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05635A - 차량상태 적응형 부가서비스 제공 시스템, 무선통신장치 및 그 무선통신방법, 사용자단말기 및 그 구동방법 - Google Patents

차량상태 적응형 부가서비스 제공 시스템, 무선통신장치 및 그 무선통신방법, 사용자단말기 및 그 구동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05635A
KR20170005635A KR1020150095955A KR20150095955A KR20170005635A KR 20170005635 A KR20170005635 A KR 20170005635A KR 1020150095955 A KR1020150095955 A KR 1020150095955A KR 20150095955 A KR20150095955 A KR 20150095955A KR 20170005635 A KR20170005635 A KR 201700056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state
information
wireless communication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959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02828B1 (ko
Inventor
이건호
백동석
이준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Priority to KR10201500959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02828B1/ko
Publication of KR201700056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56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028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028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06Q50/30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04M3/54Arrangements for diverting calls for one subscriber to another predetermined subscriber
    • H04M3/541Arrangements for diverting calls for one subscriber to another predetermined subscriber based on information specified by the calling party
    • H04W4/008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Fina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Econom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Market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Navigation (AREA)

Abstract

차량상태 적응형 부가서비스 제공 시스템, 무선통신장치 및 그 무선통신방법, 사용자단말기 및 그 애플리케이션 실행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상태 적응형 부가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차량의 상태를 감지하는 상태감지장치; 상태감지장치에 의해 감지된 차량의 상태정보를 무선으로 송출하는 무선통신장치; 및 무선통신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차량의 상태정보를 분석하고, 분석된 상태정보에 대응하는 동작을 자동으로 수행하는 사용자단말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차량상태 적응형 부가서비스 제공 시스템, 무선통신장치 및 그 무선통신방법, 사용자단말기 및 그 구동방법{Vehicle State Adapting Type Supplementary Service Providing System,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and Communication Method, Mobile and Operating Method}
본 발명은 차량상태 적응형 부가서비스 제공 시스템, 무선통신장치 및 그 무선통신방법, 사용자단말기 및 그 구동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의 상태를 감지하고, 감지되는 차량의 상태에 따라 적응적으로 최적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차량상태 적응형 부가서비스 제공 시스템, 무선통신장치 및 그 무선통신방법, 사용자단말기 및 그 구동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vehicle)은 도로나 선로 위를 달리는 자동차, 원동기장치 등을 일컫는 것으로서, 사람이나 화물을 운반하거나 각종 작업을 수행한다.
자동차의 보급이 급속도로 증가하면서 차량에 관련된 부가서비스도 다양하게 제공되고 있다. 이와 같은 차량에 관련된 부가서비스의 한 종류가 사용자단말기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한 네비게이션 서비스, 운전 중 통화수신 자동거절/수신전환 서비스, 핸즈프리 서비스 등과 같은 서비스이다.
그런데, 이와 같은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한 부가서비스는 사용자가 각각의 애플리케이션을 개별적으로 실행시켜야 한다. 하지만, 사용자가 해당 애플리케이션을 미처 실행시키지 못한 경우에는 필요할 때에 적절하게 이용하지 못하는 불편함이 있으며, 어떠한 경우에는 특정 애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키더라도 차량의 상태에 따라 전혀 도움이 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13-0068562호 (공개일자: 2013. 06. 26)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차량의 상태를 감지하고, 감지되는 차량의 상태에 따라 적응적으로 최적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차량상태 적응형 부가서비스 제공 시스템, 무선통신장치 및 그 무선통신방법, 사용자단말기 및 그 구동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상태 적응형 부가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차량의 상태를 감지하는 상태감지장치; 상태감지장치에 의해 감지된 차량의 상태정보를 무선으로 송출하는 무선통신장치; 및 무선통신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차량의 상태정보를 분석하고, 분석된 상태정보에 대응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자동으로 실행시키는 사용자단말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무선통신장치는, 상태감지장치로부터 차량의 상태감지신호를 수신하는 감지신호수신부; 감지신호수신부에 의해 수신되는 상태감지신호에 기초하여 차량의 상태를 분석하는 상태분석부; 상태분석부에 의해 분석되는 차량의 상태정보를 무선전송을 위한 데이터프레임에 삽입하는 정보삽입부; 및 정보삽입부에 의해 차량의 상태정보가 삽입된 데이터프레임을 무선으로 송출하는 무선통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무선통신장치는, 감지신호수신부에 의해 차량의 슬립(sleep)상태 감지신호가 수신된 후 설정된 시간 동안, 무선통신부를 통해 엔진정지 메시지를 전송하는 메시지전송부; 및 메시지전송부에 의해 메시지가 전송된 후, 공급되는 전원을 오프(Off) 제어하는 전원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정보삽입부는, 상태분석부에 의해 분석된 차량의 상태에 대응하여 서비스구분 식별자, 차량구분 식별자, 프레임구조의 버전, 무선전송 전력값, 차량의 엔진상태, 차량의 속도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상태정보를 데이터프레임에 삽입한다.
또한, 무선통신부는, 블루투스(Bluetooth) 무선통신방식으로 데이터프레임을 무선으로 송출한다.
