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02117A - 전자 디바이스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전자 디바이스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70002117A KR20170002117A KR1020150092120A KR20150092120A KR20170002117A KR 20170002117 A KR20170002117 A KR 20170002117A KR 1020150092120 A KR1020150092120 A KR 1020150092120A KR 20150092120 A KR20150092120 A KR 20150092120A KR 20170002117 A KR20170002117 A KR 20170002117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ound
- electronic device
- mode
- content
- housing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3—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for inputting data by handwriting, e.g. gesture or text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04—Detection arrangements using opto-electronic means
- G06F3/0317—Detection arrangements using opto-electronic means in co-operation with a patterned surface, e.g. absolute position or relative movement detection for an optical mouse or pen positioned with respect to a coded surface
- G06F3/0321—Detection arrangements using opto-electronic means in co-operation with a patterned surface, e.g. absolute position or relative movement detection for an optical mouse or pen positioned with respect to a coded surface by optically sensing the absolute position with respect to a regularly patterned surface forming a passive digitiser, e.g. pen optically detecting position indicative tags printed on a paper sheet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G06F3/03545—Pens or stylu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8—Control and interface arrangements therefor, e.g. drivers or device-embedded control circuitry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6—Sound input; Sound output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6—Sound input; Sound output
- G06F3/167—Audio in a user interface, e.g. using voice commands for navigating, audio feedback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1—Arrangements for interaction with the human body, e.g. for user immersion in virtual reality
- G06F3/013—Eye tracking input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ultimedia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전자 디바이스 및 그 제어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전자 디바이스 및 그 제어방법은, 사용자의 한 손의 복수의 손가락이 접촉되는 파지영역(grip portion)을 제공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마련된 마이크로폰; 상기 하우징 내부에 마련된 메모리; 상기 하우징의 적어도 일측에 위치한 센서부; 및 상기 마이크를 통해 획득한 음향과 상기 센서부를 통해 획득한 콘텐츠를 상기 메모리에 저장하는 제1 모드와, 상기 메모리에 저장한 음향을 재생하는 제2 모드와, 상기 센서부를 통해 획득한 사용자의 조작에 기초하되, 상기 콘텐츠에 대한 조작에 대응하여 상기 저장한 음향의 적어도 일부를 편집하는 제3 모드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모드로 동작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전자 디바이스에 대한 사용자의 조작에 기초하여 서로 다른 모드로 동작하도록 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전자 디바이스에 대한 사용자의 조작에 기초하여 서로 다른 모드로 동작하도록 할 수 있는 전자 디바이스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전자 디바이스는, 이동 가능여부에 따라 이동형과 고정형으로 나뉠 수 있다. 다시 이동형 전자 디바이스는 사용자의 직접 휴대 가능 여부에 따라 휴대(형) 전자 디바이스 및 거치형 전자 디바이스로 나뉠 수 있다.
전자 디바이스는 다양화 되고 있다. 예를 들어, 바(bar) 형태의 통상적인 형태로부터 다양한 상황에서 사용될 수 있는 웨어러블(wearable) 형태의 전자 디바이스로 분화되고 있다.
최근에는, 아날로그적인 감성의 부여 등을 목적으로 하여 종래에 존재하던 사물의 형태를 가지는 전자 디바이스에 대한 연구가 진행 중에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 및 다른 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다른 목적은 전자 디바이스에 대한 사용자의 조작에 기초하여 서로 다른 모드로 동작하도록 할 수 있도록 하는 전자 디바이스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 또는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사용자의 한 손의 복수의 손가락이 접촉되는 파지영역(grip portion)을 제공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마련된 마이크로폰; 상기 하우징 내부에 마련된 메모리; 상기 하우징의 적어도 일측에 위치한 센서부; 및 상기 마이크를 통해 획득한 음향과 상기 센서부를 통해 획득한 콘텐츠를 상기 메모리에 저장하는 제1 모드와, 상기 메모리에 저장한 음향을 재생하는 제2 모드와, 상기 센서부를 통해 획득한 사용자의 조작에 기초하되, 상기 콘텐츠에 대한 조작에 대응하여 상기 저장한 음향의 적어도 일부를 편집하는 제3 모드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모드로 동작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전자 디바이스를 제공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파지된 하우징을 사용하여 기 설정된 특정 제스쳐, 포스쳐, 문자, 기호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입력되면, 상기 모드를 전환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획득한 음향과 상기 획득한 콘텐츠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상기 획득한 음향의 특정 지점에 연동된 태그를 부가할 수 있다.
상기 모드는, 상기 저장한 음향과 콘텐츠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적어도 하나의 다른 단말기로 송신하여 상기 송신한 음향과 콘테츠가 상호 연동하여 재생되도록 하는 제4 모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3 모드에서, 상기 하우징을 파지한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콘텐츠의 적어도 일부를 삭제하는 조작을 획득하면, 상기 저장한 음향 중 상기 삭제된 적어도 일부에 대응된 영역을 삭제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3 모드에서, 상기 하우징을 파지한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콘텐츠에 새로운 콘텐츠를 추가하는 조작을 획득하면, 상기 저장한 음향에 상기 새로운 콘텐츠에 대응되는 태그를 부가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마이크로폰을 상기 제1 모드의 개시와 종료에 관계없이, 활성화하여 상기 음향을 저장할 수 있다.
다른 오브젝트와의 접촉지점인 상기 하우징의 일 끝단에 위치하여, 상기 접촉한 다른 오브젝트에 상기 궤적을 남기는 팁(tip)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모드에 따라 상기 팁을 선택적으로 활성화할 수 있다.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상기 콘텐츠를 적어도 하나의 다른 디바이스로 송신하는 무선 통신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사용자의 한 손의 복수의 손가락이 접촉되는 파지영역(grip portion)을 제공하는 하우징에 대한 사용자의 조작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마이크를 통해 획득한 음향과 상기 센서부를 통해 획득한 콘텐츠를 상기 메모리에 저장하는 제1 모드로 동작하는 단계; 상기 메모리에 저장한 음향을 재생하는 제2 모드로 동작하는 단계; 및 상기 센서부를 통해 획득한 사용자의 조작에 기초하되, 상기 콘텐츠에 대한 조작에 대응하여 상기 저장한 음향의 적어도 일부를 편집하는 제3 모드로 동작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자 디바이스의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제1 내지 3 모드는, 상기 파지된 하우징을 사용하여 기 설정된 특정 제스쳐, 포스쳐, 문자, 기호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입력되면 전환될 수 있다.
상기 획득한 음향과 상기 획득한 콘텐츠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상기 획득한 음향의 특정 지점에 연동된 태그를 부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저장한 음향과 콘텐츠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적어도 하나의 다른 단말기로 송신하여 상기 송신한 음향과 콘테츠가 상호 연동하여 재생되도록 하는 제4 모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마이크로폰을 상기 제1 모드의 개시와 종료에 관계없이, 활성화하여 상기 음향을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전자 디바이스 및 그 제어방법의 효과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전자 디바이스에 대한 사용자의 조작에 기초하여 서로 다른 모드로 동작하도록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적용 가능성의 추가적인 범위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은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 및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와 같은 특정 실시 예는 단지 예시로 주어진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어떤(some)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디바이스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어떤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디바이스의 전자소자들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어떤 실시예들에 따른 핀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내지 6은 본 발명의 다른(other) 실시예들에 따른 하우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및 8은 본 발명의 어떤 실시예들에 따른 팁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어떤 실시예들에 따른 광센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및 11은 본 발명의 어떤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디바이스 모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other)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디바이스 팁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및 14는 본 발명의 어떤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디바이스의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과 관련된 전자 디바이스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16 내지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디바이스의 동작을 도시한 플로우챠트이다.
