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03647U - 신규한 점착 패드 및 이를 이용한 거치대 - Google Patents

신규한 점착 패드 및 이를 이용한 거치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03647U
KR20170003647U KR2020160001986U KR20160001986U KR20170003647U KR 20170003647 U KR20170003647 U KR 20170003647U KR 2020160001986 U KR2020160001986 U KR 2020160001986U KR 20160001986 U KR20160001986 U KR 20160001986U KR 20170003647 U KR20170003647 U KR 20170003647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am sheet
polyurethane foam
adhesive pad
base film
mobile pho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6000198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재문
김도희
Original Assignee
김재문
김도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재문, 김도희 filed Critical 김재문
Priority to KR202016000198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03647U/ko
Priority to PCT/KR2016/015351 priority patent/WO2017179797A1/ko
Publication of KR2017000364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3647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09J7/0289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2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 C09J7/22Plastics; Metallised plastics
    • C09J7/26Porous or cellular plastic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33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1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characterized by their specific function
    • C08K3/013Fillers, pigments or reinforcing addit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13/00Compositions of rubbers containing carboxyl group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75/00Compositions of polyureas or polyurethane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75/04Polyuretha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2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 H01M2/1022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18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44Secondary casings; Racks; Suspension devices; Carrying devices; Holders characterised by their mounting metho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47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specially adapted for portable devices, e.g. mobile phones, computers, hand tools or pacemak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4Supports for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4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 B60R2011/0049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for non integrated articles
    • B60R2011/005Connection with the vehicle part
    • B60R2011/0063Connection with the vehicle part using adhesive means, e.g. hook and loop fasten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203/00Applications of adhesives in processes or use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203/33Applications of adhesives in processes or use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for batteries or fuel cel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30/00Adapting or protecting infrastructure or their oper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Abstract

본 발명은 a) 두께가 0.5 내지 1.5mm인 아크릴 고무(acrylic rubber)-기반 폼 시트를 포함하는 접착부; 및 b) 두께가 1.0 내지 2.0mm인 폴리우레탄(polyurethane) 폼 시트를 포함하는 베이스 필름으로 구성된 점착 패드로서, 거치 물품을 지지 또는 고정하기 위한 점착 패드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신규한 점착 패드 및 이를 이용한 거치대{A novel adhesive pad and a product holder for using the pad}
본 발명은 휴대폰, 태블릿 pc, 보조 배터리 등과 같은 각종 물품을 간편하게 거치할 수 있는 물품 거치대 및 이에 사용되는 신규한 점착 패드에 관한 것이다.
휴대폰 또는 태블릿 pc를 이용한 네비게이션 등 다양한 어플의 사용이 증가함에 따라, 차량용 휴대폰 거치대 또는 태블릿 pc 거치대에 대한 수요가 급증하고 있다. 하지만, 종래 휴대폰 거치대 등의 경우, 휴대폰 등의 물품을 고정하거나 지지하는 힘이 충분하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로 인해 차량용 휴대폰 거치대의 경우 차량이 이동하거나 흔들리는 경우 거치대로부터 휴대폰이 떨어져 휴대폰이 파손되는 경우가 발생하였으며, 네비게이션을 사용하는 도중 휴대폰이 탈착되거나, 또는 운전자가 휴대폰을 다시 거치대에 고정시키고자 하는 과정에서 사고가 발생하는 등 운전시 위험이 존재하는 등 많은 불편함이 있었다.
또한, 종래 휴대폰 거치대는 휴대폰을 고정시키기 위해, 휴대폰 테두리를 홀딩하는 클램핑부를 포함하는 경우가 많았으나, 클램핑부의 고정력 충분하지 못하다는 문제점과, 거치대에 충격이 가해지거나 휴대폰의 크기가 어느 정도 작거나 큰 경우, 클램핑부로부터 휴대폰이 쉽게 이탈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를 해소하기 위하여, 실리콘 젤(silicon gel) 또는 폴리우레탄 젤(polyurethane gel) 타입 등이 출시되었지만, 여전히 물품에 대해 충분한 지지력 및 고정력을 제공하지 못하였다. 또한, 실리콘 젤 또는 폴리우레탄 젤 타입 패드의 경우 이물질에 대한 내오염성이 낮아, 장시간 사용하게 되면 물품과 부착되는 면에 머리카락 또는 먼지 등이 쉽게 달라붙어 패드의 점착력이 저하되고, 나아가 이러한 이물질의 제거가 쉽지 않다는 단점이 있었다. 뿐만 아니라, 휴대폰의 탈부착이 반복됨에 따라, 휴대폰과 접촉되는 패드 부분이 뜯겨져 나감으로써, 내마모력 및 내구성을 향상시킬 필요가 있었으며, 여름과 같은 높은 온도에서는 휴대폰 거치대에 사용되는 점착 패드의 탄력성 및 복원력이 저하됨으로써, 열적으로 안정된 패드가 요구되었다.
