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07516A - 기록매체 - Google Patents

기록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07516A
KR20170007516A KR1020170005009A KR20170005009A KR20170007516A KR 20170007516 A KR20170007516 A KR 20170007516A KR 1020170005009 A KR1020170005009 A KR 1020170005009A KR 20170005009 A KR20170005009 A KR 20170005009A KR 20170007516 A KR20170007516 A KR 201700075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mart plug
beacon
management system
energy management
home energ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050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세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스마트시티그리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스마트시티그리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스마트시티그리드
Priority to KR10201700050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07516A/ko
Publication of KR201700075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751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08Configuration management of networks or network elements
    • H04L41/0803Configuration setting
    • H04L41/0806Configuration setting for initial configuration or provisioning, e.g. plug-and-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6Energy or water supp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08Configuration management of networks or network elements
    • H04L41/0803Configuration setting
    • H04L41/0823Configuration setting characterised by the purposes of a change of settings, e.g. optimising configuration for enhancing reliability
    • H04L41/0833Configuration setting characterised by the purposes of a change of settings, e.g. optimising configuration for enhancing reliability for reduction of network energy consump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08Configuration management of networks or network elements
    • H04L41/0876Aspects of the degree of configuration auto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32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 H04L9/3226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using a predetermined code, e.g. password, passphrase or PI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20/00Management or operation of end-user stationary applications or the last stages of power distribution; Controlling, monitoring or operating thereof
    • Y04S20/16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Remote Monitoring And Control Of Power-Distribution Networks (AREA)

Abstract

비콘을 사용하여 스마트 플러그를 제어하는 기능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가 개시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홈에너지 관리 시스템에 접속하기 위하여 비콘의 커버리지 내에서 비콘 신호를 감지하는 기능; 상기 비콘 신호가 감지되면, 비콘으로부터 스마트 플러그의 상태 정보를 수신하는 기능; 상기 스마트 플러그의 상태 정보를 기초로 상기 스마트 플러그의 전력 공급 여부, 전력 공급량, 전력 공급 시간, 전력 공급 주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기능; 상기 제어 신호를 상기 비콘에 전송하는 기능;을 실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할 수 있다.

Description

기록매체{RECORDING MEDIUM}
스마트 플러그 제어 기술에 관한 것으로 특히, 비콘을 사용하여 스마트 플러그를 제어하는 기능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전자기기들은 전원을 자동으로 온/오프하는 기능 및 원격으로 전원을 제어하는 기능을 갖추고 있으며, 이를 위하여 전자기기가 동작하는 동작 전력과 별개로 사용자의 입력 등을 대기하는 대기 전력이 발생하고 있다. 이로 인하여 전력 소비량이 증가되어 국가 및 사용자에게 부담이 발생하고 있다.
이에 대응하여 대기 전력을 차단하기 위해서는 수동으로 전자기기의 플러그를 분리 및 연결하여야 하나, 이러한 경우 사용자에게 불편함이 초래되는 바, 최근 대기 전력을 자동으로 차단하기 위한 방법으로 홈에너지 관리 시스템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대한민국특허등록번호 101242165호(2013.03.05)
비콘 신호를 감지하여 자동으로 장치의 등록 및 인증 절차를 수행하여 보안성을 확보하고, 사용자가 단말을 통해 원격으로 스마트 플러그를 제어하는 기능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일 양상에 따르면,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홈에너지 관리 시스템에 접속하기 위하여 비콘의 커버리지 내에서 비콘 신호를 감지하는 기능; 상기 비콘 신호가 감지되면, 비콘으로부터 스마트 플러그의 상태 정보를 수신하는 기능; 상기 스마트 플러그의 상태 정보를 기초로 상기 스마트 플러그의 전력 공급 여부, 전력 공급량, 전력 공급 시간, 전력 공급 주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기능; 상기 제어 신호를 상기 비콘에 전송하는 기능;을 실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할 수 있다.
