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06035A - 스마트 진료를 위한 유니트체어 - Google Patents

스마트 진료를 위한 유니트체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06035A
KR20170006035A KR1020150096388A KR20150096388A KR20170006035A KR 20170006035 A KR20170006035 A KR 20170006035A KR 1020150096388 A KR1020150096388 A KR 1020150096388A KR 20150096388 A KR20150096388 A KR 20150096388A KR 20170006035 A KR20170006035 A KR 201700060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dical
medical care
record
patient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963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홍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올인원바이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올인원바이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올인원바이오
Priority to KR10201500963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06035A/ko
Publication of KR201700060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603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06F19/34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68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 A61B5/6887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mounted on external non-worn devices, e.g. non-medical devices
    • G06F19/322
    • G06F19/3412

Abstract

본 발명은 병원에서의 진료 환경을 자동화 하기 위한 것으로서 특히 병원 내 환자를 진료하는 데에 이용되는 유니트체어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유니트체어는 주변에 존재하는 의료진 또는 환자를 자동으로 인식하여 진료기록을 새롭게 생성하거나 또는 기 생성된 진료기록을 호출하며, 유니트체어에 구비된 진료기구의 사용 이력을 기록함과 동시에 이에 상응하는 진료과정을 파악하여 진료기록을 갱신하는 등 병원에서의 스마트 진료를 가능케 하는 유니트체어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스마트 진료를 위한 유니트체어{UNIT CHAIR FOR IMPLEMENTING SMART MEDICAL TREATMENT}
본 발명은 병원에서의 진료 환경을 자동화 하기 위한 것으로서 특히 병원 내 환자를 진료하는 데에 이용되는 유니트체어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유니트체어는 주변에 존재하는 의료진 또는 환자를 자동으로 인식하여 진료기록을 새롭게 생성하거나 또는 기 생성된 진료기록을 호출하며, 유니트체어에 구비된 진료기구의 사용 이력을 기록함과 동시에 이에 상응하는 진료과정을 파악하여 진료기록을 갱신하는 등 병원에서의 스마트 진료를 가능케 하는 유니트체어에 관한 것이다.
네트워크를 통한 서비스의 다양화, 컨텐츠의 대용량화 등 송수신 되는 데이터의 양이 늘어나면서 네트워크 의존도가 상승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다양한 분야에서 네트워크를 활용한 스마트 환경이 구축되고 있다.
병원은 스마트 환경을 구축할 수 있는 하나의 공간으로서, 특히 의사와 환자가 반복적으로 드나드는 병원에서의 진료 환경에 자동화 및 네트워크화를 적용시키는 경우 매우 진료시간의 효과적인 단축 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나아가 환자들도 양질의 진료를 효율적으로 받을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병원에서의 스마트 진료 환경 구축에 대해서는 많은 관심이 있었으나, 아직까지도 환자의 진료기록은 환자의 개인정보 입력에 따라 호출이 가능하며, 이는 의사 또는 간호사가 수동으로 서버에 입력하는 과정을 거쳐야만 비로소 호출이 되도록 이루어져 있다.
한편, 종래의 이러한 방식에 따르면 환자의 개인정보를 반드시 수집하여야 하는데, 이 경우 환자의 민감한 개인정보가 유출되거나 또는 악용되어 큰 피해를 보는 경우도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종래의 방식에 따르면 의사 또는 간호사가 직접 환자 개인정보를 입력하여야 하는 과정이 수반되므로 오입력 등에 의해 올바른 진료기록이 호출되지 않거나 이에 따라 불필요한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도 발생할 수 있다.
또 다른 한편, 스마트 진료환경이 구축되지 않은 종래의 병원 진료의 경우, 의사는 환자에 대한 진료를 함과 동시에 어떠한 진료 또는 처방하였는지를 수동으로 입력하여야 하는바, 진료시간이 많이 소요됨은 물론 의사의 환자에 대한 집중도가 떨어져 비효율적인 진료가 이루어지는 문제점이 존재하였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이 종래 병원 진료에서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한 것으로, 특히 병원에 구비된 유니트체어를 활용하여 진료기록을 자동으로 호출하고 갱신할 수 있도록 하여 스마트 진료환경을 구축하고자 고안되었다.
