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05805A - 래칭 메카니즘을 위한 모니터링 및 경보 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래칭 메카니즘을 위한 모니터링 및 경보 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05805A
KR20170005805A KR1020167031349A KR20167031349A KR20170005805A KR 20170005805 A KR20170005805 A KR 20170005805A KR 1020167031349 A KR1020167031349 A KR 1020167031349A KR 20167031349 A KR20167031349 A KR 20167031349A KR 20170005805 A KR20170005805 A KR 201700058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ave
control unit
master control
latching
st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313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리차드 애플린
윌리암 트리유
매튜 레딩
릴리 비커크
앤드류 리어리
Original Assignee
로크리브 홀딩스 피티와이.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AU2014901322A external-priority patent/AU2014901322A0/en
Application filed by 로크리브 홀딩스 피티와이. 리미티드 filed Critical 로크리브 홀딩스 피티와이.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1700058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580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9/00Checking or monitoring of signalling or alarm systems; Prevention or correction of operating errors, e.g. preventing unauthorised operation
    • G08B29/18Prevention or correction of operating errors
    • G08B29/181Prevention or correction of operating errors due to failing power supp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48Control systems, alarms, or interlock systems, for the correct application of the belt or harnes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1/00Locks with visible indication as to whether the lock is locked or unlocked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5/00Alarm lock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309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with bidirectional data transmission between data carrier and lock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3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no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 G07C9/38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no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with central registrat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202Child monitoring systems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carried by the parent and the child
    • G08B21/023Power management, e.g. system sleep and wake up provis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202Child monitoring systems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carried by the parent and the child
    • G08B21/0261System arrangements wherein the object is to detect trespassing over a fixed physical boundary, e.g. the end of a garde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48Control systems, alarms, or interlock systems, for the correct application of the belt or harness
    • B60R2022/4808Sensing means arrangements therefor
    • B60R2022/4816Sensing means arrangements therefor for sensing locking of buckl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2047/0094Mechanical aspects of remotely controlled locks
    • E05B2047/0095Mechanical aspects of locks controlled by telephone signals, e.g. by mobile phon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2047/0097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including means for monitoring voltage, e.g. for indicating low battery stat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5/00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 E05B65/0007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for gate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2009/00634Power supply for the lock
    • G07C2009/00642Power supply for the lock by battery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2009/00753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by active electrical keys
    • G07C2009/00769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by active electrical keys with data transmission performed by wireless means
    • G07C2009/00793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by active electrical keys with data transmission performed by wireless means by Hertzian wave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896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8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responsive to the presence of persons in a body of water, e.g. a swimming pool; responsive to an abnormal condition of a body of water

Landscapes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Alarm Systems (AREA)
  • Emergency Alarm Devices (AREA)
  • Automotive Seat Belt Assembly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래칭 메커니즘들에 레트로-피팅(retro-fitting)하기 위한 모니터링 및 경고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마스터 제어 유닛은 시스템의 오퍼레이터에 근접하게 배치된다. 마스터 제어 유닛은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며,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오퍼레이터가 시스템을 소지한 후 시스템이 오퍼레이터와의 최소 상호작용으로 동작하도록 하는 입력 수단을 가진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또한 복수의 소정의 조건들과 관련한 시스템의 상태에 대하여 오퍼레이터에 경고하기 위한 출력 수단을 포함한다. 하나 이상의 슬레이브 유닛들은 개별 래칭 메커니즘의 래칭 상태를 검출하기 위하여 개별 래칭 메커니즘에 부착된다. 각각의 슬레이브 유닛은 래칭 메커니즘이 래치 상태(latched state)에 있는지 또는 언래치 상태(unlatched state)에 있는지의 여부를 검출하기 위한 감지 수단을 포함한다. 통신 수단은 마스터 제어 유닛과 슬레이브 유닛들 각각 사이에서 상태 및 경고 신호들을 주기적으로 무선으로 통신하기 위하여, 마스터 제어 유닛의 부분을 형성하는 마스터 트랜시버 및 각각의 슬레이브 유닛의 부분을 형성하는 슬레이브 트랜시버를 포함한다. 마스터 프로세싱 수단 및 슬레이브 프로세싱 수단은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한 오퍼레이터와의 상호작용을 수반하여, 초기화 단계 동안 다양한 초기화 프로세스들을 인보크하도록 설계된다. 이들 초기화 프로세스들은 슬레이브 유닛들 각각의 래칭 상태를 식별하는 것을 포함한다. 실행 단계 동안, 마스터 프로세싱 수단은 마스터 제어 유닛에 의한 최소 전력 소비를 보장하면서 슬레이브 유닛들 각각의 가장 최근의 래칭 상태를 확인하기 위한 시스템 상태 프로세스; 로컬 전력 레벨이 소정의 임계치 미만이 아님을 슬레이브 전력 공급 모니터링 수단으로 체크(check)하기 위한 전력 상태 프로세스; 입력 수단으로부터의 입력 신호들을 프로세싱하고 가장 최근의 래칭 및 전력 상태를 오퍼레이터에 전달하기 위하여 출력 수단을 업데이트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프로세스를 인보크하도록 설계된다. 슬레이브 프로세싱 수단은 로컬 전력이 소정의 임계치 미만임을 슬레이브 전력 공급 모니터링 수단이 표시하는 경우 전력 경고 신호를 송신하고 그리고 슬레이브 유닛에 의한 최소 전력 소비를 보장하면서 슬레이브 유닛의 래칭 상태를 송신하기 위하여 슬레이브 유닛 상태 루틴을 인보크하도록 설계된다.

Description

래칭 메커니즘들에 대한 모니터링 및 경고 시스템 및 방법{MONITORING AND ALERT SYSTEM AND METHOD FOR LATCHING MECHANISMS}
[001] 본 발명은 래칭 메커니즘들에 대한 모니터링 및 경고 시스템들 및 방법들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래칭 메커니즘이 풀려질 때를 검출하여 이를 사람에게 경고하기 위한 모니터링 및 경고 기능 없이 래칭 메커니즘이 처음에 설치된 이후에, 그 기능을 제공하는데 있어서 유용성(utility)을 갖는 레트로-피트 시스템(retro-fitted system)들에 관한 것이다.
[002] 본 발명은 어린이들의 안전을 보장하기 위하여 래칭 메커니즘의 목적과 모든 타입들의 차량들의 안전벨트들과 수영장 출입구들, 특히 어린 아이들이 걱정되는 장소와 같은 안전 목적들을 위한 래칭 메커니즘들을 설치하는 경우에 특히 유용성을 가진다.
[003] 명세서 전반에 걸쳐, 문맥이 달리 요구하지 않으면, "포함하다(comprise)" 또는 변형들, 예컨대 "포함하다(comprises)" 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이라는 용어는 언급된 정수 또는 정수들의 그룹을 포괄하나 임의의 다른 정수 또는 정수들의 그룹을 배제하지 않음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될 것이다.
[004] 배경기술의 이하의 논의는 단지 본 발명의 이해를 용이하게 하는 것으로만 의도된다. 이러한 논의는 참조된 자료 중 임의의 자료가 본 출원의 우선일에 통상의 지식 중 일부였다는 것을 인정하거나 또는 시인하는 것이 아님이 인식되어야 한다.
[005] 사람들의 통제를 수반하며 본 발명이 특유의 (그러나, 배타적이지 않음) 유용성을 가지는 하나의 활동 분야에서, 자동차 등으로 여행할 때 시트와 같은 물체에 대해 사람을 통제하기 위하여 래칭 메커니즘에 의존하는 경우에 사람들의 안전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이 증가하고 있다. 특정 사람들이 출입구를 통해 밀폐된 지역에 접근하는 것을 제한하는 것을 수반하며 본 발명이 특유의 (그러나, 배타적이지 않음) 유용성을 또한 가지는 다른 활동 분야에서도 안전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이 유사하게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지역에서는 어린이들이 그 지역에 접근하는 것을 막거나 제한하기 위하여 래칭 메커니즘들의 설치 및 운용 준수를 확보하기 위한 엄격한 규제들이 사회에 도입되었다.
[006] 그러나, 이러한 규제들이 통제되는 성인들에게는 최상의 계획임에도 불구하고, 안전 문제들과 규제 고수에 대한 이해가 부족한 어린 어린이들이 관련되는 경우에, 성인들의 자녀의 활동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고, 자녀를 제지하거나 자녀가 지역에 접근하는 것을 제지하는 래칭 메커니즘이 해제되어 자녀에게 위험한 상황을 초래하고 잠재적으로 성인이 규정 준수 요건들을 위반하게 할 때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성인들에 의한 각별한 경계가 요구된다. 때때로, 성인은 자기 자신들의 안전 관점에서 다른 활동에 주력해야 하기 때문에 이러한 각별한 경계를 완수하지 못할 수 있으며, 일부 부가적인 자극(prompting)으로부터 이득을 보았을 수도 있다.
[007] 예컨대, 자동차 안전 및 안전벨트 사용의 경우에, 자동차를 운전하는 성인은 운전중에 차량의 뒷좌석에 있는 안전벨트들의 래칭 상태를 모니터링하지 못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는 여행의 시작시에 성인이 뒷좌석에 있는 탑승자들에게 반드시 안전벨트를 매도록 함에도 불구하고 그리고 차량을 안전하게 운전하고 도로 규정들을 준수하는데 주의를 집중해야하기 때문에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만일 어린이가 안전벨트의 래칭 메커니즘을 해제하는 경우가 발생하면, 비록 여행중에 단지 잠시동안 발생하였을지라도, 어린이의 주의력 약화로 인해 안전벨트가 다시 매어지지 못할 수 있어서, 사고가 발생하는 경우에 어린이가 위험 상태에 노출될 수 있다.
[008] 자동차들의 OEM(Original equipment manufacturer)들은 이들 안전 요건들을 처리하기 위하여 수년동안 안전벨트 모니터링 시스템들을 개선해 왔으나, 단지 최근 들어서야, 이들 시스템들은 뒷좌석에 있는 안전벨트들의 래칭 상태를 검출할 만큼 충분히 정교하게 개발되어 왔다. 본 분야에서 설계자들이 직면한 문제 중 하나는 뒷좌석의 안전벨트들이 항상 사용되는 것이 아니므로, 탑승자의 존재 뿐만 아니라 안전벨트 그 자체의 래칭 상태를 결정하여 안전벨트가 이동중에 풀리게 되어 탑승자가 위험한 상태에 노출되었는지의 여부를 결정하기 위하여 비교적 고가의 감지 장비가 필요하다.
[009] 이러한 정교한 시스템들은 일반적으로 시트 베이스의 구조에 통합된 무게 감지 시스템을 사용하는 것을 필요로 하며, 안전벨트에 대한 래칭 상태가 모니터링되기 전에 사람이 특정 시트에 앉아있는지의 여부를 감지한다. 이러한 디바이스들은 부피가 크고 고가이며, OEM이 이러한 감지 디바이스들을 원래 설치하지 않았던 차량들에 레트로-피팅되는 것은 비실용적이다.
