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05449A - 음성 채팅을 가능하게 하는 시스템, 방법 및 프로그램 - Google Patents

음성 채팅을 가능하게 하는 시스템, 방법 및 프로그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05449A
KR20170005449A KR1020167034103A KR20167034103A KR20170005449A KR 20170005449 A KR20170005449 A KR 20170005449A KR 1020167034103 A KR1020167034103 A KR 1020167034103A KR 20167034103 A KR20167034103 A KR 20167034103A KR 20170005449 A KR20170005449 A KR 201700054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voice
chat
terminal devic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341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72759B1 (ko
Inventor
마사토 우시오
텟페이 후지사와
노부히로 타카하시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디에누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디에누에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디에누에
Publication of KR201700054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54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727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727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1/00User-to-user messaging in packet-switching networks, transmitted according to store-and-forward or real-time protocols, e.g. e-mail
    • H04L51/07User-to-user messaging in packet-switching networks, transmitted according to store-and-forward or real-time protocols, e.g. e-mail characterised by the inclusion of specific contents
    • H04L51/10Multimedia inform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3/00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2Interaction with lists of selectable items, e.g.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6Sound input; Sound outpu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6Sound input; Sound output
    • G06F3/165Management of the audio stream, e.g. setting of volume, audio stream path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1/00User-to-user messaging in packet-switching networks, transmitted according to store-and-forward or real-time protocols, e.g. e-mail
    • H04L51/04Real-time or near real-time messaging, e.g. instant messaging [I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1/00Telephonic communica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ation with other electrical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1/00Telephonic communica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ation with other electrical systems
    • H04M11/06Simultaneous speech and data transmission, e.g. telegraphic transmission over the same conductors
    • H04M11/066Telephone sets adapted for data transmision

Abstract

음성 채팅에 있어서, 사용자의 발화 등 이외의 음성에 의한 커뮤니케이션을 가능하게 한다. 일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은 복수의 단말장치와, 이 단말장치와 통신 가능하게 접속된 서버를 구비하고, 단말장치의 사용자 사이의 음성 채팅을 가능하게 한다. 이 시스템에서는, 채팅단위의 멤버인 복수의 사용자 중 이 채팅단위에 참가하는 사용자의 단말장치가 이 채팅단위에 있어서의 음성 채팅을 실현하는 음성 채팅 통신을 실행하고, 이 채팅단위의 멤버인 1의 사용자의 단말장치가, 이 1의 사용자의 지시에 기초하여 이 채팅단위의 멤버인 다른 사용자의 단말장치에 대하여 이 1의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음성 파일의 재생을 요구하고, 이 다른 사용자의 단말장치가 음성 파일의 재생 요구에 응답하여 이 음성 파일을 재생한다.

Description

음성 채팅을 가능하게 하는 시스템, 방법 및 프로그램{SYSTEM, METHOD, AND PROGRAM THAT ALLOW AUDIO CHATTING}
상호참조
본 출원은 일본국 특허출원 2014-136059(2014년 7월 1일 출원)에 기초하는 우선권을 주장하고, 그 내용은 참조에 의해 전체적으로 본 명세서에 포함된다.
본 발명은 사용자 사이에서의 음성 채팅을 가능하게 하는 시스템, 방법 및 프로그램으로 한다.
최근, 스마트 폰 등의 단말 장치를 이용하여 사용자 사이에서 텍스트 메시지를 주고받는 텍스트 채팅을 행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하, 간단히 「앱」이라고 하는 경우가 있다.)이 제공되고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참조). 이러한 앱을 이용한 텍스트 채팅에서는, 2 또는 그 이상의 사용자에 의해 채팅 그룹을 작성하고, 이 채팅 그룹에 대하여 사용자가 입력한 텍스트 메시지가 이 채팅 그룹에 소속하는(채팅 그룹의 멤버이다) 각 사용자의 단말 장치 상에서 시계열로 일람 표시되도록 되어 있다.
특허문헌 1 : 특개 2014-050745호 공보
그러나, 상술한 텍스트 채팅에서는, 사용자는 종래의 전자 메일의 주고받음 등과 비교하여, 텍스트 메시지를 이용한 회화를 보다 쉽게 즐길 수 있지만, 텍스트 메시지를 이용하는 것에 기인하는 여러 가지 과제가 생길 수 있다. 예를 들면, 텍스트 메시지는 이력으로서 남기 때문에 사용자가 발언(텍스트 메시지의 송신)하는 것에 대하여 지나치게 신중하게 되거나, 사용자에 대하여 회신의 의무감을 부여하는 경우가 있다. 또한, 텍스트 메시지에 의한 커뮤니케이션은 텍스트 메시지의 입력, 송수신 및 확인(표시)에 사용자 조작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커뮤니케이션의 실시간성에도 한계가 있다.
한편, 인터넷 전화 등의 구조를 이용한 음성 채팅은 상술한 텍스트 메시지를 이용하지 않고 실시간의 커뮤니케이션이 가능하게 될 수 있지만, 종래부터의 전화를 초과하는 커뮤니케이션을 실현할 수 있다고는 말하기 어렵다. 예를 들면, 종래의 음성 채팅에서는, 음성에 의한 커뮤니케이션은 마이크를 통해 음성 입력되는 사용자의 발화(發話) 등의 주고받음으로 한정되어 버린다. 따라서, 음성 채팅에 있어서, 사용자의 발화 등 이외의 음성에 의한 커뮤니케이션을 가능하게 하는 기구의 제공이 요구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음성 채팅에 있어서, 사용자의 발화 등 이외의 음성에 의한 커뮤니케이션을 가능하게 하는 것을 하나의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다른 목적은, 본 명세서 전체를 참조함으로써 명확해진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은, 복수의 단말장치를 구비하고, 해당 단말장치의 사용자간의 음성 채팅을 가능하게 하는 시스템으로서, 음성 채팅을 실행하는 단위인 채팅단위의 멤버인 복수의 사용자 중 적어도 일부의 사용자의 단말장치가 해당 채팅단위에 있어서의 음성 채팅을 실현하는 음성 채팅 통신을 실행하고, 상기 채팅단위의 멤버인 제1 사용자의 단말장치가 해당 제1 사용자의 지시에 기초하여 해당 채팅단위의 멤버인 제2 사용자의 단말장치에 대하여 해당 제1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음성 파일의 재생을 요구하고, 상기 제2 사용자의 단말장치가 상기 음성 파일의 재생 요구에 응답하여 해당 음성 파일을 재생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복수의 단말장치의 사용자 사이의 음성 채팅을 가능하게 하는 방법에 있어서, 음성 채팅을 실행하는 단위인 채팅단위의 멤버인 복수의 사용자 중 적어도 일부의 사용자의 단말장치가 해당 채팅단위에 있어서의 음성 채팅을 실현하는 음성 채팅 통신을 실행하고, 상기 채팅단위의 멤버인 제1 사용자의 단말장치가 해당 제1 사용자의 지시에 기초하여 해당 채팅단위의 멤버인 제2 사용자의 단말장치에 대하여 해당 제1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음성 파일의 재생을 요구하고, 상기 제2 사용자의 단말장치가 상기 음성 파일의 재생의 요구에 응답하여 해당 음성 파일을 재생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프로그램은, 복수의 단말장치의 사용자 사이의 음성 채팅을 가능하게 하기 위한 프로그램에 있어서, 해당 단말장치상에서 실행됨으로써 음성 채팅을 실행하는 단위인 채팅단위의 멤버인 복수의 사용자 중 적어도 일부의 사용자의 단말장치가 해당 채팅단위에 있어서의 음성 채팅을 실현하는 음성 채팅 통신을 실행하고, 상기 채팅단위의 멤버인 제1 사용자의 단말장치가 해당 제1 사용자의 지시에 기초하여 해당 채팅단위의 멤버인 제2 사용자의 단말장치에 대하여 해당 제1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음성 파일의 재생을 요구하고, 상기 제2 사용자의 단말장치가 상기 음성 파일의 재생의 요구에 응답하여 해당 음성 파일을 재생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채팅단위」에는, 예를 들어 채팅 룸, 채팅 그룹, 채팅 세션 등이 포함된다. 또한 「음성 채팅 통신의 실행」에는, 예를 들어 상기 단말장치의 음성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음성의 음성 데이터를 다른 단말장치로 송신하고, 그 다른 단말장치의 음성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음성의 음성 데이터를 수신하는 것이 포함된다.
본 발명의 여러 가지 실시예에 의해, 음성 채팅에 있어서, 사용자의 발화 등 이외의 음성에 의한 커뮤니케이션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시스템(1)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
도 2는 일실시예에 있어서의 서버(10)가 갖는 기능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3은 일실시예에 있어서의 사용자 정보관리 테이블(51a)에 의해 관리되는 정보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일실시예에 있어서의 채팅단위 정보관리 테이블 테이블(5lb)에 의해 관리되는 정보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일실시예에 있어서의 음성 채팅용 프로그램(60)의 기능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6은 일실시예에 있어서의 음성 채팅 개시처리의 일례를 나타내는 흐름도.
도 7은 일실시예에 있어서의 음성 채팅 서비스용 화면(70)의 초기화면(70A)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
도 8은 일실시예에 있어서의 친구 일람 화면(80)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
도 9는 일실시예에 있어서의 음성 채팅 서비스용 화면(70)의 친구 상세 화면(70B)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
도 10은 일실시예에 있어서의 음성 채팅 서비스용 화면(70)의 음성 채팅 화면(70C)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
도 11은 일실시예에 있어서의 초대 통지 화면(110)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
도 12는 일실시예에 있어서의 음성 채팅 서비스용 화면(70)의 음성 채팅 화면(70C)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
도 13은 일실시예에 있어서의 홈 화면(100)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
도 14는 일실시예에 있어서의 음성 채팅 서비스용 화면(70)의 음성 채팅 화면(70C)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
도 15는 일실시예에 있어서의 음성 채팅 서비스용 화면(70)의 음성 채팅 화면(70C)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
도 16은 일실시예에 있어서의 음성 채팅 서비스용 화면(70)의 음성 채팅 화면(70C)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
도 17은 일실시예에 있어서의 음성 채팅 서비스용 화면(70)의 음성 채팅 화면(70C)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
도 18은 일실시예에 있어서의 음성 채팅 서비스용 화면(70)의 음성 채팅 화면(70C)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
도 19는 일실시예에 있어서의 음성 채팅 서비스용 화면(70)의 음성 채팅 화면(70C)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
도 20은 일실시예에 있어서의 음성 채팅 서비스용 화면(70)의 음성 채팅 화면(70C)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시스템(1)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일실시예에 따른 시스템(1)은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복수의 단말장치(30)와, 이 단말장치(30)와 인터넷 등의 통신망(20)을 통해 통신 가능하게 접속된 서버(10)를 구비하고, 단말장치(30)의 사용자 사이에서 음성 채팅을 가능하게 한다.
