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04075U - 난간용 파이프 이음구조 - Google Patents

난간용 파이프 이음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04075U
KR20170004075U KR2020160002827U KR20160002827U KR20170004075U KR 20170004075 U KR20170004075 U KR 20170004075U KR 2020160002827 U KR2020160002827 U KR 2020160002827U KR 20160002827 U KR20160002827 U KR 20160002827U KR 20170004075 U KR20170004075 U KR 20170004075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pin
coupling plate
fixed
separating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6000282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노식
Original Assignee
박노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노식 filed Critical 박노식
Priority to KR202016000282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04075U/ko
Publication of KR2017000407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4075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7/00Connections of rods or tubes, e.g. of non-circular section, mutually, including resilient connections
    • F16B7/22Connections of rods or tubes, e.g. of non-circular section, mutually, including resilient connections using hooks or like e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05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beds
    • A61G7/0525Side-bols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3/00Doors, gates, or other apparatus controlling access to, or exit from, cages or lift well landings
    • B66B13/24Safety devices in passenger lif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preventing trapping of passenger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3/00Arrangements for obstructing or restricting traffic, e.g. gates, barricades ; Preventing passage of vehicles of selected category or dimensions
    • E01F13/02Arrangements for obstructing or restricting traffic, e.g. gates, barricades ; Preventing passage of vehicles of selected category or dimensions free-standing; portable, e.g. for guarding open manholes ; Portable signs or signals specially adapted for fitting to portable barriers
    • E01F13/022Pedestrian barriers; Barriers for channelling or controlling crowd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1/00Stairways, ramps, or like structures; 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1Balustrad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1/00Stairways, ramps, or like structures; 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1Balustrades
    • E04F11/1817Connection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32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for persons during the construction of buildings
    • E04G21/3204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for persons during the construction of buildings against falling dow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5/00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for scaffolds
    • E04G5/14Rail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5/00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for scaffolds
    • E04G5/14Railings
    • E04G5/141Railings with an access door or the like therefor