[010] 결과적으로, OEM이 뒷좌석 안전벨트 모니터링 시스템들을 설계하지 않은 많은 수의 차량이 있거나, 그러한 경우 이들 디바이스들은 요구되는 필수 모니터링 레벨을 제공하기에 적합하지 않다.
[011] 과거에 뒷좌석 안전벨트들에 대한 레트로-피트 모니터링 및 경고 시스템들을 개발하기 위한 일부 시도들이 수행되어 왔으나, 이들 시스템들은 품질이 좋지 않고, 전원 장애가 일어나며 통신의 신뢰성이 없으며 설계가 조잡하여 비교적 쉽게 분해되거나 바이패스(bypass)되는 것으로 입증되었다.
[012] 잠재적으로 위험한 지역들에의 접근을 모니터링하는 것을 필요로 하는 래칭 메커니즘들의 다른 예는 수영장 구내의 출입구들에 설치된 래칭 메커니즘들이다. 이들 출입구들은 어린이들의 손이 닿지 않도록 출입구 위의 높은 위치에서 작동하는 래칭 메커니즘을 수반한다. 그러나, 어린이들의 부지런하고 창조적인 기질을 고려해 볼때, 어린이들은 종종 출입구를 통해 접근해 올라가서 래칭 메커니즘을 작동시키는 방법들을 찾을 수 있다.
[013] 현재는 이러한 타입들의 래칭 메커니즘들에 모니터링 및 경고 시스템을 설치해야 한다는 규제 요건이 없으므로, 사실상 모든 수영장 출입구들은 어린이들이 수영장 구내에 접근하는 것을 막는 래칭 메커니즘의 물리적 작동에만 의존할 것이다.
[014] 앞의 상황들을 고려할 때, 수영장 구내의 출입구들과 뒷좌석 안전벨트들과 같은 래칭 메커니즘들의 상태를 감지하도록 레트로-피팅될 수 있는, 잘 설계되고 기능이 뛰어난 모니터링 및 경고 시스템(현재로서는 만족되고 있지 않음)에 대한 필요성이 분명히 존재한다.
[015] 본 발명의 목적은 레트로-피팅(retro-fitting) 기능을 제공하려고 시도하지만 설계 및 작동의 불충분함들로 인해 시장의 인정을 받지 못하였던 종래기술의 모니터링 및 경고 시스템들과 연관된 문제점들의 적어도 일부를 극복하거나, 시장의 인정을 받을 수 있는 그러한 시스템들에 대한 실시가능한 대안을 적어도 제공하는 것이다.
[016]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르면, 래칭 메커니즘들에 레트로-피팅(retro-fitting)하기 위한 모니터링 및 경고 시스템이 제공되며, 이 시스템은,
시스템의 오퍼레이터에 근접하게 배치되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마스터 제어 유닛,
개별 래칭 메커니즘의 래칭 상태를 검출하기 위하여 개별 래칭 메커니즘에 각각 고정 부착되어 있는 하나 이상의 슬레이브 유닛들, 및
마스터 제어 유닛과 슬레이브 유닛들 각각 사이에서 상태 및 경고 신호들을 주기적으로 통신하기 위한 통신 수단을 포함하며;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a) 오퍼레이터가 시스템을 소지한 후 시스템이 오퍼레이터와의 최소 상호작용으로 동작하도록 하는 입력 수단,
(b) 복수의 소정의 조건들과 관련한 시스템의 상태에 대하여 오퍼레이터에 경고하기 위한 출력 수단, 및
(c) 마스터 제어 유닛의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마스터 프로세싱 수단을 포함하며;
각각의 슬레이브 유닛은,
(i) 래칭 메커니즘이 래치 상태(latched state)에 있는지 또는 언래치 상태(unlatched state)에 있는지의 여부를 검출하기 위한 감지 수단, 및
(ii) 슬레이브 유닛의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슬레이브 프로세싱 수단을 포함하며;
마스터 프로세싱 수단 및 슬레이브 프로세싱 수단은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한 오퍼레이터와의 상호작용을 수반하여, 실행 단계와 마스터 제어 유닛에 대한 다양한 초기화 프로세스들 및 실행 프로세스들을 각각 인보크(invoke)하도록 설계되며, 초기화 프로세스들은 슬레이브 유닛들 각각의 래칭 상태를 식별하기 위하여 슬레이브 검출 프로세스 및 슬레이브 업데이트 프로세스를 포함한다.
[017] 바람직하게, 슬레이브 유닛은 또한 슬레이브 유닛에 로컬 전력을 제공하기 위한 슬레이브 전력 공급 수단; 및 슬레이브 유닛에 공급되는 로컬 전력의 레벨을 모니터링하고 레벨이 슬레이브 유닛의 신뢰성 있는 동작을 위한 소정의 임계치 미만일 때를 표시하기 위한 슬레이브 전력 공급 모니터링 수단을 포함하며;
실행 단계 동안, 마스터 프로세싱 수단은,
(A) 마스터 제어 유닛에 의한 최소 전력 소비를 보장하면서 슬레이브 유닛 각각의 가장 최근의 래칭 상태를 확인하기 위한 시스템 상태 프로세스,
(B) 로컬 전력 레벨이 소정의 임계치 미만이 아님을 슬레이브 전력 공급 모니터링 수단으로 체크(check)하기 위한 전력 상태 프로세스,
(C) 입력 수단으로부터의 입력 신호들을 프로세싱하고 가장 최근의 래칭 및 전력 상태를 오퍼레이터에 전달하기 위하여 출력 수단을 업데이트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프로세스를 인보크하도록 설계된다.
[018] 바람직하게, 슬레이브 프로세싱 수단은 로컬 전력이 소정의 임계치 미만임을 슬레이브 전력 공급 모니터링 수단이 표시하는 경우 전력 경고 신호를 송신하고 그리고 슬레이브 유닛에 의한 최소 전력 소비를 보장하면서 슬레이브 유닛의 래칭 상태를 송신하기 위하여 슬레이브 유닛 상태 루틴을 인보크하도록 설계된다.
[019] 바람직하게, 통신 수단은 마스터 제어 유닛과 슬레이브 유닛들 각각 사이에서 상태 및 경고 신호들을 무선으로 통신하기 위하여, 마스터 제어 유닛의 부분을 형성하는 마스터 트랜시버 및 각각의 슬레이브 유닛의 부분을 형성하는 슬레이브 트랜시버를 포함한다.
[020] 바람직하게, 마스터 제어 유닛은,
(a) 로컬 전력을 마스터 제어 유닛에 제공하기 위한 마스터 전력 공급 수단; 및
(b) 마스터 제어 유닛에 공급되는 로컬 전력의 레벨을 모니터링하고 레벨이 마스터 제어 유닛의 신뢰성 있는 동작을 위한 소정의 임계치 미만일 때를 표시하기 위한 마스터 전력 공급 모니터링 수단을 포함한다.
[021] 바람직하게, 슬레이브 프로세싱 수단은 래칭 상태의 업데이트를 마스터 제어 유닛에 통신하기 위하여, 슬립핑 단계(sleeping phase) 동안 최대 절전 저전력 상태와 고전력 송신 상태를 순환하는(cycle through), 슬레이브 유닛에 대한 슬립 프로세스(sleep process)들을 인보크한다.
[022] 본 발명의 다른 양상에 따르면, 개별 래칭 메커니즘의 래칭 상태를 검출하기 위하여 개별 래칭 메커니즘에 각각 고정 부착되어 있는 하나 이상의 슬레이브 유닛들을 포함하는, 래칭 메커니즘들을 위한 레트로-피트(retro-fitted) 모니터링 및 경고 시스템에 대한 마스터 제어 유닛이 제공되며,
각각의 슬레이브 유닛은,
(i) 래칭 메커니즘이 래치 상태에 있는지 또는 언래치 상태에 있는지의 여부를 검출하기 위한 감지 수단, 및
(ii) 마스터 제어 유닛에 상태 및 경고 신호들을 주기적으로 통신하기 위해 통신 수단의 부분을 형성하는 슬레이브 트랜시버를 포함하며;
마스터 제어 유닛은 시스템의 오퍼레이터에 근접하게 배치되며,
마스터 제어 유닛은,
(a) 오퍼레이터가 시스템을 소지한후 시스템이 오퍼레이터와의 최소 상호작용으로 동작하도록 하는 입력 수단, 및 복수의 소정의 조건들과 관련한 시스템의 상태에 대하여 오퍼레이터에 경고하기 위한 출력 수단을 가진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
(b) 마스터 제어 유닛의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마스터 프로세싱 수단, 및
(c) 마스터 제어 유닛과 슬레이브 유닛들 각각 사이에서 상태 및 경고 신호들을 무선으로 통신하기 위해 통신 수단의 부분을 형성하는 마스터 트랜시버를 포함하며;
마스터 프로세싱 수단 및 슬레이브 프로세싱 수단은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한 오퍼레이터와의 상호작용을 수반하여, 시동 모드 동안 마스터 제어 유닛 및 슬레이브 유닛들 각각에 대한 다양한 마스터 초기화 프로세스들을 인보크하도록 설계되며, 이들 초기화 프로세스들은 슬레이브 유닛들 각각의 래칭 상태를 식별하는 것을 포함한다.
[023] 바람직하게, 각각의 슬레이브 유닛은 슬레이브 유닛에 로컬 전력을 제공하기 위한 슬레이브 전력 공급 수단; 및 슬레이브 유닛에 공급되는 로컬 전력의 레벨을 모니터링하고 레벨이 슬레이브 유닛의 신뢰성 있는 동작을 위한 소정의 임계치 미만일 때를 표시하기 위한 슬레이브 전력 공급 모니터링 수단을 포함하며;
실행 단계 동안, 마스터 프로세싱 수단은,
(A) 마스터 제어 유닛에 의한 최소 전력 소비를 보장하면서 슬레이브 유닛들 각각의 가장 최근의 래칭 상태를 확인하기 위한 시스템 상태 프로세스,
(B) 로컬 전력 레벨이 소정의 임계치 미만이 아님을 슬레이브 전력 공급 모니터링 수단으로 체크(check)하기 위한 전력 상태 프로세스,
(C) 입력 수단으로부터의 입력 신호들을 프로세싱하고 가장 최근의 래칭 및 전력 상태를 오퍼레이터에 전달하기 위하여 출력 수단을 업데이트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프로세스를 인보크하도록 설계된다.
[024] 바람직하게, 슬레이브 프로세싱 수단은 로컬 전력이 소정의 임계치 미만임을 슬레이브 전력 공급 모니터링 수단이 표시하는 경우 전력 경고 신호를 송신하고 그리고 슬레이브 유닛에 의한 최소 전력 소비를 보장하면서 슬레이브 유닛의 래칭 상태를 송신하기 위하여 슬레이브 유닛 상태 루틴을 인보크하도록 설계된다.
[025] 바람직하게, 마스터 제어 유닛은 로컬 전력을 마스터 제어 유닛에 제공하기 위한 마스터 전력 공급 수단; 및 마스터 제어 유닛에 공급되는 로컬 전력의 레벨을 모니터링하고 레벨이 마스터 제어 유닛의 신뢰성 있는 동작을 위한 소정의 임계치 미만일 때를 표시하기 위한 마스터 전력 공급 모니터링 수단을 포함한다.