일실시예에 있어서의 서버(10)는 음성 채팅 서비스 외에, 온라인 게임, 전자서적, 동영상 콘텐츠, 및 음악 콘텐츠 등의 여러가지 디지털 콘텐츠의 제공 서비스, 텍스트 채팅(미니 메일), 서클, 아바타, 일기, 전언판, 및 인사 등의 여러가지 사용자 사이의 커뮤니케이션 기능을 실현하는 커뮤니케이션 플랫폼(SNS 플랫폼) 서비스, 및 전자상거래 서비스 등의 여러 가지 인터넷 서비스를, 단말장치(30)를 조작하는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일실시예에 있어서의 서버(10)는 일반적인 컴퓨터로서 구성되어 있고, 도시하는 바와 같이, CPU(컴퓨터 프로세서)(11)와, 메인 메모리(12)와, 사용자 I/F(13)와, 통신 I/F(14)와, 스토리지(15)와, 디스크 드라이브(16)를 포함하고, 이들의 각 구성요소가 버스(17)를 통해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CPU(11)는 스토리지(15)로부터 오퍼레이팅 시스템이나 기타 여러 가지 프로그램을 메인 메모리(12)에 로드하고, 이 로드한 프로그램에 포함되는 명령을 실행한다. 메인 메모리(12)는 CPU(11)가 실행하는 프로그램을 저장하기 위해 이용되고, 예를 들면, DRAM 등에 의해 구성된다. 더욱이, 일실시예에 있어서의 서버(10)는 각각 상술한 바와 같은 하드웨어 구성을 갖는 복수의 컴퓨터를 이용하여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 I/F(13)는 예를 들어 오퍼레이터의 입력을 접수하는 키보드나 마우스 등의 정보 입력 장치와, CPU(11)의 연산 결과를 출력하는 액정 디스플레이 등의 정보 출력 장치를 포함한다. 통신 I/F(14)는 하드웨어, 펌웨어 또는 TCP/IP 드라이버나 PPP 드라이버 등의 통신용 소프트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서 실장되고, 통신망(20)을 통해 단말 장치(30)와 통신 가능하게 구성된다.
스토리지(15)는 예를 들어 자기 디스크 드라이브로 구성되고, 각종 서비스의 제공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용 프로그램 등의 여러 가지 프로그램이 기억된다. 또한, 스토리지(15)에는 각종 서비스의 제공에서 이용되는 각종 데이터도 기억될 수 있다. 스토리지(15)에 기억될 수 있는 각종 데이터는 서버(10)와 통신 가능하게 접속되는 서버(10)와는 물리적으로 별개의 데이터베이스 서버 등에 저장되어도 된다. 디스크 드라이브(16)는 CD-ROM, DVD-ROM, DVD-R 등의 각종 기억 미디어에 저장된 데이터를 판독하고, 또는 이들의 기억 미디어에 데이터를 기입한다.
일실시예에 있어서, 서버(10)는 계층구조의 복수의 웹페이지로 이루어지는 웹사이트를 관리하는 웹서버로서도 기능하고, 이러한 웹사이트를 통해 상술한 여러 가지 인터넷 서비스를 단말 장치(30)에 대하여 제공할 수 있다. 스토리지(15)에는 이 웹페이지에 대응하는 HTML 데이터도 기억될 수 있다. HTML 데이터는 여러 가지 화상 데이터가 관련지어지고, 또한, JavaScript(등록상표) 등의 스크립트 언어 등으로 기술된 여러 가지 프로그램이 매립될 수 있다.
또한, 일실시예에 있어서 서버(10)는 단말 장치(30)에 있어서 웹브라우저 이외의 실행 환경 상에서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상술한 여러 가지 인터넷 서비스를 단말 장치(30)에 대하여 제공할 수 있다. 스토리지(15)에는 이러한 애플리케이션도 기억될 수 있다. 이 애플리케이션은 예를 들어 Objective-C나 Java(등록상표) 등의 프로그래밍 언어를 이용하여 작성되고, 여러 가지 화상데이터가 포함될 수 있다. 스토리지(15)에 기억된 애플리케이션은 전송 요구에 상응하여 단말 장치(30)로 전송된다. 더욱이, 단말 장치(30)는 이러한 애플리케이션을 서버(10) 이외의 다른 서버(앱스토어를 제공하는 서버) 등으로부터 다운로드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서버(10)는 각종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웹사이트를 관리하고, 해당 웹사이트를 구성하는 웹페이지(HTML 데이터)를 단말 장치(30)로부터의 요구에 응답하여 전송함으로써, 단말 장치(30)의 사용자에 대하여 각종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서버(10)는 이러한 웹페이지(웹브라우저)를 이용한 서비스의 제공과는 대체적으로, 또는 이것에 덧붙여서, 단말 장치(30)에 있어서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과의 통신에 기초하여 각종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어떤 형태로 서비스를 제공한다고 해도 서버(10)는 각종 서비스의 제공에 필요한 각종 데이터(화면표시에 필요한 데이터를 포함한다)를 단말 장치(30)와의 사이에서 송수신할 수 있다. 또한, 서버(10)는 각 사용자를 식별하는 식별 정보(예를 들면, 사용자 ID)마다 서비스의 제공에 필요한 각종 데이터를 기억함으로써, 사용자마다 서비스의 제공 상황(예를 들면, 게임의 진행 상황 등)을 관리할 수 있다.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지만, 서버(10)는 서비스의 제공을 시작할 때의 사용자의 인증처리나 서비스의 제공에 상응하여 발생하는 과금 처리 등을 행하는 기능을 가질 수도 있다.
일실시예에 있어서의 단말 장치(30)는 서버(10)가 제공하는 웹사이트의 웹페이지를 웹브라우저 상에서 표시하는 동시에,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기 위한 실행 환경을 실장한 임의인 정보 처리 장치이며, 퍼스널 컴퓨터, 스마트 폰, 태블릿 단말, 웨어러블 디바이스, 및 게임 전용 단말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단말 장치(30)는 일반적인 컴퓨터로서 구성되고,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CPU(컴퓨터 프로세서)(31)와, 메인 메모리(32)와, 사용자 I/F(33)와, 통신 I/F(34)와, 스토리지(35)를 포함하고, 이들의 각 구성 요소가 버스(36)를 통해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CPU(31)는 스토리지(35)로부터 오퍼레이팅 시스템이나 기타 여러 가지 프로그램을 메인 메모리(32)에 로드하고, 이 로드한 프로그램에 포함되는 명령을 실행한다. 메인 메모리(32)는 CPU(31)가 실행하는 프로그램을 저장하기 위해 이용되고, 예를 들어 DRAM 등에 의해 구성된다.
사용자 I/F(33)는 예를 들어 사용자의 입력을 접수하는 터치패널, 키보드, 버튼 및 마우스 등의 정보 입력 장치와, CPU(31)의 연산 결과를 출력하는 액정 디스플레이 등의 정보 출력 장치를 포함한다. 또한, 사용자 I/F(33)는 음성을 입력하여 전기신호로 변환하는 일반적인 마이크(33a)(음성 입력부)와, 전기 신호를 음성으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일반적인 스피커(음성 출력부)(33b)를 포함한다. 통신 I/F(34)는 하드웨어, 펌웨어 또는 TCP/IP 드라이버나 PPP 드라이버 등의 통신용 소프트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서 실장되고, 통신망(20)을 통해 서버(10)와 통신 가능하게 구성된다.
스토리지(35)는 예를 들어 자기디스크 드라이브나 플래쉬 메모리 등에 의해 구성되고, 오퍼레이팅 시스템 등의 여러 가지 프로그램이 기억된다. 또한, 스토리지(35)는 서버(10) 등으로부터 수신한 여러 가지 애플리케이션이 기억될 수 있다.
단말 장치(30)는 예를 들어 HTML 형식의 파일(HTML 데이터)을 해석하여 화면표시하기 위한 웹브라우저를 구비하고 있고, 이 웹브라우저의 기능에 의해 서버(10)로부터 취득한 HTML 데이터를 해석하여, 수신한 HTML 데이터에 대응하는 웹페이지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단말 장치(30)의 웹브라우저에는 HTML 데이터에 관련지어진 여러 가지 형식의 파일을 실행할 수 있는 플러그인 소프트가 내장될 수 있다.
단말 장치(30)의 사용자가 서버(10)에 의해 제공되는 각종 서비스를 받을 때에는, 예를 들어 HTML 데이터나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지시된 애니메이션이나 조작용 아이콘 등이 단말 장치(30)에 화면 표시된다. 사용자는 단말 장치(30)의 터치패널 등을 이용하여 각종 지시를 입력할 수 있다.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지시는 단말 장치(30)의 웹브라우저나 NgCore(상표) 등의 애플리케이션 실행 환경의 기능을 통해 서버(10)에 전달된다.
이어서, 이와 같이 구성된 일실시예에 있어서의 서버(10)가 갖는 기능에 대하여 설명한다. 일실시예에 있어서의 서버(10)는 상술한 여러 가지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여러 가지 기능을 갖지만, 여기에서는 상술한 음성 채팅을 관리하기 위한 기능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2는 일실시예에 있어서의 서버(10)가 갖는 기능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서버(10)는 도시하는 바와 같이 여러 가지 정보를 기억하는 정보 기억부(51)와, 요구원 사용자의 단말 장치(30)로부터 음성 채팅에 초대하는 초대 사용자와의 음성 채팅의 개시 요구를 수신하는 것에 응답하여, 초대 사용자의 단말 장치(30)에 대하여 소정의 통지 정보를 송신하는 통지 정보 송신부(52)와, 요구원 사용자 및 초대 사용자가 음성 채팅을 실행할 수 있는 실행 가능 상태가 되는 것을 감시하는 상태 감시부(53)와, 요구원 사용자 및 초대 사용자가 상술한 실행 가능 상태가 되었을 때에 요구원 사용자의 단말 장치(30)와 초대 사용자의 단말 장치(30) 사이의 음성 채팅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음성 채팅 제어부(54)를 갖는다. 이들 기능은 서버(10)의 CPU(11)나 메인 메모리(12) 등의 하드웨어와, 스토리지(15) 등에 기억되어 있는 각종 프로그램 등의 소프트웨어가 협동하여 동작함으로써 실현되고, 예를 들면 상술한 각 기능에 대응하는 1 또는 복수의 컴퓨터 프로그램에 포함되는 명령을 서버(10)의 CPU(11)가 실행함으로써 실현된다.
정보 기억부(51)는 서버(10)의 스토리지(15) 등에 의해 실현되고, 사용자에 관한 사용자 정보를 관리하는 사용자 정보관리 테이블(51a)과, 사용자 사이에서 실행되는 음성 채팅의 단위인 채팅단위에 관한 채팅단위 정보를 관리하는 채팅단위 정보관리 테이블(5lb)을 갖는다. 도 3은 일실시예의 사용자 정보관리 테이블(51a)에 있어서 관리되는 정보의 일례를 나타낸다. 사용자 정보관리 테이블(51a)은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각각의 사용자를 식별하는 「사용자 ID」에 대응지어, 이 사용자의 「기본 정보」(예를 들면, 닉네임, 성별, 연령, 및 사용자 화상 등이 포함된다), 이 사용자의 친구(예를 들면, 일방의 사용자에 의한 친구 신청을 타방의 사용자가 수락함으로써 성립한다)에 관한 정보를 나타내는 「친구 정보」, 이 사용자가 보유하는 음성 스탬프에 관한 정보를 나타내는 「음성 스탬프 정보」, 이 사용자의 음성 채팅 서비스로의 로그인 상태(온라인 상태)를 나타내는 「로그인 상태」등의 정보를 관리한다.
