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02897U - 임플란트 픽스츄어 - Google Patents

임플란트 픽스츄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02897U
KR20170002897U KR2020160000678U KR20160000678U KR20170002897U KR 20170002897 U KR20170002897 U KR 20170002897U KR 2020160000678 U KR2020160000678 U KR 2020160000678U KR 20160000678 U KR20160000678 U KR 20160000678U KR 20170002897 U KR20170002897 U KR 20170002897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ttern
fixture
present
implant
scre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6000067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오현
Original Assignee
정오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오현 filed Critical 정오현
Priority to KR202016000067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02897U/ko
Publication of KR2017000289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2897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18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C8/0022Self-screw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12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r composition, e.g. ceramics, surface layer, metal alloy
    • A61C8/0013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r composition, e.g. ceramics, surface layer, metal alloy with a surface layer, coat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18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C8/0037Details of the shap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Dental Prosthetics (AREA)

Abstract

임플란트 픽스츄어에 관한 고안이다. 본 고안의 임플란트 픽스츄어는, 바디; 및 상기 바디의 외면 둘레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나사패턴을 포함하며, 상기 바디 또는 나사패턴에는 주위염의 빠른 진행을 예방하기 위한 주위염 진행 예방패턴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임플란트 픽스츄어{Dental implant fixture}
본 고안은, 임플란트 픽스츄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간단하면서도 효율적인 방법으로 주위염의 빠른 진행을 예방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임플란트를 실패 확률을 감소시킬 수 있는 임플란트 픽스츄어에 관한 것이다.
치과에서 말하는 임플란트는 인공으로 만든 치아를 이식하는 일련의 시술을 가리킨다. 다시 말해, 임플란트는 상실된 치근(뿌리)을 대신할 수 있도록 인체에 거부반응이 없는 티타늄(titanium)으로 만든 치근인 픽스츄어(fixture)를 치아가 빠져나간 치조골에 심은 뒤, 인공치아를 고정시켜 치아의 기능을 회복하도록 하는 시술을 가리킨다.
일반 보철물이나 틀니의 경우, 시간이 지나면 주위 치아와 뼈가 상하지만 임플란트는 주변 치아조직을 상하지 않게 하며, 자연치아와 기능이나 모양이 같으면서도 충치가 생기지 않으므로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와 같은 임플란트, 즉 인공치아 시술은 드릴을 사용하여 식립위치를 천공한 후 픽스츄어를 치조골에 식립하여 뼈에 골융합시킨 다음, 픽스츄어에 어버트먼트(abutment)를 결합시킨 후에, 어버트먼트에 최종 보철물(crown)을 씌움으로써 완료된다.
임플란트는 단일 결손치 수복은 물론이거니와 부분 무치아 및 완전 무치아 환자에게 의치의 기능을 증진시키고, 치아 보철 수복의 심미적인 면을 개선시키며, 나아가 주위의 지지골 조직에 가해지는 과도한 응력을 분산시킴과 아울러 치열의 안정화에 도움을 준다.
임플란트 픽스츄어는 임플란트가 시술되는 위치에 드릴 등을 이용하여 치조골에 형성된 드릴 홀에 식립되는 구조물로서, 인공 치근의 역할을 담당한다. 따라서 픽스츄어는 치조골에 견고히 식립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픽스츄어의 외면에는 드릴 홀을 형성하는 치조골의 내측벽 부분에 견고히 결합될 수 있도록 나사부(나사산)가 형성된다.
이러한 나사부는 치조골에 인입되어 픽스츄어와 치조골이 견고히 결합될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픽스츄어와 치조골의 접촉 면적을 증대시킴으로써 치조골에 대한 픽스츄어의 고정력을 강화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치조골에 식립된 픽스츄어는 마치 치조골과 하나의 몸체가 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따라서 임플란트 픽스츄어를 식립한 후에는 일정 시간을 대기해서 픽스츄어가 치조골에 골융합되도록 해야 한다.
그런데, 이때 픽스츄어가 식립된 부위, 즉 치조골과 픽스츄어가 접하는 영역으로 주위염이 발생될 수 있는데, 이를 그대로 방치하면 주위염이 빠르게 진행되어 임플란트가 실패할 확률이 높다는 점을 고려해볼 때, 주위염의 빠른 진행을 예방하기 위한 기술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10-2002-0021954호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20-2008-0008130호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20-2010-0004304호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20-201-0003333호
