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04475A - 적설량 측정장치 - Google Patents

적설량 측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04475A
KR20170004475A KR1020150094865A KR20150094865A KR20170004475A KR 20170004475 A KR20170004475 A KR 20170004475A KR 1020150094865 A KR1020150094865 A KR 1020150094865A KR 20150094865 A KR20150094865 A KR 20150094865A KR 20170004475 A KR20170004475 A KR 201700044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gear
rotation
rotating
mo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948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동건
Original Assignee
이동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동건 filed Critical 이동건
Priority to KR10201500948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04475A/ko
Publication of KR201700044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447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WMETEOROLOGY
    • G01W1/00Meteorology
    • G01W1/14Rainfall or precipitation gau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1/00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1/02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 F16H1/04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involving only two intermeshing members
    • F16H1/06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involving only two intermeshing members with parallel ax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7/00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 F16H7/02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with belts; with V-bel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21/00Measuring arrangements or details thereof, where the measuring technique is not covered by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unspecified or not relevant
    • G01B21/02Measuring arrangements or details thereof, where the measuring technique is not covered by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unspecified or not relevant for measuring length, width, or thickness
    • G01B21/08Measuring arrangements or details thereof, where the measuring technique is not covered by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unspecified or not relevant for measuring length, width, or thickness for measuring thicknes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11/00Component parts of measuring arrangement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11/00Component parts of measuring arrangement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 G01D11/30Supports specially adapted for an instrument; Supports specially adapted for a set of instru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Atmospheric Science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Ec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Buildings Adapted To Withstand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AREA)

Abstract

적설량 측정장치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적설량 측정장치는: 회전동력을 공급하는 구동베이스부와, 구동베이스부의 상측에 위치하며 구동베이스부의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되는 회전부와, 회전부에 고정되어 회전부와 함께 회전되며 상하 방향으로 이동되는 직선이동부와, 회전부의 외측에서 직선이동부에 연결되며 직선이동부의 동작에 의해 상하로 이동되는 이동몸체부 및 이동몸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이동몸체부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적설된 눈의 높이를 측정하는 회전측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적설량 측정장치{DEVICE FOR MEASURING AMOUNT OF SNOWFALL}
본 발명은 적설량 측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회전하면서 주변에 쌓인 눈의 높이를 측정하므로 적설량의 측정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적설량 측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적설은 강우와 함께 강수를 구성하는 기상요소로서, 기상분석은 물론 이수(利水) 및 치수(治水) 관련 계획수립 등에 매우 중요한 자료로 활용되며, 특히 갈수기인 봄철 하천 유출 및 지하수 유출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융설(融雪)을 예측 및 분석함에 있어서, 기초자료로서 매우 높은 중요성을 가진다.
겨울철 강수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적설은 하천 상류의 산악지역 등 오지에 다수의 관측지점을 확보하는 것이 중요하고, 따라서 관측시설의 무인화 및 자동화 필요성이 매우 높다고 할 수 있다.
적설량을 측정하기 위해서는 측정자가 육안을 통해 적설량을 읽어서 데이터를 기록하거나, 적설량을 모으기 위한 적설판계와 적설량을 측정하기 위해 눈 감지센서를 일정간격으로 고정 배치하여 센서의 감지신호를 통해 눈이 쌓인 정도를 판단하는 방식을 사용한다.