Abstract

본 고안은 필요에 따라 편리하게 결합 또는 분리할 수 있게 되어 있는 난간용 파이프 이음구조에 관한 것이다. 그의 구성은; 상방향으로 개구되도록 고정체에 고정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단부 외측에 하방향을 향해 걸림턱을 제공하는 고정파이프; 상기 고정파이프의 상단에 끼워지는 분리파이프; 및 상기 분리파이프를 횡으로 관통하는 축핀에 설치됨으로써 상기 축핀을 축으로 하여 회전 가능하게 되는 것으로서, 자중에 의해 회전하면서 걸림부가 상기 걸림턱에 걸리도록 되어 있는 걸고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난간용 파이프 이음구조{Structure Of Connecting Pipes For Handrail}
본 고안은 파이프 이음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필요에 따라 편리하게 결합 또는 분리할 수 있게 되어 있는 난간용 파이프 이음구조에 관한 것이다.
환자용 침대의 난간, 공사장이나 곤돌라의 추락방지용 난간, 놀이공원에서의 인원통제를 위한 문이 사용되는데, 이들 난간(또는 문, 이하 '난간'이라 한다)은 영구고정물이 아니므로 필요에 따라 설치하거나 해체할 수 있는 구조가 바람직하다.
난간은 파이프를 절곡하여 제작하므로 결국 분리 가능하게 되어 있는 난간은 파이프의 연결구조를 포함하고 있는 것이 보통이다.
종래 편리하게 연결하고 필요에 따라 쉽게 분리할 수 있게 되어 있는 파이프 연결구조의 연결부위는 암수결합할 수 있도록 한쪽 끝은 확관되어 있고, 다른 쪽 끝은 협착되어 있어 암수결합될 수 있는 방식의 것이 많다. 그리고 이들이 실수 등으로 너무 쉽게 분리될 수 없도록 잠금수단이 마련되기도 하는데, 이 잠금수단은 파이프의 연결부위를 횡으로 관통하는 끼움공과, 이 끼움공에 관통되는 핀을 포함한다. 핀은 체인으로 어느 하나의 파이프에 연결되어 분실이 방지되도록 하기도 한다.
그러나 이러한 구조는 2개의 파이프에 난 끼움공이 일직선 상에 있도록 맞추어야 하고, 잠금시 끼움공에 핀을 잘 맞추어야 한다. 그러므로 파이프를 연결하는 과정이 아주 쉽지만은 않다. 그리고 파이프의 끼움공이 막히거나 찌그러진 경우에는 핀을 끼우기가 매우 어렵게 되며, 이런 경우 핀을 끼우는 것을 생략함으로써 안전사고가 발생할 수 있는 빌미를 제공하기도 한다.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출원 제20-2001-0026956호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10-2013-0042443호
위와 같은 문제에 대한 본 고안의 목적은, 필요시 분리될 수 있는 난간 등에 사용될 수 있는 파이프의 이음구조를 제공하는 것으로서, 좀 더 구체적으로는 쉽게 결합 및 분리할 수 있으며 실수에 의한 분리를 방지할 수 있는 간단한 잠금장치를 가지는 난간용 파이프 이음구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위와 같은 목적은, 상방향으로 개구되도록 고정체에 고정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단부 외측에 하방향을 향해 걸림턱을 제공하는 고정파이프; 상기 고정파이프의 상단에 끼워지는 분리파이프; 상기 분리파이프를 횡으로 관통하는 축핀에 설치됨으로써 상기 축핀을 축으로 하여 회전 가능하게 되는 것으로서, 자중에 의해 회전하면서 걸림부가 상기 걸림턱에 걸리도록 되어 있는 걸고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간용 파이프 이음구조에 의해 달성된다.
본 고안의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걸고리는;
상기 축핀이 결합하는 핀결합판; 상기 핀결합판 상단에서 외측 상부를 향해 연장되는 손잡이; 상기 핀결합판 하단에서 하부를 향해 연장되는 걸림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걸림부는 상기 핀결합판에서 하향 연장되는 레버판; 상기 레버판의 단부에서 상기 분리파이프를 향해 상방향으로 경사지게 연장되는 걸림편을 포함하되;
본 고안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걸림구가 자중에 의해 상기 분리파이프에 지지된 상태에서, 상기 걸림편과 수직선이 이루는 각도는 5 ~ 45°일 수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걸림부는 상기 핀결합판에서 하향 연장되는 레버판; 상기 레버판의 단부에서 상기 분리파이프를 향해 상방향으로 경사지게 연장되는 걸림편을 포함하며;
상기 걸림편의 단부는 상기 고정파이프의 외주면에 대응되는 곡률로 만곡되어 있을 수 있다.
위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파이프를 결합시킬 때에는 걸림편이 고정파이프의 단부에 걸려 벌려지면서 걸림턱에 걸리게 되어 자연스럽게 결합될 수 있고, 파이프를 분리할 때에는 손잡이를 위로 잡아당겨 걸림편이 걸림턱으로부터 분리되도록 하여야만 한다. 따라서 걸림편와 걸림턱이 간단한 잠금수단으로서 기능할 수 있는 난간용 파이프 이음구조가 제공된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파이프 이음구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그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파이프 이음구조의 분리된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1의 종단면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파이프 이음구조의 걸림구의 사시도이다.
