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02228A - 소음 및 진동 측정 장치 - Google Patents

소음 및 진동 측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02228A
KR20170002228A KR1020150092488A KR20150092488A KR20170002228A KR 20170002228 A KR20170002228 A KR 20170002228A KR 1020150092488 A KR1020150092488 A KR 1020150092488A KR 20150092488 A KR20150092488 A KR 20150092488A KR 20170002228 A KR20170002228 A KR 201700022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ise
vibration
magnitude
information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924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30100B1 (ko
Inventor
최주철
Original Assignee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500924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30100B1/ko
Publication of KR201700022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22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301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301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HMEASUREMENT OF MECHANICAL VIBRATIONS OR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 G01H17/00Measuring mechanical vibrations or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group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asurement Of Mechanical Vibrations Or Ultrasonic Waves (AREA)

Abstract

실시 예에 따른 소음 및 진동 측정 장치는 접촉된 매질로 전달되는 진동을 감지하는 진동 감지부 및 외부 음향 신호의 주파수 및 크기를 측정하는 오디오 입력부를 포함하는 몸체 및 몸체를 지지하는 지지판 및 지지판으로부터 일정 높이로 몸체가 지지되도록, 길이가 조절되는 높이 조절부를 포함하는 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소음 및 진동 측정 장치{APPARATUS FOR SENSING NOISE AND VIBRATION}
실시 예는 설치가 용이하고, 층간 소음 및 진동을 함께 측정하는 소음 및 진동 측정 장치에 관한 것이다.
아파트나 연립 주택 등의 공동주택에서 발생할 수 있는 층간 소음은 각 세대 간에 가장 큰 갈등 요인이다. 층간 소음은 다른 소음 공해와 마찬가지로 정신적, 육체적 건강에 좋지 못한 영향을 끼치며, 이로 인해 이웃 주민 간에 많은 문제와 민원 제기 등 사회적인 문제로까지 대두되기도 한다.
층간 소음 중에서도 바닥 슬래브(slab)에 직접 충격이 가해짐으로 발생하는 바닥 충격음(고체 전달음)은 인접 세대에 쉽게 전달된다. 바닥 충격음은 주로 아이들이 뛰거나, 가구를 옮기는 등의 행위에 의해 발생되며, 특히 아래층 세대에 직접적인 피해를 줄 수 있다.
바닥 충격음은 위층에서 발생하여 아래층으로 전달되므로, 위층 세대는 아래층 세대에 비해 바닥 충격음의 발생 빈도, 크기 및 시간에 대해 인지하지 어려운 문제가 있다.
또한, 층간 소음에 의한 분쟁 발생 시, 바닥 충격음이 어느 정도로 발생했는지를 알 수 있는 객관적인 판단 자료가 없다. 따라서, 아래 위층 세대간의 구두 진술에만 의존하여 분쟁을 조정해야 했으므로 분쟁 조정 시에도 아래 위층 세대 모두가 만족할 만한 조정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실시 예는 전술한 문제 및 다른 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다른 목적은 설치가 용이한 소음 및 진동 측정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 다른 목적은 위층에서 발생하는 바닥 충격음을 효과적으로 측정하는 소음 및 진동 측정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 또는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실시 예에 따른 소음 및 진동 측정 장치는 접촉된 매질로 전달되는 진동을 감지하는 진동 감지부 및 외부 음향 신호의 주파수 및 크기를 측정하는 오디오 입력부를 포함하는 몸체 및 몸체를 지지하는 지지판 및 지지판으로부터 일정 높이로 몸체가 지지되도록, 길이가 조절되는 높이 조절부를 포함하는 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진동 감지부는 매질과 접촉하는 멤브레인(membrane), 멤브레인에 의해 밀폐되는 도관, 도관 내에서 멤브레인에 가해지는 압력을 전달하는 유체 및 유체로 전달되는 압력의 변화를 측정하는 압력 측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몸체는 일면이 평면으로 형성된 입체 형상의 케이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케이스에는 진동 감지부 및 오디오 입력부가 구비되는 공동(空洞)이 일면에 형성될 수 있다.