종래에는 바람 등의 외부 요인에 의해 측정장치의 주변에 눈이 일정하게 쌓이지 않는 경우, 적설량의 측정오차가 크게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09-0082763호(2009.07.31 공개, 발명의 명칭: 적설량 측정장치 및 방법)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회전하면서 주변에 쌓인 눈의 높이를 측정하므로 적설량의 측정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적설량 측정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적설량 측정장치는: 회전동력을 공급하는 구동베이스부와, 구동베이스부의 상측에 위치하며 구동베이스부의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되는 회전부와, 회전부에 고정되어 회전부와 함께 회전되며 상하 방향으로 이동되는 직선이동부와, 회전부의 외측에서 직선이동부에 연결되며 직선이동부의 동작에 의해 상하로 이동되는 이동몸체부 및 이동몸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이동몸체부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적설된 눈의 높이를 측정하는 회전측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구동베이스부는, 설치면에 고정되며 회전부의 하측을 지지하는 케이스부와, 케이스부의 내측에 설치되어 회전동력을 공급하는 모터부재와, 모터부재에 축 연결되어 회전하는 제1기어 및 제1기어에 맞물려 회전되며 회전부의 하측과 연결되어 회전부와 함께 회전되는 제2기어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회전부는, 케이스부의 상측에 위치하며 제2기어에 연결되어 제2기어와 함께 회전되며 직선이동부가 내측에 위치하는 회전몸체 및 회전몸체의 측면에 상하 방향으로 개구된 홀을 형성하는 개구안내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직선이동부는, 회전부의 내측에 상하 방향으로 설치되며 상하 이동되는 구동력을 공급하는 리니어몸체 및 리니어몸체에서 측방향으로 연장되어 회전부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제1연장부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동몸체부는, 제1연장부재에 연결되어 제1연장부재와 함께 상하 이동되는 연결몸체와, 연결몸체의 측방향으로 연장되며 회전측정부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장착몸체 및 연결몸체와 장착몸체의 사이에 위치하며 회전측정부가 안착되는 공간을 구비하는 수납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회전측정부는, 장착몸체에 설치되어 회전동력을 공급하는 측정모터와, 측정모터에 축 연결되어 회전되며 수납부의 내측에 수납된 상태에서 회전되어 수납부의 외측으로 인출되는 회전부재 및 회전부재에 장착되어 회전부재와 함께 회전되며 장착몸체의 외측으로 이동된 상태에서 적설된 눈의 높이를 측정하는 센서부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수납부와 마주하는 연결몸체에 설치되며, 센서부재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유지보수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유지보수부는, 센서부재의 외측을 설정된 온도로 가열하여 결빙을 제거하는 히터부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직선이동부는, 회전부의 내측에 고정되는 내측프레임과, 내측프레임의 일측에 고정되어 회전동력을 공급하는 구동모터와, 구동모터에 축 연결되는 구동기어와, 구동기어와 마주하며 내측프레임의 타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종동기어와, 구동기어와 종동기어의 외측에 걸리며 종동기어의 동작에 의해 회전되는 벨트부재 및 일측은 벨트부재에 연결되며 타측은 회전부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제2연장부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적설량 측정장치는 회전측정부가 회전부와 함께 좌우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주변에 쌓인 눈의 높이를 측정할 수 있으므로 적설량의 측정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유지보수부가 센서부재의 외측에 있는 이물질을 제거하므로 센서부재의 측정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적설량 측정장치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적설량 측정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회전측정부가 상하로 이동하며 적설량을 측정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적설량 측정장치의 동작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회전측정부가 동작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유지보수부에 솔부재가 추가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적설량 측정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적설량 측정장치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적설량 측정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적설량 측정장치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적설량 측정장치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적설량 측정장치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적설량 측정장치의 정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회전측정부가 상하로 이동하며 적설량을 측정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적설량 측정장치의 동작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회전측정부가 동작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유지보수부에 솔부재가 추가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적설량 측정장치(1)는, 회전동력을 공급하는 구동베이스부(10)와, 구동베이스부(10)의 상측에 위치하며 구동베이스부(10)의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되는 회전부(20)와, 회전부(20)에 고정되어 회전부(20)와 함께 회전되며 상하 방향으로 이동되는 직선이동부(30)와, 회전부(20)의 외측에서 직선이동부(30)에 연결되며 직선이동부(30)의 동작에 의해 상하로 이동되는 이동몸체부(50) 및 이동몸체부(5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이동몸체부(50)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적설된 눈의 높이를 측정하는 회전측정부(70)를 포함한다.
구동베이스부(10)는 회전동력을 공급하며 설치면에 고정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이 가능하다. 제1실시예에 따른 구동베이스부(10)는 케이스부(12)와 모터부재(14)와 제1기어(16)와 제2기어(18)를 포함한다.
