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08185A - 비즈니스 아이디어 구체화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비즈니스 아이디어 구체화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08185A
KR20170008185A KR1020160088266A KR20160088266A KR20170008185A KR 20170008185 A KR20170008185 A KR 20170008185A KR 1020160088266 A KR1020160088266 A KR 1020160088266A KR 20160088266 A KR20160088266 A KR 20160088266A KR 20170008185 A KR20170008185 A KR 201700081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rver
user terminal
idea
question
busin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882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79482B1 (ko
Inventor
구본섭
배한나
서지명
윤지훈
Original Assignee
(주)모스트비주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모스트비주얼 filed Critical (주)모스트비주얼
Publication of KR201700081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81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794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794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7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Econom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rketing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새로운 비즈니스 아이디어를 발굴하고 구체적인 사업 모델로 발전시킬 수 있는 비즈니스 아이디어 구체화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비즈니스 아이디어 구체화 서비스 제공 방법은, 서버접속단계, 문제공유 및 테마선정 단계, 퍼소나카드 선택단계, 문제질문 선정단계, 문제원인 도출단계, 및 해결방안도출 및 정리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고객경험 중심, 비즈니스 요소간 관계성 파악, 각 요소의 실행계획간의 균형을 이룬 최근 비즈니스 유형에 좀 더 적합한 툴킷(toolkit)을 제시하여 창업기업 및 예비 창업자들이 철저하게 고객 중심적 사고 기반의 근본적 문제원인 해결형의 혁신적 아이디어 발굴 및 개발을 가능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비즈니스 아이디어 구체화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of business idea refinement service}
본 발명은 새로운 비즈니스 아이디어를 발굴하고 구체적인 사업 모델로 발전시킬 수 있는 비즈니스 아이디어 구체화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근래에 미국 실리콘밸리(Silicon Valley)를 중심으로 전 세계적으로 창업 열풍이 불면서 자신의 창의적인 아이디어를 선보여 새로운 사업모델을 만들고 크라우드 펀딩(crowd funding) 등을 통해서 투자받는 창업기업들이 점차 늘어나고 있다.
그러나 창업기업들의 성공률은 희박한 편으로 특히 비즈니스 모델(Business Model), 아이디어 도출 등과 같은 분야에 기본 지식이 없는 창업자 혹은 창업팀의 경우 난이도 높은 방대한 지식을 이해하는데 상당한 노력을 따로 기울여야 하는 어려움을 겪고 있는 실정이다.
이 같은 실정을 극복하기 위하여 정부 및 민간지원단체 등에서 최근 비즈니스 모델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각종 툴킷(toolkit)들을 소개하고 있으며 이에 여러 창업자 혹은 예비 창업자들도 관련 서적과 툴킷, 교육 자료들을 직접 자신의 사업에 적용해보는 사례들이 증가하고 있다.
특히, 알렉산더 오스터왈드(Alexander Osterwalder)의 'Business Model Canvas', 그리고 에릭 리스(Eric Ries)의 'Lean Canvas'와 같은 툴킷이 창업 기업의 사업모델을 구축하는데 간단하면서도 핵심적인 내용을 지니고 있어 많은 이들에게 사랑받고 있다.
그러나, 기존 비즈니스 모델 캔버스의 경우 개발된지 상당한 시간이 흐른 모델로 최근의 고객경험 중심 비즈니스의 시대에 비즈니스 구성요소간의 관계성만을 파악하기에는 모델의 일부 수정이 불가피해졌다.
최근 유행처럼 번지고 있는 서비스 디자인의 경우 고객 경험 개선을 최우선으로 하는 부분에서 최근의 시대상을 반영하고 있다고 볼 수 있으나 이를 구체화하여 사업화에 이르기 위한 구체적인 실행계획을 세우기 위한 부분이 부족해 한계점으로 파악되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863347호(등록일자: 2008.10.07.) "우주를 모델로 하는 경제개념 도입 게임보드 및 그게임방법"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위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의 목적은 고객경험 중심, 비즈니스 요소간 관계성 파악, 각 요소의 실행계획간의 균형을 이룬 최근 비즈니스 유형에 좀 더 적합한 툴킷(toolkit)을 제시하여 창업기업 및 예비 창업자들이 철저하게 고객 중심적 사고 기반의 근본적 문제원인 해결형의 혁신적 아이디어 발굴 및 개발을 가능하게 하는 비즈니스 아이디어 구체화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빠른 시간내에 반복적으로 활용함으로써 신속하게 아이디어를 개선할 수 있으며 팀원간의 아이디어 교류와 더 나아가 팀원간 역량을 강화할 수 있는 기회를 가질 수 있게 하는 비즈니스 아이디어 구체화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여기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비즈니스 아이디어 구체화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비즈니스 아이디어 구체화 서비스 제공 방법은, 복수 개의 사용자 단말이 유무선의 통신망을 통해 서버에 접속하여 새로운 비즈니스 아이디어의 발굴 및 구체화를 위한 가상의 프로젝트룸을 개설하거나 이미 형성되어 진행중인 프로젝트룸에 참여하는 서버접속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은 일상의 불편한 문제들을 입력하여 서로 공유하고, 상기 서버는 상기 문제들 중 유사한 내용을 그룹핑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의 투표를 통해 테마를 선정하는 문제공유 및 테마선정 단계; 상기 서버는 상기 사용자 단말로 미리 정해진 각각의 캐릭터의 라이프스타일 정보를 포함하는 다수의 퍼소나 카드를 분배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라이프스타일 정보를 기초로 상기 테마의 해결을 원하는 고객을 찾기 위해 상기 퍼소나 카드 중 하나를 선택하는 퍼소나카드 선택단계; 상기 서버는 가장 많이 선택된 상기 퍼소나 카드를 고객 퍼소나로 선정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로 통지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테마를 상기 고객 퍼소나의 상기 라이프스타일 정보를 반영하여 질문 형식으로 예비문제질문들을 입력하고, 상기 서버는 상기 예비문제질문들에 대해 상기 사용자 단말의 투표를 거쳐 문제질문을 선정하는 문제질문 선정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문제질문에 대하여 상기 고객 퍼소나의 입장에서 문제의 원인들을 입력하고, 상기 서버는 상기 문제의 원인들 중 유사한 내용을 그룹핑하여 다수의 주요원인들을 도출하는 문제원인 도출단계; 및 상기 서버는 각각의 상기 사용자 단말로 미리 정해진 다수의 아이디어 카드를 배포하고, 각각의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주요원인들에 대한 해결방안을 상기 아이디어 카드를 이용해 도출하여 상기 서버로 전송하며, 상기 서버는 상기 해결방안을 한 문장의 콘셉트로 정리하여 각각의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달하는 해결방안도출 및 정리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즈니스 아이디어 구체화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은 고객경험 중심, 비즈니스 요소간 관계성 파악, 각 요소의 실행계획간의 균형을 이룬 최근 비즈니스 유형에 좀 더 적합한 툴킷(toolkit)을 제시하여 창업기업 및 예비 창업자들이 철저하게 고객 중심적 사고 기반의 근본적 문제원인 해결형의 혁신적 아이디어 발굴 및 개발을 가능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즈니스 아이디어 구체화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은 빠른 시간내에 반복적으로 활용함으로써 신속하게 아이디어를 개선할 수 있으며 팀원간의 아이디어 교류와 더 나아가 팀원간 역량을 강화할 수 있는 기회를 가질 수 있게 하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전술한 발명의 내용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비즈니스 아이디어 구체화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2는 도 1의 서버의 세부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프로젝트룸에 표시되는 보드를 예시하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브레인스토밍을 통해 아이디어를 정리하는 방법을 예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퍼소나 카드의 구성 및 사용법을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도 5의 여러 종류의 퍼소나 카드를 예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원인질문을 형성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아이디어 카드의 구성 및 사용법을 나타내는 도면
도 9 및 도 10은 도 8의 여러 종류의 아이디어 카드를 예시한 도면
도 11 및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차별화 시트를 작성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
도 1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액션플랜 시트를 나타내는 도면
도 1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 따른 비즈니스 아이디어 구체화 서비스 제공 방법의 개략적인 절차도
도 15 내지 도 1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 따른 비즈니스 아이디어 구체화 서비스 제공 방법의 메뉴트리 및 전체적인 과정을 세부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은 명확한 설명을 위해 일부가 간략하거나 과장되게 표현되었다.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도시되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포함(또는 구비)한다'로 언급된 구성 요소 및 동작은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및 동작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더불어,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비즈니스 아이디어 구체화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이고, 도 2는 도 1의 서버의 세부 구성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프로젝트룸에 표시되는 보드를 예시하는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브레인스토밍을 통해 아이디어를 정리하는 방법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비즈니스 아이디어 구체화 서비스 제공 시스템(10)은 사용자 단말(100), 서버(200) 및 통신망(300)을 포함한다. 이러한 비즈니스 아이디어 구체화 서비스 제공 시스템(10)은 비즈니스 모델(Business Model)에 기반하여 새로운 비즈니스 아이디어(Business Idea)를 발굴하고 구체화시킬 수 있다.
