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04468A - 바이패스형 환기장치 - Google Patents

바이패스형 환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04468A
KR20170004468A KR1020150094853A KR20150094853A KR20170004468A KR 20170004468 A KR20170004468 A KR 20170004468A KR 1020150094853 A KR1020150094853 A KR 1020150094853A KR 20150094853 A KR20150094853 A KR 20150094853A KR 20170004468 A KR20170004468 A KR 201700044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mper
bypass
outdoor air
dampers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948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기성
김은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경동나비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경동나비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경동나비엔
Priority to KR10201500948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04468A/ko
Publication of KR201700044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446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4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 F24F7/06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 F24F7/08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with separate ducts for supplied and exhausted air with provisions for reversal of the input and output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2/00Use of energy recovery systems in air conditioning, ventilation or screening
    • F24F12/001Use of energy recovery systems in air conditioning, ventilation or screening with heat-exchange between supplied and exhausted air
    • F24F12/006Use of energy recovery systems in air conditioning, ventilation or screening with heat-exchange between supplied and exhausted air using an air-to-air heat exchang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2/00Use of energy recovery systems in air conditioning, ventilation or screening
    • F24F12/001Use of energy recovery systems in air conditioning, ventilation or screening with heat-exchange between supplied and exhausted air
    • F24F2012/007Use of energy recovery systems in air conditioning, ventilation or screening with heat-exchange between supplied and exhausted air using a by-pass for bypassing the heat-exchang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Flow Control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열 모드와 바이패스 모드시 댐퍼를 작동시키는 모터의 부하를 감소시켜 내구성을 향상시키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바이패스형 환기장치는, 실외공기가 유입되는 제1급기실(10), 상기 제1급기실(10)을 경유한 실외공기를 실내로 공급하는 제2급기실(20), 실내공기가 유입되는 제1배기실(30), 상기 제1배기실(30)을 경유한 실내공기를 실외로 배출시키는 제2배기실(40), 상기 제1배기실(30)에서 제2배기실(40)로 유입되는 실내공기와 상기 제1급기실(10)에서 제2급기실(20)로 유입되는 실외공기 사이에서 열교환이 이루어지는 전열교환기(50), 상기 제1급기실(10)과 제2급기실(20) 사이를 연결하여 외기냉방시 실외공기가 상기 전열교환기(50)를 거치지 않고 직접 실내로 유입되도록 공기 유로를 형성하는 바이패스통로(60,60-1), 상기 바이패스통로(60,60-1)로 실외공기의 공급여부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를 포함하는 바이패스형 환기장치에 있어서, 상기 실외공기를 전열 모드시 상기 전열교환기(50)로 공급하기 위해 개방되고 바이패스 모드시 상기 전열교환기(50)로의 공급을 차단하기 위해 폐쇄되는 제1댐퍼(410,410-1,410-2), 상기 실외공기를 바이패스 모드시 상기 바이패스통로(60,60-1)로 공급하기 위해 개방되고 전열 모드시 상기 바이패스통로(60,60-1)로의 공급을 차단하기 위해 폐쇄되는 제2댐퍼(420,420-1,420-2)가 구비된다.

Description

바이패스형 환기장치{Bypass type ventilation apparatus}
본 발명은 바이패스형 환기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댐퍼를 작동시키기 위한 구동부의 내구성을 향상시키고 기밀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바이패스형 환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 가정 및 사무실 등에는 계절의 변화에 따른 실내 냉,난방을 수행하기 위해 냉,난방장치가 설치되며, 이러한 냉,난방장치에는 실내의 공기를 냉각 및 가열하는 방식으로 냉,난방을 수행하는 에어컨, 보일러 등이 있다.
이와 같은 냉,난방장치가 설치된 일반 가정 및 사무실 등의 실내는 냉,난방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해 밀폐된 상태로 유지되고, 밀폐된 실내공간은 일정시간이 경과하면 공기의 오염도가 증가하기 때문에 실내에서 악취가 발생하거나 먼지 등의 이물질이 부유하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악취나 먼지 등을 실내에서 제거하기 위해 일정시간마다 실내공기를 환기시키게 되는데, 실내온도를 유지하면서 보다 신속하게 오염된 실내공기를 실외로 배기하고, 신선한 실외공기를 실내로 급기하기 위한 환기장치가 이용된다.
이러한 종래의 환기장치 중 바이패스형 환기장치가 있다. 하절기의 경우 실외의 온도가 실내의 온도 보다 낮은 경우가 있는데, 이때 열교환을 시키면 실내의 공기가 실외의 공기보다 온도가 높아지게 되므로, 재실인원에게 불쾌감을 줄 수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실내온도와 실외온도를 상호 비교하여 실외온도가 실내온도 보다 낮은 경우에는 실외의 공기가 전열교환기를 거치지 않고 바이패스통로를 통해서 실내로 직접 도입되도록 외기냉방을 실시함으로써 실내의 온도를 일정 수준 낮출 수 있도록 구성된 바이패스 모드가 구현된 바이패스형 환기장치가 알려져 있다.
