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04925A - Stick for taking a self picture - Google Patents

Stick for taking a self pictur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04925A
KR20170004925A KR1020160177509A KR20160177509A KR20170004925A KR 20170004925 A KR20170004925 A KR 20170004925A KR 1020160177509 A KR1020160177509 A KR 1020160177509A KR 20160177509 A KR20160177509 A KR 20160177509A KR 20170004925 A KR20170004925 A KR 201700049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tor
unit
button
signal
motor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7750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907895B1 (en
Inventor
김연수
권혜경
최은숙
Original Assignee
(주)아이티버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이티버스 filed Critical (주)아이티버스
Priority to KR10201601775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07895B1/en
Publication of KR201700049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492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078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0789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56Accessories
    • G03B17/561Support related camera accessor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6Remote control of cameras or camera parts, e.g. by remote control devices
    • H04N5/23203

Abstrac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stick for taking a selfie picture includes: a holding part having a portable device with camera function installed thereon; a first motor part having one side connected to the holding part and rotating the holding part up and down; a second motor part having one side connected to the other side of the first motor part and rotating the holding part and the first motor part to the left and right; and a stick part having one side connected to the other side of the second motor part and the other side where a grab part is formed.

Description

셀프 촬영용 스틱{STICK FOR TAKING A SELF PICTURE}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ick for self-

본 발명은 셀프 촬영용 스틱에 관한 것으로써, 구체적으로는 휴대용 기기를 이용하여 셀프 촬영을 수행하는 경우, 휴대용 기기의 각도 조절은 물론 휴대용 기기에 포함된 카메라 기능을 용이하게 제어할 수 있는 셀프 촬영용 스틱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elf-photographing stick, and more particularly, to a self-photographing stick which can easily control a camera function included in a portable device as well as an angle of a portable device when performing self-photographing using a portable device .

일반적으로 셀카란 영어의 한국식 표현인 셀프 카메라(self camera)를 줄여 이르는 우리나라에서 만들어진 신조어로서, 자신이 직접 자신의 모습을 스스로 촬영하는 행위를 말한다.이는 촬영자 자신이 소지한 카메라나 휴대용 단말기 등의 촬영수단에 구비된 폰 카메라의 렌즈가 자신을 향하도록 하여 자신을 피사체로 촬영하는 것으로, 영어 표현으로는 셀피(selfie)라고 하고, 셀피는 영어사전으로 유명한 옥스포드 대학 출판사에 의해 2013년 올해의 단어로 선정된 바 있다. Generally speaking, self-expression is a new term made in Korea that reduces self-camera, which is Korean expression of English, and refers to the act of self-photographing oneself by itself. The lens of the phone camera provided in the photographing means faces the self and photographs itself as a subject. The self-expression is called as self-expression in English, and the self- .

셀카는 특히 고화질 폰 카메라가 구비된 스마트폰이 전 세계적으로 널리 보급되면서 카메라 대신에 스마트폰을 통하여 쉽게 자기 자신을 촬영하는 일이 일상화되었고, 연예인은 물론이고 일반인들까지 셀카로 찍은 사진을 블로그나 SNS를 통해 다른 사람들과 공유하면서 널리 유행하고 있다.Especially, smart phones equipped with high-quality phone cameras have become popular all over the world, so it is common for them to easily photograph themselves through a smart phone instead of a camera, and the photographs taken by self- Sharing with others through SNS.

종래에 셀카를 찍는 방법은 촬영수단의 렌즈가 자신을 향하도록 든 채 팔을 앞으로 뻗어 자신의 모습을 촬영하였으나 촬영자가 촬영될 자신의 모습을 미리 볼 수가 없어 촬영이 불편하였다. 최근에는 셀카 촬영 기능을 갖는 카메라나 휴대용 단말기가 보급되어 촬영자가 촬영될 자신의 모습을 미리 보면서 셀카를 찍을 수 있다. 그러나, 촬영자가 촬영수단을 직접 들고 셀카를 찍는 것은 번거로울 뿐만 아니라, 촬영자의 머리나 상반신만 크게 나오고 뒷 배경은 거의 나오지 않으며, 여러 명이 함께 셀카를 찍는 경우 서로 억지로 붙어 있어야하기 때문에 불편한 문제가 있다.Conventionally, in the method of taking a self-portrait, the lens of the photographing means is directed toward the user, and the user stretches his / her arm forward to take a picture of himself, but the photographer can not preview his / her own image to be photographed. In recent years, a camera or a portable terminal having a self-photographing function is popularized, and a photographer can take a self-portrait while previewing his / her own image to be photographed. However, it is inconvenient for a photographer to take a self-portrait and take a self-portrait, which is troublesome because the photographer's head or upper body is largely out of the background and the background is hardly displayed.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최근 셀카용 스틱이 개발되어 시판중이지만, 휴대용 단말기의 회전이 필요한 경우, 사용자가 직접 손으로 휴대용 단말기를 회전시켜야 하기 때문에 사용에 불편을 야기시킨다는 문제점이 있다.In order to solve such a problem, a stick for a cell phone has been recently developed and is on the market. However, when the rota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is required, the user must directly rotate the portable terminal by hand.

하기 선행문헌은 셀프 카메라용 보고 기구봉에 관한 것으로써, 쉽고 간편히 바닥에 세울 수 있도록 지지발을 형성시킬 수 있는 셀카봉을 이용하여 양팔이 자유로운 상태에서 좀 더 다양한 포즈의 전신 모습과 본인의 의향에 따라 거리를 조절함으로써 화각을 넓혀 더 넓은 배경과 더 많은 사람들을 한번에 찍을 수 있도록 하는 셀프 카메라용 보조 기구봉에 관한 발명이 개시되어 있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포함하고 있지 않다.The following prior art documents relate to self-camera reporting mechanism rods, which can be easily and easily set up on the floor using a self-supporting rods, The invention is directed to an auxiliary device rod for a self-camera that allows a wider angle of view and a wider background to be captured at a time by adjusting the distance according to the distance, and does not include the technical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한국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15-0000421호Korean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20-2015-0000421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셀프 촬영용 스틱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해결과제를 목적으로 한다. The self-photographing sti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following problems in order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하나의 셀프 촬영용 스틱에 모터 및 모터를 제어하는 입력부를 구비함으로써, 사용자가 용이하고 안정적으로 셀프 촬영용 스틱에 거치된 휴대용 기기의 각도를 변경할 수 있는 셀프 촬영용 스틱을 제공하는 것이다. There is provided a self-photographing stick having an input unit for controlling a motor and a motor, so that the user can easily and stably change the angle of a portable device mounted on the self-photographing stick.

또한, 입력부를 사용자가 용이하게 아니라 와이드 셀프 촬영 또는 파노라마 촬영을 수행할 수 있는 셀프 촬영용 스틱을 제공하는 것이다. 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elf-photographing stick capable of performing a wide self photographing or a panoramic photographing, not an easy user.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해 기술분야에 있어서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The solution to the proble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ose mentioned above, and other solutions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셀프 촬영용 스틱은 카메라 기능을 포함하는 휴대용 기기가 장착되는 거치부; 일측이 상기 거치부와 연결되고, 상기 거치부를 상하 방향으로 회동시키는 제 1모터부; 일측이 상기 제 1모터부의 타측과 연결되고, 상기 거치부 및 상기 제 1모터부를 좌우 방향으로 회동시키는 제 2모터부; 및 일측이 상기 제 2모터부의 타측과 연결되고, 타측에 손잡이부가 형성되는 스틱부;를 포함한다.A self-photographing sti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ount for mounting a portable device including a camera function; A first motor part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stationary part and rotating the stationary part upward and downward; A second motor part connected to the other side of the first motor part at one side and rotating the mounting part and the first motor part in the left-right direction; And a stick portion having one side connected to the other side of the second motor portion and a handle portion formed on the other side.

상기 제 2모터부가 구동하는 경우, 상기 제 1모터부는 구동하지 않고 상기 제 2모터부의 구동에 기초하여 상기 거치부와 함께 회동하는 것이 바람직하다.When the second motor unit is driven, it is preferable that the first motor unit is not driven but rotates together with the stationary unit based on the driving of the second motor unit.

상기 제 2모터부가 구동에 의한 상기 거치부의 좌우 회전축은 상기 스틱부의 길이 방향으로의 직선과 교차하되, 상기 좌우 회전축 및 상기 스틱부의 길이 방향 간의 각도는 90도 이상이 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 모터부의 구동에 의한 상기 거치부의 상하 회전축은 상기 좌우 회전축과 수직인 것이 바람직하다.Wherein the right and left rotary shafts of the stationary portion driven by the second motor portion intersect a straight lin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tick portion and the angle betwee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left and right rotary shafts and the stick portion is 90 degrees or more, And the vertical rotation axis of the mounting portion by the driving is preferably perpendicular to the left and right rotation axis.

상기 휴대용 기기, 상기 제 1모터부 및 상기 제 2모터부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기 위한 신호를 발생시키는 입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nd an input unit for generating a signal for controlling at least one of the portable device, the first motor unit, and the second motor unit.

상기 입력부를 통하여 최초 입력 신호가 발생되어 셀프 촬영용 스틱이 슬립 모드에서 액티브 모드로 전환되는 경우, 상기 거치부는 상기 제 1모터부 및 제 2모터부 중 적어도 하나의 구동에 의하여 미리 설정된 액티브 모드 각도로 이동되는 것이 바람직하다.When the first input signal is generated through the input unit and the self-photographing stick is switched from the sleep mode to the active mode, the mounting unit is set to a preset active mode angle by driving at least one of the first motor unit and the second motor unit .

상기 액티브 모드 각도는 상기 스틱부의 길이방향으로의 직선 및 상기 제 2모터부의 회전축 간의 각도로 정의되고, 상기 액티브 모드 각도는 105도 이상, 135도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The active mode angle is defined as an angle between a straight lin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tick portion and a rotation axis of the second motor portion, and the active mode angle is 105 degrees or more and 135 degrees or less.