몸체는 일면에서 공동이 형성된 영역을 제외한 영역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접착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입체 형상은 일면을 윗면으로 하는 원기둥형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지지판은 일부가 굴곡된 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몸체는 무선 통신부 및 진동 감지부에서 감지된 진동의 크기, 오디오 임력부에서 측정된 소음의 주파수 및 크기를 이용하여 소음 정보를 생성하고, 무선 통신부를 통해 외부 서버로 전달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는 진동의 크기가 소정의 제1 크기를 초과하면, 대체적으로 동일 시점에 감지되는 소음의 소정 주파수 대역 내의 크기가 소정의 제2 크기를 초과하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소음 정보는 진동의 크기, 소음의 주파수 및 크기에 대한 정보 및 진동 및 소음 발생 시간대 정보를 포함하고, 제어부는 소음의 소정 주파수 대역 내의 크기가 소정의 제2 크기를 초과하면, 소음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른 소음 및 진동 측정 장치의 제어방법은 아래층의 천장에 설치되어 위층의 바닥 충격에 의한 소음 및 진동을 측정하는 소음 및 진동 측정 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진동 감지부가 천장으로 전달되는 진동을 감지하는 단계, 진동의 크기가 소정의 제1 크기를 초과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진동의 크기가 제1 크기를 초과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오디오 입력부가 천장으로 전달되는 소음을 감지하는 단계 및 제어부가 소음의 주파수 및 크기를 이용하여 소음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소음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는 진동의 크기가 제1 크기를 초과하는 시점에 감지되는 소음의 소정 주파수 대역 내의 크기가 소정의 제2 크기를 초과하는지를 판단하여 소음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소음 정보는 진동의 크기, 소음의 주파수 및 크기에 대한 정보 및 진동 및 소음 발생 시간대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른 소음 및 진동 측정 장치의 효과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소음 및 진동 측정 장치를 천장과 밀착시켜 편리하게 설치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위층에서 발생하는 바닥 충격음을 용이하게 측정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적용 가능성의 추가적인 범위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은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 및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와 같은 특정 실시 예는 단지 예시로 주어진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실시 예와 관련된 소음 및 진동 측정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2는 실시 예와 관련된 소음 및 진동 측정 장치의 일 예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3은 실시 예와 관련된 소음 및 진동 측정 장치의 일 예의 평면도이다.
도 4 및 도 5는 실시 예와 관련된 소음 및 진동 측정 장치가 실내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6은 실시 예와 관련된 소음 및 진동 측정 장치의 제어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에는 동일,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실시 예와 관련된 소음 및 진동 측정 장치(10)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고, 도 2는 실시 예와 관련된 소음 및 진동 측정 장치(10)의 일 예의 평면도이며, 도 3은 실시 예와 관련된 소음 및 진동 측정 장치(10)의 일 예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상기 소음 및 진동 측정 장치(10)는 진동 감지부(110), 오디오 입력부(120), 무선 통신부(130) 및 메모리(14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은 소음 및 진동 측정 장치(10)를 구현하는데 있어서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본 명세서 상에서 설명되는 소음 및 진동 측정 장치(10)는 위에서 열거된 구성요소들 보다 많거나, 또는 적은 구성요소들을 가질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구성요소들 중 진동 감지부(110)는 매질로 전달되는 진동을 감지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진동 감지부(110)는 매질과 접촉하는 멤브레인(membrane)과 멤브레인에 의해 밀폐되는 도관, 도관 내에서 멤브레인에 가해지는 압력을 전달하는 유체 및 유체로 전달되는 압력의 변화를 측정하는 압력 측정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진동 감지부(110)는 매질을 통해 전달되는 진동을 감지하고, 감지한 진동을 진동 감지 신호로써 제어부(150)로 전달한다. 여기서 진동 감지부(110)가 감지한 진동은 파형으로 수집되어 제어부(150)로 전달되는 것을 예로 하여 설명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진동 감지부(110)는 다양한 진동 감지 센서로 구현하는 것을 예로 하여 설명하나 반드시 이와 같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오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오디오 입력부(120)는 외부의 음향 신호를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 처리된 음성 데이터는 소음 및 진동 측정 장치(10)에서 수행 중인 기능(또는 실행 중인 응용 프로그램)에 따라 다양하게 활용될 수 있다. 한편, 오디오 입력부(120)에는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 받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잡음(noise)을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이 구현될 수 있다.
