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03660A - 수준별 맞춤 주기반복을 통한 외국어 학습 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수준별 맞춤 주기반복을 통한 외국어 학습 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03660A
KR20160103660A KR1020150026252A KR20150026252A KR20160103660A KR 20160103660 A KR20160103660 A KR 20160103660A KR 1020150026252 A KR1020150026252 A KR 1020150026252A KR 20150026252 A KR20150026252 A KR 20150026252A KR 20160103660 A KR20160103660 A KR 201601036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arning
word
pattern
user client
foreign langu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262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기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티쓰리엔터테인먼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티쓰리엔터테인먼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티쓰리엔터테인먼트
Priority to KR10201500262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103660A/ko
Publication of KR201601036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0366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G09B19/06Foreign languag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5/00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 G09B5/06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with both visual and audible presentation of the material to be studied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7/00Electrically-operated teaching apparatus or devices working with questions and answers
    • G09B7/02Electrically-operated teaching apparatus or devices working with questions and answers of the type wherein the student is expected to construct an answer to the question which is presented or wherein the machine gives an answer to the question presented by a stud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준별 맞춤 주기반복을 통한 외국어 학습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소정의 패턴에 의해 외국어의 단어 학습을 반복시키고, 소정의 주기별로 학습한 단어를 복습할 수 있는 수준별 맞춤 주기반복을 통한 외국어 학습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학습자로부터 외국어의 단어 또는 학습 과정을 선택받게 하는 단어 선택부, 상기 선택된 단어의 철자, 상기 단어에 대한 설명 및 상기 단어를 포함하는 예문 중 적어도 하나를 기설정된 복수의 학습 패턴에 따라 표시하는 단어 학습부 및 상기 복수의 학습 패턴과 각각의 학습 패턴에 대한 반복 횟수 및 반복 순서를 설정하는 반복 패턴을 저장하는 패턴 설정부를 구비하므로, 학습자가 학습하고자 하는 단어를 수준별로 선택하고 소정의 패턴에 따라 반복하여 학습할 수 있다.

Description

수준별 맞춤 주기반복을 통한 외국어 학습 시스템 및 그 방법{Foreign language learning system and method using the personalized level of repeat cycle}
본 발명은 수준별 맞춤 주기반복을 통한 외국어 학습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소정의 패턴에 의해 외국어의 단어 학습을 반복시키고, 소정의 주기별로 학습한 단어를 복습할 수 있는 수준별 맞춤 주기반복을 통한 외국어 학습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외국어 또는 모국어로 이루어진 단어를 제대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단어에 대한 학습이 필요하므로, 많은 사람들이 단어 학습을 위한 시간과 비용을 투자하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영어의 경우에는 세계 각국의 공용어로 사용되고 있으므로, 학생을 비롯하여 영어를 필요로 하는 모든 사람들에게 매우 절실하고 중요한 기본적인 학습이라 할 수 있다.
또한, 영어의 학습을 위해서는 영어 단어의 암기가 필수적으로 요구되게 되는데, 이를 위해, 영어단어 암기와 관련된 서적을 이용하거나 영어 사전에 기재된 영어 단어들을 별도의 단어장 또는 노트를 이용하게 되며, 대개는 하나의 영어 단어를 쓰고 발음하는 과정을 반복하여 수행한 후 다시 다른 영어 단어를 쓰고 발음하는 과정을 반복하는 방식으로 영어 단어를 암기하고 있다.
한편, 종래에는 영어 단어를 쓰고 발음하는 과정을 단순하게 반복하게 되므로, 순간적으로 영어 단어를 기억할 수는 있으나 소정 시간이 경과하게 되면 대개의 영어 단어를 잊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일 예로, 헤르만 에빙하우스(Hermann Ebbinghaus)가 제시한 망각 곡선(Forgetting curve) 가설에 따르면, 기억을 유지하려는 시도가 없을 경우 시간이 지나면서 기억의 손실이 발생하기 때문에 주기적인 반복 학습이 필요하다는 주장을 하였으며, 예컨대, 상기 망각 곡선에 의하면 특정 정보들을 기억한 후 10분이 지나면서 망각이 시작되고, 1시간이 경과하면 기억한 정보들 중에서 50%를 망각하게 되며, 1일이 경과하면 기억한 정보들 중에서 70%를 망각하게 되며, 1달이 경과하였을 때에는 기억한 정보들 중에서 80%를 망각하게 된다고 나타나 있다.
즉, 영어의 학습을 위해서는 영어 단어의 암기를 수행할 경우 주기적인 반복 학습을 통해 기억의 손실을 최소화해야 하나, 종래에는 일회성으로 영어단어를 쓰고 발음하는 과정을 수차례 반복한 후에는 주기적인 반복 학습을 더 수행하지 않으므로, 소정 시간이 경과하게 되면 학습 및 암기한 영어 단어를 대부분 잊게 되는 것이다.
