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03805A - Nfc를 이용한 키 입력 시스템 및 이를 구비하는 도어 개폐형 전자 장치 - Google Patents

Nfc를 이용한 키 입력 시스템 및 이를 구비하는 도어 개폐형 전자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03805A
KR20170003805A KR1020150093287A KR20150093287A KR20170003805A KR 20170003805 A KR20170003805 A KR 20170003805A KR 1020150093287 A KR1020150093287 A KR 1020150093287A KR 20150093287 A KR20150093287 A KR 20150093287A KR 20170003805 A KR20170003805 A KR 201700038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fc device
nfc
key input
input unit
ke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932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용운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켐트로닉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켐트로닉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켐트로닉스
Priority to KR10201500932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03805A/ko
Publication of KR201700038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380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8Access securit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effecting co-operative working between equipments covered by two or more of main groups G06K1/00 - G06K15/00, e.g. automatic card files incorporating conveying and reading oper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Abstract

본 발명은 NFC(Near Field Communication)를 이용한 키(key) 입력 시스템 및 이를 구비하는 도어(door) 개폐형 전자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NFC의 무선 전원 전송 기능 및 데이터 통신 기능을 이용하여 구현된 NFC를 이용한 키 입력 시스템과 이를 구비하는 도어 개폐형 전자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NFC를 이용한 키 입력 시스템은, 제1 NFC 디바이스; 상기 제1 NFC 디바이스로부터 공급되는 RF 신호를 이용해 생성되는 전력에 의해 동작하는 제2 NFC 디바이스; 및 상기 제2 NFC 디바이스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에 의해 동작되는 키(key) 입력부;를 구비하되, 상기 제2 NFC 디바이스는, 상기 키 입력부로부터 입력되는 키 값을 전달받아 상기 제1 NFC 디바이스로 전송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Description

NFC를 이용한 키 입력 시스템 및 이를 구비하는 도어 개폐형 전자 장치{SYSTEM FOR INPUTTING KEY USING NFC AND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THE SAME}
본 발명은 NFC(Near Field Communication)를 이용한 키(key) 입력 시스템 및 이를 구비하는 도어(door) 개폐형 전자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NFC의 무선 전원 전송 기능 및 데이터 통신 기능을 이용하여 구현된 NFC를 이용한 키 입력 시스템과 이를 구비하는 도어 개폐형 전자 장치에 관한 것이다.
냉장고나 세탁기, 전자레인지 등의 도어 개폐형 전자 제품들은, 많은 경우 도어의 외부면에 작동 명령 등을 입력하기 위한 키 입력부가 형성된다.
이와 같은 키 입력부는 전자 제품의 전원부로부터 전력을 전달받기 위한 전원선 및 사용자 등에 의해 입력된 키 데이터를 전자 제품 내부의 제어 회로 등으로 전달하기 위한 신호선 등에 연결되는데, 이러한 전원선과 신호선 등은 도어와 본체 사이를 연결하는 힌지 등의 내부를 통과하도록 설치될 수밖에 없다.
