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04281A - 전자 장치에서 시나리오 기반의 소비전력 제어 방법 및 이를 위한 기록매체 - Google Patents

전자 장치에서 시나리오 기반의 소비전력 제어 방법 및 이를 위한 기록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04281A
KR20170004281A KR1020150094420A KR20150094420A KR20170004281A KR 20170004281 A KR20170004281 A KR 20170004281A KR 1020150094420 A KR1020150094420 A KR 1020150094420A KR 20150094420 A KR20150094420 A KR 20150094420A KR 20170004281 A KR20170004281 A KR 201700042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nic device
power consumption
module
scenario
gpu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944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80059B1 (ko
Inventor
김철민
Original Assignee
가온미디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온미디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가온미디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944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80059B1/ko
Priority to PCT/KR2015/006843 priority patent/WO2017002995A1/ko
Publication of KR201700042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42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800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800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9/00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 H02J9/005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using a power saving mod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63Generation or supply of power specially adapted for television receiv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3OS processes, e.g. booting an STB, implementing a Java virtual machine in an STB or power management in an STB
    • Y02B70/3233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Power Sour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자 장치에서 구현되는 복수의 동작 시나리오 별로 액티브 동작하는 기능모듈을 식별하고 현재의 동작 시나리오에는 불필요하거나 적은 리소스만 필요한 기능모듈에 대해서는 전력 소모를 차단 또는 감소시킴으로써 전체 전력소비를 저감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수의 기능모듈을 장착하여 다양하고 복잡한 기능을 지원하면서도 전체 소비전력은 실효적으로 낮게 유지함으로써 전자 장치의 전력 소비 효율을 제고할 수 있고 저용량 파워모듈을 장착할 수 있게 되어 제품의 크기, 무게, 가격의 측면에서 종래기술에 비해 개선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전자 장치에서 시나리오 기반의 소비전력 제어 방법 및 이를 위한 기록매체 {scenario-based method for controlling power consumption of electronic devices,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the same}
본 발명은 복수의 기능모듈을 장착한 전자 장치에서 상황에 따라 일부 기능모듈에 대해 선택적으로 전력 소모를 차단 또는 감소시킴으로써 전체 전력소비를 저감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전자 장치에서 구현되는 복수의 동작 시나리오 별로 액티브 동작하는 기능모듈을 식별하고 현재의 동작 시나리오에는 불필요하거나 적은 리소스만 필요한 기능모듈에 대해서는 전력 소모를 차단 또는 감소시킴으로써 전체 전력소비를 저감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과거의 전자 장치는 고유의 기능을 제공할 목적으로 제작되었기 때문에 단순한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었다. 그에 따라, 메인 파워의 온/오프 제어에 대응하여 단순히 슬립 모드 정도만 갖추고 있으면 충분하고 복잡한 알고리즘에 따른 고도의 전력 제어를 구현할 필요는 없었다.
그러나 최근의 전자 장치(예: 하이브리드 셋톱박스, IP 셋톱박스, 스마트 텔레비전 등)는 여러가지 수요자 요구를 빠짐없이 만족시킬 수 있도록 다양하고 복잡한 기능을 구현할 필요성이 생겼다. 이러한 기능들 중에서 일부는 기존에 여러 상이한 장치들에서 각자 개별적으로 제공되던 것들을 하나의 장치 내에서 통합적으로 구현 및 재조합한 것에 해당되기도 한다.
이처럼 복잡한 기능을 다양하게 구현함에 따라 최근에는 전자 장치 내에 이질적인 기능모듈들이 다수 장착되고 있다. 또한, 처음부터 모든 기능을 구현할 필요없이 사용자가 소망에 따라 기능을 추가할 수 있도록 소위 레고(lego) 방식으로 기능모듈을 탈부착할 수 있는 기술이 제안되기도 하였다.
그런데, 이처럼 전자 장치에 탑재되는 기능모듈의 갯수가 많아짐에 따라 전자 장치의 전체 소비전력은 매우 커지게 되었다.