서버(200)는 데이터베이스(210), 통신모듈(220), 프로젝트룸 개설모듈(230), 프로젝트 진행모듈(240), 아이디어 정리모듈(250) 및 제어모듈(260)을 포함한다. 여기서 제어모듈(260)은 데이터베이스(210), 통신모듈(220), 프로젝트룸 개설모듈(230), 프로젝트 진행모듈(240) 및 아이디어 정리모듈(250)을 모두 제어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00)은 유무선의 통신망(300)을 통해 서버(200)에 접속한다. 이러한 사용자 단말(100)은 적어도 2 이상, 즉 복수 개로 제공될 수 있다(100-1 내지 100-N, N은 자연수).
사용자 단말(100)은 서버(200)의 통신모듈(220)을 통해 접속하여 비즈니스 아이디어 구체화 서비스 프로그램을 다운로드하여 실행할 수 있다. 이러한 비즈니스 아이디어 구체화 서비스 프로그램은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 소프트웨어의 형태로 제공되어 사용자 단말(100)에 설치될 수도 있다. 여기서, 사용자 단말(100)은 스마트폰, 휴대용 스마트기기, 개인용 컴퓨터(PC), 넷북 등의 다양한 단말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00)은 서버(200)에 접속하여 새로운 비즈니스 아이디어의 발굴 및/또는 구체화를 위한 가상의 프로젝트룸(PR)을 개설하거나, 이미 형성되어 진행중인 프로젝트룸(PR)에 참여할 수 있다.
프로젝트룸 개설모듈(230)은 사용자 단말(100)의 요청에 따라 프로젝트룸(PR)을 개설할 수 있다. 프로젝트룸 개설모듈(230)은 프로젝트룸(PR)에 접속 가능한 사용자 단말(100)의 숫자나 권한을 제한할 수 있다.
물론, 프로젝트룸(PR)에 접속 가능한 사용자 단말(100)의 개수 및/또는 권한은 프로젝트룸(PR)의 개설을 요청한 사용자 단말(100)의 설정에 따라 적절히 변경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실시예에 따라, 도 3을 참조하면, 프로젝트룸(PR)에는 그 배경으로 미리 정해진 영역별로 구획되어 아이디어 구체화 과정에 따라 각각의 세부 과정이 숫자, 문자 및 그림으로 도시화된 보드(B)가 제공될 수 있다. 비즈니스 아이디어 구체화 서비스 제공 과정은 진행 상황에 따라 이러한 보드(B) 상에서 해당 영역이 반전되면서 순차적으로 진행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 단말(100)이 서버(200)에 접속시 사용자 단말(100)은 회원가입이나 로그인(log-in) 등을 통해 프로젝트룸(PR)에서 자신만의 고유 캐릭터 또는 아바타(avatar) 등으로 표시될 수 있다.
프로젝트 진행모듈(240)은 신규 아이디어의 발굴 및/또는 구체화 등 프로젝트 전반적인 프로세스를 진행한다.
각각의 사용자 단말(100)은 일상의 불편한 문제들(Problem, P)을 입력하여 서로 공유한다. 즉, 각각의 사용자 단말(100)은 일상 또는 주변의 불편했던 문제들(P)을 서버(200)에 미리 정해진 개수(예: 5개 등) 이상 전송하여 서버(200) 상에서 이러한 문제들(P)을 다른 사용자 단말(100)들과 함께 상호 공유할 수 있다.
서버(200)가 제공하는 프로젝트룸(PR)에서 각각의 사용자 단말(100)은 '무엇이 문제인가' 즉, "무엇이 당신을 불편하게 했는가"라는 주제를 가지고 다른 사용자 단말(100)들과 즉, 팀원들과 함께 이야기를 주고받는다.
특히, 사용자 단말(100)들은 일상에서 경험했던 불편하고 화나게 한 감정을 서로 공유하며 자신의 이야기를 풀어놓는다. 이 과정에서는 무엇이 문제이고 원인인지 처음부터 정하지 않고 큰 범주에서부터 문제를 바라볼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러한 공유 과정은 브레인스토밍(Brainstorming)을 통해 수행될 수 있다.
서버(200)는 이러한 문제들(P) 중 유사하거나 공통적인 내용을 묶거나 선별하여 그룹핑(grouping)하고, 각 그룹에 네이밍(naming)을 수행한다. 이러한 과정은 아이디어 정리모듈(250)을 통해 수행될 수 있다. 아이디어 정리모듈(250)은 키워드 추출부(251), 그룹핑부(252) 및 네이밍부(253)를 포함한다.
즉, 키워드 추출부(251)는 문제들(P) 중 주요 단어를 추출한다. 그룹핑부(252)는 주요 단어 중 유사하거나 공통적인 내용을 선별하여 묶는다. 필요에 따라, 그룹핑부(252)는 재그룹핑을 할 수도 있다. 이후, 네이밍부(253)는 각 그룹에 대하여 주요 단어, 문제의 해결방안 방향 및 명사형 어미 등의 적절한 조합을 통해 네이밍을 수행한다. 문제들(P)로부터 추출되는 주요 단어의 포괄명칭 등을 포함?여 네이밍을 위한 기초자료 등은 사전에 데이터베이스(210)에 저장될 수 있다.
이후, 서버(200)의 프로젝트 진행모듈(240)은 네이밍된 각 그룹에 대하여 사용자 단말(100)의 투표를 통해 하나의 테마(Theme, T)를 선정한다. 이와 같이 선정된 테마(T)는 데이터베이스(210)에 저장된다.
각각의 사용자 단말(100)은 자연스럽게 일상에서 경험했거나 관찰했던 내용들을 팀원들과 공유하고 공감대가 형성될 수 있는 적합한 테마(T)를 선정한다. 브레인스토밍을 통해 나온 문제들(P) 중에서 하나의 문제점을 선택해 메인의 테마(T)를 만들어낸다.
상기와 같이, 서버(200)는 각각의 사용자 단말(100)이 제시하는 많은 의견의 효율적 정리를 위해 어피니티 다이어그램(Affinity Diagram) 등을 활용할 수 있다.
어피니티 다이어그램은 방대한 양의 데이터를 간단한 방법으로 규칙을 찾을 수 있는 분석 기법으로, 여러 현상에서 규칙, 패턴을 찾아냈다면 데이터들을 구조화시킬 수 있다. 연관된 단어들을 그룹별로 분류하고 키워드를 도출하여 상향식으로 전개해 나가는 방식이다.