이에, 본 발명자는 상기 이러한 종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점착력, 내구성, 내열성 및 내오염성이 우수한 신규한 점착 패드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나아가, 상기 점착 패드를 보조 배터리, 무선 충전기 등에도 다양하게 적용함으로써, 보조 배터리를 휴대폰에 부착시켜, 충전하는 동안에도 휴대폰의 사용에 불폄함이 없도록 하였으며, 케이블을 사용하지 않고서 충전 대상 물품을 충분히 고정 또는 지지할 수 있도록 하였다.
본 발명은 우수한 점착력, 내구성, 내열성 및 내오염성을 갖는 점착 패드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휴대폰이 쉽게 탈부착이 가능하고 우수한 점착력을 갖는 휴대폰 보조 배터리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기 점착 패드가 적용된 휴대폰 거치대, 태블릿 pc 거치대 및 무선 충전용 거치대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a) 두께가 0.5 내지 1.5mm인 아크릴 고무(acrylic rubber)-기반 폼 시트를 포함하는 접착부; 및 b) 두께가 1.0 내지 2.0mm인 폴리우레탄(polyurethane) 폼 시트를 포함하는 베이스 필름으로 구성된 점착 패드를 제공하며, 상기 점착 패드는 거치 물품을 지지 또는 고정하는 기능을 가진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서, 아크릴 고무-기반 폼 시트 및 폴리우레탄 폼 시트가 모두 다공성으로, 우수한 탄력성 및 복원력을 가진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서, 상기 폴리우레탄 폼 시트는 폴리우레탄(polyurethane) 폼 70-75 중량%; 칼슘 카보네이트(calcium Carbonate) 20-25 중량%; 및 폴리이소시아네이트(polyisocyanate) 0.01-1 중량%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서, 아크릴 고무-기반 폼 시트는 추가적으로 착색 안료를 1 내지 10 중량%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서, 착색 안료가 카본 블랙, 산화티탄 또는 산화철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서, 상기 폴리우레탄 폼 시트는 폴리우레탄 폼 74-75 중량%; 칼슘 카보네이트 24-25 중량%; 폴리이소시아네이트 0.01-0.08 중량%; 및블랙 카본 0.01-1 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서, 바람직하게 접착부의 두께는 0.8mm이며, 베이스 필름의 두께는 1.2mm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에서, 상기 점착 패드를 포함하는 휴대폰 보조 배터리, 휴대폰 무선 충전용 거치대, 휴대폰 거치대 및 태블릿 pc 거치대를 제공하며, 상기 점착 패드의 베이스 필름은 상기 배터리 또는 거치대와 결합되며, 상기 점착 패드의 접착부는 거치하고자 하는 물품에 대해서 탈부착되게 된다.
본 발명은 점착력, 내구성, 내열성 및 내오염성이 우수한 점착 패드를 제공한다. 상기 점착 패드의 폴리우레탄 폼 시트는 점착력이 우수한 다공성의 특성을 가지는 동시에 겔(gel) 타입 패드와 달리 먼지가 잘 부착되지 않아 내오염성이 우수하고, 베이스 필름은 온도와 상관 없이, 우수한 복원력 및 탄성력을 가지므로 폴리우레탄 폼 시트를 단독으로 사용하였을 때 보다, 훨씬 우수한 점착력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폴리우레탄 폼 시트의 SEM 사진을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아크릴 고무-기반 폼 시트의 SEM 사진을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구현예의 점착 패드가 적용된 차량용 핸드폰 거치대이다.
