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08934A - 분해가 가능한 전처리용 배플장치 - Google Patents

분해가 가능한 전처리용 배플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08934A
KR20170008934A KR1020150100019A KR20150100019A KR20170008934A KR 20170008934 A KR20170008934 A KR 20170008934A KR 1020150100019 A KR1020150100019 A KR 1020150100019A KR 20150100019 A KR20150100019 A KR 20150100019A KR 20170008934 A KR20170008934 A KR 201700089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reign matter
baffle
pipe
gas
baffl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000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정철
김창락
조한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지앤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지앤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지앤씨
Priority to KR10201501000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08934A/ko
Publication of KR201700089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893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2Particle separators, e.g. dust precipitators, having hollow filters made of flexible material
    • B01D46/04Cleaning fil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2Particle separators, e.g. dust precipitators, having hollow filters made of flexible material
    • B01D46/023Pockets filters, i.e. multiple bag filters mounted on a common fram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42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42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 B01D46/48Removing dust other than cleaning filters, e.g. by using collecting tray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Filtering Of Dispersed Particles In Ga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여과 집진 정화장치에 관한 것으로, 이물질과 공기를 흡입하는 흡기관과 이물질이 걸러진 공기를 배기하는 배기관과 걸러진 이물질을 배출시키는 배출구를 갖는 케이스, 흡기관 내측에 삽입 가능하게 구비되고 흡입되는 이물질을 걸러내서 배출구로 배출 유도하는 배플유닛, 및 배플유닛을 흡기관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하는 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종래 기술과 달리 배플유닛을 백필터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하고, 배플유닛에 배플 각각을 분리 가능하게 결합함으로써, 배플유닛의 유지보수가 용이하며, 백필터에서 걸러지는 이물질을 압력 차이를 이용하여 배출시킴으로써 배출량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고, 전체 설비 중 곡관 내부에 내마모관을 설치하여 곡관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분해와 조립이 가능한 삽입식 전처리 배플 및 포집분진의 공기이송배출 설비를 구비한 여과 집진 정화장치{BAG-FILTER HAVE DETACHABLE PRE-TREATMENT BAFFLE AND PNEUMATIC CONVEYOR SYSTEM FOR COLLECTED DUST}
본 발명은 여과 집진 정화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배플유닛을 백필터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하고, 배플유닛에 배플 각각을 분리 가능하게 결합함으로써, 배플유닛의 유지보수가 용이하며, 백필터에서 걸러지는 이물질을 압력 차이를 이용하여 배출시킴으로써 배출량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고, 전체 설비 중 곡관 내부에 내마모관을 설치하여 곡관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분해와 조립이 가능한 삽입식 전처리 배플 및 포집분진의 공기이송배출 설비를 구비한 여과 집진 정화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배출가스에 포함된 미세먼지 등 입자상 물질의 여과 집진 장치는 오염된 공기가 유입되는 급기관과 더불어 다수개의 필터들이 내장되어 있는 백필터의 케이스 측면 하부로 공급되도록 구성되는 한편, 필터에서 탈리된 분진이 케이스의 하부 더스트 박스로 모아져 제거하게 되고 정화된 공기는 백필터의 상부측면에 배기관으로 연결 설치된 배기팬의 흡입력에 의해 외부로 배출되도록 구성된다.
상기한 기술구성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배경기술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널리 알려진 종래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백필터에 대해서는 대한민국 특허공개공보 제10-2015-0062302호의 "백필터를 이용한 집진장치"에 제안된 바 있다.
