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10875B1 - 복수의 동작 모드를 가지는 무선 키 및 이 무선 키를 포함하는 출입 통제 시스템 - Google Patents

복수의 동작 모드를 가지는 무선 키 및 이 무선 키를 포함하는 출입 통제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10875B1
KR101410875B1 KR1020130137487A KR20130137487A KR101410875B1 KR 101410875 B1 KR101410875 B1 KR 101410875B1 KR 1020130137487 A KR1020130137487 A KR 1020130137487A KR 20130137487 A KR20130137487 A KR 20130137487A KR 101410875 B1 KR101410875 B1 KR 1014108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less key
unit
access control
wireless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374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태헌
박종인
이재성
송진규
Original Assignee
창신정보통신(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창신정보통신(주) filed Critical 창신정보통신(주)
Priority to KR10201301374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1087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108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10875B1/ko
Priority to PCT/KR2014/010527 priority patent/WO2015072693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182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with unidirectional data transmission between data carrier and lock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6Authentication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182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with unidirectional data transmission between data carrier and locks
    • G07C2009/00198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with unidirectional data transmission between data carrier and locks the keyless data carrier having more than one limited data transmission range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182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with unidirectional data transmission between data carrier and locks
    • G07C2009/00238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with unidirectional data transmission between data carrier and locks the transmittted data signal containing a code which is changed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2009/00579Power supply for the keyless data carrier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2009/00753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by active electrical key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40Security arrangements using identity modules
    • H04W12/47Security arrangements using identity modules using near field communication [NFC] or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modu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선 안테나와 무선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신호를 복조하고 무선 안테나를 통해 전송될 신호를 변조하는 변복조부와 이 변복조부에 연결된 제어부로서, 이벤트 신호의 수신에 응답하여, 복조된 신호로부터의 데이터 패킷의 수신에 기초한 제 1 동작 모드 또는 제 2 동작 모드로 전환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출입문 통과를 위해 이용되는, 복수의 동작 모드를 가지는 무선 키 및 이 무선 키를 포함하는 출입 통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을 이용함으로써, 무선 키의 전력 소비를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고 출입문 보안을 강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복수의 동작 모드를 가지는 무선 키 및 이 무선 키를 포함하는 출입 통제 시스템{WIRELESS KEY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ODE AND ACCESS CONTROL SYSTEM COMPRISING THE WIRELESS KEY}
본 발명은 복수의 동작 모드를 가지는 무선 키 및 이 무선 키를 포함하는 출입 통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무선 키에서 소비되는 전력 소비를 줄일 수 있고 출입문을 통한 출입 통제가 무선 키와의 거리에 따라 자동으로 이루어지고 보안을 강화할 수 있도록 하는, 복수의 동작 모드를 가지는 무선 키 및 이 무선 키를 포함하는 출입 통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회사, 아파트나 호텔 등은 출입을 허가받지 못한 이용자(사용자)의 출입을 제한할 필요가 있다. 이에 따라 이러한 건물에서는 출입 통제 시스템을 통한 출입문의 제어로 허가된 이용자만이 출입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기존 출입 통제 시스템은, 전원 또는 전력이 필요치 않은 카드(예를 들어 NFC 카드나 RFID 태그)를 이용하여 이 카드를 출입문 주위에 설치된 제어 장치에 접촉함으로써 출입문의 제어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러한 무 전력의 카드는 메모리 용량의 한계, 인증 방법의 제한 등 다양한 문제가 발생하고, 이러한 여러 문제에 대응하고 보다 더 편리한 무선 키(전자 키)를 본 발명의 출원인에 의한 출원으로 공개(① 등록특허 10-1265659, 2013년 5월 22일, "인증어댑터를 가지는 출입통제시스템" ② 등록특허 10-1017588, 2011년 2월 28일, "출입 통제 시스템")되었다.
이 공개 문헌들에 개시된 무선 키는, 일면 기존의 무 전력의 카드에 비해서 다양한 장점을 가질 수 있으나 몇 가지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다.
먼저 이 무선 키가 전원 소스를 사용하기에, 무선 키 내에 배터리나 건전지 등을 내장하고 있고 이 배터리나 건전지로부터의 전력 소비가 높아 빈번히 건전지 등의 교체가 필요하여 이용자에게 불편함을 야기한다.
또한 무선 키와 출입 통제 장치는 일정한 거리(예를 들어 30 m나 10 m 이내 등) 이내에서는 무선 통신이 가능하기에 무선 통신에 따른 출입 허가가 출입문 근처에서 이루어질 수 없는 가능성이 있고 이에 따라 허가되지 않은 사람의 출입이 가능하게 되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또한 만일 무선 키를 분실하는 경우에 무선 키를 무단으로 유용할 수 있는 문제가 생겨 물리적인 보안 문제가 야기된다.
그외 이 무선 키가 여러 건물이나 장소에서 출입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면 무선 키의 재사용과 효과적인 활용이 가능할 것이고 그 외 동적인 암호화를 이용하여 출입 제한을 위한 보안 레벨을 높일 필요가 있다.
이와 같이 알려져 있는 전원이 필요하고 무선 통신을 이용하는 무선 키에서 야기되는 여러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도록 하는, 복수의 동작 모드를 가지는 무선 키 및 이 무선 키를 포함하는 출입 통제 시스템이 필요하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안출한 것으로서, 무선 키에서 의 전력 소비를 줄일 수 있도록 하는, 복수의 동작 모드를 가지는 무선 키 및 이 무선 키를 포함하는 출입 통제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무선 키와 출입 통제 장치 사이에서 송수신되는 데이터 패킷을 활용하여 무선 키에서 소비되는 전력 소비를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도록 하는, 복수의 동작 모드를 가지는 무선 키 및 이 무선 키를 포함하는 출입 통제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무선 키로부터 수신된 데이터 패킷의 신호 세기를 이용하여 출입문에 무선 키가 근접하는 경우에 출입문이 열릴 수 있도록 하여, 허가되지 않은 사람의 출입 제한과 자동화된 출입 제어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복수의 동작 모드를 가지는 무선 키 및 이 무선 키를 포함하는 출입 통제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무선 키의 분실에 따른 무선 키의 재사용을 방지하고 무단 침입 문제를 줄일 수 있도록 하는, 복수의 동작 모드를 가지는 무선 키 및 이 무선 키를 포함하는 출입 통제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능동적으로 동작하는 하나의 무선 키로 여러 장소에서의 출입이 가능하도록 하여 무선 키의 활용도를 높일 수 있도록 하고 가변적인 암호화 방식을 적용하여 보안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 복수의 동작 모드를 가지는 무선 키 및 이 무선 키를 포함하는 출입 통제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복수의 동작 모드를 가지는 무선 키는, 무선 안테나와 무선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신호를 복조하고 무선 안테나를 통해 전송될 신호를 변조하는 변복조부와 변복조부에 연결된 제어부로서, 이벤트 신호의 수신에 응답하여, 복조된 신호로부터의 데이터 패킷의 수신에 기초한 제 1 동작 모드 또는 제 2 동작 모드로 전환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이 무선 키는 출입문 통과를 위해 이용된다.
또한 이 무선 키는, 제 1 주파수 클럭 신호를 출력하는 제 1 발진부 및 제 1 주파수 클럭 신호와는 상이한 제 2 주파수 클럭 신호를 출력하는 제 2 발진부를 더 포함하고, 제어부는, 제 1 동작 모드에서 제 1 주파수 클럭 신호에 기초하여 동작하고, 제 2 동작 모드에서 제 2 주파수 클럭 신호에 기초하여 동작한다.
또한 제어부는, 수신된 데이터 패킷에 지정된 식별자가 존재하는 경우에 정규 모드(normal mode)인 제 2 동작 모드로 전환하고, 데이터 패킷에 지정된 식별자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 슬립 모드(sleep mode)인 제 1 동작 모드로 전환한다.
또한 이 무선 키는, 제어부에 연결되어 데이터를 암호화하기 위한 암호화부를 더 포함하고, 제 2 동작 모드에서, 제어부는, 출입문 통과를 위해 이용되는 제어 데이터를 암호화부를 통해 암호화하고 암호화된 제어 데이터를 포함하는 데이터 패킷의 신호를 변복조부로 전송한다.
또한 제어부는, 제 2 동작 모드에서 변복조부를 통해 복조된 신호로부터의 데이터 패킷에 포함된 암호화 키를 이용하여 제어 데이터를 암호화하도록 암호화부를 제어한다.
또한 이 무선 키는, 이용자로부터 입력을 수신하기 위한 입력부 및 저장부를 더 포함하고, 제어부는, 입력부를 통해 수신된 입력과 저장부에 저장된 인증 패턴의 비교에 기초하여 제 2 동작 모드에서 변복조부를 통해 전송될 제어 데이터를 결정하거나 생성한다.
또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무선 키를 포함하는 출입 통제 시스템은, 복수의 동작 모드를 가지는 무선 키 및 무선 키와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출입 통제 장치를 포함하고, 이 무선 키는, 무선 안테나와 무선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신호를 복조하고 무선 안테나를 통해 전송될 신호를 변조하는 변복조부와 변복조부에 연결된 제어부로서, 복조된 신호로부터의 데이터 패킷에 기초하여 동작 중인 제 1 동작 모드에서 제 2 동작 모드로 전환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이 무선 키는 출입문 통과를 위해 이용된다.
