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06959A - 레그 제조용 보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레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레그 제조용 보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레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06959A
KR20170006959A KR1020150098448A KR20150098448A KR20170006959A KR 20170006959 A KR20170006959 A KR 20170006959A KR 1020150098448 A KR1020150098448 A KR 1020150098448A KR 20150098448 A KR20150098448 A KR 20150098448A KR 20170006959 A KR20170006959 A KR 201700069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g
cord
fixing member
legs
manufactu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984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주신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984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06959A/ko
Publication of KR201700069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695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63B9/06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44Floating buildings, stores, drilling platforms, or workshops, e.g. carrying water-oil separating devices
    • B63B9/065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17/00Artificial islands mounted on piles or like supports, e.g. platforms on raisable legs or offshore constructions; Construction method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17/00Artificial islands mounted on piles or like supports, e.g. platforms on raisable legs or offshore constructions; Construction methods therefor
    • E02B17/04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raising, lowering, or immobilising the working platform relative to the supporting constru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Supports For Pipes And Cab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레그 제조용 보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레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레그의 제조시, 상기 레그에 포함되는 코드에 체결되는 고정 부재, 상기 고정 부재의 둘레면에 돌출 형성되는 연결 플레이트, 및 상기 연결 플레이트에 연결되는 위치 고정용 파이프를 포함하고, 상기 코드 중 어느 하나에 체결된 상기 고정 부재는 상기 위치 고정용 파이프에 의해 상기 코드 중 다른 하나에 체결된 상기 고정 부재와 서로 연결되는, 레그 제조용 보조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레그 제조용 보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레그 제조 방법{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LEG}
본 발명은 레그 제조용 보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레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잭업 드릴링 리그, 풍력발전기설치선 등과 같은 해상 구조물은 선체에 상하 방향으로 승강 가능하게 설치된 복수 개의 레그(leg)를 포함한다. 이러한 해상 구조물은 레그를 하강시켜 해저면에 고정하고, 선체를 수면 위로 부상시킨 상태에서 드릴링, 풍력발전기 설치 등과 같은 소정의 작업을 수행한다.
이러한 해상 구조물에는 3개에서 많게는 6개의 레그를 포함할 수 있으며, 각각의 레그는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는 코드(cord)와, 트러스 형상으로 코드들을 연결하는 브레이스(brace)로 구성될 수 있다. 코드는 전체적으로 파이프 형상을 갖고, 중심부를 지름 방향으로 관통하여 측면으로 돌출된 레크(rack)를 포함한다.
이러한 레그를 제조하기 위해서는 세 개의 코드를 정삼각형의 꼭지점에 해당되는 위치에 세워놓은 상태에서 브레이스들을 코드의 측면에 용접하여 부착한다. 이때, 코드에 마련된 레크가 선체의 레그 구동장치에 설치된 피니언과 치합되어야 하므로, 세 개의 코드의 위치가 매우 정밀하게 설정된 상태에서 코드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그러나 브레이스를 코드에 용접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변형 등 각종 제작 오차에 의해서 코드 각각의 상대적인 위치가 틀어질 수 있고, 이에 따라 제작 공차가 허용치를 넘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레그를 처음부터 다시 제작해야 하는 등 여러 가지 불편함이 있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상술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고자 발명된 것으로서, 레그의 제조 과정에서 발생될 수 있는 공차를 억제하고, 브레이스의 코드에 대한 용접이 수행되는 동안에 레그를 구성하는 각 코드들의 상대적인 위치를 고정시킬 수 있는 레그 제조 