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02340U - 물품 거치대가 구비된 컴퓨터 본체 수납형 책상 - Google Patents

물품 거치대가 구비된 컴퓨터 본체 수납형 책상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02340U
KR20170002340U KR2020150008419U KR20150008419U KR20170002340U KR 20170002340 U KR20170002340 U KR 20170002340U KR 2020150008419 U KR2020150008419 U KR 2020150008419U KR 20150008419 U KR20150008419 U KR 20150008419U KR 20170002340 U KR20170002340 U KR 20170002340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computer
upper plate
desk
plat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5000841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84957Y1 (ko
Inventor
허진영
윤석범
Original Assignee
(주)아이센스에프앤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이센스에프앤씨 filed Critical (주)아이센스에프앤씨
Priority to KR202015000841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4957Y1/ko
Publication of KR2017000234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234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495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495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1/00Tables or desks for office equipment, e.g. typewriters, keyboard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13/00Details of tables or desks
    • A47B13/08Table tops; Rims therefor
    • A47B13/16Holders for glasses, ashtrays, lamps, candles or the like forming part of tab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1/00Tables or desks for office equipment, e.g. typewriters, keyboards
    • A47B21/04Tables or desks for office equipment, e.g. typewriters, keyboards characterised by means for holding or fastening typewriters or computer equipmen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1/00Tables or desks for office equipment, e.g. typewriters, keyboards
    • A47B21/04Tables or desks for office equipment, e.g. typewriters, keyboards characterised by means for holding or fastening typewriters or computer equipment
    • A47B21/045Fastening means for paper sheet; Paper trays; Accessories for typists, e.g. line indicato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00/00General construction of tables or desks
    • A47B2200/0066Workstations
    • A47B2200/0067Enclosure type with computer
    • A47B2200/0068Cabinet enclosur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00/00General construction of tables or desks
    • A47B2200/0084Accessories for tables or des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1. 기술분야
본 고안은 컴퓨터 책상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컴퓨터 본체와 기타 컴퓨터를 구동시키는 부품이 내부에 수납되는 컴퓨터 본체 수납형 책상, 더욱 상세하게는 각종 소지품과 헤드셋 등의 물품을 거치하는 거치대가 구비된 컴퓨터 본체 수납형 책상에 관한 것이다.
2. 구성 및 효과
본 고안에 따르면, 측판에 소지품 거치대, 제1 상판에 핸드폰 거치대, 후판(또는 모니터)에 헤드셋 거치대가 구비된 컴퓨터 본체 수납형 책상을 제공함으로써 가방 및 핸드폰 등과 같이 컴퓨터 사용자가 소지하고 있는 각종 소지품과 헤드셋 등을 포함하는 물품을 안정적으로 거치하여 사용 편리성을 제공하고, 도난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물품 거치대가 구비된 컴퓨터 본체 수납형 책상{COMPUTER BODY BUILT-IN TYPE DESK WITH SUPPORTER FOR GOODS}
본 고안은 컴퓨터 책상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컴퓨터 본체와 기타 컴퓨터를 구동시키는 부품이 내부에 수납되는 컴퓨터 본체 수납형 책상, 더욱 상세하게는 각종 소지품과 헤드셋 등의 물품을 거치하는 거치대가 구비된 컴퓨터 본체 수납형 책상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데스크 탑 컴퓨터용 책상은 다리 역할을 하는 한 쌍의 측판과, 상기 측판 상에 안착되고 컴퓨터 본체, 모니터, 키보드 및 마우스 등이 설치되는 상판으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상기 상판에는 컴퓨터 본체, 모니터, 키보드 및 마우스 등이 설치되는데, 이들이 모두 설치되기 위해서는 그 크기가 증가할 수밖에 없기 때문에 그만큼 책상이 차지하는 공간이 증가하여 공간 활용도가 저하되는 문제가 있었다.
특히 PC방 등과 같이, 한정된 공간 내에서 가능한 많은 수의 컴퓨터 책상을 배치시켜야 하는 경우에는 책상이 차지하는 면적이 크면 클수록 그만큼 공간 활용도가 저하될 수밖에 없다. 더욱이 컴퓨터 본체가 책상의 상판 또는 상판의 하부 바닥면에 설치되어 외부로 노출되는 경우에는 상기 컴퓨터 본체뿐만 아니라 상기 컴퓨터 본체를 구동시키기 위한 각종 컴퓨터 부품들 또한 외부로 노출되기 때문에 미관상 나쁜 이미지를 제공할 수 있었다. 그리고 사용자가 컴퓨터 사용 중에 마시는 음료수나 음식물 등이 컴퓨터로 쏟아지는 경우 컴퓨터의 고장을 유발시킬 수 있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출원인에 의해 출원되어 등록된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20-0471492호(등록일: 2014.02.20.),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20-0471494호(등록일: 2014.02.20.),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20-0471496호(등록일: 2014.02.20) 등에서 컴퓨터 본체가 내부에 수납되는 컴퓨터 본체 수납책상이 제안된 바 있었다.
상기한 선행기술들에서는 컴퓨터 본체를 책상의 상판에 설치하는 것이 아니라, 책상의 내부에 수납시키는 한편, 상기 컴퓨터 본체를 구동시키기 위한 각종 컴퓨터 부품(케이블, 전선 등) 또한 내부에 설치함으로써 한정된 공간에 더 많은 수의 책상을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여 공간 활용도를 극대화하는 한편, 미관을 크게 개선할 수 있었다. 그리고 사용자가 컴퓨터 사용 중에 마시는 음료수나 음식물 등이 쏟아지는 경우에도 직접 컴퓨터로 유입되지 않아 컴퓨터의 고장을 방지할 수 있었다.