도 1은 종래의 바이패스형 환기장치에 구비된 댐퍼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제1급기실(10)에는 전열교환기(50)와 바이패스통로(60) 중 어느 하나로 실외공기를 공급하기 위해 개폐가 이루어지는 댐퍼(15)가 구비되어 있다.
바이패스통로(60)는 제1급기실(10)과 제2급기실(20)의 하부에 구비된 공간으로서, 전열 모드시 댐퍼(15)를 수평으로 위치시키면 실외공기는 전열교환기(50)로 유입되고, 바이패스 모드시 댐퍼(15)를 수직으로 위치시키면 실외공기는 바이패스통로(60)으로 유입된다.
이 경우 상기 댐퍼(15)는 힌지축(15a)을 회전중심으로 하여 모터(미도시)에 의해 회전하게 되는데, 댐퍼(15)가 외팔보 구조로 되어 있어 댐퍼(15)를 동작시키기 위한 모터에 부하가 크게 작용하여 모터의 내구성이 저하되며, 왕복 운동으로 인한 상사점 또는 하사점 도달시 동작의 불확실성으로 인해 기밀유지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실외공기를 유동시키거나 차단하기 위해 하나의 댐퍼(15)를 이용하므로 댐퍼(15)의 크기가 커져 모터에 부하가 크게 작용하여 모터의 내구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힌지축(15a)의 일측 단부(도 1에서 지면방향)에 모터가 연결되어 있어, 모터를 설치하기 위한 공간이 많이 필요하고, 모터를 고정하기 위한 여러 부품이 연결되어 있어 유지보수시 교체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미설명 부호 12는 실외공기흡입구, 22는 실외공기배출구, 25는 급기용 송풍기, 62는 필터를 나타낸다.
바이패스형 환기장치에 대한 종래기술로서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034936호의 "전열교환형 환기장치 및 그 제어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전열 모드와 바이패스 모드시 댐퍼를 작동시키는 모터의 부하를 감소시켜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바이패스형 환기장치를 제공하고자 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댐퍼의 동작시 기밀을 유지할 수 있는 바이패스형 환기장치를 제공하고자 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댐퍼 유닛의 유지보수가 용이한 바이패스형 환기장치를 제공하고자 함에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이패스형 환기장치는, 실외공기가 유입되는 제1급기실(10), 상기 제1급기실(10)을 경유한 실외공기를 실내로 공급하는 제2급기실(20), 실내공기가 유입되는 제1배기실(30), 상기 제1배기실(30)을 경유한 실내공기를 실외로 배출시키는 제2배기실(40), 상기 제1배기실(30)에서 제2배기실(40)로 유입되는 실내공기와 상기 제1급기실(10)에서 제2급기실(20)로 유입되는 실외공기 사이에서 열교환이 이루어지는 전열교환기(50), 상기 제1급기실(10)과 제2급기실(20) 사이를 연결하여 외기냉방시 실외공기가 상기 전열교환기(50)를 거치지 않고 직접 실내로 유입되도록 공기 유로를 형성하는 바이패스통로(60,60-1), 상기 바이패스통로(60,60-1)로 실외공기의 공급여부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를 포함하는 바이패스형 환기장치에 있어서, 상기 실외공기를 전열 모드시 상기 전열교환기(50)로 공급하기 위해 개방되고 바이패스 모드시 상기 전열교환기(50)로의 공급을 차단하기 위해 폐쇄되도록 수평방향으로 회전하는 제1댐퍼(410,410-1,410-2), 상기 실외공기를 바이패스 모드시 상기 바이패스통로(60,60-1)로 공급하기 위해 개방되고 전열 모드시 상기 바이패스통로(60,60-1)로의 공급을 차단하기 위해 폐쇄되도록 수평방향으로 회전하는 제2댐퍼(420,420-1,420-2)가 구비된다.
상기 제1댐퍼(410,410-1,410-2)와 제2댐퍼(420,420-1,420-2)는 하나의 모터(200)에 의해 동시에 개폐가 이루어지도록 서로 수직방향으로 구비된 것일 수 있다.
상기 모터(200)에 의해 회전하되 수직방향의 길이를 갖는 회전축(300)이 구비되고, 상기 회전축(300)의 상부와 하부 또는 하부와 상부에 상기 제1댐퍼(410,410-1,410-2)와 제2댐퍼(420,420-1,420-2)의 중심부가 각각 결합된 것일 수 있다.
