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08537A - 휴대폰용 마이크로스코프 - Google Patents

휴대폰용 마이크로스코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08537A
KR20170008537A KR1020150099845A KR20150099845A KR20170008537A KR 20170008537 A KR20170008537 A KR 20170008537A KR 1020150099845 A KR1020150099845 A KR 1020150099845A KR 20150099845 A KR20150099845 A KR 20150099845A KR 20170008537 A KR20170008537 A KR 201700085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light guide
hole
fastened
mobile pho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998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24681B1 (ko
Inventor
전선호
Original Assignee
전선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선호 filed Critical 전선호
Priority to KR10201500998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24681B1/ko
Publication of KR201700085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85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246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246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1/00Microscopes
    • G02B21/0004Microscop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G02B21/0008Microscopes having a simple construction, e.g. portable microscop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10Optical coatings produced by application to, or surface treatment of, optical elemen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Microscoopes, Condenser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간단한 장비로 관찰대상물을 확대하여 실시간으로 촬영 및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휴대폰용 마이크로스코프를 위하여, (a) 휴대폰케이스의 휴대폰 카메라부에 대응하는 개구에 체결될 수 있으며, 휴대폰의 카메라부에 대응하는 제1관통홀과, 휴대폰의 광방출부에 대응하는 제2관통홀을 갖는 프레임과, (b) 상기 프레임에 체결될 수 있고, 상기 프레임에 체결될 시 (i) 상기 프레임을 향하는 일단인 제1단의 제1폭이 상기 제1단에 대향되는 타단인 제2단의 제2폭보다 크며 (ii) 상기 프레임의 상기 제1관통홀에 대응하며 상기 제1단에서 상기 제2단 방향으로 연장된 제3관통홀을 갖고 (iii) 상기 제1단의 상기 제3관통홀 외의 부분이 상기 프레임의 상기 제2관통홀을 덮는, 광가이드와, (c) 상기 광가이드의 상기 제3관통홀 내에 위치하는 렌즈부를 구비하는, 휴대폰용 마이크로스코프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휴대폰용 마이크로스코프{Microscope for mobile phone}
본 발명은 휴대폰용 마이크로스코프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간단한 장비로 관찰대상물을 확대하여 실시간으로 촬영 및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휴대폰용 마이크로스코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나안(裸眼)으로 관찰하기 힘든 매우 작은 형상이나 패턴, 문양 등을 촬영하거나 관찰할 시, 특화된 장비를 이용하게 된다. 예컨대 나안으로 관찰하기 힘든 미소패턴의 경우에는 현미경 등의 고가의 장비를 통해 촬영하거나 관찰할 수밖에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사람의 귀속과 같은 입구가 좁은 부분을 촬영하거나 관찰할 시에도 매우 고가인 특화된 장비를 이용할 수밖에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포함하여 여러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간단한 장비로 관찰대상물을 확대하여 실시간으로 촬영 및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휴대폰용 마이크로스코프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러나 이러한 과제는 예시적인 것으로,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관점에 따르면, (a) 휴대폰케이스의 휴대폰 카메라부에 대응하는 개구에 체결될 수 있으며, 휴대폰의 카메라부에 대응하는 제1관통홀과, 휴대폰의 광방출부에 대응하는 제2관통홀을 갖는 프레임과, (b) 상기 프레임에 체결될 수 있고, 상기 프레임에 체결될 시 (i) 상기 프레임을 향하는 일단인 제1단의 제1폭이 상기 제1단에 대향되는 타단인 제2단의 제2폭보다 크며 (ii) 상기 프레임의 상기 제1관통홀에 대응하며 상기 제1단에서 상기 제2단 방향으로 연장된 제3관통홀을 갖고 (iii) 상기 제1단의 상기 제3관통홀 외의 부분이 상기 프레임의 상기 제2관통홀을 덮는, 광가이드와, (c) 상기 광가이드의 상기 제3관통홀 내에 위치하는 렌즈부를 구비하는, 휴대폰용 마이크로스코프가 제공된다.