또한, 정보삽입부는, 데이터프레임 내에 할당된 광고프레임(Advertising frame) 영역에 상태분석부에 의해 분석된 상태정보를 삽입한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단말기는, 무선통신장치로부터 차량의 상태정보를 무선으로 수신하는 상태정보수신부; 상태정보수신부에 의해 수신되는 차량의 상태정보를 분석하는 상태정보분석부; 및 상태정보분석부에 의해 분석되는 차량의 상태정보에 대응하는 동작을 자동으로 수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사용자단말기는, 등록된 차량에 대한 서비스구분 식별자, 차량구분 식별자를 포함하는 식별정보를 저장하는 식별정보저장부; 및 상태정보수신부에 의해 수신된 상태정보 중의 서비스구분 식별자 및 차량구분 식별자를 식별정보저장부에 저장된 서비스구분 식별자 및 차량구분 식별자와 비교하는 식별정보비교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태정보분석부는 식별정보비교부에 의해 비교되는 정보들이 서로 일치하는 경우에 상태정보를 분석한다.
전술한 사용자단말기는, 상태정보분석부에 의해 차량이 이동 중인 것으로 분석되는 경우에 통화가 수신되면, 수신되는 통화를 거절하거나 설정된 다른 번호로 수신전환 제어하는 통화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부는 상태정보분석부에 의해 차량의 엔진시동이 분석되면, 기 설치된 네비게이션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도록 제어한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통신방법은, 무선통신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무선통신방법에 있어서, 상태감지장치로부터 차량의 상태감지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태감지신호 수신단계에 의해 수신되는 상태감지신호에 기초하여 차량의 상태를 분석하는 단계; 상태 분석단계에 의해 분석되는 차량의 상태정보를 무선전송을 위한 데이터프레임에 삽입하는 단계; 및 상태정보 삽입단계에 의해 차량의 상태정보가 삽입된 데이터프레임을 무선으로 송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무선통신방법은, 상태감지신호 수신단계에 의해 차량의 슬립(sleep)상태 감지신호가 수신된 후 설정된 시간 동안, 차량의 엔진이 정지되었음을 보고하는 엔진정지 메시지를 무선으로 전송하는 단계; 및 엔진정지메시지 전송단계에 의해 메시지가 전송된 후, 공급되는 전원을 오프(Off)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태정보 삽입단계는, 상태 분석단계에 의해 분석된 차량의 상태에 대응하여 서비스구분 식별자, 차량구분 식별자, 프레임구조의 버전, 무선전송 전력값, 차량의 엔진상태, 차량의 속도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상태정보를 데이터프레임에 삽입한다.
또한, 무선 송출단계는, 블루투스(Bluetooth) 무선통신방식으로 데이터프레임을 무선으로 송출한다.
또한, 상태정보 삽입단계는, 데이터프레임 내에 할당된 광고프레임(Advertising frame) 영역에 상태 분석단계에 의해 분석된 상태정보를 삽입한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단말기의 구동방법은, 무선통신장치로부터 차량의 상태정보를 무선으로 수신하는 단계; 상태정보 수신단계에 의해 수신되는 차량의 상태정보를 분석하는 단계; 및 상태정보 분석단계에 의해 분석되는 차량의 상태정보에 대응하는 동작을 자동으로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사용자단말기의 구동방법은, 등록된 차량에 대한 서비스구분 식별자, 차량구분 식별자를 포함하는 식별정보를 저장하는 단계; 및 상태정보 수신단계에 의해 수신된 상태정보 중의 서비스구분 식별자 및 차량구분 식별자를 식별정보 저장단계에 의해 저장된 서비스구분 식별자 및 차량구분 식별자와 비교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태정보 분석단계는 비교단계에 의해 비교되는 정보들이 서로 일치하는 경우에 상태정보를 분석한다.
전술한 사용자단말기의 구동방법은, 상태정보 분석단계에 의해 차량이 이동 중인 것으로 분석되는 경우에 통화가 수신되면, 수신되는 통화를 거절하거나 설정된 다른 번호로 수신전환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동작 수행단계는 상태정보 분석단계에 의해 차량의 엔진시동이 분석되면, 기 설치된 네비게이션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도록 제어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차량에 관련된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을 설치하며, 차량의 상태를 감지하고, 감지되는 차량의 상태에 따라 적응적으로 최적의 애플리케이션을 자동으로 실행시킬 수 있게 됨으로써, 사용자가 차량을 사용할 때마다 일일이 애플리케이션을 찾아서 실행시켜야 하는 불편함을 해소시킬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상태 적응형 부가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통신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블루투스 광고 프레임의 구조 및 해당 프레임에 차량 상태정보를 삽입하는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단말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통신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애플리케이션 실행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상태 적응형 부가서비스 제공 시스템, 무선통신장치 및 그 무선통신방법, 사용자단말기 및 그 애플리케이션 실행방법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상태 적응형 부가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상태 적응형 부가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상태감지장치(10), 무선통신장치(100) 및 사용자단말기(200)를 포함한다.