또한, 동일한 단어를 동일한 방식으로 반복하여 쓰고 발음하는 과정을 수행하여야 하므로, 학습 자체에 많은 시간이 필요하고 학습자를 매우 지루하게 한다. 이로 인해, 영어 학습에 흥미를 잃는 학습자도 간혹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영어 단어와 같이 암기가 필요한 단어를 학습 시, 암기한 단어를 장시간 기억할 수 있고, 단어의 암기를 보다 쉽고 효율적으로 할 수 있게 하는 기술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학습자가 단어를 학습 또는 암기하고자 할 경우 보다 효율적인 반복 학습을 수행할 수 있게 하는 수준별 맞춤 주기반복을 통한 외국어 학습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단어의 반복 학습 시 각각 다른 양상으로 단어의 반복이 이루어지는 수준별 맞춤 주기반복을 통한 외국어 학습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복습을 통해 학습자의 기억력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는 수준별 맞춤 주기반복을 통한 외국어 학습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사용자 클라이언트가, 학습자로부터 학습하고자 하는 외국어의 단어 또는 상기 단어가 포함된 학습 과정을 선택받게 하는 단어 선택부; 상기 사용자 클라이언트가 상기 단어를 화면 상에 표시하되, 상기 단어의 철자, 상기 단어에 대한 의미와 품사를 포함하는 설명 및 상기 단어를 포함하는 예문 중 적어도 하나를 기설정된 복수의 학습 패턴에 따라 표시하게 하는 단어 학습부; 및 상기 사용자 클라이언트가, 상기 복수의 학습 패턴과 각각의 학습 패턴에 대한 반복 횟수 및 반복 순서를 설정하는 반복 패턴을 저장하게 하는 패턴 설정부;를 포함하는 외국어 학습 시스템을 제공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학습 패턴은 상기 단어 학습부가, 상기 사용자 클라이언트의 화면에서 상기 철자와 상기 설명을 표시하는 제 1학습 패턴, 상기 예문을 표시하는 제 2학습 패턴, 상기 철자를 표시하는 제 3학습 패턴 및 상기 철자와 상기 설명을 다시 표시하는 제 4학습 패턴을 포함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패턴 설정부는 상기 단어 학습부가, 상기 제 1학습 패턴 및 상기 제 2학습 패턴을 제 1세트로 하여 반복한 후, 상기 제 3학습 패턴 및 상기 제 4학습 패턴을 제 2세트로 하여 다시 반복하게 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클라이언트가, 학습이 완료된 단어인 학습 단어가 포함된 문제를 화면 상에 표시하게 하고, 사용자 입력을 통해 상기 문제에 대한 답을 입력받게 하는 단어 테스트부;를 더 포함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클라이언트가, 상기 단어 테스트부의 결과에 따른 미암기 단어의 추가 학습 과정을 사용자 입력을 통해 선택받게 하는 미암기 단어 학습부;를 더 포함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클라이언트가, 학습이 완료된 단어인 학습 단어의 학습 일자를 저장하게 하며, 학습자가 재접속할 경우 기설정된 시간 이내의 학습 일자를 갖는 학습 단어에 대하여 상기 학습 일자별로 복습 과정을 수행시키는 단어 복습부;를 더 포함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단어 복습부는 상기 사용자 클라이언트가, 상기 학습 일자가 30일, 6일 또는 1일을 경과한 학습 단어의 존재 여부를 판별하게 한 후, 상기 학습 단어에 대해 30회 복습, 7회 복습 또는 전회 복습을 수행시킨다.
또한, 본 발명은 (1) 사용자 클라이언트가, 학습자로부터 입력되는 사용자 입력을 통해 학습하고자 하는 외국어의 단어 또는 상기 단어가 포함된 학습 과정을 선택받는 단계; (2) 상기 사용자 클라이언트가 상기 단어를 화면 상에 표시하되, 상기 단어의 철자(spelling), 상기 단어에 대한 의미와 품사를 포함하는 설명 및 상기 단어를 포함하는 예문 중 적어도 하나를 기설정된 복수의 학습 패턴에 따라 표시하는 단계; 및 (3) 상기 사용자 클라이언트가, 상기 단어가 포함된 문제를 화면 상에 표시한 후 사용자 입력을 통해 상기 문제에 대한 답을 입력받는 단계;를 포함하는 외국어 학습 방법을 제공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 (2)단계에서 상기 사용자 클라이언트는, 각각의 학습 패턴에 대한 반복 횟수 및 반복 순서를 설정하는 반복 패턴에 따라 상기 철자, 상기 설명 및 상기 예문 중 적어도 하나를 반복하여 표시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 (2)단계에서 상기 복수의 학습 패턴은, 상기 사용자 클라이언트의 화면 상에, 상기 철자와 상기 설명을 표시하는 제 1학습 패턴, 상기 예문을 표시하는 제 2학습 패턴, 상기 철자를 표시하는 제 3학습 패턴 및 상기 철자와 상기 설명을 다시 표시하는 제 4학습 패턴을 포함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 (2)단계는, 상기 제 1학습 패턴 및 상기 제 2학습 패턴을 제 1세트로 하여 반복된 후, 상기 제 3학습 패턴 및 상기 제 4학습 패턴을 제 2세트로 하여 다시 반복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 (1)단계는 상기 사용자 클라이언트가, 기설정된 순서에 따라 학습할 단어가 선택되는 정규 학습과정을 사용자 입력을 통해 선택받거나, 사용자 입력에 따른 임의의 순서로 학습할 단어가 선택되는 자율 학습과정을 선택받게 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 (3)단계는 상기 사용자 클라이언트가, 상기 문제에 대한 답의 결과에 따라 미암기 단어를 분류한 후 상기 미암기 단어에 대한 추가 학습 과정을 더 선택받게 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 (1)단계 이전에, (A) 상기 사용자 클라이언트가, 학습이 완료된 단어인 학습 단어의 학습 일자에 따라, 학습자의 재접속 시 기설정된 시간 이내의 상기 학습 단어에 대한 복습 과정을 수행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A)단계에서 상기 사용자 클라이언트는, 상기 학습 일자가 30일, 6일 또는 1일을 경과한 학습 단어의 존재 여부를 판별한 후 각 학습 단어에 대해 30회 복습, 7회 복습 또는 전회 복습을 수행시킨다.