도 4은 본 발명의 일 구현예의 핸드폰 거치대에 핸드폰이 적용된 사진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며,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히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로는 다수 개가 존재할 수 있으며, 설명에 있어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되는 것도 있다.
이하, 본 발명의 구현예로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하기 구현예는 본 발명에 대한 예시로 제시되는 것으로, 이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지는 않으며 본 발명은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기재 및 그로부터 해석되는 균등 범주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응용이 가능하다
본 발명은 a) 두께가 0.5 내지 1.5mm인 아크릴 고무(acrylic rubber)-기반 폼 시트를 포함하는 접착부; 및 b) 두께가 1.0 내지 2.0mm인 폴리우레탄(polyurethane) 폼 시트를 포함하는 베이스 필름으로 구성된 점착 패드에 관한 것이다.
상기 아크릴 고무(acrylic rubber)-기반 폼 시트를 포함하는 접착부는 거치 물품 예를 들면, 휴대폰 및 태블릿 pc와 점착되는 부분이다.
상기 아크릴 고무-기반 폼 시트는 다공성을 가짐으로써, 우수한 탄성 및 복원력을 가지며, 이로 인해 가벼운 압력에 의해서 휴대폰 및 태블릿 pc 점착될 수 있다. 또한, 거치 물품을 손상시키거나 거치 물품에 점착 자국을 남기지 않고, 깔끔하고 용이하게 탈착시킬 수 있으며, 먼지 등의 이물질에 대한 내오염성 및 수명 특성이 우수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아크릴 고무-기반이라 함은 아크릴레이트를 모노머로 포함하는 합성 고무로 이루어진 폼 시트를 의미한다. 일 예로, 상기 아크릴 고무-기반 폼 시트는 n-부틸 아크릴레이트(n-Butyl acrylate), n-부틸 메타크릴레이트(n-butyl methacrylate), 아크릴로니트릴(acrylonitrile), 글리시딜메타크릴레이트(glycidylmethacrylate), 알릴 메타크릴레이트 등을 주 성분으로 포함하는 폼 또는 발포체를 의미한다.
더욱이, 폴리우레탄 폼 시트만을 포함하는 점착 패드에 비해서, 열적 안성이 우수하다. 이는 아크릴 고무-기반 폼 시트가 상온에서는 영구적인 점성을 가질 뿐 아니라, -10℃ 내지 40℃의 넓은 온도 범위에서도 탄성력 및 복원력이 일정하게 유지되기 때문이다. 폴리우레탄 폼 시트는 상기 온도 범위에서 열, 용제 없이 단지 압력에 의해서만 점착되면서 강한 유지력을 가질 수 있기 때문으로 아크릴 고무-기반 폼 시트는 본 발명에 열적 안정성을 부여한다.
종래 폴리우레탄 젤 또는 실리콘 젤은 젤 표면 자체가 오염이 잘 될 뿐 아니라, 계속 사용시에는 점착력이 떨어질 뿐 아니라, 휴대폰 탈착시에 휴대폰에 끈적이는 이질감을 남기기 때문에 사용하기에 불편한 점이 있었으나, 본 발명의 아크릴 고무-기반 폼 시트는 점착력이 우수한 반면, 휴대폰을 탈착하는 경우 휴대폰에 이물질을 남기지 않는다.
