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03948U - 마스크팩 키트 - Google Patents

마스크팩 키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03948U
KR20170003948U KR2020160002604U KR20160002604U KR20170003948U KR 20170003948 U KR20170003948 U KR 20170003948U KR 2020160002604 U KR2020160002604 U KR 2020160002604U KR 20160002604 U KR20160002604 U KR 20160002604U KR 20170003948 U KR20170003948 U KR 20170003948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kin
cylinder
pouch
sheet
mask pa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6000260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영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더우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더우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더우주
Priority to KR202016000260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03948U/ko
Publication of KR2017000394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3948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4/00Other cosmetic or toiletry articles, e.g. for hairdressers' rooms
    • A45D44/002Masks for cosmetic treatment of the face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4/00Other cosmetic or toiletry articles, e.g. for hairdressers' rooms
    • A45D44/22Face shaping devices, e.g. chin straps; Wrinkle removers, e.g. stretching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212Face mask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5/00Packages comprising articles or materials partially or wholly enclosed in strips, sheets, blanks, tubes, or webs of flexible sheet material, e.g. in folded wrappers
    • B65D75/28Articles or materials wholly enclosed in composite wrappers, i.e. wrappers formed by associating or interconnecting two or more sheets or blan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5/00Packages comprising articles or materials partially or wholly enclosed in strips, sheets, blanks, tubes, or webs of flexible sheet material, e.g. in folded wrappers
    • B65D75/52Details
    • B65D75/58Opening or contents-removing devices added or incorporated during package manufacture
    • B65D75/5861Spouts
    • B65D75/5872Non-integral spouts
    • B65D75/5877Non-integral spouts connected to a planar surface of the package wal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5/00Packages comprising articles or materials partially or wholly enclosed in strips, sheets, blanks, tubes, or webs of flexible sheet material, e.g. in folded wrappers
    • B65D75/52Details
    • B65D75/58Opening or contents-removing devices added or incorporated during package manufacture
    • B65D75/5888Tear-lines for removing successive sections of a pack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3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for packaging two or more different materials which must be maintained separate prior to use in admixture
    • B65D81/3261Flexible containers having several compartment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D
    • A45D2200/10Details of applicators
    • A45D2200/1009Applicators comprising a pad, tissue, sponge, or the like
    • A45D2200/1036Applicators comprising a pad, tissue, sponge, or the like containing a cosmetic substance, e.g. impregnated with liquid or containing a soluble solid substance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D
    • A45D2200/25Ki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Hemat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Bird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posite Materials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고안의 목적은 적정량의 피부개선제가 마스크팩 시트에 균일 분포되게 함으로써 마스크팩 사용 편의성을 증대시키고 피부개선제 낭비를 절감할 수 있도록 하는 마스크팩 키트를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피부개선제를 마스크팩 시트에 분포시키는 과정에서 피부개선제가 원치 않는 방향으로 배출되는 것을 원천적으로 방지하여 사용자 편의성을 훨씬 향상하는 마스크팩 키트를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의 또다른 목적은 복수의 성분으로 이루어지는 피부개선제를 사용 직전에 시트에 분포시킴으로써 피부개선제 각 성분의 효능을 극대화할 수 있도록 하는 마스크팩 키트를 제공함에 있다.

Description

마스크팩 키트 {Mask-pack kit}
본 고안은 마스크팩 키트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미용 등의 목적으로 사용되는 마스크팩에 있어서, 마스크팩 시트에 함침되는 피부개선제가 안정적으로 보관됨과 동시에 사용 시 피부개선 기능이 최대로 발휘될 수 있도록 해 줄 수 있도록 하는 마스크팩 키트에 관한 것이다.
피부 미용 등의 목적으로 사용되는 마스크팩은 얼굴에 맞게 디자인 및 재단된 시트 상에 피부개선제가 함침된 형태로 되며, 일반적으로 피부개선제가 함침된 상태의 시트가 밀봉 파우치에 수용된 상태로 판매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파우치를 개봉하여 피부개선제가 함침된 시트를 꺼내어 얼굴에 부착하는 방식으로 마스크팩을 사용하게 된다.