전술한 과제해결 수단에 의해 본 발명은 학습자로부터 외국어의 단어 또는 학습 과정을 선택받게 하는 단어 선택부, 상기 선택된 단어의 철자, 상기 단어에 대한 설명 및 상기 단어를 포함하는 예문 중 적어도 하나를 기설정된 복수의 학습 패턴에 따라 표시하는 단어 학습부 및 상기 복수의 학습 패턴과 각각의 학습 패턴에 대한 반복 횟수 및 반복 순서를 설정하는 반복 패턴을 저장하는 패턴 설정부를 구비하므로, 학습자가 학습하고자 하는 단어를 소정의 패턴에 따라 반복하여 학습할 수 있게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복수의 학습 패턴 및 반복 패턴에 따라 각각 다른 양상으로 단어의 반복이 이루어지므로, 학습자의 두뇌를 자극하여 보다 효율적인 학습 및 암기가 이루어질 수 있게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학습 일자를 기준으로 하여 학습 단어에 대한 주기적인 복습 과정을 수행시키는 단어 복습부를 구비하므로, 학습자가 학습 또는 암기한 단어를 장시간 기억할 수 있게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외국어 학습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a 및 도 2b는 정규 학습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a 내지 도 3c는 자율 학습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a 및 4b는 단어 학습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a 및 5b는 단어 테스트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외국어 학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복습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단어 학습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하기의 설명에서 본 발명의 특정 상세들이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나타나 있는데, 이들 특정 상세들 없이 또한 이들의 변형에 의해서도 본 발명이 용이하게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은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먼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준별 맞춤 주기반복을 통한 외국어 학습 시스템 및 그 방법은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도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하드웨어와 함께 동작하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소프트웨어는 하드디스크 드라이브, SSD, USB메모리 및 SD카드와 같이 공지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저장매체에 저장되어 상기 컴퓨터에서 읽혀짐으로써 상기 컴퓨터가 기능하게 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소프트웨어는 사용자 클라이언트에서 설치되어 동작하도록 구비된 것이거나 유,무선 통신망 또는 인터넷 망을 통해 접속가능한 웹 상의 서버 장치에 설치되어 동작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되, 본 발명에 따른 동작 및 작용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외국어 학습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2a 및 도 2b는 정규 학습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3a 내지 도 3c는 자율 학습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4a 및 4b는 단어 학습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5a 및 5b는 단어 테스트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5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외국어 학습 시스템은, 단어 선택부(110), 단어 학습부(120), 패턴 설정부(130), 단어 테스트부(140), 미암기 단어 학습부(150) 및 단어 복습부(1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외국어 학습 시스템은 퍼스널 컴퓨터, 스마트폰 및 태블릿 PC뿐만 아니라 용도에 따라 특이하게 제작된 산업용 및 개인용 컴퓨터 장치를 포함하는 사용자 클라이언트 상에 설치되어 동작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사용자 클라이언트에 구비된 입력수단, 예컨대, 키보드, 마우스 또는 터치스크린을 통해 학습자의 사용자 입력이 이루어지고, 상기 사용자 클라이언트에 구비된 제어수단, 예컨대, 마이크로프로세서 및 마이크로컨트롤러를 포함하는 반도체 소자에 의해 학습자의 단어 학습을 위한 제어, 연산 및 처리가 이루어지며, 상기 사용자 클라이언트에 구비된 표시수단, 예컨대, 모니터를 통해 학습자의 단어 학습을 위한 정보들이 표시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용자 클라이언트에 구비된 저장 수단, 예컨대, 하드디스크 또는 플래시 메모리에는 분야, 난이도 등의 기준에 의해 구분된 복수의 단어가 저장되게 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단어는 외국어로 이루어진 단어를 뜻하나, 모국어로 이루어진 단어가 사용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단어 학습 시스템을 웹 상의 서버 장치에 설치되어 동작하게 하고, 유,무선 통신망 또는 인터넷 망을 통해 상기 사용자 클라이언트가 상기 서버 장치에 접속하는 방식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상기 단어 선택부(110)는 학습자로부터 학습하고자 하는 단어 또는 상기 단어가 포함된 학습과정을 선택받기 위한 것으로, 상기 사용자 클라이언트가 학습자로부터 정규 학습과정의 수행을 위한 사용자 입력을 입력받게 하는 정규 학습 선택수단(111) 및 상기 사용자 클라이언트가 학습자로부터 자율 학습과정의 수행을 위한 사용자 입력을 입력받게 하는 자율 학습 선택수단(112)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정규 학습과정은 기설정된 순서에 따라 학습할 단어가 제공되며, 예컨대, 학습자의 학습 과정이 진행될수록 난이도가 높은 단어가 출현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자율 학습과정에서는 사용자 입력에 따른 임의의 순서로 학습할 단어를 선택할 수 있도록 구비된다. 이때, 상기 단어는 외국어로 이루어진 단어를 뜻하며, 상기 정규 학습과정을 통해 학습자는 보다 체계적인 외국어 학습을 수행할 수 있고, 상기 자율 학습과정은 학습자의 필요로 하는 외국어를 선택하여 수준별 맞춤 학습을 수행할 수 있게 한다.
또한, 상기 단어 선택부(110)는 상기 사용자 클라이언트의 화면에서 상기 정규 학습 선택수단(111) 및 상기 자율 학습 선택수단(112)을 표시한 후, 상기 사용자 클라이언트로 입력된 사용자 입력에 따라 특정 학습과정을 선택받을 수 있으며, 선택된 학습과정에 대한 단어의 학습 및 암기는 후술할 단어 학습부(120)를 통해 수행된다.