도 20 내지 도 22는, 제1 모드로 동작하는 전자 디바이스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3 내지 도 25는, 제2 모드로 동작하는 전자 디바이스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6 내지 도 34는, 제3 모드로 동작하는 전자 디바이스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어떤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디바이스의 전자소자들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어떤 실시예들에 따른 핀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내지 6은 본 발명의 다른(other) 실시예들에 따른 하우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및 8은 본 발명의 어떤 실시예들에 따른 팁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어떤 실시예들에 따른 광센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및 11은 본 발명의 어떤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디바이스 모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other)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디바이스 팁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및 14는 본 발명의 어떤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디바이스의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과 관련된 전자 디바이스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16 내지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디바이스의 동작을 도시한 플로우챠트이다.
도 20 내지 도 22는, 제1 모드로 동작하는 전자 디바이스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3 내지 도 25는, 제2 모드로 동작하는 전자 디바이스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6 내지 도 34는, 제3 모드로 동작하는 전자 디바이스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전자 디바이스에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슬레이트 PC(slate PC), 태블릿 PC(tablet PC), 울트라북(ultrabook),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예를 들어, 워치형 단말기 (smartwatch), 글래스형 단말기 (smart glass), HMD(head mounted display)) 등이 포함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에 따른 구성은 전자 디바이스에만 적용 가능한 경우를 제외하면, 디지털 TV, 데스크탑 컴퓨터, 디지털 사이니지 등과 같은 고정 단말기에도 적용될 수도 있음을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도 1내지 15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은 전자 디바이스를 구현하는데 있어서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본 명세서 상에서 설명되는 전자 디바이스는 위에서 열거된 구성요소들 보다 많거나, 또는 적은 구성요소들을 가질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디바이스를 도시한 도면이다.
전자 디바이스(100)는 하우징(101), 팁(102), 센서(103), 마이크(104), 클립(105), 센서(106), 스피커(107), 그리고 캡(108)을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하우징(101:housing)은 길게 연장된 형상(elongated shape)일 수 있다. 하우징(101)은 사용자의 파지 편의성을 위한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하우징(101)은 길게 연장된 실린더 형상일 수 있다.
팁(102:tip)은 일측이 뾰족한 형상일 수 있다. 팁(102)의 타측은 하우징(101)의 일단에 결합될 수 있다. 팁(102)은 하우징(102)의 일단에 결합되어 사용자가 하우징(102)을 파지하고 팁(102)으로 필기를 할 수 있다. 팁(102)은 플렉서블(flexible) 재질일 수 있고, 단단한(rigid) 재질일 수도 있다. 팁(102)은, 후술하겠지만, 내부에 압력센서(149)를 구비할 수 있다.
센서들(103,106)은 하우징(101)의 외면에 구비될 수 있다. 센서들(103,106)은 사용자의 파지여부를 감지하는 센서일 수 있고, 사용자의 지문을 인식하기 위한 센서일 수 있고, 사용자의 안구를 인식하기 위한 센서일 수 있고, 이미지센서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일 수도 있다. 또한, 센서는 버튼 상에 구비될 수 있다. 사용자가 센서를 손가락으로 눌러(push) 설정된 기능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위에서 언급한 팁(102)의 압력센서와 버튼을 병용하여 마우스 등과 같은 다른 전자 디바이스의 입력장치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센서의 기능은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다.
마이크는 하우징(101)의 내부에 구비되고, 마이크홀(104)은 하우징(101)에 형성될 수 있다. 스피커는 하우징(101)의 내부에 구비되고, 스피커 홀(107)을 하우징(101)에 형성될 수 있다. 마이크 또는 스피커의 선택적 또는 병합적 구성에 의해, 녹음기능, 멀티미디어기능, 음성송수신기능 등을 구현할 수 있다.
클립(105)은 하우징(101)의 일측에 결합되거나 하우징(101)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캡(108)은 팁(102)이 결합된 반대측 하우징(101)에 결합될 수 있다. 캡(108)은 하우징(101) 개구의 마개가 될 수 있고, 버튼이 될 수 있고, 압력센서를 구비할 수도 있다. 필요에 따라, 캡(108)의 기능은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디바이스의 전자소자들을 도시한 도면이다. 전자소자들은PCB(99), FPCB(98), 자이로센서(143), 가속도센서(144), 각가속도센서(145), 지문인식센서(146), 안구감지센서(147), 그리고 압력센서(149)를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15를 참조하여 설명될 전자 디바이스의 구성들이 PCB(99) 또는 FPCB(98)에 실장될 수 있다. 커넥터(97)는 PCB(99)에 실장될 수 있다. 커넥터(97)는 외부 단자(96)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커넥터(97) 및 외부 단자(96)는 데이터 전송선 일 수 있고,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선일 수 있다.
자이로센서(143)는 자이로스코프가 내재된 물체가 회전운동을 하여 생기는 반발력을 측정하여 전기신호로 변환하는 소자일 수 있다. 이는, 관성 좌표계에서 물체의 운동을 측정하여 이동거리와 방향을 감지하는 것으로, 3차원 공간에서 물체의 동선을 파악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자이로센서(143)는 MEMS 자이로센서일 수 있다.
가속도센서(144)는 이동하는 물체의 가속도나 충격의 세기를 감지할 수 있다. 이는, 관성 좌표계에서 물체의 운동을 측정하는 것으로, 물체의 동선을 파악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속도센서(144)는 MEMS 가속도센서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물체가 2차원적인 운동을 한다면 자이로센서(143) 1개와 가속도센서(144) 2개가 필요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물체가 3차원적인 운동을 한다면 자이로센서(143) 3개와 가속도센서(144) 3개가 필요할 수 있다.
각가속도센서(145)는 관성 좌표계에서 물체의 회전운동을 감지하는 것으로, 자이로센서일 수 있다. 각가속도센서(145)는 센서의 감도(sensitivity)의 향상을 위해서 자이로센서(143)와 가속도센서(144)가 병합된 것일 수 있다.
지문인식센서(146)는 사용자 지문의 디지털 영상을 획득하여 사용자를 인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지문인식센서(146)는 광학식, 초음파식, 정전용량방식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안구감지센서(147)는 사용자의 눈을 감지할 수 있고, 안구의 움직임을 추적하여 사용자 시선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다. 압력센서(149)는 센서에 가해지는 힘을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여, 힘의 크기를 측정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핀을 도시한 도면이다. 핀(105)은 홀더(105a), 디스플레이모듈(151), 커버(105b), 그리고 윈도우(105c)를 포함할 수 있다.
홀더(105a)는 하우징(101)의 일측에 끼워질 수 있고, 하우징(101)과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홀더(105a)는 하우징(101)에 대하여 탄성운동을 할 수 있다. 홀더(105a)는 디스플레이모듈(151)이 안착되는 홈(105h)을 구비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모듈(151)은 PCB(151b)와 디스플레이패널(151a)을 포함할 수 있다. PCB(151b)는 디스플레이패널(151a)의 제어를 위한 전자소자들이 실장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패널(151a)은 PCB(151b)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소정의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모듈(151)은 홀더(105a)의 탄성운동에 대하여 순응하는 플렉서블(flexible) 디스플레이일 수 있다.
