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04192A - 파이프용 조인트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파이프용 조인트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04192A
KR20170004192A KR1020150094202A KR20150094202A KR20170004192A KR 20170004192 A KR20170004192 A KR 20170004192A KR 1020150094202 A KR1020150094202 A KR 1020150094202A KR 20150094202 A KR20150094202 A KR 20150094202A KR 20170004192 A KR20170004192 A KR 201700041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ng
pipe
circumferential surface
grip ring
gri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942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99410B1 (ko
Inventor
배승범
Original Assignee
(주)티오피테크
배승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티오피테크, 배승범 filed Critical (주)티오피테크
Priority to KR10201500942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99410B1/ko
Publication of KR201700041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41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994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994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7/0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 F16L37/08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7/00Joints with packing adapted to sealing by fluid pressure
    • F16L17/02Joints with packing adapted to sealing by fluid pressure with sealing rings arranged between outer surface of pipe and inner surface of sleeve or socke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7/0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 F16L37/08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 F16L37/084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combined with automatic locking
    • F16L37/091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combined with automatic locking by means of a ring provided with teeth or fing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7/0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 F16L37/08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 F16L37/084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combined with automatic locking
    • F16L37/092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combined with automatic locking by means of elements wedged between the pipe and the frusto-conical surface of the body of the connec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Joints With Slee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양 끝단 내측에는 연결하고자 하는 각 파이프의 끝단이 수용되어 안착되는 안착턱이 단차지게 형성됨과 더불어 양 끝단 외측에는 상기 안착턱에 비해 더욱 확장된 단차를 갖는 장착턱이 형성되어 이루어진 연결관체; 상기 연결관체의 장착턱 내에 고정되는 고정링; 어느 한 부위가 절개된 링으로 형성됨과 더불어 상기 고정링의 내주면에 압입되면서 상기 파이프의 둘레면을 파지하는 파지링; 그리고, 상기 파지링의 회전 조작시 상기 파이프의 파지력이 점차 커지도록 하는 가압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용 조인트 어셈블리가 제공되며, 이를 통해 파이프의 파지가 더욱 견고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강한 압력을 견딜 수 있으면서도 진동에 따른 유격 발생을 방지하고, 결합 및 분리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파이프용 조인트 어셈블리{joint assembly for connecting pipes}
본 발명은 파이프를 서로 연결하는 조인트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파이프의 파지가 더욱 견고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강한 압력을 견딜 수 있으면서도 진동에 따른 유격 발생을 방지하고, 결합 및 분리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새로운 형태에 따른 파이프용 조인트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서로 분리된 두 파이프의 연결을 위한 방식은 용접과 같이 단일체로 연결하는 방식과 파이프용 조인트 어셈블리를 이용한 결합 방식이 있으며, 상기 용접 방식의 경우는 결합 상태로의 유지가 안정적이고 영구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지는 반면 작업이 어렵고 분리가 불가능함에 따른 재활용을 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으며, 상기 조인트 어셈블리를 이용한 결합 방식의 경우 상기 용접 방식에 비해 작업이 간단하고 재활용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는 반면, 용접 방식에 비해 결합이 견고하지 않다는 단점이 있다.
최근에는 파이프용 조인트 어셈블리에 대한 구조적 개선을 통해 결합 작업이 용이하면서도 결합 상태로의 안정적인 유지가 가능할 수 있도록 하는 노력이 다양하게 이루어지고 있으며, 이에 관련하여는 공개특허 제10-2014-0029628호, 공개실용신안 제20-2010-007460호, 등록특허 제10-0413647호 등에 개시된 바와 같다.