[026] 바람직하게, 마스터 트랜시버는 통신 수단을 통해 마스터 제어 유닛과 슬레이브 유닛들 각각 사이에서 상태 및 경고 신호들을 무선으로 통신한다.
[027] 본 발명의 추가 양상에 따르면, 래칭 메커니즘들에 대한 레트로-피트(retro-fitted) 모니터링 및 경고 시스템에 대한 슬레이브 유닛이 제공되며, 레트로-피트 모니터링 및 경고 시스템은 시스템의 오퍼레이터에 근접하게 배치될 마스터 제어 유닛을 포함하며;
마스터 제어 유닛은,
(a) 오퍼레이터가 시스템을 소지한후 시스템이 오퍼레이터와의 최소 상호작용으로 동작하도록 하는 입력 수단, 및 복수의 소정의 조건들과 관련한 시스템의 상태에 대하여 오퍼레이터에 경고하기 위한 출력 수단을 가진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
(b) 슬레이브 유닛으로부터 상태 및 경고 신호들을 무선으로 통신하기 위하여 통신 수단의 부분을 형성하는 마스터 트랜시버를 포함하며;
슬레이브 유닛은 개별 래칭 메커니즘의 래칭 상태를 검출하기 위하여 개별 래칭 메커니즘에 고정 부착되어 있으며;
각각의 슬레이브 유닛은,
(i) 래칭 메커니즘이 래치 상태에 있는지 또는 언래치 상태에 있는지의 여부를 검출하기 위한 감지 수단,
(ii) 슬레이브 유닛의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슬레이브 프로세싱 수단, 및
(iii) 슬레이브 유닛과 마스터 제어 유닛 사이에서 상태 및 경고 신호들을 주기적으로 무선으로 통신하기 위하여 통신 수단의 부분을 형성하는 슬레이브 트랜시버를 포함하며;
슬레이브 프로세싱 수단은 슬레이브 유닛의 래칭 상태를 통신하기 위하여 마스터 제어 유닛과의 상호작용을 수반하여, 초기화 단계 동안 슬레이브 유닛에 대한 다양한 초기화 프로세스들을 인보크하도록 설계된다.
[028] 바람직하게, 슬레이브 유닛은 슬레이브 유닛에 로컬 전력을 제공하기 위한 슬레이브 전력 공급 수단; 및 슬레이브 유닛에 공급되는 로컬 전력의 레벨을 모니터링하고 레벨이 슬레이브 유닛의 신뢰성 있는 동작을 위한 소정의 임계치 미만일 때를 표시하기 위한 슬레이브 전력 공급 모니터링 수단을 포함하며;
실행 단계 동안, 슬레이브 프로세싱 수단은, 마스터 프로세싱 수단에 대한 응답으로,
(A) 최소 전력 소비를 보장하면서 슬레이브 유닛의 가장 최근의 래칭 상태를 제공하기 위한 상태 업데이트 프로세스,
(B) 로컬 전력 레벨이 소정의 임계치 미만이 아님을 표시하기 위한 전력 상태 업데이트 프로세스를 인보크하도록 설계된다.
[029] 바람직하게, 슬레이브 프로세싱 수단은 로컬 전력이 소정의 임계치 미만임을 슬레이브 전력 공급 모니터링 수단이 표시하는 경우 전력 경고 신호를 송신하고 그리고 슬레이브 유닛에 의한 최소 전력 소비를 보장하면서 슬레이브 유닛의 래칭 상태를 송신하기 위하여 슬레이브 유닛 상태 루틴을 인보크하도록 설계된다.
[030] 바람직하게, 슬레이브 트랜시버는 통신 수단을 통해 마스터 제어 유닛에 상태 및 경고 신호들을 무선으로 통신한다.
[031] 바람직하게, 슬레이브 프로세싱 수단은 래칭 상태의 업데이트를 마스터 제어 유닛에 통신하기 위하여, 슬립핑 단계 동안 최대 절전 저전력 상태와 고전력 송신 상태를 순환하는, 슬레이브 유닛에 대한 슬립 프로세스들을 인보크한다.
[032]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양상에 따르면, 래칭 메커니즘의 래칭 상태를 모니터링하고 경고하기 위한 방법이 제공되며, 본 방법은,
초기화 단계 동안, 래칭 메커니즘의 래칭 상태를 식별하기 위하여 오퍼레이터와의 상호작용을 수반하여, 래칭 메커니즘의 래칭 상태를 결정하기 위하여 오퍼레이터에 근접하게 위치한 로컬 전력구동 마스터 제어 유닛 및 래칭 메커니즘에 부착될 로컬 전력구동 슬레이브 유닛을 초기화하는 단계;
실행 단계 동안:
(a) 마스터 제어 유닛 및 슬레이브 유닛에 의한 최소 전력 소비를 보장하면서 래칭 메커니즘의 가장 최근의 래칭 상태를 확인하는 단계,
(b) 마스터 제어 유닛 및 슬레이브 유닛에 대한 로컬 전력 공급 레벨이 소정의 임계치 미만이 아님을 체크하는 단계;
(c) 슬레이브 유닛과 마스터 제어 유닛 사이에서 상태 및 경고 신호들을 주기적으로 무선으로 통신하는 단계; 및
(d) 가장 최근의 래칭 및 전력 상태를 오퍼레이터에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033] 본 발명은 본 발명을 수행하기 위한 최선의 모드에 대한 상세한 설명을 고려할 때 용이하게 이해될 것이다. 본 설명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들에 따른 시스템의 다양한 양상들과 시스템의 동작 및 사용의 개략도들로 구성된 이하의 도면들을 참조하여 이루어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특정 실시예에 따른 모니터링 및 경고 시스템을 구성하는 대시 장착 유닛(DMU: dash mounted unit) 및 카트리지 유닛(CMU: cartridge unit)들의 일반적인 공간 위치를 도시하는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자동차의 대시보드상의 DMU의 위치를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3은 도 1의 DMU를 도시하는 정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DMU의 케이싱 내에 캡슐화된 DMU 인쇄 회로 기판(PCB: printed circuit board)을 도시하는 정면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3의 DMU의 정면 케이싱내로의 DMU PCB의 조립을 도시하는 분해도이다.
도 6a는 도 3의 DMU의 후방 케이싱의 내부 사시도로서, 케이싱의 자석 리세스들 내로의 자석 유닛들의 조립을 도시한다.
도 6b는 도 6a의 후방 케이싱의 외부 사시도이다.
도 7은 내부에 DMU PCB를 캡슐화한, 도 3의 DMU의 전방 케이싱과 후방 케이싱의 조립체를 도시하는 정면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3의 DMU용 DMU 장착 플레이트 및 DMU 장착 플레이트를 대시보드에 장착하기 위한 접착제를 도시하는 정면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1의 CMU의 정면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9의 CMU의 케이싱 내에 캡슐화된 CMU PCB의 후방 사시도로서, 리드 스위치 및 자석의 구성을 도시한다.
도 11은 도 9의 CMU의 후방 케이싱 내로의 CMU PCB의 조립을 도시하는 분해도이다.
도 12는 CMU PCB를 내부에 캡슐화한, 도 9의 CMU의 전방 케이싱과 후방 케이싱의 조립체를 도시한 분해도이다.
도 13은 안전벨트 래치에 CMU를 장착하기 위한 위치에 있는 접착 테이프를 도시하는 도 9의 CMU의 후방 사시도이다.
도 13a는 안전벨트 래치의 바닥부에의 도 13에 도시된 CMU의 조립체를 도시하는, 안전벨트 래치의 후방 상부의 분해도이다.
도 13b는 도 13b와 유사한 도면이지만, 안전벨트 래치의 전방 상부로부터의 조립을 도시한다.
도 14는 도 13a 및 도 13b에 도시된 안전벨트 래치의 전방 상부 사시도이며, CMU가 작동 준비 상태로 완전히 끼워져있다.
도 15는 도 14의 일련의 직교도들이며,
Figure pct00001
A는 평면도이며;
Figure pct00002
B는 측면도이며;
Figure pct00003
C는 단부도이며; 그리고
Figure pct00004
D는 저면도이며;
도 16a는 도 14와 유사하며, 미착용 위치의 안전벨트의 래칭 플레이트를 도시한다.
도 16b는 도 16b와 유사한 도면이며, 착용 위치의 래칭 플레이트를 도시한다.
도 17은 도 4의 DMU PCB의 회로도이다.
도 18은 도 10의 CMU PCB의 회로도이다.
도 19는 모니터링 및 경고 시스템의 일반적인 하드웨어 구조를 도시하는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20은 마스터 제어 유닛 및 슬레이브 유닛들에 의해 수행되는 주요 프로세스들을 도시하는 고레벨 흐름도이다.
도 21은 초기화 단계 동안 수행되는 주요 프로세스들을 도시하는 고레벨 흐름도이다.
도 22은 실행 단계 동안 수행되는 주요 프로세스들을 도시하는 고레벨 흐름도이다.
도 23은 슬립핑 단계(sleeping phase) 동안 수행되는 주요 프로세스들을 도시하는 고레벨 흐름도이다.
도 24는 초기화 단계의 송신 카트리지 검출 프로세스를 도시하는 저레벨 흐름도이다.
도 25는 초기화 단계 및 실행 단계의 카트리지 상태 업데이트 프로세스를 도시하는 저레벨 흐름도이다.
도 26은 실행 단계의 카트리지 전력 상태 업데이트 프로세스를 도시하는 저레벨 흐름도이다.
도 27은 실행 단계의 DMU 전력 상태 업데이트를 도시하는 저레벨 흐름도이다.
도 28은 초기화 단계 및 실행 단계의 DMU 시스템 상태 업데이트를 도시하는 저레벨 흐름도이다.
도 29a,도 29b 및 도 29c는 도 4에 도시된 마스터 제어 유닛 및 슬레이브 유닛들의 업데이트 상태 LED들 및 스피커 상태 프로세스를 도시하는 저레벨 흐름도들이며:
Figure pct00005
도 29a는 황색 LED에 대한 업데이트 상태 LED들 및 스피커 상태 프로세스에 대한 프로세스 흐름을 도시한다.
Figure pct00006
도 29b는 바이-컬러 LED들에 대한 업데이트 상태 LED들 및 스피커 상태 프로세스에 대한 프로세스 흐름을 도시한다.
Figure pct00007
도 29c는 청색 LED에 대한 업데이트 상태 LED들 및 스피커 상태 프로세스에 대한 프로세스 흐름을 도시한다.
도 30은 슬레이브 유닛들에 의해 수행되는 주요 프로세스들을 도시하는 고레벨 흐름도이다.
도 31은 도 14에 도시된 슬레이브 유닛들의 카트리지 Tx 루틴 실행 프로세스를 도시하는 저레벨 흐름도이다.
도 32는 제 1 특정 실시예에 대해 시동 모드 및 실행 모드 동안 경고 LED 동작을 도시하는 상대적으로 고레벨의 흐름도이다.
도 33은 제 1 특정 실시예에 대해 카트리지 배터리 LED 프로세스를 도시하는 저레벨 흐름도이다.
도 34는 제 1 특정 실시예에 대해 DMU 전력 LED 프로세스를 도시한 저레벨 흐름도이다.