여기서, 상술한 「음성 스탬프」에 대하여 설명한다. 음성 스탬프는 일실시예에 있어서의 음성 채팅 서비스에서 이용 가능한 음성 파일이며, 각 사용자의 단말 장치(30) 상에서 재생(음성 출력)되는 것이다. 음성 스탬프는 예를 들어 WAV나 AIFF 등의 파일 포맷이 적용된 음성 파일로서 구성된다. 일실시예에서는, 사용자가 보유하는 음성 스탬프는 이 사용자의 단말 장치(30) (예를 들면, 스토리지(35))에 저장되는 동시에, 서버(10)(예를 들면, 스토리지(15))에도 중복하여 저장되고, 자동적으로 또는 사용자에 의한 조작에 상응하여, 단말 장치(30) 및 서버(10)에 저장되어 있는 음성 스탬프가 동기한다. 사용자는, 예를 들어, 구입하거나 또는 다른 사용자 등으로부터 선물을 받음으로써 음성 스탬프를 입수할 수 있다. 또한, 일실시예에 있어서 사용자가 음성 채팅 서비스에서 이용 가능한 음성 스탬프를 스스로 작성(녹음)할 수도 있다. 상술한 사용자 정보관리 테이블(51a)의 「음성 스탬프 정보」에는, 예를 들어 개개의 음성 스탬프(음성 파일)을 식별하는 식별 정보(파일명을 포함한다)나 이 음성 스탬프의 아이콘, 명칭, 설명 등의 정보가 포함된다.
도 4는 일실시예의 채팅단위 정보관리 테이블(5lb)에서 관리되는 정보의 일례를 나타낸다. 채팅단위 정보관리 테이블(5lb)은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각각의 채팅단위를 식별하는 「채팅단위 ID」에 대응지어, 이 채팅단위의 멤버인 사용자에 관한 정보를 나타내는 「멤버 정보」 등의 정보를 관리한다. 일실시예에 있어서의 「채팅단위」는 상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 사이에서 실행되는 음성 채팅의 단위이며, 채팅 룸, 채팅 그룹 등으로 불리울 수도 있다. 「멤버 정보」는 이 채팅단위에 소속하는 멤버인 각 사용자의 「사용자 ID」, 각 사용자가 이 채팅단위에서의 음성 채팅을 실행할 수 있는 실행 가능 상태인지의 여부를 나타내는 「실행 가능 플래그」 등의 정보가 포함된다. 일실시예에 있어서, 채팅단위의 멤버는 이 채팅단위를 작성한(음성 채팅을 새롭게 시작한) 사용자, 이 사용자로부터 이 채팅단위에 초대된 사용자, 및 초대된 사용자로부터 다시 초대된 사용자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일실시예의 상태 감시부(53)는 상술한 바와 같이 요구원 사용자 및 초대 사용자(채팅단위의 멤버)가 음성 채팅을 실행할 수 있는 실행 가능 상태가 되는 것을 감시한다. 사용자의 감시는 구체적으로는 사용자에 의한 조작에 상응하여 단말 장치(30)로부터 송신되는 각종 데이터 등에 기초하여, 상술한 채팅단위 정보관리 테이블(5lb)의 「멤버 정보」에 있어서의 「실행 가능 플래그」를 갱신함으로써 행해진다. 상세한 것은 후술한다.
일실시예에 있어서의 음성 채팅 제어부(54)는 상술한 바와 같이 요구원 사용자 및 초대 사용자가 실행 가능 상태가 되었을 때에, 요구원 사용자의 단말 장치(30)와 초대 사용자의 단말 장치(30) 사이의 음성 채팅 통신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채팅단위의 멤버인 사용자 수가 3 이상인 경우에는, 2 이상의 사용자가 실행 가능 상태가 되었을 때에, 실행 가능 상태가 된 사용자의 단말 장치(30) 사이에서의 음성 채팅 통신을 가능하게 한다. 음성 채팅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것은,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각 단말 장치(30)의 마이크(33a)를 통해 입력되는 음성의 음성 데이터가 다른 단말 장치(30)로 송신되도록 함으로써 실현된다. 이 경우, 각 단말 장치(30)로부터의 음성 데이터를 서버(10)가 수신하여 다른 단말 장치(30)에 대하여 송신하도록 해도 되고, 각 단말 장치(30)로부터의 음성 데이터가 직접 다른 단말 장치(30)로 송신되도록 해도 되고, 각 단말 장치(30)로부터의 음성 데이터가 서버(10) 이외의 다른 컴퓨터를 통해 다른 단말 장치(30)로 송신되도록 해도 된다. 즉, 서버(10)의 음성 채팅 제어부(54)의 기능의 일부 또는 전부는 1 또는 복수의 단말 장치(30)(음성 채팅 통신을 실행하고 있는 단말 장치(30) 및 음성 채팅 통신을 실행하고 있지 않은 단말 장치(30)가 포함될 수 있다), 또는 다른 장치가 갖도록 될 수 있다. 또한, 단말 장치(30)로의 음성 데이터의 송신은 예를 들어 스트리밍 방식을 적용하여 행할 수 있다.
이어서, 단말장치(30) 상에서(CPU(31)에 의해) 실행되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음성 채팅용 프로그램(60)에 대하여 설명한다. 음성 채팅용 프로그램(60)은 단말장치(30)의 사용자가, 서버(10)가 제공하는 음성 채팅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한 프로그램이며, 예를 들면, HTML 데이터 또는 애플리케이션으로서 구성될 수 있다. 도 5는 일실시예에 있어서의 음성 채팅용 프로그램(60)의 기능(모듈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일실시예의 음성 채팅용 프로그램(60)은, 도시하는 바와 같이, 다른 단말장치(30)와의 음성 채팅 통신을 실행하는 음성채팅 통신 실행모듈(61)과, 사용자의 지시에 기초하여 이 사용자가 멤버인 채팅단위의 멤버인 다른 사용자의 단말장치(30)에 대하여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음성 스탬프(음성 파일)의 재생을 요구하는 음성 스탬프 재생 요구모듈(62)과, 음성 스탬프의 재생의 요구에 응답하여 이 음성 파일을 재생하는 음성 스탬프 재생모듈(63)을 구비한다. 음성채팅 통신 실행모듈(61)은,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단말장치(30)의 마이크(33a)를 통해 입력되는 음성의 음성 데이터를 송신하고, 다른 단말장치(30)의 마이크(33a)를 통해 입력된 음성의 음성 데이터를 수신하여 스피커(33b)를 통해 음성으로서 출력한다. 음성채팅 통신 실행모듈(61)은 상술한 서버(10)의 음성 채팅 제어부(54)와 협동하여 동작할 수 있다.
이어서, 일실시예에 있어서의 시스템(1)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6은 단말장치(30)의 사용자가 음성 채팅을 새롭게 시작할 때에 서버(10)에 의해 실행되는 음성 채팅 개시처리의 일례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이 음성 채팅 개시처리는, 단말장치(30)의 사용자로부터 음성 채팅의 개시 요구를 수신했을 때에 실행된다. 일실시예에서는, 사용자에 의한 음성 채팅의 개시 요구는, 단말장치(30)에 표시되는 음성 채팅 서비스용 화면(70)을 통해 행해진다. 여기서, 일실시예에 있어서의 음성 채팅 서비스용 화면(70)에 대하여 설명한다.
음성 채팅 서비스용 화면(70)은, 음성 채팅용 프로그램(60)이 단말장치(30)에 있어서 실행되었을 때에 표시되는 화면이며, 서버(10)가 제공하는 음성 채팅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 이용된다. 도 7은 음성 채팅 서비스용 화면(70)의 초기 화면(70A)의 일례이다. 음성 채팅 서비스용 화면(70)은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단에 위치하는 메인 영역(72)과, 하단 좌측에 위치하고 음성 채팅 서비스에 관한 여러 가지 정보를 사용자에게 통지하는 스트림 영역(74)과, 하단 우측에 위치하고 음성 스탬프에 관한 정보를 표시하는 스탬프 영역(76)을 구비한다. 메인 영역(72)은 음성 채팅 서비스의 이용 장면에 상응한 여러 가지 정보가 표시된다. 스트림 영역(74) 및 스탬프 영역(76)은, 도시하는 바와 같이, 탭 형식의 영역으로서 구성되어 있고, 탭을 선택하는 것에 의한 전환 표시가 가능하게 되어 있다. 도 6에 예시하는 초기화면(70A)에서는, 메인 영역(72)에는 「회화를 시작한다」고 표시된 개시버튼(72a)이 배치되어 있다. 이 개시버튼(72a)은 사용자가 음성 채팅을 새롭게 시작하는(채팅단위를 작성하는) 것을 지시하기 위한 버튼이다. 더욱이, 초기화면(70A)의 메인 영역(72)에서, 과거에 실행한 음성 채팅(채팅단위)의 이력을 표시하는 것도 가능하다.
사용자가 개시버튼(72a)을 선택하면, 도 8에 예시하는 친구 일람 화면(80)이 음성 채팅 서비스용 화면(70)(초기화면(70A))에 대하여 오버레이 표시된다. 친구 일람 화면(80)은 도시하는 바와 같이 단말 장치(30)의 사용자의 친구에 관한 정보(예를 들면, 사용자 화상 및 닉네임 등)가 일람 표시된다. 사용자의 친구는 사용자 정보관리 테이블(51a)의 「친구 정보」에서 관리되고 있고, 친구 일람 화면(80)에 표시하는 정보는 단말 장치(30)로부터의 요구에 응답하여 서버(10)로부터 송신된다. 일실시예에서는, 일람 표시되어 있는 친구 중, 음성 채팅 서비스에 로그인하고 있는 사용자(사용자 정보관리 테이블(51a)의 「로그인 상태」에서 관리되고 있다)는 사용자 화상의 좌상단에 로그인 인디케이터(82)가 겹쳐 표시되고, 이로 인해 사용자는 친구의 로그인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사용자가 친구 일람 화면(80)에 일람 표시되어 있는 복수의 친구 중에서 음성 채팅에 초대하기를 원하는 사용자(친구)를 선택하면, 음성 채팅 서비스용 화면(70)은 도 9에 예시하는 친구 상세 화면(70B)으로 천이한다. 이 친구 상세 화면(70B)에서는, 도시하는 바와 같이 메인 영역(72)에는 선택된 사용자(이 예에서는, 사용자 B)에 관한 기본 정보가 표시되는 동시에, 스탬프 영역(76)에는 이 선택되어 있는 사용자가 보유하는 음성 스탬프에 관한 정보(예를 들면, 아이콘 화상, 명칭, 설명 등)이 일람 표시된다. 선택되어 있는 사용자가 보유하는 음성 스탬프에 관한 정보는 사용자 정보관리 테이블(51a)의 「음성 스탬프 정보」에서 관리되고 있다.
