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04353U - 방충망 및 이를 포함하는 창호 시스템 - Google Patents

방충망 및 이를 포함하는 창호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04353U
KR20170004353U KR2020160003368U KR20160003368U KR20170004353U KR 20170004353 U KR20170004353 U KR 20170004353U KR 2020160003368 U KR2020160003368 U KR 2020160003368U KR 20160003368 U KR20160003368 U KR 20160003368U KR 20170004353 U KR20170004353 U KR 20170004353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window
screen
net
lock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6000336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한표
맹명환
곽진식
Original Assignee
(주) 이건홀딩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이건홀딩스 filed Critical (주) 이건홀딩스
Priority to KR202016000336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04353U/ko
Publication of KR2017000435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4353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2Device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insects, e.g. fly screens; Mesh windows for other purpose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54Fixing of glass panes or like plates
    • E06B3/58Fixing of glass panes or like plates by means of borders, cleats, or the like
    • E06B3/585Fixing of glass panes or like plates by means of borders, cleats, or the like adjustable, e.g. for accommodating panes of various thickness, or with provisions for altering the clamping force on the pane
    • E06B3/5857Fixing of glass panes or like plates by means of borders, cleats, or the like adjustable, e.g. for accommodating panes of various thickness, or with provisions for altering the clamping force on the pane the fixing being adjustable, e.g. in one of several possible posi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2Device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insects, e.g. fly screens; Mesh windows for other purposes
    • E06B2009/527Mounting of screens to window or do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Architecture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방충망은 틀, 망 및 잠금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틀은 내부에 상하 방향으로 신장 및 수축이 가능한 체결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잠금 장치는 상기 틀에 부착되고, 상기 체결 장치와 동작 가능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

Description

방충망 및 이를 포함하는 창호 시스템 {SCREEN WINDOW AND WINDOW SYSTEM INCLUDING THE SAME}
본 고안은 창호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방충망 및 이를 포함하는 창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건물 외부와의 개방성을 위해 유리 창호 시스템을 건물 벽에 장착하여 시공하고 있다. 유리 창호를 열었을 때 곤충 또는 해충들이 건물 내부로 침입하지 못하도록 방충망을 함께 부착하여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현재까지 개발된 방충망은 내구성과 안정성에 취약성을 나타낸다. 일반적인 방충망은 창호와 결합이 완전하지 않기 때문에 사용자가 사용할수록 내구성이 약해지고, 프레임을 따라 정상적으로 이동하지 못하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일반적인 방범 또는 안전 방충망은 방충망의 틀과 망의 체결관계에 중점을 두고 있을 뿐, 방충망과 유리 창호와의 체결관계에 대해 큰 중점을 두고 있지 않았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실용신안 공개공보 제20-2011-0005281호는 경사돌기부재, 앵커턱고정대 및 경사힌지 일체형 손잡이를 사용하여 방충망의 이탈을 방지하는 "방충창 이탈 방지 장치"를 제공한 바 있다. 아울러, 다양한 방식으로 방충망과 창호를 체결하기 위해 잠금 장치를 포함하는 방충망이 제안되었으나, 외부의 물리력을 가할 경우 쉽게 잠금 장치가 해제 및 파손되기 쉽다. 또한, 잠금 장치로 인해, 창호의 외관을 저해하고, 사용자로 하여금 창호의 사용을 불편하게 만드는 문제점을 초래하였다.
