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04695A - 와치 타입 단말기 - Google Patents

와치 타입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04695A
KR20170004695A KR1020150095394A KR20150095394A KR20170004695A KR 20170004695 A KR20170004695 A KR 20170004695A KR 1020150095394 A KR1020150095394 A KR 1020150095394A KR 20150095394 A KR20150095394 A KR 20150095394A KR 20170004695 A KR20170004695 A KR 201700046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ap
module
circuit board
flexible circuit
conn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953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용호
안광현
양준호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953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04695A/ko
Priority to US15/006,895 priority patent/US9737119B2/en
Priority to CN201610196324.6A priority patent/CN106330232B/zh
Priority to FR1655606A priority patent/FR3038394B1/fr
Priority to EP16174788.6A priority patent/EP3121681B1/en
Publication of KR201700046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469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4HOROLOGY
    • G04GELECTRONIC TIME-PIECES
    • G04G17/00Structural details; Housings
    • G04G17/08Housings
    • G04G17/083Watches distributed over several housing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5/00Bracelets; Wrist-watch straps; Fastenings for bracelets or wrist-watch straps
    • A44C5/14Bracelets; Wrist-watch straps; Fastenings for bracelets or wrist-watch straps characterised by the way of fastening to a wrist-watch or the like
    • A44C5/147Watchcase itself used as fastener
    • GPHYSICS
    • G04HOROLOGY
    • G04GELECTRONIC TIME-PIECES
    • G04G17/00Structural details; Housings
    • G04G17/02Component assemblies
    • G04G17/06Electric connectors, e.g. conductive elastom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27Portable transceivers
    • H04B1/385Transceivers carried on the body, e.g. in helmet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1/00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 A44B11/20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engaging holes or the like in strap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5/00Bracelets; Wrist-watch straps; Fastenings for bracelets or wrist-watch straps
    • A44C5/0007Bracelets specially adapted for other functions or with means for attaching other articles
    • A44C5/003Bracelets specially adapted for other functions or with means for attaching other articles with a storage compartment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5/00Bracelets; Wrist-watch straps; Fastenings for bracelets or wrist-watch straps
    • A44C5/14Bracelets; Wrist-watch straps; Fastenings for bracelets or wrist-watch straps characterised by the way of fastening to a wrist-watch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5/00Bracelets; Wrist-watch straps; Fastenings for bracelets or wrist-watch straps
    • A44C5/14Bracelets; Wrist-watch straps; Fastenings for bracelets or wrist-watch straps characterised by the way of fastening to a wrist-watch or the like
    • A44C5/145Hook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5/00Bracelets; Wrist-watch straps; Fastenings for bracelets or wrist-watch straps
    • A44C5/18Fasteners for straps, chains or the like
    • A44C5/20Fasteners for straps, chains or the like for open straps, chains or the like
    • A44C5/2071Fasteners for straps, chains or the like for open straps, chains or the like with the two ends of the strap or chain overlapping each other and fastened by an action perpendicularly to the main plane of these two e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68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 A61B5/6801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specially adapted to be attached to or worn on the body surface
    • A61B5/6802Sensor mounted on worn items
    • A61B5/681Wristwatch-type devices
    • GPHYSICS
    • G04HOROLOGY
    • G04BMECHANICALLY-DRIVEN CLOCKS OR WATCHES; MECHANICAL PARTS OF CLOCKS OR WATCHES IN GENERAL; TIME PIECES USING THE POSITION OF THE SUN, MOON OR STARS
    • G04B37/00Cases
    • G04B37/14Suspending devices, supports or stands for time-pieces insofar as they form part of the case
    • G04B37/1486Arrangements for fixing to a bracelet
    • GPHYSICS
    • G04HOROLOGY
    • G04GELECTRONIC TIME-PIECES
    • G04G17/00Structural details; Housings
    • G04G17/02Component assemblies
    • G04G17/04Mounting of electronic components
    • G04G17/045Mounting of the display
    • GPHYSICS
    • G04HOROLOGY
    • G04GELECTRONIC TIME-PIECES
    • G04G19/00Electric power supply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electronic time-pie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Wearable computers, e.g. on a bel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75Miscellaneous details related to the relative movement between the different enclosures or enclosure parts
    • G06F1/1683Miscellaneous details related to the relative movement between the different enclosures or enclosure parts for the transmission of signal or power between the different housings, e.g. details of wired or wireless communication, passage of cabl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54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comprising one or a plurality of mechanically detachable modu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0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 H04M1/724094Interfacing with a device worn on the user's body to provide access to telephonic functionalities, e.g. accepting a call, reading or composing a message
    • H04M1/724095Worn on the wrist, hand or arm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5/00Bracelets; Wrist-watch straps; Fastenings for bracelets or wrist-watch straps
    • A44C5/0007Bracelets specially adapted for other functions or with means for attaching other article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5/00Bracelets; Wrist-watch straps; Fastenings for bracelets or wrist-watch straps
    • A44C5/02Link constructions
    • A44C5/10Link constructions not extensible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DINDEXING SCHEME RELATING TO BUTTONS, PINS, BUCKLES OR SLIDE FASTENERS, AND TO JEWELLERY, BRACELETS OR OTHER PERSONAL ADORNMENTS
    • A44D2200/00General types of fasteners
    • A44D2200/10Details of constru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27Portable transceivers
    • H04B1/385Transceivers carried on the body, e.g. in helmets
    • H04B2001/3861Transceivers carried on the body, e.g. in helmets carried in a hand or on fing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0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 H04M1/72412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using two-way short-range wireless interfa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athology (AREA)
  • Biophysics (AREA)
  • Electric Clocks (AREA)
  • Electromechanical Clock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와치 타입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본체와, 상기 본체에 연결되는 스트랩을 포함하고, 상기 스트랩은, 특정 기능을 갖는 하나 이상의 모듈과, 상기 하나 이상의 모듈이 각각 수용되는 하나 이상의 분할 스트랩을 포함하고, 상기 모듈과 분할 스트랩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치 타입 단말기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와치 타입 단말기{WATCH TYPE TERMINAL}
본 발명은 스트랩을 이용하여 다양한 기능을 구현할 수 있는 와치 타입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단말기는 이동 가능여부에 따라 이동 단말기(mobile/portable terminal) 및 고정 단말기(stationary terminal)으로 나뉠 수 있다. 다시 이동 단말기는 사용자의 직접 휴대 가능 여부에 따라 휴대(형) 단말기(handheld terminal) 및 거치형 단말기(vehicle mounted terminal)로 나뉠 수 있다.
이동 단말기의 기능은 다양화 되고 있다. 예를 들면, 데이터와 음성통신, 카메라를 통한 사진촬영 및 비디오 촬영, 음성녹음, 스피커 시스템을 통한 음악파일 재생 그리고 디스플레이부에 이미지나 비디오를 출력하는 기능이 있다. 일부 단말기는 전자게임 플레이 기능이 추가되거나, 멀티미디어 플레이어 기능을 수행한다. 특히 최근의 이동 단말기는 방송과 비디오나 텔레비전 프로그램과 같은 시각적 컨텐츠를 제공하는 멀티캐스트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단말기(terminal)는 기능이 다양화됨에 따라 예를 들어, 사진이나 동영상의 촬영, 음악이나 동영상 파일의 재생, 게임, 방송의 수신 등의 복합적인 기능들을 갖춘 멀티미디어 기기(Multimedia player) 형태로 구현되고 있다.
이러한 단말기의 기능 지지 및 증대를 위해, 단말기의 구조적인 부분 및/또는 소프트웨어적인 부분을 개량하는 것이 고려될 수 있다.
