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05314A - 점적호스 및 멀칭비닐 교체작업기 - Google Patents

점적호스 및 멀칭비닐 교체작업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05314A
KR20170005314A KR1020150095112A KR20150095112A KR20170005314A KR 20170005314 A KR20170005314 A KR 20170005314A KR 1020150095112 A KR1020150095112 A KR 1020150095112A KR 20150095112 A KR20150095112 A KR 20150095112A KR 20170005314 A KR20170005314 A KR 201700053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driving
disk
groove
fri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951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97194B1 (ko
Inventor
장호철
장석근
Original Assignee
장호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호철 filed Critical 장호철
Priority to KR10201500951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97194B1/ko
Publication of KR201700053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53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971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971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3/00Protecting plants
    • A01G13/02Protective coverings for plants; Coverings for the ground; Devices for laying-out or removing coverings
    • A01G13/0256Ground coverings
    • A01G13/0287Devices for laying-out or removing ground covering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3/00Protecting plants
    • A01G13/02Protective coverings for plants; Coverings for the ground; Devices for laying-out or removing coverings
    • A01G13/0256Ground coverings
    • A01G13/0262Mulches, i.e. covering material not-pre-formed in mats or shee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5/00Watering gardens, fiel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 A01G25/02Watering arrangements located above the soil which make use of perforated pipe-lines or pipe-lines with dispensing fittings, e.g. for drip irrigation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Soi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oil Working Imp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점적호스 및 멀칭비닐 교체작업기는 양측에 구비된 수직판(110)과, 양측 수직판(110)의 상,하단에 결합되어 수직판(110)을 고정시키는 지지봉(120)과, 수직판(110)의 상단에서 중심부로 이어지는 축홈(111)과, 축홈(111)에 회전가능케 설치되는 작동드럼(130)으로 구성된 본체부(100); 본체부(100)의 일측 수직판(110)의 외측에 설치되고 모터(210)의 구동력을 감속기(220)를 통해 구동축(330)에 전달하는 구동부(200); 구동축(330)이 설치된 감속기(220)의 외측면에 동심원을 따라 등간격으로 매설되는 자석(311)의 자력으로 부착되는 디스크원판(310)과, 디스크원판(310)에 볼트결합되는 