즉, 도어의 키 입력부를 본체의 전원부 및 제어 회로 등과 연결시키기 위해 힌지 등의 내부를 관통하는 홀(hole)을 형성하고 이에 맞춰 배선하는 등의 불편한 작업이 요구될 뿐만 아니라, 도어의 개폐가 오랜 시간 반복되는 과정에서 단선 등의 고장이 발생될 수 있다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전원선과 신호선의 배선이 필요없는 무선 방식 키 입력 시스템의 적용을 통해, 장치 구성의 편의성 향상 및 고장 발생 등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새로운 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465750호(발명의 명칭: NFC 통신을 이용하여 전력을 공급받는 무선 마우스 시스템 및 그 충전 방법)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NFC의 무선 전원 전송 기능 및 데이터 통신 기능을 이용하여 구현된 NFC를 이용한 키 입력 시스템과 이를 구비하는 도어 개폐형 전자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이해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NFC를 이용한 키 입력 시스템은, 제1 NFC 디바이스; 상기 제1 NFC 디바이스로부터 공급되는 RF 신호를 이용해 생성되는 전력에 의해 동작하는 제2 NFC 디바이스; 및 상기 제2 NFC 디바이스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에 의해 동작되는 키(key) 입력부;를 구비하되, 상기 제2 NFC 디바이스는, 상기 키 입력부로부터 입력되는 키 값을 전달받아 상기 제1 NFC 디바이스로 전송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NFC 디바이스는 검출 신호의 발생을 통해 검출 가능 위치에 상기 제2 NFC 디바이스가 위치하는지 여부를 확인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키 입력부는 터치(touch) 센서 또는 레벨(level) 센서를 통해 키 입력을 감지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도어(door)부와 본체부를 구비하는 도어 개폐형 전자 장치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에 구비되는 제1 NFC 디바이스; 상기 도어부에 구비되며, 상기 제1 NFC 디바이스로부터 공급되는 RF 신호를 이용해 생성되는 전력에 의해 동작하는 제2 NFC 디바이스; 및 상기 제2 NFC 디바이스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에 의해 동작되며, 상기 도어의 외부면에 형성되는 키 입력부;를 구비하되, 상기 제2 NFC 디바이스는, 상기 키 입력부로부터 입력되는 키 값을 전달받아 상기 제1 NFC 디바이스로 전송하고, 상기 제1 NFC 디바이스는 상기 제2 NFC 디바이스로부터 전송된 키 값을 상기 본체부에 구비되는 제어회로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개폐형 전자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NFC 디바이스는 검출 신호의 발생을 통해 검출 가능 위치에 상기 제2 NFC 디바이스가 위치하는지 여부를 확인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1 NFC 디바이스와 상기 제어회로, 상기 제2 NFC 디바이스와 상기 키 입력부는 각각 2라인 시리얼(serial) 유선 통신인 I2C 통신을 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키 입력부가 터치(touch) 센서 또는 레벨(level) 센서를 통해 키 입력을 감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음은 전술한 바와 같으며, 상기 제1 NFC 디바이스는 상기 본체부의 전원 공급부로부터 구동 전원을 공급받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NFC를 이용해 별도의 전원선이나 데이터 공급을 위한 신호선 등이 생략된 효율적인 키 입력 시스템의 제공이 가능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아울러, 이와 같은 키 입력 시스템을 냉장고, 세탁기 또는 전자레인지 등과 같은 도어 개폐형 전자 제품에 적용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장치의 제조 공정 간소화 및 고장 발생 감소 등과 같은 다양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는 등의 부가적인 장점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NFC를 이용한 키 입력 시스템의 구성을 개념적으로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NFC를 이용한 키 입력 시스템에 적용되는 NFC 디바이스의 작동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3은 도 1의 NFC를 이용한 키 입력 시스템을 구비하는 도어 개폐형 전자 제품의 구성을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4a 및 도 4b는 각각 NFC의 능동 통신 모드와 수동 통신 모드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전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후술되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를 가리키는 것으로 사용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NFC를 이용한 키 입력 시스템의 구성을 개념적으로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NFC를 이용한 키 입력 시스템은, 제1 NFC 디바이스(110), 제2 NFC 디바이스(120) 및 키 입력부(130) 등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확인할 수 있다.
NFC는 전용 칩(chip)이 탑재된 장치 사이에 약 10 내지 50㎝ 이내의 거리에서 13.56㎒ 대역으로 양방향 데이터 통신을 가능하도록 하는 비접촉 근거리 무선 통신 기술이다. NFC는 리더(reader)와 리더 사이의 통신을 위한 능동 통신 모드(active communication mode) 및 리더와 태그 사이의 통신을 위한 수동 통신 모드(passive communication mode)로 구별 가능한데, 능동 통신 모드의 경우, 도 4a와 같이 각각의 단말기가 필요에 따라 리더 및 태그로 모두 동작 가능한 통신 모드이다.
즉, 능동 통신 모드에서 각각의 NFC 디바이스는 해당 단말 장치 등으로부터 공급되는 독립된 전원을 통해 동작하며, 일측이 리더로 동작할 때 타측은 태그로 동등하게 동작함을 확인할 수 있다.