그러나 상기한 선행기술들에서는 사용자의 소지품(예를 들면, 가방, 핸드폰)과, 헤드셋 등을 거치할 수 있는 거치대가 별도로 구비되어 있지 않아 사용자가 소지품과 헤드셋 등의 물품을 상판에 고정시키지 않고 단순히 올려놓은 상태로 보관함에 따라 상판의 주변이 번잡스러울 뿐만 아니라, 특히 컴퓨터 사용 중에 상판에 올려놓은 소지품과 헤드셋 등이 미끄러져 컴퓨터 사용을 방해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였다.
KR 20-0471492 Y1, 2014. 02. 20. KR 20-0471494 Y1, 2014. 02. 20. KR 20-0471496 Y1, 2014. 02. 20.
따라서, 본 고안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가방 및 핸드폰 등과 같이 컴퓨터 사용자가 소지하고 있는 각종 소지품과 헤드셋 등을 포함하는 물품을 안정적으로 거치하여 사용자에게 사용 편리성을 제공할 수 있는 물품 거치대가 구비된 컴퓨터 본체 수납형 책상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일 측면에 따른 본 고안은 각각 전방측 상단과 후방측 상단을 구비하되, 상기 후방측 상단은 상기 전방측 상단에 비해 높게 형성되어 상기 전방측 상단과 상기 후방측 상단의 경계에는 단차가 형성된 한 쌍의 측판; 상기 한 쌍의 측판의 후단에 결합되고, 전방측면에 벽걸이형 모니터가 장착되는 장착 브라켓이 구비된 후판; 양단이 상기 한 쌍의 측판의 내측면에 결합되고, 후단이 상기 후판에 결합되고, 선단에는 상향으로 연장되는 수직 연장부를 구비하는 바닥판; 양단이 상기 전방측 상단에 안착된 제1 상판; 양단이 상기 후방측 상단에 안착되는 제2 상판; 및 상기 제2 상판의 하측 공간 중 상기 수직 연장부보다 전방측으로 이격된 지점에 위치되어 상기 후판, 상기 바닥판 및 상기 제2 상판과 함께 컴퓨터 본체가 수납되는 수납공간을 확보하는 전판; 상기 한 쌍의 측판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측판의 내측면에 구비되어 소지품이 거치되는 소지품 거치대; 상기 후판에 구비되어 헤드셋이 거치되는 헤드셋 거치대; 및 상기 제1 상판 또는 상기 제2 상판 중 어느 하나의 상부에 구비되어 핸드폰을 거치하는 핸드폰 거치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 거치대가 구비된 컴퓨터 본체 수납형 책상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1 상판 또는 상기 제2 상판 중 어느 하나에 매립되어 상기 핸드폰을 무선 충전하는 무선 충전 패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소지품 거치대는 볼트체결, 나사체결 또는 자력에 의해 상기 측판의 내측면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소지품 거치대는 적어도 일부가 투명 또는 반투명의 합성수지재질로 이루어지고, 그 내부에는 LED 모듈이 내장되어 빛을 발산하도록 구성되되, 상기 LED 모듈은 상기 소지품 거치대의 걸이대에 구비되고 상기 걸이대에 상기 소지품이 거치되는 거치 유무에 따라 동작하는 스위치의 동작에 응답하여 동작되어 빛을 발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1 상판은 상기 전방측 상단으로부터 전방측으로 갈수록 일정 각도로 하향 경사지게 배치되되, 상기 전방측 상단으로부터 전방측으로 갈수록 2~10°의 각도로 하부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1 상판의 전방측 모서리에는 상기 전방측 모서리에서 상기 전방측 상단으로 갈수록 경사면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측판에는 상기 전방측 상단과 상기 후방측 상단 이외에 추가로 복수개의 단차가 형성되고, 이에 따라 상기 제1 및 제2 상판 이외에 N(자연수)개의 상판이 추가로 배치되어 상판이 N단으로 확장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들을 얻을 수 있다.
첫째, 본 고안에 따르면, 측판에 소지품 거치대, 제1 상판에 핸드폰 거치대, 후판(또는 모니터)에 헤드셋 거치대가 구비된 컴퓨터 본체 수납형 책상을 제공함으로써 가방 및 핸드폰 등과 같이 컴퓨터 사용자가 소지하고 있는 각종 소지품과 헤드셋 등을 포함하는 물품을 안정적으로 거치하여 사용 편리성을 제공하고, 도난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둘째, 본 고안에 따르면, 제2 상판에 무선 충전 패드가 구비된 컴퓨터 본체 수납형 책상을 제공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자신이 소유한 핸드폰을 간편하게 무선 충전 방식으로 충전시킬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에게 사용 편리성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컴퓨터 본체 수납형 책상을 도시한 조립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컴퓨터 본체 수납형 책상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컴퓨터 본체 수납형 책상을 도시한 측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소지품 거치대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블럭도.
본 고안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고안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본 실시예는 본 고안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고안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고안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따라서, 몇몇 실시예에서, 잘 알려진 구성 요소, 잘 알려진 동작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고안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언급된) 용어들은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고안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또한, '포함(또는, 구비)한다'로 언급된 구성 요소 및 동작은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및 동작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정의되어 있지 않은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특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컴퓨터 본체 수납형 책상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조립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컴퓨터 본체 수납형 책상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컴퓨터 본체 수납형 책상을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컴퓨터 본체 수납형 책상(10)은 내부에 컴퓨터 본체(1)가 수납되도록 한 쌍의 측판(11), 후판(12), 바닥판(13), 제1 상판(14), 제2 상판(15) 및 전판(16)을 포함한다. 또한 스피커 안착판(17)을 더 포함한다.