또한, 와치 타입 단말기의 경우에는 다른 전자기기에 비해 좁은 부품 실장 공간을 갖는 와치 타입 단말기에 많은 부품들을 실장할 수 없어 풍부한 기능을 구현할 수 없는 문제가 있었다. 만약, 상기 와치 타입 단말기에 많은 부품을 실장하고자 하면 단말기의 크기가 커지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의 편의성을 고려한 와치 타입 단말기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 및 다른 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다른 목적은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 다양한 기능을 구현할 수 있도록 하는 와치 타입 단말기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 또는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본체와, 상기 본체에 연결되는 스트랩을 포함하고, 상기 스트랩은, 특정 기능을 갖는 하나 이상의 모듈과, 상기 하나 이상의 모듈이 각각 수용되는 하나 이상의 분할 스트랩을 포함하고, 상기 모듈과 분할 스트랩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치 타입 단말기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분할 스트랩의 적어도 일측에 형성되고 상기 분할 스트랩을 관통하여 내부를 향하여 형성되는 탈착핀; 및 상기 탈착핀과 마주보는 위치에 구비되어 상기 탈착핀에 탄성력을 제공하여 상기 모듈을 탈장착시키는 탄성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탈착핀의 단부는 제1 후크(hook)가 형성되고, 상기 모듈의 하면에는 상기 제1 후크에 걸림되는 제2 후크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스트랩은, 상기 본체에 연결되고 상기 본체에 구비되는 메인 회로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 연성회로기판이 구비되는 제1 스트랩과, 상기 제1 스트랩과 분리가능하도록 체결되고 상기 제1 연성회로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 연성회로기판이 구비되는 제2 스트랩을 더 포함하고, 상기 분할 스트랩에는 상기 제2 스트랩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제2 연성회로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3 연성회로기판이 구비되고, 상기 하나 이상의 분할 스트랩과 상기 제2 스트랩은 양측에 형성되는 한 쌍의 내부 프레임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제3 연성회로기판은, 상기 내부 프레임의 내측에 구비되고, 다수의 관통홀이 형성되는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제2 연성회로기판과 연결되는 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내부 프레임은, 상기 각각의 분할 스트랩에 고정되는 고정 프레임과, 상기 고정 프레임과 연결되어 서로 이웃하여 형성되는 2 이상의 분할 스트랩 및 상기 분할 스트랩과 제2 스트랩을 연결시키는 연결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고정 프레임 및 연결 프레임의 양단은 힌지에 의해 고정되어 상기 고정 프레임 및 연결 프레임이 각각 회전가능하도록 연결되고, 상기 힌지는 상기 지지부에 형성되는 관통홀에 삽입되어 상기 내부 프레임을상기 제3 연성회로기판에 고정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분할 스트랩은, 상기 내부 프레임 및 제3 연성회로기판이 구비되는 벽부와, 상기 벽부로부터 수직으로 형성되고, 상기 모듈을 지지하도록 내부에 관통홀을 형성하는 바닥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제3 연성회로기판은 상기 지지부의 하부 일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바닥부에 수용되는 제1 접촉단자가 구비되고, 상기 모듈의 하단에는 상기 제1 접속단자와 접촉하는 제2 접촉단자가 구비되어 상기 모듈과 분할 스트랩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제1 및 제2 접촉단자는 방수 코팅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모듈은, 상기 제3 연성회로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내부 회로기판과, 상기 모듈을 작동시키는 배터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모듈의 하면에는 상기 배터리를 충전시키는 충전 단자가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충전 단자는 상기 모듈의 일면에 노출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충전 단자를 감싸는 오링(O-ring)이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스트랩은 적어도 일 지점에서 분리되고, 상기 분리된 부분에서는 보다 외측에 구비되는 제1 연결 스트랩과, 상기 제1 연결 스트랩의 내부에 구비되고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1 연결 스트랩과 중첩되도록 배치되는 제2 연결 스트랩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연결 스트랩은 중첩되는 부분의 크기를 조절함으로써 스트랩의 길이가 가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제1 및 제2 연결 스트랩의 제1 방향을 따라 관통홀이 형성되어 상기 제1 및 제2 연결 스트랩의 적어도 일부가 삽입되는 연결부재와, 상기 제1 연결 스트랩에는 제1 방향을 따라 가이드홈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홈 상에서 이동하는 버튼부와, 상기 버튼부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버튼부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제2 연결 스트랩은 상기 연결부재의 내부에 형성되는 고정 가이드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연결부재의 내부에는 상기 제1 및 제2 연결 스트랩과 접촉하도록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롤러가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버튼부는, 상기 제1 연결 스트랩의 상면과 접촉하는 상부와, 상기 제1 연결 스트랩의 하면과 접촉하는 하부와, 상기 상부 및 하부를 연결하고, 상기 가이드홈을 따라 이동하는 중간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제3 연성회로기판은 하나 이상의 분할 스트랩들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제1 방향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모듈은 플래시 모듈, 카메라 모듈, 심박 센서 모듈, 스피커 모듈, 배터리 모듈, 디스플레이 모듈, 프로젝터 모듈, 블루투스 헤드셋 모듈, 스마트 차량키 모듈 중 어느 하나 이상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의 효과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다양한 기능을 갖는 모듈들을 선택적으로 스트랩에 탈부착함으로써 사용자가 원하는 기능을 쉽게 구현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모듈들을 탈착핀을 가압함으로써 손쉽게 탈부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다수의 연결 프레임들을 힌지에 의해 결합함으로써 각각의 고정 프레임 및 분할 스트랩이 일정 범위 내에서 회전가능한 장점이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의 실시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접촉단자들이 방수 코팅되거나 충전 단자의 주변에 오링을 형성함으로써 방수되도록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적용 가능성의 추가적인 범위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은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 및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와 같은 특정 실시예는 단지 예시로 주어진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과 관련된 와치 타입 단말기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일반적인 와치 타입의 이동 단말기의 일 예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치 타입 단말기의 전면에서 바라본 사사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듈이 스트랩에 부착된 상태에서의 와치 타입 단말기의 스트랩의 일부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에서 모듈이 스트랩에 부착되기 전 상태에서의 스트랩의 일부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할 스트랩의 내부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의 AA를 따라서 취한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듈이 스트랩에 체결된 상태의 일부 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부 프레임의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및 제2 접촉단자가 접촉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3 연성회로기판과 제2 연성회로기판이 연결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스트랩의 일부 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3 연성회로기판의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치 타입 단말기의 일부 투시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15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심박센서 모듈의 후면사시도이고, 도 15b는 도 15a의 BB를 따라서 취한 단면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치 타입 단말기의 후면 사시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트랩의 가이드홈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18은 도 17의 일부 확대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듈이 충전 키트에 의해 충전되는 모습을 도시한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이동 단말기에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슬레이트 PC(slate PC), 태블릿 PC(tablet PC), 울트라북(ultrabook),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예를 들어, 워치형 단말기 (smartwatch), 글래스형 단말기 (smart glass), HMD(head mounted display)) 등이 포함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에 따른 구성은 이동 단말기에만 적용 가능한 경우를 제외하면, 디지털 TV, 데스크탑 컴퓨터, 디지털 사이니지 등과 같은 고정 단말기에도 적용될 수도 있음을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도 1은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상기 이동 단말기(100)는 무선 통신부(110), 입력부(120), 센싱부(140), 출력부(150), 인터페이스부(160), 메모리(170), 제어부(180) 및 전원 공급부(19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은 이동 단말기를 구현하는데 있어서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본 명세서 상에서 설명되는 이동 단말기는 위에서 열거된 구성요소들 보다 많거나, 또는 적은 구성요소들을 가질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구성요소들 중 무선 통신부(110)는, 이동 단말기(100)와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이동 단말기(100)와 다른 이동 단말기(100) 사이, 또는 이동 단말기(100)와 외부서버 사이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무선 통신부(110)는, 이동 단말기(100)를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에 연결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무선 통신부(110)는, 방송 수신 모듈(111), 이동통신 모듈(112), 무선 인터넷 모듈(113), 근거리 통신 모듈(114), 위치정보 모듈(115)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120)는, 영상 신호 입력을 위한 카메라(121) 또는 영상 입력부, 오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마이크로폰(microphone, 122), 또는 오디오 입력부, 사용자로부터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사용자 입력부(123, 예를 들어, 터치키(touch key), 푸시키(mechanical key) 등)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120)에서 수집한 음성 데이터나 이미지 데이터는 분석되어 사용자의 제어명령으로 처리될 수 있다.
