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02323U - 어버트먼트 제조용 위치 판정 기구물 - Google Patents

어버트먼트 제조용 위치 판정 기구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02323U
KR20170002323U KR2020150008385U KR20150008385U KR20170002323U KR 20170002323 U KR20170002323 U KR 20170002323U KR 2020150008385 U KR2020150008385 U KR 2020150008385U KR 20150008385 U KR20150008385 U KR 20150008385U KR 20170002323 U KR20170002323 U KR 20170002323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ture
abutment
manufacturing
insertion portion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5000838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염명희
Original Assignee
염명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염명희 filed Critical 염명희
Priority to KR202015000838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02323U/ko
Publication of KR2017000232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2323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9/00Dental auxiliary appliances
    • A61C19/04Measuring 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dentistr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89Implanting tools or instruments
    • A61C8/009Implanting tools or instruments for selecting the right implanting element, e.g. templat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2008/0084Provisional implants or abutmen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Biophysics (AREA)
  • Dental Prosthetic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어버트먼트 제조용 위치 판정 기구물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어버트먼트 제조용 위치 판정 기구물은 픽스쳐에 삽입되는 삽입부, 상기 삽입부 위에 상기 삽입부와 연결되게 위치하고 있는 돌출부, 그리고상기 돌출부의 외주면에 위치하는 삽입 높이 확인홈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어버트먼트 제조용 위치 판정 기구물{STRUCTURE FOR DETERMINING POSITION FOR ABUTMEMT MANUFACTURE}
본 고안은 어버트먼트 제조용 위치 판정 기구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임플란트(implant)란 자연 치아와 동일한 형태와 기능을 재현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인공 대체물을 의미한다.
이러한 임플란트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외주면에 나사산(11)이 형성되어 치조골(A)에 설치되도록 자연 치아의 치근 형태를 본뜬 티타늄(Ti) 등의 재질의 픽스쳐(fixture)(10), 픽스쳐(10)의 상부에 연결 설치되고 그 상부에 인공치아(B)가 결합되는 어버트먼트(abutment)(20) 그리고 픽스쳐(10)와 어버트먼트(20)를 서로 고정시키는 고정나사(30)를 구비한다.
이러한 일반적인 임플란트의 구조는 내부에 나사공이 형성된 픽스쳐(10)의 상부에 어버트먼트(20)를 위치시킨 후, 어버트먼트(20)를 통해 픽스쳐(10)의 나사공 내측으로 고정나사(30)를 삽입 결합시켜 고정나사(30)의 회전에 의해 픽스쳐(10)와 어버트먼트(20)가 서로 고정 결합되도록 구성된 것이다.
이처럼, 치조골(A)에 인공치아(B)를 심기 위해서는 치조골(A)에 픽스쳐(10)를 일차적으로 설치되어야 한다.
따라서, 치조골(A)에 심겨진 픽스쳐(10)의 고정 위치에 따라 어버트먼트(20) 및 어버트먼트(20) 위에 설치되는 인공 치아(B)의 형상이나 설치 위치 등이 결정된다.
치과의사와 같이 임플란트 식재를 실시하는 시술자는 치조골(A)에 픽스쳐(10)를 실장한 후, 엑스레이(X-ray) 등을 이용하여 픽스쳐(10)가 실장된 치조골(A) 부분을 촬영하여 픽스쳐(10)의 실장 상태를 확인하게 된다.
그 후의 공정으로는, 어버트먼트(20)와 인공 치아(B)를 제작하기 위하여, 픽스쳐(10) 상부에 어버트먼트 제조용 위치 판정기를 설치 후 스캔(scan) 작업을 실시하고, 스캔 결과를 토대로 하여 어버트먼트(20)와 인공 치아(B)를 환자의 구강 구조에 맞게 최적의 상태로 설계하여 환자 맞춤형 어버트먼트(20)와 인공 치아(B)를 제작하게 된다.