셀프 촬영용 스틱이 액티브 모드에서 슬립 모드로 다시 전환되는 경우, 상기 거치부는 상기 제 1모터부 및 제 2모터부 중 적어도 하나의 구동에 의하여 미리 설정된 슬립 모드 각도로 이동되는 것이 바람직하다.When the self-photographing stick is switched back from the active mode to the sleep mode, the mounting portion is preferably moved to a predetermined sleep mode angle by driving at least one of the first motor portion and the second motor portion.

상기 제 1모터부 또는 제 2모터부에는 상기 거치부의 회전 각도를 검출하는 센서가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Preferably, the first motor part or the second motor part includes a sensor for detecting a rotation angle of the mounting part.

상기 입력부는 상기 손잡이부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input unit is preferably formed on the handle.

상기 휴대용 기기, 상기 제 1모터부 및 상기 제 2모터부 중 적어도 하나를 원격으로 제어하기 위한 리모트 컨트롤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입력부는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에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nd a remote controller for remotely controlling at least one of the portable device, the first motor unit, and the second motor unit, wherein the input unit is included in the remote controller.

상기 휴대용 기기 내에 설치되어 카메라 기능을 수행하는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입력부에 의해 제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Preferably, the application installed in the portable device and performing a camera function is controlled by the input unit.

상기 입력부는, 상기 제 1모터부 또는 제 2모터부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여 상기 거치부를 회전시키는 회전 방향 신호를 발생시키는 방향 버튼부; 및 상기 휴대용 기기의 카메라 셔터 신호를 발생시키는 촬영 버튼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Wherein the input unit comprises: a direction button unit for controlling at least one of the first motor unit and the second motor unit to generate a rotation direction signal for rotating the stationary unit; And a photographing button unit for generating a camera shutter signal of the portable device.

상기 입력부는 상기 거치부를 회전시키는 회전 방향 신호 및 상기 휴대용 기기의 카메라 셔터 신호를 함께 발생시키는 제 1버튼;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 1버튼을 누르면 좌측 또는 우측 방향으로 상기 거치부가 회전하고, 상기 거치부가 회전하는 시점부터 상기 카메라 셔터 신호가 연속적으로 발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Wherein the input unit further includes a first button for generating a rotation direction signal for rotating the mounting unit and a camera shutter signal of the portable device, and when the first button is pressed, the mounting unit rotates in the left or right direc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camera shutter signal is generated continuously from the time when the stationary part rotates.

상기 회전 방향 신호 및 상기 카메라 셔터 신호는 미리 설정된 모터 회전수, 미리 설정된 시간 및 미리 설정된 모터의 회전 각도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발생이 중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rotation direction signal and the camera shutter signal are preferably stopped based on at least one of a preset motor revolution number, a predetermined time, and a predetermined rotation angle of the motor.

상기 회전 방향 신호 및 상기 카메라 셔터 신호 발생이 중단된 이후, 상기 거치부는 상기 회전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제 1버튼을 눌렀을 시점의 각도에서 정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Preferably, after the rotation direction signal and the camera shutter signal are generated, the mounting portion is rotated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rotation direction and stops at an angle when the first button is pressed.

상기 회전 방향 신호 및 상기 카메라 셔터 신호의 발생 이후 상기 제 1버튼을 누르면 상기 회전 방향 신호 및 상기 카메라 셔터 신호의 발생이 중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When the first button is pressed after the rotation direction signal and the camera shutter signal are generated, the generation of the rotation direction signal and the camera shutter signal is stopped.

상기 제 1 버튼을 누르면 상기 제 1 모터부 및 제 2 모터부 중 적어도 하나가 구동되어 미리 설정된 각도로 상기 거치부의 위치를 이동시킨 후, 상기 회전 방향 신호 및 상기 휴대용 기기의 카메라 셔터 신호를 발생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When the first button is pressed, at least one of the first motor unit and the second motor unit is driven to move the position of the mounting unit at a predetermined angle, and then the rotation direction signal and the camera shutter signal of the portable device are generated .

상기 제 1모터부 또는 제 2모터부에는 상기 거치부의 회전 각도를 검출하는 센서가 포함되고, 상기 센서는 상기 거치부의 위치가 미리 설정된 각도로 이동했는지 여부를 검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Preferably, the first motor unit or the second motor unit includes a sensor for detecting a rotation angle of the stationary part, and the sensor detects whether or not the position of the stationary station has moved at a predetermined angle.

상기 제 1버튼을 미리 설정된 시간 미만 동안 누르면 상기 회전 방향 신호 및 상기 휴대용 기기의 카메라 셔터 신호가 함께 발생하고, 상기 제 1버튼을 미리 설정된 시간 이상 동안 누르면 카메라 줌인 또는 줌아웃 신호 중 하나가 발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When the first button is pressed for less than a predetermined time, the rotation direction signal and the camera shutter signal of the portable device are generated together, and when the first button is pressed for a predetermined time or more, one of the camera zoom in or zoom out signals desirable.

상기 입력부는 상기 거치부를 회전시키는 회전 방향 신호 및 상기 상기 휴대용 기기의 카메라 셔터 신호를 함께 발생시키는 제 2버튼;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 2버튼을 누르면 미리 설정된 각도만큼 상기 거치부가 좌측 또는 우측 중 어느 한 방향으로 회전한 후, 좌측 또는 우측 중 다른 한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상기 카메라 셔터 신호는 상기 거치부가 좌측 또는 우측 중 다른 한 방향으로 회전하는 시점부터 발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Wherein the input unit further includes a second button for generating a rotation direction signal for rotating the mounting unit and a camera shutter signal of the portable device, and when the second button is pressed, the mounting unit is moved leftward or rightward It is preferable that the camera shutter signal is generated from a time point when the mounting portion rotates in the other one of the left or right direction.

상기 회전 방향 신호 및 상기 카메라 셔터 신호는 미리 설정된 모터 회전수, 미리 설정된 시간 및 미리 설정된 모터의 회전 각도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발생이 중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rotation direction signal and the camera shutter signal are preferably stopped based on at least one of a preset motor revolution number, a predetermined time, and a predetermined rotation angle of the motor.

상기 회전 방향 신호 및 상기 카메라 셔터 신호 발생이 중단된 이후, 상기 거치부는 상기 회전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제 2버튼을 눌렀을 시점의 각도에서 정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Preferably, after the rotation direction signal and the camera shutter signal are generated, the mounting portion is rotated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rotation direction, and stops at an angle when the second button is pressed.

상기 회전 방향 신호 및 상기 카메라 셔터 신호의 발생 이후 상기 제 2버튼을 누르면 상기 회전 방향 신호 및 상기 카메라 셔터 신호의 발생이 중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When the second button is pressed after the rotation direction signal and the camera shutter signal are generated, the generation of the rotation direction signal and the camera shutter signal is interrupted.

상기 제 2버튼을 누르면 상기 제 1 모터부 및 제 2 모터부 중 적어도 하나가 구동되어 미리 설정된 각도로 상기 거치부의 위치를 이동시킨 후, 상기 회전 방향 신호 및 상기 휴대용 기기의 카메라 셔터 신호를 발생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When the second button is pressed, at least one of the first motor unit and the second motor unit is driven to move the position of the mounting unit at a predetermined angle, and then the rotation direction signal and the camera shutter signal of the portable device are generated .

상기 제 1모터부 또는 제 2모터부에는 상기 거치부의 회전 각도를 검출하는 센서가 포함되고, 상기 센서는 상기 거치부의 위치가 미리 설정된 각도로 이동했는지 여부를 검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Preferably, the first motor unit or the second motor unit includes a sensor for detecting a rotation angle of the stationary part, and the sensor detects whether or not the position of the stationary station has moved at a predetermined angle.

상기 제 2버튼을 미리 설정된 시간 미만 동안 누르면 상기 회전 방향 신호 및 상기 휴대용 기기의 카메라 셔터 신호가 함께 발생하고, 상기 제 2버튼을 미리 설정된 시간 이상 동안 누르면 카메라 줌인 또는 줌아웃 신호 중 하나가 발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When the second button is pressed for less than a preset time, the rotation direction signal and the camera shutter signal of the portable device are generated together, and when the second button is pressed for a predetermined time or more, one of the camera zoom in or zoom out signals is generated desirable

상기 입력부는 상기 휴대용 기기, 상기 제 1모터부 및 상기 제 2모터부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기 위한 신호를 사용자의 음성으로 입력받는 마이크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input unit may further include a microphone for receiving a signal for controlling at least one of the portable device, the first motor unit, and the second motor unit as a user's voice.

상기 카메라 기능은 사진 촬영 기능 또는 동영상 촬영 기능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Preferably, the camera function includes a photographing function or a moving picture photographing function.

상기 제 1모터부 및 제 2모터부는 상기 휴대용 기기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통신하고, 상기 거치부는 상기 휴대용 기기가 촬영하는 피사체의 이동 방향에 기초하여 회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the first motor unit and the second motor unit communicate with the portable device by wire or wireless, and the stationary unit rotates based on the moving direction of the subject photographed by the portable device.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셀프 촬영용 스틱은 카메라 기능을 포함하는 휴대용 기기가 장착되는 거치부; 일측이 상기 거치부와 연결되고, 상기 거치부를 좌우 방향으로 회동시키는 제 2모터부; 일측이 상기 제 2모터부의 타측과 연결되고, 상기 거치부 및 상기 제 2모터부를 상하 방향으로 회동시키는 제 1모터부; 및 일측이 상기 제 1모터부의 타측과 연결되고, 타측에 손잡이부가 형성되는 스틱부;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self-photographing stick comprising: a mount for mounting a portable device including a camera function; A second motor part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stationary part and rotating the stationary part in the left-right direction; A first motor unit connected to the other side of the second motor unit, the first motor unit rotating the mounting unit and the second motor unit in a vertical direction; And a stick portion having one side connected to the other side of the first motor portion and a handle portion formed on the other side.

