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03300U - 배터리 랙 장치 - Google Patents

배터리 랙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03300U
KR20170003300U KR2020160001375U KR20160001375U KR20170003300U KR 20170003300 U KR20170003300 U KR 20170003300U KR 2020160001375 U KR2020160001375 U KR 2020160001375U KR 20160001375 U KR20160001375 U KR 20160001375U KR 20170003300 U KR20170003300 U KR 20170003300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ck assembly
battery
main frame
inner vertical
vertical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6000137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현창우
Original Assignee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6000137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03300U/ko
Publication of KR2017000330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3300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01M2/1077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10Batteries in stationary systems, e.g. emergency power source in pla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02E60/122

Landscapes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Abstract

배터리 랙 장치에 대한 고안이 개시된다. 개시된 고안은: 배터리 모듈을 내부에 수납하는 랙 조립체가, 랙 조립체의 전면, 배면, 양 측면을 형성하는 복수개의 메인프레임과; 랙 조립체의 내부에 마련되며, 메인프레임에 의해 지지되어 랙 조립체의 내부에 수납된 배터리 모듈을 지지하는 배터리 레일과; 메인프레임과 배터리 레일 사이에 결합되고, 랙 조립체의 측면과 배터리 레일 사이에 방열공간이 형성되도록 배터리 레일을 랙 조립체의 측면으로부터 이격시키며 메인프레임에 지지시키는 내부수직프레임; 및 메인프레임과 결합되어 랙 조립체의 측면을 이루며, 내부수직프레임과 결합되어 내부수직프레임을 지지하는 커버플레이트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배터리 랙 장치{BATTERY RACK APPARATUS}
본 고안은 배터리 랙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배터리 모듈을 랙에 수납하여 에너지 저장장치를 구성하는 배터리 랙 장치에 관한 것이다.
기존의 전력 시스템에 정보통신기술을 접목하여 전력망을 실시간으로 관찰, 통제하면서 공급자와 수요자 간의 양방향 통신을 통해 전력망의 운영 효율을 최적화하는 미래형 전력망으로서, 스마트 그리드(Smart grid)가 있다.
이는 최근 증가하고 있는 신재생에너지 발전이나 전기자동차용 충전 시스템 등과 같은 새로운 전력기기들과의 연계가 가능하며, 소비자의 전력사용정보가 실시간으로 제공됨으로써 전력 이용효율을 높일 수 있어 불필요한 발전설비 투자를 줄이고 온실가스 배출도 줄이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최근에는 전력망의 근대화 계획 및 신재생에너지 확장 등의 이슈로 스마트 그리드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이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이러한 스마트 그리드와 관련된 핵심 기술중 하나로 전력 저장 시스템이 있다.
이는 오프피크(Off-peak) 때의 전력을 저장하였다가 피크 때에 저장된 전기 에너지를 이용하여 부화 평준화를 도모하기 위한 것으로, 전력설비를 효율적으로 이용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종래에는 야간의 잉여전력을 물의 위치에너지로 변환하여 저장하는 양수식 발전이나, 복수의 납-산 배터리를 직렬 또는 병렬로 조합하는 화학적 에너지 저장 방식이 주로 이용되었다.
그러나 양수식 발전의 경우 다량의 물과 입지 조건이 까다로워 건설 비용에 막대한 비용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고, 납-산 배터리의 경우 에너지 저장 밀도가 낮아 고전압, 대용량으로 구성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최근에는 에너지 저장 밀도가 높은 리튬 이온 배터리의 발달로 화학적 에너지 저장 방식으로 고전압, 대용량의 전력 저장 시스템을 구축하는 것이 가능해 졌다.
화학적 에너지 저장 방식을 이용한 전력 저장 시스템에는 에너지 밀도가 높은 리튬 이온 배터리로 구성된 배터리 모듈이 포함되며, 이 배터리 모듈은 다단으로 형성된 랙(Rack)에 일정 개수가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적재된다.