상기 제1댐퍼(410,410-1,410-2)를 통해 유동하는 실외공기의 유로를 제공하는 제1댐퍼 하우징(110,110-1)과, 상기 제2댐퍼(420,420-1,420-2)를 통해 유동하는 실외공기의 유로를 제공하는 제2댐퍼 하우징(120,120-1)과, 상기 제1댐퍼 하우징(110,110-1)의 내부공간과 상기 제2댐퍼 하우징(120,120-1)의 내부공간을 분리하기 위한 격벽(130,130-1)으로 이루어진 댐퍼 하우징(100,100-2)이 구비된 것일 수 있다.
상기 제1댐퍼 하우징(110)과 제2댐퍼 하우징(120)은 상부와 하부에 적층 구조로 구비되고; 상기 바이패스통로(60)는 상기 제1급기실(10)과 제2급기실(20)의 하부에 구비되며; 상기 제2댐퍼 하우징(120)과 상기 바이패스통로(60) 사이를 연결하는 바이패스통로 연결 하우징(140)이 상기 제2댐퍼 하우징(120)으로부터 연장되어 일체로 형성된 것일 수 있다.
상기 제2댐퍼 하우징(120-1)과 제1댐퍼 하우징(110-1)은 상부와 하부에 적층 구조로 구비되고; 상기 바이패스통로(60-1)는 상기 제1급기실(10)과 제2급기실(20)의 상부에 구비되며; 상기 제2댐퍼 하우징(120-1)과 상기 바이패스통로(60-1) 사이를 연결하는 바이패스통로 연결 하우징(140-1)이 상기 제2댐퍼 하우징(120-1)으로부터 연장되어 일체로 형성된 것일 수 있다.
상기 제1급기실(10)과 제2급기실(20)과 제1배기실(30)과 제2배기실(40) 및 전열교환기(50)의 상부를 덮되 탈착 가능한 점검구도어(500)가 구비되고; 상기 바이패스통로(60-1)는 상기 점검구도어(500)의 내부 공간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1급기실(10)의 내측에는 가이드홈이 형성된 가이드부(610,620)가 구비되고, 상기 제1댐퍼 하우징(110,110-1)과 제2댐퍼 하우징(120,120-1)의 둘레에는 상기 가이드홈에 삽입되는 조립용 돌출부(151,152)가 형성되어 있어, 상기 점검구도어(500)를 개방시킨 후 상기 댐퍼 하우징(100,100-2)을 일체로 탈착 가능한 것일 수 있다.
상기 제1댐퍼(410,410-1,410-2)와 제2댐퍼(420,420-1,420-2)는 사각형 또는 반원으로 형성되되, 상기 제1댐퍼(410-2)와 제2댐퍼(420-2)가 각각 반원의 형상으로 이루어진 경우에는 그 반원의 밑변이 서로 마주보도록 구비된 것일 수 있다.
상기 제1댐퍼(410,410-1,410-2)와 제2댐퍼(420,420-1,420-2)의 가장자리에는 상기 제1댐퍼 하우징(110,110-1)과 제2댐퍼 하우징(120,120-1)의 내벽과의 사이에 기밀을 유지하기 위한 밀폐부재(43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댐퍼(410,410-1,410-2)와 제2댐퍼(420,420-1,420-2)는 합성수지 재질로서 사출성형에 의해 제조되고, 상기 기밀부재(430)는 고무재질로서 상기 제1댐퍼(410,410-1,410-2)와 제2댐퍼(420,420-1,420-2)의 가장자리에 이중사출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1댐퍼(410,410-1,410-2)와 제2댐퍼(420,420-1,420-2)는 상기 제1급기실(10) 또는 제2급기실(20)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실내공기의 온도 및 습도를 감지하는 제1온도센서와 제1습도센서, 상기 실외공기의 온도 및 습도를 감지하는 제2온도센서와 제2습도센서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실내공기와 실외공기의 온도 및 습도를 비교하여, 상기 실외공기의 유입경로를 전열 모드와 바이패스 모드 중 선택적으로 제어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바이패스형 환기장치에 의하면, 전열 모드와 바이패스 모드시 실외공기를 전열교환기 또는 바이패스관으로 택일적으로 공급되도록 하기 위한 2개의 댐퍼를 수평방향으로 회전되도록 하고, 모터에 연결된 회전축에 상하 2개의 댐퍼를 연결시키되 회전축을 댐퍼의 중심부에 결합시킴으로써 모터에 작용하는 부하를 감소시켜 모터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모터를 댐퍼 하우징의 상부에 구비함으로써 모터를 설치하기 위한 환기장치의 측방향 공간이 필요하지 않게 되어 환기장치를 소형화할 수 있다.