그런데 이러한 마스크팩 사용 시 다음과 같은 여러 문제점이 지적되고 있다.
첫째, 제품 제조 시 시트에 충분히 피부개선제가 적셔지게 하고자 하는 과정에서 과도한 양의 피부개선제가 포함되어, 사용자가 파우치를 개봉하였을 때 시트로부터 피부개선제가 흘러내려 불편함을 주는 문제가 있다.
둘째, 일반적으로 마스크팩은 영양 공급, 보습, 피부 안정화 등 다양한 목적으로 사용되며 이에 따라 사용되는 피부개선제 구성 성분도 달라지는데, 여러 성분들이 혼합될 경우 시간이 지남에 따라 성분 물질들 간 반응에 의하여 유효 성분들이 파괴되거나 변질되는 문제가 생길 수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176723호("화장용 팩", 2012.08.17, 이하 '선행문헌')에는, 상술한 문제점들 중 첫째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기술로서, 마스크팩 파우치의 수용공간이 파열막에 의해 둘로 나뉘도록 구성하고, 그 중 한 공간에는 시트가 수용되고 다른 공간에는 피부개선제가 수용되도록 구성하여, 사용자가 피부개선제 수용공간을 가압함에 따라 파열막이 파열되어 피부개선제가 시트에 적셔지도록 하여, 사용자의 가압 정도에 따라 시트에 적셔지는 피부개선제의 양이 조절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선행문헌의 경우 피부개선제 수용공간 및 시트 수용공간 사이의 파열막이 파열된 후에는 피부개선제 수용공간으로부터의 피부개선제 배출을 멈출 수 없으며, 따라서 사용자가 가압하지 않아도 자연적으로 피부개선제가 흘러나와 과도한 양의 피부개선제가 시트에 적셔지게 되는 문제가 여전히 발생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선행문헌에서는 둘째 문제점에 대한 해결 방안에 대한 고려가 전혀 없다.
또한 선행문헌의 경우, 피부개선제 수용공간을 가압하여 파열막을 터뜨리는 과정에서 파열막이 아닌 다른 부분, 예를 들어 파우치의 테두리 부분 등이 터지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할 경우 해당 제품을 사용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피부개선제가 흘러나와 사용자의 손이나 주변 공간에 묻어 극도의 불편함을 초래할 수 있다.
한편 둘째 문제점 즉 복수의 피부개선제 성분을 적용할 경우 성분들 간 반응의 발생으로 인하여 효능이 저하되는 문제점에 있어서, 현재 모든 생산자들이 단순히 성분별로 별도의 제품을 제조하는 것으로 이를 해결하고자 하고 있을 뿐이다. 이에 따라 소비자 입장에서는 원하는 피부개선 기능에 따라 복수의 제품을 구매하고, 또한 복수의 제품을 각각 별도로 사용하여야 하기 때문에 경제적, 시간적 낭비가 더욱 상승하는 문제가 있었다.
1. 한국등록특허 제1176723호("화장용 팩", 2012.08.17)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적정량의 피부개선제가 마스크팩 시트에 균일 분포되게 함으로써 마스크팩 사용 편의성을 증대시키고 피부개선제 낭비를 절감할 수 있도록 하는 마스크팩 키트를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피부개선제를 마스크팩 시트에 분포시키는 과정에서 피부개선제가 원치 않는 방향으로 배출되는 것을 원천적으로 방지하여 사용자 편의성을 훨씬 향상하는 마스크팩 키트를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의 또다른 목적은 복수의 성분으로 이루어지는 피부개선제를 사용 직전에 시트에 분포시킴으로써 피부개선제 각 성분의 효능을 극대화할 수 있도록 하는 마스크팩 키트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마스크팩 키트(1000)는, 내부에 시트(400)가 수용되는 시트수용공간(110)을 가지는 파우치(100); 일측에 토출구가 형성되며 내부에 피부개선제가 수용되는 실린더 및 상기 실린더 타측에 삽입되는 피스톤(23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주입기(200); 상기 파우치(100) 일면에 구비되어 상기 시트수용공간(110)의 내부 및 외부를 연통시키도록, 상기 파우치(100) 상에 형성된 천공부(320) 및 박막 형태로 이루어져 상기 천공부(320)를 덮는 덮개부(31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주입부(300);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주입기(200)에 의하여 상기 주입부(300)를 통해 상기 시트수용공간(110)으로 피부개선제가 주입되어 상기 시트(400)에 피부개선제가 분포 및 함침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이 