예컨대, 도 2a 및 도 2b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단어 선택부(110)는 상기 사용자 클라이언트의 화면에서 상기 정규 학습 선택수단(111)을 선택할 수 있는 선택창을 표시하고, 사용자 입력에 의해 상기 정규 학습 선택수단(111)에 대한 선택이 이루어지면 상기 정규 학습과정을 수행할 수 있도록 기설정된 순서의 단어들을 표시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정규 학습 선택수단(111)은 상기 사용자 클라이언트가, 상기 기설정된 순서의 단어들은 이미 학습한 단어들과 학습하지 않은 단어들로 구분하여 화면 상에 표시하며, 상기 학습하지 않은 단어들 중 학습자의 학습이 수행되어야 할 단어들에 체크 표시를 나타내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도 3a 내지 3c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단어 선택부(110)는 사용자 입력에 의해 상기 자율 학습 선택수단(112)이 선택될 경우, 상기 사용자 클라이언트가 상기 자율 학습과정의 수행을 위하여, 상기 사용자 클라이언트가 초등, 중등, 고등, 비즈니스 및 SAT로 구분된 학습 분야를 선택할 수 있는 선택창을 표시하게 한다
또한, 상기 단어 선택부(110)에서는 사용자 입력에 의해 특정 학습 분야가 선택되면 상기 특정 학습 분야에서의 학습 회차를 표시하고, 그 다음에는 학습자가 학습할 단어를 표시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자율 학습 선택수단(112) 및 상기 정규 학습 선택수단(111)에는 단어의 학습을 시작하기 위한 스타트 버튼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단어 학습부(120)는 학습자가 단어를 읽고 쓰며 듣는 학습을 수행하게 하는 것으로, 상기 사용자 클라이언트가 학습자의 사용자 입력으로부터 선택된 단어들을 정해진 시간동안 표시하게 하고, 학습자로부터 학습한 단어에 대한 사용자 입력을 입력받도록 구비된다.
또한, 상기 단어 학습부(120)는 상기 사용자 클라이언트가, 학습자의 사용자 입력으로부터 선택된 단어들에 대하여 상기 단어의 철자(spelling), 상기 단어에 대한 의미와 품사를 포함하는 설명 및 상기 단어를 포함하는 예문 중 적어도 하나를 화면에서 표시하게 한다.
또한, 상기 단어 학습부(120)에서는 기설정된 복수의 학습 패턴에 따라 복수의 단어가 각각 반복되며 표시된다. 이때, 상기 복수의 학습 패턴은 상기 사용자 클라이언트의 화면 상에 상기 철자와 상기 설명을 표시하는 제 1학습 패턴, 상기 예문을 표시하는 제 2학습 패턴, 상기 철자를 표시하는 제 3학습 패턴 및 상기 철자와 상기 설명이 다시 표시하는 제 4학습 패턴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복수의 학습 패턴이 수행되는 순서 및 반복 횟수 등은 후술할 패턴 설정부(130)를 통해 설정 및 저장될 수 있다.
또한, 도 4a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단어 학습부(120)는 상기 사용자 클라이언트가, 학습자의 학습할 단어를 화면의 소정 위치에 표시하게 하는 학습단어 표시수단(121), 상기 학습할 단어와 관련한 설명 또는 예문을 화면의 소정 위치에서 표시하게 하는 보충설명 표시수단(122), 상기 학습할 단어의 발음을 소리로 출력시키는 단어 발음 출력수단(123) 및 상기 학습할 단어를 학습자가 사용자 입력을 이용하여 직접 쓸 수 있게 하는 학습단어 입력수단(124)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도 4b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단어 학습부(120)는 학습자로부터 학습할 단어에 대한 사용자 입력이 이루어지면, 상기 사용자 클라이언트가 학습의 완료를 알리기 위한 학습 완료창을 화면에서 표시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즉, 학습자는 상기 단어 학습부(120)에 의해 표시되는 단어를 읽고 사용자 입력을 통해 쓰며 단어의 발음을 듣는 학습을 수행할 수 있으므로 정해진 시간안에 일정한 수의 단어를 학습할 수 있으며, 특정 단어 및 그 설명을 단순하게 반복하여 읽고 쓰는 것이 아니라 상기 복수의 학습 패턴에 따라 각각 다른 양상으로 학습을 반복하게 되므로, 보다 효율적인 반복 학습 및 암기를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상기 패턴 설정부(130)는 상기 단어 학습부(120)를 통해 학습자에게 반복적 학습 및 암기를 수행시키기 위한 것으로, 상기 복수의 학습 패턴과, 각각의 학습 패턴에 대한 반복 횟수 및 반복 순서를 포함하는 반복 패턴이 설정된다.
즉, 상기 패턴 설정부(130)는 상기 단어 선택부(110)를 통해 사용자 입력에 의해 선택된 복수의 단어를, 상기 사용자 클라이언트가 상기 단어 학습부(120)에서 어떤 순서로 표시하고 몇 회를 반복해야 하는지를 결정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패턴 설정부(130)는 각각의 단어에 대해, 상기 제 1학습 패턴은 10회, 상기 제 2학습 패턴은 2회, 상기 제 3학습 패턴은 1회 및 상기 제 4학습 패턴은 1회를 반복하도록 상기 반복 패턴이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패턴 설정부(130)는 상기 단어 학습부(120)에서 각각의 단어를 표시할 때, 상기 제 1학습 패턴 및 상기 제 2학습 패턴을 제 1세트로 하여 소정 횟수만큼 반복적으로 표시하게 한 후, 상기 제 3학습 패턴 및 상기 제 4학습 패턴을 제 2세트로 하여 소정 횟수만큼 다시 반복적으로 표시하도록 한다.
