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02189A - 수액용기 교환 관리시스템 - Google Patents

수액용기 교환 관리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02189A
KR20170002189A KR1020150092365A KR20150092365A KR20170002189A KR 20170002189 A KR20170002189 A KR 20170002189A KR 1020150092365 A KR1020150092365 A KR 1020150092365A KR 20150092365 A KR20150092365 A KR 20150092365A KR 20170002189 A KR20170002189 A KR 201700021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quid
infusion solution
container
fluid
st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923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29727B1 (ko
Inventor
이성종
Original Assignee
(주)에프에스알엔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에프에스알엔티 filed Critical (주)에프에스알엔티
Priority to KR10201500923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29727B1/ko
Priority to PCT/KR2015/006815 priority patent/WO2017002994A1/ko
Publication of KR201700021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21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297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297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61M5/168Means for controlling media flow to the body or for metering media to the body, e.g. drip meters, counters ; Monitoring media flow to the body
    • A61M5/16831Monitoring, detecting, signalling or eliminating infusion flow anomalies
    • A61M5/1684Monitoring, detecting, signalling or eliminating infusion flow anomalies by detecting the amount of infusate remaining, e.g. signalling end of infus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61M5/168Means for controlling media flow to the body or for metering media to the body, e.g. drip meters, counters ; Monitoring media flow to the bod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61M5/168Means for controlling media flow to the body or for metering media to the body, e.g. drip meters, counters ; Monitoring media flow to the body
    • A61M5/172Means for controlling media flow to the body or for metering media to the body, e.g. drip meters, counters ; Monitoring media flow to the body electrical or electronic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Hemat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Infusion, Injection, And Reservoir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액용기 교환 관리시스템을 제공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수액용기 교환 관리시스템은 수액용기의 잔여 수액량 검출에 따른 알림메시지의 생성 및 출력으로 수액용기가 적시에 교체될 수 있도록 하고, 이를 위한 장치 및 시스템 구성을 단순화시켜 적은 비용으로 높은 활용성을 갖도록 하는 한편, 휴대성도 증대되도록 하며, 수액용기 상태수신용 휴대단말기를 통해 환자나 보호자, 관리자 등 선택된 특정 인물에게만 알림메시지가 정확하게 전달되도록 하고, 수액과 접촉하지 않으면서 잔여 수액량이 검출되어 위생성이 향상되도록 하며, 수액용기 표면에서 잔여 수액량이 직접 검출되는 구조의 제공으로 검출 오차가 최소화되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수액용기 교환 관리시스템은 상단이 설정 높이에 고정된 수액용기의 표면에 부착되는 수액용기 상태검출센서를 구비하고, 수액용기 상태검출센서로부터 검출된 수액용기 상태정보를 외부로 전송하는 수액용기 상태검출기와; 수액용기 상태검출기와 무선통신하는 무선통신유닛을 구비하여 수액용기 상태정보를 전달받고, 수액용기의 잔여 수액량이 설정량 이하로 낮아지는 조건에서 알림메시지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수액 관리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되는 수액용기 상태수신용 휴대단말기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수액용기 교환 관리시스템{Infusion solution exchange management system}
본 발명은 수액용기 교환 관리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좀더 구체적으로는 수액용기의 잔여 수액량 검출에 따른 알림메시지의 생성 및 출력으로 수액용기가 적시에 교체될 수 있도록 하고, 이를 위한 장치 및 시스템 구성을 단순화시켜 적은 비용으로 높은 활용성을 갖도록 하면서 휴대성도 증대되도록 하며, 수액용기 상태수신용 휴대단말기를 통해 환자나 보호자, 관리자 등 선택된 특정 인물에게만 알림메시지가 정확하게 전달되도록 하고, 수액과 접촉하지 않으면서 잔여 수액량이 검출되어 위생성이 향상되도록 하며, 수액용기 표면에서 잔여 수액량이 직접 검출되는 구조의 제공으로 검출 오차가 최소화되도록 하는 수액용기 교환 관리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환자나 노약자에 수액용기를 통해 수액을 투여하게 될 경우, 간호사나 보호자는 수액의 투여 상태를 수시로 점검하고 잔여량을 관찰해야 하고, 투여 시간이 길어 장시간 동안 집중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그리고 병원의 경우 야간에는 당직 간호사의 수가 적어 수액용기 교환을 세심하게 관리하는데 어려움이 따랐고, 환자 보호자가 이를 관리한다고 하여도 수면 부족과 피로의 누적으로 수액용기를 적시에 교환하지 못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였다.