상태감지장치(10)는 차량의 상태를 감지한다. 여기서, 상태감지장치(10)는 OBD(On Board Diagnostics)로 구현될 수 있다. OBD는 기관제어 시스템에 집적되는, 법적으로 규정된 하위 장치의 진단/감시 시스템이다. OBD는 전 운전영역에 걸쳐 배기가스 및 증발가스와 관련된 모든 시스템을 감시한다. 이때, 감시하고 있는 시스템들에 고장이 발생할 경우, OBD는 고장내역을 ECU(Electronic Control Unit)에 저장하며, 표준화된 인터페이스(interface)(일반적으로 16핀 진단 커넥터이다)를 통해 이를 조회할 수 있다. 이 외에도 추가로, OBD는 계기판의 고장 지시등(MIL: Malfunction Indicator Lamp) 또는 메시지를 통해 운전자에게 고장 메시지를 전달한다.
일반적으로 OBD는 촉매기의 기능, 촉매기 히터, 공기비센서의 기능, 기관 실화 감시 시스템, EGR(Exhaust Gas Recirculation) 시스템의 기능, 연료탱크 환기 시스템(증발가스 시스템)의 기능, 2차 공기 시스템의 기능, 배기가스 관련 부품의 전기회로 등과 같은 하위 시스템 및 센서들을 지속적으로 또는 주행 사이클마다 감시한다. 여기서, 주행사이클은 기관을 시동하거나, 일정한 회전속도와 주행속도로 주행하고 감속하거나, 기관을 정지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때, 기관냉각수온도는 최저 22℃에서 70℃까지 변화되어야 한다.
무선통신장치(100)는 상태감지장치(10)에 의해 감지된 차량의 상태정보를 무선으로 송출한다. 이때, 무선통신장치(100)는 블루투스(Bluetooth), NFC(Near Field Communication), 와이파이(WiFi) 등과 같은 무선통신방식을 이용하여 차량의 상태정보를 무선으로 송출할 수 있다.
사용자단말기(200)는 무선통신장치(100)로부터 수신되는 차량의 상태정보를 분석하고, 분석된 상태정보에 대응하는 동작을 자동으로 수행한다. 이때, 사용자단말기(200)는 차량에 관련된 복수의 애플리케이션을 설치하며 분석된 차량의 상태정보에 따라 대응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자동으로 실행시키거나, 차량에 관련된 다양한 동작들을 관리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설치하고 분석된 차량의 상태정보에 따라 대응하는 차량의 동작을 선택적으로 수행시킬 수 있다. 즉, 사용자단말기(200)는 네비게이션 애플리케이션, 통화 자동차단/전환 애플리케이션, 핸즈프리 애플리케이션 등의 애플리케이션을 설치하고, 무선통신장치(100)로부터 차량의 상태정보가 수신되면 해당 상태정보를 분석하여 차량의 현재상태를 판단하고, 그에 따라 차량의 현재상태에 대응하는 최적의 애플리케이션의 동작을 자동으로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단말기(200)는 네비게이션 동작, 통화 자동차단/전환 동작, 핸즈프리 동작 등을 관리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설치하고, 무선통신장치(100)로부터 차량의 상태정보가 수신되면 해당 상태정보를 분석하여 차량의 현재상태를 판단하며, 그에 따라 차량의 현재상태에 대응하는 최적의 동작을 선택적으로 수행할 수도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통신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통신장치는 도 1에 나타낸 차량상태 적응형 부가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무선통신장치(100)로 이용될 수 있으며, 따라서 동일한 참조번호를 부여하였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통신장치(100)는 감지신호수신부(110), 상태분석부(120), 정보삽입부(130), 무선통신부(140), 메시지전송부(150) 및 전원제어부(160)를 포함할 수 있다.
감지신호수신부(110)는 상태감지장치(10)로부터 차량의 상태감지신호를 수신한다. 이때, 감지신호수신부(110)는 OBD의 진단 커넥터에 연결되어 차량에 대한 상태감지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감지신호수신부(110)는 상태감지장치(10)로부터 설정된 주기로 차량의 상태감지신호를 수신하거나, 차량의 상태에 변경이 발생한 경우에 상태감지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상태분석부(120)는 감지신호수신부(110)에 의해 수신되는 상태감지신호에 기초하여 차량의 상태를 분석한다. 즉, 상태분석부(120)는 감지신호수신부(110)에 의해 수신되는 촉매기의 기능, 촉매기 히터, 공기비센서의 기능, 기관 실화 감시 시스템, EGR(Exhaust Gas Recirculation) 시스템의 기능, 연료탱크 환기 시스템(증발가스 시스템)의 기능, 2차 공기 시스템의 기능, 배기가스 관련 부품의 전기회로 등의 상태감지신호에 기초하여 현재 차량이 어떠한 상태에 있는지를 분석한다.