기존의 집진장치는 케이스 호퍼부 또는 측하부에 유입관이 연결되어 비교적 경도가 큰 입자상 물질의 유입 시 필터백(여과포)에 손상을 주어 집진기의 수명을 단축시키는 문제가 있고,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이 이루어지기 전까지 본 발명자가 케이스 내부에 배플을 고정 설치하여 유입되는 먼지 중 비교적 입자가 큰 이물질을 낙하 유도하는데, 배플은 입자가 큰 이물질이 배플을 장시간에 걸쳐 강하게 타격함에 따라 변형 또는 파손되지만 케이스 내부에 일체로 설치됨으로써 유지 보수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아울러, 기존의 집진장치는 유입부, 집진부, 포집분진 배출부, 처리공기 배기부로 수직 구성이 기본으로 이루어지는데 이로 인하여 집진 장치의 높이가 높아 설치에 제약이 있고 유지관리에도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배플유닛을 백필터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하고, 배플유닛에 배플 각각을 분리 가능하게 결합함으로써, 배플유닛의 유지보수가 용이하며, 배플을 개별적으로 교체 가능하여 유지보수 비용이 절감되고자 하는 분해와 조립이 가능한 삽입식 전처리 배플 및 포집분진의 공기이송배출 설비를 구비한 여과 집진 정화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백필터에서 걸러지는 포집 분진 배출을 공기이송장치를 이용하는 이젝터를 통해 배출시킴으로써 장치의 높이를 줄이고 포집 분진의 처리를 관리가 편리한 위치로 이송 배출함으로서 장치 설치조건 및 유지관리를 보다 용이하게 하는분해와 조립이 가능한 삽입식 전처리 배플 및 포집분진의 공기이송배출 설비를 구비한 여과 집진 정화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전체 설비 중 곡관 내부에 내마모관을 설치하여 곡관의 내구성을 향상시키고자 하는 분해와 조립이 가능한 삽입식 전처리 배플 및 포집분진의 공기이송배출 설비를 구비한 여과 집진 정화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분해와 조립이 가능한 전처리 배플을 갖는 백필터는: 이물질과 공기를 흡입하는 흡기관과, 이물질이 걸러진 공기를 배기하는 배기관과, 걸러진 이물질을 배출시키는 배출구를 갖는 케이스; 상기 흡기관 내측에 삽입 가능하게 구비되고, 흡입되는 이물질을 걸러내서 상기 배출구로 배출 유도하는 배플유닛; 및 상기 배플유닛을 상기 흡기관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하는 결합부를 포함한다.
상기 배플유닛은, 상기 흡기관의 둘레면에서 슬라이드 삽입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내측면에 마주하는 한 쌍씩 배치되는 브라켓; 및 상기 브라켓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배플을 포함한다.
상기 프레임 외측면과 상기 흡기관 내측면 사이에는 상기 프레임의 진동을 방지하기 위해 스페이서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배플은 부딪힌 후 비산되는 이물질을 포집하여 낙하 유도하도록 포집포켓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결합부는, 상기 배플유닛에 구비되어 상기 흡기관의 둘레면에 접하는 플레이트; 및 상기 플레이트와 상기 흡기관을 분리 가능하게 결속하는 결속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케이스는 상기 배출구를 갖는 호퍼를 구비하고; 상기 호퍼는 상기 배출구 측으로 이물질이 집중되도록 스크래퍼를 경사지게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여과 집진 정화장치는: 이물질과 공기를 흡입한 후 정화된 공기를 배기하고, 걸러진 이물질을 배출하는 백필터; 상기 백필터의 이물질 배출측에 구비되어 이송되는 기체에 의한 내부 압력 차이로 인해 이물질을 유입시켜 배출시키는 이젝터부재; 상기 이젝터부재로부터 배출되는 이물질을 분리 배출하고, 정화된 기체를 배기하는 사이클론집진기; 및 상기 이젝터부재와 상기 사이클론집진기를 연결하여 폐루프를 형성함으로써 기체를 순환시켜 재활용하는 기체순환관을 포함한다.
상기 기체순환관은 블로워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기체순환관은 곡관을 포함하고; 상기 곡관은 내측에 내마모관을 구비하며, 상기 내마모관의 설치를 위해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사이클론집진기는 배출되는 이물질을 저장하는 챔버를 연결하고; 상기 챔버는 상기 이물질의 배출시 상기 기체순환관 내부 압력 저하를 줄이기 위해 번갈아 개폐되는 유입측 밸브와 배출측 밸브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사이클론집진기는 배출되는 기체를 재차 정화하기 위해 기체필터유닛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백필터는, 이물질과 공기를 흡입하는 흡기관과, 이물질이 걸러진 공기를 배기하는 배기관과, 걸러진 이물질을 상기 이젝터부재 측으로 배출 유도하는 배출구를 갖는 케이스; 상기 흡기관 내측에 삽입 가능하게 구비되고, 흡입되는 이물질을 걸러내서 상기 배출구로 배출 유도하는 배플유닛; 및 상기 배플유닛을 상기 흡기관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하는 결합부를 포함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분해가 가능한 전처리 배플을 갖는 백필터 및 이를 구비하는 집진 정화장치는 종래 기술과 달리 배플유닛을 백필터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하고, 배플유닛에 배플 각각을 분리 가능하게 결합함으로써, 배플유닛의 유지보수가 용이하며, 배플을 개별적으로 교체 가능하여 유지보수 비용이 절감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백필터에서 걸러지는 이물질을 압력 차이를 이용하는 이젝터를 통해 배출시킴으로써 포집 이물질의 배출 설비를 관리가 용이한 위치로 이송 처리함으로서 설비의 높이의 축소가 가능하여 설치비 및 운전비를 줄일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전체 설비 중 곡관 내부에 내마모관을 설치하여 곡관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여과 집진 정화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여과 집진 정화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여과 집진 정화장치의 배플유닛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플유닛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백필터의 측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여과 집진 정화장치의 곡관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곡관의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여과 집진 정화장치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해가 가능한 전처리 배플을 갖는 백필터 및 이를 구비하는 집진 정화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백필터용 배플유닛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플유닛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플유닛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백필터의 측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집진 정화장치의 곡관 분해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곡관의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여과 집진 정화장치는 백필터(100), 이젝터부재(200), 사이클론집진기(300) 및 기체순환관(400)을 포함한다.