비콘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원격으로 스마트 플러그를 제어하며, 스마트 플러그 제어 장치의 등록 및 인증 절차를 수행하여 보안성을 확보하여 안정적으로 전자기기의 전력을 공급하고 불필요한 전력 소비를 감소시킬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홈에너지 관리를 위한 시스템 구성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플러그 제어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의 구성도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플러그 제어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플러그 제어 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이하, 스마트 플러그 제어 장치 및 방법의 실시예들을 도면들을 참고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홈에너지 관리를 위한 시스템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홈에너지 관리를 위한 시스템은 스마트 플러그 제어 장치(100), 비콘(200), 홈에너지 관리 시스템(300) 및 스마트 플러그(40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스마트 플러그 제어 장치(100)는 비콘(200)을 통하여 홈에너지 관리 시스템(300)에 연결될 수 있다. 스마트 플러그 제어 장치(100)는 홈에너지 관리 시스템(300)과 연결되어 스마트 플러그(400)의 상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스마트 플러그 제어 장치(100)는 사용자로부터 스마트 플러그 제어 신호를 입력 받아 제어 신호를 생성하고, 이를 비콘(200)을 통하여 홈에너지 관리 시스템(300)에 전송하여 스마트 플러그(400)를 제어할 수 있다. 스마트 플러그 제어 장치(100)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일 예에 따르면, 비콘(200)은 홈에너지 관리 시스템(300)과 스마트 플러그 제어 장치(100)를 중계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비콘(200)은 주기적으로 비콘 신호를 발생하여 스마트 플러그 제어 장치(100)가 비콘(200)의 커버리지 영역에 들어왔는지 여부를 알 수 있게 할 수 있다. 또한, 비콘(200)은 스마트 플러그 제어 장치(100)가 비콘(200)과 연결되면 홈에너지 관리 시스템(300)에 새로운 스마트 플러그 제어 장치(100)가 연결되었음을 알려줄 수 있다.
다른 예에 따르면, 비콘(200)은 홈에너지 관리 시스템(300)으로부터 스마트 플러그(400)의 상태 정보를 수신하여 스마트 플러그 제어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 때, 비콘(200)은 자신의 커버리지 내에 있는 스마트 플러그 제어 장치(100) 중 홈에너지 관리 시스템(300)으로부터 인증 받은 스마트 플러그 제어 장치(100)에 한해서만 상태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비콘(200)은 스마트 플러그 제어 장치(100)로부터 제어 신호를 수신하여 홈에너지 관리 시스템(300)으로 전송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비콘(200)은 홈에너지 관리 시스템(300) 및 스마트 플러그 제어 장치(100)와의 통신 시 블루투스(Blue Tooth) 무선 통신 기법을 이용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홈에너지 관리 시스템(300)은 하나 이상의 스마트 플러그 제어 장치(100)와 연동하여 스마트 플러그(400)를 제어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홈에너지 관리 시스템(300)은 하나 이상의 스마트 플러그 제어 장치(100)를 등록할 수 있다. 이때 홈에너지 관리 시스템(300)은 스마트 플러그 제어 장치(100)를 등록하기 위하여 스마트 플러그 제어 장치(100)의 고유 식별 번호를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마트 플러그 제어 장치(100)로서 스마트 폰, 테블릿 피씨 등의 이동 단말을 이용하는 경우, 이동 단말의 전화번호를 이용할 수 있다.