상기 프레임은 상기 제1관통홀의 외주면 또는 내주면의 적어도 일부에 제1나사구조를 갖고, 상기 광가이드는 제2나사구조를 가져 상기 프레임의 상기 제1나사구조에 회전체결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광가이드는 상기 제3관통홀의 내주면의 적어도 일부에 상기 제2나사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프레임은 상기 제1관통홀의 외주면 또는 내주면의 적어도 일부에 제1나사구조를 갖고, 상기 렌즈부는 제2나사구조를 가져 상기 프레임의 상기 제1나사구조에 회전체결될 수 있다.
상기 광가이드의 상기 제1단과 상기 제2단 이외의 부분의 외면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광가이드의 반사율보다 높은 반사율을 갖는 물질로 코팅될 수 있다.
상기 렌즈부는 복수개의 렌즈들 및 상기 복수개의 렌즈들을 수용하는 수용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수용체의 외면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광가이드의 반사율보다 높은 반사율을 갖는 물질로 코팅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수용체는 상기 광가이드의 반사율보다 높은 반사율을 갖는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광가이드와 상기 렌즈부가 상기 프레임에 체결될 시, 상기 수용체의 상기 프레임 방향의 부분이 상기 프레임의 상기 제1관통홀 내부에 위치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광가이드와 상기 렌즈부가 상기 프레임에 체결될 시, 상기 광가이드의 상기 프레임 방향의 부분과 상기 수용체의 상기 프레임 방향의 부분 사이에 상기 프레임이 개재될 수 있다.
상기 광가이드는 상기 제1단과 상기 제2단 사이에, 상기 제1단에 가까운 제1부분부터 상기 제2단에 가까운 제2부분에 이르기까지 상기 제3관통홀에 수직인 단면적이 점진적으로 줄어드는 중간부를 가질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간단한 장비로 관찰대상물을 확대하여 실시간으로 촬영 및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휴대폰용 마이크로스코프를 구현할 수 있다. 물론 이러한 효과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용 마이크로스코프를 휴대폰 및 휴대폰케이스에 체결하는 것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휴대폰용 마이크로스코프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분해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휴대폰용 마이크로스코프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하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또한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면에서는 구성 요소들이 그 크기가 과장 또는 축소될 수 있다. 예컨대,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x축, y축 및 z축은 직교 좌표계 상의 세 축으로 한정되지 않고, 이를 포함하는 넓은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x축, y축 및 z축은 서로 직교할 수도 있지만, 서로 직교하지 않는 서로 다른 방향을 지칭할 수도 있다.
한편, 층, 막, 영역, 판 등의 각종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있다고 할 때, 이는 다른 구성요소 "바로 상에"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사이에 다른 구성요소가 개재된 경우도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용 마이크로스코프를 휴대폰 및 휴대폰케이스에 체결하는 것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휴대폰용 마이크로스코프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분해 단면도이며, 도 3은 도 1의 휴대폰용 마이크로스코프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용 마이크로스코프는 프레임(40), 광가이드(30) 및 렌즈부(20)를 구비한다.
프레임(40)은 제1관통홀(41)과 제2관통홀(47)을 갖는다. 이러한 프레임(40)은 휴대폰케이스(70)에 체결될 수 있다.
휴대폰케이스(70)는 전체적으로 휴대폰(60)의 카메라부(61)에 대응하는 제1개구(71)를 가지며, 프레임(40)은 휴대폰케이스(70)의 이러한 제1개구(71)의 위치에 대응하도록 휴대폰케이스(70)에 체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레임(40)이 휴대폰케이스(70)에 체결될 시, 프레임(40)의 제1관통홀(41)이 휴대폰(60)의 카메라부(61)에 대응하는 휴대폰케이스(70)의 제1개구(71)에 대응하게 된다. 이에 따라 휴대폰(60)에 휴대폰케이스(70)가 결합된 상태에서 프레임(40)이 휴대폰케이스(70)에 체결되면, 프레임(40)의 제1관통홀(41)은 휴대폰(60)의 카메라부(61)에 대응하게 된다.