이러한 랙은, 중량이 무겁고 전기적 위험 및 폭발의 가능성이 있는 배터리를 적재하는 것이므로, 충분한 지지력과 강성을 갖도록 마련되어야 한다.
통상적으로 랙은, 골격을 형성하는 메인프레임의 내측에 지지플레이트가 결합되고, 이 지지플레이트에 내부수직프레임이 수직방향으로 결합되며, 배터리가 얹혀지는 배터리 레일이 내부수직프레임에 장착되는 형태로 제공된다.
이와 같은 랙의 구조에 따르면, 배터리 레일에 얹혀져 장착된 배터리 모듈의 하중은 배터리 레일이 장착된 내부수직프레임으로 전달되고, 랙의 모든 층에 적층된 배터리 모듈의 하중은 내부수직프레임을 통해 지지플레이트로 전달된다.
결국 랙의 모든 층에 적층된 배터리 모듈의 누적된 하중은 내부수직프레임을 지지하고 있는 지지플레이트로 집중되고, 이로 인해 지지플레이트와 메인프레임의 결합 부위에 큰 집중하중이 작용되며, 이는 랙의 안정성에 치명적인 문제를 발생시킬 수 있다.
본 고안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278506호(2013년 06월 19일 등록, 발명의 명칭: 전력 저장용 배터리 모듈의 랙 시스템)에 개시되어 있다.
본 고안은 구조물의 안정성이 향상되도록 구조가 개선된 배터리 랙 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에 따른 배터리 랙 장치는: 배터리 모듈을 내부에 수납하는 랙 조립체가, 상기 랙 조립체의 전면, 배면, 양 측면을 형성하는 복수개의 메인프레임과; 상기 랙 조립체의 내부에 마련되며, 상기 메인프레임에 의해 지지되어 상기 랙 조립체의 내부에 수납된 상기 배터리 모듈을 지지하는 배터리 레일과; 상기 메인프레임과 상기 배터리 레일 사이에 결합되고, 상기 랙 조립체의 측면과 상기 배터리 레일 사이에 방열공간이 형성되도록 상기 배터리 레일을 상기 랙 조립체의 측면으로부터 이격시키며 상기 메인프레임에 지지시키는 내부수직프레임; 및 상기 메인프레임과 결합되어 상기 랙 조립체의 측면을 이루며, 상기 내부수직프레임과 결합되어 상기 내부수직프레임을 지지하는 커버플레이트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커버플레이트는, 상기 랙 조립체의 측면을 이루기 위한 골격을 형성하는 한 쌍의 상기 메인프레임 사이에 삽입되어 상기 랙 조립체의 측면을 이루는 커버부와; 상기 커버부의 테두리와 인접한 상기 메인프레임과 나란한 평면을 이루도록 상기 커버부의 테두리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메인프레임과 결합되는 제1결합부; 및 상기 내부수직프레임과 나란한 평면을 이루도록 상기 제1결합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내부수직프레임과 결합되는 제2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커버부와 상기 제1결합부 및 상기 제2결합부는, "ㄷ" 형상을 이루며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랙 조립체의 측면을 이루기 위한 골격을 형성하는 한 쌍의 상기 메인프레임과 각각 결합되며, 상기 메인프레임과 상기 내부수직프레임 사이에 결합되어 상기 내부수직프레임을 상기 메인프레임에 지지시키는 가로지지플레이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커버플레이트에는, 상기 가로지지플레이트가 끼움 결합되는 끼움결합공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끼움결합공의 하부에 위치되도록 상기 커버플레이트에 결합되어 상기 가로지지플레이트를 하부에서 지지하는 가로지지바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의 배터리 랙 장치는, 랙 조립체의 내부공간에 적층된 배터리 모듈의 누적된 하중이 내부수직프레임 및 이를 지지하는 가로지지플레이트에 집중되는 것을 완화시킴으로써, 구조물 전체의 안정성을 효과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은 복수개의 랙 조립체를 줄을 맞추워 설치하는 열반 작업을 더욱 쉽고 빠르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할 뿐 아니라, 측면 커버가 차지하는 폭을 감소시켜 설치 공간의 활용성을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랙 장치의 일부분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배터리 랙 장치의 커버플레이트 분해 상태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배터리 랙 장치의 정면을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Ⅳ-Ⅳ"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Ⅴ" 부분을 확대한 확대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랙 장치의 내측 측면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7은 도 6의 "Ⅶ" 부분을 확대한 확대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배터리 랙 장치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고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랙 장치의 일부분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배터리 랙 장치의 커버플레이트 분해 상태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또한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배터리 랙 장치의 정면을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Ⅳ-Ⅳ" 선에 따른 단면도이며, 도 5는 도 4의 "Ⅴ" 부분을 확대한 확대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랙 장치(100)는, 배터리 모듈(110)과 랙 조립체(150)를 포함한다.