도 35a는 제 2 특정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는 모니터링 및 경고 시스템의 개념적 어레인지먼트(arrangement)를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35b는 제 2 특정 실시예의 변형예를 도시한다.
도 36a는 제 3 특정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된 모니터링 및 경고 시스템의 개념적 어레인지먼트를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36b는 제 3 특정 실시예의 변형예를 도시한다.
[034] 본 발명을 수행하기 위한 최선의 모드는 래칭 메커니즘들에 대한 레트로-피트 모니터링 및 경고 시스템, 및 이를 작동시키기 위한 방법과 모두 관련된 여러 특정 실시예들과 관련하여 설명되며, 이 방법은 사람이 시스템을 소지하여 래칭 메커니즘이 해제될 때 래칭 메커니즘 근처 또는 원격 위치에 있는 사람에게 경고하도록 한다.
[035] 제 1 특정 실시예는 모니터링 및 경고 시스템을 자동차(11) 내의 뒷좌석 안전벨트 조립체들의 형태인 래칭 메커니즘들의 세트에 레트로-피팅하는데 적합하다. 이 실시예에서, 차량의 운전자는 뒷좌석 시트들의 탑승자들에 안전벨트를 맨 후에 시스템을 소지하고, 이후 시스템이 뒷좌석 안전벨트들을 모니터링하고 안전벨트가 풀릴 때, 즉 래칭 메커니즘이 해제될 때 운전자에게 경고하게 할 수 있다.
[036] 모니터링 및 경고 시스템은 일반적으로 마스터 제어 유닛 및 복수의 슬레이브 유닛들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마스터 제어 유닛은 도면들 중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동차(11)의 대시보드(14)에 레트로-피트 장착하기 위한 대시보드 장착 유닛(DMU)(13) 내에 장착된다. 본 실시예에서, 슬레이브 유닛들은 도면들 중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뒷좌석 안전벨트 래치들 각각에 고정된 장착 어레인지먼트(arrangement)에 레트로-피팅되는 카트리지 장착 유닛(CMU: Cartridge Mounted Unit)들(15)이다.
[037] 도 3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DMU(13)는 DMU 인쇄 회로 기판(PCB)(17)을 캡슐화하는 전방 케이싱(13a) 및 후방 케이싱(13b)을 포함한다.
[038] 전방 케이싱(13a)은 다양한 표시로 양각되고, DMU PCB(17)상에 표면 장착되는 다양한 입력 수단, 출력 수단 및 입/출력 수단을 수용하고 이들에 대한 접근을 제공하기 위한 다양한 어퍼처(aperture)들이 제공된다.
[039] 입력 수단은 전원 푸시-버튼(19), 확인 버튼(21) 및 DMU 배터리(22)를 포함한다. 출력 수단은 노란색(황색) 카트리지 배터리 표시기 발광 다이오드(LED)(23), 청색 전력 LED(25), 뒷좌석 안전벨트들이 풀린 상태(unbuckled condition)(적색)에 있는지 또는 매어져 있는 상태(녹색)에 있는지의 여부를 표시하는 바이-컬러(bi-coloured) LED(즉, 적색 및 녹색)(27), 및 스피커(28)를 포함한다. 입/출력 수단은 DMU 트랜시버 및 DMU 배터리(22)를 충전하기 위한 원격 전원을 제공하기 위한 수(male) USB 커넥터(29)를 포함한다.
[040] 후방 DMU 케이싱(13b)은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착 자석들(33)을 수용하는 리세스들(31), 스피커(28)로부터의 음파들의 전파를 가능하게 하는 어퍼처들(35) 및 USB 커넥터(29)를 수용하기 위한 어퍼처(36)를 포함한다. 도면들 중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 케이싱(13b)은 대시보드(14)상의 편리한 위치에 DMU(13)의 레트로-피팅 위치선정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장착 자석들(33)을 수용하기 위한 배킹 플레이트를 형성하는 볼록-형상 돌출부(37)를 포함한다. 이는 도면들 중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착 플레이트(39)와 함께 달성된다. DMU(13)는 도면들 중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DMU PCB(17)를 전방 케이싱(13a)내에 포지셔닝하고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방 케이싱(13b)을 조립체의 나머지와 찰칵하고 고정하여 맞물리게 함으로써 조립된다.
[041] 장착 플레이트(39)는 적당한 강자성체로 만들어지고, 한측이 대시보드에 접착되고 다른 측이 장착 플레이트의 후방에 접착되는 양면 접착 스트립(41)에 의해 대시보드(20)상의 편리한 위치에 포지셔닝된다.
[042] 장착 플레이트는 돌출부(37)의 형상 및 구성과 상호보완적인 대응 오목형상 리세스(43)를 포함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DMU(13)는 돌출부(37)가 장착 플레이트(39)와 자기적으로 찰칵하고 고정 맞물림되어 대시보드(14)상에 탈착가능하게 포지셔닝하도록 포지셔닝될 수 있다.
[043] CMU(15)는 도 9 내지 도 13에 도시되고, 상부 케이싱(15a), 후방 케이싱(15b) 및 캡슐화된 CMU PCB(45)를 포함한다. CMU 케이싱은 도 13 내지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전벨트 래치(47)에 레트로-피팅되도록 특별히 설계된다. 게다가, 후방 케이스(15b)는 측면도가 L자 형상이며, 리세스 부(recessed portion)(49a)와 캔틸레버 부(cantilevered portion)(49b)를 갖는다 . 이러한 어레인지먼트는 후방 케이싱의 내측상에서 내부 계단형 구성을 제시하며, 이에 따라 CMU PCB(45)는 계단형 구성의 내부 랜딩 표면(51a)상에 장착될 수 있고, 리세스 부(51b)는 CMU PCB(45)의 마주보는 면(45a)상에 놓인 감지 수단의 부분을 형성하는 감지 컴포넌트들(53)을 수용할 수 있다.
[044] CMU PCB(45)의 감지 수단은 리드 스위치(53a) 및 인-라인 자석(53b)을 포함하며, 이들은 감지 컴포넌트들(53)을 구성하고 마주보는 면(45a)의 최상부를 향해 장착된다. CMU 배터리(54)는 정면 CMU 케이싱(15a)의 내측과 마주보는 CMU PCB(45)의 대향면(45b)상에 장착된다. 감지 컴포넌트들(53)은 CMU PCB(45)의 최상부 단부를 향해 배치되며, 특히 그들이 후방 케이싱(15b)의 리세스 부(51b) 내에 완전히 수용되도록 구성된다.
[045]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CMU(15)는 CMU PCB(45)를 후방 케이싱(15b)내에 표시된 방식으로 포지셔닝하고, 내부에 CMU PCB(45)를 캡슐화할 위치에 전방 케이싱(15a)을 찰칵하고 고정함으로써 조립된다.
[046] 리세스 부(49a)는 CMU(15)를 뒷좌석 안전벨트 래치(47)의 아래쪽에 고정 접착시키기 위하여 접착 테이프(55)의 양면 층을 수용하는 형상을 가지며, 따라서 캔틸레버 부(49b)는 안전벨트의 플레이트(57)를 수용하기 위한 슬롯에 인접하게 래치(47)의 정면 단부(47a) 위로 약간 돌출하며, 리세스 부(49a)는 래치의 후방 단부(47b)를 향해 연장되는 안전벨트 래치(47)의 바닥부에 견고하게 접착된다. 특정 장착 어레인지먼트는 도 13 내지 도 15에 잘 도시되어 있다.
[047] 장착 어레인지먼트는 감지 컴포넌트(53)가 안전벨트 래치의 전방 단부(47a)에서 소켓 바로 아래에 배치되는 것을 가능하게 하며, 따라서 안전벨트 플레이트(57)가 안전벨트 래치(47)와 착용 맞물림되게 될 때 리드 스위치(53a)가 작동하여, 도면들 중 도 1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전벨트가 착용 상태에 있음을 감지 수단이 CMU 회로에 알리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도면들 중 도 1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전벨트 플레이트(57)가 안전벨트 래치(47)로부터 원격에 배치될 때, 리드 스위치(53a)는 도 1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전벨트가 미착용 상태에 있다는 것을 의미하는 반대 상태로 스위칭된다.
[048] DMU PCB(17)는 도면들 중 도 17에 도시된 DMU 회로(59)를 통합한다. DMU 회로(59)는 USB에 연결된 배터리 모니터링 회로(61); 마이크로제어기 회로(63); 배터리-구동 회로(65)를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64); 전원 버튼(19)용 푸시 버튼 회로들(67a) 및 확인 버튼(21)용 푸시 버튼 회로(67b); 스피커(28)를 위한 스피커 회로(69); 노란색(황색) LED(23) 및 청색 LED(25)를 위한 조명 회로(71a) 및 바이-컬러 LED(27)를 위한 조명 회로들(71b); 및 CMU(15)와 통신하기 위한 DMU 송수신기(73)를 포함한다.
[049] CMU 회로(75)는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CMU PCB(45)에 통합된다. CMU 회로는 감지 컴포넌트들(53)을 통합한 인에이블 회로(77); CMU 마이크로제어기 회로(79); 배터리 모니터링 회로(81); 및 DMU 트랜시버(73)와 통신하는 CMU 트랜시버(83)를 포함한다.
[050] DMU(13) 및 CMU(15) 둘다에서 모니터링 및 경고 시스템을 동작시키는 소프트웨어 프로세서들은 도 19 내지 도 31에서 설명된다.
[051] 도 19에서 도시되고 도 17과 관련하여 설명된 바와같이, 모니터링 및 알람 시스템의 마스터 제어 유닛(85)으로서 기능하는 DMU(13)는 배터리 모니터링 회로(61); DMU 마이크로제어기 회로(63); DMU 트랜시버(73);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64)를 포함하며, 사용자 인터페이스(64)는 푸시버튼들(19 및 21), 스피커(28) 및 LED(23, 25 및 27)과 연결된다.
[052] 각각이 CMU(15) 형태를 가지고 도 18를 참조로 하여 설명된 슬레이브 유닛들(87)은 리드 스위치(53a)에 의해 작동될 인에이블 회로(77), CMU 마이크로제어기 회로(79), 배터리 모니터링 회로(81) 및 CMU 트랜시버(83)를 포함한다. 중요하게, 마스터 제어 유닛(85) 및 슬레이브 유닛들(87)은 DMU 트랜시버(73)와 CMU 트랜시버(83) 사이에서 전송되는 '송신' 및 '수신' 신호로부터 발생하는 RF 송신 링크(89)를 통해 지속적으로 통신한다.
[053] 모니터링 및 제어 시스템에 의해 수행되는 주요 프로세스들은 도 20에서 도시되며, 91에서의 시작 이후에, CMU 초기화 프로세스(93), 이 다음에 트랜시버 초기화 프로세스(95) 및 이 다음에 실행 시스템 상태 루틴(97)을 포함하는 다양한 슬레이브 초기화 프로세스들이 인보크(invoke)된다. 실행 시스템 상태 루틴은 도 27에서 더 상세히 도시되는 DMU 전력 상태 업데이트 프로세스(99), 및 이 다음에 도 29a, 도 29b 및 도 29c에서 각각의 타입의 LED에 대하여 더 상세히 도시되는 상태 LED들 & 스피커 상태 업데이트 프로세스(101)를 인보크한다. 시스템은 실행 시스템 상태 루틴(97)으로 복귀한후, 도면에 도시된 뒤쪽 프로세스들을 순환한다.