커버(105b)는 디스플레이모듈(151)이 홀더(105a)의 홈(105h)에 안착되면 디스플레이모듈(151)의 고정을 위해 홀더(105a)에 결합될 수 있다. 커버(105b)는 디스플레이모듈(151)에 대응하는 위치에 개구(105p)가 형성될 수 있다. 윈도우(105c)는 디스플레이의 보호를 위해 개구(105p)에 결합될 수 있다. 윈도우(105c)는 디스플레이의 보호 뿐만 아니라, 입력을 위한 터치윈도우를 구비할 수도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another)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을 도시한 도면이다.
하우징(101)은 삼각형의 단면을 가지고, 길게 연장될 수 있다. 하우징(101)이 삼각형의 단면을 가짐으로써, 사용자의 파지 편의성을 높일 수 있고, 전자 디바이스(100)의 구름(rolling)을 방지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151)는 하우징(101)의 외면에 구비될 수 있다. 도 1 내지 3을 참조하여 설명된 구성이 포함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another)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을 도시한 도면이다.
하우징(101)은 전체적으로 사각형의 단면을 가지고, 길게 연장될 수 있다. 하우징(101)이 사각형의 단면을 가짐으로써, 하우징(101) 일면의 면적(디스플레이의 면적을 포함할 수 있다)을 넓힐 수 있는 장점이 있고, 전자 디바이스(100)의 구름을 방지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151)는 하우징(101)의 넓은 외면에 구비될 수 있다. 도 1 내지 3을 참조하여 설명된 구성이 포함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another)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을 도시한 도면이다.
하우징(101)은 전체적으로 원형의 단면을 가지고, 길게 연장될 수 있다. 하우징(101)이 원형의 단면을 가짐으로써, 사용자가 하우징(101)의 방향성을 고려하지 않아도 되는 편의를 제공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151)는 하우징(101)의 외면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는, 넓은 면적의 디스플레이를 제공할 수 있음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이는 무한 면적의 디스플레이를 제공할 수 있음을 의미할 수 있다. 무한 면적의 디스플레이는 원통형을 이루는 디스플레이가 회전하면서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정보의 내용이 스크롤됨으로써 구현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도 1 내지 3을 참조하여 설명된 구성이 포함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팁을 도시한 도면이다.
팁(102)은 일측이 하우징(101)에 결합되고, 타측이 일측보다 좁은 단면을 가질 수 있다. 이는, 팁(102)이 하우징(101)에서 멀어질수록 가늘어지거나 뾰족해질 수 있음을 의미한다. 팁(102)의 끝은 둥글게 형성될 수도 있다. 팁(102)은 탄성을 지니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반면, 팁(102)은 단단한(rigid) 재질로 형성될 수도 있다. 팁(102)은 팁(102)에 가해지는 힘에 의해 소정의 변위 또는 변형이 생길(occur) 수 있다. 이러한 변위 또는 변형은 압력센서(149)에 의해 감지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another) 실시예에 따른 팁을 도시한 도면이다.
팁(102)은 다단의 돌출부들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광센서(148)가 팁(102)의 일측에 설치될 수 있다. 광센서(148)는 팁의 움직임(또는 궤적)을 감지할 수 있다. 광센서(148)는 레이저를 조사하고 물체의 표면으로부터 반사되는 레이저를 측정하여 팁(102)의 움직임을 추적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자 디바이스의 필기 영역의 속성 또는 필기면이 제한되지 않는다(the electronic device is not limited to write on the any surface or any attributes of writing area).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센서를 도시한 도면이다.
광센서(148)는 레이저 빛을 조사할 수 있다. 조사된 레이저는 필기면(writing surface)에 반사될 수 있다. 필기면에 따라서(depending on the writing surface) 일부 빛은 광센서(148) 레인지(range) 밖으로 벗어날 수 있고, 일부의 빛은 광센서(148) 레인지 안에서 측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광센서(148)는 해상도(resolution) 2000dpi, 움직임 속도(motion velocity) 0~1000mm/sec, 광파워(optical power) 0.3mW, 파장길이(wavelength) 850nm 의 스펙을 가질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디바이스 모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이 나타내는 전자 디바이스의 모드는 필기모드일 수 있다. 사용자가 전자 디바이스(100)를 파지하고 필기를 하면, 팁(102)이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움직이고(또는 궤적을 그리고) 광센서(148)는 이 움직임 또는 궤적을 측정하여 제어부(180)로 신호를 전송한다. 제어부(180)는 광센서(148)에서 전송되는 신호를 처리하여 이를 메모리(170)에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가 문자(WC)를, 알파벳 a, 를 필기(RA)하면 광센서(148)는 팁(102)의 움직임을 측정하고, 제어부(180)는 광센서(148)에 의한 신호를 처리하여 문자a라는 정보(RC)를 메모리(170)에 저장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another) 실시예에 따른 전자 디바이스 모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이 나타내는 전자 디바이스의 모드는 필기모드일 수 있다. 사용자가 전자 디바이스(100)를 파지하고 필기를 하면, 팁(102)이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움직이고(또는 궤적을 그리고) 센서모듈은 이 움직임 또는 궤적을 측정하여 제어부(180)로 신호를 전송한다. 센서모듈은 자이로센서(143), 가속도센서(144), 또는 각가속도센서(145)를 포함할 수 있다. 센서모듈의 위치는 팁(102)에 근접할 수 있고, 팁(102)으로부터 멀어질 수도 있다. 측정의 정밀도(sensitivity)만 보장된다면 센서모듈의 위치는 제한되지 않는다. 제어부(180)는 센서모듈에서 전송되는 신호를 처리하여 이를 메모리(170)에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가 문자(WC)를, 알파벳 a, 를 필기하면 센서모듈은 팁(102)의 움직임을 측정하고, 제어부(180)는 센서모듈에 의한 신호를 처리하여 문자a라는 정보(RC)를 메모리(170)에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센서모듈은 하우징(101)의 움직임 또는 궤적을 측정하여 제어부(180)로 신호를 전송할 수도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another) 실시예에 따른 전자 디바이스 팁을 도시한 도면이다.
전자 디바이스(100)는 닙(102r:nib)을 구비할 수 있다. 닙(102r)은 볼펜용 리필잉크, 수성 또는 유성 펜촉, 흑연심, 전자제어잉크 등이 될 수 있다. 닙(102r)의 체결을 위해, 팁(102)은 체결공(102h)을 구비할 수 있다. 체결공(102h)은 팁(102)에만 형성될 수 있고, 팁(102) 및 하우징(101)에 걸쳐 형성될 수도 있다. 광센서(148)는 닙(102r) 근처에 위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실체로 노트 등에 필기를 할 수 있고, 이를 디지털화하여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강의를 듣는 경우 사용자는 강의내용을 필기할 수 있고, 필기된 내용은 디지털 텍스트로 저장될 수 있다. 또한, 필기와 동시에 다른 전자 디바이스로 전송될 수도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사용자가 강의를 하는 경우, 사용자는 강의와 동시에 필기를 할 수 있고, 이 내용은 디지털 텍스트로 저장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청강자에게 디지털 텍스트가 전송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들은 강의내용을 적을 필요 없이 강의에 집중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디바이스의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디바이스(100)는, 전자 디바이스(100) 자체적으로 독자적인 통신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3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자 디바이스(100)는, 기지국(AP)과 직접 통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디바이스(100)에 내장된 무선 안테나 등을 사용하여 기지국(AP)으로 데이터를 송신하고, 기지국(AP)으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이와 같은 점은, 사용자가 소유한 다른 단말기에 종속적이었던 종래의 디바이스와 다르다.