센싱부(140)는 이동 단말기 내 정보, 이동 단말기를 둘러싼 주변 환경 정보 및 사용자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센싱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싱부(140)는 근접센서(141, proximity sensor), 조도 센서(142, illumination sensor), 터치 센서(touch sensor), 가속도 센서(acceleration sensor), 자기 센서(magnetic sensor), 중력 센서(G-sensor), 자이로스코프 센서(gyroscope sensor), 모션 센서(motion sensor), RGB 센서, 적외선 센서(IR 센서: infrared sensor), 지문인식 센서(finger scan sensor), 초음파 센서(ultrasonic sensor), 광 센서(optical sensor, 예를 들어, 카메라(121 참조)), 마이크로폰(microphone, 122 참조), 배터리 게이지(battery gauge), 환경 센서(예를 들어, 기압계, 습도계, 온도계, 방사능 감지 센서, 열 감지 센서, 가스 감지 센서 등), 화학 센서(예를 들어, 전자 코, 헬스케어 센서, 생체 인식 센서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이동 단말기는, 이러한 센서들 중 적어도 둘 이상의 센서에서 센싱되는 정보들을 조합하여 활용할 수 있다.
출력부(150)는 시각, 청각 또는 촉각 등과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으로, 디스플레이부(151), 음향 출력부(152), 햅팁 모듈(153), 광 출력부(154)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터치 센서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거나 일체형으로 형성됨으로써, 터치 스크린을 구현할 수 있다. 이러한 터치 스크린은, 이동 단말기(100)와 사용자 사이의 입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사용자 입력부(123)로써 기능함과 동시에, 이동 단말기(100)와 사용자 사이의 출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60)는 이동 단말기(100)에 연결되는 다양한 종류의 외부 기기와의 통로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인터페이스부(160)는, 유/무선 헤드셋 포트(port), 외부 충전기 포트(port), 유/무선 데이터 포트(port),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port),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port),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port), 이어폰 포트(port)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에서는, 상기 인터페이스부(160)에 외부 기기가 연결되는 것에 대응하여, 연결된 외부 기기와 관련된 적절할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170)는 이동 단말기(100)의 다양한 기능을 지원하는 데이터를 저장한다. 메모리(170)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구동되는 다수의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 program 또는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을 위한 데이터들, 명령어들을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응용 프로그램 중 적어도 일부는, 무선 통신을 통해 외부 서버로부터 다운로드 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응용 프로그램 중 적어도 일부는, 이동 단말기(100)의 기본적인 기능(예를 들어, 전화 착신, 발신 기능, 메시지 수신, 발신 기능)을 위하여 출고 당시부터 이동 단말기(100)상에 존재할 수 있다. 한편, 응용 프로그램은, 메모리(170)에 저장되고, 이동 단말기(100) 상에 설치되어, 제어부(180)에 의하여 상기 이동 단말기의 동작(또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동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상기 응용 프로그램과 관련된 동작 외에도, 통상적으로 이동 단말기(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제어부(180)는 위에서 살펴본 구성요소들을 통해 입력 또는 출력되는 신호, 데이터, 정보 등을 처리하거나 메모리(170)에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적절한 정보 또는 기능을 제공 또는 처리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0)는 메모리(170)에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하기 위하여, 도 1과 함께 살펴본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를 제어할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180)는 상기 응용 프로그램의 구동을 위하여, 이동 단말기(100)에 포함된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둘 이상을 서로 조합하여 동작시킬 수 있다.
전원공급부(190)는 제어부(180)의 제어 하에서,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 받아 이동 단말기(100)에 포함된 각 구성요소들에 전원을 공급한다. 이러한 전원공급부(190)는 배터리를 포함하며, 상기 배터리는 내장형 배터리 또는 교체가능한 형태의 배터리가 될 수 있다.
상기 각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는, 이하에서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동작, 제어, 또는 제어방법을 구현하기 위하여 서로 협력하여 동작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동 단말기의 동작, 제어, 또는 제어방법은 상기 메모리(170)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응용 프로그램의 구동에 의하여 이동 단말기 상에서 구현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일반적인 와치 타입의 이동 단말기(100)의 일 예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와치 타입의 이동 단말기(100)는 디스플레이부(151)를 구비하는 본체(101) 및 본체(101)에 연결되어 손목에 착용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밴드(102)를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이동 단말기(100)는 도 1의 이동 단말기(100)의 특징 또는 그와 유사한 특징을 포함할 수 있다.
본체(101)는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스를 포함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는 각종 전자부품들을 수용하는 내부 공간을 마련하는 제1케이스(101a) 및 제2케이스(101b)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하나의 케이스가 상기 내부 공간을 마련하도록 구성되어 유니 바디의 이동 단말기(100)가 구현될 수도 있다.
와치 타입의 이동 단말기(100)는 무선 통신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며, 본체(101)에는 상기 무선 통신을 위한 안테나가 설치될 수 있다. 한편, 안테나는 케이스를 이용하여 그 성능을 확장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도전성 재질을 포함하는 케이스가 안테나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그라운드 영역 또는 방사 영역을 확장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체(101)의 전면에는 디스플레이부(151)가 배치되어 정보를 출력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부(151)에는 터치센서가 구비되어 터치 스크린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51)의 윈도우(151a)는 제1 케이스(101a)에 장착되어 제1 케이스(101a)와 함께 단말기 바디의 전면을 형성할 수 있다.
본체(101)에는 음향 출력부(152), 카메라(121), 마이크로폰(122), 사용자 입력부(123) 등이 구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가 터치 스크린으로 구현되는 경우, 사용자 입력부(123)로 기능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본체(101)에 별도의 키가 구비되지 않을 수 있다.
밴드(102)는 손목에 착용되어 손목을 감싸도록 이루어지며, 착용이 용이하도록 플렉서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한 예로서, 밴드(102)는 가죽, 고무, 실리콘, 합성수지 재질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밴드(102)는 본체(101)에 착탈 가능하게 구성되어, 사용자가 취향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밴드로 교체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밴드(102)는 안테나의 성능을 확장시키는 데에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밴드에는 안테나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그라운드 영역을 확장시키는 그라운드 확장부(미도시)가 내장될 수 있다.
밴드(102)에는 파스너(fastener; 102a)가 구비될 수 있다. 파스너(102a)는 버클(buckle), 스냅핏(snap-fit)이 가능한 후크(hook) 구조, 또는 벨크로(velcro; 상표명) 등에 의하여 구현될 수 있으며, 신축성이 있는 구간 또는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도면에서는, 파스너(102a)가 버클 형태로 구현된 예를 제시하고 있다.