예를 들어, 반려동물 케어와 관련하여 「강아지 밥 주는 걸 잊고 출근했는데 야근을 하게 되어 걱정되고 초조해진다. 요새 강아지가 나 없는 동안 계속 짖는다는 걸 이웃에게 들었는데 신경이 쓰인다. 밥을 넉넉히 주는데도 반려동물이 쓰레기통을 뒤지거나 말썽을 부린다.」라는 문제(P)에 대해 서버(200)는 강아지, 짖는다, 쓰레기통, 말썽 등의 키워드를 추출하고 이를 일반화하여 반려동물(또는 애완동물) 또는 반려동물의 케어 등으로 그룹화하고, 이 그룹에 '반려동물의 스트레스 완화'라는 네이밍을 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서버(200)가 각 사용자 단말(100)의 브레인스토밍을 통해 문제들(P)을 도출하고 어피니티 다이어그램을 통해 정리하는 일련의 과정 즉, 브레인스토밍(Brainstorming)-그룹핑(Grouping)-재그룹핑(Re-Grouping)-네이밍(Naming)-선택(Selection)의 순서를 도 4에서 보여주고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퍼소나 카드의 구성 및 사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6은 도 5의 여러 종류의 퍼소나 카드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서버(200)는 각각의 사용자 단말(100)로 미리 정해진 각각의 캐릭터의 라이프스타일 정보(LI)를 포함하는 다수의 퍼소나 카드(Persona Card)(201)를 분배한다. 이러한 퍼소나 카드(201)는 사전에 데이터베이스(210)에 저장된다. 즉, 프로젝트 진행모듈(240)은 사용자 단말(100)에기 9종의 캐릭터의 라이프스타일 정보(LI)를 포함하는 복수 개의 퍼소나 카드(201)를 전송할 수 있다.
각각의 사용자 단말(100)은 라이프스타일 정보(LI)를 기초로 테마(T)의 해결을 원하는 고객(Target, TG)을 찾기 위해 퍼소나 카드(201) 중 하나 이상을 선택한다.
즉, 사용자 단말(100)은 테마(T)와 매칭되는 또는 테마(T)의 해결이 필요할 것으로 예측되는 잠재적인 고객(TG)이나 수요자(타겟)를 확정하기 위해 다수의 퍼소나 카드(201) 중 하나를 선택하여 서버(200)로 전송할 수 있다.
다시 말해, 퍼소나 카드(201)는 참여자들인 사용자 단말(100)들이 일상의 불편한 문제들(P) 중 공통적인 내용을 선별하여 테마(T)를 선정하는 경우, 문제들(P)의 해결을 원하는 고객(TG)을 찾기 위해 제공될 수 있다.
퍼소나 카드(201)는 퍼소나의 라이프스타일 정보(LI)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라이프스타일 정보(LI)는 해당 캐릭터의 시나리오와 말투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00)은 데이터베이스(210)에 미리 저장되어 프로젝트 진행모듈(240)에 의해 퍼소나 카드(201)와 함께 제공되는 고객선정 가이드(G1)를 통해 어느 하나 이상의 퍼소나 카드(201)를 선택할 수 있다.
여기서, 고객선정 가이드(G1)는 '내 아이디어가 간절한 고객은 누구일까?', '사업 성장을 위해 배제해야 할 고객은 누구일까?', '예상치 못했던 잠재 고객은 누구일까?' 및/또는 '내 아이디어를 구매할 능력이 있는 고객은 누구일까?'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사용자 단말(100)은 어떤 라이프스타일을 가진 퍼소나(Persona)가 고객(TG)이나 타겟이 될지 다수의 퍼소나 카드(201) 중에서 선택하는 것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이러한 퍼소나 카드(201)는 모범생 족(Exemplary Group), 내추럴 족(Natural Group), 럭셔리 족(Luxury Group), 유니크 족(Unique Group), 힙스터 족(Hipster Group), 모던 족(Modern Group), 탑클래스 족(Top Class Group), 오피스 족(Office Group) 및 포미 족(For me Group) 등을 포함한 남녀 9종의 총 18장으로 제공될 수 있다.
이는 근거 없이 고객을 만들어내던 기존의 퍼소나(Persona) 작성 방법과는 달리, 고객은 자신의 라이프스타일에 어울리는 제품/서비스를 소비하며 이에 따른 스타일을 정리한 9가지의 삶의 유형을 각 캐릭터로 나타낸 것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퍼소나 카드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퍼소나 카드(201)는 1장의 카드가 앞면과 뒷면으로 각각 구성될 수 있다. 퍼소나 카드(200)의 앞면에는 캐릭터를 대표하는 가족이름 정보, 캐릭터 이미지 정보, 말투 정보 등을 포함하고, 뒷면에는 라이프스타일 정보(LI)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는 '힙스터 족'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우선 앞면에서, 힙스터 족은 퍼소나가 속해 있는 그룹을 대표하는 가족 이름이다. 해당 퍼소나가 입고 있는 옷과 액세서리를 주의깊게 살펴보면 그들은 충분히 그들의 생활을 옷차림에 반영하고 있다. 또한, 최대한 이 캐릭터를 잘 보여줄 수 있게 이름 등이 지어져 표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보드탐(이름), 21세(나이), 대학생(직업) 등이다. 또한, 말풍선에는 퍼소나의 말투와 행동을 보여주는 한 마디가 표현될 수 있다(예: 내가 제일 잘 나가~ 등).
후면은 퍼소나의 라이프스타일 정보(LI)를 보여주는 내용들이 기재될 수 있다. 라이프스타일 정보(LI)는 힙스터족에 대한 설명과 더불어 인류통계학적 정보, 심리적 특성 정보 및 시나리오 등을 가질 수 있다.
먼저, 힙스터-족(Hipster Group)은 젊음 특유의 활동성이나 과격함을 강조한 브랜드를 선호하고 사회의 룰이나 상식으로부터 벗어나도록 노력하며, 스타일, 성격 등에서 튀어보이게 하여 자신의 존재를 알리기 위해 노력하는 그룹을 말한다.
인류통계학적(Demographic) 정보는 퍼소나의 외적으로 드러나는 점이 표시되는 곳으로, 가족관계/학력/언어/특기/수입/종교/건강/신체적 특이사항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심리적(Psychographic) 특성 정보는 퍼소나의 내면심리와 관심사, 생활에 대해 표시되는 곳으로, 성격/태도/관심이슈/취미주량/좋아하는 장소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시나리오(Scenario)는 상기 각종 정보의 내용들 중 주요 키워드를 뽑아 간단한 스토리가 제공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퍼소나 카드(201)는 고객(TG)(또는 타겟)이 남성일 경우 앞쪽은 남성의 얼굴이 나오게 하고 여성카드를 뒤집어 이용할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또한, 고객(TG)이 남성, 여성 둘 다일 경우 카드 한 장은 앞면에 둘의 이름/나이/직업이 표시되고, 나머지 카드는 둘의 인류통계학적 정보와 심리적 특성, 시나리오가 표시되도록 제공될 수 있다.
퍼소나(Persona)는 유사한 목표와 사용 패턴을 지닌 고객 그룹을 찾아내고, 구체적 실체가 있는 특정인으로 의인화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는 사용자를 그룹 타입으로 이해하면서도 정성적인 인간 중심의 관점을 유지하는데 도움이 된다.
고객(TG)이 제품이나 서비스를 선택할 때 이성적인 면 뿐만 아니라 감성적인 면이 상당한 영향을 미치는 만큼, 퍼소나 카드(201)의 고객들은 사람들의 라이프스타일 정보(LI)에 입각해서 제작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오피스족(Office Group)에서 고객을 대표하는 인물을 아래와 같이 설정될 수 있다. 이는 논의의 방향이 엉뚱한 곳으로 가지 않도록 하는 이정표 역할을 해준다.
- 이름/나이/직업: 나대리/31/회사원
- 인류통계학적 정보: 신혼부부/대졸/한국어/기독교/아토피가 있다
- 심리적 특성 정보: 다혈질/성실/바둑/소주1병/집
- 시나리오: 아내와 둘이 살고 회사업무에 치여 스트레스를 받는다
시나리오(Scenario)는 테마(T)와 관련하여 주요 키워드에 맞게 하나의 스토리텔링을 만드는 과정이다. 자세하게 제공될수록 예상하지 못했던 부분에서 문제와 원인, 해결책 등을 얻을 수 있지만 실제 고객과는 차이가 있는 가상의 캐릭터이므로 실 고객에 대한 감각을 잃지 않도록 주의할 필요가 있다. 다음은 시나리오의 일예이다.