상기 제 1모터부가 구동하는 경우, 상기 제 2모터부는 구동하지 않고 상기 제 1모터부의 구동에 기초하여 상기 거치부와 함께 회동하는 것이 바람직하다.When the first motor unit is driven, it is preferable that the second motor unit is not driven but rotates together with the stationary unit based on the driving of the first motor unit.

상기 제 1모터부의 구동에 의한 상기 거치부의 상하 회전축은 상기 스틱부의 길이 방향과 수직이고, 상기 제 2모터부의 구동에 의한 상기 거치부의 좌우 회전축은 상기 상하 회전축과 수직인 것이 바람직하다.The vertical rotation axis of the mounting portion by driving the first motor portion is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tick portion and the horizontal rotation axis of the mounting portion by the driving of the second motor portion is perpendicular to the vertical rotation axis.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셀프 촬영용 스틱은 카메라 기능을 포함하는 휴대용 기기가 장착되는 거치부; 일측이 상기 거치부와 연결되고, 상기 거치부를 좌우 방향으로 회동시키는 제 2모터부; 일측이 상기 제 2모터부의 타측과 연결되고, 상기 거치부를 상하 방향으로 회동시키도록 형성된 틸트 조절부; 및 일측이 상기 틸트 조절부와 연결되고, 타측에 손잡이부가 형성되는 스틱부;를 포함한다.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self-photographing stick comprising: a mount for mounting a portable device including a camera function; A second motor part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stationary part and rotating the stationary part in the left-right direction; A tilt adjusting unit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second motor unit and configured to rotate the mounting unit in a vertical direction; And a stick portion having one side connected to the tilt adjusting portion and a handle portion formed on the other side.

상기 거치부는 상기 틸트 조절부를 수동으로 조절하여 상하 방향으로의 회동 및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mounting portion is preferably rotated and fixed in the vertical direction by manually adjusting the tilt adjusting portion.

상기 틸트 조절부의 구동에 의한 상기 거치부의 상하 회전축은 상기 스틱부의 길이 방향과 수직이고, 상기 제 2모터부의 구동에 의한 상기 거치부의 좌우 회전축은 상기 상하 회전축과 수직인 것이 바람직하다.The vertical rotation axis of the mounting portion by driving the tilt adjustment portion is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tick portion and the left and right rotation shafts of the mounting portion driven by the second motor portion are perpendicular to the up and down rotation shafts.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셀프 촬영용 스틱은, 입력부를 이용하여 셀프 촬영용 스틱에 거치된 휴대용 기기의 각도 조절은 물론 휴대용 기기 내부의 카메라 어플리케이션도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됨으로써, 사용자가 가급적 휴대용 기기를 직접 조작하지 않더라도 용이하고 안정적으로 여러 기능의 촬영을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The self-photographing sti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to control the angle of the portable device mounted on the self-photographing stick using the input unit as well as the camera application inside the portable device, It is possible to perform shooting of various functions easily and stably without direct manipulation.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해 기술분야에 있어서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질 수 있을 것이다.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ose mentioned above,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may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셀프 촬영용 스틱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셀프 촬영용 스틱의 구성 중 손잡이부를 구체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셀프 촬영용 스틱의 사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self-photographing sti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front view specifically showing a handle of the self-photographing stick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erspective view of a self-photographing stick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Reference will now be made in detail to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examples of which are illustrated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wherein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the like elements throughout.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사상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의 사상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됨을 유의해야 한다.In the following description, well-known functions or constructions are not described in detail since they would obscure the invention in unnecessary detail. It is to be noted that the accompanying drawings are only for the purpose of facilitating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ing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이하,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셀프 촬영용 스틱의 구성에 대하여 먼저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셀프 촬영용 스틱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셀프 촬영용 스틱의 구성 중 손잡이부(400)의 정면도이다.Hereinafter, the construction of the self-photographing stick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and 2. FIG. FIG.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elf-photographing sti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front view of a handle 400 of a self-photographing sti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셀프 촬영용 스틱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거치부(100), 제 1모터부(200), 제 2모터부(300), 손잡이부(400) 및 스틱부(500)로 크게 구성된다.1, a self-photographing sti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ounting portion 100, a first motor portion 200, a second motor portion 300, a handle portion 400, and a stick portion (not shown) 500).

거치부(100)는 카메라 기능을 구현할 수 있는 휴대용 기기(10)가 장착되는 구성으로써, 휴대용 기기(10)가 용이하게 장착시킬 수 있되, 장착 후 쉽게 이탈되지 않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면 및 측면은 상기 휴대용 기기(10)와 접촉될 수 있도록 구성되고, 하면에서 상측 방향으로 신축 가능하도록 형성된 별도의 고정부를 구비하여, 휴대용 기기(10)를 하면에 안착시킨 후, 고정부로 휴대용 기기(10)를 고정시키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한편, 거치부(100)는 휴대용 기기(10)와 접촉할 경우 휴대용 기기(10)의 외면에 스크레치 등의 손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재질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The mounting portion 100 is configured such that the portable device 10 capable of realizing a camera function is mounted. The mounting portion 100 is preferably formed such that the portable device 10 can be easily mounted, but is not easily detached after mounting. 1, a lower surface and a side surface of the portable device 10 are configured to be in contact with the portable device 10, and have separate fixing portions formed on the lower surface so as to be able to expand and contract in the upward direction, To be fixed to the bottom surface, and then to fix the portable device 10 to the fixing por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mounting portion 100 is made of a material capable of preventing scratches or the like from being generat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portable device 10 when the portable device 10 is in contact with the portable device 10. [

제 1모터부(200)는 일측이 거치부(100)와 연결되어 있는 구성으로써, 거치부(100)를 상하 방향으로의 회전, 즉 틸트(Tilt) 회전을 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제 2모터부(300)는 제 2모터부(300)의 타측과 연결되어 있는 구성으로써, 거치부(100) 및 제 1모터부(200)를 좌우 방향으로의 회전, 즉 팬(Pan) 회전을 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한편, 제 2모터부(300)를 구동시켜서 거치부(100)를 좌우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경우, 제 1모터부(200)는 구동시키지 않고 제 2모터부(300)만 구동시킴으로써 거치부(100)의 좌우 회전 중에 상하 회전이 동시에 수행되지 않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셀프 촬영용 스틱의 경우 후술할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셀프 촬영용 스틱과는 달리 상하 회전을 수행하는 제 1모터부(200)가 거치부(100)와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이때 거치부와 상하 회전축(a) 간의 거리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셀프 촬영용 스틱보다 짧아지기 때문에 거치부(100) 및 거치부(100)에 수용된 휴대용 기기(10)를 수직 회전시키기 위하여 필요한 토크량이 작아지게 된다. 즉, 제 1모터(200)를 구동시키기 위한 인가 전원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셀프 촬영용 스틱에서의 경우 대비 적게 필요하게 되므로 소비전력 측면에서 장점이 있다. The first motor unit 200 has one side connected to the mounting unit 100 and serves to rotate the mounting unit 100 in the vertical direction, that is, tilt. The second motor unit 300 is connected to the other side of the second motor unit 300 and rotates the mounting unit 100 and the first motor unit 200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 Rotation. When the mounting portion 100 is rotat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by driving the second motor portion 300, only the second motor portion 300 is driven without driving the first motor portion 200, so that the mounting portion 100 So that the up-and-down rotation is not performed at the same time. In the case of the self-photographing stick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unlike the self-photographing stick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be described later, the first motor unit 200 performing the up- It is connected. Since the distance between the mounting part and the vertical axis of rotation a is shorter than that of the self-photographing stick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vertically rotate the portable device 10 accommodated in the mounting part 100 and the mounting part 100 The required torque amount becomes small. That is, the power supply for driving the first motor 200 is less in comparison with the self-photographing stick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is advantageous in power consumption.

스틱부(500)는 일측이 제 2모터부(300)의 타측과 연결되는 구성으로써, 길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고, 이러한 길이 조절은 입력부에 의해 자동으로 제어될 수 있도록 길이 조절용 모터를 추가로 구비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한편,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모터부(300)의 구동에 의한 거치부(100)의 좌우 회전축(b)는 스틱부(500)의 길이 방향으로의 직선과 교차하되, 좌우 회전축(b) 및 스틱부(500)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직선 간의 각도는 90도 이상이 되도록 형성된다. 또한 제 1모터부(200)의 구동에 의한 거치부(100)의 상하 회전축(a)은 좌우 회전축(b)과 수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stick portion 500 is connected to the other side of the second motor portion 300 so that the length of the stick portion 500 can be adjusted. The length of the stick portion 500 can be automatically controlled by the input portion, May be additionally provided. 1, the left and right rotational axis b of the mounting part 100 driven by the second motor part 300 intersects a straight lin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tick part 500, b and the straight line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tick portion 500 are formed to be 90 degrees or more. The vertical rotation axis a of the mounting portion 100 driven by the first motor unit 200 is preferably perpendicular to the left and right rotation axis b.

손잡이부(400)는 사용자가 용이하게 파지가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스틱부(300)와 착탈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잡이부(400)에는 휴대용 기기(10), 제 1모터부(200) 및 제 2모터부(300)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기 위한 신호를 발생시키는 입력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나아가 이러한 입력부는 셀프 촬영용 스틱과 별도로 형성되어 셀프 촬영용 스틱을 원격으로 제어하기 위한 리모트 컨트롤러에 포함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The handle 400 may be configured to be easily grasped by the user, and may be detachably attached to the stick 300. 1, an input unit for generating signals for controlling at least one of the portable device 10, the first motor unit 200, and the second motor unit 300 is included in the handle unit 400 Further, the input unit may be formed separately from the self-photographing stick, and may be included in a remote controller for remotely controlling the self-photographing stick.