케이스부(12)는 설치면에 고정되며 회전부(20)의 하측을 지지한다. 케이스부(12)의 내측에는 모터부재(14)와 제1기어(16)와 제2기어(18)가 설치되며, 케이스부(12)의 상측에는 회전부(20)가 좌우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모터부재(14)는 케이스부(12)의 내측에 설치되어 회전부(20)를 좌우로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동력을 공급한다. 모터부재(14)를 구동시키는 전원은 태양열발전을 통해서 전달받을 수 있으며, 케이스부(12) 내측에 설치된 별도의 배터리를 통해서도 전달받을 수 있다.
제1기어(16)는 모터부재(14)에 축 연결되어 회전되며, 제2기어(18)는 제1기어(16)에 맞물려 회전되며 회전부(20)의 하측과 연결되어 회전부(20)와 함께 회전한다. 제1기어(16)의 직경은 제2기어(18)의 직경보다 작으므로 용량이 비교적 적은 모터부재(14)를 사용하여 회전부(20)를 이동시킬 수 있다.
회전부(20)는 구동베이스부(10)의 상측에 위치하며, 구동베이스부(10)의 동력을 전달받아 좌우로 회전된다. 제1실시예에 따른 회전부(20)는, 케이스부(12)의 상측에 위치하며 제2기어(18)에 연결되어 제2기어(18)와 함께 회전되며 직선이동부(30)가 내측에 위치하는 회전몸체(22) 및 회전몸체(22)의 측면에 상하 방향으로 개구된 홀을 형성하는 개구안내부(24)를 포함한다.
회전몸체(22)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며, 회전몸체(22)의 내측에는 직선이동부(30)가 설치되기 위한 공간이 구비된다. 회전몸체(22)의 하측은 제2기어(18)에 연결되며, 별도의 리니어 장치 등에 의해 지지되므로 비교적 적은 힘에 의해서도 회전이 가능하다.
회전몸체(22)의 일측에는 개구안내부(24)가 형성된다. 개구안내부(24)는 장공 형상으로 형성되며, 회전몸체(22)의 일측을 개구하므로 직선이동부(30)의 제1연장부재(34)가 회전몸체(22)를 따라 상하로 이동될 수 있도록 안내한다.
직선이동부(30)는 회전부(20)에 고정되어 회전부(20)와 함께 회전되며, 상하 방향으로 이동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종류의 직선 이동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 제1실시예에 따른 직선이동부(30)는, 회전부(20)의 내측에 상하 방향으로 설치되며 상하 이동되는 구동력을 공급하는 리니어몸체(32)와, 리니어몸체(32)에서 측방향으로 연장되어 회전부(20)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제1연장부재(34)를 포함한다.
리니어몸체(32)는 회전몸체(22)의 내측에 위치하며,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어 제1연장부재(34)를 상하로 이동시킨다. 리니어몸체(32)는 전기나 유공압에 의해 작동될 수 있으며, 제1연장부재(34)를 상하로 이동시킨다.
제1연장부재(34)는 리니어몸체(32)의 실린더에 연결되며, 회전몸체(22)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수평방향으로 연장된다.
이동몸체부(50)는 회전부(20)의 외측에서 직선이동부(30)에 연결되며, 직선이동부(30)의 동작에 의해 상하로 이동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실시예에 따른 이동몸체부(50)는, 제1연장부재(34)에 연결되어 제1연장부재(34)와 함께 상하 이동되는 연결몸체(52)와, 연결몸체(52)의 측방향으로 연장되며 회전측정부(70)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장착몸체(54) 및 연결몸체(52)와 장착몸체(54)의 사이에 위치하며 회전측정부(70)가 안착되는 공간을 구비하는 수납부(56)를 포함한다.
연결몸체(52)는 블럭 형상으로 형성되며 제1연장부재(34)에 연결되므로, 제1연장부재(34)와 함께 상하 이동되거나 수평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장착몸체(54)는 연결몸체(52)의 외측에 이격된 상태로 설치되며, 연결몸체(52)의 상측과 장착몸체(54)의 상측은 서로 연결된다. 또한 장착몸체(54)와 연결몸체(52)의 사이에는 회전측정부(70)의 센서부재(76)가 삽입되어 안착될 수 있도록 수납부(56)가 구비된다. 회전 동작되는 회전측정부(70)가 수납부(56)의 내측으로 용이하게 삽입할 수 있도록 수납부(56)는 회전측정부(70)의 이동경로 일측에 설치된다. 제1실시예에 따른 수납부(56)는 측면과 하측이 개구된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측은 막혀있으므로 빗물이나 외부 이물질이 내측으로 유입됨을 방지할 수 있다.
