to abut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valve sleeve 210 forming the third chamber 213, The chamber 212 and the third chamber 213 are disconnected by the second land 222 of the valve piston 220. Further, the third land 223 of the valve piston 220 is moved to the right (reference to FIG. 5), but is still blocking the second port P. [ 5 is a state in which the first port T, the second port P, and the third port A are disconnected by the valve piston 220. In other words, The position of the valve piston 220 which disconnects the first port T, the second valve P and the third port A is defined as a second position.

도 6에서 전자 비례 감압 밸브는 제어 신호에 따라 더욱 많은 전류(I)가 자기 코일(130)에 흐르게 되면, 전류(I)에 의해 자기 코일(130) 주변에 높은 자기력이 발생하고, 높은 자기력에 의해 전기자(110)가 우측(도6 기준)으로 더욱 이동하게 되어, 전기자(110)에 의해 밸브 피스톤(220)이 우측(도6 기준)으로 더욱 많이 이동한 상태이다.6, when a larger amount of current I flows in the magnetic coil 130 according to the control signal, a high magnetic force is generated around the magnetic coil 130 by the current I, The armature 110 further moves to the right side (reference in FIG. 6), and the valve piston 220 is moved to the right side (reference in FIG. 6) by the armature 110 more.

이러한 밸브 피스톤(220)의 제2 랜드(222)는 제3 챔버(213)를 형성하는 밸브 슬리브(210)의 내주면에 확실히 맞닿게 된다. 또한, 밸브 피스톤(220)의 제3 랜드(223)는 우측으로 더욱 이동되어 제2 포트(P)와 제3 챔버(213)를 연통시키게 된다. 이때 제2 포트(P)와 제3 포트(A)가 연통된다. 이러한 제2 포트(P)와 제3 포트(A)를 연통시키는 밸브 피스톤(220)의 위치를 제3 위치로 정의한다.The second land 222 of the valve piston 220 is surely abutted against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valve sleeve 210 forming the third chamber 213. The third land 223 of the valve piston 220 is further moved to the right to communicate the second port P with the third chamber 213. At this time, the second port (P) communicates with the third port (A). The position of the valve piston 220 which communicates the second port P with the third port A is defined as the third position.

예컨대, 입력부(펌프)에서 유체를 가압하여 전달하게 되면, 유체는 제2 포트(P)로 흘러들어가게 되고, 제2 포트(P)와 연통되어 있는 제3 챔버(213), 제 3홀(h3), 제2 보어(225) 및 제4 챔버(214)를 순차적으로 거쳐 제3 포트(A)로 흐르게 되며, 최종적으로 제3 포트(A)와 연결되어 있는 출력부(액츄에이터)에 공급된다. 따라서, 공급된 유체를 통해 출력부(액츄에이터)의 구동이 이루어질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fluid is pressurized and delivered from the input unit (pump), the fluid flows into the second port P, and the third chamber 213, the third hole h3 The second bore 225 and the fourth chamber 214 to the third port A and finally to the output unit (actuator) connected to the third port A. [ Thus, the output section (actuator) can be driven through the supplied fluid.

도 7에서 전자 비례 감압 밸브는 제어 신호에 따라 다시 작은 량의 전류(I)가 자기 코일(130)에 흐르게 되면, 로드 스프링(230)의 복원력에 의해 밸브 피스톤(220)이 도 5의 밸브 피스톤(220)의 제2 위치로 되돌아가게 되고, 도 5와 마찬가지로 제1 포트(T), 제2 포트(P) 및 제3 포트(A)가 밸브 피스톤(220)에 의해 단절된 상태이다. 이때 전자 비례 감압 밸브는 도 5의 전자 비례 감압 밸브와 달리, 제3 챔버(213) 내에 제2 포트(P)로부터 흘러 들어오던 유체가 남아있게 되는 상태이다. 7, when a small amount of current I flows in the magnetic coil 130 again according to the control signal, the restoring force of the rod spring 230 causes the valve piston 220 to move to the valve piston The first port T, the second port P and the third port A are disconnected by the valve piston 220 in the same manner as in Fig. At this time, unlike the electron proportional pressure reducing valve of FIG. 5, the electron proportional pressure reducing valve is a state in which the fluid flowing from the second port P is left in the third chamber 213.