이하에서는 이와 같이 구성된 이동 단말기에서 구현될 수 있는 제어 방법과 관련된 실시예들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살펴보겠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정신 및 필수적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치 타입 단말기의 전면에서 바라본 사사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듈이 스트랩에 부착된 상태에서의 와치 타입 단말기의 스트랩의 일부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에서 모듈이 스트랩에 부착되기 전 상태에서의 스트랩의 일부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의 와치 타입 단말기(200)는 본체(210)와 상기 본체(210)에 연결되는 스트랩(25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스트랩(250)은 다수의 조각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스트랩(250)의 일부에는 다양한 기능을 갖는 하나 이상의 모듈(270)이 수용된다. 즉, 와치 타입 단말기(200)는 크기에 제약이 있어 다양한 부품들이 실장될 공간이 부족하여 태블릿(tablet) 등과 같은 이동 단말기에 비하여 성능의 제약이 따른다. 이를 극복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특정 기능을 갖는 모듈(270)을 상기 스트랩(250)에 결합시켜 상기 모듈(270)이 갖는 기능을 와치 타입 단말기(200)에서도 구현할 수 있도록 하였다. 예를 들면, 카메라를 구비하지 않는 와치 타입 단말기(200)에 카메라 모듈(270b)을 체결하면, 사용자가 원할 때 사진을 촬영할 수 있게 된다.  즉, 와치 타입 단말기(200)가 본래 가지고 있지 않거나 본래 가지고 있더라도 보완하고자 하는 기능을 구현하고자 할 때, 그 기능을 갖는 모듈(270)을 스트랩(250)에 체결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치 타입 단말기(200)의 일부 투시도인데, 도 13을 도 3 내지 도 5와 함께 참조하면, 상기 스트랩(250)은 하나 이상의 모듈(270)을 수용하는 분할 스트랩(260)을 포함한다. 이외에도 본 발명의 일 실시예 따른 와치 타입 단말기(200)에서는 상기 본체(210)에 연결되고 상기 본체(210)에 구비되는 메인 회로기판(미도시)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 연성회로기판(254)이 구비되는 제1 스트랩(251)과, 상기 제1 스트랩(251)과 분리가능하도록 체결되고 상기 제1 연성회로기판(254)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 연성회로기판(252)이 구비되는 제2 스트랩(253)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스트랩(251) 또는 제2 스트랩(253)은 생략될 수 있다. 만약, 상기 제2 스트랩(253)이 생략되는 경우에는 상기 제1 스트랩(251)이 분할 스트랩(260)과 곧 바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스트랩(251)이 생략되는 경우에는 상기 제2 스트랩(253)이 곧 바로 상기 본체(210)와 연결될 수 있는 것이다. 즉, 상기 제1 스트랩(251) 및 제2 스트랩(253)은 반드시 모두 구비될 필요는 없고, 상기 분할 스트랩(260)과 본체(210)를 연결할 수 있는 구조가 구비되면 충분하다.
이때, 상기 분할 스트랩(260)에 구비되는 제3 연성회로기판(280)은 상기 본체(210)에 구비되는 메인 회로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야 한다. 이하에서는 편의상 상기 제1 스트랩(251) 및 제2 스트랩(253)이 모두 구비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분할 스트랩(260)이 본체(210)와 연결될 수 있는 구조가 있으면 충분하다.
상기 분할 스트랩(260)에는 상기 제2 스트랩(253)에 구비되는 제2 연성회로기판(252)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결과적으로 상기 메인 회로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3 연성회로기판(280)이 구비된다. 상기 분할 스트랩(260)은 인접하여 형성되는 분할 스트랩(260)과 연결되도록 형성되며, 인접하여 형성되는 다수의 분할 스트랩(260)은 사용자의 손목에 따라 휘어질 수 있는 구조를 갖는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모듈(270)이 상기 스트랩(250)에 구비되면 일체로 형성되는 하나의 스트랩(250)을 형성하게 된다. 이때, 상기 하나 이상의 분할 스트랩(260)과 상기 제2 스트랩(253)은 양측에 형성되는 한 쌍의 내부 프레임(220)에 의해 연결된다. 상기 내부 프레임(220)은 분할 스트랩(260)이 다수 구비되는 경우에는 분할 스트랩(260)들을 서로 연결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할 스트랩(260)의 내부 사시도인데,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분할 스트랩(260)은 상기 내부 프레임(220) 및 제3 연성회로기판(280)이 구비되는 벽부(262)와, 상기 벽부(262)로부터 수직으로 형성되고, 상기 모듈(270)을 지지하도록 내부에 관통홀(265)이 형성되는 바닥부(261)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즉, 상기 분할 스트랩(260)에는 대부분의 공간이 비어 있으며, 상기 모듈(270)을 수용하기 위한 부분 및 상기 모듈(27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기 위한 부분만 구비되면 충분하다.
또한, 도 7은 도 6의 AA를 따라서 취한 단면도인데,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의 와치 타입 단말기(200)는 상기 모듈(270)을 상기 분할 스트랩(260)에 선택적으로 체결하기 위하여 상기 분할 스트랩(260)의 적어도 일측에 형성되고 상기 분할 스트랩(260)을 관통하여 내부를 향하여 형성되는 탈착핀(267)과, 상기 탈착핀(267)과 마주보는 위치에 구비되어 상기 모듈(270)을 탈장착시키는 탄성부재(268)를 더 포함한다.
상기 탈착핀(267)는 상기 분할 스트랩(260)의 하부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몸체(267a)와, 상기 탈착핀(267)의 일 단부에 형성되는 제1 후크(267b,hook)를 포함한다. 상기 모듈(270)의 하면에는 상기 제1 후크(267b)에 걸림되는 제2 후크(274)가 형성되어 상기 탄성부재(268)에 의해 상기 탈착핀(267)이 상기 모듈(270)에 선택적으로 체결되게 된다. 상기 제2 후크(274)는 모듈(270)의 하면에 구비되는 홈(277)에 형성된다.
이때, 상기 탄성부재(268)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벽부(262)와 바닥부(261)가 교차되는 부분에 형성된다. 상기 탄성부재(268)는 상기 바닥부(261)의 일 지점에 형성되는 돌기(268a)에 고정되어 이탈되지 않도록 되어 있다. 상기 탄성부재(268)는 일예로 코일 스프링(coil spring) 또는 토션 스프링(torsion spring)일 수 있다.
또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및 제2 후크(267b,274)의 걸림되는 부분의 인접한 부분(267c,274a)은 경사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모듈(270)이 상기 탈착핀(267)을 향하여 이동하는 경우에 상기 경사진 부분(267c,274a)이 서로 슬라이딩 접촉하면서 자연스럽게 삽입되게 된다. 일단 모듈(270)이 분할 스트랩(260)에 삽입되면 탄성부재(268)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제1 및 제2 후크(267b,274)가 서로 걸림되어 모듈(270)은 분할 스트랩(260)으로부터 이탈되지 않게 된다.
