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71386B1 - 급, 배기구를 주기적으로 바꿔주는 듀얼 열교환 타입의 외기 도입형 공기조화기 - Google Patents

급, 배기구를 주기적으로 바꿔주는 듀얼 열교환 타입의 외기 도입형 공기조화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71386B1
KR101871386B1 KR1020170077067A KR20170077067A KR101871386B1 KR 101871386 B1 KR101871386 B1 KR 101871386B1 KR 1020170077067 A KR1020170077067 A KR 1020170077067A KR 20170077067 A KR20170077067 A KR 20170077067A KR 101871386 B1 KR101871386 B1 KR 1018713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exhaust
damper
heat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770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정헌
Original Assignee
시스템벤트 주식회사
안정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시스템벤트 주식회사, 안정헌 filed Critical 시스템벤트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770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7138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713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713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2/00Use of energy recovery systems in air conditioning, ventilation or screening
    • F24F12/001Use of energy recovery systems in air conditioning, ventilation or screening with heat-exchange between supplied and exhausted air
    • F24F12/006Use of energy recovery systems in air conditioning, ventilation or screening with heat-exchange between supplied and exhausted air using an air-to-air heat exchang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70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70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F24F11/80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temperature of the supplied air
    • F24F11/81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temperature of the supplied air by controlling the air supply to heat-exchangers or bypass channe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30Arrangement or mounting of heat-exchang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3/00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 F24F3/001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in which the air treatment in the central station takes place by means of a heat-pump or by means of a reversible cyc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5/00Air-conditioning systems or apparatus not covered by F24F1/00 or F24F3/00, e.g. using solar heat or combined with household units such as an oven or water heater
    • F24F5/0003Exclusively-fluid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4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 F24F7/06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 F24F7/08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with separate ducts for supplied and exhausted air with provisions for reversal of the input and output system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30/00Energy efficient heating, ventilation or air conditioning [HVAC]
    • Y02B30/56Heat recovery un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급, 배기 되는 공기의 직접 접촉을 통해 열교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급, 배기구를 주기적으로 바꿔주는 듀얼 열교환 타입의 외기 도입형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으로, 공기 급기부, 공기 배출부 및 공기 흐름 방향을 주기적으로 바꾸어주도록 제어하는 댐퍼, 급기 및 배기가 주기적으로 바뀌는 제1, 2 공기의 배기 및 급기부 및 제1, 2 열교환부로 이루어져 있어, 제1, 2 공기의 배기 및 급기부가 공기를 급기 및 배기하면서 제1, 2 열교환부와 직접적으로 열교환이 이루어진 후 배기를 하였던 배기부와 급기를 하였던 급기부가 주기적으로 배기 및 급기 작동이 바뀌어 이루어지도록 댐퍼가 작동하여 열교환을 실시하도록 공기의 흐름을 제어하여 공기와 열교환부가 직접 접촉하여 열효환이 이루어져 열교환에 따른 효율성을 높일 수 있고, 댐퍼의 공기 흐름 제어에 의해 제1, 2 공기의 배기 및 급기부가 주기적으로 배기 및 급기 작동을 번갈아가면서 실시하여 겨울철 동파를 방지하기 위한 별도 동파방지시설을 설치하지 않더라도 동파를 방지하여 동파방지시설의 설치에 따른 비용절감 및 유지보수에 따른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급, 배기구를 주기적으로 바꿔주는 듀얼 열교환 타입의 외기 도입형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급, 배기구를 주기적으로 바꿔주는 듀얼 열교환 타입의 외기 도입형 공기조화기{Air conditioner}
본 발명은 급, 배기 되는 공기의 직접 접촉을 통해 열교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급, 배기구를 주기적으로 바꿔주는 듀얼 열교환 타입의 외기 도입형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주택의 주거공간이나, 오피스텔 또는 사무실과 같은 건물의 작업공간에서는 여름철의 냉방과 겨울철의 난방이 에너지 소비의 주된 요인이 되고 있다.
최근에는 인구의 증가에 따른 주거공간의 확산과 산업개발에 따른 공장부지 및 사무실의 증가로 인하여 냉, 난방에 소요되는 에너지의 수요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와 같은 에너지의 급격한 수요는 기름이나 천연가스와 같은 화석연료의 가격상승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특히 농, 축산업 및 수산업의 분야에서는 시설농가와 양식업의 경영자들이 화석연료의 가격상승에 따른 냉, 난방비의 상승으로 경영압박을 받고 있는 실정이고, 제조업의 분야에서도 마찬가지로 에너지의 조달에 소요되는 비용의 상승으로 제품의 생산원가가 상승하여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다.