하지만, 전술된 종래 기술들은 비록 견고한 결합을 위한 다양한 노력이 이루어졌음에도 불구하고 진동이 제공될 경우에는 그 풀림이 이루어지거나 혹은, 유격이 발생되었던 문제점이 있었으며, 특히 상기 파이프용 조인트 어셈블리에 의해 연결되는 파이프가 유체의 전달을 위한 파이프일 경우에는 상기 유격 부위를 통한 누수 현상이 발생되었던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전술된 종래 기술에 따른 각종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파이프의 파지가 더욱 견고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강한 압력을 견딜 수 있으면서도 진동에 따른 유격 발생을 방지하고, 결합 및 분리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새로운 형태에 따른 파이프용 조인트 어셈블리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파이프용 조인트 어셈블리에 따르면 양 끝단 내측에는 연결하고자 하는 각 파이프의 끝단이 수용되어 안착되는 안착턱이 단차지게 형성됨과 더불어 양 끝단 외측에는 상기 안착턱에 비해 더욱 확장된 단차를 갖는 장착턱이 형성되어 이루어진 연결관체; 상기 연결관체의 장착턱 내에 고정되는 고정링; 어느 한 부위가 절개된 링으로 형성됨과 더불어 상기 고정링의 내주면에 압입되면서 상기 파이프의 둘레면을 파지하는 파지링; 그리고, 상기 파지링의 회전 조작시 상기 파이프의 파지력이 점차 커지도록 하는 가압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가압부는 상기 파지링의 외주면에 돌출 형성되는 가압돌기와, 상기 고정링의 내주면에 요입 형성되면서 상기 가압돌기가 수용되는 하나 혹은, 둘 이상의 수용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하나 혹은, 둘 이상의 수용홈은 상기 파지링의 회전 방향을 따라 점차 요입 깊이가 줄어들게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가압부는 파지링의 외주면 및 상기 고정링의 내주면을 서로 일치되는 비원형으로 형성함으로써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파지링의 내주면에는 상기 파이프가 회전됨을 방지하기 위한 접촉마찰부가 더 포함되어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고정링의 내주면 및 상기 파지링의 외주면은 상기 연결관체의 내측으로 갈수록 점차 확장되게 경사지도록 형성되고, 상기 파지링은 상기 경사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용 조인트 어셈블리는 단순히 파이프의 분리만 방지하는 구조가 아니라 파이프와의 접촉면에 대한 파지력을 높임으로써 기밀성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함과 더불어 강한 압력을 견딜 수 있으면서도 진동에 따른 유격 발생을 방지할 수 있게 된 효과를 가진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용 조인트 어셈블리는 파이프를 회전시키는 조작에 의해 해당 파이프에 대한 파지력을 점차 증가시킬 수 있으며, 분리시에는 단순히 파이프를 회전시키고 파지링을 밀어넣는 조작에 의해 원활한 분리가 가능하게 된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용 조인트 어셈블리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용 조인트 어셈블리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결합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용 조인트 어셈블리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용 조인트 어셈블리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정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용 조인트 어셈블리 중 고정링과 파지링 간의 결합 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용 조인트 어셈블리 중 고정링과 파지링 간의 결합 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정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용 조인트 어셈블리 중 파지링의 조작 발생시 고정링과 파지링 간의 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정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용 조인트 어셈블리 중 가압부의 요입홈에 대한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요부 확대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용 조인트 어셈블리 중 구속링의 구속 해제를 위한 조작 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요부 확대도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용 조인트 어셈블리 중 가압부에 대한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정면도
도 11 내지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용 조인트 어셈블리의 조립 과정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상태도
이하, 본 발명의 파이프용 조인트 어셈블리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 1 내지 도 15를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첨부된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용 조인트 어셈블리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용 조인트 어셈블리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결합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용 조인트 어셈블리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용 조인트 어셈블리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정단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용 조인트 어셈블리는 크게 연결관체(100)와, 고정링(200)과, 파지링(300) 및 가압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이러한 구성에 의해 파이프(10)를 삽입후 회전시키는 조작만으로 상기 파이프(10)에 대한 견고한 파지 고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를 각 구성별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연결관체(100)는 조인트 어셈블리의 외관을 형성하는 부위이다.