무선 통신부(130)는, 소음 및 진동 측정 장치(10)와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소음 및 진동 측정 장치(10)와 다른 소음 및 진동 측정 장치(10) 사이, 또는 소음 및 진동 측정 장치(10)와 외부 서버 사이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무선 통신부(130)는, 소음 및 진동 측정 장치(10)를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에 연결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무선 통신부(130)는 주로 근거리 통신(Short range communication)을 위한 것으로서,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WB(Ultra Wideband), ZigBee, NFC(Near Field Communication), Wi-Fi(Wireless-Fidelity), Wi-Fi Direct, Wireless USB(Wireless Universal Serial Bus) 기술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근거리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이러한, 무선 통신부(130)는, 근거리 무선 통신망(Wireless Area Networks)을 통해 소음 및 진동 측정 장치(10)와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소음 및 진동 측정 장치(10)와 다른 소음 및 진동 측정 장치(10) 사이, 또는 소음 및 진동 측정 장치(10)와 다른 소음 및 진동 측정 장치(10)(10, 또는 외부 서버)가 위치한 네트워크 사이의 무선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망은 근거리 무선 개인 통신망(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s)일 수 있다.
메모리(140)는 소음 및 진동 측정 장치(10)의 다양한 기능을 지원하는 데이터를 저장한다. 메모리(140)는 소음 및 진동 측정 장치(10)에서 구동되는 다수의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 program 또는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 소음 및 진동 측정 장치(10)의 동작을 위한 데이터들, 명령어들을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응용 프로그램 중 적어도 일부는, 무선 통신을 통해 외부 서버로부터 다운로드 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응용 프로그램 중 적어도 일부는, 소음 및 진동 측정 장치(10)의 기본적인 기능을 위하여 출고 당시부터 소음 및 진동 측정 장치(10)상에 존재할 수 있다. 한편, 응용 프로그램은, 메모리(140)에 저장되고, 소음 및 진동 측정 장치(10) 상에 설치되어, 제어부(150)에 의하여 상기 소음 및 진동 측정 장치(10)의 동작(또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동될 수 있다.
제어부(150)는 통상적으로 소음 및 진동 측정 장치(1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제어부(150)는 위에서 살펴본 구성요소들을 통해 입력 또는 출력되는 신호, 데이터, 정보 등을 처리하거나 메모리(140)에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함으로써, 정보 또는 기능을 제공 또는 처리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50)는 메모리(140)에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하기 위하여, 도 1에서 함께 살펴본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를 제어할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150)는 상기 응용 프로그램의 구동을 위하여, 소음 및 진동 측정 장치(10)에 포함된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둘 이상을 서로 조합하여 동작시킬 수 있다.
상기 각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는, 이하에서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소음 및 진동 측정 장치(10)의 동작, 제어, 또는 제어방법을 구현하기 위하여 서로 협력하여 동작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소음 및 진동 측정 장치(10)의 동작, 제어, 또는 제어방법은 상기 메모리(140)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응용 프로그램의 구동에 의하여 소음 및 진동 측정 장치(10) 상에서 구현될 수 있다.
도 2 및 3을 참조하면, 소음 및 진동 측정 장치(10)는 원기둥형 몸체(100)와 이를 지지하는 지지부(200)를 구비하고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여기에 한정되지 않으며, 몸체(100)가 일면이 평면인 입체 형상(예를 들어, 직육면체, 반구, 삼각뿔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소음 및 진동 측정 장치(10)는 외관을 이루는 케이스(예를 들면, 프레임, 하우징, 커버 등)를 포함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소음 및 진동 측정 장치(10)는 원기둥형의 케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원기둥형 케이스의 내부공간에는 각종 전자부품들이 배치된다.