따라서, 학습자는 상기 제 1세트를 통해 반복적 학습을 수행한 후 동일한 단어에 대해 상기 학습 패턴이 변화한 상기 제 2세트를 통해 반복적 학습을 다시 수행할 수 있으므로, 학습자의 두뇌가 자극되어 보다 효율적인 학습 및 암기가 이루어질 수 있고 암기한 단어를 장시간 기억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단어 테스트부(140)는 학습자의 암기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테스트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학습이 완료된 단어인 학습 단어가 포함된 문제를 상기 사용자 클라이언트의 화면 상에 표시하고, 상기 사용자 클라이언트가 사용자 입력을 통해 상기 문제에 답을 입력받게 한다. 이때, 상기 학습 단어는, 학습자가 상기 단어 학습부(120)를 통해 학습한 단어일 수 있다.
또한, 도 5a 및 도 5b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단어 학습부(120)에서 각각의 단어에 대한 학습이 완료되면, 상기 단어 테스트부(140)는 상기 학습이 완료된 단어가 포함된 문장이 화면 상에 표시하며, 상기 문장에 대한 답을 사용자 입력을 통해 입력받아 정답과 오답을 판정하게 된다. 이때, 특정 단어의 테스트를 수행하였을 때, 기설정된 갯수 또는 점수를 달성하지 못하는 경우에는 미암기 단어로 분류되어 추가적인 학습을 수행하게 된다.
한편, 상기 단어 테스트부(140)는 상기 단어 학습부(120)를 통해 학습한 단어의 학습 횟수가 기설정된 횟수에 도달하였을 경우, 상기 단어에 대한 학습을 수행하지 않더라도 상기 테스트를 진행할 수 있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이때, 진행되는 테스트는 7회 내지 30회로 수행될 수 있다.
상기 미암기 단어 학습부(150)는 미암기 단어의 추가 학습 과정을 학습자가 수행할 수 있게 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사용자 클라이언트는 상기 단어 테스트부(140)에서 수행된 상기 테스트의 결과에 따라 상기 미암기 단어를 분류한 후, 상기 미암기 단어에 대한 추가 학습 과정을 사용자 입력을 통해 선택받게 된다.
이때, 상기 미암기 단어 학습부(150)는 상기 단어 선택부(110)와 동일한 화면 상에 표시되며, 사용자 입력에 의해 상기 추가 학습 과정이 선택되면 상기 단어 학습부(120)를 통해 상기 미암기 단어가 표시되게 한다.
즉, 학습자는 상기 미암기 단어 학습부(150)에 의해, 상기 미암기된 단어를 확인하고 추가 학습 및 테스트를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단어 복습부(160)는 학습이 완료된 단어인 학습 단어에 대한 주기적인 복습을 수행시키기 위한 것으로, 상기 사용자 클라이언트가 기설정된 시간 이내의 학습 일자를 갖는 학습 단어를 판별한 후 상기 판별된 학습 단어에 대한 복습 과정을 수행시키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단어 복습부(160)는 학습자가 재접속하는 경우에만 상기 복습 과정이 수행되게 하며, 상기 사용자 클라이언트가 상기 학습 단어에 대한 각각의 학습 일자를 저장하게 하여 상기 복습 과정이 주기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단어 복습부(160)는, 상기 사용자 클라이언트가 상기 학습 일자가 30일, 6일 또는 1일을 경과한 학습 단어의 존재 여부를 판별한 후, 상기 단어 학습부(120)를 통해 상기 학습 단어를 표시하고 상기 학습 단어의 철자를 사용자 입력을 통해 입력받는 방식으로 30회 복습, 7회 복습 또는 전회 복습을 수행시킬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단어 복습부(160)에 의한 상기 30회 복습, 상기 7회 복습 및 상기 전회 복습은 상기 학습 일자를 기준으로 수행되는 것이나, 상기 학습 일자 이외에도 학습 횟수, 학습 단계, 학습 순서 등의 기준을 이용하여 각각의 복습을 수행하게 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단어 복습부(160)에 의해 복습 과정이 수행되는 경우에도 상기 복수의 학습 패턴에 따라 각각의 단어가 표시되며, 각 학습 패턴의 반복 횟수는 상대적으로 적게 설정되게 된다.
예컨대, 상기 단어 복습부(160)는 상기 30회 복습, 상기 7회 복습 및 상기 전회 복습의 수행 시, 상기 단어 학습부(120)에서 상기 제 1학습 패턴을 2회 반복하고 상기 제 2학습 패턴을 1회 수행한 후 상기 제 3학습 패턴을 1회 수행시키도록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단어 복습부(160)에 의해 학습자는 일정한 주기별로 복습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한편, 헤르만 에빙하우스의 망각 곡선 가설에 따르면, 주기적인 반복 학습이 수행되지 않을 경우 특정 정보들을 기억한 후 1시간, 1일 및 1달이 경과하였을 때 각각의 정보들을 50%, 70% 및 80%를 망각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 단어 복습부(160)에 의해 상기 30회 복습, 상기 7회 복습 및 상기 전회 복습이 제공되므로, 학습자는 주기반복 학습을 통해 단어를 보다 장시간 기억할 수 있게 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단어 학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복습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단어 학습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단어 학습 시스템에서 수행되는 단어 학습 방법을 설명한다. 다만, 도 6 내지 도 8에 도시된 단어 학습 방법에서 수행되는 기능은 모두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 단어 학습 시스템에서 수행되므로, 명시적인 설명이 없어도,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 모든 기능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얼굴 인식 방법에서 수행되고,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하는 모든 기능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단어 학습 시스템에서 그대로 수행됨을 주의해야 한다.