배터리 모듈(110)은, 전기에너지 저장수단으로 재충전이 가능한 다수의 전지 셀을 포함하고, 이들이 전기적으로 연결된 형태로 마련된다.
배터리 모듈(110)에 포함되는 전지 셀로서, 울트라 캐패시터를 포함하는 전기 이중층 캐패시터 또는 리튬 이온 전지, 리튬 폴리머 전지, 니켈 카드늄 전지, 니켈 수소 전지, 니켈 아연 전지 등과 같은 2차 전지가 적용될 수 있다.
이러한 복수개의 전지 셀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배터리 모듈(110)은, 후술할 랙 조립체(150)의 내부에 수납되되, 랙 조립체(150)의 내부에 형성된 내부공간에 다단으로 적재될 수 있다.
랙 조립체(150)는, 배터리 모듈(110)을 내부에 수납하도록 마련된다.
이러한 랙 조립체(150)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프레임(160)과 배터리 레일(170)과 내부수직프레임(180) 및 커버플레이트(190)를 포함한다.
메인프레임(160)은, 랙 조립체(150)의 전면, 배면, 양 측면을 이루기 위한 최외곽의 골격을 형성하도록 구비되며, 강성이 높은 금속 재질의 빔(Beam)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랙 조립체(150)가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고, 메인프레임(160)은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는 랙 조립체(150)의 열두 군데의 모서리 부분을 형성하도록 복수개가 구비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이에 따르면, 메인프레임(160)은 랙 조립체(150)의 세로방향 네 모서리를 형성하도록 수직하게 세워지는 두 쌍의 세로메인프레임(161)과, 랙 조립체(150) 상부의 가로방향 네 모서리와 랙 조립체(150) 하부의 가로방향 네 모서리를 형성하도록 두 쌍의 세로메인프레임(161)의 상단부와 하단부를 각각 연결하는 네 쌍의 가로메인프레임(163)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배터리 레일(170)은, 랙 조립체(150)의 측면을 이루기 위한 골격을 형성하는 한 쌍의 메인프레임(160), 좀 더 구체적으로는 전후방향으로 배치된 한 쌍의 세로메인프레임(161) 사이를 가로지르도록 마련되어 배터리 모듈(110)을 지지한다.
이러한 배터리 레일(170)은, 후술할 내부수직프레임(180)을 매개로 메인프레임(160) 측에 결합되는 결합부(171), 및 결합부(171)와 "ㄴ" 형상을 이루도록 연결되어 배터리 모듈(110)의 하부를 지지하는 지지부(173)를 포함하는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배터리 레일(170)은, 랙 조립체(150)의 일측 측면과 타측 측면 측에 각각 설치되며, 복수개가 상하방향으로 소정 간격 이격되며 다단으로 배치될 수 있다.