한국공개특허공보 2012-0082041
본 발명은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의료진 또는 환자를 인식할 수 있는 수단 및 진료기록을 관리할 수 있는 수단을 구비한 유니트체어를 활용하여 스마트 진료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특히 본 발명은, 사람의 안면을 인식할 수 있는 카메라, 키 또는 체형을 기준으로 사람을 구별할 수 있는 센서, 사람이 소지하고 있는 태그를 감지할 수 있는 근거리센서 등을 이용하여 의료진 또는 환자를 인식할 수 있게 함으로써 종래 수동적으로 이루어지던 진료 접수를 자동으로 이루어지는 환경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의료진이 사용하는 진료기구, 환자를 진료하는 데 소요되는 시간 등의 정황정보를 기초로 해당 환자에 대한 진료항목을 자동으로 기록하고 갱신하게 함으로써 진료기록이 보다 객관적이고 투명하게 관리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유니트체어는 의료진 또는 환자를 식별하는 대상인지부; 상기 식별된 환자의 진료기록을 새로 생성하거나 또는 기 저장된 진료기록을 호출하는 진료기록관리부; 상기 대상인지부 및 진료기록관리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유니트체어는 환자 진료를 위한 복수의 진료기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진료기록관리부는 상기 진료기구의 구동이력을 기초로 상기 환자의 진료기록을 갱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니트체어에 있어서 상기 대상인지부는 대상의 높이를 감지하기 위한 높이센서이고, 상기 높이센서에 의해 감지된 대상인의 키를 기초로 의료진 또는 환자를 식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니트체어에 있어서 상기 대상인지부는 대상의 안면을 촬영하기 위한 카메라이고, 상기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대상인의 안면 구조를 기초로 의료진 또는 환자를 식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니트체어에 있어서 상기 대상인지부는 대상이 소지하고 있는 태그를 감지하기 위한 근거리센서이고, 상기 근거리센서에 의해 감지된 대상인의 태그를 기초로 의료진 또는 환자를 식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유니트체어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진료기구는 각각 고유 식별자를 가지며, 상기 진료기록관리부는, 상기 복수의 진료기구 중 특정 진료기구가 구동되는 경우 해당 진료기구의 고유 식별자에 대응되는 진료항목을 상기 진료기록에 삽입하여 상기 진료기록을 갱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 다른 한편, 상기 유니트체어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진료기구는 각각 다른 구동전력을 요하며, 상기 진료기록관리부는, 진료기구 구동시 소요되는 전력량을 기초로 현재 구동 중인 진료기구를 특정하며, 특정된 진료기구에 대응되는 진료항목을 상기 진료기록에 삽입하여 상기 진료기록을 갱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유니트체어는 진료기록을 표시하는 진료기록 표시부;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유니트체어에 있어서 상기 진료기록관리부는, 특정 진료기구의 구동여부 및 구동시간을 기초로 대응되는 진료항목을 파악하고, 상기 파악된 진료항목을 삽입하여 진료기록을 갱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니트체어에 있어서 상기 진료기록 관리부는, 유니트체어의 착좌부, 등받침대 또는 목받침대의 상태정보를 기초로 대응되는 진료항목을 파악하고, 상기 파악된 진료항목을 삽입하여 진료기록을 갱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의료진 또는 환자를 능동적으로 인식함과 동시에 해당 환자의 진료기록을 호출할 수 있어 스마트 진료 환경을 구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르는 경우 종래 간호원 등이 수동적으로 환자 접수를 받던 방식에서 벗어나 자동적으로 내원 환자의 접수가 이루어질 수 있어 진료시간 외 불필요한 대기시간을 줄일 수 있으며, 환자 접수에 필요한 인력을 감축할 수 있어 비용 절감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장치에 의한 의료진 또는 환자 인식이 되므로 전체 진료과정이 투명하고 객관적으로 기록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의료진이 사용한 진료기구 및 진료시간에 따라 진료항목이 판별되며, 이렇게 판별된 진료항목 및 진료내역이 자동으로 갱신될 수 있어 의료진 입장에서는 보다 간이하게 진료기록을 관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환자 입장에서도 정확한 의료기록을 기초로 적절한 진료를 지속적으로 받을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유니트체어를 비롯한 병원의 스마트 진료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유니트체어의 세부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유니트체어가 의료진 또는 환자의 안면을 인식하는 과정을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유니트체어가 의료진 또는 환자의 키 또는 체형을 인식하는 과정을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유니트체어가 의료진 또는 환자의 태그를 인식하는 과정을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유니트체어가 진료에 사용된 진료기구의 종류, 진료에 소요된 시간 등의 정보를 기초로 진료항목을 판별하고 진료기록을 갱신하는 과정을 나타낸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유니트체어에 추가적으로 독립된 진료장비들이 연결된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유니트체어가 환자 인식 후 해당 진료기록을 호출하는 과정 및 진료와 동시에 진료기록을 갱신하는 과정을 순서에 따라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과 기술적 구성 및 그에 따른 작용 효과에 관한 자세한 사항은 본 발명의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에 의거한 이하의 상세한 설명에 의해 보다 명확하게 이해될 것이다.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거나 이용되지 않아야 할 것이다. 이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본 명세서의 실시예를 포함한 설명은 다양한 응용을 갖는다는 것이 당연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임의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보다 잘 설명하기 위한 예시적인 것이며 본 발명의 범위가 실시예들로 한정되는 것을 의도하지 않는다.
