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98636B1 - 스마트 패드 - Google Patents

스마트 패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98636B1
KR101498636B1 KR20130126082A KR20130126082A KR101498636B1 KR 101498636 B1 KR101498636 B1 KR 101498636B1 KR 20130126082 A KR20130126082 A KR 20130126082A KR 20130126082 A KR20130126082 A KR 20130126082A KR 101498636 B1 KR101498636 B1 KR 1014986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et
portable terminal
tag
application
wireless ta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1260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시원
Original Assignee
김시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시원 filed Critical 김시원
Priority to KR201301260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9863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986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986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3/00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06F13/14Handling requests for interconnection or transf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8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 1 피착체에 부착될 수 있는 제 1 시트; 그 일면이 상기 제 1 시트의 일면으로 접착 가능하게 형성되며, 제 2 피착체에 탈착 가능하게 부착되는 제 2 시트; 및 상기 제 1 시트와 제 2 시트 사이, 상기 제 1 시트의 타면, 또는 상기 제 2 시트의 타면에 형성되며, 근거리 통신(Near Field Communication, NFC) 링크에 따라 휴대 단말과 통신 가능한 데이터가 수록된 무선 태그를 갖는 필름을 포함하고, 상기 휴대 단말이 상기 무선 태그를 갖는 필름에 태깅(tagging)되면, 상기 휴대 단말에 탑재된 특정 애플리케이션이 구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용 패드를 제안한다. 본 발명의 패드를 사용하여 휴대 단말 사용자는 상황과 환경에 적합한 애플리케이션을 용이하게 우선 구동할 수 있으며, 휴대 단말을 안정적으로 거치할 수 있다.

Description

스마트 패드{SMART PAD}
본 발명은 탈부착이 가능한 패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휴대 단말을 탈착 가능하게 거치할 수 있으며, 거치된 휴대 단말과 데이터 통신이 가능한 패드에 관한 것이다.
전자 통신 기술이 급속하게 발전하면서 휴대 단말이 널리 보급되고 있다. 대부분의 휴대 단말은 단순한 음성 통화 기능이나 메시지 기능에 부가하여, 카메라 모듈을 이용한 피사체에 대한 촬상 기능, 정지 영상이나 동영상의 편집 기능, 방송 수신, 음성 녹음 기능과 같은 다양한 멀티미디어를 구현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특히, 최근에는 무선 인터넷망이나 Wi-Fi와 같은 통신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인터넷 상의 다양한 정보를 검색하고, 필요한 경우에 적절한 애플리케이션(앱)을 손쉽게 다운받을 수 있는 스마트 기기가 보급되고 있다. 이들 스마트 기기를 통하여 사용자는 원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손쉽게 다운받을 수 있어서, 이들 애플리케이션을 사용하여 스마트 기기를 내비게이션이나 블랙박스 등으로 활용할 수 있다.
스마트 기기에 탑재되는 애플리케이션을 활용하여 내비게이션이나 블랙박스 등을 구현하고자 하는 경우, 스마트 기기를 차량 내부의 적절한 위치에 고정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하여 스마트폰 거치대가 통상적으로 사용되는데, 현재의 스마트폰 거치대는 단순히 차량 내부의 적절한 위치에 부착되어, 단순히 스마트폰을 거치하는 역할만을 수행할 뿐이다.
한편, 스마트 기기를 이용하는 사용자는 자신이 원하는 특정 애플리케이션을 구동하기 위해서 통상적으로 스마트 기기의 홈-버튼을 선택하여 스마트 기기를 활성화시키고, 디스플레이에 현시된 애플리케이션 중에서 터치 패널을 통하여 자신이 원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선택하고, 해당 애플리케이션을 구동시켜 해당 애플리케이션에서 제공하는 기능을 향유한다.
하지만 주변 환경이나 상황에 따라 사용자가 구현하고자 하는 애플리케이션의 종류가 다를 수 있다. 그럼에도 항상 스마트 기기의 홈-버튼을 선택하고 스마트 기기를 활성화한 뒤에 원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선택, 구동하는 것은 번거로울 수 있다. 예를 들어, 운전을 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해당 상황에 맞춰서 스마트 기기의 애플리케이션 중에서 운전과 직접 관련이 있는 애플리케이션, 예를 들어 내비게이션 애플리케이션이 우선적으로 구현될 수 있도록 한다면, 스마트 기기를 이용하는 사용자의 편의를 향상시킬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휴대 단말을 소유한 사용자의 주변 환경이나 상황에 적절한 애플리케이션을 우선적으로 활성화하여 해당 애플리케이션을 구동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휴대 단말용 패드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사용자가 원하는 장소에 부착되어 휴대 단말을 안정적으로 거치하고 필요에 따라 휴대 단말을 탈착시킬 수 있는 휴대 단말용 패드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전술한 목적을 갖는 본 발명은 제 1 피착체에 부착될 수 있는 제 1 시트; 그 일면이 상기 제 1 시트의 일면으로 접착 가능하게 형성되며, 제 2 피착체에 탈착 가능하게 부착되는 제 2 시트; 및 상기 제 1 시트와 제 2 시트 사이, 상기 제 1 시트의 타면, 또는 상기 제 2 시트의 타면에 형성되며, 근거리 통신(Near Field Communication, NFC) 링크에 따라 휴대 단말과 통신 가능한 데이터가 수록된 무선 태그를 갖는 필름을 포함하고, 상기 휴대 단말이 상기 무선 태그를 갖는 필름에 태깅(tagging)되면, 상기 휴대 단말에 탑재된 특정 애플리케이션이 구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용 패드를 제공한다.
상기 제 1 시트는 폴리우레탄계의 수지를 발포, 성형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 2 시트는 폴리염화비닐(PVC)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가소제 120 ~ 150 중량부, 유동성 개질제 2.5 ~ 3 중량부, 점도 저하제 0.5 ~ 0.8 중량부를 혼합 및 발포 성형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예시적으로, 상기 무선 태그를 갖는 필름은 상기 휴대 단말과의 태깅(tagging)에 의하여 상기 휴대 단말과 데이터 통신하는 태그 안테나, 상기 휴대 단말에 탑재된 애플리케이션과 관련된 태그 정보가 기록된 태그 기록부, 상기 태그 안테나를 통한 데이터 송수신을 제어하는 태그 컨트롤러를 포함하고, 필요에 따라 상기 태그 기록부에 기록된 태그 정보를 검출하는 태그 검출부를 구비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휴대 단말은 상기 무선 태그를 갖는 필름과의 태깅(tagging)에 의하여 활성화되어 데이터 통신할 수 있는 근거리 통신 모듈과, 상기 근거리 통신 모듈의 활성화에 따라 구현될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을 지정하는 설정부를 포함하며, 그 외에도 애플리케이션 등을 저장하는 저장부라든가, 이동통신 등을 가능하게 하는 통신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 형태에 따르면, 휴대 단말용 패드의 변성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제 1 시트와 상기 무선 태그를 갖는 필름 사이에 경질 폴리염화비닐(PVC) 또는 철 소재의 제 3 시트를 더욱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이 제 3 시트는 1층 이상, 예를 들어 1-3층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휴대 단말은 스마트폰이나 태블릿 PC와 같은 스마트 기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지만, 그 외에도 다른 통신 단말이 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 1 시트는 대시 보드, 콘솔 박스, 탁상 또는 가전제품의 표면에 부착되고, 상기 제 2 시트는 상기 휴대 단말에 탈착 가능하게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예시적으로, 상기 휴대 단말과 상기 무선 태그를 갖는 필름의 태깅에 의하여 구동되는 상기 특정 애플리케이션은 내비게이션 애플리케이션 또는 블랙박스 애플리케이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휴대 단말과 데이터 통신이 가능한 무선 태그를 갖는 필름이, 피착체에 부착될 수 있는 시트 사이에 개재되거나, 또는 이들 시트의 피착체 부착 면에 형성되는 휴대 단말용 패드를 제안한다.