휴대폰케이스(70)는 제1개구(71) 외에 제2개구(75)도 갖는바, 제2개구(75)는 휴대폰케이스(70)가 휴대폰(60)에 체결될 시 휴대폰(60)의 광방출부(63, 예컨대 플래시)에 대응하게 된다. 프레임(40)이 휴대폰케이스(70)에 체결될 시, 프레임(40)의 제2관통홀(47)은 휴대폰(60)의 광방출부(63)에 대응하는 휴대폰케이스(70)의 제2개구(75)에 대응하게 된다. 이에 따라 휴대폰(60)에 휴대폰케이스(70)가 결합된 상태에서 프레임(40)이 휴대폰케이스(70)에 체결되면, 프레임(40)의 제2관통홀(47)은 휴대폰(60)의 광방출부(63)에 대응하게 된다.
프레임(40)이 휴대폰케이스(70)에 체결될 수 있는 방법은 다양한 방법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예컨대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프레임(40)은 플랜지부(45)를 가져, 휴대폰케이스(70)의 제1개구(71) 근방의 홈(73)에 플랜지부(45)가 슬라이딩체결되도록 할 수도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이와 달리, 프레임(40)이 휴대폰케이스(70)의 제1개구(71) 근방에 끼움체결되도록 할 수도 있다.
광가이드(30)는 프레임(40)에 체결될 수 있다. 광가이드(30)는 제1폭(W1)을 갖는 일단인 제1단과, 제2폭(W2)을 가지며 제1단에 대향되는 타단인 제2단을 갖는다. 이때 제1폭(W1)은 제2폭(W2)보다 커서, 광가이드(30)의 외관은 도 2 등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전체적으로 원뿔과 유사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는 후술하는 것과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용 마이크로스코프를 이용해 사람의 귀속과 같은 입구가 좁은 부분을 촬영하거나 관찰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와 같은 광가이드(30)가 프레임(40)에 체결될 시, 제2폭(W2)보다 큰 제1폭(W1)을 갖는 제1단이 프레임(40)을 향하게 되고, 제2단이 그 반대 방향으로 향하게 된다. 그리고 광가이드(30)는 제1단에서 제2단 방향(+x 방향)으로 연장된 제3관통홀(33)을 갖는바, 광가이드(30)가 프레임(40)에 체결될 시 제3관통홀(33)은 프레임(40)의 제1관통홀(41)에 대응하게 된다. 아울러 제2폭(W2)을 갖는 제2단보다 큰 제1폭(W1)을 갖는 제1단은, 광가이드(30)가 프레임(40)에 체결될 시 프레임(40)의 제2관통홀(47)을 덮는다. 구체적으로, 광가이드(30)의 제1단의 제3관통홀(33) 외의 부분이 프레임(40)의 제2관통홀(47)을 덮는다.
렌즈부(20)는 광가이드(30)의 제3관통홀(33) 내에 위치한다. 렌즈부(20)는 도 2 등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복수개의 렌즈들(L1, L2, L3, L4, L5)과, 이 복수개의 렌즈들(L1, L2, L3, L4, L5)을 수용하는 수용체를 포함한다. 도 2 등에서는 수용체가 제1수용체(21), 제2수용체(23) 및 제3수용체(25)를 갖는 것으로 도시하고 있다. 제1수용체(21) 내지 제3수용체(25)는 렌즈들(L1, L2, L3, L4, L5)을 수용하는 역할뿐만이 아니라 이들의 위치를 고정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도 2 등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1수용체(21)는 렌즈(L1)와 렌즈(L2) 사이에 스페이서(SP)가 위치하도록 하여 렌즈(L1)와 렌즈(L2) 사이의 거리가 사전설정된 거리로 유지되도록 하면서 이들을 수용한다. 제1수용체(21)는 접합렌즈로서 상호 밀착된 렌즈(L2)와 렌즈(L3) 역시 수용한다. 또한, 제1수용체(21)는 렌즈(L3)와 렌즈(L4) 사이에 스페이서(SP)가 위치하도록 하여, 렌즈(L3)와 렌즈(L4) 사이의 거리가 사전설정된 거리로 유지되도록 하면서 이들을 수용한다. 그리고 제2수용체(23)는 제1수용체(21)와 결합하면서 그 일단이 제1수용체(21) 내에 위치한 렌즈(L4)와 컨택하여, 제1수용체(21) 내에서의 렌즈(L4)의 위치를 고정시킨다. 제1수용체(21)와 제2수용체(23)의 결합은 끼움결합이 될 수도 있고 나사결합이 될 수도 있다. 제3수용체(25)는 렌즈(L5)를 내부에 수용한다. 제3수용체(25)와 제2수용체(23)가 결합됨에 따라 제2수용체(23)의 타단은 렌즈(L5)와 컨택하여, 제3수용체(25) 내에서의 렌즈(L5)의 위치를 고정시킨다. 이때 제3수용체(25) 내에는 절곡부가 존재하여, 렌즈(L5)의 위치를 해당 절곡부에 고정시킬 수 있다. 제3수용체(25)와 제2수용체(23)의 결합 역시 끼움결합이 될 수도 있고 나사결합이 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본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용 마이크로스코프는 간단한 구성을 가지고 있으며 이에 따라 제조비용 역시 매우 저렴하도록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본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용 마이크로스코프를 이용할 경우, 대중화된 휴대폰을 이용해서 저렴한 비용으로 간단하게, 나안으로 관찰하기 힘든 미소패턴 등의 관찰대상물을 확대하여 실시간으로 촬영 및 관찰할 수 있다.
