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08621A - 고속 신호 전송용 커넥터 - Google Patents

고속 신호 전송용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08621A
KR20170008621A KR1020150100015A KR20150100015A KR20170008621A KR 20170008621 A KR20170008621 A KR 20170008621A KR 1020150100015 A KR1020150100015 A KR 1020150100015A KR 20150100015 A KR20150100015 A KR 20150100015A KR 20170008621 A KR20170008621 A KR 201700086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plug
receptacle
sides
she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000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정섭
김훈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신화콘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신화콘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신화콘텍
Priority to KR10201501000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08621A/ko
Publication of KR201700086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862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1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operating with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or with a coupling device exclusively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 H01R12/714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operating with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or with a coupling device exclusively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with contacts abutting directly the printed circuit; Button contacts therefore provided on the printed circui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Means for preventing incorrect coupl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01R13/658High frequency shielding arrangements, e.g. against EMI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or EMP [Electro-Magnetic Pulse]
    • H01R13/6581Shield struc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60Contacts spaced along planar side wall transverse to longitudinal axis of engagement
    • H01R24/62Sliding engagements with one side only, e.g. modular jack coupling devi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107/00Four or more poles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속 신호 전송용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은 리셉터클 커넥터의 하부 모서리 부분과 상부 구조를 개선하여 리셉터클 커넥터에 대하여 플러그 커넥터의 결합시 역방향 삽입을 안정적으로 방지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하여 리셉터클 커넥터 및 플러그 커넥터의 결합부분에 대한 파손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리셉터클 커넥터의 리셉터클 쉘 양측으로부터 상부를 감싸는 쉘 커버가 더 구비됨으로써 플러그 커넥터의 반복적인 결합, 분리시에도 리셉터클 커넥터의 변형을 방지하여 플러그 커넥터와 리셉터클 커넥터에 대한 결합에 따른 전기적 접속을 더욱 안정적으로 구현할 수 있으며, 아울러 전기적 접속을 안정화하여 플러그 커넥터와 리셉터클 커넥터를 통한 접속기기의 오류나 고장을 안정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고속 신호 전송용 커넥터{High speed interface connector}
본 발명은 고속 신호 전송용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리셉터클 커넥터의 하부 모서리 부분과 상부 구조를 개선하여 리셉터클 커넥터에 대하여 플러그 커넥터의 결합시 역방향 삽입을 안정적으로 방지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하여 리셉터클 커넥터 및 플러그 커넥터의 결합부분에 대한 파손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리셉터클 커넥터의 리셉터클 쉘 양측으로부터 상부를 감싸는 쉘 커버가 더 구비됨으로써 플러그 커넥터의 반복적인 결합, 분리시에도 리셉터클 커넥터의 변형을 방지하여 플러그 커넥터와 리셉터클 커넥터에 대한 결합에 따른 전기적 접속을 더욱 안정적으로 구현할 수 있으며, 아울러 전기적 접속을 안정화하여 플러그 커넥터와 리셉터클 커넥터를 통한 접속기기의 오류나 고장을 안정적으로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고속 신호 전송용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고속 신호 전송용 커넥터는 통상 HDMI 커넥터로도 불리고 있는 실정이며, 이러한 HDMI 커넥터는 디지털 영상신호와 음향신호를 압축 없이 전송 가능하게 하는 고선명 멀티미디어 인터페이스를 말하는 것으로서, 상호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리셉터클 커넥터와 플러그 커넥터로 구성되며, 양 커넥터의 대응되는 단자가 서로 도통 되었을 때, 회로기판과 회로기판 또는 회로기판과 전자부품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이다.
다시 말하면, 상기와 같은 HDMI 커넥터는 리셉터클 커넥터와 플러그 커넥터의 형태로 해당 전자기기와 케이블, 예컨대 디지털 TV와 셋톱 박스, 디지털 TV와 DVD 플레이어 등과 연결케이블에 각각 나누어 구비되어 일 방향으로 또는 서로 간에 신호전달을 가능케 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HDMI 커넥터 중 하나로서, 종래의 리셉터클 커넥터는 통상 전자기기에 결합 고정하도록 형성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후단에 끼워 고정하도록 하되 그 전단 중앙에는 하우징 내부에 위치되는 가이드패널이 돌출된 상태에서 그 상/하면으로부터 후방으로 각각 다수개의 삽입구가 관통 형성된 절연몰드; 및 상기 절연몰드의 각 삽입구에 끼워 고정하기 위한 접촉부와 전자기기의 회로에 연결하기 위한 솔더부가 직각으로 절곡 형성된 다수개의 터미널;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리셉터클 커넥터에 종래의 플러그 커넥터의 선단이 선택적으로 결합 및 분리되어 사용되고 있었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리셉터클 커넥터와 플러그 커넥터로 구성되는 HDMI 커넥터는 개방되어 플러그 커넥터의 선단부가 결합되는 하우징의 형상이 단순히 장방형의 타입으로 제공됨에 따라, 플러그 커넥터의 결합시 역방향 삽입에 의해 리셉터클 커넥터 및 플러그 커넥터의 결합부분에 대한 파손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종래의 리셉터클 커넥터는 하우징이 단순히 단일의 하우징으로만 제공되며, 이에 따라 플러그 커넥터의 억지끼움에 의한 선단부가 하우징에 반복적으로 결합 및 분리되는 과정에서 하우징의 변형이 발생하며, 이러한 하우징의 변형에 의해 플러그 커넥터와 리셉터클 커넥터에 대한 결합에 따른 전기적 접속이 불안정하게 되어 플러그 커넥터와 리셉터클 커넥터를 통한 접속기기의 오류나 고장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었다.
