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04588A - 인솔,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인솔,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04588A
KR20170004588A KR1020150095155A KR20150095155A KR20170004588A KR 20170004588 A KR20170004588 A KR 20170004588A KR 1020150095155 A KR1020150095155 A KR 1020150095155A KR 20150095155 A KR20150095155 A KR 20150095155A KR 20170004588 A KR20170004588 A KR 201700045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aster
information
insole
input signal
sho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951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가호경
신승용
서동규
안현진
김재동
이학주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951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04588A/ko
Publication of KR201700045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458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202Child monitoring systems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carried by the parent and the child
    • G08B21/0205Specific application combined with child monitoring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7/00Insoles for insertion, e.g. footbeds or inlays, for attachment to the shoe after the upper has been joined
    • A43B3/0005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4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responsive to non-activity, e.g. of elderly persons
    • G08B21/0438Sensor means for detecting
    • G08B21/0446Sensor means for detecting worn on the body to detect changes of posture, e.g. a fall, inclination, acceleration, gait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4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responsive to non-activity, e.g. of elderly persons
    • G08B21/0438Sensor means for detecting
    • G08B21/0461Sensor means for detecting integrated or attached to an item closely associated with the person but not worn by the person, e.g. chair, walking stick, bed sensor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10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responsive to calamitous events, e.g. tornados or earthquak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08B21/182Level alarms, e.g. alarms responsive to variables exceeding a threshold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3/00Alarms responsive to un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3/0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 G08B3/1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솔에서 센싱된 신호에 기초하여, 재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인솔,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제 1 입력 신호를 센싱하는 제 1 센싱부와, 제 2 입력 신호를 센싱하는 제 2 센싱부와, 제 3 입력 신호를 센싱하는 제 3 센싱부와, 재난 정보를 전송하는 커뮤니케이션부와, 센싱된 제 1 입력 신호를 토대로, 신발의 궤적과 자세에 대한 제 1 정보, 센싱된 제 2 입력 신호를 토대로, 신발의 압력 변화량과 신발 벗겨짐에 대한 제 2 정보, 그리고 센싱된 제 3 입력 신호를 토대로, 신발의 고도 변화량에 대한 제 3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한 제 1, 제 2, 제 3 정보를 토대로, 재난 상황임을 인지하면, 인지된 재난 상황에 대한 재난 신호를, 외부로 전송하도록, 커뮤니케이션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인솔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인솔,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A INSOLE, A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본 발명은, 인솔에서 센싱된 신호에 기초하여, 재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인솔,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단말기는 이동 가능여부에 따라 이동 단말기(mobile/portable terminal) 및 고정 단말기(stationary terminal)으로 나뉠 수 있다. 다시 이동 단말기는 사용자의 직접 휴대 가능 여부에 따라 휴대(형) 단말기(handheld terminal) 및 거치형 단말기(vehicle mounted terminal)로 나뉠 수 있다.
이동 단말기의 기능은 다양화되고 있다. 예를 들면, 데이터와 음성통신, 카메라를 통한 사진촬영 및 비디오 촬영, 음성녹음, 스피커 시스템을 통한 음악파일 재생 그리고 디스플레이부에 이미지나 비디오를 출력하는 기능이 있다. 일부 단말기는 전자게임 플레이 기능이 추가되거나, 멀티미디어 플레이어 기능을 수행한다. 특히 최근의 이동 단말기는 방송과 비디오나 텔레비전 프로그램과 같은 시각적 컨텐츠를 제공하는 멀티캐스트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단말기(terminal)는 기능이 다양화됨에 따라 예를 들어, 사진이나 동영상의 촬영, 음악이나 동영상 파일의 재생, 게임, 방송의 수신 등의 복합적인 기능들을 갖춘 멀티미디어 기기(Multimedia player) 형태로 구현되고 있다.
이러한 단말기의 기능 지지 및 증대를 위해, 단말기의 구조적인 부분 및/또는 소프트웨어적인 부분을 개량하는 것이 고려될 수 있다.
한편, 기존에는 사용자가 위험한 상황에 처하거나 재난을 당하여, 신체의 일부를 사용하지 못할 경우, 외부에 자신의 위험 상황을 알릴 수 있는 방법이 없었다. 특히, 사용자가 사고로 인하여, 의식이 없는 경우에, 자신의 어려운 상황을 외부에 알릴 수 있는 방법이 없어, 사용자의 생명까지 위험해지는 경우들이 발생할 수 있었다.
따라서, 사용자가 위험한 상황에 처하거나 재난을 당했을 경우, 자동으로 외부에 현재의 상황을 알릴 수 있는 방법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 및 다른 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다른 목적은, 인솔에서 센싱된 신호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재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인솔,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 다른 목적은, 인솔에서 센싱된 신호에 기초하여, 재난의 유형을 식별하고, 식별된 재난의 유형에 따라, 자동으로 조치할 수 있는 인솔,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 다른 목적은, 인솔의 특정 부위를 일정 시간 동안, 동시에 압력을 가하면, 즉시 긴급 상황임을 인지하여, 자동으로 조치할 수 있는 인솔,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 또는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인솔(insole)에 있어서, 제 1 입력 신호를 센싱하는 제 1 센싱부와, 제 2 입력 신호를 센싱하는 제 2 센싱부와, 제 3 입력 신호를 센싱하는 제 3 센싱부와, 재난 정보를 전송하는 커뮤니케이션부와, 센싱된 제 1 입력 신호를 토대로, 신발의 궤적과 자세에 대한 제 1 정보, 센싱된 제 2 입력 신호를 토대로, 신발의 압력 변화량과 신발 벗겨짐에 대한 제 2 정보, 그리고 센싱된 제 3 입력 신호를 토대로, 신발의 고도 변화량에 대한 제 3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한 제 1, 제 2, 제 3 정보를 토대로, 재난 상황임을 인지하면, 인지된 재난 상황에 대한 재난 신호를, 외부로 전송하도록, 커뮤니케이션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인솔을 제공한다.
상기 또는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에 따르면, 인솔로부터 입력 신호를 수신하는 이동 단말기에 있어서, 재난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와, 인솔로부터 입력 신호를 수신하는 커뮤니케이션부와, 수신된 입력 신호가 재난 신호이면, 재난 신호에 포함되는 재난 정보를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고, 재난 정보에 포함되는 재난 유형에 따라, 재난 정보를 미리 설정된 기관에 전송하도록, 커뮤니케이션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신발,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의 효과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인솔에서 센싱된 신호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재난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를 위험으로부터 벗어날 수 있도록 신속하고 안전한 조치를 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인솔에서 센싱된 신호에 기초하여, 재난의 유형을 식별함으로써, 식별된 재난의 유형에 따라, 사용자에게 필요한 응급 조치를 신속하게 처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인솔의 특정 부위를 일정 시간 동안, 동시에 압력을 가하면, 즉시 긴급 상황을 알릴 수 있으므로, 사용자 스스로 위급 상황을 신속하게 알릴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적용 가능성의 추가적인 범위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은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 및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와 같은 특정 실시 예는 단지 예시로 주어진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과 관련된 인솔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인솔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인솔과 외부 단말기와의 재난 통신 방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 내지 도 8은 인솔의 모션 센서에 의한 재난 정보를 획득하는 방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9 및 도 10은 인솔의 제 1 압력 센서에 의한 재난 정보를 획득하는 방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1 및 도 12는 인솔의 기압 센서에 의한 재난 정보를 획득하는 방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3 및 도 14는 인솔의 제 2 압력 센서에 의한 재난 정보를 획득하는 방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인솔의 재난 정보를 전송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재난 정보를 전송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 표시되는 재난 정보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8은 다양한 재난 상황에 따른 인솔의 재난 정보 전송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이동 단말기에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슬레이트 PC(slate PC), 태블릿 PC(tablet PC), 울트라북(ultrabook),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예를 들어, 워치형 단말기 (smartwatch), 글래스형 단말기 (smart glass), HMD(head mounted display)) 등이 포함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에 따른 구성은 이동 단말기에만 적용 가능한 경우를 제외하면, 디지털 TV, 데스크탑 컴퓨터, 디지털 사이니지 등과 같은 고정 단말기에도 적용될 수도 있음을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과 관련된 스마트 인솔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고, 도 2는 본 발명과 관련된 스마트 인솔을 서로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개념도이다.