일실시예에서는 도 9의 친구 상세 화면(70B)의 스탬프 영역(76)에 일람 표시 되어 있는 어느 하나의 음성 스탬프를 선택함으로써, 사용자는 선택되어 있는 사용자와의 음성 채팅의 개시 요구를 행할 수 있다. 사용자가 어느 하나의 음성 스탬프를 선택하면, 구체적으로는 선택되어 있는 사용자(음성 채팅에 초대할 초대 사용자)를 특정 가능한 초대 사용자 정보, 및 선택되어 있는 음성 스탬프를 식별하는 음성 스탬프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음성 채팅의 개시 요구가 단말 장치(30)로부터 서버(10)에 대하여 송신된다.
여기서, 스탬프 영역(76)에 일람 표시되어 있는 어느 하나의 음성 스탬프를 선택하여 음성 채팅의 개시 요구를 행할 때에, 사용자가 음성 스탬프에 대응하는 음성(음성 파일의 내용)을 사전에 확인할 수 있도록 해도 된다. 예를 들면, 스탬프 영역(76)의 어느 하나의 음성 스탬프를 선택하면, 우선 선택된 음성 스탬프에 대응하는 음성 파일이 서버(10)로부터 단말 장치(30)로 송신되고, 단말 장치(30)에서 수신한 음성 파일이 재생된다. 그 후, 사용자에 의한 확정 조작 등(예를 들면, 확정버튼의 선택 등)에 상응하여 음성 채팅의 개시 요구가 행해지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단말 장치(30)의 사용자의 조작에 상응하여, 선택되어 있는 사용자가 보유하는 음성 스탬프(음성 파일)의 전부 또는 일부를 단말 장치(30)의 사용자를 입수할 수 있도록 해도 된다. 이 경우, 입수한 음성 스탬프는 단말 장치(30)에 다운로드되어 스토리지(35) 등에 기억된다.
음성 스탬프가 선택되어 음성 채팅의 개시 요구가 행해지면, 음성 채팅 서비스용 화면(70)은 도 10에 예시하는 음성 채팅 화면(70C)으로 천이한다. 음성 채팅 화면(70C)은 사용자가 음성 채팅을 행할 때에 단말 장치(30) 상에 표시되는 화면이며, 도시하는 바와 같이 메인 영역(72)에는 중앙에 배치되는 마이크 아이콘(92)과, 이 음성 채팅(채팅단위)에 새롭게 다른 사용자를 초대하기 위한 초대 아이콘(94)과, 이 채팅단위의 멤버인 다른 사용자(단말 장치(30)의 사용자 이외의 사용자)를 사용자마다 표시하는 사용자 아이콘(96)을 갖는다. 마이크 아이콘(92)은 사용자가 선택함으로써 단말 장치(30)의 마이크(33a)를 유효화/무효화할 수 있는 소위 뮤트 기능에 대응하는 아이콘으로서도 구성되어 있다. 일실시예에 있어서, 사용자 아이콘(96)은 이 사용자의 음성 채팅 서비스로의 로그인 상태, 및 이 음성 채팅(채팅단위)을 실행할 수 있는 실행 가능 상태인지의 여부(즉, 이 음성 채팅에 참가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인식할 수 있도록 표시된다. 예를 들면, 도 10의 예에서는 상술한 로그인 인디케이터(82)에 의해 사용자의 로그인 상태를 인식할 수 있고, 또한 사용자 아이콘(96)의 표시 형태에 따라 사용자가 이 음성 채팅을 실행할 수 있는 실행 가능 상태인지의 여부를 인식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예를 들면, 이 음성 채팅을 실행할 수 있는 실행 가능 상태가 아닌 사용자는 사용자 아이콘(96)이 그레이 아웃 표시되는 등).
여기서, 일실시예에 있어서 음성 채팅 화면(70C)의 메인 영역(72)은 단말 장치(30)의 사용자가 멤버로 되어 있는 복수의 채팅단위 중, 1의 채팅단위에 관한 정보가 표시되고, 사용자에 의한 조작(예를 들면, 플릭 조작)에 의해 표시하는 채팅단위를 선택할 수 있도록(전환되도록) 되어 있다.
도 6의 흐름도로 돌아가서, 단말 장치(30)로부터 음성 채팅의 개시 요구를 수신하면, 서버(10)는 우선 채팅단위를 설정한다(스텝S100). 이 처리는 서버(10)의 상태 감시부(53)에 의해 실행된다. 구체적으로는 채팅단위 정보관리 테이블(5lb)에 새롭게 레코드를 작성하고, 유니크한 값을 생성하여 「채팅단위 ID」로 설정하고, 음성 채팅의 요구원 사용자, 및 음성 채팅에 초대된 초대 사용자에 관한 정보를 「멤버 정보」로 설정한다. 여기서 「멤버 정보」의 「실행 가능 플래그」에는, 이 단계에서는 요구원 사용자에 대해서는 실행 가능 상태인 것을 나타내는 값(예를 들면, 값 「1」)이 설정되고, 초대 사용자에 대해서는 실행 가능 상태가 아닌 것을 나타내는 값(예를 들면, 값 「0」)이 설정된다.
이어서, 초대 사용자의 단말 장치(30)에 대하여 음성 채팅으로의 초대에 관한 푸쉬 통지를 행하여(스텝 S110), 이 음성 채팅 개시처리를 종료한다. 이 처리는 서버(10)의 통지 정보 송신부(52)에 의해 실행된다. 구체적으로는, 요구원 사용자로부터 음성 채팅에 초대된 것을 통지하는 통지 정보 및 요구원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음성 스탬프의 식별 정보를 초대 사용자의 단말 장치(30)에 대하여 송신한다.
이와 같이, 일실시예에서는 음성 채팅의 개시 요구가 행해지면, 이 음성 채팅에 초대된 초대 사용자에 대하여 통지 정보가 송신되고, 그 후 상술한 상태 감시부(53) 및 음성 채팅 제어부(54)의 기능에 의해 요구원 사용자 및 초대 사용자가 이 음성 채팅을 실행할 수 있는 실행 가능 상태가 되었을 때에 요구원 사용자의 단말 장치(30)와 초대 사용자의 단말 장치(30) 사이의 음성 채팅 통신이 가능해진다. 이하, 초대 사용자에 대하여 통지 정보가 송신된 후, 음성 채팅 통신이 가능하게 될 때까지의 구체적인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서버(10)로부터 음성 채팅의 초대에 관한 푸쉬 통지(통지 정보 및 음성 스탬프 식별 정보)를 수신한 초대 사용자의 단말 장치(30)에서는, 푸쉬 통지를 수신했을 때의 초대 사용자의 상태에 상응한 동작이 행해진다. 예를 들면, 초대 사용자가 음성 채팅 서비스에 로그인하고 있는 상태(예를 들면, 음성 채팅용 프로그램(60)이 실행되어 있는 상태)이며, 또한 다른 사용자와의 음성 채팅(다른 채팅단위에서의 음성 채팅)을 행하고 있지 않은 상태일 경우에는, 도 11에 예시하는 초대 통지 화면(110)이 음성 채팅 서비스용 화면(70)에 오버레이 표시된다. 초대 통지 화면(110)은,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음성 채팅의 요구원 사용자(이 예에서는, 사용자 X)에 관한 정보가 표시되고, 음성 채팅으로의 초대를 수락하기 위한 수락버튼(112)과, 음성 채팅으로의 초대를 거부하기 위한 거부버튼(114)이 배치되어 있다. 초대를 수락 또는 거부할 때의 동작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또한, 예를 들어 초대 사용자가 음성 채팅 서비스에 로그인하고 있는 상태이며, 또한 다른 사용자와의 음성 채팅을 행하고 있는 상태인 경우에는 도 12에 예시하는 바와 같이, 음성 채팅 서비스용 화면(70)(음성 채팅 화면(70C))의 스트림 영역(74)에서, 음성 채팅의 초대에 관한 푸쉬 통지를 수신한 취지가 표시된다. 구체적으로는, 스트림 영역(74)에서 새롭게 수신하고 있는 통지수를 나타내는 신착 통지수 영역(74a)의 내용(통지수)이 갱신되는 동시에, 요구원 사용자의 사용자 화상(74b)이 「초대를 수령」이라는 텍스트와 함께 표시된다. 그리고, 초대 사용자가 스트림 영역(74) 내의 사용자 화상(74b)을 선택하면, 상술한 초대 통지 화면(110)이 오버레이 표시된다.
또한, 예를 들어 초대 사용자가 음성 채팅 서비스에 로그인하고 있지 않은 상태(예를 들면, 음성 채팅용 프로그램(60)이 실행되고 있지 않은 상태)일 경우에는, 단말 장치(30)의 오퍼레이팅 시스템의 기능에 의한 통지 표시가 이루어진다. 도 13은 오퍼레이팅 시스템의 기능에 의한 통지 표시가 이루어져 있는 단말 장치(30)의 홈 화면(오퍼레이팅 시스템의 기능에 의한 화면)(100)의 일례이다. 도시하는 바와 같이, 홈 화면(100)의 화면 상단에 위치하는 통지 정보 표시 영역(102)에 사용자에 대한 푸쉬 통지의 존재를 나타내는 아이콘이 표시된다. 그리고, 사용자가 이 아이콘에 대응하는 푸쉬 통지를 선택하면, 예를 들어 음성 채팅용 프로그램(60)이 실행(기동)되는 동시에, 음성 채팅 서비스에 로그인하고, 초대 통지 화면(110)이 오버레이 표시된 음성 채팅 서비스용 화면(70)이 표시된다.
여기서, 일실시예에서는 초대 사용자의 단말 장치(30)에서 상술한 초대 통지 화면(110)이 표시되는 타이밍에서, 통지 정보와 함께 수신한 음성 스탬프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음성 스탬프(음성 파일)가 재생된다. 구체적으로는, 단말 장치(30)는 스토리지(35)에 기억되어 있는 복수의 음성 스탬프(음성 파일) 중에서 수신한 음성 스탬프 식별 정보가 식별하는 음성 스탬프를 특정하여 재생한다. 음성 스탬프(음성 파일)의 재생은, 예를 들어 음성 채팅용 프로그램(60)(음성 스탬프 재생모듈(63))의 기능, 다른 애플리케이션의 기능, 또는 오퍼레이팅 시스템의 기능을 이용하여 실행될 수 있다. 여기서, 음성 스탬프를 재생하는 타이밍은 초대 통지 화면(110)이 표시되는 타이밍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초대 사용자가 다른 사용자와의 음성 채팅을 행하고 있는 상태인 경우에 있어서, 초대 통지 화면(110)이 표시되는 것 보다도 전에(예를 들면, 스트림 영역(74)에 푸쉬 통지를 수신한 취지가 표시되는 타이밍에서) 음성 스탬프가 재생되도록 해도 된다. 또한, 예를 들어 초대 사용자가 음성 채팅 서비스에 로그인하고 있지 않은 상태인 경우에 있어서, 오퍼레이팅 시스템의 기능에 의한 통지 표시가 이루어지는 타이밍에서 음성 스탬프가 재생되도록 해도 된다.