한 쌍의 측판(11)은 서로 대향하도록 이격되어 수직으로 세워지되, 각각 전방측 상단(11a)과 후방측 상단(11b)을 구비한다. 이때 후방측 상단(11b)은 도 2와 같이, 제2 상판(15)을 제1 상판(14)보다 높게 위치시키기 위하여 전방측 상단(11a)에 비해 높게 형성됨에 따라 전방측 상단(11a)과 후방측 상단(11b)의 경계에는 단차가 형성된다.
한 쌍의 측판(11)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측판의 내측면(측판이 서로 대향하는 면)에는 도 2와 같이, 각종 소지품, 특히 가방을 걸 수 있는 소지품 거치대(26)가 구비된다.
소지품 거치대(26)는 고정력 측면에서 측판(11)에 볼트 또는 나사(피스)를 통해 체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지만 이 경우 소지품 거치대(26)의 위치가 고정되어 사용자의 신체 사이즈에 따라 소지품 거치대(26)에 가방과 같은 소지품이 거치되는 경우 사용자의 다리가 소지품에 부딪히는 등 사용상 제약과 불편함이 따를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고안에서는 소지품 거치대(26)를 단순히 볼트 또는 나사(피스)를 통해 측판(11)에 고정하는 것이 아니라, 자력에 의해 소지품 거치대(26)가 측판(11)에 부착되도록 하여 사용자가 임의로 소지품 거치대(26)의 부착 위치를 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측판(11)의 내측면에는 하나 또는 복수 개의 자성체(도시되지 않음)가 설치된다. 이때 복수 개의 자성체는 측판(11)의 내측면에 랜덤 또한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설치할 수 있다. 이와 대응하여 소지품 거치대(26)는 측판(11)에 설치된 자성체와 부착되는 금속 또는 자성체(측판에 설치된 자성체와 반대극성)로 제작하여 소지품 거치대(26)를 자력을 통해 측판(11)의 자성체에 부착시킬 수도 있다.
소지품 거치대(26)는 도 2와 같이, 하부가 상부로 절곡된 갈고리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는 일례로 일자형 바(bar)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소지품들 중 가방과 같이 고리를 구비한 소지품들을 걸 수 있는 구조는 모두 적용할 수 있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소지품 거치대의 또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소지품 거치대(26)가 설치되는 책상(10) 하부는 제1 상판(14)에 의해 차단되어 제1 상판(14)에 비해 비교적 어둡다. 이에 따라 어두운 공간에서도 사용자가 쉽게 소지품 거치대(26)를 식별하여 가방과 같은 소지품을 걸 수 있도록 소지품 거치대(26)의 적어도 일부는 투명 또는 반투명의 합성수지재질로 이루어지고, 그 내부에는 LED 모듈(263)이 내장되어 빛을 발산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LED 모듈(263)은 도 4와 같이, 걸이대(261)에 구비된 스위치(또는 센서)(262)의 동작에 응답하여 동작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소지품이 거치되는 걸이대(261) 부위에 스위치(262)를 설치하여 사용자가 스위치(262)에 소지품을 올려놓으면, 소지품의 하중에 의해 스위치(262)가 눌러져 'ON' 상태로 유지되어 LED 모듈(263)이 동작하여 빛을 발산하고, LED 모듈(263)이 빛을 발산하는 상태에서 소지품이 걸이대(261)로부터 이탈하여 스위치(262)에 가해지는 하중이 제거되면 스위치(262)가 'OFF'되어 LED 모듈(263)의 동작이 'OFF'되어 빛의 발산이 중지된다.
이와 같이 소지품 거치대(26)에 소지품이 거치되어 있는 상태, 즉 소지품의 거치 유무에 따라 스위치(262)를 통해 LED 모듈(263)의 동작을 제어하고, 이를 통해 소지품 거치대(26)의 걸이대(261)에 거치되어 있는 소지품의 분실을 사용자가 손쉽게 인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소지품 분실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후판(12)은 도 2 및 도 3과 같이, 폭방향으로 양단이 한 쌍의 측판(11)의 후단에 결합되되, 길이방향(설치된 상태에서는 높이방향)으로 한 쌍의 측판(11)의 상부보다 높게 형성되고, 전방측에는 벽걸이형 모니터(2)가 거치되는 장착 브라켓(18)이 장착된다.
장착 브라켓(18)은 도 2와 같이 벽걸이형 모니터(2)를 안정적으로 후판(12)에 장착하고, 모니터(2)의 각도를 상하좌우로 조정할 수 있도록 후판(12)에 힌지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후판(12)에는 도 2와 같이, 컴퓨터 본체(1)로부터 생성된 음향을 듣기 위한 헤드셋(7)이 거치되는 헤드셋 거치대(27)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이때 헤드셋 거치대(27)는 도 2와 같이 후판(12)에 부착되는 부착판(271)과, 부착판(271)으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되어 헤드셋(7)이 거치되는 걸이봉(272)을 포함하고, 걸이봉(272)에는 헤드셋(7)이 거치된 상태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둘레면에 걸이홈(272a)이 형성될 수 있다.
헤드셋 거치대(27)는 도 2와 같은 구조 이외에 하부가 상부로 절곡된 갈고리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또한 일자형 바(bar)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즉, 헤드셋(7)을 안정적으로 거치시킬 수 있는 구조는 제한을 두지 않고 모두 적용할 수 있다.
한편 헤드셋 거치대(27)는 후판(12) 이외에 벽걸이형 모니터(2)의 일측부에 설치될 수도 있다.