또한, 이러한 에너지 과소비 현상은 화석연료의 연소과정에서 발생하는 매연 등에 의한 환경오염으로 인하여, 지구온난화의 주된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최근에 와서는 공해를 발생시키지 않으면서도 화석연료의 연소에 의한 냉,난방 효과와 거의 동등한 수준의 에너지를 얻을 수 있도록 냉매의 압축, 증발, 응축의 순환과정에서 발생 및 회수되는 열을 이용하여 냉, 난방을 수행하는 공기조화기기의 사용이 보편화되어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공기조화기는 외기온도가 영하로 떨어지는 동절기엔 열교환기인 냉각코일 및 가열코일 내부를 흐르는 열교환매체인 물이 동결되는 경우가 발생하면서 부피가 팽창하게 되며, 이러한 부피팽창은 압력으로 작용하여, 열교환기의 냉각코일 및 가열코일을 손상시켜, 부분적으로 보수를 해야 하거나 전체를 교환하여야 함으로, 보수 및 교환에 따른 시간적, 경제적 손실을 초래하게 되는 등의 문제가 있는 것이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열교환기의 냉각 및 가열코일의 동파를 방지하기 위한 수단들이 제공된바 있다.
즉 국내실용신안등록 제20-225769호 "동파방지장치를 구비한 열교환기"(특허문헌 1)와, 국내실용신안등록 제20-227935호 "공기조화기용 방열기의 동파방지장치"(특허문헌 2)와, 국내실용신안등록 제20-300908호 "공조용 열교환기의 동파방지장치"(특허문헌 3)가 등록된바 있다.
상기 특허문헌 1의 기술내용을 검토하여 보면, 열교환기의 코일튜브 입구와 출구를 보조관으로 연결하되, 상기 보조관에 온도센서, 전기히터, 순환펌프, 체크밸브 및 제어부를 마련한 것인바, 이는 보조관이 영하로 떨어지게 되면 온도센서가 이를 감지하여 전기히터 및 순환펌프가 가동되면서 체크밸브가 개방되므로, 열교환기의 코일튜브 내부 유체를 가열하고 순환시킴으로서 동파를 방지케 한다는 것이다.
특허문헌 2의 기술내용을 검토하여 보면, 열교환기의 전방 주변의 온도센서로부터 신호를 받아 작동하는 히터를 설치한 구조로서, 외기온도가 영하로 떨어지면 히터가 작동하여 열교환기의 코일튜브가 동파되는 것을 방지케 한다는 것이다.
또한 특허문헌 3의 경우도 열교환기에 구성된 코일튜브에 온도센서를 설치하여 외기온도가 영하로 떨어지면 온도센서의 감지에 의해 히터를 작동, 열을 발산케 함으로서, 열교환기의 코일튜브가 동파되는 것을 방지케 한다는 것이다.
상기 특허문헌 1 내지 특허문헌 3의 기술구성 외기온도가 영하로 떨어지면 온도센서가 이를 감지하여 히터를 작동, 발열케 함으로서 열교환기의 코일튜브가 동파되는 것을 방지케 한다는 내용이나, 동절기의 외부온도가 거의 영하임을 감안할 때 히터의 가동시간이 늘어나게 되고, 그에 따른 전기에너지의 소모가 급격히 늘어나게 되므로 경제적인 부담이 가중되는 등의 문제가 있는 것이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국내특허 제10-784771호 "수직형 열교환기를 구비한 공조기의 동파방지장치 및 시스템"(특허문헌 4)이 제공된바 있다.
상기 특허문헌 4의 기술내용을 검토하여 보면 다수개의 코일을 일정한 간격으로 수직 배열하여 각 상부 헤드와 하부 헤드에 연결시킨 다음 프레임을 조립하여 냉각코일과 가열코일을 구성하며, 상기 냉각코일과 가열코일의 내, 외부에 공기를 공급하는 진공제거변과 온도센서가 연결된 제어부에 의해 조절되는 솔레노이드밸브로 이루어진 동파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따라서 공조기의 가동이 정지되면 수직으로 성형된 코일 내에 잔류하는 수분이 1차 배출되고, 수분이 잔류할 경우 진공제거변을 열어주면 공기의 압력에 의해 코일 내부에 잔류하는 수분이 외부로 배출되어 동파를 방지케 하며, 또한 온도센서가 코일 내부에 잔류하는 수온을 감지하여 1℃이하가 되면 솔레노이드밸브가 완전히 열리면서 코일 내의 수분이 완전히 배출되도록 한다는 것이다.
