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08422A - 외국어 단어 학습 서비스의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외국어 단어 학습 서비스의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08422A
KR20170008422A KR1020150099567A KR20150099567A KR20170008422A KR 20170008422 A KR20170008422 A KR 20170008422A KR 1020150099567 A KR1020150099567 A KR 1020150099567A KR 20150099567 A KR20150099567 A KR 20150099567A KR 20170008422 A KR20170008422 A KR 201700084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arning
word
foreign language
words
learn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995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효곤
Original Assignee
김효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효곤 filed Critical 김효곤
Priority to KR10201500995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08422A/ko
Publication of KR201700084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842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G09B19/06Foreign languag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외국어 단어 학습방법 및 그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외국어 단어를 학습하는 학습자가 해당 외국어 단어를 완벽히 암기 할 수 있을 때까지 미리 정해진 횟수만큼 암기 학습을 반복하도록 하고, 학습자가 외국어 단어를 반복된 학습을 하여 해당 외국어 단어가 완벽히 암기가 되었거나 암기에 실패하였을 때, 해당 단어를 시스템의 학습자 DB에 등록을 한 후, 완벽히 암기된 아는 단어를 학습자가 신규로 다른 외국어 단어의 암기 학습을 할 때 일정한 패턴으로 반복하여 학습할 수 있도록 하여 일정한 시간이 흘러 학습자의 기억에서 망각되지 않도록 기억을 강화하도록 하며, 시스템은 반복하여 학습했던 외국어 단어와 그 반복 횟수를 기억하여, 반복하는 횟수와 반복되는 주기를 결정하여 학습 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암기에 실패한 모르는 단어를 학습자 DB에 등록을 하여 두고, 일정한 패턴으로 신규 암기하는 단어보다 더 많은 반복 패턴으로 학습을 하여 암기 학습 효율을 극대화 시킬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학습자가 외국어 단어 학습을 위하여 시스템의 도움을 받아 외국어 단어를 학습하는 과정에서 암기를 한 후 일정한 시간이 지난 후에도 해당 단어를 기억에서 망각하지 않도록 반복적으로 학습을 함으로써, 학습자가 확실하게 해당 외국어 단어를 기억할 수 있으며, 이처럼 시스템은 학습자의 아는 단어, 모르는 단어 등 학습 패턴을 분석하여 반복 횟수 및 반복 주기를 결정하도록 하여, 암기를 위한 학습과 장기 기억을 위한 반복 학습 등의 완벽한 단어 학습을 시스템을 통하여 한꺼번에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Description