또한 이 출입 통제 장치는, 주기적으로 데이터 패킷을 무선 신호로 송출하고 데이터 패킷의 송출 이후에 무선 키로부터 데이터 패킷을 무선 신호로 수신하고, 수신된 데이터 패킷의 페이로드에 포함된 제어 데이터에 기초하여 출입 통제 장치에 의해 제어되는 출입문의 열림 여부를 결정한다.
또한 페이로드의 제어 데이터는, 출입 통제 장치와 무선 키 사이에 지정된 암호화 키로 암호화되고, 이 출입 통제 장치는, 지정된 복호화 키로 제어 데이터의 복호화와 수신된 데이터 패킷의 무선 신호의 신호 세기에 기초하여 제어되는 출입문의 열림 여부를 결정한다.
또한 이 출입 통제 장치는, 복호화에 따른 지정된 제어 데이터의 존재 여부와 수신된 데이터 패킷의 무선 신호의 신호 세기가 지정된 임계 레벨의 신호 세기 이상인 경우에 제어되는 출입문을 열도록 결정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복수의 동작 모드를 가지는 무선 키 및 이 무선 키를 포함하는 출입 통제 시스템은, 무선 키에서 소비되는 전력 소비를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복수의 동작 모드를 가지는 무선 키 및 이 무선 키를 포함하는 출입 통제 시스템은, 출입 통제 장치 사이에서 송수신되는 데이터 패킷을 활용하여 무선 키에서 소비되는 전력 소비를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복수의 동작 모드를 가지는 무선 키 및 이 무선 키를 포함하는 출입 통제 시스템은, 무선 키로부터 수신된 데이터 패킷의 신호 세기를 이용하여 출입문에 무선 키가 근접하는 경우에 출입문이 열릴 수 있도록 하여, 허가되지 않은 사람의 출입 제한과 자동화된 출입 제어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복수의 동작 모드를 가지는 무선 키 및 이 무선 키를 포함하는 출입 통제 시스템은, 무선 키의 분실에 따른 무선 키의 재사용을 방지하고 무단 침입 문제를 줄일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복수의 동작 모드를 가지는 무선 키 및 이 무선 키를 포함하는 출입 통제 시스템은, 능동적으로 동작하는 하나의 무선 키로 여러 장소에서의 출입이 가능하도록 하여 무선 키의 활용도를 높일 수 있도록 하고 가변적인 암호화 방식을 적용하여 보안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출입 통제 시스템의 시스템 블록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무선 키의 예시적인 블록구성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출입 통제 장치의 예시적인 하드웨어 블록구성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출입 통제 시스템에서 출입문 통과를 위한 무선 키와 출입 통제 장치 사이에서의 예시적인 제어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상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후술 되어 있는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더욱 명확해 질 것이며, 그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출입 통제 시스템의 시스템 블록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따르면 이 출입 통제 시스템은, 하나 이상의 무선 키(100)와 하나 이상의 출입 통제 장치(200)와 하나 이상의 구동 장치(300)와 하나 이상의 출입문(400)을 포함하고 추가하여 보안 셋탑 박스(500)와 제어 서버(6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출입 통제 시스템의 각 시스템 블록을 살펴보면, 무선 키(100)는, 지정된 하나 혹은 복수의 출입문(400)의 통과를 위해 이용되는 출입 키(key)이다. 이러한 무선 키(100)는, 무선 통신을 통한 데이터 패킷의 송신과 수신으로 특정 출입문(400)의 출입을 요청할 수 있고 이를 통해 특정 출입문(400)을 통과할 수 있도록 이용된다.
이와 같은 무선 키(100)는, 무선 통신을 통한 양방향 통신이 가능하고 나아가 무선 키(100)의 상태에 따라 동작 모드(operating mode)를 전환하여 무선 키(100)에서 소비되는 전력 소비를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이 무선 키(100)는 복수의 여러 동작 모드를 가지고 있어 각 동작 모드에서의 전력 소비 제어가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이 무선 키(100)는, 출입 통제 장치(200)로부터 무선 통신을 통해 수신된 데이터 패킷에 응답하여 동작 모드의 변경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된다.
또한 이 무선 키(100)는, 둘 이상의 입력 버튼을 구비할 수 있는 데, 이 입력 버튼은 무선 키(100)의 소지자를 인증하기 위한 용도로 이용될 수 있어, 이 무선 키(100)의 분실이나 도난 등으로 인한 무단 출입을 방지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 무선 키(100)에 대해서는 도 2와 도 4를 통해서 더욱더 상세히 살펴보도록 한다.
출입 통제 장치(200)는, 특정 하나의 출입문(400)을 통제하기 위한 장치이다. 이러한 출입 통제 장치(200)는 하나 혹은 복수의 무선 키(100) 각각과 무선 통신을 수행하여 제어할 출입문(400)의 열림이나 닫힘을 결정하고 이 결정에 따라 해당 출입문(400)을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이 출입 통제 장치(200)는, 제어할 출입문(400)과 인접하는 위치에 설치될 수 있는 데, 무선 키(100)를 통한 출입문(400)의 제어뿐 아니라 다른 인터페이스를 통한 출입문(400)의 제어 또한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출입 통제 장치(200)에 대해서는 도 3 및 도 4를 통해 더욱더 상세히 살펴보도록 한다.
구동 장치(300)는, 구동 모터를 포함하고 출입 통제 장치(200)나 보안 셋탑 박스(500)에 연결되어 이 장치로부터의 제어에 따라 구동 모터를 구동하여 이 구동 장치(300)가 제어할 출입문(400)을 개폐(열림/닫힘)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은 구동 장치(300)는, 본 출입 통제 시스템의 구성 형태에 따라 출입 통제 장치(200)에 연결되거나 보안 셋탑 박스(500)에 연결되어 이 장치로부터 출입문(400) 제어를 위한 제어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출입문(400)은, 회사, 아파트나 호텔 등과 같이 출입 제어나 통제가 필요한 공간을 출입하는 위치에 설치되어 구동 장치(300)의 제어에 따라 개폐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출입문(400)은 널리 알려진 형태로 구성되고 예를 들어 슬라이드(slide) 타입이거나 여닫이(Hinged) 타입의 자동문일 수 있다.
본 출입 통제 시스템에 더 포함될 수 있는 보안 셋탑 박스(500)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 등과 같은 처리 유닛과 통신 인터페이스와 메모리 등을 구비하여 출입 통제 장치(200)에 연결되어(유선의 RS485 등으로) 출입 통제 장치(200)로부터 수신된 데이터에 따라 구동 장치(300)를 제어할 수 있다.
이 보안 셋탑 박스(500)는, 선택적으로 설치될 수 있고 출입 통제 장치(200)가 직접 구동 장치(300)를 제어하지 않는 경우에 본 출입 통제 시스템에 이용될 수 있다.
그리고 이 보안 셋탑 박스(500)는, 출입 통제 장치(200)로부터 수신된 데이터에 따라 구동 장치(300)를 제어할 수 있는 데, 예를 들어 수신된 데이터(혹은 이 데이터로부터 복호화된 데이터)가 지정된 데이터와 일치하는 경우에 구동 장치(300)를 통해 연결된 출입문(400)을 열도록 구동 장치(300)를 제어할 수 있다.
보안 셋탑 박스(500)에서 이루어지는 데이터 처리는 실질적으로 출입 통제 장치(200)가 구동 장치(300)에 직접 연결된 경우에서의 출입 통제 장치(200)에서 이루어지는 처리와 동일하므로 여기서는 생략하도록 한다.
본 출입 통제 시스템에 더 포함될 수 있는 제어 서버(600)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 등과 같은 처리 유닛과 통신 인터페이스와 하드 디스크나 메모리 등을 구비하여 출입 통제 장치(200) 나아가 보안 셋탑 박스(500)에 연결되어 출입문(400)을 통해 출입한 이용자(사용자)의 출입 상황을 관리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에 따라 이 제어 서버(600)는, 출입 통제 장치(200)로부터 해당 이용자에 대응하는 무선 키(100)의 식별자와 출입한 시간 등을 이 출입 통제 장치(200)의 식별자와 함께 수신하여 이를 데이터베이스 등에 저장하여 특정 이용자의 출입 관리가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제어 서버(600)는, 출입 통제 장치(200)와 유선이나 무선의 랜 등을 통해 연결될 수 있는 데, 각각의 출입 통제 장치(200)에 출입을 허용할 무선 키(100)들의 식별자를 전송하도록 구성하여 동적으로 그리고 자동으로 출입자를 제한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한편 무선 키(100)와 출입 통제 장치(200)는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데, 이 무선 통신은 근거리 무선 통신일 수 있고, 예를 들어 와이파이(WiFi), 지그비(Zigbee), 블루투스(Bluetooth), 능동형(Active)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등과 같은 일정한 거리 내에서 무선 채널 연결과 통신 가능한 무선 통신 프로토콜에 따른 무선 통신일 수 있다.
그리고 이 무선 통신 방식은 특정 대역의 주파수(예를 들어 2.4 GHz 등)를 이용하고 바람직하게는 동적인 무선 네트워크의 설정이 용이한 지그비일 수 있다.
이상과 같은 출입 통제 시스템은, 출입문(400)을 통해 출입을 할 이용자는 출입 통제 장치(200)에 별도의 입력이 없이도 자동으로 출입문(400)의 개폐가 가능하도록 하는 환경을 제공한다.
이 출입 통제 시스템에서 발생하고 출입문(400) 통과를 위한 장치 간 제어 흐름은, 도 4를 통해서 더욱더 상세히 살펴보도록 한다.