먼저, 학습자가 사용자 클라이언트를 통해 재접속하게 되면, 단어 복습부에 의해 상기 사용자 클라이언트가 기설정된 시간 이내의 학습 단어에 대한 복습 과정을 수행시키게 된다(S100).
이때, 상기 학습 단어는 단어 학습부를 통해 학습을 완료한 외국어의 단어로서, 상기 단어 복습부는 상기 학습 단어의 학습 일자에 따라 상기 복습 과정을 수행시킬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복습 과정은 단어 학습부를 통해 수행된다.
예컨대, 도 7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단어 복습부는, 상기 사용자 클라이언트가 상기 학습 일자가 30일을 경과한 학습 단어의 존재 여부를 판별한 후(S110), 상기 학습 일자에 대응하는 학습 단어에 대해 30회 복습을 수행하게 한다(S120). 이때, 상기 학습 일자가 30일을 경과한 학습 단어가 존재하지 않은 경우 상기 30회 복습이 수행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상기 단어 복습부는 상기 사용자 클라이언트가 상기 학습 일자가 6일을 경과한 학습 단어의 존재 여부를 판별한 후(S130), 해당 학습 단어에 대해 7회 복습을 수행하게 한다(S140). 이때, 상기 학습 일자가 6일을 경과한 학습 단어가 존재하지 않은 경우 상기 7회 복습이 수행되지 않을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단어 학습부는, 상기 사용자 클라이언트가 상기 학습 일자가 1일을 경과한 학습 단어의 존재 여부를 판별한 후(S150), 해당 학습 단어에 대해 전회 복습을 수행하게 한다(S160).
한편, 학습자가 상기 사용자클라이언트를 통해 최초 접속한 경우에는 전술한 복습 과정이 수행되지 않고, 학습자가 학습한 이후에만 상기 복습 과정이 수행될 수 있다. 다만, 상기 복습 과정은 상기 학습 일자를 기준으로 수행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상기 학습 일자 이외에도 학습 횟수, 학습 단계, 학습 순서 등의 기준으로 하여 상기 복습 과정이 수행될 수도 있다.
다음, 단어 학습부에 의해, 상기 사용자 클라이언트는 학습자로부터 신규 단어를 선택받아 상기 신규 단어를 화면 상에 표시하며, 학습자가 신규 단어를 학습 및 암기하는 학습 과정을 수행할 수 있게 한다(S200).
이때, 도 8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사용자 클라이언트는 단어 선택부를 통해, 학습자가 학습하고자 하는 단어 또는 상기 단어가 포함된 학습 과정을 선택받는다(S210).
이때, 상기 단어 선택부는 기설정된 순서로 학습할 단어가 제공되는 정규 학습과정 및 사용자 입력에 따라 임의의 단어를 선택할 수 있는 자율 학습과정을 상기 사용자 클라이언트의 화면 상에 표시하고, 사용자 입력에 따른 선택이 이루어지도록 구비될 수 있다.
다음, 상기 사용자 클라이언트는 상기 선택된 단어를 단어 학습부를 통해 표시하게 된다(S220).
이때, 상기 단어 학습부는 상기 선택된 단어의 철자(spelling), 상기 단어에 대한 의미와 품사를 포함하는 설명 및 상기 단어를 포함하는 예문 중 적어도 하나를 기설정된 복수의 학습 패턴에 따라 표시하게 된다.
또한, 상기 단어 학습부는 사용자 입력을 통해 학습자가 상기 단어를 입력할 수 있도록 구비되며, 상기 단어의 발음을 소리로 출력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즉, 학습자는 상기 사용자 클라이언트의 화면에 표시된 단어를 보고 사용자 입력을 통해 상기 표시된 단어를 쓰며 상기 표시된 단어의 발음을 들으면서, 읽고 쓰며 듣는 학습 및 암기를 수행할 수 있다.
다음, 패턴 설정부에 의해, 상기 단어 학습부에서 반복적으로 상기 철자, 상기 설명 및 상기 예문 중에서 적어도 하나가 표시되며, 기설정된 반복 횟수만큼 반복되게 된다(S230).
이때, 상기 패턴 설정부에는 상기 복수의 학습 패턴 및 각각의 학습 패턴에 대한 반복 횟수 및 반복 순서가 설정된 반복 패턴이 저장되며, 상기 패턴 설정부는 상기 사용자 클라이언트가 상기 반복 패턴에 따라 각각의 학습 패턴을 반복하여 상기 단어 학습부를 통해 화면 상에 표시게 한다.
또한, 상기 복수의 학습 패턴은 상기 사용자 클라이언트의 화면 상에, 상기 철자와 상기 설명을 표시하는 제 1학습 패턴, 상기 예문을 표시하는 제 2학습 패턴, 상기 철자를 표시하는 제 3학습 패턴 및 상기 철자와 상기 설명을 다시 표시하는 제 4학습 패턴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패턴 설정부에 의해, 상기 사용자 클라이언트는 상기 제 1학습 패턴 및 상기 제 2학습 패턴을 제 1세트로 하여 상기 선택된 단어를 화면 상에 반복적으로 표시한 후, 상기 제 3학습 패턴 및 상기 제 4학습 패턴을 제 2세트로 하여 상기 선택된 단어를 화면 상에 반복적으로 다시 표시하게 된다.