한편, 상기 모듈(270)을 상기 분할 스트랩(260)으로부터 분리하기 위하여 상기 탈착핀(267)을 내측을 향하여 밀게 되면 상기 제1 및 제2 후크(267b,274)의 걸림은 해제되고, 제1 및 제2 후크(267b,274)의 걸림력이 해제된 상태에서 상기 모듈(270)을 제거하여 분리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탈착핀(267)은 상기 분할 스트랩(260)의 일측 또는 양측에 형성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듈이 스트랩에 체결된 상태의 일부 투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부 프레임(220)의 사시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및 제2 접촉단자가 접촉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3 연성회로기판과 제2 연성회로기판이 연결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스트랩의 일부 투시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3 연성회로기판의 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도 8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내부 프레임(220)은 각각의 분할 스트랩(260)에 고정되는 고정 프레임(223)과, 상기 고정 프레임(223)과 연결되고 상기 이웃하여 형성되는 분할 스트랩들(260) 또는 상기 분할 스트랩(260)과 제2 스트랩(253)을 연결시키는 연결 프레임(225)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즉, 상기 고정 프레임(223)과 연결 프레임(225)은 독립적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개별적으로 형성되나, 상기 고정 프레임(223) 및 연결 프레임(225)은 힌지(221)에 의해 고정 프레임(223) 및 연결 프레임(225)이 각각 단부를 중심으로 회전가능하도록 연결된다. 이와 같이, 상기 고정 프레임(223) 및 연결 프레임(225)이 개별적으로 회전함으로써 상기 내부 프레임(220)이 고정되는 스트랩(250)이 사용자의 손목에 맞게 휘어질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연결 프레임(225)은 고정 프레임(223)들을 연결하는 기능을 하는 것이므로, 고정 프레임(223)의 크기보다는 작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각각의 고정 프레임(223)은 각각의 모듈(270)에 체결되어 모듈(270)과 일체로 회전가능하도록 형성되어야 하므로, 상기 힌지(221)는 상기 고정 프레임(223)의 양단에 형성된다. 또한, 상기 힌지(221)는 상기 연결 프레임(225)의 양단에 형성되어, 상기 힌지(221)는 상기 고정 프레임(223) 및 연결 프레임(225)을 연결한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해 상기 고정 프레임(223) 또는 연결 프레임(225)은 단부를 중심으로 회전하게 되어 사용자의 손목에 맞게 절곡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고정 프레임(223) 및 연결 프레임(225)의 양단은 적어도 일부가 서로 중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는 상기 고정 프레임(223) 및 연결 프레임(225)의 양단에 상기 힌지(221)가 관통할 수 있는 홀(미도시)이 형성되어 상기 홀 부분만 겹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제3 연성회로기판(280)은 상기 내부 프레임(220)의 내측에 구비되고, 다수의 관통홀(285)이 형성되는 지지부(280a)와, 상기 지지부(280a)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제2 연성회로기판(252)과 연결되는 연결부(280b)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힌지(221)는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부(280a)에 형성되는 관통홀(285)에 삽입되어 상기 내부 프레임(220)을 상기 제3 연성회로기판(280)에 고정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지지부(280a)에는 상기 내부 프레임(220)의 힌지(221)가 삽입되는 관통홀들(285)이 형성되고, 상기 제1 접촉단자(263)는 상기 지지부(280a)의 하부로부터 단말기(200)의 내부를 향하여 절곡된다. 상기 제3 연성회로기판(280)은 대략 "L"형상이고, 상기 연결부(280b)의 단부에는 커넥터(269)가 연결되어 상기 제3 연성회로기판(280)이 제2 연성회로기판(252)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커넥터(269)에는 다수의 전극들(269a)이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하나 이상의 모듈(270)을 구동하기 위해 필요한 만큼의 전극들(269a)이 구비된다. 상기 커넥터(269)에 의해 각각의 모듈(270)의 신호를 본체(210)에 형성되는 메인 회로기판에 전달하거나, 메인 회로기판으로부터의 신호를 모듈(270)에 전달할 수 있게 된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와치 타입 단말기(200)의 본체(210)와 스트랩(250)이 연결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일부 투시도인데, 도 13과 함께 도 11 및 도 12를 다시 참조하면, 상기 본체(210)와 직접 연결되는 제1 스트랩(251)에는 제1 연성회로기판(254)이 구비되고, 상기 제1 스트랩(251)과 연결되는 제2 스트랩(253)에는 제2 연성회로기판(252)이 구비되며, 상기 제1 및 제2 연성회로기판(254,252)은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 스트랩(251)과 제2 스트랩(253)을 연결하는 연결핀(255)이 구비되고, 상기 연결핀(255)에는 한 쌍의 고정부재(256a,256b)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고정부재(256)는 제1 및 제2 고정부재(256a,256b)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고정부재(256a)는 상기 제2 스트랩(253)에 구비되는 제2 연성회로기판(252)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2 고정부재(256b)는 상기 제1 스트랩(251)에 구비되는 제1 연성회로기판(254)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제1 고정부재(256a)는 상기 제2 스트랩(253)의 내부에 구비될 수 있고, 상기 제2 고정부재(256b)는 상기 제1 스트랩(251)의 내부에 구비될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부재(256)의 사시도인데, 도 14를 참조하면, 상기 고정부재(256)는 일측에는 관통홀(257)이 형성되어 상기 연결핀(255)이 삽입되도록 되어 있고, 타측에는 접촉단자(258)가 구비되어 상기 고정부재(256)는 상기 제1 연성회로기판(254) 또는 제2 연성회로기판(252)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고정부재(256)의 형상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상기 연결핀(255)이 관통할 수 있고, 연성회로기판과 접촉 가능한 구조를 가지면 된다.
이때, 상기 제1 연성회로기판(254)은 보조 회로기판(259)에 의해 본체(210)와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보조 회로기판(259)은 상기 본체(210)의 단부에 구비된다. 상기 제1 스트랩(251)과 제2 스트랩(253)을 연결하기 위하여 상기 제1 스트랩(251) 중 제2 스트랩(253)을 향하는 부분의 양단(251a,251b)은 보다 돌출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2 스트랩(253) 중 제1 스트랩(251)을 향하는 부분의 가운데 부분(253a)은 상기 제1 스트랩(251)의 양단(251a,251b)과 함께 상기 연결핀(255)에 의해 체결될 수 있도록 동일 선상에 위치하게 된다. 이때, 상기 고정부재(256) 및 연결핀(255)은 금속부재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지지부(280a)의 하부 일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바닥부(261)에 수용되는 제1 접촉단자(263)가 구비되고, 상기 모듈(270)의 하단에 구비되어 상기 제1 접촉단자(263)와 접촉하는 제2 접촉단자(273)가 구비된다. 상기 제1 및 제2 접촉단자(263a,263b,273a,273b)는 각각 한 쌍으로 형성되어 서로 대응되는 접촉단자에 접촉된다. 상기 제1 및 제2 접촉단자(263,273)는 방수 코팅되어 외부로부터 물기가 유입되더라도 와치 타입 단말기(200)의 작동에는 지장이 없도록 되어 있다.
상기 모듈(270)의 하부면은 사용자의 신체와 직접 접촉하는 부분이고, 상기 바닥부(261)도 사용자의 신체와 직접 접촉하는 부분이다. 따라서, 상기 모듈(270)의 바닥면 중 상기 바닥부(261)의 제1 접촉단자(263)가 형성되는 부분에 안착되는 리세스부(278)는 모듈(270)의 하부면으로부터 다른 부분보다 더 리세스(recessed)되도록 형성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의 모듈(270)은 상기 제3 연성회로기판(28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내부 회로기판(271)과, 상기 모듈(270)을 작동시키는 배터리(271)를 포함한다.(도 7 참조) 상기 내부 회로기판(271)은 상기 모듈(270)을 제어하는 제어부에 해당되고, 상기 배터리(272)는 상기 본체(210)가 아닌 모듈(270)을 작동시키는데 사용되는 전원을 공급한다. 상기 모듈(270)에 구비되는 내부 회로기판(271)은 제3 연성회로기판(280)의 지지부(280a)를 통해 상기 본체(210)의 메인 회로기판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모듈(270)이 다수 구비되는 경우에는 다수의 모듈들(270)에 구비되는 내부 회로기판들(271)이 길게 형성되는 지지부(280a)에 연결됨으로써 다수의 모듈(270)이 분할 스트랩(260) 및 본체(21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게 된다.
각각의 모듈(270)에 배터리(271)를 구비함으로써 모듈(270)을 구동시에 본체(210)에 구비되는 메인 배터리(미도시)의 사용량을 줄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충전 키트(300)에 의해 상기 모듈(270)의 배터리(271)를 충전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상기 모듈(270)의 하면에는 상기 배터리(271)를 충전시키는 충전 단자(275)가 구비된다. 상기 충전 단자(275)는 상기 모듈(270)의 하면에 형성된 리세스부(278)에 형성되고, 상기 충전 단자(275)의 주변에는 상기 충전단자(275)를 감싸는 오링(276,O-ring)이 구비되어 있다. 또한, 제1 및 제2 접촉단자(263,273)는 부식 방지를 위해 도금 및 방수 코팅될 수 있다.
즉, 도 15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심박센서 모듈(270a)의 후면사시도이고, 도 15b는 도 15a의 BB를 따라서 취한 단면도이다. 도 15a 및 도 15b를 참조하면, 심박센서 모듈(270a)은 신체와 직접 접촉하는 감지부(277)가 심박센서 모듈(270a)의 하부면에 구비되어 있으며, 심박센서 모듈(270a)의 내부에 구비되는 배터리(271)를 충전하기 위한 충전 단자(275)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감지부(277) 및 충전 단자(275)는 외부에 노출되어 있으므로 외부로부터 물의 유입이 있는 경우에는 이를 방지하기 위한 구조가 필요하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도 1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충전 단자(275)를 감싸는 부분에 오링(276)이 형성되도록 하였다. 이는 감지부(277)의 경우에도 마찬가지여서 상기 감지부(277)를 감싸도록 오링(276)이 형성된다.