작동판(320)과, 상기 디스크원판(310)과 작동판(320)을 동시에 관통하여 감속기(220)에 설치되는 구동축(330)과, 구동축(330)의 내부에 공회전 가능하도록 축설되는 피동축(340)으로 구성된 클러치장치부(300); 중심부에는 통공(411)이 형성되어 결합관(420)이 결합되고, 일측면에는 통공(411)이 형성된 주변으로 동심원을 따라 수직방향으로 다수개의 볼안내관(412)이 돌출형성되고, 타측면에는 결합홈(413)이 형성되고, 외주면에는 방사형으로 안내관(414)이 돌출형성되는 작동원판(410)과, 작동원판(410)의 결합홈(413)에 부착되는 마찰원판(430)으로 구성된 장력조정부(400);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본체부(100)의 일측 수직판(110)의 외측면에는 제어부(140)가 장치되며, 상기 본체부(100)의 작동드럼(130)의 일측면에는 피동볼트(132)가 결합되고, 작동드럼(130)의 양단에는 외주면에 띠홈(131)이 형성되어 수직판(110)의 축홈(111)에 끼워지고 작동드럼(130)의 양단부는 수직판(110)의 축홈(111)을 따라 등간격으로 설치된 베어링(133)에 안착되며, 상기 구동부(200)의 감속기(220)의 하부에는 모터(210)가 설치되고 감속기(220)의 상부에는 구동축(330)이 설치되며, 상기 클러치장치부(300)의 작동판(320)의 작동면(내주면)(321)은 직경이 작은 협소부(321a)와 점차 직경이 커지는 확장부(321b)로 구성되고, 확장부(321b)의 단부에는 걸림돌기(322)가 형성되며, 상기 클러치장치부(300)의 구동축(330)의 외주면에는 띠홈(331)과 핀삽입공(332)이 형성되고, 상기 피동축(340)의 외주면에는 정방향으로는 걸림턱(341b), 역방향으로는 탈거면(341a)을 형성한 핀안착홈(341)을 구성하여, 구동축(330)의 핀삽입공(332)으로 삽입되어 피동축(340)의 핀안착홈(341)에 안착되는 핀(343)으로 구동축(330)과 연결되며, 상기 클러치장치부(300)의 핀(343)에는 자석(343a)이 설치되며, 상기 장력조정부(400)의 결합관(420)에는 상기 피동축(340)의 일단이 결합되며, 상기 장력조정부(400)의 마찰원판(430)의 외주면에는 환상결합홈(431)이 형성되고, 외측면에는 구동볼트(432)가 결합되며, 상기 장력조정부(400)의 작동원판(410)의 볼안내관(412)의 중심부에는 암나사구멍(412d)과 안내구멍(412e)이 차례로 형성되어 마찰원판(430)의 내측면과 연통되고 안내구멍에는 마찰볼(412c)과 스프링(412b)이 차례로 끼워지며 마찰볼(412c)이 마찰원판(430)의 내측면을 누르는 강도를 조절하도록 압착볼트(412a)가 암나사구멍(412d)에 나사결합되는 마찰조절장치(B)가 구성되고, 상기 장력조정부(400)의 작동원판(410)의 안내관(414)의 중심부에는 암나사구멍(414c)과 안내구멍(414d)이 차례로 형성되어 마찰원판(430)의 환상결합홈(431)과 연통되며 안내구멍(414d)에는 연결봉(414b)이 끼워져 마찰원판(430)의 환상결합홈(431)에 접촉하고 연결봉(414b)의 누름강도를 조정하는 압착볼트(414a)가 암나사구멍(414c)에 나사결합되는 결합장치(C)가 구성되며, 상기 마찰원판(430)의 구동볼트(432)가 작동드럼(130)의 피동볼트(132)에 걸쳐져 작동원판(410)이 회전하면 작동드럼(130)이 함께 회전하는 것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점적호스 및 멀칭비닐 교체작업기{Plastic mulching and drip hose replacement device}
본 발명은 점적호스 및 멀칭비닐 교체작업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비닐하우스용 점적호스 및 멀칭비닐을 간편하고 안정적으로 수거하여 교체할 수 있는 점적호스 및 멀칭비닐 교체작업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비닐하우스에는 비닐하우스를 이루는 멀칭비닐과 비닐하우스 내부에 설치되는 점적호스 등이 낡거나 파손되면 교체작업을 해주어야 한다.
비닐하우스용 점적호스와 멀칭비닐은 비닐하우스 길이 만큼 긴 것이어서 사람이 일일이 수거하기가 매우 힘들고 작업 시간도 많이 소요되는 불편함이 있었다.
또한, 점적호스와 멀칭비닐을 기계를 이용하여 수거하게 되더라도 점적호스와 멀칭비닐이 감기는 작동드럼에 회전방향으로 과도한 장력이 발생하면 자칫 점적호스와 멀칭비닐이 끊어지는 사고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비닐하우스용 점적호스와 멀칭비닐을 간편하고 안정적으로 수거할 수 있는 장치의 필요성이 절실하다.
1. 등록실용신안공보 제 20-0443457 호. 2. 공개실용신안공보 제 20-2011-0003246 호.