하지만, 어버트먼트 제조용 위치 판정기는 시술자가 수동으로 픽스쳐(10) 내에 삽입하게 되고, 시술자의 시각적 판단과 개인적인 경험을 통해 어버트먼트 제조용 위치 판정기가 안정적으로 픽스쳐(10) 내에 삽입되었는지를 판정하게 된다.
따라서, 개인적인 판정이 올바르지 않을 경우, 어버트먼트(20) 및 인공 치아(B)의 제조 형태와 설치 방향 역시 정상적으로 이루어지지 않게 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이를 위해 시술자는 픽스쳐(10) 내에 어버트먼트 제조용 위치 판정기를 삽입 후 엑스레이 등을 이용하여 촬영을 실시하고, 촬영 영상을 확인하여 어버트먼트 제조용 위치 판정기의 방향, 기울기 각도, 높이를 확보하여 어버트먼트 제조용 위치 판정기의 삽입 상태를 확인한다.하지만, 어버트먼트 제조용 위치 판정기는 별도의 삽입기를 이용하는 대신 시술자가 수동으로 픽스쳐(10) 내에 삽입하게 되고, 시술자의 시각적 판단과 개인적인 경험을 통해 어버트먼트 제조용 위치 판정기가 정확하고 안정적으로 픽스쳐(10) 내에 삽입되었는지를 판정하게 된다.
어버트먼트 위치 판정기가 정확하게 픽스쳐(10) 내에 삽입되지 않은 상태에서 촬영 동작이 이루어지는 경우, 잘못 삽입된 어버트먼트 위치 판정기의 촬영 영상을 이용하여 어버트먼트(20)와 인공 치아(B)의 설계가 이루어지게 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한국 등록특허 등록번호 10-1509643(등록일자: 2015년 04월 01일, 발명의 명칭: 치과용 임플란트)
따라서 본 고안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픽스쳐 내로 삽입되는 어버트먼트 제조용 위치 판정기가 정확하게 픽스쳐 내로 삽입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한 특징에 따른 어버트먼트 제조용 위치 판정 기구물은 픽스쳐에 삽입되는 삽입부, 상기 삽입부 위에 상기 삽입부와 연결되게 위치하고 있는 돌출부, 그리고 상기 돌출부의 외주면에 위치하는 삽입 높이 확인홈을 포함한다.
상기 삽입 높이 확인홈은 상기 삽입부가 상기 픽스쳐에 삽입될 때, 상기 삽입부와 접해있는 상기 픽스쳐의 단부 접합선과 설정 간격만큼 이격되게 상기 돌출부의 외주면에 위치하는 것이 좋다.
상기 설정 간격은 +0.01㎜ 내지 -0.01㎜ 일 수 있다.
상기 특징에 따른 어버트먼트 제조용 위치 판정 기구물은 상기 돌출부와 상기 삽입부에 형성된 관통홀, 그리고 상기 관통홀을 관통하여 상기 삽입부가 삽입된 상기 픽스쳐와 결합되는 위치 고정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특징에 따르면, 어버트먼트 제조용 위치 판정기에 형성된 삽입 높이 확인홈에 의해, 시술자는 어버트먼트 제조용 위치 판정기가 픽스쳐 내에 정확하게 삽입된 상태를 용이하게 확인하게 된다.
도 1은 일반적인 임플란트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한 실시예에 따른 어버트먼트 제조용 위치 판정 기구물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한 어버트먼트 제조용 위치 판정기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어버트먼트 제조용 위치 판정기가 픽스쳐 내로 정상적으로 삽입될 때의 도면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어버트먼트 제조용 위치 판정기 내부에 위치 고정기가 삽입된 때의 도면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고안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고안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접속되어" 있다거나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접속되어 있거나 연결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한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접속되어" 있다거나 "직접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그러면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고안의 한 실시예에 따른 어버트먼트 제조용 위치 판정 기구물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을 참고로 하면, 본 고안의 한 실시예에 따른 어버트먼트 제조용 위치 판정 기구물은 픽스쳐(100)에 삽입되는 어버트먼트 제조용 위치 판정기(200)와 어버트먼트 제조용 위치 판정기(200)를 픽스쳐(100)에 고정하기 위한 위치 고정기(300)를 구비한다.