이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듈(270)은 플래시 모듈, 카메라 모듈, 심박 센서 모듈, 스피커 모듈, 배터리 모듈, 디스플레이 모듈, 프로젝터 모듈, 블루투스 헤드셋 모듈, 스마트 차량키 모듈 중 어느 하나 이상일 수 있다. 상기 스트랩(250)에 끼워지는 모듈(270)이 플래시 모듈인 경우에는 사진 촬영시에 필요한 빛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플래시 모듈은 플래시 엘이디(flash led)일 수 있다.
상기 모듈(270)이 카메라 모듈(270b)인 경우에는 와치 타입 단말기(200)에 카메라가 장착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도 카메라 모듈(270b)을 스트랩(250)에 장착함으로써 사진 촬영이 가능해진다.
상기 모듈(270)이 심박센서 모듈(270a)인 경우에는 사용자가 스포츠 활동을 하는 경우 또는 긴급한 상황인 경우에 사용자의 심박운동을 측정할 수 있으며, 상기 심박센서는 헬스케어(health care)를 위한 센서의 일예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만보기와 같은 헬스케어 모듈일 수도 있다.
상기 모듈(270)이 스피커 모듈인 경우에는 입체 음향 등과 같은 다양한 음향 효과를 위하여 스피커 모듈을 사용할 수 있으며 단순히 음향의 크기를 증폭시키기 위하여 사용될 수도 있다. 와치 타입 단말기(200)에도 음향 출력부(152)가 구비되어 있으나, 출력되는 크기에 제한이 있는 경우가 많고, 와치 타입 단말기(200)의 음향 출력부(152)는 단순한 음향 효과만을 구현할 수 있으므로 이를 보완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모듈(270)이 배터리 모듈인 경우에는 상기 배터리 모듈은 상기 와치 타입 단말기(200)에 구비되는 메인 배터리를 보조하여 와치 타입 단말기(200)를 구동시에 보다 오랫동안 사용이 가능하도록 한다. 상기 배터리 모듈은 충전 키트(300)에 의해서도 충전가능하므로 충전이 보다 자유로워진다. 즉, 와치 타입 단말기(200)를 충전하는 케이블 등이 없더라도 모듈(270)을 충전하는 충전 키트(300)가 있으면 배터리 모듈의 배터리(271)를 충전할 수 있어 충전 자유도가 향상된다.
상기 모듈(270)이 디스플레이 모듈인 경우에는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은 상기 와치 타입 단말기(200)의 디스플레이부(250a)를 대체하거나 보조할 수 있다. 특히, 와치 타입 단말기(200)의 디스플레이부(250a)와 동시에 다른 화면을 표시하고자 하는 경우에 듀얼 디스플레이를 구현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모듈(270)이 프로젝터 모듈인 경우에는 출력되는 영상을 확대하여 보여줄 뿐만 아니라 입체 영상 또는 홀로그래피(holography) 등을 구현할 수 있다.
상기 모듈(270)이 블루투스 헤드셋 모듈인 경우에는 블루투스(bluetooth)에 의해 헤드셋(headset)으로 사용할 수도 있다. 다만, 이러한 경우에는 스트랩(250)에서 탈착하여 사용해야 할 것이다.
또한, 상기 모듈(270)이 스마트 차량키 모듈인 경우에는 스마트 차량키를 와치 타입 단말기(200)에 항시 휴대함으로써 스마트 차량키를 분실할 우려가 적고 스마트 차량키를 와치 타입 단말기(200)에 장착함으로써 휴대하기가 편리한 장점이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각각의 모듈(270)에는 배터리(271)가 구비되어 있으므로, 모듈(270)이 독립적으로 사용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카메라 모듈(270b)은 자동차 블랙박스(black box)의 대용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집에 있는 애완용 동물을 감시하는 기능으로 사용될 수도 있다. 즉, 집 밖에서 집 안에 있는 애완용 동물의 상황이 궁금한 경우에는 와이파이(WiFi) 등의 무선 통신에 의해 집 안에 있는 카메라 모듈(270b)과 와치 타입 단말기(200)를 연결하여 카메라 모듈(270b)에 의해 촬영되는 영상을 사용자가 와치 타입 단말기(200)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또한, 헬스케어 모듈의 경우에는 만보기와 같은 모듈이 와치 타입 단말기(200)로부터 분리되어 독립적으로 사용될 수도 있다.
도 19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듈(270)이 충전 키트(300)에 의해 충전되는 모습을 도시하였다.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모듈(270)은 충전 키트(300,kit)에 의해 개별적으로 충전되어 사용된다.
한편,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치 타입 단말기의 후면 사시도이고,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트랩의 가이드홈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로 스트랩의 연결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18은 도 17의 일부 확대도이다.
이하에서는 도 16 내지 도 18을 참조하여 와치 타입 단말기(200)에서의 스트랩(250) 연결 구조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트랩(250)은 일반적인 와치(watch)와 유사하게 적어도 일 지점에서 분리되어 손쉽게 사용자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치 타입 단말기(200)는 상기 분리되는 부분에서는 보다 외측에 구비되는 제1 연결 스트랩(293)과, 상기 제1 연결 스트랩(293)의 내부에 구비되고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1 연결 스트랩(293)과 중첩되도록 배치되는 제2 연결 스트랩(295)을 더 포함한다. 상기 제1 및 제2 연결 스트랩(293,295)은 중첩되는 부분의 크기를 조절함으로써 스트랩(250)의 길이가 가변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제1 및 제2 연결 스트랩(293,295)은 내부 공간을 갖는 중공형의 연결부재(291)에 적어도 일부가 삽입되고, 상기 연결부재(291)에는 상기 스트랩(250)의 형성 방향에 관통홀(293a,293b,295a)이 형성되어 상기 제1 및 제2 연결 스트랩(293,295)의 적어도 일부가 삽입 또는 인출되도록 한다. 즉, 상기 연결부재(291)는 스트랩(250)이 길게 형성되는 방향인 제1 방향으로 관통홀(293a,293b,295a)이 형성되고, 상기 제1 방향과 수직인 방향인 제2 방향은 차단되어 있어 상기 제1 및 제2 연결 스트랩(293,295)이 제1 방향을 따라서만 삽입되거나 인출되도록 한다. 즉, 상기 연결부재(291)의 상면(291a)으로부터 하부를 향하여 동일 거리만큼 이격된 위치에 관통홀(293a,293b)이 형성되어 제1 연결 스트랩(293)이 삽입되거나 인출된다. 상기 연결부재(291) 중 상기 제2 연결 스트랩(295)이 삽입되거나 인출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관통홀(293b)의 하부에 관통홀(295a)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1 연결 스트랩(293)에는 제1 방향을 따라 일정 길이만큼 가이드홈(296)이 형성되고, 상기 연결부재(291)의 내부에는 상기 가이드홈(296) 상에서 이동하는 버튼부(297)가 구비되고, 상기 버튼부(297)의 하부에는 상기 버튼부(297)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298)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제1 및 제2 연결 스트랩(293,295)는 서로 일정 거리를 유지한 채 평행하게 형성되고, 상기 연결부재(291)는 상기 제1 및 제2 연결 스트랩(293,295)이 평행하게 형성되는 부분의 일부를 감싸도록 형성된다. 상기 탄성부재(298)는 토션 스프링(torsion spring)일 수 있고, 상기 연결부재(291)의 하면(291a)에 돌출 형성되는 돌기(294)에 고정된다.
도 18을 참조하면, 상기 버튼부(297)는 상기 제1 연결 스트랩(293)의 상면(291a)과 접촉하는 상부(297a)와, 상기 제1 연결 스트랩(293)의 하면(291b)과 접촉하는 하부(297b)와, 상기 상부(297a) 및 하부(297b)를 연결하고, 상기 가이드홈(296)을 따라 이동하는 중간부(297c)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상면(291a)는 와치 타입 단말기(200)를 착용시에 외부에 노출되는 부분을 의미하고, 하면(291b)는 와치 타입 단말기(200)를 착용시에 사용자와 직접 접촉하는 부분을 의미한다.