바닥판(13)은 도 3과 같이, 전판(16)의 하부를 지지하고, 전판(16) 및 후판(12)과 함께 컴퓨터 본체(1)가 수납될 수 있는 수납공간을 형성한다. 이러한 바닥판(13)은 도 2 및 도 3과 같이, 대략 'L'자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폭방향으로 양단이 한 쌍의 측판(11)의 내측면에 결합되고, 후단이 후판(12)에 결합되며, 선단에는 상향으로 연장되어 전판(16)의 수평 연장부(161)를 지지하는 수직 연장부(131)를 구비한다.
제1 상판(14)은 도 1 및 도 2와 같이, 폭방향으로 양단이 한 쌍의 측판(11)의 전방측 상단(11a)에 안착되고, 그 상부에는 키보드(3) 및 마우스(4) 등이 놓여진다.
이러한 제1 상판(14)은 종래기술에 따른 상판과 같이 수평으로 배치될 수도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도 3과 같이, 전방측 상단(11a)으로부터 전방측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지게 사선으로 배치된다. 바람직하게는 전방측 상단(11a)으로부터 전방측으로 갈수록 2~10°의 각도로 하향 경사지게 배치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3°로 하향 경사지게 배치된다.
제1 상판(14)에 놓여진 키보드(3)와 마우스(4)의 자체 두께로 인해, 실질적으로 사용자가 조작을 위해 터치하는 부위는 제1 상판(14)의 상면으로부터 일정 높이에 위치하게 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키보드(3)와 마우스(4)를 터치하여 조작하기 위해서는 손을 키보드(3)와 마우스(4)의 높이에 대응하여 일정 높이로 들어올려야 하는데, 이때 제1 상판이 수평하게 배치된 경우에는 팔의 전체가 아닌 국부(팔꿈치 또는 팔꿈치의 근접부위)만이 제1 상판에 직접 접촉되어 배기는 현상이 발생된다.
이에 따라 본 고안에서는 제1 상판(14)이 전방측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지게 사선으로 배치됨에 따라 사용자가 키보드(3)와 마우스(4)를 터치하여 조작하기 위해서 손을 키보드(3)와 마우스(4)의 높이에 대응하여 일정 높이로 들어올린다 하더라도, 팔의 국부가 아닌 비교적 넓은 부위가 자연스럽게 제1 상판(14)의 상면에 안착됨으로써 키보드(3)와 마우스(4) 조작시 제1 상판(14)에 접하는 팔의 면적을 증가시켜 종래기술에 따른 책상에 대비하여 팔이 배기는 현상을 현저하게 줄일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제1 상판(14)은 도 2 및 도 3과 같이, 전방측 단부(모서리)가 수직으로 각진 구조 또는 라운딩 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이 아니라, 일정 크기로 모따기 처리하여 사선으로 경사진 경사면(14a)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경사면(14a)은 제1 상판(14)의 전방측 단부로부터 1~3cm 정도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1 상판(14)의 경사면(14a) 상부에는 쿠션층(도시되지 않음)이 더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쿠션층은 고무재질, 실리콘 재질 또는 연성의 합성수지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경사면(14a)에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쿠션층의 상면이 제1 상판(14)의 수평면의 상부로 돌출되지 않고 동일한 높이를 갖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의 쿠션층은 투명재질로 이루어지고, 그 내부에는 다수의 LED를 포함하는 LED 모듈(도시되지 않음)과 센서(도시되지 않음)가 내장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센서는 터치센서 또는 압력센서일 수 있는데, 사용자가 쿠션층을 터치하거나, 일정한 압력으로 누르면, 이를 감지하여 상기 LED 모듈을 구동시킴으로써 제1 상판(14)의 테두리를 환하게 비추어 주변을 밝게 하여 사용자에게 편리성과 심미감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제1 상판(14)은 후단부 양측에 각도 조절장치(도시되지 않음)가 구비되어 제1 상판(14)의 각도가 일정 각도, 예를 들면 2~5°범위 내에서 1°씩 조정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각도 조절장치는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20-0368558호(등록일: 2004.11.12.), 대한민국 등록특허 10-0741484호(등록일: 2007.07.13.),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20-0176089호(등록일: 2000.01.13), 등록실용신안 20-0353767호(등록일: 2004.06.08.),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20-0336943호(등록일: 2003.12.12.) 및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430865호(등록일: 2014.08.08.) 등을 포함하여 공지된 각도 조정방식 중 어느 하나를 적용할 수 있다.
한편 도 1과 같이, 제1 상판(14)의 일부에는 터치패널(25)이 더 구비될 수 있다.
터치패널(25)은 컴퓨터 사용자와 관리자(예를 들면, PC방 관리자) 간의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즉, 터치패널(25)은 사용자와 관리자 PC 간의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예를 들어, 터치패널(25)은 PC방에 비치된 음식(과자류, 라면류, 음료류) 등이 실시간으로 표시되고, 사용자가 표시되는 음식 중 어느 하나를 터치하여 주문하면, PC방 관리자의 관리자 PC를 통해 모니터에 사용자가 선택한 음식과 해당 주문자의 자리번호(주문자 번호)가 함께 표시된다. PC방 관리자는 관리자 PC의 모니터에 표시된 주문음식과 자리번호를 토대로 주문음식을 사용자에게 제공함으로써 사용자는 별도로 관리자를 부르지 않더라도 간편하게 원하는 음식을 주문할 수 있다.