픽스쳐(100)는 도 2에 도시한 것처럼 가운데 부분에 픽스쳐(1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어버트먼트 제조용 위치 판정기(200)가 삽입되는 삽입홀(101), 삽입홀(101)과 접하는 내주면의 일부에 형성되어 위치 고정기(300)와 결합되는 내부 나사홈(102), 픽스쳐(100)의 외주면에 형성되고 치조골(도시하지 않음)과의 결합을 위한 외부 나사홈(103)을 구비한다.
이때, 삽입홀(101)은 어버트먼트 제조용 위치 판정기(200)가 위치하는 제1 부분(1011)과 제1 부분(1011) 하부에 위치하여 제1 부분(1012)과 도통하게 형성되고 주로 위치 고정기(300)가 위치하는 제2 부분(1012)을 구비한다.
이때, 삽입홀(101)의 지름은 삽입홀(101)의 길이 방향을 따른 위치 변화에 따라 상이하여, 제1 부분(1011)의 지름이 제2 부분(1012)의 지름보다 크다.
이미 설명한 것처럼 제1 부분(1011)은 어버트먼트 제조용 위치 판정기(200)가 삽입되므로, 삽입되는 어버트먼트 제조용 위치 판정기(200)의 해당 부분의 형상에 따라 그 형상과 크기가 정해지고, 제2 부분(1012)은 위치 고정기(300)의 형상에 따라 역시 그 형상과 크기가 정해진다.
어버트먼트 제조용 위치 판정기(200)는 픽스쳐(100)의 제1 부분(1011)에 삽입되는 삽입부(201), 삽입부(201) 위에 삽입부(201)와 연결되어 있는 돌출부(202), 삽입부(202)에 인접한 돌출부(202)의 외주면에 위치하는 삽입 높이 확인홈(203), 그리고 위치 고정기(300)가 관통하는 관통홀(204)을 구비한다.
삽입부(201)는 삽입부(201)의 단부[즉, 돌출부(202)와 연결되어 있는 부분의 반대쪽 부분]에 위치한 위치 고정핀(2011)을 구비하여 픽스쳐(100)의 제1 부분(1011)에 안정적으로 위치할 수 있도록 한다.
위치 고정핀(2011)의 형상[즉, 삽입부(201)을 지름 방향으로 절단할 때의 단면 형상]은 제1 부분(1011)의 삽입 위치와 삽입 상태를 용이하게 판정하기 위해 육각형과 같은 다각형의 형상을 갖고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원형의 형상 등과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삽입부(201)는 길이 방향으로의 위치에 따라질 수 있고, 삽입부(201)의 상부로 갈수록 지름의 크기는 증가할 수 있다.
돌출부(202)의 외주면은 길이 방향을 따라 지면과 수직으로 절삭된 적어도 하나의 절삭면(205)을 구비하고 있다.
따라서, 시술자는 절삭면(205)을 이용하여 어버트먼트 제조용 위치 판정기(200)를 용이하게 집을 수 있다.
삽입 높이 확인홈(203)은, 도 3에 도시한 것처럼, 삽입부(201)의 바로 위에서 어버트먼트 제조용 위치 판정기(200의 외부면을 지면과 평행하게 지름 방향으로 원 형태(즉, 가로 띠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어버트먼트 제조용 위치 판정기(200)가 픽스쳐(100)의 제1 부분(1011)에 정상적으로 삽입될 때, 어버트먼트 제조용 위치 판정기(200), 즉, 어버트먼트 제조용 위치 판정기(200)의 삽입부(201)와 접해있는 픽스쳐(100)의 단부 접합선(L1) 위에 설정 간격만큼 이격되게 삽입 높이 확인홈(203)이 위치한다.