휴대 단말이 무선 태그를 갖는 패드에 태깅(tagging)되면 휴대 단말과 무선 태그 사이의 무선 통신에 따라 휴대 단말에 탑재된 다양한 애플리케이션 중에서 특정 애플리케이션을 구동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휴대 단말의 적절한 조작을 통하여, 휴대 단말이 본 발명의 패드에 근접할 때 적절한 애플리케이션이 구동되도록 하여, 주변 상황 및 환경에 적절한 애플리케이션을 우선적으로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패드는 예를 들어 차량 내부의 적절한 위치에 견고하게 부착되는 시트와, 휴대 단말이 탈착 가능하게 부착할 수 있는 시트를 형성하고, 필요에 따라 패드의 변성을 방지하는 시트를 구비하여, 휴대 단말을 안정적으로 거치시킬 수 있으므로, 휴대 단말의 거치대로 활용될 수 있다.
도 1a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 형태에 따른 휴대 단말용 패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1b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 형태에 따른 휴대 단말용 패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 형태에 따른 휴대 단말용 패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 형태에 따른 휴대 단말용 패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용 패드와 무선 통신이 가능한 휴대 단말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이 휴대 단말용 패드에 태깅(tagging)하여 무선 통신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용 패드와 데이터 통신하는 휴대 단말의 구성을 중심으로 휴대 단말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용 패드 중에서 무선 태그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
도 8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형태에 따라 패드에 태깅(tagging)한 휴대 단말에 탑재된 애플리케이션 중에서 내비게이션 애플리케이션이 구동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본 발명자는,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방안을 연구하여 피착체에 부착될 수 있는 시트와, 휴대 단말과 근거리 통신이 가능한 무선 태그를 갖는 필름이 적절한 방법으로 적층된 패드를 개발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이하에서는 첨부하는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기초하여 본 발명을 설명한다.
도 1a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 형태에 따른 휴대 단말용 패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시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제 1 실시 형태에 따른 휴대 단말용 패드(100A)는 제 1 피착체에 부착될 수 있는 제 1 시트(200), 제 2 피착체에 탈착 가능하게 부착되는 제 2 시트(400), 제 1 시트(200) 및 제 2 시트(400) 사이에 개재된 무선 태그 필름(300)을 포함한다.
제 1 시트(200)는 제 1 피착체에 상대적으로 견고하게 부착될 수 있는데, 이를 위하여 제 1 시트(200)는 제 2 시트(400)에 비하여 점성이 우수한 고분자 소재를 사용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제 1 시트(200)가 부착하는 제 1 피착체는 차량의 대시보드나 콘솔박스 등의 수평면(상면)이나 수직면; 사무실이나 가정에서 사용하는 탁상의 수평면(상면)이나 수직면; 또는 냉장고와 같은 가전제품의 수직면 등을 들 수 있으나, 본 발명의 제 1 시트(200)는 그 외에도 휴대 단말을 거치하기 위하여 선택될 수 있는 임의의 피착체에 부착될 수 있다.
제 1 피착체에 견고하게 부착될 수 있는 제 1 시트(200)는 예를 들어 폴리우레탄계의 고분자 소재를 사용하여 발포, 성형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폴리우레탄(polyurethane, PU) 수지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수지를 적절한 비율, 예를 들어 95:5 내지 10:90의 비율로 혼합한 고분자 수지 또는 PU-PET 공중합체와 같은 고분자 수지를 발포, 성형하는 방법으로 제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시트(200)는 대한민국 동성 화학에서 "FOAMFLEX-SF"라는 상품명으로 판매하고 있는 고분자 수지를 사용하여 제조될 수 있다.
한편, 그 일면이 제 1 시트(200)의 일면(대향면)에 부착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는 제 2 시트(400)는 상대적으로 점성이 낮은 고분자 소재를 사용하여 제조될 수 있다. 제 2 시트(400)의 타면(도면에서 상면)에 부착되는 제 2 피착체는 휴대 단말이 될 수 있는데, 일반적으로 제 2 시트(400)의 타면은 휴대 단말 중에서 디스플레이부가 형성된 면의 반대면(통상적으로 휴대 단말의 배면)에 탈착 가능하게 부착하여 휴대 단말을 거치하는 면이 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제 2 시트(400)는 폴리염화비닐(polyvinyl chloride, PVC)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가소제 120 ~ 150 중량부, 유동성 개질제 2.5 ~ 3 중량부, 점도 저하제 0.5 ~ 0.8 중량부를 혼합 및 발포 성형하여 표면 점성을 갖도록 제조될 수 있다.
제 2 시트(400)에 사용되는 가소제는 기재로 사용되는 PVC 수지의 경도와 점도를 조절한다. 일반적으로 PVC 수지는 상당히 강한 분자간력으로 응집하고 있으며 유동온도 이상에서는 열분해의 위험이 있으므로, PVC 분자쇄의 극성을 가소제의 극성부로 용매화하여 분자쇄의 접근을 방해하고 상온에서 유연성과 탄성을 부여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르면 PVC 수지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많은 양의 가소제를 사용함으로써 제 2 시트(400)로서의 발포체에 충분한 점성을 부여할 수 있다.