또한 터치패널(25)은 사용자가 주문한 음식값을 포함하여 현재 자신이 사용한 총 PC 사용 요금을 실시간으로 표시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고, 또한 현재 사용한 총 사용 요금을 신용카드 또는 핸드폰을 통해 결제할 수 있도록 결제 기능을 제공할 수도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제1 상판(14)은 경사지게 사선으로 배치됨에 따라 그 상부에 놓여지는 키보드(3)가 미끄러질 수 있는데, 이를 방지하기 위해 상면에 미끄럼방지 필름(도시되지 않음)이 더 부착될 수 있다. 이때 미끄럼방지 필름은 고무재질을 사용할 수 있다.
한편 제1 상판(14)에는 핸드폰(8)을 거치할 수 있는 핸드폰 거치대(28)가 더 설치될 수 있다. 이때 핸드폰 거치대(28)는 일례로 서로 대향하도록 이격되어 배치되되 상부로 돌출되고 그 사이로 인입된 핸드폰(8)의 후방 또는 전방과 후방을 지지하는 지지판과, 상기 지지판을 제1 상판(14)에 안착 또는 고정하는 받침판을 포함한다.
이외에도 핸드폰 거치대(28)의 구조는 제한을 두지 않고 다양한 구조가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핸드폰 거치대(28)는 제1 상판(14)으로부터 상부로 돌출된 한 쌍의 지지판을 포함하고, 전술한 소지품 거치대(26)와 마찬가지로 상기 한 쌍의 지지판 사이의 제1 상판(14)에는 LED 모듈과 스위치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가 상기 한 쌍의 지지판 사이로 핸드폰(8)을 삽입시키면 핸드폰(8)에 의해 상기 스위치가 눌러져 'ON' 상태로 유지되어 상기 LED 모듈을 동작시키고, 상기 LED 모듈이 동작되는 상태에서 핸드폰(8)을 상기 한 쌍의 지지판으로부터 인출시키면 상기 스위치가 'OFF'되어 상기 LED 모듈의 동작을 'OFF'시켜 빛의 발산이 중지된다.
한편, 핸드폰 거치대(28)는 제1 상판(14)이 아닌 제2 상판(15)에 구비될 수도 있다.
제2 상판(15)은 도 1 내지 도 3과 같이, 폭방향으로 양단이 한 쌍의 측판(11)의 후방측 상단(11b)에 안착된다. 즉 제2 상판(15)은 제1 상판(14)과 후판(12) 사이에 구비되되, 후방측 상단(11b)에 안착되어 제1 상판(14)보다 높게 위치된다.
제2 상판(15)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단 중앙부에 컴퓨터 본체(1)와 모니터(2)를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케이블(연결선)(5)이 관통하는 인출공(15a)이 형성된다. 이때 인출공(15a)의 내측에는 케이블(5)을 제2 상판(15)에 안정적으로 고정하기 위하여 탄성용 고정집게 또는 고정핀(도시되지 않음)이 더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제2 상판(15)에는 도 1 및 도 2와 같이, 공기 배출팬(151)이 구비된다. 공기 배출팬(151)은 도 1에서 제2 상판(15)의 좌측에 구비되어 있으나, 이는 일례로서 제2 상판(15)의 중앙부에 설치될 수도 있으며, 그 설치 위치는 제한을 두지 않는다.
공기 배출팬(151)은 도 3과 같이, 컴퓨터 본체(1)가 수용된 수납공간과 연통하여 컴퓨터 본체(1)로부터 발생된 열을 외부로 배출한다. 이때 사용자가 장시간 의자에 앉아있게 되면 의자 시트와 접촉되는 신체부위, 즉 허벅지 및 엉덩이 부근에 땀이 차게 되므로, 사용자의 허벅지 및 엉덩이 주위에 공기 흐름이 발생될 수 있도록 전판(16)에는 공기 유입구(16a)가 사용자의 무릎과 대응되는 지점에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공기 유입구(16a)가 사용자의 무릎과 대응하여 전판(16)에 구비됨에 따라 사용자의 가랑이 주변의 공기가 공기 배출팬(151)에 의해 발생되는 압력차(흡입력)에 의해 컴퓨터 본체(1) 측으로 외부 공기가 유입됨으로써, 컴퓨터 본체(1)의 냉각과, 사용자 시트 부근의 통풍을 동시에 해결할 수 있는 이점을 얻을 수 있다.
한편 제2 상판(15)에는 도 2와 같이 핸드폰(8)을 무선으로 충전할 수 있는 무선 충전 패드(28)가 설치(매립)될 수 있다. 이때 무선 충전 패드(28)는 전자기장을 발생시키는 1차 코일이 플라스틱(합성수지) 커버 내부에 실장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1차 코일에 전원을 공급하면 상기 1차 코일에서 전자기장이 발생되고, 이렇게 발생된 전자기장에 기인한 전자기 유도 현상에 따라 핸드폰(8)에 내장된 전력수신기, 즉 2차 코일이 유도전류를 수신하여 핸드폰(8)에 내장된 배터리를 충전한다.
이러한 무선 충전 패드(28)는 제2 상판(15)이 아닌 제1 상판(14)에 설치(매립)될 수 있다.
전판(16)은 도 2 및 도 3과 같이, 후판(12)의 전방측에 대향하도록 후판(12)과 이격되어 설치된다. 이러한 전판(16)은 수직으로 세워져 제2 상판(15)의 하측공간 중 수직연장부(131)보다 전방 측으로 더 이격되어 위치되고, 하측 폭방향 양단이 한 쌍의 측판(11)에 회전 가능한 구조로 결합된다. 그리고 하단으로부터 후방측으로 연장되어 저면이 수직 연장부(131)의 상면에 안착되는 수평 연장부(161)를 구비한다.