「...한나씨는 양재동의 원룸에 사는 싱글이다. 평소 자는 시간이 일정하지 않은 한나씨는 큰맘먹고 수면에 잘 들게해주고 수면습관을 맞춰준다는 제품을 구입했다. 어제도 잠이 안와서 영화를 보다가 자는 바람에 휴대폰 알람을 다섯개나 맞춰놨는데도 제때 일어나지 못했다. 사용한지 일주일 정도 되었는데 서서히 습관이 변화하는 것 같지만 아직도 일찍 일어나는 것이 힘들다. 내가 일어나니까 제품에서 빛이 반짝하더니 꺼지는게 보인다. 제품에 기대어 있던 휴대폰을 들고 '오늘의 기분'을 눌러서 짧은 설문을 한다. 하고나니깐 어플에서 '오늘도 아주 좋은 하루 되세요~!'라며 글이 뜬다. 좋은 하루 되라고 해도 내맘대로 되는게 아닌데 어쩌겠나 싶긴하다. 일찍 일어나서 운동하려는 마음은 접은지 오래다. 지각만 안하기를 바랄뿐이다. 급하게 어제 입고 팽개쳐 놓았던 옷에 상의만 다른걸로 입고 냉장고에서 갈색으로 변해가는 바나나를 물고선 방 안이 약간 꿉꿉하다 싶어 하루종일 쳐놓는 암막 커튼을 걷는다. 날이 많이 풀려서 눈부신 햇살이 들어와서 눈을 찌푸리고 바로 문을 나선다. 집을 나서기전에 버스 시간을 확인하면서 나왔지만 버스 정류장까지 가는 시간과 전 정거장에서 오는 버스 시간이 비슷해서 뛰어간다. 버스안에서 페이스북을 대충 보다가 저번에 산 어플이 맨위에서 깜박인다. '아 오늘 아침에 먹은거 안 적었구나'싶어서 바나나 한개를 추가한다. 뒷 문 근처의 봉을 잡고 타고 가는데 근처 중학교의 학생이 급하게 내리다가 발을 밟고 갔다. '으윽...' 소리를 내보지만 그 학생은 내리고 없고 내 바로 앞에 앉은 아줌마가 측은한 눈빛으로 조금 쳐다보다가 고개를...」
서버(200)는 사용자 단말(100)이 가장 많이 선택한 퍼소나 카드(201)를 고객 퍼소나(TP)로 선정하여 각각의 사용자 단말(100)로 통지한다. 각각의 사용자 단말(100)은 테마(T)를 고객 퍼소나(TP)의 라이프스타일 정보(LI)를 반영하여 질문 형식으로 예비문제질문들(PPQ)을 입력한다.
예비문제질문들(PPQ)을 전송받은 서버(200)는 예비문제질문들(PPQ)에 대해 각각의 사용자 단말(100)의 투표를 거쳐 정식으로 하나의 문제질문(Problem Question, PQ)을 선정한다.
문제질문(PQ)은 테마(T)와 고객 퍼소나(TP)가 연결되는 지점이다. 문제질문(PQ)은 문제(P)의 테마(T)를 고객 퍼소나(TP)의 말투와 생각을 반영하여 질문 형태로 표현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테마(T)가 직장에 처음 온 신입과 척척호흡 만들기인 경우, 특정 퍼소나의 입장에서 "내 옆자리 내성적인 신입, 사람들과 적극적으로 어울리게 할 수 없을까?"라는 문제질문(PQ)을 형성하는 것이다.
실시예에 따라, 고객 퍼소나(TP)는 보드(B)의 중앙에 위치한 타겟 칸에 놓여질 수 있고, 이는 고객(TG)을 중심으로 하고 모든 프로세스 과정에 고객(TG)이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의미한다.
각각의 사용자 단말(100)은 문제질문(PQ)에 대하여 고객 퍼소나(TP)의 입장에서 문제의 원인들(C)을 작성한다. 즉, 사용자 단말(100)은 고객 퍼소나(TP)의 라이프스타일 정보(LI)를 반영하여 문제의 원인들(C)을 입력하여 서버(200)에 전송한다.
서버(200)는 테마(T)를 선정하는 방식과 유사하게 문제의 원인들(C) 중 유사한 내용별로 묶어 그룹핑(grouping)하고, 각 그룹에 네이밍(naming)을 수행하여 다수의 주요원인들(MC)을 도출한다. 이러한 과정은 각각 키워드 추출부(251), 그룹핑부(252) 및 네이밍부(253)를 통해 수행될 수 있다.
우선, 각각의 사용자 단말(100)은 문제질문(PQ)의 원인이 도대체 무엇이었는지에 초점을 맞추고 구체적으로 기술한다.
아이디어 정리모듈(250)은 유사 내용끼리 서로 묶고 일정 개수(예: 5개 등) 이상이 묶인 경우 더 나눌 수 없는지 확인하여 그룹핑하고, 각 그룹의 내용이 공통적으로 무엇을 말하고 있는가를 분석하여 각각의 소그룹으로 분류하여 네이밍한다.
이후, 서버(200)는 각각의 사용자 단말(100)로 미리 정해진 다수의 아이디어 카드(202)를 배포한다. 아이디어 카드(202)는 사용자 단말(100)에 랜덤(random)하게, 즉 무작위적으로 전송될 수 있다.
각각의 사용자 단말(100)은 주요원인들(MC)에 대한 해결방안(SP)을 아이디어 카드(202)를 이용해 도출하여 서버(200)로 전송한다. 서버(200)는 해결방안(SP)을 한 문장의 콘셉트(CT)로 정리하여 각각의 사용자 단말(100)로 전달한다.
아이디어 카드(Idea Card)(202)는 테마(T)와 적어도 하나 이상 선택된 퍼소나 카드(201)를 연결시키는 문제질문(PQ)의 형성 후 문제질문(PQ)에 대한 다수의 문제원인을 도출하는 경우, 각각의 문제 원인에 대한 해결방안을 도출하기 위해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아이디어 카드(202)는 복수개가 제공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원인질문을 형성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아이디어 카드의 구성 및 사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9 및 도 10은 도 8의 여러 종류의 아이디어 카드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서버(200)의 프로젝트 진행모듈(240)은 주요원인들(MC) 중 사전 설정된 원인선정 가이드(G2)에 따라 미리 정해진 개수의 핵심원인(CC)을 선정한다. 이러한 핵심원인(CC)은 세 개의 핵심원인(3C)으로 선정될 수 있으나, 그 개수에 제한을 둘 필요는 없다. 원인선정 가이드(G2)는 사전에 데이터베이스(210)에 저장된다. 원인선정 가이드(G2)는 '원인 중에 문제에 영향력이 크다', '우선 순위가 높은 원인이다' 및/또는 '차별화된 아이디어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핵심원인(CC)의 선정은 각 사용자 단말(100)들의 투표에 의해 상위 3개가 결정될 수도 있다. 즉, 사용자 단말(100)들은 서버(200)로부터 원인선정 가이드(G2)를 제공받아 다수 도출된 주요원인들(MC) 중에서 투표 등을 거쳐 일정 개수의 핵심원인(CC)을 선정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100)은 핵심원인(CC)을 라이프스타일 정보(LI)를 반영하여 의문형으로 치환하여 원인질문(Cause Question, CQ)을 형성한다. 즉, 사용자 단말(100)은 라이프스타일 정보(LI)를 토대로 핵심원인(CC)을 의문형의 문장으로 바꾸어서 입력함으로써 원인질문(CQ)을 작성하여 서버(200)에 전송한다. 여기서 라이프스타일 정보(LI)는 시나리오와 말투가 크게 작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세 개의 핵심원인(3C)에 대응하여 각 사용자 단말(100)의 투표나 토론 등을 수렴하여 상위 세 가지의 원인질문(CQ)을 형성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원인질문(CQ)의 형성은 서버(200)가 라이프스타일 정보(LI)를 반영하여 의문형으로 자동 치환하여 형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서버(200)에 의해 형성된 원인질문(CQ)은 사용자 단말(100)들의 확인 과정을 거쳐 최종 원인질문(CQ)으로 선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원인질문(CQ)을 의문형으로 작성함으로써 원인질문(CQ)에서 3S(3 Solution)과정으로 넘어갈 때 확실하게 어떤 점이 문제점인지 짚고 넘어갈 수 있게 된다.