이하에서는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셀프 촬영용 스틱에서의 손잡이부(400)에 포함된 입력부의 구성 및 기능에 대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살펴보도록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입력부는 휴대용 기기(10), 제 1모터부(200) 및 제 2모터부(300)를 제어하기 위한 신호를 발생시키는데, 휴대용 기기(10)의 제어의 경우 휴대용 기기(10) 내에 설치되어 카메라 기능을 수행하는 어플리케이션 또한 제어 가능하도록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Hereinafter, the structure and functions of the input unit included in the handle 400 of the self-photographing stick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As described above, the input unit generates signals for controlling the portable device 10, the first motor unit 200, and the second motor unit 300. In the case of the control of the portable device 10, It is preferable that an application for performing a camera function is also controllable.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셀프 촬영용 스틱은 불필요한 전력 소모의 방지를 위하여 실질적으로 동작이 불필요한 경우에는 최소 전원만 인가되는 슬립 모드(Sleep Mode)와, 동작이 필요한 경우 제 1모터부(200), 제 2모터부(300) 등의 각 구성에 전원을 실질적으로 인가하여 주는 액티브 모드(Active Mode)의 두 모드로의 설정이 가능하다. In order to prevent unnecessary power consumption, the self-photographing sti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leep mode in which only the minimum power is applied when operation is unnecessary, 200, and the second motor unit 300 can be set to two modes, that is, an active mode in which power is substantially applied.

셀프 촬영용 스틱을 구동시킨 후 미리 설정된 시간동안 별도의 입력신호가 인가되지 않는 경우, 자동으로 슬립 모드로 진입하게 된다. 슬립 모드가 지속되고 있는 중에 입력부를 통하여 최초 입력 신호가 발생되게 되면 셀프 촬영용 스틱은 슬립 모드에서 액티브 모드로 전환되게 된다. 이때, 거치부(100)는 제 1모터부(200) 및 제 2모터부(300) 중 적어도 하나의 구동에 의하여 미리 설정된 액티브 모드 각도로 이동하게 된다. 이러한 액티브 모드 각도는 사용자가 셀프 카메라 스틱을 이용하여 셀프 촬영을 수행시 불편함이 없을 정도의 각도로 설정되어야 한다.When a separate input signal is not applied for a predetermined time after driving the self-photographing stick, the sleep mode is automatically entered. When the first input signal is generated through the input unit during the sleep mode, the self-photographing stick is switched from the sleep mode to the active mode. At this time, the mounting portion 100 is moved to an active mode angle set in advance by the driving of at least one of the first motor unit 200 and the second motor unit 300. Such an active mode angle should be set to an angle at which the user does not inconvenience the self-photographing using the self-camera stick.

구체적으로 액티브 모드 진입시 제 1모터부(200)를 이용하여 거치부(100)를 미리 설정된 액티브 모드 각도로 회전시킨다. 스틱부(500)의 길이방향으로의 직선과 제 2모터부(300)의 회전축(b) 간의 각도를 기준으로 액티브 모드 각도를 정의할 때, 액티브 모드 각도가 90도 정도가 될 경우에는 휴대용 기기(10)의 카메라에 스틱부(500) 또는 손잡이부(400)가 촬영될 수 있는 문제가 있으며, 액티브 모드 각도가 180도 정도가 될 경우에는 셀프 촬영을 수행하는 사용자를 휴대용 기기(10)의 카메라의 화각 내에 수용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게 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액티브 모드 각도는 120도 전후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 구체적으로는 105ㄷ도 내지 135도 정도로 설정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Specifically, when the active mode is entered, the first motor unit 200 is used to rotate the mounting portion 100 at a preset active mode angle. When an active mode angle is defined based on a straight lin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tick portion 500 and an angle between the rotation axis b of the second motor unit 300 and the active mode angle is about 90 degrees, There is a problem that the stick portion 500 or the handle portion 400 can be photographed by the camera of the portable device 10 and when the active mode angle becomes about 180 degrees,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is not easy to accommodate it in the angle of view of the camera. Therefore, it is preferable that the active mode angle is set to about 120 degrees, and more specifically, it is most preferable to set about 105 degrees to about 135 degrees.

또한, 셀프 카메라 스틱이 액티브 모드에서 미리 설정한 시간 동안 입력 신호가 발생하지 않게 되면 자동으로 슬립 모드로 다시 전환되게 되는데, 이 경우 거치부(100)는 제 1모터부(200) 및 제 2모터부(300) 중 적어도 하나의 구동에 의하여 미리 설정된 슬립 모드 각도로 이동할 수 있다. 슬립 모드 각도는 셀프 카메라 스틱을 케이스 등에 용이하게 수납할 수 있도록 설정되거나, 또는 사용자가 용이하게 들고 이동할 수 있도록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When the self-camera stick does not generate an input signal for a preset time in the active mode, the self-camera stick is automatically switched back to the sleep mode. In this case, the mounting unit 100 includes the first motor unit 200 and the second motor The controller 300 can move to a predetermined sleep mode angle by driving at least one of the first and second units 300 and 300. The sleep mode angle is preferably set so that the self-camera stick can be easily accommodated in a case or the like, or set so that the user can easily carry the self-camera stick.

한편, 제 1모터부(200) 또는 제 2모터부(300)에는 거치부(100)의 회전 각도를 검출하는 센서를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를 통하여 거치부(100)가 상술한 액티브 모드 각도 또는 슬립 모드 각도에 해당되는 위치로 회전하였는지 여부를 파악할 수 있게 된다. The first motor unit 200 or the second motor unit 300 may include a sensor for detecting the rotational angle of the mount 100. It is possible to grasp whether the mounting part 100 has rotated to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active mode angle or the sleep mode angl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셀프 촬영용 스틱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향 버튼부(411) 및 촬영 버튼부(412)를 포함할 수 있다. The self-photographing sti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direction button unit 411 and a photographing button unit 412 as shown in FIG.

방향 버튼부(411)는 제 1모터부(200) 또는 제 2모터부(300)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여 회전시키는 회전 방향 신호를 발생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방향 버튼부(411)를 상측 또는 하측 방향으로 미는 경우, 제 1모터부(200)의 구동에 의해 거치부(100)가 상측 또는 하측으로 회전하게 되고, 방향 버튼부(411)를 좌측 또는 우측을 미는 경우, 제 2 모터부(300)의 구동에 의해 거치부(100)가 좌측 또는 우측으로 회전하게 된다. 나아가 방향 버튼부(411)에 외력을 인가하는 경우에만 이러한 회전 방향 신호가 발생하게 되고, 외력의 인가를 해제할 경우 회전 방향 신호의 발생이 중단되어 제 1모터부(200) 또는 제 2모터부(300)의 구동은 중단되게 된다. 또한, 방향 버튼부(411)를 좌상, 좌하, 우상 또는 우하 방향으로 미는 경우에는 제 1모터부(200) 및 제 2모터부(300)가 동시에 구동함으로써, 거치부(100)를 수직 및 수평 방향으로 동시에 이동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The direction button unit 411 functions to generate a rotation direction signal for controlling at least one of the first motor unit 200 and the second motor unit 300 to rotate. Specifically, when the direction button unit 411 is pushed upward or downward, the mounting portion 100 is rotated upward or downward by driving the first motor unit 200, and the direction button unit 411 is rotated to the left Or when the right side is pushed, the mounting portion 100 rotates to the left or right by driving the second motor portion 300. This rotation direction signal is generated only when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to the direction button unit 411. When the application of the external force is canceled, the generation of the rotation direction signal is stopped and the first motor unit 200 or the second motor unit 200, The driving of the motor 300 is stopped. The first motor unit 200 and the second motor unit 300 are driven at the same time so that the stationary unit 100 is moved vertically and horizontally Direction of the vehicle.

촬영 버튼부(412)는 거치부(100)에 거치된 휴대용 기기(10)의 카메라 셔터 신호를 발생시키는 기능을 수행하는데, 즉 휴대용 기기(10)의 카메라 촬영 어플리케이션을 제어하는 신호를 발생한다. 따라서 휴대용 기기(10)의 카메라 촬영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어 있는 동안 상기 촬영 버튼부(412)를 누르게 되면 셔터 신호가 발생함으로써 카메라 촬영이 완료될 수 있게 된다. 나아가 이러한 촬영 버튼부(412)를 이용하여 휴대용 기기(10)의 카메라 촬영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키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The photographing button unit 412 functions to generate a camera shutter signal of the portable device 10, that is, a signal for controlling the camera photographing application of the portable device 10, Accordingly, when the photographing button unit 412 is pressed while the camera photographing application of the portable device 10 is being executed, a shutter signal is generated so that the camera photographing can be completed. Furthermore, it is also possible to execute the camera photographing application of the portable device 10 by using the photographing button unit 412. [

한편, 상술한 방향 버튼부(411) 및 촬영 버튼부(412)는 본 출원인이 출원하여 등록된 한국등록특허 10-1425949호에 개시되어 있는 밀기방식 신호입력장치(400)를 적용함으로써 누름버튼 및 밀기버튼의 조합에 의하여 다양한 신호를 발생시키는 것이 가능하다.The directional button unit 411 and the photographing button unit 412 described above can be realized by applying the pushing signal input device 400 disclosed in the Korean Registered Patent No. 10-1425949 filed and registered by the present applicant, It is possible to generate various signals by a combination of push buttons.

또한, 입력부에는 파노라마 촬영기능을 수행하는 제 1버튼(420)을 별도로 구비할 수 있다. 제 1버튼(420)을 누르는 경우 거치부(100)를 회전시키는 회전 방향 신호 및 휴대용 기기(10)의 카메라 셔터 신호가 발생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제 1버튼(420)을 누르게 되면, 거치부(100)가 좌측 또는 우측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거치부(100)가 회전하는 시점부터 카메라 셔터 신호가 연속적 또는 일정 간격을 두고 복수 회 발생하게 된다. The input unit may further include a first button 420 for performing a panoramic photographing function. When the first button 420 is depressed, a rotation direction signal for rotating the stationary part 100 and a camera shutter signal for the portable device 10 are generated. Specifically, when the first button 420 is depressed, the mounting portion 100 is rotated in the left or right direction. When the mounting portion 100 is rotated, the camera shutter signal is generated a plurality of times .