이와 같이, 상기 버튼부(297)는 대략 "H" 형상이다. 상기 중간부(297c)의 두께는 대략 상기 제1 스트랩(251)의 두께보다 G 만큼 더 크다. 만약, 상기 버튼부(297)를 누르지 않은 상태에서는 상기 하부(297b)가 상기 제1 연결 스트랩(293)을 상기 연결부재(291)의 상면(291a)을 향하여 밀어 올리게 되어 상기 제1 연결 스트랩(293)이 이동하지 못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 버튼부(297)를 누르게 되면 상기 탄성부재(268)를 누르면서 상기 버튼부(297)가 아래로 이동하게 되고, 상기 연결부재(291)의 상면(291a)과 상기 하부(297b) 사이의 간격이 상기 제1 연결 스트랩(293)의 두께보다 커져서 상기 제1 연결 스트랩(293)이 이동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즉,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태가 된다. 이때, 사용자가 상기 버튼부(297)를 누른 채 상기 제1 연결 스트랩(293)을 이동시킴으로써 사용자의 손목 크기에 맞도록 손쉽게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상부(297a)는 상기 연결부재(291)의 상면(291a)에 형성된 관통홀(291c)을 통해 외부에 노출된다.
이때, 상기 제2 연결 스트랩(295)의 일 단부는 상기 연결부재(291)의 내부에 형성되는 고정 가이드(299)에 의해 고정된다. 상기 고정 가이드(299)는 상기 연결부재(291)의 하면(291b)에 돌출되는 돌기 형상으로 상기 제2 연결 스트랩(295)의 일 단부가 상기 고정 가이드(299)에 걸려서 제2 연결 스트랩(295)은 움직이지 못하게 된다.
또한, 상기 연결부재(291)의 내부에는 상기 제2 연결 스트랩(295)의 이동을 원활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롤러(292)가 구비되는데, 도 17에서는 상기 연결부재(291)의 내부에 제1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 이격되는 한 쌍의 롤러(292)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롤러(292)는 상기 제1 연결 스트랩(293)의 하부면과 상기 제2 연결 스트랩(295)의 상부면에 구름 접촉하면서 회전하여 상기 제1 연결 스트랩(293)의 이동을 원활하게 한다.
전술한 본 발명은, 프로그램이 기록된 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의 예로는, HDD(Hard Disk Drive), SSD(Solid State Disk), SDD(Silicon Disk Drive),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 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컴퓨터는 단말기의 제어부(180)를 포함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Claims (20)

  1. 본체; 및
    상기 본체에 연결되는 스트랩을 포함하고,
    상기 스트랩은,
    특정 기능을 갖는 하나 이상의 모듈;
    상기 하나 이상의 모듈이 각각 수용되는 하나 이상의 분할 스트랩을 포함하고,
    상기 모듈과 분할 스트랩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치 타입 단말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할 스트랩의 적어도 일측에 형성되고 상기 분할 스트랩을 관통하여 내부를 향하여 형성되는 탈착핀; 및
    상기 탈착핀과 마주보는 위치에 구비되어 상기 탈착핀에 탄성력을 제공하여 상기 모듈을 탈장착시키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치 타입 단말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탈착핀의 단부는 제1 후크(hook)가 형성되고, 상기 모듈의 하면에는 상기 제1 후크에 걸림되는 제2 후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치 타입 단말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랩은,
    상기 본체에 연결되고 상기 본체에 구비되는 메인 회로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 연성회로기판이 구비되는 제1 스트랩; 및
    상기 제1 스트랩과 분리가능하도록 체결되고 상기 제1 연성회로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 연성회로기판이 구비되는 제2 스트랩을 더 포함하고,
    상기 분할 스트랩에는 상기 제2 스트랩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제2 연성회로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3 연성회로기판이 구비되고, 상기 하나 이상의 분할 스트랩과 상기 제2 스트랩은 양측에 형성되는 한 쌍의 내부 프레임에 의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치 타입 단말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연성회로기판은,
    상기 내부 프레임의 내측에 구비되고, 다수의 관통홀이 형성되는 지지부; 및
    상기 지지부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제2 연성회로기판과 연결되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치 타입 단말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프레임은,
    상기 각각의 분할 스트랩에 고정되는 고정 프레임; 및
    상기 고정 프레임과 연결되어 서로 이웃하여 형성되는 2 이상의 분할 스트랩 및 상기 분할 스트랩과 제2 스트랩을 연결시키는 연결 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치 타입 단말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프레임 및 연결 프레임의 양단은 힌지에 의해 고정되어 상기 고정 프레임 및 연결 프레임이 각각 회전가능하도록 연결되고,
    상기 힌지는 상기 지지부에 형성되는 관통홀에 삽입되어 상기 내부 프레임을상기 제3 연성회로기판에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치 타입 단말기.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분할 스트랩은,
    상기 내부 프레임 및 제3 연성회로기판이 구비되는 벽부; 및
    상기 벽부로부터 수직으로 형성되고, 상기 모듈을 지지하도록 내부에 관통홀을 형성하는 바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치 타입 단말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연성회로기판은 상기 지지부의 하부 일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바닥부에 수용되는 제1 접촉단자가 구비되고,
    상기 모듈의 하단에는 상기 제1 접속단자와 접촉하는 제2 접촉단자가 구비되어 상기 모듈과 분할 스트랩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치 타입 단말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접촉단자는 방수 코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치 타입 단말기.
  11.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모듈은,
    상기 제3 연성회로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내부 회로기판; 및
    상기 모듈을 작동시키는 배터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치 타입 단말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모듈의 하면에는 상기 배터리를 충전시키는 충전 단자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치 타입 단말기.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 단자는 상기 모듈의 일면에 노출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충전 단자를 감싸는 오링(O-ring)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치 타입 단말기.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랩은 적어도 일 지점에서 분리되고, 상기 분리된 부분에서는 보다 외측에 구비되는 제1 연결 스트랩과, 상기 제1 연결 스트랩의 내부에 구비되고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1 연결 스트랩과 중첩되도록 배치되는 제2 연결 스트랩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연결 스트랩은 중첩되는 부분의 크기를 조절함으로써 스트랩의 길이가 가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치 타입 단말기.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연결 스트랩의 제1 방향을 따라 관통홀이 형성되어 상기 제1 및 제2 연결 스트랩의 적어도 일부가 삽입되는 연결부재;
    상기 제1 연결 스트랩에는 제1 방향을 따라 가이드홈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홈 상에서 이동하는 버튼부; 및
    상기 버튼부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버튼부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치 타입 단말기.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연결 스트랩은 상기 연결부재의 내부에 형성되는 고정 가이드에 의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치 타입 단말기.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의 내부에는 상기 제1 및 제2 연결 스트랩과 접촉하도록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롤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치 타입 단말기.
  18.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부는,
    상기 제1 연결 스트랩의 상면과 접촉하는 상부;
    상기 제1 연결 스트랩의 하면과 접촉하는 하부; 및
    상기 상부 및 하부를 연결하고, 상기 가이드홈을 따라 이동하는 중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치 타입 단말기.
  19.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연성회로기판은 하나 이상의 분할 스트랩들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제1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치 타입 단말기.
  2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듈은 플래시 모듈, 카메라 모듈, 심박 센서 모듈, 스피커 모듈, 배터리 모듈, 디스플레이 모듈, 프로젝터 모듈, 블루투스 헤드셋 모듈, 스마트 차량키 모듈 중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치 타입 단말기.