본 발명의 목적은 비닐하우스용 점적호스 및 멀칭비닐을 간편하게 교체할 수 있고, 클러치장치부와 장력조정부에 의해 점적호스 및 멀칭비닐을 안정적으로 수거하여 교체할 수 있는 점적호스 및 멀칭비닐 교체작업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구조가 간단하여 제작이 용이하며, 동력전달을 내구적이고 견고하게 전달시킬 수 있는 점적호스 및 멀칭비닐 교체작업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점적호스 및 멀칭비닐 교체작업기는 양측에 구비된 수직판(110)과, 양측 수직판(110)의 상,하단에 결합되어 수직판(110)을 고정시키는 지지봉(120)과, 수직판(110)의 상단에서 중심부로 이어지는 축홈(111)과, 축홈(111)에 회전가능케 설치되는 작동드럼(130)으로 구성된 본체부(100);
본체부(100)의 일측 수직판(110)의 외측에 설치되고 모터(210)의 구동력을 감속기(220)를 통해 구동축(330)에 전달하는 구동부(200);
구동축(330)이 설치된 감속기(220)의 외측면에 동심원을 따라 등간격으로 매설되는 자석(311)의 자력으로 부착되는 디스크원판(310)과, 디스크원판(310)에 볼트결합되는 작동판(320)과, 상기 디스크원판(310)과 작동판(320)을 동시에 관통하여 감속기(220)에 설치되는 구동축(330)과, 구동축(330)의 내부에 공회전 가능하도록 축설되는 피동축(340)으로 구성된 클러치장치부(300);
중심부에는 통공(411)이 형성되어 결합관(420)이 결합되고, 일측면에는 통공(411)이 형성된 주변으로 동심원을 따라 수직방향으로 다수개의 볼안내관(412)이 돌출형성되고, 타측면에는 결합홈(413)이 형성되고, 외주면에는 방사형으로 안내관(414)이 돌출형성되는 작동원판(410)과, 작동원판(410)의 결합홈(413)에 부착되는 마찰원판(430)으로 구성된 장력조정부(400);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본체부(100)의 일측 수직판(110)의 외측면에는 제어부(140)가 장치되며,
상기 본체부(100)의 작동드럼(130)의 일측면에는 피동볼트(132)가 결합되고, 작동드럼(130)의 양단에는 외주면에 띠홈(131)이 형성되어 수직판(110)의 축홈(111)에 끼워지고 작동드럼(130)의 양단부는 수직판(110)의 축홈(111)을 따라 등간격으로 설치된 베어링(133)에 안착되며,
상기 구동부(200)의 감속기(220)의 하부에는 모터(210)가 설치되고 감속기(220)의 상부에는 구동축(330)이 설치되며,
상기 클러치장치부(300)의 작동판(320)의 작동면(내주면)(321)은 직경이 작은 협소부(321a)와 점차 직경이 커지는 확장부(321b)로 구성되고, 확장부(321b)의 단부에는 걸림돌기(322)가 형성되며,
상기 클러치장치부(300)의 구동축(330)의 외주면에는 띠홈(331)과 핀삽입공(332)이 형성되고, 상기 피동축(340)의 외주면에는 정방향으로는 걸림턱(341b), 역방향으로는 탈거면(341a)을 형성한 핀안착홈(341)을 구성하여, 구동축(330)의 핀삽입공(332)으로 삽입되어 피동축(340)의 핀안착홈(341)에 안착되는 핀(343)으로 구동축(330)과 연결되며,
상기 클러치장치부(300)의 핀(343)에는 자석(343a)이 설치되며,
상기 장력조정부(400)의 결합관(420)에는 상기 피동축(340)의 일단이 결합되며,
상기 장력조정부(400)의 마찰원판(430)의 외주면에는 환상결합홈(431)이 형성되고, 외측면에는 구동볼트(432)가 결합되며,
상기 장력조정부(400)의 작동원판(410)의 볼안내관(412)의 중심부에는 암나사구멍(412d)과 안내구멍(412e)이 차례로 형성되어 마찰원판(430)의 내측면과 연통되고 안내구멍에는 마찰볼(412c)과 스프링(412b)이 차례로 끼워지며 마찰볼(412c)이 마찰원판(430)의 내측면을 누르는 강도를 조절하도록 압착볼트(412a)가 암나사구멍(412d)에 나사결합되는 마찰조절장치(B)가 구성되고,
상기 장력조정부(400)의 작동원판(410)의 안내관(414)의 중심부에는 암나사구멍(414c)과 안내구멍(414d)이 차례로 형성되어 마찰원판(430)의 환상결합홈(431)과 연통되며 안내구멍(414d)에는 연결봉(414b)이 끼워져 마찰원판(430)의 환상결합홈(431)에 접촉하고 연결봉(414b)의 누름강도를 조정하는 압착볼트(414a)가 암나사구멍(414c)에 나사결합되는 결합장치(C)가 구성되며,
상기 마찰원판(430)의 구동볼트(432)가 작동드럼(130)의 피동볼트(132)에 걸쳐져 작동원판(410)이 회전하면 작동드럼(130)이 함께 회전하는 것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본체부(100)의 수직판(110)의 축홈(111)에는 작동드럼(130)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판(112)이 결합되고, 본체부(100)의 일측에는 안내롤러(113)가 상하로 설치되며,
상기 본체부(100)의 하단에 설치된 지지봉(120)에는 바퀴(121)가 장치되고, 일측 바퀴(121)에는 본체부(100)를 지면에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나사(122)가 설치되는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점적호스 및 멀칭비닐 교체작업기는 비닐하우스용 점적호스 및 멀칭비닐을 간편하게 교체할 수 있고, 클러치장치부와 장력조정부에 의해 점적호스 및 멀칭비닐을 안정적으로 수거하여 교체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점적호스 및 멀칭비닐 교체작업기로 가장 적합할 뿐 아니라, 구조가 간단하여 제작이 용이하며, 동력전달을 내구적이고 견고하게 전달시킬 수 있는 등의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측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A' 부분 확대도이다.