예컨대 위조지폐여부 등을 확인할 시, 고가의 확대관찰장비가 없더라도 본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용 마이크로스코프를 이용하면, 범용화된 휴대폰의 디스플레이를 통해, 촬영된 지폐의 위조방지부의 상태를 확인하거나 위조방지부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용 마이크로스코프는 광가이드(30)를 구비하는바, 이 광가이드(30)의 양단 중 제1단은 제1폭(W1)을 갖고 제2단은 제2폭(W2)을 갖는다. 이때 제1폭(W1)은 제2폭(W2)보다 커서, 광가이드(30)의 외관은 도 2 등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전체적으로 원뿔과 유사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용 마이크로스코프를 이용할 경우 제2폭(W2)을 갖는 제2단을 사람의 귀속과 같은 입구가 좁은 부분에 위치시킴으로써, 사람의 귀속과 같은 입구가 좁은 부분을 촬영하거나 관찰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것과 같이 프레임(40)이 휴대폰케이스(70)에 체결될 시, 프레임(40)의 제2관통홀(47)은 휴대폰(60)의 광방출부(63)에 대응하는 휴대폰케이스(70)의 제2개구(75)에 대응하게 된다. 이에 따라 휴대폰(60)에 휴대폰케이스(70)가 결합된 상태에서 프레임(40)이 휴대폰케이스(70)에 체결되면, 프레임(40)의 제2관통홀(47)은 휴대폰(60)의 광방출부(63)에 대응하게 된다. 이때, 본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용 마이크로스코프의 광가이드(30)의 제1단과 제2단 중 제2폭(W2)을 갖는 제2단보다 큰 제1폭(W1)을 갖는 제1단은, 광가이드(30)가 프레임(40)에 체결될 시 프레임(40)의 제2관통홀(47)을 덮는다. 구체적으로, 광가이드(30)의 제1단의 제3관통홀(33) 외의 부분이 프레임(40)의 제2관통홀(47)을 덮는다. 결과적으로, 광가이드(30)의 제1단의 제3관통홀(33) 외의 부분 중 적어도 일부는 휴대폰(60)의 광방출부(63)에 대응하도록 위치하게 된다.
관찰대상물을 확대하여 관찰할 시, 광량이 부족하여 어두운 이미지를 관찰하게 되거나 획득하게 될 수 있다. 하지만 상술한 것과 같은 휴대폰용 마이크로스코프를 이용하게 되면, 휴대폰(60)의 광방출부(63)에서 방출되는 광이 프레임(40)의 제2관통홀(47)을 통해 광가이드(30)에 입사하게 되고, 이 광은 광가이드(30) 내부를 통해 가이딩되어 관찰대상물 상에 조사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통해 관찰대상물을 확대하여 관찰하거나 촬영할 시 부족할 수 있는 광량을 보충함으로써, 관찰대상물을 밝은 상태에서 확대하여 관찰하거나 촬영할 수 있다. 이를 위해 광가이드(30)는 아크릴이나 폴리이미드, 폴리에틸렌 또는 폴리프로필렌 등과 같은 투광성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투광성 물질이라 함은 광투과율이 높은 것만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며, 실리콘이나 고무와 같은 반투명 물질도 포함하는 의미이다. 예컨대 반투명 물질로 광가이드(30)가 형성되면, 휴대폰(60)의 광방출부(63)에서 방출되는 광이 광가이드(30) 내에서 산란된 후 외부로 취출되어 관찰대상물에 도달하게 되어, 관찰대상물에 부드럽고 균일한 광을 조사할 수 있다.