도 4b를 참조하면, 수동 통신 모드의 경우, 리더가 RF 필드를 이용하여 명령어와 데이터를 송신하면 태그는 리더의 RF 필드에 부하 변조(Lord Modulation) 방식으로 응답 데이터를 송신함을 확인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수동 통신 모드는 종래 RFID의 리더와 태그 사이의 동작 방식과 일부 유사하나, 태그가 리더로부터 전송되는 RF 신호를 통해 필요한 전압을 발생시킨다는 점에서 차별성을 갖는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NFC를 이용한 키 입력 시스템은, 제1 NFC 디바이스(110)가 리더로 동작하고 제2 NFC 디바이스(120)가 태그로 동작하는 수동 통신 모드로 운용되며, 이에 따라, 제1 NFC 디바이스(110)로부터 전송되는 RF 신호를 이용해 제2 NFC 디바이스(120)가 구동 전력을 생성하여 동작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아울러, 제2 NFC 디바이스(120)가 제1 NFC 디바이스(110)의 RF 신호를 이용하여 생성한 전력의 일부는, 다시 키 입력부(130)로 공급되어 이의 구동 전력으로 사용될 수 있다. 가령, 터치 스크린에 의해 키 입력부(130)가 구성되는 경우, 터치 스크린을 구동하기 위한 전력은 제2 NFC 디바이스(120)로부터 전송되며, 따라서, 제1 NFC 디바이스(110)의 구동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부 이외에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NFC를 이용한 키 입력 시스템은 별도의 전원부가 구비되지 않아도 된다는 장점을 갖는다.
제2 NFC 디바이스(120)와 키 입력부(130) 사이에 전력의 전송 및 데이터의 전송은 유선 전송 방식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I2C 통신 방식 등과 같은 통상의 어떠한 방식이 적용되더라도 무방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NFC를 이용한 키 입력 시스템은, 리더 기능을 하는 제1 NFC 디바이스(110)로부터 전송되는 RF 신호를 이용해 태그 기능의 제2 NFC 디바이스(120)가 전력을 생성하며, 이렇게 생성된 전력의 일부를 이용해 키 입력부(130)의 동작이 이루어진다. 키 입력부(130)를 통해 입력되는 키 값은 I2C 통신 등의 유선 통신을 통해 제2 NFC 디바이스(120)로 전달된 후 NFC 통신 방식에 의해 제1 NFC 디바이스(110)로 전송되며, 이후 시스템의 적용 설비에 따라 제1 NFC 디바이스(110)로 전송된 키 값은 다양하게 활용 가능할 수 있다.
여기서, 키 입력부(130)가 통상의 어떠한 전자적인 방식의 키 입력 장치로 구성되더라도 무방할 수 있음은 당연하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는, 특히, 터치(touch) 센서나 레벨(level) 센서를 이용해 입력 키 값을 인식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NFC를 이용한 키 입력 시스템이 적용된 전자 장치에 대해서는 추후 별도의 도면을 통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NFC를 이용한 키 입력 시스템에 적용되는 NFC 디바이스의 작동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먼저 도 2a를 참조하여 제1 NFC 디바이스의 동작을 살펴보면, 호스트(Host) 기기의 MCU(Micro Controller Unit) 등으로부터 NFC 구동을 위한 초기화 명령 및 데이터가 I2C 통신 등을 통해 전송됨으로써 NFC 초기화(S210)가 수행됨을 확인할 수 있다. NFC 초기화(S210)는 제1 NFC 디바이스(110)의 동작을 위한 내부 값을 설정하는 단계로, 호스트 기기의 MCU 등에서 I2C 통신을 통해 데이터를 전송함으로써 내부 설정값들을 설정하여 제1 NFC 디바이스(110)를 동작시키는 과정을 의미한다.
NFC 초기화(S210)가 완료되면, 제1 NFC 디바이스(110)가 제2 NFC 디바이스(120)를 검출하기 위한 NFC 필드(Field) 검출(S215) 과정의 수행이 이루어지는데, 이는 제1 NFC 디바이스(110)가 주기적 또는 비주기적으로 신호를 발생하여 검출 가능 위치에 제2 NFC 디바이스(120)가 위치하였는지를 확인하는 과정이다.