배터리 모듈(110)은, 이와 같이 다단으로 배치된 배터리 레일(170)에 의해 각각 지지되어 랙 조립체(150)의 내부에 형성된 내부공간에 다단으로 적재될 수 있다.
내부수직프레임(180)은, 메인프레임(160), 좀 더 구체적으로는 세로메인프레임(161)과 배터리 레일(170) 사이에 결합되며, 복수개가 마련되어 각 세로메인프레임(161) 측에 각각 설치된다.
이러한 내부수직프레임(180)은, 랙 조립체(150)의 측면과 배터리 레일(170) 사이에 방열공간이 형성되도록 배터리 레일(170)을 랙 조립체(150)의 측면으로부터 이격시키며 메인프레임(160)에 지지시킨다.
상기 내부수직프레임(180)은, 수직방향으로 세워지는 ㄷ형강(181)의 일측 단부에 플랜지(183)가 형성된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마련되는 내부수직프레임(180)에 따르면, ㄷ형강(181)의 중심 부분이 메인프레임(160) 측에 결합되고, 플랜지(183) 부분은 랙 조립체(150)의 측면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위치되어 배터리 레일(170)과 결합된다.
이와 같이 설치되는 내부수직프레임(180)은, 배터리 레일(170)을 랙 조립체(150)의 측면으로부터 이격시키며 메인프레임(160)에 지지시키며, 이로써 배터리 레일(170)에 지지되는 배터리 모듈(110)의 열이 방출되기 위한 방열공간이 랙 조립체(150)의 측면과 배터리 레일(170) 사이에 방열공간이 형성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본 실시예의 랙 조립체(150)는, 가로지지플레이트(15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가로지지플레이트(155)는, 전후방향으로 배치된 한 쌍의 세로메인프레임(161) 사이를 가로지르도록 마련된다.
이러한 가로지지플레이트(155)는, 세로메인프레임(161)과 내부수직프레임(180) 사이에 위치되도록 배치되며, 양측 단부가 한 쌍의 세로메인프레임(161)에 각각 결합되는 형태로 설치된다.
상기와 같은 가로지지플레이트(155)는, 랙 조립체(150)의 양 측면에 각각 설치되는 한편, 복수개가 상하방향으로 소정 간격 이격되게 설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메인프레임(160) 상에 고정되도록 설치되는 가로지지플레이트(155)에는 내부수직프레임(180)이 결합되며, 내부수직프레임(180)은 가로지지플레이트(155)와의 결합을 매개로 메인프레임(160)에 지지될 수 있다.
커버플레이트(190)는,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프레임(160)과 결합되어 랙 조립체(150)의 측면을 이루며, 내부수직프레임(180)과 결합되어 내부수직프레임(180)을 지지한다.
이러한 커버플레이트(190)는 랙 조립체(150)의 양 측면 측에 각각 설치되며, 각각의 커버플레이트(190)는 커버부(191)와 제1결합부(193) 및 제2결합부(195)를 각각 포함한다.
커버부(191)는, 랙 조립체(150)의 측면을 이루기 위한 골격을 형성하는 한 쌍의 메인 프레임(160), 좀 더 구체적으로는 전후방향으로 배치되는 한 쌍의 세로메인프레임(161) 사이에 삽입되어 랙 조립체(150)의 측면을 이룬다.
이러한 커버부(191)는, 랙 조립체(150)의 측면을 이루기 위한 골격을 형성하는 한 쌍의 세로메인프레임(161)과 한 쌍의 가로메인프레임(163)으로 둘러싸인 면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평판 형태로 마련되며, 상기 메인프레임들(161,163)들에 둘러싸인 부분에 삽입되어 랙 조립체(150)의 측면을 이루게 된다.
제1결합부(193)는, 커버부(191)의 테두리와 인접한 메인프레임(160)과 나란한 평면을 이루도록 커버부(191)의 테두리로부터 연장되어 메인프레임(160)과 결합된다.