여기서 수액용기의 수액 투여가 원활하게 수행되지 않거나, 수액 투여 완료시점에서의 수액용기 교환이 적절하게 이루어지지 않게 되면 예기치 않은 의료사고가 발생할 수 있었다. 즉 수액 주사속도 저하시 혈액이 역류하게 되거나, 수액 주사속도 초과시 정맥주사요법에 의한 정맥염이 발생되는 의료사고가 발생될 수 있었다. 또한, 환자에 의한 주사줄 압박으로 수액 주입이 이루어지지 않고 정지되거나, 수액 투여완료 이후 수액용기의 교환이 이루어지지 않게 될시 혈액으로 공기가 주입되는 의료사고가 발생될 수 있었다. 한편, 혈액의 역류로 수액 이동관체 상의 유로가 막히게 되면 다시 설치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발생하게 된다. 특히 혈관이 잘 노출되지 않는 환자에게 수액용기 세트를 다시 설치하는 과정에서 불필요하게 환자의 고통이 추가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이로써 간호사의 심적 부담감도 커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수액이 남아 있는 상태에서 수액용기를 교체할 경우에는 사용할 수 있는 수액을 버리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수액 주사를 자동 감시하기 위한 장치가 개발되었는데, 이와 관련한 기술로는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제호 "휴대용 하나 이상의 링거주사 자동감시 및 경보장치",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1210775호 "환자보호를 위한 링거액 감시 방법" 등이 안출되어 있다.
여기서, 종래의 수액 주사 자동 감시장치로는 수액용기가나 링거호스에 광센서를 부착하여 광센서의 조도 변화에 따라 수액의 소모를 감지하는 조도 변화 검출식 수액 주사 자동 감시장치가 있는데, 이는 수액의 색상이나 투명도 및 주변의 조도 변화에 영향을 받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수액용기 내부에 전극 또는 감지부를 삽입하여 수액의 양을 감지하는 전극형 수액 주사 자동 감시장치의 경우 수액용기 내부에 삽입된 전극 또는 감지부에 의해 이물질과 세균 등의 오염에 노출되는 문제점이 있었고, 수액용기 스탠드에 저울을 장착하여 수액의 무게를 통해 잔량을 감지하는 무게 측정식 수액 주사 자동 감시장치의 경우 오작동 감소를 위해 환자가 일상적인 행동을 수행하는 과정에도 수액용기의 움직임을 의식해야 하고, 수액용기의 재질과 용량에 따라 시작무게와 종료무게가 다양하기 때문에 매번 종료 값을 계산 후 설정해 주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허문헌 1)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제호 "휴대용 하나 이상의 링거주사 자동감시 및 경보장치"
(특허문헌 2)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1210775호 "환자보호를 위한 링거액 감시 방법"
따라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개선하여 수액용기 상태검출기와 연동된 수액용기 상태수신용 휴대단말기에 설치된 수액 관리 애플리케이션을 통한 알림메시지의 생성 및 출력으로 수액용기가 적시에 교체될 수 있도록 하고, 이를 위한 장치 구성을 단순화/소형화시켜 적은 비용으로도 높은 활용성을 갖도록 하는 한편, 휴대성도 증대되도록 하는 새로운 형태의 수액용기 교환 관리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수액용기 상태수신용 휴대단말기를 휴대한 환자나 보호자, 관리자 등 선택된 특정 인물에게만 알림메시지가 정확하게 전달되도록 하고, 정전용량식 센서의 사용으로 수액과 접촉하지 않으면서 잔여 수액량이 검출되어 위생성이 향상되도록 하며, 수액용기 표면에서 잔여 수액량이 직접 검출되는 구조의 제공으로 검출 오차가 최소화되도록 하는 새로운 형태의 수액용기 교환 관리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알림메시지가 생성되어 출력되는 기준 잔여 수액량의 설정이 환자나 보호자, 관리자 등에 의해 조절되는 구조의 제공으로 다양한 환경과 상황에 맞출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수액용기 교환 관리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의하면, 본 발명은 상단이 설정 높이에 고정된 수액용기의 표면에 부착되는 수액용기 상태검출센서를 구비하고, 상기 수액용기 상태검출센서로부터 검출된 수액용기 상태정보를 외부로 전송하는 수액용기 상태검출기와; 상기 수액용기 상태검출기와 무선통신하는 무선통신유닛을 구비하여 수액용기 상태정보를 전달받고, 수액용기의 잔여 수액량이 설정량 이하로 낮아지는 조건에서 알림메시지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수액 