스마트 인솔(100)은 센싱부(110), 커뮤니케이션부(120), 햅틱 모듈(130), 메모리(140) 및 제어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구성 요소들은 스마트 인솔을 구현하는데 있어서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본 명세서 상에서 설명되는 스마트 인솔은 상술한 구성 요소들 보다 많거나, 또는 적은 구성요소들을 가질 수 있다.
센싱부(110)는 사용자의 다양한 입력 및 인솔의 환경을 센싱하여, 제어부(150)가 그에 따른 동작을 수행할 수 있도록 센싱 결과를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센싱부(110)는 인솔 내 정보, 인솔을 둘러싼 주변 환경 정보 및 사용자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센싱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싱부(110)는 이동 단말기의 센싱부와 달리, 발을 통해 센싱할 수 있는 다양한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에서, 센싱부(110)는 압력 센서, 모션 센서, 기압 센서, PPG(photoplethysmogram) 센서 등을 구비할 수 있다. 여기에서, 압력 센서와 모션 센서는 복수로 구비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도 2에서 다시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모션 센서는 인솔의 움직임을 센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모션 센서는 자이로 센서 및 가속도 센서 등의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는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자이로센서는 각속도를 검출하여, 인솔의 기울기를 센싱할 수 있다. 또한, 가속도 센서는 인솔의 움직이는 방향과 가속도를 센싱할 수 있다. 압력 센서는 인솔에 가해지는 압력을 센싱하는 장치이고, 기압 센서는 기압의 변화를 측정하는 센서로서, 현재 위치의 높이를 센싱할 수 있다. PPG 센서는 광센서를 이용하여 빛의 투과량을 측정하여 심장 박동을 측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센싱부(110)는 인솔의 제스처 입력을 센싱하고, 제어부(150)에 센싱된 제스처 입력을 전송할 수 잇다. 다른 일 실시예로서, 센싱부(110)는 인솔에서 압력, 기울기 등의 신호를 센싱하여, 제어부(150)에 전송할 수 있다.
커뮤니케이션부(120)는 이동 단말기, 외부 디바이스와 다양한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통신을 수행하고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또한, 커뮤니케이션부(120)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네트워크에 접속하여 컨텐츠 등의 디지털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커뮤니케이션부(120)는 무선 인터넷 모듈, 근거리 통신 모듈, 위치 정보 모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모듈은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을 말하는 것으로, 이동 단말기(100)에 내장되거나 외장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모듈은 무선 인터넷 기술들에 따른 통신망에서 무선 신호를 송수신하도록 이루어진다.
무선 인터넷 기술로는, 예를 들어 WLAN(Wireless LAN), Wi-Fi(Wireless-Fidelity), Wi-Fi(Wireless Fidelity) Direct, DLNA(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UPA(High Speed Uplink Packet Access), LTE(Long Term Evolution), LTE-A(Long Term Evolution-Advanced) 등이 있으며, 상기 무선 인터넷 모듈은 상기에서 나열되지 않은 인터넷 기술까지 포함한 범위에서 적어도 하나의 무선 인터넷 기술에 따라 데이터를 송수신하게 된다.
WiBro, HSDPA, HSUPA, GSM, CDMA, WCDMA, LTE, LTE-A 등에 의한 무선인터넷 접속은 이동통신망을 통해 이루어진다는 관점에서 본다면, 상기 이동통신망을 통해 무선인터넷 접속을 수행하는 상기 무선 인터넷 모듈은 상기 이동통신 모듈의 일종으로 이해될 수도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은 근거리 통신(Short range communication)을 위한 것으로서,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WB(Ultra Wideband), ZigBee, NFC(Near Field Communication), Wi-Fi(Wireless-Fidelity), Wi-Fi Direct, Wireless USB(Wireless Universal Serial Bus) 기술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근거리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이러한, 근거리 통신 모듈은, 근거리 무선 통신망(Wireless Area Networks)을 통해 인솔과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인솔과 다른 인솔 사이, 또는 인솔과 다른 인솔이 위치한 네트워크 사이의 무선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망은 근거리 무선 개인 통신망(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s)일 수 있다.
위치정보 모듈은 인솔의 위치(또는 현재 위치)를 획득하기 위한 모듈로서, 그의 대표적인 예로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모듈 또는 WiFi(Wireless Fidelity) 모듈이 있다. 예를 들어, 인솔은 GPS모듈을 활용하면, GPS 위성에서 보내는 신호를 이용하여 인솔의 위치를 획득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인솔은 Wi-Fi모듈을 활용하면, Wi-Fi모듈과 무선신호를 송신 또는 수신하는 무선 AP(Wireless Access Point)의 정보에 기반하여, 인솔의 위치를 획득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서, 위치정보 모듈은 치환 또는 부가적으로 인솔의 위치에 관한 데이터를 얻기 위해 커뮤니케이션부의 다른 모듈 중 어느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위치정보 모듈은 인솔의 위치(또는 현재 위치)를 획득하기 위해 이용되는 모듈로, 인솔의 위치를 직접적으로 계산하거나 획득하는 모듈로 한정되지는 않는다.
일 실시예로서, 커뮤니케이션부(120)는 인솔에서 센싱된 입력 신호를 이동 단말기 또는 외부 디바이스에 전송할 수 있다. 다른 일 실시예로서, 커뮤니케이션부(120)는 이동 단말기로부터 제어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햅틱 모듈(haptic module)(130)은 사용자가 느낄 수 있는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킨다. 햅틱 모듈(130)이 발생시키는 촉각 효과의 대표적인 예로는 진동이 될 수 있다. 햅틱 모듈(130)에서 발생하는 진동의 세기와 패턴 등은 사용자의 선택 또는 제어부(150)의 설정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햅틱 모듈(130)은 서로 다른 진동을 합성하여 출력하거나 순차적으로 출력할 수도 있다.
햅틱 모듈(130)은, 진동 외에도, 접촉 피부면에 대해 수직 운동하는 핀 배열, 분사구나 흡입구를 통한 공기의 분사력이나 흡입력, 피부 표면에 대한 스침, 전극(electrode)의 접촉, 정전기력 등의 자극에 의한 효과와, 흡열이나 발열 가능한 소자를 이용한 냉온감 재현에 의한 효과 등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킬 수 있다.