이때, 단부 접합선(L1)과 삽입 높이 확인홈(203) 간의 간격은 +0.01㎜ ~ -0.01㎜ 일 수 있다. 이때, (+)부호는 단부 접합선(L1) 위에 삽입 높이 확인홈(203의 상단이 위치할 때이고 (-)부호는 단부 접합선(L1) 아래에 삽입 높이 확인홈(203의 하단이 위치할 때를 의미한다.
본 예의 경우, 단부 접합선(L1)과 삽입 높이 확인홈(203)이 이격되게 위치하지만, 대안적인 예에서, 단부 접합선(L1)과 삽입 높이 확인홈(203)은 서로 일치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어버트먼트 제조용 위치 판정기(200)가 픽스쳐(100)에 정상적으로 삽입되면, 삽입 높이 확인홈(203)과 단부 접합선(L1)의 위치가 설정 간격(예, +0.01mm 내지 -0.01mm)만큼 이격되거나 또는 서로 동일선 상에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어버트먼트 제조용 위치 판정기(200)를 픽스쳐(100)에 삽입 후 촬영 픽스쳐(100)가 심겨진 치조골(A) 부분을 촬영하여 삽입 높이 확인홈(203)의 위치를 확인하면 어버트먼트 제조용 위치 판정기(200)가 정상적으로 픽스쳐(100)에 삽입되었는지 아닌지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위치 고정기(300)는 단부에 픽스쳐(100)의 내부 나사홈(102)과 체결되는 나사부(301) 및 상단부에 위치하고 위치 고정기(300)의 회전 동작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육각 드라이버 등이 삽입되는 드라이버 삽입홈(H1)을 구비한다.
따라서, 위치 고정기(300)의 나사부(301)는 어버트먼트 제조용 위치 판정기(200)의 관통홀(204)을 통과하여 픽스쳐(100)의 내부 나사홈(102)에 체결된다.
이때, 이미 설명한 것처럼, 나사부(301)는 어버트먼트 제조용 위치 판정기(200)의 관통홀(204)를 통과하므로, 관통홀(204)의 하부와 접하는 어버트먼트 제조용 위치 판정기(200)의 내부면에는 나사부(301)의 회전 동작에 위치 고정기(300)가 픽스쳐(100) 쪽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나사홈(2041)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어버트먼트 제조용 위치 판정기(200)의 해당 부분(201)이 픽스쳐(100)의 해당 부분(1011)에 정상적으로 삽입되면, 시술자는 위치 고정기(300)를 어버트먼트 제조용 위치 판정기(200)의 관통홀(204)를 통과시킨 후 픽스쳐(100)의 삽입홀(101)로 삽입한 후 위치 고정기(300)의 나사부(301)를 내부 나사홈(103)과 체결시킨다.
이러한 위치 고정기(300)와 픽스쳐(100) 간의 체결 동작에 의해, 픽스쳐(100)와 위치 고정기(300) 사이에 위치한 어버트먼트 제조용 위치 판정기(200)의 위치는 안정적으로 위치하여, 픽스쳐(100)의 촬영 동작 등에 발생할 수 있는 어버트먼트 제조용 위치 판정기(200)의 위치 변화를 방지한다.
본 고안에 따른 삽입 높이 확인홈(203)에 의해, 어버트먼트 제조용 위치 판정기(200)는 픽스쳐(100) 내에 정상적으로 삽입되고, 삽입 상태 역시 용이하고 신속하게 판정하게 된다.
따라서, 어버트먼트 제조용 위치 판정기(200)의 식재 상태를 정확하게 판정하게 되므로, 픽스쳐(100) 내에 정확하게 삽입된 어버트먼트 제조용 위치 판정기(200)의 촬영 영상을 이용하여 어버트먼트와 인공 치아의 제조가 정확하게 이루어지므로, 임플란트 시술을 받는 환자나 시술자의 만족도가 크게 향상된다.