외국어 단어 학습 서비스의 방법 및 시스템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Foreign Word Studying Service}
본 발명은 외국어 단어 학습방법 및 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1885년 독일의 심리학자 헤르만 에빙하우스는 인간 기억의 ‘망각 곡선’을 발표했다. 이 결과에 따르면 인간은 학습을 한 후 몇 분이 지나면서부터 망각이 시작돼 약 20분 후에는 42퍼센트의 기억이 사라지고, 한 시간 후엔 56퍼센트 이상의 기억을 잊게 된다고 한다.
이후 하루가 지나면 66퍼센트, 일주일 후에는 75퍼센트, 한 달 후에는 80~90퍼센트 이상을 잊어버리게 된다고 한다. 또한, 보통 사람은 새로운 내용을 외운 후 1시간이 지나면 잊기 시작하므로 이때 다시 반복해서 외우면 하루 동안 기억이 지속되고, 하루 후 다시 외우면 일주일 동안, 일주일 후에 다시 외우면 한 달, 한 달 후에 다시 외우면 6개월 정도 지속되면, 이때부터는 장기 기억 상태로 변환되어 6개월이나 일 년에 한 번씩 생각해 보아도 영구 기억 상태가 된다고 말한다.
이러한 인간의 기억 망각에 근거하여 단어를 반복적으로 출력하도록 하는 학습기기나 어학 컨텐츠를 제공하는 온라인 학습 서비스가 각광을 받고 있다.
그런데, 이러한 단어 학습 기기나 온라인 학습 서비스의 경우에는 단순하게 반복 학습할 수 있도록 하거나, 학습자가 의지대로 직접입력하여 반복 학습할 수 있는 기능만을 제공하거나 모르는 단어만을 반복적으로 학습 할 뿐이어서 인간에게 발생하는 자연스러운 망각에 대한 대비를 통하여 완벽한 암기를 시키는데 한계가 있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암기 학습하고자 하는 외국어 단어에 대한 테스트 및 암기를 포함한 학습활동을 수행하고, 아는 단어와 모르는 단어를 별도로 시스템의 저장부에 저장하여 학습자가 이후 외국어 단어 학습시에 일정한 패턴대로 반복하여 학습할 수 있도록 하여, 단어 암기를 인간의 기억상에서 단기 기억 상태에서 영구 기억 상태로 만들도록 하는 단어 학습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국어 단어 암기 방법은, (1) 외국어 단어 학습 시스템은, 학습자가 신규로 학습할 외국어 단어 목록을 선택하면, 해당 단어 목록의 단어를 정해진 횟수만큼 번갈아가면서 학습할 수 있도록 반복하여 출력하는 단계,
(2) 외국어 단어 학습 시스템은, 상기 단어의 암기 여부를 확인하는 단어 암기 테스트를 수행하는 단계,
(3) 외국어 단어 학습 시스템은, 상기 단어 암기 학습과 테스트의 과정을 통하여 학습자가 아는 단어와 모르는 단어를 분류하여 시스템의 저장부에 저장하여 기록하는 단계,
(4) 외국어 단어 학습 시스템은, 학습자가 새로운 외국어 단어를 학습할 때 시스템의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아는 단어와 모르는 단어를 일정 횟수와 일정 주기의 패턴에 반복하여 학습할 수 있도록 한 후 아는 단어와 모르는 단어의 반복 학습 패턴과 학습자의 종합적인 단어 학습 정보를 기록한 후 당 회차의 외국어 단어 암기학습을 종료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외국어 단어 암기방법 및 그 시스템에 따르면, 학습자가 외국어 단어 암기 장치의 도움을 받아 학습자가 아는 단어, 모르는 단어의 효율적인 반복 학습을 통하여, 확실하게 해당 외국어 단어를 기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에빙하우스의 망각곡선에 기인한 일정한 패턴의 반복학습을 통하여 단어 암기를 단기 기억상태에서 영구 기억 상태로 만들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국어 단어 암기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국어 단어 암기시스템의 동작과정을 상세하게 나타낸 순서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단어 학습 시스템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외국어 단어 학습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외국어 단어 학습 시스템은, 저장부(100), 제어 모듈(200), 반복 학습 관리 모듈(300), 학습 패턴 관리 모듈(400), 학습 출력부(500) 등으로 구성된다.