본 발명의 점착 패드를 구성하는 아크릴 고무-기반 폼 시트를 포함하는 접착부의 이면에는 폴리우레탄 폼 시트가 존재한다. 상기 폴리우레탄 폼 시트는 다공성 구조를 형성함으로써, 나노사이즈의 기공을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예로서, 폴리우레탄 폼 시트의 단면을 보여주는 것으로, 기공 구조가 매우 조밀하게 형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다공성 구조는 폴리우레탄 폼 시트로 하여금 우수한 탄성 복원력를 갖게 함으로써, 낮은 압력을 가하여도 거치 물품이 잘 부착되는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폴리우레탄 폼 시트는 폴리우레탄 폼(polyurethane) 70-75 중량%; 칼슘 카보네이트(calcium Carbonate) 20-25 중량%; 및 폴리이소시아네이트(polyisocyanate) 0.01-1 중량%를 포함한다. 바림직하게는 폴리우레탄 폼 74-75 중량%; 칼슘 카보네이트 24-25 중량%; 및 폴리이소시아네이트 0.01-0.08 중량%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치 범위를 만족하는 경우, 폴리우레탄 폼 시트는 거치 물품을 지지하기에 충분한 탄성 및 복원력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아크릴 고무-기반 폼 시트 및 폴리우레탄 폼 시트는 추가적으로 착색 안료를 포함할 수 있다. 착색 안료는 아크릴 고무-기반 폼 시트 및 폴리우레탄 폼 시트의 색상을 결정하는 것으로, 폴리우레탄 폼 시트가 적용되는 거치대 또는 점착 패드의 디자인 또는 색상에 따라 적절히 선택될 수 있다. 이러한 착색 안료로는 블랙 카본 카본 블랙, 산화티탄 또는 산화철 등의 착색 안료가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로, 아크릴 고무-기반 폼 시트는 착색 안료를 1 내지 10 중량%를 포함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5 내지 8 중량%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로, 폴리우레탄 폼 시트는 전체 중량의 1 중량% 이하, 예를 들면 0.5 중량% 이하로 착색 안료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폴리우레탄 폼 시트는 폴리우레탄 폼 74-75 중량%; 칼슘 카보네이트 24-25 중량%; 폴리이소시아네이트 0.01-0.08 중량%; 및 블랙 카본 0.01-1 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이 외에, 일반적으로 들어가는 첨가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구현예에 따르면, 아크릴 고무-기반 폼 시트를 포함하는 접착부의 두께는 0.5 내지 1.5mm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0.8mm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베이스 필름의 두께는 1.0 내지 2.0mm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1.2mm이다.
일 구현예로, 접착부의 두께가 0.8mm이며, 베이스 필름의 두께가 1.2mm인 경우, 점착 패드에 충분한 탄성력을 부여할 수 있으며, 동시에 넓은 온도 범위에서도 일정한 점착력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전술한 점착 패드가 적용된 핸드폰 보조 배터리, 핸드폰 무선 충전기용 거치대, 핸드폰 거치대 및 태블릿 pc 거치대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로, 상기 점착 패드의 베이스 필름의 일면이 핸드폰 보조 배터리에 접착되어, 상기 아크릴 고무(acrylic rubber)-기반 폼 시트를 포함하는 접착부가 휴대폰에 대해 용이하게 탈부착되는 보조 배터리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로, 상기 점착 패드의 베이스 필름의 일면이 핸드폰 무선 충전기용 거치대에 접착되어, 상기 아크릴 고무(acrylic rubber)-기반 폼 시트를 포함하는 접착부가 휴대폰에 대해 용이하게 탈부착되는 핸드폰 무선 충전기용 거치대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로, 상기 점착 패드의 베이스 필름의 일면이 핸드폰을 지지하는 고정판에 접착되어, 상기 아크릴 고무(acrylic rubber)-기반 폼 시트를 포함하는 접착부가 휴대폰에 대해 용이하게 탈부착되는 핸드폰 거치대를 제공한다.
도 3 및 4는 전술한 점착 패드가 적용된 차량용 핸드폰 거치대 및 핸드폰이 적용된 사진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로, 상기 점착 패드의 베이스 필름의 일면이 태블릿 pc를 지지하는 고정판에 접착되고, 상기 점착 패드의 폴리우레탄 폼 시트는 핸드폰과 접촉함으로써, 태블릿의 탈부착이 용이한 태블릿 pc 거치대를 제공한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그러나 본 발명이 하기 실시예에만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 점착 패드의 제조
거치 대상 물품을 고정 및 지지하는 점착 패드는 아크릴 고무(acrylic rubber)-기반 폼 시트를 포함하는 접착부; 및 폴리우레탄(polyurethane) 폼 시트를 포함하는 베이스 필름으로 구성된다.
폴리우레탄 폼 시트는 하기 조성을 가지는 조성물로부터 제조하였으며, 두께는 1.2mm였다.
조성 구성비 ( wt% )
폴리우레탄 폼 74.2
칼슘 카보네이트 24.7
카본 블랙 0.98
폴리이소시아네이트 0.05-0.06
아크릴 고무(acrylic rubber)-기반 폼 시트는 하기의 조성을 가지도록 제조제조하였으며, 두께는 0.8mm였다.
