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03940U - 접이식 매트 - Google Patents

접이식 매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03940U
KR20170003940U KR2020160002585U KR20160002585U KR20170003940U KR 20170003940 U KR20170003940 U KR 20170003940U KR 2020160002585 U KR2020160002585 U KR 2020160002585U KR 20160002585 U KR20160002585 U KR 20160002585U KR 20170003940 U KR20170003940 U KR 20170003940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t
submat
sub
mat portion
fold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6000258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85842Y1 (ko
Inventor
박범진
Original Assignee
박범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범진 filed Critical 박범진
Priority to KR202016000258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5842Y1/ko
Publication of KR2017000394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394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584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584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7/00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15/00Accessories for children's furniture, e.g. safety belts or baby-bottle holders
    • A47D15/001Mattresses
    • A47D15/003Mattresses foldable, e.g. baby ma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32Parts, components, construction details, accessories, interior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tents, e.g. guy-line equipment, skirts, thresholds
    • E04H15/324Beds constituted by the tent support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ediatric Medicin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attresses And Other Support Structures For Chairs And Bed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접이식 매트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직육면체 구조의 제1매트부 양측에 삼각형으로 분할된 구조의 서브매트부를 배치함으로써, 보다 다양한 용도로 전환할 수 있고, 인체공학적인 구조를 형성할 수 있으며, 신체 특정 부위, 예를 들어 무릎이나 허리 등이 불편한 환자들을 위한 특별한 형태로도 전환할 수 있으며, 다수의 서브매트부가 퍼즐과 같이 조합되기 때문에 아이들의 놀이용으로도 활용할 수 있는 접이식 매트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접이식 매트{Folding mat}
본 고안은 접이식 매트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직육면체 구조의 제1매트부 양측에 삼각형으로 분할된 구조의 서브매트부를 배치함으로써, 보다 다양한 용도로 전환할 수 있고, 인체공학적인 구조를 형성할 수 있으며, 신체 특정 부위, 예를 들어 무릎이나 허리 등이 불편한 환자들을 위한 특별한 형태로도 전환할 수 있으며, 다수의 서브매트부가 퍼즐과 같이 조합되기 때문에 아이들의 놀이용으로도 활용할 수 있는 접이식 매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휴식, 놀이, 취침시 가정이나 놀이방 또는 야외에서 침구나 텐트 등을 사용할 때 매트를 사용한다.
아이를 키울 때 실내에서나 실외에서 아이를 재우거나 안전하게 놀게 할 수 있어 활용적이며, 어른들이 사용할 때도 일반 침대와는 달리 받침대가 없어 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온수매트, 발열매트, 마닥매트, 퍼즐매트, 바닥매트 등 다양하게 사용되고 있을 뿐만 아니라 펼치거나 접을 수 있는 매트 또한 보관 공간을 최소화 할 수 있을 뿐 아니라 휴대와 사용 역시 간편해 다양한 용도로 활용되어 많은 사람들에게 인기를 얻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76432호에 개시된 접이식 매트리스를 도 9a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매트부(100)는 네 개의 매트, 구체적으로 제1 매트(101), 제2 매트(102), 제3 매트(103) 및 제4 매트(104)로 이루어지며, 매트들 사이에는 접음선을 구비하며, 이때의 접음선은 제1매트(101)와 제2 매트(102) 사이에 형성된 제1 접음선(105), 제2 매트(102)와 제3 매트(103) 사이에 형성된 제2접음선(106), 제3 매트(103)와 제4 매트(104) 사이에 형성된 제3 접음선(107)을 포함한다. 매트부(100)는 제1접음선(105), 제2 접음선(106) 및 제3 접음선(107)에 의해 세 번 접음이 가능하며, 접은 상태의 매트부(100)는 부피를 줄여 보관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쇼파로 활용하여 공간활용 측면에서 유용한 특징이 있다.