예를 들어, 세 개의 핵심원인(3C) 중 하나가 "이것저것 걱정이 너무 많아 잠에 쉽게 들지 못한다'인 겨우, 그 원인질문(CQ)은 "잠에 들 때 생각을 멈출 수는 없을까?"가 될 수 있다.
도 8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아이디어 카드(202)는 예방, 대체, 주기, 저항, 변화 및 복합의 카테고리가 각 색채별로 구분되어 형성되고, 각각의 카테고리마다 마련되는 발명 원리에 대한 다수의 지시 키워드(k) 중 어느 하나가 대응되는 이미지와 함께 제공될 수 있다.
아이디어 카드(202)는 빠르게 원하는 주제의 카드를 고르고 싶을 때 이 카테고리를 참고할 수 있다. 아이디어 카드(202)는 카테고리별로 고유의 색상을 가지고 있으며, 이는 40장의 카드를 관리하고 브레인스토밍에 빠르게 적용하기 위함이다. 즉, 아이디어 카드(202)는 예방, 대체, 주기, 저항, 변화 및 복합의 카테고리가 각 색채별로 구분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아이디어 카드(202)는 각각 단색으로 제공되어 가시성과 이해도를 높이고, 다소 모호한 언어로 되어 있어 다양한 상상을 할 수 있게 한다. 또한, 아이디어 카드(202)는 영문 표기와 병행하여 정확한 뜻을 알 수 있게 하고, 발명 원리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서 기술적 영역과 비기술적 영역의 예시를 제공하여 보다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한다.
더불어, 아이디어 카드(202)는 각각의 카테고리마다 마련되는 발명 원리에 대한 다수의 지시 키워드(k) 중 어느 하나가 대응되는 이미지와 함께 제공될 수 있다.
서버(200)의 프로젝트 진행모듈(240)은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지시 키워드(k)를 이용하여 원인질문(CQ)에 대한 다수의 해결방안(SP)을 모집한다.
이후, 사용자 단말(100)은 사전 설정되어 제공되는 아이디어선정 가이드(G3)에 따라 미리 정해진 개수의 솔루션(S)을 선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러한 솔루션(S)은 세 가지가 선정될 수 있다(3S).
또한, 아이디어선정 가이드(G3)는 데이터베이스(210)에 미리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아이디어선정 가이드(G3)는 '초반에 정한 테마에 벗어나지는 않았는지', '타겟으로 설정한 고객이 원하고 그들에게 어울리는 것이었는지', '우리의 내부 역량, 인재, 기술에 어울리는 실현 가능한 일인지', 및/또는 '팀원들에게 가장 많은 지지를 받는 아이디어는 어떤 것인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세 가지 핵심원인(3C)을 고객(TG) 즉, 고객 퍼소나(TP)의 입장에서 다시 정의했다면 이제 그를 해결할 차례이다. 원인에 대한 해결방안을 도출하는 과정으로 도출된 주요원인과 원인에 대한 질문을 바탕으로 반복적인 질문을 던져 실질적 해결방안이 도출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아이디어 카드(202)를 활용하여 카드 스토밍(CARD STORMING)을 진행할 수 있다.
카드 스토밍이란 발명원리가 적용된 카드 형태를 가지고 해결책을 모색하는 활동으로 브레인스토밍과 브레인라이팅(writing), 드로잉(Drawing), 40가지 TRIZ 발명원리, 어피니티 다이어그램 등의 여러 방법론이 합쳐진 새로운 도구이다. 생각이 잘 나지 않을 때에 카드에 쓰여 있는 정보를 통해 빠르고 강제적으로 발상을 할 수 있다는 것이 이 방법의 핵심적인 장점이다.
예를 들어, 카드 스토밍을 마친 후에는 어피니티 다이어그램을 활용해 그룹화하여 최종적으로 세 가지 솔루션(3C)을 도출해 낼 수 있다. 이때 여러 해결방안 중에서 현실적으로 도입이 가능한 솔루션 3가지를 최종적으로 선정한다.
실시예에 따, 상기의 예에서, '잠이 들 때 생각을 멈출 수는 없을까?'라는 원인질문(CQ)의 경우, 세 가지 솔루션(3S)은 "잠에 들 때 스마트폰 충전을 침대에서 먼 곳에서 할 수 있도록 한다", "밤의 온도와 습도를 항상 체크해서 잠이 잘 들 수 있는 환경을 만든다", "반복되는 패턴을 지켜보게 해 잡생각을 잊게한다" 등일 수 있다.
카드 스토밍은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진행될 수 있다. 먼저, 프로젝트 진행모듈(240)은 카드를 섞고, 사용자 단말(100)의 인원수에 맞춰 40장의 카드를 똑같이 나누어 준다. 각 사용자 단말(100)은 원인질문(CQ)을 보고 자신이 들고 있는 아이디어 카드(202)의 키워드(k)에 맞춰서 아이디어가 떠오르면 그 아이디어를 입력하여 서버(200)에 전송한다.
실시예에 따라, 아이디어의 입력은 간단한 설명 및/또는 그림을 포함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각 사용자 단말(100)은 자신이 배당받은 아이디어 카드(202)로 더 이상 아이디어가 생각나지 않으면 다른 사용자 단말(100)들과 트레이드(trade)를 시도할 수 있고, 카드 두 개 이상을 결합해 색다른 아이디어를 낼 수도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100)들은 하나의 아이디어 카드(202)를 공유하여 여러 사람이 함께 아이디어를 발전시켜 볼 수도 있다. 모두 진행이 완료되면 서버(200)는 아이디어들을 모아 어피니티 다이어그램으로 넘어가면 된다.
이후, 서버(200)는 해결방안(SP)을 한 문장의 콘셉트(CT)로 정리한다. 서버(200)는 고객이 제공받기를 원하는 핵심적인 나만의 가치(핵심 가치), 고객의 흥미를 끌 만한 요소(흥미 요소), 고객에게 나의 제품/서비스가 가지고 있는 가치를 제안, 전달하기 위해 필요한 커뮤니케이션의 방법(전달하기)을 포함한 콘셉트(CT)을 하나의 문장으로 정리한다. 콘셉트 정리에서는 내가 고객에게 제공하고자 하는 제품/서비스의 콘셉트를을 앞의 핵심 내용들을 포함해 한 문장으로 정리할 수 있다.
서버(200)는 콘셉트(CT)를 경쟁사의 타 제품 또는 서비스와 비교하고 콘셉트(CT)의 구체적인 내용을 제시하기 위해 각각의 사용자 단말(100)로 시트(sh)를 제공할 수 있다.
각각의 사용자 단말(100)은 시트(sh)를 작성함으로써 콘셉트(CT)를 구체화한다. 시트(sh)는 차별화 시트(203), 액션플랜 시트(204) 및 보고서 시트(205)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1 및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차별화 시트를 작성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1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액션플랜 시트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면, 각각의 사용자 단말(100)은 콘셉트(CT)를 시각적으로 표현하면서 타 경쟁사의 경쟁재 혹은 대체재와 비교 및 검증하여 콘셉트의 차별화를 위해 차별화(Differentiation) 시트(203)를 작성한다.
경쟁재와 대체재는 사용자 단말(100)들의 아이디어와 콘셉트(CT)가 유사한 타 제품/서비스를 의미한다.