햅틱 모듈(130)은 직접적인 접촉을 통해 촉각 효과를 전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손가락이나 팔 등의 근 감각을 통해 촉각 효과를 느낄 수 있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햅틱 모듈(130)은 이동 단말기(100)의 구성 태양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햅틱 모듈(130)은 사용자에게 햅틱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다.
메모리(140)는 인솔(100)의 다양한 기능을 지원하는 데이터를 저장한다. 메모리(140)는 인솔(100)에서 구동되는 다수의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 program 또는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 인솔(100)의 동작을 위한 데이터들, 명령어들을 저장할 수 있다.
한편, 도 1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인솔(100)은 전원 공급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전원 공급부는 제어부(150)의 제어 하에서,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받아 인솔(100)에 포함된 각 구성요소들에 전원을 공급한다. 전원 공급부는 배터리를 포함하고, 배터리는 내장형 배터리 또는 교체가능한 배터리가 될 수 있다. 일 예로서, 전원 공급부는 연결포트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일 예로서, 전원 공급부는 무선 방식으로 배터리를 충적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경우에, 전원 공급부는 외부의 무선 전력 전송 장치로부터 자기 유도 현상에 기초한 유도 결합(Inductive Coupling) 방식이나 전자기적 공진 현상에 기초한 공진 결합(Magnetic Resonance Coupling) 방식 중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전력을 전달받을 수 있다.
상기 각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는, 이하에서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인솔(100)의 동작, 제어, 또는 제어 방법을 구현하기 위하여 서로 협력하여 동작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인솔(100)의 동작, 제어, 또는 제어 방법은 메모리(140)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응용 프로그램의 구동에 의해 인솔 상에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인솔에서 수행하는 동작들은 제어부(15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편의를 위해, 도면 및 이하의 설명에서는 이러한 동작들을 통칭하여 인솔이 수행/제어하는 것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인솔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 2(a)는 인솔의 정면도 및 인솔에 구비된 다양한 유닛들을 나타내고, 도 2(b)는 인솔의 측면도를 나타낸다.
인솔(100)은 사용자의 신발 내에 구비되어, 사용자의 발에 편안함을 제공하는 기능을 한다. 인솔(100)은 좌측 인솔 및 우측 인솔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a)의 실시예는 좌측 인솔을 나타낸다. 또한, 일반적으로 인솔(100)은 사용자의 발 사이즈에 기초하여 다양한 사이즈로 제작될 수 있으며, 사용자의 발바닥과 인솔(100)은 맞닿게 제작된다. 본원 발명은 이러한 점에 기초하여, 발을 이용하여 인솔(100)에 입력 신호를 가하여, 인솔, 이동 단말기 및 외부 디바이스 중 적어도 하나에 다양한 기능을 제공하는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도 1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인솔(100)의 센싱부는 다양한 센서들을 구비할 수 있다. 도 2(b)의 실시예에서, 인솔(100)은 모션 센서(11,12), 압력 센서(21 내지 28), 기압 센서(30), PPG(photoplethysmogram) 센서(30)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도 2(b)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인솔(100)은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션 센서(11, 12)는 앞꿈치와 뒤꿈치에 각각 1개씩 분포할 수 있다. 또하, 압력 센서(21 내지 28)은 인솔(100)에 전반적으로 분포할 수 있다. 기압 센서(30) 및 PPG 센서(30)는 인솔(100)의 중심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인솔(100)는 자체적으로 제어부(40), 커뮤니케이션부(40) 및 메모리(40)를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40), 커뮤니케이션부(40) 및 제어부(40)는 인솔(100)의 중심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를 나타낸다.
이동 단말기(200)는 디스플레이부(210), 센싱부(220), 커뮤니케이션부(230), 메모리(240) 및 제어부(25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구성 요소들은 이동 단말기(200)를 구현하는데 있어서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본 명세서 상에서 설명되는 이동 단말기(100)는 상술한 구성 요소들보다 많거나, 또는 적은 구성 요소들을 가질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10)는 이동 단말기(2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출력)한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210)는 이동 단말기(200)에서 구동되는 응용 프로그램의 실행화면 정보, 또는 이러한 실행화면 정보에 따른 UI(User Interface), GUI(Graphic User Interface)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디스플레이부(210)는 인솔에서 센싱된 입력 신호에 기초하여 제어되는 기 설정된 기능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센싱부(220)는 이동 단말기 내 정보, 이동 단말기를 둘러싼 주변 환경 정보 및 사용자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센싱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싱부(220)는 근접센서(proximity sensor), 조도 센서(illumination sensor), 터치 센서(touch sensor), 가속도 센서(acceleration sensor), 자기 센서(magnetic sensor), 중력 센서(G-sensor), 자이로스코프 센서(gyroscope sensor), 모션 센서(motion sensor), RGB 센서, 적외선 센서(IR 센서: infrared sensor), 지문인식 센서(finger scan sensor), 초음파 센서(ultrasonic sensor), 광 센서(optical sensor, 예를 들어, 카메라), 마이크로폰(microphone), 배터리 게이지(battery gauge), 환경 센서(예를 들어, 기압계, 습도계, 온도계, 방사능 감지 센서, 열 감지 센서, 가스 감지 센서 등), 화학 센서(예를 들어, 전자 코, 헬스케어 센서, 생체 인식 센서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이동 단말기는, 이러한 센서들 중 적어도 둘 이상의 센서에서 센싱되는 정보들을 조합하여 활용할 수 있다.
커뮤니케이션부(230)는 이동통신 모듈, 무선 인터넷 모듈, 근거리 통신 모듈, 위치 정보 모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통신 모듈은, 이동통신을 위한 기술표준들 또는 통신방식(예를 들어,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CDMA(Code Division Multi Access), CDMA2000(Code Division Multi Access 2000), EV-DO(Enhanced Voice-Data Optimized or Enhanced Voice-Data Only), WCDMA(Wideband CDMA),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UPA(High Speed Uplink Packet Access), LTE(Long Term Evolution), LTE-A(Long Term Evolution-Advanced) 등)에 따라 구축된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상기 무선 신호는, 음성 호 신호, 화상 통화 호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모듈은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을 말하는 것으로, 이동 단말기(100)에 내장되거나 외장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모듈은 무선 인터넷 기술들에 따른 통신망에서 무선 신호를 송수신하도록 이루어진다.
무선 인터넷 기술로는, 예를 들어 WLAN(Wireless LAN), Wi-Fi(Wireless-Fidelity), Wi-Fi(Wireless Fidelity) Direct, DLNA(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UPA(High Speed Uplink Packet Access), LTE(Long Term Evolution), LTE-A(Long Term Evolution-Advanced) 등이 있으며, 상기 무선 인터넷 모듈은 상기에서 나열되지 않은 인터넷 기술까지 포함한 범위에서 적어도 하나의 무선 인터넷 기술에 따라 데이터를 송수신하게 된다.