한편, 실용신안공고 번호 제1986-622호에 개시된 소파 겸용 침대를 도 9b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접혀진 상태에서 최상층부를 이루는 단위체의 양측 팔걸이부위와 등판지지부에 둘러싸인 내측부위의 일부 또는 전부를 연접 선을 축으로 다시 회동시켜 상기 등판지지부상에 적층시키므로서 소파의 등판과 함께 팔걸이가 노출 형성되도록 하는 한편 그 하부에 위치하는 단위체를 좌판이 되도록 구성한 것으로 안정된 구조의 팔걸이를 구성하는 특징이 있다. 즉 이 매트리스형 침대를 이루는 동일한 크기의 단위체의 개수에 따라 2단접이 방식과 3단접이 방식이 개시되어 있다.
여기에서 2단접이 방식은 하부에 위치하는 한 개 단위체의 두께가 바로 소파로 변형시 좌판높이가 되고 3단접이 방식은 두 개 단위체의 두께가 좌판높이를 이루게 되며 또한 단위체의 두께가 바로 침대체와 소파의 팔걸이높이로 되는 한편 등판길이(높이)는 각기 적층되는 단수에 따라 그 길이(높이)가 결정되는 메카니즘으로 되어있다.
이와 같은 종래의 접이식 매트들은 접철 가능한 복수의 매트부를 단순히 접거나 펼치는 방식으로 공간활용을 하거나, 매트리스와 소파로 전환하는 제한적인 기능만을 수행하였다. 따라서 보다 다양한 용도로 전환 및 사용이 가능하며 인체공학적인 구조를 형성할 수 있는 접이식 매트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직육면체 구조의 제1매트부 양측에 삼각형으로 분할된 구조의 서브매트부를 배치함으로써, 보다 다양한 용도로 전환할 수 있고, 인체공학적인 구조를 형성할 수 있는 접이식 매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목적은 신체 특정 부위, 예를 들어 무릎이나 허리 등이 불편한 환자들을 위한 특별한 형태로도 전환할 수 있으며, 다수의 서브매트부가 퍼즐과 같이 조합되기 때문에 아이들의 놀이용으로도 활용할 수 있는 접이식 매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접이식 매트는 복수 개의 매트부가 동일평면 상에서 병설되는 접이식 매트에 관한 것으로서, 직육면체 형상의 제1매트부와; 상기 제1매트부의 제1면에서 접힐 수 있도록 연결되는 직육면체 형상의 제2매트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2매트부는 길이방향의 종단면으로 볼 때 삼각형 또는 사각형인 복수의 서브매트부로 분할된 구조이며, 상기 제1면의 상변과 연결되고, 각 서브매트부는 상기 제1매트부 또는 이웃하는 서브매트부와 접힐 수 있도록 연결되어 다양한 구조로 전환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접이식 매트는 제1면과 마주보는 상기 제1매트부의 제2면에서 접힐 수 있도록 연결되는 직육면체 형상의 제3매트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3매트부는 길이방향의 종단면으로 볼 때 삼각형 또는 사각형인 복수의 서브매트부로 분할된 구조이며, 상기 제1면의 하변과 연결되고, 상기 제3매트부의 각 서브매트부는 상기 제1매트부 또는 이웃하는 서브매트부와 접힐 수 있도록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접이식 매트의 제2매트부는 길이 방향의 종단면으로 볼 때 상기 제1면의 하변에서 대각선 방향으로 분할되어 직각삼각형의 종단면을 가지는 제1서브매트부와 제2서브매트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서브매트부는 그 직각 꼭짓점 영역이 상기 제1면의 상변과 연결되고, 상기 제1서브매트부와 제2서브매트부는 상기 제1매트부와 인접하는 어느 한 쌍의 꼭짓점 영역에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접이식 매트의 제3매트부는 길이 방향의 종단면으로 볼 때 상기 제2면의 상변에서 대각선 방향으로 분할되어 각각 직각삼각형의 종단면을 가지는 제3서브매트부와 제4서브매트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3서브매트부는 그 직각 꼭짓점 영역이 상기 제2면의 하변과 연결되고, 상기 제3서브매트부와 제4서브매트부는 상기 제1매트부와 인접하는 어느 한 쌍의 꼭짓점 영역에서 연결되며, 상기 제4서브매트부는 그 직각 꼭짓점에서 상기 제3매트부의 대각선 방향으로 분할되는 이등변삼각형의 종단면을 가지는 제5서브매트부와, 상기 제5서브매트부와 연결되며 이등변삼각형의 종단면을 가지는 제6서브매트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접이식 매트의 제5서브매트부는 상기 제3서브매트부와 인접하는 꼭짓점 영역에서 연결되며, 상기 제5서브매트부와 제6서브매트부는 시트 형상의 연결부재를 통해 연결되되, 