그러므로, 리셉터클 커넥터에 대하여 플러그 커넥터의 결합시 역방향 삽입을 안정적으로 방지하여 리셉터클 커넥터 및 플러그 커넥터의 결합부분에 대한 파손을 방지하는 한편, 플러그 커넥터의 반복적인 결합, 분리시에도 리셉터클 커넥터의 변형을 방지하여 플러그 커넥터와 리셉터클 커넥터에 대한 결합에 따른 전기적 접속을 더욱 안정적으로 구현할 수 있으며, 아울러 전기적 접속을 안정화하여 플러그 커넥터와 리셉터클 커넥터를 통한 접속기기의 오류나 고장을 안정적으로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고속 신호 전송용 커넥터에 대한 연구 및 개발이 요구되는 실정이다.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제2008-0002475호 2008.07.08.공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259922호 2013.04.25.등록.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09-0004255호 2009.01.12.공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리셉터클 커넥터의 하부 모서리 부분과 상부 구조를 개선하여 리셉터클 커넥터에 대하여 플러그 커넥터의 결합시 역방향 삽입을 안정적으로 방지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하여 리셉터클 커넥터 및 플러그 커넥터의 결합부분에 대한 파손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고속 신호 전송용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기술의 다른 목적은 리셉터클 커넥터의 리셉터클 쉘 양측으로부터 상부를 감싸는 쉘 커버가 더 구비됨으로써 플러그 커넥터의 반복적인 결합, 분리시에도 리셉터클 커넥터의 변형을 방지하여 플러그 커넥터와 리셉터클 커넥터에 대한 결합에 따른 전기적 접속을 더욱 안정적으로 구현할 수 있으며, 아울러 전기적 접속을 안정화하여 플러그 커넥터와 리셉터클 커넥터를 통한 접속기기의 오류나 고장을 안정적으로 방지할 수 있도록 함에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다음과 같다. 즉, 본 발명에 따른 고속 신호 전송용 커넥터는 디지털 영상신호와 음향신호를 압축 없이 전송 가능하게 하는 고선명 멀티미디어 인터페이스로 적용되는 것으로, 전자기기에 결합고정되는 리셉터클 커넥터와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에 선택적으로 결합, 분리되는 플러그 커넥터를 포함하는 고속 신호 전송용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는 전방으로 돌출된 접속부 상면에 다수 개의 시그널 접촉단자의 전단부가 노출토록 고정설치되는 리셉터클 하우징과, 상기 리셉터클 하우징이 내설되는 리셉터클 쉘과, 상기 리셉터클 쉘의 양측으로부터 상부를 감싸도록 고정되는 쉘 커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한편, 상기 플러그 커넥터는 상기 리셉터클 하우징의 접속부 상면에 전단부가 노출되는 상기 시그널 접촉단자와 선택적으로 접속되는 다수의 접촉단자가 전방으로 돌출된 플러그 접속부 내측 상면에 전단부가 노출토록 고정설치되는 플러그 하우징과 상기 플러그 하우징의 플러그 접속부를 감싸는 플러그 쉘로 구성되는 플러그 유닛과, 상기 플러그 유닛의 플러그 하우징 후방으로부터 조립고정되는 인쇄회로기판과,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후방으로부터 조립고정되는 와이어가이드와, 상기 플러그 유닛, 인쇄회로기판, 와이어 가이드가 조립된 상태에서, 상기 플러그 하우징의 플러그 접속부 후방으로부터 상기 인쇄회로기판, 와이어 가이드를 감싸도록 하부로부터 밀착고정되는 하부 쉴드 캔과, 상기 하부 쉴드 캔과 대향되어, 양측이 상기 하부 쉴드 캔의 양측을 감싸도록 결합되는 상부 쉴드 캔과, 상기 상부 쉴드 캔이 결합된 상태에서, 후방으로부터 상기 하부 쉴드 캔과 상부 쉴드 캔을 감싸도록 조립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에 의해 감싸진 상기 플러그 하우징의 플러그 접속부 후단 테두리에 삽입되며, 상기 케이스의 개방된 내면 둘레와 상기 플러그 접속부 외면과의 공간을 밀폐 마감하는 전면 마감용 커버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에 상기 플러그 커넥터의 결합시 상기 플러그 하우징의 플러그 접속부에 대한 역방향 삽입이 방지될 수 있도록, 상기 리셉터클 쉘은 하부 양측에 하향 함몰된 가이드 홈이 형성되는 한편, 상기 플러그 하우징의 플러그 접속부는 하부 양측에 상기 가이드 홈과 대응되어 하부 가이드 돌부가 돌출 형성되며, 상기 플러그 접속부를 감싸는 플러그 쉘은 상기 하부 가이드 돌부를 감싸도록 하부 양측에 하부 가이드 홈부가 함몰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에 상기 플러그 커넥터의 결합시 상기 플러그 하우징의 플러그 접속부에 대하여 수평방향으로 일정각도 경사지게 삽입시에도 상, 하부가 안내되면서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리셉터클 쉘은 상부 내면 양측에 상부 가이드부가 돌출 형성되는 한편, 상기 플러그 하우징의 플러그 접속부는 일측이 상기 상부 가이드부와 밀착 안내되도록 상면 양측에 상부 가이드 돌부가 돌출 형성되며, 상기 플러그 접속부를 감싸는 플러그 쉘은 상기 상부 가이드 돌부를 감싸도록 상부 양측에 상부 가이드 홈부가 함몰 형성됨이 양호하다.