본 고안의 실시예는 방충망에 잠금 장치를 내재시키고, 방충망이 창호와 체결될 수 있도록 체결 장치를 동작시키는 손잡이가 실내 방향에 위치되는 방충망 및 이를 포함하는 창호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방충망은 내부에 상하 방향으로 신장 및 수축이 가능한 체결 장치를 포함하는 틀; 상기 틀 내부에 결합되는 망; 상기 망과 상기 틀 사이를 결속시키는 보강 부재; 및 상기 틀에 부착되고, 상기 체결 장치와 동작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잠금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창호 시스템은 제 1 가이드 레일 및 제 2 가이드 레일을 포함하는 창호 프레임; 상기 제 1 가이드 레일에 끼워져 좌우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방충망; 및 상기 제 2 가이드 레일에 끼워져 상기 좌우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창문을 포함하고, 상기 방충망은, 내부에 상하 방향으로 신장 및 수축이 가능한 체결 장치를 포함하는 방충망 틀; 및 상기 방충망 틀에 부착되고, 상기 체결 장치와 동작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잠금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는 창호의 외관을 개선시키고, 방충망과 창호의 단단한 체결 관계를 제공하여 창호의 방범 안전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방충망 및 창호 프레임을 보여주는 도면,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창호 프레임 중 A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상기 방충망과 상기 창호 프레임이 잠금 상태일 때의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방충망의 일 부분을 보여주는 도면
도 5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창호 시스템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
도 6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방충망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
도 7a 및 7b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방충망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방충망(110) 및 창호 프레임(120)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에서, 상기 방충망(110)은 상기 창호 프레임(120)과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창호 프레임(120)은 후술되는 가이드 레일(도시하지 않음.)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방충망(110)은 상기 가이드 레일에 끼워져 상기 가이드 레일을 따라 좌우 방향(1, 1?)으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방충망(110)은 틀(130) 및 망(14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망(140)은 상기 틀(130) 내부에 끼워져 고정될 수 있다. 상기 틀(130)의 상부(131) 및 하부(132)에는 상기 창호 프레임(120)의 가이드 레일과 연결될 수 있는 구조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방충망(110)의 틀(130) 내부에는 체결 장치(15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체결 장치(150)는 상기 틀의 수직부(133)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체결 장치(150)는 상기 방충망(110)의 틀(130) 내부에서 상하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상하 방향은 상기 방충망(110)이 이동하는 좌우 방향(1, 1?)과 수직하는 방향일 수 있다. 상기 체결 장치(150)는 상하 방향으로 신장 및 수축될 수 있다. 상기 체결 장치(150)는 후술되는 잠금 장치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 신장되거나 수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잠금 해제 상태일 때 상기 체결 장치(150)는 상하 양 방향으로 수축될 수 있고, 잠금 상태일 때 상기 체결 장치(150)는 상하 양 방향으로 신장될 수 있다.
상기 창호 프레임(120)은 체결부(17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체결부(170)는 상기 창호 프레임의 상부(121) 및 하부(122)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체결부(170)는 상기 창호 프레임(120)과 일체로 구비될 수 있고, 별도의 구성요소로 제작되어 상기 창호 프레임(120)에 부착될 수도 있다. 상기 체결부(170)는 상기 방충망(110)이 닫혔을 때 상기 체결 장치(150)가 위치되는 부분과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방충망(110)이 좌측(1)으로 이동하여 닫힌 상태에서, 상기 체결 장치(150)는 상기 체결부(170)와 대응하는 위치에 위치될 수 있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창호 프레임(120) 중 A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에서, 상기 창호 프레임(120)은 가이드 레일(123) 및 상기 체결부(17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에서, 상기 가이드 레일(123)은 상기 창호 프레임(120)의 하부(122)에 형성된 것을 예시하였으나, 상기 창호 프레임(120)의 상부(121)에도 가이드 레일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체결부(170)는 상기 프레임 하부(122)와 수직부(124)가 이어지는 부분에 형성 또는 부착될 수 있다. 상기 체결부(170)는 상기 체결 장치(150)가 들어갈 수 있는 리세스(171)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체결부(170)는 상기 리세스(171)를 구비하여 잠금 상태일 때 신장되는 상기 체결 장치(150)가 상기 리세스(171) 안으로 들어갈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잠금 상태일 때 상기 체결 장치(150)는 상하 방향으로 신장되어 상기 창호 프레임(120)의 상부(121) 및 하부(122)에 구비되는 2개의 체결부(170)의 리세스(171)로 각각 들어갈 수 있으므로, 상기 방충망(110) 및 상기 창호 프레임(120)은 서로 단단하게 고정될 수 있다.