때 상기 덮개부(310)는, 상기 파우치(100) 면 상에 부착 구비되도록, 상기 파우치(100) 면과 부착되는 측 면에 접착층(315)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이 때 상기 파우치(100)는, 상기 덮개부(310) 면적 내부에 폐곡선 형상으로 형성되는 칼선부(325)가 형성되며, 상기 파우치(100) 면으로부터 상기 덮개부(310)의 박리 시, 상기 칼선부(325) 내부가 상기 접착층(315)에 접착되어 상기 파우치(100) 면으로부터 분리됨으로써 상기 천공부(320)가 형성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접착층(315)은, 상기 덮개부(310)의 일부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마스크팩 키트(1000)는, 상기 시트(400)가 상기 시트수용공간(110) 하측으로 편향되게 배치되며, 상기 주입부(300)가 상기 시트수용공간(110) 상측으로 편향되게 배치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주입기(200)는, 제1실린더(210), 상기 제1실린더(210)에 삽입되는 제2실린더(220), 상기 제2실린더(220)에 삽입되는 피스톤(23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제1실린더(210) 및 상기 제2실린더(220) 사이의 공간에 제1피부개선제가 수용되고, 상기 제2실린더(220) 및 상기 피스톤(230) 사이의 공간에 제2피부개선제가 수용될 수 있다.
본 고안에 의하면, 피부개선제가 침지된 시트로서 얼굴에 부착하여 피부 상태를 개선시키는 용도로 사용되는 마스크팩을 제공함에 있어서, 시트가 수용된 파우치 및 피부개선제가 수용되는 주입기를 별도로 구성하고, 사용 시 시트 수용 파우치에 주입기를 이용하여 피부개선제를 주입함으로써, 시트에 함침되는 피부개선제의 양을 사용자가 원하는 대로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해 주는 효과가 있다. 이에 따라 시트에 과도한 양의 피부개선제가 함침됨으로써 시트로부터 피부개선제가 흘러내리는 현상 때문에 발생되는 사용자의 불편을 원천적으로 제거하는 효과 또한 얻을 수 있다. 더불어 본 고안에 의하면 피부개선제 주입 시 시트 중심부를 중심으로 퍼져나가게 되므로, 피부개선제가 시트에 적절하게 균일 분포됨으로써 흘러내림을 더욱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으며 피부 전면에 걸쳐 균일한 피부개선 기능 작용이 가능하다는 장점 또한 있다. 뿐만 아니라 마스크팩 제품 하나당 포함되는 피부개선제의 양이 불필요하게 증가되는 문제를 개선하는 효과 또한 있으며, 이에 따라 생산자 입장에서는 제조 비용을, 이에 따라 소비자 입장에서는 제품 가격을 절감할 수 있는 경제적 효과 또한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의하면, 피부개선제를 주입하여 마스크팩 시트에 분포시킬 때 주입이 매우 편리하게 이루어지게 하여 사용자 편의성을 극대화하는 효과가 있다. 즉 본 고안에서는 피부개선제를 매우 편리하게 주입할 수 있도록 해 주는 구성을 가짐으로써, 피부개선제 주입 시 원치 않는 방향으로 피부개선제가 흘러나와 버릴 위험성을 원천적으로 배제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에 의하면, 복수의 성분으로 이루어지는 피부개선제를 사용할 수 있게 해 주는 획기적인 효과가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종래에는 피부개선제 성분에 있어서 혼합 시 기능이 저하되거나 성분 간 반응 발생으로 인하여 유효 성분들이 파괴되거나 변질되는 문제가 있었다. 그러나 본 고안에서는, 주입기 내에 둘 이상의 복수 성분이 격리 보관되도록 함으로써 보관 시 복수 성분 간 혼합 및 변질을 방지하고, 사용 직전에 이 복수 성분의 피부개선제가 시트에 함침되게 함으로써, 성분 간 반응이 일어나기 전 복수의 성분이 각각 피부에 작용할 수 있게 하여, 피부개선제 효능을 극대화하는 큰 효과가 있는 것이다. 뿐만 아니라 본 고안에 의하면, 이처럼 복수의 성분을 동시에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 입장에서는 복수의 마스크팩을 별도로 구입하여 시간차를 두고 사용해야 함으로써 발생되는 경제적 및 시간적 낭비를 배제할 수 있는 큰 효과가 있다. 물론 생산자 입장에서도, 주입기에 수용되는 성분을 변경함으로써 제품 구성을 변경할 수 있어, 성분별로 제조 라인을 별도 구성하지 않아도 됨으로써 설비 비용을 크게 절감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마스크팩 키트의 한 실시예.