백필터(100)는 작업장이나 공사 현장 등에서 발생되는 금속가루 등 이물질과 공기를 흡입하여 이물질과 공기를 분리 배출시키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이젝터부재(200)는 백필터(100)에서 공기로부터 분리된 이물질이 이송되는 기체에 의한 내부 압력 차이로 인해 집중 이송되어 배출되도록 하는 것으로서, 별도의 동력이 필요치 않아 설비비와 전기료 등을 줄일 수 있다.
또한, 사이클론집진기(300)는 이젝터부재(200)로부터 배출되는 이물질을 분리 배출하고, 정화된 기체를 이젝터부재(200) 측으로 순환시켜 재활용하는 설비이다.
아울러, 기체순환관(400)은 이젝터부재(200)와 사이클론집진기(300)를 연결하여 폐루프를 형성함으로써 기체를 순환시켜 재활용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백필터(100)는 케이스(110), 배플유닛(120) 및 결합부(140)를 포함한다.
케이스(110)는 백필터(100)의 외형을 형성하는 것으로서, 이물질과 공기를 흡입하는 흡기관(112)과, 이물질이 걸러진 공기를 배기하는 배기관(114)과, 걸러진 이물질을 이젝터부재(200) 측으로 배출 유도하는 배출구(116)를 갖는다. 이때, 흡기관(112)과 배기관(114)은 케이스(110)의 둘레면에 구비되는 것으로 하고, 배출구(116)는 케이스(110)의 하측에 구비되는 것으로 한다.
물론, 흡기관(112), 배기관(114) 및 배출구(116)는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다.
또한, 배플유닛(120)은 흡기관(112) 내측에 삽입 가능하게 구비되고, 흡입되는 이물질 중 비교적 부피(알갱이)가 큰 이물질을 걸러내서 배출구(116)로 배출 유도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비교적 부피가 작은 이물질은 공기와 함께 배플유닛(120)을 통과 후 필터유닛(150)에 걸러진다. 그래서, 정화된 공기가 배기관(114)으로 이동되어 배기된다.
아울러, 필터유닛(150)은 유입된 공기가 통과되도록 케이스(110) 내부에 구비되고, 다양한 방식으로 케이스(110) 내부에 고정 설치된다. 물론, 필터유닛(150)은 다양하게 적용할 수 있다.
그리고, 케이스(110)는 필터유닛(150)의 표면에 부착된 이물질을 세척하기 위해 세척부재(160)를 구비할 수 있다. 세척부재(160)는 압축에어(compressed air)를 필터유닛(150)의 상부 내측에서 분사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배플유닛(120)은 케이스(110)에 용이하게 분리 결합될 수 있도록 모듈화된다.
즉, 배플유닛(120)은 프레임(122), 브라켓(124) 및 배플(126)을 포함한다.
프레임(122)은 사각 틀 형상으로 이루어져, 흡기관(112)의 둘레면에서 슬라이드 삽입된다. 이에 따라, 흡기관(112)은 둘레면에 설치홈부(113)를 형성한다. 프레임(122)은 설치홈부(113)를 통해 흡기관(112)에 슬라이드 출입 가능하게 된다. 이때, 흡기관(112)에서 설치홈부(113)의 위치는 한정되지 않는다. 아울러, 프레임(122)은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다.