케이스의 상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접착부와 내부에 진동 감지부(110) 및 오디오 입력부(120)가 구비되는 공동(空洞)이 형성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접착부는 소음 및 진동 측정 장치(10)의 상면을 외부 물체에 접착시킨다. 예를 들어, 접착부는 일면에 접착제(adhesive)가 도포되어 있는 패드(pad) 형태로 형성된다. 또는, 접착부는 접촉한 외부 물체에 흡착할 수 있는 진공 흡착 패드를 포함한다. 이외에도, 접착부는 상면에 대향하여 위치하는 외부 물체에 접착되거나 밀착될 수 있는 다양한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진동 감지부(110)는 일단이 소음 및 진동 측정 장치(10)의 상면의 수직 방향으로 위치할 수 있으며, 상기 일단이 외부 매질과 대체적으로 접촉할 수 있다.
오디오 입력부(120)는 지향성 마이크로 구현되어, 상기 상면의 수직 방향으로 위치할 수 있다.
지지부(200)는 지지판(202)과 적어도 하나의 높이 조절부(204)를 포함한다. 먼저, 지지판(202)은 판 형태로 형성된다. 지지판(202)은 지지판(202) 하부에 위치한 물체와 접촉하여 상기 몸체(100)를 지지할 수 있도록, 소음 및 진동 측정 장치(10)의 무게와 대응되는 힘을 하부 물체로 전달할 수 있다. 도면에서는 지지판(202)의 형태가 원판인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지지판(202)의 형태는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굴곡된 판 형태로도 형성될 수 있다.
높이 조절부(204)는 지지판(202)으로부터 일정 높이로 상기 몸체(100)를 지지하도록 그 자체의 길이가 늘어나거나 줄어든다. 높이 조절부(204)는 지지판(202)으로부터 일정 높이를 형성하여, 상기 몸체(100)의 상면이 외부 물체에 밀착하도록 그 길이가 조절될 수 있다. 높이 조절부(204)는 탄성력을 가지는 용수철 또는 길이 조절이 가능한 수단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소음 및 진동 측정 장치(10)가 실내에 설치되는 실시 예에 대해 설명한다.
도 4 및 도 5는 실시 예와 관련된 소음 및 진동 측정 장치(10)가 실내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공동주택은 위층 공간(1)과 아래층 공간(2)으로 구분될 수 있다. 주로, 위층 공간(1)에서 발생하는 바닥 충격음이 아래층 공간(2)의 천장(4)을 통해 아래층 공간(2)으로 전달된다.
도 4 및 도 5의 소음 및 진동 측정 장치(10)는 적어도 하나의 유무선 공유기(300)와 통신할 수 있다. 공유기(300)는 공동주택의 아래층(2) 및 위층(1) 모두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공유기(300)는, 아래층(2) 및 위층(1)에 설치되는 인터넷 라인을 통해 통신망과 연결되며, IP 주소를 갖는다.
아래층(2)의 공유기(300)는 아래층(2)의 소음 및 진동 측정 장치(10)에 소정 IP를 할당함으로써 아래층(2)의 소음 및 진동 측정 장치(10)와 연결되고, 이러한 연결을 통해 아래층(2)의 소음 및 진동 측정 장치(10)로부터 신호를 수신한다.
그리고, 상기 공유기(300)로는 유선이나 무선 공유기(300) 중 어느 것이 사용되어도 무방하다. 그러나, 공유기(300)와 소음 및 진동 측정 장치(10) 간의 연결에 배선을 요하지 않는 무선 공유기(300)가 상기 공유기(300)로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아래층 공간(2)의 천장(4)에는 조명 기구, 경보기, 공기 조화기, 스프링클러(sprinkler) 등과 같은 기구가 설치되어 있다.