이때, PVC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가소제의 함량이 120 중량부 미만인 경우에는 점성이 충분하지 못하여 제 2 피착체가 제 2 시트(400)로부터 쉽게 이탈될 수 있고, 150 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성형 작업성이 곤란하다. 가소제의 종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데, 디-부틸프탈레이트(DBP, Di-butyl-phthalate), 디-2-에틸헥실프탈레이트(DEHP, DOP, Di-2-ethylhexyl phthalate), 디-이소노닐프탈레이트(DINP, Di-isononyl phthalate), 디-이소데실프탈레이트(DIDP, Di-isodecyl phthalate), 부틸벤질 프탈레이트(BBP, Butyl benzyl phthalate)와 같은 프탈산계 가소제; 트리-에틸헥실 트리멜리테이트(TOTM, Tri-ethylhexyl trimellitate), 트리-이소노닐 트리멜리테이트( TINTM, Tri-isononyl trimellitate) 등의 트리멜리트산계 가소제; 트리-크레실인산(TCP, Tri-cresyl phosphate), 트리-2-에틸헥실인산(TOP, Tri-2-ethylhexyl phosphate), 크레실 디페닐인산(CDP, Cresyl diphenyl phosphate)과 같은 인산계 가소제; 디-2-에틸헥실아디페이트(DOA, di-2-ethylhexyl adipate), 디-2-에틸헥실아젤레이트(DOZ, di-2-ethylhexyl azelate), 디-이소데실아디페이트(DIDA, di-isodecyl adipate)와 같은 알리페틱계(aliphatic acid ester) 가소제; 에폭시계 가소제; 및 폴리에스테르계 가소제 등을 들 수 있다.
유동성 개질제는 기재로 사용되는 PVC 수지의 조직을 바늘 모양의 결정체를 형성하도록 유도하여, 3차원의 망상 결합 구조를 갖도록 유도한다. 즉, 유동성 개질제를 적절히 사용함으로써 제 2 시트(400)로서의 발포체의 성형 작업성 및 탈-부착성을 조절할 수 있다. 유동성 개질제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예를 들어 NMP(N-메틸피롤리돈) 용제를 함유한 변성 우레아로 구성되는 독일 BYK사의 BYK-410을 사용할 수 있다. 기재로 사용되는 PVC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유동성 개질제의 함량이 2.5 중량부 미만이면 성형 작업성이 저하되어 성형 공정이 곤란하고, 3 중량부를 초과하면 점성이 저하될 수 있다.
점도 저하제는 최종적으로 제조되는 제 2 시트(400)의 점도를 조절하기 위한 것으로, 예를 들어 징크옥틸산과 같은 공지의 점도 저하제를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예를 들어 PVC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전술한 가소제 120 ~ 150 중량부, 유동성 개질제 2.5 ~ 3 중량부, 점도 저하제 0.5 ~ 0.8 중량부를 혼합, 발포 성형하여 제조되는 발포체로서의 제 2 시트(400)는 표면 점성의 점착력에 의하여, 휴대 단말의 배면과 같은 제 2 피착체에 탈착 가능하게 부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실시예에 따른 패드(100A)는 제 2 피착체로서의 휴대 단말에 부착하여 휴대 단말을 안정적으로 거치시킬 수 있는 거치대로 활용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제 2 시트(400)로 제 2 피착체를 탈/부착하더라도, 기재로 사용된 PVC 수지의 표면 점성의 점착력으로 인하여 탈/부착 자국이 남지 않기 때문에, 탈부착이 용이한 것은 물론이고 지속적인 탈부착에 의해서도 점성이 저하되지 않는 이점을 갖는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르면 휴대 단말과 무선 데이터 통신이 가능하도록 무선 태그(302, 도 7 참조)를 갖는 필름(300)이 제 1 피착체에 부착될 수 있는 제 1 시트(200)와, 제 2 피착체에 탈착 가능하게 부착되는 제 2 시트(400) 사이에 개재되어 있다. 이 필름(300)은 무선 태그(302, 도 7 참조)와 같은 적절한 통신 수단을 구비하고 있어서 패드(100A)에 근접한 휴대 단말의 태깅(tagging)에 의하여 휴대 단말과의 데이터 통신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데, 무선 태그(302)가 구비된 필름(300)의 구성 및 기능에 대해서는 이하에서 상술한다.
이때, 예시적으로 무선 태그(302, 도 7 참조)를 갖는 필름(300)은 제 1 시트(200) 및 제 2 시트(400)와 동일한 크기를 가질 수 있고, 제 1 시트(200)와 제 2 시트(400)의 대향되는 면 중 일부 공간으로만 개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태그(302)를 갖는 필름(300)은 제 1 시트(200)와 제 2 시트(400)의 중앙 영역으로만 개재될 수 있고, 이때 제 1 시트(200)의 일면과 이에 대향하는 제 2 시트(400)의 일면 사이에 적절한 접착층/점착층(450)을 개재하여, 제 1 시트(200)와 제 2 시트(400)가 본딩 결합에 따라 견고하게 접착될 수 있다.
제 1 시트(200)의 일면과 이에 대향하는 제 2 시트(400)에 개재되는 접착층(450)을 형성하여 이들 시트를 본딩 결합하기 위해 사용되는 접착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이들 시트를 결합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접착제 또는 점착제의 소재로서 폴리올과 이소시아네이트의 반응에 의하여 생성되는 폴리우레탄 계열의 접착제는 물론, 에폭시 계열, 아크릴계 모노머, 아크릴계 올리고머, 아크릴계 고분자와 같은 아크릴 계열의 점착제, 아세테이트계 고분자, 고무계, 폴리비닐에테르계, 실리콘계, 스티렌계 고분자 등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일 수 있다. 예를 들면, 비닐아세테이트;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n-프로필메타아크릴레이트 등과 같은 메타아크릴레이트 또는 메틸아크릴레이트, 에틸아크릴레이트, 프로필아크릴레이트와 같은 아크릴레이트 성분을 갖는 알킬(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와 중합성 불포화 카르복시산/수산기 함유 에틸렌성 불포화 모노머, 또는 알킬(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와 공중합성 비닐계 모노머를 유기 용제 또는 물 매체 중에 공중합하여 얻어지는 아크릴계 점착제 및 술폰화된 폴리스티렌으로 구성되는 군에서 1종 이상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내열성 및 내후성 등의 관점에서 아크릴계 폴리머를 베이스로 하는 아크릴계 점착제이다. 이들 점착제 중에는 가교제를 배합할 수 있는데, 가교제로는 비스페놀 A, 에피클로로히드린형의 에폭시계 수지 등의 에폭시계 화합물; 헥사메틸렌디아민, 트리에틸디아민, 헥사메틸렌테트라민 등의 폴리아민 화합물; 알루미늄, 철, 동, 아연, 주석 등의 다가 금속이 아세틸아세톤이라든가 아세토초산에틸에 배위한 금속 킬레이트 화합물; N,N'-디페닐메탄-4,4'-비스(1-아지리딘카르복사이드), N,N'-톨루엔-2,4-비스(1-아지리딘카르복사이드) 등의 아지리딘계 화합물; 폴리이소시아테이트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가교제는 베이스로 사용되는 점착제 100 중량부에 대하여 0.01 ~ 10 중량부가 바람직하다.