하지만 상기 특허문헌 4의 장치의 경우 진공제거변, 온도센서, 솔레노이드밸브등 복잡한 감지수단과 장치로 구성되어 있어 상대적으로 오작동의 우려가 있고, 잔류수분이 완전히 배출되지 못하고 코일 내에 잔류하게 될 경우에는 역시 동파의 우려가 있는 것이었다.
더욱이 별도의 동파방지를 위한 수단을 더 구비하여야 함으로써 제작비용 및 이들의 유지비용이 별도로 발생하는 문제점도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급, 배기구를 주기적으로 바꿔주는 듀얼 열교환 타입의 외기 도입형 공기조화기은 열교환기에 냉열 및 온열을 포함한 공기가 직접 맞닿아 열교환이 이루어져 열교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급, 배기구를 주기적으로 바꿔주는 듀얼 열교환 타입의 외기 도입형 공기조화기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공기 흐름 방향 제어를 통해 급기부 및 배기부가 주기적으로 배기 또는 급기 작동이 번갈아가면서 이루어져 겨울철 동파방지를 별도의 수단 없이도 실시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은 제1, 2 공기의 배기 및 급기부가 공기를 급기 및 배기하면서 제1, 2 열교환부와 직접적으로 열교환이 이루어진 후 배기를 하였던 배기부와 급기를 하였던 급기부가 주기적으로 배기 및 급기 작동이 바뀌어 이루어지도록 댐퍼가 작동하여 열교환을 실시하도록 공기의 흐름을 제어하여 공기와 열교환부가 직접 접촉하여 열효환이 이루어져 열교환에 따른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특히, 댐퍼의 공기 흐름 제어에 의해 제1, 2 공기의 배기 및 급기부가 주기적으로 배기 및 급기 작동을 번갈아가면서 실시하여 겨울철 동파를 방지하기 위한 별도 동파방지시설을 설치하지 않더라도 동파를 방지하여 동파방지시설의 설치에 따른 비용절감 및 유지보수에 따른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유용한 발명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급, 배기구를 주기적으로 바꿔주는 듀얼 열교환 타입의 외기 도입형 공기조화기을 도시한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급, 배기구를 주기적으로 바꿔주는 듀얼 열교환 타입의 외기 도입형 공기조화기을 도시한 개략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급, 배기구를 주기적으로 바꿔주는 듀얼 열교환 타입의 외기 도입형 공기조화기의 공기 흐름을 나타낸 상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급, 배기구를 주기적으로 바꿔주는 듀얼 열교환 타입의 외기 도입형 공기조화기의 공기 흐름을 변경하였을 때의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구성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도록 한다.
우선, 공기 급기부(10)는 실내에 설치되어 외부의 공기를 공급받을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해 상기 공기 급기부(10)는 실내에 설치되는 공기 공급 디퓨져(11)와 상기 공기 공급 디퓨져(11)와 급기라인(13)에 의해 연결되는 급기팬(12)으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급기팬(12)에는 필터(F)가 구성될 수 있으며, 이때의 필터(F)는 프리필터(Pre-Filter) / 미디움필터(Medium Filter)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음으로, 공기 배출부(20)는 실내에 설치되어 내부의 오염 공기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해 상기 공기 배출구(20)는 실내에 설치되는 공기 배출 디퓨져(21)와 상기 공기 배출 디퓨져(21)와 배기라인(23)에 의해 연결되는 배기팬(22)으로 구성된다.
다음으로, 댐퍼(D)는 상기 공기 급기부(10)와 공기 배출구(20) 사이에 형성되어 공기의 흐름 방향을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댐퍼(D)와 급기구(10)의 급기팬(12) 사이에는 필터(F)가 구성된다.