저장부(100)는 외국어 단어 암기 학습에 사용되는 외국어 단어를 신규 단어 목록과 반복학습을 위한 아는단어 목록으로 구분하여 저장하고 있으며, 저장된 각 외국어 단어는 제어 모듈(200)의 제어에 따라 학습 출력부(500)를 통해 학습자가 학습할 수 있도록 화면상에 출력된다.
상술한 저장부(100)는, 외국어 단어 암기학습을 수행하는 학습자가 암기하고자 하는 외국어 단어들을 모아놓은 목록으로서, 암기할 단어의 목록이 있는 신규 단어 목록 저장부(110)와 학습자가 학습을 통하여 아는 단어로 분류된 단어와 아는 단어의 반복 학습 등에 대한 학습 패턴 정보를 가지고 있는 학습자 학습패턴 저장부(120)로 구성된다.
제어 모듈(200)은 저장부(100)에 저장된 신규 단어 목록중에서 학습자의 선택에 따라 해당 신규 단어 목록의 단어 학습을 할 수 있도록 하며, 학습자가 단어 암기 학습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아는 단어를 일정한 패턴에 의해서 반복 학습할 수 있도록 하는 등 학습 시스템을 총괄적으로 제어한다.
반복 학습 관리 모듈(300)은 학습자의 학습을 통하여 분류된 아는 단어의 반복 학습을 위한 반복 횟수, 반복 주기 등의 반복 학습에 관련된 정보를 관리한다.
학습 패턴 관리 모듈(400)은 학습자의 신규 단어 학습과 아는 단어의 반복 학습, 아는 단어가 다시 모르는 단어로 분류되는 경우의 분석과 관련 정보의 활용을 통한 학습자의 학습 패턴을 종합적으로 관리한다.
학습 출력부(500)는 학습자의 신규 단어 학습과 아는 단어의 반복 학습 등 학습자의 외국어 단어 암기 학습을 위한 관련된 학습 정보 및 테스트를 할 수 있도록 학습 정보를 화면에 출력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외국어 단어 암기시스템의 동작과정을 상세하게 나타낸 순서도이다.
우선, 외국어 단어 학습 시스템은 학습자가 당 회차의 외국어 단어 암기 학습을 수행할 신규 단어 목록을 선택하면, 해당 목록을 토대로 학습할 단어를 구성한다(S100). S100 단계에서는 학습자가 학습을 한 번도 하지 않았던 신규 단어를 학습하거나 또는 이전 회차의 학습시에 모르는 단어로 분류 되었던 단어를 학습한다.
그리고 이전 회차의 학습시에 아는 단어와 모르는 단어로 분류 되었던 단어를 일정한 패턴에 의하여 반복적으로 학습할 수 있도록 반복 학습 패턴을 생성한다(S200).
아는 단어와 모르는 단어의 효과적인 암기 학습을 위한 반복 학습 패턴과 학습자가 선택한 신규 단어 목록에 포함된 단어의 암기 학습을 위한 단어 정보 및 테스트를 포함한 학습 정보가 화면에 출력되어 학습자는 암기 학습을 수행하게 된다(S300).
이 때, 학습자는 암기 학습을 통하여 신규 학습할 단어와 반복 학습 패턴에 의한 아는 단어, 모르는 단어중에서 이번 회차에 새롭게 분류되는 아는 단어, 모르는 단어의 정보가 선별되게 된다(S400).
시스템은 아는 단어 관련 정보를 학습자별로 생성된 저장부(DB)에 모두 기록하게 되어 당 회차 학습시와 이후 회차 학습시에 학습자별로 반복 학습 패턴을 생성할 수 있도록 한다(S500).
또한, 시스템은 모르는 단어 관련 정보를 학습자별로 생성된 저장부(DB)에 모두 기록하게 되어 당 회차 학습시와 이후 회차 학습시에 학습자별로 반복 학습 패턴을 생성할 수 있도록 하며, 암기 목록에 있는 단어를 모두 학습한 후 당 회차의 외국어 단어 암기학습을 종료한다(S600).
100 : 저장부
110 : 단어목록 저장부
120 : 학습자 학습패턴 저장부
200 : 제어모듈
300 : 반복 학습 관리 모듈
400 : 학습 패턴 관리 모듈
500 : 학습 출력부