파노라마 촬영의 경우 일반적으로 카메라를 360도 회전하면서 수차례 촬영을 하게 되고, 촬영된 복수 개의 사진을 조합하여 하나의 평면 사진을 출력하는 기능을 수행하는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셀프 촬영용 스틱은 거치부(100)의 회전량을 360도에 국한하지 않고, 미리 설정된 각도만큼 회전하도록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회전 방향 신호 및 카메라 셔터 신호를 미리 설정된 모터 회전수, 미리 설정된 시간 및 미리 설정된 모터의 회전 각도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발생하도록 함으로써 상기 기능을 수행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In the case of the panoramic photographing, the photographing is performed several times while rotating the camera 360 degrees, and a function of outputting one plane photograph by combining a plurality of photographed photographs is performed. In the self-photographing stick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otation amount of the mounting portion 100 can be rotated by a predetermined angle without being limited to 360 degrees. Specifically, the rotation direction signal and the camera shutter signal are generated based on at least one of a preset motor revolution number, a preset time, and a predetermined rotation angle of the motor, thereby performing the above function.

또한, 파노라마 촬영을 위하여 거치부(100)를 제 2모터부(300)를 이용하여 좌측 또는 우측 방향으로 회전하는 중 다시 제 1버튼(420)을 누르게 되면 회전 방향 신호 및 카메라 셔터 신호의 발생을 중단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When the first button 420 is depressed while the mounting portion 100 is rotated in the left or right direction using the second motor unit 300 for panoramic photographing, the rotation direction signal and the camera shutter signal are generated It is also possible to stop it.

나아가, 미리 설정된 각도만큼 회전하도록 설정되어 자동으로 회전 방향 신호 및 카메라 셔터 신호의 발생이 중단되거나 또는 거치부(100)의 회전 중 사용자가 제 1버튼(420)을 다시 누름으로써 회전 방향 신호 및 카메라 셔터 신호 발생이 중단되는 경우, 거치부(100)는 회전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여 제 1버튼(420)을 최초 눌렀을 시점의 각도 또는 위치에서 정지되도록 할 수 있다. Further, the rotation direction signal and the camera shutter signal are automatically set to be rotated by a predetermined angle, or when the user pushes the first button 420 again during the rotation of the mount 100, When the shutter signal generation is interrupted, the stationary part 100 may be rotated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rotation direction to stop at an angle or position when the first button 420 is first pressed.

아울러, 사용자가 파노라마 촬영을 위한 거치부(100)의 시작 위치를 미리 설정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사용자가 제 1버튼(420)을 누르는 경우, 회전 방향 신호 및 카메라 셔터 신호가 발생하기 이전에 제 1모터부(200) 및 제 2모터부(300) 중 적어도 하나가 구동되어 거치부(100)를 상기 설정된 거치부(100)의 시작 위치로 이동시키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In addition, when the user presses the first button 420, the user can preset the start position of the mount 100 for panoramic photographing. In this case, before the rotation direction signal and the camera shutter signal are generated, At least one of the motor unit 200 and the second motor unit 300 may be driven to move the mount unit 100 to the start position of the set mount unit 100. [

이러한 거치부(100)의 이동 각도가 미리 설정된 각도에 도달했는지 여부의 확인을 위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제 1모터부(200) 또는 제 2모터부(300)에는 거치부(100)의 회전 각도를 검출하는 센서를 포함시키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In order to confirm whether or not the movement angle of the mounting portion 100 has reached a predetermined angle, the rotation angle of the mounting portion 100 is set in the first motor portion 200 or the second motor portion 300, It may be preferable to include a sensor for detecting the temperature.

한편, 제 1버튼(420)을 파노라마 촬영을 위한 신호 발생 입력 버튼으로만 사용할 수도 있으며, 필요한 경우 카메라의 줌인(Zoom-In) 또는 줌아웃(Zoom-Out) 중 적어도 하나를 발생시키는 입력 버튼으로 활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구체적으로 제 1버튼(420)을 미리 설정된 시간 미만 동안 누르면 파노라마 촬영을 위한 회전 방향 신호 및 휴대용 기기(10)의 카메라 셔터 신호를 함께 발생시키고, 제 1버튼(420)을 미리 설정된 시간 이상 동안 누르면 카메라 줌인 또는 줌아웃 신호 중 하나를 발생시키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On the other hand, the first button 420 may be used only as a signal generation input button for panoramic photographing, and may be used as an input button for generating at least one of zoom-in or zoom-out of the camera if necessary It is also possible to do. Specifically, if the first button 420 is pressed for less than a preset time, a rotation direction signal for panoramic photographing and a camera shutter signal of the portable device 10 are generated together and the first button 420 is pressed for a predetermined time or more It is also possible to generate one of the camera zoom-in or zoom-out signals.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셀프 촬영용 스틱의 입력부에는 사용자가 와이드(Wide) 셀프 촬영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제 2버튼(430)을 더 포함시킬 수 있다. 즉, 입력부는 거치부(100)를 회전시키는 회전 방향 신호 및 휴대용 기기(10)의 카메라 셔터 신호를 함께 발생시키는 제 2버튼(430)을 포함하고, 제 2버튼(430)을 누르게 되면 미리 설정된 각도만큼 상기 거치대(100)가 좌측 또는 우측 중 어느 한 방향으로 회전한 후,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카메라 셔터 신호는 거치대(100)가 상기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는 시점부터 발생하게 된다. The input unit of the self-photographing stick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button 430 so that the user can easily perform wide self photographing. That is, the input unit includes a second button 430 for generating a rotation direction signal for rotating the mounting unit 100 and a camera shutter signal of the portable device 10. When the second button 430 is pressed, The holder 100 rotates in the opposite direction after rotating the holder 100 in the left or right direction and the camera shutter signal is generated from the time when the holder 100 rotates in the opposite direction.

이러한 회전 방향 신호 및 카메라 셔터 신호는 미리 설정된 모터 회전수, 미리 설정된 시간 및 미리 설정된 모터의 회전 각도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발생을 중단하도록 할 수도 있으며, 회전 방향 신호 및 카메라 셔터 신호의 발생 이후 제 2버튼(430)을 다시 누를 경우 회전 방향 신호 및 카메라 셔터 신호의 발생을 사용자에 의하여 중단시키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The rotation direction signal and the camera shutter signal may stop the generation based on at least one of a predetermined motor revolution number, a predetermined time, and a predetermined rotation angle of the motor. The user may stop the generation of the rotation direction signal and the camera shutter signal when the 2 button 430 is pressed again.

나아가, 미리 설정된 각도만큼 회전하도록 설정되어 자동으로 회전 방향 신호 및 카메라 셔터 신호의 발생이 중단되거나 또는 거치부(100)의 회전 중 사용자가 제 2버튼(430)을 다시 누름으로써 회전 방향 신호 및 카메라 셔터 신호 발생이 중단되는 경우, 거치부(100)는 회전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여 제 2버튼(420)을 최초 눌렀을 시점의 각도 또는 위치에서 정지되도록 할 수 있다. Further, the rotation direction signal and the camera shutter signal are automatically set to be rotated by a predetermined angle, or the user pushes the second button 430 again during the rotation of the mount 100, When the shutter signal generation is interrupted, the stationary part 100 may be rotated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rotation direction to stop at an angle or position at which the second button 420 is first pressed.

아울러, 사용자가 와이드 셀프 촬영을 위한 거치부(100)의 시작 위치를 미리 설정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사용자가 제 2버튼(430)을 누르는 경우, 회전 방향 신호 및 카메라 셔터 신호가 발생하기 이전에 제 1모터부(200) 및 제 2모터부(300) 중 적어도 하나가 구동되어 거치부(100)를 상기 설정된 거치부(100)의 시작 위치로 이동시키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In addition, when the user presses the second button 430, the start position of the mount 100 for the wide self photographing can be preset by the user. In this case, before the rotation direction signal and the camera shutter signal are generated, It is also possible that at least one of the first motor unit 200 and the second motor unit 300 is driven to move the mount unit 100 to the start position of the set mount unit 100. [

이러한 거치부(100)의 이동 각도가 미리 설정된 각도에 도달했는지 여부의 확인을 위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제 1모터부(200) 또는 제 2모터부(300)에는 거치부(100)의 회전 각도를 검출하는 센서를 포함시키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In order to confirm whether or not the movement angle of the mounting portion 100 has reached a predetermined angle, the rotation angle of the mounting portion 100 is set in the first motor portion 200 or the second motor portion 300, It may be preferable to include a sensor for detecting the temperature.

한편, 입력부에는 휴대용 기기(10), 제 1모터부(200) 및 제 2모터부(300)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기 위한 신호를 사용자의 음성으로 입력받는 마이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input unit may further include a microphone for receiving a signal for controlling at least one of the portable device 10, the first motor unit 200, and the second motor unit 300 as user's voice.

또한, 휴대용 기기(10)의 카메라 기능을 사진 촬영 기능 또는 동영상 촬영 기능을 포함하는데, 제 1모터부(200) 및 제 2모터부(300)는 휴대용 기기(10)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통신함으로써 제어되며, 이 경우 거치부(100)는 휴대용 기기(10)가 촬영하는 피사체의 이동 방향에 기초하여 회전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휴대용 기기(10)의 카메라 어플리케이션에서 특정 피사체의 촬영을 지정하는 경우, 피사체가 이동하게 되면 휴대용 기기(10)를 수용하고 있는 거치대(100)가 피사체의 이동에 따라 회전할 수 있도록 제 1모터(200) 및 제 2모터(300)에 회전 신호를 생성하도록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amera function of the portable device 10 includes a photographing function or a moving picture photographing function. The first motor unit 200 and the second motor unit 300 communicate with the portable device 10 by wired or wireless communication In this case, the mounting portion 100 can be rotated based on the moving direction of the object to be photographed by the portable device 10. For example, when the photographing of a specific subject is designated in the camera application of the portable device 10, when the subject moves, the holder 100 accommodating the portable device 10 rotates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subject The first motor 200 and the second motor 300 may generate a rotation signal.