도 2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측정부(70)는 이동몸체부(5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이동몸체부(50)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적설된 눈의 높이를 측정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실시예에 따른 회전측정부(70)는 측정모터(72), 회전부재(74), 센서부재(76)를 포함한다.
측정모터(72)는 장착몸체(54)에 설치되어 회전동력을 공급한다. 제1실시예에 따른 측정모터(72)는 전기의 공급으로 회전동력을 공급하며, 장착몸체(54)의 내측에 삽입된 상태로 설치된다.
회전부재(74)는 측정모터(72)에 축 연결되어 회전되며, 수납부(56)의 내측에 수납된 상태에서 회전되어 수납부(56)의 외측으로 인출된다. 회전부재(74)의 일측은 측정모터(72)에 축 연결되며, 회전부재(74)의 타측에는 센서부재(76)가 설치된다. 회전부재(74)는 측정모터(72)의 동작에 의해 회전되어 수납부(56)의 내외측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몸체의 일측이 상측으로 굽힌 형상으로 설치된다. 따라서 회전부재(74)에 설치된 센서부재(76)는 수납부(56)에 수직 상태로 수납되며, 수납부(56)에서 인출될 때는 장착몸체(54)의 외측에 수평인 상태로 설치된다.
센서부재(76)는 회전부재(74)에 장착되어 회전부재(74)와 함께 회전되며, 장착몸체(54)의 외측으로 이동된 상태에서 적설된 눈의 높이를 측정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종류의 센서가 사용될 수 있다. 제1실시예에 따른 센서부재(76)는 광선을 조사하여 적설된 눈의 높이를 측정하거나, 눈에 접촉되어 눈의 높이를 측정한다. 이 외에도 다양한 종류의 센서가 본 발명에 의한 센서부재(76)로 사용될 수 있다.
제1실시예에 따른 적설량 측정장치(1)에는 유지보수부(80)가 구비된다. 유지보수부(80)는 수납부(56)와 마주하는 연결몸체(52)에 설치되며, 센서부재(76)의 표면에 부착된 이물질을 제거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종류의 클리너 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 제1실시예에 따른 유지보수부(80)는 히터부재(82)와 마찰부재(84)를 포함한다.
히터부재(82)는 센서부재(76)의 외측을 설정된 온도로 가열하여 결빙을 제거한다. 히터부재(82)는 열선을 이용할 수 있으며, 이 외에도 전기를 이용하여 열을 발생시키는 다른 발열장치도 본 발명에 의한 히터부재(82)로 사용할 수 있다. 회전측정부(70)의 센서부재(76)가 수납부(56)의 내측에 수납된 상태에서, 유지보수부(80)의 히터부재(82)는 센서부와 마주하는 위치에 설치된다. 히터부재(82)는 직선이동부(30)의 내측에 설치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직선이동부(30)의 외측으로 돌출되거나 노출된 상태로 설치될 수도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지보수부(80)에는 히터부재(82)와 함께 마찰부재(84)도 설치될 수 있다. 히터부재(82)는 열을 발생시켜 센서부재(76)의 외측에 붙은 결빙을 제거하는 기능을 하며, 마찰부재(84)는 히터부재(82)의 외측과 접촉되어 히터부재(82)의 외측에 붙은 이물질을 제거한다. 제1실시예에 따른 마찰부재(84)는 솔 형상으로 형성되며, 히터부재(82)의 열에도 녹거나 변형되지 않는 난연재질로 성형된다. 히터부재(82)는 수납부(56)르 향하여 복수의 솔이 돌출된 상태로 설치되며, 회전부재(74)와 함께 이동하는 센서부재(76)가 수납부(56)로 이동되면서 센서부재(76)에 접촉될 수 있도록 센서부재(76)의 이동경로에 설치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적설량 측정장치(1)의 작동상태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4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정모터(72)가 동작되어 회전부재(74)가 회전하면서 수납부(56)의 외측으로 이동된다. 회전부재(74)의 일측은 이동몸체부(50)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수평방향으로 연장된다. 회전부재(74)의 하측에 설치된 센서부재(76)는 하측을 향하여 설치된다. 센서부재(76)에서 조사되는 광선의 조사로 적설된 눈의 높이를 1차 측정한다.