관리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되는 수액용기 상태수신용 휴대단말기를 포함하는 수액용기 교환 관리시스템을 제공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수액용기 교환 관리시스템에서 상기 수액용기 상태검출기는 상기 수액용기 상태검출센서가 결합되는 본체 케이스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수액용기 상태검출센서로부터 검출된 수액용기 상태정보를 외부로 전송하는 무선통신유닛을 구비하고, 상기 수액용기 상태검출기의 수액용기 상태검출센서는 정전용량식 센서로 이루어져 상기 수액용기의 표면 압력 변화를 센싱하면서 상기 수액용기의 잔여 수액량이 산출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되, 상기 수액 관리 애플리케이션은 상기 수액용기 상태수신용 휴대단말기의 화면창에 무선통신 활성화 여부 선택화면을 출력시켜 무선통신 활성화 선택시 상기 수액용기 상태수신용 휴대단말기의 무선통신유닛을 활성화시키게 되는 무선통신 활성화모듈과; 상기 수액용기에 수용되는 수액의 종류별 수액용기 표면 압력-수액용기 잔여 수액량 상관그래프 정보가 저장되고, 상기 수액용기 상태수신용 휴대단말기의 화면창에 수액 종류 선택화면을 출력시켜 선택된 수액 종류에 따른 수액용기 표면 압력-수액용기 잔여 수액량 상관그래프 정보를 활성화시키게 되는 수액 종류 선택모듈과; 상기 무선통신유닛으로부터 상기 수액용기의 표면 압력 정보를 전달받고, 상기 수액 종류 선택모듈로부터 수액 종류에 따른 수액용기 표면 압력-수액용기 잔여 수액량 상관그래프 정보를 전달받아 현재 수액 잔여량을 산출하게 되는 수액 잔여량 산출모듈과; 상기 수액 잔여량 산출모듈에서 산출된 현재 수액 잔여량이 설정량 이하로 낮아지는 것을 수액 투여완료를 판별하여 수액 투여완료 알림메시지를 생성시키는 수액 투여완료 판별모듈 및; 상기 수액 투여완료 판별모듈에서 생성된 수액 투여완료 알림메시지를 상기 수액용기 상태수신용 휴대단말기의 화면창에 별도의 팝업창으로 출력하는 알림메시지 출력모듈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한 수액용기 교환 관리시스템에 의하면, 수액용기 상태검출기와 연동된 수액용기 상태수신용 휴대단말기에 설치된 수액 관리 애플리케이션을 통한 알림메시지의 생성 및 출력으로 수액용기가 적시에 교체될 수 있고, 이를 위한 장치 구성이 단순화/소형화되어 적은 비용으로도 높은 활용성을 갖게 되는 한편, 휴대성도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수액용기 상태수신용 휴대단말기를 휴대한 환자나 보호자, 관리자 등 선택된 특정 인물에게만 알림메시지가 정확하게 전달되어 불필요한 소음이나 알림메시지와 무관한 불특정 다수의 불편함을 최소화시키는 효과가 있다. 이와 더불어 본 발명은 정전용량식 센서의 사용으로 수액과 접촉하지 않으면서 잔여 수액량이 검출되어 위생성이 향상되며, 수액용기 표면에서 잔여 수액량이 직접 검출되는 구조의 제공으로 검출 오차가 최소화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알림메시지가 생성되어 출력되는 기준 잔여 수액량의 설정이 환자나 보호자, 관리자 등에 의해 조절되는 구조의 제공으로 다양한 환경과 상황에 맞출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액용기 교환 관리시스템의 구성을 보여주기 위한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액용기 상태검출기의 구성을 보여주기 위한 블록도;
도 3의 (a)와 (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액용기 상태검출기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액용기 상태검출기가 수액용기에 설치되는 구성을 보여주기 위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액용기 상태검출기가 수액용기에 연결되는 챔버에 설치되는 구성을 보여주기 위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액용기 상태검출기의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액용기 상태검출기가 수액용기에 설치되는 구성을 보여주기 위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액용기 교환 관리시스템의 예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액용기 교환 관리시스템을 이루는 수액용기 상태수신용 휴대단말기에 출력되는 수액 관리 애플리케이션의 예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 도 1 내지 도 9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한편, 도면과 상세한 설명에서 일반적인 링거, 링거액, 수액, 수액용기, 수액팩, 정전용량식 센서, 스마트폰, 무선통신, 블루투스 통신 등으로부터 이 분야의 종사자들이 용이하게 알 수 있는 구성 및 작용에 대한 도시 및 언급은 간략히 하거나 생략하였다. 