다른 예에 따르면, 홈에너지 관리 시스템(300)은 스마트 플러그 제어 장치(100)의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스마트 플러그 제어 장치(100)가 비콘(200)의 커버리지에 들어와 시스템에 접속을 요청하는 경우, 홈에너지 관리 시스템(300)은 스마트 플러그 제어 장치(100)가 등록된 장치인지 여부를 확인하고, 등록된 장치인 경우 인증키를 부여하여 스마트 플러그 제어 장치(100)를 인증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홈에너지 관리 시스템(300)은 비콘(200)을 통하여 인증된 스마트 플러그 제어 장치(100)에 스마트 플러그(400)의 상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스마트 플러그 제어 장치(100)로부터 스마트 플러그(400)의 제어 신호를 수신하여 스마트 플러그(400)를 제어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스마트 플러그(400)는 전자기기와 접속하여 전력을 공급하는 장치일 수 있다. 이 때, 스마트 플러그(400)는 홈에너지 관리 시스템(300)과 연결되어 현재 공급하고 있는 전력에 대한 상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홈에너지 관리 시스템(300)으로부터 제어 신호를 수신하여 연결된 전자기기의 전력을 차단하거나, 공급할 수 있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플러그 제어 장치(100)의 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스마트 플러그 제어 장치(100)는 비콘 신호 감지부(110), 인증부(130) 및 제어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비콘 신호 감지부(110)는 홈에너지 관리 시스템(300)에 접속하기 위하여 비콘 신호를 감지할 수 있다. 스마트 플러그 제어 장치(100)가 홈에너지 관리 시스템(300)과 통신을 하기 위해서는 비콘(200)의 커버리지 내에 위치하고 있는지 여부를 알아야 한다. 따라서 스마트 플러그 제어 장치(100)는 주기적으로 비콘 신호를 감지하여 자신이 비콘(200)의 커버리지 내에 위치하는 지 알아야 한다. 이 때, 비콘(200)의 커버리지는 홈에너지 관리 시스템(300)이 관리하고 있는 사무실, 가정집, 공공 기관 등 실내 공간이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홈에너지 관리 시스템(300)이 가정집에 설치되어 있는 경우, 사용자가 스마트 플러그 제어 장치(100)를 가지고 가정집 내부로 진입을 하게 되면, 스마트 플러그 제어 장치(100)는 가정집 내부에 설치된 비콘(200)의 신호를 감지하여 자동으로 홈에너지 관리 시스템(300)에 접속을 시도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인증부(130)는 비콘 신호가 감지되면, 스마트 플러그 제어 장치(100)의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스마트 플러그 제어 장치(100)가 비콘 신호를 감지하여 홈에너지 관리 시스템(300)에 접속을 시도하는 경우, 홈에너지 관리 시스템(300)은 등록된 스마트 플러그 제어 장치(100)에 대해서만 정보를 제공하고 제어 신호를 입력 받을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서, 인증부(130)는 상태 정보 수신 및 스마트 플러그(400) 제어를 위한 권한을 얻기 위하여 홈에너지 관리 시스템(300)에 인증을 요청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인증부(130)는 홈에너지 관리 시스템(300)으로부터 미리 부여 받은 인증 코드를 비콘(200)을 경유하여 홈에너지 관리 시스템(300)으로 전송하고, 홈에너지 관리 시스템(300)의 인증 결과로서 부여되는 인증키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증부(130)는 홈에너지 관리 시스템(300)과 연동을 위하여 미리 자신의 식별 번호를 홈에너지 관리 시스템(300)에 등록 시키고, 홈에너지 관리 시스템(300)으로부터 인증 코드를 부여 받을 수 있다. 이후, 스마트 플러그 제어 장치(100)가 비콘(200)의 커버리지 내부에 진입하여 비콘 신호를 감지한 경우, 인증부(130)는 미리 부여 받은 인증 코드를 비콘(200)을 통하여 홈에너지 관리 시스템(300)으로 전송할 수 있다. 홈에너지 관리 시스템(300)은 인증부(130)가 전송한 인증 코드를 수신하여 등록된 스마트 플러그 제어 장치인지 여부를 판단하며, 등록된 스마트 플러그 제어 장치인 경우 인증부(130)에게 인증키를 전송할 수 있다. 스마트 플러그 제어 장치(100)는 이 인증키를 수신하여 상태 정보를 수신하거나, 제어 신호를 전송하는데 이용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제어부(150)는 인증이 성공하면, 스마트 플러그(400)의 제어 신호를 비콘(200)에 전송하여 스마트 플러그(400)를 제어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50)는 홈에너지 관리 시스템(300)으로부터 상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로부터 스마트 플러그(400) 제어를 위한 사용자 입력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이 때, 상태 정보는 스마트 플러그(400)를 통하여 공급되는 전력에너지 사용량, 사용시간, 대기전력 공급 여부 및 에너지 요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로부터 입력 받는 사용자 입력 신호는 스마트 플러그(400)의 전력 on/off, 동작 시간 설정, 대기 전력 상태 설정, 스마트 플러그(400)에 연결된 전자기기의 종류, 제어 방법을 포함하는 