도 5a와 도 5b는 도 4의 가 - 가'선 단면도로서, 클러치장치부의 작동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사용상태도로서, 비닐하우스용 점적호스를 교체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사용상태도로서, 비닐하우스용 멀칭비닐을 교체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면들 중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은 가능한 어느 도면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였으며,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또는 공지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였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측단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A' 부분 확대도이며, 도 5a와 도 5b는 도 4의 가 - 가'선 단면도로서, 클러치장치부의 작동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점적호스 및 멀칭비닐 교체작업기는 본체부(100), 구동부(200), 클러치장치부(300), 장력조정부(4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본체부(100)는 수직판(110), 지지봉(120), 작동드럼(130), 제어부(1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체부(100)의 수직판(110)은 양측에 나란히 구비되고, 양측 수직판(110)의 상,하단에는 지지봉(120)이 가로로 결합되어 수직판(110)을 고정시킨다.
또한, 수직판(110)의 상단에서 중심부로는 축홈(111)이 형성되고, 작동드럼(130)의 양단이 끼워져 회전가능케 설치된다.
본체부(100)의 작동드럼(130)은 일측면에는 피동볼트(132)가 결합되고, 양단에는 외주면에 띠홈(131)이 형성되어 수직판(110)의 축홈(111)에 끼워지되, 작동드럼(130)의 양단은 수직판(110)의 축홈(111)을 따라 등간격으로 설치된 베어링(133)에 안착되어 회전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체부(100)의 일측 수직판(110)의 외측면에는 제어부(140)가 장치된다.
구동부(200)는 본체부(100)의 일측 수직판(110)의 외측에 설치되고 모터(210)와 감속기(220)로 이루어진다.
감속기(220)의 하부에는 모터(210)가 설치되고 감속기(220)의 상부에는 구동축(330)의 일단이 감속기(220)의 내부로 삽입설치되어 모터(210)의 회전력을 전달받게 된다.
클러치장치부(300)는 디스크원판(310), 작동판(320), 구동축(330), 피동축(340), 핀(34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디스크원판(310)은 구동축(330)이 설치된 감속기(220)의 외측면에 구동축(330) 주변으로 동심원을 따라 등간격으로 매설되는 자석(311)의 자력으로 부착된다.
작동판(320)은 디스크원판(310)에 볼트결합된다. 작동판(320)의 작동면(내주면)(321)은 직경이 작은 협소부(321a)와 협소부(321a)에서 작동면(321)을 따라 점차 직경이 커지는 확장부(321b)로 구성되고, 확장부(321b)의 단부에는 걸림돌기(322)가 형성된다.
구동축(330)은 디스크원판(310)과 작동판(320)을 동시에 관통하여 감속기(220)에 설치된다. 구동축(330)의 외주면에는 띠홈(331)과 핀삽입공(332)이 형성된다.
피동축(340)은 구동축(330)의 내부에 공회전 가능하도록 축설된다. 피동축(340)의 외주면에는 정방향으로는 걸림턱(341b), 역방향으로는 탈거면(341a)을 형성한 핀안착홈(341)이 구성된다.