한편, 전술한 제 1 실시 형태의 휴대 단말용 패드(100A)를 구성하는 2개의 시트(200, 400)는 외부의 충격으로 그 형태가 변형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이들 시트와 달리 견고한 재질의 시트가 휴대 단말용 패드에 더욱 포함될 수 있다. 도 1b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 형태에 따른 휴대 단말용 패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제 1 실시 형태와 비교해서, 본 발명의 제 2 실시 형태에 따른 휴대 단말용 패드(100B)는 예시적으로 제 1 시트(200)의 일면에 부착되는 제 3 시트(460)를 포함하고 있다. 제 3 시트(460)는 제 2 시트(400)의 일면에 부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제 3 시트(460)는 제 1 시트(200) 및 제 2 시트(400)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견고한 소재로 구성함으로써, 전체 패드(100B)가 외부 충격 등으로 인하여 변형되지 않도록 구성할 수 있다. 제 3 시트(460)는 예를 들어 경질 폴리염화비닐(PVC) 및/또는 철 소재로 제조될 수 있다. 이때, 제 3 시트(460)는 1층만으로 구성되는 것은 아니고 접착층을 매개로 부착되는 다층 구조일 수 있다. 예를 들어, 1 시트(200)와 직접 접착되는 하부 고정 시트는 경질 PVC로 제조되고, 하부 고정 시트에 부착되는 상부 고정 시트는 철 소재로 제조될 수 있다.
도 1b에 도시한 것과 같이, 제 3 시트(460)는 제 1 시트(200)와 무선 태그를 갖는 필름(300) 사이에 형성될 수도 있으나, 무선 태그를 갖는 필름(300)과 제 2 시트(400)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제 3 시트(460)는 제 1 시트(200)의 일면 중에서 중앙 영역에 적층될 수도 있고, 또는 제 1 시트(200) 또는 제 2 시트(400)의 일면 중앙에 홈부(미도시)를 형성하고 그 홈부 내부에 수용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 3 시트(460)를 다른 시트(200, 400) 및 필름(300)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견고한 재질로 구성함으로써, 휴대 단말용 패드(100B)를 일정한 형태로 고정할 수 있다. 따라서 후술하는 것과 같이 본 발명의 휴대 단말용 패드(100B)가 수직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형태로 고정하고, 휴대 단말을 태깅(tagging)하여 예를 들어 블랙박스 애플리케이션이 구동하여 차량 외부를 촬영하는데 활용되더라도 아무런 문제점이 없게 된다.
도 1a 및 도 1b에서는 제 1 피착체에 상대적으로 견고하게 부착될 수 있는 제 1 시트(200)와 제 2 피착체에 탈착 가능하게 부착되는 제 2 시트(400) 사이에 무선 태그를 갖는 필름(300)을 개재하였으나, 무선 태그를 갖는 필름(300)은 다른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에서는 전술한 접착제/점착제를 사용하여 제 1 시트(200)의 일면(대향면)과 이에 대향하는 제 2 시트(400)의 일면(대향면)을 접착층(450)을 통하여 본딩 결합하고, 제 1 시트(200)의 제 1 피착체 부착 면인 타면(도면에서 저면)으로 무선 태그를 갖는 필름(300)이 형성된 휴대 단말용 패드(100C)를 도시하고 있다.
또한 도 3에서는 제 1 시트(200)의 일면과 이에 대향하는 제 2 시트(400)의 일면(대향면)을 접착층(450)을 통하여 본딩 결합하고, 제 2 시트(400)의 제 2 피착체 부착 면인 타면(도면에서 상면)으로 무선 태그를 갖는 필름(300)이 형성된 휴대 단말용 패드(100D)를 도시하고 있다. 제 1 시트(200)와 제 2 시트(400)는 충분한 접착력이 있으므로 이들 시트(200, 400)의 타면에 무선 태그를 갖는 필름(300)을 용이하게 부착할 수 있지만, 필요한 경우에는 이들 시트(200, 400)의 타면에 적절한 접착제를 도포하고 이 접착제를 통하여 무선 태그를 갖는 필름(300)을 이들 시트에 견고하게 부착할 수 있을 것이다.
도 2 및 도 3의 경우에도 제 1 시트(200)와 제 2 시트(400) 사이에 1층 이상의 제 3 시트(460, 도 1b 참조)가 형성될 수 있는데, 제 3 시트(460, 도 1b 참조)는 제 1 시트(200) 및/또는 제 2 시트(400)에 1층 이상 형성될 수 있다. 도 1a 내지 도 3에서는 제 1 시트(200), 제 2 시트(400), 무선 태그(302, 도 7 참조)를 갖는 필름(300) 및 제 3 시트(460)는 그 평면 형상이 사각 형상인 것을 예시하고 있지만, 이들 시트 및 필름의 형태는 필요에 따라 변경할 수 있다는 점은 통상의 기술자에게는 자명하다 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 2 - 제 4 실시 형태의 패드(100B, 100C, 100D) 역시 제 1 피착체에 견고하게 부착하는 제 1 시트(200)와, 제 2 피착체에 탈착 가능하게 부착될 수 있는 제 2 시트(400)를 포함하고 있어서 휴대 단말을 안정적으로 거치시킬 수 있다. 아울러 이들 실시 형태에서도 무선 태그(302, 도 7 참조)를 갖는 필름(300)을 구비하고 있어서, 휴대 단말의 태깅(tagging)에 따라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여 휴대 단말의 특정 애플리케이션을 구동할 수 있다.
도면으로 표시하지는 않았으나, 전술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 제 1 시트(200)의 제 1 피착체 부착 면(타면), 제 2 시트(400)의 제 2 피착체 부착 면(타면), 또는 필름(300)의 제 1 피착체 또는 제 2 피착체 부착 면(타면)에 이형 필름(미도시) 또는 이형지 등을 부착할 수 있다. 이형 필름 등을 사용하여 이들 시트(200, 400) 및 필름(300)의 오픈된 타면에 이물질이 부착되어 점성을 저하시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위에서 간략하게 설명한 것처럼, 본 발명에 따라 2개 또는 3개의 시트(200, 400, 460)와 무선 태그를 갖는 필름(300)이 형성된 패드(100A, 100B, 100C, 100D)는 휴대 단말을 거치하기 위한 기능을 갖는 동시에, 패드에 태깅(tagging)한 휴대 단말과 무선 통신을 통한 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한데, 이에 대해서 설명한다.
먼저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용 패드와 무선 통신이 가능한 휴대 단말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휴대 단말(500)은 사용자가 소지하여 이용할 수 있는 단말로서, 예를 들어 일반 피처폰(휴대폰), 스마트폰이나 태블릿 PC와 같은 스마트 기기는 물론이고, PDA(Personal Digital Assistance),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등을 들 수 있다. 휴대 단말(500)은 예를 들어 통신부(600), 설정부(700), 입력부(810), 출력부(820), 저장부(830) 및 제어부(840)를 포함한다.