또한,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의 쉘 커버는 상기 리셉터클 쉘의 양측으로부터 상부를 감싸도록 고정되되 상기 플러그 커넥터의 결합시 상기 리셉터클 쉘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도록, 중앙으로부터 양측으로 일정길이에 대하여 상기 리셉터클 쉘의 상측 중앙부분 상면으로부터 하면 일정길이에 걸쳐 감싸도록 벤딩 형성되어, 상기 리셉터클 쉘의 상측 중앙부에 대한 강도를 보강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는 상기 플러그 커넥터의 결합시 상기 플러그 유닛의 전단부 측면과 상면에 대하여 탄성을 가지고 밀착 결합되어 접속불량이 방지될 수 있도록,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의 쉘 커버는 중앙으로부터 양측으로 일정길이에 대하여 상기 리셉터클 쉘의 상측 중앙부분 상면으로부터 하면 일정길이에 걸쳐 감싸도록 벤딩 형성되며, 벤딩 형성되는 단부 측 길이방향으로 일정간격을 가지고 상부 탄성고정편이 하향 경사지게 절곡 형성되는 한편,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의 리셉터클 쉘은 양측에 전방으로부터 후방으로 갈수록 내향 돌출토록 경사지게 측부 탄성고정편이 절곡 형성됨이 양호하다.
한편, 상기 플러그 유닛, 인쇄회로기판, 와이어 가이드가 조립된 상태에서 상, 하부로부터 상기 하부 쉴드 캔과 상부 쉴드 캔이 밀착되도록 상호 결합된 후 상기 케이스가 조립될 경우, 상기 케이스 내에 상기 하부 쉴드 캔과 상부 쉴드 캔이 결합된 상태로 로킹될 수 있도록, 상기 케이스 내면 양측에 로킹홈이 함몰 형성되며, 상기 하부 쉴드 캔의 양측을 감싸도록 결합되는 상기 상부 쉴드 캔의 양측에 외향 경사지게 연장된 후 수평방향으로 일정길이 연장되도록 로킹편이 절곡 형성되어, 상기 로킹편이 상기 로킹홈에 선택적으로 탄발 구속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로킹편이 상기 로킹홈 측으로 탄발 구속되게 안내될 수 있도록, 상기 하부 쉴드 캔의 양측에 스토퍼부가 돌출 형성되어, 상기 스토퍼부에 의해 상기 로킹편이 상기 하부 쉴드 캔 양측을 향하여 탄성 변형되는 각도가 수평으로부터 일정각도 벌어진 상태로 제한됨이 양호하다.