다음으로, 제1 공기의 배기 및 급기부(40)는 실외에 설치되는 구성으로서 상술한 댐퍼(D)에 결합되어 댐퍼(D)의 작동에 의해 실내의 공기를 외부로 공기를 배출하는 역할을 하는 배기부 또는 외부의 공기를 흡입하여 실내로 외부 공기를 공급하는 역할을 하는 급기부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다음으로, 제2 공기의 배기 및 급기부(50)는 실외에 설치되는 구성으로서, 상술한 댐퍼(D)에 결합되어 댐퍼(D)의 작동에 의해 실내의 공기를 외부로 공기를 배출하는 역할을 하는 배기부 또는 외부의 공기를 흡입하여 실내로 외부 공기를 공급하는 역할을 하는 급기부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1, 2 배기 및 급기부(40, 50)는 댐퍼(D)에 의해 공기의 흐름 방향이 제어될 때에 서로 다른 역할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즉, 댐퍼(D)에 의해 공기 급기부와 제1 공기의 배기 및 급기부(40)가 연결되어 제1 공기의 배기 및 급기부(40)가 급기부의 역할을 수행하게 되면 공기 배출부(20)와 제2 공기의 배기 및 급기부(50)가 연결되어 제2 공기의 배기 및 급기부(50)가 배기부의 역할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다음으로, 제1 열교환부(60)는 댐퍼(D)와 제1 공기의 배기 및 급기부(40) 사이에 형성되어 공기가 이동할 때에 공기 내에 포함된 냉열 및 온열을 포함하는 열에너지를 흡수하기 위해 구성된다.
다음으로, 제2 열교환부(70)는 댐퍼(D)와 제2 공기의 배기 및 급기부(50) 사이에 형성되어 공기가 이동할 때에 공기 내에 포함된 냉열 및 온열을 포함하는 열에너지를 흡수하기 위해 구성된다.
다음으로, 냉난방 유닛(80)은 급기부(10)와 댐퍼(D) 사이에 설치되어 실내로 공기를 공급할 때에 냉열 또는 온열을 공급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냉난방 유닛(80)은 냉온수 겸용코일(Dx-coil) 유닛 또는 직팽식코일(Common coil)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것으로 이용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위에서 언급한 댐퍼(D)의 실시 예에 따른 구성 및 그에 따른 작용효과에 대해 살펴보도록 한다.
[실시 예]
실시 예에 따른 본 발명의 구성에 대해 도 2를 이용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공기 급기부(10)는 실내에 설치되어 외부의 공기를 공급받을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해 상기 공기 급기부(10)는 실내에 설치되는 공기 공급 디퓨져(11)와 상기 공기 공급 디퓨져(11)와 연결되는 급기팬(12) 및 필터(F)가 구성된다.
다음으로, 공기 배출부(20)는 실내에 설치되어 내부의 오염 공기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해 상기 공기 배출구(20)는 실내에 설치되는 공기 배출 디퓨져(21)와 상기 공기 배출 디퓨져(21)와 연결되는 배기팬(22)으로 구성된다.
다음으로, 댐퍼(D)는 상기 공기 급기부(10)와 공기 배출구(20) 사이에 형성되어 공기의 흐름 방향을 제어할 수 있도록 통상의 제어부(도면에 미도시)에 의해 제어되는 구성이다.
상기 댐퍼(D)는 공기 급기부(10) 및 공기 배출부(20)의 공기 흐름 방향을 제어하기 위하여 제1, 2 수직 댐퍼(31, 32)와 제1, 2 수평 댐퍼(33, 34)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술한 댐퍼(D)의 제1, 2 수직 댐퍼(31, 32)와 제1, 2 수평 댐퍼(33, 34)는 제1, 2 수직 댐퍼(31, 32)가 개방되면, 제1, 2 수평 댐퍼(33, 34)가 폐쇄되고, 제1,2 수직 댐퍼(31, 32)가 폐쇄되면 제1, 2 수평 댐퍼(33, 34)가 개방되도록 제어된다.