도 13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지국(AP)과 통신한 전자 디바이스(100)는, 다른 전자기기(200)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디바이스(100)가, 페어링(paring)되어 있는 다른 전자기기(200)에 대한 데이터의 중계역할을 수행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디바이스의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디바이스(100)는, 콘텐츠(WC)를 다양한 방식으로 저장 및/또는 송신할 수 있다.
도 14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전자 디바이스(100)를 사용하여 콘텐츠(WC)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펜 형태의 전자 디바이스(100)를 사용하여 글씨를 쓸 수 있음을 의미한다. 전자 디바이스(100)는, 광센서 및/또는 가속도센서 등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생성한 콘텐츠(WC)인 글씨를 인식할 수 있다.
전자 디바이스(100)는, 사용자가 생성한 콘텐츠(WC)를 전자 디바이스(100)에 내장된 메모리(170)에 텍스트(text) 포멧 및/또는 이미지 포멧으로 저장될 수 있다. 즉, 전자 디바이스(100)의 제어부(180)는, 사용자가 생성한 콘텐츠(WC)를 인식하여 텍스트 포멧으로 저장함으로서 전체적인 용량이 커지지 않도록 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제어부(180)는, 콘텐츠(WC)에 대한 인식이 용이하지 않은 상황이거나 콘텐츠(WC)가 그림인 경우에는 이미지 포멧으로 저장할 수도 있다.
도 14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어부(180)는, 전자 디바이스(100)를 다른 디바이스(200)와 동기화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다른 디바이스(200)와 동기화할 때, 제어부(180)는 메모리(170)에 저장한 콘텐츠(WC)를 송신할 수 있다. 다른 디바이스(200)와의 동기화는, 전자 디바이스(100)가 아이들링(idling) 상태에 있을 때 진행될 수 있다.
제어부(180)는, 메모리(170)에 저장한 콘텐츠(WC)를 외부서버(S)에 동기화하여 전송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다른 디바이스(200) 및/또는 외부서버(S)와 동기화한 콘텐츠(WC)를 메모리(170)에서 삭제할 수 있다. 즉, 메모리(170) 용량의 확보를 위하여, 동기화한 데이터를 삭제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도 15는 본 발명과 관련된 전자 디바이스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상기 전자 디바이스(100)는 무선 통신부(110), 입력부(120), 감지부(140), 출력부(150), 인터페이스부(160), 메모리(170), 제어부(180) 및 전원 공급부(19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5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은 전자 디바이스를 구현하는데 있어서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본 명세서 상에서 설명되는 전자 디바이스는 위에서 열거된 구성요소들 보다 많거나, 또는 적은 구성요소들을 가질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구성요소들 중 무선 통신부(110)는, 전자 디바이스(100)와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전자 디바이스(100)와 다른 전자 디바이스 사이, 또는 전자 디바이스(100)와 외부서버 사이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무선 통신부(110)는, 전자 디바이스(100)를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에 연결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무선 통신부(110)는, 방송 수신 모듈(111), 이동통신 모듈(112), 무선 인터넷 모듈(113), 근거리 통신 모듈(114), 위치정보 모듈(115)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120)는, 영상 신호 입력을 위한 카메라(121) 또는 영상 입력부, 오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마이크로폰(microphone, 122), 또는 오디오 입력부, 사용자로부터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사용자 입력부(123, 예를 들어, 터치키(touch key), 푸시키(mechanical key) 등)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120)에서 수집한 음성 데이터나 이미지 데이터는 분석되어 사용자의 제어명령으로 처리될 수 있다.
센싱부(140)는 전자 디바이스 내 정보, 전자 디바이스를 둘러싼 주변 환경 정보 및 사용자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센싱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싱부(140)는 근접센서(141, proximity sensor), 조도 센서(142, illumination sensor), 터치 센서(touch sensor), 가속도 센서(acceleration sensor), 자기 센서(magnetic sensor), 중력 센서(G-sensor), 자이로스코프 센서(gyroscope sensor), 모션 센서(motion sensor), RGB 센서, 적외선 센서(IR 센서: infrared sensor), 지문인식 센서(finger scan sensor), 초음파 센서(ultrasonic sensor), 광 센서(optical sensor, 예를 들어, 카메라(121 참조)), 마이크로폰(microphone, 122 참조), 배터리 게이지(battery gauge), 환경 센서(예를 들어, 기압계, 습도계, 온도계, 방사능 감지 센서, 열 감지 센서, 가스 감지 센서 등), 화학 센서(예를 들어, 전자 코, 헬스케어 센서, 생체 인식 센서 등), 도 2를 참조하여 설명된, 자이로센서(143), 가속도센서(144), 각가속도센서(145), 지문인식센서(146), 안구감지센서(147), 그리고 광센서(148)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 개시된 전자 디바이스는, 이러한 센서들 중 적어도 둘 이상의 센서에서 센싱되는 정보들을 조합하여 활용할 수 있다.
출력부(150)는 시각, 청각 또는 촉각 등과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으로, 디스플레이부(151), 음향 출력부(152), 햅팁 모듈(153), 광 출력부(154)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터치 센서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거나 일체형으로 형성됨으로써, 터치 스크린을 구현할 수 있다. 이러한 터치 스크린은, 전자 디바이스(100)와 사용자 사이의 입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사용자 입력부(123)로써 기능함과 동시에, 전자 디바이스(100)와 사용자 사이의 출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60)는 전자 디바이스(100)에 연결되는 다양한 종류의 외부 기기와의 통로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인터페이스부(160)는, 유/무선 헤드셋 포트(port), 외부 충전기 포트(port), 유/무선 데이터 포트(port),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port),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port),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port), 이어폰 포트(port)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전자 디바이스(100)에서는, 상기 인터페이스부(160)에 외부 기기가 연결되는 것에 대응하여, 연결된 외부 기기와 관련된 적절할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170)는 전자 디바이스(100)의 다양한 기능을 지원하는 데이터를 저장한다. 메모리(170)는 전자 디바이스(100)에서 구동되는 다수의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 program 또는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 전자 디바이스(100)의 동작을 위한 데이터들, 명령어들을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응용 프로그램 중 적어도 일부는, 무선 통신을 통해 외부 서버로부터 다운로드 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응용 프로그램 중 적어도 일부는, 전자 디바이스(100)의 기본적인 기능(예를 들어, 전화 착신, 발신 기능, 메시지 수신, 발신 기능)을 위하여 출고 당시부터 전자 디바이스(100)상에 존재할 수 있다. 한편, 응용 프로그램은, 메모리(170)에 저장되고, 전자 디바이스(100) 상에 설치되어, 제어부(180)에 의하여 상기 전자 디바이스의 동작(또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동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상기 응용 프로그램과 관련된 동작 외에도, 통상적으로 전자 디바이스(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제어부(180)는 위에서 살펴본 구성요소들을 통해 입력 또는 출력되는 신호, 데이터, 정보 등을 처리하거나 메모리(170)에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적절한 정보 또는 기능을 제공 또는 처리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0)는 메모리(170)에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하기 위하여, 도 15와 함께 살펴본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를 제어할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180)는 상기 응용 프로그램의 구동을 위하여, 전자 디바이스(100)에 포함된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둘 이상을 서로 조합하여 동작시킬 수 있다.