조성 구성비 ( wt% )
아크릴고무 수지 92
카본 블랙 7
기타 무기성분 1
상기 제조된 아크릴 고무(acrylic rubber)-기반 폼 시트와 폴리리우레탄 폼 시트를 합포(Laminating) 또는 공압출(Co-extruded)하여 점착 패드를 제조하였다.
실험예 1: 점착력 평가
상기 실시예에서 제조된 점착 패드를 이용하여 하기 방법으로 점착력을 평가하였다.
먼저, 실시예에서 제조된 점착 패드를 가로 및 세로를 62mm로 제단하여, 아크릴판(1cm) 판 위에 두고 약 6~8kg의 힘으로 상기 점착 패드를 완전이 바닥에 밀착 고정시킨 후, Push- Pull Gauge NK-500(실온 23℃)를 이용하여 점착 패드를 떼어내는 힘을 측정하였다.
비교예로는 시판되고 있는 거치대(제조사: 삼성)에 포함된 폴리우레탄 겔 타입의 패드를 준비하여, 실시예 및 비교예에 대해 각각 10회 측정하여 표 3와 같이 평균값을 얻었다.
1 2 3 4 5 6 7 8 9 10 평균
실시예 9.5 9.0 10.0 10.5 9.5 10.0 10.0 9.5 10.5 9.0 9.8
비교예 4.5 5.0 6.0 5.5 4.5 5.0 5.0 5.0 5.0 5.5 5.1
(단위 Kg)
표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경우 시판되고 있는 거치대의 점착력에 비해 2배 정도 높았다.
실험예 2: 수명 특성 평가
실시예 및 비교예의 점착 패드의 수명특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점착 패드를 사용하지 않은 0 일에의 최초 점착력 및 사용일로부터 30일 이후의 점착력을 각각 평가하였다. 평가 방법은 상기 실험예 1과 같다.
시료 0일 30일
실시예 20 20
비교예 19 4
표 4에서 알 수 있듯이, 비교예의 점착 패드는 실시예와 비교하여 수명특성이 현저하게 저하되었으며, 물세척 하여도 점착력 저하의 원인이 되는 오염물이 완전히 제거되지 않았다.

Claims (12)

  1. a) 두께가 0.5 내지 1.5mm인 아크릴 고무(acrylic rubber)-기반 폼 시트를 포함하는 접착부; 및
    b) 두께가 1.0 내지 2.0mm인 폴리우레탄(polyurethane) 폼 시트를 포함하는 베이스 필름으로 구성된 점착 패드로서, 거치 물품을 지지 또는 고정하기 위한 점착 패드.
  2. 제1항에 있어서,
    아크릴 고무-기반 폼 시트 및 폴리우레탄 폼 시트가 다공성인 점착 패드.
  3. 제1항에 있어서,
    폴리우레탄 폼 시트가 하기 성분을 포함하는 점착 패드:
    폴리우레탄 폼(polyurethane) 70-75 중량%;
    칼슘 카보네이트(calcium Carbonate) 20-25 중량%; 및
    폴리이소시아네이트(polyisocyanate) 0.01-1 중량%
  4. 제3항에 있어서,
    아크릴 고무-기반 폼 시트가 추가적으로 착색 안료를 1 내지 10 중량%를 포함하는 점착 패드.
  5. 제4항에 있어서,
    착색 안료가 카본 블랙, 산화티탄 또는 산화철인 점착 패드.
  6. 제3항에 있어서,
    폴리우레탄 폼 시트가 하기 성분을 포함하는 점착 패드:
    폴리우레탄 폼 74-75 중량%;
    칼슘 카보네이트 24-25 중량%;
    폴리이소시아네이트 0.01-0.08 중량%; 및
    블랙 카본 0.01-1 중량%
  7. 제1항에 있어서,
    거치 물품이 휴대폰, 태블릿 pc, 휴대폰 보조 배터리인 점착 패드.
  8. 제1항에 있어서,
    접착부의 두께가 0.8mm이며, 베이스 필름의 두께가 1.2mm인 점착 패드.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점착 패드를 포함하는 휴대폰 보조 배터리로서,
    베이스 필름이 휴대폰 보조 배터리에 부착되고,
    접착부가 휴대폰에 대해 탈부착는 휴대폰 보조 배터리.