정보삽입부(130)는 상태분석부(120)에 의해 분석되는 차량의 상태정보를 무선전송을 위한 데이터프레임에 삽입한다. 이때, 정보삽입부(130)는 데이터프레임 내에 할당된 광고프레임(Advertising frame) 영역에 상태분석부(120)에 의해 분석된 상태정보를 삽입할 수 있다. 또한, 정보삽입부(130)는 상태분석부(120)에 의해 분석된 차량의 상태에 대응하여 서비스구분 식별자, 차량구분 식별자, 프레임구조의 버전, 무선전송 전력값, 차량의 엔진상태, 차량의 속도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상태정보를 데이터프레임에 삽입할 수 있다. 여기서, 서비스구분 식별자는 무선통신장치(100)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단말기(200)에 차량의 상태정보를 알리기 위해 전송하는 메시지와, 다른 용도로 전송하는 메시지를 서로 구분하기 위한 식별자를 말하며, 차량구분 식별자는 설정된 범위 내에 있는 복수의 무선통신장치(100)가 각각에 대응하는 차량의 상태정보를 사용자단말기(200)에 전송하는 경우에 각각의 차량을 구분하기 위한 식별자를 말한다. 또한, 프레임구조의 버전은 무선통신장치(100)가 사용자단말기(200)에 전송하는 상태정보의 프레임구조의 버전을 말하며, 무선전송 전력값은 상태정보를 전송하는 무선 전력 값을 말한다. 또한, 차량의 엔진상태는 차량의 엔진에 대한 온/오프, 온도, 과열 여부 등에 대한 정보를 말하며, 차량의 속도는 현재 주행하고 있는 차량의 속도정보를 말한다. 정보삽입부(130)는 블루투스 통신방식의 광고 프레임(Advertising frame)의 경우에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PDU(Protocol Data Unit)의 페이로드(Payload) 영역에 차량에 대한 각각의 상태정보를 삽입할 수 있다.
무선통신부(140)는 정보삽입부(130)에 의해 차량의 상태정보가 삽입된 데이터프레임을 무선으로 송출한다. 이때, 무선통신부(140)는 와이파이(WiFi),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블루투스(Bluetooth) 등과 같은 통신방식을 이용하여 차량의 상태정보가 삽입된 데이터프레임을 무선으로 송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블루투스 통신방식을 이용하여 데이터프레임을 무선으로 송출하는 것으로 가정한다. 그러나, 무선통신부(140)의 무선통신방식은 기재된 통신방식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하게 변형된 무선통신방식을 이용하여 데이터프레임을 송출할 수도 있다.
메시지전송부(150)는 감지신호수신부(110)에 의해 차량의 슬립(sleep)상태 감지신호가 수신된 후 설정된 시간 동안, 무선통신부(140)를 통해 엔진정지 메시지를 전송한다. 즉, 메시지전송부(150)는 감지신호수신부(110)에 의해 차량의 슬립상태 감지신호가 수신된 후 설정된 시간 동안, 무선통신부(140)를 통해 차량이 슬립상태가 되었음을 사용자에게 알리는 메시지를 전송한다. 이때, 메시지전송부(150)는 차량의 슬립상태 감지신호가 수신된 후 설정된 시간 동안 주기적으로 엔진정지 메시지를 전송하거나, 설정된 시간 동안 지속적으로 차량이 슬립상태인 경우에 해당 설정된 시간 기간이 경과하는 시점에 엔진정지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전원제어부(160)는 메시지전송부(150)에 의해 메시지가 전송된 후, 공급되는 전원을 오프(Off) 제어한다. 즉, 메시지전송부(150)에 의해 사용자에게 차량이 슬립상태가 되었음을 알리는 통지메시지가 전송되면, 전원제어부(160)는 무선통신장치(100)에 공급되는 전원을 오프시킨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단말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단말기는 도 1에 나타낸 차량상태 적응형 부가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사용자단말기(200)로 이용될 수 있으며, 따라서 동일한 참조번호를 부여하였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단말기(200)는 상태정보수신부(220), 상태정보분석부(230), 제어부(240), 식별정보저장부(250), 식별정보비교부(260) 및 통화제어부(270)를 포함할 수 있다.
상태정보수신부(220)는 무선통신장치(100)로부터 차량의 상태정보를 무선으로 수신한다. 이때, 상태정보수신부(220)는 무선통신장치(100)와 동일한 통신방식의 무선통신모듈로 구현되며, 무선통신장치(100)에 의해 송출된 차량의 상태정보를 무선으로 수신한다.
상태정보분석부(230)는 상태정보수신부(220)에 의해 수신되는 차량의 상태정보를 분석한다. 이때, 상태정보분석부(230)는 상태정보수신부(220)에 의해 수신되는 차량의 상태정보가 앱관리부(210)에 의해 각각의 애플리케이션에 매칭되어 저장된 차량의 상태정보 중 어느 상태정보에 해당하는지를 분석할 수 있다.
제어부(240)는 상태정보분석부(230)에 의해 분석되는 차량의 상태정보에 대응하는 동작을 자동으로 수행한다. 이때, 사용자단말기(200)는 차량에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애플리케이션을 설치하며, 제어부(240)는 분석된 차량의 상태정보에 따라 대응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자동으로 실행시킴으로써 차량의 상태정보에 대응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단말기(200)는 차량에 관련된 다양한 동작들을 관리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설치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제어부(240)는 상태정보분석부(230)에 의해 분석되는 차량의 상태정보에 따라 대응하는 차량의 동작을 선택적으로 수행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단말기(200)가 네비게이션 애플리케이션을 설치하고 있거나 네비게이션 동작이 특정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관리되고 있는 경우, 제어부(240)는 상태정보수신부(220)로부터 차량의 엔진시동에 대한 상태정보가 수신되면 해당 네비게이션 동작을 자동으로 수행할 수 있다.