이와 같은 연결관체(100)는 양 끝단 내측에 연결하고자 하는 각 파이프(10)의 끝단이 수용되어 안착되는 안착턱(110)이 각각 단차지게 형성됨과 더불어 양 끝단 외측에는 상기 안착턱(110)에 비해 더욱 확장된 단차를 갖는 장착턱(120)이 각각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물론, 실시예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결관체(100)의 내주면 중 상기 안착턱(110)과 장착턱(120) 사이에는 오링(600)의 장착을 위한 오링안착턱(130)을 더 형성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오링(600)은 상기 연결관체9100)와 각 파이프(10) 간의 틈새를 통한 누수됨을 방지하기 위한 기밀부재이다.
또한, 상기 연결관체(100)는 금속 재질로 형성됨으로써 원치않게 휘거나 파손됨이 방지될 수 있도록 한다.
다음으로, 상기 고정링(200)은 상기 연결관체(100)의 장착턱(120) 내에 고정되는 부위이다.
이와 같은 고정링(200)은 상기 장착턱(120)의 내주면과 동일한 외경을 갖도록 이루어짐과 더불어 내부는 개방된 구조의 링(ring)으로 형성된다.
이때, 상기 고정링(200) 역시 금속 재질로 형성되면서 외력에 의한 변형(벌어지거나 휨 등)이 방지될 수 있도록 한다.
다음으로, 상기 파지링(300)은 파이프(10)를 파지하여 고정하는 부위이다.
이와 같은 파지링(300)은 상기 고정링(200)의 내주면과 동일한 구조의 원형 링(ring)으로 형성됨과 더불어 상기 고정링(200)의 내주면에 압입되면서 상기 연결관체(100)의 장착턱(120)을 통과하여 안착턱(110)에 안착되는 파이프(10)의 둘레면을 파지하도록 이루어진다.
특히, 상기 파지링(300)은 첨부된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어느 한 부위가 절개된 링으로 형성되며, 이로써 상기 절개 부위의 이격된 간격만큼의 오므려짐이 가능함과 더불어 파이프(10)의 직경에 따라 벌어짐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이와 함께, 상기 파지링(300)의 내주면에는 상기 파지링(300)에 파지되는 파이프(10)의 회전됨을 방지하기 위한 접촉마찰부(310)가 더 형성된다. 즉, 상기 파이프(10)의 회전에 의해 상기 파지링(300)이 회전되어야만 함을 고려할 때 상기 파이프(10)의 회전시 미끄러짐이 방지될 수 있도록 상기 파지링(300)의 내주면에 접촉마찰부(310)를 더 형성함이 바람직한 것이다.
이러한 접촉마찰부(310)는 첨부된 각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지링(300)의 내주면 중 일부에만 돌출되게 형성한 복수의 돌기로 형성됨을 그 예로 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파지링(300)의 내주면 전체를 널링(knurling)함으로써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한 파지링(300)은 합성수지 재질로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파이프(10)가 금속 재질임을 고려할 때 상기 파지링(300) 역시 금속 재질로 형성할 경우 서로 간의 미끄러짐이 발생될 우려가 클 뿐만 아니라 서로 간의 접촉면이 정확히 밀착된 상태를 이루지 못할 수 있음에 따른 누수 현상이 야기될 우려가 있기 때문에 상기 파지링(300)을 상기 파이프(10)에 비해서는 약한 강성을 갖는 합성수지 재질로 형성함으로써 서로 간의 밀착성을 극대화하여 미끄러짐의 방지 및 틈새 발생의 방지를 이룰 수 있도록 한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고정링(200)의 내주면 및 상기 파지링(300)의 외주면은 첨부된 도 1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결관체(100)의 내측으로 갈수록 점차 확장되게 경사지도록 형성되고, 상기 파지링(300)은 상기 경사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됨을 추가로 제시한다.