도 8에서 전자 비례 감압 밸브는 제어 신호가 없어 전류(I)가 자기 코일(130)에 흐르지 않게 되면, 로드 스프링(230)의 복원력에 의해 밸브 피스톤(220)이 도 4의 밸브 피스톤(220)의 제1 위치로 되돌아가게 되고, 도 4와 마찬가지로 제1 포트(T)와 제3 포트(A)가 연통되고, 제2 포트(P)가 제3 랜드(223)에 의해 막혀있는 상태이다. 8, when the current I does not flow through the magnetic coil 130 due to the absence of a control signal, the valve piston 220 is moved to the valve piston 220 of FIG. 4 by the restoring force of the rod spring 230, The first port T and the third port A are communicated with each other and the second port P is blocked by the third land 223 in the same manner as in Fig.

예컨대, 출력부(액츄에이터)에서 공급되어 있던 유체를 배출하게 되면, 유체는 제3 포트(A)로 흘러 들어가게 되고, 제3 포트(A)와 연통되어 있는 제4 챔버(213), 제2 보어(225), 제 3홀(h3), 제3 챔버(213)를 순차적으로 거쳐 제1 포트(T)로 흐르게 되며, 최종적으로 제1 포트(T)와 연결되어 있는 저장부(탱크)에 공급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 비례 감압 밸브는 출력부(액츄에이터)에 공급되어 있던 유체를 저장부(탱크부)로 되돌리는 유로로 이용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fluid supplied from the output unit (actuator) is discharged, the fluid flows into the third port (A), and the fourth chamber (213) communicating with the third port (A) (Tank) connected to the first port T, and then flows to the first port T through the second port 225, the third hole h3 and the third chamber 213 in that order, do. Therefore, the electronic proportional pressure reducing valv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as a flow path for returning the fluid supplied to the output part (actuator) to the storage part (tank part).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evident that many alternative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등록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Accordingly, the tru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technical idea of the appended claims.

100: 솔레노이드부
110: 전기자
120: 전기자 하우징
130: 자기 코일
140: 바디 커버
150: 조절 스크류
160: 로드 스프링
170: 플랜지
200: 밸브부
210: 밸브 슬리브
T: 제1 포트
P: 제2 포트
A: 제3 포트
211: 제1 챔버
212: 제2 챔버
213: 제3 챔버
214: 제4 챔버
220: 밸브 피스톤
221: 제1 랜드
222: 제2 랜드
223: 제3 랜드
224: 제1 보어
225: 제2 보어
h1, h2, h3: 제1, 제2, 제3 홀
230: 로드 스프링
100: Solenoid part
110: Armature
120: Armature housing
130: magnetic coil
140: Body cover
150: Adjusting screw
160: Load spring
170: flange
200:
210: Valve sleeve
T: First port
P: second port
A: Third port
211: first chamber
212: second chamber
213: Third chamber
214: fourth chamber
220: valve piston
221: 1st land
222: second land
223: Third Land
224:
225: Second Boer
h1, h2, h3: first, second, and third holes
230: Load spring

Claims (15)