도 2는 본 고안의 마스크팩 키트의 주입부 상세 구성의 한 실시예.
도 3은 본 고안의 마스크팩 키트의 주입부 개방 과정의 한 실시예.
도 4는 본 고안의 마스크팩 키트의 주입기 상세 구성의 한 실시예.
도 5는 본 고안의 마스크팩 키트의 주입기 주입 과정의 한 실시예.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에 의한 마스크팩 키트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마스크팩 키트의 한 실시예로서, 본 고안의 마스크팩 키트(1000)의 전체적인 구성이 도시된다. 도 1을 참조할 때, 본 고안의 마스크팩 키트(1000)는, 기본적으로 파우치(100), 주입기(200), 주입부(3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보다 구체적으로 각부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파우치(100)에는 시트수용공간(110)이 형성되어 내부에 시트(400)가 수용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서는 시트에 과도한 양의 피부개선제가 함침되어 불편함을 유발하는 문제를 해소하고 사용자가 원하는 대로 적정량이 함침되게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시트수용공간(110)에 배치된 상기 시트(400)는 피부개선제가 함침되지 않은 건조 상태로서 보관된다.
상기 주입기(200)는 피부개선제를 수용하는 주사기 형태로서, 즉 일측에 토출구가 형성되며 내부에 피부개선제가 수용되는 실린더 및 상기 실린더 타측에 삽입되는 피스톤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일반적인 주사기와 마찬가지로, 상기 피스톤을 가압하여 상기 실린더 내로 밀어넣으면 상기 실린더 내에 수용되어 있던 피부개선제가 상기 토출구를 통해 빠져나오게 된다. 상기 주입기(200)의 구체적인 형태에 대해서는 이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주입부(300)는 상기 파우치(100) 일면에 구비되어 상기 시트수용공간(110)의 내부 및 외부를 연통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주입부(300)는 평상시에 밀폐되어 있다가 상기 주입기(200)를 이용하여 피부개선제를 주입할 때 개방될 수 있도록, 상기 파우치(100) 상에 형성된 천공부(320) 및 박막 형태로 이루어져 상기 천공부(320)를 덮는 덮개부(31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주입부(300)의 구체적인 형태에 대해서도 이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고안의 마스크팩 시트(1000)는, 상기 주입기(200)에 의하여 상기 주입부(300)를 통해 상기 시트수용공간(110)으로 피부개선제가 주입되어 상기 시트(400)에 피부개선제가 분포 및 함침되도록 이루어진다. 즉, 상기 주입기(200)로 피부개선제를 주입하기 전까지는 상기 시트(400)는 건조 상태로 보관되며, 사용자가 주사기 형태로 된 상기 주입기(200)를 사용하여 원하는 적정량의 피부개선제를 주입하여 사용할 수 있으므로, 앞서 설명한 문제점 즉 시트에 과도한 양의 피부개선제가 적셔짐으로써 사용 시 피부개선제가 흘러내려 불편함을 유발하던 문제를 완전히 해소할 수 있다.