그런데, 소비전력이 큰 제품에는 시스템 안정성을 위하여 고용량 파워모듈을 장착해야 하는데, 파워모듈은 용량이 커질수록 크기, 무게, 가격의 면에서 매우 불리해진다. 또한, 소비전력이 크면 아무래도 전기를 많이 소모하기 마련이므로 전기세를 많이 부담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소비전력이 크게 표기된 제품은 일반적으로 소비자들에게 에너지를 낭비하는 제품으로 인식되어 나쁜 이미지를 심어주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전자 장치 내에 다수의 기능모듈을 장착하여 다양하고 복잡한 기능을 지원하면서도 전자 장치의 전체 소비전력은 실효적으로 낮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해주는 기술이 요망된다.
대한민국 특허출원 10-2012-0035597호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파워 관리 방법" 대한민국 특허출원 10-2009-7015210호 "데이터 프로세싱 시스템에서 시스템 전원 손실 통지를 스레시홀딩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대한민국 특허출원 10-2008-0136282호 "시나리오 기반의 아이피티브이 방송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대한민국 특허출원 10-2006-0037506호 "무선신호를 활용한 구내전력량 자동제어장치 및 이에 적합한 제어방법" 대한민국 특허출원 10-2007-0001295호 "다중 안테나 광대역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시나리오 기반운용 모드 선택 장치 및 방법"
본 발명의 목적은 복수의 기능모듈을 장착한 전자 장치에서 상황에 따라 일부 기능모듈에 대해 선택적으로 전력 소모를 차단 또는 감소시킴으로써 전체 전력소비를 저감하는 기술을 제공하는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의 목적은 전자 장치에서 구현되는 복수의 동작 시나리오 별로 액티브 동작하는 기능모듈을 식별하고 현재의 동작 시나리오에는 불필요하거나 적은 리소스만 필요한 기능모듈에 대해서는 전력 소모를 차단 또는 감소시킴으로써 전체 전력소비를 저감하는 기술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다수의 기능모듈을 구비한 전자 장치가 동작 시나리오에 따라 전력 소비를 제어하는 방법으로서, (a) 전자 장치의 복수의 동작 시나리오 별로 액티브 동작하는 기능모듈의 테이블을 생성하는 단계; (b) 전자 장치의 현재 동작 시나리오를 식별하는 단계; (c) 테이블을 조회함으로써 전자 장치에 구비된 다수의 기능모듈 중에서 현재 동작 시나리오에 대응하여 인에이블할 기능모듈과 디스에이블할 기능모듈의 목록을 식별하는 단계; (d) 식별된 디스에이블할 기능모듈에 대해 선택적으로 전력 소모를 차단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e) 전자 장치의 오디오/비디오에 대한 외부 출력 인터페이스 이용 상태를 식별하는 단계; (f) 전자 장치가 디지털 오디오/비디오 출력 인터페이스를 이용하는 경우 AV 디코딩 모듈에 대해 전력 소모를 차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단계 (b)에서 식별된 동작 시나리오는 MPEG 플레이 모드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단계 (d)에서 MPEG 플레이 모드에 대응하여 전자 장치에 탑재된 GPU 모듈에 대해 전력 소모를 차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단계 (b)에서 식별된 동작 시나리오는 2D 그래픽 표시 모드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단계 (d)에서 2D 그래픽 표시 모드에 대응하여 전자 장치에 탑재된 GPU 모듈 중 3D GPU 모듈에 대해 전력 소모를 차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단계 (b)에서 식별된 동작 시나리오는 MPEG 디코딩 모드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g) MPEG 디코딩 모드에 대응하여 전자 장치에 탑재된 CPU 모듈 및 GPU 모듈의 동작클럭을 감소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h) 전자 장치의 온도를 모니터링하여 미리 설정한 임계온도를 초과하는 오버히트 이벤트를 식별하는 단계; (i) 오버히트 이벤트에 대응하여 전자 장치에 탑재된 CPU 모듈 및 GPU 모듈의 동작클럭을 감소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단계 (d)는 인에이블할 기능모듈과 파워 서플라이 모듈의 전원 공급을 연결하는 개별 스위치를 스위칭 온하는 단계; 디스에이블할 기능모듈과 파워 서플라이 모듈의 전원 공급을 연결하는 개별 스위치를 스위칭 오프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수의 기능모듈을 장착하여 다양하고 복잡한 기능을 지원하면서도 전체 소비전력은 실효적으로 낮게 유지함으로써 전자 장치의 전력 소비 효율을 제고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다수의 기능모듈을 장착한 복잡한 전자 장치에 저용량 파워모듈을 장착할 수 있게 되어 제품의 크기, 무게, 가격의 측면에서 종래기술에 비해 개선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시나리오 기반의 소비전력 제어 기술을 적용하기에 적합한 전자 장치의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기능모듈 테이블을 도시한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에서 파워 서플라이 모듈로부터 각 기능모듈로의 전원 공급 라인에서 하드웨어적인 스위칭 온오프를 제공하기 위해 개별 스위칭 모듈이 삽입된 구성을 도시한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시나리오 기반의 소비전력 제어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
[도 5]는 본 발명에서 MPEG 플레이 모드에 대한 소비전력 제어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
[도 6]은 본 발명에서 2D 그래픽 표시 모드에 대한 소비전력 제어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
[도 7]은 본 발명에서 MPEG 디코딩 모드와 오버히트 이벤트에 대한 소비전력 제어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시나리오 기반의 소비전력 제어 기술을 적용하기에 적합한 전자 장치의 예시도이다.