그리고, 브라켓(124)은 프레임(122)의 내측면에 마주하는 한 쌍씩 배치되고, 배플(126)은 마주하는 한 쌍씩의 브라켓(124)에 양측이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때, 배플(126)과 브라켓(124)은 볼트 등에 의해 결속된다.
특히, 배플(126)은 흡기관(112)으로 유입되는 이물질을 배출구(116)측으로 낙하 유도하기 위해 경사지게 형성된다. 이때, 각 배플(126)은 설치 기울기(각도)를 한정하지 않고, 서로 다른 기울기로 배치될 수도 있다. 그리고, 배플(126)의 크기 및 형상은 한정하지 않는다.
따라서, 배플유닛(120)이 모듈화되어 흡기관(112)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됨으로써, 배플유닛(120)의 유지 보수가 용이하다.
아울러, 배플(126)이 프레임(122)에 각각 분리 가능하게 결합됨으로써, 변형되거나 파손된 배플(126)만을 교체할 수 있기 때문에, 배플(126)의 유지 보수비용이 절감된다.
이때, 배플유닛(120)을 흡기관(112)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하는 결합부(140)가 구비된다.
예로서, 결합부(140)는 플레이트(142) 및 결속부재(144)를 포함한다.
플레이트(142)는 배플유닛(120) 특히 프레임(122)에 구비된다. 그리고, 프레임(122)이 흡기관(112)의 설치홈부(113)에 완전히 삽입된 상태에서, 플레이트(142)는 흡기관(112)의 둘레면에 접한다.
결속부재(144)는 접한 플레이트(142)와 흡기관(112)을 분리 가능하게 결속하는 것으로서, 볼트 등 기계체결요소로 한다.
이때, 흡기관(112)에 삽입되는 배플유닛(120)은 하나 이상 구비될 수 있는데, 편의상, 배플유닛(120)은 하나 구비되는 것으로 한다.
한편, 플레이트(142)가 흡기관(112)에 결속된 상태이지만, 유입되는 공기와 이물질이 배플(126)을 타격함에 따라, 배플유닛(120)은 흔들리게 되면서 흡기관(112)과 반복적으로 부딪힐 수 있게 된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프레임(122) 외측면과 흡기관(112) 내측면 사이에는 프레임(122)의 진동을 방지하기 위해 스페이서(130)가 구비된다. 스페이서(130)는 흡기관(112)에서 배플유닛(120)의 정위치 고정하는 역할도 한다. 물론, 스페이서(130)는 다양한 형상 및 다양한 재질로 변경 가능하다.
또한, 배플(126)은 부딪히는 이물질에 견딜 수 있도록 금속재질로 이루어지는데, 이물질은 배플(126)에 부딪히면서 비산될 수 있다. 비교적 큰 부피의 이물질이 배플(126)에 부딪힌 후 비산되어 필터유닛(150)에 피해를 줄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배플(126)은 부딪힌 후 비산되는 이물질을 포집하여 낙하 유도하도록 포집포켓(128)을 구비할 수 있다.
포집포켓(128)은 이송되는 이물질의 방향으로 배플(126)의 가장자리에 돌출 형성되는 것으로서, 펜스 역할을 한다. 물론, 포집포켓(128)은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다.
한편, 배플(126)에 부딪힌 후 케이스(110) 내부에서 낙하하는 이물질은 최대한 배출구(116)로 유도되어야 한다.
그래서, 케이스(110)는 하측에 상광하협인 원뿔 형상의 호퍼(170)가 연장된다. 그리고, 호퍼(170)는 하측에 배출구(116)를 갖게 된다. 즉, 케이스(110)에서 낙하하는 이물질은 호퍼(170)의 상측으로 유입된 후 배출구(116)로 배출된다.
이때, 호퍼(170)는 낙하하는 이물질을 배출구(116)로 유도하기 위해 내부 바닥면이 경사지게 형성된다. 아울러, 호퍼(170)의 바닥면이 경사지게 형성되더라도, 장기간에 걸쳐 이물질이 퇴적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낙하하는 이물질이 배출구(116)로 강제 배출되도록 한다.
따라서, 호퍼(170)는 배출구(116) 측으로 이물질이 집중되도록 스크래퍼(180)를 경사지게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스크래퍼(180)는 호퍼(170)의 바닥면에 쌓이는 이물질을 긁어내는 등 다양하게 적용할 수 있다.