또한 댐퍼 하우징의 내벽면과 댐퍼 사이에 밀폐부재를 댐퍼에 일체로 결합함으로써 기밀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환기장치의 상부에 점검구도어가 구비된 경우에는 점검구도어의 내부공간을 바이패스통로로 이용함으로써 별도의 바이패스관을 구비할 필요가 없어 구조를 간단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댐퍼 유닛을 환기장치 내부에 착탈 가능하게 구성함으로써 유지보수가 용이해진다.
도 1은 종래의 바이패스형 환기장치에 구비된 댐퍼를 보여주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바이패스형 환기장치의 구성도
도 3은 도 2의 바이패스형 환기장치의 단면도
도 4는 도 2의 댐퍼 유닛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5는 도 2의 댐퍼 유닛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댐퍼 가장자리에 밀폐부재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조립용 돌출부가 가이드부의 가이드홈에 삽입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환기장치에서 전열 모드시 실외공기의 유동을 나타내는 동작상태도
도 9는 본 발명의 환기장치에서 바이패스 모드시 실외공기의 유동을 나타내는 동작상태도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바이패스형 환기장치를 보여주는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댐퍼 형상을 보여주는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이패스형 환기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바이패스형 환기장치는, 실외공기흡입구(12)를 통해 실외공기가 유입되는 제1급기실(10)과, 상기 제1급기실(10)로 유입된 실외공기가 필터(55)를 거치면서 정화된 상태로 전열교환기(50)를 거쳐 내부로 유입되어 실외공기배출구(22)를 통해 실내로 공급되는 제2급기실(20)과, 실내공기흡입구(32)를 통해 실내공기가 흡입되는 제1배기실(30) 및 상기 제1배기실(30)로 유입된 실내공기가 전열교환기(50)를 거쳐 실내공기배출구(42)를 통해 실외로 배출되는 제2배기실(40)로 구성된다.
상기 제2급기실(20) 내부에는 실외공기배출구(22) 방향으로 급기되는 실외공기를 강제흡인하는 급기용 송풍기(25)가 구비되고, 상기 제2배기실(40) 내부에는 실내공기배출구(42) 방향으로 배기되는 실내공기를 강제흡인하는 배기용 송풍기(45)가 구비된다.
상기 제1급기실(10)과 제2급기실(20) 사이에는 바이패스 모드시 실내공기 보다 저온상태인 실외공기가 전열교환기(50)를 거치지 않고 직접 실내로 유입되도록 공기 유로를 형성하는 바이패스통로(60)가 연결되어 있다. 상기 바이패스통로(60) 상에는 유입되는 실외공기를 정화하기 위한 필터(미도시)가 설치될 수 있고, 바이패스통로(60)는 급기용 송풍기(25)에 연결된다.
상기 실내공기흡입구(32)에는 실내공기의 온도와 습도를 감지하기 위한 제1온도센서(31)와 제1습도센서(33)가 구비되고, 상기 실외공기흡입구(12)에는 실외공기의 온도와 습도를 감지하기 위한 제2온도센서(11)와 제2습도센서(13)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제1급기실(10)에는 전열 모드와 바이패스 모드시 실외공기의 유로를 전환시키기 위한 댐퍼 유닛(1)이 구비되어 있다.
도 4와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댐퍼 유닛(1)은, 댐퍼 유닛(1)의 몸체를 구성하되 내부에 실외공기가 유동하는 유로가 형성된 댐퍼 하우징(100), 상기 댐퍼 하우징(100)의 상부에 구비된 모터(200), 상기 모터(200)에 연결되어 회전하는 회전축(300), 상기 회전축(300)에 결합되어 상기 모터(200)의 회전 구동시 댐퍼 하우징(100) 내부의 유로를 개폐하는 2개의 댐퍼(410,420)로 이루어진다.
상기 댐퍼 하우징(100)은, 실외공기가 전열교환기(50)로 유동하도록 내부에 유로가 형성된 제1댐퍼 하우징(110), 실외공기가 바이패스통로(60)로 유동하도록 내부에 유로가 형성되되 상기 제1댐퍼 하우징(110)의 하부에 구비된 제2댐퍼 하우징(120), 상기 제1댐퍼 하우징(110)과 제2댐퍼 하우징(120)의 내부 공간을 서로 격리시키는 격벽(130), 상기 제2댐퍼 하우징(120)을 통과한 실외공기를 바이패스통로(60)로 안내하는 바이패스통로 연결 하우징(14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댐퍼 하우징(110)은 사각통 형상으로서 실외공기가 유동하는 유로의 전후방이 개방되어, 실외측의 개구부를 통해 유입된 실외공기가 실내측의 개구부를 통해 제1급기실(10) 내부 공간으로 배출된 후 전열교환기(50)로 유동한다.