식별정보저장부(250)는 등록된 차량에 대한 서비스구분 식별자, 차량구분 식별자를 포함하는 식별정보를 저장한다. 즉, 식별정보저장부(250)는 상태정보에 따른 최적의 애플리케이션 실행서비스 또는 최적의 동작 수행서비스를 제공할 차량을 등록하며, 등록된 차량에 대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를 식별하기 위한 서비스구분 식별자, 차량을 구분하기 위한 차량구분 식별자를 포함하는 식별정보를 저장한다.
식별정보비교부(260)는 상태정보수신부(220)에 의해 수신된 상태정보 중의 서비스구분 식별자 및 차량구분 식별자를 식별정보저장부(250)에 저장된 서비스구분 식별자 및 차량구분 식별자와 비교한다. 즉, 식별정보비교부(260)는 상태정보수신부(220)에 의해 수신되는 상태정보가 식별정보저장부(250)에 등록된 차량의 상태정보에 해당하는지 여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최적의 애플리케이션 실행서비스 또는 최적의 동작 수행서비스를 위한 상태정보에 해당하는지 여부 등을 판단한다. 이 경우, 상태정보분석부(230)는 식별정보비교부(260)에 의해 비교되는 정보들이 서로 일치하는 경우에 상태정보를 분석할 수 있다. 이때, 상태정보수신부(220)에 의해 수신되는 상태정보가 식별정보저장부(250)에 등록된 차량의 상태정보가 아니거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에 해당하지 않는 경우, 상태정보수신부(220)에 의해 수신되는 상태정보는 스킵(skip) 처리될 수 있다.
통화제어부(270)는 상태정보분석부(230)에 의해 차량이 이동 중인 것으로 분석되는 경우에 통화가 수신되면, 수신되는 통화를 거절하거나 설정된 다른 번호로 수신전환 제어한다. 이때, 통화제어부(270)는 사용자단말기(200)가 운전자의 단말기에 해당하는지를 문의하는 문의메시지를 표시할 수 있으며, 사용자에 의해 운전자의 단말기인 것으로 선택된 경우에 상태정보분석부(230)에 의해 차량이 이동 중인 것으로 분석되면, 수신되는 통화를 거절하거나 설정된 다른 번호로 수신전환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통화제어부(270)는 사용자로부터 수신 전환할 대상단말기의 번호를 기 설정받아 저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통신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통신방법은 도 2에 나타낸 무선통신장치(10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도 2, 도 3 및 도 5를 참조하면, 무선통신장치(100)는 상태감지장치(10)로부터 차량의 상태감지신호를 수신한다(S102). 이때, 무선통신장치(100)는 OBD의 진단 커넥터에 연결되어 차량에 대한 상태감지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무선통신장치(100)는 상태감지장치(10)로부터 설정된 주기로 차량의 상태감지신호를 수신하거나, 차량의 상태에 변경이 발생한 경우에 상태감지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무선통신장치(100)는 상태감지장치(10)로부터 수신되는 상태감지신호에 기초하여 차량의 상태를 분석한다(S104). 즉, 무선통신장치(100)는 상태감지장치(10)로부터 수신되는 촉매기의 기능, 촉매기 히터, 공기비센서의 기능, 기관 실화 감시 시스템, EGR(Exhaust Gas Recirculation) 시스템의 기능, 연료탱크 환기 시스템(증발가스 시스템)의 기능, 2차 공기 시스템의 기능, 배기가스 관련 부품의 전기회로 등의 상태감지신호에 기초하여 현재 차량이 어떠한 상태에 있는지를 분석한다.
무선통신장치(100)는 분석되는 차량의 상태가 슬립상태가 아닌 경우 즉, 엔진이 정지되었다는 상태정보가 아닌 경우(S106), 분석되는 차량의 상태정보를 무선전송을 위한 데이터프레임에 삽입한다(S108). 이때, 무선통신장치(100)는 데이터프레임 내에 할당된 광고프레임(Advertising frame) 영역에 상태정보를 삽입할 수 있다. 또한, 무선통신장치(100)는 분석된 차량의 상태에 대응하여 서비스구분 식별자, 차량구분 식별자, 프레임구조의 버전, 무선전송 전력값, 차량의 엔진상태, 차량의 속도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상태정보를 데이터프레임에 삽입할 수 있다. 이때, 무선통신장치(100)는 블루투스 통신방식의 광고 프레임(Advertising frame)의 경우, PDU(Protocol Data Unit)의 페이로드(Payload) 영역에 차량에 대한 각각의 상태정보를 삽입할 수 있다.
무선통신장치(100)는 차량의 상태정보가 삽입된 데이터프레임을 무선으로 송출한다(S110). 이때, 무선통신장치(100)는 와이파이(WiFi),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블루투스(Bluetooth) 등과 같은 통신방식을 이용하여 차량의 상태정보가 삽입된 데이터프레임을 무선으로 송출할 수 있다.