도면에 표시되고 아래에 설명되는 기능 블록들은 가능한 구현의 예들일 뿐이다. 다른 구현들에서는 상세한 설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기능 블록들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하나 이상의 기능 블록이 개별 블록들로 표시되지만, 본 발명의 기능 블록들 중 하나 이상은 동일 기능을 실행하는 다양한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구성들의 조합일 수 있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들을 포함한다는 표현은 "개방형"의 표현으로서 해당 구성요소들이 존재하는 것을 단순히 지칭할 뿐이며, 추가적인 구성요소들을 배제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된다.
나아가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될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유니트체어(100) 및 유니트체어(100)가 갖추어진 병원의 스마트 진료 환경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도 1은 스마트 진료 환경이 구축된 병원 내부의 장치들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1에 따르면, 병원에는 복수의 유니트체어(100)가 구비될 수 있으며, 각각의 유니트체어(100)는 유선 또는 무선의 네트워크 망을 매개로 병원 서버(300)에 연결된다. 유니트체어(100)란, 환자가 앉거나 또는 누워있는 상태에서 진료를 받을 수 있도록 한 진료용 의자를 통칭하는 것으로서, 본 상세한 설명에서 인용하는 유니트체어(100)에는 일반 병원 또는 치과 병원 등 그 사용장소를 가리지 않고 환자를 진료할 수 있는 용도로 사용되는 모든 종류의 의자가 포함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후술하겠지만, 상기 유니트체어(100)는 기본구성으로서 환자를 앉히기 위한 착좌부 및 등받침대를 포함하며, 부가적으로 머리 받침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유니트체어(100)는 환자의 환부에 조명을 밝히기 위한 조명장치(150), 진료기록을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160) 장치, 환자를 치료하는 데에 사용되는 진료기구(140)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유니트체어(100)의 세부구성에 대해서는 도 2에 대한 설명에서 더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한편, 서버(300)란 복수의 유니트체어(100)와 연결된 것으로서 환자 진료에 필요한 각종 정보, 예를 들어 환자들의 진료정보를 저장하거나 조회하는 기능을 하는 컴퓨터 장치를 일컫는다. 상기 서버(300)는 하나의 병원 내 하나의 장치로서 존재할 수도 있지만, 기능 별로 서버(300)를 달리 구비하여 복수개로도 존재할 수 있다.
다른 한편, 상기 서버(300)는 병원의 외부에 존재하는 클라우드 서버(500)로 대체될 수도 있다. 즉, 상기 서버(300)는 반드시 병원의 내부에 구비된 컴퓨터 장치로서 존재하여야 하는 것은 아니며, 외부 사업자에 의해 제공되는 클라우드 서버(500) 서비스를 이용하여 상기 클라우드 서버(500)에 환자의 진료정보를 저장, 조회, 호출 할 수 있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한편,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유니트체어(100)의 세부구성을 세부구성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2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유니트체어(100)는 대상인지부(110), 진료기록 관리부(120), 제어부(130)를 기본구성으로서 포함하며, 더 나아가 진료기구(140)를 포함한다.
한편, 본 발명에서 언급하는 제어부(130)는 상기 유니트체어(100) 내 포함된 세부구성들, 즉 대상인지부(110), 진료기록 관리부(120), 진료기구(140)를 제어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제어부(130)는 적어도 하나의 연산장치를 포함할 수 있고, 이 때 연산장치로는 범용적인 중앙연산장치(CPU), 특정 목적에 적합하게 구현된 프로그래머블 디바이스 소자(CPLD, FPGA), 주문형 반도체 연산장치(ASIC) 또는 마이크로 컨트롤러 칩 등이 활용될 수 있다.본 발명에 따른 유니트체어(100)는 크게 두 가지 기능을 하는데 첫 번째 기능은 환자 또는 의료진을 다양한 방식으로 인지하고 해당되는 환자 또는 의료진에 대한 정보를 호출하는 것, 두 번째 기능은 의료진이 환자에 대한 진료를 하는 경우 해당 진료 과정 전체를 모니터링하고 이를 앞서 호출한 진료기록에 갱신 기록하는 것이다.