직선이동부(30)의 동작으로 이동몸체부(50)가 하측으로 이동하면, 이동몸체부(50)와 함께 센서부재(76)도 하측으로 이동되어 눈에 센서부재(76)가 접촉되면 직선이동부(30)의 하강이 중지되고 다시 상승하면서 적설된 눈의 높이를 2차 측정한다. 센서부재(76)는 광선의 조사로 적설된 눈의 높이를 측정하는 기능과, 눈에 직접 접촉되어 눈의 높이를 측정하는 기능을 구비한다.
이동몸체부(50)가 상측으로 이동된 상태에서, 구동베이스부(10)의 모터부재(14)가 동작되어 제1기어(16)를 회전시키면, 제1기어(16)에 맞물려 있는 제2기어(18)가 회전되면서 회전부(20)가 회전된다. 회전부(20)가 설정된 각도로 회전되면 다시 센서부재(76)의 1차 측정과 2차 측정이 이루어지면서 적설량 측정장치(1) 주변에 적설된 눈의 높이를 측정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적설량 측정장치(2)를 설명하기로 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와 구성 및 작용이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번호로 인용하고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적설량 측정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적설량 측정장치(2)의 직선이동부(40)는, 직선이동부(40), 내측프레임(41), 구동모터(42), 구동기어(43), 종동기어(44), 벨트부재(45) 및 제2연장부재(46)를 포함한다.
내측프레임(41)은 회전부(20)의 내측에 고정된다. 내측프레임(41)의 하측은 회전몸체(22)의 하측에 고정되어 회전몸체(22)와 함께 회전되며, 내측프레임(41)의 상측은 상측으로 연장된다.
구동모터(42)는 내측프레임(41)의 일측에 고정되어 회전동력을 공급한다. 구동모터(42)는 구동기어(43)를 설정된 각도로 회전시키기 위해 서보모터를 사용할 수 있다. 구동기어(43)는 구동모터(42)의 축에 연결되므로 구동모터(42)의 동작에 의해 구동기어(43)가 회전된다. 종동기어(44)는 구동기어(43)와 마주하며 내측프레임(41)의 타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벨트부재(45)는 구동기어(43)와 종동기어(44)의 외측에 걸리며, 종동기어(44)의 동작에 의해 회전된다. 벨트부재(45)는 무한궤도 형상으로 형성된다.
제2연장부재(46)의 일측은 벨트부재(45)에 연결되며 타측은 회전부(20)의 외측으로 돌출된다. 제2연장부재(46)는 수평방향으로 설치되며, 벨트부재(45)에 연결되어 벨트부재(45)의 상하 이동에 따라 제2연장부재(46)도 상하로 이동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적설량 측정장치(3)를 설명하기로 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와 구성 및 작용이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번호로 인용하고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적설량 측정장치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적설량 측정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8과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적설량 측정장치(3)의 이동몸체부(60)는 직선이동부(30)의 제1연장부재(34)에 연결되는 제1부재(62)와, 제1부재(62)에서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부재(64)를 포함한다. 제2부재(64)에는 눈의 높이를 측정하거나, 눈에 접촉되어 압력을 감지하는 센서장치가 추가로 설치될 수도 있다.
직선이동부(30)가 동작되어 이동몸체부(60)가 하측으로 이동하면, 제2부재(64)가 눈에 접할 때까지 이동몸체부(60)는 하측으로 이동된다. 제2부재(64)가 눈에 접촉되면 직선이동부(30)에 부하가 걸리게 됨을 감지하여 다시 제2부재(64)와 함께 이동몸체부(60)를 상측으로 이동시킨다.
적설량 측정장치(3)에 구비된 제어부는 제2부재(64)의 이동거리를 계산하여 적설된 눈의 높이를 계산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적설량 측정장치(4)를 설명하기로 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와 구성 및 작용이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번호로 인용하고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적설량 측정장치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적설량 측정장치(4)에서는 회전몸체(22)의 내측에 모터부재(15)가 설치된다. 전기를 사용하는 기기들이 회전부(20)의 내외측에 설치되므로, 회전몸체(22)의 내측에 배터리나 전기 공급장치를 설치하는 작업이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모터부재(15)는 회전몸체(22)의 내측에 고정되며, 모터부재(15)의 출력축과 연결된 제1기어(17)는 제2기어(18)에 맞물린다. 따라서 제1기어(17)의 회전에 의해 제2기어(18)가 회전하면서 직선이동부(30)가 회전된다.