아울러 가이딩 효과를 높이기 위해, 광가이드(30)가 도 2 내지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은 원뿔과 유사한 외관을 갖도록 할 수 있다. 즉, 광가이드(30)가 제1단과 제2단 사이에, 제1단에 가까운 제1부분(P1)부터 제2단에 가까운 제2부분(P2)에 이르기까지 제3관통홀(33)에 수직인 단면적이 점진적으로 줄어드는 중간부(MP)를 갖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단면적이라 함은 제3관통홀(33)을 제외한 부분의 단면적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제3관통홀(33)까지 포함한 단면적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즉, 광가이드(30)가 내부에 제3관통홀(33)을 갖지 않는 것으로 가정할 시의 단면적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한편, 광가이드(30)의 제1단을 통해 광가이드(30) 내부로 진입한 광이 광가이드(30)의 제2단에 이르기 전에 광가이드(30) 외부로 방출되는 것을 최소화하는 것이 필요할 수 있다. 이를 위해 광가이드(30)의 제1단과 제2단 이외의 부분의 외면(OS)의 적어도 일부가, 광가이드(30)가 포함하는 물질의 반사율보다 높은 반사율을 갖는 물질로 코팅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통해 광가이드(30)의 제1단을 통해 광가이드(30) 내부로 진입한 광이 광가이드의 외면(OS)을 통해 외부로 방출되는 것을 최소화하면서 그 광의 대부분을 광가이드(30)의 제2단으로 가이딩하여, 광가이드(30)의 제2단에서 관찰대상물 방향으로 방출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전술한 것과 같이 광가이드(30)의 제3관통홀(33) 내부에는 렌즈부(20)가 위치하게 된다. 그리고 렌즈부(20)는 복수개의 렌즈들(L1, L2, L3, L4, L5)과 이들을 수용하는 수용체(21, 23, 25)를 갖는다. 결국 렌즈부(20)의 외형은 수용체(21, 23, 25)에 의해 결정된다고 이해할 수 있다. 이때 수용체(21, 23, 25)의 외면의 적어도 일부가 광가이드(30)가 포함하는 물질의 반사율보다 높은 반사율을 갖는 물질로 코팅되도록 함으로써, 광가이드(30)의 제1단을 통해 광가이드(30) 내부로 진입한 광이 효과적으로 광가이드(30)의 제2단으로 가이딩되도록 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수용체(21, 23, 25)의 외면이 코팅되는 것이 아니라, 수용체(21, 23, 25)의 적어도 일부가, 광가이드(30)가 포함하는 물질의 반사율보다 높은 반사율을 갖는 물질을 포함하도록 할 수도 있다. 그러한 물질로는 반사율이 높은 금속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한편, 광가이드(30)와 렌즈부(20)가 프레임(40)에 직간접적으로 체결될 시,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렌즈부(20)의 수용체(21, 23, 25)의 프레임(40) 방향(-x 방향)의 부분이 프레임(40)의 제1관통홀(41) 내부에 위치하도록 할 수 있다. 특히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광가이드(30)와 렌즈부(20)가 프레임(40)에 직간접적으로 체결될 시, 렌즈부(20)의 수용체(21, 23, 25)의 프레임(40) 방향(-x 방향) 끝단(25a)이, 프레임(40)의 휴대폰 방향(-x 방향)의 면과 일치하거나 거의 일치하도록 할 수 있다.