도 2는 본 고안의 마스크팩 키트의 주입부 상세 구성의 한 실시예를, 도 3은 본 고안의 마스크팩 키트의 주입부 개방 과정의 한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시트(400)에 피부개선제를 주입하기 편리하도록 하는 상기 주입부(300)의 구체적인 구성을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주입부(300)는, 상기 파우치(100) 상에 형성된 천공부(320) 및 박막 형태로 이루어져 상기 천공부(320)를 덮는 덮개부(31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천공부(320)로는 상기 주입기(200)의 토출구가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으며, 따라서 피부개선제 주입 시 용이하고 원활한 주입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파우치(100) 상에 형성된 상기 천공부(320)가 평상시에 개방되어 있을 경우 상기 천공부(320)를 통해 상기 시트수용공간(110) 내로 이물질이 유입될 위험성이 있으므로, 상기 덮개부(310)가 평상시에는 상기 천공부(320)를 덮고 있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덮개부(310)가 박막 형태로 이루어짐으로써, 상기 파우치(100)의 부피나 형상에 거의 변화나 영향을 미치지 않음으로써, 상기 마스크팩 키트(1000)의 적재나 보관 등을 보다 편리하고 효율적이 될 수 있게 해 준다.
더불어 상기 덮개부(310)에는, 도 2(C)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기 파우치(100) 면과 부착되는 측 면에 접착층(315)이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상기 파우치(100) 면 상에 부착 구비되어 상기 천공부(320)의 안정적인 폐쇄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 상기 접착층(315)은 상기 덮개부(310)의 전체 영역에 형성될 수도 있지만, 이렇게 할 경우 상기 덮개부(310)를 뜯어내기가 불편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접착층(315)은 상기 덮개부(310)의 일부 영역에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 경우 사용자가 상기 덮개부(310)를 뜯어내고자 할 때 상기 접착층(315)이 형성되지 않은 부분이 손잡이 역할을 하여 편리하게 뜯어낼 수 있게 된다.
도 3은 도 2와는 약간 다른 본 고안의 마스크팩 키트의 주입부의 실시예 및 그 개방 과정을 도시하고 있다. 도 3의 실시예에서,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파우치(100)에는 상기 파우치(100)는, 상기 덮개부(310) 면적 내부에 폐곡선 형상으로 형성되는 칼선부(325)가 형성되도록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상기 칼선부(325)가 형성되면, 도 3(B)의 사시도 및 도 3(C)의 단면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파우치(100) 면으로부터 상기 덮개부(310)의 박리 시, 상기 칼선부(325) 내부가 상기 접착층(315)에 접착되어 상기 파우치(100) 면으로부터 분리됨으로써 상기 천공부(320)가 형성되게 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천공부(320)는 평상시 완전히 밀폐되어 있어야 하는데, 상기 덮개부(310)로 잘 덮어 폐쇄했다 하더라도 부착 불량으로 미세한 틈새가 형성되는 경우 틈새로 공기, 세균 등이 침입할 수 있는 위험성이 있다. 이 때 도 3의 실시예에서와 같이 상기 파우치(100) 상에 (추후 상기 천공부(320)가 될) 상기 칼선부(325)만 형성시켜 놓으면, 평상시에는 원래부터 상기 파우치(100) 상에 구멍 자체가 형성되어 있지 않으므로 공기, 세균 등의 침입 위험성이 원천적으로 배제된다. 또한 상기 덮개부(310)를 뜯을 때 상기 칼선부(325) 내부가 함께 뜯겨나감으로써 자연스럽게 상기 천공부(320)가 형성되며, 따라서 상기 주입기(200)로 피부개선제를 주입하는데는 아무런 불편함이 없다.
부가적으로 상기 마스크팩 키트(10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시트(400)가 상기 시트수용공간(110) 하측으로 편향되게 배치되며, 상기 주입부(300)가 상기 시트수용공간(110) 상측으로 편향되게 배치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상기 주입부(300)를 통해 주입된 피부개선제가 자연스럽게 상측에서 하측을 향해 흘러가게 되며, 결과적으로 상기 시트(400) 전체에 피부개선제가 균일하게 분포되어 적셔질 수 있게 된다.