자기력에 의해 움직이는 전기자를 구비하는 솔레노이드부; 및
상기 솔레노이드부와 결합하고, 복수의 포트가 형성되는 밸브 슬리브 및, 상기 전기자에 맞닿도록 상기 밸브 슬리브의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밸브 슬리브의 내부 공간을 복수의 챔버로 구획하는 밸브 피스톤을 구비하는 밸브부;를 포함하며,
상기 밸브 피스톤은 내측에 복수의 보어가 형성되어, 상기 복수의 챔버를 연통시키는 것인 전자 비례 감압 밸브.
A solenoid portion having an armature moving by a magnetic force; And
A valve sleeve coupled to the solenoid portion and having a plurality of ports formed therein and a valve piston disposed within the valve sleeve to abut the armature and having a valve piston defining an inner space of the valve sleeve into a plurality of chambers, Comprising:
Wherein the valve piston has a plurality of bores formed therein to communicate the plurality of chambers.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포트는,
상기 밸브 슬리브의 외주에 상기 솔레노이드부에 근접하여 형성되는 제1 포트, 상기 밸브 슬리브의 외주에 상기 제1 포트로부터 축 방향으로 소정 거리 이격되어 형성되는 제2 포트 및 상기 밸브 슬리브의 축단부에 형성되는 제3 포트를 포함하는 전자 비례 감압 밸브.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plurality of ports include:
A first port formed on an outer circumference of the valve sleeve in proximity to the solenoid portion, a second port formed on an outer circumference of the valve sleeve at a predetermined distance in the axial direction from the first port, and a second port formed at an axial end portion of the valve sleeve The third port being connected to the second port.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 피스톤은 외주에 원주 방향으로 돌출된 형태의 랜드를 복수개 구비하고,
상기 밸브 피스톤의 복수의 랜드는, 상기 솔레노이드부에 인접한 상기 밸브 슬리브의 일측 내주면에 밀접하게 위치하는 제1 랜드, 상기 제1 포트와 대향하게 위치하는 제2 랜드 및, 상기 제2 포트와 대향하게 위치하는 제3 랜드를 포함하는 전자 비례 감압 밸브.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valve piston has a plurality of lands protruding in a circumferential direction on the outer periphery,
The plurality of lands of the valve piston include a first land closely located on on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valve sleeve adjacent to the solenoid portion, a second land opposed to the first port, and a second land opposed to the second port And a third land positioned on the third land.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랜드의 폭이 상기 제1 포트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비례 감압 밸브.
The method of claim 3,
And the width of the second land is smaller than that of the first port.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랜드의 폭이 상기 제2 포트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비례 감압 밸브.
The method of claim 3,
And the width of the third land is larger than that of the second port.
제 3항에 있어서,
상게 제3 랜드의 직경이 상기 제1 랜드 또는 상기 제2 랜드의 직경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비례 감압 밸브.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diameter of the third land is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first land or the second land.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챔버는,
상기 전기자와 맞닿는 밸브 피스톤의 소정 부분이 위치하게 되는 제1 챔버, 상기 제1 랜드 및 상기 제2 랜드 사이 공간인 제2 챔버, 상기 제2 랜드 및 상기 제3 랜드 사이 공간인 제3 챔버, 상기 제3 랜드에 의해 상기 제3 챔버와 구분되고 상기 제3 포트와 연통하는 제4 챔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비례 감압 밸브.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plurality of chambers comprises:
A second chamber which is a space between the first land and the second land, a third chamber which is a space between the second land and the third land, a second chamber which is a space between the first land and the second land, And a fourth chamber separated from the third chamber by a third land and communicating with the third port.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제4 챔버를 형성하는 상기 밸브 슬리브의 내부 직경이 상기 제3 챔버를 형성하는 상기 밸브 슬리브의 내부 직경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비례 감압 밸브.
8.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an inner diameter of the valve sleeve forming the fourth chamber is larger than an inner diameter of the valve sleeve forming the third chamber.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보어는,
상기 밸브 피스톤의 일측으로부터 내측 방향으로 파여져 형성되어, 상기 제1 챔버와 상기 제2 챔버를 연통시키는 제1 보어 및, 상기 밸브 피스톤의 타측으로부터 내측 방향으로 파여져 형성되어, 상기 제3 챔버와 상기 제4 챔버를 연통시키는 제2 보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비례 감압 밸브.
8.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said plurality of bores
A first bore formed inwardly from one side of the valve piston and communicating the first chamber and the second chamber; and a second bore formed inwardly from the other side of the valve piston, And a second bore communicating with the fourth chamber.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보어를 통해 상기 복수의 챔버가 연통되도록 상기 밸브 피스톤의 외주에 복수의 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비례 감압 밸브.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plurality of holes are formed in the outer periphery of the valve piston so that the plurality of chambers communicate with each other through the plurality of bores.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솔레노이드부의 움직임에 의해 이동되는 상기 밸브 피스톤은 복수의 위치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위치는 상기 제1 포트와 상기 제3 포트를 연통시키는 제1 위치, 상기 제1 포트, 상기 제2 포트 및 상기 제3 포트를 단절시키는 제2 위치, 상기 제2 포트와 상기 제3 포트를 연통시키는 제3 위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비례 감압 밸브.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valve piston moved by the movement of the solenoid portion includes a plurality of positions,
Wherein the plurality of positions include a first position for communicating the first port and the third port, a second position for disconnecting the first port, the second port, and the third port, And a third position for communicating the port with the third proportional pressure reducing valve.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부는,
상기 전기자의 움직임이 없을 시, 상기 밸브 피스톤을 상기 제2 위치 또는 상기 제3 위치에서 상기 제1 위치로 되돌리는 로드 스프링을 더 포함하는 전자 비례 감압 밸브.
12. The method of claim 11,
The valve unit includes:
And a load spring for returning the valve piston from the second position or the third position to the first position when there is no movement of the armatur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솔레노이드부는,
상기 전기자 주변을 감싸는 자기 코일을 더 포함하고,
상기 자기 코일이 발생하는 자기력에 의해 상기 전기자가 움직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비례 감압 밸브.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olenoid unit includes:
And a magnetic coil surrounding the armature,
And the armature is moved by a magnetic force generated by the magnetic coil.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3 포트는 출력 포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비례 감압 밸브.
3. The method of claim 2,
And the third port is an output port.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랜드 및 상기 제3 랜드에 노치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비례 감압 밸브.
The method of claim 3,
And a notch is formed in the second land and the third land.
KR1020150101146A 2015-07-16 2015-07-16 Electronic Proportional Pressure Reducing Valve KR101703824B1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1146A KR101703824B1 (en) 2015-07-16 2015-07-16 Electronic Proportional Pressure Reducing Valve
PCT/KR2016/006539 WO2017010694A1 (en) 2015-07-16 2016-06-20 Electronic proportional pressure reducing valv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1146A KR101703824B1 (en) 2015-07-16 2015-07-16 Electronic Proportional Pressure Reducing Valv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9317A true KR20170009317A (en) 2017-01-25
KR101703824B1 KR101703824B1 (en) 2017-02-07