이와 같이 단말 장치(30)에서 표시된 초대 통지 화면(110)을 통해 초대 사용자는 요구원 사용자로부터의 음성 채팅으로의 초대를 수락할지 거부할지를 선택할 수 있다. 초대 사용자가 초대 통지 화면(110)의 수락버튼(112)을 선택하면, 초대 사용자가 음성 채팅으로의 초대를 수락한 것을 나타내는 수락 정보가 단말 장치(30)로부터 서버(10)에 대하여 송신된다. 그리고, 단말 장치(30)로부터 수락 정보를 수신하면, 서버(10)의 상태 감시부(53)는 초대 사용자가 이 음성 채팅(채팅단위)을 실행할 수 있는 실행 가능 상태가 되도록 채팅단위 정보관리 테이블(5lb)을 갱신한다. 구체적으로는, 대응하는 채팅단위의 「멤버 정보」에 있어서의 초대 사용자의 「실행 가능 플래그」를 실행 가능 상태인 것을 나타내는 값으로 변경한다.
한편, 초대 사용자가 초대 통지 화면(110)의 거부버튼(114)을 선택하면, 초대 사용자가 음성 채팅으로의 초대를 거부한 것을 나타내는 거부 정보가 단말 장치(30)로부터 서버(10)에 대하여 송신된다. 그리고, 단말 장치(30)로부터 거부 정보를 수신하면, 서버(10)의 상태 감시부(53)는 이 채팅단위의 멤버로부터 초대 사용자가 삭제되도록 채팅단위 정보관리 테이블(5lb)을 갱신한다. 구체적으로는, 대응하는 채팅단위의 「멤버 정보」로부터 초대 사용자에 관한 정보를 삭제한다. 이 경우, 서버(10)의 통지 정보 송신부(52)가 요구원 사용자의 단말 장치(30)에 대하여 초대 사용자에 의한 초대의 거부에 관한 푸쉬 통지를 행하도록 해도 된다.
여기서, 초대 사용자가 음성 채팅으로의 초대를 수락하여 이 음성 채팅(채팅단위)을 실행할 수 있는 실행 가능 상태가 되었을 때에, 요구원 사용자가 실행 가능 상태를 유지하고 있는 경우에는 요구원 사용자와 초대 사용자의 양쪽이 실행 가능 상태가 되기 때문에, 서버(10)의 음성 채팅 제어부(54)의 상술한 기능에 의해 요구원 사용자의 단말 장치(30)와 초대 사용자의 단말 장치(30) 사이의 음성 채팅 통신이 가능하게 되고, 음성 채팅용 프로그램(60)의 음성 채팅 통신 실행모듈(61)의 기능에 의해 단말장치(30) 사이에서의 음성 채팅 통신이 실행된다. 도 14는 이 때에 초대 사용자의 단말 장치(30)에 표시되는 음성 채팅 화면(70C)의 일례이다. 도시하는 바와 같이, 메인 영역(72)에서, 음성 채팅의 요구원 사용자(사용자 X)에 대응하는 사용자 아이콘(96)이 표시되어 있다. 또한, 스탬프 영역(76)에는 음성 채팅(채팅단위)의 멤버인 요구원 사용자가 보유하는 음성 스탬프에 관한 정보가 일람 표시된다. 더욱이, 요구원 사용자의 단말 장치(30)에서도, 도 14에 예시한 음성 채팅 화면(70C)과 동일한 음성 채팅 화면(70C)이 표시된다.
이렇게 해서 요구원 사용자의 단말 장치(30)와 초대 사용자의 단말 장치(30) 사이의 음성 채팅 통신이 가능하게 되면, 요구원 사용자 및 초대 사용자는 음성 채팅을 실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각 사용자의 단말 장치(30)의 마이크(33a)를 통해 입력된 음성의 음성 데이터가 다른 사용자의 단말 장치(30)로 송신되어 스피커(33b)로부터 음성 출력된다.
한편, 초대 사용자가 음성 채팅으로의 초대를 수락하여 이 음성 채팅을 실행할 수 있는 실행 가능 상태로 되었을 때에, 요구원 사용자가 실행 가능 상태가 아닌 경우에는 요구원 사용자의 단말 장치(30)와 초대 사용자의 단말 장치(30) 사이의 음성 채팅 통신은 가능하게 되지 않는다. 도 15는 이 때에 초대 사용자의 단말 장치(30)에 표시되는 음성 채팅 화면(70C)의 일례이다.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이 경우 메인 영역(72)에 표시되는 요구원 사용자(사용자 X)에 대응하는 사용자 아이콘(96)은 실행 가능 상태가 아닌 것을 나타내는 표시형태(예를 들면, 그레이아웃 표시)로 되어 있다. 초대 사용자가 음성 채팅으로의 초대를 수락했을 때에 요구원 사용자가 실행 가능 상태가 아닌 경우로서는, 예를 들어 음성 채팅의 개시 요구를 행한 후에, 요구원 사용자가 로그아웃한(음성 채팅용 프로그램(60)을 종료한) 경우, 다른 사용자와의 음성 채팅(다른 채팅단위에서의 음성 채팅)을 시작한 경우 등이 생각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서는, 초대 사용자가 음성 채팅으로의 초대를 수락하여 이 음성 채팅을 실행할 수 있는 실행 가능 상태가 되었을 때에 요구원 사용자가 실행 가능 상태가 아닌 경우에, 서버(10)의 통지 정보 송신부(52)에 의해 요구원 사용자의 단말 장치(30)에 대하여 초대 사용자에 의한 초대의 수락에 관한 푸쉬 통지를 행한다. 그리고, 푸쉬 통지를 수신한 요구원 사용자의 단말 장치(30)에서는 푸쉬 통지를 수신했을 때의 요구원 사용자의 상태에 상응한 동작이 행해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오퍼레이팅 시스템의 기능에 의해 초대의 수락에 관한 푸쉬 통지를 수신한 취지의 통지표시가 이루어지고, 또는 음성 채팅 화면(70C)의 스트림 영역(74)에서, 초대의 수락에 관한 푸쉬 통지를 수신한 취지가 표시된다.
도 16은 초대 사용자가 음성 채팅으로의 초대를 수락했을 때에 요구원 사용자가 다른 사용자(이 예에서는, 사용자 D 및 사용자 F)와의 음성 채팅을 실행하고 있었던 경우의, 요구원 사용자의 단말 장치(30)에 표시되는 음성 채팅 화면(70C)의 일례이다.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음성 채팅 화면(70C)의 스트림 영역(74)에서, 초대의 수락에 관한 푸쉬 통지를 수신한 취지가 표시되고, 구체적으로는 신착 통지수 영역(74a)의 내용(통지수)이 갱신되는 동시에, 초대를 수락한 초대 사용자(사용자 B)의 사용자 화상(74b)이 「초대를 수락」이라는 텍스트와 함께 표시된다. 그리고, 요구원 사용자가 스트림 영역(74) 내의 사용자 화상(74b)을 선택하면(또는, 메인 영역(72)을 플릭 조작하면), 도 17에 예시하는 바와 같이 메인 영역(72)이 초대 사용자(사용자 B)와의 음성 채팅(채팅단위)에 관한 정보의 표시로 전환된다. 이 단계에서는, 요구원 사용자는 초대 사용자와의 음성 채팅은 실행 가능 상태로 되어 있지 않고, 다른 사용자(사용자 D 및 사용자 F)와의 음성 채팅이 계속되고 있고, 메인 영역(72)의 사용자 아이콘(92)은 마이크(33a)의 무효 상태(뮤트 상태)에 대응하는 표시(무효 상태 표시)로 되어 있다.
그리고, 요구원 사용자가 무효 상태 표시의 마이크 아이콘(92)을 선택하면, 마이크 아이콘(92)은 마이크(33a)의 유효 상태(비뮤트 상태)에 대응하는 표시(유효 상태 표시)가 되고, 요구원 사용자는 초대 사용자(사용자 B)와의 음성 채팅이 실행 가능 상태가 된다(초대 사용자(사용자 B)와의 음성 채팅에 참가한다). 즉, 서버(10)의 상태 감시부(53)는 요구원 사용자가 이 초대 사용자(사용자 B)와의 음성 채팅(채팅단위)을 실행할 수 있는 실행 가능 상태가 되도록 채팅단위 정보관리 테이블(5lb)을 갱신한다. 구체적으로는, 대응하는 채팅단위의 「멤버 정보」에 있어서의 요구원 사용자의 「실행 가능 플래그」를 실행 가능 상태인 것을 나타내는 값으로 변경한다. 또한, 요구원 사용자가 다른 사용자(사용자 D 및 사용자 F)와 실행하고 있던 음성 채팅은 실행 가능 상태가 아니게 되고, 대응하는 채팅단위의 「멤버 정보」에 있어서의 요구원 사용자의 「실행 가능 플래그」는 실행 가능 상태가 아닌 것을 나타내는 값으로 변경된다. 그리고, 초대 사용자가 실행 가능 상태인 채로인 경우에는 요구원 사용자와 초대 사용자의 양쪽이 실행 가능 상태로 되기 때문에, 서버(10)의 음성 채팅 제어부(54)의 기능에 의해 요구원 사용자의 단말 장치(30)와 초대 사용자의 단말 장치(30) 사이의 음성 채팅 통신이 가능해 진다.
이와 같이, 일실시예에 있어서는 음성 채팅 화면(70C)의 메인 영역(72)에 표시되는 채팅단위를 플릭 조작 등에 의해 전환하여, 마이크 아이콘(92)을 선택(유효 상태 표시/무효 상태 표시의 전환)함으로써 단말 장치(30)의 사용자는 실행 가능 상태가 되는 채팅단위(즉, 음성 채팅을 실행하는(참가하는) 채팅단위)를 선택한다(전환한다). 다시 말하면, 단말 장치(30)(음성 채팅 화면(70C))의 조작을 통해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채팅단위가 실행 가능 상태가 되도록, 서버(10)의 상태 감시부(53)는 단말 장치(30)로부터 송신되는 데이터에 기초하여 채팅단위 정보관리 테이블(5lb)의 「실행 가능 플래그」를 갱신한다.
여기서, 일실시예에 있어서 음성 채팅을 새롭게 시작한 후(채팅단위를 작성한 후)에, 채팅단위의 멤버는 새롭게 사용자를 초대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새로운 초대 사용자에 관하여, 상술한 음성 채팅을 새롭게 개시할 때의 초대 사용자에 관한 동작과 동일한 동작이 행해진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상술한 음성 채팅 화면(70C)의 메인 영역(72)에 배치된 초대 아이콘(94)을 사용자가 선택하면, 도 8에 예시한 친구 일람 화면(80)이 오버레이 표시된다. 그리고, 일람 표시되어 있는 친구 중에서 새롭게 초대하는 원하는 사용자를 선택하면, 도 9에 예시한 친구 상세 화면(70B)으로 천이하고, 이 친구 상세 화면(70B)의 스탬프 영역(76)에 일람 표시되어 있는 어느 하나의 음성 스탬프를 선택함으로써, 선택되어 있는 사용자를 음성 채팅(채팅단위)으로 초대하기를 요구(초대 요구)할 수 있다. 단말 장치(30)로부터 초대 요구를 수신한 서버(10)의 상태 감시부(53)는 새로운 초대 사용자가 이 채팅단위의 멤버가 되도록 채팅단위 정보관리 테이블(5lb)의 「멤버 정보」를 갱신하고, 새로운 초대 사용자의 단말 장치(30)에 대하여 음성 채팅으로의 초대에 관한 푸쉬 통지를 행한다. 이후의 동작은 음성 채팅을 새롭게 시작할 때의 동작과 마찬가지이며, 예를 들어 새로운 초대 사용자가 음성 채팅으로의 초대를 수락하면, 이 새로운 초대 사용자는 이 음성 채팅을 실행할 수 있는 실행 가능 상태로 된다.