WiBro, HSDPA, HSUPA, GSM, CDMA, WCDMA, LTE, LTE-A 등에 의한 무선인터넷 접속은 이동통신망을 통해 이루어진다는 관점에서 본다면, 상기 이동통신망을 통해 무선인터넷 접속을 수행하는 상기 무선 인터넷 모듈은 상기 이동통신 모듈의 일종으로 이해될 수도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은 근거리 통신(Short range communication)을 위한 것으로서,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WB(Ultra Wideband), ZigBee, NFC(Near Field Communication), Wi-Fi(Wireless-Fidelity), Wi-Fi Direct, Wireless USB(Wireless Universal Serial Bus) 기술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근거리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이러한, 근거리 통신 모듈은, 근거리 무선 통신망(Wireless Area Networks)을 통해 이동 단말기(200)와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이동 단말기(200)와 다른 이동 단말기 사이, 또는 이동 단말기(200)와 다른 이동 단말기(또는, 외부서버)가 위치한 네트워크 사이의 무선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망은 근거리 무선 개인 통신망(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s)일 수 있다.
여기에서, 다른 이동 단말기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200)와 데이터를 상호 교환하는 것이 가능한(또는 연동 가능한)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예를 들어, 스마트워치(smartwatch), 스마트 글래스(smart glass), HMD(head mounted display))가 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은, 이동 단말기(200) 주변에, 상기 이동 단말기(200)와 통신 가능한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감지(또는 인식)할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250)는 상기 감지된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200)와 통신하도록 인증된 디바이스인 경우, 이동 단말기(200)에서 처리되는 데이터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근거리 통신 모듈을 통해 웨어러블 디바이스로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사용자는, 이동 단말기(200)에서 처리되는 데이터를,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통해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에 따르면 사용자는, 이동 단말기(200)에 전화가 수신된 경우,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통해 전화 통화를 수행하거나, 이동 단말기(200)에 메시지가 수신된 경우,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통해 상기 수신된 메시지를 확인하는 것이 가능하다.
위치정보 모듈은 이동 단말기의 위치(또는 현재 위치)를 획득하기 위한 모듈로서, 그의 대표적인 예로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모듈 또는 WiFi(Wireless Fidelity) 모듈이 있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는 GPS모듈을 활용하면, GPS 위성에서 보내는 신호를 이용하여 이동 단말기의 위치를 획득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이동 단말기는 Wi-Fi모듈을 활용하면, Wi-Fi모듈과 무선신호를 송신 또는 수신하는 무선 AP(Wireless Access Point)의 정보에 기반하여, 이동 단말기의 위치를 획득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서, 위치정보 모듈은 치환 또는 부가적으로 이동 단말기의 위치에 관한 데이터를 얻기 위해 커뮤니케이션부(230)의 다른 모듈 중 어느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위치정보 모듈은 이동 단말기의 위치(또는 현재 위치)를 획득하기 위해 이용되는 모듈로, 이동 단말기의 위치를 직접적으로 계산하거나 획득하는 모듈로 한정되지는 않는다.
일 실시예로서, 커뮤니케이션부(230)는 인솔 또는 외부 디바이스로부터 입력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커뮤니케이션부(230)는 인솔 또는 외부 디바이스에 제어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240)는 이동 단말기(200)의 다양한 기능을 지원하는 데이터를 저장한다. 메모리(240)는 이동 단말기(200)에서 구동되는 다수의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 program 또는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 이동 단말기(200)의 동작을 위한 데이터들, 명령어들을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응용 프로그램 중 적어도 일부는, 무선 통신을 통해 외부 서버로부터 다운로드 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응용 프로그램 중 적어도 일부는, 이동 단말기(200)의 기본적인 기능(예를 들어, 전화 착신, 발신 기능, 메시지 수신, 발신 기능)을 위하여 출고 당시부터 이동 단말기(200)상에 존재할 수 있다. 한편, 응용 프로그램은, 메모리(240)에 저장되고, 이동 단말기(200) 상에 설치되어, 제어부(250)에 의하여 상기 이동 단말기의 동작(또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동될 수 있다.
메모리(24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SSD 타입(Solid State Disk type), SDD 타입(Silicon Disk Drive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및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200)는 인터넷(internet)상에서 상기 메모리(240)의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와 관련되어 동작될 수도 있다.
제어부(250)는 상기 응용 프로그램과 관련된 동작 외에도, 통상적으로 이동 단말기(2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제어부(250)는 위에서 살펴본 구성요소들을 통해 입력 또는 출력되는 신호, 데이터, 정보 등을 처리하거나 메모리(240)에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적절한 정보 또는 기능을 제공 또는 처리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50)는 메모리(240)에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하기 위하여, 도 1에서 상술한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를 제어할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250)는 상기 응용 프로그램의 구동을 위하여, 이동 단말기(200)에 포함된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둘 이상을 서로 조합하여 동작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제어부(250)는 수신된 입력 신호에 기초하여, 인솔 또는 외부 디바이스가 기 설정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50)는 수신된 입력 신호에 기초하여, 이동 단말기가 기 설정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각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는, 이하에서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동작, 제어, 또는 제어방법을 구현하기 위하여 서로 협력하여 동작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동 단말기의 동작, 제어, 또는 제어방법은 상기 메모리(240)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응용 프로그램의 구동에 의하여 이동 단말기 상에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이동 단말기가 수행하는 동작들은 제어부(15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편의를 위해, 도면 및 이하의 설명에서는 이러한 동작들을 통칭하여 이동 단말기가 수행/제어하는 것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인솔과 외부 단말기와의 재난 통신 방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 단말기는, 이동 단말기(200)일 수도 있고, 경우에 따라, 스피커를 갖는 무선 디바이스(300)일 수도 있으며, 디지털 TV, 데스크탑 컴퓨터, 디지털 사이니지 등과 같은 고정 단말기일 수도 있다.
그리고, 인솔(100)은, 센싱된 입력 신호를 토대로, 재난 상황이 인지되면, 이동 단말기(200) 및 각종 무선 디바이스(300)로, 재난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인솔(100)와 이동 단말기(200) 및 무선 디바이스(300)는 페어링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에서, 페어링은 인솔(100) 및 이동 단말기(200) 간의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연결일 수 있다.
페어링을 수행하는 경우, 인솔(100) 및 이동 단말기(200)는 통신 접속을 수행하여, 양방향으로 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하다.
일 예로, 페어링은, 블루투스,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등을 통해 수행될 수 있다.
따라서, 도 5와 같이, 인솔(100)은, 건물의 무너짐으로 인한 매몰 사고시, 재난 상황을 인지하여, 재난 신호를 이동 단말기(200) 및 스피커를 갖는 외부 무선 디바이스(300)에 전송하고, 이동 단말기(200)는, 재난 신호를 수신하면, 응급 처치 기관에 수신된 재난 정보를 전송할 수 있고, 스피커를 갖는 무선 디바이스(300)는, 재난 관련 경고음을 외부로 송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인솔(100)은, 제 1, 제 2, 제 3 센싱부, 커뮤니케이션부 및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 1 센싱부는, 인솔(100)의 이동 방향 및 속도 등과 같은 제 1 입력 신호를 센싱할 수 있다.
일 예로, 제 1 센싱부는, 모션 센서일 수 있는데, 모션 센서는, 인솔(100)의 최전방 끝단과 최후방 끝단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제 2 센싱부는, 인솔(100)의 압력 등과 같은 제 2 입력 신호를 센싱할 수 있다.