도 2는, 무선 키(100)의 예시적인 블록구성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에 따른 이 무선 키(100)의 예시적인 블록구성도는, 무선 안테나(101)와 변복조부(103)와 입력부(105)와 출력부(107)와 저장부(109)와 전원 공급부(111)와 제 1 발진부(113)와 제 2 발진부(115)와 클록 생성부(117)와 암호화부(119)와 제어부(121)와 타이머(123)를 포함한다. 이 중 일부의 블록은 무선 키(100)의 변형 실시 예에 따라 생략되거나 도시되지 않은 다른 블록들이 더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무선 키(100)의 각 블록들을 살펴보면, 무선 안테나(101)는, 무선 신호를 수신하고 무선 키(100) 내부(변복조부(103))로부터 변조된 신호를 무선으로 송출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 무선 안테나(101)는 바 타입 등과 같은 안테나이거나 무선 키(100) 내의 보드나 케이스에 내장된 안테나일 수 있다.
변복조부(103)는, 지정된 대역의 캐리어 주파수(예를 들어 2.4 GHz 대역의 캐리어 주파수)를 이용하여 무선 안테나(101)를 통해 수신된 신호를 캐리어 주파수를 이용하여 복조하여 복조된 신호를 제어부(121)로 전달하고 제어부(121)로부터 전달되어 무선으로 송출될 전송 신호를 캐리어 주파수를 이용하여 변조하여 무선 안테나(101)를 통해 송출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변복조부(103)는, 소위 캐리어 주파수에 실려 있는 베이스밴드(baseband)의 신호를 복조하고 이 베이스밴드 신호를 캐리어 주파수에 실어서 전달하도록 변조할 수 있다.
그리고 이 변복조부(103)와 제어부(121) 사이에 송수신되는 신호는, 제어부(121)와 약속된 포맷으로 전달될 수 있고, 예를 들어 시리얼 버스나 병렬 버스를 통한 디지털 신호일 수 있다.
입력부(105)는, 하나 이상의 버튼을 포함하여 무선 키(100)를 소지한 무선 키(100) 또는 이 무선 키(100)를 포함하는 출입 통제 시스템의 이용자로부터 제어 입력을 수신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은 입력부(105)는, 예를 들어 무선 키(100)의 동작이 시작될 수 있도록 하는 전원 버튼, 무선 키(100)의 분실 등에 대비하여 이용될 수 있는 복수의 입력 버튼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복수의 입력 버튼은, 예를 들어 '0'에서 '9'까지의 번호들을 나타내는 버튼들이거나 혹은 '0'과 '1'의 번호들을 나타내는 버튼들일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입력 버튼들은 예를 들어 무선 키(100)를 소지하는 이용자의 인증을 위해서 이용될 수 있고, 이용자 인증에 통과한 경우에만 이 무선 키(100)가 출입 통제 장치(200)와 무선 통신이 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출력부(107)는, 스피커나 부저나 하나 이상의 발광 다이오드를 포함하여, 무선 키(100)의 내부 상태 등을 출력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출력부(107)는 예를 들어 다른 색상의 다이오드들(예를 들어 적색, 녹색, 청색의 다이오드)을 포함하여, 제어부(121)의 제어에 따라 무선 키(100)의 현재 동작 모드나 무선 키(100)의 전원 상태를 출력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저장부(109)는, 노어(nor) 타입이나 낸드(nand) 타입의 비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하여 각종 데이터와 프로그램을 저장한다. 이러한 저장부(109)는 제어부(121)에서 이용되는 각종 프로그램과 이 프로그램 내에서 이용되는 각종 데이터를 저장한다. 그리고 이 저장부(109)는 또한 디램 타입의 휘발성 메모리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그리고 저장부(109)는, 무선 키(100)를 소지하는 이용자 인증을 위한 인증 패턴을 저장할 수 있는 데, 저장부(109)에 저장된 이러한 인증 패턴은 제어부(121)의 제어에 따라 입력부(105)롤 통해 입력된 복수의 입력 버튼의 입력 패턴과 비교될 수 있다.
전원 공급부(111)는, 충전용 배터리나 알카라인 또는 수은 건전지를 포함하고 이 건전지 등으로부터 출력된 전원을 무선 키(100) 내부의 회로에 필요한 하나 이상의 전원 레벨로 변환하여 출력하기 위한 전원 변환기를 포함한다.
이 전원 공급부(111)에서 출력되는 전원들은 무선 키(100) 내의 전원이 필요한 각 블록들로 공급된다. 예를 들어 전원 공급부(111)의 하나의 출력 전원은 변복조부(103)에 공급되고 다른 하나의 출력 전원은 제어부(121)나 저장부(109)나 클록 생성부(117) 등에 공급되고 또 다른 하나의 출력 전원은 암호화부(119) 등에 공급될 수 있다.
물론 이 전원 공급부(111)에서 출력되는 전원 레벨의 개수나 각 출력 전원의 연결은 각 블록의 필요한 전원에 따라 상이하게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이 전원 공급부(111)는, 제어부(121)에 의해서 제어될 수 있고 예를 들어 지정된 특정 출력 전원의 공급을 중단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 1 발진부(113)는, 이 제 1 발진부(113)에서 지정된 주파수의 클럭(clock) 신호를 출력한다. 이러한 제 1 발진부(113)는 예를 들어 오실레이터(oscilator)이거나 크리스탈(crystal) 등일 수 있다.
제 2 발진부(115)는, 이 제 2 발진부(115)에서 지정된 주파수의 클럭 신호를 출력한다. 이러한 제 2 발진부(115) 오실레이터이거나 크리스탈 등일 수 있다.
여기서 제 1 발진부(113)에서 출력되는 클럭 신호와 제 2 발진부(115)에서 출력되는 클럭 신호는 상이한 주파수의 클럭 신호일 수 있고, 예를 들어 제 1 발진부(113)의 클럭 신호는 32KHz의 클록 신호이고 제 2 발진부(115)의 클럭 신호는 16MHz의 클록 신호일 수 있다.
이러한 상이한 클록 신호들은 제어부(121)의 동작 모드에 따라서 선별적으로 이용되어 진다.
클록 생성부(117)는, 제어부(121)에 의한 제어로 무선 키(100) 내부의 특정 블록에서 이용될 클록 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한다. 이러한 클록 생성부(117)는 예를 들어 입력된 클록 신호로부터 일정 배수의 주파수의 클록 신호로 체배하는 PLL(Phase Locked Loop)이거나 DLL(Delay Locked Loop) 등을 이용하여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클록 생성부(117)는 제어부(121)의 제어 입력에 따라 제 1 발진부(113)나 제 2 발진부(115)로부터의 주파수 클록 신호로부터 체배하고 제어부(121)에 의해 선택된 블록으로 제공되는 클록 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는 별도 두 개의 발진부(113, 115)가 무선 키(100) 내에 존재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국한될 필요는 없고, 예를 들어 하나의 발진부(113 또는 115)로부터의 주파수 클록 신호로부터 제어부(121)에 의한 선택에 따라 특정 주파수의 클록 신호로 클록 생성부(117)가 출력하고 다른 선택에 따라 이 특정 주파수와는 다른 주파수의 클록 신호를 클록 생성부(117)가 출력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여러 변형 형태에 따라, 이 클록 생성부(117)와 하나 혹은 복수의 발진부는, 제어부(121)에 의한 제어에 따라 상이한 주파수의 클록 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되고 이러한 상이한 주파수의 클록 신호들은 제어부(121)에서의 동작 모드에 따라 선택될 수 있다.
암호화부(119)는, 제어부(121)에 연결되어 제어부(121)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를 지정된 암호화 방식에 따라 암호화하거나 복호화할 수 있다. 이러한 암호화부(119)는 128비트나 256비트의 AES(Advanced Encryption Standard)를 수행하는 하드웨어 로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 암호화부(119)는, 제어부(121)로부터 암호화할 데이터와 암호화키를 수신하여 그 암호화된 결과를 제어부(121)로 반환하거나 복호화할 데이터와 복호화키를 수신하여 복호화된 결과를 제어부(121)로 반환할 수 있다.
타이머(123)는, 제어부(121)의 제어에 의해 설정된 시간 값을 클록 생성부에서 출력된 클록 신호를 이용하여 카운팅하여 설정된 시간 값에 도달한 경우에 이를 이벤트 신호로 제어부(121)에 출력한다.
이러한 타이머(123)는, 바람직하게는 하드웨어 로직으로 구성될 수 있고, 이 하드웨어 로직은 클록 생성부(117)를 통해 수신된 클록 신호(예를 들어 제 1 발진부(113)나 제 2 발진부(115) 중에서 선택된 주파수 클록 신호) 또는 이 클록 신호에 기초한 다른 클록 신호를 카운팅하여 설정된 시간 값과 일치하는 경우(예를 들어 설정된 시간 값을 클록 신호에 따라 1 씩 감산하여 0이 되거나 혹은 클록 신호에 따라 1 씩 증분하고 증분된 값을 설정된 시간 값과 비교하여)에 인터럽트 신호와 같은 이벤트 신호를 생성하여 이를 제어부(121)로 출력할 수 있다.
제어부(121)는, 명령어를 페치(fetch)하기 위한 페치 유닛과 페치된 명령어를 실행하기 위한 실행 유닛과 제어부(121) 외부로부터 수신된 이벤트 신호를 처리하기 위한 이벤트 처리 모듈(예를 들어 인터럽트를 처리하기 위한 하드웨어 로직)을 포함하여, 명령어를 통해 무선 키(100)의 각 블록들을 제어한다.