또한, 상기 패턴 설정부에 의해 각각의 학습 패턴이 기설정된 반복 횟수만큼 반복되게 되며, 예컨대, 상기 제 1학습 패턴은 10회, 상기 제 2학습 패턴은 2회, 상기 제 3학습 패턴은 1회 및 상기 제 4학습 패턴은 1회를 반복하도록 상기 반복 패턴이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세트 및 상기 제 2세트의 경우에도 반복하여 수행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상기 제 2세트의 경우에는 8회를 반복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따라서, 학습자가 특정 단어 및 그 설명을 단순하게 반복하여 읽고 쓰는 것이 아니라, 상기 학습 패턴에 따라 각각 다른 양상으로 학습을 반복하고, 상기 제 1세트까지 학습이 완료되면 상기 각 학습 패턴의 반복 횟수가 변경된 상기 제 2세트를 수행하게 되므로, 학습자의 두뇌를 자극하여 보다 효율적인 암기가 이루어질 수 있다.
다음, 상기 사용자 클라이언트는 상기 단어 학습부에서 표시된 단어에 대하여, 암기 여부의 확인을 위한 테스트를 화면 상에 표시하게 된다(S300).
이때, 상기 사용자 클라이언트는, 단어 테스트부에 의하여 상기 복수의 학습 패턴에 따라 표시된 단어가 포함된 문장 또는 문제를 화면 상에 표시하게 된다. 또한, 상기 테스트를 통해 학습자는 학습한 단어에 대한 암기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테스트의 결과에 따라, 미암기 단어에 대한 추가 학습이 더 제공될 수도 있다. 예컨대, 상기 사용자 클라이언트는 상기 테스트의 결과에 따라 미암기 단어를 분류한 후 사용자 입력을 통해 상기 미암기 단어에 대한 추가 학습을 선택받아, 상기 단어 학습부에서 상기 미암기 단어를 표시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한편, 학습자가 반복적으로 학습한 단어를 매번 반복하여 상기 테스트를 수행하는 과정은 번거로울 수 있으므로, 특정 단어의 학습 횟수가 기설정된 횟수에 도달하게 되면 별도의 학습을 더 수행하지 않더라도 상기 특정 단어에 대한 테스트를 즉시 진행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와 같은 특정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주 내에서 적절하게 변경 가능한 것이다.
110 : 단어 선택부
111 : 정규 학습 선택수단
112 : 자율 학습 선택수단
120 : 단어 학습부
130 : 패턴 설정부
140 : 단어 테스트부
150 : 미암기 단어 학습부

Claims (15)

  1. 사용자 클라이언트가, 학습자로부터 학습하고자 하는 외국어의 단어 또는 상기 단어가 포함된 학습 과정을 선택받게 하는 단어 선택부;
    상기 사용자 클라이언트가 상기 단어를 화면 상에 표시하되, 상기 단어의 철자, 상기 단어에 대한 의미와 품사를 포함하는 설명 및 상기 단어를 포함하는 예문 중 적어도 하나를 기설정된 복수의 학습 패턴에 따라 표시하게 하는 단어 학습부; 및
    상기 사용자 클라이언트가, 상기 복수의 학습 패턴과 각각의 학습 패턴에 대한 반복 횟수 및 반복 순서를 설정하는 반복 패턴을 저장하게 하는 패턴 설정부;를 포함하는 외국어 학습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학습 패턴은 상기 단어 학습부가, 상기 사용자 클라이언트의 화면에서 상기 철자와 상기 설명을 표시하는 제 1학습 패턴, 상기 예문을 표시하는 제 2학습 패턴, 상기 철자를 표시하는 제 3학습 패턴 및 상기 철자와 상기 설명을 다시 표시하는 제 4학습 패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국어 학습 시스템.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패턴 설정부는 상기 단어 학습부가, 상기 제 1학습 패턴 및 상기 제 2학습 패턴을 제 1세트로 하여 반복한 후, 상기 제 3학습 패턴 및 상기 제 4학습 패턴을 제 2세트로 하여 다시 반복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국어 학습 시스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클라이언트가, 학습이 완료된 단어인 학습 단어가 포함된 문제를 화면 상에 표시하게 하고, 사용자 입력을 통해 상기 문제에 대한 답을 입력받게 하는 단어 테스트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국어 학습 시스템.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클라이언트가, 상기 단어 테스트부의 결과에 따른 미암기 단어의 추가 학습 과정을 사용자 입력을 통해 선택받게 하는 미암기 단어 학습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국어 학습 시스템.
  6. 제 1항 내지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클라이언트가, 학습이 완료된 단어인 학습 단어의 학습 일자를 저장하게 하며, 학습자가 재접속할 경우 기설정된 시간 이내의 학습 일자를 갖는 학습 단어에 대하여 상기 학습 일자별로 복습 과정을 수행시키는 단어 복습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국어 학습 시스템.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단어 복습부는 상기 사용자 클라이언트가, 상기 학습 일자가 30일, 6일 또는 1일을 경과한 학습 단어의 존재 여부를 판별하게 한 후, 상기 학습 단어에 대해 30회 복습, 7회 복습 또는 전회 복습을 수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국어 학습 시스템.
  8. (1) 사용자 클라이언트가, 학습자로부터 입력되는 사용자 입력을 통해 학습하고자 하는 외국어의 단어 또는 상기 단어가 포함된 학습 과정을 선택받는 단계;
    (2) 상기 사용자 클라이언트가 상기 단어를 화면 상에 표시하되, 상기 단어의 철자(spelling), 상기 단어에 대한 의미와 품사를 포함하는 설명 및 상기 단어를 포함하는 예문 중 적어도 하나를 기설정된 복수의 학습 패턴에 따라 표시하는 단계; 및
    (3) 상기 사용자 클라이언트가, 상기 단어가 포함된 문제를 화면 상에 표시한 후 사용자 입력을 통해 상기 문제에 대한 답을 입력받는 단계;를 포함하는 외국어 학습 방법.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제 (2)단계에서 상기 사용자 클라이언트는, 각각의 학습 패턴에 대한 반복 횟수 및 반복 순서를 설정하는 반복 패턴에 따라 상기 철자, 상기 설명 및 상기 예문 중 적어도 하나를 반복하여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국어 학습 방법.