도 3은 상기 방충망(110)과 상기 창호 프레임(120)이 잠금 상태일 때의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상기 방충망이 닫혔을 때, 상기 방충망(110)은 상기 창호 프레임(120)의 일부와 상기 체결부(170)를 덮을 수 있으므로, 상기 방충망(110)에 의해 덮인 부분은 점선으로 표시되었다. 상기 방충망(110)이 닫혔을 때 상기 체결 장치(150)는 상기 체결부(170)의 리세스(171)에 대응하는 위치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체결 장치(150)가 상하 양 방향으로 신장되면 상기 체결 장치(150)는 상기 체결부(170)의 리세스(171) 안으로 들어갈 수 있고, 상기 방충망(110)을 상기 창호 프레임(120)에 고정시킬 수 있다. 상기 체결 장치(150)는 상기 방충망(110) 내부에 위치되고 리세스(171) 내부로 들어가기 때문에 외부에서 보이지 않지만, 명확한 설명을 위해 실선으로 표시하였다.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방충망(110)의 일 부분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상기 방충망(110)은 틀(130) 및 망(140)을 포함하고, 잠금 장치(1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잠금 장치(180)는 상기 체결 장치(150)와 동작 가능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잠금 장치(180)는 상기 방충망(110)이 창호 프레임(120)에 끼워졌을 때 건물 실내 쪽 방향의 틀(130)에 부착될 수 있다. 상기 잠금 장치(180)는 손잡이(181) 및 동작부(18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손잡이(181)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회전될 수 있다. 상기 동작부(182)는 상기 손잡이(181)와 동작 가능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동작부(182)는 상기 체결 장치(150)와 동작 가능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동작부(182)는 상기 손잡이(181)의 회전에 따라 상기 체결 장치(150)를 신장 또는 수축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동작부(182)는 상기 손잡이(181)가 제 1 방향으로 회전하면 상기 체결 장치(150)를 신장시킬 수 있고, 상기 손잡이(181)가 제 2 방향으로 회전하면 상기 체결 장치(150)를 수축시킬 수 있다. 상기 손잡이(181)는 상기 잠금 장치(180)에서 분리될 수 있다. 즉, 상기 손잡이(181)는 상기 방충망(110)에서 분리 가능하다. 따라서, 상기 체결 장치(150)를 신장시켜 상기 방충망(110)을 상기 창호 프레임(120)에 고정시킨 후 손잡이(181)를 분리하면, 다시 손잡이(181)를 끼워서 상기 방충망(110) 및 창호 프레임(120)의 잠금 상태를 해제시키지 않는 한 상기 방충망(110)의 잠금 상태를 물리적으로 해제시키기 어렵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손잡이(181)의 형상은 기능성 및 디자인성을 고려하여 다양하게 변화될 수 있다.
도 5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창호 시스템(5)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에서, 상기 창호 시스템(5)은 창호 프레임(510), 방충망(520) 및 창문(53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창호 프레임(510)은 건물 벽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창호 프레임(510)은 제 1 가이드 레일(511) 및 제 2 가이드 레일(51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충망(520)은 방충망 틀(521) 및 망(52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망(522)은 상기 방충망 틀(521) 내부에 연결되어 고정될 수 있다. 상기 방충망 틀(521)은 상기 제 1 가이드 레일(511)에 끼워질 수 있다. 상기 방충망 틀(521)이 상기 제 1 가이드 레일(511)에 끼워짐으로써 상기 방충망(520)은 상기 제 1 가이드 레일(511)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창문(530)은 창문 틀(531) 및 유리(53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리(532)는 상기 창문 틀(531) 내부에 연결되어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창문 틀(531)은 상기 제 2 가이드 레일(512)에 끼워질 수 있다. 상기 창문 틀(531)이 상기 제 2 가이드 레일(512)에 끼워짐으로써 상기 창문(530)은 상기 제 2 가이드 레일(512)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창호 프레임(510)은 상기 방충망(520)과 상기 창문(530)이 함께 끼워질 수 있도록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도 5에서, 상기 방충망(520)은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방충망(110)일 수 있다. 상기 창호 시스템(5)은 가스켓(541, 542)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스켓(541, 542)은 상기 방충망(520)과 상기 창호 프레임(510) 사이의 이격을 메울 수 있다. 상기 가스켓(541, 542)은 상기 방충망(520)과 상기 창호 프레임(510) 사이의 간격을 차단하여 상기 방충망(520)을 상기 창호 프레임(510)에 보다 단단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상기 가스켓(541, 542)은 서로 분리될 수 있고, 각각 상기 방충망 틀(521) 및 창호 프레임(510) 쪽에 부착될 수 있다.