여기서, 일실시예에 있어서, 각 사용자는 자신이 멤버인 채팅단위에 있어서, 다른 사용자의 단말장치(30)에 대하여 음성 스탬프의 재생을 요구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음성 채팅 화면(70C)의 스탬프 영역(76)에 일람표시되어 있는 음성 스탬프 중에서 원하는 음성 스탬프를 선택하면, 선택된 음성 스탬프의 식별 정보가, 예를 들어 서버(10)를 통해 다른 사용자의 단말장치(30)로 송신되고, 음성 스탬프 식별 정보가 식별하는 음성 스탬프(음성 파일)가 다른 사용자의 단말장치(30)에서 재생된다.
일실시예에 있어서, 선택된 음성 스탬프의 재생 요구가 채팅단위의 멤버인 다른 사용자의 모두에 대하여 행하여지도록 해도 되고, 채팅단위의 멤버 중에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1 또는 복수의 다른 사용자에 대하여 행해지도록 해도 된다. 또한, 음성 스탬프의 재생 요구를 복수의 다른 사용자에 대하여 행하는 경우에는, 다른 사용자의 일부가 선택된 음성 스탬프를 보유하고 있지 않은 것도 생각할 수 있다. 이 경우, 다른 사용자의 단말장치(30)에 있어서 서버(10)에 기억되어 있는 음성 스탬프를 취득하여 재생(스트리밍 재생 또는 다운로드 재생 등)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자동적으로 또는 사용자에 의한 조작에 상응하여 각 사용자가 채팅단위의 멤버인 다른 사용자가 보유하는 음성 스탬프를 서버(10)로부터 취득하여 단말장치(30)에 기억할 수 있도록 해도 된다.
또한, 일실시예에 있어서, 음성 스탬프의 재생 요구는, 음성 채팅의 멤버 중, 이 음성 채팅에 참가하고 있는 다른 사용자(실행 가능 상태인 사용자), 및 이 음성 채팅에 참가하고 있지 않은 다른 사용자(실행 가능 상태가 아닌 사용자)에 대하여 행할 수 있다. 도 18은 이 음성 채팅에 참가하고 있는 다른 사용자에게 음성 스탬프의 재생을 요구한 경우의, 이 다른 사용자의 단말장치(30)에 표시되는 음성 채팅 화면(70C)의 일례이다. 이 경우, 재생의 요구원 사용자에 대응하는 사용자 아이콘(96)의 우하측 코너에 재생을 요구받은 음성 스탬프에 관한 정보(이 예에서는, 음성 아이콘(97))가 표시되고, 이것에 의해 사용자에 대하여 음성 파일의 재생 요구의 수신을 통지한다. 그리고, 이 음성 아이콘(97)을 포함하는 사용자 아이콘(96)이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면, 단말장치(30)에 있어서 음성 스탬프(음성 파일)가 재생된다. 여기서, 일실시예에 있어서, 사용자가 사용자 아이콘(96)을 선택하여 대응하는 음성 스탬프를 재생하는 것 보다 전에, 다른 음성 스탬프의 재생 요구를 수신한 경우에는, 마지막으로 수신한 재생 요구의 음성 스탬프의 음성 아이콘(97)이 표시되고, 사용자가 사용자 아이콘(96)을 선택하면, 미재생의 복수의 음성 스탬프가 연속하여 재생된다. 또한, 단말장치(30)에 있어서, 음성 스탬프의 재생 요구를 수신한 타이밍에서(예를 들면, 음성 스탬프에 관한 정보(음성 아이콘(97))를 표시할 때에) 소정의 알람음을 출력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사용자 아이콘(96)의 선택 등의 사용자의 액션이 없어도 음성 스탬프를 재생하도록 해도 된다.
도 19는 이 음성 채팅에 참가하고 있지 않은 다른 사용자에게 음성 스탬프의 재생을 요구한 경우의, 이 다른 사용자의 단말장치(30)에 표시되는 음성 채팅 화면(70C)의 일례이다. 이 경우, 실행중인(참가하고 있는) 음성 채팅(채팅단위)에 관한 정보를 표시하는 메인 영역(72)에 있어서, 다른 음성 채팅의 멤버로부터의 음성 스탬프의 재생 요구의 수신을 나타내는 수신 통지(98)가 표시된다. 일실시예에 있어서, 이 수신 통지(98)에는 음성 스탬프의 재생의 요구원 사용자에 관한 정보(예를 들면, 사용자 화상) 및 재생을 요구받은 음성 스탬프에 관한 정보(예를 들면, 음성 아이콘)가 표시된다. 사용자가 이 수신 통지(98)를 선택하면, 메인 영역(72)은 도 20에 예시하는 바와 같이, 대응하는 채팅단위(재생의 요구원 사용자가 음성 스탬프의 재생 요구를 행한 채팅단위)의 표시로 전환된다. 그리고, 사용자가 사용자 아이콘(96)을 선택하면, 단말장치(30)에 있어서 음성 스탬프가 재생된다. 도 20에 있어서 마이크 아이콘(92)을 무효상태 표시로 되어 있는 것으로부터도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이 단계에서는, 음성 스탬프를 재생한 다른 사용자가 참가하고 있던 음성 채팅(채팅단위)으로의 참가는 계속하고 있고, 이 다른 사용자가 마이크 아이콘(92)을 선택함으로써, 참가하는 음성 채팅이 전환된다.
또한, 일실시예에 있어서, 각 사용자는 자신이 멤버이며 참가하고 있지 않은 음성 채팅(채팅단위)의 다른 멤버에 대하여 음성 스탬프의 재생을 요구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면, 도 20의 음성 채팅 화면(70C)에 있어서, 마이크 아이콘(92)을 선택하여 참가하는 음성 채팅의 전환을 행하지 않고, 이 음성 채팅의 멤버인 다른 사용자(이 예에서는 사용자 B)에 대하여 음성 스탬프의 재생을 요구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일실시예에서는, 채팅단위의 멤버 내에서, 음성 채팅으로의 참가 상태에 관계없이, 다른 사용자의 단말장치(30) 상에서의 음성 스탬프의 재생(사용자측에서 보면, 다른 사용자에 대한 음성 스탬프의 「송신」이라고 말할 수도 있다)을 즐길 수 있다. 예를 들면, 참가하는 채팅단위에 있어서, 마이크(33a)를 통한 발화에 의한 커뮤니케이션과 함께 음성 스탬프에 의한 커뮤니케이션을 즐길 수 있다. 또한, 예를 들면, 참가하는 채팅단위에 있어서는 발화에 의한 커뮤니케이션을 즐기면서, 참가하지 않는 채팅단위에 있어서는 음성 스탬프에 의한 커뮤니케이션을 즐길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사용자가 발화할 수 없는 환경에 있는 경우라도, 음성 스탬프에 의한 커뮤니케이션을 즐길 수 있다.
상술한 일실시예에서는, 음성 채팅의 개시 요구를 행할 때에 초대 사용자의 단말장치(30) 상에서 재생되는 음성 스탬프를 선택하도록 했지만, 음성 스탬프의 선택을 행하지 않고, 초대 사용자만을 선택하여 음성 채팅의 개시 요구를 행하도록 해도 된다.
상술한 일실시예에서는, 사용자가 보유하는 음성 스탬프는 이 사용자의 단말장치(30)에 저장되는 동시에 서버(10)에도 중복해서 저장되도록 했으나, 음성 스탬프의 기억장소는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사용자의 단말장치(30) 및 서버(10) 중 한쪽에만 기억해도 되고, 그 밖의 장치에 기억해도 된다. 음성 스탬프를 사용자의 단말장치(30)에 기억하지 않을 경우에는, 음성 스탬프를 재생할 때에는 음성 스탬프가 기억되어 있는 장치로부터 취득해서 재생하도록 하면 된다. 또한, 재생의 요구원의 사용자의 단말장치(30)에 기억되어 있는 음성 스탬프의 재생 요구를 다른 사용자에 대하여 행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요구원의 사용자의 단말장치(30)에 기억되어 있는 음성 스탬프(음성 파일) 자체를 다른 사용자의 단말장치(30)에 송신하면 된다.
상술한 일실시예에서는, 초대 사용자는 초대 통지 화면(110)을 통해 음성 채팅으로의 초대를 수락할지 거부할지를 선택하도록 했지만, 초대의 수락을 음성 스탬프를 이용하여 행하도록 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초대 사용자가 초대의 요구원 사용자에 대하여 음성 스탬프를 송신(초대의 요구원 사용자에 대하여 음성 스탬프의 재생을 요구)함으로써 초대를 수락하도록 할 수 있다. 즉, 예를 들면, 음성 채팅의 개시 요구를 행할 때 및 음성 채팅을 시작한 후에 새롭게 사용자를 초대할 때 등에 있어서, 초대 사용자에 대하여 음성 스탬프(예를 들면, 초대 사용자가 보유하는 음성 스탬프)를 송신하고, 그 후, 초대 사용자가 음성 스탬프를 회신(초대의 요구원 사용자에 대하여 음성 스탬프를 송신)했을 때에, 초대 사용자가 음성 채팅으로의 초대를 수락했다고 판정하고, 이 초대 사용자를 이 음성 채팅(채팅단위)을 실행할 수 있는 실행 가능 상태로 할 수도 있다.
이상 설명한 일실시예에 있어서의 시스템(1)에서는, 채팅단위의 멤버인 복수의 사용자 중, 이 채팅단위에 참가하는(실행 가능 상태인) 사용자의 단말장치(30)가 이 채팅단위에 있어서의 음성 채팅을 실현하는 음성 채팅 통신을 실행하고, 이 채팅단위의 멤버인 하나의 사용자의 단말장치(30)가 이 하나의 사용자의 지시에 기초하여 이 채팅단위의 멤버인 다른 사용자의 단말장치(30)에 대하여 음성 파일의 재생을 요구하고, 이 다른 사용자의 단말장치(30)가 음성 파일의 재생의 요구에 응답하여 이 음성 파일을 재생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마이크(33a)를 통한 발화에 의한 커뮤니케이션에 덧붙여서, 음성 스탬프(음성 파일)를 이용한 커뮤니케이션을 즐길 수 있다. 즉, 일실시예에 있어서의 시스템(1)은 음성 채팅에 있어서 사용자의 발화 등 이외의 음성에 의한 커뮤니케이션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서는, 초대 사용자가 음성 채팅으로의 초대를 수락하면, 이 초대 사용자가 이 음성 채팅(채팅단위)을 실행 가능한 실행 가능 상태가 되도록 했지만, 초대 사용자가 실행 가능 상태가 되는 계기는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서버(10)로부터 푸쉬 통지되는 통지 정보를 초대 사용자가 표시, 열람, 또는 확인한 것에 상응하여 초대 사용자가 실행 가능 상태가 되도록 해도 된다. 또한, 서버(10)로부터 푸쉬 통지되는 통지 정보에 대한 액션의 유무에 상관없이, 초대 사용자가 실행 가능 상태가 되도록 해도 된다.