전원공급부(190)는 제어부(180)의 제어 하에서,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 받아 전자 디바이스(100)에 포함된 각 구성요소들에 전원을 공급한다. 이러한 전원공급부(190)는 배터리를 포함하며, 상기 배터리는 내장형 배터리 또는 교체가능한 형태의 배터리가 될 수 있다.
상기 각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는, 이하에서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디바이스의 동작, 제어, 또는 제어방법을 구현하기 위하여 서로 협력하여 동작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자 디바이스의 동작, 제어, 또는 제어방법은 상기 메모리(170)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응용 프로그램의 구동에 의하여 전자 디바이스 상에서 구현될 수 있다.
도 16 내지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디바이스의 동작을 도시한 플로우챠트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디바이스(100)의 제어부(180)는, 사용자의 의도에 기초하여 서로 다른 동작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어부(180)는, 전자 디바이스(100)를 활성화 하는 단계(S10)를 진행할 수 있다.
전자 디바이스(100)는, 전술한 바와 같이, 펜 형태일 수 있다. 즉, 전체적으로 원통형이며 길이방향으로 연장된(enlongated) 형태일 수 있다.
전자 디바이스(100)의 끝단에는 잉크가 나오는 팁(102)이 마련되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전자 디바이스(100)를 펜과 같이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디바이스(100)를 사용하여 종이 위에 글씨 등을 기재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기재한 글씨 등은, 전자 디바이스(100)에 의하여 인식될 수 있다. 즉, 아날로그적인 방법으로 메모를 기록하는 동시에 디지털적인 방법으로 메모를 동시게 기록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제어부(180)는, 전자 디바이스(100)를 선택적으로 활성화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전자 디바이스(100)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비활성화하고, 전자 디바이스(100)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활성화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전자 디바이스(100)를 책상 위 등에 올려 놓고 일정 시간이 경과하면 배터리 절약을 위하여 제어부(180)는 전자 디바이스(100)를 비활성화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비활성화된 전자 디바이스(100)가 집어올려지면 활성화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전자 디바이스(100)의 기능 중 특정 기능만을 선택적으로 활성화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팁(102)을 선택적으로 활성화할 수 있다. 즉, 종이 등에 필기가 필요한 경우에는 팁(102)을 통한 잉크분사를 활성화하고, 필기가 필요 없는 경우에는 팁(102)을 통한 잉크분사를 비활성화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제어부(180)는, 제1 모드를 진행하는 단계(S20)를 수행할 수 있다. 제1 모드는, 마이크(152) 등을 통해 획득한 음향과 센서부(140)를 통해 획득한 콘텐츠를 메모리(170)에 저장하는 모드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디바이스(100)의 파지영역(grip portion)을 잡은 사용자가, 전자 디바이스(100)를 사용하여 문자 등을 기재하고 있는 상태에서 동작하는 경우일 수 있다. 파지영역은, 펜 형태의 전자 디바이스에서 팁(102) 상측의 일정영역일 수 있다. 즉, 사용자 한 손의 복수의 손가락이 접촉되는 영역일 수 있음을 의미한다.
제어부(180)는, 사용자가 기재하는 문자 등을 센싱부(140) 및/또는 광센서(148)를 통해 인식할 수 있음은, 전술한 바와 같다.
제어부(180)는, 제2 모드를 진행하는 단계(S30)를 수행할 수 있다. 제2 모드는, 제2 모드는, 메모리(170)에 저장한 음향과 콘텐츠를 상호 연동하여 재생(reproduce)하는 모드일 수 있다. 즉, 제1 모드에서는 음향과 콘텐츠를 저장하고, 제2 모드에서는 이를 재생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제어부(180)는, 제3 모드를 진행하는 단계(S40)를 수행할 수 있다. 제3 모드는, 콘텐츠에 대한 사용자의 입력에 대응하여 저장한 음향의 적어도 일부를 편집하는 모드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음향 및/또는 콘텐츠에 대한 편집모드일 수 있음을 의미한다. 제3 모드에서, 센서부(140)를 통한 사용자의 특정 조작이 있으면, 제어부(180)는 그에 대응하여 콘텐츠를 편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콘텐츠의 일부분을 삭제하는 동작을 수행하면, 삭제된 일부분에 대응된 음향도 함께 삭제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이와 같은 편집을 통해, 사용자는 편집을 보다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음은 물론, 아날로그적인 감성을 체감할 수 있다.
도 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모드에서, 제어부(180)는 마이크(152)를 활성화하는 단계(S22)를 수행할 수 있다. 활성화된 마이크(152)는, 외부의 음향을 녹음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콘텐츠를 획득하는 단계(S24)를 수행할 수 있다. 콘텐츠는, 전자 디바이스(100)를 펜과 같이 사용하는 경우에 획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종이 등 다른 오브젝트에 기재한 글씨를 광센서(148) 및/또는 자이로 센서(143) 등을 통해 획득한 데이터가 콘텐츠일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는, 강의를 녹음하면서 강의내용을 필기하는 경우를 전제하는 경우 쉽게 이해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음향과 콘텐츠를 연동하여 저장하는 단계(S26)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50분 동안 음향을 녹음한 경우에, 10분 단위로 음향의 어느 부분이 획득한 콘텐츠에 대응되는가 여부가 인덱싱(indexing)될 수 있다. 또는, 주요한 부분의 경우에 자동적으로 음향과 콘텐츠의 해당 부분이 상호 매칭(matching)될 수 있다.
도 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모드에서, 제어부(180)는 스피커를 활성화하는 단계(S32)를 수행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음향과 콘텐츠를 연동하여 재생하는 단계(S34)를 수행할 수 있다. 음향과 콘텐츠는, 전술한 바와 같이, 실질적으로 동시에 생성될 수 있다. 즉, 강의를 녹음하며 강의내용을 기재하는 상황일 수 있음을 의미한다. 따라서 음향과 콘텐츠를 재생하는 경우에, 현재 재생되고 있는 음향이 콘텐츠의 어느 부분에 대응된 것인가에 대한 표시가 수행될 수 있다.
도 1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3 모드에서, 제어부(180)는 콘텐츠의 특정 부위에 대한 제스쳐를 획득하는 단계(S42)를 수행할 수 있다. 즉, 전자 디바이스(100)를 파지한 사용자가, 콘텐츠의 특정 위치에 특정 기호를 기재하는 제스쳐를 획득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콘텐츠의 특정 부위에 전자 디바이스(00)의 팁(102)을 사용하여 가로로 두 줄을 긋는 동작을 획득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제어부(180)는, 제스쳐의 종류에 따라 콘텐츠 및/또는 음향의 특정 부분을 편집하는 단계(S44)를 수행할 수 있다. 즉, 사용자로부터 획득한 제스쳐에 따라 콘텐츠를 편집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전술한 바와 같이 가로로 두 줄을 긋는 동작을 획득하면, 제어부(180)는 해당 부분에 대응된 음향을 메모리(170)에서 삭제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메모리(170)에서 삭제된 음향은, 그 다음부터는 재생되지 않을 수 있다.