[054] DMU(13)에 의해 수행되는 주요 프로세스들은 본질적으로 일련의 마스터 초기화 프로세스들을 포함하는, 도 21에 도시된 초기화 단계(103); 도 22에 도시된 실행 단계(105); 및 도 23에 도시된 슬립핑 단계(sleeping phase)(107)로 나누어진다.
[055] 초기화 단계(103) 동안 실행되는 일련의 마스터 초기화 프로세스들은 트랜시버 웨이크 업 프로세스(135), 송신 카트리지 검출 프로세스(173), 카트리지 상태 업데이트 프로세스(175) 및 DMU 시스템 상태 업데이트 프로세스(117)를 포함한다.
[056] 실행 단계(105)는 도 24 내지 도 29에 의해 표시되고 도 24 내지 도 29에서 상세히 도시된 프로그램 흐름에 따라 시스템에 의해 실행되는 일련의 실행 프로세스들을 포함한다. 이들은 실행 단계를 완료하기 위하여 송신 카트리지 검출 프로세스(109), 카트리지 상태 업데이트 프로세스(111), 카트리지 전력 상태 업데이트 프로세스(113) 및 DMU 시스템 상태 업데이트 프로세스(117)를 포함한다.
[057] 슬립핑 단계(107)는 인포크시 시스템에 의해 실행되며, 슬립핑 단계를 완료하기 위하여 시스템 변수 리셋 프로세스(177), 트랜시버 슬립 프로세스(179) 및 DMU 시스템 상태 업데이트 프로세스(117)를 포함하는 일련의 슬립 프로세스들을 포함한다.
[058] 송신 카트리지 검출 프로세스(109)는 도 24에서 더 상세히 도시되며; 카트리지 상태 업데이트 프로세스(111)는 도 25에서 더 상세히 도시되며; 카트리지 전력 상태 업데이트 프로세스(113)는 도 26에서 더 상세히 도시되며; 그리고 DMU 시스템 상태 업데이트 프로세스(117)는 도 28에서 더 상세히 도시된다.
[059] 상태 LED들 & 스피커 상태 업데이트 프로세스는 특히,
― 상태 LED들 & 스피커 상태 업데이트 - 도 29a에 도시된 황색 LED에 대한 황색 프로세스(119);
― 상태 LED들 & 스피커 상태 업데이트 - 도 29b에 도시된 바이-컬러 LED에 대한 바이-컬러 프로세스(121); 및
― 상태 LED들 & 스피커 상태 업데이트 - 도 29c에 도시된 청색 LED에 대한 청색 프로세스(123)를 포함한다.
[060] 이들 흐름도들은 도면들에서 낮은 수준의 세부사항이 도시되며 더 이상 설명되지 않을 것이다.
[061] 슬레이브 유닛들(87)은 일반적으로 초기화 이후에 도 30에 도시된 동작 프로세스를 따른다. 게다가, 마스터 제어 유닛(85)이 초기화된 이후에, 마스터 제어 유닛(85)은 DMU(13)가 단계(125)에서 CMU(15)와 상호작용하게 하며, 도 20과 관련하여 이전에 설명된 CMU 초기화 프로세스(93)를 인보크한다. 이후, CMU 초기화 프로세스(93)는 127에서 CMU 트랜시버를 초기화하며, 단계 129에서 카트리지 전송 루틴을 실행한다. 카트리지 송신 실행 루틴(129)은 자신이 동작하고 있는 시간 동안 표시된 바와같이 반복한다.
[062] 카트리지 송신 실행 루틴(129)은 도 31에서 더 상세히 도시되며, 131에서, 카트리지 전력상태 업데이트 프로세스(113), 트랜시버 웨이크 업 프로세스(135) 및 버퍼로의 송신 데이터 기록 프로세스(137)를 인보크하는 것을 시작한다. 이후 단계 139에서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하여 브로드캐스트 채널이 클리어(clear)한지의 여부를 확인하며, 만일 브로드캐스트 채널이 클리어하면, 141에서 데이터 송신 프로세스를 인보크하는 것을 계속한다. 루틴은 슬립으로의 트랜시버 전환 프로세스(143)를 인보크하는 것을 계속하며 단계(145)에서 종료한다.
[063] 중요하게는, 카트리지 송신 실행 루틴(129)은, 루틴의 지속기간이 반복하는데 전형적으로 675ms 소요되며 고전력으로 DMU(13)에 송신하기 위하여 인보크될 때 데이터 송신 프로세스(141)가 고전력으로 DMU(13)에 송신하는데 있어서 1-2ms 소요되는 것을 고려하면, 주로 최대 절전 저전력 상태로 동작함으로써 전력을 보존하도록 설계된다.
[064] 유사하게, DMU는 보통 최대 절전 저전력 상태에 있으며, CMU(15)에 데이터를 송신할 때만 고전력으로 스위칭된다.
[065] 도면들 중 도 32는 경고 및 모니터링 시스템에 의해 수행되는 상이한 기능들과 뒷좌석 안전벨트들이 착용되는지(매어져 있는지)의 여부와 관련된 뒷좌석 안전벨트들의 상태를 알리기 위하여 DMU(13)상의 바이-컬러 LED(27)가 어떻게 동작하는지를 도시한다. 표시된 바와같이, 2개의 LED 섬광 및 스피커 신호음 기능들은 안전벨트들이 매어져 있지 않은지(적색 섬광)의 여부 또는 일부 안전벨트들이 매어져 있는지(녹색 섬광)의 여부에 따라 시동 모드동안 수행된다. DMU(13)는 이 수단에 의해 시스템을 소지한 운전자 또는 사람과 상호작용하고, 확인 버튼(21)을 통해 입력 신호를 수신한 후에, DMU는 실행 모드 동안 순환되는 3개의 상이한 모드들, 즉 녹색 LED 온(on)(명멸) & 비 음성 경고 모드, 적색 LED 온(on)(섬광) & 시끄러운 음성 경고 모드 및 적색 LED 온(on)(섬광) 모드를 인보크하며, 이들 모드는 표시된 대로 동작한다.
상태 시각 정보 음성 코멘트들
파워 온(배터리 >10%) 청색 LED 명멸
듀티 사이클:
Figure pct00008
ON 0.2초
Figure pct00009
OFF 2초
초기 경고: 스피커는 유닛이 파워 온되는 것을 운전자에게 알리기 위하여 1초동안 2개의 짧은 신호음을 낸다. 운전자는 음성 경고를 확인하기 위한 옵션을 갖지 않는다.
파워 오프 청색 LED OFF 스피커는 유닛이 파워 다운되기 전에 1초동안 2개의 짧은 신호음을 낸다 운전자는 음성 경고를 확인하기 위한 옵션을 갖지 않는다
전력 낮음(2%<배터리≤10%) 15초 동안 청색 LED 섬광
Figure pct00010
ON 1초
Figure pct00011
OFF 1초
스피커는 15초동안 1초마다 1개의 짧은 신호음을 낸다 운전자는 음성 경고들을 확인하기 위한 옵션을 갖는다. 시각적 경고들은 유닛이 충전될 때까지 계속될 것이다.
임계 전력 레벨(배터리≤2%) 15초 동안 청색 LED 섬광
Figure pct00012
ON 0.5초
Figure pct00013
OFF 0.5초
스피커는 15초동안 1초마다 2개의 짧은 신호음을 낸다 운전자는 음성 경고들을 확인하기 위한 옵션을 갖는다. 시각적 경고들은 유닛이 충전될 때까지 계속될 것이다.
유닛 충전(유닛 ON) 청색 LED ON(솔리드) 스피커는 충전을 위해 처음 연결될 때 1초동안 3개의 짧은 신호음을 낸다 운전자는 음성 경고를 확인하기 위한 옵션을 갖지 않는다.
유닛 충전(유닛 OFF) 청색 LED ON(솔리드) - -
유닛 최대 충전 도달(유닛 ON) 청색 LED 섬광
Figure pct00014
ON 2초
Figure pct00015
OFF 2초
스피커는 유닛이 완전히 충전될 때 1초동안 1개의 긴 신호음을 낸다 운전자는 음성 경고를 확인하기 위한 옵션을 갖지 않는다.
유닛 최대 충전 도달(유닛 OFF) 청색 LED 섬광
Figure pct00016
ON 2초
Figure pct00017
OFF 2초
- -
[066] 도 33은 CMU(15)의 배터리 상태에 관해 황색 LED(27)의 동작을 흐름도에 표시된 방식으로 나타낸다.
[067] 도 34는 DMU에 대한 배터리 충전 및 전원의 상이한 상태들에 대한 응답으로 청색 LED의 동작을 흐름도에 표시된 방식으로 나타낸다.
[068] 전력 표시자 LED(25)의 동작은 표 1에 더 상세히 기술되며, 카트리지 배터리 표시자 LED(27)는 표 2에 더 상세히 기술되며, 초기화 단계의 바이-컬러 LED들은 표 3에 더 상세히 기술되며, 안전벨트가 풀린 경우 실행 단계의 바이-컬러 LED들은 표 4에 더 상세히 설명되며, 안전벨트가 매어진 경우 실행 단계의 바이-컬러 LED들은 표 5에 더 상세히 기술된다.
[069] 상이한 수의 뒷좌석 탑승자들과 관련된 상이한 뜻밖의 사고들로부터 발생하는 바이-컬러 LED(27)의 동작의 다양한 예들이 표 6, 표 7 및 표 8에 도시된다. 표 6는 차량의 뒷좌석에 탑승자들이 없고 운전자가 DMU를 켜는 경우 동작의 방식을 도시한다.
상태 시각 정보 음성 코멘트들
충분한 전력(>10%) 황색 LED OFF 없음
전력 낮음(2%<전력≤10%) 15초 동안 황색 LED 섬광
Figure pct00018
ON 1초
Figure pct00019
OFF 1초
스피커는 15초동안 2초마다 1개의 짧은 신호음과 이 이후 1개의 긴 신호음을 낸다. 운전자는 음성 경고들을 확인하기 위한 옵션을 가진다. 시각적 경고들은 카트리지가 배터리를 완전히 다 써버리거나 또는 폐기되거나 또는 교체될 때까지 계속될 것이다.
임계 전력 레벨(≤2%) 15초 동안 황색 LED 섬광
Figure pct00020
ON 0.5초
Figure pct00021
OFF 0.5초
스피커는 15초동안 1초마다 1개의 짧은 신호음과 이 이후 1개의 긴 신호음을 낸다. 운전자는 음성 경고들을 확인하기 위한 옵션을 가진다. 시각적 경고들은 카트리지가 배터리를 완전히 다 써버리거나 또는 폐기되거나 또는 교체될 때까지 계속될 것이다.