또한, 음성 채팅을 새롭게 시작할 때에 이 음성 채팅에 초대되는 초대 사용자의 단말장치(30)에 대한 푸쉬 통지를 행하지 않고, 요구원 사용자의 단말장치(30)와 초대 사용자의 단말장치(30) 사이의 음성 채팅 통신을 즉시 가능하게 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단말장치(30)로부터 음성 채팅의 개시 요구를 수신하면, 서버(10)의 상태감시부(53)는 우선 초대 사용자가 새로운 음성 채팅을 실행할 수 있는 실행 가능 상태인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예를 들면, 초대 사용자가 음성 채팅 서비스에 로그인하고 있는 상태이며(사용자 정보관리 테이블(51a)의 「로그인 상태」를 참조하여 판단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사용자와의 음성 채팅(다른 채팅단위에서의 음성 채팅)을 행하고 있지 않은 상태인(채팅단위 정보관리 테이블(5lb)을 참조하여 판단할 수 있는) 경우에, 초대 사용자가 새로운 음성 채팅을 실행 가능한 실행 가능 상태라고 판정할 수 있다. 그리고, 초대 사용자가 새로운 음성 채팅을 실행 가능한 실행 가능 상태라고 판정된 경우에는, 서버(10)의 상태감시부(53)가 요구원 사용자 및 초대 사용자의 양쪽을 실행 가능 상태로 하여 채팅단위를 설정한다(채팅단위 정보관리 테이블(5lb)에 새로운 레코드를 작성한다). 그 후, 음성 채팅 제어부(54)의 기능에 의해, 요구원 사용자의 단말장치(30)와 초대 사용자의 단말장치(30) 사이의 음성 채팅 통신이 즉시 가능해진다. 더욱이,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초대 사용자가 새로운 음성 채팅을 실행할 수 있는 실행 가능 상태가 아니라고 판정된 경우에는 상술한 일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초대 사용자의 단말장치(30)에 대한 푸쉬 통지가 행해진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초대 사용자가 새로운 음성 채팅을 실행할 수 있는 실행 가능 상태라고 판정되어 음성 채팅 통신을 즉시 가능하게 할 경우, 음성 채팅의 개시시에 있어서의 초대 사용자의 단말장치(30)의 마이크(33a)가 무효상태가 되도록 해도 된다. 그 후, 예를 들면, 초대 사용자가 음성 채팅 화면(70C)의 마이크 아이콘(92)을 선택함으로써 마이크(33a)가 유효상태로 된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초대 사용자가 새로운 음성 채팅을 실행할 수 있는 실행 가능 상태일 경우에는, 요구원 사용자로부터의 음성 채팅의 개시 요구 후, 요구원 사용자의 단말장치(30)와 초대 사용자 단말장치(30) 사이의 음성 채팅 통신이 즉시 가능해지기 때문에, 사용자는 다른 사용자와의 음성 채팅을 쉽게 시작할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사용자가 음성 채팅을 행하고 있는 상태일 경우에는, 다른 사용자와의 음성 채팅(다른 채팅단위에서의 음성 채팅)을 행할 수 없는(실행 가능 상태가 되지 않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멤버의 다른 복수의 음성 채팅(복수의 채팅단위)의 음성 채팅 통신을 동시에 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예를 들면, 새로운 음성 채팅의 시작에 상응하여, 실행중인 음성 채팅의 음량이 작아지도록 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음성 채팅 제어부(54)의 기능에 의해, 각 음성 채팅(채팅단위)에 대응하는 음성 데이터의 음량을 조정할 수 있다. 이렇게 하면, 사용자가 음성 채팅을 행하고 있는 상태인 경우라도, 즉시 다른 음성 채팅(채팅단위)을 시작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처리 및 순서는 실시예 중에서 명시적으로 설명된 것 이외에도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이들의 임의인 조합에 의해 실현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처리 및 순서는 집적회로, 휘발성 메모리, 비휘발성 메모리, 자기디스크, 광 스토리지 등의 매체에 해당 처리에 상당하는 로직을 실장함으로써도 실현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처리 및 순서는 그들의 처리·순서를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 실장하고, 각종 컴퓨터에 실행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본 명세서 중에서 설명되는 처리 및 순서가 단일 장치, 소프트웨어, 컴포넌트, 모듈에 의해 실행되는 취지가 설명되었다고 해도, 그러한 처리 또는 순서는 복수의 장치, 복수의 소프트웨어, 복수의 컴포넌트, 및/또는 복수의 모듈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 중에서 설명되는 데이터, 테이블, 또는 데이터베이스가 단일 메모리에 저장되는 취지가 설명되었다고 해도, 그러한 데이터, 테이블, 또는 데이터베이스는 단일 장치에 구비된 복수의 메모리 또는 복수의 장치로 분산되어 배치된 복수의 메모리로 분산되어 저장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소프트웨어 및 하드웨어의 요소는 그들을 보다 적은 구성요소로 통합하여, 또는 보다 많은 구성요소로 분해함으로써 실현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발명의 구성요소가 단수 혹은 복수 중 어느 하나로서 설명된 경우, 또는 단수 혹은 복수 중 어느 것으로도 한정하지 않고 설명된 경우라도 문맥상 구별하여 해석해야 하는 경우를 제외하고, 해당 구성요소는 단수 또는 복수 중 어느 것이어도 된다.
10 : 서버 30 : 단말 장치
51 : 정보 기억부 52 : 통지 정보 송신부
53 : 상태 감시부 54 : 음성 채팅 제어부
60 : 음성 채팅용 프로그램
70 : 음성 채팅 서비스용 화면
70A : 음성 채팅 서비스용 화면(초기화면)
70B : 음성 채팅 서비스용 화면(친구 상세 화면)
70C : 음성 채팅 서비스용 화면(음성 채팅 화면)
80 : 친구 일람 화면 100 : 홈 화면
110 : 초대 통지 화면

Claims (10)

  1. 복수의 단말장치를 구비하고, 해당 단말장치의 사용자 사이의 음성 채팅을 가능하게 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음성 채팅을 실행하는 단위인 채팅단위의 멤버인 복수의 사용자 중 적어도 일부의 사용자의 단말장치가, 해당 채팅단위에 있어서의 음성 채팅을 실현하는 음성 채팅 통신을 실행하고,
    상기 채팅단위의 멤버인 제1 사용자의 단말장치가 해당 제1 사용자의 지시에 기초하여 해당 채팅단위의 멤버인 제2 사용자의 단말장치에 대하여 해당 제2 사용자의 단말장치에 기억되어 있는 1 또는 복수의 음성 파일 중에서 해당 제1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음성 파일의 해당 제2 사용자의 단말장치상에서의 재생을 요구하고,
    상기 제2 사용자의 단말장치가 상기 음성 파일의 재생의 요구에 응답하여 해당 음성 파일을 해당 제2 사용자의 단말장치 상에서 재생하는, 시스템.
  2. 청구항 1에 기재된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채팅단위의 멤버는 해당 채팅단위에 있어서의 음성 채팅에 참가하고 있는 참가 사용자와, 해당 채팅단위에 있어서의 음성 채팅에 참가하고 있지 않은 비참가 사용자를 포함하고,
    상기 참가 사용자의 단말장치가 상기 음성 채팅 통신을 실행하는,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 채팅 통신의 실행은 상기 단말장치의 음성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음성의 음성 데이터를 다른 단말장치에 송신하고, 그 다른 단말장치의 음성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음성의 음성 데이터를 수신하는 것을 포함하는 시스템.
  4. 청구항 1에 기재된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제2 사용자의 단말장치에 기억되어 있는 음성 파일을 기억하는 제1 기억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제1 사용자의 단말장치는 해당 제1 사용자에 의한 상기 재생을 요구하는 음성 파일의 선택에 상응하여 해당 음성 파일을 상기 제1 기억장치로부터 취득하여 재생하는, 시스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사용자의 단말장치는 상기 음성 파일의 재생의 요구에 응답하여 해당 재생의 요구를 통지하는 재생 요구 정보를 표시하는 시스템.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재생 요구 정보는 상기 제1 사용자에 관한 정보와 상기 음성 파일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시스템.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사용자의 단말장치는 상기 제2 사용자에 의한 소정의 액션에 상응하여 상기 음성 파일을 재생하는 시스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사용자의 단말장치는 해당 제1 사용자가 멤버인 1 또는 복수의 상기 채팅단위를 선택 가능하게 표시하고, 해당 1 또는 복수의 채팅단위 중에서 해당 제1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채팅단위의 멤버인 1 또는 복수의 다른 사용자를 선택 가능하게 표시하고, 해당 1 또는 복수의 다른 사용자 중에서 해당 제1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상기 제2 사용자의 단말장치에 대하여 상기 음성 파일의 재생을 요구하는 시스템.
  9. 복수의 단말장치의 사용자 사이의 음성 채팅을 가능하게 하는 방법에 있어서,
    음성 채팅을 실행하는 단위인 채팅단위의 멤버인 복수의 사용자 중 적어도 일부의 사용자의 단말장치가 해당 채팅단위에 있어서의 음성 채팅을 실현하는 음성 채팅 통신을 실행하고,
    상기 채팅단위의 멤버인 제1 사용자의 단말장치가 해당 제1 사용자의 지시에 기초하여 해당 채팅단위의 멤버인 제2 사용자의 단말장치에 대하여 해당 제2 사용자의 단말장치에 기억되어 있는 1 또는 복수의 음성 파일 중에서 해당 제1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음성 파일의 해당 제2 사용자의 단말장치 상에서의 재생을 요구하고,
    상기 제2 사용자의 단말장치가 상기 음성 파일의 재생의 요구에 응답하여 해당 음성 파일을 해당 제2 사용자의 단말장치 상에서 재생하는, 방법.
  10. 복수의 단말장치의 사용자 사이의 음성 채팅을 가능하게 하기 위한 프로그램에 있어서, 해당 단말장치 상에서 실행됨으로써,
    음성 채팅을 실행하는 단위인 채팅단위의 멤버인 복수의 사용자 중 적어도 일부의 사용자의 단말장치가 해당 채팅단위에 있어서의 음성 채팅을 실현하는 음성 채팅 통신을 실행하고,
    상기 채팅단위의 멤버인 제1 사용자의 단말장치가 해당 제1 사용자의 지시에 기초하여 해당 채팅단위의 멤버인 제2 사용자의 단말장치에 대하여 해당 제2 사용자의 단말장치에 기억되어 있는 1 또는 복수의 음성 파일 중에서 해당 제1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음성 파일의 해당 제2 사용자의 단말장치 상에서의 재생을 요구하고,
    상기 제2 사용자의 단말장치가 상기 음성 파일의 재생의 요구에 응답하여 해당 음성 파일을 해당 제2 사용자의 단말장치 상에서 재생하는, 프로그램.