좀 더 구체적으로, 제1결합부(193)는 커버부(191)의 세로방향 테두리로부터 연장되되, 그와 인접한 세로메인프레임(161)과 나란한 평면을 이루도록 커버부(191)의 세로방향 테두리로부터 연장되어 그 인접한 세로메인프레임(161)과 결합된다.
본 실시예에서, 제1결합부(193)는 커버부(191)와 "ㄱ" 형상을 이루며 연결되도록 커버부(191)의 세로방향 테두리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이러한 제1결합부(193)는, 커버부(191)의 세로방향 양측 테두리 부분에 각각 마련되며, 볼트와 너트 등과 같은 체결부재(10) 등에 의해 세로메인프레임(161)과 결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제1결합부(193)와 세로메인프레임(161) 간의 결합에 의해, 커버플레이트(190)는 랙 조립체(150)의 양측 측면 측에서 메인프레임(160)에 각각 결합되어 랙 조립체(150)의 양측 측면을 이루게 된다.
제2결합부(195)는, 내부수직프레임(180)과 나란한 평면을 이루도록 제1결합부(193)로부터 연장되어 내부수직프레임(180)과 결합된다.
본 실시예에서, 제2결합부(195)는 제1결합부(193)와 "ㄱ" 형상을 이루며 연결되고 커버부(191)와 나란한 평면을 이루도록 제1결합부(193)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이에 따르면, 커버플레이트(190)는 그 세로방향 양측 테두리 부분에서 커버부(191)와 제1결합부(193) 및 제2결합부(195)가 각각 "ㄷ" 형상을 이루며 연결되는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형성되는 제2결합부(195)는, 제1결합부(193)와 마찬가지로 커버부(191)의 세로방향 양측 테두리 부분에 각각 마련되며, 볼트와 너트 등과 같은 체결부재(10) 등에 의해 내부수직프레임(180)과 결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제2결합부(195)와 내부수직프레임(180) 간의 결합에 의해, 커버플레이트(190)는 내부수직프레임(180)과 결합되어 내부수직프레임(180)을 지지함으로써 내부수직프레임(180)에 가해지는 하중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력을 제공할 수 있다.
아울러 커버플레이트(190)에는, 도 2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로지지플레이트(155)가 끼움 결합되는 끼움결합공(197)이 형성될 수 있다.
끼움결합공(197)은, 커버플레이트(190)의 제1 및 제2결합부(193,195)가 위치하는 부분에 관통되게 형성되되, 메인프레임(160)에 결합된 가로지지플레이트(155)와 커버플레이트가 서로 중첩되는 지점에 형성된다.
이와 같이 형성된 끼움결합공(197)에 가로지지플레이트(155)의 양측 단부가 각각 끼워져 커버플레이트(190)와 가로지지플레이트(155) 간의 끼움 결합이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커버플레이트(190)와 가로지지플레이트(155) 간의 끼움 결합에 의해, 메인프레임(160) 및 내부수직프레임(180)에 결합되는 커버플레이트(190)의 결합 위치가 안내될 수 있을 뿐 아니라, 커버플레이트(190)가 가로지지플레이트(155)를 하부에서 지지할 수 있어 가로지지플레이트(155)에 가해지는 하중이 커버플레이트(190)로 분산될 수 있게 된다.
이하, 본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랙 장치(100)의 작용, 효과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메인프레임(160)에 의해 랙 조립체(150)의 전면, 배면, 양 측면을 이루기 위한 최외곽의 골격이 형성되고, 랙 조립체(150)의 양 측면 측에 복수개의 가로지지플레이트(155)가 상하방향으로 결합된다.
이와 같이 결합된 가로지지플레이트(155)의 양측 단부 측에 내부수직프레임(180)이 각각 세로방향으로 결합되어 메인프레임(160)에 지지되고, 이와 같이 설치된 내부수직프레임(180)에 복수개의 배터리 레일(170)이 상하방향으로 소정 간격 이격되게 결합되어 렉 조립체(150)의 내부에 다단으로 설치된다.