본 발명에 따른 고속 신호 전송용 커넥터의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리셉터클 커넥터의 하부 모서리 부분과 상부 구조를 개선하여 리셉터클 커넥터에 대하여 플러그 커넥터의 결합시 역방향 삽입을 안정적으로 방지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하여 리셉터클 커넥터 및 플러그 커넥터의 결합부분에 대한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둘째, 리셉터클 커넥터의 리셉터클 쉘 양측으로부터 상부를 감싸는 쉘 커버가 더 구비됨으로써 플러그 커넥터의 반복적인 결합, 분리시에도 리셉터클 커넥터의 변형을 방지하여 플러그 커넥터와 리셉터클 커넥터에 대한 결합에 따른 전기적 접속을 더욱 안정적으로 구현할 수 있으며, 아울러 전기적 접속을 안정화하여 플러그 커넥터와 리셉터클 커넥터를 통한 접속기기의 오류나 고장을 안정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고속 신호 전송용 커넥터에서, 요부인 리셉터클 커넥터를 나타낸 분리 사시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고속 신호 전송용 커넥터에서, 요부인 리셉터클 커넥터를 나타낸 결합 사시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고속 신호 전송용 커넥터에서, 요부인 리셉터클 커넥터의 상단부 구조를 나타낸 요부 절개 단면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고속 신호 전송용 커넥터에서, 요부인 플러그 커넥터를 나타낸 분리 사시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고속 신호 전송용 커넥터에서, 요부인 플러그 커넥터를 나타낸 결합 사시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고속 신호 전송용 커넥터에서, 요부인 플러그 커넥터의 전면 마감용 커버가 조립되는 구조를 나타낸 일부 분리 구성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고속 신호 전송용 커넥터에서, 요부인 플러그 커넥터의 케이스가 조립되는 구조를 나타낸 일부 분리 구성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고속 신호 전송용 커넥터에서, 요부인 플러그 커넥터의 조립 구조를 나타낸 평 단면구성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고속 신호 전송용 커넥터에서, 리셉터클 커넥터에 플러그 커넥터가 결합되는 구조를 나타낸 사용상태 예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고속 신호 전송용 커넥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고속 신호 전송용 커넥터에서, 요부인 리셉터클 커넥터를 나타낸 분리 사시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고속 신호 전송용 커넥터에서, 요부인 리셉터클 커넥터를 나타낸 결합 사시구성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고속 신호 전송용 커넥터에서, 요부인 리셉터클 커넥터의 상단부 구조를 나타낸 요부 절개 단면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고속 신호 전송용 커넥터에서, 요부인 플러그 커넥터를 나타낸 분리 사시구성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고속 신호 전송용 커넥터에서, 요부인 플러그 커넥터를 나타낸 결합 사시구성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고속 신호 전송용 커넥터에서, 요부인 플러그 커넥터의 전면 마감용 커버가 조립되는 구조를 나타낸 일부 분리 구성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고속 신호 전송용 커넥터에서, 요부인 플러그 커넥터의 케이스가 조립되는 구조를 나타낸 일부 분리 구성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고속 신호 전송용 커넥터에서, 요부인 플러그 커넥터의 조립 구조를 나타낸 평 단면구성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고속 신호 전송용 커넥터에서, 리셉터클 커넥터에 플러그 커넥터가 결합되는 구조를 나타낸 사용상태 예시도이다.
도 1 내지 9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고속 신호 전송용 커넥터는 디지털 영상신호와 음향신호를 압축 없이 전송 가능하게 하는 고선명 멀티미디어 인터페이스로 적용되는 것으로, 전자기기에 결합고정되는 리셉터클 커넥터(100)와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100)에 선택적으로 결합, 분리되는 플러그 커넥터(20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100)는 크게 분류하면, 리셉터클 하우징(110)과, 리셉터클 쉘(120) 및 쉘 커버(1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리셉터클 하우징(110)은 전방으로 돌출된 접속부(111) 상면에 다수 개의 시그널 접촉단자(117)의 전단부가 노출토록 고정설치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리셉터클 쉘(120)은 상기 리셉터클 하우징(110)이 내설되는 것이며, 아울러 상기 쉘 커버(130)는 상기 리셉터클 쉘(120)의 양측으로부터 상부를 감싸도록 고정되는 것이다.
더욱이, 상기 쉘 커버(130)는 상기 리셉터클 쉘(120)의 양측으로부터 상부를 감싸도록 고정된 후에 상기 리셉터클 하우징(110)이 내설된 상기 리셉터클 쉘(120)의 후방부가 폐쇄되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따라서, 상기 쉘 커버(130)는 후단에 선택적으로 절곡시켜 후방부를 폐쇄하는 절곡편(135)이 더 구비됨이 바람직한 것이다.
한편, 상기 플러그 커넥터(200)는 크게 분류하면, 플러그 유닛(201)과, 인쇄회로기판(230)과, 와이어 가이드(240)와, 하부 쉴드 캔(250)과, 상부 쉴드 캔(260)과, 케이스(270) 및 전면 마감용 커버(28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플러그 유닛(201)은 상기 리셉터클 하우징(110)의 접속부(111) 상면에 전단부가 노출되는 상기 시그널 접촉단자(117)와 선택적으로 접속되는 다수의 접촉단자(217)가 전방으로 돌출된 플러그 접속부(211) 내측 상면에 전단부가 노출토록 고정설치되는 플러그 하우징(210)과 상기 플러그 하우징(210)의 플러그 접속부(211)를 감싸는 플러그 쉘(220)로 구성되는 것이다.