일 예로, 제 2 센싱부는, 압력 센서일 수 있는데, 압력 센서는, 인솔(100)의 전방부와 후방부에 각각 다수 개가 배치될 수 있다.
이어, 제 3 센싱부는, 인솔(100)의 고도 등과 같은 제 3 입력 신호를 센싱할 수 있다.
일 예로, 제 3 센싱부는, 기압 센서일 수 있는데, 기압 센서는, 인솔(100)의 중앙부에 배치될 수 있다.
다음, 제어부는, 센싱된 제 1 입력 신호를 토대로, 신발의 궤적과 자세에 대한 제 1 정보, 센싱된 제 2 입력 신호를 토대로, 신발의 압력 변화량과 신발 벗겨짐에 대한 제 2 정보, 그리고 센싱된 제 3 입력 신호를 토대로, 신발의 고도 변화량에 대한 제 3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한 제 1, 제 2, 제 3 정보를 토대로, 재난 상황임을 인지하면, 인지된 재난 상황에 대한 재난 신호를, 커뮤니케이션부를 통해, 외부로 전송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제어부는, 산출된 제 1, 제 2, 제 3 정보를 토대로, 재난 상황임을 인지하면, 인지된 재난 상황에 따른 재난의 유형을 식별할 수 있으며, 식별된 재난의 유형에 따른 재난 정보를 외부로 전송할 수도 있다.
여기서, 외부로 전송되는 재난 신호는, 재난의 유형, 현재 위치, 현재 일시, 그리고 심장 박동수 중 적어도 어느 한 정보일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그리고, 제어부는, 재난 정보를 전송할 때, 메시지 형태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는, 재난 정보를 전송할 때, 페어링되는 단말기에 스피커가 존재하면, 단말기의 스피커로부터 소정의 경고음이 발생하도록, 단말기를 제어할 수도 있다.
다른 경우로서, 인솔(100)은, 특정 부위의 압력 등과 같은, 제 4 입력 신호를 센싱하는 제 4 센싱부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여기서, 제어부는, 센싱된 제 4 입력 신호를 토대로, 긴급 상황임을 인지하고, 긴급 상황에 대한 경고 신호를 전송하도록 커뮤니케이션부를 제어할 수 있다.
일 예로, 제 4 센싱부는, 압력 센서이고, 압력 센서는, 인솔(100)의 중앙부 측면과 후방부 측면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제어부는, 인솔(100)의 중앙부 측면에 배치되는 압력 센서와 인솔(100)의 후방부 측면에 배치되는 압력 센서에, 일정 시간 동안, 동시에 압력이 가해지면, 긴급 상황임을 인지할 수 있다.
한편, 이동 단말기(200)는, 인솔(100)로부터 수신되는 입력 신호가 재난 신호이면, 재난 신호에 포함되는 재난 정보를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고, 재난 정보에 포함되는 재난 유형에 따라, 재난 정보를 미리 설정된 기관에 전송하도록, 커뮤니케이션부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이동 단말기(200)는, 수신된 입력 신호가 센싱 신호라면, 수신된 입력 신호를 토대로, 신발의 궤적과 자세에 대한 제 1 정보, 신발의 압력 변화량과 신발 벗겨짐에 대한 제 2 정보, 그리고 신발의 고도 변화량에 대한 제 3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한 제 1, 제 2, 제 3 정보를 토대로, 재난 상황임을 인지하면, 인지된 재난 상황에 대한 재난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이동 단말기(200)는, 산출된 제 1, 제 2, 제 3 정보를 토대로, 재난 상황임을 인지하면, 인지된 재난 상황에 따른 재난의 유형을 식별하고, 식별된 재난의 유형에 따른 재난 정보를 생성할 수도 있다.
여기서, 재난 정보는, 재난의 유형, 현재 위치, 현재 일시, 그리고 심장 박동수 중 적어도 어느 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이동 단말기(200)는, 재난 정보를 전송할 때, 페어링되는 단말기에 스피커가 존재하면, 단말기의 스피커로부터 소정의 경고음이 발생하도록, 단말기를 제어할 수도 있다.
도 6 내지 도 8은 인솔의 모션 센서에 의한 재난 정보를 획득하는 방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a)와 같이, 사용자가 넘어지는 낙상시, 사용자 신발의 인솔(100)이, 갑자기 공중으로 상승하다가 지면으로 하강할 수 있다.
여기서, 도 6(b)와 같이, 인솔(100)의 모션 센서(111, 112)는, 인솔(100)의 이동 방향 및 속도 등과 같은 입력 신호를 센싱할 수 있다.
일 예로, 모션 센서(111, 112)는, 인솔(100)의 최전방 끝단과 최후방 끝단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인솔(100)의 제어부는, 모션 센서로부터 센싱된 입력 신호를 토대로, 신발의 궤적과 자세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여, 재난 상황을 인지할 수 있다.
인솔(100)의 제어부는, 모션 센서 중, 가속도 센서로부터 인솔의 가속도 파형을 분석할 수 있다.
도 7은, 가속도 센서의 파형 변화를 보여주는 그래프로서, 노이즈 필터링 및 노멀라이징 처리한 후의 그래프인데, 도 7(a)는, 평시 파형이고, 도 7(b)는, 낙상시, 특정 축의 위상이 반전된 파형이다.
예를 들면, 도 7(a)와 같이, 인솔(100)의 제어부는, 가속도 센서로부터 센싱되는 파형이 일정하면, 사용자가 평범한 상황임을 인지하지만, 도 7(b)와 같이, 가속도 센서로부터 센싱되는 파형이 특정 축의 위상이 반전되는 파형이라면, 사용자에게 낙상에 의한 재난 상황이 발생하였음을 인지할 수 있다.
또한, 도 8은, 자이로 센서의 파형 변화를 보여주는 그래프로서, 도 8(a)는, 평시 걸음의 파형이고, 도 8(b)는, 낙상에 의한 파형 변화이다.
예를 들면, 도 8(a)와 같이, 인솔(100)의 제어부는, 자이로 센서로부터 센싱되는 파형의 변화폭이 미세하면, 사용자가 평범한 상황임을 인지하지만, 도 8(b)와 같이, 자이로 센서로부터 센싱되는 파형의 변화폭이 크게 변화한다면, 사용자에게 낙상에 의한 재난 상황이 발생하였음을 인지할 수 있다.
도 9 및 도 10은 인솔의 제 1 압력 센서에 의한 재난 정보를 획득하는 방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9(a)와 같이, 사용자가 넘어지는 낙상시, 사용자 신발의 인솔(100)이, 갑자기 공중으로 상승하다가 지면으로 하강할 수 있다.
그리고, 도 9(b)와 같이, 사용자 신발의 인솔(100)은, 지면에 떨어진 후, 움직임이 없거나, 도 9(c)와 같이, 사용자 신발의 한 쪽이 벗겨져서, 벗겨진 신발의 인솔(100)은, 아무런 움직임이 없을 수 있다.
여기서, 인솔(100)의 압력 센서는, 인솔(100)의 압력 등과 같은 입력 신호를 센싱할 수 있다.
일 예로, 압력 센서는, 인솔(100)의 전방부와 후방부에 각각 다수 개가 배치될 수 있다.
인솔(100)의 제어부는, 압력 센서로부터 센싱된 입력 신호를 토대로, 신발의 압력 변화량과 신발 벗겨짐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여, 재난 상황을 인지할 수 있다.