다음으로, 제1 공기의 배기 및 급기부(40)는 실외에 설치되는 구성으로서 상술한 댐퍼(D)에 결합되어 댐퍼(D)의 작동에 의해 실내의 공기를 외부로 공기를 배출하는 역할을 하는 배기부 또는 외부의 공기를 흡입하여 실내로 외부 공기를 공급하는 역할을 하는 급기부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다음으로, 제2 공기의 배기 및 급기부(50)는 실외에 설치되는 구성으로서, 상술한 댐퍼(D)에 결합되어 댐퍼(D)의 작동에 의해 실내의 공기를 외부로 공기를 배출하는 역할을 하는 배기부 또는 외부의 공기를 흡입하여 실내로 외부 공기를 공급하는 역할을 하는 급기부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1, 2 배기 및 급기부(40, 50)는 댐퍼(D)에 의해 공기의 흐름 방향이 제어될 때에 서로 다른 역할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즉, 댐퍼(D)에 의해 공기 급기부와 제1 공기의 배기 및 급기부(40)가 연결되어 제1 공기의 배기 및 급기부(40)가 급기부의 역할을 수행하게 되면 공기 배출부(20)와 제2 공기의 배기 및 급기부(50)가 연결되어 제2 공기의 배기 및 급기부(50)가 배기부의 역할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다음으로, 제1 열교환부(60)는 댐퍼(D)와 제1 공기의 배기 및 급기부(40) 사이에 형성되어 급, 배기 되는 공기가 이동할 때에 공기 내에 포함된 냉열 및 온열을 포함하는 열에너지를 공기와 직접 접촉하여 흡수하기 위해 구성된다.
다음으로, 제2 열교환부(70)는 댐퍼(D)와 제2 공기의 배기 및 급기부(50) 사이에 형성되어 급, 배기 되는 공기가 이동할 때에 공기 내에 포함된 냉열 및 온열을 포함하는 열에너지를 공기와 직접 접촉하여 흡수하기 위해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급, 배기구를 주기적으로 바꿔주는 듀얼 열교환 타입의 외기 도입형 공기조화기의 작용효과에 대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본 발명에 따른 급, 배기구를 주기적으로 바꿔주는 듀얼 열교환 타입의 외기 도입형 공기조화기(1)은 댐퍼(D)를 이용해 공기의 흐름방향을 제어하여 열교환 효율성을 높이면서 겨울철 별도의 동파방지를 위한 수단을 구성하지 않더라도 동파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즉, 겨울철에 본 발명이 작동하는 것을 예시로 설명하면
도 3에서와 같이 댐퍼(D)의 제1, 2 수평 댐퍼(33, 34)가 개방되고, 제1, 2 수직 댐퍼(31, 32)가 폐쇄되면 공기 급기부(10)의 급기팬(12)에 의해 외부의 공기가 제1 공기의 배기 및 급기부(40), 제1 열교환부(60), 댐퍼(D)의 개방된 제1 수평 댐퍼(33) 및 공기 급기부(10)의 공기 공급 디퓨져(11)를 통해 실내로 유입된다.
이때에, 상기 급기팬(12)과 댐퍼(D) 사이에 형성되어 여름철에는 냉방을 위한 냉열을 발산하고 겨울철에는 난방을 위한 온열을 발산하는 냉난방 유닛(80)에 의해 공기 공급 디퓨져(11)를 통해 실내로 유입되는 공기는 열원을 포함하여 실내로 유입된다.
여기서 상기와 같이 제1 공기의 배기 및 급기부(40), 제1 열교환부(60), 댐퍼(D) 및 공기 급기부(10)를 통해 유입되는 최초의 외부 공기는 냉열을 가지고 있는 상태로 유입이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공기 배출부(20)의 배기팬(22)의 구동에 의해 공기 배출 디퓨져(12), 댐퍼(D)의 제2 수평 댐퍼(34), 제2 열교환부(70) 및 제2 공기의 배기 및 급기부(50)를 통해 실내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된다.
여기서, 실내에 설치된 공기 배출부(20), 댐퍼(D), 제2 열교환기(70) 및 제2 공기의 배기 및 급기부(50)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는 온열을 가지고 있는 상태로서 외부로 배출하기 전에 제2 열교환기(70)에서 열교환이 이루어진 후 외부로 공기가 배출된다.
다음으로, 상기와 같은 공기 흐름을 유지한 상태에서 일정 시간 후 예컨대, 60초 후에 댐퍼(D)가 작동하여 제2 공기의 배기 및 급기부(50), 제2 열교환부(70), 댐퍼(D), 공기 급기부(10)의 순서로 공기의 흐름이 도 4에서와 같이 바뀌도록 작동하게 된다.
그러면, 공기 급기부(10)를 구성하는 급기팬(12)에 의해 제2 공기의 배기 및 급기부(50)는 배기부의 역할에서 급기부의 역할로 전환이 이루어지게 되어 외부의 냉열을 포함한 외부 공기를 흡입하게 된다.