앞서 언급한 선행문헌의 구성을 간략히 다시 설명하자면, 파우치 내부에 파열막이 구비되어 파우치 내부에 서로 격리된 2개의 공간을 형성하도록 하고, 그 중 하나의 공간에 피부개선제를, 나머지 하나의 공간에 시트를 수용시켜 두었다가, 사용 직전에 피부개선제가 수용된 공간을 눌러 가압함으로써 파열막을 파열시켜 피부개선제수용공간 및 시트수용공간이 연통되도록 하여, 피부개선제의 주입이 이루어지게 된다. 그런데 선행문헌과 같은 구성의 경우, 피부개선제수용공간을 가압하였을 때 파열막이 터지는 것이 아니라 수용공간 둘레 부분이나 육안으로 미처 발견하지 못한 흠집 부분이 터져서 원치 않은 방향으로의 배출이 이루어지게 될 위험성이 있다. 물론 이렇게 가압하여 파열막을 터뜨리기까지 힘이 많이 들고, 파열막이 터진 후에도 피부개선제수용공간을 눌러 짜내 주어야 하기 때문에 사용자 불편함이 가중되는 문제도 있다. 그러나 본 고안의 경우, 미리 형성되어 있는 상기 천공부(320)로 상기 주입기(200)의 토출구를 삽입하여 주입을 하면 된다. 따라서 선행문헌에서와 같은 힘주어 가압을 하거나 짜내는 등의 수고가 전혀 필요없고, 원치 않은 방향으로의 배출 위험성은 아예 원천적으로 배제되어, 사용자 편의성이 극대화된다.
이하에서는, 종래의 문제점 중 나머지 하나의 문제점, 즉 복수 기능의 피부개선제를 사용할 수 없었던 문제점을 해소하는 본 고안의 주입기 구성의 한 실시예를 도 4를 통해 설명한다.
앞서 상기 주입기(200)가 주사기 형태로 형성된다고 설명하였는데, 이 때 일반적인 주사기는 수용공간이 하나이기 때문에 한 가지의 피부개선제를 수용 보관할 수 있다. 이 때 도 4에 개시된 실시예에서의 본 고안의 주입기(200)는, 이중 주사기 형태로 형성됨으로써 서로 독립적으로 형성되는 수용공간을 두 개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각각의 수용공간에 서로 다른 성분의 피부개선제를 수용 보관할 수 있으며, 사용 직전에 이들이 혼합되어 시트에 적셔지게 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종래에 복수 기능의 피부개선제를 사용할 수 없었던 이유는, 여러 성분들이 혼합된 채 시간이 흐르면 서로 반응을 일으켜서 유효 성분들이 파괴되거나 변질되며, 이에 따라 사용 시 원하는 효능이 제대로 발휘될 수 없었기 때문이다. 그러나 본 고안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보관 시에는 복수 성분의 피부개선제들이 서로 독립적으로 형성되는 수용공간에 접촉되지 않고 안전하게 보관되게 함으로써 혼합으로 인한 유효 성분들의 파괴나 변질을 완전히 방지하고, 사용 직전에 이들이 서로 혼합되도록 함으로써 유효 성분들끼리 반응을 일으켜 변질이 일어나기 전에 피부에 작용하게 하여, 궁극적으로는 피부에 복수의 피부개선 효능이 효과적으로 작용할 수 있게 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주입기(200)의 구성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주입기(200)는,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실린더(210), 상기 제1실린더(210)에 삽입되는 제2실린더(220), 상기 제2실린더(220)에 삽입되는 피스톤(230)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1실린더(210) 및 상기 제2실린더(220) 사이의 공간에 제1피부개선제가 수용되고, 상기 제2실린더(220) 및 상기 피스톤(230) 사이의 공간에 제2피부개선제가 수용된다. 도 4(A)는 이러한 상기 주입기(200)의 각 부품들이 모두 조립되어 있는 조립체의 사시도를, 도 4(B)는 상기 제1실린더(210)의 사시도를, 도 4(C)는 상기 제2실린더(220)의 사시도를, 도 4(C)는 상기 피스톤(230)의 사시도를 각각 도시하고 있다.
도 5는 이와 같이 형성되는 상기 주입기를 이용하여 피부개선제를 주입하는 사용 실시예들을 도시하고 있다.