상기 구동축(330)의 핀삽입공(332)에 핀(343)을 끼워서 핀(343)의 하단이 피동축(340)의 핀안착홈(341)에 접촉하게 됨으로써 구동축(330)과 피동축(340)이 핀(343)에 의해 연결된다. 핀(343)의 내부에는 자석(343a)이 설치된다. 또한, 피동축(340)의 일단에는 스플라인(342)이 형성된다.
장력조정부(400)는 작동원판(410), 결합관(420), 마찰원판(4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작동원판(410)은 중심부에는 통공(411)이 형성되어 결합관(420)이 결합된다. 결합관(420)의 중심부에 형성된 구멍의 내주면에는 피동축(340)의 스플라인(342)과 대응되는 스플라인(421)이 형성되어 상기 피동축(340)의 일단에 형성된 스플라인(342)이 치합되도록 끼워진다.
작동원판(410)의 일측면에는 중심부에 형성된 통공(411)의 주변으로 동심원을 따라 수직방향으로 다수개(4~8개)의 볼안내관(412)이 돌출형성된다. 작동원판(410)의 타측면에는 결합홈(413)이 형성되고, 작동원판(410)의 외주면에는 방사형으로 안내관(414)이 돌출형성된다.
마찰원판(430)은 작동원판(410)의 결합홈(413)에 밀착되어 부착된다. 마찰원판(430)의 외주면에는 환상결합홈(431)이 형성되고, 외측면에는 구동볼트(432)가 결합되어 마찰원판(430)의 구동볼트(432)는 작동드럼(130)의 피동볼트(132)에 걸쳐져 작동원판(410)이 회전하면 작동드럼(130)이 함께 회전하게 된다.
이때, 상기 장력조정부(400)의 작동원판(410)의 볼안내관(412)의 중심부에는 암나사구멍(412d)과 안내구멍(412e)이 차례로 형성되어 마찰원판(430)의 내측면과 연통되고 안내구멍(412e)에는 마찰볼(412c)과 스프링(412b)이 차례로 끼워지며 마찰볼(412c)이 마찰원판(430)의 내측면을 누르는 강도를 조절하도록 압착볼트(412a)가 암나사구멍(412d)에 나사결합되는 마찰조절장치(B)가 구성된다.
또한, 상기 장력조정부(400)의 작동원판(410)의 안내관(414)의 중심부에는 암나사구멍(414c)과 안내구멍(414d)이 차례로 형성되어 마찰원판(430)의 환상결합홈(431)과 연통되며 안내구멍(414d)에는 연결봉(414b)이 끼워져 마찰원판(430)의 환상결합홈(431)에 접촉하고 연결봉(414b)의 누름강도를 조정하는 압착볼트(414a)가 암나사구멍(414c)에 나사결합되는 결합장치(C)가 구성된다.
따라서, 작동원판(410)과 마찰원판(430)이 서로 결합되되, 작동원판(410)과 마찰원판(430)이 접촉하는 면에 마찰조절장치(B)와 결합장치(C)가 각각 설치됨으로써, 작동드럼(130)에 미치는 장력이 필요 이상으로 발생하면 마찰원판(430)이 장력이 미치는 방향으로 공회전하여 장력을 완화시켜줄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5a와 도 5b를 참조하여, 클러치장치부(300)의 작동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모터(210), 감속기(220)로부터 전달된 구동력으로 클러치장치부(300)의 구동축(330)이 회전하면 구동축(330)의 핀삽입공(332)에 끼워진 핀(343)이 같이 회전하게 된다. 이때, 핀(343)의 상단은 작동판(320)의 작동면(321)의 확장부(321b)에서 확장부(321b)에 접촉한 상태로 작동면(321)을 따라 협소부(321a)쪽으로 회전함으로써 핀(343)의 하단은 피동축(340)의 탈거면(341a)에 접촉한 상태로 핀안착홈(341)으로 이동하게 된다. 피동축(340)의 핀안착홈(341)에 핀(343)의 하단이 도달하면 핀(343)의 하단이 핀안착홈(341)의 일측에 형성된 걸림턱(341b)에 걸리게 되므로 이때부터 구동축(330)과 피동축(340)이 함께 회전하게 된다.
덧붙여, 핀(343)의 하단이 피동축(340)의 핀안착홈(341)에 도달하게 되면 핀의 상단은 작동판(320)의 협소부(321a)에 위치하고 협소부(321a)를 벗어나지는 않는다.