그리고 이와 같이 설치된 배터리 레일(170)에 배터리 모듈(110)이 얹혀져 랙 조립체(150)의 내부에 형성된 내부공간에 다단으로 적재될 수 있다.
한편 커버플레이트(190)는, 랙 조립체(150)의 양 측면 측에 각각 설치되어 랙 조립체(150)의 측면을 이루되, 랙 조립체(150)의 측면을 이루기 위한 골격을 형성하는 한 쌍의 세로메인프레임(161)과 가로메인프레임(163) 사이에 형성된 삽입되는 형태로 설치된다.
이에 따라 메인프레임(160)의 측방향 외측면이 커버플레이트(190)에 의해 덮이지 않고 외부로 노출될 수 있으며, 커버플레이트(190)가 메인프레임(160)의 측방향 외부로 돌출되지 않고 메인프레임(160)과 동일 평면을 이루며 랙 조립체(150)의 측면을 형성할 수 있다.
이로써 복수개의 랙 조립체(150)를 측방향으로 배열하여 설치하고자 하는 경우, 인접한 랙 조립체(150)들의 서로 마주보는 측면에 설치된 커버플레이트(190)를 제거할 필요 없이도 서로 마주보는 측면의 메인프레임(160)들을 서로 고정시킬 수 있으므로, 복수개의 랙 조립체(150)를 줄을 맞추워 설치하는 열반 작업을 더욱 쉽고 빠르게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커버플레이트(190)가 메인프레임(160)의 측방향 외부로 돌출되지 않고 메인프레임(160)과 동일 평면을 이루며 랙 조립체(150)의 측면을 형성하므로, 배터리 랙 장치(100)의 폭을 감소시킬 수 있어 랙 조립체(150)가 설치되는 공간의 활용성을 높일 수 있게 된다.
한편 커버플레이트(190)는, 제1결합부(193)와 세로메인프레임(161) 간의 결합을 통해 메인프레임(160)과 결합되는 한편, 제2결합부(195)와 내부수직프레임(180) 간의 결합을 통해 내부수직프레임(180)과 결합된다.
이러한 커버플레이트(190)는, 내부수직프레임(180)과 결합되어 내부수직프레임(180)에 가해지는 하중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력을 제공함으로써, 랙 조립체(150)의 내부공간에 적층된 배터리 모듈(110)의 누적된 하중이 내부수직프레임(180) 및 이를 지지하는 가로지지플레이트(155)에 집중되는 것을 완화시킬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실시예의 배터리 랙 장치(100)는, 랙 조립체(150)의 내부공간에 적층된 배터리 모듈(110)의 누적된 하중이 내부수직프레임(180) 및 이를 지지하는 가로지지플레이트(155)에 집중되는 것을 완화시킴으로써, 구조물 전체의 안정성을 효과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배터리 랙 장치(100)는, 복수개의 랙 조립체(150)를 줄을 맞추워 설치하는 열반 작업을 더욱 쉽고 빠르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할 뿐 아니라, 측면 커버가 차지하는 폭을 감소시켜 설치 공간의 활용성을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상기한 바와 같은 배터리 랙 장치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며, 이와 다른 변형 실시예들이 있을 수 있다.
도 6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랙 장치의 내측 측면을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7은 도 6의 "Ⅶ" 부분을 확대한 확대도이다.
이하,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릴레이 장치의 다른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도 6 및 도 7은 배터리 랙 장치의 내측으로부터 측면을 바라본 방향으로 도시한 도면으로서, 배터리 모듈, 배터리 레일, 내부수직프레임의 도시를 생략한 것임을 밝혀둔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기 일 실시예와 구성 및 기능이 동일 또는 유사한 구조는 동일한 도면번호로 인용하였으며,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랙 장치(200)는 배터리 모듈(110; 도 3 참조) 및 랙 조립체(250)를 포함하고, 랙 조립체(250)는 가로지지플레이트(155), 메인프레임(160), 배터리 레일(170; 도 3 참조), 내부수직프레임(180; 도 3 참조), 커버플레이트(190) 외에 가로지지바(299)를 더 포함한다.