보조용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레그 제조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레그의 제조시, 상기 레그에 포함되는 코드에 체결되는 고정 부재; 상기 고정 부재의 둘레면에 돌출 형성되는 연결 플레이트; 및 상기 연결 플레이트에 연결되는 위치 고정용 파이프를 포함하고, 상기 코드 중 어느 하나에 체결된 고정 부재는 상기 위치 고정용 파이프에 의해 상기 코드 중 다른 하나에 체결된 고정 부재와 서로 연결되는, 레그 제조용 보조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 부재는 상기 코드의 둘레면에 밀착되는 제 1 클램핑 부재 및 제 2 클램핑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클램핑 부재 및 상기 제 2 클램핑 부재는 나사 고정을 위한 플랜지를 포함하는, 레그 제조용 보조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레그는 상기 선체에 대하여 상하 방향으로 구동되기 위한 레크(rack)를 포함하고, 상기 코드에 상기 고정 부재가 체결되었을 때, 상기 플랜지가 상기 레크보다 외측으로 더 돌출되는, 레그 제조용 보조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위치 고정용 파이프는, 양 단부에 상기 연결 플레이트가 삽입될 수 있는 체결홈이 요입 형성되는, 레그 제조용 보조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위치 고정용 파이프는, 상기 연결 플레이트와 연결되는 부분이 단부로 갈수록 단면적이 작아지는 형상을 갖는, 레그 제조용 보조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 부재는 상기 레그의 제조가 완료된 이후에도 계속적으로 사용되도록, 상기 코드의 둘레면에 밀착 고정되는, 레그 제조용 보조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해상 구조물의 선체에 설치되는 레그에 포함되는 코드(cord)를 마련하는 단계; 상기 코드를 기 설정된 위치에 배치하는 단계; 상기 코드에 위치 고정을 위한 고정 부재를 체결하는 단계; 상기 고정 부재의 둘레면에 형성된 연결 플레이트에 위치 고정용 파이프를 연결하는 단계; 및 상기 고정 부재 및 상기 위치 고정용 파이프에 의해 상기 레그를 구성하는 코드들 서로간의 상대적인 위치가 고정된 상태에서, 브레이스(brace)를 상기 코드에 연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레그 제조용 보조 장치를 이용한 레그 제조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 부재를 체결하는 단계에서, 상기 레그를 구성하는 상기 코드들에 체결되는 상기 고정 부재들은 동일한 높이에서 체결되는, 레그 제조용 보조 장치를 이용한 레그 제조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브레이스를 상기 코드에 연결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고정 부재 및 상기 위치 고정용 파이프를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레그 제조용 보조 장치를 이용한 레그 제조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레그의 제조 과정에서 코드들 사이의 상대적인 위치가 변경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제조 공차를 최소화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그 제조용 보조 장치를 이용하여 제조된 레그가 설치된 해상 구조물이 레그를 통해 해저면에 고정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그 제조용 보조 장치가 코드에 설치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2의 레그 제조용 보조 장치가 설치된 코드를 측면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4는 도 2의 레그 제조용 보조 장치가 코드에 설치된 상태에서 브레이스가 코드에 연결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2의 레그 제조용 보조 장치를 이용하여 레그를 제조하는 공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레그 제조용 보조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사상을 구현하기 위한 구체적인 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그 제조용 보조 장치를 이용하여 제조된 레그가 설치된 해상 구조물이 레그를 통해 해저면에 고정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상 구조물(1)은 부유 성능을 구비한 본체(10) 및 본체(10)를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도록 설치되는 복수 개의 레그(2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해상 구조물(1)은 해상에 풍력 발전기를 설치하기 위한 풍력 발전기 설치 선박(WTIV)이거나, 이동식 시추선(MODU)이거나, 또는 그 외에 레그(20)를 따라 해상으로부터 이격될 수 있는 임의의 부유식 구조물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해상 구조물(1)은 이동이 불가능하고 특정 지점에 고정 설치되는 해상 구조물일 수도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레그(20)가 본체(10)를 관통하는 것으로 묘사하였으나, 이는 일 예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사상은 레그(20)가 본체(10)의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제공되는 부유식 구조물에 모두 적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해상 구조물(1)은 해상에 풍력 발전기를 설치하기 위한 풍력 발전기 설치 선박(WTIV)이거나, 이동식 시추선(MODU)이거나, 또는 그 외에 레그(20)를 따라 해상으로부터 이격될 수 있는 임의의 부유식 구조물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해상 구조물(1)은 이동이 불가능하고 특정 지점에 고정 설치되는 해상 구조물일 수도 있다.