상기한 경사 구조는 파이프(10)의 외경이 미세한 공차를 가질 수 있다는 것을 고려할 때 상기 파지링(300)이 벌어질 수 있는 여유를 주도록 한 것임과 더불어 파지링(300)으로부터 파이프(10)를 분리할 때 상기 파지링(300)에 의한 파지력의 약화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다음으로, 상기 가압부는 상기 파지링(300)의 회전 조작시 상기 파이프(10)의 파지력이 점차 커지도록 하는 구성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가압부가 상기 파지링(300)의 외주면에 돌출 형성되는 가압돌기(410)와, 상기 고정링(200)의 내주면에 요입 형성되면서 상기 가압돌기(410)가 수용되는 수용홈(42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특히 상기 수용홈(420)은 상기 파지링(300)의 회전 방향을 따라 점차 요입 깊이가 줄어들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제시한다.
이때, 상기 수용홈(420)은 첨부된 도 1과 도 5과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로 형성함과 동시에 상기 각 수용홈(420)의 요입 깊이는 상기 파지링(300)의 회전 방향(도면상 시계 방향)으로 갈수록 점차 줄어드는 구조로 형성될 수도 있고, 첨부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용홈(420)은 단 하나로만 형성되면서 상기 파지링(300)의 회전 방향(도면상 시계 방향)으로 갈수록 요입 깊이가 점차 줄어드는 구조로 형성될 수도 있다.
즉, 상기한 가압돌기(410)와 수용홈(420)으로 이루어진 가압부의 구조에 의해 파지링(300)을 회전(도면상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될 경우 상기 가압돌기(410)는 회전 방향을 따라 점차적으로 줄어드는 각 수용홈(420)의 요입 깊이에 따라 밀림에 따라 결과적으로 파지링(300)의 오므려짐이 이루어지고, 이로써 상기 파지링(300)이 파이프(10)를 점차적으로 견고히 파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용 조인트 어셈블리의 가압부는 전술된 실시예에서와 같이 가압돌기(410)와 수용홈(420)으로만 이루어지는 구조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첨부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파지링(300)의 외주면 및 상기 고정링(200)의 내주면을 서로 일치되는 비원형(도면상 타원형)으로 형성함으로써 이루어지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즉, 상기 파지링(300)의 외주면 및 상기 고정링(200)의 내주면을 비원형의 캠 구조로 형성함으로써 상기 파지링(300)의 회전시 고정링(200)과의 형상적인 특징에 의해 해당 파지링(300)이 오므려지도록 구성할 수도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용 조인트 어셈블리는 구속링(500)이 더 포함되어 이루어짐을 추가로 제시한다.
이와 같은 구속링(500)은 첨부된 도 1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가 개방된 링의 형상으로 형성됨과 더불어 내주면에는 다수의 걸림편(510)이 경사지게 돌출 형성되어 이루어지며, 이러한 구속링(500)의 각 걸림편(510)에 파이프(10)의 외주면이 걸릴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상기 파이프(10)의 축 방향 빠짐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여기서, 상기 구속링(500)을 이루는 각 걸림편(510)의 경사 방향은 첨부된 각 도면에서와 같이 파이프(10)의 결합 방향(도면상 우측편)을 향하도록 형성하며, 이때 파지링(300)에는 상기 각 걸림편(510)을 상기 파이프(10)의 결합 방향으로 가압하여 변형시키기 위한 변형용돌기(320)가 추가로 형성된다. 즉, 파지링(300)의 비가압시에는 상기 각 걸림편(510)이 상기 파이프(10)의 외주면에 걸려 상기 파이프(10)가 축 방향으로 빠짐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파이프(10)의 결합 해제를 위해 상기 파지링(300)을 파이프(10)의 결합 방향으로 가압할 경우에는 첨부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각 걸림편(510)이 상기 변형용돌기(320)에 의해 가압되어 그 경사 방향으로 변형되면서 상기 파이프(10)의 걸림을 해제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물론,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걸림편(510)의 경사 방향은 도시된 바와는 반대를 향하도록 형성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
하기에서는, 전술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용 조인트 어셈블리의 조립 과정에 대하여 첨부된 도 11 내지 도 15를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서로 개별 제조한 연결관체(100)와 고정링(200)과 파지링(300) 및 구속링(500)을 각각 준비한다. 이는 첨부된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다.