상기 연결부재의 일단은 상기 제6서브매트부와 접하는 상기 제5서브매트부의 일면의 중앙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제6서브매트부의 꼭지각 영역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접이식 매트의 제1매트부는 접힐 수 있도록 연결된 복수 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은 구성의 본 고안에 따른 접이식 매트에 의하면 직육면체 구조의 제1매트부 양측에 삼각형으로 분할된 구조의 복수의 서브매트부를 배치함으로써, 보다 다양한 용도로 전환할 수 있고, 인체공학적인 구조를 형성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접이식 매트에 의하면 신체 특정 부위, 예를 들어 무릎이나 허리 등이 불편한 환자들을 위한 특별한 형태로도 전환할 수 있으며, 다수의 서브매트부가 퍼즐과 같이 조합되기 때문에 아이들의 놀이용으로도 활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a 및 1b는 본 고안에 따른 접이식 매트의 일실시예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b의 측면도이다.
도 3a 및 도 3b는 본 고안에 따른 접이식 매트가 엎드림 큐션 구조로 전환된 모습을 도시하는 사시도 및 측면도이다.
도 4는 도 3b의 구조에서 제5,6서브매트부가 회전하여 무릎걸이쿠션 구조로 전환된 모습을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구조에서 제6서브매트부가 이동하여 힙받침쿠션으로 전환된 모습을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6의 (a) 내지 (g)는 도 1 내지 도 5와 다른 구조로 전환된 접이식 매트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7, 도 8a, 8b는 도 2와 다른 구조의 접이식 매트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9a 및 도 9b는 종래 접이식 매트를 도시하는 도면들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 및 후술 되어 있는 내용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고안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본 고안의 설명에서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 또는 유사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그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a 및 1b는 본 고안에 따른 접이식 매트의 일실시예를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b의 측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접이식 매트(100)는 접이 가능하게 연결되는 복수 개의 매트부(110,120,130)가 동일평면 상에서 병설되는 기본 구조에서 다양한 구조로 전환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의 접이식 매트의 기본 구조를 살펴본다.
본 고안에 따른 접이식 매트(100)는 크게 직육면체 형상의 제1매트부(110)와, 상기 제1매트부(110)의 제1면(111)에서 접힐 수 있도록 연결되는 직육면체 형상의 제2매트부(120)와, 상기 제1면(111)과 마주보는 상기 제1매트부(110)의 제2면(114)에서 접힐 수 있도록 연결되는 직육면체 형상의 제3매트부(130)를 포함하되, 상기 제2매트부(120) 또는 제3매트부(130)는 길이방향의 종단면으로 볼 때 삼각형인 복수의 서브매트부로 분할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매트부(110) 내지 제3매트부(130)는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 시트부재(101) 내에 직육면체 또는 직육면체를 분할한 형상으로 솜, 폼(foam) 등의 충전부재(103)가 채워진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을 예시할 수 있다.
그리고 각 매트부(110,120,130)는 후술할 복수의 연결부와, 연결부재(138)를 통해 접이 가능하게 연결되는데, 예를 들어 제1연결부(122)는 시트부재(101)에서 제1매트부(110)와 제1서브매트부(121)의 경계를 봉제함으로써 서로 구획되고 접이 가능하게 연결하는 것을 예시할 수 있다.