도 6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방충망(600)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상기 방충망(600)은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방충망(110, 520)으로 적용될 수 있다. 상기 방충망(600)은 방충망 틀(610), 망(620) 및 보강 부재(6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망(620)은 상기 방충망 틀(610) 내부에 끼워지고, 상기 보강 부재(630)는 상기 망(620)과 상기 방충망 틀(610)을 단단히 결속할 수 있다. 상기 보강 부재(630)는 상기 망(620)과 상기 방충망 틀(610) 사이에 끼워져, 상기 망(620)이 상기 방충망 틀(610)로부터 이탈되거나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보강 부재(630)는 보강대(631) 및 코어(63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강대(631)는 상기 보강 부재의 형상을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보강대(630)는 외부 환경에 따라 쉽게 부식되지 않도록 알루미늄 또는 플라스틱과 같은 외부 환경에 비교적 덜 민감한 부재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코어(632)는 상기 보강대(631) 내부를 채울 수 있다. 또는 상기 보강대(631)는 상기 코어(632)를 감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코어(632)는 상기 보강 부재(630)의 강도를 높이기 위해 강철과 같은 소재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코어(632)는 상기 보강 부재(630)의 강도를 증가시켜 상기 망(620)과 방충망 틀(620)의 결속을 보다 단단히 할 수 있다.
도 7a 및 도 7b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방충망(700A, 700B)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a 및 도 7b에서, 상기 방충망(700A, 700B)은 보조 창살(730A, 730B)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조 창살(730A, 730B)은 방충망 틀(710) 사이를 가로질러 배치될 수 있고, 상기 방충망 틀(710)과 일체 또는 결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보조 창살(730A, 730B)은 건물 외부 쪽 방충망 틀 또는 건물 내부 쪽 방충망 틀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보조 창살(730A, 730B)은 상기 방충망(700A, 700B)의 망(720)을 덮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7a에서, 상기 보조 창살(730A)은 수직 방향의 방충망 틀(710) 사이를 가로질러 상기 수직 방향의 방충망 틀(710)과 연결될 수 있다. 도 7b에서, 상기 보조 창살(730B)은 수직 방향 및 수평 방향의 상기 방충망 틀(710)을 가로질러 연결될 수 있고, 격자무늬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보조 창살(730A, 730B)은 상기 방충망(700A, 700B)의 방범 기능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고, 구조적인 강도 또한 향상시킬 수 있다. 도 7a 및 도 7b에서는 상기 보조 창살의 2가지 형상으로 예시하였으나 이에 한정하려는 의도는 아니다. 상기 보조 창살은 방충망의 방법을 위해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을 것이다.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고안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고안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고안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5: 창호 시스템 110/520/600/700A/700B: 방충망
130/521/610/710: 방충망 틀 140/522/620/720: 망
150: 체결 장치 170: 체결부
171: 리세스 180: 잠금 장치
181: 손잡이 182: 동작부
510: 창호 프레임 530: 창문
531: 창문 틀 532: 유리
541/542: 가스켓 630: 보강 부재
631: 보강대 632: 코어
730A/730B: 보조 창살

Claims (6)

  1. 내부에 상하 방향으로 신장 및 수축이 가능한 체결 장치를 포함하는 틀;
    상기 틀 내부에 결합되는 망;
    상기 망과 상기 틀 사이를 결속시키는 보강 부재; 및
    상기 틀에 부착되고, 상기 체결 장치와 동작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잠금 장치를 포함하는 방충망.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 장치는 회전 가능한 손잡이; 및
    상기 손잡이의 회전에 따라 상기 체결 장치를 신장시키거나 수축시키는 동작부를 포함하는 방충망.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는 상기 방충망으로부터 분리 가능한 방충망.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틀을 가로질러 배치되고, 상기 틀과 결합되어 상기 망을 덮을 수 있는 보조 창살을 더 포함하는 창호 시스템.