제2기어(18)에는 제2기어(18)의 회전각도 등을 알려주기 위한 마크부재(90)가 설치된다. 마크부재(90)는 홈이나 돌기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마크부재(90)의 이동을 감지하는 센서부재(92)에 접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마크부재(90)는 제2기어(18)의 하측으로 돌출되며, 센서부재(92)는 케이스부(12)의 내측에 설치되어 마크부재(90)의 이동을 감지한다. 센서부재(92)가 마크부재(90)의 위치를 감지하여 직선이동부(30)가 설정된 각도 이상으로 회전됨을 방지하므로 직선이동부(30)에 연결된 전선의 꼬임을 방지할 수 있다. 직선이동부(30)는 센서부재(92)의 측정값을 바탕으로 전선의 꼬임을 방지하기 위해 설정된 각도의 범위 내에서 정회전과 역회전을 반복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회전측정부(70)가 회전부(20)와 함께 좌우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주변에 쌓인 눈의 높이를 측정할 수 있으므로 적설량의 측정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유지보수부(80)가 센서부재(76)의 외측에 있는 이물질을 제거하므로 센서부재(76)의 측정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2,3,4: 적설량 측정장치
10: 구동베이스부 12: 케이스부 14,15: 모터부재 16,17: 제1기어 18: 제2기어
20: 회전부 22: 회전몸체 24: 개구안내부
30: 직선이동부 32: 리니어몸체 34: 제1연장부재
40: 직선이동부 41: 내측프레임 42: 구동모터 43: 구동기어 44: 종동기어 45: 벨트부재 46: 제2연장부재
50: 이동몸체부 52: 연결몸체 54: 장착몸체 56: 수납부
60: 이동몸체부 62: 제1부재 64: 제2부재
70: 회전측정부 72: 측정모터 74: 회전부재 76: 센서부재
80: 유지보수부 82: 히터부재 84: 마찰부재
90: 마크부재 92: 센서부재

Claims (9)

  1. 회전동력을 공급하는 구동베이스부;
    상기 구동베이스부의 상측에 위치하며, 상기 구동베이스부의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되는 회전부;
    상기 회전부에 고정되어 상기 회전부와 함께 회전되며, 상하 방향으로 이동되는 직선이동부;
    상기 회전부의 외측에서 상기 직선이동부에 연결되며, 상기 직선이동부의 동작에 의해 상하로 이동되는 이동몸체부; 및
    상기 이동몸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이동몸체부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적설된 눈의 높이를 측정하는 회전측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설량 측정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베이스부는, 설치면에 고정되며 상기 회전부의 하측을 지지하는 케이스부;
    상기 케이스부의 내측에 설치되어 회전동력을 공급하는 모터부재;
    상기 모터부재에 축 연결되어 회전하는 제1기어; 및
    상기 제1기어에 맞물려 회전되며, 상기 회전부의 하측과 연결되어 상기 회전부와 함께 회전되는 제2기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설량 측정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는, 상기 케이스부의 상측에 위치하며, 상기 제2기어에 연결되어 상기 제2기어와 함께 회전되며, 상기 직선이동부가 내측에 위치하는 회전몸체; 및
    상기 회전몸체의 측면에 상하 방향으로 개구된 홀을 형성하는 개구안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설량 측정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직선이동부는, 상기 회전부의 내측에 상하 방향으로 설치되며, 상하 이동되는 구동력을 공급하는 리니어몸체; 및
    상기 리니어몸체에서 측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회전부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제1연장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설량 측정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몸체부는, 상기 제1연장부재에 연결되어 상기 제1연장부재와 함께 상하 이동되는 연결몸체;
    상기 연결몸체의 측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회전측정부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장착몸체; 및
    상기 연결몸체와 상기 장착몸체의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회전측정부가 안착되는 공간을 구비하는 수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설량 측정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측정부는, 상기 장착몸체에 설치되어 회전동력을 공급하는 측정모터;
    상기 측정모터에 축 연결되어 회전되며, 상기 수납부의 내측에 수납된 상태에서 회전되어 상기 수납부의 외측으로 인출되는 회전부재; 및