상기 제1매트부(110)는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로 이루어질 수도 있으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므로 후술할 도 8b의 실시예와 같이 복수 개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상기 제2매트부(120)는 크게 길이 방향의 종단면으로 볼 때 상기 제1면(111)의 하변(115)에서 대각선 방향으로 분할되어 각각 직각삼각형의 종단면을 가지는 제1서브매트부(121)와 제2서브매트부(124)로 이루어지는 것을 예시할 수 있다.
상기 제1서브매트부(121)와 제1매트부(110)는 제1연결부(122)를 통해 연결되는데, 상기 제1연결부(122)는 상기 제1면(111)의 상변(112)과 상기 제1서브매트부(121)의 직각 꼭짓점 영역의 경계에 형성된다.
상기 제2서브매트부(124)는 제1서브매트부(121)와 제2연결부(125)를 통해 연결되는데, 상기 제2연결부(125)는 상기 제1면(111)의 하변(115)에 인접한 제1서브매트부(121) 및 제2서브매트부(124)의 꼭짓점 영역에 형성된다.
상기 제3매트부(130)는 길이 방향의 종단면으로 볼 때 상기 제2면(114)의 상변(112)에서 대각선 방향으로 분할되어 각각 직각삼각형의 종단면을 가지는 제3서브매트부(131)와 제4서브매트부(134)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3서브매트부(131)와 제1매트부(110)는 제3연결부(132)를 통해 연결되는데, 상기 제3연결부(132)는 상기 제2면(114)의 하변(115)과 그 직각 꼭짓점 영역의 경계에 형성된다.
상기 제4서브매트부(134)는 그 직각 꼭짓점에서 상기 제3매트부(130)의 대각선 방향으로 분할되는 제5서브매트부(135)와, 상기 제5서브매트부(135)와 연결되는 제6서브매트부(137)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5서브매트부(135)와 제6서브매트부(137)는 각각 이등변삼각형의 종단면을 가지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3서브매트부(131)와 제5서브매트부(135)는 제4연결부(136)를 통해 연결되는데, 상기 제4연결부는 서로 인접하는 꼭짓점 영역에서 연결된다.
상기 제5서브매트부와 제6서브매트부는 연결부재(138)를 통해 연결된다.
상기 연결부재(138)의 일단은 상기 제6서브매트부(137)와 접하는 상기 제5서브매트부(135)의 일면의 중앙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제6서브매트부(137)의 꼭지각 영역에 연결된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의 접이식 매트가 3개의 매트부가 동일평면 상에서 병설되는 기본 구조에서 다양한 구조로 전환되는 모습을 살펴본다.
도 3a 및 도 3b는 본 고안에 따른 접이식 매트가 엎드림 큐션 구조로 전환된 모습을 도시하는 사시도 및 측면도이다.
도 3a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엎드림 큐션 구조는 도 1의 기본 구조에서 제1서브매트부(121)가 회전하여 제1매트부(110) 상에 적층되고, 제2서브매트부(124)는 상기 제1서브매트부(121)와 제1매트부(110)의 일측에 배치된 구조이다.
도 3b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제1서브매트부(121)를 잡고 제1연결부(122)를 회전축으로 하여 제1매트부(110) 쪽으로 회전시키면 제2연결부(125)에 연결된 제2서브매트부(124)도 연동하여 회전하고, 상기 제1서브매트부(121)가 상기 제1매트부(110) 상에 완전히 올려지면 제2서브매트부(124)는 제1서브매트부(121)와 제1매트부(110)의 일측에 배치된다. 이 구조는 사용자가 배와 가슴을 경사진 제1서브매트부 상에 배치하여 엎드릴 수 있도록 해준다.
도 4는 도 3b의 구조에서 제5,6서브매트부가 회전하여 무릎걸이쿠션 구조로 전환된 모습을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무릎걸이쿠션 구조는 도 3a의 엎드림 큐션 구조에서 제5,6서브매트부(135,137)가 좌측으로 90°회전한 구조로서, 사용자의 무릎 뒤쪽이 상기 제6서브매트부(137) 상에 걸쳐질 수 있는 구조이다.