또한, 배출구(116) 가장자리를 따라 호퍼(170)의 하측에 구비되는 이젝터부재(200)가 이송되는 기체에 의해 내부 압력 차이를 이용하여 호퍼(170) 내부의 이물질을 유입시킴으로써 호퍼(170) 내부의 이물질은 강제로 배출된다.
이때, 이젝터부재(200)는 이송되는 기체가 낙하되는 이물질에 저항을 주지 않도록 하거나 최소화하기 위해 내부에 유도판(210)을 구비한다. 유도판(210)은 이젝터부재(200)의 내부 상측에서 기체의 이송 방향으로 경사지게 연장되어 이물질의 낙하를 유도하면서, 기체에 의해 원활히 이송 배출 유도하는 역할을 한다. 물론, 유도판(210)의 개수 및 형상은 다양하게 적용 가능하다.
특히, 호퍼(170) 내부의 이물질은 스크래퍼(180)와 이젝터부재(200)에 의해 최대한 배출될 수 있기 때문에, 호퍼(170)의 바닥면 경사의 각도(θ)가 기존보다 작아도 된다. 이를 통해, 백필터(100) 전체 높이가 줄어들게 된다.
아울러, 이젝터부재(200)는 양측이 기체순환관(400)으로 연결되고, 둘레면이 배출구(116)와 연결된다. 그리고, 흡기관(112)과 배기관(114)은 항상 또는 단속적으로 개방된다.
그래서, 기체순환관(400)을 통해 유동되는 기체가 흡기관(112)과 배기관(114) 등을 통해 손실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기체순환관(400)은 블로워(410)를 구비한다. 블로워(410)는 강제로 기체를 송풍함에 따라 기체에 강제 흐름을 유도하여 이젝터부재(200) 내부의 압력을 더 강하시켜 이물질의 흡입력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하고, 기체순환관(400)을 통해 유동되는 기체의 손실분을 보충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기체순환관(400)은 전체적으로 폐곡선을 이루게 되는데, 집진 정화장치 전체의 설비 공간을 줄이기 위해 곡관(420)을 포함한다.
이때, 기체순환관(400)을 통해 유동되는 이물질이 곡관(420)의 내벽면에 부딪히게 되고, 곡관(420)은 이물질의 잦은 타격으로 파손된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곡관(420)은 내측에 내마모관(430)을 구비한다. 내마모관(430)은 이물질에 대한 내마모성이 강한 재질의 곡률진 관으로서, 세라믹 등의 재질로 제작된다.
아울러, 내마모관(430)은 기체순환관(400)을 연결 조립해야 한다. 그래서, 기체순환관(400)과 내마모관(430)은 연결부위에 결합플랜지(422)를 각각 형성한다. 그래서, 대응되는 결합플랜지(422)가 면접된 상태에서 분리 가능하게 결속된다.
그리고, 내마모관(430)은 곡관(420)에 용이하게 조립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곡관(420)은 복수 개로 분리되어 내마모관(430)의 둘레면을 감싼 후 대응되는 가장자리끼리 결속된다. 이때, 내마모관(430)을 감싼 후 곡관(420)은 결합플랜지(422)에 의해 서로 결속될 수 있고, 기체순환관(400)과 결합플랜지(422)로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특히, 내마모관(430)은 둘레에 보호관(440)이 구비되고, 보호관(440)은 둘레에 곡관(420)이 구비된다. 이때, 보호관(440)은 내마모관(430)의 파손을 방지하기 위해 고무 재질로 이루어지고, 곡관(420)은 외부 충격에 대해 견딜 수 있도록 금속 재질로 이루어진다. 아울러, 연결되는 기체순환관(400)과 곡관(420) 사이에는 내마모관(430)과 보호관(440)의 가장자리가 절곡되어 위치함으로써 패킹 역할을 한다.
아울러, 곡관(420)과 결합되는 기체순환관(400)의 내경은 내마모관(430)의 내경과 동일하게 제작된다.
한편, 사이클론집진기(300)는 배출되는 이물질을 저장하기 위해 챔버(500)를 연결한다. 챔버(500)는 이물질의 사용처 근처에 배치함으로써 최종적으로 배출되는 이물질을 별도로 운반수단을 통해 운반하는 번거로움을 없앨 수 있다.