레그(20)는 본체(10)를 따라 상하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레그(20)와 본체(10)는 서로 상하 방향의 상대 운동을 하는 것으로서, 본체(10)가 해상에 떠있는 상태에서는 레그(20)가 상하 방향으로 이동되고, 레그(20)가 해저에 고정이 된 상태에서는 본체(10)가 레그(20)를 따라 상하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체(10)에는 레그(20)가 설치될 수 있도록 상하 방향으로 관통된 구멍(미도시)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해상 구조물(1)은 레그(20)를 지지하며 레그(20)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구동장치(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레그(20)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레크(rack)(도 2, 26)가 상기 구동장치에 마련된 피니언에 치합되어 상기 구동장치의 구동력이 레크(26)로 전달되고, 이에 따라 레그(20)가 상하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레그(20)는 양 사이드에 치형이 형성되는 바(bar) 형상의 레크(26)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레그(20)는 본체(10)의 하방으로 이동되어 해저에 고정될 수 있으며, 본체(10)의 하중을 지지할 수 있도록 복수 개가 제공될 수 있다.
해상 구조물(1)은 운항에 방해가 되지 않도록 레그(20)를 상방으로 이동시킨 상태로 이동할 수 있으며, 목적 위치에 다다른 경우 레그(20)를 하방으로 이동시켜 레그(20)의 하단부를 해저(B)에 고정시킬 수 있다. 그 후, 본체(10)는 레그(20)를 따라 상하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본체(10)는 레그(20)를 따라 상방으로 이동한 후, 해수면(S)으로부터 이격된 상태로 위치가 고정될 수 있으며, 해수면(S)으로부터 이격되어 고정된 상태로 소정의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레그(20)를 제조함에 있어서, 코드(22)의 둘레면에 복수 개의 브레이스(24)를 용접 연결하며, 브레이스(24)는 코드(22)에 대하여 트러스(truss) 구조를 구성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
이하, 이러한 레그(20)를 제조할 때 사용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그 제조용 보조 장치에 관하여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겠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그 제조용 보조 장치가 코드에 설치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도 2의 레그 제조용 보조 장치가 설치된 코드를 측면에서 바라본 도면이며, 도 4는 도 2의 레그 제조용 보조 장치가 코드에 설치된 상태에서 브레이스가 코드에 연결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그 제조용 보조 장치(100)는 레그(20)에 포함되는 코드(22)에 체결되는 고정 부재(110), 고정 부재(110)의 둘레면에 형성되는 연결 플레이트(120), 및 연결 플레이트(120)에 연결되는 위치 고정용 파이프(130)를 포함할 수 있다.
레그(20)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코드(22)를 포함할 수 있다. 코드(22)는 파이프 형상을 가질 수 있고, 파이프 형상의 중심을 지나 파이프의 지름 방향 양 측면을 관통하는 형상으로 레크(26)가 제공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코드(22)가 하나의 레그(20)에 대하여 세 개씩 제공되는 경우를 예로 들어 도시하였으나, 이는 일 예에 불과하고, 하나의 레그(20)에 대하여 4개 이상의 코드(22)가 제공되는 것도 가능하다.
본 실시예에서, 코드(22)는 정삼각형의 꼭지점에 해당하는 위치에 배치된 상태에서 복수 개의 브레이스(24)가 코드(22)의 둘레면에 용접 연결될 수 있다. 이때, 브레이스(24)는 트러스(truss) 구조를 이루면서 연결될 수 있다.