한편, 제 2버튼(430)을 와이드 셀프 촬영을 위한 신호 발생 입력 버튼으로만 사용할 수도 있으며, 필요한 경우 카메라의 줌인 또는 줌아웃 중 적어도 하나를 발생시키는 입력 버튼으로 활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구체적으로 제 2버튼(430)을 미리 설정된 시간 미만 동안 누르면 와이드 셀프 촬영을 위한 회전 방향 신호 및 휴대용 기기(10)의 카메라 셔터 신호를 함께 발생시키고, 제 2버튼(420)을 미리 설정된 시간 이상 동안 누르면 카메라 줌인 또는 줌아웃 신호 중 하나를 발생시키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Meanwhile, the second button 430 may be used only as a signal generation input button for wide self photographing, and may be used as an input button for generating at least one of zooming in or zooming out of the camera if necessary. Specifically, when the second button 430 is pressed for less than a preset time, a rotation direction signal for wide self photographing and a camera shutter signal of the portable device 10 are generated together, and the second button 420 is operated for a predetermined time or more It is also possible to generate one of the camera zoom-in or zoom-out signals when pressed.

아울러, 입력부가 제 1버튼(420) 및 제 2버튼(430)을 모두 구비할 경우, 제 1버튼(420)을 미리 설정된 시간 이상 누르면 줌인 기능이 수행되고, 제 2버튼(430)을 미리 설정된 시간 이상 누르면 줌아웃 기능이 수행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When the input unit has both the first button 420 and the second button 430, the first button 420 is pressed for a predetermined time or longer, and the second button 430 is previously set It is also possible to configure the zoom-out function to be performed when the time is exceeded.

이하,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셀프 촬영용 스틱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셀프 촬영용 스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Hereinafter, a self-photographing stick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elf-photographing stick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셀프 촬영용 스틱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거치부(100), 제 1모터부(200), 제 2모터부(300), 손잡이부(400) 및 스틱부(500)로 크게 구성되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셀프 촬영용 스틱과의 차이점은 제 1모터부(200) 및 제 2모터부(300)의 위치가 상호 바뀌게 형성되어 있는 부분이다. 3, the self-photographing stick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ounting portion 100, a first motor portion 200, a second motor portion 300, a handle portion 400, and a stick portion (not shown) 500, and the self-photographing stick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fferent from the stick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at the positions of the first motor unit 200 and the second motor unit 300 are mutually changed.

따라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셀프 촬영용 스틱에서는 제 2모터부(300)는 거치부(100)를 좌우 방향으로 회동시키되 일측이 거치부(100)와 연결되고, 제 1모터부(200)는 거치부(100)를 상하 방향으로 회동시키되 일측이 제 2모터부(300)의 타측과 연결되게 된다.Therefore, in the self-photographing stick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motor unit 300 rotates the mounting unit 100 in the left-right direction, one side of which is connected to the mounting unit 100 and the first motor unit 200, The mounting portion 100 is vertically rotated while one side of the mounting portion 100 is connected to the other side of the second motor portion 300.

한편, 제 1모터부(200)를 구동시켜서 거치부(100)를 상하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경우, 제 2모터부(200)는 구동시키지 않고 제 1모터부(300)만 구동시킴으로써 거치부(100)의 상하 회전 중에 좌우 회전이 동시에 수행되지 않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When the first motor unit 200 is driven to rotate the mount unit 100 in the vertical direction, only the first motor unit 300 is driven without driving the second motor unit 200, So that the left and right rotations are not simultaneously perform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셀프 촬영용 스틱과의 상기 차이점을 제외하고, 나머지 기술적 특징 및 기능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셀프 촬영용 스틱에 포함되거나 적용이 가능하며,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Except for the difference with the self-photographing stick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emaining technical features and functions can be included in or applied to the self-photographing stick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나아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셀프 촬영용 스틱에서, 제 1모터부(200) 대신 일측이 제 2모터부(300)의 타측과 연결되고, 거치부(100)를 상하 방향으로 회동시키도록 형성된 틸트 조절부를 구비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거치부(100)의 상하 방향으로의 회동 및 고정은 사용자가 틸트 조절부를 수동으로 조절함으로써 수행된다. 이 경우 틸트 조절부의 구동에 의한 상기 거치부(100)의 상하 회전축(a)은 상기 스틱부(500)의 길이 방향과 수직이고, 상기 제 2모터부(300)의 구동에 의한 상기 거치부(100)의 좌우 회전축(b)은 상기 상하 회전축(a)과 수직인 것이 바람직하다.Further, in the self-photographing stick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ne side of the first motor unit 200 is connected to the other side of the second motor unit 300, and the mounting unit 100 is rotated up and down It is also possible to provide a tilt adjusting section which is formed. In this case, the turning and fixing of the mounting portion 100 in the vertical direction is performed by manually adjusting the tilt adjusting portion by the user. The vertical axis a of the mounting portion 100 driven by the tilt adjusting portion is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tick portion 500 and the vertical portion of the mounting portion 100 driven by the second motor portion 300 100 are preferably perpendicular to the up-and-down rotation axis a.

이를 통하여 거치부(100)를 틸트 회전시키는 별도의 구동장치를 삭제하고, 팬 회전시키는 구동장치인 제 2모터부(300)만 포함시킴으로써 원가 절감 및 중량의 감소를 도모할 수 있다 By including only the second motor unit 300, which is a driving device for rotating the mounting unit 100 by removing a separate drive unit for rotating the mounting unit 100, the cost and weight can be reduced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실시예와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기술적 사상의 일부를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것에 불과하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므로,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자명하다. 본 발명의 명세서 및 도면에 포함된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해 기술분야에 있어서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는 변형 예와 구체적인 실시예는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The embodiments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describ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re merely illustrative of some of the technical ideas included in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embodiments disclosed herein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to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It should be interpreted.

10: 휴대용 기기
100: 거치부
200: 제 1모터부
300: 제 2모터부
400: 손잡이부;
500: 스틱부
10: Portable devices
100:
200: first motor section
300: second motor section
400: handle portion;
500: stick portion

Claims (33)