전판(16)은 도 2와 같이, 하측 폭방향 양단이 힌지축(162)에 의해 한 쌍의 측판(11)에 회전 가능한 구조로 결합되어 컴퓨터 본체(1)가 수납되는 수납공간의 상측 입구가 넓어지는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이때 전판(16)이 후방측으로 기울어지면, 컴퓨터 본체(1)에 결합된 각종 컴퓨터 부품들이 전판(16)에 의해 손상될 수 있는데, 이를 방지하기 위해 전판(16)은 하단으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는 수평 연장부(161)를 구비한다. 수평 연장부(161)는 전판(16)이 수직으로 세워졌을 때 저면이 수직 연장부(131)의 상면에 안착되어 전판(16)이 후방으로 기울어지는 것을 제한한다.
한편 측판(11)에는 전판(16)이 수직으로 세워졌을 때, 전판(16)의 후면과 접촉되어 전판(16)이 후방으로 기울어짐을 방지하는 별도의 스토퍼(19)가 더 구비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측판(11)에 전판(16)의 회전각을 한정하는 스토퍼(19)가 구비되면 컴퓨터 부품들이 전판(16)에 의해 손상되는 것을 더욱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스피커 안착판(17)은 도 1 및 도 2와 같이, 제1 및 제2 상판(14, 15) 사이의 공간에 구비되어 그 상부에 스피커(6)가 장착된다. 이와 같이 제1 및 제2 상판(14, 15) 사이에 스피커 안착판(17)이 구비되면 스피커(6)는 음향이 발생되는 측이 제1 및 제2 상판(14, 15) 사이를 통해 전방을 향하도록 고정될 수 있으므로, 스피커(6)의 파손이나 도난 등의 문제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1 상판(14)에 스피커(6) 설치공간을 따로 확보할 필요가 없으므로 제1 상판(14)의 공간 활용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제1 및 제2 상판(14, 15)의 폭은 스피커(6)의 폭에 비해 상대적으로 크므로, 제1 및 제2 상판(14, 15) 사이의 이격 공간에 스피커(6)를 설치한다 하더라도 제1 및 제2 상판(14, 15) 사이의 이격 공간 중 일부는 개방된 상태로 존재하게 되는데, 이 경우 개방된 부위로 각종 먼지나 이물질 등이 컴퓨터 본체(1)로 유입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고안에서는 제1 및 제2 상판(14, 15) 사이의 개방공간을 안정적으로 밀폐할 수 있도록 스피커(6)를 제1 및 제2 상판(14, 15) 사이의 이격 공간 중 가운데 부위에 설치하고, 제1 및 제2 상판(14, 15) 사이의 이격 공간 중 스피커(6)의 좌측 영역을 막는 제1 커버(21)와, 제1 및 제2 상판(14, 15) 사이의 이격 공간 중 스피커(6)의 우측 영역을 막는 제2 커버(22)를 추가로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각종 컴퓨터부품들이 책상(10)의 내부로 수납되면 전원버튼, 스피커 포트나 USB 포트 등을 사용하는데 제약이 따를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커버(21)에는 컴퓨터 본체(1)와 연결되는 전원버튼, 스피커 포트 및 USB 포트 등이 구비될 수 있고, 제2 커버(22)에는 베젤판(24)이 장착될 수 있으며, 베젤판(24)에는 마우스(4)가 컴퓨터 본체(1)와 직접 연결될 수 있도록 마우스(4)의 연결선이 관통 가능하도록 다수의 관통공(관통홈)(24a)이 형성될 수 있다. 관통공(24a)은 사용자가 마우스(4)를 좌우로 움직임에 따라 마우스(4)의 연결선이 좌우로 움직일 때, 베젤판(24)에 간섭되지 아니하고 자유롭게 이동 가능하도록 수평방향으로 길이를 갖는 장공(장홈)으로 형성될 수 있다.
스피커(6)는 음향이 출력되는 면이 제1 및 제2 상판(14, 15) 사이에 정확하게 위치될 수 있도록 저면으로부터 돌출되는 둘 이상의 체결 브라켓(20)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체결 브라켓(20)이 스피커(6)의 좌우측 끝단에만 하나씩 구비되면 중단이 아래로 처지는 등의 문제가 발생될 수 있으므로 스피커 안착판(18)의 상면에는 스피커(6)의 저면을 지지할 수 있도록 상향 돌출되는 고정블록(23)이 추가로 구비될 수 있다. 이때 고정블록(23)은 스피커(6)의 진동을 흡수하여 스피커(6)의 음향출력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기준치 이상의 탄성을 갖는 물질로 제작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컴퓨터 본체(1), 모니터(2) 및 스피커(6) 등을 구동시키기 위해서는 이들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선이 요구된다. 전선 및 멀티탭 등이 바닥에 위치되면 사용자가 상기 전선 및 멀티탭을 발로 건드려 전원 플러그가 빠지는 등의 문제가 발생될 수도 있다. 또한 전선 및 멀티탭이 외부로 그대로 노출되면 바닥 주변의 먼지 및 이물질이 멀티탭 구멍으로 유입되어 멀티탭의 단락 및 고장을 유발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도 3과 같이, 바닥판(13)의 상면에는 전선 및 멀티탭 등이 안착될 수 있는 공간이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2와 같이, 한 쌍의 측판(11) 중 바닥판(13)의 상측과 대응되는 지점에는 전선이 통과될 수 있는 관통공(11c)이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바닥판(13)의 상면에 전선 및 멀티탭이 안착되면, 상기 전선 및 멀티탭을 사용자가 컴퓨터 사용 중 발로 건드리는 현상이 방지되고, 상기 전선 및 멀티탭에 먼지나 이물질이 유입되는 현상을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각종 전선이나 멀티탭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기 때문에 외관이 매우 미려해진다는 이점도 얻을 수 있다.