우선 유니트체어(100)의 첫 번째 기능과 관련하여서는 대상인지부(110) 및 진료기록 관리부(120)가 직접적으로 관여한다.
대상인지부(110)는 구비된 감지수단을 이용하여 의료진 또는 환자를 식별한다. 이 때 상기 대상인지부(110)는 감지수단의 종류에 따라 다양한 방식으로 대상을 인지한다.
도 3 내지 도 5는 감지수단의 종류에 따른 대상인지부(110)의 작동 방식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상기 감지수단이 대상의 얼굴을 촬영하기 위한 카메라인 경우의 대상인지부(110) 작동 방식을 나타낸 것이다. 도 3에 따르면, 상기 감지수단은 환자의 안면, 의료진의 안면을 촬영할 수 있는 위치에 구비될 수 있으며, 대상이 촬영 영역 내 존재할 때 대상의 안면을 촬영함으로써 대상인지부(110)로 하여금 의료진 또는 환자가 누구인지를 인지할 수 있게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카메라에 의해 의료진 또는 환자의 얼굴이 촬영된 경우, 상기 대상인지부(110)는 위 촬영된 이미지를 병원 내 서버(300) 또는 클라우드 서버(500)에 기 저장된 안면정보와 비교하여 해당 대상이 누구인지를 파악하게 된다. 이러한 안면 인식 방식은 디지털 이미지를 통해 각 사람을 자동으로 식별하는 것으로서, 상기 이미지로부터 특징점을 추출해 내고 이를 서버(300, 500)에 저장된 데이터베이스와 비교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안면 인식의 더욱 구체적인 방식은 본 발명의 범위를 넘어서는 바,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감지수단으로서 열감지 기능을 갖춘 카메라, 즉 열감지 카메라를 사용함으로써 의료진 또는 환자를 식별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열감지 카메라에 의해 의료진 또는 환자가 촬영된 경우, 상기 대상인지부(110)는 위 촬영된 열화상 이미지를 병원 내 서버(300) 또는 클라우드 서버(500)에 기 저장된 열화상 이미지와 비교하여 해당 대상이 누구인지를 파악하게 된다. 이러한 열감지 방식 역시 앞서 설명한 안면 인식 방식과 유사하게 디지털 이미지를 통해 각 사람을 식별해 내는 것으로서, 상기 열화상 이미지로부터 특징점 또는 열화상도에서 드러나는 특정 위치의 온도를 추출해 내고 이를 서버(300, 500)에 저장된 데이터베이스와 비교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한편, 이렇게 열감지 카메라를 활용하는 경우 부가적으로 환자의 발열상태를 모니터링할 수 있어 해당 환자에 대한 기본적인 건강 정보를 얻을 수도 있다.
도 4는 상기 감지수단이 대상의 높이를 감지하기 위한 높이센서인 경우의 대상인지부(110) 작동 방식을 나타낸 것이다. 도 4에 따르면, 상기 감지수단은 환자 또는 의료진의 높이, 예를 들어 키 또는 앉은키를 감지할 수 있으며, 대상인지부(110)는 감지된 대상의 키 또는 앉은키를 기초로 해당인이 누구인지를 파악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감지수단에 의해 대상의 키 또는 앉은키가 획득된 경우 대상인지부(110)는 병원의 서버(300) 또는 클라우드 서버(500)에 저장된 환자 또는 의료진의 키 또는 앉은키 데이터를 조회하며, 대응되는 정보를 추출해 냄으로써 상기 대상이 누구인지를 파악하게 된다.
한편 이 때, 대상이 서 있는 자세 또는 앉아 있는 자세에 따라 키가 달리 측정될 수도 있는 바, 상기 대상인지부(110)는 획득된 키 또는 앉은키 데이터를 서버(300)에 저장된 데이터와 비교하되 일정한 크기의 오차범위를 고려하여 대상을 인지하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높이센서에 의해 감지된 의료진의 앉은키가 90cm인 경우, 대상인지부(110)는 85cm 내지 90cm의 앉은키를 가지는 의료진의 데이터를 조회하여 해당 의료진을 인지해 내도록 구현할 수 있다.