차량의 상태가 슬립상태인 것으로 감지되는 경우, 무선통신장치(100)는 차량의 슬립(sleep)상태 감지신호가 수신된 후 설정된 시간 동안, 엔진정지 메시지를 무선으로 송출한다(S112). 즉, 무선통신장치(100)는 차량의 슬립상태 감지신호가 수신된 후 설정된 시간 동안, 차량이 슬립상태가 되었음을 사용자에게 알리기 위한 메시지를 송출한다. 이때, 무선통신장치(100)는 차량의 슬립상태 감지신호가 수신된 후 설정된 시간 동안 주기적으로 엔진정지 메시지를 전송하거나, 설정된 시간 동안 지속적으로 차량이 슬립상태인 경우에 해당 설정된 시간 기간이 경과하는 시점에 엔진정지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무선통신장치(100)는 차량이 슬립상태가 되었음을 알리는 메시지가 전송된 후, 공급되는 전원을 오프(Off) 제어한다(S114). 즉, 엔진이 정지된 후 사용자에게 차량이 슬립상태가 되었음을 알리는 통지메시지가 전송되면, 무선통신장치(100)는 해당 무선통신장치(100)에 공급되는 전원을 오프시킨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애플리케이션 실행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애플리케이션 실행방법은 도 4에 나타낸 사용자단말기(20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도 4 및 도 6을 참조하면, 사용자단말기(200)는 차량에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애플리케이션을 설치하며, 차량에 관련된 다양한 동작을 하나의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관리하거나, 설치된 각각의 애플리케이션을 차량의 상태정보와 매칭시켜 관리한다(S202). 이때, 사용자단말기(200)는 네비게이션 애플리케이션, 통화 자동차단/전환 애플리케이션, 핸즈프리 애플리케이션 등과 같은 차량에 관련된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을 설치하고, 차량의 상태가 어떠한 경우에 각각의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것이 최적인지를 매칭하여 저장하며, 차량의 상태에 따라 대응하는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도록 관리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단말기(200)는 네비게이션 동작, 통화 자동차단/전환 동작, 핸즈프리 동작 등을 관리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설치하고, 해당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차량의 상태가 어떠한 경우에 어느 동작이 수행되는 것이 최적인지를 매칭하여 관리할 수 있다.
사용자단말기(200)는 등록된 차량에 대한 서비스구분 식별자, 차량구분 식별자를 포함하는 식별정보를 저장한다(S204). 즉, 사용자단말기(200)는 상태정보에 따른 최적의 애플리케이션 실행서비스 또는 최적의 동작 수행서비스를 제공할 차량을 등록하며, 등록된 차량에 대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를 식별하기 위한 서비스구분 식별자, 차량을 구분하기 위한 차량구분 식별자를 포함하는 식별정보를 저장한다.
사용자단말기(200)는 무선통신장치(100)로부터 차량의 상태정보를 무선으로 수신한다(S206). 이때, 사용자단말기(200)는 무선통신장치(100)와 동일한 통신방식의 무선통신모듈로 구현되며, 무선통신장치(100)에 의해 송출된 차량의 상태정보를 무선으로 수신한다.
사용자단말기(200)는 무선통신장치(100)로부터 수신된 상태정보 중의 서비스구분 식별자 및 차량구분 식별자를 기 저장된 서비스구분 식별자 및 차량구분 식별자와 비교한다(S208). 즉, 사용자단말기(200)는 무선통신장치(100)로부터 수신되는 상태정보가 기 등록된 차량의 상태정보에 해당하는지 여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최적의 애플리케이션 실행서비스 또는 최적의 동작 수행서비스를 위한 상태정보에 해당하는지 여부 등을 판단한다.
사용자단말기(200)는 비교되는 정보들이 서로 일치하는 경우(S210), 무선통신장치(100)로부터 수신되는 차량의 상태정보를 분석한다(S212). 이때, 사용자단말기(200)는 무선통신장치(100)로부터 수신되는 차량의 상태정보가 각각의 애플리케이션 또는 동작에 매칭되어 저장된 차량의 상태정보 중 어느 상태정보에 해당하는지를 분석할 수 있다.
사용자단말기(200)는 분석되는 차량의 상태정보에 대응하는 동작을 자동으로 수행한다(S214). 즉, 사용자단말기(200)는 무선통신장치(100)로부터 수신되는 차량의 상태정보가 각각의 애플리케이션에 매칭되어 저장된 차량의 상태정보 중 어느 상태정보에 해당하는지 분석되면, 분석된 차량의 상태정보에 대응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킴으로써 상태정보에 대응하는 동작을 자동으로 수행하거나, 상태정보에 대응하는 동작을 판단하여 자동으로 수행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단말기(200)가 네비게이션 애플리케이션을 설치하고 있거나 네비게이션 동작이 특정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관리되고 있는 경우, 사용자단말기(200)는 무선통신장치(100)로부터 수신되는 차량의 엔진시동에 대한 상태정보가 수신되면 해당 네비게이션 동작을 자동으로 수행할 수 있다. 사용자단말기(200)는 차량이 이동 중인 것으로 분석되는 경우에 통화가 수신되면(S216), 수신되는 통화를 거절하거나 설정된 다른 번호로 수신전환 제어한다(S218). 이때, 사용자단말기(200)는 해당 사용자단말기(200)가 운전자의 단말기에 해당하는지를 문의하는 문의메시지를 표시할 수 있으며, 사용자에 의해 운전자의 단말기인 것으로 선택된 경우에 차량이 이동 중인 것으로 분석되면, 수신되는 통화를 거절하거나 설정된 다른 번호로 수신전환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단말기(200)는 사용자로부터 수신 전환할 대상단말기의 번호를 기 설정받아 저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무선통신장치(100)로부터 수신되는 상태정보가 등록된 차량의 상태정보가 아니거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에 해당하지 않는 경우, 사용자단말기(200)는 무선통신장치(100)로부터 수신되는 상태정보를 스킵(skip) 처리할 수 있다(S220).