  5. 제 1 가이드 레일 및 제 2 가이드 레일을 포함하는 창호 프레임;
    상기 제 1 가이드 레일에 끼워져 좌우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방충망; 및
    상기 제 2 가이드 레일에 끼워져 상기 좌우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창문을 포함하고,
    상기 방충망은, 내부에 상하 방향으로 신장 및 수축이 가능한 체결 장치를 포함하는 방충망 틀; 및
    상기 방충망 틀에 부착되고, 상기 체결 장치와 동작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잠금 장치를 포함하는 창호 시스템.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창호 프레임은 신장된 상기 체결 장치가 들어갈 수 있는 리세스를 포함하는 체결부를 포함하는 창호 시스템.
KR2020160003368U 2016-06-15 2016-06-15 방충망 및 이를 포함하는 창호 시스템 KR20170004353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3368U KR20170004353U (ko) 2016-06-15 2016-06-15 방충망 및 이를 포함하는 창호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3368U KR20170004353U (ko) 2016-06-15 2016-06-15 방충망 및 이를 포함하는 창호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4353U true KR20170004353U (ko) 2017-12-26

Family

ID=612595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60003368U KR20170004353U (ko) 2016-06-15 2016-06-15 방충망 및 이를 포함하는 창호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04353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21658A (ko) 2020-03-31 2021-10-08 이청헌 레이저 방충 창호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21658A (ko) 2020-03-31 2021-10-08 이청헌 레이저 방충 창호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86852B1 (ko) 방충망 기능이 구비된 방범창호
KR101643646B1 (ko) 창문용 방범 방충창
KR101363100B1 (ko) 방충망이탈방지스토퍼 및 이를 구비한 슬라이딩창호
KR20170004353U (ko) 방충망 및 이를 포함하는 창호 시스템
WO2008043358A1 (en) A method for securing a screening device to a window, a set of parts and use of a glazing bead of a window
KR101788778B1 (ko) 착탈 가능한 슬라이드 방충망
KR101778077B1 (ko) 출입문용 방범 도어
KR101559964B1 (ko) 안전 방충망장치
KR102053623B1 (ko) 방범 및 방충 창호
KR101986515B1 (ko) 방충망장치
JP2020066906A (ja) 網戸付きサッシ
JP5782660B2 (ja) 多段ロック
KR101573285B1 (ko) 다기능 방충망 및 손잡이 겸용 잠금장치를 갖춘 안전창
JP6841432B2 (ja) 複合型引き違いサッシ
KR101933955B1 (ko) 방범 방충망 프레임
KR100981085B1 (ko) 내부열림 창호용 방충망
KR101830910B1 (ko) 방충망 이탈 방지장치
JP6423299B2 (ja) 網戸付きサッシ
KR101916378B1 (ko) 문틀과 방범방충망의 결속구조
KR20080003281U (ko) 통풍부재를 구비한 egi 휀스
KR20090004433U (ko) 출입문용 권취식 방충망의 손잡이 고정구조
KR20180000779U (ko) 풀다운창이 결합된 미서기창
KR101941379B1 (ko) 창호 방충망용 잠금구 록킹장치
SG182871A1 (en) Flood protection device for building
JP7236976B2 (ja) 門扉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