이의 상태에서 상기 연결관체(100)의 오링안착턱(130)에 오링(600)을 장착함과 더불어 장착턱(120) 내에 상기 구속링(500)을 삽입한다. 이는 첨부된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다.
그리고, 상기 구속링(500)의 삽입이 완료되면 상기 준비된 고정링(200)을 상기 연결관체(100)의 장착턱(120) 내에 삽입한다. 이의 경우 상기 구속링(500)은 상기 장착턱(120) 내의 벽면과 상기 고정링(200) 사이에 고정된 상태를 이루게 되며, 이는 첨부된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다.
그리고, 상기 고정링(200)의 삽입이 완료되면 상기 준비된 파지링(300)을 상기 고정링(200) 내로 삽입한다.
이때, 상기 파지링(300)의 경우 어느 한 부위가 절개된 형상으로 제공됨에 따라 상기 절개 부위만큼의 오므려짐이 가능하며, 이로써 상기 고정링(200) 내로의 삽입은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다. 이는 첨부된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다.
이후, 첨부된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결관체(100)의 끝단을 내향 절곡시킴으로써 상기 고정링(200) 및 파지링(300)의 축 방향측 탈거를 방지하도록 한다.
결국, 전술된 각 과정을 통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용 조인트 어셈블리의 조립이 완료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조립된 파이프용 조인트 어셈블리를 이용한 두 파이프의 연결을 위해서는 우선, 첨부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관체(100) 내의 파지링(300) 내측 부위로 파이프(10)를 관통시킨다.
이때, 상기 파지링(300)은 상기 파이프(10)의 외경이 이루는 공차에 따라 고정링(200)과의 경사진 접촉면을 따라 미세 이동되면서 절개 부위를 기준으로 벌어질 수 있음을 고려할 때 상기 파이프(10)의 원활한 관통 결합이 가능하며, 특히 상기 파이프(10)가 관통되는 과정에서는 상기 파이프(10)의 외경에 따라 벌어짐과 동시에 해당 파이프(10)의 외주면을 파지하기 위한 복원력이 발생되기 때문에 상기 파이프(10)가 상기 파지링(300)을 관통한 이후에는 상기 파지링(300)이 상기 파이프(10)의 외주면을 파지한 상태로 유지된다.
이의 상태에서 상기 파이프(10)를 회전(첨부된 도 6 및 도 7을 기준으로 도면상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상기 파이프(10)를 파지하고 있던 파지링(300) 역시 시계 방향으로 회전되고, 이로써 상기 파지링(300)의 외주면에 형성된 가압돌기(410)는 고정링(200)의 내주면에 형성된 각 수용홈(420)에 순차적으로 요입된다.
이때, 상기 각 수용홈(420)은 그 요입 깊이가 상기 파지링(300)의 회전 방향(가압돌기의 이동 방향)으로 갈수록 점차 줄어들게 형성되어 있고, 또한 고정링(200)은 직경 방향으로의 벌어짐이 방지된 상태로 고정되어 있음을 고려할 때 상기 파지링(300)의 오므려짐이 이루어지면서 파이프(10)의 외주면에 대한 파지가 점차적으로 견고히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상기의 과정에서는 파지링(300)의 내주면에 형성되는 접촉마찰부(310)에 의해 상기 파이프(10)의 외주면에 대한 파지가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면서 상기 파이프(10) 혼자만 회전되는 슬립 현상은 발생되지 않고 상기 파지링(300) 역시 상기 파이프(10)와 함께 정확히 회전될 수 있게 되며, 이러한 파이프(10)의 회전이 진행될 수록 상기 파지링(300)에 의한 파지는 더욱 견고히 이루어지게 된다.