고정 부재(110)는 브레이스(24)가 아직 연결되지 않은 코드(22)에 고정될 수 있다. 고정 부재(110)는 코드(22)의 파이프 형상에 밀착되는 부분과, 레크(26)에 일 면이 밀착되는 플랜지(112)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고정 부재(110)는 제 1 클램핑 부재 및 제 2 클램핑 부재를 가져, 상기 제 1 및 제 2 클램핑 부재가 레크(26)를 기준으로 서로 대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렇게 코드(22)의 둘레면에 밀착된 상태에서 플랜지(112)를 통해 나사 결합되어 고정될 수 있다. 이를 위해, 플랜지(112)는 코드(22)에 체결되었을 때 레크(26)보다 더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로써, 본 실시예에 따른 고정 부재(110)는 클램프(clamp)와 같은 기능을 수행하며, 코드(22)에 클램핑하여 체결될 수 있다.
고정 부재(110)의 둘레면에는 연결 플레이트(120)가 형성된다. 연결 플레이트(120)는 소정의 두께를 갖는 플레이트 형상을 가지며, 위치 고정용 파이프(130)를 고정 부재(110)와 연결하는 매개체 역할을 한다. 또한, 연결 플레이트(120)에는 고정 부재(110)와의 연결 지점에 보강 부재(122)가 제공되어, 고정 부재(110)와 연결 플레이트(120)의 연결되는 면적이 넓어지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연결 플레이트(120)와 고정 부재(110)의 결합력이 보강되어, 위치 고정용 파이프(130)의 하중을 버틸 수 있게 된다.
위치 고정용 파이프(130)는 내부에 중공을 갖는 파이프 또는 긴 원기둥 형상일 수 있으며, 양 단부에 형성되는 체결홈(132)으로 연결 플레이트(120)가 삽입된 상태에서 용접되어, 위치 고정용 파이프(130)가 연결 플레이트(120)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위치 고정용 파이프(130)는 체결홈(132)의 저면에서부터 외측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좁아지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위치 고정용 파이프(130)는 연결 플레이트(120)와 연결되는 부분(134)이 단부로 갈수록 단면적이 작아지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연결 플레이트(120)와 위치 고정용 파이프(130)와의 연결 지점에서 집중될 수 있는 응력이 다른 부분으로 분산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러한 위치 고정용 파이프(130)는 각각의 레그 제조용 보조 장치(100)의 연결 플레이트(120)에 대하여 두 개씩 연결될 수 있다. 그러나 이는 일 예에 불과하며, 코드(22)가 네 개 이상 제공되는 경우에는 연결 플레이트(120) 하나에 대하여 세 개 이상의 위치 고정용 파이프(130)가 연결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이, 위치 고정용 파이프(130)에 의해 레그(20)를 구성하는 코드(22)들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코드(22)들의 상대적인 위치가 서로 고정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레그 제조용 보조 장치(100)에 의해 상대적인 위치가 서로 고정된 코드(22)들에 대하여 브레이스(24)를 연결하는 작업이 수행될 수 있다. 이때, 브레이스(24)는 용접으로 고정될 수 있으며, 작업이 진행되는 동안 코드(22)들의 상대적인 위치 고정으로 인해 작업 공차가 최소화될 수 있다. 이때,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브레이스(24)는 트러스(truss) 구조를 이루면서 코드(22)에 연결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실시예에 따른 레그 제조용 보조 장치(100)를 이용하여 레그(20)를 제조하는 방법에 대하여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겠다. 도 5는 도 2의 레그 제조용 보조 장치를 이용하여 레그를 제조하는 공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먼저 레그(20)를 구성하는 코드(22)들이 마련될 수 있다. 이때, 코드(22)는 상술한 바와 같이 파이프 형상을 가질 수 있고, 파이프 형상의 중심을 지나 파이프의 지름 방향 양 측면을 관통하는 형상으로 레크(26)가 제공될 수 있다. 이렇게 제공된 코드(22)는 기 설정된 위치(본 실시예의 경우, 정삼각형의 꼭지점에 해당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S10).