[070] 차량이 뒷좌석에서 1명의 탑승자와 2개의 뒷좌석 센서들을 갖고 DMU가 켜지기 전에 1명의 뒷좌석 탑승자가 안전벨트를 맨 경우; 또는 모든 센서들이 설치된 채 차량이 2/3/4/5 명의 뒷좌석 탑승자들을 태우고 엔진이 시동되기 전에 탑승자들이 안전벨트를 맨 경우에, 표 7는 LED(27)의 동작 방식을 도시한다.
상태 시각정보 음성 코멘트들
안전벨트들이 매어지지 않음 적색 LED 섬광(초당 3번)
Figure pct00022
ON 0.16초
Figure pct00023
OFF 0.16초
스피커는 60초 음성 경고를 낸다. 섬광들과 신호들이 동시에 발생한다.
"n"개의 안전벨트들이 매어짐 녹색 LED 섬광(2초당 "n"번) 스피커는 60초동안 2초단위로 연속으로 경고를 낸다 섬광들과 신호음들이 동시에 발생한다. 2초당 섬광들/신호음들의 수 = 매어진 안전벨트들의 수
상태 시각 정보 음성 코멘트들
"m"개의 안전벨트가 풀림 적색 LED 섬광(2초당 "m"번) 스피커는 경고 타임아웃이 없이 2초단위로 연속으로 경고를 낸다. 섬광들과 신호음들이 동시에 발생한다. 2초당 섬광들/신호음들의 수 = 풀린 안전벨트들의 수
모든 안전벨트들이 매어짐 적색 LED OFF 없음
상태 시각 정보 음성 코멘트들
안전벨트가 매어짐 녹색 LED 명멸
듀티 사이클:
Figure pct00024
ON 0.2초
Figure pct00025
OFF 2초
없음 섬광은 안전벨트들이 풀릴때까지 계속될 것이다. 즉 안전벨트가 풀릴 때 경고들이 유발될 것이다.
안전벨트가 풀림 녹색 LED OFF (안전벨트가 풀린 경우의 단락 참조)
엔진 상태 DMU 상태 유닛들을 가진 벨트 버클들의 수 매어진 안전벨트들의 수 음성 경고 시각적 경고 운전자 옵션
ON ON n 0 섬광들 및 신호음들이 동시에 발생한다 적색 LED는 60초 동안 초당 3번 섬광을 일으킨다 알람이 멈출때까지 대기하라. DMU상의 확인 버튼을 눌러라
[071] 차량의 엔진이 작동중이고 DMU가 차량의 뒷좌석에서 매어져 있는 안전벨트(들)를 등록한 이후에 엔진이 작동중인 동안 안전벨트 또는 안전벨트(들)가 풀린 경우, LED(27)의 동작 방식이 표 8에 도시된다.
[072] 본 실시예의 중요한 양상은 슬레이브 유닛들(87) 각각이 CMU 트랜시버(83)로부터 DMU 트랜시버(73)로 전송되는 전송 패킷에 통합되는 고유 식별자를 갖는다는 것이다. 이는 모니터링되고 있는 특정 안전벨트 버클이 DMU에 의해 식별되고 다른 안전벨트 버클들과 구별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DMU는 시동 중에 시스템의 초기 소지와 관련한 안전벨트의 착용 상태와 미착용 상태 간을 구별하는데 충분한 지능을 가지며, 따라서 탑승자에 의해 사용되고 있는 안전벨트의 상태만이 모니터링된다 .
엔진 상태 DMU 상태 매어졌던 안전벨트들의 수 현재 매어진 안전벨트들의 수 음성 경고 시각적 경고 운전자 옵션
ON ON n n-m "m"개의 안전벨트들이 풀린것을 보여주기 위하여 60초 동안 2초단위로 연속으로 신호음을 낸다 적색 LED는 안전벨트들이 풀린것을 표시하기 위하여 음성 경고와 동시에 섬광을 일으킨다 알람이 멈출때까지 대기하라. DMU상의 확인 버튼을 눌러라
엔진상태 DMU 상태 유닛들을 가진 안전벨트 버클들의 수 매어진 안전벨트들의 수 음성 경고 시각적 경고 운전자 선택
OFF ON 2 1 하나의 안전벨트가 매어진 것을 보여주기 위하여 60초동안 2초단위의 연속적인 단일 음성 경고 녹색 LED가 ON이다(섬광) 알람이 멈출때까지 대기하라. DMU상의 확인 버튼을 눌러라
OFF ON 2/3/4/5 2/3/4/5 60초동안 2초단위의 연속적인 경고. 2초마다 신호음들의 수 = 매어진 안전벨트들의 수(안전벨트가 풀렸을때의 음과 다른 음) (매어진 안전벨트들의 수에 따른) 녹색 LED들이 ON이다(섬광) 알람이 멈출때까지 대기하라. DMU상의 확인 버튼을 눌러라
[073] 본 실시예의 다른 양상은 이전 타입들의 레트로-피팅 모니터링 및 경고 시스템들이 송신 시스템의 열악한 설계로 인해 신뢰성이 떨어지는 주지의 문제를 처리하는 것이다. 본 실시예의 특정 모니터링 및 알람 시스템은 DMU(13) 및 모든 CMU들(15) 둘다의 전력 상태의 연속적인 모니터링을 제공하여, DMU(13) 및 모든 CMU들(15) 중 어느 전력 상태가 관련 시간에 개별 트랜시버들에 의한 송신 신호 세기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소정의 임계치 아래로 떨어지면, DMU(13)에서 알람 상태가 트리거되어 문제를 알린다.
[074] 또한, 본 실시예에서 송신되는 특정 신호는 신호 송신을 열화시킬 수 있는 잡음 또는 다른 전기적 간섭에 대해 더 높은 허용오차를 제공하는 심장박동 펄스 타입이다.
[075] 더욱이, 설명된 바와같이, CMU(15)의 동작은 활성화될 때 신호 송신을 반복하는 루핑(looping)을 수반하는데, 이는 송신 간섭 문제들을 극복하는 또 다른 방법이다.
[076] 제 2 특정 실시예는 원격 모니터링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차량의 다양한 안전벨트들의 상태가 기지국에 송신되는 애플리케이션과 관련된다는 점을 제외하고 전술한 실시예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도 35a 및 도 3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탑승자들의 안전벨트 래칭의 상태에 대하여 운전자 및/또는 탑승자들의 모니터링을 필요로 하는 원동기 또는 버스를 포함할 수 있는 차량(151)은 차량의 각각의 안전벨트 래치에 부착된 송신기를 포함한다. 이 송신기는 차량의 사용중인 시트 각각의 안전벨트 래치 상태를 기지국(153)에 연속적으로 송신하는 트랜스폰더(도시안됨)와 통신한다. 기지국(153)은 소지 이후에 액티브 안전벨트가 풀려지게 될 때 경고를 디스플레이하는 수신기 및 모니터(155)를 포함한다.
[077] 셀룰라 전화 네트워크가 커버리지를 가지는 시가지내의 차량들을 모니터링하는 경우, WiFi 통신이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차량이 지방으로 그리고 셀룰라 전화 커버리지 외부로 이동할 수 있는 상황들에서는 위성 통신 시스템이 사용될 수 있다. 도 39b는 차량이 셀룰러 통신 시스템에 액세스할 수 없을 때 안전벨트 상태 정보를 기지국(153)으로 다시 중계하기 위한 차량(151)의 트랜스폰더로부터 메시지들을 수신하기 위해 위성(157)을 사용하는 것을 도시한다. 이는 장거리 및 관광 버스 애플리케이션들을 모니터링하기 위한 시스템의 특별한 유용성을 제공한다.
[078] 제 3 특정 실시예는 수영장 구내에의 모니터링 및 알람 시스템(11)의 상이한 적용을 수반한다.
[079] 도 36a 및 도 3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일한 개념이 일반적으로 적용되며, 이에 의해 슬레이브 유닛(161)은 수영장 출입구(163)의 래칭 메커니즘과 함께 작동하도록 적응되고 수영장 구내에서 원격 위치에 있는 주거지(167)내에 위치한 수신 유닛(165)과 통신한다.
[080] 결과적으로, 감지 컴포넌트들이 출입구(163)의 래치 메커니즘의 개방에 의해 작동될 때, 수영장 출입구(163)가 빗장이 풀려서 열려질 수 있다는 것을 나타내는 경고 신호가 수신 유닛(165)에 전송된다. 대안적으로, 래치 메커니즘이 닫혀질 때, 감지 컴포넌트(164)는 경고 신호의 생성을 디스에이블하고, 래치 메커니즘이 닫힌 상태에 있고 수영장 출입구가 잠겨진다는 것을 수신 유닛(165)에 알리는 송신 유닛을 최대 절전 모드로 복귀시킨다.
[081] 도 3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교적 아주 근접한 거주지로부터 수영장 출입구(163)를 모니터링하는 경우에, 로컬 WiFi 네트워크가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예컨대 모바일 폰 또는 해외로 여행하는 누군가에게 더 많은 원격 통신들이 바람직한 애플리케이션에서, 도 3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랜시버 어레인지먼트는 원격 사용자(169) 또는 수신기 유닛(165)으로 래칭 메커니즘 상태 정보를 중계하기 위해 수영장 출입구(163)의 송신기 유닛(161)으로부터의 메시지들을 수신하도록 위성(167)을 통해 또는 셀룰라 전화 네트워크와 통신하도록 설계된다.
[082] 명백하게, 송신기 유닛 및 수신 유닛의 설계 및 회로는 제 1 실시예의 설계 및 회로와 상이하지만, 도 19 내지 도 31에 기술된 프로세스 흐름의 양상들은 크게 변함이 없을 것이다.
[083] 앞의 설명 및 예시들에서, DMU(13)는 도 3에 예시된 수 USB 플러그(29)를 갖는다. 그러나, 암(female) USB 소켓 또는 유사한 소켓이 제공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며, 이 소켓은 암 소켓을 전원에 꽂아서 DMU(13)의 하나 이상의 배터리들을 재충전하기 위하여 수 USB 단부를 가진 패치 코드가 자신에 연결되는 것을 허용할 것이다.
[084] 본 발명의 범위는 본원에서 설명된 특정 실시예들로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이 인식되어야 한다. 따라서, 모니터링 및 경고 시스템은, 발명의 사상 또는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으면서, 단지 약간의 수정만을 필요로 하는 다른 애플리케이션들 또는 이러한 애플리케이션들에 사용하기에 적합하게 조정된 시스템의 구성에 대해서도 유용성을 얻을 수 있다.