[도 1]에서와 같이, 최근의 IP 셋톱박스는 다양하고 복잡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서 과거의 단순 기능형 방송수신 장치라면 구비하지 않았던 다수의 기능모듈들을 장착하고 있다. 이처럼 다수의 기능모듈을 내부에 장착함에 따라 종래기술에 따라 장치를 운용하게 되면 [도 1]의 IP 셋톱박스는 정격 소비전력이 매우 크게 나타나기 마련이다.
본 발명에서는 IP 셋톱박스의 동작 시나리오를 실시간으로 인식한 후에 현재의 동작 시나리오에서 불필요한 기능모듈에 대해서는 전력 소모를 차단하고 상대적으로 적은 리소스만 필요한 기능모듈에 대해서는 전력 소모를 감소시킴으로써 IP 셋톱박스의 전체 전력소비를 저감한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는 편이상 전자 장치의 일 예로서 IP 셋톱박스를 기준으로 발명의 기술을 설명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동작 시나리오'란 사용자가 전자 장치를 통해 수행하고자 하는 특정의 서비스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하드디스크를 통해 30초 타임쉬프트를 작동시킨 상태에서 위성 방송의 특정 채널을 시청하는 것은 동작 시나리오의 일 예가 될 수 있다. 또한, 위성 방송의 특정 채널을 시청하면서 지상파 방송의 특정 프로그램은 하드디스크에 예약 녹화 설정하는 것도 동작 시나리오의 일 예가 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기능모듈 테이블을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IP 셋톱박스에서 구현된 복수의 동작 시나리오 별로 액티브 동작하는 기능모듈의 목록을 예컨대 테이블 형태로 미리 생성한다.
예컨대, [도 2]의 첫번째 열을 참조하면 '동작 시나리오 #1'에서는 인에이블할 기능모듈이 모듈a, 모듈b, 모듈c 등이고 디스에이블할 기능모듈은 모듈1, 모듈2, 모듈3 등이다. 마찬가지로, 두번째 열을 참조하면 '동작 시나리오 #2'에서는 인에이블할 기능모듈이 모듈a, 모듈d, 모듈1 등이고 디스에이블할 기능모듈은 모듈b, 모듈c, 모듈2 등이다.
이처럼, IP 셋톱박스가 제공하는 다수의 동작 시나리오에 대해서 [도 2]와 같은 기능모듈 테이블을 미리 생성한다. 이를 통해, 사용자 조작에 의하여 특정의 동작 시나리오에 대한 액티브 동작이 감지되면 이러한 기능모듈 테이블을 기초로 디스에이블할 기능모듈을 식별하고 전력 소모를 차단함으로써 IP 셋톱박스의 전력소비를 저감할 수 있게 된다.