상기 제2댐퍼 하우징(120)은 사각통 형상으로서 실외공기가 유동하는 유로의 전후방이 개방되어, 실외측의 개구부를 통해 유입된 실외공기가 실내측의 개구부를 통해 바이패스통로 연결 하우징(140)을 경유하여 바이패스통로(60)로 유동한다.
상기 바이패스통로 연결 하우징(140)은 제2댐퍼 하우징(120)의 내측 단부와 바이패스통로(60) 사이를 연결하기 위해 90도 절곡된 형상으로 되어 있다.
상기 바이패스통로 연결 하우징(140)에서 바이패스통로(60)에 연결되는 단부는 풍량을 증가시켜 정압 보상이 이루어지도록 바이패스통로(60)를 향해 단면적이 커지는 확관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1댐퍼 하우징(110)과 제2댐퍼 하우징(120)의 실외측 단부와 실내측 단부의 가장자리 둘레에는 사각플레이트 형상의 조립용 돌출부(151,152)가 복수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조립용 돌출부(151,152)는 제1급기실(10)의 내벽면 둘레에 형성된 가이드홈에 삽입되어 댐퍼 유닛(1)이 탈착가능하게 되어 있다.
상기 댐퍼 하우징(100)은 합성수지재질로서, 사출성형에 의해 일체로 성형될 수 있다.
상기 모터(200)는 제1댐퍼 하우징(110)의 상부에 구비되어 있어 제1급기실(10)의 상부 공간을 활용하게 되므로, 종래에 제1급기실(10)의 측방향 공간에 설치되는 경우에 비하여 공간 활용성이 높아져 환기장치의 크기를 줄일 수 있다.
상기 회전축(300)은 상하 방향의 길이를 갖도록 수직 방향으로 모터(200)에 연결되어, 모터(200) 구동시 회전하게 된다.
상기 댐퍼(410,420)는, 제1댐퍼 하우징(110)의 내부에 구비되어 실외공기를 전열 모드시 전열교환기(50)로 공급하기 위해 개방되고 바이패스 모드시 전열교환기(50)로의 공급을 차단하기 위해 폐쇄되는 제1댐퍼(410), 제2댐퍼 하우징(120)의 내부에 구비되어 실외공기를 바이패스 모드시 바이패스통로(60)로 공급하기 위해 개방되고 전열 모드시 바이패스통로(60)로의 공급을 차단하기 위해 폐쇄되는 제2댐퍼(420)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댐퍼(410)와 제2댐퍼(420)는 사각 플레이트 형상으로서 회전축(300)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결합되어 있어, 모터(200) 구동시 회전축(300)과 함께 일체로 회전하게 된다. 또한 제1댐퍼(410)와 제2댐퍼(420)의 중앙부에 회전축(300)이 결합되되, 평면도 상에서 보았을 때 서로 직각이 되도록 회전축(300)에 결합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하면 모터(200)의 구동에 의해 제1댐퍼(410)와 제2댐퍼(420)가 수평방향으로 동시에 회전하게 되므로, 하나의 모터(200)로 2개의 댐퍼(410,420)를 회전시키게 되므로 동력 구조가 간단해지고, 종래의 외팔보 회전 구조에 비해 모터(200)에 작용하는 부하가 감소하게 되어 모터(200)의 내구성이 향상된다.
도 6을 참조하여 밀폐부재(430)에 대해 설명한다.
제1댐퍼(410)와 제2댐퍼(420)의 가장자리에는 밀폐부재(430)가 결합되어 있다. 상기 밀폐부재(430)는, 제1댐퍼(410)의 가장자리와 제1댐퍼 하우징(110)의 내벽면과의 사이, 제2댐퍼(420)와 제2댐퍼 하우징(120)의 내벽면과의 사이에 개재되어 기밀을 유지하게 된다.
상기 밀폐부재(430)는 일례로 고무재질로 이루어지되, 합성수지로 사출성형된 제1댐퍼(410)와 제2댐퍼(420)의 가장자리에 이중사출방법으로 일체로 결합시킬 수 있다.
도 7은 댐퍼 유닛(1)이 제1급기실(10)에 설치된 것을 평면도 상에서 바라본 도면으로서, 도 7을 참조하여 댐퍼 유닛(1)이 탈착되는 구조에 대해 설명한다.
제1댐퍼 하우징(110)과 제2댐퍼 하우징(120)의 실외측과 실내측 가장자리 둘레를 따라 사각플레이트 형상의 조립용 돌출부(151,152)가 복수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조립용 돌출부(151,152)가 삽입되어 안착될 수 있도록 제1급기실(10)의 내측에는 가이드홈이 형성된 가이드부(610,620)가 제1급기실(10)의 내부에 구비되어 있다.
상기 조립용 돌출부(151,152)가 가이드홈에 삽입된 상태에서 댐퍼 유닛(1)을 도 7에서 지면방향(도 3에서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키면 댐퍼 유닛(1)이 손쉽게 탈착 가능하게 된다.