그리고, 피동축(340)이 회전하면 피동축(340)의 일단에 작동원판(410)의 결합관(420)이 결합되어 있으므로 작동원판(410)이 회전하게 되고 마찰원판(430)도 같이 회전한다. 또한, 마찰원판(430)의 구동볼트(432)와 작동드럼(130)의 피동볼트(132)가 같은 회전반경 내에 서로 걸쳐져 있으므로 마찰원판(430)이 회전하면 작동드럼(130)도 회전하게 된다.
아울러, 구동축(330)이 반대로 회전하게 되면, 구동축(330)에 끼워진 핀(343)의 하단이 피동축(340)의 탈거면(341a)에 접촉한 상태로 같이 회전하게 된다. 구동축(330)이 회전하여 작동판(320)의 확장부(321b) 쪽으로 도달하게 되면 구동축(330)의 핀이 피동축(340)의 탈거면(341a)을 완전히 벗어나게 된다. 이때, 피동축(340)의 탈거면(341a)을 완전히 벗어난 핀(343)은 핀(343) 내부에 설치된 자석(343a)에 의해 디스크원판(310)에 고정된다.
따라서, 이때에는 구동축(330)만 회전하고 피동축(340)은 회전하지 않게 되고, 핀(343)의 상단이 작동판(320)의 걸림돌기(322)에 걸려서 회전하게 되므로 구동축(330)과 작동판(320)이 함께 공회전하게 된다.
한편, 도 6은 본 발명의 사용상태도로서, 비닐하우스용 점적호스를 교체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사용상태도로서, 비닐하우스용 멀칭비닐을 교체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사용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6을 참조하면, 비닐하우스 내부에 설치되는 점적호스(500)를 교체할 경우에 점적호스(500)의 일단을 작동드럼(130)에 고정한 후 점적호스(500)의 타단에는 교체할 새 점적호스를 연결한다. 모터(210)를 작동시켜 작동드럼(130)이 회전하게 되면 낡은 점적호스는 작동드럼(130)에 감기게 되고, 새 점적호스는 비닐하우스 내부에 설치된다. 그리고, 수직판에서 이탈방지판을 분리한 후 낡은 점적호스가 감겨진 작동드럼을 축홈을 따라 외부로 빼낸 다음 작동드럼에서 낡은 점적호스를 제거하면 된다.
다음으로, 도 7을 참조하면, 비닐하우스에 사용되는 멀칭비닐(600)을 교체할 경우에 멀칭비닐(600)의 일단을 본체부(100)의 일측에 상하로 설치된 안내롤러(113) 사이로 통과시켜 작동드럼(130)에 고정시킨다. 그리고, 작동드럼(130)을 회전시켜 멀칭비닐(600)을 작동드럼(130)에 감으면 된다. 그런 다음, 수직판에서 이탈방지판을 분리한 후 낡은 멀칭비닐이 감겨진 작동드럼을 축홈을 따라 외부로 빼낸 다음 작동드럼에서 낡은 멀칭비닐을 제거하면 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 실시나 응용이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 실시나 응용 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돼서는 안 될 것이다.