이때에, 냉열을 포함한 외부 공기는 바로 전 단계에서 열교환 되어 온열을 가지고 있는 제2 열교환부(70)를 통과하면서 열교환이 이루어지게 되어 온열을 포함한 공기가 되어 실내에 공급이 이루어지는데, 이때에, 급기팬(12)과 댐퍼(D) 사이에 형성된 냉난방 유닛(80)에서의 열원을 포함하여 이동하게 되며, 본 발명은 댐퍼(D)가 주기적으로 공기 흐름 방향을 제어하여 열교환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작용하게 된다.
특히, 상기와 같이 외부 공기 및 실내 공기는 급, 배기 되는 과정에서 제1, 2 열교환부(60, 70)와 직접 맞닿아 열교환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열교환 효율성이 높아지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댐퍼(D)의 제1, 2 수직 댐퍼(31, 32)와 제1, 2 수평 댐퍼(33, 34)의 개폐를 주기적으로 제어해 공기 흐름 방향을 지속적으로 제어하여 외부에 설치되어 있는 제1, 2 공기의 배기 및 급기부(40, 50)가 주기적으로 배기부 및 급기부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작용하게 된다.
이러한 과정에서 제1, 2 공기의 배기 및 급기부(40, 50)에는 온열을 포함한 공기 및 냉열을 포함한 공기가 주기적으로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외부 온도가 매우 낮을 때에도 주기적으로 제1, 2 공기의 배기 및 급기부(40, 50)에 온열을 포함한 공기가 이동하기 때문에 별도의 동파방지시설을 구비하지 않더라도 동파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를 통해, 별도의 동파방지시설 설치에 따른 비용 절감 및 유지보수에 따른 비용을 절감할 수 있게 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상술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에에 대해 기재한 것이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로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음은 본 발명에 속하는 통상의 기술자에게 당연한 것임을 명시한다.
10 : 공기 급기부
11 : 공기 공급 디퓨져 12 : 급기팬
20 : 공기 배출부
21 : 공기 배출 디퓨져 22 : 배기팬
D : 댐퍼
31 : 제1 수직 댐퍼 32 : 제2 수직 댐퍼
33 : 제1 수평 댐퍼 34 : 제2 수평댐퍼
40 : 제1 공기의 배기 및 급기부
50 : 제2 공기의 배기 및 급기부
60 : 제1 열교환부
70 : 제2 열교환부
80 : 냉난방 유닛
1 : 급, 배기구를 주기적으로 바꿔주는 듀얼 열교환 타입의 외기 도입형 공기조화기

Claims (6)

  1. 실내에 공기를 공급하기 위해 공기 공급 디퓨져(11)와 급기팬(12)으로 이루어진 공기 급기부(10);
    실내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해 공기 배출 디퓨져(21)와 배기팬(22)으로 이루어진 공기 배출부(20);
    상기 공기 급기부(10) 및 공기 배출부(20)의 공기 흐름 방향을 제어하기 위한 제1, 2 수직 댐퍼(31, 32)와 제1, 2 수평 댐퍼(33, 34)로 이루어진 댐퍼(D);
    상기 댐퍼(D)에 의해 공기 급기부(10) 또는 공기 배출부(20)에 연결되어 실외의 외부 공기를 공급하거나 내부 공기를 배출하기 위한 제1 공기의 배기 및 급기부(40);