도 8과 도 9를 참조하여 전열 모드와 바이패스 모드시 댐퍼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제어부는 제1온도센서(31) 및 제1습도센서(33)에서 감지한 실내공기의 온도(T1) 및 습도(H2) 정보와 상기 제2온도센서(11) 및 제2습도센서(13)에서 감지한 실외공기의 온도(T2) 및 습도(H2) 정보를 이용하여 실내공기의 엔탈피(h1)와 실외공기의 엔탈피(h2)를 산출하여 전열 모드를 실행할 것인지 바이패스 모드를 실행할 것인지 판단하는 것으로 구성할 수 있다.
즉, 실내공기의 엔탈피(h1)와 실외공기의 엔탈피(h2)의 크기를 상호 비교하여, 실내공기의 엔탈피(h1)가 실외공기의 엔탈피(h2) 보다 클 경우에는 바이패스 모드가 작동되도록 제어하게 되고, 반대로 실외공기의 엔탈피(h2)가 실내공기의 엔탈피(h1) 보다 클 경우에는 전열 모드가 작동되도록 제어하는 것으로 구성할 수 있다.
제어부의 판단 결과 전열 모드를 실행하는 경우에는 도 8과 같이, 제1댐퍼(410)는 실외공기의 유동 방향과 나란한 방향이 되도록 하고, 제2댐퍼(420)는 실외공기의 유동 방향과 수직되는 방향이 되도록 함으로써, 실외공기는 제1댐퍼(410)가 구비된 제1댐퍼 하우징(110)의 내부 공간과 제1급기실(10)의 내부 공간을 경유하여 전열교환기(50)를 통과하고, 전열교환기(50)를 통과한 공기는 제2급기실(20)을 통해 실내로 유입된다.
제어부의 판단 결과 바이패스 모드를 실행하는 경우에는 도 9와 같이, 제1댐퍼(410)는 실외공기의 유동 방향과 수직되는 방향이 되도록 하고, 제2댐퍼(420)는 실외공기의 유동 방향과 나란한 방향이 되도록 함으로써, 실외공기는 제2댐퍼(420)가 구비된 제2댐퍼 하우징(120)의 내부 공간과 바이패스통로 연결 하우징(140)의 내부 공간을 경유하여 바이패스통로(60)로 유입되고, 바이패스통로(60)를 통과한 공기는 제2급기실(20)의 하측을 통해 제2급기실(20)의 내부 공간으로 유입된 후 실내로 유입된다.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바이패스형 환기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도 10에 도시된 바이패스형 환기장치는, 환기장치의 상부에 탈착 가능한 점검구도어(500)가 구비되고, 상기 점검구도어(500)의 내부공간이 바이패스통로(60-1)가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앞서 설명한 실시예와 다르게, 본 실시예는 제1댐퍼 하우징(110-1)이 하부에 구비되고, 격벽(130-1)을 사이에 두고 제2댐퍼 하우징(120-1)은 제1댐퍼 하우징(110-1)의 상부에 구비되며, 바이패스통로 연결 하우징(140-1)은 제2댐퍼 하우징(120-1)의 내측 단부에서 상방향으로 연장되어 상부의 바이패스통로(60-1)에 연결된다.
이 경우 별도의 바이패스통로를 구비하지 않더라도, 점검구도어(500)의 내부공간을 활용함으로써 바이패스형 환기장치를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점검구도어(500)가 구비된 경우 조립용 돌출부(151,152)가 형성된 댐퍼 유닛(1)을 제1급기실(10)로부터 손쉽게 탈착 가능하므로 유지보수가 용이하다.
도 1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댐퍼의 형상에 대해 설명한다.
도 11에 도시된 제1댐퍼(410-2)와 제2댐퍼(420-2)는 각각 반원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 경우 제1댐퍼(410-2)와 제2댐퍼(420-2)의 밑변이 서로 마주보도록 회전축(300)에 결합되되, 평면도 상에서 보았을 때 서로 직각이 되도록 회전축(300)에 결합되어 있다.