먼저, 도 4는 천장(4)과 기구 간의 거리가, 상기 소음 및 진동 측정 장치(10)의 높이 이상인 경우의 실시 예를 나타낸다. 기구는 천장(4)에 지지대를 통해 매달려 있는 형태로 설치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소음 및 진동 측정 장치(10)는 이러한 기구와 천장(4)이 이루는 공간 내에 설치될 수 있다. 즉, 기구와 천장(4) 사이에 소음 및 진동 측정 장치(10)가 설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기구의 상면에는 지지판(202)이 배치될 수 있다. 지지판(202)의 하면과 기구의 상면이 접촉하여, 소음 및 진동 측정 장치(10)가 지지된다. 그리고, 몸체(100)의 상면이 천장(4)에 밀착되도록, 높이 조절부(204)의 길이가 조절될 수 있다. 또한, 몸체(100) 상면의 접착부에 의해 몸체(100)가 천장(4)에 접착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5는 천장(4)과 기구 간의 거리가, 상기 소음 및 진동 측정 장치(10)의 높이 미만인 경우의 실시 예를 나타낸다. 기구는 천장(4)에 밀착되어 설치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소음 및 진동 측정 장치(10)는 기구와 천장(4)이 밀착된 공간으로 지지판(202)을 삽입하여 설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기구와 천장(4)의 틈에는 지지판(202)이 삽입될 수 있다. 지지판(202)의 하면과 기구의 상면이 접촉하여, 소음 및 진동 측정 장치(10)가 지지된다. 그리고, 몸체(100)의 상면이 천장(4)에 밀착되도록, 높이 조절부(204)의 길이가 조절될 수 있다. 또한, 몸체(100) 상면의 접착부에 의해 몸체(100)가 천장(4)에 접착될 수 있다.
상기의 도 4 및 도 5의 소음 및 진동 측정 장치(10)는 위층(1)에서 전달되는 소음 및 진동을 측정하고, 이를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하여 공유기(300)로 전달한다.
이하에서는 이와 같이 구성되어 천장(4)에 설치된 소음 및 진동 측정 장치(10)에서 구현될 수 있는 제어 방법과 관련된 실시 예들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살펴보겠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정신 및 필수적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도 6은 실시 예와 관련된 소음 및 진동 측정 장치(10)의 제어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4및 도 5에 도시된, 아래층(2)에 설치된 소음 및 진동 측정 장치(10)의 제어방법으로 설명한다.
먼저, 진동 감지부(110)는 아래층(2) 천장(4)으로 전달되는 진동을 감지(S100)한다. 위층(1)에서의 충격에 의해 발생한 진동이 위층(1) 바닥(3)과 아래층(2) 천장(4) 사이의 매질을 통과하여, 아래층(2) 천장(4)으로 전달될 수 있다. 그러면, 진동 감지부(110)는 아래층(2) 천장(4)에 밀착되어 위층(1)에서부터 전달된 진동을 감지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어부(150)는 진동 감지부(110)에 의해 측정된 진동의 크기가 소정의 제1 크기를 초과하는지를 판단(S110)한다. 이때, 진동의 크기가 제1 크기 이하이면, 제어부(150)는 진동의 크기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한편, 오디오 입력부(120)는 아래층(2) 천장(4)을 통해 전달되는 소음을 감지(S120)한다. 위층(1)에서 발생한 소음이 위층(1) 바닥(3)과 아래층(2) 천장(4) 사이의 매질을 통과하여, 아래층(2) 천장(4)으로 전달될 수 있다. 그러면, 오디오 입력부(120)는 아래층(2) 천장(4)에 밀착되어 위층(1)에서부터 전달된 소음을 감지할 수 있다.
제어부(150)는 진동의 크기가 제1 크기를 초과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대체적으로 동일 시점에 감지되는 소음의 주파수 및 크기를 판단(S130)한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50)는 사람의 가청 주파수 대역에서의 소음의 크기를 판단할 수 있다. 사람의 가청주파수는 20Hz~20 KHz일 수 있다. 이때, 소음의 크기가 제2 크기 이하(②)이면, 제어부(150)는 진동의 크기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제어부(150)는 상기 가청 주파수 대역 내에서 발생한 소음의 크기(dB)가 소정의 제2 크기 이상인 경우(①), 층간 소음 정보를 생성(S140)한다. 예를 들어, 제2 크기는 50dB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구체적으로, 층간 소음 정보는 진동의 크기와 소음의 주파수 및 크기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다. 또한, 층간 소음 정보는 진동과 소음이 발생한 시간대 정보를 포함할 수도 있다. 그리고, 제어부(150)는 층간 소음 정보를 메모리(140)에 저장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어부(150)는 무선 통신부(130)를 통해, 층간 소음 정보를 공유기(300)로 전달(S150)한다. 공유기(300)로 전달된 층간 소음 정보는 외부 관리 서버로 전송되어 해당 소음 및 진동 측정 장치(10)가 설치된 층과 관련되어 저장될 수 있다.