인솔(100)의 제어부는, 압력 센서로부터 인솔의 압력 변화에 대한 파형을 분석할 수 있다.
도 10은, 압력 센서의 파형 변화를 보여주는 그래프로서, 도 10(a)는, 평시 걸음에 대한 압력 변화의 파형이고, 도 10(b)는, 낙상에 의한 압력 변화의 파형이며, 도 10(c)는, 한 쪽 신발이 벗겨질 경우에 의한 압력 변화의 파형이다.
예를 들면, 도 10(a)와 같이, 인솔(100)의 제어부는, 압력 센서로부터 센싱되는 파형의 변화폭이 일정하면, 사용자가 평범한 상황임을 인지하지만, 도 10(b)와 같이, 압력 센서로부터 센싱되는 파형의 변화폭이 크게 변화하다가 특정 압력값에서 파형이 일정하게 유지하면, 사용자에게 낙상에 의한 재난 상황이 발생하였음을 인지할 수 있으며, 도 10(c)와 같이, 압력 센서로부터 센싱되는 파형의 변화폭이 일정하다가 한쪽 신발에는, 특정 압력값에서 파형이 일정하게 유지하고, 다른 한쪽 신발에는, 압력값이 0인 상태로 파형이 유지되면, 다른 한쪽의 신발이 벗겨져 있음을 인지할 수 있다.
도 11 및 도 12는 인솔의 기압 센서에 의한 재난 정보를 획득하는 방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1(a)와 같이, 사용자가 오토바이 사고에 의한 낙상시, 사용자 신발의 인솔(100)이, 갑자기 공중으로 상승하다가 지면으로 하강할 수 있고, 도 11(b)와 같이, 사용자가 높은 곳에서 떨어지는 경우, 사용자 신발의 인솔(100)이, 높은 고도에서 갑자기 낮은 고도로 하강할 수 있다.
여기서, 인솔(100)의 기압 센서는, 인솔(100)의 고도 등과 같은 입력 신호를 센싱할 수 있다.
일 예로, 기압 센서는, 인솔(100)의 중앙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인솔(100)의 제어부는, 기압 센서로부터 센싱된 입력 신호를 토대로, 신발의 고도 변화량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여, 재난 상황을 인지할 수 있다.
인솔(100)의 제어부는, 기압 센서로부터 인솔의 고도 변화에 대한 파형을 분석할 수 있다.
도 12는, 기압 센서의 파형 변화를 보여주는 그래프로서, 도 12(a)는, 평상시의 기압 변화에 대한 파형이고, 도 12(b)는, 오토바이 사고 등에 의한 기압 변화에 대한 파형이며, 도 12(c)는, 높은 곳에서 떨어진 경우에 의한 기압 변화에 대한 파형이다.
예를 들면, 도 12(a)와 같이, 인솔(100)의 제어부는, 기압 센서로부터 센싱되는 파형이 일정 고도에서 일정하면, 사용자가 평범한 상황임을 인지하지만, 도 12(b)와 같이, 기압 센서로부터 센싱되는 파형이 일정 고도에서 낮은 고도로 갑자기 변화되는 파형이라면, 사용자에게 사고에 의한 낙상이 발생하는 재난 상황이 발생하였음을 인지할 수 있으며, 도 12(c)와 같이, 기압 센서로부터 센싱되는 파형이 일정 고도에서 일정 시간 동안 낮은 고도로 변화하는 파형이라면, 사용자에게 높은 곳에서 떨어지는 사고가 발생하는 재난 상황이 발생하였음을 인지할 수 있다.
도 13 및 도 14는 인솔의 제 2 압력 센서에 의한 재난 정보를 획득하는 방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인솔(100)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특정 부위의 압력 등과 같은, 제 4 입력 신호를 센싱하는 제 4 센싱부(113)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여기서, 인솔(100)의 제어부는, 센싱된 제 4 입력 신호를 토대로, 긴급 상황임을 인지하고, 긴급 상황에 대한 경고 신호를, 커뮤니케이션부를 통해, 전송할 수 있다.
일 예로, 제 4 센싱부(113)는, 압력 센서일 수 있다.
여기서, 제 4 센싱부(113)은, 인솔(100)의 중앙부 좌측면에 배치되는 제 1 압력 센서(113a)와, 인솔(100)의 중앙부 우측면에 배치되는 제 2 압력 센서(113b)와, 인솔(100)의 후방부 측면에 배치되는 제 3 압력 센서(113c)를 포함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제 4 센싱부(113)의 압력 센서들은, 3개의 압력 센서 이외에도, 인솔(100)의 다양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인솔(100)의 제어부는,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솔(100)의 중앙부 측면에 배치되는 제 1, 제 2 압력 센서와 인솔(100)의 후방부 측면에 배치되는 제 3 압력 센서에, 일정 시간 동안, 동시에 압력이 가해지면, 긴급 상황임을 인지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긴급 상황이 발생하면, 신발의 인솔(100) 내에 배치되는 제 4 센싱부(113)의 압력 센서를 일정 시간, 일 예로 약 3초, 동안, 누를 경우, 인솔(100)의 제어부는, 제 4 센싱부(113)으로부터 센싱되는 입력 신호를 토대로, 긴급 상황임을 인지하고, 재난 신호를 외부의 이동 단말기(200)나 소방서 등과 같은 응급 처치 기관(400)으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외부로 전송되는 재난 신호는, 재난의 유형, 현재 위치, 현재 일시, 그리고 심장 박동수 중 적어도 어느 한 정보일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그리고, 인솔(100)의 제어부는, 재난 정보를 전송할 때, 메시지 형태로 전송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또한, 인솔(100)의 제어부는, 재난 정보를 전송할 때, 페어링되는 단말기에 스피커가 존재하면, 단말기의 스피커로부터 소정의 경고음이 발생하도록, 단말기를 제어할 수도 있다.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인솔의 재난 정보를 전송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인솔은, 모션 센서로부터, 인솔의 이동 방향 및 속도 등과 같은 제 1 입력 신호를 센싱할 수 있다.(S10-1)
또한, 본 발명의 인솔은, 압력 센서로부터, 인솔의 압력 등과 같은 제 2 입력 신호를 센싱할 수 있다.(S10-2)
또한, 본 발명의 인솔은, 기압 센서로부터, 인솔의 고도 등과 같은 제 3 입력 신호를 센싱할 수 있다.(S10-3)
다음, 인솔은, 센싱된 제 1 입력 신호를 토대로, 신발의 궤적과 자세에 대한 제 1 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S20-1)
그리고, 인솔은, 센싱된 제 2 입력 신호를 토대로, 신발의 압력 변화량과 신발 벗겨짐에 대한 제 2 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S20-2)
이어, 인솔은, 센싱된 제 3 입력 신호를 토대로, 신발의 고도 변화량에 대한 제 3 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S20-3)
다음, 인솔은, 산출한 제 1, 제 2, 제 3 정보를 토대로, 재난 상황임을 인지하면, 인지된 재난 상황에 따른 재난의 유형을 식별할 수 있다.(S30)
이어, 인솔은, 재난의 유형이, 낙상 사고인지(S40-1), 사용자 매몰 사고인지(S40-2), 차량 사고인지(S40-3)를 식별할 수 있다.