통신부(600)는 무선 통신이나 다른 단말기 사이의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다양한 모듈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일예로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다른 통신 단말기 및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하여 다른 단말기 또는 서버와의 음성 통화나 메시지 송수신을 구현하는 이동통신 모듈(610),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무선 인터넷 모듈(620) 및 본 발명에 따라 무선 태그(302, 도 7 참조)와의 데이터 통신을 위한 근거리 통신 모듈(630)을 포함한다. 그 외에도 통신부(600)에는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와 같이 방송 서비스 제공업자가 제공하는 방송 채널이나 방송 프로그램을 송수신하는 방송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모듈(620)은 휴대 단말(500)에 내장되거나 외장될 수 있는데, 일예로 Wi-Fi(Wireless LAN), Wibro, 3G, LTE 또는 LTE-A 등이 이용될 수 있다. 한편 근거리 통신 모듈(630)의 예로는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블루투스(Bluetooth), Zigbee, 적외선 통신(IrDA), UWB(Ultra Wideband), 등을 들 수 있으나, 특히 바람직하게는 NFC(Near Field Communication)를 포함한다.
한편, 설정부(700)는 휴대 단말(500)에 디폴트 형태로 설정되거나 또는 사용자가 선택하거나 이와 유사한 조작을 통하여, 특정 상황 및/또는 환경에서 적절한 애플리케이션이 먼저 구동될 수 있게 하는데, 이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입력부(810)는 사용자에 의한 데이터의 입력을 처리하는데, 키패드는 물론이고, 정압 및/또는 정전 방식의 터치 패드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출력부(820)는 시각, 청각 등의 감각을 통하여 데이터를 출력하는 부분으로서, 액정표시소자(LCD), 유기전계발광소자(OLED),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등으로 구현 가능한 디스플레이부, 음향출력부 등을 들 수 있다.
이때, 출력부(820)를 구성하는 디스플레이의 터치 동작을 감지하는 센서가 레이어 구조를 이루어 '터치스크린'을 구성할 수 있는데, 이 경우 디스플레이는 출력부 이외에 입력부로도 기능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예를 들어 터치 필름, 터치 시트, 터치 패드 등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저장부(830)는 제어부(840)의 작동을 위한 프로그램이나 그 이외의 애플리케이션을 저장하거나, 입/출력되는 다양한 데이터를 임시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83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 하드디스크 타입,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 카드 타입의 메모리, RAM, SRAM, ROM, EEPROM, PROM,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등의 저장 매체를 포함한다.
제어부(840)는 휴대 단말(500)의 전방적인 동작을 제어하는데, 예를 들어 음성 통화, 데이터 통신, 화상 통화, 멀티미디어 재생 등과 관련된 다양한 모듈의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한다. 필요한 경우 제어부(840)는 터치스크린 상에서 행해지는 필기 입력 또는 그림 그리기 입력을 문자 및 이미지로 인식할 수 있는 패턴 인식 처리를 수행한다.
그 외에도 휴대 단말(500)은 배터리와 같이 휴대 단말로 전원을 제공하는 전원공급부, 오디오/비디오 신호 등의 입력을 처리하는 마이크나 카메라와 같은 A/V 입력부, 호신호 수신이나 통화 또는 녹음, 음성 인식 등에서 통신부(600)에서 수신되거나 저장부(83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하는 음향 출력부, 휴대 단말(500)에서의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하는 알람부, 휴대 단말(500)에 연결되는 다른 외부 기기와의 데이터 통로 역할을 수행하는 인터페이스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한 것과 같이, 전술한 휴대 단말(500)을 본 발명에 따른 패드(100)에 근접시키면, 패드(100)를 구성하는 필름(300)에 구비된 무선 태그(302)와의 태깅(tagging)에 따라 휴대 단말(500)과 본 발명의 패드(100) 사이에 NFC 링크가 형성된다. 따라서 휴대 단말(500)과 무선 태그(302) 사이에 데이터 통신이 수행되어, 휴대 단말(500)에 탑재된 애플리케이션 중에서 특정 애플리케이션을 바로 구동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용 패드(100)와 데이터 통신하는 휴대 단말(500)의 구성을 중심으로 개략적으로 도시한 휴대 단말의 블록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용 패드 중에서 무선 태그(302)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휴대 단말(500)의 통신부(600, 도 4 참조)를 구성하는 근거리 통신모듈(630)을 통하여 필름(300)의 무선 태그(302)와 근거리 통신을 통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잘 알려진 것과 같이 근거리통신(NFC)은 13.56 MHz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는 비접촉식 근거리 무선통신 기술로서 대략 10 ㎝의 가까운 거리에서 데이터를 전송하는 기술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근거리 통신모듈(630)이 탑재된 휴대 단말(500)과 패드(100)를 구성하는 필름(300)의 무선 태그(302) 사이의 NFC 링크 및 세션을 통하여 데이터의 판독 및 데이터 쓰기를 구현하여, 휴대 단말(500)에 탑재된 특정 애플리케이션이 우선적으로 구동될 수 있게 하였다.
이를 위하여, 도 6에 도시된 것과 같이, 휴대 단말(500)의 근거리 통신모듈(630)은 약 10 ㎝의 근거리에서 13.56 MHz 주파수 대역의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단말 안테나(632)와, 이 단말 안테나(632)를 통하여 필름(300)의 무선 태그(302)에 저장된 데이터를 판독하고 필요한 경우에 해당 무선 태그(302)에 적절한 데이터를 기록하는 방식으로 무선 통신하는 NFC 컨트롤러(634)와, 무선 태그(302)와의 데이터 통신을 매개하는 통신 인터페이스(636)를 포함한다. 단말 안테나(632)는 통상적으로 폴리이미드층과 도전성 안테나 패턴에 의한 동박층 및 커버레이에 양면테이프가 합지된 형태일 수 있다.
설정부(700)는 휴대 단말(500)에 디폴트로 설정되어 있거나 또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적절한 모드로 선택, 변경, 설정할 수 있는 모드 설정부(710)와, 무선 태그와의 태깅(tagging)에 따라 우선적으로 구현되는 애플리케이션을 디폴트 또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선택, 변경, 설정할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 설정부(앱 설정부, 72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설정부(700)를 통하여 디폴트 또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무선 태그(302)와의 태깅에 따라 우선적으로 구동되는 애플리케이션을 선택할 수 있다.