특히 도면의 도시 및 상세한 설명에 있어서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과 직접적으로 연관되지 않는 요소의 구체적인 기술적 구성 및 작용에 대한 상세한 설명 및 도시는 생략하고, 본 발명과 관련되는 기술적 구성만을 간략하게 도시하거나 설명하였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액용기 교환 관리시스템은 도 1에서와 같이 수액용기 상태검출기(100)와 수액용기 상태수신용 휴대단말기(200)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수액용기 상태검출기(100)는 상단이 설정 높이에 고정된 수액용기(1)의 표면에 부착되는 수액용기 상태검출센서(10)를 구비하고, 수액용기 상태검출센서(10)로부터 검출된 수액용기 상태정보를 외부로 전송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액용기 상태검출기(100)는 도 2에서와 같이 수액용기 상태검출센서(10), 본체 케이스(20), 무선통신유닛(30), 고정모듈(40)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수액용기 상태검출센서(10)는 상단이 설정 높이에 고정된 수액용기(1)의 표면에 부착된다. 여기서, 수액용기(1)는 팩이나 병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액용기 상태검출센서(10)는 정전용량식 센서(10a)로 이루어져 수액용기(1)의 표면 압력 변화를 센싱하면서 수액용기(1)의 잔여 수액량이 산출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정전용량식 센서(10a)로는 정전용량형 압력센서가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전용량식 센서(10a)는 소형 블록체 또는 소형 평판체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일측 표면에 접착용 실리콘(11)이 배치되면서 수액용기(1) 표면에 부착된다. 이와 같은 접착용 실리콘(11)은 세척이 용이하고, 접착력 재생이 가능한 것으로, 반영구적으로 사용가능하다.
이와 같은 수액용기 상태검출센서(10)는 본체 케이스(20)와 분리되어 본체 케이스(20)에 착탈고정될 수도 있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액용기 상태검출센서(10)는 연결줄(24)을 통해 본체 케이스(20)와 연결된다.
본체 케이스(20)는 수액용기 상태검출센서(10)가 결합되고, 무선통신유닛(30)과 고정모듈(40)이 형성되는 것이다. 여기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본체 케이스(20)의 일면에는 도 3에서와 같이 연결줄(24)이 끼워지는 연결줄 끼움홈(26)과 수액용기 상태검출센서(10)가 끼워지는 센서 끼움홈(25)이 연결형성된다. 이에 따라, 수액용기 상태검출기(100) 미사용시 연결줄(24)과 수액용기 상태검출센서(10)가 연결줄 끼움홈(26)과 센서 끼움홈(25)에 끼워지면서 수액용기 상태검출센서(10)나 연결줄(24)의 손상이나 파손이 방지되고, 보관 및 휴대가 용이해지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본체 케이스(20) 표면에는 조명을 위한 발광램프(21)와 무선통신 활성화 여부를 알리는 무선통신알림용 LED(23)가 형성된다. 발광램프(21)는 수액용기(1)나 수액용기(1)에 연결된 수액 이동관체(2)에 대한 야간 조명을 제공하는 백라이트의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다양한 형상과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발광램프(21)는 사각 라인 형상으로 이루어져 수액용기(1)나 수액용기(1)에 연결된 수액 이동관체(2) 방향으로 배치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액용기 상태검출기(100)는 외부의 전원장치에 의해 충전되는 충전모듈(27)이나 배터리(28)가 본체 케이스(20)에 설치되어 전원을 공급받게 되는데, 이에 대응하여 본체 케이스(20)의 표면에 전원상태 표시를 위한 전원상태표시용 LED(22)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본체 케이스(20)의 표면에 전원을 온오프시키는 온오프 전원스위치(29)가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온오프 전원스위치(29)는 슬라이드형 스위치를 포함하여 다양한 구조와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본체 케이스(20)의 전면, 측면, 후면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한면에 형성될 수 있다.