NFC 필드 검출(S215) 과정을 통해 제2 NFC 디바이스(120)의 검출이 이루어지면, 제1 NFC 디바이스(110)는 무선 통신을 통해 제2 NFC 디바이스(120)에 응답 확인을 요청함으로써 NFC 필드 응답 확인(S220) 과정을 수행하게 된다.
이를 통해 NFC 필드 응답 확인(S220)이 이루어질 경우, 무선 데이터 통신을 실시하여 제2 NFC 디바이스(120)로부터 송출된 키(Key) 데이터를 호스트 기기의 MCU가 읽을 수 있도록(S225) 처리한다.
하지만, NFC 필드 응답 확인(S220) 결과 응답이 확인되지 않으면, 응답 요청 횟수만큼 카운터를 증가(S230) 시키고, 이러한 카운터 횟수가 설정값을 초과(S235) 했는지 확인 후 초과시 NFC 초기화(S210)를 재수행 한다.
다음, 도 2b를 참조하여 제2 NFC 디바이스(120)의 동작을 살펴보면, RF 전원 수신(S250)이 제2 NFC 디바이스(120)의 안테나를 통해 이루어지면 키 입력부(130)에 구동전원을 공급하고, 키 입력부(130)와 I²C 등의 통신을 통해 제2 NFC 디바이스(120)의 NFC 통신 초기화(S255)를 수행하며, 키 입력 여부 확인을 위한 터치 센싱(S260)을 수행한다.
터치 센싱(S260)을 통해 키 입력 발생이 확인되면 통신 가능 여부 확인(S265) 과정을 통해 제1 NFC 디바이스(110)가 제2 NFC 디바이스(120)로 통신하고 있는지 여부를 확인함으로써, 제1 NFC 디바이스(110)로 키 데이터의 전송(S270)을 실시하거나 터치 센싱(S260)을 반복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도 3은 도 1의 NFC를 이용한 키 입력 시스템을 구비하는 도어 개폐형 전자 제품의 구성을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NFC를 이용한 키 입력 시스템을 구비하는 도어 개폐형 전자 장치(300)는, 도어부(310) 및 본체부(320) 등으로 구성 가능함을 확인할 수 있다. 즉, 도 3의 전자 장치(300)는 냉장고, 세탁기 또는 전자레인지 등과 같이 도어의 개폐가 가능한 형태의 모든 전자 장치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나아가, 외부에 구비되는 키 입력부(130)의 입력 키 값에 대응되도록 프로세서 등의 제어 회로가 제어 신호를 생성함으로써 동작되는 모든 형태의 가정용, 산업용 전자 장치일 수 있다.
도어부(310)에는 제2 NFC 디바이스(120) 및 키 입력부(130)가 구비되며, 본체부(320)에는 제1 NFC 디바이스(110) 및 제어 회로(330) 등이 구비됨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다.
즉, 본체부(320)의 제1 NFC 디바이스(110)로부터 인가되는 RF 신호를 이용해 도어부(310)의 제2 NFC 디바이스(120)는 구동 전력을 생성하며, 생성된 전력의 일부는 키 입력부(130)의 구동 전원으로 공급한다. 별도로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제1 NFC 디바이스(110)의 구동 전력이 본체부(320)의 전원부(미도시) 등으로부터 공급 가능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한편, 제1 NFC 디바이스(110)와 제2 NFC 디바이스(120) 사이의 원활한 통신을 위해 이 둘 사이의 거리가 10 내지 50㎝ 이내를 유지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음 또한 당연하다.
제2 NFC 디바이스(120)로부터 공급받은 전력에 의해 구동되는 키 입력부(130)를 통해 키 값이 입력되면, 이는 제2 NFC 디바이스(120)에 전달된 후 NFC 통신을 통해 제1 NFC 디바이스(110) 측으로 전송된다.
이와 같은 과정에 의해 키 값을 전송받은 제1 NFC 디바이스(110)는 프로세서등으로 구성되는 제어 회로(330)에 해당 키 값을 전달함으로써, 제어 회로(330)가 입력 키 값에 대응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도록 기능한다.