KR1020150095394A 2015-07-03 2015-07-03 와치 타입 단말기 KR20170004695A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5394A KR20170004695A (ko) 2015-07-03 2015-07-03 와치 타입 단말기
US15/006,895 US9737119B2 (en) 2015-07-03 2016-01-26 Watch type terminal
CN201610196324.6A CN106330232B (zh) 2015-07-03 2016-03-31 手表式终端
FR1655606A FR3038394B1 (fr) 2015-07-03 2016-06-16 Terminal de type montre
EP16174788.6A EP3121681B1 (en) 2015-07-03 2016-06-16 Watch type termin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5394A KR20170004695A (ko) 2015-07-03 2015-07-03 와치 타입 단말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4695A true KR20170004695A (ko) 2017-01-11

Family

ID=561942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95394A KR20170004695A (ko) 2015-07-03 2015-07-03 와치 타입 단말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9737119B2 (ko)
EP (1) EP3121681B1 (ko)
KR (1) KR20170004695A (ko)
CN (1) CN106330232B (ko)
FR (1) FR303839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86735B1 (ko) * 2017-02-03 2018-08-08 주식회사 블루콤 스테레오 무선이어폰이 구비된 블루투스 웨어러블 워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622048B2 (ja) * 2015-10-05 2019-12-18 ソニーモバイルコミュニケーションズ株式会社 電子機器
CN105471025A (zh) * 2015-12-08 2016-04-06 联想(北京)有限公司 一种可形变电子设备和无线充电系统
FR3055760B1 (fr) * 2016-09-02 2019-07-12 Sigfox Appareil electronique comportant une structure d’antenne pour l’emission et/ou la reception de signaux radioelectriques et une sangle servant d’attache de l’appareil
US10228725B2 (en) * 2016-09-30 2019-03-12 Intel IP Corporation Flexible band wearable electronic device
CN107341888A (zh) * 2017-07-12 2017-11-10 中山市晶威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便携的无线钥匙
CN107347705B (zh) * 2017-07-18 2020-08-21 深圳市沃特沃德股份有限公司 生物传感组件及智能宠物装置
KR102395783B1 (ko) * 2017-08-04 2022-05-09 삼성전자주식회사 웨어러블 기기 및 전자 장치
JP6873896B2 (ja) * 2017-12-28 2021-05-19 オムロンヘルスケア株式会社 血圧測定装置及びコネクタ
US11103033B1 (en) 2018-03-18 2021-08-31 Francois R. Girardet System and method for enhancing the utility of smartwatches in combination with conventional watches
CN109009056A (zh) * 2018-08-10 2018-12-18 张家港贸安贸易有限公司 一种心率带的传感器可拆卸结构
CN109188891B (zh) * 2018-10-23 2020-11-24 泰州市津达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穿戴智能手表套件
WO2020084577A1 (en) * 2018-10-24 2020-04-30 Arshad Affan Wearable smart device
US11206475B2 (en) * 2018-12-07 2021-12-21 Starkey Laboratories, Inc. Wearable electronic device and strap arrangement with charging ports for charging ear-worn electronic devices
CN110338527B (zh) * 2019-06-28 2021-04-02 努比亚技术有限公司 一种链节连接结构和可穿戴设备
CN112399296B (zh) * 2019-08-19 2023-05-12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可穿戴设备
USD915236S1 (en) * 2019-11-27 2021-04-06 Joojoomee Inc. Bracelet
CN112965358B (zh) * 2019-11-28 2023-01-20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可穿戴设备和控制方法、计算机可读存储介质
USD911207S1 (en) * 2019-12-15 2021-02-23 Rachel Grace Wristband
USD911206S1 (en) * 2019-12-15 2021-02-23 Rachel Grace Wristband
USD913140S1 (en) * 2019-12-15 2021-03-16 Rachel Grace Wristband
CN110994137A (zh) * 2019-12-24 2020-04-10 西安易朴通讯技术有限公司 穿戴电子设备
CN111067206A (zh) * 2020-01-14 2020-04-28 江苏感恩机械有限公司 一种具有投影功能的穿戴式电子智能手表
CN113303571B (zh) * 2020-02-27 2023-02-10 华为技术有限公司 连接机构和可穿戴设备
CN213717101U (zh) * 2020-10-29 2021-07-16 荣耀终端有限公司 电子设备
CN114721247B (zh) * 2020-12-22 2024-04-30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可穿戴设备
CN114690612A (zh) * 2020-12-31 2022-07-01 广东小天才科技有限公司 具有副电池组的智能手表及其表头结构
CN113425046A (zh) * 2021-07-07 2021-09-24 合肥优恩物联网科技有限公司 一种老年人身体状态检测及异常预警的智能穿戴手环
CN113805466B (zh) * 2021-09-03 2022-08-05 上海豪承信息技术有限公司 一种智能手表组件
CN113925462B (zh) * 2021-10-18 2023-11-10 右江民族医学院 一种基于健康服务的老年痴呆症监护装置
CN114021685B (zh) * 2021-11-10 2022-09-16 山东华源触控显示科技有限公司 一种便携式低辐射多功能u盾显示器
US11857031B1 (en) * 2023-02-28 2024-01-02 Apple Inc. Attachment systems for electronic devices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49108083U (ko) * 1972-12-30 1974-09-14
RO63028A (fr) 1973-01-16 1978-08-15 Bayer Ag Procede pour la preparation des 1-alkylydenaminouracyles
JP4042340B2 (ja) 2000-05-17 2008-02-06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情報機器
JP4809780B2 (ja) * 2004-02-13 2011-11-09 ジョルダーノ,ジュゼッペ ブレスレット用の調節可能な留め金装置
EP1721237B1 (en) 2004-02-27 2012-08-29 Simon Richard Daniel Wearable modular interface strap
US20070153639A1 (en) * 2005-12-02 2007-07-05 Ronald Lafever Flexible band with clip-on watch
US20130271355A1 (en) 2012-04-13 2013-10-17 Nokia Corporation Multi-segment wearable accessory
CN103546181A (zh) * 2012-07-17 2014-01-29 高寿谦 可拆卸并可自由组合功能的穿戴式无线智能电子装置
US9541955B2 (en) * 2013-10-23 2017-01-10 Raphael Holtzman System for modular expansion of mobile computer systems
WO2015100224A1 (en) 2013-12-24 2015-07-02 Polyera Corporation Flexible electronic display with user interface based on sensed movements
CN104144234A (zh) * 2014-01-23 2014-11-12 汤培涵 佩戴于人体腕部的智能终端
US9553625B2 (en) 2014-09-27 2017-01-24 Apple Inc. Modular functional band links for wearable device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86735B1 (ko) * 2017-02-03 2018-08-08 주식회사 블루콤 스테레오 무선이어폰이 구비된 블루투스 웨어러블 워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FR3038394A1 (ko) 2017-01-06
US9737119B2 (en) 2017-08-22
EP3121681A2 (en) 2017-01-25
CN106330232B (zh) 2021-06-15
EP3121681A3 (en) 2017-02-08
CN106330232A (zh) 2017-01-11
FR3038394B1 (fr) 2020-06-19
EP3121681B1 (en) 2018-11-28
US20170000222A1 (en) 2017-0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70004695A (ko) 와치 타입 단말기
KR102497528B1 (ko) 와치타입 단말기
KR102218913B1 (ko) 스마트 팔찌
CN106210185B (zh) 移动终端
KR101587138B1 (ko) 이동 단말기
KR20170089668A (ko) 안테나를 구비하는 와치 타입의 이동 단말기
KR101741585B1 (ko) 이동 단말기
KR20160054903A (ko) 와치 타입 이동 단말기
US20170285785A1 (en) Electronic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KR101637368B1 (ko) 와치타입 이동 단말기
KR20160029524A (ko) 전자 디바이스 및 이를 포함하는 시스템
US9483074B2 (en) Watch type mobile terminal and mobile terminal system having the same
KR20160012436A (ko) 웨어러블 기기
KR101659030B1 (ko) 와치 타입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 어셈블리
KR20170051015A (ko) 와치 타입 단말기
KR20160054777A (ko) 디스플레이 모듈 및 이를 구비한 이동 단말기
KR20160100732A (ko) 전자기기
KR20160070998A (ko) 웨어러블 단말기
KR101616374B1 (ko) 와치형 단말기
KR20170017204A (ko) 커넥터 및 이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KR20170021157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70016213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70004648A (ko) 웨어러블 디바이스 및 그 제어방법
KR102218039B1 (ko) 전자 디바이스
KR20160028759A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