이하,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여러 산업분야에서 사용될 수 있는 난간, 문 등에는 파이프 이음구조가 포함된다. 이 파이프 이음구조는 간단하게 연결하거나 분리할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으며 나아가 간단한 구조의 잠금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정파이프(20)는 난간의 하부, 바닥판, 문틀 등에 고정 설치된다.
고정파이프(20)는 상방향을 향해 개구되도록 소정의 고정체에 고정되어 있으며, 상단부에는 하방향을 향한 걸림턱(21a)을 제공한다. 이 걸림턱(21a)은 고정파이프(20)의 상단부에 끼워져 용접 등으로 고정되는 링(21, ring)에 의해 마련될 수 있다. 그러나 너트가 링을 대신할 수도 있으며, 고정파이프(20)를 확관 성형함으로써도 링을 대신할 수도 있다.
분리파이프(10)가 고정파이프(20)의 상단에 끼워진다. 분리파이프(10)가 끼워지는 깊이는 용도에 따라 얼마든지 조정 가능하다. 도시된 바에 의하면 분리파이프의 하단(11)이 소정 길이로 협착됨으로써 고정파이프(10)에 암수결합 방식으로 끼워지고 있다. 따라서 분리파이프(10)는 하방향으로 마련되는 단턱(12)이 고정파이프의 상단에 맞닿을 때까지 고정파이프(20)에 삽입되게 된다.
분리파이프(10)에는 걸고리(30)가 설치된다. 걸고리(30)는 분리파이프(10)를 횡으로 관통하는 축핀(35)에 설치됨으로써 축핀(35)을 축으로 하여 자유롭게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걸고리(30)는 자중에 의해 하단이 분리파이프(10)의 하단(11)을 향한 방향으로 밀착된다. 걸고리(30)는 도 5에 도시된 것처럼 금속 판재를 재단하고 절곡함으로써 일체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분리파이프를 도 2 또는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고정파이프에 끼우게 되면, 걸고리(30)가 자중에 의해 회전하면서 걸림턱(21a)에 걸리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이 상태에서 걸고리(30)의 걸림부위는 도 4의 화살표(K) 방향을 따라 파이프를 향해 밀착되므로 분리파이프(10)를 위로 들어 올리려해도 들어 올릴 수 없다. 즉 걸고리(30)와 걸림턱(21a)이 잠금장치로서 기능하는 것이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걸고리(30)는 축핀(35)이 끼워지도록 축핀의 외경보다 큰 핀홀(36, 도 5 참조)이 마련되어 있는 핀결합판(32)과, 핀결합판(32)의 상단에서 외측 상부를 향해 연장되는 손잡이(34)와, 핀결합판(32)의 하단에서 하부를 향해 연장되는 걸림부(31,33)를 포함할 수 있다. 걸림부(31,33)는 핀결합판(32)에서 하향 연장되는 레버판(31)과 레버판(31)의 단부에서 파이프를 향하여 상방향으로 경사지게 연장되는 걸림편(33)을 포함한다. 그리고 걸림편(33)과 수직선이 이루는 각도는 5 ~ 45°일 수 있다. 분리파이프(10)를 고정파이프(20)에 끼울 때 걸림편(33)의 외측면(33b)은 고정파이프(20)의 단부에 저촉되어 미끄러지면서 외측으로 밀려날 수 있게 되어 있다. 따라서 분리파이프(10)를 고정파이프(20)에 끼울 때에는 걸고리(30)를 그냥 두고 끼워도 된다. 그리고 분리파이프(10)를 빼낼 때에는 손잡이(34)를 도 4의 화살표(L) 방향으로 밀어 걸림편의 단부(33a)가 도 2의 일점쇄선으로 도시된 것처럼 걸림턱(21a)으로부터 분리되도록 한 다음에만 빼낼 수 있게 된다.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걸림편의 단부(33a)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파이프(20)의 외주면에 대응되는 곡률로 만곡되어 있을 수 있다. 이는 고정파이프(20)와의 접촉면적을 넓혀 잠금기능을 안정적으로 수행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고정파이프(20)와 분리파이프(10)는 금속 이외의 소재가 될 수도 있으며, 원형이 아닌 사각 파이프가 될 수도 있다. 그리고 보다 안정적인 잠금기능을 위하여 걸고리(30)와 분리파이프(10) 사이에 토션스프링과 같은 스프링(미도시됨)을 개입시킬 수 있다. 걸고리의 걸림편(31)이 걸림턱(21a)을 향해 탄성적으로 지지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상에서 설명된 것들은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의거한 몇가지 예시에 불과하다. 당업자는 청구범위를 통해 표현되는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를 넘지 않는 선에서 예시된 바를 활용하여 다양한 변형실시를 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위에 설명된 모든 실시예들은 당업자에 의해 자유롭게 조합되어 실시될 수 있으며 어떠한 조합이든지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포함된다고 해석되어야 한다.
10 : 분리파이프 12 : 단턱
20 : 고정파이프 21 : 링
21a : 걸림턱 30 : 걸고리
31 : 레버판 32 : 핀결합판
33 : 걸림편 34 : 손잡이
35 : 축핀