이러한 제어부(121)는, 저장부(109)에 저장된 각종 프로그램과 데이터를 로딩하여 다른 블록들을 제어한다. 그리고 이 제어부(121)는 프로그램으로 전환되거나 하드웨어 로직 자체로 전환가능한 복수의 동작 모드를 가질 수 있다. 그리고 각각의 동작 모드는 각 동작 모드에서의 수행 가능한 기능과 다른 블록의 제어 기능이 정의될 수 있다.
동작 모드의 종류와 각 동작 모드에서의 제어부(121)에 의해서 수행되는 제어 흐름 등을 살펴보면, 제어부(121)는, 예를 들어 셧 다운 모드(shutdown mode), 슬립 모드(sleep mode)와 모드 전환 결정 모드와 정규 모드(normal mode)를 가질 수 있다.
셧 다운 모드는, 이용자에 의한 제어 입력(전원 버튼)으로 또는 전원 공급부(111)로부터 출력된 전원 레벨의 크기나 전원 공급부(111)로부터의 배터리나 건전지의 상태 레벨로 전환될 수 있는 동작 모드이다. 이러한 셧 다운 모드는, 전원 공급부(111)를 통해 전원이 출력되지 않는 상태이거나 동작이 중단된 상태일 수 있다.
그리고 슬립 모드는, 이 무선 키(100)가 무선 통신으로 연결되기 위한 출입 통제 장치(200)와 무선 연결이 설정되지 않거나 출입 통제 장치(200)로부터 무선 통신을 통한 데이터 패킷을 수신하지 못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동작 모드이다. 이러한 슬립 모드에서, 제어부(121)는 정상적인 동작 모드인 정규 모드에서 이용되는 클록 신호의 주파수보다 낮은 주파수의 클록 신호(예를 들어 제 1 발진부(113)의 주파수 클록 신호)로 구동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이 슬립 모드와는 다른 정규 모드로 전환하기 위해 특정 이벤트 신호(예를 들어 인터럽트 신호)를 대기하고 있는 상태이다.
또한 이 슬립 모드에서는, 무선 키(100) 내의 다수의 블록들에 전원 공급이 중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변복조부(103), 암호화부(119) 및/또는 저장부(109)에 전원 공급이 중단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슬립 모드에서 동작하는 무선 키(100)는, 정상적인 상태보다 낮은 주파수에서 동작하고 나아가 다수의 블록에 전원 공급이 중단되어 전력 소비를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다.
슬립 모드에서 외부로부터의 이벤트 신호에 따라 전이되는 모드 전환 결정 모드는, 슬립 모드나 정규 모드로 전환을 결정할 수 있는 모드이다. 이러한 모드 전환 결정 모드는, 예를 들어 인터럽트 핸들러에 의해서 구성될 수 있다.
정규 모드는, 슬립 모드와는 다르게 변복조부(103), 암호화부(119) 및/또는 저장부(109) 등에 전원이 공급되고 제어부(121)가 저장부(109)에 저장되어 있는 프로그램 등을 정상적으로 수행하고 외부 출입 통제 장치(200)와 데이터 패킷의 무선 통신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도록, 높은 주파수의 클록 신호(예를 들어 제 2 발진부(113)의 주파수 클록 신호)로 구동될 수 있도록 하는 동작 모드이다.
예시적인 동작 모드 간 전환을 중심으로 이 동작 모드들을 좀 더 살펴보면, 제어부(121)는, 슬립 모드에서(또는 슬립 모드로 전환시) 클록 생성부(117)를 제어하여 제 1 발진부(113)의 주파수 클록 신호로 또는 이로부터 체배된 주파수 클록 신호로 동작하도록 구성되고 이에 따라 전력 소비를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이 제어부(121)는 제 1 발진부(113)의 주파수 클록 신호 등과 같이 정규 모드에서 이용되는 주파수 클록 신호보다 낮은 주파수의 클록 신호(예를 들어 500배 낮은)에 기초하여 슬립 모드에서 동작한다.
한편 슬립 모드에서는, 제어부(121)에 의한 제어로 다른 블록에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거나 전원 공급부(111)로부터 출력되는 전원 레벨을 정상 레벨보다 낮게 설정할 수도 있다.
이 슬립 모드에서, 제어부(121)는 타이머(123), 입력부(15) 및/또는 변복조부(103) 등을 통한 이벤트 신호를 대기한다. 이러한 이벤트 신호는 인터럽트 신호일 수 있고, 제어부(121)의해 정규 모드에서 슬립 모드로 전환시 어떤 이벤트 신호를 이용할 것인지가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타이머에 시간 값(예를 들어 3초)을 설정함으로써 3초 후에 타이머에 의한 이벤트 신호가 발생하거나 혹은 변복조부(103)에 의한 무선 신호의 수신을 나타내는 이벤트 신호가 발생하거나 사용자에 의한 입력으로 이벤트 신호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이벤트 신호의 수신에 응답하여, 제어부(121)는, 모드 전환 결정 모드로 전환한다. 이 모드 전환 결정 모드는 예를 들어 특정 OS(Operating System) 상에서 구현되는 소위 인터럽트 핸들러이거나 인터럽트 핸들러에서 호출되는 프로그램 모듈이거나 특정 이벤트를 처리하기 위한 전용 프로그램 모듈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프로그램은 저장부(109)에 저장될 수 있다.
이 모드 전환 결정 모드에서 제어부(121)는, 변복조부(103)를 통한 데이터 패킷의 수신에 기초하여 슬립 모드나 정규 모드로 전환한다.
예를 들어 이벤트 신호가 변복조부(103)를 통해 수신되는 경우에, 제어부(121)는 무선 안테나(101)를 통해 변복조부(103)로부터 (디지털) 복조된 신호를 수신하도록 구성되고, 이 신호로부터 데이터 패킷을 구성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데이터 패킷은 지정된 무선 통신 프로토콜에 의해 정의되는 패킷일 수 있고 이 패킷은 소스 어드레스와 패킷의 타입 등을 포함하는 헤더와 페이로드(payload) 등을 포함한다.
이러한 데이터 패킷을 수신한 제어부(121)는, 이 데이터 패킷에 기초하여 슬립 모드로 또는 정규 모드로 전환할 것인지를 결정하고 그 결정에 따라 정규 모드나 슬립 모드로 전환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121)는, 소스 어드레스나 페이로드에 포함되는 약속된 데이터 패턴(예를 들어 '1010' 등과 같은 데이터 패턴이나 페이로드에서 약속된 제어 명령 등)이나 헤더나 페이로드에 포함된 데이터의 조합(예를 들어 소스 어드레스, 패킷 타입, 페이로드의 데이터 등의 조합)으로 결정될 수 있는 식별자가 이 데이터 패킷에 존재하는 지를 판단하여, 만일 이 식별자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정규 모드로 전환하고 그렇지 않으면 슬립 모드로 전환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식별자의 존재 여부는, 저장부(109)의 데이터 저장 영역의 데이터나 프로그램 영역에 내장되어 있는 데이터의 비교로 결정될 수 있다.
그리고 소스 어드레스나 데이터 패턴과 같은 식별자는 단일의 식별자만 저장부(109)에 저장될 필요는 없고 복수의 식별자가 저장부(109)에 저장되어 여러 출입문(400)을 통한 출입이 가능할 수 있다.
만일 식별자가 존재하는 경우, 제어부(121)는 출입문(400)을 통과하기 위해 접속하거나 연결할 출입 통제 장치(200)를 인식한 것으로 결정하여 이에 따라 무선 통신을 위해 정규 모드로 전환한다.
그리고 슬립 모드에서 출입 통제 장치(200)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 패킷은 출입 통제 장치(200) 의해서 주기적으로(예를 들어 1초) 송출되고 출입 통제 장치(200)와 무선으로 연결하여 출입문(400)의 통과를 제어하기 위해 이용되는 브로드캐스팅 데이터 패킷일 수 있다.
혹은 이벤트 신호가 타이머(123)를 통해 수신되는 경우에, 제어부(121)는 지정된 시간 동안(출입 통제 장치(200)의 송출 주기와 동일한 시간(1초) 동안 혹은 이 송출 주기보다 더 기 시간(1.2초) 동안)에 변복조부(103)를 통한 데이터 패킷의 수신을 대기한다.
만일 제어부(121)가 지정된 시간 동안에 데이터 패킷을 수신하지 못한 경우에는, 제어부(121)는 다시 슬립 모드로 전환하고 만일 데이터 패킷을 수신한 경우에는 이벤트 신호가 변복조부(103)를 통해 수신되는 경우의 처리와 동일하게, 식별자의 존재 여부에 따라 슬립 모드나 정규 모드로 전환한다.
그리고 이 모드 전환 결정 모드는, 적어도 무선 안테나(101)를 통한 데이터 패킷의 수신과 처리에 필요한 블록(예를 들어 변복조부(103)나 저장부(109))에 전원이 공급되도록 구성되고 나아가 제어부(121)에서 이용되는 주파수의 클록 신호가 슬립 모드에서의 그 클록 신호보다 더 높은 클록 신호로 선택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모드 전환 결정 모드에서의 블록에 전원 공급과 특정 주파수 클록 신호의 제공은 물론 다양한 변형 예가 존재할 수 있을 것이다.
정규 모드의 전환에 따라 제어부(121)는, 슬립 모드에서 이용되는 주파수의 클록 신호와는 상이한 주파수의 클록 신호(예를 들어 제 2 발진부(115)의 주파수 클록 신호)를 클록 생성부(117)를 통해 선택하여 이 제어부(121)가 동작 되도록 변경하고 전원 공급이 중단된 암호화부(119) 등에 전원 공급을 시작하여 인식된 출입 통제 장치(200)와 무선 통신을 통한 무선 채널을 설정하고 이를 통해 이후 데이터 패킷을 송수신한다.