여기서, 제1 NFC 디바이스(110) 및 제어 회로(330) 사이, 그리고 제2 NFC 디바이스(120) 및 키 입력부(130) 사이의 연결이 I2C 통신 등의 방식에 의해 구현 가능할 수 있음은 전술한 바와 같다.
아울러, 키 입력부(130)가 통상의 어떠한 전자적인 방식의 키 입력 장치로 구성되더라도 무방할 수 있으나, 특히, 터치(touch) 센서 또는 레벨(level) 센서 등을 이용해 구현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할 수 있음 또한 전술한 바와 같다.
즉,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전자 장치(300)가 가령 전자레인지인 경우를 가정하면, 사용자는 도어(310) 외부에 형성된 키 입력부(130)를 통해 조리 시간 설정, 조리 종류 설정 등과 같은 조작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그러면, 이와 같이 입력된 키 값은 I2C 통신 등의 유선 방식에 의해 제2 NFC 디바이스(120) 측으로 전달된 후 다시 NFC 통신 방식에 의해 본체부(320)의 제1 NFC 디바이스(110)로 전송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후 제1 NFC 디바이스(110)가 유선 데이터 통신을 통해 제어 회로(330) 측으로 키 값을 전송하면, 제어 회로(330)는 해당 키 값에 대응되는 동작이 이루어지도록 각각의 구성요소에 대한 제어 신호를 생성함으로써, 결과적으로 사용자가 키 입력부(130)를 통해 입력한 키 값의 동작 수행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 과정에서, 제2 NFC 디바이스(120) 및 키 입력부(130)의 구동에 필요한 전원 공급을 제1 NFC 디바이스(110)로부터 전송되는 RF 신호가 담당하도록 함으로써, 도어부(310)에 별도의 전원 공급 장치 등이 구비되지 않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무선의 NFC 통신 방식에 의해 입력 키 값의 전송이 수행될 수 있게 됨에 따라, 도어부(310)와 본체부(320) 사이를 연결하는 배선 등이 불필요할 수 있도록 한다는 등의 장점 제공이 가능할 수 있음에 대해서는 전술한 바 있다. 또한, 제1 NFC 디바이스(110) 및 제2 NFC 디바이스(120) 사이의 거리가, NFC 통신이 가능할 수 있는 대략 10 내지 50㎝ 이내의 간격을 유지하도록 구성되어야 함 또한 전술한 바 있다.
아울러, 이와 같은 전자 장치가 냉장고, 세탁기 또는 전자레인지 등과 같은 가정용 전자 제품 뿐만 아니라,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키 값에 의해 동작되는 가정용, 산업용의 모든 전자 장치일 수 있음은 전술한 바와 같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110: 제1 NFC 디바이스 120: 제2 NFC 디바이스
130: 키 입력부 300: 전자 장치
310: 도어부 320: 본체부
330: 제어 회로

Claims (8)

  1. 제1 NFC 디바이스;
    상기 제1 NFC 디바이스로부터 공급되는 RF 신호를 이용해 생성되는 전력에 의해 동작하는 제2 NFC 디바이스; 및
    상기 제2 NFC 디바이스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에 의해 동작되는 키(key) 입력부;를 구비하되,
    상기 제2 NFC 디바이스는, 상기 키 입력부로부터 입력되는 키 값을 전달받아 상기 제1 NFC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NFC를 이용한 키 입력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NFC 디바이스는 검출 신호의 발생을 통해 검출 가능 위치에 상기 제2 NFC 디바이스가 위치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NFC를 이용한 키 입력 시스템.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키 입력부는 터치(touch) 센서 또는 레벨(level) 센서를 통해 키 입력을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NFC를 이용한 키 입력 시스템.