Claims (17)

  1. 래칭 메커니즘들에 레트로-피팅(retro-fitting)하기 위한 모니터링 및 경고 시스템으로서,
    상기 시스템의 오퍼레이터에 근접하게 배치되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마스터 제어 유닛,
    개별 래칭 메커니즘의 래칭 상태를 검출하기 위하여 상기 개별 래칭 메커니즘에 각각 고정 부착되어 있는 하나 이상의 슬레이브 유닛들, 및
    상기 마스터 제어 유닛과 상기 슬레이브 유닛들 각각 사이에서 상태 및 경고 신호들을 주기적으로 통신하기 위한 통신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a) 오퍼레이터가 상기 시스템을 소지한 후 상기 시스템이 상기 오퍼레이터와의 최소 상호작용으로 동작하도록 하는 입력 수단,
    (b) 복수의 소정의 조건들과 관련한 상기 시스템의 상태에 대하여 상기 오퍼레이터에 경고하기 위한 출력 수단, 및
    (c) 상기 마스터 제어 유닛의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마스터 프로세싱 수단을 포함하며;
    각각의 슬레이브 유닛은,
    (i) 상기 래칭 메커니즘이 래치 상태(latched state)에 있는지 또는 언래치 상태(unlatched state)에 있는지의 여부를 검출하기 위한 감지 수단, 및
    (ii) 상기 슬레이브 유닛의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슬레이브 프로세싱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마스터 프로세싱 수단 및 상기 슬레이브 프로세싱 수단은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한 상기 오퍼레이터와의 상호작용을 수반하여, 초기화 단계 및 실행 단계 각각 동안 상기 마스터 제어 유닛 및 상기 슬레이브 유닛들 각각에 대한 다양한 초기화 프로세스들 및 실행 프로세스들을 인보크(invoke)하도록 설계되며, 상기 초기화 프로세스들 및 상기 실행 프로세스들은 상기 슬레이브 유닛들 각각의 래칭 상태를 식별하기 위하여 슬레이브 검출 프로세스 및 슬레이브 업데이트 프로세스를 포함하는, 래칭 메커니즘들에 레트로-피팅하기 위한 모니터링 및 경고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슬레이브 유닛은 또한 상기 슬레이브 유닛에 로컬 전력을 제공하기 위한 슬레이브 전력 공급 수단; 및 상기 슬레이브 유닛에 공급되는 로컬 전력의 레벨을 모니터링하고 상기 레벨이 상기 슬레이브 유닛의 신뢰성 있는 동작을 위한 소정의 임계치 미만일 때를 표시하기 위한 슬레이브 전력 공급 모니터링 수단을 포함하며;
    실행 단계 동안, 상기 마스터 프로세싱 수단은,
    (A) 상기 마스터 제어 유닛에 의한 최소 전력 소비를 보장하면서 상기 슬레이브 유닛들 각각의 가장 최근의 래칭 상태를 확인하기 위한 시스템 상태 프로세스,
    (B) 상기 로컬 전력 레벨이 상기 소정의 임계치 미만이 아님을 상기 슬레이브 전력 공급 모니터링 수단으로 체크(check)하기 위한 전력 상태 프로세스,
    (C) 상기 입력 수단으로부터의 입력 신호들을 프로세싱하고 상기 가장 최근의 래칭 및 전력 상태를 상기 오퍼레이터에 전달하기 위하여 상기 출력 수단을 업데이트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프로세스를
    인보크하도록 설계되는, 래칭 메커니즘들에 레트로-피팅하기 위한 모니터링 및 경고 시스템.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슬레이브 프로세싱 수단은 상기 로컬 전력이 상기 소정의 임계치 미만임을 상기 슬레이브 전력 공급 모니터링 수단이 표시하는 경우 전력 경고 신호를 송신하고 그리고 상기 슬레이브 유닛에 의한 최소 전력 소비를 보장하면서 상기 슬레이브 유닛의 래칭 상태를 송신하기 위하여 슬레이브 유닛 상태 루틴을 인보크하도록 설계되는, 래칭 메커니즘들에 레트로-피팅하기 위한 모니터링 및 경고 시스템.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수단은 상기 마스터 제어 유닛과 상기 슬레이브 유닛들 각각 사이에서 상태 및 경고 신호들을 무선으로 통신하기 위하여, 상기 마스터 제어 유닛의 부분을 형성하는 마스터 트랜시버 및 각각의 슬레이브 유닛의 부분을 형성하는 슬레이브 트랜시버를 포함하는, 래칭 메커니즘들에 레트로-피팅하기 위한 모니터링 및 경고 시스템.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터 제어 유닛은,
    (a) 로컬 전력을 상기 마스터 제어 유닛에 제공하기 위한 마스터 전력 공급 수단; 및
    (b) 상기 마스터 제어 유닛에 공급되는 상기 로컬 전력의 레벨을 모니터링하고 상기 레벨이 상기 마스터 제어 유닛의 신뢰성 있는 동작을 위한 소정의 임계치 미만일 때를 표시하기 위한 마스터 전력 공급 모니터링 수단을 포함하는, 래칭 메커니즘들에 레트로-피팅하기 위한 모니터링 및 경고 시스템.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슬레이브 프로세싱 수단은 상기 래칭 상태의 업데이트를 상기 마스터 제어 유닛에 통신하기 위하여, 슬립핑 단계(sleeping phase) 동안 최대 절전 저전력 상태와 고전력 송신 상태를 순환하는(cycle through), 슬레이브 유닛에 대한 슬립 프로세스(sleep process)들을 인보크하는, 래칭 메커니즘들에 레트로-피팅하기 위한 모니터링 및 경고 시스템.
  7. 개별 래칭 메커니즘의 래칭 상태를 검출하기 위하여 개별 래칭 메커니즘에 각각 고정 부착되어 있는 하나 이상의 슬레이브 유닛들을 포함하는, 래칭 메커니즘들을 위한 레트로-피트(retro-fitted) 모니터링 및 경고 시스템에 대한 마스터 제어 유닛으로서,
    각각의 슬레이브 유닛은,
    (i) 상기 래칭 메커니즘이 래치 상태에 있는지 또는 언래치 상태에 있는지의 여부를 검출하기 위한 감지 수단, 및
    (ii) 상기 마스터 제어 유닛에 상태 및 경고 신호들을 주기적으로 통신하기 위해 통신 수단의 부분을 형성하는 슬레이브 트랜시버를 포함하며;
    상기 마스터 제어 유닛은 상기 시스템의 오퍼레이터에 근접하게 배치되며,
    상기 마스터 제어 유닛은,
    (a) 오퍼레이터가 상기 시스템을 소지한후 상기 시스템이 상기 오퍼레이터와의 최소 상호작용으로 동작하도록 하는 입력 수단, 및 복수의 소정의 조건들과 관련한 상기 시스템의 상태에 대하여 상기 오퍼레이터에 경고하기 위한 출력 수단을 가진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
    (b) 상기 마스터 제어 유닛의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마스터 프로세싱 수단, 및
    (c) 상기 마스터 제어 유닛과 상기 슬레이브 유닛들 각각 사이에서 상태 및 경고 신호들을 통신하기 위해 상기 통신 수단의 부분을 형성하는 마스터 트랜시버를 포함하며;
    상기 마스터 프로세싱 수단은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한 상기 오퍼레이터와의 상호작용을 수반하여, 초기화 단계 동안 상기 마스터 제어 유닛에 대한 다양한 마스터 초기화 프로세스들을 인보크하도록 설계되며, 상기 마스터 초기화 프로세스들은 각각의 슬레이브 유닛과 통신하고 상기 슬레이브 유닛들 각각의 래칭 상태를 식별하기 위한 슬레이브 검출 프로세스를 포함하는, 래칭 메커니즘들을 위한 레트로-피트 모니터링 및 경고 시스템에 대한 마스터 제어 유닛.
  8. 제 7 항에 있어서,
    각각의 슬레이브 유닛은 상기 슬레이브 유닛에 로컬 전력을 제공하기 위한 슬레이브 전력 공급 수단; 및 상기 슬레이브 유닛에 공급되는 로컬 전력의 레벨을 모니터링하고 상기 레벨이 상기 슬레이브 유닛의 신뢰성 있는 동작을 위한 소정의 임계치 미만일 때를 표시하기 위한 슬레이브 전력 공급 모니터링 수단을 포함하며;
    실행 단계 동안, 상기 마스터 프로세싱 수단은,
    (A) 상기 마스터 제어 유닛에 의한 최소 전력 소비를 보장하면서 상기 슬레이브 유닛들 각각의 가장 최근의 래칭 상태를 확인하기 위한 시스템 상태 프로세스,
    (B) 상기 로컬 전력 레벨이 상기 소정의 임계치 미만이 아님을 상기 슬레이브 전력 공급 모니터링 수단으로 체크하기 위한 전력 상태 프로세스,
    (C) 상기 입력 수단으로부터의 입력 신호들을 프로세싱하고 상기 가장 최근의 래칭 및 전력 상태를 상기 오퍼레이터에 전달하기 위하여 상기 출력 수단을 업데이트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프로세스를
    인보크하도록 설계되는, 래칭 메커니즘들을 위한 레트로-피트 모니터링 및 경고 시스템에 대한 마스터 제어 유닛.
  9. 제 7 항 또는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슬레이브 프로세싱 수단은 상기 로컬 전력이 상기 소정의 임계치 미만임을 상기 슬레이브 전력 공급 모니터링 수단이 표시하는 경우 전력 경고 신호를 송신하고 그리고 상기 슬레이브 유닛에 의한 최소 전력 소비를 보장하면서 상기 슬레이브 유닛의 래칭 상태를 송신하기 위하여 슬레이브 유닛 상태 루틴을 인보크하도록 설계되는, 래칭 메커니즘들을 위한 레트로-피트 모니터링 및 경고 시스템에 대한 마스터 제어 유닛.
  10. 제 7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로컬 전력을 상기 마스터 제어 유닛에 제공하기 위한 마스터 전력 공급 수단; 및 상기 마스터 제어 유닛에 공급되는 상기 로컬 전력의 레벨을 모니터링하고 상기 레벨이 상기 마스터 제어 유닛의 신뢰성 있는 동작을 위한 소정의 임계치 미만일 때를 표시하기 위한 마스터 전력 공급 모니터링 수단을 포함하는, 래칭 메커니즘들을 위한 레트로-피트 모니터링 및 경고 시스템에 대한 마스터 제어 유닛.
  11. 제 7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터 트랜시버는 상기 통신 수단을 통해 상기 마스터 제어 유닛과 상기 슬레이브 유닛들 각각 사이에서 상태 및 경고 신호들을 무선으로 통신하는, 래칭 메커니즘들을 위한 레트로-피트 모니터링 및 경고 시스템에 대한 마스터 제어 유닛.