아울러, 사이클론집진기(300)에서 일부 걸러진 후 블로워(410)로 이송되는 기체에는 이물질이 일부 잔류할 수 있다. 그래서, 사이클론집진기(300)의 기체 배출측에는 기체필터유닛(310)이 구비된다. 그래서, 사이클론집진기(300)에서 배출되는 기체는 기체필터유닛(310)을 통과함으로써 재차 필터링됨에 따라 최대한 정화된 상태로 블로워(410)로 공급된다. 이로 인해, 블로워(410)의 내구성이 향상된다.
또한, 기체필터유닛(310)은 외부에서 공급되는 압축기체에 의해 세척될 수 있다.
이때, 챔버(500)는 저장된 이물질을 배출하기 위해 개방되어야 하고, 이를 통해, 기체순환관(400)을 통해 이젝터부재(200)로 순환되는 기체의 일부가 손실될 수 있다.
이를 최소화하기 위해, 챔버(500)는 이물질의 배출시 기체순환관(400) 내부 압력 저하를 줄이기 위해 번갈아 개폐되는 유입측 밸브(510)와 배출측 밸브(520)를 구비한다. 즉, 챔버(500)의 이물질 유입측에는 유입측 밸브(510)가 구비되고, 챔버(500)의 이물질 배출측에는 배출측 밸브(520)가 구비된다. 그리고, 유입측 밸브(510)와 배출측 밸브(520)는 어느 하나가 단독으로 개폐되거나, 번갈아 개폐되도록 제어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0: 백필터 110: 케이스
112: 흡기관 114: 배기관
116: 배출구 120: 배플유닛
122: 프레임 124: 브라켓
126: 배플 128: 포집포켓
130: 스페이서 140: 결합부
150: 필터유닛 200: 이젝터부재
300: 사이클론집진기 400: 기체순환관
410: 블로워 420: 곡관
430: 내마모관 500: 챔버
510: 유입측 밸브 520: 유출측 밸브

Claims (12)

  1. 이물질과 공기를 흡입하는 흡기관과, 이물질이 걸러진 공기를 배기하는 배기관과, 걸러진 이물질을 배출시키는 배출구를 갖는 케이스;
    상기 흡기관 내측에 삽입 가능하게 구비되고, 흡입되는 이물질을 걸러내서 상기 배출구로 배출 유도하는 배플유닛; 및
    상기 배플유닛을 상기 흡기관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하는 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해가 가능한 전처리 배플을 갖는 백필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배플유닛은,
    상기 흡기관의 둘레면에서 슬라이드 삽입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내측면에 마주하는 한 쌍씩 배치되는 브라켓; 및
    상기 브라켓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배플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해가 가능한 전처리 배플을 갖는 백필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외측면과 상기 흡기관 내측면 사이에는 상기 프레임의 진동을 방지하기 위해 스페이서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해가 가능한 전처리 배플을 갖는 백필터.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배플은 부딪힌 후 비산되는 이물질을 포집하여 낙하 유도하도록 포집포켓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해가 가능한 전처리 배플을 갖는 백필터.
  5.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상기 배플유닛에 구비되어 상기 흡기관의 둘레면에 접하는 플레이트; 및
    상기 플레이트와 상기 흡기관을 분리 가능하게 결속하는 결속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해가 가능한 전처리 배플을 갖는 백필터.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상기 배출구를 갖는 호퍼를 구비하고;
    상기 호퍼는 상기 배출구 측으로 이물질이 집중되도록 스크래퍼를 경사지게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해가 가능한 전처리 배플을 갖는 백필터.
  7. 이물질과 공기를 흡입한 후 정화된 공기를 배기하고, 걸러진 이물질을 배출하는 백필터;
    상기 백필터의 이물질 배출측에 구비되어 이송되는 기체에 의한 내부 압력 차이로 인해 이물질을 유입시켜 배출시키는 이젝터부재;
    상기 이젝터부재로부터 배출되는 이물질을 분리 배출하고, 정화된 기체를 배기하는 사이클론집진기; 및
    상기 이젝터부재와 상기 사이클론집진기를 연결하여 폐루프를 형성함으로써 기체를 순환시켜 재활용하는 기체순환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과 집진 정화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기체순환관은 블로워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과 집진 정화장치.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기체순환관은 곡관을 포함하고;
    상기 곡관은 내측에 내마모관을 구비하며, 상기 내마모관의 설치를 위해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과 집진 정화장치.