[도 2]에서는 인에이블 기능모듈과 디스에이블 기능모듈을 함께 모두 표시하였는데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동작 시나리오 별로 인에이블할 기능모듈의 목록만을 테이블에 기재하거나 디스에이블할 기능모듈의 목록만을 테이블에 기재하는 것도 가능하다. 전자 장치가 제공하는 동작 시나리오 별로 어떠한 기능모듈을 인에이블할 것인지 그리고 어떠한 기능모듈을 디스에이블할 것인지를 식별할 수 있으면 된다.
일례로, 특정의 동작 시나리오에 대하여 기능모듈 테이블로부터 인에이블할 기능모듈의 목록을 획득하면 나머지 기능모듈은 디스에이블할 기능모듈로 판단하여 전력 소모를 차단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서 파워 서플라이 모듈로부터 각 기능모듈로의 전원 공급 라인에서 하드웨어적인 스위칭 온오프를 제공하기 위해 개별 스위칭 모듈이 삽입된 구성을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여 전술한 바에 따르면, 특정의 동작 시나리오가 동작하면 전자 장치에 구비된 일부의 기능모듈을 디스에이블한다. 일반적으로는 기능모듈이 하나의 칩셋이나 전용 소프트웨어로 구현되어 칩셋의 특정 핀 입력을 제어하여 슬립 모드로 설정하거나 해당 전용 소프트웨어를 비활성화함으로써 내부적으로 디스에이블할 수 있다.
하지만, 그와 같은 기능이 마련되지 않은 칩셋으로 구현되어 있거나 순전히 아날로그 회로만으로 구현된 기능모듈에 대해서는 외부 회로를 추가함으로써 하드웨어적으로 디스에이블하는 구성이 필요하다. 이와 같은 기능모듈에 대해서는 파워 서플라이 모듈로부터 해당 기능모듈로 연결되는 전원 공급 라인에 스위치 모듈(SW1 ~ SW4)를 삽입하여 구성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시나리오 기반의 소비전력 제어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단계 (S110) : 본 발명은 다수의 기능모듈을 구비한 전자 장치가 동작 시나리오에 따라 전력 소비를 제어하는 방법으로서, 먼저, 전자 장치의 복수의 동작 시나리오 별로 액티브 동작하는 기능모듈들에 대해 [도 2]에서와 같이 기능모듈 테이블을 생성한다.
단계 (S120, S130) : 사용자 조작으로 전자 장치가 동작하면, 먼저 전자 장치의 현재 동작 시나리오를 식별한다. 이어서, [도 2]에서와 같이 미리 생성한 기능모듈 테이블을 조회함으로써, 전자 장치에 구비된 다수의 기능모듈 중에서 현재 동작 시나리오에 대응하여 인에이블할 기능모듈과 디스에이블할 기능모듈의 목록을 식별한다.
단계 (S140) : 그리고, 그 식별된 디스에이블할 기능모듈에 대해 선택적으로 전력 소모를 차단하도록 구성된다. 즉, 인에이블할 기능모듈에 대해서는 핀 입력을 제어하여 액티브 모드로 설정하거나 전용 소프트웨어를 활성화하거나 혹은 [도 3]에서와 같이 파워 서플라이 모듈로부터의 전원 공급을 연결하는 개별 스위치(예: 스위치 #1, 스위치 #2)를 스위칭 온 설정한다.
또한, 디스에이블할 기능모듈에 대해서는 핀 입력을 제어하여 슬립 모드로 설정하거나 전용 소프트웨어를 비활성화하거나 혹은 [도 3]에서와 같이 파워 서플라이 모듈로부터의 전원 공급을 연결하는 개별 스위치(예: 스위치 #3, 스위치 #4)를 스위칭 오프 설정한다.
단계 (S150, S160) : 한편, 전자 장치(셋톱박스)가 오디오/비디오를 외부로 어떻게 출력하는지 외부 출력 인터페이스의 이용상태를 식별한다. 만일, HDMI와 같은 디지털 A/V 출력 인터페이스를 이용하는 경우라면 전자 장치 내부적으로 굳이 디지털 A/V를 아날로그 A/V로 변환할 필요는 없으므로 전자 장치의 AV 디코딩 모듈에 대해서는 전력 소모를 차단하도록 구성된다.