    상기 댐퍼(D)에 의해 공기 급기부(10) 또는 공기 배출부(20)에 연결되어 실외의 외부 공기를 공급하거나 내부 공기를 배출하기 위한 제2 공기의 배기 및 급기부(50);
    상기 댐퍼(D)와 제1 공기의 배기 및 급기부(40) 사이에 형성되어 댐퍼(D)에 의해 공기 급기부(10) 또는 공기 배출부(20)와 연결되는 제1 열교환부(60);
    상기 댐퍼(D)와 제2 공기의 배기 및 급기부(50) 사이에 형성되어 댐퍼(D)에 의해 공기 급기부(10) 또는 공기 배출부(20)와 연결되는 제2 열교환부(70);
    상기 급기부(10)와 댐퍼(D) 사이에 배치되는 냉난방 유닛(80);으로 이루어져 있어,
    상기 댐퍼(D)의 제1, 2 수평 댐퍼(33, 34)가 개방되고, 상기 제1, 2 수직 댐퍼(31, 32)가 폐쇄되면 공기 급기부(10)의 급기팬(12)에 의해 외부의 공기가 제1 공기의 배기 및 급기부(40), 제1 열교환부(60), 댐퍼(D)의 개방된 제1 수평 댐퍼(33) 및 공기 급기부(10)의 공기 공급 디퓨져(11)를 통해 실내로 유입되는 최초의 외부 공기는 냉열을 가지고 있는 상태로 유입이 이루어지게 되면서 실내에 설치된 공기 배출부(20), 댐퍼(D), 제2 열교환기(70) 및 제2 공기의 배기 및 급기부(50)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는 온열을 가지고 있는 상태로서 외부로 배출하기 전에 제2 열교환기(70)에서 열교환이 이루어진 후 외부로 공기가 배출되며,
    상기와 같은 댐퍼(D)의 작동에 의한 공기 흐름을 유지한 상태에서 일정 시간 후에 댐퍼(D)가 작동하여 제2 공기의 배기 및 급기부(50), 제2 열교환부(70), 댐퍼(D), 공기 급기부(10)의 순서로 공기의 흐름이 바뀌도록 작동하게 되면 상기 공기 급기부(10)를 구성하는 급기팬(12)에 의해 제2 공기의 배기 및 급기부(50)는 배기부의 역할에서 급기부의 역할로 전환이 이루어지게 되어 외부의 냉열을 포함한 외부 공기를 흡입하게 되면서 냉열을 포함한 외부 공기는 바로 전 단계에서 열교환 되어 온열을 가지고 있는 제2 열교환부(70)를 통과하면서 열교환이 이루어지게 되어 온열을 포함한 공기가 되어 실내에 공급이 이루어지게 되고,
    상기 댐퍼(D)의 제1, 2 수직 댐퍼(31, 32)와 제1, 2 수평 댐퍼(33, 34)의 개폐를 주기적으로 제어해 공기 흐름 방향을 지속적으로 제어하여 외부에 설치되어 있는 제1, 2 공기의 배기 및 급기부(40, 50)가 주기적으로 배기부 및 급기부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여 급, 배기 되는 공기가 제1, 2 열교환부(60, 70)와의 열 교환이 직접 맞닿아 열교환이 이루어져 열교환 효율성을 높이면서 상기 제1, 2 공기의 배기 및 급기부(40, 50)에는 온열을 포함한 공기 및 냉열을 포함한 공기가 주기적으로 이동하게 되어 외부 온도가 매우 낮을 때에도 주기적으로 제1, 2 공기의 배기 및 급기부(40, 50)에 온열을 포함한 공기가 이동하기 때문에 별도의 동파방지시설을 구비하지 않더라도 겨울철 동파를 방지할 수 있도록 작동하는 것에 특징이 있는 급, 배기구를 주기적으로 바꿔주는 듀얼 열교환 타입의 외기 도입형 공기조화기.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냉난방 유닛은 냉온수 겸용코일(Dx-coil) 유닛 또는 직팽식코일(Common coil) 유닛 중 선택된 어느 하나로 이루어져 있는 것에 특징이 있는 급, 배기구를 주기적으로 바꿔주는 듀얼 열교환 타입의 외기 도입형 공기조화기.