그리고, 인솔은, 재난의 유형이 낙상 사고라면, 낙상 사고에 따른 재난 정보를 외부로 전송할 수 있다.(S50)
또는, 인솔은, 재난의 유형이 사용자 매몰 사고라면, 사용자 매몰 사고에 따른 재난 정보를 외부로 전송할 수 있다.(S50)
또는, 인솔은, 재난의 유형이 차량 사고라면, 차량 사고에 따른 재난 정보를 외부로 전송할 수 있다.(S50)
여기서, 외부로 전송되는 재난 정보는, 재난의 유형, 현재 위치, 현재 일시, 그리고 심장 박동수 중 적어도 어느 한 정보일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그리고, 인솔은, 재난 정보를 전송할 때, 메시지 형태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인솔은, 재난 정보를 전송할 때, 페어링되는 단말기에 스피커가 존재하면, 단말기의 스피커로부터 소정의 경고음이 발생하도록, 단말기를 제어할 수도 있다.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재난 정보를 전송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흐름도이고,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 표시되는 재난 정보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 단말기는, 인솔로부터 입력 신호를 수신한다.(S101)
그리고, 이동 단말기는, 인솔로부터 수신되는 입력 신호가 재난 신호인지를 확인한다.(S103)
이어, 이동 단말기는, 인솔로부터 수신되는 입력 신호가 재난 신호이면, 재난 신호에 포함되는 재난 정보를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한다.(S105)
일 예로,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화면 위에 표시되는 재난 정보는, 재난의 유형, 현재 위치, 현재 일시, 그리고 심장 박동수 중 적어도 어느 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현재 위치는, 사용자인 사고자의 위치이고, 심장 박동수는, 사용자인 사고자의 심박수일 수 있다.
다음, 이동 단말기는, 재난 정보에 포함되는 재난 유형에 따라, 재난 정보를 미리 설정된 기관에 전송할 수 있다.(S107)
또한, 이동 단말기는, 인솔로부터 수신되는 입력 신호가 재난 신호인지를 확인할 때, 수신된 입력 신호가 재난 신호가 아니라면, 수신된 입력 신호가 센싱 신호인지를 확인한다.(S109)
이어, 이동 단말기는, 인솔로부터 수신된 입력 신호가 센싱 신호라면, 수신된 입력 신호를 토대로, 신발의 궤적과 자세에 대한 제 1 정보, 신발의 압력 변화량과 신발 벗겨짐에 대한 제 2 정보, 그리고 신발의 고도 변화량에 대한 제 3 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S111)
그리고, 이동 단말기는, 산출한 제 1, 제 2, 제 3 정보를 토대로, 재난 상황인지를 확인한다.(S113)
이어, 이동 단말기는, 재난 상황임을 인지하면, 인지된 재난 상황에 따른 재난의 유형을 식별한다.(S115)
다음, 이동 단말기는, 식별된 재난의 유형에 따른 재난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S117)
여기서, 재난 정보는, 재난의 유형, 현재 위치, 현재 일시, 그리고 심장 박동수 중 적어도 어느 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이동 단말기는, 재난 정보에 포함되는 재난 유형에 따라, 재난 정보를 미리 설정된 기관에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이동 단말기는, 재난 정보를 전송할 때, 페어링되는 단말기에 스피커가 존재하면, 단말기의 스피커로부터 소정의 경고음이 발생하도록, 단말기를 제어할 수도 있다.
도 18은 다양한 재난 상황에 따른 인솔의 재난 정보 전송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인솔은, 다양한 재난 사고를 당한 경우에, 인솔로부터 센싱된 신호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재난 정보를 외부에 제공함으로써, 사용자를 위험으로부터 벗어날 수 있도록 신속하고 안전한 조치를 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18(a)와 같이, 사용자가 건물이나 산의 붕괴로 인하여, 매몰 사고를 당한 경우, 사용자의 인솔(100)은, 센싱된 입력 신호를 토대로, 신발의 궤적과 자세에 대한 제 1 정보, 신발의 압력 변화량과 신발 벗겨짐에 대한 제 2 정보, 신발의 고도 변화량에 대한 제 3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한 제 1, 제 2, 제 3 정보를 토대로, 매몰 사고에 의한 재난 상황임을 인지하면, 매몰 사고에 대한 재난 신호를, 외부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재난 신호는, 재난의 유형, 현재 위치, 현재 일시, 그리고 심장 박동수 중 적어도 어느 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 18(b)와 같이, 사용자가 보행시, 교통 사고를 당한 경우, 사용자의 인솔(100)은, 센싱된 입력 신호를 토대로, 신발의 궤적과 자세에 대한 제 1 정보, 신발의 압력 변화량과 신발 벗겨짐에 대한 제 2 정보, 신발의 고도 변화량에 대한 제 3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한 제 1, 제 2, 제 3 정보를 토대로, 교통 사고에 의한 재난 상황임을 인지하면, 교통 사고에 대한 재난 신호를, 외부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재난 신호는, 재난의 유형, 현재 위치, 현재 일시, 그리고 심장 박동수 중 적어도 어느 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 18(c)와 같이, 사용자가 산행시, 낙상 사고를 당한 경우, 사용자의 인솔(100)은, 센싱된 입력 신호를 토대로, 신발의 궤적과 자세에 대한 제 1 정보, 신발의 압력 변화량과 신발 벗겨짐에 대한 제 2 정보, 신발의 고도 변화량에 대한 제 3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한 제 1, 제 2, 제 3 정보를 토대로, 낙상 사고에 의한 재난 상황임을 인지하면, 낙상 사고에 대한 재난 신호를, 외부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재난 신호는, 재난의 유형, 현재 위치, 현재 일시, 그리고 심장 박동수 중 적어도 어느 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 18(d)와 같이, 사용자가 자전거, 오토바이, 자동차 주행시, 차량 사고를 당한 경우, 사용자의 인솔(100)은, 센싱된 입력 신호를 토대로, 신발의 궤적과 자세에 대한 제 1 정보, 신발의 압력 변화량과 신발 벗겨짐에 대한 제 2 정보, 신발의 고도 변화량에 대한 제 3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한 제 1, 제 2, 제 3 정보를 토대로, 차량 사고에 의한 재난 상황임을 인지하면, 차량 사고에 대한 재난 신호를, 외부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재난 신호는, 재난의 유형, 현재 위치, 현재 일시, 그리고 심장 박동수 중 적어도 어느 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인솔에서 센싱된 신호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재난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를 위험으로부터 벗어날 수 있도록 신속하고 안전한 조치를 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인솔에서 센싱된 신호에 기초하여, 재난의 유형을 식별함으로써, 식별된 재난의 유형에 따라, 사용자에게 필요한 응급 조치를 신속하게 처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인솔의 특정 부위를 일정 시간 동안, 동시에 압력을 가하면, 즉시 긴급 상황을 알릴 수 있으므로, 사용자 스스로 위급 상황을 신속하게 알릴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은, 프로그램이 기록된 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의 예로는, HDD(Hard Disk Drive), SSD(Solid State Disk), SDD(Silicon Disk Drive),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 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컴퓨터는 단말기의 제어부(180)를 포함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100: 인솔 110: 센싱부
120: 커뮤니케이션부 130: 햅틱 모듈
140: 메모리 150: 제어부
200: 이동 단말기 210: 디스플레이부
220: 센싱부 230: 커뮤니케이션부
240: 메모리 250: 제어부

Claims (16)

  1. 인솔(insole)에 있어서,
    제 1 입력 신호를 센싱하는 제 1 센싱부;
    제 2 입력 신호를 센싱하는 제 2 센싱부;
    제 3 입력 신호를 센싱하는 제 3 센싱부;
    재난 정보를 전송하는 커뮤니케이션부; 그리고,
    상기 센싱된 제 1 입력 신호를 토대로, 신발의 궤적과 자세에 대한 제 1 정보, 상기 센싱된 제 2 입력 신호를 토대로, 상기 신발의 압력 변화량과 신발 벗겨짐에 대한 제 2 정보, 그리고 상기 센싱된 제 3 입력 신호를 토대로, 상기 신발의 고도 변화량에 대한 제 3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한 제 1, 제 2, 제 3 정보를 토대로, 재난 상황임을 인지하면, 상기 인지된 재난 상황에 대한 재난 신호를, 외부로 전송하도록, 상기 커뮤니케이션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솔.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센싱부는,
    모션 센서이고,
    상기 모션 센서는,
    상기 인솔의 최전방 끝단과 최후방 끝단에 각각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솔.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센싱부는,
    압력 센서이고,
    상기 압력 센서는,