도 5(A)는, 제2피부개선제는 사용하지 않고 제1피부개선제만 사용하는 경우의 상기 주입기 작동 예시를 도시하고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피스톤(230)의 플랜지는 건드리지 않고 제2실린더(220)의 플랜지만을 가압하게 되면(도 5(A) 좌측 도면), 제2실린더(220) 내의 제2피부개선제는 전혀 누출되지 않은 채로 제1실린더(210) 내의 제1피부개선제만 토출구로 토출된다(도 5(A) 우측 도면).
도 5(B)는, 제1피부개선제와 제2피부개선제를 모두 사용하는 경우의 상기 주입기 작동 예시를 도시하고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이 경우, 먼저 피스톤(220)의 플랜지를 가압하면(도 5(B) 좌측 도면), 피스톤 파열부에 의해 제2실린더의 파열막이 파열되어 제2실린더(220) 내의 제2피부개선제가 제1실린더(210) 내로 배출되며(도 5(B) 중간 도면), 이에 따라 제1피부개선제 및 제2피부개선제가 혼합된다. 이 상태에서 제2실린더(220)의 플랜지를 더 가압하면, 제1실린더(210) 내의 제1피부개선제 및 제2피부개선제의 혼합물이 토출구로 토출된다(도 5(B) 우측 도면).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주입기(200)가 이중 주사기 구성을 가지도록 함으로써, 본 고안에서는 복수의 피부개선제가 별도로 보관되어 있다가 사용 직전에 섞이도록 함으로써 성분 간 반응 발생에 의한 유효 성분 파괴 또는 변질 등과 같은 문제를 최소화할 수 있다. 물론 상기 주입기(200)가 이중 주사기 구성만을 가져야 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주입기(200)는 일반 주사기 구성을 가져 한 종류의 피부개선제를 수용하되 상기 시트수용공간(110) 내의 상기 시트(400)에 다른 종류의 피부개선제가 미리 적셔져 있도록 하는 식으로 구성할 수도 있고, 또한 상기 주입기(200)가 삼중 주사기 구성을 가질 수도 있는 등, 본 고안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적절한 설계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부가적으로, 상기 마스크팩 키트(1000)에 있어서 각 부품의 보관을 보다 용이하게 하는 부가 구성에 대하여 더 설명한다.
상기 파우치(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시트수용공간(110)과 격리 형성되는 주입기수용공간(120)을 더 가지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상기 파우치(100)는, 일반적인 마스크팩 제품들의 파우치와 유사하게, 한 쌍의 포장재가 적층되어 테두리부가 융착됨으로써 상기 시트수용공간(110)이 형성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는데, 이 때 테두리부가 융착된 한 쌍의 포장재의 중심부가 더 융착됨으로써 상기 시트수용공간(110)과 격리된 상기 주입기수용공간(120)이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상기 주입기(200)가 상기 마스크팩 키트(100)에 안정적으로 보관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파우치(100)의 상측 좌우 끝단에 각각 노치 형태로 된 한 쌍의 개봉부(140)가 형성되어, 개봉 시 상기 개봉부(140) 위쪽을 잡아 찢음으로써 용이한 개봉이 이루어지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시트수용공간(110) 및 상기 주입기수용공간(120) 사이의 융착부(130)에 점선 형태의 절개선이 형성되게 하여, 상기 주입기(200)를 사용하기 전에 상기 시트수용공간(110) 및 상기 주입기수용공간(120)을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할 경우 상기 주입기(200)를 사용하기 위해 파우치 개봉 시 상기 시트수용공간(110)까지 불필요하게 개봉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파우치(100)는 일반적으로 불투명재질로 형성되게 할 수 있는데, 이 때 상기 시트수용공간(110)을 형성하는 포장재는 불투명재질로 형성되게 하되, 상기 주입기수용공간(120)을 형성하는 포장재는 적어도 일면이 투명재질로 형성되게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상기 주입기(200)에서 피부개선제의 누출이 발생하였는지 여부 등을 육안으로 쉽게 파악할 수 있다.