다음으로, 이렇게 배치된 코드(22) 들에 고정 부재(110)가 체결될 수 있다(S20). 고정 부재(110)는 제 1 및 제 2 클램프가 레크(26)를 중심으로 서로 대향하여 코드(22)에 밀착될 수 있으며, 플랜지(112)에 나사가 체결되어 서로 고정될 수 있다. 이때, 플랜지(112)에 고정되는 나사는 레크(26)보다 외측으로 더 돌출된 플랜지(112)의 부분에 체결될 수 있다. 또한, 고정 부재(110)는 브레이스(24)로 서로 연결되는 복수의 코드(22)들에 대하여 각각 동일한 높이에 체결될 수 있다. 또한, 고정 부재(110)는 코드(22)의 최상부에 고정될 수 있으며, 이로써 브레이스(24)가 고정 부재(110)의 하측에 대해서만 연결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다만, 이는 일 예에 불과하며, 고정 부재(110)는 코드(22)의 임의의 위치에 고정되는 것도 가능하다.
고정 부재(110)가 코드(22)에 연결된 후에, 고정 부재(110)로부터 돌출된 연결 플레이트(120)에 위치 고정용 파이프(130)가 연결될 수 있다(S30). 구체적으로, 위치 고정용 파이프(130)의 단부에 형성된 체결홈(132)으로 연결 플레이트(120)가 삽입되도록 한 후에, 위치 고정용 파이프(130)와 연결 플레이트(120)의 접점에 용접을 수행하여 단단히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연결 플레이트(120)에 위치 고정용 파이프(130)가 연결되면, 모든 코드(22)들이 서로 위치 고정용 파이프(130)에 의해 연결된 상태가 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레그(20)에 포함되는 코드(22)들 간의 상대적인 위치가 서로 고정될 수 있다.
이렇게 코드(22)들 간의 상대적인 위치가 서로 고정된 상태에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브레이스(24)들을 트러스 구조로 코드(22)에 연결하는 작업이 수행될 수 있다(S40). 이때, 코드(22)와 브레이스(24)는 용접으로 연결될 수 있다.
브레이스(24)가 모두 연결되면, 고정 부재(110) 및 위치 고정용 파이프(130)를 코드(22)로부터 제거할 수 있다(S50). 이렇게 고정 부재(110)가 제거된 부분에 브레이스(24)를 연결하는 작업이 더 수행될 수 있다.
상술한 과정을 거쳐서, 레그(20)가 제조될 수 있다. 이렇게 제조된 레그(20)는 선체(10)에 기 형성된 홀에 삽입되어, 선체(10)에 제공된 구동장치에 의해 상하 방향 이동이 가능하도록 선체(10)에 설치될 수 있다.
상술한 본 실시예에 따르면, 레그(20)의 제조 과정에서 코드(22)들 사이의 상대적인 위치가 변경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제조 공차를 최소화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한편, 상술한 본 실시예에 따르면, 코드(22)에 브레이스(24)를 연결하는 작업이 완료된 이후에 코드(22)에 체결되어 있는 고정 부재(110)와 위치 고정용 파이프(130)를 제거할 필요가 있다. 이는 기존에 비하여 공정이 하나 더 늘어나는 결과가 되어, 공정 기간이 늘어나고, 공정 효율이 저해되는 문제가 있을 수 있다.
이러한 본 실시예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후술하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가 제안된다.
이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관하여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겠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레그 제조용 보조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전술한 실시예에서 고정 부재(110)가 코드(22)에 체결되는 방식이 다르며, 나머지 부분은 모두 동일하므로, 차이가 있는 부분을 중심으로 설명하며, 동일한 설명 및 도면 부호는 전술한 실시예를 원용하겠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레그 제조용 보조 장치(100)의 고정 부재(110a)는 코드(22)의 둘레면에 부착되는 단일의 피스로 구성될 수 있으며, 고정 부재(110a)의 코드(22)에 부착된 면의 반대측 면으로부터 연결 플레이트(120)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고정 부재(110a)는 코드(22)에 대하여 나사 결합될 수 있으며, 브레이스(24)의 연결이 모두 완료된 이후에도 코드(22)에 계속 부착된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다만, 본 실시예에서는 고정 부재(110a)가 코드(22)에 대하여 나사 결합된 구성을 예로 들어 도시하나, 본 발명의 사상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고정 부재(110a)는 용접 등 코드(22)에 견고하게 부착될 수 있는 다른 수단에 의해 부착되어 고정될 수 있다.