결국, 전술된 과정에 의해 연결관체(100)의 어느 한 측으로 파이프(10)의 연결이 완료되며, 동일한 방식으로 상기 연결관체(100)의 다른 한 측으로 파이프(10)를 연결함으로써 상기 두 파이프(10) 간의 연결이 완료된다.
그리고, 상기한 파이프(10)의 연결이 완료된 상태에서는 구속링(500)의 각 걸림편(510)이 상기 파이프(10)의 외주면에 걸린 상태를 이룸에 따라 상기 파이프(10)의 축방향측 탈거는 방지되면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용 조인트 어셈블리에 안정적으로 고정된 상태를 이룰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파이프용 조인트 어셈블리로부터 상기 파이프(10)의 연결을 해제(파이프를 분리)하고자 할 경우에는 파이프(10)를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켜 파지링(300)과의 파지력을 저감시킨 상태에서 별도의 도구를 이용하여 첨부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지링(300)을 연결관체(100)의 내측으로 강제 이동시킨다.
이의 경우, 상기 파지링(300)에 형성된 변형용돌기(320)가 상기 구속링(500)의 각 걸림편(510)을 밀어서 벌어지도록 변형시킴에 따라 상기 각 걸림편(510)에 의한 파이프(10)의 구속이 해제되고, 이와 동시에 상기 파지링(300)이 고정링(200)과의 경사면을 따라 고정링(200)의 내측 방향으로 이동됨에 따라 미세한 확장이 이루어지면서 파이프(10)의 파지력이 약해지게 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파지링(300)을 연결관체(100)의 내측으로 강제 이동시킨 후 상기 파이프(10)를 빼내는 조작을 통해 상기 파이프(10)는 파이프용 조인트 어셈블리로부터 분리된다.
이상에서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용 조인트 어셈블리는 단순히 파이프(10)의 분리만 방지하는 구조가 아니라 파이프(10)와의 접촉면에 대한 파지력을 높임으로써 기밀성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함과 더불어 강한 압력을 견딜 수 있으면서도 진동에 따른 유격 발생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용 조인트 어셈블리는 파이프(10)를 회전시키는 조작에 의해 해당 파이프(10)에 대한 파지력을 점차 증가시킬 수 있으며, 분리시에는 단순히 파이프(10)를 회전시키고 파지링(300)을 밀어넣는 조작에 의해 원활한 분리가 가능하게 된다.
100. 연결관체 110. 안착턱
120. 장착턱 130. 오링안착턱
200. 고정링 300. 파지링
310. 접촉마찰부 320. 변형용돌기
410. 가압돌기 420. 수용홈
500. 구속링 510. 걸림편
600. 오링

Claims (5)

  1. 양 끝단 내측에는 연결하고자 하는 각 파이프의 끝단이 수용되어 안착되는 안착턱이 단차지게 형성됨과 더불어 양 끝단 외측에는 상기 안착턱에 비해 더욱 확장된 단차를 갖는 장착턱이 형성되어 이루어진 연결관체;
    상기 연결관체의 장착턱 내에 고정되는 고정링;
    어느 한 부위가 절개된 링으로 형성됨과 더불어 상기 고정링의 내주면에 압입되면서 상기 파이프의 둘레면을 파지하는 파지링; 그리고,
    상기 파지링의 회전 조작시 상기 파이프의 파지력이 점차 커지도록 하는 가압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용 조인트 어셈블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는
    상기 파지링의 외주면에 돌출 형성되는 가압돌기와,
    상기 고정링의 내주면에 요입 형성되면서 상기 가압돌기가 수용되는 하나 혹은, 둘 이상의 수용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하나 혹은, 둘 이상의 수용홈은 상기 파지링의 회전 방향을 따라 점차 요입 깊이가 줄어들게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용 조인트 어셈블리.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는
    상기 파지링의 외주면 및 상기 고정링의 내주면을 서로 일치되는 비원형으로 형성함으로써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용 조인트 어셈블리.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파지링의 내주면에는 상기 파이프가 회전됨을 방지하기 위한 접촉마찰부가 더 포함되어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용 조인트 어셈블리.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링의 내주면 및 상기 파지링의 외주면은 상기 연결관체의 내측으로 갈수록 점차 확장되게 경사지도록 형성되고,
    상기 파지링은 상기 경사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용 조인트 어셈블리.