  10.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제 (2)단계에서 상기 복수의 학습 패턴은, 상기 사용자 클라이언트의 화면 상에, 상기 철자와 상기 설명을 표시하는 제 1학습 패턴, 상기 예문을 표시하는 제 2학습 패턴, 상기 철자를 표시하는 제 3학습 패턴 및 상기 철자와 상기 설명을 다시 표시하는 제 4학습 패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국어 학습 방법.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제 (2)단계는, 상기 제 1학습 패턴 및 상기 제 2학습 패턴을 제 1세트로 하여 반복된 후, 상기 제 3학습 패턴 및 상기 제 4학습 패턴을 제 2세트로 하여 다시 반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국어 학습 방법.
  12.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제 (1)단계는 상기 사용자 클라이언트가, 기설정된 순서에 따라 학습할 단어가 선택되는 정규 학습과정을 사용자 입력을 통해 선택받거나, 사용자 입력에 따른 임의의 순서로 학습할 단어가 선택되는 자율 학습과정을 선택받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국어 학습 방법.
  13.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제 (3)단계는 상기 사용자 클라이언트가, 상기 문제에 대한 답의 결과에 따라 미암기 단어를 분류한 후 상기 미암기 단어에 대한 추가 학습 과정을 더 선택받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국어 학습 방법.
  14. 제 8항 내지 제 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단계 이전에,
    (A) 상기 사용자 클라이언트가, 학습이 완료된 단어인 학습 단어의 학습 일자에 따라, 학습자의 재접속 시 기설정된 시간 이내의 상기 학습 단어에 대한 복습 과정을 수행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국어 학습 방법.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A)단계에서 상기 사용자 클라이언트는, 상기 학습 일자가 30일, 6일 또는 1일을 경과한 학습 단어의 존재 여부를 판별한 후 각 학습 단어에 대해 30회 복습, 7회 복습 또는 전회 복습을 수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국어 학습 방법.
KR1020150026252A 2015-02-25 2015-02-25 수준별 맞춤 주기반복을 통한 외국어 학습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6010366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6252A KR20160103660A (ko) 2015-02-25 2015-02-25 수준별 맞춤 주기반복을 통한 외국어 학습 시스템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6252A KR20160103660A (ko) 2015-02-25 2015-02-25 수준별 맞춤 주기반복을 통한 외국어 학습 시스템 및 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03660A true KR20160103660A (ko) 2016-09-02

Family

ID=569428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26252A KR20160103660A (ko) 2015-02-25 2015-02-25 수준별 맞춤 주기반복을 통한 외국어 학습 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103660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861374A (zh) * 2020-06-19 2020-10-30 北京国音红杉树教育科技有限公司 一种外语复习机制及装置
WO2021096150A1 (ko) * 2019-11-13 2021-05-20 팬 후앙고든 언어 학습을 위한 커스텀 레슨 모듈을 생성하는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096150A1 (ko) * 2019-11-13 2021-05-20 팬 후앙고든 언어 학습을 위한 커스텀 레슨 모듈을 생성하는 방법
CN111861374A (zh) * 2020-06-19 2020-10-30 北京国音红杉树教育科技有限公司 一种外语复习机制及装置
CN111861374B (zh) * 2020-06-19 2024-02-13 北京国音红杉树教育科技有限公司 一种外语复习机制及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rciuli Reading as statistical learning
Rogers et al. Testing aptitude: Investigating Meara’s (2005) LLAMA tests
Treiman et al. Statistical learning in word reading and spelling across languages and writing systems
CN107730200A (zh) 智能提醒用户学习单词的方法以及装置
Biemiller et al. Models of vocabulary acquisition: Direct tests and text-derived simulations of vocabulary growth
US9536438B2 (en) System and method for customizing reading materials based on reading ability
Musti-Rao et al. Training for fluency and generalization of math facts using technology
Pritchard et al. Modelling the implicit learning of phonological decoding from training on whole-word spellings and pronunciations
Hou et al. Modeling language learning using specialized Elo rating
Cheatham et al. How does independent practice of multiple-criteria text influence the reading performance and development of second graders?
US10373516B2 (en) Method for facilitating contextual vocabulary acquisition through association
Woore Thinking aloud about L2 decoding: an exploration of the strategies used by beginner learners when pronouncing unfamiliar French words
Schmalz et al. Quantifying the reliance on different sublexical correspondences in German and English
KR20170031808A (ko) 반복 노출을 이용한 단어 암기 학습 방법
Kim et al. Letter features as predictors of letter-name acquisition in four languages with three scripts
Schmalz et al. Effects of complexity and unpredictability on the learning of an artificial orthography
KR20220128261A (ko) 인공지능 모델을 통해 학생의 학습을 관리하는 전자 장치, 및 학습 관리 방법
KR101969085B1 (ko) 외국어 학습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외국어 학습방법
Primativo et al. Bilingual vocabulary size and lexical reading in Italian
KR20160103660A (ko) 수준별 맞춤 주기반복을 통한 외국어 학습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70128045A (ko) 가이드 타입의 수학 사전 시스템
KR20190143057A (ko) 한자와 중국어의 병행 학습이 가능한 온라인 학습 시스템 및 방법
Tóth et al. Adaptive specialization in position encoding while learning to read
Tibi et al. The contributions of letter features to Arabic letter knowledge for Arabic-speaking kindergartners
KR102237118B1 (ko) 뇌과학 기반 학습 기억 방법 및 시스템 그리고 기록 매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