한편 한 쌍의 측판(11)에는 발판(20)이 더 구비될 수 있다. 발판(20)은 사용자가 컴퓨터 사용중에 발을 올려놓을 수 있도록 제공하여 더욱 편안한 자세를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발판(20)은 양단이 한 쌍의 측판(11)의 내측에 결합될 수 있고, 각도가 조정될 수 있도록 한 쌍의 측판(11)과 결합되는 부위에 각도 조정장치가 설치될 수도 있다.
한편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컴퓨터 본체 수납형 책상(10)에서는 수납공간에 일반적인 컴퓨터 본체(1)가 수납되어 있으나, 이는 일례로서 수납되는 컴퓨터 본체는 제한을 두지 않고, 본 출원인에 의해 출원되어 등록된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20-0471494호(등록일: 2014. 02. 20.)에 개시된 누드형 컴퓨터 본체가 수납될 수도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컴퓨터 본체 수납형 책상(10)에서는 제1 및 제2 상판(14, 15)이 상하로 배치된 이단 구조에 대해서만 기재되어 있으나, 이는 일례로서 측판(11)의 상부에 적어도 2개 이상의 다수의 단턱이 마련되어 그 상부에 3개의 상판이 상하로 배치된 3단 또는 그 이상의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상판은 제1 및 제2 상판(14, 15)과 동일한 방식으로 N(자연수)개가 배치되어 N단으로 확장이 가능하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은 바람직한 실시예들에서 구체적으로 기술되었으나, 상기한 바람직한 실시예들은 그 설명을 위한 것이며, 그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니다. 이처럼 이 기술 분야의 통상의 전문가라면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의 범위 내에서 본 고안의 실시예들의 결합을 통해 다양한 실시예들이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 : 컴퓨터 본체 2 : 모니터
3 : 키보드 4 : 마우스
5 : 케이블(연결선) 6 : 스피커
7 : 헤드셋 8 : 핸드폰
10 : 컴퓨터 본체 수납형 책상 11 : 한 쌍의 측판
11a : 전방측 상단 11b: 후방측 상단
11c : 관통공 12 : 후판
13 : 바닥판 131 : 수직 연장부
14 : 제1 상판 14a : 경사면
15 : 제2 상판 15a : 인출공
151 : 공기 배출팬 16 : 전판
16a : 공기 유입구 161 : 수평 연장부
162 : 힌지축 17 : 스피커 안착판
18 : 장착 브라켓 19 : 스토퍼
20 : 발판 21 : 제1 커버
22 : 제2 커버 23 : 고정블록
24 : 베젤판 24a : 관통공(관통홈)
25 : 터치패널 26 : 소지품 거치대
27 : 헤드셋 거치대 271 : 부착판
272 : 걸이봉 272a : 걸이홈
28 : 핸드폰 거치대 29 : 무선 충전 패드

Claims (7)

  1. 각각 전방측 상단과 후방측 상단을 구비하되, 상기 후방측 상단은 상기 전방측 상단에 비해 높게 형성되어 상기 전방측 상단과 상기 후방측 상단의 경계에는 단차가 형성된 한 쌍의 측판;
    상기 한 쌍의 측판의 후단에 결합되고, 전방측면에 벽걸이형 모니터가 장착되는 장착 브라켓이 구비된 후판;
    양단이 상기 한 쌍의 측판의 내측면에 결합되고, 후단이 상기 후판에 결합되고, 선단에는 상향으로 연장되는 수직 연장부를 구비하는 바닥판;
    양단이 상기 전방측 상단에 안착된 제1 상판;
    양단이 상기 후방측 상단에 안착되는 제2 상판; 및
    상기 제2 상판의 하측 공간 중 상기 수직 연장부보다 전방측으로 이격된 지점에 위치되어 상기 후판, 상기 바닥판 및 상기 제2 상판과 함께 컴퓨터 본체가 수납되는 수납공간을 확보하는 전판;
    상기 한 쌍의 측판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측판의 내측면에 구비되어 소지품이 거치되는 소지품 거치대;
    상기 후판에 구비되어 헤드셋이 거치되는 헤드셋 거치대; 및
    상기 제1 상판 또는 상기 제2 상판 중 어느 하나의 상부에 구비되어 핸드폰을 거치하는 핸드폰 거치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 거치대가 구비된 컴퓨터 본체 수납형 책상.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상판 또는 상기 제2 상판 중 어느 하나에 매립되어 상기 핸드폰을 무선 충전하는 무선 충전 패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 거치대가 구비된 컴퓨터 본체 수납형 책상.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소지품 거치대는 볼트체결, 나사체결 또는 자력에 의해 상기 측판의 내측면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 거치대가 구비된 컴퓨터 본체 수납형 책상.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소지품 거치대는 적어도 일부가 투명 또는 반투명의 합성수지재질로 이루어지고, 그 내부에는 LED 모듈이 내장되어 빛을 발산하도록 구성되되, 상기 LED 모듈은 상기 소지품 거치대의 걸이대에 구비되고 상기 걸이대에 상기 소지품이 거치되는 거치 유무에 따라 동작하는 스위치의 동작에 응답하여 동작되어 빛을 발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 거치대가 구비된 컴퓨터 본체 수납형 책상.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상판은 상기 전방측 상단으로부터 전방측으로 갈수록 일정 각도로 하향 경사지게 배치되되, 상기 전방측 상단으로부터 전방측으로 갈수록 2~10°의 각도로 하부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 거치대가 구비된 컴퓨터 본체 수납형 책상.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상판의 전방측 모서리에는 상기 전방측 모서리에서 상기 전방측 상단으로 갈수록 경사면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 거치대가 구비된 컴퓨터 본체 수납형 책상.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측판에는 상기 전방측 상단과 상기 후방측 상단 이외에 추가로 복수개의 단차가 형성되고, 이에 따라 상기 제1 및 제2 상판 이외에 N(자연수)개의 상판이 추가로 배치되어 상판이 N단으로 확장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 거치대가 구비된 컴퓨터 본체 수납형 책상.