카메라 기능을 포함하는 휴대용 기기가 장착되는 거치부;
일측이 상기 거치부와 연결되고, 상기 거치부를 상하 방향으로 회동시키는 제 1모터부;
일측이 상기 제 1모터부의 타측과 연결되고, 상기 거치부 및 상기 제 1모터부를 좌우 방향으로 회동시키는 제 2모터부;
일측이 상기 제 2모터부의 타측과 연결되고, 타측에 손잡이부가 형성되는 스틱부; 및
상기 휴대용 기기에 설치되어 카메라 기능을 수행하는 어플리케이션, 상기 제 1모터부 및 상기 제 2모터부를 제어하기 위한 신호를 발생시키는 입력부;
를 포함하고,
상기 입력부는 상기 거치부를 회전시키는 회전 방향 신호 및 상기 휴대용 기기의 카메라 셔터 신호를 함께 발생시키는 제 1버튼 및 제 2버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제 1버튼 및 상기 제2버튼 중 적어도 하나를 누르면 상기 거치부가 회전하면서, 상기 카메라 셔터 신호가 복수 회 발생하고, 상기 복수회 발생한 카메라 셔터 신호에 의해 촬영된 복수 개의 사진을 합성하여 하나의 평면 사진을 출력하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제어하는 셀프 촬영용 스틱.
A mount for mounting a portable device including a camera function;
A first motor part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stationary part and rotating the stationary part upward and downward;
A second motor part connected to the other side of the first motor part at one side and rotating the mounting part and the first motor part in the left-right direction;
A stick portion having one side connected to the other side of the second motor portion and a handle portion formed on the other side; And
An input unit that is installed in the portable device and generates a signal for controlling the first motor unit and the second motor unit;
Lt; / RTI >
Wherein the input unit includes at least one of a first button and a second button for generating a rotation direction signal for rotating the mounting unit and a camera shutter signal of the portable device,
When the at least one of the first button and the second button is pressed, the camera shutter signal is generated a plurality of times while the mounting portion rotates, and a plurality of pictures photographed by the camera shutter signal generated a plurality of times are synthesized, And controls the application to perform a function of outputting a photograph.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모터부가 구동하는 경우, 상기 제 1모터부는 구동하지 않고 상기 제 2모터부의 구동에 기초하여 상기 거치부와 함께 회동하는 셀프 촬영용 스틱.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when the second motor unit is driven, the first motor unit is not driven but is rotated together with the mounting unit based on driving of the second motor unit.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모터부의 구동에 의한 상기 거치부의 좌우 회전축은 상기 스틱부의 길이 방향으로의 직선과 교차하되, 상기 좌우 회전축 및 상기 스틱부의 길이 방향으로의 직선 간의 각도는 90도 이상이 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 1모터부의 구동에 의한 상기 거치부의 상하 회전축은 상기 좌우 회전축과 수직인 셀프 촬영용 스틱.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right and left rotary shafts of the stationary portion driven by the second motor portion intersect a straight lin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tick portion and an angle between straight line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left and right rotary shafts and the stick portion is 90 degrees or more,
Wherein the vertical rotation shaft of the mounting portion by driving the first motor portion is perpendicular to the left and right rotation shafts.
카메라 기능을 포함하는 휴대용 기기가 장착되는 거치부;
일측이 상기 거치부와 연결되고, 상기 거치부를 좌우 방향으로 회동시키는 제 2모터부;
일측이 상기 제 2모터부의 타측과 연결되고, 상기 거치부 및 상기 제 2모터부를 상하 방향으로 회동시키는 제 1모터부;
일측이 상기 제 1모터부의 타측과 연결되고, 타측에 손잡이부가 형성되는 스틱부; 및
상기 휴대용 기기에 설치되어 카메라 기능을 수행하는 어플리케이션, 상기 제 1모터부 및 상기 제 2모터부를 제어하기 위한 신호를 발생시키는 입력부;
를 포함하고,
상기 입력부는 상기 거치부를 회전시키는 회전 방향 신호 및 상기 휴대용 기기의 카메라 셔터 신호를 함께 발생시키는 제 1버튼 및 제 2버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제 1버튼 및 상기 제2버튼 중 적어도 하나를 누르면 상기 거치부가 회전하면서, 상기 카메라 셔터 신호가 복수 회 발생하고, 상기 복수회 발생한 카메라 셔터 신호에 의해 촬영된 복수 개의 사진을 합성하여 하나의 평면 사진을 출력하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제어하는 셀프 촬영용 스틱.
A mount for mounting a portable device including a camera function;
A second motor part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stationary part and rotating the stationary part in the left-right direction;
A first motor unit connected to the other side of the second motor unit, the first motor unit rotating the mounting unit and the second motor unit in a vertical direction;
A stick portion having one side connected to the other side of the first motor portion and a handle portion formed on the other side; And
An input unit that is installed in the portable device and generates a signal for controlling the first motor unit and the second motor unit;
Lt; / RTI >
Wherein the input unit includes at least one of a first button and a second button for generating a rotation direction signal for rotating the mounting unit and a camera shutter signal of the portable device,
When the at least one of the first button and the second button is pressed, the camera shutter signal is generated a plurality of times while the mounting portion rotates, and a plurality of pictures photographed by the camera shutter signal generated a plurality of times are synthesized, And controls the application to perform a function of outputting a photograph.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 1모터부가 구동하는 경우, 상기 제 2모터부는 구동하지 않고 상기 제 1모터부의 구동에 기초하여 상기 거치부와 함께 회동하는 셀프 촬영용 스틱.
5.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when the first motor unit is driven, the second motor unit is not driven and is rotated together with the mounting unit based on driving of the first motor unit.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 1모터부의 구동에 의한 상기 거치부의 상하 회전축은 상기 스틱부의 길이 방향과 수직이고,
상기 제 2모터부의 구동에 의한 상기 거치부의 좌우 회전축은 상기 상하 회전축과 수직인 셀프 촬영용 스틱.
5.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vertical rotation axis of the mounting portion by driving the first motor portion is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tick portion,
And the left and right rotation shafts of the mounting portion by driving the second motor portion are perpendicular to the up and down rotation shafts.
제 1항 또는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를 통하여 최초 입력 신호가 발생되어 셀프 촬영용 스틱이 슬립 모드에서 액티브 모드로 전환되는 경우,
상기 거치부는 상기 제 1모터부 및 제 2모터부 중 적어도 하나의 구동에 의하여 미리 설정된 액티브 모드 각도로 이동되는 셀프 촬영용 스틱.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4,
When the first input signal is generated through the input unit and the self-photographing stick is switched from the sleep mode to the active mode,
Wherein the mounting portion is moved to an active mode angle preset by driving of at least one of the first motor portion and the second motor portion.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액티브 모드 각도는 상기 스틱부의 길이방향으로의 직선 및 상기 제 2모터부의 회전축 간의 각도로 정의되고,
상기 액티브 모드 각도는 105도 이상, 135도 이하인 셀프 촬영용 스틱.
8.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active mode angle is defined as an angle between a straight lin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tick portion and a rotation axis of the second motor portion,
Wherein the active mode angle is 105 degrees or more and 135 degrees or less.
제 7항에 있어서,
셀프 촬영용 스틱이 액티브 모드에서 슬립 모드로 다시 전환되는 경우,
상기 거치부는 상기 제 1모터부 및 제 2모터부 중 적어도 하나의 구동에 의하여 미리 설정된 슬립 모드 각도로 이동되는 셀프 촬영용 스틱.
8. The method of claim 7,
When the self-photographing stick is switched back from the active mode to the sleep mode,
Wherein the mounting portion is moved to a predetermined slip mode angle by driving at least one of the first motor portion and the second motor portion.
제 1항 또는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 1모터부 또는 제 2모터부에는 상기 거치부의 회전 각도를 검출하는 센서가 포함되는 셀프 촬영용 스틱.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4,
Wherein the first motor part or the second motor part includes a sensor for detecting a rotation angle of the mounting part.
제 1항 또는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는 상기 손잡이부에 형성되는 셀프 촬영용 스틱.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4,
Wherein the input unit is formed on the handle.
제 1항 또는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기기, 상기 제 1모터부 및 상기 제 2모터부 중 적어도 하나를 원격으로 제어하기 위한 리모트 컨트롤러;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입력부는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에 포함되는 셀프 촬영용 스틱.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4,
A remote controller for remotely controlling at least one of the portable device, the first motor unit, and the second motor unit;
Further comprising:
Wherein the input unit is included in the remote controller.
제 1항 또는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는,
상기 제 1모터부 또는 제 2모터부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여 상기 거치부를 회전시키는 회전 방향 신호를 발생시키는 방향 버튼부; 및
상기 휴대용 기기의 카메라 셔터 신호를 발생시키는 촬영 버튼부;
를 더 포함하는 셀프 촬영용 스틱.
5. Th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or 4,
A direction button unit for controlling at least one of the first motor unit and the second motor unit to generate a rotation direction signal for rotating the stationary unit; And
A photographing button unit for generating a camera shutter signal of the portable device;
Further comprising a self-photographing stick.
제 1항 또는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 1버튼을 누르면 좌측 또는 우측 방향으로 상기 거치부가 회전하고,
상기 거치부가 회전하는 시점부터 상기 카메라 셔터 신호가 연속적으로 발생하는 셀프 촬영용 스틱.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4,
When the first button is pressed, the mounting portion rotates in the left or right direction,
Wherein the camera shutter signal is continuously generated from the time when the mounting portion rotates.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방향 신호 및 상기 카메라 셔터 신호는 미리 설정된 모터 회전수, 미리 설정된 시간 및 미리 설정된 모터의 회전 각도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발생이 중단되는 셀프 촬영용 스틱.
The method of claim 14, wherein
Wherein the rotation direction signal and the camera shutter signal are stopped to be generated based on at least one of a preset motor revolution number, a predetermined time, and a predetermined rotation angle of the motor.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방향 신호 및 상기 카메라 셔터 신호 발생이 중단된 이후,
상기 거치부는 상기 회전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제 1버튼을 눌렀을 시점의 각도에서 정지되는 셀프 촬영용 스틱.
The method of claim 15, wherein
After the rotation direction signal and the camera shutter signal are generated,
Wherein the stationary portion rotates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rotation direction and stops at an angle when the first button is pressed.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방향 신호 및 상기 카메라 셔터 신호의 발생 이후 상기 제 1버튼을 누르면 상기 회전 방향 신호 및 상기 카메라 셔터 신호의 발생이 중단되는 셀프 촬영용 스틱.
15. The method of claim 14,
Wherein when the first button is pressed after the rotation direction signal and the camera shutter signal are generated, generation of the rotation direction signal and the camera shutter signal is stopped.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버튼을 누르면 상기 제 1 모터부 및 제 2 모터부 중 적어도 하나가 구동되어 미리 설정된 각도로 상기 거치부의 위치를 이동시킨 후, 상기 회전 방향 신호 및 상기 휴대용 기기의 카메라 셔터 신호를 발생시키는 셀프 촬영용 스틱.
15. The method of claim 14,
When the first button is pressed, at least one of the first motor unit and the second motor unit is driven to move the position of the mounting unit at a predetermined angle, and then the rotation direction signal and the camera shutter signal of the portable device are generated Self-filming stick.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제 1모터부 또는 제 2모터부에는 상기 거치부의 회전 각도를 검출하는 센서가 포함되고,
상기 센서는 상기 거치부의 위치가 미리 설정된 각도로 이동했는지 여부를 검출하는 셀프 촬영용 스틱.
19. The method of claim 18,
Wherein the first motor unit or the second motor unit includes a sensor for detecting a rotation angle of the stationary part,
Wherein the sensor detects whether or not the position of the mounting portion has moved to a predetermined angle.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제 1버튼을 미리 설정된 시간 미만 동안 누르면 상기 회전 방향 신호 및 상기 휴대용 기기의 카메라 셔터 신호가 함께 발생하고,
상기 제 1버튼을 미리 설정된 시간 이상 동안 누르면 카메라 줌인 또는 줌아웃 신호 중 하나가 발생하는 셀프 촬영용 스틱.
15. The method of claim 14,
When the first button is pressed for less than a preset time, the rotation direction signal and the camera shutter signal of the portable device are generated together,
Wherein one of the camera zoom-in or zoom-out signals is generated when the first button is pressed for a predetermined time or longer.
제 1항 또는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 2버튼을 누르면 미리 설정된 각도만큼 상기 거치부가 좌측 또는 우측 중 어느 한 방향으로 회전한 후, 좌측 또는 우측 중 다른 한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상기 카메라 셔터 신호는 상기 거치부가 좌측 또는 우측 중 다른 한 방향으로 회전하는 시점부터 발생하는 셀프 촬영용 스틱.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4,
When the second button is pressed, the mounting portion rotates in either the left or right direction and then rotates in the other direction of the left or right,
Wherein the camera shutter signal is generated from a time point when the mounting portion rotates in the other direction of the left or right side.
제 2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방향 신호 및 상기 카메라 셔터 신호는 미리 설정된 모터 회전수, 미리 설정된 시간 및 미리 설정된 모터의 회전 각도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발생이 중단되는 셀프 촬영용 스틱.
The method of claim 21, wherein
Wherein the rotation direction signal and the camera shutter signal are stopped to be generated based on at least one of a preset motor revolution number, a predetermined time, and a predetermined rotation angle of the motor.
제 22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방향 신호 및 상기 카메라 셔터 신호 발생이 중단된 이후,
상기 거치부는 상기 회전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제 2버튼을 눌렀을 시점의 각도에서 정지되는 셀프 촬영용 스틱.
The method of claim 22, wherein
After the rotation direction signal and the camera shutter signal are generated,
Wherein the stationary portion rotates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rotational direction and stops at an angle when the second button is pressed.
제 2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방향 신호 및 상기 카메라 셔터 신호의 발생 이후 상기 제 2버튼을 누르면 상기 회전 방향 신호 및 상기 카메라 셔터 신호의 발생이 중단되는 셀프 촬영용 스틱.
22. The method of claim 21,
Wherein when the second button is pressed after the rotation direction signal and the camera shutter signal are generated, generation of the rotation direction signal and the camera shutter signal is stopped.
제 23항에 있어서,
상기 제 2버튼을 누르면 상기 제 1 모터부 및 제 2 모터부 중 적어도 하나가 구동되어 미리 설정된 각도로 상기 거치부의 위치를 이동시킨 후, 상기 회전 방향 신호 및 상기 휴대용 기기의 카메라 셔터 신호를 발생시키는 셀프 촬영용 스틱.
24. The method of claim 23,
When the second button is pressed, at least one of the first motor unit and the second motor unit is driven to move the position of the mounting unit at a predetermined angle, and then the rotation direction signal and the camera shutter signal of the portable device are generated Self-filming stick.
제 25항에 있어서,
상기 제 1모터부 또는 제 2모터부에는 상기 거치부의 회전 각도를 검출하는 센서가 포함되고,
상기 센서는 상기 거치부의 위치가 미리 설정된 각도로 이동했는지 여부를 검출하는 셀프 촬영용 스틱.
26. The method of claim 25,
Wherein the first motor unit or the second motor unit includes a sensor for detecting a rotation angle of the stationary part,
Wherein the sensor detects whether or not the position of the mounting portion has moved to a predetermined angle.
제 2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버튼을 미리 설정된 시간 미만 동안 누르면 상기 회전 방향 신호 및 상기 휴대용 기기의 카메라 셔터 신호가 함께 발생하고,
상기 제 2버튼을 미리 설정된 시간 이상 동안 누르면 카메라 줌인 또는 줌아웃 신호 중 하나가 발생하는 셀프 촬영용 스틱.
22. The method of claim 21,
When the second button is pressed for less than a preset time, the rotation direction signal and the camera shutter signal of the portable device are generated together,
And when the second button is pressed for a predetermined time or more, one of a camera zoom-in or zoom-out signal is generated.
제 1항 또는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는 상기 휴대용 기기, 상기 제 1모터부 및 상기 제 2모터부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기 위한 신호를 사용자의 음성으로 입력받는 마이크를 더 포함하는 셀프 촬영용 스틱.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4,
Wherein the input unit further comprises a microphone for receiving a signal for controlling at least one of the portable device, the first motor unit, and the second motor unit as a user's voice.
제 1항 또는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기능은 사진 촬영 기능 또는 동영상 촬영 기능을 포함하는 셀프 촬영용 스틱.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4,
Wherein the camera function includes a photographing function or a moving picture photographing function.
제 25항에 있어서,
상기 제 1모터부 및 제 2모터부는 상기 휴대용 기기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통신하고,
상기 거치부는 상기 휴대용 기기가 촬영하는 피사체의 이동 방향에 기초하여 회전하는 셀프 촬영용 스틱.
26. The method of claim 25,
Wherein the first motor unit and the second motor unit communicate with the portable device by wire or wireless,
Wherein the stationary portion rotates based on a moving direction of a subject photographed by the portable device.
카메라 기능을 포함하는 휴대용 기기가 장착되는 거치부;
일측이 상기 거치부와 연결되고, 상기 거치부를 좌우 방향으로 회동시키는 제 2모터부;
일측이 상기 제 2모터부의 타측과 연결되고, 상기 거치부를 상하 방향으로 회동시키도록 형성된 틸트 조절부;
일측이 상기 틸트 조절부와 연결되고, 타측에 손잡이부가 형성되는 스틱부; 및
상기 휴대용 기기에 설치되어 카메라 기능을 수행하는 어플리케이션 및 상기 제 2모터부를 제어하기 위한 신호를 발생시키는 입력부;
를 포함하고,
상기 입력부는 상기 거치부를 회전시키는 회전 방향 신호 및 상기 휴대용 기기의 카메라 셔터 신호를 함께 발생시키는 제 1버튼 및 제 2버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제 1버튼 및 상기 제2버튼 중 적어도 하나를 누르면 상기 거치부가 회전하면서, 상기 카메라 셔터 신호가 복수 회 발생하고, 상기 복수회 발생한 카메라 셔터 신호에 의해 촬영된 복수 개의 사진을 합성하여 하나의 평면 사진을 출력하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제어하는 셀프 촬영용 스틱.
A mount for mounting a portable device including a camera function;
A second motor part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stationary part and rotating the stationary part in the left-right direction;
A tilt adjusting unit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second motor unit and configured to rotate the mounting unit in a vertical direction;
A stick portion having one side connected to the tilt adjusting portion and a handle portion formed on the other side; And
An input unit installed in the portable device for generating a signal for controlling the application of the camera function and the second motor unit;
Lt; / RTI >
Wherein the input unit includes at least one of a first button and a second button for generating a rotation direction signal for rotating the mounting unit and a camera shutter signal of the portable device,
When the at least one of the first button and the second button is pressed, the camera shutter signal is generated a plurality of times while the mounting portion rotates, and a plurality of pictures photographed by the camera shutter signal generated a plurality of times are synthesized, And controls the application to perform a function of outputting a photograph.
제 31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부는 상기 틸트 조절부를 수동으로 조절하여 상하 방향으로의 회동 및 고정되는 셀프 촬영용 스틱
32. The method of claim 31,
The mounting portion is provided with a tilt adjusting portion for manually adjusting the tilt adjusting portion,
제 31항에 있어서,
상기 틸트 조절부의 구동에 의한 상기 거치부의 상하 회전축은 상기 스틱부의 길이 방향과 수직이고,
상기 제 2모터부의 구동에 의한 상기 거치부의 좌우 회전축은 상기 상하 회전축과 수직인 셀프 촬영용 스틱.
32. The method of claim 31,
Wherein the vertical rotation axis of the mounting portion by driving the tilt adjusting portion is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tick portion,
And the left and right rotation shafts of the mounting portion by driving the second motor portion are perpendicular to the up and down rotation shafts.
KR1020160177509A 2016-12-23 2016-12-23 Stick for taking a self picture KR10190789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7509A KR101907895B1 (en) 2016-12-23 2016-12-23 Stick for taking a self pictur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7509A KR101907895B1 (en) 2016-12-23 2016-12-23 Stick for taking a self picture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73146 Division 2015-05-26 2015-05-2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4925A true KR20170004925A (en) 2017-01-11
KR101907895B1 KR101907895B1 (en) 2018-10-16