무선통신유닛(30)은 본체 케이스(20) 내부에 설치되어 수액용기 상태검출센서(10)로부터 검출된 수액용기 상태정보를 외부로 전송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통신유닛(30)으로는 블루투스 통신을 수행하는 블루투스 통신기가 사용된다.
고정모듈(40)은 본체 케이스(20) 외부에 설치되어 본체 케이스(20)가 설정위치에 고정되도록 한다. 이와 같은 고정모듈(40)로는 도 3과 도 4에서와 같이 수액용기(1)에 연결된 수액 이동관체(2) 외주면에 끼워지면서 본체 케이스(20)를 수액 이동관체(2)에 고정시키는 고정클립(41)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도 5에서와 같이 수액용기(1)에 연결된 챔버(3) 외측에 배치된 본체 케이스(20)를 이동관체(2)에 고정시키는 고정클립(41')이 사용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고정클립(41)(41')은 본체 케이스(20) 일면 상하부에 하나씩 형성된다.
이와 달리, 고정모듈(40)은 도 6과 도 7에서와 같이 수액용기(1) 표면 둘레를 감싸면서 본체 케이스(20)를 수액용기(1)에 고정시키는 고정밴드(42)가 사용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고정밴드(42)는 본체 케이스(20) 상하단에 띠 형상으로 연결형성되며, 각 끝단부에는 벨크로(421)(422)가 형성되어 서로 결합되는 부위가 조절될 수 있도록 한다. 고정모듈(40)이 고정밴드(42)로 이루어질 경우, 연결줄(24)과 수액용기 상태검출센서(10)가 연결줄 끼움홈(26)과 센서 끼움홈(25)에 끼워진 상태로 수액 용기(1) 표면에 밀착되어 사용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액용기 상태검출기(100)는 장치 구성이 단순화/소형화되어 적은 비용으로도 높은 활용성을 갖게 되는 동시에 휴대성도 증대된다. 이와 더불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액용기 상태검출기(100)는 정전용량식 센서(10a)를 수액용기 상태검출센서(10)로 사용함에 따라, 수액과 접촉하지 않으면서 잔여 수액량이 검출되어 위생성이 향상되고, 수액용기(1) 표면에서 잔여 수액량이 직접 검출되는 구조의 제공으로 검출 오차가 최소화된다.
수액용기 상태수신용 휴대단말기(200)는 수액용기 상태검출기(100)와 무선통신하는 무선통신유닛(210)을 구비하여 수액용기 상태정보를 전달받고, 수액용기(1)의 잔여 수액량이 설정량 이하로 낮아지는 조건에서 알림메시지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수액 관리 애플리케이션(300)이 설치된다. 여기서, 수액용기 상태검출기(100)와 수액용기 상태수신용 휴대단말기(200) 간 무선통신은 블루투스 통신으로 수행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수액용기 상태수신용 휴대단말기(200)는 스마트 폰이 사용될 수도 있고, 수액 관리 애플리케이션(300)이 설치될 수 있는 휴대폰이나 스마트 패드가 사용될 수도 있으며, 별도의 전용 휴대단말기가 사용될 수도 있다.
그리고, 수액용기 상태수신용 휴대단말기(200)는 환자 본인이 소지할 수도 있고, 환자 보호자나 간병인/간호사/의사와 같은 의료인이 소지할 수도 있다. 여기서 도 8에서와 같이 환자 본인이 수액용기 상태수신용 휴대단말기(200)를 소지할 경우, 수액용기 상태수신용 휴대단말기(200)에 설치된 수액 관리 애플리케이션(300)은 환자 보호자나 간병인/간호사/의사와 같은 의료인이 소지한 스마트폰이나 휴대폰으로 필요한 알림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액 관리 애플리케이션(300)은 무선통신 활성화모듈(310), 수액종류 선택모듈(320), 수액 잔여량 산출모듈(330), 수액 투여완료 판별모듈(340), 알림메시지 출력모듈(350), 수액용기 상태검출기 전원제어모듈(360)을 포함한다.