이는 관찰대상 물체로부터 출발하여 렌즈들(L1, L2, L3, L4, L5)을 통과한 광이 아닌, 휴대폰(60)의 광방출부(63)에서 방출되어 광가이드(30) 내부를 통과하는 광이, 휴대폰(60)의 카메라부(61)로 바로 진입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만일 휴대폰(60)의 광방출부(63)에서 방출되어 광가이드(30) 내부를 통과하는 광이 휴대폰(60)의 카메라부(61)로 바로 진입한다면, 카메라부(61)로 직접 입사하는 광은 관찰대상물에 대한 이미지에 있어서 노이즈로 작용하여 관찰대상물에 대한 이미지가 휴대폰(60)의 디스플레이부에 선명하지 않게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동일/유사한 효과를 위해, 프레임(40)이 불투광성 물질을 포함하거나 불투광성 물질로 코팅되도록 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프레임(40)의 제1관통홀(41) 주변도 불투광성 물질을 포함하거나 불투광성 물질로 코팅되어, 휴대폰(60)의 광방출부(63)에서 방출되어 광가이드(30) 내부를 통과하는 광이 휴대폰(60)의 카메라부(61)로 바로 진입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특히, 이러한 효과가 극대화되도록 하기 위해,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광가이드(30)와 렌즈부(20)가 프레임(40)에 체결될 시, 광가이드(30)의 프레임(40) 방향의 부분과 수용체(21, 23, 25)의 프레임(40) 방향의 부분 사이에 프레임(40)의 적어도 일부가 개재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프레임(40)과 광가이드(30)는 나사결합을 함으로써 상호 체결되도록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레임(40)의 제1관통홀(41)의 외주면 또는 내주면의 적어도 일부에 제1나사구조(43)를 가질 수 있다. 도 2에서는 제1관통홀(41)의 외주면에 제1나사구조(43)가 형성된 것으로 도시하고 있다. 그리고 광가이드(30)는 제3관통홀(33)의 외주면 또는 내주면의 적어도 일부에 제2나사구조(35)를 가질 수 있다. 도 2에서는 제3관통홀(33)의 내주면에 제2나사구조(35)가 형성된 것으로 도시하고 있다. 이러한 광가이드(30)는 프레임(40)에 나사결합 방식으로 체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광가이드(30)의 제2나사구조(35)와 프레임(40)의 제1나사구조(43)에 의해 광가이드(30)가 프레임(40)에 회전체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광가이드(30)의 제3관통홀(33)이 프레임(40)의 제1관통홀(41)에 대응하게 된다. 결과적으로 휴대폰(60)에 휴대폰케이스(70)가 결합된 상태에서 광가이드(30) 및 프레임(40)이 휴대폰케이스(70)에 체결되면, 광가이드(30)의 제3관통홀(33)과 프레임(40)의 제1관통홀(41)은 휴대폰(60)의 카메라부(61)에 대응하게 된다.
물론 이와 달리, 프레임(40)의 제1관통홀(41)의 외주면 또는 내주면의 적어도 일부에 제1나사구조가 형성되도록 하고, 렌즈부(20)가 제2나사구조를 가져, 렌즈부(20)가 프레임(40)의 제1나사구조에 회전체결되도록 할 수도 있다. 이 경우, 프레임(40)의 제1관통홀(41)의 내주면의 적어도 일부에 제1나사구조가 형성되도록 하고, 렌즈부(20)의 수용체(제3수용체(25))의 외주면의 적어도 일부에 제2나사구조가 형성되어, 렌즈부(20)가 프레임(40)의 제1나사구조에 회전체결되도록 할 수도 있다.
한편, 프레임(40)이 제1관통홀(41)과 제2관통홀(47)을 구비하기에, 프레임(40)이 휴대폰케이스(70) 및 휴대폰(60)에 결합될 시 제2관통홀(47)이 언제나 휴대폰(60)의 광방출부(63)에 대응하도록 하기 위해, 프레임(40)이 특정 방향으로 휴대폰케이스(70)에 결합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프레임(40)은 다각 형상을 가져, 프레임(40)이 휴대폰케이스(70) 제1개구(71) 근방에 체결될 시, 사전설정된 방향 또는 그 역방향으로만 체결되도록 할 수 있다. 예컨대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프레임(40)이 휴대폰케이스(70)에 슬라이딩 방식으로 체결될 시, 프레임(40)이 대략 직사각 형상을 가져 장변이 z축 방향으로 슬라이딩되어 휴대폰케이스(70)에 슬라이딩 방식으로 체결되도록 할 수 있다.