본 고안의 목적은, 간단하면서도 효율적인 방법으로 주위염의 빠른 진행을 예방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임플란트를 실패 확률을 감소시킬 수 있는 임플란트 픽스츄어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바디; 및 상기 바디의 외면 둘레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나사패턴을 포함하며, 상기 바디 또는 나사패턴에는 주위염의 빠른 진행을 예방하기 위한 주위염 진행 예방패턴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 픽스츄어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주위염 진행 예방패턴은 상기 바디 또는 나사패턴에 연마 가공되는 연마부에 의해 적용될 수 있다.
상기 연마부는 상기 나사패턴이 없는 비나사패턴 연마부일 수 있다.
상기 비나사패턴 연마부는 상기 바디의 상단부에서 하단부로 갈수록 그 폭이 점진적으로 좁아지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주위염 진행 예방패턴은 표면처리가 되지 않은 비표면처리 구간부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픽스츄어의 표면처리 시 상기 비표면처리 구간부를 제외하고 표면처리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르면, 간단하면서도 효율적인 방법으로 주위염의 빠른 진행을 예방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임플란트를 실패 확률을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임플란트 픽스츄어가 식립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임플란트 픽스츄어의 확대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임플란트 픽스츄어의 정면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고안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컨대,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기 때문에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고안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기 때문에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본 실시예는 본 고안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고안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고안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따라서 몇몇 실시예에서, 잘 알려진 구성 요소, 잘 알려진 동작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고안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한편, 본 고안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사전적 의미에 제한되지 않으며,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고안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고안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예의 설명 중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도록 하며, 경우에 따라 동일한 참조부호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임플란트 픽스츄어가 식립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임플란트 픽스츄어의 확대 정면도, 그리고 도 3은 도 2의 단면도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임플란트 픽스츄어(100)는 간단하면서도 효율적인 방법으로 주위염의 빠른 진행을 예방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임플란트를 실패 확률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도 1을 먼저 참조하여 임플란트 픽스츄어(100)의 작용에 대해 간략하게 살펴본다. 도 1에 도시된 것처럼 잇몸(1)에는 많은 수의 치아(10)이 배열된다. 치아(10)는 음식물을 잘게 부수어 위장으로 보내는 1차적 소화수단으로 사람마다 상이할 수는 있지만 보통 28개 정도가 갖춰질 수 있다.
한편, 치아(10)들 중에서 어느 한 치아(10)이 상실될 경우(구치부가 결손되는 경우), 상실된 치아(10)로 인해 심미감이 떨어질 뿐만 아니라 음식물을 씹는데 상당히 불편할 수밖에 없다.
이에, 상실된 치아(10)의 잇몸(1)에 치아(10)의 치근(10a)을 대체할 수 있는 수단으로써 본 실시예에 따른 임플란트 픽스츄어(100)가 식립될 수 있다.
임플란트 픽스츄어(100)는 드릴 홀(13)을 통해 치조골에 식립될 수 있다. 물론, 도 1에 도시된 임플란트 픽스츄어(100)의 사이즈가 맞지 않는 경우에는 도 1에 도시된 것보다 큰 것으로 대체할 수 있다. 임플란트 픽스츄어(100)는 대게 티타늄(Ti, Titanium)으로 제조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픽스츄어(100)는 치조골에 형성된 드릴 홀(13)을 통해 치조골에 식립될 수 있는데, 이와 같은 픽스츄어(100)는 최초의 임플란트 시술 시 사용되는 것일 수도 있고, 혹은 시술 실패 시 손상된 부위에 소정의 골대체 재료를 보충하지 않고 해당하는 치조골에 직접 식립할 때 사용되는 응급용일 수도 있다.
이러한 픽스츄어(100)는 바디(110)와, 바디(110)의 외면 둘레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나사패턴(120)을 포함할 수 있다.
우선, 바디(110)는 본 실시예의 픽스츄어(100)에서 중심 기둥(stem)을 형성하는 부분이다.
도 1의 화살표 방향으로 픽스츄어(100)가 식립되기 때문에 식립이 용이해질 수 있도록 바디(110)는 식립되는 방향을 따라 단면적이 점진적으로 작아지도록 외면이 테이퍼지게 마련된다.