100 : 본체부 110 : 수직판
120 : 지지봉 130 : 작동드럼
140 : 제어부 200 : 구동부
300 : 클러치장치부 310 : 디스크원판
311, 343a : 자석 320 : 작동판
321 : 작동면 321a : 협소부
321b : 확장부 322 : 걸림돌기
330 : 구동축 331 : 띠홈
332 : 핀삽입공 340 : 피동축
341 : 핀안착홈 341a : 탈거면
341b : 걸림턱 342 : 스플라인
343 : 핀 400 : 장력조정부
410 : 작동원판 411 : 통공
412 : 볼안내관 413 : 결합홈
414 : 안내관 420 : 결합관
430 : 마찰원판 431 : 환상결합홈
432 : 구동볼트

Claims (2)

  1. 양측에 구비된 수직판(110)과, 양측 수직판(110)의 상,하단에 결합되어 수직판(110)을 고정시키는 지지봉(120)과, 수직판(110)의 상단에서 중심부로 이어지는 축홈(111)과, 축홈(111)에 회전가능케 설치되는 작동드럼(130)으로 구성된 본체부(100);
    본체부(100)의 일측 수직판(110)의 외측에 설치되고 모터(210)의 구동력을 감속기(220)를 통해 구동축(330)에 전달하는 구동부(200);
    구동축(330)이 설치된 감속기(220)의 외측면에 동심원을 따라 등간격으로 매설되는 자석(311)의 자력으로 부착되는 디스크원판(310)과, 디스크원판(310)에 볼트결합되는 작동판(320)과, 상기 디스크원판(310)과 작동판(320)을 동시에 관통하여 감속기(220)에 설치되는 구동축(330)과, 구동축(330)의 내부에 공회전 가능하도록 축설되는 피동축(340)으로 구성된 클러치장치부(300);
    중심부에는 통공(411)이 형성되어 결합관(420)이 결합되고, 일측면에는 통공(411)이 형성된 주변으로 동심원을 따라 수직방향으로 다수개의 볼안내관(412)이 돌출형성되고, 타측면에는 결합홈(413)이 형성되고, 외주면에는 방사형으로 안내관(414)이 돌출형성되는 작동원판(410)과, 작동원판(410)의 결합홈(413)에 부착되는 마찰원판(430)으로 구성된 장력조정부(400);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본체부(100)의 일측 수직판(110)의 외측면에는 제어부(140)가 장치되며,
    상기 본체부(100)의 작동드럼(130)의 일측면에는 피동볼트(132)가 결합되고, 작동드럼(130)의 양단에는 외주면에 띠홈(131)이 형성되어 수직판(110)의 축홈(111)에 끼워지고 작동드럼(130)의 양단부는 수직판(110)의 축홈(111)을 따라 등간격으로 설치된 베어링(133)에 안착되며,
    상기 구동부(200)의 감속기(220)의 하부에는 모터(210)가 설치되고 감속기(220)의 상부에는 구동축(330)이 설치되며,
    상기 클러치장치부(300)의 작동판(320)의 작동면(내주면)(321)은 직경이 작은 협소부(321a)와 점차 직경이 커지는 확장부(321b)로 구성되고, 확장부(321b)의 단부에는 걸림돌기(322)가 형성되며,
    상기 클러치장치부(300)의 구동축(330)의 외주면에는 띠홈(331)과 핀삽입공(332)이 형성되고, 상기 피동축(340)의 외주면에는 정방향으로는 걸림턱(341b), 역방향으로는 탈거면(341a)을 형성한 핀안착홈(341)을 구성하여, 구동축(330)의 핀삽입공(332)으로 삽입되어 피동축(340)의 핀안착홈(341)에 안착되는 핀(343)으로 구동축(330)과 연결되며,
    상기 클러치장치부(300)의 핀(343)에는 자석(343a)이 설치되며,
    상기 장력조정부(400)의 결합관(420)에는 상기 피동축(340)의 일단이 결합되며,
    상기 장력조정부(400)의 마찰원판(430)의 외주면에는 환상결합홈(431)이 형성되고, 외측면에는 구동볼트(432)가 결합되며,
    상기 장력조정부(400)의 작동원판(410)의 볼안내관(412)의 중심부에는 암나사구멍(412d)과 안내구멍(412e)이 차례로 형성되어 마찰원판(430)의 내측면과 연통되고 안내구멍에는 마찰볼(412c)과 스프링(412b)이 차례로 끼워지며 마찰볼(412c)이 마찰원판(430)의 내측면을 누르는 강도를 조절하도록 압착볼트(412a)가 암나사구멍(412d)에 나사결합되는 마찰조절장치(B)가 구성되고,
    상기 장력조정부(400)의 작동원판(410)의 안내관(414)의 중심부에는 암나사구멍(414c)과 안내구멍(414d)이 차례로 형성되어 마찰원판(430)의 환상결합홈(431)과 연통되며 안내구멍(414d)에는 연결봉(414b)이 끼워져 마찰원판(430)의 환상결합홈(431)에 접촉하고 연결봉(414b)의 누름강도를 조정하는 압착볼트(414a)가 암나사구멍(414c)에 나사결합되는 결합장치(C)가 구성되며,
    상기 마찰원판(430)의 구동볼트(432)가 작동드럼(130)의 피동볼트(132)에 걸쳐져 작동원판(410)이 회전하면 작동드럼(130)이 함께 회전하는 것을 포함하는 점적호스 및 멀칭비닐 교체작업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100)의 수직판(110)의 축홈(111)에는 작동드럼(130)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판(112)이 결합되고, 본체부(100)의 일측에는 안내롤러(113)가 상하로 설치되며,
    상기 본체부(100)의 하단에 설치된 지지봉(120)에는 바퀴(121)가 장치되고, 일측 바퀴(121)에는 본체부(100)를 지면에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나사(122)가 설치되는 것을 포함하는 점적호스 및 멀칭비닐 교체작업기.