Claims (19)

  1. 차량의 상태를 감지하는 상태감지장치;
    상기 상태감지장치에 의해 감지된 차량의 상태정보를 무선으로 송출하는 무선통신장치; 및
    상기 무선통신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차량의 상태정보를 분석하고, 분석된 상태정보에 대응하는 동작을 자동으로 수행하는 사용자단말기;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상태 적응형 부가서비스 제공 시스템.
  2. 상태감지장치로부터 차량의 상태감지신호를 수신하는 감지신호수신부;
    상기 감지신호수신부에 의해 수신되는 상태감지신호에 기초하여 차량의 상태를 분석하는 상태분석부;
    상기 상태분석부에 의해 분석되는 차량의 상태정보를 무선전송을 위한 데이터프레임에 삽입하는 정보삽입부; 및
    상기 정보삽입부에 의해 차량의 상태정보가 삽입된 데이터프레임을 무선으로 송출하는 무선통신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신호수신부에 의해 차량의 슬립(sleep)상태 감지신호가 수신된 후 설정된 시간 동안, 상기 무선통신부를 통해 엔진정지 메시지를 전송하는 메시지전송부; 및
    상기 메시지전송부에 의해 메시지가 전송된 후, 공급되는 전원을 오프(Off) 제어하는 전원제어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삽입부는,
    상기 상태분석부에 의해 분석된 차량의 상태에 대응하여 서비스구분 식별자, 차량구분 식별자, 프레임구조의 버전, 무선전송 전력값, 차량의 엔진상태, 차량의 속도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상태정보를 데이터프레임에 삽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통신부는,
    블루투스(Bluetooth) 무선통신방식으로 데이터프레임을 무선으로 송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삽입부는,
    데이터프레임 내에 할당된 광고프레임(Advertising frame) 영역에 상기 상태분석부에 의해 분석된 상태정보를 삽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장치.
  7. 무선통신장치로부터 차량의 상태정보를 무선으로 수신하는 상태정보수신부;
    상기 상태정보수신부에 의해 수신되는 차량의 상태정보를 분석하는 상태정보분석부; 및
    상기 상태정보분석부에 의해 분석되는 차량의 상태정보에 대응하는 동작을 자동으로 수행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단말기.
  8. 제7항에 있어서,
    등록된 차량에 대한 서비스구분 식별자, 차량구분 식별자를 포함하는 식별정보를 저장하는 식별정보저장부; 및
    상기 상태정보수신부에 의해 수신된 상태정보 중의 서비스구분 식별자 및 차량구분 식별자를 상기 식별정보저장부에 저장된 서비스구분 식별자 및 차량구분 식별자와 비교하는 식별정보비교부;
    를 더 포함하며,
    상기 상태정보분석부는 상기 식별정보비교부에 의해 비교되는 정보들이 서로 일치하는 경우에 상태정보를 분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단말기.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상태정보분석부에 의해 차량이 이동 중인 것으로 분석되는 경우에 통화가 수신되면, 수신되는 통화를 거절하거나 설정된 다른 번호로 수신전환 제어하는 통화제어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단말기.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상태정보분석부에 의해 차량의 엔진시동이 분석되면, 기 설치된 네비게이션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단말기.
  11. 무선통신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무선통신방법에 있어서,
    상태감지장치로부터 차량의 상태감지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상태감지신호 수신단계에 의해 수신되는 상태감지신호에 기초하여 차량의 상태를 분석하는 단계;
    상기 상태 분석단계에 의해 분석되는 차량의 상태정보를 무선전송을 위한 데이터프레임에 삽입하는 단계; 및
    상기 상태정보 삽입단계에 의해 차량의 상태정보가 삽입된 데이터프레임을 무선으로 송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상태감지신호 수신단계에 의해 차량의 슬립(sleep)상태 감지신호가 수신된 후 설정된 시간 동안, 차량의 엔진이 정지되었음을 보고하는 엔진정지 메시지를 무선으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엔진정지메시지 전송단계에 의해 메시지가 전송된 후, 공급되는 전원을 오프(Off) 제어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방법.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상태정보 삽입단계는,
    상기 상태 분석단계에 의해 분석된 차량의 상태에 대응하여 서비스구분 식별자, 차량구분 식별자, 프레임구조의 버전, 무선전송 전력값, 차량의 엔진상태, 차량의 속도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상태정보를 데이터프레임에 삽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방법.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송출단계는,
    블루투스(Bluetooth) 무선통신방식으로 데이터프레임을 무선으로 송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상태정보 삽입단계는,
    데이터프레임 내에 할당된 광고프레임(Advertising frame) 영역에 상기 상태 분석단계에 의해 분석된 상태정보를 삽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방법.