도 5는 도 4의 구조에서 제6서브매트부가 이동하여 힙받침쿠션으로 전환된 모습을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무릎걸이쿠션 힙받침쿠션 구조는 도 4의 구조에서 제6서브매트부(137)만 위치를 전환한 것으로서, 이를 위해 시트 형상의 연결부재(138)가 필요하다.
즉, 상기 연결부재(138)가 제1연결부(122) 내지 제4연결부(136)와 같이 단순 봉제를 통해 각 매트부를 구획 내지 연결하는 것이 아니고, 일단은 제5서브매트부(135)의 일면의 중앙에 부착되고 타단은 제6서브매트부(137)의 꼭지각 영역에 연결된다. 따라서 제6서브매트부(137)에서 제5서브매트부(135)와 접하는 면을 꼭지각을 기준으로 전환할 수 있다.
도 6의 (a) 내지 (g)는 도 1 내지 도 5와 다른 구조로 전환된 접이식 매트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본 고안의 접이식 매트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a)는 스툴의자, (b)는 계단형 의자, (c)는 등받이 좌식의자, (d)는 등받이의자, (e)는 목받침의자, (f)는 긴침대, (g)는 다리올림침대 구조로 전환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의 접이식 매트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인체공학적인 구조를 가진 의자, 침대, 쿠션 등으로 손쉽게 전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도 7, 도 8a 및 8b는 도 2와 다른 구조의 접이식 매트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본 고안에 따른 접이식 매트는 도 7과 같이 제1매트부(110) 양측에 배치된 제2,3매트부(120,130)가 각각 직각삼각형 구조의 제1서브매트부(121.124)와, 제2서브매트부(121a,124a)로 이루어지고, 도 8a과 같이 제2,3매트부(120,130)가 각각 제3,5,6서브매트부(131,135,137)(131a,135a,137a)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한편, 도 8b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제1매트부(110a,110b)는 서로 접힐 수 있도록 연결된 복수 개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제1연결부(122)와 제3연결부(132)가 지퍼 등으로 이루어져 제2매트부 또는 제3매트부를 착탈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고안은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고안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고안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실용신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고안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00 : 접이식 매트 101 : 시트부재
103 : 충전부재 110 : 제1매트부
111 : 제1면 112 : 상변
114 : 제2면 115 : 하변
120 : 제2매트부 121 : 제1서브매트부
122 : 제1연결부 124 : 제2서브매트부
125 : 제2연결부 130 : 제3매트부
131 : 제3서브매트부 132 : 제3연결부
134 : 제4서브매트부 135 : 제5서브매트부
136 : 제4연결부 137 : 제6서브매트부
138 : 연결부재

Claims (6)

  1. 복수의 매트부가 동일평면 상에서 병설되는 접이식 매트에 있어서,
    직육면체 형상의 제1매트부와;
    상기 제1매트부의 제1면에서 접힐 수 있도록 연결되는 직육면체 형상의 제2매트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2매트부는 길이방향의 종단면으로 볼 때 삼각형 또는 사각형인 복수의 서브매트부로 분할된 구조이며, 상기 제1면의 상변과 연결되고,
    각 서브매트부는 상기 제1매트부 또는 이웃하는 서브매트부와 접힐 수 있도록 연결되어 다양한 구조로 전환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매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면과 마주보는 상기 제1매트부의 제2면에서 접힐 수 있도록 연결되는 직육면체 형상의 제3매트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3매트부는 길이방향의 종단면으로 볼 때 삼각형 또는 사각형인 복수의 서브매트부로 분할된 구조이며, 상기 제1면의 하변과 연결되고,
    상기 제3매트부의 각 서브매트부는 상기 제1매트부 또는 이웃하는 서브매트부와 접힐 수 있도록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매트.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매트부는,
    길이 방향의 종단면으로 볼 때 상기 제1면의 하변에서 대각선 방향으로 분할되어 직각삼각형의 종단면을 가지는 제1서브매트부와 제2서브매트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서브매트부는 그 직각 꼭짓점 영역이 상기 제1면의 상변과 연결되고,
    상기 제1서브매트부와 제2서브매트부는 상기 제1매트부와 인접하는 어느 한 쌍의 꼭짓점 영역에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매트.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3매트부는,