    상기 인솔의 전방부와 후방부에 각각 다수 개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솔.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센싱부는,
    기압 센서이고,
    상기 기압 센서는,
    상기 인솔의 중앙부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솔.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산출된 제 1, 제 2, 제 3 정보를 토대로, 재난 상황임을 인지하면, 상기 인지된 재난 상황에 따른 재난의 유형을 식별하고,
    상기 식별된 재난의 유형에 따른 재난 정보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솔.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로 전송되는 재난 신호는,
    재난의 유형, 현재 위치, 현재 일시, 그리고 심장 박동수 중 적어도 어느 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솔.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재난 정보를 전송할 때, 메시지 형태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솔.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재난 정보를 전송할 때, 페어링되는 단말기에 스피커가 존재하면, 상기 단말기의 스피커로부터 소정의 경고음이 발생하도록, 상기 단말기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솔.
  9. 제 1 항에 있어서,
    제 4 입력 신호를 센싱하는 제 4 센싱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싱된 제 4 입력 신호를 토대로, 긴급 상황임을 인지하고, 상기 긴급 상황에 대한 경고 신호를 전송하도록 상기 커뮤니케이션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솔.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4 센싱부는,
    압력 센서이고,
    상기 압력 센서는,
    상기 인솔의 중앙부 측면과 후방부 측면에 각각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솔.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인솔의 중앙부 측면에 배치되는 압력 센서와 상기 인솔의 후방부 측면에 배치되는 압력 센서에, 일정 시간 동안, 동시에 압력이 가해지면, 긴급 상황임을 인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솔.
  12. 인솔로부터 입력 신호를 수신하는 이동 단말기에 있어서,
    재난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인솔로부터 입력 신호를 수신하는 커뮤니케이션부; 그리고,
    상기 수신된 입력 신호가 재난 신호이면, 상기 재난 신호에 포함되는 재난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고, 상기 재난 정보에 포함되는 재난 유형에 따라, 상기 재난 정보를 미리 설정된 기관에 전송하도록, 상기 커뮤니케이션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신된 입력 신호가 센싱 신호라면, 상기 수신된 입력 신호를 토대로, 신발의 궤적과 자세에 대한 제 1 정보, 상기 신발의 압력 변화량과 신발 벗겨짐에 대한 제 2 정보, 그리고 상기 신발의 고도 변화량에 대한 제 3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한 제 1, 제 2, 제 3 정보를 토대로, 재난 상황임을 인지하면, 상기 인지된 재난 상황에 대한 재난 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산출된 제 1, 제 2, 제 3 정보를 토대로, 재난 상황임을 인지하면, 상기 인지된 재난 상황에 따른 재난의 유형을 식별하고,
    상기 식별된 재난의 유형에 따른 재난 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5.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재난 정보는,
    재난의 유형, 현재 위치, 현재 일시, 그리고 심장 박동수 중 적어도 어느 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6.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재난 정보를 전송할 때, 페어링되는 단말기에 스피커가 존재하면, 상기 단말기의 스피커로부터 소정의 경고음이 발생하도록, 상기 단말기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KR1020150095155A 2015-07-03 2015-07-03 인솔,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17000458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5155A KR20170004588A (ko) 2015-07-03 2015-07-03 인솔,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5155A KR20170004588A (ko) 2015-07-03 2015-07-03 인솔,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4588A true KR20170004588A (ko) 2017-01-11

Family

ID=578327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95155A KR20170004588A (ko) 2015-07-03 2015-07-03 인솔,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04588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918995A (zh) * 2017-12-12 2018-04-17 中国联合网络通信集团有限公司 一种移动终端及其驱动方法
KR20200128688A (ko) * 2018-03-07 2020-11-16 잉위 쑨 스키 부츠
CN115394045A (zh) * 2022-05-30 2022-11-25 上海年与轻科技(集团)有限公司 一种基于鞋子平衡安全监测黑匣子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918995A (zh) * 2017-12-12 2018-04-17 中国联合网络通信集团有限公司 一种移动终端及其驱动方法
KR20200128688A (ko) * 2018-03-07 2020-11-16 잉위 쑨 스키 부츠
CN115394045A (zh) * 2022-05-30 2022-11-25 上海年与轻科技(集团)有限公司 一种基于鞋子平衡安全监测黑匣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34724B1 (ko) 전자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KR102561587B1 (ko) 전자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KR101562591B1 (ko) 이동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차량의 사고 발생 처리 방법
US9996309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search information
CN107710724B (zh) 控制显示器的方法、电子设备及计算机可读记录介质
US8449435B2 (en) Guiding exercise based on fat oxidation rate
US10817034B2 (en) Wearable electronic device and operating method therefor
KR20160035394A (ko) 센서 데이터 처리 방법 및 그 장치
EP3545509B1 (en) Electronic device for controlling unmanned aerial vehicle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EP3580692B1 (en) Vision-based object recognition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20160145981A (ko) 인솔,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US11350823B2 (en) Electronic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for
KR102055677B1 (ko) 이동 로봇 및 그 제어방법
KR20170055213A (ko) 비행이 가능한 전자 장치를 이용한 촬영 방법 및 장치
KR20170071210A (ko) 전자장치 및 그 거치대
US20170185856A1 (en) Method, storage medium, and electronic device for executing function based on biometric signal
KR20170004588A (ko) 인솔,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EP3381369B1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measuring biometric information
KR101741074B1 (ko) 차량 사고 녹화 장치 및 그것의 방법
KR20170004186A (ko) 외부 전자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 및 그 방법을 처리하기 위한 전자 장치
KR20160108144A (ko) 무전원 센서를 구동하는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EP3504584B1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displaying image
EP3379362A1 (en) Method for determining movement location based on movement of external object and electronic device for the same
KR20160025229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210136722A (ko) 전자 장치의 낙상 이벤트 타입 판단 방법 및 그 전자 장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