무선통신 활성화모듈(310)은 수액용기 상태수신용 휴대단말기(200)의 화면창에 무선통신 활성화 여부 선택화면을 출력시켜 무선통신 활성화 선택시 수액용기 상태수신용 휴대단말기(200)의 무선통신유닛(30)을 활성화시키게 되는 모듈이다.
수액종류 선택모듈(320)은 수액용기(1)에 수용되는 수액의 종류별 수액용기 표면 압력-수액용기 잔여 수액량 상관그래프 정보가 저장되고, 수액용기 상태수신용 휴대단말기(200)의 화면창에 수액 종류 선택화면을 출력시켜 선택된 수액 종류에 따른 수액용기 표면 압력-수액용기 잔여 수액량 상관그래프 정보를 활성화시켜 수액 잔여량 산출모듈(330)로 전달하는 모듈이다.
수액 잔여량 산출모듈(330)은 무선통신유닛(30)으로부터 수액용기(1)의 표면 압력 정보를 전달받고, 수액종류 선택모듈(320)로부터 수액 종류에 따른 수액용기 표면 압력-수액용기 잔여 수액량 상관그래프 정보를 전달받아 현재 수액 잔여량을 산출하게 되는 모듈이다.
수액 투여완료 판별모듈(340)은 수액 잔여량 산출모듈(330)에서 산출된 현재 수액 잔여량이 설정량 이하로 낮아지는 것을 수액 투여완료를 판별하여 수액 투여완료 알림메시지를 생성시키는 모듈이다. 여기서 알림메시지가 생성되어 출력되는 기준 잔여 수액량의 설정은 환자나 보호자, 관리자 등에 의해 수동으로 조절될 수 있다.
알림메시지 출력모듈(350)은 수액 투여완료 판별모듈(340)에서 생성된 수액 투여완료 알림메시지를 도 9에서와 같이 수액용기 상태수신용 휴대단말기(200)의 화면창에 별도의 팝업창으로 출력하는 모듈이다.
수액용기 상태검출기 전원제어모듈(360)은 수액용기 상태검출기(100)의 전원 온오프를 제어하게 되는 모듈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액용기 교환 관리시스템은 수액용기 상태검출기(100)와 연동된 수액용기 상태수신용 휴대단말기(200)에 설치된 수액 관리 애플리케이션(300)을 통한 알림메시지의 생성 및 출력으로 수액용기(1)가 적시에 교체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액용기 교환 관리시스템은 시스템 구성이 단순화되어 적은 비용으로도 높은 활용성을 갖게 된다.
이와 더불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액용기 교환 관리시스템은 수액용기 상태수신용 휴대단말기(200)를 휴대한 환자나 보호자, 관리자 등 선택된 특정 인물에게만 알림메시지가 정확하게 전달되므로 불필요한 소음이나 알림메시지와 무관한 불특정 다수의 불편함을 최소화시킬 수 있으며, 정전용량식 센서(10a)의 사용으로 수액과 접촉하지 않으면서 잔여 수액량이 검출되어 위생성이 향상되고, 수액용기(1) 표면에서 잔여 수액량이 직접 검출되는 구조의 제공으로 검출 오차가 최소화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액용기 교환 관리시스템은 알림메시지가 생성되어 출력되는 기준 잔여 수액량의 설정이 환자나 보호자, 관리자 등에 의해 조절되도록 함에 따라, 다양한 환경과 상황에 맞추어 활용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액용기 교환 관리시스템을 상기한 설명 및 도면에 따라 도시하였지만, 이는 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 분야의 통상적인 기술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 : 수액용기 2 : 수액 이동관체
3 : 챔버 10 : 수액용기 상태검출센서
10a : 정전용량식 센서 11 : 접착용 실리콘