이에 따라 제어부(121)는, 슬립 모드에서 낮은 클록 상에서 동작하다가 정상적인 무선 통신이 가능한 정규 모드로 전환하여 무선 키(100) 내의 각종 블록을 이용하여 고속으로 무선 통신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정규 모드에서 제어부(121)는, 인식된 출입 통제 장치(200)와 무선 채널 연결을 설정한다. 이러한 무선 채널 연결 설정은 무선 통신의 프로토콜에 따라서 상이할 수 있다. 이 무선 채널 연결 과정에서 인식된 출입 통제 장치(200)로부터 출입문(400) 통과를 위해 데이터 교환에 이용될 1회성 암호화 키(나아가 복호화 키)를 데이터 패킷의 페이로드를 통해 수신할 수도 있다.
그리고 제어부(121)는, 출입 통제 장치(200)의 인식에 따른 정규 모드에서, 인식된 출입 통제 장치(200)가 제어하는 출입문(400)을 통과하기 위한 데이터 패킷을 생성하여 이 데이터 패킷의 신호를 변복조부(103)로 전송하여 이후 무선 안테나(101)를 통해 송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송출되는 데이터 패킷의 헤더에는 이 무선 키(100)에 할당되어 있는 소스 어드레스와 출입 통제 장치(200)의 목적지(destination) 어드레스를 포함하고 나아가 페이로드에는 무선으로 연결된 출입 통제 장치(200)에서 출입문(400) 통과를 위해 이용되는 제어 데이터를 포함하고 이 제어 데이터는 무선 키(100)의 저장부(109)에 미리 저장되어 있는 암호화 키나 무선 채널 연결 과정에서 수신된 암호화 키로 암호화부(119)를 제어하여 암호화될 수 있다.
여기서 이 제어 데이터는, 예를 들어 인식된 출입 통제 장치(200)와 약속된 포맷으로 구성된 데이터이고 예를 들어 출입문(400)의 열림(개방)을 요청하는 제어 명령을 나타내는 데이터일 수 있다.
이와 같이 송출되는 데이터 패킷은, 출입 통제 장치(200)의 인식 후에 1회에 한해 송출되거나 혹은 주기적으로(예를 들어 0.1초 간격) 송출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주기적으로 송출되어 출입 통제 장치(200)가 이 무선 키(100)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 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물론 제어부(121)는, 이 출입 통제 장치(200)의 브로드캐스팅용 데이터 패킷을 더 이상 인식하지 못하는 경우에는, 슬립 모드로 전환하여 클록 신호의 주파수를 변경하고 다른 블록의 전원 제공을 중단하여 전력 소비를 줄일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 슬립 모드로 전환 시에, 제어부(121)는, 슬립 모드에서 모드 전환 결정 모드로 전환시 이용되는 이벤트 신호를 (재) 설정할 수 있다. 이러한 이벤트 신호의 설정은 저장부(109)에 저장된 프로그램이나 데이터에 의해서 미리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21)가 타이머(123)를 이용하여 모드 전환 결정 모드로 전환하고 이후 모드 전환을 결정하는 경우에는, 이 타이머(123)에 설정될 시간 값(예를 들어 3초 등)과 이 타이머에 의해서 모드 전환 결정 모드로 전환하도록 설정(예를 들어 제어부(121)에 포함되는 인터럽트 레지스터의 마스크나 인에이블(Enable) 비트를 설정)한다. 그리고 이 시간 값은 가변적으로 변경될 수 있다.
특히 이 시간 값의 변경은, 모드 전환 결정 모드 내에서도 이루어질 수도 있는 데, 예를 들어 타이머(123)에 의한 모드 전환 결정 모드로 전환 후에 데이터 패킷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 이 시간 값을 이전에 설정된 시간 값보다 더 긴 시간 값(예를 들어 3초에서 5초, 5초에서 10 초 등)으로 설정하여 타이머(123)에 의한 전력 소비를 줄일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혹은 변복조부(103)로부터 제공되는 이벤트 신호를 이용하여 모드 전환 결정 모드로 전환하고 이후 슬립 모드나 정규 모드로의 전환을 결정하는 경우에는, 변복조부(103)에 제공되는 전원 공급과 클록 신호를 유지하도록 클록 생성부(117)와 전원 공급부(111)를 제어하고 나아가 변복조부(103)에 의한 무선 신호의 수신을 나타내는 이벤트 신호에 따라 모드 전환 결정 모드로 전환하도록 설정한다.
그리고 이 타이머(123)나 변복조부(103)를 통한 이벤트 신호의 수신 설정과 유사하게 입력부(105)를 통해서 이벤트 신호의 수신을 설정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제어부(121)가 모드 전환 결정 모드를 활용하여 슬립 모드나 정규 모드로 전환하고 셧 다운 모드로 전환할 수 있는 것으로 설명하였다. 이러한 슬립 모드나 모드 전환 결정 모드나 정규 모드나 셧 다운 모드는, 그 용어로 의미가 한정되지 않으며 다른 용어로 언급될 수 있음을 인식하여야 할 것이다. 예를 들어 슬립 모드는, 소위 스탠바이(Standby) 모드나 아이들(Idle) 모드 등으로 언급될 수 있고 정규 모드는, 일반 모드나 노멀 모드 등으로 언급될 수 있고 셧 다운 모드는 파워-오프(Power-off) 모드 등으로 언급될 수 있고, 모드 전환 결정 모드는 웨이크 업(Wakeup) 모드 등으로 언급될 수도 있다. 그리고 이 모드 들은 무선 키(100)의 구성 블록과 저장부(109)의 프로그램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고 각 모드의 의미는 특정 용어로 해석되거나 특정 모드를 수행하기 위한 하나의 프로그램으로 해석될 필요는 없으며 각 모드에서 수행되는 기능으로 해석되면 충분할 것이다.
일반적으로 무선 키(100)는 출입문(400)의 출입을 위해 출입 통제 장치(200)와 일정한 거리 범위 내에 있는 경우의 시간보다는 다른 경우가 대부분이기에 이상과 같은 제어에 따라 무선 키(100)를 활용하면서도 전력 소비를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도록 하여 무선 키(100)의 이용 가능한 시간을 획기적으로 늘릴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제어부(121)는, 정규 모드로부터 슬립 모드로 전환 시에( 또는 정규 모드로 전환 시에), 무선 키(100)에 포함되는 또 다른 타이머(도면 미도시)를 구동할 수 있다. 이러한 타이머는 제 1 발진부(113)의 주파수 클록 신호나 제 2 발진부(115)의 주파수 클록 신호에 기초하여 지정된 시간을 카운팅할 수 있다.
타이머를 통한 지정된 시간이 도달 시, 제어부(121)는, 출력부(107)의 다이오드를 제어하거나 스피커나 부저 등을 제어하여 이용자 인증을 위한 인증 패턴의 입력을 요청할 수 있다. 이러한 인증 패턴은 입력부(105)에 구비된 복수의 입력 버튼(숫자 버튼)으로 구성될 수 있는 데이터이다.
이후 제어부(121)는, 입력부(105)를 통해 입력되는 일련의 이용자 입력을 수신하고 수신된 이용자 입력들과 저장부(109)에 저장되어 있는 인증 패턴을 비교하고 만일 일치하는 경우에는 이후 정규 모드에서 제어 데이터를 생성하여 출입문(400) 통과를 요청하는 데이터 패킷을 생성하고 송출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만일 일치하지 않는 경우에는, 정규 모드에서 제어부(121)는 제어 데이터를 포함하는 데이터 패킷의 생성과 송출을 수행하지 않거나 또는 이 제어 데이터에 일치하는 않는 것을 나타내는 데이터를 포함하여 데이터 패킷으로 전송하고 이후 출입 통제 장치(200)로 하여금 필요한 액션을 취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무선 키(100)의 제어부(121)의 제어에 통한 인증과 통과의 이원화 방식을 통해 출입문(400) 통과의 자동화가 가능하고 나아가 무선 키(100)의 분실에 따른 피해를 예방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무선 키(100)는, 수동형(passive)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태그(tag)를 무선 키(100)의 케이스 내부에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RFID 태그는 무선 키(100)의 전력 공급부나 제어부(121) 등이 동작하지 않는 경우(예를 들어 배터리 등을 통한 전원이 소진된 경우)에 비상용으로 출입 통제 장치(200)를 통해 출입하기 위해서 이용되어 질 수 있다.
이상과 같은 무선 키(100)의 블록들은 각각이 별도의 부품이나 칩셋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는 블록들 중 몇몇 블록들은 하나의 칩셋 내에 내장될 수 있고 예를 들어 변복조부(103), 제어부(121), 암호화부(119), 저장부(109) 및 클록 생성부(117)는 하나의 칩셋 내에 내장될 수 있다.
도 3은, 출입 통제 장치(200)의 예시적인 하드웨어 블록구성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에 따르면 이 출입 통제 장치(200)는, 센서 인터페이스(201), 입력 인터페이스(203), 출력 인터페이스(205), 유선 통신 인터페이스(207),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209), 휘발성 메모리(211), 비휘발성 메모리(213), 구동 인터페이스(215), 프로세서(217)를 포함하고 이러한 블록들을 연결하기 위한 시스템 버스/제어 버스(219)를 포함한다. 이 중 일부의 블록은 출입 통제 장치(200)의 변형 실시예에 따라 생략되거나 도시되지 않은 다른 블록들이 더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는 무선 키(100)와 연동하는 제어를 중심으로 살펴보며 그 외 다른 제어나 블록은 주지의 기술이므로 간단히 살펴보도록 한다.