다시 말하면, 상기 플러그 유닛(201)은 상기 리셉터클 하우징(110)의 접속부(111)를 감싸는 플러그 쉘(22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인쇄회로기판(230)은 상기 플러그 유닛(201)의 플러그 하우징(210) 후방으로부터 조립고정되는 것이며, 상기 와이어 가이드(240)는 상기 인쇄회로기판(230)의 후방으로부터 조립고정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하부 쉴드 캔(250)은 상기 플러그 유닛(201), 인쇄회로기판(230), 와이어 가이드(240)가 조립된 상태에서, 상기 플러그 하우징(210)의 플러그 접속부(211) 후방으로부터 상기 인쇄회로기판(230), 와이어 가이드(240)를 감싸도록 하부로부터 밀착고정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상부 쉴드 캔(260)은 상기 하부 쉴드 캔(250)과 대향되어, 양측이 상기 하부 쉴드 캔(250)의 양측을 감싸도록 결합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케이스(270)는 상기 상부 쉴드 캔(260)이 결합된 상태에서, 후방으로부터 상기 하부 쉴드 캔(250)과 상부 쉴드 캔(260)을 감싸도록 조립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전면 마감용 커버(280)는 상기 케이스(270)에 의해 감싸진 상기 플러그 하우징(210)의 플러그 접속부(211) 후단 테두리에 삽입되며, 상기 케이스(270)의 개방된 내면 둘레와 상기 플러그 접속부(211) 외면과의 공간을 밀폐 마감하는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은 리셉터클 커넥터(100)와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100)에 선택적으로 결합, 분리되는 플러그 커넥터(200)를 포함하는 본 발명에 따른 고속 신호 전송용 커넥터는, 특히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100)에 상기 플러그 커넥터(200)의 결합시 상기 플러그 하우징(210)의 플러그 접속부(211)에 대한 역방향 삽입이 방지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그러므로, 상기 리셉터클 쉘(120)은 하부 양측에 하향 함몰된 가이드 홈(123)이 형성된다.
아울러, 상기 플러그 하우징(210)의 플러그 접속부(211)는 하부 양측에 상기 가이드 홈(123)과 대응되어 하부 가이드 돌부(213)가 돌출 형성되며, 상기 플러그 접속부(211)를 감싸는 플러그 쉘(220)은 상기 하부 가이드 돌부(213)를 감싸도록 하부 양측에 하부 가이드 홈부(223)가 함몰 형성된다.
즉, 상기와 같은 가이드 홈(123), 하부 가이드 돌부(213) 및 하부 가이드 돌부(213)가 구비됨으로써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100)에 상기 플러그 커넥터(200)의 결합시 상기 플러그 하우징(210)의 플러그 접속부(211)에 대한 역방향 삽입이 안정적으로 방지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더욱이,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고속 신호 전송용 커넥터는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100)에 상기 플러그 커넥터(200)의 결합시 상기 플러그 하우징(210)의 플러그 접속부(211)에 대하여 수평방향으로 일정각도 경사지게 삽입시에도 상, 하부가 안내되면서 삽입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상기 리셉터클 쉘(120)은 상부 내면 양측에 상부 가이드부(125)가 돌출 형성되고, 아울러 상기 플러그 하우징(210)의 플러그 접속부(211)는 일측이 상기 상부 가이드부(125)와 밀착 안내되도록 상면 양측에 상부 가이드 돌부(215)가 돌출 형성되며, 상기 플러그 접속부(211)를 감싸는 플러그 쉘(220)은 상기 상부 가이드 돌부(215)를 감싸도록 상부 양측에 상부 가이드 홈부(225)가 함몰 형성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리셉터클 쉘(120)의 상부 가이드부(125)는 상면으로부터 중앙으로부터 양측에 대하여 일정면적을 가지고 프레스 가공에 의해 하향 돌출토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고속 신호 전송용 커넥터에서,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100)의 쉘 커버(130)는 상기 리셉터클 쉘(120)의 양측으로부터 상부를 감싸도록 고정되되 상기 플러그 커넥터(200)의 결합시 상기 리셉터클 쉘(120)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따라서, 상기 쉘 커버(130)는 중앙으로부터 양측으로 일정길이에 대하여 상기 리셉터클 쉘(120)의 상측 중앙부분 상면으로부터 하면 일정길이에 걸쳐 감싸도록 벤딩 형성됨이 바람직하며, 이러한 벤딩 형성에 의해 상기 리셉터클 쉘(120)의 상측 중앙부에 대한 강도를 보강할 수 있게 된다.
더욱이,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100)는 상기 플러그 커넥터(200)의 결합시 상기 플러그 유닛(201)의 전단부 측면과 상면에 대하여 탄성을 가지고 밀착 결합되어 접속불량이 방지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그러므로,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100)의 쉘 커버(130)는 중앙으로부터 양측으로 일정길이에 대하여 상기 리셉터클 쉘(120)의 상측 중앙부분 상면으로부터 하면 일정길이에 걸쳐 감싸도록 벤딩 형성된다.