KR2020150008419U 2015-12-22 2015-12-22 물품 거치대가 구비된 컴퓨터 본체 수납형 책상 KR20048495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8419U KR200484957Y1 (ko) 2015-12-22 2015-12-22 물품 거치대가 구비된 컴퓨터 본체 수납형 책상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8419U KR200484957Y1 (ko) 2015-12-22 2015-12-22 물품 거치대가 구비된 컴퓨터 본체 수납형 책상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2340U true KR20170002340U (ko) 2017-06-30
KR200484957Y1 KR200484957Y1 (ko) 2017-11-10

Family

ID=592400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50008419U KR200484957Y1 (ko) 2015-12-22 2015-12-22 물품 거치대가 구비된 컴퓨터 본체 수납형 책상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4957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772802A (zh) * 2017-11-22 2018-03-09 遵义市播州区捷众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无线的电脑办公桌
KR102186236B1 (ko) * 2020-01-14 2020-12-04 주식회사 미라크 Pc 관리 시스템
KR102478452B1 (ko) * 2022-08-11 2022-12-15 문태순 컴퓨터 케이스 일체형 책상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27483B1 (ko) * 2019-12-27 2021-11-17 박수현 인터넷 카페용 컴퓨터 책상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25217Y1 (ko) * 2006-06-09 2006-08-30 (주)청룡인토스 사무용책상의 가방걸이구
KR200471492Y1 (ko) 2013-09-17 2014-02-28 (주)아이센스에프앤씨 컴퓨터 수납 데스크
KR200471494Y1 (ko) 2013-12-06 2014-03-12 (주)아이센스에프앤씨 누드형 컴퓨터본체 수납책상
KR200471496Y1 (ko) 2013-12-06 2014-03-12 (주)아이센스에프앤씨 회전형 컴퓨터본체 수납책상
KR200475306Y1 (ko) * 2014-08-13 2014-11-24 주식회사 현대리바트 다기능 학습용 책상
KR20150003282U (ko) * 2014-02-25 2015-09-02 (주)카네비컴 테이블 매립용 무선충전기기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25217Y1 (ko) * 2006-06-09 2006-08-30 (주)청룡인토스 사무용책상의 가방걸이구
KR200471492Y1 (ko) 2013-09-17 2014-02-28 (주)아이센스에프앤씨 컴퓨터 수납 데스크
KR200471494Y1 (ko) 2013-12-06 2014-03-12 (주)아이센스에프앤씨 누드형 컴퓨터본체 수납책상
KR200471496Y1 (ko) 2013-12-06 2014-03-12 (주)아이센스에프앤씨 회전형 컴퓨터본체 수납책상
KR20150003282U (ko) * 2014-02-25 2015-09-02 (주)카네비컴 테이블 매립용 무선충전기기
KR200475306Y1 (ko) * 2014-08-13 2014-11-24 주식회사 현대리바트 다기능 학습용 책상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772802A (zh) * 2017-11-22 2018-03-09 遵义市播州区捷众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无线的电脑办公桌
KR102186236B1 (ko) * 2020-01-14 2020-12-04 주식회사 미라크 Pc 관리 시스템
KR102478452B1 (ko) * 2022-08-11 2022-12-15 문태순 컴퓨터 케이스 일체형 책상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4957Y1 (ko) 2017-11-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84957Y1 (ko) 물품 거치대가 구비된 컴퓨터 본체 수납형 책상
KR200484953Y1 (ko) 가변식 칸막이가 구비된 컴퓨터 본체 수납형 책상
KR200471496Y1 (ko) 회전형 컴퓨터본체 수납책상
US20140084642A1 (en) Computer chair
KR200476439Y1 (ko) 컴퓨터본체 수납형 책상
WO2013013110A2 (en) Smart phone cradle and charger device and method
US20170202357A1 (en) Seating/reclining furniture arrangement
EP2708159A2 (en) Computer chair
US20160088931A1 (en) Cushioned Forearm Support Arrangement For A Work Area Or User Input Or Interface Device
AU2015321417A1 (en) "an article of furniture"
US20150235532A1 (en) Tablet stand apparatus, system and method
JP6427868B2 (ja) 携帯情報機器のサポート装置及びテーブル
KR102093582B1 (ko) 공간활용성이 향상된 선반 내장형 컴퓨터 책상
US20160143434A1 (en) Music Stand
KR101914828B1 (ko) Pc방용 컴퓨터 책상
KR200484954Y1 (ko) 냉온 포켓이 구비된 컴퓨터 본체 수납형 책상
KR200485822Y1 (ko) 컴퓨터 본체 수납형 책상
KR200484956Y1 (ko) 마우스 번지
JP2022081574A (ja) 家具
KR101707922B1 (ko) Pc방용 컴퓨터 책상
KR200474483Y1 (ko) 컴퓨터용 책상
KR200484955Y1 (ko) 마우스 번지를 구비한 컴퓨터 본체 수납형 책상
US20140137952A1 (en) Support rack
KR101756782B1 (ko) 책상용 컴퓨터 케이스 및 그를 구비하는 책상
US20200329863A1 (en) Table Apparatus and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