전자기기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에 따르면, 제어부(150)는 사용자 입력 신호 및 상태 정보를 기초로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홈에너지 관리 시스템(300)으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 신호는 스마트 플러그(400)의 전력 공급 여부, 전력 공급량, 전력 공급 시간, 전력 공급 주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인 제어 신호 생성 방법은 후술한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150)의 구성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제어부(150)는 상태정보 수신부(152) 및 제어신호 생성부(154)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상태정보 수신부(152)는 비콘(200)으로부터 스마트 플러그(400)의 상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이 때, 상태정보는 스마트 플러그(400)를 통하여 공급되는 전력에너지 사용량, 사용시간, 대기전력 공급 여부 및 에너지 요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난방 기기를 스마트 플러그(400)에 연결하여 사용하는 경우, 스마트 플러그(400)는 연결된 난방 기기의 일, 주 또는 월 등의 일정 기간 단위로 전력 사용량, 사용 시간, 난방 기기가 사용되지 않을 때 발생되는 대기 전력량을 측정하여 홈에너지 관리 시스템(300)으로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홈에너지 관리 시스템(300)은 스마트 플러그(400)의 정보를 수신하여 에너지 요금을 계산할 수 있다. 홈에너지 관리 시스템(300)은 이 정보를 비콘(200)을 통하여 스마트 플러그 제어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 때, 상태정보 수신부(152)는 비콘(200)을 통하여 스마트 플러그(400)의 상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다른 예에 따르면, 상태정보 수신부(152)는 상태 정보를 일정 주기로 수신할 수 있다. 또는 스마트 플러그 제어 장치(100)가 스마트 플러그 제어 신호를 전송하여 스마트 플러그(400)의 상태가 변경된 경우, 변경된 상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는 다른 스마트 플러그 제어 장치에 의해 스마트 플러그(400)가 제어되어 상태가 변경된 경우 변경된 상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제어신호 생성부(154)는 사용자 입력 신호와 상태정보를 기초로 스마트 플러그(400)의 전력 공급 여부, 전력 공급량, 전력 공급 시간, 전력 공급 주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제어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일 예를 들면, 제어신호 생성부(154)는 사용자가 스마트 플러그(400)의 전력 공급 및 차단을 요청하기 위하여 입력한 입력 신호 및 스마트 플러그(400)의 제어 조건을 설정하는 입력 신호에 기초하여 제어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일 예를 들어, 스마트 플러그(400)의 전력 공급 및 차단을 요청하기 위하여 입력한 입력 신호는 스마트 플러그(400)의 on/off제어 신호일 수 있다. 사용자가 스마트 플러그(400)에 연결된 전가기기의 전력을 직접 차단하거나, 전자기기에 전력을 공급하여 동작시키고 싶은 경우, on/off 제어 신호를 스마트 플러그 제어 장치(100)에 바로 입력할 수 있으며, 이 때, 제어신호 생성부(154)는 사용자의 입력 신호를 받아 홈에너지 관리 시스템(300)으로 전송하여 스마트 플러그(400)를 제어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스마트 플러그 제어 장치(100)는 동작 시간 설정, 대기 전력 상태 설정과 같은 제어 조건 신호에 기초하여 스마트 플러그(40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동작 시간을 설정하는 경우, 스마트 플러그 제어 장치(100)는 홈에너지 관리 시스템(300)으로부터 스마트 플러그(400)의 사용 시간 정보를 수신하여, 설정된 시간만큼 사용이 되었는지 확인할 수 있으며, 설정된 시간만큼 사용 된 경우, 스마트 플러그(400)의 전력을 차단하는 신호를 생성하여 홈에너지 관리 시스템(300)으로 전송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대기 전력 상태 설정을 한 경우, 스마트 플러그(400)에 연결된 전자기기의 대기 상태가 얼마나 지속되고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사용자가 설정된 대기 시간이 되는 경우, 스마트 플러그(400)의 전력을 차단하는 신호를 생성하여 홈에너지 관리 시스템(300)으로 전송할 수 있다.