도 20 내지 도 22는, 제1 모드로 동작하는 전자 디바이스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디바이스(100)는, 음향 및 전자 디바이스(100)를 사용한 제스쳐에 대응된 콘텐츠를 획득하여 저장할 수 있다.
도 2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자 디바이스(100)의 사용자는, 전자 디바이스(100)를 파지하여 사용할 수 있다. 전자 디바이스(100)는, 종이와 같은 오브젝트(300) 상에서 사용될 수 있다. 즉, 전자 디바이스(100)의 팁(102)이 오브젝트(300)에 접촉된 상태에서 문자, 기호, 그림 등이 입력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사용자(U)는, 전자 디바이스(100)의 마이크로폰(122)를 사용하여 다른사람(P1)의 음성을 녹음할 수 있다.
도 2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자 디바이스(100)의 사용자는, 전자 디바이스(100)를 사용하여 오브젝트(300) 상에 필기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U)는, 전자 디바이스(100)의 팁(102)을 사용하여 종이인 오브젝트(300)에 콘텐츠(C)를 기재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도 2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녹음된 음향데이터(400)는, 오브젝트(300)에 기재된 콘텐츠(C)에 대응되어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음향데이터(400)의 특정 시점인 t1, t2, t3에 대응되도록 콘텐츠(C)의 특정 지점이 매칭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음향데이터(400)에 콘텐츠(C)의 특정 지점에 대응된 태그(tag)가 부가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도 23 내지 도 25는, 제2 모드로 동작하는 전자 디바이스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디바이스(100)의 제어부(180)는, 제1 모드에서 녹음된 음향과 기록된 콘텐츠를, 상호 매칭하여 재생(reproducing)할 수 있다.
도 2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디바이스(100)의 제어부(180)는, 저장한 데이터를 다른 단말기(200)로 전송할 수 있다.
전자 디바이스(100)의 제어부(180)는, 음향과 콘텐츠를 저장(S110)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저장한 음향과 콘텐츠를 다른 단말기(200)로 전송(S120)할 수 있다.
다른 단말기(200)는, 전송받은 음향과 콘텐츠를 저장(S130)할 수 있다.
다른 단말기(200)는, 전송받은 음향과 콘텐츠를 재생(S140)하고 편집(S150)할 수 있다. 즉, 음향데이터와 콘텐츠 데이터의 생산은 전자 디바이스(100)에서 수행하고, 생산한 데이터의 재생은 다른 단말기(200)가 수행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이와 같은 생산과 재생의 분배를 통하여, 전자 디바이스(100)를 보다 편리하고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좀 더 큰 디스플레이를 가지고 있는 다른 단말기(200)에서 콘텐츠가 표시되도록 함으로서, 콘텐츠를 보다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다른 단말기(200)는, 편집한 음향과 콘텐츠를 전자 디바이스(100)로 전송(S160)할 수 있다.
도 2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데이터를 전송받은 다른 단말기(200)는, 전송받은 데이터를 재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다른 단말기(200)의 음향출력부(252)를 통해 음향을 출력하며, 다른 단말기(200)의 디스플레이(215)에 전송받은 콘텐츠(SC)를 표시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디스플레이(215)에는, 음향데이터(400)가 더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송받은 콘텐츠(SC)의 전부 또는 일부에 대응된 부분의 음향데이터(400)가 표시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음향데이터(400) 및/또는 전송받은 콘텐츠(SC)에는, 식별자(ID) 및/또는 하일라이트(HL)가 더 표시될 수 있다.
식별자(ID) 및/또는 하일라이트(HL)는, 출력 중인 음향데이터(400)에 대응된 위치를 시각적으로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출력 중인 음향데이터(400)상의 식별자(ID)에 대응된 콘텐츠(SC)에, 하일라이트(HL)가 표시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전자 디바이스(100)가 음향과 콘텐츠 중 적어도 하나를 다른 단말기(200)가 재생할 수 있도록 송신하여 출력하는 모드는, 제4 모드로 호칭할 수 있다.
도 2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음향은 전자 디바이스(100)에서 출력될 수 있다. 즉, 전자 디바이스(100)의 마이크로폰(122)을 통해 음향이 출력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사용자는 출력되는 음향을 들으며, 오브젝트(300)에 기재한 콘텐츠(C)를 볼 수 있다. 즉, 아날로그적인 상태로 종이 등의 오브젝트(300)에 기재한 내용을 살펴볼 수 있음을 의미한다.
도 26 내지 도 35는, 제3 모드로 동작하는 전자 디바이스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디바이스(100)의 제어부(180)는, 콘텐츠에 대한 조작을 통해 음향의 재생을 변경 및/또는 음향을 편집할 수 있는 제3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도 2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어부(180)는, 오브젝트(300)에 대한 사용자의 입력에 대응하여 음향데이터(400)의 출력을 변경할 수 있다.
도 26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마이크로폰(122) 등을 통해 음향이 출력되고 있을 수 있다. 음향의 출력은, 전송된 다른 단말기(200)에서 진행될 수도 있다. 사용자는 출력되는 음향을 청취하며, 오브젝트(300)에 필기한 내용을 눈으로 볼 수 있다. 현재, 음향의 출력은 t1 시점에서 진행 중일 수 있다. t1 시점은, 필기한 내용의 전반부에 대응되어 있을 수 있다.
도 26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전자 디바이스(100)를 사용하여 특정 기호를 입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오브젝트(300)에 제1 제스쳐입력(G1)을 수행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제1 제스쳐입력(G1)은, 전자 디바이스(100) 끝단의 팁(102)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팁(102)이 오브젝트(300)에 접촉되어 이동되면, 오브젝트(300)에는 제1 제스쳐입력(G1)에 대응된 궤적이 남을 수 있다. 제어부(180)는, 제1 제스쳐입력(G1)에 대응된 궤적을 광센서(148) 및/또는 자이로센서(143) 등을 통해 획득할 수 있다.
제1 제스쳐입력(G1)은, 해당 부분을 재생하고자 하는 기 설정된 기호일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180)는, 제1 제스쳐입력(G1)을 획득하면, 해당 기호에 대응된 t2 시점으로 재생위치를 변경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전자 디바이스(100)에 대한 제스쳐 동작을 통해, 재생하고 싶은 지점으로 빠르게 이동되도록 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도 2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마이크로폰(122)을 통해, 기 저장된 음향이 출력될 수 있다.
오브젝트(300)에 기재된 내용을 확인하며 음향을 청취하던 사용자는, 특정 부분의 기재가 누락된 것을 발견할 수 있다. 즉, 특정 지점에 누락콘텐츠(OC)가 존재함을 인지하게 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도 2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전자 디바이스(100)를 사용한 특정 제스쳐 이후에 필요한 내용을 추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오브젝트(300) 상에 제2 제스쳐입력(G2)을 수행한 후 추가콘텐츠(AC)를 기재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제어부(180)는, 전술한 바와 같이, 녹음된 음향(400)과 콘텐츠(C)를 상호 매칭시켜놓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녹음된 음향(400)의 t1 내지 t5 시점이 콘텐츠(C)의 특정 지점들에 매칭되어 있을 수 있음을 의미한다. 이와 같은 매칭에 기초하여, 제어부(180)는, 특정 지점을 선택적으로 재생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추가콘텐츠(AC)에 대해서도 추가의 매칭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t6 시점이 그 지점이라면, t6 시점이 추가콘텐츠(AC)에 대응됨을 저장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따라서 그 이후에 사용자가 추가콘텐츠(AC)를 선택하면, 제어부(180)는 추가콘텐츠(AC)에 대응된 음향을 선택적으로 재생할 수 있다.