Claims (2)

  1. (1) 외국어 단어 학습 시스템은, 학습자가 신규로 학습할 외국어 단어 목록을 선택하면, 해당 단어 목록의 단어를 정해진 횟수만큼 번갈아가면서 학습할 수 있도록 반복하여 출력하는 단계,
    (2) 외국어 단어 학습 시스템은, 상기 단어의 암기 여부를 확인하는 단어 암기 테스트를 수행하는 단계,
    (3) 외국어 단어 학습 시스템은, 상기 단어 암기 학습과 테스트의 과정을 통하여 학습자가 알고 있는 단어와 모르는 단어를 분류하여 시스템의 저장부에 저장하여 기록하는 단계,
    (4) 외국어 단어 학습 시스템은, 학습자가 신규 외국어 단어의 암기 학습을 할 때 시스템의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아는 단어와 모르는 단어를 일정 횟수와 일정 주기에 반복하여 학습할 수 있도록 한 후 학습자의 학습 패턴을 기록한 후 당 회차의 외국어 단어 암기학습을 종료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외국어 단어 학습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4)단계는,
    (4-1) 학습자가 아는 단어를 신규 단어 학습을 할 때 반복하여 학습할 있도록 설정하는 단계,

    (4-2) 상기 아는 단어를 첫 번째 반복하여 학습할 때는 최초 암기일로부터 1일이 지난 후 반복하여 학습할 있도록 설정하는 단계,

    (4-3) 상기 아는 단어를 두 번째 반복하여 학습할 때는 첫 번째 반복 학습일로부터 2일이 지난 후 반복하여 학습할 있도록 설정하는 단계,

    (4-4) 상기 아는 단어를 세 번째 반복하여 학습할 때는 두 번째 반복 학습일로부터 4일이 지난 후 반복하여 학습할 있도록 설정하는 단계,

    (4-5) 상기 아는 단어를 네 번째 반복하여 학습할 때는 세 번째 반복 학습일로부터 7일이 지난 후 반복하여 학습할 있도록 설정하는 단계,

    (4-6) 상기 알고 있는 단어를 다섯 번째 반복하여 학습할 때는 네 번째 반복 학습일로부터 30일이 지난 후 반복하여 학습할 있도록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외국어 단어 학습 시스템.
KR1020150099567A 2015-07-14 2015-07-14 외국어 단어 학습 서비스의 방법 및 시스템 KR2017000842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9567A KR20170008422A (ko) 2015-07-14 2015-07-14 외국어 단어 학습 서비스의 방법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9567A KR20170008422A (ko) 2015-07-14 2015-07-14 외국어 단어 학습 서비스의 방법 및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8422A true KR20170008422A (ko) 2017-01-24

Family

ID=579931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99567A KR20170008422A (ko) 2015-07-14 2015-07-14 외국어 단어 학습 서비스의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08422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815267A (zh) * 2020-06-19 2020-10-23 北京国音红杉树教育科技有限公司 一种外语学习及复习的方法及装置
CN111862707A (zh) * 2020-06-19 2020-10-30 北京国音红杉树教育科技有限公司 一种语言互译学习中评估用户记忆水平的方法及设备
KR102215546B1 (ko) 2019-08-09 2021-02-15 이재원 반복 학습과 복수 항목 동시 노출을 이용한 외국어 학습 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15546B1 (ko) 2019-08-09 2021-02-15 이재원 반복 학습과 복수 항목 동시 노출을 이용한 외국어 학습 장치
CN111815267A (zh) * 2020-06-19 2020-10-23 北京国音红杉树教育科技有限公司 一种外语学习及复习的方法及装置
CN111862707A (zh) * 2020-06-19 2020-10-30 北京国音红杉树教育科技有限公司 一种语言互译学习中评估用户记忆水平的方法及设备
CN111815267B (zh) * 2020-06-19 2024-01-19 北京国音红杉树教育科技有限公司 一种外语学习及复习的方法及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amalingam et al. Assessment of learning domains to improve student’s learning in higher education
Pazeto et al. Prediction of reading and writing in elementary education through early childhood education
Gouli et al. COMPASS: an adaptive web-based concept map assessment tool
CN107730200A (zh) 智能提醒用户学习单词的方法以及装置
CN110389969A (zh) 提供定制的学习内容的系统和方法
Kalyuga Cognitive load theory: Implications for affective computing
JP6322707B2 (ja) 学習リコメンデーションシミュレーションのシステム及び方法
Daniyarovna THE DIDACTIC MODEL OF ACTIVATING STUDENTS’INDEPENDENT WORK
Gluga et al. Mastering cognitive development theory in computer science education
Alkan et al. The relationship between metacognitive awareness, teacher self-efficacy and chemistry competency perceptions
Karagöl et al. The relationship among attitude, anxiety and English speaking performance
KR20170008422A (ko) 외국어 단어 학습 서비스의 방법 및 시스템
Stanley et al. Using lab notebooks to examine students’ engagement in modeling in an upper-division electronics lab course
CN109840867B (zh) 一种智能教学的方法、设备及装置
Tabuenca et al. Lifelong Learning Hub: A seamless tracking tool for mobile learning
KR20220128261A (ko) 인공지능 모델을 통해 학생의 학습을 관리하는 전자 장치, 및 학습 관리 방법
Mejía et al. BEDA: a computerized assessment battery for dyslexia in adults
KR101455688B1 (ko) 스마트 기기에서의 색 속성을 이용한 암기학습방법
Romanenko et al. Monitoring student performance using computer technology
Drvodelić et al. Preschool teachers’ attitudes towards the self-evaluation of preschool institutions
Renette et al. A content analysis of character education values in the english students’ textbooks for senior high school in Indonesia
Conforme et al. Application of diagnostic assessment on beginning school year
JP2015114658A (ja) テストと復習を一体化した学力計測装置及び学習自動管理システム
Rohaeni et al. Application of Web Based Ve. Rubric To the Performance Assessment Making Bed in SMK Hotel Accomodation
KR20160103660A (ko) 수준별 맞춤 주기반복을 통한 외국어 학습 시스템 및 그 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