다른 예에 따르면, 제어신호 생성부(154)는 복수의 스마트 플러그(400)에 연결된 전자기기의 종류, 제어 방법을 포함하는 전자기기 정보에 기초하여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마트 플러그(400)에 연결된 전자기기가 냉장고인 경우, 냉장고의 특성 상 일정 온도 이상인 경우 냉각기를 동작시키나, 일정 온도 이하인 경우 동작을 멈추고 대기 상태로 있을 수 있다. 이 경우, 스마트 플러그(400)가 대기 전력을 차단하기 위하여 스마트 플러그 전력을 차단하는 경우, 냉장고가 정상적으로 동작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제어신호 생성부(154)는 냉장고의 경우 대기 전력이 발생중인 경우에도 전력을 차단하지 않고 유지하고 있도록 제어 조건을 설정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스마트 플러그(400)에 연결된 전자기기가 텔레비전인 경우, 텔레비전은 사용자가 전원을 끈 상태에서도 일정량의 대기 전력을 소모하게 된다. 또한, 텔레비전의 경우, 대기 전력을 차단한다고 하여 냉장고와 같이 동작에 문제가 발생되지 않는다. 따라서, 제어신호 생성부(154)는 대기전력이 발생할 경우 이를 차단하도록 제어 조건을 설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비콘신호 감지부(110), 인증부(130) 및 제어부(150)는 스마트 프러그 제어 장치 (100)의 메모리에 저장되어 마이크로프로세서에서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블록으로 구현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비콘신호 감지부(110), 인증부(130) 및 제어부(150)는 PLA (Programmable Logic Array), PAL(Programmable Array Logic), SPLD(Simple Programmable Logic Device), CPLD(Complex Programmable Logic Device) 또는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와 같이 사용자가 필요로 하는 논리기능을 직접 프로그램 하여 사용할 수 있는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 있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플러그 제어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4는 도 2의 스마트 플러그 제어 장치(100)에 의해 수행되는 스마트 플러그 제어 방법의 일 실시예일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플러그 제어 방법은 먼저, 스마트 플러그 제어 장치(100)가 홈에너지 관리 시스템에 접속하기 위하여 비콘 신호를 감지한다(410). 일 예에 따르면, 스마트 플러그 제어 장치(100)는 홈에너지 관리 시스템에 접속하기 위하여 비콘 신호를 감지할 수 있다. 스마트 플러그 제어 장치(100)가 홈에너지 관리 시스템과 통신을 하기 위해서는 비콘의 커버리지 내에 위치하고 있는지 여부를 알아야 한다. 따라서, 스마트 플러그 제어 장치(100)는 주기적으로 비콘 신호를 감지하여 자신이 비콘의 커버리지 내에 위치하는지 여부를 확인하며, 자동으로 홈에너지 관리 시스템에 접속을 시도할 수 있다.
이후 비콘 신호가 감지되면, 스마트 플러그 제어 장치(100)는 홈에너지 관리 시스템을 통해 자신의 인증을 수행한다(420). 홈에너지 관리 시스템은 보안상 등록된 스마트 플러그 제어 장치(100)에 대해서만 시스템에 접속하는 권한을 부여할 필요성이 있다. 이를 위해서, 스마트 플러그 제어 장치(100)는 상태 정보 수신 및 스마트 플러그 제어를 위한 권한을 얻기 위하여 홈에너지 관리 시스템으로에게 인증을 요청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마트 플러그 제어 장치(100)는 인증을 받기 위하여 홈에너지 관리 시스템으로부터 미리 부여 받은 인증 코드를 비콘을 경유하여 홈에너지 관리 시스템으로 전송하고, 홈에너지 관리 시스템의 인증 결과로서 부여되는 인증키를 수신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스마트 플러그 제어 장치(100)는 홈에너지 관리 시스템과 연동을 위하여 미리 자신의 식별 번호를 홈에너지 관리 시스템에 등록시키고, 홈에너지 관리 시스템으로부터 인증 코드를 부여 받을 수 있다. 이후, 스마트 플러그 제어 장치(100)가 비콘의 커버리지 내부에 진입하여 비콘 신호를 감지한 경우, 스마트 플러그 제어 장치(100)는 미리 부여 받은 인증 코드를 비콘을 통하여 홈에너지 관리 시스템으로 전송할 수 있다. 이후, 인증이 성공하면 스마트 플러그 제어 장치(100)는 홈에너지 관리 시스템으로부터 인증키를 수신하여 상태 정보를 수신하거나, 제어 신호를 전송하는데 이용할 수 있다.
스마트 플러그 제어 장치(100)는 홈에너지 관리 시스템으로부터 인증이 성공하면, 스마트 플러그의 제어 신호를 생성한다(430). 예를 들어, 스마트 플러그 제어 장치(100)는 홈에너지 관리 시스템으로부터 상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스마트 플러그 제어 장치(100)는 사용자로부터 스마트 플러그 제어를 위한 사용자 입력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이 때, 상태 정보는 스마트 플러그를 통하여 공급되는 전력에너지 사용량, 사용시간, 대기전력 공급 여부 및 에너지 요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로부터 입력 받는 사용자 입력 신호는 스마트 플러그의 전력 on/off, 동작 시간 설정, 대기 전력 상태 설정, 스마트 플러그에 연결된 전자기기의 종류, 제어 방법을 포함하는 전자기기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렇게 생성된 제어 신호는 비콘에 전송된다(440). 일 예로, 스마트 플러그 제어 장치(100)는 비콘과 통신 시 블루투스(Blue Tooth) 무선 통신 기법을 이용할 수 있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플러그 제어 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5는 도 2의 스마트 플러그 제어 장치(100)에 의해 수행되는 일 실시예일 수 있다.