Family

ID=578334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77509A KR101907895B1 (en) 2016-12-23 2016-12-23 Stick for taking a self pictur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07895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00810A (en) * 2018-02-21 2019-08-29 경남대학교 산학협력단 Smart phone tripod with joystick
KR102155958B1 (en) * 2019-04-05 2020-09-14 김성현 Smart support device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62578A (en) * 2000-08-21 2002-02-28 Konica Corp Photographing holder for camera
KR100836618B1 (en) * 2007-02-14 2008-06-10 (주)케이티에프테크놀로지스 Portable terminal having rotary camera and method for photographing panorama image of portable terminal
KR20090098043A (en) * 2008-03-13 2009-09-17 이상덕 Tracing camera for subject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130124422A (en) * 2012-05-04 2013-11-13 (주)컨벡스 Panning and tilting apparatus and wireless control system with the same for photographing
KR20150000421U (en) 2014-12-04 2015-01-27 백동호 selfie stick
KR20150028277A (en) * 2015-02-12 2015-03-13 주식회사 삐삐클리닉 Electric monopod for self-camera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62578A (en) * 2000-08-21 2002-02-28 Konica Corp Photographing holder for camera
KR100836618B1 (en) * 2007-02-14 2008-06-10 (주)케이티에프테크놀로지스 Portable terminal having rotary camera and method for photographing panorama image of portable terminal
KR20090098043A (en) * 2008-03-13 2009-09-17 이상덕 Tracing camera for subject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130124422A (en) * 2012-05-04 2013-11-13 (주)컨벡스 Panning and tilting apparatus and wireless control system with the same for photographing
KR20150000421U (en) 2014-12-04 2015-01-27 백동호 selfie stick
KR20150028277A (en) * 2015-02-12 2015-03-13 주식회사 삐삐클리닉 Electric monopod for self-camera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00810A (en) * 2018-02-21 2019-08-29 경남대학교 산학협력단 Smart phone tripod with joystick
KR102155958B1 (en) * 2019-04-05 2020-09-14 김성현 Smart support device
WO2020204433A1 (en) * 2019-04-05 2020-10-08 김성현 Smart support device, remote control device for smart support device, and remote control method for smart support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07895B1 (en) 2018-10-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692462B2 (en) Handheld stabilizer
KR101867928B1 (en) Stick for taking a self picture and control method thereof
CN108061218B (en) Handle hold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20180106418A1 (en) Imaging stand
KR20180024752A (en) Stick for taking a self picture
KR101718441B1 (en) Self taking picture bar
JP5891378B2 (en) Camera system
WO2018000122A1 (en) Selfie device
JP6013772B2 (en) Interchangeable lens and camera body
US20180335684A1 (en)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Taking Pictures
CN110326286B (en) Portable handle
EP3086016A1 (en) Motorized camera holder
KR101082798B1 (en) A Photographing System For Self Camera
KR101907895B1 (en) Stick for taking a self picture
KR20050059578A (en) Tripod of image photographing apparatus
JP2012212135A (en) Interchangeable lens, and camera body capable of being equipped with and controlling the interchangeable lens
KR20160116091A (en) Holder for electronic device
JP2013157953A (en) Imaging device, and control program of imaging device
WO2022051956A1 (en) Handheld gimbal, method for controlling handheld gimbal, and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JP2015012550A (en) Imaging apparatus and imaging system
CN208831997U (en) Portable angular adjustment camera mount
JP5402075B2 (en) Camera remote control system and portable terminal
KR102095099B1 (en) Smart phone tripod with joystick
WO2017077490A1 (en) Angle-adjustable selfie device and control apparatus
TWM510404U (en) Handheld triaxial image-taking cloud desk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