이러한 본 실시예의 고정 부재(110a)는 전술한 실시예와는 달리, 레그(20)가 선체(10)에 설치되어 운용될 때에도 코드(22)에 부착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전술한 실시예에 따른 보조 장치는 임시적 타입(temporary type)인 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보조 장치는 영구적 타입(permanent type)이라고 말할 수 있다.
이러한 본 실시예에 따르면, 레그(20)의 제조시 코드(22)의 위치를 고정시키기 위한 레그 제조용 보조 장치(100)가 레그(20)의 제조가 완료된 이후에도 계속 코드(22)에 부착된 상태가 유지되므로, 공정 기간이 증가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고, 공정 효울이 높아진다는 장점이 있다. 나아가, 본 실시예에 따르면 연결 플레이트(120)와 연결되는 위치 고정용 파이프(130)가 브레이스(24)의 기능을 하게 되는데, 이때 연결 플레이트(120)와 위치 고정용 파이프(130)의 접촉 면적이 다른 브레이스(24)가 코드(22)에 접촉되는 면적보다 넓어서, 그만큼 용접 길이가 길어지게 된다. 용접 길이가 길어짐에 따라, 위치 고정용 파이프(130)와 연결 플레이트(120)의 결합력이 종래보다 더 견고해질 수 있다는 효과가 달성된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레그 제조용 보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레그 제조 방법의 구체적인 실시 형태로서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 것이며,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초 사상에 따르는 최광의 범위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당업자는 개시된 실시형태들을 조합/치환하여 적시되지 않은 형상의 패턴을 실시할 수 있으나, 이 역시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것이다. 이외에도 당업자는 본 명세서에 기초하여 개시된 실시형태를 용이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으며, 이러한 변경 또는 변형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함은 명백하다.
1: 해상 구조물 10: 선체
20: 레그 22: 코드
24: 브레이스 26: 레크
100: 레그 제조용 보조 장치 110: 고정 부재
120: 연결 플레이트 130: 위치 고정용 파이프

Claims (9)

  1. 레그의 제조시, 상기 레그에 포함되는 코드에 체결되는 고정 부재;
    상기 고정 부재의 둘레면에 돌출 형성되는 연결 플레이트; 및
    상기 연결 플레이트에 연결되는 위치 고정용 파이프를 포함하고,
    상기 코드 중 어느 하나에 체결된 고정 부재는 상기 위치 고정용 파이프에 의해 상기 코드 중 다른 하나에 체결된 고정 부재와 서로 연결되는,
    레그 제조용 보조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부재는 상기 코드의 둘레면에 밀착되는 제 1 클램핑 부재 및 제 2 클램핑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클램핑 부재 및 상기 제 2 클램핑 부재는 고정을 위한 플랜지를 포함하는,
    레그 제조용 보조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레그는 상기 선체에 대하여 상하 방향으로 구동되기 위한 레크(rack)를 포함하고,
    상기 코드에 상기 고정 부재가 체결되었을 때, 상기 플랜지가 상기 레크보다 외측으로 더 돌출되는,
    레그 제조용 보조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고정용 파이프는,
    양 단부에 상기 연결 플레이트가 삽입될 수 있는 체결홈이 요입 형성되는,
    레그 제조용 보조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고정용 파이프는,
    상기 연결 플레이트와 연결되는 부분이 단부로 갈수록 단면적이 작아지는 형상을 갖는,
    레그 제조용 보조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부재는 상기 레그의 제조가 완료된 이후에도 계속적으로 사용되도록, 상기 코드의 둘레면에 밀착 고정되는,
    레그 제조용 보조 장치.