가로지지바(299)는, 끼움결합공(197)의 하부에 위치되도록 커버플레이트(190)에 결합된다.
구체적으로, 가로지지바(299)는 가로지지플레이트(155)와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길이를 갖도록 형성되며, 그 양단이 제1결합부(193) 및 제2결합부(195)가 형성된 부분에 각각 결합됨으로써 커버플레이트(190)에 결합된다.
이와 같이 마련되는 가로지지바(299)는, 커버플레이트(190)와 가로지지플레이트(155) 간의 끼움 결합이 이루어진 상태에서 가로지지플레이트(155)를 하부에서 지지함으로써, 가로지지플레이트(155)에 가해지는 하중이 커버플레이트(190) 측으로 더욱 효과적으로 분산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은 가로지지바(299)를 포함하는 본 실시예의 배터리 랙 장치(200)는, 가로지지플레이트(155)를 하부에서 지지하는 가로지지바(299)를 추가하여 커버플레이트(190)를 이용한 하중 분산이 보다 효율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구조물 전체의 안정성을 더욱 효과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본 고안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0,200 : 배터리 랙 장치
110 : 배터리 모듈
150,250 : 랙 조립체
155 : 가로지지플레이트
160 : 메인프레임
161 : 세로메인프레임
163 : 가로메인프레임
170 : 배터리 레일
171 : 결합부
173 : 지지부
180 : 내부수직프레임
181 : ㄷ형강
183 : 플랜지
190 : 커버플레이트
191 : 커버부
193 : 제1결합부
195 : 제2결합부
197 : 끼움결합공
299 : 가로지지바

Claims (5)

  1. 배터리 모듈을 내부에 수납하는 랙 조립체는,
    상기 랙 조립체의 전면, 배면, 양 측면을 이루기 위한 골격을 형성하는 복수개의 메인프레임;
    상기 랙 조립체의 내부에 마련되며, 상기 메인프레임에 의해 지지되어 상기 랙 조립체의 내부에 수납된 상기 배터리 모듈을 지지하는 배터리 레일;
    상기 메인프레임과 상기 배터리 레일 사이에 결합되고, 상기 랙 조립체의 측면과 상기 배터리 레일 사이에 방열공간이 형성되도록 상기 배터리 레일을 상기 랙 조립체의 측면으로부터 이격시키며 상기 메인프레임에 지지시키는 내부수직프레임; 및
    상기 메인프레임과 결합되어 상기 랙 조립체의 측면을 이루며, 상기 내부수직프레임과 결합되어 상기 내부수직프레임을 지지하는 커버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랙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플레이트는,
    상기 랙 조립체의 측면을 이루기 위한 골격을 형성하는 한 쌍의 상기 메인프레임 사이에 삽입되어 상기 랙 조립체의 측면을 이루는 커버부;
    상기 커버부의 테두리와 인접한 상기 메인프레임과 나란한 평면을 이루도록 상기 커버부의 테두리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메인프레임과 결합되는 제1결합부; 및
    상기 내부수직프레임과 나란한 평면을 이루도록 상기 제1결합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내부수직프레임과 결합되는 제2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랙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와 상기 제1결합부 및 상기 제2결합부는, "ㄷ" 형상을 이루며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랙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랙 조립체의 측면을 이루기 위한 골격을 형성하는 한 쌍의 상기 메인프레임과 각각 결합되며, 상기 메인프레임과 상기 내부수직프레임 사이에 결합되어 상기 내부수직프레임을 상기 메인프레임에 지지시키는 가로지지플레이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커버플레이트에는, 상기 가로지지플레이트가 끼움 결합되는 끼움결합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랙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끼움결합공의 하부에 위치되도록 상기 커버플레이트에 결합되어 상기 가로지지플레이트를 하부에서 지지하는 가로지지바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랙 장치.