스마트 플러그 제어 장치(100)는 제어 신호를 생성하기 위하여 비콘으로부터 스마트 플러그의 상태 정보를 수신한다(432). 이 때, 상태 정보는 스마트 플러그를 통하여 공급되는 전력에너지 사용량, 사용시간, 대기전력 공급 여부 및 에너지 요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난방 기기를 스마트 플러그에 연결하여 사용하는 경우, 스마트 플러그는 연결된 난방 기기의 일, 주 또는 월 등의 일정 기간 단위로 전력 사용량, 사용한 시간, 난방 기기가 사용되지 않을 때 발생되는 대기 전력량을 측정하여 홈에너지 관리 시스템으로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홈에너지 관리 시스템은 스마트 플러그의 정보를 수신하여 에너지 요금을 계산할 수 있다. 홈에너지 관리 시스템은 이 정보를 비콘을 통하여 스마트 플러그 제어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 때, 스마트 플러그 제어 장치(100)는 비콘을 통하여 스마트 플러그의 상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이후, 스마트 플러그 제어 장치(100)는 스마트 플러그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 입력 신호와 상태정보를 기초로 스마트 플러그의 전력 공급 여부, 전력 공급량, 전력 공급 시간, 전력 공급 주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제어신호를 생성한다(434).
예를 들어, 스마트 플러그 제어 장치(100)는 사용자가 스마트 플러그의 전력 공급 및 차단을 요청하기 위하여 입력한 입력 신호 및 스마트 플러그의 제어 조건을 설정하는 입력 신호에 기초하여 제어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일 예를 들어, 스마트 플러그의 전력 공급 및 차단을 요청하기 위하여 입력한 입력 신호는 스마트 플러그의 on/off제어 신호일 수 있다. 사용자가 스마트 플러그에 연결된 전가기기의 전력을 직접 차단하거나, 전자기기에 전력을 공급하여 동작시키고 싶은 경우, on/off 제어 신호를 스마트 플러그 제어 장치(100)에 바로 입력할 수 있으며, 이 때, 스마트 플러그 제어 장치(100)는 사용자의 입력 신호를 받아 홈에너지 관리 시스템으로 전송하여 스마트 플러그를 제어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스마트 플러그 제어 장치(100)는 동작 시간 설정, 대기 전력 상태 설정과 같은 제어 조건 신호에 기초하여 스마트 플러그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동작 시간을 설정하는 경우, 스마트 플러그 제어 장치(100)는 홈에너지 관리 시스템으로부터 스마트 플러그의 사용 시간 정보를 수신하여, 설정된 시간만큼 사용이 되었는지 확인할 수 있으며, 설정된 시간만큼 사용 된 경우, 스마트 플러그의 전력을 차단하는 신호를 생성하여 홈에너지 관리 시스템으로 전송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대기 전력 상태 설정을 한 경우, 스마트 플러그 제어 장치(100)는 스마트 플러그에 연결된 전자기기의 대기 상태가 얼마나 지속되고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사용자가 설정된 대기 시간이 되는 경우, 스마트 플러그의 전력을 차단하는 신호를 생성하여 홈에너지 관리 시스템으로 전송할 수 있다.