도 2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마이크로폰(122)을 통해 저장된 음향이 출력될 수 있다. 저장된 음향을 출력하며, 오브젝트(300)의 기재내용을 확인하던 사용자는, 누락콘텐츠(OC)가 있음을 발견할 수 있다.
도 3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전자 디바이스(100)를 사용하여 제3 제스쳐(G3)를 수행할 수 있다. 제3 제스쳐입력(G3)은, 문장의 중간에 내용을 추가하고자 하는 경우에 사용되는 기호일 수 있다.
제3 제스쳐(G3)에 대응된 추가콘텐츠(AC)를 부가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추가콘텐츠(AC)가 기재되었음을 감지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음향데이터(400)와 추가콘텐츠(AC)가 상호 연동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추가콘텐츠(AC)에 대응된 t3 시점에 태그(tag)를 추가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따라서 차후에 추가콘텐츠(AC)가 선택된 경우에, 제어부(180)는 그에 대응된 t3 시점을 재생할 수 있다.
도 3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자 디바이스(100)는, 저장한 음향을 출력할 수 있다. 사용자는, 출력되는 음향을 들으며, 오브젝트(300)에 기재한 내용을 확인할 수 있다.
도 32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오브젝트(300)에 기재한 내용의 특정 부분을 삭제하는 제스쳐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4 제스쳐입력(G4)을 수행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제4 제스쳐입력(G4)은, 오브젝트(300)에 기재된 내용에 대한 동작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거콘텐츠(TC)에 복수의 가로 줄을 긋는 동작일 수 있음을 의미한다.
도 32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4 제스쳐입력(G4)이 획득되면, 제어부(180)는, 음향데이터(400)에서 제거콘텐츠(TC)에 대응된 부분을 삭제할 수 있다. 따라서 차후에 출력하는 경우에는, t1 시점에서 t2 시점이 재생되지 않을 수 있다. 즉, 음향데이터(400)의 출력시, t1 시점이 경과하면 바로 t2 시점으로 이동되어 음향이 재생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도 33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전자 디바이스(100)를 사용하여 제5 제스쳐입력(G5)을 수행할 수 있다. 제5 제스쳐입력(G5)은, 오브젝트(300)에 기재된 내용의 특정 부위를 특정하는 입력일 수 있다.
도 33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 설정된 제5 제스쳐입력(G5)이 획득되면, 제어부(180)는, 해당부분에 식별표지(BM)를 부가할 수 있다.
식별표지(BM)는, 일종의 책갈피 기능일 수 있다. 즉, 사용자가 해당 부분을 다른 부분과 다르게 간주하고 있다는 표시일 수 있음을 의미한다.
도 3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어부(180)는, 사용자가 선택한 녹음시점을 포함하는 음향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사용자로부터 음향의 저장을 개시하도록 하는 입력을 획득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음향의 저장을 개시하도록 하는 입력을 획득하면, 그 이전 시점에서부터의 음향을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저장을 개시하도록 하는 입력조작을 t3 시점에 수행한 경우라고 하더라도, t3 시점보다 일정 정도 앞서는 t0 시점부터 녹음을 시작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제어부(180)는, 사용자의 조작에 앞선 녹음을 위하여, 마이크로폰(122)을 활성화하고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마이크로폰(122)을 통상적으로 활성화하여 음향을 녹음하고 있을 수 있음을 의미한다. 사용자의 조작이 없는 경우, 녹음된 음향은 버퍼(buffer)에서 제거될 수 있다. 사용자의 조작이 입력된 경우, 사용자 조작으로부터 일정시간 이전의 음향부터 메모리에 저장될 수 있다.
제어부(180)는, 녹음을 중단하고자 하는 사용자의 조작이 입력된 시점을 넘어서도록 녹음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t4 시점에 사용자의 조작이 입력된 경우에도, 그로부터 일정 시점이 경과한 t8 시점까지 녹음을 수행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즉, 제어부(180)는, t0 시점에서 t8 시점까지 음향을 저장(recorded)하고 있을 수 있다.
최초버젼은, 사용자가 저장의 개시 및 중단을 입력한 t3 시점에서 t4 시점 사이의 음향일 수 있다. 아무런 조작이 없다면, 최초버젼에 대응된 음향이 콘텐츠에 연계되어 출력될 수 있다.
제1 수정버젼은, 최초버젼의 시작시점보다 빠른 t1 시점으로 시작 시점을 수정한 버젼일 수 있다. 제1 수정버젼을 최초버젼의 시작시점보다 빠른 t1 시점으로 수정할 수 있었던 것은, 최초버젼의 범위를 포함하는 시간범위를 저장하고 있던 저장데이터가 존재하기 때문일 수 있다.
제2 수정버젼은, 최초버젼의 종료시점보다 늦은 t5 시점으로 종료 시점을 수정한 버젼일 수 있다.
제3 수정버젼은, t4 시점에서 t6 시점을 건너뛰고 t6에서 t7 시점 사이의 음향을 추가한 버전일 수 있다. 재생시에는, t5 시점까지 재생된 후 바로 t6 시점에 대응된 음향이 t7 시점까지 재생될 수 있다. 즉, 연속적인(seamless) 재생이 가능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전술한 본 발명은, 프로그램이 기록된 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의 예로는, HDD(Hard Disk Drive), SSD(Solid State Disk), SDD(Silicon Disk Drive),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 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컴퓨터는 단말기의 제어부(180)를 포함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100: 전자 디바이스
110: 무선통신부
120: 입력부
140: 센싱부 150: 출력부
160: 인터페이스부 170: 메모리
180: 제어부 190: 전원공급부
120: 입력부
140: 센싱부 150: 출력부
160: 인터페이스부 170: 메모리
180: 제어부 190: 전원공급부
Claims (15)
- 사용자의 한 손의 복수의 손가락이 접촉되는 파지영역(grip portion)을 제공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마련된 마이크로폰;
상기 하우징 내부에 마련된 메모리;
상기 하우징의 적어도 일측에 위치한 센서부; 및
상기 마이크를 통해 획득한 음향과 상기 센서부를 통해 획득한 콘텐츠를 상기 메모리에 저장하는 제1 모드와, 상기 메모리에 저장한 음향을 재생하는 제2 모드와, 상기 센서부를 통해 획득한 사용자의 조작에 기초하되, 상기 콘텐츠에 대한 조작에 대응하여 상기 저장한 음향의 적어도 일부를 편집하는 제3 모드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모드로 동작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전자 디바이스.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파지된 하우징을 사용하여 기 설정된 특정 제스쳐, 포스쳐, 문자, 기호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입력되면, 상기 모드를 전환하는 전자 디바이스.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획득한 음향과 상기 획득한 콘텐츠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상기 획득한 음향의 특정 지점에 연동된 태그를 부가하는 전자 디바이스.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모드는,
상기 저장한 음향과 콘텐츠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적어도 하나의 다른 단말기로 송신하여 상기 송신한 음향과 콘테츠가 상호 연동하여 재생되도록 하는 제4 모드를 더 포함하는 전자 디바이스.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3 모드에서, 상기 하우징을 파지한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콘텐츠의 적어도 일부를 삭제하는 조작을 획득하면, 상기 저장한 음향 중 상기 삭제된 적어도 일부에 대응된 영역을 삭제하는 전자 디바이스.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3 모드에서, 상기 하우징을 파지한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콘텐츠에 새로운 콘텐츠를 추가하는 조작을 획득하면, 상기 저장한 음향에 상기 새로운 콘텐츠에 대응되는 태그를 부가하는 전자 디바이스.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마이크로폰을 상기 제1 모드의 개시와 종료에 관계없이, 활성화하여 상기 음향을 저장하는 전자 디바이스. - 제1 항에 있어서,