  4. 도어(door)부와 본체부를 구비하는 도어 개폐형 전자 장치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에 구비되는 제1 NFC 디바이스;
    상기 도어부에 구비되며, 상기 제1 NFC 디바이스로부터 공급되는 RF 신호를 이용해 생성되는 전력에 의해 동작하는 제2 NFC 디바이스; 및
    상기 제2 NFC 디바이스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에 의해 동작되며, 상기 도어의 외부면에 형성되는 키 입력부;를 구비하되,
    상기 제2 NFC 디바이스는, 상기 키 입력부로부터 입력되는 키 값을 전달받아 상기 제1 NFC 디바이스로 전송하고, 상기 제1 NFC 디바이스는 상기 제2 NFC 디바이스로부터 전송된 키 값을 상기 본체부에 구비되는 제어 회로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개폐형 전자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NFC 디바이스는 검출 신호의 발생을 통해 검출 가능 위치에 상기 제2 NFC 디바이스가 위치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개폐형 전자 장치.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NFC 디바이스와 상기 제어회로, 상기 제2 NFC 디바이스와 상기 키 입력부는 각각 I2C 통신을 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개폐형 전자 장치.
  7. 제 4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키 입력부는 터치(touch) 센서 또는 레벨(level) 센서를 통해 키 입력을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개폐형 전자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NFC 디바이스는 상기 본체부의 전원 공급부로부터 구동 전원을 공급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개폐형 전자 장치.
KR1020150093287A 2015-06-30 2015-06-30 Nfc를 이용한 키 입력 시스템 및 이를 구비하는 도어 개폐형 전자 장치 KR2017000380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3287A KR20170003805A (ko) 2015-06-30 2015-06-30 Nfc를 이용한 키 입력 시스템 및 이를 구비하는 도어 개폐형 전자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3287A KR20170003805A (ko) 2015-06-30 2015-06-30 Nfc를 이용한 키 입력 시스템 및 이를 구비하는 도어 개폐형 전자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3805A true KR20170003805A (ko) 2017-01-10

Family

ID=578117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93287A KR20170003805A (ko) 2015-06-30 2015-06-30 Nfc를 이용한 키 입력 시스템 및 이를 구비하는 도어 개폐형 전자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03805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5750B1 (ko) 2013-12-17 2014-12-01 리모트솔루션주식회사 Nfc 통신을 이용하여 전력을 공급받는 무선 마우스 시스템 및 그 충전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5750B1 (ko) 2013-12-17 2014-12-01 리모트솔루션주식회사 Nfc 통신을 이용하여 전력을 공급받는 무선 마우스 시스템 및 그 충전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877930B1 (ja) 共振型電力伝送システム、送信装置及び給電位置制御システム
EP3173888B1 (en) Method for managing household devices
US9419465B2 (en) Wireless charger
US9307346B2 (en) System and a method for remotely interacting with items in an electrical field affected environment
KR102257688B1 (ko) 무선 충전 및 근거리 통신 겸용 송신 장치
JP5891383B2 (ja) 通信方法、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携帯端末、家庭電気機器、及び家庭電気機器の動作設定システム
EP2642372A1 (en) Touch-controlled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reducing wireless signal interference to touch sensing function
JP6045113B2 (ja) キーレスエントリシステム
CN103843221A (zh) 无线充电的装置和方法
CN101894452A (zh) 一种基于移动通信网控制智能家居的方法及系统
CN104659887A (zh) 非接触式电源装置和非接触式供电方法
CN104597882A (zh) 智能家电、行动通讯装置、智能家电控制系统及方法
KR20110127968A (ko) R fid를 이용한 원격 제어 송수신 장치 및 그 방법
CN101887638A (zh) 一种智能家居遥控系统
KR20210054357A (ko) Wpt 쿡탑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20120052517A (ko) 무선전력전송방법, 무선전력수신방법, 무선전력전송장치 및 무선전력수신장치
KR20170003805A (ko) Nfc를 이용한 키 입력 시스템 및 이를 구비하는 도어 개폐형 전자 장치
US10045398B2 (en) Wireless power receiver
CN105519000B (zh) 无线通信装置和移动设备
TWI552027B (zh) 通訊協定系統及其可自動執行連線切換的方法
US9608837B1 (en) Method for using portable controlling device for home network
EP3070601A1 (en) Electric apparatus and method of updating firmware of electric apparatus
WO2013132850A1 (ja) 電気機器、電気機器の制御方法及びサーバ装置
KR100539534B1 (ko) 홈 네트워크 시스템
WO2018030062A1 (ja) 給電機器および受電機器、ならびに、これらを備えた電力伝送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