이와 같은 차별화 시트(203)는 전략 캔버스(Strategy Canvas)가 이용될 수 있다. 상기 전략 캔버스는 경쟁재/대체재와 비교하여 사용자 단말(100)들의 콘셉트(CT)를 차별화하기 위한 상태 진단 도구이다. 앞서 진행해 온 활동들이 콘셉트(CT)로 정리되었을 때 그 콘셉트(Ct)를 시각적으로 직접 표현해 봄으로써 사용자 단말(100)들의 콘셉트(CT)가 제대로 도출되었는지, 앞서 진행된 내용들을 잘 반영하고 있는지를 경쟁재/대체재와의 비교를 통해 검증한다.
상기 전략 캔버스에서는 각 요인의 사이의 거리가 멀수록 쉽게 경쟁 제품과 차별화된 나만의 가치를 찾아낼 수 있으며 사용자 단말(100)들이 계획했던 콘셉트(CT)가 적절하게 각 요소별로 설정되었는지 한 눈에 볼 수 있다. 차별점을 발견했다면 가장 차이점이 큰 키워드에 표시를 하고 어떤 면에서 차별화를 이루어 냈는지 시트에 상세하게 입력할 수 있다.
상기 전략 캔버스에 수록된 다양한 차별화 방법들을 분석하여 도출된 10가지의 제품/서비스 판단 기준 키워드는 '가격, 전문성, 다양성, 재미, 안전성, 편리성, 친절한 서비스, 신속성, 친숙성 및 매력도'를 포함한다.
또한, 도 13을 참조하면, 각각의 사용자 단말(100)은 차별화된 콘셉트(CT)를 구체적으로 현실화시키기 위해 액션플랜(Action Plan) 시트(204)에 고객(TG)에게 제공되어야 하는 '오퍼링(Offering)'과 이를 위해 내부적으로 '준비해야 할 일(Job to be done)'을 작성한다. 이러한 액션플랜 시트(204)의 작성은 고객(TG)의 지속적인 관심을 유도하기 위해 콘셉트(CT)를 구체적이고 현실적으로 검토할수 있도록 한다.
액션플랜 시트(204)의 작성은 고객(TG)이 지속적으로 찾게 하기 위해서 참여자들(즉, 사용자 단말(100)들)이 제공해야 하는 것들이 무엇인지 고민해 보고 이를 실현시키기 위해서 참여자들(즉, 사용자 단말(100)들) 무엇을 해야하는지 구체적으로 입력한다.
차별화된 콘셉트(CT)를 구체적으로 현실화시키기 위해 고객(TG)에게 전달되어야 할 좀 더 구체적인 내용인 '오퍼링(Offering)'과 이를 위해 내부적으로 무엇을 준비해야 하는지 검토해야 하는 '해야할 일(Job to be Done)'이 준비된다.
이 과정은 기존의 비즈니스 모델 캔버스에서 사업구현을 위한 부분에 해당하는 것으로 콘셉트를 좀 더 구체적이고 현실적인 측면에서 검토하여 고객이 지속적으로 참여자들의 제품/서비스를 찾도록 하기 위한 전략적 단계이다.
오퍼링(Offering)은 핵심 가치와 연결되어 그 가치들을 구체화시키고 계속해서 고객들이 참여자들의 제품/서비스를 찾게 하기 위해 제공되어야 할 것들을 말한다.
오퍼링은 고객을 위해 어떤 서비스와 배려를 가지고 있는지 차별화된 기능들을 기술하는 '구체적인 기능' 항목과, '고객들이 제품/서비스를 이용하고 나서 감동으로 이어져 계속 이용하게 하는 경험은 어떤 것일까 기술하는 '감동으로 이어지기' 항목을 포함할 수 있다.
해야할 일(Job to be Done)은 제품/서비스에서 갖추고 있는 구체적 가치들이 충분히 실현되기 위해서 준비할 수 있는 역량들을 말한다. 해야할 일은 이 제품/서비스 개발을 위해서 자사는 얼만큼의 역량을 가지고 있는지 기술하는 '조건 및 환경' 항목과, 이 제품/서비스 개발을 위해서 어떤 기술들을 보유하고 있는지 또는 어떤 기술들이 부족한지 기술하는 '기술적인 사항' 항목과, 어떤 팀원, 혹은 협력 업체와 함께할 수 있는지 기술하는 '파트너십 이해관계' 항목을 포함할 수 있다.
더불어, 각각의 사용자 단말(100)은 서버(200)로부터 제공되는 보고서 시트(205)에 고객(TG), 고객(TG)의 충족되지 않은 니즈(needs), 해결방안(SP), 콘셉트(CT), 전략 캔버스(Strategy Canvas), 차별화 시트(203), 상기 오퍼링(Offering) 및 상기 해야할 일(Job to be done) 등과 같은 앞서 진행한 내용들을 보고서 시트(205)에 정리한다.
실시예에 따라, 이러한 보고서 시트(205)는 서버(200)에 의해 자동적으로 기재될 수 있다.
이러한 보고서는 진행한 모든 과정들을 주요 내용들로 압축된 한 장으로 정리해 봄으로써 내부적으로는 전체적인 내용을 다시 한번 검토할 수 있으며 외부적으로는 추후 투자자 등에게 본인들의 아이디어를 매우 쉽게 설명할 수 있게 한다. 또한, 반복적으로 이러한 과정을 거쳤을때 본인들의 아이디어가 어떻게 발전하였는지, 놓친 부분은 없는지, 그 동안 지나친 좋은 아이디어는 없었는지를 빠르게 검토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서버(200)는 각 사용자 단말(100)별로 작성 완료된 차별화 시트(203), 액션플랜 시트(204) 및/또는 보고서 시트(205) 등을 데이터베이스(210) 저장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비즈니스 아이디어 구체화 서비스 제공 방법(과정)에 대해 간단하게 설명한다. 이러한 비즈니스 아이디어 구체화 서비스 제공 방법의 각 단계는, 비즈니스 아이디어 구체화 서비스 제공 방법(10)의, 상술한 바와 같은, 각각의 구성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 따른 비즈니스 아이디어 구체화 서비스 제공 방법의 개략적인 절차도이고, 도 15 내지 도 1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 따른 비즈니스 아이디어 구체화 서비스 제공 방법의 메뉴트리 및 전체적인 과정을 세부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 내지 도 1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비즈니스 아이디어 구체화 서비스 제공 방법은 서버접속단계(S100), 문제공유 및 테마선정 단계(S200), 퍼소나카드 선택단계(S300), 문제질문 선정단계(S400), 문제원인 도출단계(S500), 해결방안도출 및 정리단계(S600) 및 시트작성단계(S700)를 포함한다.
서버접속단계(S100)에서는 복수 개의 사용자 단말(100)이 유무선의 통신망(300)을 통해 서버(200)에 접속하여 새로운 비즈니스 아이디어의 발굴 및 구체화를 위한 가상의 프로젝트룸(PR)을 개설하거나 이미 형성되어 진행중인 프로젝트룸(PR)에 참여한다.
이후, 문제공유 및 테마선정 단계(S200)에서는 사용자 단말(100)이 일상의 불편한 문제들(P)을 입력하여 서로 공유하고, 서버(200)는 문제들(P) 중 유사한 내용을 그룹핑하여 사용자 단말(100)의 투표를 통해 테마(T)를 선정한다.
다음, 퍼소나카드 선택단계(S300)에서는 서버(200)가 사용자 단말(100)로 미리 정해진 각각의 캐릭터의 라이프스타일 정보(LI)를 포함하는 다수의 퍼소나 카드(201)를 분배하고, 사용자 단말(100)은 라이프스타일 정보(LI)를 기초로 테마(T)의 해결을 원하는 고객(TG)을 찾기 위해 퍼소나 카드(201) 중 하나를 선택한다.
이후, 문제질문 선정단계(S400)에서는 서버(200)가 가장 많이 선택된 퍼소나 카드(201)를 고객 퍼소나(TP)로 선정하여 사용자 단말(100)로 통지하고, 사용자 단말(100)은 테마(T)를 고객 퍼소나(TP)의 라이프스타일 정보(LI)를 반영하여 질문 형식으로 예비문제질문들(PPQ)을 입력하고, 서버(200)는 예비문제질문들(PPQ)에 대해 사용자 단말(100)의 투표를 거쳐 문제질문(PQ)을 선정한다.