한편 이 때 상기 범위 내에 복수의 대상이 속하는 경우, 대상인지부(110)는 높이 정보 이외에 다른 정보를 더 획득함으로써 대응되는 대상을 정확히 인지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유니트체어(100)는 의료진이 진료시 착석하게 되는 좌석 또는 환자가 진료 시 눕거나 앉는 착좌부에 무게를 감지할 수 있는 무게센서를 더 구비시킴으로써 대상의 몸무게를 획득할 수 있게 하고, 획득된 높이정보 및 몸무게 정보를 활용하여 대응되는 환자 또는 의료진을 구별해 낼 수 있도록 구현할 수 있다.
한편, 도 5는 상기 감지수단이 환자 또는 의료진이 소지하고 있는 태그(210)를 감지할 수 있는 근거리센서인 경우의 대상인지부(110) 작동 방식을 나타낸 것이다. 도 5에 따르면, 상기 감지수단은 환자 또는 의료진이 개별적으로 소지하고 있는 태그(210)를 인식하고, 대상인지부(110)는 해당 태그(210)의 고유 식별자를 기초로 소유자의 신원을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이 때 태그(210)란, 환자 또는 의료진이 각자 소지 또는 휴대할 수 있는 카드 형태의 근거리통신 매개체로서, 각각의 태그(210)는 고유 식별자를 가지도록 설정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태그(210)는 환자 또는 의료진이 카드 형태로 발급받아 상시 소지할 수 있도록 제공될 수 있으며, 또는 환자 또는 의료진이 병원에 입장할 때마다 일회용으로 새로이 제공될 수도 있다. 단, 어느 방식으로 제공되든 상기 태그(210)는 대상 1인과 일대일 대응으로 매칭되어 서버(300) 또는 클라우드 서버(500)에 저장되어 있을 것을 요한다.
한편, 상기 감지수단은 바람직하게는 유니트체어(100)의 측부에 구비되어 환자 또는 의료진이 직접 태그(210)를 접근시키기 용이하도록 할 수 있으며, 또는 환자 또는 의료진이 태그(210)를 주머니 등에 소지한 채 주변 일정 범위 내에 접근만 하더라도 태그(210) 고유 식별자를 인지하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한편, 도 3 내지 도 5의 방식에 따라 환자 및 의료진이 식별된 이후, 상기 진료기록 관리부(120)는 해당되는 환자의 진료기록을 병원 내 서버(300) 또는 클라우드 서버(500)로부터 호출하며, 더 나아가서는 이를 유니트체어(100)에 구비된 디스플레이(160)부에 표시함으로써 의료진으로 하여금 환자에 대한 정보를 파악할 수 있게 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유니트체어(100)의 두 번째 기능과 관련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유니트체어(100)의 두 번째 주요 기능은 앞서도 언급하였듯 환자에 대한 의료진의 진료과정을 모니터링 하고, 해당 진료과정을 모두 기록하며, 동시에 해당 환자의 진료기록을 갱신하는 것이다.
이하에서는 도 6을 참조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두 번째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장치로는 유니트체어(100) 내 구비된 진료기록 관리부(120) 및 진료기구(140)가 개입된다.
먼저 진료기구(140)란, 환자 진료를 위해 유니트체어(100)에 구비된 복수의 기구들을 통칭하는 것으로서, 여기에는 하이스피드 핸드피스(141), 로우스피드 핸드피스(143), 스케일러(145, 147), 그 외 기타 환자 진료에 필요한 기구(149)들이 포함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진료기록 관리부(120)는 의료진이 어느 특정 진료기구(140)를 사용할 때마다 이를 식별해 낼 수 있다.
각 진료기구(140)의 식별 방식은 다음 설명과 같이 세 가지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첫째, 상기 복수의 진료기구(140)들은 각기 고유 식별자를 부여 받을 수 있으며, 상기 진료기록 관리부(120)는 상기 진료기구(140) 중 특정 진료기구(140)가 구동되는 경우 대응되는 고유 식별자를 인지하여 상기 특정 진료기구(140)를 식별해 낼 수 있다.
예를 들어, 유니트체어(100)에 다섯 개의 진료기구(140)가 구비되어 있고, 이들이 각각 #801 ~ #805의 고유 식별자가 부여되었다고 가정했을 때, 상기 진료기록 관리부(120)는 구동되는 진료기구(140)의 상기 고유 식별자를 인지하여 어느 진료기구(140)가 얼마만큼의 시간동안 사용됐는지 파악할 수 있다.
둘째, 상기 복수의 진료기구(140)들은 각각 다른 구동전력을 이용하도 구동되도록 제조될 수 있으며, 상기 진료기록 관리부(120)는 상기 진료기구(140) 구동시 소요되는 전력량을 파악하여 현재 구동 중인 진료기구(140)를 식별해 내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한편 이 때, 상기 진료기구(140)들은 비단 구동전력에 의해 식별되는 방식뿐만 아니라 구동시 공급되는 전압 또는 전류량을 기준으로도 가능함을 이해해야 할 것이다.