Family

ID=579911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01146A KR101703824B1 (en) 2015-07-16 2015-07-16 Electronic Proportional Pressure Reducing Valv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03824B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100335A (en) * 2005-01-27 2007-10-10 쉐플러 카게 Electromagnetic hydraulic valve
KR20110124254A (en) 2009-01-28 2011-11-16 하이닥 플루이드테크닉 게엠베하 Proportional pressure control valve
KR101371105B1 (en) * 2012-10-24 2014-03-07 (주)대호하이드로릭 One body type electronic proportional pressure reducing valve
WO2014187519A2 (en) * 2013-05-24 2014-11-27 Hydac Fluidtechnik Gmbh Proportional pressure-regulating valv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100335A (en) * 2005-01-27 2007-10-10 쉐플러 카게 Electromagnetic hydraulic valve
KR20110124254A (en) 2009-01-28 2011-11-16 하이닥 플루이드테크닉 게엠베하 Proportional pressure control valve
KR101371105B1 (en) * 2012-10-24 2014-03-07 (주)대호하이드로릭 One body type electronic proportional pressure reducing valve
WO2014187519A2 (en) * 2013-05-24 2014-11-27 Hydac Fluidtechnik Gmbh Proportional pressure-regulating valv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03824B1 (en) 2017-0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851003B (en) Continuously adjustable hydraulic built-in valve
JP6319569B2 (en) Hydraulic control device
US9140245B2 (en) Electromagnetic pump
US8707994B2 (en) Solenoid valve and oil pressure control device
JP2015218883A5 (en)
US20130277585A1 (en) Solenoid valve with a piston damped armature
JP7007970B2 (en) Electromagnetic proportional control valve
US20040129322A1 (en) Pressure control valve for controlling two pressure load paths
WO2012132710A1 (en) Electromagnetic pump
KR101703825B1 (en) Electronic Proportional Pressure Reducing Valve
JP6007433B2 (en) Compound valve
KR101703824B1 (en) Electronic Proportional Pressure Reducing Valve
JP6571898B2 (en) Electromagnetic drive unit
JP4998315B2 (en) solenoid valve
KR102086109B1 (en) Proportional pressure-reducing valve with spool having improved shape of land portion
JP4703615B2 (en) Bleed valve device
JP2006083879A (en) Solenoid valve
KR102086117B1 (en) Proportional pressure-reducing valve with spool having improved alignment performance
JP7011526B2 (en) Electromagnetic flow control valve
JP2017142696A (en) Two step proportional pressure reducing valve
JP2009058013A (en) Solenoid valve
JP2019019898A (en) solenoid valve
US11262768B2 (en) Cap with electromagnetic proportional valve
JP7183985B2 (en) solenoid
JP7383907B2 (en) solenoid valv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3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