다른 오브젝트와의 접촉지점인 상기 하우징의 일 끝단에 위치하여, 상기 접촉한 다른 오브젝트에 상기 궤적을 남기는 팁(tip)을 더 포함하는 전자 디바이스. -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모드에 따라 상기 팁을 선택적으로 활성화하는 전자 디바이스.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상기 콘텐츠를 적어도 하나의 다른 디바이스로 송신하는 무선 통신부를 더 포함하는 전자 디바이스. - 사용자의 한 손의 복수의 손가락이 접촉되는 파지영역(grip portion)을 제공하는 하우징에 대한 사용자의 조작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마이크를 통해 획득한 음향과 상기 센서부를 통해 획득한 콘텐츠를 상기 메모리에 저장하는 제1 모드로 동작하는 단계;
상기 메모리에 저장한 음향을 재생하는 제2 모드로 동작하는 단계; 및
상기 센서부를 통해 획득한 사용자의 조작에 기초하되, 상기 콘텐츠에 대한 조작에 대응하여 상기 저장한 음향의 적어도 일부를 편집하는 제3 모드로 동작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자 디바이스의 제어방법. -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내지 3 모드는,
상기 파지된 하우징을 사용하여 기 설정된 특정 제스쳐, 포스쳐, 문자, 기호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입력되면 전환되는 전자 디바이스의 제어방법. -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획득한 음향과 상기 획득한 콘텐츠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상기 획득한 음향의 특정 지점에 연동된 태그를 부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전자 디바이스의 제어방법. -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한 음향과 콘텐츠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적어도 하나의 다른 단말기로 송신하여 상기 송신한 음향과 콘테츠가 상호 연동하여 재생되도록 하는 제4 모드를 더 포함하는 전자 디바이스의 제어방법. - 제11 항에 있어서,
마이크로폰을 상기 제1 모드의 개시와 종료에 관계없이, 활성화하여 상기 음향을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전자 디바이스의 제어방법.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092120A KR20170002117A (ko) | 2015-06-29 | 2015-06-29 | 전자 디바이스 및 그 제어방법 |
PCT/KR2015/008202 WO2017003011A1 (ko) | 2015-06-29 | 2015-08-05 | 전자 디바이스 및 그 제어방법 |
US15/740,685 US10635300B2 (en) | 2015-06-29 | 2015-08-05 | Electronic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fo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092120A KR20170002117A (ko) | 2015-06-29 | 2015-06-29 | 전자 디바이스 및 그 제어방법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002117A true KR20170002117A (ko) | 2017-01-06 |
Family
ID=576084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0092120A KR20170002117A (ko) | 2015-06-29 | 2015-06-29 | 전자 디바이스 및 그 제어방법 |
Country Status (3)
Country | Link |
---|---|
US (1) | US10635300B2 (ko) |
KR (1) | KR20170002117A (ko) |
WO (1) | WO2017003011A1 (ko) |
Family Cites Families (1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5566678B1 (en) * | 1993-09-10 | 1999-11-30 | Cadwell Ind Inc | Digital eeg noise synthesizer |
US5730602A (en) * | 1995-04-28 | 1998-03-24 | Penmanship, Inc. | Computerized method and apparatus for teaching handwriting |
WO2008150921A1 (en) * | 2007-05-29 | 2008-12-11 | Livescribe, Inc. | Communicating audio and writing using a smart pen computing system |
US8243954B2 (en) * | 2008-01-24 | 2012-08-14 |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 System and method for a device sound interface manager |
US20090251440A1 (en) * | 2008-04-03 | 2009-10-08 | Livescribe, Inc. | Audio Bookmarking |
US8446298B2 (en) | 2008-04-03 | 2013-05-21 | Livescribe, Inc. | Quick record function in a smart pen computing system |
US9253560B2 (en) * | 2008-09-16 | 2016-02-02 | Personics Holdings, Llc | Sound library and method |
US20100318203A1 (en) * | 2009-06-16 | 2010-12-16 | Brooks Mitchell T | Audio Recording Apparatus |
CN102549532B (zh) * | 2009-09-17 | 2015-02-04 | 联想创新有限公司(香港) | 使用触摸面板的电子装置和其设置值修改方法 |
JP5250135B1 (ja) * | 2012-04-26 | 2013-07-31 | シャープ株式会社 | タッチパネルシステム、電子情報機器及び指示体位置検出方法 |
KR101428597B1 (ko) | 2013-01-18 | 2014-08-13 | (주)씨앤엔 | 오디오와 비디오의 동시 재생 기능을 갖는 학습용 펜 |
US20140267076A1 (en) * | 2013-03-15 | 2014-09-18 | Immersion Corporation | Systems and Methods for Parameter Modification of Haptic Effects |
KR101512082B1 (ko) | 2013-08-30 | 2015-04-14 | 주식회사 네오랩컨버전스 | 전자펜의 모드 전환시스템 및 방법 |
-
2015
- 2015-06-29 KR KR1020150092120A patent/KR20170002117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 2015-08-05 WO PCT/KR2015/008202 patent/WO2017003011A1/ko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15-08-05 US US15/740,685 patent/US10635300B2/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US20180188941A1 (en) | 2018-07-05 |
US10635300B2 (en) | 2020-04-28 |
WO2017003011A1 (ko) | 2017-01-0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5451599B2 (ja) | マルチモーダルスマートペンのコンピューティングシステム | |
US8194081B2 (en) | Animation of audio ink | |
US20090251338A1 (en) | Ink Tags In A Smart Pen Computing System | |
US8446298B2 (en) | Quick record function in a smart pen computing system | |
US20160124702A1 (en) | Audio Bookmarking | |
US20100021022A1 (en) | Electronic Handwriting | |
US8300252B2 (en) | Managing objects with varying and repeated printed positioning information | |
US20160117142A1 (en) | Multiple-user collaboration with a smart pen system | |
US20180188830A1 (en) | Electronic device | |
US20090021495A1 (en) | Communicating audio and writing using a smart pen computing system | |
CN102067153A (zh) | 多模态学习系统 | |
KR102370364B1 (ko) | 필기 캡처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전자기기 | |
US8416218B2 (en) | Cyclical creation, transfer and enhancement of multi-modal information between paper and digital domains | |
JP6973791B2 (ja) | 手書き装置および手書き通信システム | |
KR102286587B1 (ko) | 전자펜 | |
KR20160143428A (ko) | 펜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 |
KR20170004102A (ko) | 전자 디바이스 | |
KR20170002117A (ko) | 전자 디바이스 및 그 제어방법 | |
KR20170001036A (ko) | 전자 디바이스 및 그 제어방법 | |
KR20170000690A (ko) | 전자디바이스 | |
KR20160149750A (ko) | 전자디바이스 | |
KR20160149749A (ko) | 전자디바이스 | |
KR20170004091A (ko) | 전자디바이스 | |
KR101612866B1 (ko) |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