[도 5]는 본 발명에서 MPEG 플레이 모드에 대한 소비전력 제어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단계 (S210) : 본 발명은 다수의 기능모듈을 구비한 전자 장치가 동작 시나리오에 따라 전력 소비를 제어하는 방법으로서, 먼저 전자 장치의 복수의 동작 시나리오 별로 액티브 동작하는 기능모듈들에 대해 [도 2]에서와 같이 기능모듈 테이블을 생성한다.
단계 (S220) : 사용자 조작에 의해 전자 장치가 동작함에 따라 특정의 동작 시나리오가 이루어지는데, 해당 동작 시나리오를 수행함에 있어서 MPEG 플레이 모드가 포함되어 있는 것을 식별한다. 즉, 동작 시나리오를 구현하기 위해서는 하나이상의 동작 모드가 작동하게 되는데, 현재의 동작 시나리오를 수행하는 과정에서 내부 저장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MPEG 재생하는 MPEG 플레이 모드가 작동된 것을 식별하는 것이다.
단계 (S230) : MPEG 플레이 모드에 대해서는 GPU 모듈은 동작할 필요가 없으므로 GPU 모듈, 즉 2D GPU 모듈과 3D GPU 모듈에 대해 전력 소모를 차단함으로써 전자 장치의 전체 소비전력을 절감한다.
[도 6]은 본 발명에서 2D 그래픽 표시 모드에 대한 소비전력 제어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단계 (S310) : 본 발명은 다수의 기능모듈을 구비한 전자 장치가 동작 시나리오에 따라 전력 소비를 제어하는 방법으로서, 먼저 전자 장치의 복수의 동작 시나리오 별로 액티브 동작하는 기능모듈들에 대해 [도 2]에서와 같이 기능모듈 테이블을 생성한다.
단계 (S320, S330) : 사용자 조작에 의해 전자 장치가 동작함에 따라 특정의 동작 시나리오가 이루어지는데, 해당 동작 시나리오를 수행함에 있어서 2D 그래픽 표시 모드가 포함되어 있는 것을 식별한다. 2D 그래픽 표시 모드에 대해서는 2D GPU 모듈만 필요하고 3D GPU 모듈은 동작할 필요가 없으므로 3D GPU 모듈에 대해 전력 소모를 차단함으로써 전자 장치의 전체 소비전력을 절감한다.
[도 7]은 본 발명에서 MPEG 디코딩 모드와 오버히트 이벤트에 대한 소비전력 제어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단계 (S410) : 본 발명은 다수의 기능모듈을 구비한 전자 장치가 동작 시나리오에 따라 전력 소비를 제어하는 방법으로서, 먼저 전자 장치의 복수의 동작 시나리오 별로 액티브 동작하는 기능모듈들에 대해 [도 2]에서와 같이 기능모듈 테이블을 생성한다.
단계 (S420, S430) : 사용자 조작에 의해 전자 장치가 동작함에 따라 특정의 동작 시나리오가 이루어지는데, 해당 동작 시나리오를 수행함에 있어서 MPEG 디코딩 모드가 포함되어 있는 것을 식별한다.
MPEG 디코딩 모드는 외부로부터 위성, 지상파, 케이블, 인터넷을 통해 제공되는 방송 스트림을 MPEG 디코딩하여 화면에 표시하는 동작 모드로서 CPU 모듈과 GPU 모듈의 프로세싱 부하가 적다.
따라서, 이처럼 MPEG 디코딩 모드가 식별됨에 대응하여 전자 장치에 탑재된CPU 모듈과 GPU 모듈의 동작 클럭을 미리 설정된 수준으로 감소시킴으로써 전자 장치의 전체 소비전력을 절감한다.