이 경우 제1댐퍼(410-2)와 제2댐퍼(420-2)의 반원 형상에 대응하여 제1댐퍼 하우징과 제2댐퍼 하우징도 내측면도 반원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벗어남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자명한 변형실시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실시는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1 : 댐퍼 유닛 10 : 제1급기실
11 : 제2온도센서 12 : 실외공기흡입구
13 : 제2습도센서 20 : 제2급기실
22 : 실외공기배출구 25 : 급기용 송풍기
30 : 제1배기실 31 : 제1온도센서
32 : 실내공기흡입구 33 : 제1습도센서
40 : 제2배기실 42 : 실내공기배출구
45 : 배기용 송풍기 50 : 전열교환기
60 : 바이패스통로 62 : 필터
100 : 댐퍼 하우징 110,110-1 : 제1댐퍼 하우징
120,120-1 : 제2댐퍼 하우징 130,130-1 : 격벽
140, 140-1 : 바이패스통로 연결 하우징 151, 152 : 조립용 돌출부
200 : 모터 300 : 회전축
410, 410-1, 410-2 : 제1댐퍼 420, 420-1, 420-2 : 제2댐퍼
430 : 밀폐부재 500 : 점검구도어

Claims (13)

  1. 실외공기가 유입되는 제1급기실(10), 상기 제1급기실(10)을 경유한 실외공기를 실내로 공급하는 제2급기실(20), 실내공기가 유입되는 제1배기실(30), 상기 제1배기실(30)을 경유한 실내공기를 실외로 배출시키는 제2배기실(40), 상기 제1배기실(30)에서 제2배기실(40)로 유입되는 실내공기와 상기 제1급기실(10)에서 제2급기실(20)로 유입되는 실외공기 사이에서 열교환이 이루어지는 전열교환기(50), 상기 제1급기실(10)과 제2급기실(20) 사이를 연결하여 외기냉방시 실외공기가 상기 전열교환기(50)를 거치지 않고 직접 실내로 유입되도록 공기 유로를 형성하는 바이패스통로(60,60-1), 상기 바이패스통로(60,60-1)로 실외공기의 공급여부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를 포함하는 바이패스형 환기장치에 있어서,
    상기 실외공기를 전열 모드시 상기 전열교환기(50)로 공급하기 위해 개방되고 바이패스 모드시 상기 전열교환기(50)로의 공급을 차단하기 위해 폐쇄되도록 수평방향으로 회전하는 제1댐퍼(410,410-1,410-2), 상기 실외공기를 바이패스 모드시 상기 바이패스통로(60,60-1)로 공급하기 위해 개방되고 전열 모드시 상기 바이패스통로(60,60-1)로의 공급을 차단하기 위해 폐쇄되도록 수평방향으로 회전하는 제2댐퍼(420,420-1,420-2)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패스형 환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댐퍼(410,410-1,410-2)와 제2댐퍼(420,420-1,420-2)는 하나의 모터(200)에 의해 동시에 개폐가 이루어지도록 서로 수직방향으로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패스형 환기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200)에 의해 회전하되 수직방향의 길이를 갖는 회전축(300)이 구비되고, 상기 회전축(300)의 상부와 하부 또는 하부와 상부에 상기 제1댐퍼(410,410-1,410-2)와 제2댐퍼(420,420-1,420-2)의 중심부가 각각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패스형 환기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댐퍼(410,410-1,410-2)를 통해 유동하는 실외공기의 유로를 제공하는 제1댐퍼 하우징(110,110-1)과, 상기 제2댐퍼(420,420-1,420-2)를 통해 유동하는 실외공기의 유로를 제공하는 제2댐퍼 하우징(120,120-1)과, 상기 제1댐퍼 하우징(110,110-1)의 내부공간과 상기 제2댐퍼 하우징(120,120-1)의 내부공간을 분리하기 위한 격벽(130,130-1)으로 이루어진 댐퍼 하우징(100,100-2)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패스형 환기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댐퍼 하우징(110)과 제2댐퍼 하우징(120)은 상부와 하부에 적층 구조로 구비되고;
    상기 바이패스통로(60)는 상기 제1급기실(10)과 제2급기실(20)의 하부에 구비되며;
    상기 제2댐퍼 하우징(120)과 상기 바이패스통로(60) 사이를 연결하는 바이패스통로 연결 하우징(140)이 상기 제2댐퍼 하우징(120)으로부터 연장되어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패스형 환기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댐퍼 하우징(120-1)과 제1댐퍼 하우징(110-1)은 상부와 하부에 적층 구조로 구비되고;
    상기 바이패스통로(60-1)는 상기 제1급기실(10)과 제2급기실(20)의 상부에 구비되며;
    상기 제2댐퍼 하우징(120-1)과 상기 바이패스통로(60-1) 사이를 연결하는 바이패스통로 연결 하우징(140-1)이 상기 제2댐퍼 하우징(120-1)으로부터 연장되어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패스형 환기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급기실(10)과 제2급기실(20)과 제1배기실(30)과 제2배기실(40) 및 전열교환기(50)의 상부를 덮되 탈착 가능한 점검구도어(500)가 구비되고;
    상기 바이패스통로(60-1)는 상기 점검구도어(500)의 내부 공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패스형 환기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급기실(10)의 내측에는 가이드홈이 형성된 가이드부(610,620)가 구비되고, 상기 제1댐퍼 하우징(110,110-1)과 제2댐퍼 하우징(120,120-1)의 둘레에는 상기 가이드홈에 삽입되는 조립용 돌출부(151,152)가 형성되어 있어, 상기 점검구도어(500)를 개방시킨 후 상기 댐퍼 하우징(100,100-2)을 일체로 탈착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패스형 환기장치