상기의 실시 예에서는 진동을 감지하는 단계(S100)와 소음을 감지하는 단계(S120)를 순차적으로 설명하였으나, 실시 예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진동 감지부(110) 및 오디오 입력부(120)에 의해 진동 및 소음이 동시에 감지될 수 있다.
실시 예에 의하면, 공동 주택에서 발생한 층간 소음에 대한 정보를 효과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층간 소음 발생 여부 문제에 대해 위층(1) 세대와 아래층(2) 세대의 주관적인 판단 없이, 측정된 진동의 크기와 소음의 크기로 층간 소음 발생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실시 예에 의하면, 소음 및 진동 측정 장치(10)를 천장(4)과 밀착시켜 편리하게 설치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은, 프로그램이 기록된 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의 예로는, HDD(Hard Disk Drive), SSD(Solid State Disk), SDD(Silicon Disk Drive),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 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10: 소음 및 진동 측정 장치 100: 몸체
110: 진동 감지부 120: 오디오 입력부
130: 무선 통신부 140: 메모리
150: 제어부 200: 지지부

Claims (13)

  1. 접촉된 매질로 전달되는 진동을 감지하는 진동 감지부 및 외부 음향 신호의 주파수 및 크기를 측정하는 오디오 입력부를 포함하는 몸체; 및
    상기 몸체를 지지하는 지지판 및 상기 지지판으로부터 일정 높이로 상기 몸체가 지지되도록, 길이가 조절되는 높이 조절부를 포함하는 지지부;
    를 포함하는 소음 및 진동 측정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 감지부는,
    상기 매질과 접촉하는 멤브레인(membrane);
    상기 멤브레인에 의해 밀폐되는 도관;
    상기 도관 내에서 상기 멤브레인에 가해지는 압력을 전달하는 유체; 및
    상기 유체로 전달되는 압력의 변화를 측정하는 압력 측정부;
    를 포함하는 소음 및 진동 측정 장치.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일면이 평면으로 형성된 입체 형상의 케이스를 더 포함하는 소음 및 진동 측정 장치.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에는 상기 진동 감지부 및 상기 오디오 입력부가 구비되는 공동(空洞)이 상기 일면에 형성되는 소음 및 진동 측정 장치.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상기 일면에서 상기 공동이 형성된 영역을 제외한 영역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접착부를 더 포함하는 소음 및 진동 측정 장치.
  6.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입체 형상은 상기 일면을 윗면으로 하는 원기둥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음 및 진동 측정 장치.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판은 일부가 굴곡된 판 형상으로 형성되는 소음 및 진동 측정 장치.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무선 통신부; 및
    상기 진동 감지부에서 감지된 진동의 크기, 상기 오디오 임력부에서 측정된 소음의 주파수 및 크기를 이용하여 소음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무선 통신부를 통해 외부 서버로 전달하는 제어부;
    를 더 포함하는 소음 및 진동 측정 장치.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진동의 크기가 소정의 제1 크기를 초과하면, 대체적으로 동일 시점에 감지되는 소음의 소정 주파수 대역 내의 크기가 소정의 제2 크기를 초과하는지를 판단하는 소음 및 진동 측정 장치.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소음 정보는 상기 진동의 크기, 상기 소음의 주파수 및 크기에 대한 정보 및 상기 진동 및 상기 소음 발생 시간대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소음의 소정 주파수 대역 내의 크기가 소정의 제2 크기를 초과하면, 상기 소음 정보를 생성하는 소음 및 진동 측정 장치.
  11. 아래층의 천장에 설치되어 위층의 바닥 충격에 의한 소음 및 진동을 측정하는 소음 및 진동 측정 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진동 감지부가 상기 천장으로 전달되는 진동을 감지하는 단계;
    상기 진동의 크기가 소정의 제1 크기를 초과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진동의 크기가 상기 제1 크기를 초과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오디오 입력부가 상기 천장으로 전달되는 소음을 감지하는 단계; 및
    제어부가 상기 소음의 주파수 및 크기를 이용하여 소음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소음 및 진동 측정 장치의 제어방법.