이때, 상기와 같이 벤딩 형성되는 단부 측 길이방향으로 일정간격을 가지고 상부 탄성고정편(131)이 하향 경사지게 절곡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100)의 리셉터클 쉘(120)은 양측에 전방으로부터 후방으로 갈수록 내향 돌출토록 경사지게 측부 탄성고정편(121)이 절곡 형성됨이 바람직한 것이다.
다시 말하면, 상기 상부 탄성고정편(131)과 측부 탄성고정편(121)이 형성됨으로써 상기 플러그 커넥터(200)의 결합시 상기 플러그 유닛(201)의 전단부 측면과 상면에 대하여 탄성을 가지고 밀착 결합되어 접속불량이 방지될 수 있다.
더욱이, 상기와 같은 상부 탄성고정편(131)과 측부 탄성고정편(121)의 구성을 통하여 종래와 달리 접속불량이 방지됨에 따라, 접속불량에 의해 플러그 커넥터의 접속고정시 발생하는 EMI(Electro Magnetic Interference) 노이즈를 안정적으로 차폐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은 플러그 커넥터(200)는 상기 플러그 유닛(201), 인쇄회로기판(230), 와이어 가이드(240)가 조립된 상태에서 상, 하부로부터 상기 하부 쉴드 캔(250)과 상부 쉴드 캔(260)이 밀착되도록 상호 결합된 후 상기 케이스(270)가 조립될 경우, 상기 케이스(270) 내에 상기 하부 쉴드 캔(250)과 상부 쉴드 캔(260)이 결합된 상태로 로킹될 수 있도록 함이 중요하다.
이를 위하여, 상기 케이스(270) 내면 양측에 로킹홈(271)이 함몰 형성되며, 상기 하부 쉴드 캔(250)의 양측을 감싸도록 결합되는 상기 상부 쉴드 캔(260)의 양측에 외향 경사지게 연장된 후 수평방향으로 일정길이 연장되도록 로킹편(261)이 절곡 형성되어, 상기 로킹편(261)이 상기 로킹홈(271)에 선택적으로 탄발 구속됨이 바람직한 것이다.
이때, 상기 로킹편(261)이 상기 로킹홈(271) 측으로 탄발 구속되게 안내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며, 이에 따라 상기 하부 쉴드 캔(250)의 양측에 스토퍼부(251)가 돌출 형성되어, 상기 스토퍼부(251)에 의해 상기 로킹편(262)이 상기 하부 쉴드 캔(250) 양측을 향하여 탄성 변형되는 각도가 수평으로부터 일정각도 벌어진 상태로 제한됨이 더욱 바람직한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은 리셉터클 커넥터(100)와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100)에 선택적으로 결합, 분리되는 플러그 커넥터(200)를 포함하는 본 발명에 따른 고속 신호 전송용 커넥터에 의하면,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100)의 하부 모서리 부분과 상부 구조를 개선하여 리셉터클 커넥터(100)에 대하여 플러그 커넥터(200)의 결합시 역방향 삽입을 안정적으로 방지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하여 리셉터클 커넥터(100) 및 플러그 커넥터(200)의 결합부분에 대한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100)의 리셉터클 쉘(120) 양측으로부터 상부를 감싸는 쉘 커버(130)가 더 구비됨으로써 플러그 커넥터(200)의 반복적인 결합, 분리시에도 리셉터클 커넥터(100)의 변형을 방지하여 플러그 커넥터(200)와 리셉터클 커넥터(100)에 대한 결합에 따른 전기적 접속을 더욱 안정적으로 구현할 수 있으며, 아울러 전기적 접속을 안정화하여 플러그 커넥터(200)와 리셉터클 커넥터(100)를 통한 접속기기의 오류나 고장을 안정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은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의 실시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100: 리셉터클 커넥터
110: 리셉터클 하우징 111: 접속부
117: 시그널 접촉단자 120: 리셉터클 쉘
121: 측부 탄성고정편 123: 가이드 홈
125: 상부 가이드부 130: 쉘 커버
131: 상부 탄성고정편 135: 절곡편
200: 플러그 커넥터
201: 플러그 유닛 210: 플러그 하우징
211: 플러그 접속부 213: 하부 가이드 돌부
215: 상부 가이드 돌부 217: 접촉단자
220: 플러그 쉘 223: 하부 가이드 홈부
225: 상부 가이드 홈부 230: 인쇄회로기판
240: 와이어 가이드 250: 하부 쉴드 캔
251: 스토퍼부 260: 상부 쉴드 캔
261: 로킹편 270: 케이스
271: 로킹홈 280: 전면 마감용 커버

Claims (7)

  1. 디지털 영상신호와 음향신호를 압축 없이 전송 가능하게 하는 고선명 멀티미디어 인터페이스로 적용되는 것으로, 전자기기에 결합고정되는 리셉터클 커넥터(100)와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100)에 선택적으로 결합, 분리되는 플러그 커넥터(200)를 포함하는 고속 신호 전송용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100)는,
    전방으로 돌출된 접속부(111) 상면에 다수 개의 시그널 접촉단자(117)의 전단부가 노출토록 고정설치되는 리셉터클 하우징(110)과,
    상기 리셉터클 하우징(110)이 내설되는 리셉터클 쉘(120)과,
    상기 리셉터클 쉘(120)의 양측으로부터 상부를 감싸도록 고정되는 쉘 커버(1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한편,