출입 통제 장치(200)의 각 블록들을 간단히 살펴보면, 센서 인터페이스(201)는, 출입문(400)을 통한 이용자의 출입을 승인하고 모니터링하기 위한 인터페이스이다. 이러한 센서 인터페이스(201)는, RFID 리더기, 지문 인식기, 카메라 센서, 근접 센서나 조도 센서 등을 포함한다.
이와 같은 센서 인터페이스(201)는, 출입문(400)을 열기 위한 이용자로부터의 식별자를 인식하거나 이용자를 인지하거나 이용자의 출입문(400)으로부터 거리를 인식할 수 있도록 한다.
입력 인터페이스(203)는, 다수의 버튼이나 터치 패널을 포함하여, 비밀 번호를 통한 출입, 이 출입 통제 장치(200)에 관련된 설정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출력 인터페이스(205)는, 스피커나 부저 그 외 LCD(Liquid Crystal Display) 나 LED(Light Emitting Diode) 디스플레이를 포함하여, 입력 인터페이스(203)나 센서 인터페이스(201)로부터의 입력에 대한 응답이나 출입 통제 장치(200)의 내부 상태를 출력할 수 있도록 한다.
유선 통신 인터페이스(207)는, RS232, RS485, USB(Universal Serial Bus) 및/또는 유선 랜을 위한 유선의 통신 인터페이스를 구비하여 외부의 장치와 연결할 수 있도록 한다.
예를 들어 이 유선 통신 인터페이스(207)는, RS485를 통해 보안 셋탑 박스(500)와 통신이 가능하고 이 보안 셋탑 박스(500)로, 무선 통신으로 수신된 데이터 패킷의 (암호화된) 제어 데이터를 전달하고 보안 셋탑 박스(500)로 하여금 구동 장치(300)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한다.
또는 이 유선 통신 인터페이스(207)는, 유선 랜을 통해 원격의 제어 서버(600)와 통신할 수 있고 이 제어 서버(600)로 출입 통제 장치(200)를 통해 출입한 이용자나 이용자에 대응하는 식별자(예를 들어 카드나 지문의 식별 정보나 무선 키(100)의 식별자)와 출입 시간 등을 제어 서버(600)로 송출할 수 있다. 또는 제어 서버(600)로부터 이 출입 통제 장치(200)를 통해 허가된 이용자나 이용자에 대응하는 식별자를 수신하고 프로세서(217)로 하여금 이 식별자를 활용하여 출입 제어가 이루어지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209)는, 무선으로 데이터를 송수하기 위한 인터페이스이다. 이러한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209)는 지그비나 와이파이나 능동형 RFID나 블루투스의 통신 프로토콜에 따른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209)는, 예를 들어 물리층 및/또는 데이터 링크 계층의 지그비 통신 프로토콜이나 와이파이 통신 프로토콜 등을 수행하여 무선의 데이터 패킷을 송수신하도록 구성되고 예를 들어 무선 안테나를 포함하고 캐리어 신호를 통해 변조와 복조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칩셋이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무선 안테나와 칩셋이나 모듈 등은 반드시 출입 통제 장치(200)의 케이스 내에 내장될 필요는 없으며, 출입 통제 장치(200)의 외부에 예를 들어 출입문(400)이나 인접하는 특정 위치에 설치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209)를 통해, 인접하는 위치의 하나 이상의 무선 키(100)와 무선 통신이 가능하도록 한다.
휘발성 메모리(211)는, 디램 타입과 같이 전원의 공급이 중단됨에 따라 저장된 데이터가 소멸되는 메모리이다. 이러한 휘발성 메모리(211)는 각종 데이터와 프로그램을 임시로 저장한다.
비휘발성 메모리(213)는, 낸드 타입이나 노어 타입과 같이 전원의 공급 중단에 상관없이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가 유지되는 메모리이다. 이러한 비휘발성 메모리(213)는 프로세서(217)에서 이용되는 프로그램들(셋업 프로그램과 무선 키(100)와 연동하기 위한 프로그램 등)을 저장하고 이 프로그램들에서 이용되는 설정 데이터와 각종 식별자의 리스트들과 각 식별자 별 출입 시간 등을 저장하고 이러한 식별자에 관련된 정보는 데이터 베이스 형태로 저장될 수 있다.
그리고 이 식별자는, 출입이 허가된 장치나 이용자를 식별할 수 있도록 하고 예를 들어 지문 패턴, RFID 카드의 식별자나 무선 키(100)(데이터 링크 계층의 주소(어드레스)나 페이로드에 포함될 수 있는 식별자)의 식별자 등일 수 있다.
생략될 수 있는 구동 인터페이스(215)는, 구동 장치(300)를 제어하기 위한 신호를 출력할 수 있고 이러한 제어 신호는 이 구동 인터페이스(215)에 포함되는 릴레이(Relay)를 통해 출력될 수 있다.
프로세서(217)는, 출입 통제 장치(200)의 각 블록들을 제어한다. 이러한 프로세서(217)는 비휘발성 메모리(213) 및/또는 휘발성 메모리(211)에 저장되어 있는 프로그램을 실행할 수 있는 CPU이거나 MPU(Main Processor Unit) 등일 수 있다.
이 프로세서(217)에 의해서 수행되는 제어를 무선 키(100)와 연동하여 살펴보면, 이 프로세서(217)는 주기적으로(예를 들어 1초) 데이터 패킷을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209)를 통해 송출한다. 이러한 데이터 패킷은 무선 키(100)가 이 출입 통제 장치(200)가 제어하고 있는 출입문(400) 통과를 위해서 출입 통제 장치(200)를 식별하기 위한 데이터 패킷이다.
이러한 데이터 패킷은 헤더의 소스 어드레스(주소)나 페이로드에 포함된 약속된 데이터 패턴을 포함하여 이러한 데이터를 이용하여 무선 키(100)가 이 출입 통제 장치(200)로 출입을 위해 이용되는 데이터 패킷을 무선 신호로 송출하여 프로세서(217)가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209)를 통해 수신할 수 있다.
이후 프로세서(217)는 이와 같이 무선 키(100)로부터 수신된 데이터 패킷에 기초하여 이 출입 통제 장치(200)에 의해서 제어되는 출입문(400)의 열림 여부를 결정하여 그 결정에 따라 구동 인터페이스(215)를 제어하여 출입문(400)을 열거나 유선 통신 인터페이스(207)를 통해 보안 셋탑 박스(500)로 데이터 패킷에 포함된 제어 데이터를 전송하여 이후 보안 셋탑 박스(500)로 하여금 출입문(400)의 구동 장치(300)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한다.
이 과정을 좀 더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출입 통제 장치(200)의 프로세서(217)는 무선 키(100)와 무선 통신을 통한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무선 채널을 무선 키(100)와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 프로세서(217)는 무선 키(100)로부터 연결 요청을 나타내는 데이터 패킷을 수신하고 이 연결 요청에 따라 무선 채널의 채널 번호나 주파수를 할당하고 이와 같은 정보를 무선 키(100)로 전달할 수도 있고 나아가 데이터 패킷의 페이로드 데이터의 암호화에 이용될 암호화 키와 복호화 키를 생성하여 이를 또한 무선 키(100)로 전달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전달되는 암호화 키와 복호화 키는, 예를 들어 출입 통제 장치(200)에서 인식되는 시각 정보와 이 출입 통제 장치(200) 자체의 식별자를 이용하여 생성된 키일 수 있다.
그리고 무선 통신의 타입에 따라서는 이러한 무선 채널의 설정이나 암호화 키의 전달 등은 생략될 수도 있다.
무선 키(100)에 의한 이 출입 통제 장치(200)의 무선 채널 설정 이후에 무선 키(100)는, 1회에 혹은 복 수회에 걸쳐서 주기적으로 제어 데이터를 포함하는 데이터 패킷을 이 출입 통제 장치(200)로 전송하고, 이 출입 통제 장치(200)의 프로세서(217)는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209)를 통해 데이터 패킷을 수신하여, 이 데이터 패킷 내에 있는 제어 데이터를 추출한다.
이 제어 데이터는, 무선 키(100)와 출입 통제 장치(200) 사이에 약속된 암호화 키와 복호화 키로 암호화될 수 있고 이 암호화된 제어 데이터는 복호화 키로 복호화하여 이 복호화된 제어 데이터에 기초하여 프로세서(217)가 출입문(400)의 열림 여부를 결정한다.
혹은 이 프로세서(217)는 암호화된 제어 데이터(나아가 복호화 키)를 보안 셋탑 박스(500)로 전달하고 보안 셋탑 박스(500)에 의해서 출입문(400)의 열림 여부를 결정할 수도 있다.
출입문(400)의 열림 여부를 결정하기 위해서, 프로세서(217)는 데이터 패킷에 포함된 제어 데이터에 약속된(지정된) 데이터 패턴 또는 약속된 포맷으로 구성된 출입문(400)의 열림 요청을 나타내는 제어 명령이 존재하는 지를 결정하고 및/또는 데이터 패킷에 포함된 소스 어드레스가 비휘발성 메모리(213)의 식별자의 리스트들에 존재하는 지를 결정하고 이 결정에 따라 출입문(400)의 열림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이 제어 데이터는, 약속된 포맷으로 구성된 데이터이고 예를 들어 출입문(400)의 열림(개방)을 요청하는 명령을 나타내는 데이터일 수 있다.