물론, 바디(110)가 그 길이 방향을 따라 단면직경이 모두 동일한 원기둥 타입의 일자형 구조로 적용되더라도 관계는 없다. 즉 어떠한 구조일지라도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바디(110)의 상단부 코너 영역에는 베벨부(111)가 형성된다. 베벨부(111)는 치조골보다 넓은 접촉 면적을 제공함으로써 강한 고정력을 제공한다.
베벨부(111)가 형성된 바디(110)의 일단부 내부 영역에는 어버트먼트(Abutment)가 결합되는 어버트먼트 결합부(112)가 마련된다.
바디(110)의 하단부는 식립위치를 안내하는 식립위치 안내부(113)를 형성한다. 식립위치 안내부(113)는 다른 영역보다 첨예한 형상을 이룸으로써, 초기 식립이 용이해질 수 있게끔 한다.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식립위치 안내부(113)의 주변에는 커팅 에지(cutting edge)가 형성될 수도 있다. 커팅 에지는 치조골에 강하게 식립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다음으로, 나사패턴(120)는 픽스츄어(100)가 나사 방식에 의해 식립될 수 있도록 바디(110)의 외면 둘레 방향을 따라 나선형으로 형성된다.
이때, 나사패턴(120)의 단면은 삼각나사 혹은 사각나사일 수 있다. 삼각나사는 식립이 용이하고 사각나사는 강한 체결력을 이룰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픽스츄어(100)에서 나사패턴(120)의 단면은 삼각나사 혹은 사각나사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한편, 이와 같은 구조를 갖는 본 실시예에 따른 픽스츄어(100)에는 바디(110) 또는 나사패턴(120)에 형성되되 주위염의 빠른 진행을 예방하기 위한 주위염 진행 예방패턴(130)이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주위염 진행 예방패턴(130)은 바디(110) 또는 나사패턴(120)에 연마 가공에 의해 형성되는 연마부(130)에 의해 적용될 수 있다.
이때, 연마부(130)는 나사패턴(120)이 없는 비나사패턴 연마부(130)이다. 다시 말해, 비나사패턴 연마부(130)는 나사패턴(120)이 없이 밋밋하게 혹은 매끈하게 연마된 형상을 취할 수 있다.
이러한 비나사패턴 연마부(130)는 바디(110)의 상단부에서 하단부로 갈수록 그 폭이 점진적으로 좁아지게 형성될 수 있다.
비나사패턴 연마부(130)에 대해 부연 설명하면 비나사패턴 연마부(130)에 나사산이 없기 때문에 강도면에서는 다소 약할 수는 있으나 초기 식립 시 주위염을 예방하는 차원에서는 효과가 매우 클 수 있다. 즉 이 부분에서 접촉이 없기 때문에 주위염을 예방하기에 좋은데, 설사 주위염이 발생되더라도 빠른 진행을 예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구조와 작용을 갖는 본 실시예에 따르면, 간단하면서도 효율적인 방법으로 주위염의 빠른 진행을 예방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임플란트를 실패 확률을 감소시킬 수 있게 된다.
특히, 본 실시예는 골 양이 적거나 골 폭이 좁은 곳에 유용하게 적용될 수 있다. 즉 치조골 두께가 얇아 주위염이 예상되는 경우에 선제적으로 염증에 대비하여 식립하면 우수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한편, 임플란트 픽스츄어(100)의 운반 드릴에 특정 연마부위가 표시된 상태로 제작된 (드릴)운반체를 이용할 경우, 식립 시술 시 시술자의 편의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을 것이라 기대된다.
도 4는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임플란트 픽스츄어의 정면도이다.
이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임플란트 픽스츄어(200) 역시, 간단하면서도 효율적인 방법으로 주위염의 빠른 진행을 예방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임플란트를 실패 확률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바디(210)와, 바디(210)의 외면 둘레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나사패턴(220)을 포함할 수 있다.
바디(210)의 상단부 코너 영역에는 베벨부(211)가 형성된다. 그리고 바디(210)의 하단는 식립위치를 안내하는 식립위치 안내부(213)를 형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의 임플란트 픽스츄어(200)는 티타늄(Ti)으로 제조된 후, 표면처리될 수 있다. 즉 티타늄(Ti)으로 외형이 만들어진 후, 분말 분사, 산세 처리, 양극산화 방전처리 등의 방식을 적용하여 표면처리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표면처리가 됨으로써, 강한 강성을 보유할 수 있음은 물론 표면이 다공질화 되어 비표면적이 증가할 수 있어서 골유착 향상에 도움이될 수 있다.
한편, 이와 같은 구조의 임플란트 픽스츄어(200)에도 바디(210) 또는 나사패턴(220)에는 주위염의 빠른 진행을 예방하기 위한 주위염 진행 예방패턴(230)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본 실시예에 적용되는 주위염 진행 예방패턴(230)은 표면처리가 되지 않은 비표면처리 구간부(230)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즉 전술한 방식으로 픽스츄어(200)의 표면처리 시 비표면처리 구간부(230)를 제외하고 표면처리하면 된다.
참고로, 대다수의 픽스츄어는 표면처리 후에 제품으로 출시되는데, 만약 이러한 픽스츄어를 사용하여 주위염이 발생된 경우, 표면처리한 부분들을 연마해서 깎아내게 되는데, 특히 개인 병원의 입장에서는 작업에 많은 시간이 소요될 수밖에 없어서 로스(loss)가 클 수밖에 없다.
따라서 이와 같은 로스를 감안하여 표면처리하지 않은 일정한 부분 즉 임플란트 픽스츄어(200)에 비표면처리 구간부(230)를 미리 형성할 경우, 추후에 표면처리한 부분들을 연마해서 깎아내는 번거로움과 수고를 덜 수 있을 것이라 예상된다.
본 실시예가 적용되더라도 간단하면서도 효율적인 방법으로 주위염의 빠른 진행을 예방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임플란트를 실패 확률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고안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고안의 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00 : 임플란트 픽스츄어 110 : 바디
111 : 베벨부 112 : 어버트먼트 결합부
113 : 식립위치 안내부 120 : 나사패턴
130 : 주위염 진행 예방패턴