    길이 방향의 종단면으로 볼 때 상기 제2면의 상변에서 대각선 방향으로 분할되어 각각 직각삼각형의 종단면을 가지는 제3서브매트부와 제4서브매트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3서브매트부는 그 직각 꼭짓점 영역이 상기 제2면의 하변과 연결되고,
    상기 제3서브매트부와 제4서브매트부는 상기 제1매트부와 인접하는 어느 한 쌍의 꼭짓점 영역에서 연결되며,
    상기 제4서브매트부는 그 직각 꼭짓점에서 상기 제3매트부의 대각선 방향으로 분할되는 이등변삼각형의 종단면을 가지는 제5서브매트부와, 상기 제5서브매트부와 연결되며 이등변삼각형의 종단면을 가지는 제6서브매트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매트.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5서브매트부는 상기 제3서브매트부와 인접하는 꼭짓점 영역에서 연결되며,
    상기 제5서브매트부와 제6서브매트부는 시트 형상의 연결부재를 통해 연결되되,
    상기 연결부재의 일단은 상기 제6서브매트부와 접하는 상기 제5서브매트부의 일면의 중앙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제6서브매트부의 꼭지각 영역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매트.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매트부는 접힐 수 있도록 연결된 복수 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매트.
KR2020160002585U 2016-05-13 2016-05-13 접이식 매트 KR20048584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2585U KR200485842Y1 (ko) 2016-05-13 2016-05-13 접이식 매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2585U KR200485842Y1 (ko) 2016-05-13 2016-05-13 접이식 매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3940U true KR20170003940U (ko) 2017-11-22
KR200485842Y1 KR200485842Y1 (ko) 2018-03-02

Family

ID=604806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60002585U KR200485842Y1 (ko) 2016-05-13 2016-05-13 접이식 매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5842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08677A (ko) 2022-07-12 2024-01-19 이종호 접이식 매트리스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20858U (ja) * 1983-07-20 1985-02-13 二光通販株式会社 マツト
JP2006340991A (ja) * 2005-06-10 2006-12-21 Sanwa Shokai:Kk 折畳式変形マットレス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20858U (ja) * 1983-07-20 1985-02-13 二光通販株式会社 マツト
JP2006340991A (ja) * 2005-06-10 2006-12-21 Sanwa Shokai:Kk 折畳式変形マットレス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08677A (ko) 2022-07-12 2024-01-19 이종호 접이식 매트리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5842Y1 (ko) 2018-03-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86108B1 (en) Sectional non-slip mattress and support frame therefor
US20190059606A1 (en) Multifunctional Airbed
JP2013504378A (ja) 腰掛付テーブル装置
EP2299875B1 (en) Modular seating system
US20180000251A1 (en) Cubic furniture ensemble
JPS63290509A (ja) 折曲変形可能な多目的シックマット
KR200485663Y1 (ko) 다용도 쿠션
KR200485842Y1 (ko) 접이식 매트
KR200470334Y1 (ko) 다용도 매트리스 구조
WO2000025637A1 (en) A system with connected modules that may be folded in different ways for the composition of beds and other pieces of furniture
US20130221302A1 (en) Baby play yard mattress
KR102366492B1 (ko) 접이식 매트리스
KR102295468B1 (ko) 다용도 침구
KR200497690Y1 (ko) 기능성 매트
CN219556851U (zh) 一种野餐垫
KR200455249Y1 (ko) 좌석반전이 가능한 연결식 접이의자
KR20170004222U (ko) 유아용 매트
JP2023055517A (ja) 敷き寝具
KR101459662B1 (ko) 접이식 침대의 프레임 구조
JPH0511807Y2 (ko)
KR100196781B1 (ko) 다목적매트용 매트대
KR20100013050U (ko) 발 쿠션
KR20150002049U (ko) 접이식 의자 겸용 매트리스
TWM623708U (zh) 多功能靠墊
KR20180040940A (ko) 탈부착이 가능한 접이식 매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