  10.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클론집진기는 배출되는 이물질을 저장하는 챔버를 연결하고;
    상기 챔버는 상기 이물질의 배출시 상기 기체순환관 내부 압력 저하를 줄이기 위해 번갈아 개폐되는 유입측 밸브와 배출측 밸브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과 집진 정화장치.
  11.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클론집진기는 배출되는 기체를 재차 정화하기 위해 기체필터유닛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과 집진 정화장치.
  12. 제 7항 내지 제 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백필터는,
    이물질과 공기를 흡입하는 흡기관과, 이물질이 걸러진 공기를 배기하는 배기관과, 걸러진 이물질을 상기 이젝터부재 측으로 배출 유도하는 배출구를 갖는 케이스;
    상기 흡기관 내측에 삽입 가능하게 구비되고, 흡입되는 이물질을 걸러내서 상기 배출구로 배출 유도하는 배플유닛; 및
    상기 배플유닛을 상기 흡기관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하는 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과 집진 정화장치.
KR1020150100019A 2015-07-14 2015-07-14 분해가 가능한 전처리용 배플장치 KR2017000893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0019A KR20170008934A (ko) 2015-07-14 2015-07-14 분해가 가능한 전처리용 배플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0019A KR20170008934A (ko) 2015-07-14 2015-07-14 분해가 가능한 전처리용 배플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14576A Division KR20170009800A (ko) 2016-09-06 2016-09-06 여과 집진 정화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8934A true KR20170008934A (ko) 2017-01-25

Family

ID=579910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00019A KR20170008934A (ko) 2015-07-14 2015-07-14 분해가 가능한 전처리용 배플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08934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450058A (zh) * 2019-05-29 2019-11-15 傅鹏 一种精磨机
KR20210112091A (ko) * 2020-03-04 2021-09-14 한국전력기술 주식회사 여과장치
CN113750736A (zh) * 2021-08-17 2021-12-07 安徽灵猫食品有限公司 一种风味鱼皮生产车间用转弯输送组件
KR102457514B1 (ko) * 2022-04-05 2022-10-21 김상렬 집진 성능을 개선한 집진기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450058A (zh) * 2019-05-29 2019-11-15 傅鹏 一种精磨机
KR20210112091A (ko) * 2020-03-04 2021-09-14 한국전력기술 주식회사 여과장치
CN113750736A (zh) * 2021-08-17 2021-12-07 安徽灵猫食品有限公司 一种风味鱼皮生产车间用转弯输送组件
CN113750736B (zh) * 2021-08-17 2023-10-24 安徽灵猫食品有限公司 一种风味鱼皮生产车间用转弯输送组件
KR102457514B1 (ko) * 2022-04-05 2022-10-21 김상렬 집진 성능을 개선한 집진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902592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leaning an air filter unit
US7550021B2 (en) Portable cyclonic dust collection system
KR20170008934A (ko) 분해가 가능한 전처리용 배플장치
CA2562562C (en) Cleaning unit of roads and the like
EP1849512A1 (en) Auxiliary dust collection system
US20230372857A1 (en) Filter systems with dirty air chamber spacer elements and methods of using the same
US20070251199A1 (en) Dust collection container with bladed element for power tool with suction capacity
CN101883622A (zh) 过滤除尘器
US7608123B2 (en) Vacuum cleaner
TW201105462A (en) Blasting chamber
CN110248719A (zh) 用于气态流体的集尘器及用于制造该集尘器的方法
KR20170009800A (ko) 여과 집진 정화장치
CN2883276Y (zh) 储料仓给料器卸料用扬尘捕集装置
CN211437025U (zh) 一种脉冲式环保清理筛
KR101808383B1 (ko) 분진처리장치
CN210845736U (zh) 一种具有预过滤装置的移动式除尘器
CN107213715A (zh) 一种长袋低压脉冲袋式除尘器
KR101160051B1 (ko) 친환경적인 전자동 방탄 및 탄두 회수장치
CN209934299U (zh) 除尘器高效清灰装置
CN213858806U (zh) 一种带有除尘机构的学生课桌椅生产用吊钩式抛丸清理机
KR20170028722A (ko) 집진장치
CN206027273U (zh) 一种卧式扁布筒除尘器
KR200398441Y1 (ko) 용접흄 집진기의 탈진장치
CN213885410U (zh) 一种抛丸清理机的除尘机构
CN214358630U (zh) 一种输料用除尘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