다음에, 문제원인 도출단계(S500)에서는 사용자 단말(100)이 문제질문(PQ)에 대하여 고객 퍼소나(TP)의 입장에서 문제의 원인들(C)을 입력하고, 서버(200)는 문제의 원인들(C) 중 유사한 내용을 그룹핑하여 다수의 주요원인들(MC)을 도출한다.
그리고, 해결방안도출 및 정리단계(S600)에서는 서버(200)가 각각의 사용자 단말(100)로 미리 정해진 다수의 아이디어 카드(202)를 배포하고, 각각의 사용자 단말(100)은 주요원인들(MC)에 대한 해결방안(SP)을 아이디어 카드(202)를 이용해 도출하여 서버(200)로 전송하며, 서버(200)는 해결방안(SP)을 한 문장의 콘셉트(CT)로 정리하여 각각의 사용자 단말(100)로 전달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문제원인 도출단계(S500)는, 서버(200)가 주요원인들(MC) 중 사전 설정된 원인선정 가이드(G2)에 따라 미리 정해진 개수의 핵심원인(CC)을 선정하는 핵심원인 선정단계(S510)와, 사용자 단말(100)이 핵심원인(CC)을 라이프스타일 정보(LI)를 반영하여 의문형으로 치환하여 원인질문(CQ)을 형성하는 원인질문 형성단계(S520)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아이디어 카드(202)는 예방, 대체, 주기, 저항, 변화 및 복합의 카테고리가 각 색채별로 구분되어 형성되고, 각각의 상기 카테고리마다 마련되는 발명 원리에 대한 다수의 지시 키워드(k) 중 어느 하나가 대응되는 이미지와 함께 제공된다.
이 경우, 해결방안도출 및 정리단계(S600)는, 서버(200)가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지시 키워드(k)를 이용하여 원인질문(CQ)에 대한 다수의 해결방안(SP)을 모집하고, 사용자 단말(100)이 사전 설정된 아이디어선정 가이드(G3)에 따라 미리 정해진 개수의 솔루션(S)을 선정하는 솔루션 선정단계(S61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비즈니스 아이디어 구체화 서비스 제공 방법은 시트작성단계(S700)를 더 포함한다.
시트작성단계(S700)에서는 콘셉트(CT)를 경쟁사의 타 제품 또는 서비스와 비교하고 콘셉트(CT)의 구체적인 내용을 제시하기 위해 서버(200)는 각각의 사용자 단말(100)로 시트(sh)를 제공하고, 각 사용자 단말(100)은 시트(sh)를 작성함으로써 콘셉트(CT)를 구체화한다.
이러한 시트작성단계(S700)는 차별화시트 작성단계(S710), 액션플랜시트 작성단계(S720) 및 보고서 작성단계(S730)를 포함한다.
차별화(Differentiation)시트 작성단계(S710)에서는 콘셉트(CT)를 시각적으로 표현하면서 경쟁재 혹은 대체재와 비교 및 검증하여 콘셉트(CT)의 차별화를 위해 작성된다.
또한, 액션플랜(Action Plan)시트 작성단계에서는 차별화된 콘셉트(CT)를 구체적으로 현실화시키기 위해 고객(TG)에게 제공되어야 하는 오퍼링(Offering)과 이를 위해 내부적으로 준비해야 할 일(Job to be done)을 작성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 및 방법(과정)을 갖는 본 발명은 고객경험 중심, 비즈니스 요소간 관계성 파악, 각 요소의 실행계획간의 균형을 이룬 최근 비즈니스 유형에 좀 더 적합한 툴킷(toolkit)을 제시하여 창업기업 및 예비 창업자들이 철저하게 고객 중심적 사고 기반의 근본적 문제원인 해결형의 혁신적 아이디어 발굴 및 개발을 가능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빠른 시간내에 반복적으로 활용함으로써 신속하게 아이디어를 개선할 수 있으며 팀원간의 아이디어 교류와 더 나아가 팀원간 역량을 강화할 수 있는 기회를 가질 수 있게 하는 장점이 있다.
상기에서 사용된 '서버'나 '모듈'이라는 용어는 논리적인 구성 단위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반드시 물리적으로 구분되는 구성 요소가 아니라는 점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자명한 사항이다.
또한, 상기에서 설명하는 각각의 모듈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수행하기 위한 하드웨어 및 상기 하드웨어를 구동하기 위한 소프트웨어의 기능적, 구조적 결합을 의미할 수 있다. 예컨대, 모듈은 소정의 코드 및 상기 소정의 코드가 수행되기 위한 하드웨어 리소스의 논리적인 단위를 의미할 수 있으며, 반드시 물리적으로 연결된 코드를 의미하거나, 한 종류의 하드웨어를 의미하는 것은 아님은 본 발명의 기술분야의 평균적 전문가에게는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이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 비즈니스 아이디어 구체화 서비스 제공 시스템
100 : 사용자 단말 200 : 서버
201 : 퍼소나 카드 202 : 아이디어 카드
203 : 차별화 시트 204 : 액션플랜 시트
205 : 보고서 시트 210 : 데이터베이스
220 : 통신모듈 230 : 프로젝트룸 개설모듈
240 : 프로젝트 진행모듈 250 : 아이디어 정리모듈
251 : 키워드 추출부 252 : 그룹핑부
253 : 네이밍부 300 : 통신망

Claims (8)

  1. 복수 개의 사용자 단말이 유무선의 통신망을 통해 서버에 접속하여 새로운 비즈니스 아이디어의 발굴 및 구체화를 위한 가상의 프로젝트룸을 개설하거나 이미 형성되어 진행중인 프로젝트룸에 참여하는 서버접속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은 일상의 불편한 문제들을 입력하여 서로 공유하고, 상기 서버는 상기 문제들 중 유사한 내용을 그룹핑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의 투표를 통해 테마를 선정하는 문제공유 및 테마선정 단계;
    상기 서버는 상기 사용자 단말로 미리 정해진 각각의 캐릭터의 라이프스타일 정보를 포함하는 다수의 퍼소나 카드를 분배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라이프스타일 정보를 기초로 상기 테마의 해결을 원하는 고객을 찾기 위해 상기 퍼소나 카드 중 하나를 선택하는 퍼소나카드 선택단계;
    상기 서버는 가장 많이 선택된 상기 퍼소나 카드를 고객 퍼소나로 선정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로 통지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테마를 상기 고객 퍼소나의 상기 라이프스타일 정보를 반영하여 질문 형식으로 예비문제질문들을 입력하고, 상기 서버는 상기 예비문제질문들에 대해 상기 사용자 단말의 투표를 거쳐 문제질문을 선정하는 문제질문 선정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문제질문에 대하여 상기 고객 퍼소나의 입장에서 문제의 원인들을 입력하고, 상기 서버는 상기 문제의 원인들 중 유사한 내용을 그룹핑하여 다수의 주요원인들을 도출하는 문제원인 도출단계; 및
    상기 서버는 각각의 상기 사용자 단말로 미리 정해진 다수의 아이디어 카드를 배포하고, 각각의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주요원인들에 대한 해결방안을 상기 아이디어 카드를 이용해 도출하여 상기 서버로 전송하며, 상기 서버는 상기 해결방안을 한 문장의 콘셉트로 정리하여 각각의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달하는 해결방안도출 및 정리단계;를 포함하는 비즈니스 아이디어 구체화 서비스 제공 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문제원인 도출단계는,
    상기 서버가 상기 주요원인들 중 사전 설정된 원인선정 가이드에 따라 미리 정해진 개수의 핵심원인을 선정하는 핵심원인 선정단계와,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핵심원인을 상기 라이프스타일 정보를 반영하여 의문형으로 치환하여 원인질문을 형성하는 원인질문 형성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즈니스 아이디어 구체화 서비스 제공 방법.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아이디어 카드는 예방, 대체, 주기, 저항, 변화 및 복합의 카테고리가 각 색채별로 구분되어 형성되고, 각각의 상기 카테고리마다 마련되는 발명 원리에 대한 다수의 지시 키워드 중 어느 하나가 대응되는 이미지와 함께 제공되고,
    상기 해결방안도출 및 정리단계는,
    상기 서버가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지시 키워드를 이용하여 상기 원인질문에 대한 다수의 상기 해결방안을 모집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이 사전 설정된 아이디어선정 가이드에 따라 미리 정해진 개수의 솔루션을 선정하는 솔루션 선정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즈니스 아이디어 구체화 서비스 제공 방법.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콘셉트를 경쟁사의 타 제품 또는 서비스와 비교하고 상기 콘셉트의 구체적인 내용을 제시하기 위해 상기 서버는 각각의 사용자 단말로 시트를 제공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시트를 작성함으로써 상기 콘셉트를 구체화하는 시트작성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즈니스 아이디어 구체화 서비스 제공 방법.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시트작성단계는,
    상기 콘셉트를 시각적으로 표현하면서 경쟁재 혹은 대체재와 비교 및 검증하여 상기 콘셉트의 차별화를 위해 작성되는 차별화시트 작성단계와,
    차별화된 상기 콘셉트를 구체적으로 현실화시키기 위해 상기 고객에게 제공되어야 하는 오퍼링(Offering)과 이를 위해 내부적으로 준비해야 할 일(Job to be done)을 작성하는 액션플랜시트 작성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즈니스 아이디어 구체화 서비스 제공 방법.