한편 이러한 제어 데이터를 포함하는 데이터 패킷은, 주기적으로(예를 들어 0.1 초나 0.5초 등) 무선 키(100)로부터 출입 통제 장치(200)로 송출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출입문(400)의 열림을 결정하기 위해서 이 데이터 패킷의 신호 세기(RSSI)(이러한 신호 세기는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209)를 통해 수신 가능)를 더 이용하여 출입문(400)이 열리도록 구동 장치(300)를 프로세서(217)나 보안 셋탑 박스(500)가 제어한다.
예를 들어 출입 통제 장치(200)의 프로세서(217)는, 주기적으로 수신된 데이터 패킷의 신호 세기와 이 데이터 패킷의 제어 데이터 및/또는 소스 어드레스를 모니터링하여 신호 세기가 비휘발성 메모리(213)에 저장되어 있는 임계 레벨 이상의 신호 세기인 경우에 출입문(400)이 열리도록 구동 장치(300)를 구동 인터페이스(215)를 통해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임계 레벨은, 출입문(400)과 이용자의 이 출입문(400)의 이용 형태나 내부 설정된 보안 레벨에 따라 상이할 수 있으나, 일반적으로 특정 거리 이내(예를 들어 3 m 나 1 m 등)에서 무선 키(100)로부터 예상되는 데이터 패킷의 무선 신호 세기일 수 있다.
나아가 프로세서(217)는, 임계 레벨에 더하여 무선 신호의 신호 세기의 변화 추이로 출입문(400)이 열리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프로세서(217)가 해당 무선 키(100)가 출입문(400) 쪽으로 접근하고 있는 상태(신호 세기의 증가)에서 임계 레벨 이상의 신호 세기가 인지되는 경우에 출입문(400)을 열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신호 세기를 더 이용하여 출입문(400)이 열리도록 제어하는 방식은 보안 셋탑 박스(500)에도 동일(보안 셋탑 박스(500)로 이 무선 신호 세기를 전달하여)하게 적용될 수 있다.
이러한 프로세서(217)에 의한 제어를 통해, 출입이 허용된 무선 키(100)가 출입문(400)에 근접하는 경우에 출입문(400)을 자동으로 열 수 있도록 하고 출입 통제 장치(200)의 보안 레벨이나 이용 방식에 따라 출입문(400)이 열리는 시점을 제어가능하도록 한다.
시스템 버스/제어 버스(219)는, 블록들 사이에서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도록 하고 예를 들어 시리얼 버스이거나 병렬 버스이거나 혹은 GPIO(General Purpose Input Output)일 수 있다. 이러한 시스템 버스/제어 버스(219)는, 버스의 타입에 따라 1 대 1로 연결된 버스이거나 3개 이상의 블록간 공유되는 버스일 수 있다.
도 4는, 출입 통제 시스템에서 출입문(400) 통과를 위한 무선 키(100)와 출입 통제 장치(200) 사이에서의 예시적인 제어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와 도 3을 통해서 무선 키(100)와 출입 통제 장치(200)의 제어와 데이터 패킷의 송수신 과정을 이미 살펴보았으므로, 여기서는 시계열적 제어 흐름을 중심으로 간단히 살펴보도록 한다.
무선 키(100)는, 출입 통제 장치(200)에 의해서 제공되는 근거리 무선 통신의 범위 내가 아닌 경우에는 슬립 모드로서 동작(도 4의 ① 참조)한다.
한편 출입 통제 장치(200)는, 이 출입 통제 장치(200)가 제어하고 있는 출입문(400)을 통해 진입하고자 하는 이용자의 무선 키(100)의 모드 변경에 이용되고 이후 출입문(400)의 허용을 시작할 수 있는 데이터 패킷을 주기적으로 무선으로 송출(도 4의 ② 참조)한다. 이러한 데이터 패킷은 브로드캐스팅 패킷일 수 있고 이 패킷은 소스 어드레스와 지정된 데이터 패턴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무선 키(100)는, 타이머(123)나 변복조부(103)을 통한 이벤트 신호의 발생과 이 이벤트 신호의 제어부(121)에서의 수신에 응답하여 따라, 모드 전환 결정 모드로 전이(도 4의 ④ 참조)하고 무선 키(100)의 이동에 따라 무선 통신 범위 내에 이 무선 키(100)가 위치하는 경우 이 모드 전환 결정 모드에서 출입 통제 장치(200)에서 주기적으로 송출된 데이터 패킷을 수신(도 4의 ③ 참조)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무선 키(100)의 제어부(121)는 이 데이터 패킷을 인식(도 4의 ⑤ 참조)하고 이 인식이 따라 슬립 모드로 전환할 것인지 혹은 정규 모드로 전환할 것인지를 결정한다.
이러한 모드 전환은, 이벤트 신호의 타입에 따라 상이할 수 있고, 예를 들어 타이머(123)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데이터 패킷의 수신이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에는 도 4의 ①로 전이한다.
또한 데이터 패킷이 수신된 경우에는, 변복조부(103)나 타이머(123)의 이벤트 신호에 대해서 공히, 수신된 데이터 패킷의 소스 어드레스, 패킷 타입 또는 데이터 패턴의 조합으로 결정되는 식별자가 이 데이터 패킷 내에 존재하는 지를 판단하여 이 판단에 따라 도 4의 ①로 전이(존재하지 않는 경우)하거나 도 4의 ⑥(존재하는 경우)으로 전이한다.
슬립 모드와는 상이한 정규 모드로 전환하기 위해 제어부(121)는 클록 생성부(117)나 전원 공급부(111) 등을 제어하여 전원 공급이 중단된 특정 블록에 전원을 공급하고 클럭 신호의 주파수를 변경하여 출입 통제 장치(200)와 정상적인 무선 신호의 송신과 암호화와 복호화 등이 수행될 수 있도록 한다.
이 정규 모드로의 전환 후에, 무선 키(100)는 출입 통제 장치(200)와 무선 채널을 설정할 수도 있다.
이후 무선 키(100)(의 제어부(121))는 출입 통제 장치(200)가 관리하고 있는 출입문(400)을 열 수 있도록 하는 데이터 패킷을 주기적으로(혹은 1회에 한하여) 출입 통제 장치(200)로 송출(도 4의 ⑦ 참조)한다.
이후 출입 통제 장치(200)는 이러한 무선 키(100)로부터 무선 통신을 통해 송출된 데이터 패킷을 수신(도 4의 ⑧ 참조)하고 이 데이터 패킷을 이용하여 출입문(400)의 열림 여부를 결정(도 4의 ⑨ 참조)한다. 이 결정의 과정에서 데이터 패킷의 신호 세기가 이용될 수 있고 데이터 패킷 내에 포함된 헤더(예를 들어 소스 어드레스)나 페이로드의 제어 데이터가 이용될 수 있다.
이후 이러한 결정에 따라, 즉 허용된 무선 키(100)인 경우에, 출입 통제 장치(200)는 출입문(400)이 열리도록 구동 장치(300)를 제어(도 4의 ⑩ 참조)할 수 있다. 이러한 제어는 출입 통제 장치(200)에 의해서 직접 혹은 보안 셋탑 박스(500)에 의해 간접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후 무선 키(100)를 소지한 이용자는 출입문(400)을 통과하고 이 무선 키(100)가 출입 통제 장치(200)와 무선 통신이 불가능함에 따라(예를 들어 출입 통제 장치(200)에서 주기적으로 송출되는 데이터 패킷을 수신 못 함에 따라) 슬립 모드로 전환(도 4의 ⑪ 참조)한다. 한편 이 슬립 모드로 전환 후(혹은 도 4의 ⑥로 진입시) 일정 시간 경과 후(예를 들어 1시간 후(슬립 모드로 전환시)나 0.5초(정규 모드 전환시) 등)에 이 무선 키(100)는, 이용자 인증을 위한 인증 패턴을 이용자로부터 입력부(105)를 통해 입력받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출입 통제 장치(200)는, 도 4의 ⑩ 이후에 센서 인터페이스(201)를 통해 이용자가 없음을 인지하거나 일정 시간이 경과 한 경우에 해당 출입문(400)을 닫도록 구동 장치(300)를 제어한다.