도면에서는 프레임(40)이 대략 직사각 형상을 갖는 것으로 도시하고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휴대폰케이스(70)의 제1개구(71) 근방의 프레임(40)이 체결될 부분이 불규칙한 사각 또는 오각 형상을 갖고, 휴대폰용 마이크로스코프의 프레임(40) 역시 대응하는 불규칙한 다각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물론 프레임(40)이 휴대폰케이스(70)의 제1개구(71) 근방에 슬라이딩체결되는 것이 아니라 끼움체결되도록 하는 경우에도, 프레임(40)이 다각 형상을 갖고 휴대폰케이스(70)의 프레임(40)이 끼움체결되는 곳 역시 상기 다각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을 갖도록 하여, 프레임(40)이 특정 방향으로만 휴대폰케이스(70)에 체결되도록 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L1-L5: 렌즈 W1: 제1폭
W2: 제2폭 20: 렌즈부
21: 제1수용체 23: 제2수용체
25: 제3수용체 30: 광가이드
33: 제3관통홀 35: 제2나사구조
40: 프레임 41: 제1관통홀
43: 제1나사구조 45: 플랜지부
47: 제2관통홀 60: 휴대폰
61: 카메라부 63: 광방출부
70: 휴대폰케이스 71: 제1개구
75: 제2개구

Claims (11)

  1. 휴대폰케이스의 휴대폰 카메라부에 대응하는 개구에 체결될 수 있으며, 휴대폰의 카메라부에 대응하는 제1관통홀과, 휴대폰의 광방출부에 대응하는 제2관통홀을 갖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에 체결될 수 있고, 상기 프레임에 체결될 시 (i) 상기 프레임을 향하는 일단인 제1단의 제1폭이 상기 제1단에 대향되는 타단인 제2단의 제2폭보다 크며 (ii) 상기 프레임의 상기 제1관통홀에 대응하며 상기 제1단에서 상기 제2단 방향으로 연장된 제3관통홀을 갖고 (iii) 상기 제1단의 상기 제3관통홀 외의 부분이 상기 프레임의 상기 제2관통홀을 덮는, 광가이드; 및
    상기 광가이드의 상기 제3관통홀 내에 위치하는 렌즈부;
    를 구비하는, 휴대폰용 마이크로스코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상기 제1관통홀의 외주면 또는 내주면의 적어도 일부에 제1나사구조를 갖고, 상기 광가이드는 제2나사구조를 가져 상기 프레임의 상기 제1나사구조에 회전체결될 수 있는, 휴대폰용 마이크로스코프.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광가이드는 상기 제3관통홀의 내주면의 적어도 일부에 상기 제2나사구조를 갖는, 휴대폰용 마이크로스코프.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상기 제1관통홀의 외주면 또는 내주면의 적어도 일부에 제1나사구조를 갖고, 상기 렌즈부는 제2나사구조를 가져 상기 프레임의 상기 제1나사구조에 회전체결될 수 있는, 휴대폰용 마이크로스코프.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가이드의 상기 제1단과 상기 제2단 이외의 부분의 외면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광가이드의 반사율보다 높은 반사율을 갖는 물질로 코팅된, 휴대폰용 마이크로스코프.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부는 복수개의 렌즈들 및 상기 복수개의 렌즈들을 수용하는 수용체를 포함하는, 휴대폰용 마이크로스코프.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체의 외면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광가이드의 반사율보다 높은 반사율을 갖는 물질로 코팅된, 휴대폰용 마이크로스코프.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체는 상기 광가이드의 반사율보다 높은 반사율을 갖는 물질을 포함하는, 휴대폰용 마이크로스코프.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광가이드와 상기 렌즈부가 상기 프레임에 체결될 시, 상기 수용체의 상기 프레임 방향의 부분이 상기 프레임의 상기 제1관통홀 내부에 위치하는, 휴대폰용 마이크로스코프.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광가이드와 상기 렌즈부가 상기 프레임에 체결될 시, 상기 광가이드의 상기 프레임 방향의 부분과 상기 수용체의 상기 프레임 방향의 부분 사이에 상기 프레임이 개재되는, 휴대폰용 마이크로스코프.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가이드는 상기 제1단과 상기 제2단 사이에, 상기 제1단에 가까운 제1부분부터 상기 제2단에 가까운 제2부분에 이르기까지 상기 제3관통홀에 수직인 단면적이 점진적으로 줄어드는 중간부를 갖는, 휴대폰용 마이크로스코프.