  12. 래칭 메커니즘들에 대한 레트로-피트(retro-fitted) 모니터링 및 경고 시스템에 대한 슬레이브 유닛으로서,
    상기 레트로-피트 모니터링 및 경고 시스템은 상기 시스템의 오퍼레이터에 근접하게 배치될 마스터 제어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마스터 제어 유닛은,
    (a) 오퍼레이터가 상기 시스템을 소지한후 상기 시스템이 상기 오퍼레이터와의 최소 상호작용으로 동작하도록 하는 입력 수단, 및 복수의 소정의 조건들과 관련한 상기 시스템의 상태에 대하여 상기 오퍼레이터에 경고하기 위한 출력 수단을 가진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
    (b) 상기 슬레이브 유닛으로부터 상태 및 경고 신호들을 통신하기 위하여 통신 수단의 부분을 형성하는 마스터 트랜시버를 포함하며;
    상기 슬레이브 유닛은 개별 래칭 메커니즘의 래칭 상태를 검출하기 위하여 개별 래칭 메커니즘에 고정 부착되어 있으며;
    각각의 슬레이브 유닛은,
    (i) 상기 래칭 메커니즘이 래치 상태에 있는지 또는 언래치 상태에 있는지의 여부를 검출하기 위한 감지 수단,
    (ii) 상기 슬레이브 유닛의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슬레이브 프로세싱 수단, 및
    (iii) 상기 슬레이브 유닛과 상기 마스터 제어 유닛 사이에서 상태 및 경고 신호들을 주기적으로 통신하기 위하여 상기 통신 수단의 부분을 형성하는 슬레이브 트랜시버를 포함하며;
    상기 슬레이브 프로세싱 수단은 상기 슬레이브 유닛의 래칭 상태를 통신하기 위하여 상기 마스터 제어 유닛과의 상호작용을 수반하여, 초기화 단계 동안 상기 슬레이브 유닛에 대한 다양한 슬레이브 초기화 프로세스들을 인보크하도록 설계되는, 래칭 메커니즘들에 대한 레트로-피트 모니터링 및 경고 시스템에 대한 슬레이브 유닛.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슬레이브 유닛에 로컬 전력을 제공하기 위한 슬레이브 전력 공급 수단; 및 상기 슬레이브 유닛에 공급되는 로컬 전력의 레벨을 모니터링하고 상기 레벨이 상기 슬레이브 유닛의 신뢰성 있는 동작을 위한 소정의 임계치 미만일 때를 표시하기 위한 슬레이브 전력 공급 모니터링 수단을 포함하며;
    실행 단계 동안, 상기 슬레이브 프로세싱 수단은, 상기 마스터 프로세싱 수단에 대한 응답으로,
    (A) 최소 전력 소비를 보장하면서 상기 슬레이브 유닛의 가장 최근의 래칭 상태를 제공하기 위한 상태 업데이트 프로세스,
    (B) 상기 로컬 전력 레벨이 상기 소정의 임계치 미만이 아님을 표시하기 위한 전력 상태 업데이트 프로세스를 인보크하도록 설계되는, 래칭 메커니즘들에 대한 레트로-피트 모니터링 및 경고 시스템에 대한 슬레이브 유닛.
  14. 제 12 항 또는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슬레이브 프로세싱 수단은 상기 로컬 전력이 상기 소정의 임계치 미만임을 상기 슬레이브 전력 공급 모니터링 수단이 표시하는 경우 전력 경고 신호를 송신하고 그리고 상기 슬레이브 유닛에 의한 최소 전력 소비를 보장하면서 상기 슬레이브 유닛의 래칭 상태를 송신하기 위하여 슬레이브 유닛 상태 루틴을 인보크하도록 설계되는, 래칭 메커니즘들에 대한 레트로-피트 모니터링 및 경고 시스템에 대한 슬레이브 유닛.
  15. 제 12 항 내지 제 1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슬레이브 트랜시버는 상기 통신 수단을 통해 상기 마스터 제어 유닛에 상태 및 경고 신호들을 무선으로 통신하는, 래칭 메커니즘들에 대한 레트로-피트 모니터링 및 경고 시스템에 대한 슬레이브 유닛.
  16. 제 12 항 내지 제 1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슬레이브 프로세싱 수단은 상기 래칭 상태의 업데이트를 상기 마스터 제어 유닛에 통신하기 위하여, 슬립핑 단계 동안 최대 절전 저전력 상태와 고전력 송신 상태를 순환하는, 슬레이브 유닛에 대한 슬립 프로세스들을 인보크하는, 래칭 메커니즘들에 대한 레트로-피트 모니터링 및 경고 시스템에 대한 슬레이브 유닛.
  17. 래칭 메커니즘의 래칭 상태를 모니터링하고 경고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초기화 단계 동안, 상기 래칭 메커니즘의 래칭 상태를 식별하기 위하여 오퍼레이터와의 상호작용을 수반하여, 상기 래칭 메커니즘의 래칭 상태를 결정하기 위하여 상기 오퍼레이터에 근접하게 위치한 로컬 전력구동 마스터 제어 유닛 및 상기 래칭 메커니즘에 부착될 로컬 전력구동 슬레이브 유닛을 초기화하는 단계;
    실행 단계 동안:
    (a) 상기 마스터 제어 유닛 및 상기 슬레이브 유닛에 의한 최소 전력 소비를 보장하면서 상기 래칭 메커니즘의 가장 최근의 래칭 상태를 확인하는 단계,
    (b) 상기 마스터 제어 유닛 및 상기 슬레이브 유닛에 대한 로컬 전력 공급 레벨이 소정의 임계치 미만이 아님을 체크하는 단계;
    (c) 상기 슬레이브 유닛과 상기 마스터 제어 유닛 사이에서 상태 및 경고 신호들을 주기적으로 무선으로 통신하는 단계; 및
    (d) 상기 가장 최근의 래칭 및 전력 상태를 상기 오퍼레이터에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래칭 메커니즘의 래칭 상태를 모니터링하고 경고하기 위한 방법.
KR1020167031349A 2014-04-10 2015-04-10 래칭 메카니즘을 위한 모니터링 및 경보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7000580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AU2014901322 2014-04-10
AU2014901322A AU2014901322A0 (en) 2014-04-10 Monitoring and Alert System and Method for Latching Mechanisms
PCT/AU2015/050163 WO2015154146A1 (en) 2014-04-10 2015-04-10 Monitoring and alert system and method for latching mechanism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5805A true KR20170005805A (ko) 2017-01-16

Family

ID=542870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31349A KR20170005805A (ko) 2014-04-10 2015-04-10 래칭 메카니즘을 위한 모니터링 및 경보 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10586444B2 (ko)
EP (1) EP3129262A4 (ko)
JP (1) JP2017514047A (ko)
KR (1) KR20170005805A (ko)
AU (4) AU2015245948A1 (ko)
CA (1) CA2945182A1 (ko)
SG (1) SG11201608460PA (ko)
WO (1) WO201515414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161087A1 (en) 2018-02-17 2019-08-22 Cts Corporation Vehicle seat belt buckle with wireless latch sensor
US11247080B2 (en) * 2019-10-10 2022-02-15 Saudi Arabian Oil Company Systems, methods, and apparatuses for ensuring worker safety
US11465746B2 (en) 2020-02-17 2022-10-11 Jeff Johnson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cting seatbelt compliance in commercial passenger aircraft
US11548434B2 (en) * 2020-03-19 2023-01-10 Masoodul Hasan MAKHDOOM Automobile safety light system and methods of use
KR20230035861A (ko) * 2021-09-06 2023-03-1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시트벨트 무선통신 시스템 및 그 방법
US20240072920A1 (en) * 2022-08-30 2024-02-29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Optimizing node location in a battery management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14535A (ja) * 1996-02-08 1997-08-15 Yazaki Corp 車両内伝送制御装置及びその伝送制御方法
DE19647668A1 (de) * 1996-11-19 1998-05-28 Bosch Gmbh Robert Slavestation, Masterstation, BUS-System und Verfahren zum Betreiben eines BUS-Systems
AUPQ194699A0 (en) * 1999-07-30 1999-08-26 Phoenix Ventures Pty Ltd Harness safety alarm
US6888475B2 (en) * 2002-01-10 2005-05-03 Joshua Scott Darr Control system for aircraft seat belt arrangement
US6448907B1 (en) * 2002-01-18 2002-09-10 Nicholas J. Naclerio Airline passenger management system
US6967562B2 (en) * 2002-02-22 2005-11-22 Royal Thoughts, Llc Electronic lock control and sensor module for a wireless system
US20030160689A1 (en) * 2002-02-25 2003-08-28 Darius Yazdgerdi Seat belt detection device
US7002457B2 (en) * 2002-12-20 2006-02-21 General Motors Corporation Seat belt status monitoring system
JP4216613B2 (ja) * 2003-01-29 2009-01-28 パナソニック電工株式会社 防犯システム
EP1588908A1 (en) 2004-04-22 2005-10-26 IEE INTERNATIONAL ELECTRONICS &amp; ENGINEERING S.A. Seat belt warning system
US7710288B2 (en) * 2006-02-09 2010-05-04 Alps Automotive, Inc. Wireless self-powered sensor
US7898382B2 (en) 2006-05-11 2011-03-01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Key fob and system for indicating the lock status of a door lock
US8289145B2 (en) * 2009-05-11 2012-10-16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Wireless seatbelt monitoring system
JP5116815B2 (ja) 2009-10-20 2013-01-09 藤井電工株式会社 安全帯およびその使用状況確認システム
JP2011088580A (ja) * 2009-10-26 2011-05-06 Fujikura Ltd 車両用シートベルト検知装置および車両用シートベルト検知システム
JP2011175524A (ja) * 2010-02-25 2011-09-08 Hochiki Corp 監視システム、地震速報装置、中継アダプタ及び警報器
JP2012132285A (ja) * 2010-12-24 2012-07-12 Toyota Auto Body Co Ltd ドアロック開錠警告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70186308A1 (en) 2017-06-29
AU2021212089A1 (en) 2021-09-02
EP3129262A1 (en) 2017-02-15
AU2021105029A4 (en) 2021-09-30
AU2021212089B2 (en) 2024-01-11
SG11201608460PA (en) 2016-11-29
WO2015154146A1 (en) 2015-10-15
US10586444B2 (en) 2020-03-10
JP2017514047A (ja) 2017-06-01
EP3129262A4 (en) 2018-04-25
AU2019203235A1 (en) 2019-05-30
AU2015245948A1 (en) 2016-11-24
CA2945182A1 (en) 2015-10-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70005805A (ko) 래칭 메카니즘을 위한 모니터링 및 경보 시스템 및 그 방법
US9685063B2 (en) Car seat occupant detection and alert apparatus, system, and method
CA2865265C (en) Warning system for detecting infant seat buckle securement
US9424728B2 (en) Child safety seat mobile alarm and method therefor
US9691250B2 (en) System, apparatus, and method of providing an alert for an infant in a car seat
US7714737B1 (en) Warning system for child left unattended in vehicle
US6924742B2 (en) Baby seat belt alarm system
US7106207B1 (en) Vehicle child seat alarm
EP3825173B1 (en) Child safety seat alarm system
US20200094709A1 (en) Wireless and Redundant Vehicular Mass Detection Systems and Methods
US20070090938A1 (en) Infant alert system and methods thereof
NZ516926A (en) Harness safety alarm
WO2018071059A1 (en) Car seat occupancy alert system
TW202237442A (zh) 扣具、扣具監測系統及嬰幼兒載具
US20170297485A1 (en) Car Seat Alarm System
CN212148626U (zh) 一种儿童座椅安全带检测系统
CN114431579A (zh) 扣合报警装置、扣合报警系统及扣合报警方法
KR101700416B1 (ko) 비상시 자동 해제가 가능한 전자식 안전벨트 시스템
US20170053510A1 (en) Simple RF Enabled Child Restraint Monitoring Device
CN215883402U (zh) 安全座椅的报警系统及安全座椅
TWI840937B (zh) 安全座椅的報警系統及安全座椅
CN220243042U (zh) 儿童座椅及儿童座椅状态检测通讯装置
CN116439475A (zh) 扣具扣合指示装置
CN221012207U (zh) 一种卡扣连接装置及汽车儿童座椅
CN115723646A (zh) 安全座椅的报警系统及安全座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