  12.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소음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진동의 크기가 상기 제1 크기를 초과하는 시점에 감지되는 소음의 소정 주파수 대역 내의 크기가 소정의 제2 크기를 초과하는지를 판단하여 상기 소음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소음 및 진동 측정 장치의 제어방법.
  13.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소음 정보는 상기 진동의 크기, 상기 소음의 주파수 및 크기에 대한 정보 및 상기 진동 및 상기 소음 발생 시간대 정보를 포함하는 소음 및 진동 측정 장치의 제어방법.
KR1020150092488A 2015-06-29 2015-06-29 소음 및 진동 측정 장치 KR1017301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2488A KR101730100B1 (ko) 2015-06-29 2015-06-29 소음 및 진동 측정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2488A KR101730100B1 (ko) 2015-06-29 2015-06-29 소음 및 진동 측정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2228A true KR20170002228A (ko) 2017-01-06
KR101730100B1 KR101730100B1 (ko) 2017-05-11

Family

ID=578324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92488A KR101730100B1 (ko) 2015-06-29 2015-06-29 소음 및 진동 측정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3010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483884A (zh) * 2021-06-21 2021-10-08 深圳市优瑞特检测技术有限公司 一种包装检测用振动异响测试装置及其检测方法
KR20220116937A (ko) * 2021-02-16 2022-08-23 에피텍(주) 건축물의 진동을 이용하여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 및 그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4175B1 (ko) * 2013-04-10 2014-09-26 한국토지주택공사 공동 주택 내의 소음 관리 시스템 및 그것의 동작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16937A (ko) * 2021-02-16 2022-08-23 에피텍(주) 건축물의 진동을 이용하여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 및 그 방법
CN113483884A (zh) * 2021-06-21 2021-10-08 深圳市优瑞特检测技术有限公司 一种包装检测用振动异响测试装置及其检测方法
CN113483884B (zh) * 2021-06-21 2023-09-26 深圳市优瑞特检测技术有限公司 一种包装检测用振动异响测试装置及其检测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30100B1 (ko) 2017-05-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48811B2 (en) Detecting touch input provided by signal transmitting stylus
US9823760B2 (en) Touch input surface speaker
KR101206992B1 (ko) 소음감지 베개와 소음감지 베개를 이용한 능동소음제어 시스템 및 방법
WO2015065553A3 (en) Acoustic detection of audio sources to facilitate reproduction of spatial audio spaces
KR101730100B1 (ko) 소음 및 진동 측정 장치
CN107211012B (zh) 用于设备控制的接近检测的方法和装置
KR101795765B1 (ko) 층간 소음 및 실내 소음의 자가 인지 모니터링시스템
EP3076638B1 (en) Mobile device
KR101044881B1 (ko) 초음파를 이용한 풍향 및 풍속 측정 장치
US9472086B2 (en) System and method for noise detection
JP2010273831A (ja) 体動検出装置、睡眠状態測定装置、体動量検出方法及び体動量検出プログラム
KR101667276B1 (ko) 소형 개구 음향 센서를 이용하는 디지털 전사 시스템
JP2014161580A (ja) 通信装置、通信装置の制御方法、被制御装置、通信システム、制御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US20170323629A1 (en) Area-sound reproduction system and area-sound reproduction method
WO2014152900A3 (en) Seismic sensor devices, systems, and methods including noise filtering
KR101725297B1 (ko) 매트를 활용한 소음 저감 시스템
JP5200228B2 (ja) 位置測定装置
KR20190043774A (ko) 다양한 종류의 센서로부터 데이터를 수집하기 위한 IoT 장치 및 방법
CN102445334B (zh) 用于盘式刹车片上共振频率测量的测量系统
JPWO2014024559A1 (ja) 振動検出装置
KR101669460B1 (ko) 층간소음저감유도장치
CN108028010A (zh) 地面接触装置和用于发出信号的方法
KR101644103B1 (ko) 층간소음을 측정하기 위한 미소감지센서
CN110779617B (zh) 低频噪声测试分析系统及其分析方法
US11835488B1 (en) Automatic flooring type detec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