KR1020150099845A 2015-07-14 2015-07-14 휴대폰용 마이크로스코프 KR1017246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9845A KR101724681B1 (ko) 2015-07-14 2015-07-14 휴대폰용 마이크로스코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9845A KR101724681B1 (ko) 2015-07-14 2015-07-14 휴대폰용 마이크로스코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8537A true KR20170008537A (ko) 2017-01-24
KR101724681B1 KR101724681B1 (ko) 2017-04-07

Family

ID=579931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99845A KR101724681B1 (ko) 2015-07-14 2015-07-14 휴대폰용 마이크로스코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2468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323898A (zh) * 2020-03-02 2020-06-23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电子设备
CN113685774A (zh) * 2020-05-18 2021-11-23 扬明光学股份有限公司 镜头及其制造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13156B1 (ko) * 2005-02-05 2005-09-07 아람휴비스(주) 휴대폰용 고배율 확대 영상 장치
JP2007206137A (ja) * 2006-01-31 2007-08-16 Marumi Koki Kk 携帯電話用カメラにおける交換レンズ並びにフィルターのマウント装置
KR20140003794A (ko) * 2012-06-28 2014-01-10 전선호 휴대폰용 마이크로스코프
KR101485509B1 (ko) * 2013-08-28 2015-01-26 김성무 이동 단말기용 현미경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13156B1 (ko) * 2005-02-05 2005-09-07 아람휴비스(주) 휴대폰용 고배율 확대 영상 장치
JP2007206137A (ja) * 2006-01-31 2007-08-16 Marumi Koki Kk 携帯電話用カメラにおける交換レンズ並びにフィルターのマウント装置
KR20140003794A (ko) * 2012-06-28 2014-01-10 전선호 휴대폰용 마이크로스코프
KR101485509B1 (ko) * 2013-08-28 2015-01-26 김성무 이동 단말기용 현미경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323898A (zh) * 2020-03-02 2020-06-23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电子设备
CN113685774A (zh) * 2020-05-18 2021-11-23 扬明光学股份有限公司 镜头及其制造方法
CN113685774B (zh) * 2020-05-18 2024-05-10 扬明光学股份有限公司 镜头及其制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24681B1 (ko) 2017-04-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77643B1 (ko) 휴대폰용 마이크로스코프
KR101707861B1 (ko) 카메라가 장착된 휴대 단말기를 이용한 근접촬영장치 및 그 근접촬영용 외장 광학모듈
US20190171861A1 (en) Image Pixel, Image Acquisition Device, Fingerprint Acquisition Apparatus, and Display Apparatus
US10139712B2 (en) Magnification-purpose external optical module external to portable terminal with camera, and magnification imageing device including the same
US20160147057A1 (en) Lens unit and transmission compound microscope
CN105744877B (zh) 摄像单元和内窥镜
CN105407792A (zh) 用于补偿虹膜成像的次佳定向的方法和设备
KR100747005B1 (ko) 눈 촬영 장치
KR101724681B1 (ko) 휴대폰용 마이크로스코프
TW201305647A (zh) 鏡頭模組
TWI794641B (zh) 相機模組
US10935775B2 (en) Method and apparatus that enhance the viewing experience of digital displays for long sighted users
US8746876B2 (en) Stereoscopic eyewear with stray light management
US20170228575A1 (en) Fingerprint input device using portable terminal having camera and external optical device for inputting fingerprint
JP2020076717A (ja) 光学検査装置及び光学検査方法
WO2016092879A1 (ja) 撮影用ユニットおよび撮影システム
KR20200019547A (ko) 렌즈 조립체
US8570673B2 (en) Spacer and lens module
CN205844623U (zh) 一种全息内视镜镜头结构
WO2021059690A1 (ja) 光学モジュールおよび認証装置
US20170205684A1 (en) Lens apparatus and image pickup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KR102012299B1 (ko) 청색광 차단 수단을 구비한 가상 현실 및 증강 현실 장치
JP6579525B2 (ja) 微弱光観察用レンズユニット及び複式顕微鏡装置
US20190041555A1 (en) Method and Apparatus that provide Matte effect while allowing high resolution output from a display
KR101493069B1 (ko) 휴대폰용 마이크로스코프와, 휴대폰케이스와 마이크로스코프 조립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8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