KR2020160001375U 2016-03-15 2016-03-15 배터리 랙 장치 KR20170003300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1375U KR20170003300U (ko) 2016-03-15 2016-03-15 배터리 랙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1375U KR20170003300U (ko) 2016-03-15 2016-03-15 배터리 랙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3300U true KR20170003300U (ko) 2017-09-25

Family

ID=605713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60001375U KR20170003300U (ko) 2016-03-15 2016-03-15 배터리 랙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03300U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41943A1 (ko) * 2019-01-04 2020-07-09 주식회사 엘지화학 인접 배터리 모듈들로 열을 분산할 수 있는 구조를 갖는 에너지 저장 시스템
WO2021040503A1 (ko) * 2019-08-27 2021-03-04 주식회사 엘지화학 고정 프레임을 구비한 배터리 랙 및 전력 저장 장치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41943A1 (ko) * 2019-01-04 2020-07-09 주식회사 엘지화학 인접 배터리 모듈들로 열을 분산할 수 있는 구조를 갖는 에너지 저장 시스템
KR20200085191A (ko) * 2019-01-04 2020-07-14 주식회사 엘지화학 인접 배터리 모듈들로 열을 분산할 수 있는 구조를 갖는 에너지 저장 시스템
CN112119533A (zh) * 2019-01-04 2020-12-22 株式会社Lg化学 具有能够将热量散发到相邻电池模块的结构的蓄能系统
EP3783731A4 (en) * 2019-01-04 2021-08-11 Lg Chem, Ltd. ENERGY STORAGE SYSTEM WITH A STRUCTURE CAPABLE OF DISSIPATING HEAT IN ADJACENT BATTERY MODULES
US11581593B2 (en) 2019-01-04 2023-02-14 Lg Energy Solution, Ltd. Energy storage system having structure capable of dissipating heat to adjacent battery modules
WO2021040503A1 (ko) * 2019-08-27 2021-03-04 주식회사 엘지화학 고정 프레임을 구비한 배터리 랙 및 전력 저장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342623B2 (en) Battery pack and vehicle including same
EP2685520B1 (en) Rack system for battery module for energy storage
US10062877B2 (en) Battery module assembly
CN105745781B (zh) 内部包括子模块的电池模块组件
US20150236326A1 (en) Battery module having bus bar assembly and battery pack comprising the same
US9960403B2 (en) Battery module assembly having communication terminals of BMS protruding from front thereof
CN105247729A (zh) 具有冷却剂流动通道的电池模块组件
KR102532788B1 (ko) 이동식 전기차 충전시스템
JP2017162703A (ja) 組電池とこの組電池を搭載した車両
CN104919621A (zh) 具有新型结构的电池模块组件底板
CN106256032A (zh) 包括间隔器的电池组
CN104185910A (zh) 电池容纳体和蓄电装置
CN104170119A (zh) 蓄电装置
KR20220043063A (ko) 배터리 랙, 전력 저장 장치, 및 발전 시스템
KR20220043062A (ko) 배터리 랙, 전력 저장 장치, 및 발전 시스템
KR20170003300U (ko) 배터리 랙 장치
JP5300581B2 (ja) ユニット建物
CN209963098U (zh) 电池模组、动力电池和车辆
KR101345600B1 (ko) 슈퍼 캐패시터 외장케이스
JP2013105724A (ja) 蓄電装置
CN216819445U (zh) 一种高压电池储能单元结构
CN219067087U (zh) 一种梯次利用动力电池
CN220652255U (zh) 一种储能电池簇及储能箱
KR102532787B1 (ko) 고정식 전기차 충전시스템
CN217935104U (zh) 大小倍率结合的电力储能电池支撑的源储荷网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