저장부(830)에는 일예로 휴대 단말(500)에 디폴트로 설정된 임베디드(embedded) 프로그램이나 사용자가 통신망을 통하여 다운로드받은 다양한 애플리케이션(App1 내지 App N; 및 태그 관리 애플리케이션 X) 등이 저장되어 있다. 사용자는 적절한 태그 관리 애플리케이션(X)을 사용하여 무선 태그(302)와의 태깅(tagging)에 따라 구동되는 애플리케이션을 선택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용 패드(100)를 구성하는 필름(300)의 무선 태그(302)는 태깅(tagging)에 의하여 NFC 통신이 가능한 휴대 단말(500)과 데이터의 송수신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무선 태그(302)와 휴대 단말(500)의 근거리 통신모듈(630)은 스스로 동작 전원을 소모하고 무선 신호를 발생하여 상대방에게 데이터를 송신하는 능동 방식이거나 휴대 단말(500)에서 무선 신호를 발생하면 무선 태그(302)는 이 무선신호를 수신하여 동작전원으로 변환하고 변환된 동작전원을 통하여 수신된 무선신호를 분석하고 분석된 명령에 대응하는 수동방식일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용 패드(100)를 구성하는 2개의 시트(200, 400)와 함께 형성되는 필름(300)을 구성하는 무선 태그(302)는 예를 들어 태그 안테나(310), 태그 기록부(320), 태그 검출부(330), 태그 컨트롤러(340) 및 통신 인터페이스(350)를 가질 수 있다.
태그 안테나(310)는 휴대 단말(500)의 단말 안테나(632)에 대응하여 휴대 단말(500)의 근거리 통신모듈(630)과의 사이에 무선 통신을 통한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태그 기록부(320)는 예를 들어 디폴트로 선택된 특정 애플리케이션이나 또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휴대 단말(500)이 무선 태그에 태깅(tagging)될 때 우선적으로 구현되도록 설정된 애플리케이션과 관련된 태그 데이터가 기록된다. 예를 들어, 각각의 애플리케이션과 관련해서 디폴트 또는 사용자의 휴대 단말(500)의 조작에 따라 우선적으로 구현되는 애플리케이션에 각각에 대응되는 태그 데이터가 태그 기록부(320)에 기록될 수 있다.
태그 기록부(320)에 기록되는 태그 데이터에는 휴대 단말(500)의 근거리 통신모듈(630)과의 NFC 통신에 따라 구현되는 애플리케이션을 구별하는 아이디인 서비스 식별자(SID, Service IDentification)나 해당 애플리케이션과 관련된 기타 데이터로서 해당 애플리케이션의 on/off 명령어 등이 저장된 페이로드(payload) 영역의 데이터가 기록될 수 있다.
태그 검출부(330)는 선택적으로 무선 태그(302)의 태그 기록부(320)에 기록된 다수의 태그 데이터 중에서 휴대 단말(500)을 통하여 선택된 특정 애플리케이션과 관련된 태그 데이터를 검출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휴대 단말(500)의 모드 설정부(710)나 앱 설정부(720)의 조작에 의하여 태깅(tagging)에 의하여 특정 애플리케이션이 구현되도록 설정하였다면, 태그 검출부(330)는 태그 기록부(320)에 기록된 데이터 중에서 사용자가 설정한 애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태그 데이터를 검출할 수 있다.
만약, 태그 기록부(320)에 기록된 태그 데이터가 1개로서 하나의 애플리케이션만이 구현되도록 한 경우, 또는 무선 태그(302)와의 태깅(tagging)에 의하여 휴대 단말(500)에 탑재된 애플리케이션 중에서 디폴트로 설정된 특정 애플리케이션이 구현되도록 설정된 경우, 태그 검출부(330)는 필요 없을 수 있다. 태그 검출부(330)에서 검출된 태그 데이터와 관련된 신호는 전술한 태그 안테나(310)를 통하여 휴대 단말(500)의 근거리 통신모듈(630)로 전송될 수 있다.
태그 컨트롤러(340)는 태그 기록부(320)에 기록된 데이터 중에서 예를 들어 태그 검출부(330)에서 선별된 적절한 데이터를 선택하여 태그 안테나(310)를 통하여 휴대 단말(500)의 근거리 통신모듈(630)로 송신하거나 필요한 경우 근거리 통신모듈(630)로부터 전송된 데이터를 수신하여 태그 기록부(320)에 기록하도록 구현한다. 한편, 무선 태그를 구성하는 통신 인터페이스(350)는 근거리 통신모듈(630)과의 무선 통신을 위한 데이터 세션을 제공하는 것으로서, 근거리 통신모듈(630)의 통신 인터페이스(634)에 상응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휴대 단말(500)과 무선 태그(302)의 태깅에 의하여 데이터가 교환되면서 휴대 단말(500)에 탑재된 특정 어플리케이션이 구현되는 과정에 대해서 좀 더 상세히 살펴본다.
전술한 것과 같이, 근거리 통신모듈(630)의 단말 안테나(632)는 무선 태그(302)에 기록된 데이터를 수신하고 필요한 경우에 무선 태그(302)로 적절한 애플리케이션 관련 데이터를 송신한다. 데이터를 수신하는 것과 관련해서, 단말 안테나(632)는 무선 태그(302)의 태그 기록부(320)에 기록된 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된 데이터를 NFC 컨트롤러(634)에 인가한다. 한편, 데이터를 송신하는 것과 관련해서 단말 안테나(632)는 NFC 컨트롤러(634)에서 인가되는 송신 신호를 무선 태그(302)에 전송한다.
한편, NFC 컨트롤러(634)는 무선 태그(302)의 서비스 식별자 정보(SID)를 요청할 수 있는데, 무선 태그(302)가 근접된 거리에 위치하면 해당 무선 태그(302)에 서비스 식별자 정보를 요청하여 상호 간의 데이터 포맷이 동일한 것을 확인하여 이 무선 태그(302)와 무선 통신을 수행한다. 무선 태그(302)로부터 NFC 컨트롤러(634)로 전송된 데이터 중에서 적절한 제어 데이터(예를 들어 특정 애플리케이션의 구동과 관련된 명령어 데이터)는 저장부(810)에 저장되는 동시에 제어부(840)에 인가되며, 제어부(840)에 인가되는 것과 동시에 해당 제어 데이터는 저장부(810)에 저장될 수도 있다.