    상기 플러그 커넥터(200)는,
    상기 리셉터클 하우징(110)의 접속부(111) 상면에 전단부가 노출되는 상기 시그널 접촉단자(117)와 선택적으로 접속되는 다수의 접촉단자(217)가 전방으로 돌출된 플러그 접속부(211) 내측 상면에 전단부가 노출토록 고정설치되는 플러그 하우징(210)과 상기 플러그 하우징(210)의 플러그 접속부(211)를 감싸는 플러그 쉘(220)로 구성되는 플러그 유닛(201)과,
    상기 플러그 유닛(201)의 플러그 하우징(210) 후방으로부터 조립고정되는 인쇄회로기판(230)과,
    상기 인쇄회로기판(230)의 후방으로부터 조립고정되는 와이어 가이드(240)와,
    상기 플러그 유닛(201), 인쇄회로기판(230), 와이어 가이드(240)가 조립된 상태에서, 상기 플러그 하우징(210)의 플러그 접속부(211) 후방으로부터 상기 인쇄회로기판(230), 와이어 가이드(240)를 감싸도록 하부로부터 밀착고정되는 하부 쉴드 캔(250)과,
    상기 하부 쉴드 캔(250)과 대향되어, 양측이 상기 하부 쉴드 캔(250)의 양측을 감싸도록 결합되는 상부 쉴드 캔(260)과,
    상기 상부 쉴드 캔(260)이 결합된 상태에서, 후방으로부터 상기 하부 쉴드 캔(250)과 상부 쉴드 캔(260)을 감싸도록 조립되는 케이스(270)와,
    상기 케이스(270)에 의해 감싸진 상기 플러그 하우징(210)의 플러그 접속부(211) 후단 테두리에 삽입되며, 상기 케이스(270)의 개방된 내면 둘레와 상기 플러그 접속부(211) 외면과의 공간을 밀폐 마감하는 전면 마감용 커버(280)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고속 신호 전송용 커넥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100)에 상기 플러그 커넥터(200)의 결합시 상기 플러그 하우징(210)의 플러그 접속부(211)에 대한 역방향 삽입이 방지될 수 있도록,
    상기 리셉터클 쉘(120)은 하부 양측에 하향 함몰된 가이드 홈(123)이 형성되는 한편,
    상기 플러그 하우징(210)의 플러그 접속부(211)는 하부 양측에 상기 가이드 홈(123)과 대응되어 하부 가이드 돌부(213)가 돌출 형성되며, 상기 플러그 접속부(211)를 감싸는 플러그 쉘(220)은 상기 하부 가이드 돌부(213)를 감싸도록 하부 양측에 하부 가이드 홈부(223)가 함몰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고속 신호 전송용 커넥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100)에 상기 플러그 커넥터(200)의 결합시 상기 플러그 하우징(210)의 플러그 접속부(211)에 대하여 수평방향으로 일정각도 경사지게 삽입시에도 상, 하부가 안내되면서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리셉터클 쉘(120)은 상부 내면 양측에 상부 가이드부(125)가 돌출 형성되는 한편,
    상기 플러그 하우징(210)의 플러그 접속부(211)는 일측이 상기 상부 가이드부(125)와 밀착 안내되도록 상면 양측에 상부 가이드 돌부(215)가 돌출 형성되며, 상기 플러그 접속부(211)를 감싸는 플러그 쉘(220)은 상기 상부 가이드 돌부(215)를 감싸도록 상부 양측에 상부 가이드 홈부(225)가 함몰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고속 신호 전송용 커넥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100)의 쉘 커버(130)는 상기 리셉터클 쉘(120)의 양측으로부터 상부를 감싸도록 고정되되 상기 플러그 커넥터(200)의 결합시 상기 리셉터클 쉘(120)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도록,
    중앙으로부터 양측으로 일정길이에 대하여 상기 리셉터클 쉘(120)의 상측 중앙부분 상면으로부터 하면 일정길이에 걸쳐 감싸도록 벤딩 형성되어, 상기 리셉터클 쉘(120)의 상측 중앙부에 대한 강도를 보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속 신호 전송용 커넥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100)는 상기 플러그 커넥터(200)의 결합시 상기 플러그 유닛(201)의 전단부 측면과 상면에 대하여 탄성을 가지고 밀착 결합되어 접속불량이 방지될 수 있도록,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100)의 쉘 커버(130)는 중앙으로부터 양측으로 일정길이에 대하여 상기 리셉터클 쉘(120)의 상측 중앙부분 상면으로부터 하면 일정길이에 걸쳐 감싸도록 벤딩 형성되며, 벤딩 형성되는 단부 측 길이방향으로 일정간격을 가지고 상부 탄성고정편(131)이 하향 경사지게 절곡 형성되는 한편,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100)의 리셉터클 쉘(120)은 양측에 전방으로부터 후방으로 갈수록 내향 돌출토록 경사지게 측부 탄성고정편(121)이 절곡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고속 신호 전송용 커넥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 유닛(201), 인쇄회로기판(230), 와이어 가이드(240)가 조립된 상태에서 상, 하부로부터 상기 하부 쉴드 캔(250)과 상부 쉴드 캔(260)이 밀착되도록 상호 결합된 후 상기 케이스(270)가 조립될 경우, 상기 케이스(270) 내에 상기 하부 쉴드 캔(250)과 상부 쉴드 캔(260)이 결합된 상태로 로킹될 수 있도록,