한편, 이와 같이 진료기구(140)의 구동시 소요되는 전력량, 전압, 전류량을 모니터링 하는 경우, 이들 진료기구(140)들의 고장여부 또는 고장가능성에 대해서도 미리 파악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어, 정상작동시의 전력량, 전압, 전류량을 벗어난 수치가 측정되는 경우, 진료기록 관리부(120)는 특정 진료기구(140)가 정상 수치에서 벗어난 범위에서 작동되고 있음을 인지하여 이를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게 구현할 수 있다.
셋째, 상기 복수의 진료기구(140)들은 각각 유니트체어(100)에 구비된 홀더에 개별적으로 거치되어 있을 수 있는데, 각 홀더는 진료기구(140)가 거치될 때 이를 지지하는 레버를 구비하고 있어 의료진이 진료기구(140)를 사용할 때마다 레버의 움직임에 따라 어떤 진료기구(140)가 사용되는지를 식별해 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진료를 위해 하이스피드 핸드피스가 사용되는 경우, 의료진이 상기 진료기구를 거치대로부터 분리할 때에 레버의 위치가 변하게 되며, 상기 진료기록 관리부는 레버의 위치 변화(스위칭)를 감지하여 현재 하이스피드 핸드피스가 진료에 사용되고 있음을 인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진료기록 관리부(120)는 이상 설명한 방식으로 환자 진료시 어떤 진료기구(140)가 사용되었는지를 구별해 낼 수 있다.
한편, 상기 진료기록 관리부(120)는 진료기구(140)의 식별뿐 아니라 해당 진료기구(140)를 얼마만큼의 시간동안 사용했는지도 파악할 수 있다. 즉, 상기 진료기록 관리부(120)는 특정 진료기구(140)가 몇 초 또는 몇 분 동안 구동되었는지를 파악할 수 있으며, 이렇게 파악된 진료기구(140)의 사용이력은 향후 의료진이 해당 환자에게 행한 진료내용 또는 진료항목을 식별해 내는 데에 기초가 된다.
예를 들어, 반사경이 약 30초 간 사용이 된 경우, 해당 환자에 대한 진료는 단순히 상태를 확인하기 위한 소위 예비진료로 분류될 수 있으며, 이후 하이스피드 핸드피스가 10초 동안 사용되고 석션 호스가 2초 동안 사용되는 등의 의료행위가 인지된 경우 상기 진료기록 관리부(120)는 해당 환자에 대해 충치치료가 진행되고 있는 것으로 파악하여 이를 진료기록에 자동으로 기록하게 구현할 수 있다.
다른 한편, 사용된 진료기구(140)의 종류, 사용시간 등의 파악은 진료기록 관리부(120)가 직접 관여하여 수행할 수도 있으나, 도 6에서 보는 것과 같이 각 진료기구(140)들에 연결되어 있는 기구모니터링 장치(170)를 별개로 구비시킴으로써 위와 같은 모니터링을 수행토록 할 수도 있다. 즉, 상기 기구모니터링 장치(170)는 의료진이 환자 진료시 사용한 진료기구(140)의 종류, 사용시간 등을 파악한 뒤 해당 정보를 진료기록 관리부(120)에 전달하고, 진료기록 관리부(120)는 이를 기초로 진료기록을 갱신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유니트체어(100)는 처음 제조 당시부터 구비되어 있던 진료기구(140)뿐만 아니라, 의료진의 필요에 따라 사후적으로 추가되는 장비에 대해서도 상기와 같이 사용내역을 파악할 수 있도록 구현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여 유니트체어(100)에 독립된 진료장비가 추가적으로 연결될 수 있는 실시예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상기 유니트체어(100)는 예비적으로 추가 장비를 연결할 수 있는 장비연결부(180)를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장비연결부(180)에 독립된 장비가 연결되는 경우 상기 진료기록 관리부(120)가 새롭게 연결된 장비를 인지하고, 해당 장비의 종류, 사용시간 등을 파악한 뒤 이를 기초로 진료기록을 갱신하도록 구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장비연결부(180)에 연결될 수 있는 독립된 장비로는 치아 내 미생물 활성을 관찰할 수 있는 관측장치, 구취측정기, 치아색감별기, 광중합기 등이 포함될 수 있으며, 이들 장치가 유니트체어(100)에 연결되는 경우, 상기 진료기록 관리부(120)는 현재 연결된 장비의 전력소모량, 입력되는 전압 또는 전류량을 감지하여 어떤 종류의 장비가 연결되었는지 파악하도록 구현할 수 있다. 