이상에서 본 고안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고안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00: 픽스쳐 200: 어버트먼트 제조용 위치 판정기
300: 위치 고정기 203: 삽입 높이 확인홈

Claims (4)

  1. 픽스쳐에 삽입되는 삽입부,
    상기 삽입부 위에 상기 삽입부와 연결되게 위치하고 있는 돌출부, 그리고
    상기 돌출부의 외주면에 위치하는 삽입 높이 확인홈
    을 포함하는 어버트먼트 제조용 위치 판정 기구물.
  2. 제1항에서,
    상기 삽입 높이 확인홈은 상기 삽입부가 상기 픽스쳐에 삽입될 때, 상기 삽입부와 접해있는 상기 픽스쳐의 단부 접합선과 설정 간격만큼 이격되게 상기 돌출부의 외주면에 위치하는 어버트먼트 제조용 위치 판정 기구물.
  3. 제2항에서,
    상기 설정 간격은 +0.01㎜ ~ -0.01㎜인 어버트먼트 제조용 위치 판정 기구물.
  4. 제1항에서,
    상기 돌출부와 상기 삽입부에 형성된 관통홀, 그리고
    상기 관통홀을 관통하여 상기 삽입부가 삽입된 상기 픽스쳐와 결합되는 위치 고정기를 더 포함하는 어버트먼트 제조용 위치 판정 기구물.
KR2020150008385U 2015-12-21 2015-12-21 어버트먼트 제조용 위치 판정 기구물 KR20170002323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8385U KR20170002323U (ko) 2015-12-21 2015-12-21 어버트먼트 제조용 위치 판정 기구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8385U KR20170002323U (ko) 2015-12-21 2015-12-21 어버트먼트 제조용 위치 판정 기구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2323U true KR20170002323U (ko) 2017-06-29

Family

ID=592400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50008385U KR20170002323U (ko) 2015-12-21 2015-12-21 어버트먼트 제조용 위치 판정 기구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02323U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9643B1 (ko) 2012-12-20 2015-04-13 덴토즈 주식회사 치과용 임플란트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9643B1 (ko) 2012-12-20 2015-04-13 덴토즈 주식회사 치과용 임플란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526893B1 (en) Abutment for implant
US8388342B2 (en) Drill jig for positioning dental implants
US10864063B2 (en) Dental implant replica
KR101417980B1 (ko) 임플란트용 스캔 바디와 임플란트 어셈블리
EP3269324B1 (en) Dental scan abutment
KR101487133B1 (ko) 맞춤형 어버트먼트 및 그의 제조방법
BR112012018070B1 (pt) pilar para um implante dentário e combinação de um implante dentário e de um pilar
AU2014336366A1 (en) Dental implant replica
US20080171301A1 (en) Depth gauge for use in dental implants
KR101834765B1 (ko) 치아 임플란트용 서지컬 가이드
KR20160006385A (ko) 스캔바디 기능을 구비한 힐링어버트먼트
KR101612671B1 (ko) 임플란트 식립 즉시 보철수복용 지대주 홀더
US20100129773A1 (en) Engageable abutment for a tooth
KR20180014995A (ko) 임플란트 식립 가이드 장치
KR102470652B1 (ko) 향상된 체결구조를 갖는 임플란트용 임프레션 코핑
CN108135672B (zh) 齿列矫正用种植体结构以及齿列矫正用种植体夹具
KR20170002323U (ko) 어버트먼트 제조용 위치 판정 기구물
KR101745575B1 (ko) 임플란트용 스캔바디의 기능을 구비한 임프레션 캡
KR102068684B1 (ko) 치과용 픽스쳐 드라이버
JP2016536027A (ja) 歯インプラント
TWI826521B (zh) 用於形成義齒之坯料及製造義齒之方法
KR101963696B1 (ko) 치과 시술용 가이드링
KR101935504B1 (ko) 일정 토크값을 갖는 임플란트 스크류
KR20210063558A (ko) 디지털 오버덴쳐용 홀더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