Claims (6)

  1. 바디; 및
    상기 바디의 외면 둘레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나사패턴을 포함하며,
    상기 바디 또는 나사패턴에는 주위염의 빠른 진행을 예방하기 위한 주위염 진행 예방패턴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 픽스츄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위염 진행 예방패턴은 상기 바디 또는 나사패턴에 연마 가공되는 연마부에 의해 적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 픽스츄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마부는 상기 나사패턴이 없는 비나사패턴 연마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 픽스츄어.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비나사패턴 연마부는 상기 바디의 상단부에서 하단부로 갈수록 그 폭이 점진적으로 좁아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 픽스츄어.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위염 진행 예방패턴은 표면처리가 되지 않은 비표면처리 구간부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 픽스츄어.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픽스츄어의 표면처리 시 상기 비표면처리 구간부를 제외하고 표면처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 픽스츄어.
KR2020160000678U 2016-02-05 2016-02-05 임플란트 픽스츄어 KR20170002897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0678U KR20170002897U (ko) 2016-02-05 2016-02-05 임플란트 픽스츄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0678U KR20170002897U (ko) 2016-02-05 2016-02-05 임플란트 픽스츄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2897U true KR20170002897U (ko) 2017-08-16

Family

ID=606284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60000678U KR20170002897U (ko) 2016-02-05 2016-02-05 임플란트 픽스츄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02897U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21954A (ko) 2000-09-18 2002-03-23 권영한 평판 디지털 엑스-레이 검출기의 특성 오류 정정 방법
KR200443018Y1 (ko) 2008-06-18 2009-01-07 주식회사 코텍 치과용 임플란트 픽스츄어
KR20100003333U (ko) 2008-09-17 2010-03-25 주은만 수지제 이중 구조
KR20100004304U (ko) 2008-10-17 2010-04-27 김종민 곡면형 간이침대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21954A (ko) 2000-09-18 2002-03-23 권영한 평판 디지털 엑스-레이 검출기의 특성 오류 정정 방법
KR200443018Y1 (ko) 2008-06-18 2009-01-07 주식회사 코텍 치과용 임플란트 픽스츄어
KR20100003333U (ko) 2008-09-17 2010-03-25 주은만 수지제 이중 구조
KR20100004304U (ko) 2008-10-17 2010-04-27 김종민 곡면형 간이침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672630B2 (en) Removable and adjustable abutment devices and methods of operation thereof
TWI432183B (zh) 牙科植體之牙根
KR20160098105A (ko) 임플란트용 차폐막
KR200456270Y1 (ko) 임플란트용 픽스츄어
KR100842318B1 (ko) 치과 임플란트용 슬리브 및 그를 구비한 치과 임플란트
KR101537233B1 (ko) 두 줄 나사산 방식의 고정체를 갖는 치과용 임플란트
TWI691311B (zh) 牙科植體固定裝置
KR101646168B1 (ko) 치과용 임플란트 조립체
US10806548B2 (en) Methods and devices for countering gingival effects in dental restoration
KR101707596B1 (ko) 치과 임플란트의 상호 호환용 어버트먼트
KR101540559B1 (ko) 치과 임플란트 시술용 지지플레이트
KR101234567B1 (ko) 치과용 임플란트의 픽스츄어
KR101219149B1 (ko) 치과용 임플란트의 픽스츄어
KR20150115057A (ko) 임플란트용 인공치근
KR20140059679A (ko) 치과용 임플란트의 지대주
KR20170002897U (ko) 임플란트 픽스츄어
KR100542043B1 (ko) 치과용 응급 임플란트
TWI541009B (zh) 植牙固定物
KR100594752B1 (ko) 치과용 임플란트의 픽스츄어
KR101214748B1 (ko) 임플란트용 어버트먼트
KR20150133671A (ko) 임플란트용 차폐막
KR101571759B1 (ko) 치과용 임플란트 장치
KR20160008322A (ko) 임플란트 보철물의 고정스크류
TWM522007U (zh) 口腔種植體構造
WO2009075459A1 (en) Dental implant fixtu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6101005780; TRIAL AGAINST DECISION OF REJECT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6101005780;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61005

Effective date: 201805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