KR1020170077067A 2017-06-19 2017-06-19 급, 배기구를 주기적으로 바꿔주는 듀얼 열교환 타입의 외기 도입형 공기조화기 KR1018713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7067A KR101871386B1 (ko) 2017-06-19 2017-06-19 급, 배기구를 주기적으로 바꿔주는 듀얼 열교환 타입의 외기 도입형 공기조화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7067A KR101871386B1 (ko) 2017-06-19 2017-06-19 급, 배기구를 주기적으로 바꿔주는 듀얼 열교환 타입의 외기 도입형 공기조화기

Related Child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52302A Division KR101871389B1 (ko) 2018-05-08 2018-05-08 급, 배기구를 주기적으로 바꿔주는 듀얼 열교환 타입의 외기 도입형 공기조화기
KR1020180052308A Division KR101871393B1 (ko) 2018-05-08 2018-05-08 급, 배기구를 주기적으로 바꿔주는 듀얼 열교환 타입의 외기 도입형 공기조화기
KR1020180052311A Division KR101871397B1 (ko) 2018-05-08 2018-05-08 급, 배기구를 주기적으로 바꿔주는 듀얼 열교환 타입의 외기 도입형 공기조화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71386B1 true KR101871386B1 (ko) 2018-06-26

Family

ID=627883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77067A KR101871386B1 (ko) 2017-06-19 2017-06-19 급, 배기구를 주기적으로 바꿔주는 듀얼 열교환 타입의 외기 도입형 공기조화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71386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28088B1 (ko) * 2005-05-03 2006-09-26 엘지전자 주식회사 박형 환기장치
JP4152233B2 (ja) * 2003-03-28 2008-09-17 大阪瓦斯株式会社 炉加熱用の蓄熱式燃焼装置
KR101263656B1 (ko) * 2012-01-05 2013-05-22 대림산업 주식회사 열교환기의 병렬배치와 댐퍼부재의 전환을 통한 바이패스 기능을 가지는 열교환기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실내외 공기의 급배기방법
KR101394978B1 (ko) * 2012-11-16 2014-05-15 대림산업 주식회사 배기팬의 공조팬 전용이 가능한 폐열회수 환기겸용 복합공조장치
KR20170004468A (ko) * 2015-07-02 2017-01-11 주식회사 경동나비엔 바이패스형 환기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152233B2 (ja) * 2003-03-28 2008-09-17 大阪瓦斯株式会社 炉加熱用の蓄熱式燃焼装置
KR100628088B1 (ko) * 2005-05-03 2006-09-26 엘지전자 주식회사 박형 환기장치
KR101263656B1 (ko) * 2012-01-05 2013-05-22 대림산업 주식회사 열교환기의 병렬배치와 댐퍼부재의 전환을 통한 바이패스 기능을 가지는 열교환기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실내외 공기의 급배기방법
KR101394978B1 (ko) * 2012-11-16 2014-05-15 대림산업 주식회사 배기팬의 공조팬 전용이 가능한 폐열회수 환기겸용 복합공조장치
KR20170004468A (ko) * 2015-07-02 2017-01-11 주식회사 경동나비엔 바이패스형 환기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692057B (zh) 节能空调冷水机组及节能空调系统
CN102313397A (zh) 热回收多联热泵空调热水机系统
CN109764401A (zh) 一种暖通工程用新型热泵系统
CN104101038A (zh) 多模式运行蒸发制冷供冷水装置及其使用方法
CN105890225A (zh) 一种部分热回收型空调冷热水及生活热水联合供应系统
CN205299803U (zh) 一种恒温恒湿恒压净化无菌空调一体机
KR101871393B1 (ko) 급, 배기구를 주기적으로 바꿔주는 듀얼 열교환 타입의 외기 도입형 공기조화기
KR101860070B1 (ko) 급, 배기구를 주기적으로 바꿔주는 듀얼 열교환 타입의 열교환 시스템
CN103528133B (zh) 整体式空调机组
KR101871386B1 (ko) 급, 배기구를 주기적으로 바꿔주는 듀얼 열교환 타입의 외기 도입형 공기조화기
KR101871389B1 (ko) 급, 배기구를 주기적으로 바꿔주는 듀얼 열교환 타입의 외기 도입형 공기조화기
KR101871397B1 (ko) 급, 배기구를 주기적으로 바꿔주는 듀얼 열교환 타입의 외기 도입형 공기조화기
KR101860074B1 (ko) 급, 배기구를 주기적으로 바꿔주는 듀얼 열교환 타입의 열교환 시스템
KR101871381B1 (ko) 급, 배기구를 주기적으로 바꿔주는 듀얼 열교환 타입의 열교환 시스템
KR101860076B1 (ko) 급, 배기구를 주기적으로 바꿔주는 듀얼 열교환 타입의 열교환 시스템
KR101860072B1 (ko) 급, 배기구를 주기적으로 바꿔주는 듀얼 열교환 타입의 열교환 시스템
CN203177386U (zh) 一种空气加湿系统
CN103090490B (zh) 一种空气加湿系统
CN104949227A (zh) 空调机组
CN104344550A (zh) 热泵热水器组
CN110671764B (zh) 一种集成喷雾功能的空调机组
KR20060130836A (ko) 농축산용 냉난방기
CN103032994A (zh) 一种双蒸发双冷凝户用型中央空调热水系统及其控制方法
CN203404923U (zh) 全热回收型折叠式送、回、排风一体式空调机组
CN203177331U (zh) 一种空气加湿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