단계 (S440, S450) : 전자 장치의 온도를 모니터링하여 미리 설정한 임계온도를 초과하는 오버히트 이벤트를 식별하면, 이를 낮추기 위해서 전자 제품에 대해 프로텍션 동작을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에 따라, 오버히트 이벤트가 발견되는 경우에는 프로텍션 동작이 수행될 것이므로, 이를 감안하여 전자 장치에 탑재된 CPU 모듈 및 GPU 모듈의 동작클럭을 미리 설정된 수준으로 감소시킴으로써 전자 장치의 전체 소비전력을 절감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또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의 형태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때,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 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캐리어웨이브(예: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된 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 프로그램, 코드,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프로그래머들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Claims (8)

  1. 다수의 기능모듈을 구비한 전자 장치가 동작 시나리오에 따라 전력 소비를 제어하는 방법으로서,
    (a) 상기 전자 장치의 복수의 동작 시나리오 별로 액티브 동작하는 기능모듈의 테이블을 생성하는 단계;
    (b) 상기 전자 장치의 현재 동작 시나리오를 식별하는 단계;
    (c) 상기 테이블을 조회함으로써 상기 전자 장치에 구비된 다수의 기능모듈 중에서 상기 현재 동작 시나리오에 대응하여 인에이블할 기능모듈과 디스에이블할 기능모듈의 목록을 식별하는 단계;
    (d) 상기 식별된 디스에이블할 기능모듈에 대해 선택적으로 전력 소모를 차단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전자 장치에서 시나리오 기반의 소비전력 제어 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e) 상기 전자 장치의 오디오/비디오에 대한 외부 출력 인터페이스 이용 상태를 식별하는 단계;
    (f) 상기 전자 장치가 디지털 오디오/비디오 출력 인터페이스를 이용하는 경우 AV 디코딩 모듈에 대해 전력 소모를 차단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에서 시나리오 기반의 소비전력 제어 방법.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단계 (b)에서 상기 식별된 동작 시나리오는 MPEG 플레이 모드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단계 (d)에서 상기 MPEG 플레이 모드에 대응하여 상기 전자 장치에 탑재된 GPU 모듈에 대해 전력 소모를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에서 시나리오 기반의 소비전력 제어 방법.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단계 (b)에서 상기 식별된 동작 시나리오는 2D 그래픽 표시 모드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단계 (d)에서 상기 2D 그래픽 표시 모드에 대응하여 상기 전자 장치에 탑재된 GPU 모듈 중 3D GPU 모듈에 대해 전력 소모를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에서 시나리오 기반의 소비전력 제어 방법.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단계 (b)에서 상기 식별된 동작 시나리오는 MPEG 디코딩 모드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g) 상기 MPEG 디코딩 모드에 대응하여 상기 전자 장치에 탑재된 CPU 모듈 및 GPU 모듈의 동작클럭을 감소 설정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에서 시나리오 기반의 소비전력 제어 방법.
  6. 청구항 1에 있어서,
    (h) 상기 전자 장치의 온도를 모니터링하여 미리 설정한 임계온도를 초과하는 오버히트 이벤트를 식별하는 단계;
    (i) 상기 오버히트 이벤트에 대응하여 상기 전자 장치에 탑재된 CPU 모듈 및 GPU 모듈의 동작클럭을 감소 설정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에서 시나리오 기반의 소비전력 제어 방법.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단계 (d)는,
    상기 인에이블할 기능모듈과 파워 서플라이 모듈의 전원 공급을 연결하는 개별 스위치를 스위칭 온하는 단계;
    상기 디스에이블할 기능모듈과 상기 파워 서플라이 모듈의 전원 공급을 연결하는 개별 스위치를 스위칭 오프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전자 장치에서 시나리오 기반의 소비전력 제어 방법.