KR1020150095112A 2015-07-03 2015-07-03 점적호스 및 멀칭비닐 교체작업기 KR1016971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5112A KR101697194B1 (ko) 2015-07-03 2015-07-03 점적호스 및 멀칭비닐 교체작업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5112A KR101697194B1 (ko) 2015-07-03 2015-07-03 점적호스 및 멀칭비닐 교체작업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5314A true KR20170005314A (ko) 2017-01-12
KR101697194B1 KR101697194B1 (ko) 2017-01-18

Family

ID=578116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95112A KR101697194B1 (ko) 2015-07-03 2015-07-03 점적호스 및 멀칭비닐 교체작업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9719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67064B1 (ko) 2019-05-13 2020-10-16 장석근 멀칭비닐 및 반사시트 교체작업기
CN110663673B (zh) * 2019-09-16 2021-09-07 常州市金秋织造有限公司 一种针刺复合型防草布及其生产线和工艺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44812Y1 (ko) * 2003-12-09 2004-03-10 임종우 농약 살포용 호스 권취기
KR200443457Y1 (ko) 2007-09-10 2009-02-17 장호철 비닐하우스 보온덮개 개폐기용 클러치장치
KR20110003246U (ko) 2009-09-24 2011-03-30 장호철 비닐하우스 보온덮개 개폐장치용 작동드럼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44812Y1 (ko) * 2003-12-09 2004-03-10 임종우 농약 살포용 호스 권취기
KR200443457Y1 (ko) 2007-09-10 2009-02-17 장호철 비닐하우스 보온덮개 개폐기용 클러치장치
KR20110003246U (ko) 2009-09-24 2011-03-30 장호철 비닐하우스 보온덮개 개폐장치용 작동드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97194B1 (ko) 2017-01-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4101328A4 (en) Trimmer Head
KR101697194B1 (ko) 점적호스 및 멀칭비닐 교체작업기
KR102017840B1 (ko) 소방호스 회수장치
WO2011077853A1 (ja) 刈払い機用ロータリカッタ
KR101218315B1 (ko) 베이트 릴의 클릭음 발생장치
KR101607563B1 (ko) 드래그 어셈블리를 구비한 낚시릴
US7849987B2 (en) Centrifugal blade brake clutch apparatuses and methods
JP2014501894A5 (ko)
JP2016202048A (ja) 施設ハウス用の高設栽培装置
WO2019114680A1 (zh) 用于切片机的夹持装置
SE530647C2 (sv) Fiskerulle
CN104184075B (zh) 电缆剥皮装置
JP2009171929A (ja) 刈払ヘッド
CN205521187U (zh) 自动变速器再制造用圆锥滚子轴承安装工具
US20110054510A1 (en) System and method for assembling a lancing device using a spring winding fixture
CN104005098B (zh) 自动缫丝机的小彧装置
CN205222309U (zh) 用于电源线的移动提升机收线机构
KR102167064B1 (ko) 멀칭비닐 및 반사시트 교체작업기
CN209165180U (zh) 一种led灯
RU2490109C2 (ru) Устройство соединения ведущего вала или шпинделя с ведомой охватывающей ступицей
CN218649800U (zh) 鼓式渔线轮的摩擦压板快速拆卸结构
TWI316488B (ko)
KR101692375B1 (ko) 예초기용 트리머 헤드
CN217026206U (zh) 一种倍捻机的手动刹停装置
CN214095741U (zh) 一种使用安全的拉弦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30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