또 다른 방식으로, 상기 유니트체어(100)에는 복수의 장비연결부(180)를 구비시키되, 각각의 장비연결부(180)는 고유의 형태를 가진 장비만이 연결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새롭게 연결된 장비의 종류를 식별하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한편, 이렇게 새롭게 연결된 장비들에 대한 인식은 진료기록 관리부(120)가 직접 할 수도 있겠으나, 앞서 도 6에서 본 것과 같이 기구모니터링 장치(170)를 별도로 두어 기구모니터링 장치(170)로 하여금 장비연결부(180)에 연결된 장비를 식별하고, 사용시간을 파악 및 기록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진료기록 관리부(120)는 사용된 진료기구(140)의 종류 및 사용 시간 이외에 유니트체어(100)의 다른 구성요소 움직임을 기초로도 진료항목을 파악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유니트체어(100)는 착좌부, 등받침대, 머리 받침대를 포함할 수 있는데, 상기 진료기록 관리부(120)는 상기 각 구성부의 운동상태 또는 정지상태를 기초로도 해당 환자에 대해 어떤 진료가 이루어지고 있는지 파악할 수 있다. 가령, 등받침대가 착좌부와 70도 각도를 유지한 채 5분 이상 지속된 경우, 상기 진료기록 관리부(120)는 해당 환자에 대해서는 현재 문진 내지 상담만 이루어지고 있는 것으로 인지하여 이를 진료기록에 기록하도록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진료기록 관리부(120)는 진료시 사용한 진료기구(140)의 종류 및 사용시간, 그리고 유니트체어(100) 각 구성부의 운동상태, 정지상태를 조합하여 해당 환자에 어떤 진료가 이루어졌는지 식별할 수도 있음을 이해해야 할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유니트체어(100)를 이용하여 스마트 진료가 이루어지는 과정을 간략하게 순서에 따라 나타낸 것이다.
도 8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유니트체어(100)는 스마트 진료 환경에서 환자 및 의료진을 자동으로 인식(S710)할 수 있으며 이를 기초로 기저장된 진료기록을 호출하거나 새로운 진료기록을 생성(S720)할 수 있고, 나아가 의료진이 진료를 개시한 이후에는 진료에 사용되는 진료기구(140)의 종류, 사용시간, 유니트체어(100)의 제어상태를 기초로 진료항목을 판별하고 진료과정을 판별 또는 모니터링(S730)함으로써 상기 환자에 대한 진료기록을 갱신(S740)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유니트체어(100)는 비단 대상인지부(110), 진료기록 관리부(120), 제어부(130), 진료기구(140) 등이 완제품으로 제조된 것 뿐 아니라, 상기 유니트체어(100) 자체가 확장성을 가져 추가적인 구성들이 연결되거나 조립될 수 있는 경우까지도 포함됨을 이해해야 할 것이다. 예를 들어 대상인지부(110) 및 진료기구(140)는 구현방식 또는 기구의 종류가 다양하게 존재할 수 있는데, 이들 대상인지부(110), 진료기구(140)는 그 필요에 따라 다른 감지수단, 감지방식을 활용한 대상인지부를 추가적으로 구비할 수도 있으며, 진료기구 역시 필요에 따라 부가적으로 연결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참조하고 있는 도면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도면에 도시된 각 구성의 구비위치는 변경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할 것이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 및 응용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 및 응용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구별되어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100: 유니트체어
110: 대상인지부 120: 진료기록 관리부
130: 제어부
140, 141, 143, 145, 147, 149: 진료기구
150: 조명장치 160: 디스플레이 170: 기구모니터링 장치
180: 장비연결부
210: 태그
300: 서버
500: 클라우드 서버

Claims (10)

  1. 의료진 또는 환자를 식별하는 대상인지부;
    상기 식별된 환자의 진료기록을 새로 생성하거나 또는 기 저장된 진료기록을 호출하는 진료기록관리부;
    상기 대상인지부 및 진료기록관리부를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유니트체어.