  10.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점착 패드를 포함하는 휴대폰 무선 충전용 거치대로서,
    베이스 필름이 휴대폰 무선 충전용 거치대에 부착되고,
    접착부가 휴대폰에 대해 탈부착는 휴대폰 무선 충전용 거치대.
  11.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점착 패드를 포함하는 휴대폰 거치대로서,
    베이스 필름이 휴대폰을 지지하는 고정판에 부착되고,
    접착부가 휴대폰에 대해 탈부착는 형태인 휴대폰 거치대.
  12.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점착 패드를 포함하는 태블릿 pc 거치대로서,
    베이스 필름이 태블릿 pc를 지지하는 고정판에 접착되고,
    접착부가 휴대폰에 대해 탈부착는 태블릿 pc 거치대.
KR2020160001986U 2016-04-12 2016-04-12 신규한 점착 패드 및 이를 이용한 거치대 KR20170003647U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1986U KR20170003647U (ko) 2016-04-12 2016-04-12 신규한 점착 패드 및 이를 이용한 거치대
PCT/KR2016/015351 WO2017179797A1 (ko) 2016-04-12 2016-12-27 신규한 점착 패드 및 이의 용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1986U KR20170003647U (ko) 2016-04-12 2016-04-12 신규한 점착 패드 및 이를 이용한 거치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3647U true KR20170003647U (ko) 2017-10-23

Family

ID=600426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60001986U KR20170003647U (ko) 2016-04-12 2016-04-12 신규한 점착 패드 및 이를 이용한 거치대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170003647U (ko)
WO (1) WO201717979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126004A (zh) * 2019-06-25 2020-12-25 玮锋科技股份有限公司 低玻璃转移温度复合材料
CN112002707A (zh) * 2020-08-10 2020-11-27 深圳市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柔性基板及其制作方法、显示面板以及电子设备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0328Y1 (ko) * 2001-10-23 2002-01-10 홍동우 차량용 휴대폰 고정 패드
KR20060085047A (ko) * 2005-01-21 2006-07-26 아름다운(주) 탈부착 패드
US9085716B2 (en) * 2011-02-17 2015-07-21 Dow Global Technologies Llc Alkoxysilane containing polyurethane adhesive compositions containing calcium carbonate
KR200468212Y1 (ko) * 2013-04-08 2013-08-01 강세원 물품 거치용 점착시트
KR101498636B1 (ko) * 2013-10-22 2015-03-04 김시원 스마트 패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7179797A1 (ko) 2017-10-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803531B1 (en) Method for processing lens using pressure-sensitive adhesive tape
CA2629644A1 (en) Sanding blocks for use with adhesive-backed sandpaper
KR20170003647U (ko) 신규한 점착 패드 및 이를 이용한 거치대
TW200625510A (en) Substrate holding device and polishing appratus
KR101550095B1 (ko) 점착 테이프
KR100601117B1 (ko) 접착시트와 접착시트 부착 구조체
JP2012101339A (ja) 研磨パッド
CN205033098U (zh) 一种可打磨曲面材料的皮革砂纸
DE502004011645D1 (de) Kohäsionsverminderte bindemittel, deren herstellung und verwendung in ablösbaren montageklebern
CN210620697U (zh) 一种聚氨酯可移胶
CN212952050U (zh) 一种光伏组件护角
CN220898160U (zh) 一种防摔玻璃指甲锉
KR20120111350A (ko) 탈부착형 액정 클리너
JP2512596B2 (ja) プライマ―を用いた貼付構造体
CN208156272U (zh) 一种高硬度光学镜片
KR20120006984U (ko) 탄성 휴대폰 홀더
KR200478726Y1 (ko) 휴대단말기용 다용도 원터치 거치구
CN209320414U (zh) 一种可自行粘贴的新型手机膜
KR102600235B1 (ko) 완충 기능이 구비된 오토바이 충전 거치대
CN213547646U (zh) 一种共基板式双摄像头模组及电子设备
KR20190075646A (ko) 차량용 사물 거치대
KR200462364Y1 (ko) 점착 겔 패드가 구비되는 휴대단말기용 케이스
CN210670715U (zh) 一种具有防护结构的柔性电路板
CN210353559U (zh) 智能行李箱及遥控装置
CN209748638U (zh) 一种车载手机磁铁皮纹支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