  16. 사용자단말기의 구동방법에 있어서,
    무선통신장치로부터 차량의 상태정보를 무선으로 수신하는 단계;
    상기 상태정보 수신단계에 의해 수신되는 차량의 상태정보를 분석하는 단계; 및
    상기 상태정보 분석단계에 의해 분석되는 차량의 상태정보에 대응하는 동작을 자동으로 수행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단말기의 구동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등록된 차량에 대한 서비스구분 식별자, 차량구분 식별자를 포함하는 식별정보를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상태정보 수신단계에 의해 수신된 상태정보 중의 서비스구분 식별자 및 차량구분 식별자를 상기 식별정보 저장단계에 의해 저장된 서비스구분 식별자 및 차량구분 식별자와 비교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며,
    상기 상태정보 분석단계는 상기 비교단계에 의해 비교되는 정보들이 서로 일치하는 경우에 상태정보를 분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단말기의 구동방법.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상태정보 분석단계에 의해 차량이 이동 중인 것으로 분석되는 경우에 통화가 수신되면, 수신되는 통화를 거절하거나 설정된 다른 번호로 수신전환 제어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단말기의 구동방법.
  19.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 수행단계는 상기 상태정보 분석단계에 의해 차량의 엔진시동이 분석되면, 기 설치된 네비게이션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단말기의 구동방법.
KR1020150095955A 2015-07-06 2015-07-06 차량상태 적응형 부가서비스 제공 시스템, 무선통신장치 및 그 무선통신방법, 사용자단말기 및 그 구동방법 KR1024028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5955A KR102402828B1 (ko) 2015-07-06 2015-07-06 차량상태 적응형 부가서비스 제공 시스템, 무선통신장치 및 그 무선통신방법, 사용자단말기 및 그 구동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5955A KR102402828B1 (ko) 2015-07-06 2015-07-06 차량상태 적응형 부가서비스 제공 시스템, 무선통신장치 및 그 무선통신방법, 사용자단말기 및 그 구동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5635A true KR20170005635A (ko) 2017-01-16
KR102402828B1 KR102402828B1 (ko) 2022-05-27

Family

ID=579934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95955A KR102402828B1 (ko) 2015-07-06 2015-07-06 차량상태 적응형 부가서비스 제공 시스템, 무선통신장치 및 그 무선통신방법, 사용자단말기 및 그 구동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02828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68562A (ko) 2011-12-15 2013-06-26 주식회사 맨캔두코리아 스마트폰을 이용한 차량의 원격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JP2013225799A (ja) * 2012-04-23 2013-10-31 Denso Corp 走行規制プログラム、携帯端末、車両用装置、車両用通信システム
KR101459481B1 (ko) * 2013-09-16 2014-11-07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스마트 기기를 이용한 차량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50047945A (ko) * 2013-10-25 2015-05-0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탑승자 인식을 통해 관련 어플리케이션을 제어하는 스마트 기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68562A (ko) 2011-12-15 2013-06-26 주식회사 맨캔두코리아 스마트폰을 이용한 차량의 원격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JP2013225799A (ja) * 2012-04-23 2013-10-31 Denso Corp 走行規制プログラム、携帯端末、車両用装置、車両用通信システム
KR101459481B1 (ko) * 2013-09-16 2014-11-07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스마트 기기를 이용한 차량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50047945A (ko) * 2013-10-25 2015-05-0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탑승자 인식을 통해 관련 어플리케이션을 제어하는 스마트 기기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Packet Format 및 Adv ertising 방법, https://blog.naver.com/cksung71/10183530219, 2014.1.13.*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02828B1 (ko) 2022-05-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58598B2 (en) Providing communications between a vehicle control device and a user device via a head unit
CN103299505B (zh) 车辆信息管理系统、车载信息终端及车辆信息提供装置
CN105652763B (zh) 防止车辆放电的远程信息处理终端和远程信息处理中心及其控制方法
US20180107473A1 (en) Determining whether to install a vehicle system update in a vehicle
US20160170775A1 (en) Telematics update software compatibility
US10383156B2 (en) Operating a mobile hotspot at a vehicle
EP1237385A2 (en) Vehicle diagnostic system
KR101433307B1 (ko) 차량 관리 및 진단 장치
EP3559625A1 (en)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a fleet of vehicles including electric vehicles
US10985940B2 (en) Configurable OBD isolation
CN112141122B (zh) 车辆休眠异常检测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US11639142B2 (en) Electronic control module wake monitor
US11170585B2 (en) Vehicle fault diagnosis and analysis based on augmented design failure mode and effect analysis (DFMEA) data
CN105704794B (zh) 远程信息处理控制系统和方法
EP4270335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diagnostic tool detection in a telematics device
US10996255B2 (en) Voltage-characteristic-based vehicle identification number
CN109474657B (zh) 无线服务发现功能
CN204576141U (zh) 一种基于车联网的汽车远程控制系统
KR102402828B1 (ko) 차량상태 적응형 부가서비스 제공 시스템, 무선통신장치 및 그 무선통신방법, 사용자단말기 및 그 구동방법
EP4221158A1 (en)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a non-interfering mode in a telematics device
KR101781134B1 (ko) 차량 네트워크 통신보안 관리 방법
CN108604395B (zh) 用于选择性召回机动车辆的方法和系统
JP2022058420A (ja) 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CN212243228U (zh) 车载t-box监控系统和车辆
CN112255999B (zh) 总线数据采集方法及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