KR1020167034103A 2014-07-01 2015-05-27 음성 채팅을 가능하게 하는 시스템, 방법 및 프로그램 KR10187275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4-136059 2014-07-01
JP2014136059A JP5807094B1 (ja) 2014-07-01 2014-07-01 音声チャットを可能とするシステム、方法及びプログラム
PCT/JP2015/065255 WO2016002395A1 (ja) 2014-07-01 2015-05-27 音声チャットを可能とするシステム、方法及びプログラ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5449A true KR20170005449A (ko) 2017-01-13
KR101872759B1 KR101872759B1 (ko) 2018-06-29

Family

ID=545457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34103A KR101872759B1 (ko) 2014-07-01 2015-05-27 음성 채팅을 가능하게 하는 시스템, 방법 및 프로그램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0469422B2 (ko)
JP (1) JP5807094B1 (ko)
KR (1) KR101872759B1 (ko)
CN (1) CN106663065B (ko)
WO (1) WO201600239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547425B2 (en) 2012-05-09 2017-01-17 Apple Inc. Context-specific user interfaces
US10613743B2 (en) 2012-05-09 2020-04-07 Apple Inc. User interface for receiving user input
US9459781B2 (en) 2012-05-09 2016-10-04 Apple Inc. Context-specific user interfaces for displaying animated sequences
US10990270B2 (en) 2012-05-09 2021-04-27 Apple Inc. Context-specific user interfaces
WO2014143776A2 (en) 2013-03-15 2014-09-18 Bodhi Technology Ventures Llc Providing remote interactions with host device using a wireless device
US10313506B2 (en) 2014-05-30 2019-06-04 Apple Inc. Wellness aggregator
US20160261675A1 (en) * 2014-08-02 2016-09-08 Apple Inc. Sharing user-configurable graphical constructs
US10452253B2 (en) 2014-08-15 2019-10-22 Apple Inc. Weather user interface
US10254948B2 (en) 2014-09-02 2019-04-09 Apple Inc. Reduced-size user interfaces for dynamically updated application overviews
CN107209655B (zh) 2015-02-02 2020-08-11 苹果公司 建立两个设备之间的关系和连接
US10055121B2 (en) 2015-03-07 2018-08-21 Apple Inc. Activity based thresholds and feedbacks
WO2016144385A1 (en) * 2015-03-08 2016-09-15 Apple Inc. Sharing user-configurable graphical constructs
CN105049318B (zh) * 2015-05-22 2019-01-08 腾讯科技(深圳)有限公司 消息发送方法和装置、消息处理方法和装置
US9916075B2 (en) 2015-06-05 2018-03-13 Apple Inc. Formatting content for a reduced-size user interface
US10275116B2 (en) 2015-06-07 2019-04-30 Apple Inc. Browser with docked tabs
EP4327731A3 (en) 2015-08-20 2024-05-15 Apple Inc. Exercise-based watch face
DK201770423A1 (en) 2016-06-11 2018-01-15 Apple Inc Activity and workout updates
US10873786B2 (en) 2016-06-12 2020-12-22 Apple Inc. Recording and broadcasting application visual output
US10481863B2 (en) * 2016-07-06 2019-11-19 Baidu Usa Llc Systems and methods for improved user interface
USD815110S1 (en) * 2016-07-07 2018-04-10 Baidu Usa Llc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USD817337S1 (en) * 2016-07-07 2018-05-08 Baidu Usa Llc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USD812635S1 (en) * 2016-07-07 2018-03-13 Baidu Usa Llc.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DK179412B1 (en) 2017-05-12 2018-06-06 Apple Inc Context-Specific User Interfaces
US11327650B2 (en) 2018-05-07 2022-05-10 Apple Inc. User interfaces having a collection of complications
DK180171B1 (en) 2018-05-07 2020-07-14 Apple Inc USER INTERFACES FOR SHARING CONTEXTUALLY RELEVANT MEDIA CONTENT
US11131967B2 (en) 2019-05-06 2021-09-28 Apple Inc. Clock faces for an electronic device
JP6921338B2 (ja) 2019-05-06 2021-08-18 アップル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Apple Inc. 電子デバイスの制限された動作
US11960701B2 (en) 2019-05-06 2024-04-16 Apple Inc. Using an illustration to show the passing of time
CN110572271B (zh) * 2019-08-15 2023-02-28 贵阳朗玛信息技术股份有限公司 一种管理语音聊天室的方法及系统
US10852905B1 (en) 2019-09-09 2020-12-01 Apple Inc. Techniques for managing display usage
CN112650420B (zh) * 2019-10-10 2022-06-21 北京搜狗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语音处理方法、装置和介质
DK202070625A1 (en) 2020-05-11 2022-01-04 Apple Inc User interfaces related to time
US11372659B2 (en) 2020-05-11 2022-06-28 Apple Inc. User interfaces for managing user interface sharing
US11526256B2 (en) 2020-05-11 2022-12-13 Apple Inc. User interfaces for managing user interface sharing
US11694590B2 (en) 2020-12-21 2023-07-04 Apple Inc. Dynamic user interface with time indicator
US11720239B2 (en) 2021-01-07 2023-08-08 Apple Inc. Techniques for user interfaces related to an event
US11921992B2 (en) 2021-05-14 2024-03-05 Apple Inc. User interfaces related to time
WO2022245669A1 (en) 2021-05-15 2022-11-24 Apple Inc. User interfaces for group workouts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346705A (ja) * 2004-05-11 2005-12-15 Microsoft Corp 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多感覚エモティコン
JP2013507702A (ja) * 2009-10-15 2013-03-04 ゼットティーイー コーポレイション インスタントメッセージ用マルチメディア着信音提示方法及びシステム
JP2013198150A (ja) * 2012-03-19 2013-09-30 Nhn Corp モバイル端末で音声入力を制御するためのサーバ装置、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
JP2014050745A (ja) 2011-09-27 2014-03-20 Konami Digital Entertainment Co Ltd ゲーム管理装置、ゲーム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KR20140108480A (ko) * 2013-02-28 2014-09-11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단말 간 실시간 화면 공유 채팅 방법, 그 단말 및 이를 위한 기록 매체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760754B1 (en) 2000-02-22 2004-07-06 At&T Corp.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communicating via sound messages and personal sound identifiers
JP3909655B2 (ja) 2001-05-16 2007-04-25 横河電機株式会社 音声掲示板システム
JP4158356B2 (ja) 2001-06-04 2008-10-01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情報端末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2004267433A (ja) 2003-03-07 2004-09-30 Namco Ltd 音声チャット機能を提供する情報処理装置、サーバおよびプログラム並びに記録媒体
JP2006084705A (ja) 2004-09-15 2006-03-30 Benetsuse Corp:Kk 答案アーカイブ・システム
JP2007318706A (ja) 2006-04-26 2007-12-06 Oki Electric Ind Co Ltd 顧客管理システムおよびその管理方法
TW200823678A (en) * 2006-11-22 2008-06-01 Acer Inc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for sharing data via instant message
US8655953B2 (en) * 2008-07-18 2014-02-18 Porto Technology, Llc System and method for playback positioning of distributed media co-viewers
US20100077057A1 (en) * 2008-09-23 2010-03-25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File Transfer in Conference Services
JP5505989B2 (ja) 2011-03-31 2014-05-28 Necシステムテクノロジー株式会社 筆記支援装置、筆記支援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101960306B1 (ko) 2012-07-13 2019-03-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이의 제어 방법
JP2014026351A (ja) 2012-07-24 2014-02-06 Shunji Sugaya コミュニケーション端末、コミュニケーション方法、及び、コミュニケーション端末用プログラム
US9185134B1 (en) * 2012-09-17 2015-11-10 Audible, Inc. Architecture for moderating shared content consumption
CN103200077B (zh) * 2013-04-15 2015-08-26 腾讯科技(深圳)有限公司 一种语音通话时数据交互的方法、装置及系统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346705A (ja) * 2004-05-11 2005-12-15 Microsoft Corp 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多感覚エモティコン
JP2013507702A (ja) * 2009-10-15 2013-03-04 ゼットティーイー コーポレイション インスタントメッセージ用マルチメディア着信音提示方法及びシステム
JP2014050745A (ja) 2011-09-27 2014-03-20 Konami Digital Entertainment Co Ltd ゲーム管理装置、ゲーム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JP2013198150A (ja) * 2012-03-19 2013-09-30 Nhn Corp モバイル端末で音声入力を制御するためのサーバ装置、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
KR20140108480A (ko) * 2013-02-28 2014-09-11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단말 간 실시간 화면 공유 채팅 방법, 그 단말 및 이를 위한 기록 매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5807094B1 (ja) 2015-11-10
CN106663065A (zh) 2017-05-10
WO2016002395A1 (ja) 2016-01-07
KR101872759B1 (ko) 2018-06-29
US20170134321A1 (en) 2017-05-11
CN106663065B (zh) 2019-12-20
US10469422B2 (en) 2019-11-05
JP2016014976A (ja) 2016-01-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72759B1 (ko) 음성 채팅을 가능하게 하는 시스템, 방법 및 프로그램
KR101537482B1 (ko) 인스턴트 메시징 서비스 및 인스턴트 메시징 서비스로부터 확장된 복수의 서비스들을 제공하는 방법
KR101813900B1 (ko) 음성 채팅 관리 장치 및 방법
JP6001757B1 (ja) デジタルコンテンツを配信するシステム、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06411687B (zh) 网络接入设备与绑定用户间交互的方法和装置
KR20170126475A (ko) 서버, 서버의 제어 방법 및 프로그램
US10581773B2 (en) Voice enabled social artifacts
JP2023089174A (ja) マルチユーザアプリケーションを起動するための招待リンク
KR20220090411A (ko) 게임 생방송 방법, 장치 및 디바이스
JP6534897B2 (ja) 音声チャット管理装置及び方法
US10447629B2 (en) Method of constructing a message by means of a terminal
KR20130025277A (ko) 메신저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그 서버
JP6531196B2 (ja) 音声チャットを可能とするシステム、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19165505A (ja) デジタルコンテンツを配信するシステム、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1842770B1 (ko) VoIP 통화 서비스에서 링백톤 및 링톤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
JP6312639B2 (ja) 音声チャットを可能とするシステム、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7232846B2 (ja) ボイスチャット装置、ボイスチャット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21106023A (ja) サーバ装置、携帯端末、イベント運営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17156906A (ja) チャット表示装置
JP7093049B2 (ja) コミュニケーション支援装置、コミュニケーション支援方法及びコミュニケーション支援プログラム
JP6978712B1 (ja) コミュニケーション支援装置、コミュニケーション支援方法及びコミュニケーション支援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