다른 예에 따르면, 스마트 플러그 제어 장치(100)는 복수의 스마트 플러그에 연결된 전자기기의 종류, 제어 방법을 포함하는 전자기기 정보에 기초하여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마트 플러그에 연결된 전자기기가 냉장고인 경우, 냉장고의 특성 상 일정 온도 이상인 경우 냉각기를 동작시키나, 일정 온도 이하인 경우 동작을 멈추고 대기 상태로 있을 수 있다. 이 경우, 스마트 플러그가 대기 전력을 차단하기 위하여 스마트 플러그 전력을 차단하는 경우, 냉장고가 정상적으로 동작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스마트 플러그 제어 장치(100)는 냉장고의 경우 대기 전력이 발생중인 경우에도 전력을 차단하지 않고 유지하고 있도록 제어 조건을 설정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스마트 플러그에 연결된 전자기기가 텔레비전인 경우, 텔레비전은 사용자가 전원을 끈 상태에서도 일정량의 대기 전력을 소모하게 된다. 또한, 텔레비전의 경우, 대기 전력을 차단한다고 하여 냉장고와 같이 동작에 문제가 발생되지 않는다. 따라서, 스마트 플러그 제어 장치(100)는 대기전력이 발생할 경우 이를 차단하도록 제어 조건을 설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양상은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될 수 있다. 상기의 프로그램을 구현하는 코드들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당해 분야의 컴퓨터 프로그래머에 의하여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디스크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 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 작성되고 실행될 수 있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특허 청구범위에 기재된 내용과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다양한 실시 형태가 포함되도록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스마트 플러그 제어 장치 110: 비콘 신호 감지부
130: 인증부 150: 제어부
152: 상태정보 수신부 154: 제어신호 생성부
200: 비콘 300: 홈에너지 관리 시스템
400: 스마트 플러그

Claims (1)

  1. 홈에너지 관리 시스템에 접속하기 위하여 비콘의 커버리지 내에서 비콘 신호를 감지하는 기능;
    상기 비콘 신호가 감지되면, 비콘으로부터 스마트 플러그의 상태 정보를 수신하는 기능;
    상기 스마트 플러그의 상태 정보를 기초로 상기 스마트 플러그의 전력 공급 여부, 전력 공급량, 전력 공급 시간, 전력 공급 주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기능;
    상기 제어 신호를 상기 비콘에 전송하는 기능;
    을 실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KR1020170005009A 2017-01-12 2017-01-12 기록매체 KR2017000751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05009A KR20170007516A (ko) 2017-01-12 2017-01-12 기록매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05009A KR20170007516A (ko) 2017-01-12 2017-01-12 기록매체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38288A Division KR101700404B1 (ko) 2015-03-19 2015-03-19 홈 에너지 관리 시스템에서 비콘을 이용한 스마트 플러그 제어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7516A true KR20170007516A (ko) 2017-01-18

Family

ID=579926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05009A KR20170007516A (ko) 2017-01-12 2017-01-12 기록매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07516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2165B1 (ko) 2011-11-23 2013-03-11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적응식 대기전력 차단 제어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2165B1 (ko) 2011-11-23 2013-03-11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적응식 대기전력 차단 제어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29750B2 (en) Providing wireless network authentication data to climate control system devices
US10158968B2 (en) Communication method and system
KR101722696B1 (ko) 홈에너지 관리 시스템에서 비콘을 이용한 홈에너지 관리 장치 및 방법
CN105191412B (zh) 无线设备及用于配置无线设备的方法
US20190043289A1 (en) Offline lock system and method thereof
US9122256B2 (en) Method of operating a mobile control unit of a home-automation installation
EP2833330B1 (en) Communication method and system
KR20170132263A (ko) IoT 시스템에서 사용자 위치를 정확하게 감지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JP2014175989A (ja) 無線アクセスポイント装置、無線アクセスポイント装置の制御方法、無線通信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JP6346601B2 (ja) 電力管理システム、電力中継装置、電力管理プログラム及び電力管理方法
KR101700404B1 (ko) 홈 에너지 관리 시스템에서 비콘을 이용한 스마트 플러그 제어 장치 및 방법
KR101410875B1 (ko) 복수의 동작 모드를 가지는 무선 키 및 이 무선 키를 포함하는 출입 통제 시스템
KR101428961B1 (ko) 건물의 통합 에너지 운용 관리 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
JP2014011659A (ja) メータ、メータシステム、移動体端末、移動体端末用プログラム、およびサーバ
KR20170007516A (ko) 기록매체
JP2006019788A (ja) 電源装置、電源認証システム
KR102244588B1 (ko) 보안 시스템과 연동하는 전력 관리 시스템 및 방법
US7149554B2 (en) Access control method utilizing a key battery
KR20130109762A (ko) 소형 기지국들을 이용하여 전력을 제어하는 장치 및 방법
JP4423258B2 (ja) 制御装置
KR20170037598A (ko) 홈에너지 관리 시스템에서 비콘을 이용한 홈에너지 관리 장치
JP5378836B2 (ja) 通信システム、プログラムおよび通信方法
KR20160034687A (ko) 대기전력 차단장치, 전력공급 장치 및 전원 모니터링 시스템
JP6344658B2 (ja) 画像形成装置、画像形成方法及び画像形成プログラム
KR101401464B1 (ko) 모바일을 이용한 원격 보안 제어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