  8. 컴퓨터에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7 중 어느 하나의 항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시나리오 기반의 소비전력 제어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KR1020150094420A 2015-07-02 2015-07-02 디지털 방송재생장치에서 시나리오 기반의 소비전력 제어 방법 KR1017800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4420A KR101780059B1 (ko) 2015-07-02 2015-07-02 디지털 방송재생장치에서 시나리오 기반의 소비전력 제어 방법
PCT/KR2015/006843 WO2017002995A1 (ko) 2015-07-02 2015-07-03 전자 장치에서 시나리오 기반의 소비전력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4420A KR101780059B1 (ko) 2015-07-02 2015-07-02 디지털 방송재생장치에서 시나리오 기반의 소비전력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4281A true KR20170004281A (ko) 2017-01-11
KR101780059B1 KR101780059B1 (ko) 2017-09-19

Family

ID=576083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94420A KR101780059B1 (ko) 2015-07-02 2015-07-02 디지털 방송재생장치에서 시나리오 기반의 소비전력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780059B1 (ko)
WO (1) WO201700299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545474B (zh) * 2018-05-28 2021-07-06 深圳Tcl新技术有限公司 一种tft液晶屏的屏保控制方法及控制系统
US20220044350A1 (en) * 2020-08-07 2022-02-10 Advanced Micro Devices, Inc. Graphics processing unit with selective two-level binning
CN112162625A (zh) * 2020-09-25 2021-01-01 上海闻泰信息技术有限公司 电子设备的功耗控制方法、装置、存储介质和终端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37506A (ko) 2004-10-28 2006-05-03 삼성전자주식회사 자기 기록/재생장치의 헤드드럼 조립체와 이의 조립방법
KR20070001295A (ko) 2005-06-29 2007-01-04 삼성전자주식회사 불휘발성 메모리 장치의 제조 방법
KR20120035597A (ko) 2010-10-06 2012-04-1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엔진의 직분사 인젝터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244310A (ja) * 2009-04-07 2010-10-28 Sharp Corp 電源制御装置、その電源制御装置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多機能装置の電源を制御する管理装置、コンピュータを管理装置として機能させるプログラム、及びその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US8316255B2 (en) * 2009-09-09 2012-11-20 Ati Technologies Ulc Method and apparatus for responding to signals from a disabling device while in a disabled state
KR20110057017A (ko) * 2009-11-23 2011-05-31 엘지전자 주식회사 텔레비전 시스템
JP2012256223A (ja) * 2011-06-09 2012-12-27 Sony Corp 情報処理装置および情報処理方法
KR101477179B1 (ko) * 2013-07-19 2014-12-29 삼성전자주식회사 어플리케이션의 전력 효율을 결정하고 표시하는 방법 및 단말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37506A (ko) 2004-10-28 2006-05-03 삼성전자주식회사 자기 기록/재생장치의 헤드드럼 조립체와 이의 조립방법
KR20070001295A (ko) 2005-06-29 2007-01-04 삼성전자주식회사 불휘발성 메모리 장치의 제조 방법
KR20120035597A (ko) 2010-10-06 2012-04-1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엔진의 직분사 인젝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7002995A1 (ko) 2017-01-05
KR101780059B1 (ko) 2017-09-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20319656A1 (en) Power control apparatus and power control method
CN100574397C (zh) 广播接收系统和装置及其功率控制方法
KR101780059B1 (ko) 디지털 방송재생장치에서 시나리오 기반의 소비전력 제어 방법
US20120324260A1 (en) Electronic apparatus for saving power, and method of saving power in an apparatus
US20120217801A1 (en) Electronic apparatus and data output method
US20150143151A1 (en) Method for operating multiple standby states and broadcast receiving apparatus using the same
US20130227323A1 (en) System for reducing energy consumption of a device and a method therefor
US8687127B2 (en) Video display apparatus and external power-supply apparatus
CN106357999A (zh) 高频头控制方法、装置、电视机及机顶盒
CN105376645A (zh) 一种机顶盒及其降低功耗的方法
CN103747333A (zh) 机顶盒控制方法及装置
CN103716562A (zh) 图像质量参数存储方法及系统
US20120013709A1 (en) Video signal processing device, video processing system,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 and video signal processing method
US20120320284A1 (en) Video display device and external power-supply apparatus
US9866895B2 (en) Personalized standby and transition screens
US20110261267A1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KR102246099B1 (ko) 영상처리시스템, 영상표시장치, 영상송신장치, 영상표시장치의 구동방법 및 영상송신장치의 구동방법
CN102098556A (zh) 数字电视用户自定义软件升级的方法
Lee et al. Energy saving system for set-top boxes with passive standby mode
US20170201707A1 (en) Television managing apparatus and television managing method cooperating with remote controller
US20120320282A1 (en) Television receiver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CN104581352A (zh) 一种电视盒子中快速定位的方法及系统
KR101463929B1 (ko) 디스플레이 장치의 시청 상태에 연동한 소스 단말장치의 동작 제어 방법 및 이를 위한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KR20200111402A (ko)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전원 모드 전환 방법
US8442379B2 (en) Broadcast reception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