20 : 본체 케이스 21 : 발광램프
22 : 전원상태표시용 LED 23 : 무선통신알림용 LED
24 : 연결줄 25 : 센서 끼움홈
26 : 연결줄 끼움홈 27 : 충전모듈
28 : 배터리 29 : 온오프 전원스위치
30, 210 : 무선통신유닛 40 : 고정모듈
41, 41' : 고정클립 42 : 고정밴드
421, 422 : 벨크로 100 : 수액용기 상태검출기
200 : 수액용기 상태수신용 휴대단말기
300 : 수액 관리 애플리케이션
310 : 무선통신 활성화모듈 320 : 수액종류 선택모듈
330 : 수액 잔여량 산출모듈 340 : 수액 투여완료 판별모듈
350 : 알림메시지 출력모듈
360 :수액용기 상태검출기 전원제어모듈

Claims (2)

  1. 상단이 설정 높이에 고정된 수액용기의 표면에 부착되는 수액용기 상태검출센서를 구비하고, 상기 수액용기 상태검출센서로부터 검출된 수액용기 상태정보를 외부로 전송하는 수액용기 상태검출기와;
    상기 수액용기 상태검출기와 무선통신하는 무선통신유닛을 구비하여 수액용기 상태정보를 전달받고, 수액용기의 잔여 수액량이 설정량 이하로 낮아지는 조건에서 알림메시지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수액 관리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되는 수액용기 상태수신용 휴대단말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액용기 교환 관리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액용기 상태검출기는 상기 수액용기 상태검출센서가 결합되는 본체 케이스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수액용기 상태검출센서로부터 검출된 수액용기 상태정보를 외부로 전송하는 무선통신유닛을 구비하고,
    상기 수액용기 상태검출기의 수액용기 상태검출센서는 정전용량식 센서로 이루어져 상기 수액용기의 표면 압력 변화를 센싱하면서 상기 수액용기의 잔여 수액량이 산출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되,
    상기 수액 관리 애플리케이션은 상기 수액용기 상태수신용 휴대단말기의 화면창에 무선통신 활성화 여부 선택화면을 출력시켜 무선통신 활성화 선택시 상기 수액용기 상태수신용 휴대단말기의 무선통신유닛을 활성화시키게 되는 무선통신 활성화모듈과;
    상기 수액용기에 수용되는 수액의 종류별 수액용기 표면 압력-수액용기 잔여 수액량 상관그래프 정보가 저장되고, 상기 수액용기 상태수신용 휴대단말기의 화면창에 수액 종류 선택화면을 출력시켜 선택된 수액 종류에 따른 수액용기 표면 압력-수액용기 잔여 수액량 상관그래프 정보를 활성화시키게 되는 수액 종류 선택모듈과;
    상기 무선통신유닛으로부터 상기 수액용기의 표면 압력 정보를 전달받고, 상기 수액 종류 선택모듈로부터 수액 종류에 따른 수액용기 표면 압력-수액용기 잔여 수액량 상관그래프 정보를 전달받아 현재 수액 잔여량을 산출하게 되는 수액 잔여량 산출모듈과;
    상기 수액 잔여량 산출모듈에서 산출된 현재 수액 잔여량이 설정량 이하로 낮아지는 것을 수액 투여완료를 판별하여 수액 투여완료 알림메시지를 생성시키는 수액 투여완료 판별모듈 및;
    상기 수액 투여완료 판별모듈에서 생성된 수액 투여완료 알림메시지를 상기 수액용기 상태수신용 휴대단말기의 화면창에 별도의 팝업창으로 출력하는 알림메시지 출력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액용기 교환 관리시스템.