KR1020150094202A 2015-07-01 2015-07-01 파이프용 조인트 어셈블리 KR1018994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4202A KR101899410B1 (ko) 2015-07-01 2015-07-01 파이프용 조인트 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4202A KR101899410B1 (ko) 2015-07-01 2015-07-01 파이프용 조인트 어셈블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4192A true KR20170004192A (ko) 2017-01-11
KR101899410B1 KR101899410B1 (ko) 2018-11-02

Family

ID=578332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94202A KR101899410B1 (ko) 2015-07-01 2015-07-01 파이프용 조인트 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9941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33315A (ko) * 2017-09-21 2019-03-29 주식회사 프럼파스트 체결파이프 회전방지 록킹구조를 가지는 완전삽입 확인이 용이한 산업용 멀티 레이어 유체배관 클림핑 연결시스템의 플라스틱 이음구조체 시공방법
US10959015B2 (en) 2018-07-10 2021-03-23 New Audio LLC Wireless earpiece having antenna with wall-embedded radiating element and related technology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7722Y1 (ko) 1997-03-22 2002-06-28 김해동 배수관 연결고정구조
KR100675065B1 (ko) * 2006-06-21 2007-01-30 주식회사 뉴보텍 이탈방지링이 구비된 이음관
KR100879122B1 (ko) * 2008-07-30 2009-01-19 김용진 기밀용 패킹수단과 이를 구비한 관로 연결장치
KR101420641B1 (ko) 2013-08-19 2014-07-17 주식회사 애강리메텍 파이프 회전이 가능한 파이프 연결구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33315A (ko) * 2017-09-21 2019-03-29 주식회사 프럼파스트 체결파이프 회전방지 록킹구조를 가지는 완전삽입 확인이 용이한 산업용 멀티 레이어 유체배관 클림핑 연결시스템의 플라스틱 이음구조체 시공방법
US10959015B2 (en) 2018-07-10 2021-03-23 New Audio LLC Wireless earpiece having antenna with wall-embedded radiating element and related technolog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99410B1 (ko) 2018-1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20952B2 (en) Connector
KR20190009410A (ko) 퀵 커넥터
US7850212B2 (en) Segmented locking ring and corresponding assembly and mounting method
KR101899410B1 (ko) 파이프용 조인트 어셈블리
JPH08509281A (ja) クイックコネクタ
JP5455381B2 (ja) シール材
US9845906B2 (en) Release clip
JP5312181B2 (ja) 離脱防止管継手およびロックリング心出し用部材
JP2006300127A (ja) 止め具
JP6028147B2 (ja) セグメントの継手部構造
JP2006300093A (ja) 連結材の連結構造及び風呂用清掃具
KR101788002B1 (ko) 파이프용 커플링
JP2008169868A (ja) 管継手部の離脱防止構造と挿口管部の係止部大径改造方法及び挿口管部用係止部大径改造具
WO2013137241A1 (ja) 管継手構造
JP6370721B2 (ja) 連結具及びそれを用いたコンクリート部材の連結装置
JP5455383B2 (ja) 管継手
JP2006057728A (ja) スペーサおよびスペーサを取付けた管
JP5114359B2 (ja) 止め具
KR101709283B1 (ko) 체결이 간편한 완구용 결합유닛
JP2000310384A (ja) 管継手
CA2900081C (en) Blind, bulbing, tacking rivet and method of installation
JP2004076761A (ja) シャフト挿入治具
JP2024024977A (ja) 管継手部材および管継手
JP2000120962A (ja) クイックコネクター
JP4975475B2 (ja) セグメント継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