  7. 해상 구조물의 선체에 설치되는 레그에 포함되는 코드(cord)를 마련하는 단계;
    상기 코드를 기 설정된 위치에 배치하는 단계;
    상기 코드에 위치 고정을 위한 고정 부재를 체결하는 단계;
    상기 고정 부재의 둘레면에 형성된 연결 플레이트에 위치 고정용 파이프를 연결하는 단계; 및
    상기 고정 부재 및 상기 위치 고정용 파이프에 의해 상기 레그를 구성하는 코드들 서로간의 상대적인 위치가 고정된 상태에서, 브레이스(brace)를 상기 코드에 연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레그 제조용 보조 장치를 이용한 레그 제조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부재를 체결하는 단계에서,
    상기 레그를 구성하는 상기 코드들에 체결되는 상기 고정 부재들은 동일한 높이에서 체결되는,
    레그 제조용 보조 장치를 이용한 레그 제조 방법.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브레이스를 상기 코드에 연결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고정 부재 및 상기 위치 고정용 파이프를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레그 제조용 보조 장치를 이용한 레그 제조 방법.
KR1020150098448A 2015-07-10 2015-07-10 레그 제조용 보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레그 제조 방법 KR2017000695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8448A KR20170006959A (ko) 2015-07-10 2015-07-10 레그 제조용 보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레그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8448A KR20170006959A (ko) 2015-07-10 2015-07-10 레그 제조용 보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레그 제조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6959A true KR20170006959A (ko) 2017-01-18

Family

ID=579926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98448A KR20170006959A (ko) 2015-07-10 2015-07-10 레그 제조용 보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레그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06959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86413A (ko) * 2020-12-16 2022-06-23 삼강엠앤티 주식회사 X-브레이스 탑재 보조 기구 및 이를 이용한 자켓의 제조 공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86413A (ko) * 2020-12-16 2022-06-23 삼강엠앤티 주식회사 X-브레이스 탑재 보조 기구 및 이를 이용한 자켓의 제조 공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20131789A1 (en) Installing method for anchor cage and installing method for industrial equipment
KR101335261B1 (ko) 탑 사이드 모듈을 갖는 부유식 해상 구조물 및 이의 건조방법
KR20170006959A (ko) 레그 제조용 보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레그 제조 방법
GB2548965A (en) Gripping apparatus and associated systems
KR101399964B1 (ko) 배관 얼라인 장치
KR20140035658A (ko) 해양 작업 설치선의 레그 시스템
KR20150021703A (ko) 터렛 진원도 확보용 지그 및 그를 이용한 터렛 시공방법
JP4144667B2 (ja) ジャケット構造体と杭の接合方法
JP3609083B1 (ja) 建屋基礎の施工法及び建屋基礎の施工用ジョイント盤
KR101345810B1 (ko) 스퍼드 장치, 이를 구비한 선박 및 스퍼드 장치를 구비한 선박의 건조방법
KR101974384B1 (ko) 부유식 구조물
KR101654230B1 (ko) 리그선의 스러스터 베이스 설치구조 및 그 설치방법
KR20150060071A (ko) 삽입형 핀 지그
US2773468A (en) Sectional barge connection
JP2022532121A (ja) 海洋構造物と海底杭との間の機械的連結方法および装置
KR101683216B1 (ko) 잔교 시공 방법
US20230295892A1 (en) Offshore substructure supported by template-integrated suction foundation and installation method thereof
JP2005145353A (ja) 船体構造および船体建造方法
US7934887B2 (en) Complementary locking system for locking legs to the deck of an offshore drilling platform and methods for installing one such locking system
KR20090129005A (ko) 부유식 구조물의 횡 지지력 보강 계류장치 및 방법
CN204545697U (zh) 一种水下牺牲阳极连接装置
KR20170018859A (ko) 해상풍력발전 하부구조물
JP2019027086A (ja) 容器の補強方法及び容器の支持構造
KR20200029813A (ko) 레그 파이프 설치방법 및 레그 파이프 설치기구
JP6603139B2 (ja) 低温貯槽のドーム屋根仮固定構造及びドーム屋根仮固定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