Claims (5)

  1. 상방향으로 개구되도록 고정체에 고정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단부 외측에 하방향을 향해 걸림턱을 제공하는 고정파이프;
    상기 고정파이프의 상단에 끼워지는 분리파이프; 및
    상기 분리파이프를 횡으로 관통하는 축핀에 설치됨으로써 상기 축핀을 축으로 하여 회전 가능하게 되는 것으로서, 자중에 의해 회전하면서 걸림부가 상기 걸림턱에 걸리도록 되어 있는 걸고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간용 파이프 이음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걸고리는;
    상기 축핀이 결합하는 핀결합판; 상기 핀결합판 상단에서 외측 상부를 향해 연장되는 손잡이; 및 상기 핀결합판 하단에서 하부를 향해 연장되는 걸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간용 파이프 이음구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는;
    상기 핀결합판에서 하향 연장되는 레버판; 상기 레버판의 단부에서 상기 분리파이프를 향해 상방향으로 경사지게 연장되는 걸림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간용 파이프 이음구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구가 자중에 의해 상기 분리파이프에 지지된 상태에서, 상기 상기 걸림편과 수직선이 이루는 각도는 5 ~ 4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간용 파이프 이음구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는 상기 핀결합판에서 하향 연장되는 레버판; 상기 레버판의 단부에서 상기 분리파이프를 향해 상방향으로 경사지게 연장되는 걸림편을 포함하며;
    상기 걸림편의 단부는 상기 고정파이프의 외주면에 대응되는 곡률로 만곡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간용 파이프 이음구조.
KR2020160002827U 2016-05-24 2016-05-24 난간용 파이프 이음구조 KR20170004075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2827U KR20170004075U (ko) 2016-05-24 2016-05-24 난간용 파이프 이음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2827U KR20170004075U (ko) 2016-05-24 2016-05-24 난간용 파이프 이음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4075U true KR20170004075U (ko) 2017-12-04

Family

ID=612591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60002827U KR20170004075U (ko) 2016-05-24 2016-05-24 난간용 파이프 이음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04075U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230960A (zh) * 2018-11-05 2019-01-18 天津京龙工程机械有限公司 一种升降机用可拆卸式标准片
KR20220081749A (ko) * 2020-12-09 2022-06-16 성원홍 건축용 비계 조립체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42443A (ko) 2011-10-18 2013-04-26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채널 자원 관리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42443A (ko) 2011-10-18 2013-04-26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채널 자원 관리 장치 및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230960A (zh) * 2018-11-05 2019-01-18 天津京龙工程机械有限公司 一种升降机用可拆卸式标准片
CN109230960B (zh) * 2018-11-05 2023-08-29 天津京龙工程机械有限公司 一种升降机用可拆卸式标准片
KR20220081749A (ko) * 2020-12-09 2022-06-16 성원홍 건축용 비계 조립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405711B1 (en) Pipe hanger
US8398134B1 (en) Universal carabiner holder
US7163238B1 (en) Connector for flexible and semi-rigid pipings
KR102463728B1 (ko) 신속 해제 연결 플랜지
KR20170004075U (ko) 난간용 파이프 이음구조
US20080156245A1 (en) Mooring/vessel snap hook device
US10763599B2 (en) Catenary grounding device fall restriction apparatus and method of use
US20130340357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ttaching Temporary Lifting Members to an Existing Lifting Anchor
US20180104519A1 (en) Remote overhead anchor
JP2006328831A (ja) クランプ金具およびクランプ装置
US20170227142A1 (en) Pipe hanger
US9471086B1 (en) Safety features for switch handle for piggable pipeline connector
KR20160028095A (ko) 안전 샤클
US867760A (en) Pipe-hanger.
KR20190000589U (ko) 발전 설비의 코일 조립체 턴오버용 크레인 후크
DE202009007617U1 (de) Aufhängevorrichtung, insbesondere für flexible Abwasserschläuche
KR101387816B1 (ko) 산업용 안전 연결고리의 로프 연결장치
US20140306085A1 (en) Light fixture pendant hanger
JP6277212B2 (ja) ドラム缶の連結具
US7546665B2 (en) Cinch for tether
CA2928282C (en) Cam and groove coupling with locking wire mechanism
US762339A (en) Hose-coupling.
AU2015318724B2 (en) A handling device for an installable and retrievable subsea apparatus
KR20130107901A (ko) 맨홀뚜껑 개폐기
KR101611088B1 (ko) 길이조절식 후크가 구비된 안전발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7101003314; TRIAL AGAINST DECISION OF REJECT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7101003314;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70707

Effective date: 201812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