    상기 회전부재에 장착되어 상기 회전부재와 함께 회전되며, 상기 장착몸체의 외측으로 이동된 상태에서 적설된 눈의 높이를 측정하는 센서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설량 측정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부와 마주하는 상기 연결몸체에 설치되며, 상기 센서부재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유지보수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설량 측정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보수부는, 상기 센서부재의 외측을 설정된 온도로 가열하여 결빙을 제거하는 히터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설량 측정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직선이동부는, 상기 회전부의 내측에 고정되는 내측프레임;
    상기 내측프레임의 일측에 고정되어 회전동력을 공급하는 구동모터;
    상기 구동모터에 축 연결되는 구동기어;
    상기 구동기어와 마주하며 상기 내측프레임의 타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종동기어;
    상기 구동기어와 상기 종동기어의 외측에 걸리며, 상기 종동기어의 동작에 의해 회전되는 벨트부재; 및
    일측은 상기 벨트부재에 연결되며 타측은 상기 회전부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제2연장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설량 측정장치.
KR1020150094865A 2015-07-02 2015-07-02 적설량 측정장치 KR2017000447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4865A KR20170004475A (ko) 2015-07-02 2015-07-02 적설량 측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4865A KR20170004475A (ko) 2015-07-02 2015-07-02 적설량 측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4475A true KR20170004475A (ko) 2017-01-11

Family

ID=578334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94865A KR20170004475A (ko) 2015-07-02 2015-07-02 적설량 측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04475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01115A (ko) 2017-03-03 2018-09-12 이디에스 주식회사 영상 적설 측정 시스템
CN113932722A (zh) * 2021-12-01 2022-01-14 江西省交通运输科学研究院有限公司 多光谱非接触式积雪检测装置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01115A (ko) 2017-03-03 2018-09-12 이디에스 주식회사 영상 적설 측정 시스템
CN113932722A (zh) * 2021-12-01 2022-01-14 江西省交通运输科学研究院有限公司 多光谱非接触式积雪检测装置
CN113932722B (zh) * 2021-12-01 2024-04-02 江西省交通运输科学研究院有限公司 多光谱非接触式积雪检测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572617B2 (ja) 電気伝導性を利用した積雪量及び降雪量測定装置
KR20170004475A (ko) 적설량 측정장치
US9696459B1 (en) Multipurpose weather measurement instrument sensor system
KR20120059228A (ko) 집광형 태양광 발전모듈의 광추적 장치
CN208219371U (zh) 连续式路面八轮平整度仪
CN105407776A (zh) 地面清洁机和用于调整清扫辊在地面清洁机上的定位的方法
KR20160122417A (ko) 레이저 두께 측정기를 이용한 태양전지 모듈 유지관리장치
KR100997757B1 (ko) 수수조 온도감지장치가 구비된 강수량계
KR101503920B1 (ko) 이물자가제거기능을 갖는 강우량계
KR101087662B1 (ko) 적설량 측정 수집장치
JP5327609B2 (ja) 検査用台車
KR101304488B1 (ko) 수위제어식 강수량계
CN116124636A (zh) 一种汽车轮胎检测装置
KR20210109845A (ko) 태양광 패널 이물질 제거장치
CN104964714B (zh) 空气质量监测传感器精度保障设备
CN220381109U (zh) 一种在线水质监测装置
CN117367572A (zh) 自清洁辐照仪
KR20130025551A (ko) 풍력터빈용 블레이드 유지관리장치
CN116735818A (zh) 一种污染防治用水质在线检测装置
CN216483211U (zh) 一种扬尘在线监控装置
KR101373286B1 (ko) 온도검지모듈 성능시험기
KR20150094356A (ko) 수위표 오토클리너
KR101744348B1 (ko) 차량용 서리 방지장치
KR101087661B1 (ko) 적설량 측정 수집장치
KR102455447B1 (ko) 태양광패널 출력 측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