  2. 제1항에 있어서,
    환자 진료를 위한 복수의 진료기구;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진료기록관리부는 상기 진료기구의 구동이력을 기초로 상기 환자의 진료기록을 갱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니트체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대상인지부는 대상의 높이를 감지하기 위한 높이센서이고,
    상기 높이센서에 의해 감지된 대상인의 키를 기초로 의료진 또는 환자를 식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니트체어.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대상인지부는 대상의 안면을 촬영하기 위한 카메라이고,
    상기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대상인의 안면 구조를 기초로 의료진 또는 환자를 식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니트체어.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대상인지부는 대상이 소지하고 있는 태그를 감지하기 위한 근거리센서이고,
    상기 근거리센서에 의해 감지된 대상인의 태그를 기초로 의료진 또는 환자를 식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니트체어.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진료기구는 각각 고유 식별자를 가지며,
    상기 진료기록관리부는, 상기 복수의 진료기구 중 특정 진료기구가 구동되는 경우 해당 진료기구의 고유 식별자에 대응되는 진료항목을 상기 진료기록에 삽입하여 상기 진료기록을 갱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니트체어.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진료기구는 각각 다른 구동전력을 요하며,
    상기 진료기록관리부는, 진료기구 구동시 소요되는 전력량을 기초로 현재 구동 중인 진료기구를 특정하며, 특정된 진료기구에 대응되는 진료항목을 상기 진료기록에 삽입하여 상기 진료기록을 갱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니트체어.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진료기록을 표시하는 진료기록 표시부;
    를 더 포함하는 유니트체어.
  9.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진료기록관리부는, 특정 진료기구의 구동여부 및 구동시간을 기초로 대응되는 진료항목을 파악하고, 상기 파악된 진료항목을 삽입하여 진료기록을 갱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니트체어.
  10.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진료기록 관리부는, 유니트체어의 착좌부, 등받침대 또는 목받침대의 상태정보를 기초로 대응되는 진료항목을 파악하고, 상기 파악된 진료항목을 삽입하여 진료기록을 갱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니트체어.

KR1020150096388A 2015-07-07 2015-07-07 스마트 진료를 위한 유니트체어 KR2017000603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6388A KR20170006035A (ko) 2015-07-07 2015-07-07 스마트 진료를 위한 유니트체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6388A KR20170006035A (ko) 2015-07-07 2015-07-07 스마트 진료를 위한 유니트체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6035A true KR20170006035A (ko) 2017-01-17

Family

ID=579905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96388A KR20170006035A (ko) 2015-07-07 2015-07-07 스마트 진료를 위한 유니트체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06035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00449B1 (ko) * 2020-07-27 2021-09-09 임세웅 치과 병원 경제성 분석 관리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20082041A1 (en) 2010-04-05 2012-04-05 Qualcomm Incorporated Power headroom reporting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20082041A1 (en) 2010-04-05 2012-04-05 Qualcomm Incorporated Power headroom reporting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00449B1 (ko) * 2020-07-27 2021-09-09 임세웅 치과 병원 경제성 분석 관리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Gupta et al. IoT based smart healthcare kit
JP5823814B2 (ja) 医療用システム
US20070168225A1 (en) Workflow generator for medical-clinical facilities
CN103186712A (zh) 一种自动识别病人的病人监护系统及方法
EP1239399A3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 medical information system for clinical care
CN104603829A (zh) 用于使用移动终端的个人医疗治疗的方法和装置
KR20070117166A (ko) 전자의무기록 시스템
KR20150137744A (ko) 헬스케어 웨어러블 디바이스와 스마트폰을 연동한 피부진단 시스템 및 방법
EP3380963A1 (en) Tracking usage of a pulse oximeter via a network system
US20080082362A1 (en) Method for locating and displaying information in an information system of a medical facility
CN105078509A (zh) 用于患者的数据录入的自动化管理的超声探头
Thakare et al. Role of emerging technology for building smart hospital information system
KR20180106099A (ko) 웹 기반의 개인화된 건강 데이터 관리 시스템 및 방법
US20170272429A1 (en) System and method to conduct clinical examinations and securely interact with networked electronic applications
KR101461182B1 (ko) 재가방문 박스를 이용한 재가방문 관리시스템
KR101816512B1 (ko) 간호 카트를 이용한 간호 정보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180019865A (ko) 자가 건강관리 정보 기반의 맞춤형 문진지원 시스템
JP2007011747A (ja) 健康診断支援システム及び健康診断支援方法
KR20120049697A (ko) 원격진료장치 및 원격진료방법
KR20170006035A (ko) 스마트 진료를 위한 유니트체어
KR20190016297A (ko) 관절 검진 시스템
JP2004213321A (ja) 医療業務支援端末
EP3618714B1 (en) X-ray system for guided operation
EP3491557A1 (en) Patient monitoring system
CN109076311A (zh) 用于提供医疗服务的方法、系统及非暂态计算机可读记录介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