한편, 무선 태그(302)와의 태깅에 의하여 구현되는 애플리케이션과 관련된 데이터는 무선 태그(302)에 기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휴대 단말(500)의 제조사나 통신사에는 임베디드 형태로 소정의 애플리케이션을 휴대 단말(500)에 탑재하고, 임베디드 형태의 디폴트 애플리케이션 중에서 특정 애플리케이션과 관련된 태그 데이터를 무선 태그(302)에 기록할 수 있다. 또는 사용자는 적절한 태그 관리 애플리케이션(도 6의 X)을 이용하여 자신의 휴대 단말(500)의 저장부(830)에 탑재된 애플리케이션(App1 내지 App N, 도 6 참조) 중에서 태깅에 의하여 구현되는 애플리케이션을 선택하고, 선택된 애플리케이션과 관련된 태그 데이터를 무선 태그(302)로 전송하여, 해당 태그 데이터를 무선 태그(302)에 기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태그 관리 애플리케이션(X)을 사용하여 자신의 휴대 단말(500)에 탑재된 다수의 애플리케이션(App 1 내지 App N) 중에서 특정 애플리케이션을 선택한다. 이때, 사용자는 모드 설정부(710)를 사용하여 환경, 장소 및 시간에 따라 별도로 구현되는 애플리케이션을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휴대 단말(500)은 디폴트 또는 사용자의 모드 설정부(710) 조작에 의하여'카 모드(Car Mode)', '오피스 모드(Office Mode)', '홈 모드(Home Mode)' 등으로 설정될 수 다. 사용자는 예를 들어 앱 설정부(720) 또는 태그 관리 애플리케이션(X)을 통하여 각각의 모드에서 적절한 애플리케이션을 선택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사용자는 '카 모드'로 설정된 상태에서 자신의 휴대 단말(500)에 탑재된 애플리케이션 중에서 차량의 주행 및 관리와 관련이 있는 내비게이션 애플리케이션이나 블랙박스 애플리케이션을 선택할 수 있다. '오피스 모드'인 경우에는 "Wi-Fi"를 On시키고 무음 설정 기능(또는 진동 설정 기능)이 활성화되도록 선택할 수 있으며, '홈 모드'인 경우에는 음악 플레이어 애플리케이션을 선택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하나의 모드에 대하여 1개 이상의 특정 애플리케이션을 선택할 수 있다. 물론 사용자는 특정 모드에 특정 애플리케이션을 연계하지 않은 상태에서 해당 애플리케이션을 선택할 수도 있다.
사용자가 바람직하게는 각각의 모드에 따라 구분되는 특정 애플리케이션을 선택하면 해당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태그 데이터를 포함하는 설정 값은 휴대 단말(500)의 제어부(840) 및 근거리 통신모듈(630)에 의하여 NFC 통신을 통하여 무선 태그(302)에 기록, 저장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카 모드'를 설정하고 '카 모드'에서 실행될 애플리케이션으로서 내비게이션 애플리케이션을 선택한 상태에서 휴대 단말(500)을 패드(100)의 무선 태그(302)에 태깅한다. 이때, 휴대 단말(500)의 근거리 통신모듈(630)과 무선 태그(302) 사이에 NFC 통신 링크에 따른 세션이 형성되고, 선택된 애플리케이션의 설정 값과 관련된 태그 데이터는 휴대 단말(500)의 근거리 통신모듈(630)과 무선 태그(302) 사이의 데이터 통신에 의하여 무선 태그(302)로 전송되어 태그 기록부(320)에 기록, 저장된다.
필요한 경우에 무선 태그(302)는 휴대 단말(500)의 고유번호 데이터를 수신, 저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후술하는 것과 같이 특정 휴대 단말(500)이 태깅하는 경우에 해당 휴대 단말(500)의 고유 번호에 대응되는 태그 데이터를 휴대 단말(500)로 송신할 수 있다.
이때, 선택된 애플리케이션과 관련된 태그 데이터는 휴대 단말(500)의 저장부(830)에도 저장될 수 있다. 이 경우, 무선 태그(302)에 대한 재-태깅이 수행되면 저장부(830)에 저장된 태그 데이터가 로딩되어 특정 애플리케이션이 구동될 수 있을 것이다.
전술한 방법으로 바람직하게는 특정 모드에 따라 구분되는 특정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태그 데이터가 무선 태그(302)에 기록되면, 사용자는 주변 환경과 조건에 맞춰 태깅에 의하여 특정 애플리케이션을 구현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모드 설정부(710) 및 앱 설정부(720)를 조작하여 특정 애플리케이션이 활성화될 수 있도록 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휴대 단말(500)을 본 발명에 따른 패드(100)를 구성하는 필름(300)의 무선 태그(302)에 근접하여 휴대 단말(500)이 무선 태그(302)에 태깅한다. 이러한 태깅에 의하여 휴대 단말(500)과 무선 태그(302) 사이에 NFC 링크에 따른 세션이 형성되면, 휴대 단말(500)의 근거리 통신모듈(630)과 필름(300)의 무선 태그(302) 사이에 데이터가 교환되어 휴대 단말(500)에서 설정된 특정 애플리케이션이 구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특정 모드로 설정된 휴대 단말(500)을, 특정 애플리케이션과 관련된 소정의 태그 데이터가 기록되어 있는 무선 태그(302)를 갖는 패드(100)에 태깅한다. 근거리 통신모듈(630)의 NFC 컨트롤러(634)는 무선 태그(302)에 기록된 태그 데이터 중에서 특정 애플리케이션과 관련된 서비스 식별자 정보(SID)를 요청할 수 있는데, 무선 태그(302)가 근접된 거리에 위치하면 해당 무선 태그(302)에 식별자 정보를 요청하여 상호 간의 데이터 포맷이 동일한 것을 확인하여 이 무선 태그(302)와 무선 통신을 수행한다.
필요한 경우 무선 태그(302)의 태그 검출부(330)를 통하여 휴대 단말(500)에서 설정된 특정 모드에 따라 구분되는 특정 애플리케이션과 관련된 데이터를 검출할 수 있다. 특정 애플리케이션과 관련된 데이터와 관련해서, 무선 태그(302)와 근거리 통신모듈(630) 사이의 통신 채널을 통하여 무선 태그(302)에 기록, 저장된 태그 데이터가 근거리 통신모듈(630)로 전송된다. 무선 태그(302)로부터 NFC 컨트롤러(634)로 전송된 데이터 중에서 적절한 데이터(예를 들어 특정 애플리케이션의 구동과 관련된 명령어 데이터)는 저장부(830)에 저장되는 동시에 제어부(840)에 인가되어, 제어부(840)에 인가되는 것과 동시에 기능제어 데이터는 저장부(830)에 저장될 수 있다.
이처럼, 무선 태그(302)로부터 전송된 특정 애플리케이션과 관련된 데이터가 근거리 통신모듈(630)에 전송되면, 제어부(840)는 특정 모드에 따라 설정된 애플리케이션과 관련된 태그 데이터에 기초하여 설정된 특정 애플리케이션이 구현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도 8에서는 '카 모드'로 설정하여 내비게이션 애플리케이션이 구동되도록 설정한 휴대 단말(500)을 예를 들어 차량 내부의 대시 보드 등에 부착한 패드(100)의 무선 태그(302)에 태깅하여 내비게이션 프로그램이 구현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예시적으로, 상기에서는 1개의 무선 태그(302)에 다양한 애플리케이션과 관련된 태그 데이터를 기록한 것을 예시하고 있다. 하지만, 필요한 경우에 1개의 무선 태그(302)에는 특정 모드 또는 특정 애플리케이션과 관련된 태그 데이터만을 기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패드 1에 포함된 무선 태그에는 차량 모드와 관련된 애플리케이션(예컨대 내비게이션 애플리케이션)에 관한 태그 데이터만을 기록하여 패드 1을 차량 내부에 부착할 수 있다. 또한 패드 2에 포함된 무선 태그에는 오피스 모드와 관련된 애플리케이션(예컨대 무음 설정 기능)에 과한 태그 데이터만을 기록하여 패드 2는 사무실의 책상 인근에 부착할 수도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기초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전술한 실시 형태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오히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전술한 실시 형태를 토대로 다양한 변형과 변경을 용이하게 추고할 수 있다. 하지만, 그와 같은 변형과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할 것이며, 이러한 사실은 첨부하는 청구의 범위를 통하여 더욱 분명해질 것이다.