  9.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댐퍼(410,410-1,410-2)와 제2댐퍼(420,420-1,420-2)는 사각형 또는 반원으로 형성되되, 상기 제1댐퍼(410-2)와 제2댐퍼(420-2)가 각각 반원의 형상으로 이루어진 경우에는 그 반원의 밑변이 서로 마주보도록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패스형 환기장치
  10.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댐퍼(410,410-1,410-2)와 제2댐퍼(420,420-1,420-2)의 가장자리에는 상기 제1댐퍼 하우징(110,110-1)과 제2댐퍼 하우징(120,120-1)의 내벽과의 사이에 기밀을 유지하기 위한 밀폐부재(430)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패스형 환기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댐퍼(410,410-1,410-2)와 제2댐퍼(420,420-1,420-2)는 합성수지 재질로서 사출성형에 의해 제조되고, 상기 기밀부재(430)는 고무재질로서 상기 제1댐퍼(410,410-1,410-2)와 제2댐퍼(420,420-1,420-2)의 가장자리에 이중사출에 의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패스형 환기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댐퍼(410,410-1,410-2)와 제2댐퍼(420,420-1,420-2)는 상기 제1급기실(10) 또는 제2급기실(20)에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패스형 환기장치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내공기의 온도 및 습도를 감지하는 제1온도센서와 제1습도센서, 상기 실외공기의 온도 및 습도를 감지하는 제2온도센서와 제2습도센서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실내공기와 실외공기의 온도 및 습도를 비교하여, 상기 실외공기의 유입경로를 전열 모드와 바이패스 모드 중 선택적으로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패스형 환기장치
KR1020150094853A 2015-07-02 2015-07-02 바이패스형 환기장치 KR2017000446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4853A KR20170004468A (ko) 2015-07-02 2015-07-02 바이패스형 환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4853A KR20170004468A (ko) 2015-07-02 2015-07-02 바이패스형 환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4468A true KR20170004468A (ko) 2017-01-11

Family

ID=578330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94853A KR20170004468A (ko) 2015-07-02 2015-07-02 바이패스형 환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04468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1386B1 (ko) * 2017-06-19 2018-06-26 시스템벤트 주식회사 급, 배기구를 주기적으로 바꿔주는 듀얼 열교환 타입의 외기 도입형 공기조화기
KR102242500B1 (ko) * 2020-05-15 2021-04-21 양세연 열회수용 환기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1386B1 (ko) * 2017-06-19 2018-06-26 시스템벤트 주식회사 급, 배기구를 주기적으로 바꿔주는 듀얼 열교환 타입의 외기 도입형 공기조화기
KR102242500B1 (ko) * 2020-05-15 2021-04-21 양세연 열회수용 환기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90696B1 (ko) 바이패스 및 재순환 기능을 겸비한 열교환형 환기장치
KR101841954B1 (ko) 다기능 전열교환기를 구비한 환기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1578528B1 (ko) 바이패스 유로를 별도로 구비한 열회수 환기장치
US8939826B2 (en) HVAC apparatus with HRV/ERV unit and vertical fan coil unit
KR101658644B1 (ko) 바이패스터널을 구비한 전열교환기
KR100988263B1 (ko) 열교환 및 습도조절 기능을 갖는 하이브리드 환기시스템
KR101149815B1 (ko) 전열교환 환기유니트
KR20170103133A (ko) 환기장치
KR100826688B1 (ko) 실내 공기순환 제어구조를 갖는 환기장치
KR20190001916U (ko) 벽면설치가 가능한 열회수형환기장치
CN215260129U (zh) 新风部件和具有其的空调器
KR101824145B1 (ko) 환기장치
CN113357801B (zh) 进风结构、新风装置及空调
KR20170004468A (ko) 바이패스형 환기장치
KR100715337B1 (ko) 패키지형 에어컨의 송풍 구조
CN107327909B (zh) 一种新风、净化一体机
JP2007139409A (ja) 換気装置及び換気装置の制御方法
KR101190496B1 (ko) 전열교환기 및 그 제조방법
KR101198577B1 (ko) 외기도입장치의 개폐구조
KR101576217B1 (ko) 바이패스터널을 구비한 전열교환기
KR20070089001A (ko) 창호형 환기장치
CN219389989U (zh) 阀座、阀门总成和具有其的空气处理装置
CN213273060U (zh) 空调新风系统
CN211876227U (zh) 一种外置窗式室内新风净化器
KR100996626B1 (ko) 실내공기 환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