KR1020150092365A 2015-06-29 2015-06-29 수액용기 교환 관리시스템 KR1017297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2365A KR101729727B1 (ko) 2015-06-29 2015-06-29 수액용기 교환 관리시스템
PCT/KR2015/006815 WO2017002994A1 (ko) 2015-06-29 2015-07-02 수액용기 교환 관리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2365A KR101729727B1 (ko) 2015-06-29 2015-06-29 수액용기 교환 관리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2189A true KR20170002189A (ko) 2017-01-06
KR101729727B1 KR101729727B1 (ko) 2017-04-24

Family

ID=576084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92365A KR101729727B1 (ko) 2015-06-29 2015-06-29 수액용기 교환 관리시스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729727B1 (ko)
WO (1) WO2017002994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RU179373U1 (ru) * 2017-07-11 2018-05-11 Общество с ограниченной ответственностью "Центр внедрения медицинских инноваций" Компактный переносной модуль оповещения для устройства регулирования и контроля температуры, скорости введения жидкостей и лекарственных растворов, используемых при инфузионной терапии
KR20180096439A (ko) 2017-02-21 2018-08-29 주식회사 마이알 측정효율이 향상될 수 있는 잔여수액량 측정장치
KR102453828B1 (ko) * 2022-01-12 2022-10-17 주식회사 이엠지 약물 자동주입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840664B (zh) * 2019-11-26 2021-06-25 珠海鹏宇汽车有限公司 一种基于太阳能的户外ecmo急救智能监护型救护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10775B1 (ko) 2010-10-13 2012-12-10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자연과 미래 환자보호를 위한 링거액 감시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44886Y1 (ko) * 2001-06-07 2001-10-22 구경환 링거액 잔량경보장치
JP2003310753A (ja) 2002-04-18 2003-11-05 Medicos Hirata:Kk 点滴筒照明装置及び使用方法
KR200374301Y1 (ko) * 2004-08-26 2005-01-27 (주) 엔텍 로드셀를 이용한 링거액 잔량 감지 및 통보 장치
US20060241552A1 (en) 2005-04-20 2006-10-26 Ming-Piao Tang Level detector of intravenous drip
KR100643086B1 (ko) * 2005-09-27 2006-11-10 박효남 수액관리장치
KR20070093238A (ko) * 2006-03-13 2007-09-18 신상열 링거 잔량 및 소요시간 표시기
KR20080007960A (ko) * 2006-07-19 2008-01-23 최병욱 링거투여 감시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10775B1 (ko) 2010-10-13 2012-12-10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자연과 미래 환자보호를 위한 링거액 감시 방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특허문헌 1)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제호 "휴대용 하나 이상의 링거주사 자동감시 및 경보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96439A (ko) 2017-02-21 2018-08-29 주식회사 마이알 측정효율이 향상될 수 있는 잔여수액량 측정장치
RU179373U1 (ru) * 2017-07-11 2018-05-11 Общество с ограниченной ответственностью "Центр внедрения медицинских инноваций" Компактный переносной модуль оповещения для устройства регулирования и контроля температуры, скорости введения жидкостей и лекарственных растворов, используемых при инфузионной терапии
KR102453828B1 (ko) * 2022-01-12 2022-10-17 주식회사 이엠지 약물 자동주입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7002994A1 (ko) 2017-01-05
KR101729727B1 (ko) 2017-04-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29727B1 (ko) 수액용기 교환 관리시스템
KR101642502B1 (ko) 휴대가능한 수액-비접촉형 수액용기 상태검출기
CN101829378B (zh) 智能型一体化野战输液装置与方法
KR101897000B1 (ko) 원격 수액 모니터링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원격 수액 모니터링 시스템
KR102436621B1 (ko) 수액 주입장치
CN207912979U (zh) 一种输液监控器
ES2852055T3 (es) Estación de acoplamiento para un dispositivo de alimentación enteral
JP6469633B2 (ja) 輸液モニタリング装置
CN202933303U (zh) 医用点滴提醒器
CN104784782A (zh) 一种医院吊瓶输液监测报警装置
CN204655670U (zh) 一种医院吊瓶输液监测报警装置
KR20170030086A (ko) 링거액 모니터링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원격 시스템 및 방법
KR101569379B1 (ko) 링거팩의 수액소진 감지장치
KR100748102B1 (ko) 링거액 투입 감지기
KR20160082840A (ko) 링거액 모니터링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원격 시스템 및 방법
JP3055131B2 (ja) 点滴容器の液位検知装置
KR20160059499A (ko) 링거수액 레벨 센싱 장치 및 그 운용방법
KR102207495B1 (ko) 수액주사를 맞는 도중에 수액주머니를 휴대하는 장치 및 그 구성방법
KR20190098802A (ko) 수액 모니터링 시스템
CN205054263U (zh) 一种b超探头加热装置
TWM499928U (zh) 點滴通報裝置
US20210361862A1 (en) Liquid transfer control device and liquid transfer apparatus
CN201558379U (zh) 一种联网电子输液监测仪
CN220046709U (zh) 一种点滴监测装置及系统
CN219319624U (zh) 一种儿科用智能体温监测护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