100, 100A, 100B, 100C, 100D : 휴대 단말용 패드
200 : 제 1 시트 300 : 무선 태그 필름
302 : 무선 태그 310 : 태그 안테나
320 : 태그 기록부 340 : 태그 컨트롤러
400 : 제 2 시트 500 : 휴대 단말
600 : 통신부 630 : 근거리 통신 모듈
632 : 단말 안테나 634 : NFC 컨트롤러
700 : 설정부 710 : 모드 설정부
720 : 앱(애플리케이션) 설정부 810 : 입력부
820 : 출력부 830 : 저장부

Claims (8)

  1. 제 1 피착체에 부착될 수 있는 제 1 시트;
    그 일면이 상기 제 1 시트의 일면으로 접착 가능하며, 제 2 피착체에 탈착 가능하게 부착되는 제 2 시트; 및
    상기 제 1 시트와 제 2 시트 사이, 상기 제 1 시트의 타면, 또는 상기 제 2 시트의 타면에 형성되며, 근거리 통신(Near Field Communication, NFC) 링크에 따라 휴대 단말과 통신 가능한 데이터가 수록된 무선 태그를 갖는 필름을 포함하고,
    상기 휴대 단말이 상기 무선 태그를 갖는 필름에 태깅(tagging)되면, 상기 휴대 단말에 탑재된 특정 애플리케이션이 구동되고,
    상기 제 2 시트는 폴리염화비닐(PVC)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가소제 120 ~ 150 중량부, 유동성 개질제 2.5 ~ 3 중량부, 점도 저하제 0.5 ~ 0.8 중량부를 혼합 및 발포 성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용 패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시트는 폴리우레탄계의 수지를 발포, 성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용 패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 단말과 상기 무선 태그를 갖는 필름의 태깅에 의하여 구동되는 상기 특정 애플리케이션은 내비게이션 애플리케이션 또는 블랙박스 애플리케이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용 패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태그를 갖는 필름은 상기 휴대 단말과의 태깅(tagging)에 의하여 상기 휴대 단말과 데이터 통신하는 태그 안테나, 상기 휴대 단말에 탑재된 애플리케이션과 관련된 태그 정보가 기록된 태그 기록부, 상기 태그 안테나를 통한 데이터 송수신을 제어하는 태그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용 패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 단말은 상기 무선 태그를 갖는 필름에 태깅(tagging)에 의하여 활성화되어 데이터 통신할 수 있는 근거리 통신 모듈과, 상기 근거리 통신 모듈의 활성화에 따라 구현될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을 지정하는 설정부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용 패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시트와 상기 제 2 시트 사이 또는 상기 제 1 시트와 상기 무선 태그를 갖는 필름 사이에 경질 폴리염화비닐(PVC) 또는 철 소재의 제 3 시트를 더욱 포함하는 휴대 단말용 패드.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시트는 대시 보드, 콘솔 박스, 탁상 또는 가전제품의 표면에 부착되고, 상기 제 2 시트는 상기 휴대 단말에 탈착 가능하게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용 패드.
  8. 삭제
KR20130126082A 2013-10-22 2013-10-22 스마트 패드 KR1014986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26082A KR101498636B1 (ko) 2013-10-22 2013-10-22 스마트 패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26082A KR101498636B1 (ko) 2013-10-22 2013-10-22 스마트 패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98636B1 true KR101498636B1 (ko) 2015-03-04

Family

ID=530262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126082A KR101498636B1 (ko) 2013-10-22 2013-10-22 스마트 패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9863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153685A1 (en) * 2015-03-25 2016-09-29 Intel Corporation Techniques for device-to-device communications
WO2017179797A1 (ko) * 2016-04-12 2017-10-19 김재문 신규한 점착 패드 및 이의 용도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72108A (ko) * 2009-12-22 2011-06-29 (주)포스트미디어 태그를 구비하는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비전기반 증강현실 구현 시스템
KR20130021883A (ko) * 2011-08-24 2013-03-06 주식회사 팬택 응용 프로그램 자동 실행 시스템 및 방법
KR101253147B1 (ko) * 2012-08-07 2013-04-10 하이쎌(주) 양면 무선통신 태그 및 이의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72108A (ko) * 2009-12-22 2011-06-29 (주)포스트미디어 태그를 구비하는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비전기반 증강현실 구현 시스템
KR20130021883A (ko) * 2011-08-24 2013-03-06 주식회사 팬택 응용 프로그램 자동 실행 시스템 및 방법
KR101253147B1 (ko) * 2012-08-07 2013-04-10 하이쎌(주) 양면 무선통신 태그 및 이의 제조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153685A1 (en) * 2015-03-25 2016-09-29 Intel Corporation Techniques for device-to-device communications
US9929775B2 (en) 2015-03-25 2018-03-27 Intel Corporation Techniques for device-to-device communications
WO2017179797A1 (ko) * 2016-04-12 2017-10-19 김재문 신규한 점착 패드 및 이의 용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483078B2 (en) Mobile terminal
KR101949737B1 (ko) 이동 단말기 및 이의 제어 방법, 이를 위한 기록 매체
KR101992189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US9877412B2 (en) Mobile terminal and manufacturing method for heat spreader module
KR20160009428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US20130342487A1 (en)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for
KR20180012751A (ko) 상황에 따라 최적화된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웨어러블 단말기
KR101659145B1 (ko) 이동 단말기
KR101579978B1 (ko) 웹페이지 표시방법 및 이를 적용한 이동 통신 단말기
US10348882B2 (en) Interface display method, communication terminal and computer storage medium
KR20170032762A (ko)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방법
CN106406737A (zh) 一种屏幕操作方法、装置和一种移动终端
KR20110016094A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제어방법 및 이를 적용한 이동 통신 단말기
KR101498636B1 (ko) 스마트 패드
CN106648324A (zh) 一种隐藏图标操控方法、装置及终端
US20140136871A1 (en) Mobile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KR20150084190A (ko) 이동 단말기 및 이의 제어 방법
KR101623365B1 (ko) 잠금 상태에서 모바일 기기를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
KR101625227B1 (ko) 이동 통신 단말기를 통한 멀티 미디어 데이터의 표시 제어 방법 및 이를 적용한 이동 통신 단말기
KR20160006518A (ko) 이동 단말기
KR20160026112A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70043775A (ko) 터치 스크린용 입력 장치 및 터치 스크린을 구비한 디스플레이 장치
KR101474424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의 근거리 무선통신 방법
KR101852432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
KR20180040953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2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6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