  6. 유무선의 통신망을 통해 서버에 접속하여 새로운 비즈니스 아이디어의 발굴 및 구체화를 위한 가상의 프로젝트룸을 개설하거나 이미 형성되어 진행중인 프로젝트룸에 참여하고, 일상의 불편한 문제들을 입력하여 서로 공유하는 복수 개의 사용자 단말; 및
    상기 문제들 중 유사한 내용을 그룹핑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의 투표를 통해 테마를 선정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로 미리 정해진 각각의 캐릭터의 라이프스타일 정보를 포함하는 다수의 퍼소나 카드를 분배하는 상기 서버;를 포함하되,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라이프스타일 정보를 기초로 상기 테마의 해결을 원하는 고객을 찾기 위해 상기 퍼소나 카드 중 하나를 선택하고,
    상기 서버는 가장 많이 선택된 상기 퍼소나 카드를 고객 퍼소나로 선정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로 통지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테마를 상기 고객 퍼소나의 상기 라이프스타일 정보를 반영하여 질문 형식으로 예비문제질문들을 입력하고, 상기 서버는 상기 예비문제질문들에 대해 상기 사용자 단말의 투표를 거쳐 문제 질문을 선정하며,
    각각의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문제 질문에 대하여 상기 고객 퍼소나의 입장에서 문제의 원인들을 입력하고, 상기 서버는 상기 문제의 원인들 중 유사한 내용을 그룹핑하여 다수의 주요원인들을 도출하며,
    상기 서버는 각각의 상기 사용자 단말로 미리 정해진 다수의 아이디어 카드를 배포하고, 각각의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주요원인들에 대한 해결방안을 상기 아이디어 카드를 이용해 도출하여 상기 서버로 전송하며, 상기 서버는 상기 해결방안을 한 문장의 콘셉트로 정리하여 각각의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즈니스 아이디어 구체화 서비스 제공 시스템.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주요원인들 중 사전 설정된 원인선정 가이드에 따라 미리 정해진 개수의 핵심원인을 선정하고, 상기 핵심원인을 상기 라이프스타일 정보를 반영하여 의문형으로 치환하여 원인질문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즈니스 아이디어 구체화 서비스 제공 시스템.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아이디어 카드는 예방, 대체, 주기, 저항, 변화 및 복합의 카테고리가 각 색채별로 구분되어 형성되고, 각각의 상기 카테고리마다 마련되는 발명 원리에 대한 다수의 지시 키워드 중 어느 하나가 대응되는 이미지와 함께 제공되고,
    상기 서버는 상기 지시 키워드를 이용하여 상기 원인질문에 대한 다수의 상기 해결방안을 모집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은 사전 설정된 아이디어선정 가이드에 따라 미리 정해진 개수의 솔루션을 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즈니스 아이디어 구체화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1020160088266A 2015-07-13 2016-07-12 비즈니스 아이디어 구체화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10177948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50098862 2015-07-13
KR1020150098862 2015-07-1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8185A true KR20170008185A (ko) 2017-01-23
KR101779482B1 KR101779482B1 (ko) 2017-09-18

Family

ID=579898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88266A KR101779482B1 (ko) 2015-07-13 2016-07-12 비즈니스 아이디어 구체화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79482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76521B1 (ko) * 2018-06-29 2019-05-10 부두완 비즈니스 창업 게임 서비스 시스템
KR20190102675A (ko) * 2018-02-27 2019-09-04 주식회사 청운정보 온/오프라인 연동 아이디어 관리시스템
KR102214687B1 (ko) * 2020-04-14 2021-02-10 노상호 창업 지원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 및 그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28060B1 (ko) * 2017-12-01 2018-12-11 사회복지법인 삼성생명공익재단 아이디어 확장 방법, 시스템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3347B1 (ko) 2007-08-23 2008-10-15 차동식 우주를 모델로 하는 경제개념 도입 게임보드 및 그게임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84548A (ja) * 2004-03-29 2005-10-13 Seiko Epson Corp 創造発想支援装置、創造発想支援方法、創造発想支援プログラム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3347B1 (ko) 2007-08-23 2008-10-15 차동식 우주를 모델로 하는 경제개념 도입 게임보드 및 그게임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02675A (ko) * 2018-02-27 2019-09-04 주식회사 청운정보 온/오프라인 연동 아이디어 관리시스템
KR101976521B1 (ko) * 2018-06-29 2019-05-10 부두완 비즈니스 창업 게임 서비스 시스템
KR102214687B1 (ko) * 2020-04-14 2021-02-10 노상호 창업 지원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 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79482B1 (ko) 2017-09-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Sun et al. MLaaS: a cloud-based system for delivering adaptive micro learning in mobile MOOC learning
Liedtka et al. Design thinking for the greater good: Innovation in the social sector
Sveningsson et al. Managerial lives: Leadership and identity in an imperfect world
Morgan Successful focus groups: Advancing the state of the art
Smetana Adolescents, families, and social development: How teens construct their worlds
Bridger Neuro design: Neuromarketing insights to boost engagement and profitability
Koetz et al. Nostalgia in online brand communities
US20110231434A1 (en) Information management apparatus
KR101779482B1 (ko) 비즈니스 아이디어 구체화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US8549001B1 (en) Method and system for gathering and providing consumer intelligence
US20100223092A1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and Information Processing Program To Be Used In the Device
Sun et al. MLaaS: A cloud system for mobile micro learning in MOOC
Hazeldine Neuro-sell: How neuroscience can power your sales success
Pannu et al. ICT4D information communication technology for development
Byrne et al. Theorising Catholic education: the relevance of Bourdieu and Bernstein for empirical research
McGurk Stand Out!: Building Brilliant Brands for the World We Live in
Fischer et al. Gender analysis in farming systems and action research: A training manual
Ye Streamer-Interface-Viewer Entanglement: An Analysis on the Discursive and Affective Live-Streaming Chatroom Interface
Radin Brave girls: Raising young women with passion and purpose to become powerful leaders
Reynolds A critical approach to place branding governance: From" holding stakes" to" holding flags".
Moschogianni Investigating factors Impacting Discord and Snapchat Use Behavior: Perspective from Swedish users
Saiki Experiences and degree of learning among fashion students participating in an intergenerational community-focused activity
Williams Blog to be Real: A Mixed Methods Approach to Defining, Measuring, and Determining Predictors of Blogger Authenticity
Ranjith et al. Personal Experience of Sustainability Practices and Commitment toward Corporate Sustainability Initiatives: Reflections of Sri Lankan Marketing Professionals
Xiaojun Study on the communication impact of live streaming e-commerce mode in Chin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