이상의 도 4의 제어 흐름에 의해서, 무선 키(100)에서 소비되는 전력을 획기적으로 줄이면서도 출입문(400)을 통한 출입이 가능하고 나아가 출입문(400)과의 일정 거리에 따라서 출입문(400)의 제어가 가능하고 무선 키(100)의 보안 관리를 용이하게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100 : 무선 키
101 : 무선 안테나 103 : 변복조부
105 : 입력부 107 : 출력부
109 : 저장부 111 : 전원 공급부
113 : 제 1 발진부 115 : 제 2 발진부
117 : 클록 생성부 119 : 암호화부
121 : 제어부 123 : 타이머
200 : 출입 통제 장치
201 : 센서 인터페이스 203 : 입력 인터페이스
205 : 출력 인터페이스 207 : 유선 통신 인터페이스
209 :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 211 : 휘발성 메모리
213 : 비휘발성 메모리 215 : 구동 인터페이스
217 : 프로세서 219 : 시스템 버스/제어 버스
300 : 구동 장치 400 : 출입문
500 : 보안 셋탑 박스 600 : 제어 서버

Claims (10)

  1. 복수의 동작 모드를 가지는 무선 키로서,
    무선 안테나;
    설정된 시간 값에 따라 이벤트 신호를 출력하는 타이머;
    상기 무선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신호를 복조하고 상기 무선 안테나를 통해 전송될 신호를 변조하는 변복조부; 및
    상기 변복조부에 연결된 제어부로서, 상기 타이머로부터 출력되는 상기 이벤트 신호에 응답하여 복조된 신호로부터의 데이터 패킷의 수신에 기초한 제 1 동작 모드 또는 제 2 동작 모드로 전환하며, 상기 제 1 동작 모드에서 제 1 주파수 클럭 신호에 기초하여 동작하고 상기 제 2 동작 모드에서 상기 제 1 주파수 클럭 신호의 주파수보다 높은 주파수의 제 2 주파수 클럭 신호에 기초하여 동작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무선 키는, 출입문 통과를 위해 이용되는,
    무선 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주파수 클럭 신호를 출력하는 제 1 발진부; 및 상기 제 2 주파수 클럭 신호를 출력하는 제 2 발진부;를 더 포함하는,
    무선 키.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수신된 상기 데이터 패킷에 지정된 식별자가 존재하는 경우에 정규 모드(normal mode)인 상기 제 2 동작 모드로 전환하고, 상기 데이터 패킷에 지정된 식별자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 슬립 모드(sleep mode)인 상기 제 1 동작 모드로 전환하는,
    무선 키.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에 연결되어 데이터를 암호화하기 위한 암호화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 2 동작 모드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출입문 통과를 위해 이용되는 제어 데이터를 상기 암호화부를 통해 암호화하고 암호화된 제어 데이터를 포함하는 데이터 패킷의 신호를 상기 변복조부로 전송하는,
    무선 키.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2 동작 모드에서 상기 변복조부를 통해 복조된 신호로부터의 데이터 패킷에 포함된 암호화 키를 이용하여 상기 제어 데이터를 암호화하도록 상기 암호화부를 제어하는,
    무선 키.
  6. 제3항에 있어서,
    이용자로부터 입력을 수신하기 위한 입력부; 및 저장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부를 통해 수신된 입력과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인증 패턴의 비교에 기초하여 상기 제 2 동작 모드에서 상기 변복조부를 통해 전송될 제어 데이터를 결정하거나 생성하는,
    무선 키.
  7. 무선 키를 포함하는 출입 통제 시스템으로서,
    제1항에 따른, 복수의 동작 모드를 가지는 무선 키; 및
    상기 무선 키와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출입 통제 장치;를 포함하는,
    출입 통제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출입 통제 장치는, 주기적으로 데이터 패킷을 무선 신호로 송출하고 상기 데이터 패킷의 송출 이후에 상기 무선 키로부터 데이터 패킷을 무선 신호로 수신하고, 수신된 데이터 패킷의 페이로드에 포함된 제어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출입 통제 장치에 의해 제어되는 출입문의 열림 여부를 결정하는,
    출입 통제 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페이로드의 상기 제어 데이터는, 상기 출입 통제 장치와 상기 무선 키 사이에 지정된 암호화 키로 암호화되고,
    상기 출입 통제 장치는, 지정된 복호화 키로 상기 제어 데이터의 복호화와 상기 수신된 데이터 패킷의 무선 신호의 신호 세기에 기초하여 제어되는 상기 출입문의 열림 여부를 결정하는,
    출입 통제 시스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출입 통제 장치는, 상기 복호화에 따른 지정된 제어 데이터의 존재 여부와 수신된 데이터 패킷의 무선 신호의 신호 세기가 지정된 임계 레벨의 신호 세기 이상인 경우에 제어되는 상기 출입문을 열도록 결정하는,
    출입 통제 시스템.
KR1020130137487A 2013-11-13 2013-11-13 복수의 동작 모드를 가지는 무선 키 및 이 무선 키를 포함하는 출입 통제 시스템 KR1014108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37487A KR101410875B1 (ko) 2013-11-13 2013-11-13 복수의 동작 모드를 가지는 무선 키 및 이 무선 키를 포함하는 출입 통제 시스템
PCT/KR2014/010527 WO2015072693A1 (ko) 2013-11-13 2014-11-04 복수의 동작 모드를 가지는 무선 키 및 이 무선 키를 포함하는 출입 통제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37487A KR101410875B1 (ko) 2013-11-13 2013-11-13 복수의 동작 모드를 가지는 무선 키 및 이 무선 키를 포함하는 출입 통제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10875B1 true KR101410875B1 (ko) 2014-06-23

Family

ID=511338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37487A KR101410875B1 (ko) 2013-11-13 2013-11-13 복수의 동작 모드를 가지는 무선 키 및 이 무선 키를 포함하는 출입 통제 시스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410875B1 (ko)
WO (1) WO2015072693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6549B1 (ko) 2014-09-03 2015-03-27 네오모바일테크놀로지 주식회사 역탐지 방지 무선인식 보안출입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보안출입 시스템
EP3640897A1 (en) * 2018-10-17 2020-04-22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Management Co., Ltd. Locking/unlocking system and radio communication method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49220A1 (en) * 2016-09-08 2018-03-15 Honeywell International Inc. Using a light up feature of a mobile device to trigger door access
CN114236258B (zh) * 2021-11-04 2023-09-08 江铃汽车股份有限公司 智能钥匙系统emc测试方法、系统、计算机及可读存储介质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45374A (ja) * 2006-08-21 2008-02-28 Denso Corp 車両用無線キー、及び車両ドア遠隔施解錠制御システム
KR100964478B1 (ko) 2002-09-19 2010-06-21 조인호 멀티 알에프 카드
KR101053636B1 (ko) 2010-05-19 2011-08-02 (주) 인트정보시스템 다중 암호방식을 이용한 태그와 rfid리더간 인증 방법 및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00664A (ja) * 1995-10-09 1997-04-15 Niles Parts Co Ltd 車両用遠隔制御装置
KR20000074031A (ko) * 1999-05-17 2000-12-05 김승남 무선 주파수 키를 이용한 전자식 도어 개폐 시스템 및 그의 제어방법
KR200300230Y1 (ko) * 2002-10-19 2003-01-10 블루솔텍(주) 무선 통신을 이용한 도어 잠금 장치
KR20040091172A (ko) * 2003-04-19 2004-10-28 주식회사 가을디지탈 무선 도어키와 알에프 근접 센서를 이용한 출입문 잠금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4478B1 (ko) 2002-09-19 2010-06-21 조인호 멀티 알에프 카드
JP2008045374A (ja) * 2006-08-21 2008-02-28 Denso Corp 車両用無線キー、及び車両ドア遠隔施解錠制御システム
KR101053636B1 (ko) 2010-05-19 2011-08-02 (주) 인트정보시스템 다중 암호방식을 이용한 태그와 rfid리더간 인증 방법 및 시스템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6549B1 (ko) 2014-09-03 2015-03-27 네오모바일테크놀로지 주식회사 역탐지 방지 무선인식 보안출입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보안출입 시스템
WO2016036070A1 (ko) * 2014-09-03 2016-03-10 네오모바일테크놀로지 주식회사 역탐지 방지 무선인식 보안출입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보안출입 시스템
US10008055B2 (en) 2014-09-03 2018-06-26 Neo Mobile Technology, Inc. Reverse trace-preventing wireless recognition secure entry method and secure entry system using same
EP3640897A1 (en) * 2018-10-17 2020-04-22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Management Co., Ltd. Locking/unlocking system and radio communication meth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5072693A1 (ko) 2015-05-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804153B1 (en) Electronic lock, locking system and method of operating an electronic lock
KR101410875B1 (ko) 복수의 동작 모드를 가지는 무선 키 및 이 무선 키를 포함하는 출입 통제 시스템
CN106023355A (zh) 一种通过蓝牙信号控制的房间控制系统及其控制方法
CN102654003B (zh) 一种低功耗远程唤醒的智能锁系统
CN104167029B (zh) 一种智能锁具及其操作方法
CN105785878A (zh) 一种通过433MHz信号或Wi-Fi信号控制的房间取电装置及方法
CN103763107A (zh) 智能家电系统密钥控制方法及智能家电系统
CN104050742A (zh) 一种智能门以及一种智能门控制方法和系统
CN105788050A (zh) 一种通过蓝牙信号控制的控制门锁适配器及其控制方法
CN204463267U (zh) 一种智能门禁系统
CN105957198A (zh) 一种基于NFC和ZigBee的门禁控制系统
CN104281116A (zh) 无线控制系统
CN101902325A (zh) 一种基于无线通信技术的Key设备
CN104658090A (zh) 一种内置安全模块和ZigBee无线通讯模块的智能锁
KR20170132263A (ko) IoT 시스템에서 사용자 위치를 정확하게 감지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CN104240474B (zh) Nfc开关装置及基于该装置的led照明控制系统
KR20160062369A (ko) 출입 인증 시스템 및 그 인증 방법
JP2007107249A (ja) 車両キーレス装置用携帯機
CN204117341U (zh) Nfc开关装置及基于该装置的led照明控制系统
CN203659093U (zh) 一种免操作的短距门禁系统
WO2015180258A1 (zh) 通过检测WiFi信号切换AP工作模式的方法和装置
CN106066658B (zh) 物联网智能家居温度控制系统
KR101545199B1 (ko) 휴대형 단말기를 이용한 출입 통제 방법, 출입 통제 장치 및 출입 통제 시스템
EP3101579B1 (en) Identification information transmission apparatus, communications system, and communications method
KR100908473B1 (ko) 양방향 무선통신을 이용하는 디지털 도어록 시스템 및 그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1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18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