    상기 케이스(270) 내면 양측에 로킹홈(271)이 함몰 형성되며, 상기 하부 쉴드 캔(250)의 양측을 감싸도록 결합되는 상기 상부 쉴드 캔(260)의 양측에 외향 경사지게 연장된 후 수평방향으로 일정길이 연장되도록 로킹편(261)이 절곡 형성되어, 상기 로킹편(261)이 상기 로킹홈(271)에 선택적으로 탄발 구속됨을 특징으로 하는 고속 신호 전송용 커넥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로킹편(261)이 상기 로킹홈(271) 측으로 탄발 구속되게 안내될 수 있도록,
    상기 하부 쉴드 캔(250)의 양측에 스토퍼부(251)가 돌출 형성되어, 상기 스토퍼부(251)에 의해 상기 로킹편(262)이 상기 하부 쉴드 캔(250) 양측을 향하여 탄성 변형되는 각도가 수평으로부터 일정각도 벌어진 상태로 제한됨을 특징으로 하는 고속 신호 전송용 커넥터.
KR1020150100015A 2015-07-14 2015-07-14 고속 신호 전송용 커넥터 KR2017000862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0015A KR20170008621A (ko) 2015-07-14 2015-07-14 고속 신호 전송용 커넥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0015A KR20170008621A (ko) 2015-07-14 2015-07-14 고속 신호 전송용 커넥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8621A true KR20170008621A (ko) 2017-01-24

Family

ID=579932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00015A KR20170008621A (ko) 2015-07-14 2015-07-14 고속 신호 전송용 커넥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08621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44755A1 (en) * 2022-01-31 2023-08-03 Molex, Llc High-speed connector system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02475A (ko) 2006-06-30 2008-01-04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세탁기의 떨림 방지 장치
KR20090004255A (ko) 2007-07-06 2009-01-12 (주)뉴텍 고정부재를 갖는 hdmi 커넥터
KR101259922B1 (ko) 2012-12-13 2013-05-02 이광휘 디지털 멀티미디어 통신 연결을 위한 디지털전용 케이블 커넥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02475A (ko) 2006-06-30 2008-01-04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세탁기의 떨림 방지 장치
KR20090004255A (ko) 2007-07-06 2009-01-12 (주)뉴텍 고정부재를 갖는 hdmi 커넥터
KR101259922B1 (ko) 2012-12-13 2013-05-02 이광휘 디지털 멀티미디어 통신 연결을 위한 디지털전용 케이블 커넥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44755A1 (en) * 2022-01-31 2023-08-03 Molex, Llc High-speed connector system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553965B (zh) 用於電氣連接器之插座
JP3150774U (ja) 2型対応ソケットコレクタ
CN104505642B (zh) 插头电连接器
US10008811B2 (en) Electrical connector
KR100811579B1 (ko) 리셉터클 타입의 중계용 커넥터
US11276949B2 (en) Shielded connector assembly
US7114856B2 (en) Optical connector socket
US7845982B1 (en) Display port socket
US8961194B2 (en) Active HDMI connector with integrated design
US9385481B2 (en) Electronic connector
JP2005332749A (ja) 電気コネクタ
JP2007157378A (ja) コネクタ用シールドケース
WO2017104312A1 (ja) コネクタ
US7442056B1 (en) Assembled electrical connector
KR20130059112A (ko) 휴대 단말기용 접속 소켓
KR20130059111A (ko) 휴대 단말기용 접속 플러그
US7661991B1 (en) Electrical connector
KR20170008621A (ko) 고속 신호 전송용 커넥터
KR102131128B1 (ko) 플로팅 리셉터클 커넥터
KR101383491B1 (ko) 조립이 용이한 전기 커넥터 및 그 제조 방법
US20160079711A1 (en) Electronic Connector
CN111641069B (zh) 线缆连接器组件
JP6914514B2 (ja) 複合型コネクタ
CN109687200B (zh) 一种电连接器及其制造方法
JP5579631B2 (ja) 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