본 고안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적용범위가 다양함은 물론이고,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본 고안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1000: (본 고안의) 마스크팩 키트
100: 파우치
110: 시트수용공간 120: 주입기수용공간
130: 융착부 140: 개봉부
200: 주입기
210: 제1실린더 220: 제2실린더
230: 피스톤 240: 밀폐부
300: 주입부
310: 덮개부 315: 접착층
320: 천공부 325: 칼선부
400: 시트

Claims (6)

  1. 내부에 시트가 수용되는 시트수용공간을 가지는 파우치;
    일측에 토출구가 형성되며 내부에 피부개선제가 수용되는 실린더 및 상기 실린더 타측에 삽입되는 피스톤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주입기;
    상기 파우치 일면에 구비되어 상기 시트수용공간의 내부 및 외부를 연통시키도록, 상기 파우치 상에 형성된 천공부 및 박막 형태로 이루어져 상기 천공부를 덮는 덮개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주입부;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주입기에 의하여 상기 주입부를 통해 상기 시트수용공간으로 피부개선제가 주입되어 상기 시트에 피부개선제가 분포 및 함침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팩 키트.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부는,
    상기 파우치 면 상에 부착 구비되도록, 상기 파우치 면과 부착되는 측 면에 접착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팩 키트.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파우치는,
    상기 덮개부 면적 내부에 폐곡선 형상으로 형성되는 칼선부가 형성되며,
    상기 파우치 면으로부터 상기 덮개부의 박리 시, 상기 칼선부 내부가 상기 접착층에 접착되어 상기 파우치 면으로부터 분리됨으로써 상기 천공부가 형성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팩 키트.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층은,
    상기 덮개부의 일부 영역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팩 키트.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크팩 키트는,
    상기 시트가 상기 시트수용공간 하측으로 편향되게 배치되며,
    상기 주입부가 상기 시트수용공간 상측으로 편향되게 배치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팩 키트.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주입기는,
    제1실린더, 상기 제1실린더에 삽입되는 제2실린더, 상기 제2실린더에 삽입되는 피스톤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제1실린더 및 상기 제2실린더 사이의 공간에 제1피부개선제가 수용되고, 상기 제2실린더 및 상기 피스톤 사이의 공간에 제2피부개선제가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팩 키트.
KR2020160002604U 2016-05-13 2016-05-13 마스크팩 키트 KR20170003948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2604U KR20170003948U (ko) 2016-05-13 2016-05-13 마스크팩 키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2604U KR20170003948U (ko) 2016-05-13 2016-05-13 마스크팩 키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3948U true KR20170003948U (ko) 2017-11-22

Family

ID=604805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60002604U KR20170003948U (ko) 2016-05-13 2016-05-13 마스크팩 키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03948U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76723B1 (ko) 2010-06-25 2012-08-23 (주)엔코스 화장용 팩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76723B1 (ko) 2010-06-25 2012-08-23 (주)엔코스 화장용 팩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09674B1 (ko) 마스크팩 키트
JP5555731B2 (ja) マスクパック包装部材
KR101045245B1 (ko) 내용물 함침식 화장부재를 갖는 포장체
CN108135685B (zh) 口腔护理牙套
KR101808318B1 (ko) 마스크팩 파우치
KR101651177B1 (ko) 일회용 물티슈
KR101962785B1 (ko) 다기능 미용팩 세트
US6695515B1 (en) Disposable multi-compartment applicator
JP4582644B2 (ja) 注液含浸包装体
US20050284777A1 (en) Reservoir barrier wipes, pads and applicators
JP2000079167A (ja) 分散性物質用のアプリケ―タ、このようなアプリケ―タを含むアセンブリ―、および方法
JP4555581B2 (ja) シートタイプ化粧品
US20080304898A1 (en) Applicator for Fluid Substances for Medical and/or Cosmetic Use
WO2009028952A1 (en) Creampad
KR101782411B1 (ko) 마스크팩 용기
KR20170003948U (ko) 마스크팩 키트
KR20170094066A (ko) 마스크팩파우치
KR102112792B1 (ko) 이액 혼합 마스크 팩
KR20180043904A (ko) 화장품 파우치
JP6418580B2 (ja) パックシートキット、袋材、薬剤容器
GB2349089A (en) Fragrance dispenser
US11980275B2 (en) Fragrance sampling device
KR102560766B1 (ko) 믹싱 제품
EP1038793B1 (en) Article comprising a cell system
KR20180044045A (ko) 다중 수용공간을 갖는 마스크팩 파우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